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7765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7765A
KR20210087765A KR1020200000889A KR20200000889A KR20210087765A KR 20210087765 A KR20210087765 A KR 20210087765A KR 1020200000889 A KR1020200000889 A KR 1020200000889A KR 20200000889 A KR20200000889 A KR 20200000889A KR 20210087765 A KR20210087765 A KR 20210087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housing
unit
display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용
이원희
정우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0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7765A/ko
Priority to PCT/KR2020/018889 priority patent/WO2021137505A1/en
Priority to US17/132,774 priority patent/US11853020B2/en
Publication of KR20210087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7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3/00Accessorie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bility for machines or apparatus fo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과 제 1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서 출몰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가 하우징에 대해 제 1방향으로 승강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승강시키는 승장장치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제 1방향으로의 디스플레이부의 상부가 이동되는 거리를 센싱하는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위치 감지 센서는 제 1위치 감지 센서와 제 1방향과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 2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제 1위치 감지 센서와 제 2위치 감지 센서는 동시에 디스플레이부가 승강되는 거리를 센싱하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TUS}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출몰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문자, 도형 등의 데이터 정보 및 영상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출력 장치의 일종이다.
최근 휴대성을 향상시키거나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감을 수 있는 롤러블 타입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 내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감긴 상태로 유지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이 하우징 외부로 출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패널이 하우징 외부로 출몰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이 출몰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출몰함에 따라 하우징의 일부가 외부로 개방되도록 마련되는데 이에 따라 이물질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출몰될 시 외적 요인으로 발생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출몰될 시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 제 1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서 출몰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제 1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승강시키는 승장장치;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방향으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가 이동되는 거리를 센싱하는 위치 감지 센서; 및 상기 위치 감지 센서는 제 1위치 감지 센서와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 2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위치 감지 센서와 상기 제 2위치 감지 센서는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승강되는 거리를 센싱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 1위치 감지 센서와 상기 제 2위치 감지 센서는 광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1위치 감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 1반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2위치 감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 2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 1,2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화면이 표시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는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캡은 제 3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2반사부는 상기 연장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승장장치의 구동 중에 상기 제 1위치 감지 센서와 상기 제 2위치 감지 센서가 미리 정해진 시간 마다 획득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몰 오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위치 감지 센서와 제 1반사부 간의 제 1거리 및 상기 제 2위치 감지 센서와 제 2반사부 간의 제 2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 1거리와 상기 제 2거리가 다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몰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돌출 길이가 미리 정해진 길이에 도달하면, 상기 승강 장치의 구동을 중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몰 오류에 대한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돌출 길이가 미리 정해진 길이보다 큰 경우, 상기 승강 장치의 구동을 중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승강 장치의 구동을 감지하는 리미트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 장치는 구동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승강시키는 암과, 상기 암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암과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는 구동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전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도록 이동되는 제 1위치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에서부터 돌출되도록 이동되는 제 2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리미트 센서는 상기 구동전달부의 제 1위치 또는 제 2위치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승강될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감기거나 풀리도록 마련되는 롤러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의 회전을 센싱하는 회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회전 감지 센서가 센싱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승강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 장치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승될 시 상기 회전 감지 센서에서 센싱된 값이 상기 제어부에 미리 입력된 값과 다를 경우, 상기 승강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하강시키도록 상기 승강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돌출 길이가 미리 정해진 길이에 대응되고, 구동전달부의 제 1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 위치한 제 3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돌출 길이가 미리 정해진 길이에 도달하면, 상기 승강 장치의 구동을 중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몰 오류에 대한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미트 센서가 상기 제 3위치를 감지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돌출 길이가 미리 정해진 길이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돌출 길이가 미리 정해진 길이보다 큰 경우, 상기 승강 장치의 구동을 중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을 감지하는 집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진 센서가 이물질을 감지한 것에 기초하여 청소 어셈블리가 구동되도록 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 장치의 작동 횟수 주기에 따라 상기 팬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오프(off)된 상태에서만 상기 팬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롤러; 상기 롤러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롤러와 연동되어 제 1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승강시키는 승장장치;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방향으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가 이동되는 거리를 센싱하는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감지 센서는 제 1위치 감지 센서와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 2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위치 감지 센서와 상기 제 2위치 감지 센서는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승강되는 거리를 센싱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출몰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양측의 높이를 센싱하는 센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안정적으로 출몰하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돌출된 상태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의 후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돌출된 상태의 후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돌출된 상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일부 구성을 확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삽입된 상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돌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오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삽입된 상태의 전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돌출된 상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삽입된 상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2 및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모드 내지 제 3모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구성의 측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의 후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도 18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의 후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도 2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오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도 23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측면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도 24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도23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측면이 폐쇄된 상태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
도 27 본 발명의 도23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측면이 개방된 상태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또는 변형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설명 중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뜻하지 않은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돌출된 상태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의 후측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돌출된 상태의 후면 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정보, 자료, 데이터 등을 문자, 도형, 그래프, 영상 등으로 표시하여 주는 장치로서, TV, PC, 모바일, 디지털 사이니지(singage) 등이 디스플레이 장치(1)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 내부에서 하우징(100)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도록 마련되는 표시부(101)가 배치되는 전면(102)과 전면(102)과 전후 방향으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후면(10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후면(103)은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디스플레이부(200)가 하우징(100)에서 출몰 가능하게 마련되도록 디스플레이부(200)가 하우징(100)을 관통하는 개구(104)가 배치되는 상면(105)과 상면(105)과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하면(106)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하우징(100)의 상면(105)에 배치된 개구(104)를 통해 하우징(100)의 상측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200)는 하우징(100)의 하면(106)을 관통하여 하우징(100)의 하측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개구는 하우징(106)의 하면(106)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또한 하우징(100)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면(107)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하우징(100) 내부에서 삽입된 상태에서 하우징(100)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가 하우징(100) 내부에 삽입될 시 디스플레이부(200)는 접히거나 롤링된 상태로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디스플레이부(200)는 롤링되어 하우징(10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 내부에서 감겨있던 디스플레이부(200)가 풀리면서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된 디스플레이부(200)는 다시 감기면서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상술하였으나 하우징(1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출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00)는 하우징(100)에 대해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100)에 대해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측으로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에 대해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접히거나 롤링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210)로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커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22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화면을 표시하는 방향의 반대측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지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22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부(200)가 출몰되는 상하 방향으로 구획되는 복수의 세그먼트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커버(22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함께 용이하게 롤링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00)가 하우징(100) 내부에서 감길 시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함께 디스플레이 커버(220)가 감기게 되는데, 디스플레이 커버(220)가 감길 시 복수의 세그먼트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용이하게 롤링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디스플레이 커버(220)가 용이하게 감기도록 마련되는 롤러(10, 도 6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10)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시 디스플레이부(200)가 풀리면서 하우징(100)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롤러(1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시 디스플레이부(200)가 감기면서 하우징(10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롤러(10)는 롤러(10)외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디스플레이 커버(220)를 지지하는 캡(230)을 포함할 수 있다.
