KR20210088370A - 스쿨존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쿨존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8370A
KR20210088370A KR1020200001696A KR20200001696A KR20210088370A KR 20210088370 A KR20210088370 A KR 20210088370A KR 1020200001696 A KR1020200001696 A KR 1020200001696A KR 20200001696 A KR20200001696 A KR 20200001696A KR 20210088370 A KR20210088370 A KR 20210088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way
driving
speed
blocking structur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우전
Priority to KR1020200001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8370A/ko
Publication of KR20210088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370A/ko
Priority to KR1020220116906A priority patent/KR202201443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2Upright or projecting signs or signals permanently installed directly on or in the roadway and designed to be depressed by rolling or other loads and then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e.g. collapsible or rockable stop signs,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for audible war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closed position about a transverse axis situated in the road surface, e.g. tiltable sections of the road surface, tiltable park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은 주행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센서와, 차도에 매립되고 속도감지센서를 통해 검출된 주행 차량의 속도가 소정속도 이상이 경우 차도로 돌출되는 차단구조체와, 상기 차단구조체를 차도로 돌출되거나, 돌출된 차단 구조체를 차도로 매립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Slowing down driving guide system}
본 발명은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쿨존(School Zone)은 초등학교 주변 어린이 보호구역으로써, 일반적으로 학교의 주 출입문을 기준으로 반경 300m ~ 500m 이내의 도로 중 일정 구간을 보호구역으로써 지정한다. 해당 지역에는 신호등 및 안전표지, 과속방 지턱 등 도로부속물이 설치되어야 하며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초등학교 등의 주 출입문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도로에는 노상주차장을 설치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보호구역 안에서는 학생들의 등교 및 하교 시간에는 학부모 및 교직원 이외의 일반 차량은 출입이 통제되고, 자동차의 정차나 주차를 금지시킬 수 있으며, 보호구역 안에서 운전되는 차량들의 운행 속도는 30km 이하로 제한하여 서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운전자들은 스쿨존을 확인하지 못하거나, 스쿨존 임을 인지한 상태에서도 서행하지 않고 이로인해 교통사고가 발생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도로에 점멸방식등의 경고등 매립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하고 있으나, 이를 통한 개선은 미미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중인 차량이 일정속도 이상인 경우 바리케이트를 직접적으로 제공함에 따라 운전자에게 속도위반임을 직관적으로 안내하고 차량의 감속을 유도할 수 있는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은 주행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센서와, 차도에 매립되고 속도감지센서를 통해 검출된 주행 차량의 속도가 소정속도 이상이 경우 차도로 돌출되는 차단구조체와, 상기 차단구조체를 차도로 돌출되거나, 돌출된 차단 구조체를 차도로 매립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중인 차량이 일정속도 이상인 경우 바리케이트를 직접적으로 제공함에 따라 운전자에게 속도위반임을 직관적으로 안내하고 차량의 감속을 유도할 수 있는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의 기술사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의 주행차단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주행차단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주행차단모듈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의 주행차단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주행차단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주행차단모듈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의 기술사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은 속도 감지센서, 주행 차단모듈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속도 감지센서는 주행중인 차량의 속도를 감지한다.
주행 차단모듈은 차량의 감속을 유도하기 위해 차도에 차단구조체를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속도 감지센서를 통해 검출된 정보는 제어부에 전달되고, 제어부는 차량의 주행속도가 소정속도 이상인 경우 제어부는 구동장치를 작동시켜 차단구조체를 차도에 위치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은 어린이 보호구역 등 일정속도 이상인 경우를 감지하여 감속운전을 유도한다. 또한, 건널목 및 고속도로 역방향 진입 등 주행을 정지시키는 주행 정시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구조체는 차도에 매립되고 속도감지센서를 통해 주행 차량이 검출되면 차도로 돌출되어 차량의 주행 정지를 유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의 주행차단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주행차단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주행차단모듈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차단모듈(1000)은 차단 구조체 바디(1100), 차단 구조체(1200), 구동장치(1300) 및 속도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차단 구조체 바디(1100)는 차도(G)에 매립되고, 차단 구조체(1200)는 차단 구조체 바디(1100)에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차단 구조체(1200)는 주행차량의 속도가 30km이상인 경우 차도로 돌출되어 주행차량에 직관적으로 바리케이트를 제공함에 따라 운전자가 속도를 감속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차단 구조체(1200)는 경고음 발생부(1210)와 조명부(1220)를 포함한다.