캡(230)은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디스플레이 커버(220)를 고정시켜 디스플레이부(200)가 출몰될 시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디스플레이 커버(220)가 일체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캡(230)은 디스플레이부(20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캡(230)은 디스플레이부(200)을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300)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부(200)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캡(230)은 대략 개구(104)와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가 하우징(100)에 완전 삽입될 시, 캡(230)의 상면은 상하 방향으로 하우징(100)의 상면(105)과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가 하우징(100)에 와전 삽입될 시 캡(230)에 의해 개구(104)가 폐쇄될 수 있다. 캡(230)의 상면과 하우징(100)의 상면(105)이 대략 대응되는 높이로 배치될 수 있어 캡(230)과 하우징(100)은 일체감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캡(230)은 디스플레이부(200)가 하우징(100)에 완전 삽입될 시 개구(104)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100)은 개구(104)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추가적인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200)가 하우징(100)에서 출몰되도록 디스플레이부(200)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장치(300)는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부(200)가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될 시 디스플레이부(200)와 함께 개구(104)를 관통하여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승강 장치(300)의 구동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자세하게 후술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200)와 승강 장치(300) 및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는 각종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 승강 장치(300)의 구동부(330), 각종 센서(510,520,530)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인 기판을 포함하는 복수의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구성하는 각종 전장 부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각종 전장 부품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 장치(1) 외부에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후술하겠으나 각종 센서(510,520,530)에서부터 센싱된 센싱값에 따라 승강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스피커(30)와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와 별개의 전기를 제어부(20)에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배터리(4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은 모두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후술하겠으나 개구(104)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하우징(100) 외측으로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청소 어셈블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장치(300)는 디스플레이부(200)와 연결되는 제 1암(310)과 제 2암(320) 및 제 1,2암(310,320)이 구동되도록 제 1,2암(310,32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암(310)의 일단(311)과 제 2암(320)의 일단(321)은 각각 캡(2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1,2암(310,320)은 구동부(330)의 구동에 의해 후술할 구동전달부(340,35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2암(310,320)의 일단(311,321)과 연결된 캡(230)은 제 1,2암(310,320)이 상측으로 이동될 시 이에 연동되어 상측으로 이동되고, 제 1,2암(310,320)이 하측으로 이동될 시 이에 연동되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캡(230)의 이동과 함께 디스플레이부(20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제 1,2암(310,320)은 구동부(330)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하우징(100)에 삽입된 제 1위치(300A)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위치(300A)는 제 1,2암(310,320)의 일단(311,321)이 최저 높이로 내려온 위치로 더 내려갈 수 없는 위치를 뜻한다. 제 1,2암(310,320)이 제 1위치(300A)에 배치될 시 캡(320)은 개구(104)를 폐쇄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100)의 상면(105)과 캡(320)의 상면이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2암(310,320)은 구동부(33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어 하우징(100)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이동되어 제 1,2암(310,320)의 일단(311,321)이 하우징(100) 외측에 배치되는 제 2위치(300B)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위치(300B)는 제 1,2암(310,320)의 일단(311,321)이 최대 높이로 올라온 위치로 더 높이 올라갈 수 없는 위치를 뜻한다. 제 1,2암(310.320)이 제 2위치(300B)에 배치될 시 디스플레이부(200)는 최대 높이까지 돌출될 수 있다.
제 1,2암(310,320)이 제 1위치(300A)와 제 2위치(300B) 사이로 이동되고 디스플레이부(200)는 이에 연동되어 하우징(100)에 대해 출몰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0)는 하우징(100) 내부에 말려있는 상태로 하우징(10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승강 장치(300)의 제 1,2암(310,320)은 제 1위치(300A)에 배치될 수 있다.
승강 장치(300)가 구동되어 제 1,2암(310,320)이 상측으로 이동될 시 캡(230)은 제 1,2암(310,320)의 일단(311,321)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캡(230)은 디스플레이부(200)의 상단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의 상단이 제 1,2암(310,320)과 함께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하우징(100) 내부에 말려 있던 디스플레이부(200)가 디스플레이부(200)의 상단의 이동으로 풀리면서 디스플레이부(200)가 펼쳐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의 하단은 롤러(10)와 연결될 수 있다.
승강 장치(30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00)의 상단이 하우징(100)을 관통하여 하우징(100)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 1,2암(310,320)이 제 2위치(300B)에 배치될 때까지 제 1,2암(310,320)의 일단(311,321)과 함께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2암(310,320)이 제 2위치(300B)에 배치될 시 승강 장치(300)의 구동은 종료되고 디스플레이부(200)가 펴진 상태로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커버(220)는 디스플레이 패널(310)이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디스플레이 패널(3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승강 장치(300)의 구동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돌출된 상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 구성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삽입된 상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장치(300)는 제 1암(310)과 구동부(330)를 연결하고 구동부(33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제 1암(310)에 전달하는 제 1구동전달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장치(300)는 제 2암(320)과 구동부(330)를 연결하고 구동부(33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제 2암(320)에 전달하는 제 2구동전달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33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31)와 모터(331)와 연결되는 모터측 기어(332) 및 제 1,2구동전달부(340,35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부재(33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330)는 모터측 기어(332)와 전달부재(333) 사이에 배치되고 모터측 기어(332)와 전달부재(333)를 연결하는 중간 기어(33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터측 기어(332)와 전달부재(333)는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모터측 기어(332)는 웜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중간 기어(334)는 웜 휠로 마련되어 모터측 기어(332)와 치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달부재(333)는 중간 기어(334)와 치합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치합부(333a)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331)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시 최종적으로 전달부재(333)는 모터(331)의 일방향과 수직 방향인 일 방향(R1)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모터(331)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시 전달부재(333)는 일 방향의 반대 방향(R2)으로 회전되어 제 1,2구동전달부(340,35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 1,2구동전달부(340,350)는 전달부재(333)와 랙-피니언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전달부재(333)는 제 1,2구동전달부(340,350)와 치합 결합되는 피니언 역할을 수행하는 제 2치합부(33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치합부(333a)와 제 2치합부(333b)는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330)는 후술하겠으나 모터(331)의 회전력이 아닌 외력에 의해 전달부재(333)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수동 휠(335)과 수동 휠(335)에 연결되는 휠기어(337) 및 휠기어(337)와 모터측 기어(332)를 연결시키는 보조기어(3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제 1구동전달부(340)는 제 2치합부(333b)와 치합되는 제 1랙(3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구동전달부(350)는 제 2치합부(333b)와 치합되는 제 2랙(3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구동전달부(340)는 제 1암(310)의 타단(312)이 회전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구동전달부(350)는 제 2암(320)의 타단(322)이 회전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구동전달부(340)의 제 1랙(341)과 전달부재(333)의 제 2치합부(333b)락 랙-피니언 결합된다. 전달부재(333)가 일방향(R1) 또는 반대 방향(R2)로 회전될 시 제 1구동전달부(340)는 전달부재(333)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 1방향(D1) 또는 제 2방향(D2)으로 병진 이동될 수 있다.
제 2구동전달부(350)의 제 2랙(351)과 전달부재(333)의 제 2치합부(333b)락 랙-피니언 결합된다. 전달부재(333)가 일방향(R1) 또는 반대 방향(R2)로 회전될 시 제 2구동전달부(350)는 전달부재(333)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 2방향(D2) 또는 제 1방향(D1)으로 병진 이동될 수 있다.
즉, 제 1구동전달부(340)와 제 2구동전달부(350)는 전달부재(333)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 각각 다른 방향을 향해 병진 이동될 수 있다.
승강 장치(300)는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는 브라켓(36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360)은 제 1,2구동전달부(340,350)와 제 1,2암(310,320)이 이동 가능하게 브라켓(360)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360)은 제 1구동전달부(340)의 일부가 삽입되어 제 1구동전달부(340)를 이동 가능하게 구속하고 제 1구동전달부(340)의 병진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 1슬릿(361)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360)은 제 2구동전달부(350)의 일부가 삽입되어 제 2구동전달부(350)를 이동 가능하게 구속하고 제 2구동전달부(350)의 병진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 2슬릿(3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2슬릿(361,362)은 각각 제 1,2 방향(D1,D2)을 향해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암(310)의 타단(312)은 제 1구동전달부(340)와 바람직하게 상하 방향으로 제 1슬릿(361)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암(320)의 타단(322)은 제 2구동전달부(350)와 바람직하게 상하 방향으로 제 2슬릿(362)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구동전달부(340)는 전달부재(330)의 회전에 연동되고 제 1슬릿(361)에 가이드되어 제 1방향(D1)과 제 2방향(D2)으로 병진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제 1구동전달부(340)와 결합된 제 1암(310)은 제 1구동전달부(340)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암(310)의 타단(312)이 제 1구동전달부(340)의 이동에 연동되어 병진 이동되는 동시에 제 1구동전달부(340)에 대해 일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제 1암(310)의 일단(311)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2구동전달부(350)는 전달부재(330)의 회전에 연동되고 제 2슬릿(362)에 가이드되어 제 2방향(D2)과 제 1방향(D1)으로 병진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제 2구동전달부(350)와 결합된 제 2암(320)은 제 1구동전달부(350)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2암(320)의 타단(322)이 제 2구동전달부(350)의 이동에 연동되어 병진 이동되는 동시에 제 2구동전달부(350)에 대해 일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제 2암(320)의 일단(321)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암(310,320)이 제 2위치(300B)에 배치된 상태에서 구동부(330)의 전달부재(333)가 제 1방향(R1)으로 회전될 시 제 1구동전달부(340)는 전달부재(333)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 1방향(D1)으로, 제 2구동전달부(350)는 전달부재(333)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 2방향(D2)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구동전달부(340)에 결합된 제 1암(310)의 타단(312)은 제 1구동전달부(340)의 이동에 연동되어 회동되면서 제 1방향(D1)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암(310)의 일단(311)은 타단(312)의 이동에 연동되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2구동전달부(350)에 결합된 제 2암(320)의 타단(322)은 제 2구동전달부(350)의 이동에 연동되어 회동되면서 제 2방향(D2)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암(320)의 일단(321)은 타단(322)의 이동에 연동되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캡(230)은 제 1,2암(310,320)의 일단(311,321)과 결합되는 바 제 1,2암(310,320)의 이동에 연동되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제 1,2암(310,320)은 각각 제 1방향(D1)으로 이동되는 제 1구동전달부(340)와 제 2방향(D2)으로 이동되는 제 2구동전달부(350)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하 방향으로 제 1,2암(310,320)이 눕혀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암(310)의 일단(311)은 캡(230)의 제 2방향(D2)으로의 단부(231)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 2암(320)의 일단(321)은 캡의(230)의 제 1방향(D1)으로의 단부(232)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암(310)의 타단(312)이 제 1방향(D1)으로 이동되고 제 2암(320)의 타단(322)이 제 2방향(D2)으로 이동될 시 제 1,2암(310,320)은 각각 하측을 향해 눕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달부재(333)가 제 1방향(R1)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 1,2암(310,320)의 일단(311,321)은 각각 지속적으로 하측으로 이동되고 제 1,2암(310,320)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위치(300A)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2암(310,320)이 제 1위치(300A)에 배치될 시 제 1,2암(310,320)은 하우징(100)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마련되고, 이에 연동되어 디스플레이부(200)도 하우징(100) 내부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2암(310,320)이 제 1위치(300A)에 배치되는 상태에서 전달부재(333)가 반대 방향(R2)으로 회전될 시 제 1구동전달부(340)는 제 2방향(D2)으로 이동되고 제 2구동전달부(350)는 제 1방향(D1)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2암(310,320)은 각각 제 1,2구동전달부(340,350)에 연동되고 제 1,2암(310,320)의 타단(312,322)은 각각 제 2방향(D2)과 제 1방향(D1)으로 이동되어 제 1,2암(310,320)이 세워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2암(310,320)의 타단(312,322)은 각각 제 2방향(D2)과 제 1방향(D1)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 1,2암(310,320)은 다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위치(300B)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부(200)는 하우징(100)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전달부재(333)가 일방향(R1) 또는 반대 방향(R2)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 장치(30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디스플레이부(200)는 승강 장치(300)에 의해 하우징(100)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구동되지 않을 시 디스플레이부(200)가 하우징(100)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를 구동시키는 신호를 입력할 시 제어부(20)는 전달부재(333)가 반대 방향(R2)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부(330)를 제어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2암(310,320)이 제 2위치(300B)에 배치될 시 제어부(20)는 구동부(330)의 구동이 종료되도록 구동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200)가 하우징(300)의 상면(105)에서 돌출되는 높이를 h라고 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동 모드에 따라 다양한 높이(h)까지 디스플레이부(200)가 돌출될 수 있는데, 제어부(20)는 입력 받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동 모드를 기반으로 구동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동을 종료하는 신호를 입력할 시 제어부(20)는 전달부재(333)가 일 방향(R1)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2암(310,320)은 제 1위치(300A)로 이동될때까지 하측으로 이동되고 제 1,2암(310,320)이 제 1위치(300A)에 도달되면, 제어부(320)는 구동부(330)의 구동을 종료하도록 구동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출몰을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위치감지 센서(51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돌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오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0)는 승강 장치(300)에 연동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200)의 상단이 좌우 방향으로 수평이 아닌 상태로 디스플레이부(200)가 출몰될 시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응력이 발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승강 장치(300)는 제 1,2암(310,320)의 일단(311,312)이 동일한 높이로 상승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단일개의 모터(331)의 회전을 통해 제 1,2구동전달부(340,350)가 동일한 거리로 이동되도록 마련되고 이에 연동되어 제 1,2암(310,320)의 일단(311,312)의 상승 거리가 상하 