경고음 발생부(1210)는 주행 차량에 대해 경고음을 제공하고, 조명부(1220)는 주행 차량에 대해 경고성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동장치(1300)는 차단 구조체(1200)를 차도(G)로 돌출되거나, 돌출된 차단 구조체(1200)를 차도(G)로 매립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구동장치(1300)는 유압구동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고, 주행차단모듈(1000)은 차단 구조체(1200)가 차단 구조체 바디(1100)에 의해 차도(G)에 매립된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속도가 30km이상인 경우 속도감지센서는 구동장치(1300)를 작동시키고, 차단 구조체(1200)는 선택적으로 차도(G)로 돌출되어 차량의 주행을 차단한다.
또한, 주행 차량이 감속되어 30km이하인 것으로 속도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된 경우 구동장치(1300)는 차도(G)로 돌출된 차단 구조체(1200)를 차도로 매립시킨다.
또한, 주행차단모듈(1000)은 차도(G)로 도시한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로 차도에 매립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의 주행차단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주행차단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주행차단모듈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차단모듈(2000)은 차단 구조체 바디(2100), 차단 구조체(2200), 구동장치(2300) 및 속도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차단 구조체 바디(2100)는 차도(G)에 매립되고, 차단 구조체(2200)는 차단 구조체 바디(2100)에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차단 구조체(2200)는 주행차량의 속도가 30km이상인 경우 차도로 돌출되어 주행차량에 직관적으로 바리케이트를 제공함에 따라 운전자가 속도를 감속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차단 구조체(2200)는 지지바디(2210), 차단그물막(2220) 및 지지와어어(2230)를 포함한다.
지지바디(2210)는 구동장치(2300)에 연결되어 승강된다. 또한, 지지바디(2210)에는 차단그물막(2220)이 지지와어어(2230)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지지와어어(2230)은 지지롤러 및 권취모터에 결합되어 차단그물막(2220)이 차도로 돌출된 경우 차단그물막이 팽팽해지도록 권취될 수 있다.
구동장치(2300)는 차단 구조체(2200)의 지지바디(2210)을 차도(G)로 돌출되거나, 돌출된 지지바디(2210)를 차도(G)로 매립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구동장치(2300)는 유압구동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고, 주행차단모듈(2000)은 차단 구조체(2200)가 차단 구조체 바디(2100)에 의해 차도(G)에 매립된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속도가 30km이상인 경우 속도감지센서는 구동장치(2300)를 작동시키고, 차단 구조체(2200)는 선택적으로 차도(G)로 돌출되어 차량의 주행을 차단한다.
또한, 주행 차량이 감속되어 30km이하인 것으로 속도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된 경우 구동장치(2300)는 차도(G)로 돌출된 차단 구조체(2200)를 차도로 매립시킨다.