방향으로 동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2암(310,320)의 일단(311,312)에 연결된 캡(230)이 좌우 방향으로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승강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200)는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로 하우징(100)으로부터 출몰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부(200)가 돌출되거나 삽입되는 중에 외부에서 물리적인 외력이 디스플레이부(200)에 가해질 시 디스플레이부(200)가 수평이 아닌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부(200)가 파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00)의 상측에 물체가 배치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부(200)가 승강되거나 디스플레이부(200)가 승강되는 중 갑작스럽게 디스플레이부(200)의 상측에 외력이 전달될 시 디스플레이부(200)가 수평을 잃고 승강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파손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00)가 상승될 시 외력이 전달될 시 디스플레이부(200)가 상승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부(200)의 수평이 유지되기 어려워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디스플레이부(200)가 하강되는 과정에서 외력이 전달될 시에는 디스플레이부(200)가 하우징(100)에 삽입되면서 외력의 전달이 종료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파손 우려가 덜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0)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300)가 디스플레이부(200)에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200)가 승강될 시 수평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위치감지 센서(51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감지 센서(510)는 좌우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200)가 수평하게 승강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00)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외력이 발생하여 좌우 방향으로 수평하지 않은 상태로 디스플레이부(200)가 상승될 시 위치감지 센서(510)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수평하지 않은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위치감지 센서(510)는 센싱값을 제어부(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싱 값을 전달 받은 제어부(20)는 승강 장치(300)의 구동이 중단되도록 구동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구동부(330)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구동부(330)를 제어한 후, 모터(331)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승강 장치(300)가 디스플레이부(200)를 하강시키도록 구동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수평하지 않은 상태로 상승되던 디스플레이부(200)는 다시 하강하여 하우징(10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가 하우징(100)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에 가해지던 외력이 소멸되고 디스플레이부(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부(200)에 발생된 외력으로 디스플레이부(200)가 다시 하강되는 과정에서, 또는 하우징(100)에 삽입된 후에 표시부(11)에 디스플레이부(200)의 구동의 오류 신호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11)를 통해 디스플레이부(200)에 외력이 전달되었음을 감지하고 이 후 디스플레이 장치(1)에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20)는 다시 승강 장치(300)가 디스플레이부(200)가 상승되도록 승강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감지 센서(510)는 제 1위치감지 센서(511)와 제 2위치감지 센서(512)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위치감지 센서(510)는 3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캡(230)의 제 2방향(D2)으로의 단부(231)를 제 1단(231), 제 1방향(D1)으로의 단부(232)를 제 2단(232)으로 가정할 시, 제 1위치감지 센서(511)는 좌우 방향으로 제 1단(231)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 2위치감지 센서(512)는 제 2단(232)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위치감지 센서(511)와 제 2위치감지 센서(512)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1,2위치감지 센서(511,512)는 각각 제 1단(231)과 제 2단(232)과 인접할수록 좋다.
위치감지 센서(510)는 광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위치감지 센서(510)는 광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광을 수집하여 물체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위치감지 센서(510)는 캡(230)의 제 1단(231)과 제 2단(232)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다른 타입의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2위치감지 센서(511,512)는 상측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2위치감지 센서(511,512)에는 제 1,2위치감지 센서(511,512)에서 조사된 광이 캡(230)에 반사되어 다시 제 1,2위치감지 센서(511,512)에 각각 수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캡(230)은 상하 방향으로 제 1위치감지 센서(511)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 1반사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캡(230)은 상하 방향으로 제 2위치감지 센서(512)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 2반사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2반사부(233,234)는 각각 제 1,2위치감지 센서(511,512)에서 조사된 광이 반사되는 영역으로 캡(230)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2반사부(233,234)는 전후 방향으로 캡(230)에서 후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일부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2반사부(233,234)는 전후 방향으로 수평한 플레이트 형상의 일부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2반사부(233,234)는 각각 하측을 마주하는 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2반사부(233,234)는 각각 제 1,2위치감지 센서(511,512)를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2반사부(233,234)는 하우징(100)의 개구(104)를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캡(230)은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화면을 표시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30a)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230a)는 디스플레이부(200)가 승강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2반사부(233,234)는 연장부(230a)의 하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 1,2위치감지 센서(511,512)는 하우징(100) 상면(105)에 형성되는 개구(104)를 통해 제 1,2반사부(233,234)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2위치감지 센서(511,512)는 각각 제 1,2반사부(233,234)와 제 1,2위치감지 센서(511,512) 사이의 거리를 각각 센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에 외력이 발생하지 않을 시 디스플레이부(200)는 수평하게 승강되기 때문에 제 1,2위치감지 센서(511,512)는 각각 동일한 거리(L)를 센싱할 수 있다.
즉, 제 1위치감지 센서(511)에서부터 제 1반사부(233)까지의 거리(L)와 제 2위치감지 센서(512)에서부터 제 2반사부(234)까지의 거리(L)는 디스플레이부(200)가 수평하게 승강되는 바 동일하다.
제 1,2위치감지 센서(511,512)는 승강 장치(300)가 구동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제 1위치감지 센서(511)에서부터 제 1반사부(233)까지의 거리(L)와 제 2위치감지 센서(512)에서부터 제 2반사부(234)까지의 거리(L)를 제어부(2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제 1,2위치감지 센서(511,512)에서 센싱된 거리가 각각 동일하게 전송되는 경우, 승강 장치(300)의 구동이 유지되도록 승장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단(231)과 인접한 부분에 외력(F)이 전달될 시 디스플레이부(200)의 수평한 상태가 종료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00)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외력(F)이 전달될 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0)가 수평하지 않은 상태로 상승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10) 또는 승강 장치(300)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 때 제 1위치감지 센서(511)에서 센싱된 제 1위치감지 센서(511)와 제 1반사부(233)사이의 거리(L1)와 제 2위치감지 센서(512)에서 센싱된 제 2위치감지 센서(512)와 제 2반사부(234)사이의 거리(L2)는 각각 다르게 센싱될 수 있다.
제 1,2위치감지 센서(511,512)는 각각 다르게 센싱된 거리(L1,L2)를 제어부(2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각각 다르게 센싱된 거리(L1,L2)에 대한 센싱값이 전달될 시 승강 장치(300)가 디스플레이부(200)를 하강하도록 승강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1위치센서(511)와 제 2위치센서(512)는 상하 방향으로 각각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위치센서(511)와 제 2위치센서(512)는 상하 방향으로 각각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 때, 제 1,2단(231,232)이 수평하게 승강해도 제 1위치감지 센서(511)와 제 2위치감지 센서(512)는 각각 다른 거리를 센싱하게 된다. 제어부(20)는 제 1위치감지 센서(511)와 제 2위치감지 센서(512)에서 각각 다른 높이값이 센싱되어도 이를 보정하여 거리를 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2위치감지 센서(511,512)는 각각 브라켓(360)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100) 내측에 배치되는 추가적인 구성에 의해 제 1,2위치감지 센서(511,512)가 하우징(100)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롤러(10)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 센서(52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삽입된 상태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0)가 하우징(100) 내측에 삽입될 시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디스플레이 커버(220)는 일체로 롤러(10)에 감겨질 수 있다.
제어부(20)에 의해 승강 장치(300)가 구동되고 승강 장치(300)에 연동되어 디스플레이부(200)의 캡(320)이 상측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롤러(10)에 감겨있던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디스플레이 커버(220)가 회전되면서 롤러(10)에서부터 풀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의 상단은 캡(320)에 연결되어 있고 디스플레이부(200)의 하단은 롤러(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10)는 디스플레이부(200)가 풀리는 과정에서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승강 장치(300)는 일정한 속도로 디스플레이부(200)가 승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10) 또한 일정한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가 상승될 시 디스플레이부(200)에 외력이 가해질 시 디스플레이부(200)의 상승 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캡(230) 상에 물체가 놓여지거나 디스플레이부(200)에 하측 방향으로 갑작스러운 외력이 가해질 시 디스플레이부(200)의 상승 속도가 더 느리게 측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의 하측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 롤러(10)를 구동하는 구동부(미도시)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좌우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외력이 가해질 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디스플레이부(200)에 상측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 디스플레이부(200)의 상승 속도가 더 빠르게 측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롤러(10)의 구동부(미도시)와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롤러(10)의 회전값을 센싱하는 회전 감지 센서(5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감지 센서(520)는 롤러(10)의 회전각 또는 회전각속도 또는 롤러(10)에 형성되는 토크값을 센싱하여 롤러(10)의 회전 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회전 감지 센서(520)는 롤러(10)의 회전속도를 센싱하여 제어부(2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입력되었던 롤러(10)의 회전속도와 다른 속도의 센신값이 전달될 시 승강 장치(300)의 상승 구동을 정지시키고 승강 장치(300)가 하강되어 제 1,2암이 제 1위치(300A)에 위치되도록 승강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0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롤러(10)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회전 감지 센서(520)의 센신값을 통해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부(200)가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승강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회전 감지 센서(520)는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부(521)와 롤러(10)와 함께 회전되는 피감지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피감지부(522)는 롤러(1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롤러(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회전 감지 센서(52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롤러(10)의 회전 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 감지 센서(520)는 자기식 감지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피감지부(522)에는 마그네트가 배치되고 감지부(521)는 마그네트를 감지하는 마그네트 엔코더로 형성될 수 있다.
피감지부(522)의 원판 모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마그네트는 피감지부(522)의 중심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중심측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감지부(522)가 회전될 시 마그네트도 피감지부(52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감지부(521)에서 마그네트의 위치를 감지하여 롤러(10)의 회전 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마그네트는 롤러(1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마그네트는 롤러(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피감지부(522) 구성은 생략될 수 있고 감지부(521)는 롤러(10)의 측면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되고 롤러(10)와 함께 회전되는 마그네트의 위치를 측정하여 롤러(10)의 회전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다만, 회전 감지 센서(52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롤러(10)의 회전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승강 장치(300)의 최대 승강 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 센서(53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돌출된 상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삽입된 상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2암(310,320)은 제 1위치(300A)와 제 2위치(300B)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2암(310,320)은 구동부(33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 1위치(300A)와 제 2위치(300B)에 도달될 수 있다.
이 때, 제 1,2암(310,320)이 제 1위치(300A) 또는 제 2위치(300B)에 도달되었는데 구동부(330)가 구동될 시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응력이 발생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파손될 수 있으며, 승강 장치(300) 또한 제 1위치(300A) 또는 제 2위치(300B)에서 이동이 제한되는 바 추가적인 구동력이 전달될 시 승강 장치(300)가 파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0)는 제 1,2암(310,320)이 제 1위치(300A) 또는 제 2위치(300B)에 도달될 시 구동부(330)의 구동이 종료되도록 구동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 1,2암(310,320)이 제 1위치(300A) 또는 제 2위치(300B)에 도달된 상태를 센싱하여 제어부(20) 센싱값을 전달하는 리미트 센서(530)를 포함할 수 있다.
리미트 센서(530)는 제 1,2암(310,320)이 제 1위치(300A)에 도달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 1리미트 센서(531)와 제 1,2암(310,320)이 제 2위치(300B)에 도달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 2리미트 센서(532)를 포함할 수 있다.
리미트 센서(530)는 제 1구동전달부(340)의 이동을 감지하여 제 1,2암(310,320)이 제 1위치(300A) 또는 제 2위치(300B)에 배치되는 것을 센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미트 센서(530)는 제 2구동전달부(350)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구동전달부(340)는 제 1방향(D1) 또는 제 2방향(D2)으로 병진 이동되면서 제 1암(31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제 1방향(D1)으로 이동될 시 제 1암(310)은 하측으로 이동되고 제 2방향(D2)으로 이동될 시 제 1암(310)은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구동전달부(340)가 제 1방향(D1)으로의 이동 가능한 한계지점까지 이동될 시 제 1암(310)은 제 1위치(300A)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2방향(D2)으로의 이동 가능한 한계지점까지 이동될 시 제 1암(310)은 제 2위치(300B)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리미트 센서(531)는 제 1구동전달부(340)가 제 1방향(D1)으로의 이동 가능한 한계지점에 배치될 시를 감지할 수 있고, 제 2리미트 센서(532)는 제 1구동전달부(340)가 제 2방향(D2)으로의 이동 가능한 한계지점에 배치될 시를 감지할 수 있다.
제 1,2리미트 센서(531,532)는 각각 제 1구동전달부(340)가 제 1방향(D1) 또는 제 2방향(D2)으로의 이동 가능한 한계지점에 배치되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20)에 센싱 값을 전달할 수 있다.