또한, 주행차단모듈(2000)은 차도(G)로 도시한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로 차도에 매립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단 구조체는 차도 상에 노출되는 홀로그램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홀로그램모듈은 차도를 향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다양한 문구, 그래픽등을 교체하면서 디스플레이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주행차단모듈
1100: 차단 구조체 바디
1200: 차단 구조체
1210: 경고음 발생부
1220: 조명부
1300: 구동장치
2000: 주행차단모듈
2100: 차단 구조체 바디
2200: 차단 구조체
2210: 지지바디
2220: 차단그물막
2230: 지지와어어
2300: 구동장치

Claims (6)

  1. 주행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센서;
    차도에 매립되고 속도감지센서를 통해 검출된 주행 차량의 속도가 소정속도 이상이 경우 차도로 돌출되는 차단구조체; 및
    상기 차단구조체를 차도로 돌출되거나, 돌출된 상기 차단구조체를 차도로 매립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구조체는 경고음 발생부와 조명부를 포함하는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유압구동장치인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
  4. 주행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센서;
    차도에 매립되고 속도감지센서를 통해 검출된 주행 차량의 속도가 소정속도 이상이 경우 차도로 돌출되는 차단구조체; 및
    상기 차단구조체를 차도로 돌출되거나, 돌출된 상기 차단 구조체를 차도로 매립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구조체는 지지바디, 차단그물막 및 지지와어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구동장치에 연결되어 승강되고, 상기 지지바디에는 차단그물막이 지지와어어에 의해 결합되는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
  5. 주행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센서; 및
    속도감지센서를 통해 검출된 주행 차량의 속도가 소정속도 이상이 경우 차도로 노출되는 차단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구조체는 홀로그램모듈인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
  6. 주행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센서;
    차도에 매립되고 속도감지센서를 통해 주행 차량이 검출되면 차도로 돌출되는 차단구조체; 및
    상기 차단구조체를 차도로 돌출되거나, 돌출된 상기 차단구조체를 차도로 매립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
KR1020200001696A 2020-01-06 2020-01-06 스쿨존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 KR2021008837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696A KR20210088370A (ko) 2020-01-06 2020-01-06 스쿨존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
KR1020220116906A KR20220144345A (ko) 2020-01-06 2022-09-16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696A KR20210088370A (ko) 2020-01-06 2020-01-06 스쿨존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906A Division KR20220144345A (ko) 2020-01-06 2022-09-16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370A true KR20210088370A (ko) 2021-07-14

Family

ID=768629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696A KR20210088370A (ko) 2020-01-06 2020-01-06 스쿨존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
KR1020220116906A KR20220144345A (ko) 2020-01-06 2022-09-16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906A KR20220144345A (ko) 2020-01-06 2022-09-16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88370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345A (ko) 202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19749B (zh) 一种低能见度道路交通引导方法
CN103879406B (zh) 用于辅助驾驶员的方法和系统
CN103158706A (zh) 用于机动车自动起步的方法和装置
JP2014510911A (ja) テスト装置並びに方法
JP2014510911A5 (ko)
CN102945617A (zh) 地面投影车辆引导系统
US4847618A (en) Vehicular traffic control system
KR102146863B1 (ko) 어린이 보호구역의 스마트 신호등시스템
JP2010247703A (ja) 車速制御装置
KR20180117776A (ko)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
CN114049778A (zh) 通勤效率提升的高速公路通行保障系统
KR101196611B1 (ko) 스쿨존 횡단보도의 보행자 보호용 차단장치
KR101572199B1 (ko) 노면전차 노선에 설치되는 바닥 매립형 신호등
KR20210088370A (ko) 스쿨존 차량 감속운전 유도 시스템
KR101740267B1 (ko) 철로 패턴을 이용한 스쿨존용 횡단보도 시스템
JP3899515B2 (ja) 車両の制御装置
CN116142165A (zh) 随车局域网络激光数码信息控制车辆行驶工况管理系统
JP3914369B2 (ja) 車両減速誘導システム
JPH0565708A (ja) 車両用警報装置
JP3009299B2 (ja) 自動車道路案内方式
KR20130014704A (ko) 스쿨존 횡단보도의 보행자 보호용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ulmala 9 THE POTENTIAL OF ITS TO IMPROVE SAFETY ON RURAL ROADS
JP2002049423A (ja) 車両用自動走行機構
JP3451322B2 (ja) 道路情報の提供方法
CN209803994U (zh) 非机动车道行驶指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