제 1,2리미트 센서(531,532)로부터 센싱 값을 전달 받은 제어부(20)는 구동부(330)의 구동이 종료되도록 구동부(330)를 제어하여 제 1구동전달부(340)가 제 1방향(D1) 또는 제 2방향(D2)으로의 이동 가능한 한계 지점에서 추가적으로 구동부(33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미트 센서(531,532)는 접촉식 센서로 마련되어 제 1구동전달부(340)가 접촉될 시 제 1구동전달부(340)가 어느 위치에 배치됨을 센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미트 센서(531,532)는 리미트 스위치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미트 센서(531,532)는 광센서 또는 자기식 센서로 마련되어 제 1구동전달부(340)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브라켓(360)은 제 1구동전달부(340)의 다른 일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제 3슬릿(3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구동전달부(340)는 제 1구동전달부(340)의 일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슬릿(361)에 삽입되어 병진 이동이 가이드되는 동시에 제 1구동전달부(340)가 브라켓(360)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 1구동전달부(340)는 제 1구동전달부(340)의 다른 일부(342)가 제 3슬릿(363)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구동전달부(340)의 다른 일부(342)에는 리미트 센서(531,532)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접촉부(343)가 마련될 수 있다.
접촉부(343)는 제 1구동전달부(340)의 다른 일부(342)에 연동되어 제 1방향(D1) 또는 제 2방향(D2)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리미트 센서(532)는 제 1구동전달부(340)가 제 2방향(D2)으로의 이동 가능한 한계 지점에 배치될 시 접촉부(343)와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리미트 센서(532)는 바람직하게 제 3슬릿(363)에 있어서 제 2방향(D2)으로의 단부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3슬릿(363)은 제 1방향(D1)과 제 2방향(D2)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3슬릿(363)의 제 1방향(D1)으로의 단부는 제 1구동전달부(340)의 다른 일부(342)가 제 1방향(D1)으로 이동될 수 있는 한계지점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3슬릿(363)의 제 2방향(D2)으로의 단부는 제 1구동전달부(340)의 다른 일부(342)가 제 2방향(D2)으로 이동될 수 있는 한계지점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구동전달부(340)가 제 2방향(D2)으로 이동될 수 있는 한계 지점에 배치될 시 제 1구동전달부(340)의 다른 일부(342)는 제 3슬릿(363)의 제 2방향(D2)으로의 단부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접촉부(343)는 제 2리미트 센서(532)에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다.
제 2리미트 센서(532)에 접촉부(343)가 접촉된 상태는 제 1구동전달부(340)가 제 2방향(D2)으로의 이동될 수 있는 한계 지점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제 1암(310)이 제 2위치(300B)에 배치되는 상태이다.
제 2리미트 센서(532)는 접촉부(343)와 접촉되어 제 1구동전달부(340)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제 2리미트 센서(532)는 센싱 값을 제어부(20)에 전송하고 제어부(20)는 제 2리미트 센서(532)에서 센싱 값이 센싱되면 구동부(330)의 구동이 종료되도록 구동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리미트 센서(531)는 제 1구동전달부(340)가 제 1방향(D1)으로의 이동 가능한 한계 지점에 배치될 시 접촉부(343)와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리미트 센서(531)는 바람직하게 제 3슬릿(363)에 있어서 제 1방향(D1)으로의 단부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구동전달부(340)가 제 1방향(D1)으로 이동될 수 있는 한계 지점에 배치될 시 제 1구동전달부(340)의 다른 일부(342)는 제 3슬릿(363)의 제 1방향(D1)으로의 단부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접촉부(343)는 제 1리미트 센서(531)에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다.
제 1리미트 센서(531)에 접촉부(343)가 접촉된 상태는 제 1구동전달부(340)가 제 1방향(D1)으로의 이동될 수 있는 한계 지점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제 1암(310)이 제 1위치(300A)에 배치되는 상태이다.
제 1리미트 센서(531)는 접촉부(343)와 접촉되어 제 1구동전달부(340)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제 1리미트 센서(531)는 센싱 값을 제어부(20)에 전송하고 제어부(20)는 제 1리미트 센서(531)에서 센싱 값이 센싱되면 구동부(330)의 구동이 종료되도록 구동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위치 감지 센서(510), 회전 감지 센서(520), 리미트 센서(530) 각각의 배치 및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각 센서에 기초한 디스플레이부의 출몰 오류 판단 및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 1모드 내지 제 3모드를 도시한다. 단, 도 12 및 도 13에 의한 제어 방법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여 위치 감지 센서(510)에 기초한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부(200)가 상승되도록 승강 장치(300)를 제어한다(1201). 디스플레이부(200)의 제 1단(231)과 제 2단(232)의 높이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상승 중에 디스플레이부(200)에 외력이 가해지면 높이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230) 상에 물체가 놓여지거나 디스플레이부(200)에 하측 방향으로 갑작스러운 외력이 가해질 시 제 1단(231)과 제 2단(232)의 높이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 차이를 판단하기 위해서, 제어부(200)는 제 1위치 감지 센서(511)와 제 1반사부(233) 간의 제1거리와 제 2위치 감지 센서(512)와 제2반사부(234) 간의 제2거리를 획득한다(1202). 구체적으로, 제 1,2위치 감지 센서(511,512)는 승강 장치(300)가 구동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제 1위치 감지 센서(511)에서부터 제 1반사부(233)까지의 거리(L)와 제 2위치감지 센서(512)에서부터 제 2반사부(234)까지의 거리(L)를 제어부(2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제1 거리 및 제2 거리를 비교하고(1203), 제1 거리와 제2 거리가 동일하면(1204), 디스플레이부(200)의 상승 또는 하강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반대로, 제어부(20)는 제1 거리 및 제2 거리를 비교한 결과, 제1 거리와 제2 거리 간의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1204), 디스플레이부의 출몰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1205). 예를 들어, 제어부(20)는 제1 거리가 제2 거리보다 큰 값으로 측정된 경우(1206), 디스플레이부(200)의 제2단 쪽에서 외력이 가해지거나 물체가 놓여진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00)의 제 1단(231)과 제 2단(232)의 높이 차이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출몰 도중에 다양한 높이 위치에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출몰 정도에 기초하여 다양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200)의 출몰 정도는 3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0)의 출몰 정도는 기본적인 알림 표시와 오디오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모드, 16:9 해상도 비율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제2 모드, 일반적인 화면 비율인 4:2 해상도 비율의 화면을 나타내는 제3 모드에 의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출몰 길이가 미리 정해진 길이보다 큰 경우, 승강 장치(300)의 구동을 즉시 중지할 수 있다(1208). 예를 들어,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출몰 정도가 제2 모드 이상인 경우, 승강 장치(300)의 구동을 즉시 중지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부(200)의 출몰 오류를 알릴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00)의 출몰 길이는 제1 거리 또는 제2 거리 중 어느 하나에 의하거나, 리미트 센서(530)가 제 1,2암(310,320)이 제 3 위치(미도시)에 도달된 상태를 감지한 것에 의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위치는 제 1위치(300A)와 제 2위치(300B) 사이에 위치한 곳으로, 제 1,2암(310,320)이 제 1모드를 나타나는 곳에 대응되는 위치를 가리킨다.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출몰 길이가 미리 정해진 길이 이하인 경우, 디스플레이부(200)의 출몰 오류에 대한 알림을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출몰 오류를 알릴 수 있다(1207). 예를 들어,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출몰 정도가 제1 모드인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몰 오류에 대한 정보(E)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회전 감지 센서(520)에 기초한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부(200)가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승강 장치(300)를 제어한다(1301). 본 실시예에서는 캡(230) 상에 물체가 놓여지게 되는 경우, 물체의 하중에 의한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부(200)가 상승 또는 하강되는 중에 회전 감지 센서(520)의 토크값을 주기적으로 획득하고(1302), 토크값의 변화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1303).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일정 시간 마다 회전 감지 센서(520)의 토크값을 획득하고, 토크값의 전후 변화량을 순차적으로 비교하거나, 토크값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값과 다른 경우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토크값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면(1303), 디스플레이부(200)의 상승 또는 하강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디스플레이부(200)의 상승 또는 하강이 계속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반대로, 제어부(20)는 토크값을 측정한 결과(1303), 토크값에 변화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200)의 출몰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1304).
한편, 토크값의 변화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출몰 도중에 다양한 높이 위치에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출몰 정도에 기초하여 다양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출몰 길이가 미리 정해진 길이보다 큰 경우, 승강 장치(300)의 구동을 즉시 중지하거나 승강 장치가 하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1307). 예를 들어,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출몰 정도가 제2 모드 이상인 경우, 승강 장치(300)의 구동을 즉시 중지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부(200)의 출몰 오류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출몰 정도가 제2 모드 이상이고, 디스플레이(200)가 상승 중인 경우에는 하중과 반대로 구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승강 장치(300)가 하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1307).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00)의 출몰 길이는 위치 감지 센서(510)가 감지한 거리에 의하거나, 리미트 센서(530)가 제 1,2암(310,320)이 제 3 위치(미도시)에 도달된 상태를 감지한 것에 의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위치는 제 1위치(300A)와 제 2위치(300B) 사이에 위치한 곳으로, 제 1,2암(310,320)이 제 2모드 또는 제 3모드를 나타나는 곳에 대응되는 위치를 가리킬 수 있다.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출몰 길이가 미리 정해진 길이 이하인 경우, 디스플레이부(200)의 출몰 오류에 대한 알림을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출몰 오류를 알릴 수 있다(1306). 예를 들어,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출몰 정도가 제1 모드인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몰 오류에 대한 정보(E)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승강 장치(300)를 구동할 수 있는 다른 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서술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 장치(300)는 제어부(20)에 제어되어 디스플레이부(200)를 승강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승강 장치(300)의 구동부(330)는 제어부(20) 및 전원 공급장치(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
전원 공급장치(미도시)는 외부에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디스플레이 장치(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동부(330)의 구동 중 외부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가 발생할 시, 구동부(33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구동부(330)의 구동이 중단될 수 있다.
이 때, 승강 장치(300)가 승강되는 과정에서 구동부(330)의 구동이 중단될 시, 디스플레이부(200) 또한 외부 전원이 차단되어 구동되지 않는 상황에서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가 불필요하게 장시간 동안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되어 파손의 우려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외부 전원과 별도로 승장장치(300) 및 제어부(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참고)
배터리(40)는 외부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시 제 1,2암(310,320)이 제 2위치(200B)에서 제 1위치(300A)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동부(33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전원이 차단되어도 구동부(330)와 제어부(20)는 배터리(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 1,2암(310,320)이 제 1위치(300A)로 이동되도록 구동부(3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전 등의 상황에서도 디스플레이부(200)가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되도록 마련되고, 의도와 달리 장시간 외부로부터 노출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는 구동부(330)에서 구동력을 전달받지 않고 수동으로 승강 장치(300)를 구동하도록 마련되는 수동 휠(33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휠(335)은 수동 휠(335)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00)의 후면(103)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동 휠(335)은 전달부재(333)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동 휠(335)을 수동으로 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수동 휠(335)의 회전에 의해 전달부재(333)가 일 방향(R1) 또는 반대 방향(R2)으로 회전되어 제 1,2암(310,3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5를 참조하여 수동 휠(335)은 수동 휠(335)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수동 휠(335)에 연결되는 휠기어(337)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330)는 휠기어(337)와 모터측 기어(332)를 연결시키는 보조기어(336)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기어(336)는 휠기어(337)와 치합될 수 있다.
보조기어(336)는 모터측 기어(33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기어(336)는 모터측 기어(332)의 일부로 웜으로 형성되는 모터측 기어(332)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수동 휠(335)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휠기어(337)는 수동 휠(335)과 함께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휠기어(337)와 치합되는 보조기어(336)가 회전되면서 모터측 기어(3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331)의 회전력 없이도 모터측 기어(332)를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연동되어 전달부재(333)가 회전되어 제 1,2암(310,32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 어셈블리(40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구성의 측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우징(100)의 개구(104)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청소 어셈블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출몰될 시 개구(104)에 의해 외부의 이물질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거나 디스플레이부(200)에 안착된 이물질이 디스플레이부(200)가 삽입될 시 디스플레이부(200)와 함께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청소 어셈블리(400)는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청소 어셈블리(400)는 디스플레이부(20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시 청소 어셈블리(400)를 관통할 수 있는 개구(4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0)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승강 장치(300)도 개구(401)를 관통하여 이동될 수 있다.
청소 어셈블리(400)는 개구(401) 사이로 이동되는 디스플레이부(200) 및 승강 장치(300)에 안착된 이물질을 하우징(100)의 개구(104)를 통해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청소 어셈블리(400)는 팬(410)과 팬 하우징(420) 및 팬(410)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덕트(430)를 포함할 수 있다.
팬(410)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팬(410)은 각각 디스플레이부(200) 및 승강 장치(3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팬(410)은 하우징(100) 내부에서 하우징(100)의 한 쌍의 측면(107)에 인접하게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팬(410)은 단일개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팬(410)은 하우징(100)의 개구(104) 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나 하우징(100)의 개구(104)를 통해 직접 유입된 이물질을 하우징(100)의 개구(104) 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팬 하우징(420)은 한 쌍의 팬(410)과 대응되게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덕트(430)는 한 쌍의 팬(410)에서 송풍팬 공기가 하우징(100)의 개구(104) 측으로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덕트(430)는 한 쌍의 팬 하우징(420)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덕트(430)는 한 쌍의 팬에 각각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덕트(430)는 한 쌍의 팬(420)이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덕트(430)는 덕트(43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이격을 가지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덕트(430)는 하우징(100)을 기준으로 하우징(100)의 한 쌍의 측면(107)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하우징(100)의 전면(102)과 후면(103)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청소 어셈블리(400)의 개구(401)는 한 쌍의 덕트(430) 사이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00)와 승강 장치(300)는 한 쌍의 덕트(430) 사이에서 승강될 수 있다.
청소 어셈블리(400)는 한 쌍의 덕트(430)의 내측면 즉, 한 쌍의 덕트(430)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배치되는 브러시 유닛(44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 유닛(440)은 디스플레이부(200)와 승강 장치(300)가 승강될 시 접촉을 통해 디스플레이부(200) 및 승강 장치(300)에 안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마련되는 브러시(4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410)이 동작되지 않아도 디스플레이부(200) 및 승강 장치(300)가 승강되면서 브러시(441)와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 및 승강 장치(300)에 안착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브러시 유닛(440)은 한 쌍의 덕트(430)와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브러시 유닛(440)은 각각 한 쌍의 덕트(430)가 각각 마주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브러시 유닛(440)은 한 쌍의 덕트(430)보다 디스플레이부(200)와 승강 장치(30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브러시 유닛(440)은 각각 하우징(100)의 전면(102)과 후면(103)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2)의 전면(102)과 인접하게 배치된 브러시 유닛(440)은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접촉되도록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안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후면(103)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브러시 유닛(440)은 디스플레이 커버(220)와 승강 장치(300)와 접촉되도록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커버(220)와 승강 장치(300)에 안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브러시 유닛(440)에 배치되는 브러시(441)는 디스플레이부(200)와 승강 장치(30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00)와 승강 장치(300)가 이동될 시 항상 브러시(441)와 접촉되도록 마련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와 승강 장치(300)가 이동될 시 브러시(441)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브러시 유닛(440)은 브러시(441)가 배치되는 바디(44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442)는 한 쌍의 덕트(43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디(442)는 하우징(100)의 개구(104)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두리 내측을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디(442)의 상면은 하우징(100)의 상면(105)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디(442)의 상면은 하우징(100)의 상면(105)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바디(442)는 덕트(43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바디(442)를 덕트(430)로부터 분리하여 브러시(441)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바디(442)는 덕트(430)로부터 완전 분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바디(442)는 덕트(430)로부터 완전 분리되도록 마련되지 않고 힌지 등의 구성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분리될 수 있다. 즉 바디(442)의 일측과 덕트(430)의 일 측이 힌지 고정되고 사용자는 바디(442)의 타측을 가압하여 바디(442)가 하우징(100) 외부로 회동되어 돌출되도록 바디(44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된 바디(442)를 통해 바디(442)에 배치되는 브러시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다시 바디(442)를 회동시켜 덕트(430)에 안착시킬 수 있다.
덕트(430)는 하우징(10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431)와, 유로(431)와 브러시 유닛(440)이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연결홀(43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홀(432)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홀(432)은 유로(43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브러시 유닛(440)은 연결홀(432)과 연통되고 덕트(430)에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토출홀(443)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홀(443)은 복수의 연결홀(432)과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토출홀(443)은 디스플레이부(200) 및 승강 장치(300)로 공기를 토출하여 디스플레이부(200) 및 승강 장치(300)에 안착된 이물질을 하우징(100)의 개구(104) 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토출홀(443)은 바디(442)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덕트(430)와 결합되는 바디(442)의 일측에서부터 디스플레이부(200) 또는 승강 장치(300)와 마주하는 바디(442)의 타측으로 관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한 쌍의 브러시 유닛(440) 중 하우징(100)의 전면(10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브러시 유닛(440)은 덕트(430)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향해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브러시 유닛(440) 중 하우징(100)의 후면(103)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브러시 유닛(440)은 덕트(430)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디스플레이 커버(220) 및 승강 장치(300)를 향해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브러시 유닛(440)는 브러시(441)를 통해 디스플레이부(200) 및 승강 장치(300)에 안착된 이물질을 접촉을 통해 제거할 수 있다.
브러시(441)에 의해 집진된 이물질은 브러시 유닛(440)의 토출구(442)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통해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브러시 유닛(440)은 송기의 송풍을 통해 직접 디스플레이부(200) 및 승강 장치(300)에 안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한 쌍의 브러시 유닛(440)의 내측 또는 청소 어셈블리(400)의 개구(401) 상에 이물질이 포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집진 센서(450)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 센서(450)는 제어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집진 센서(450)는 청소 어셈블리(400)의 개구(401) 상에 이물질이 집진되어 있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집진 센서(450)가 이물질이 집진된 상태를 센싱하여 제어부(20)에 센싱값을 전달할 시 제어부(20)는 청소 어셈블리(400)가 구동되도록 팬(41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는 집진 센서(450)가 이물질을 감지한 것에 기초하여 청소 어셈블리(400)가 구동되도록 팬(41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이물질이 감지되면 제 1팬(411) 또는 제 2팬(412)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00)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가 작동될 때 마다 팬(410)이 구동되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각종 부품 수명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는 승강 장치(300)의 작동 횟수 주기에 따라 팬(410)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1회 작동, 2회 작동, 3 회 작동 중에서 홀수 번째의 작동에서만 팬(410)이 구동되도록 하거나, 짝수 번째의 작동에서만 팬(410)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부(200)가 오프(off)된 상태에서만 팬(410)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의 온(on) 상태에서는 이물질이 정전기에 의해 표면과 분리가 상대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정전기가 비교적으로 작은 상태인 디스플레이부(200)의 오프(off) 상태에서만 팬(410)이 구동되도록 하여 효과적인 이물질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청소 어셈블리(400)의 개구(401) 상에 이물질이 집진될 시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부(200)가 상승되거나 하강될 시 팬(410)을 구동시켜 이물질을 하우징(100)의 개구(104)를 통해 하우징(100) 외측으로 배출시키도록 청소 어셈블리(40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우징(100)의 개구(104)를 통해 물 등의 액체가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될 시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는 각종 전장품에 도달되지 못하도록 액체를 집수하는 드레인 트레이(6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 또는 승강 장치(300)에 액체가 뿌려진 상태로 하우징(100) 내부에 삽입될 시 디스플레이부(200) 또는 승강 장치(300) 상에 잔존된 액체가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0) 및 승강 장치(300)가 승강될 시 하우징(100)의 개구(104)를 통해 액체가 직접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드레인 트레이(600)는 하우징(100)의 개구(104)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의 개구(104)를 통해 액체가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될 시 액체는 드레인 트레이(600)에 집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드레인 트레이(600)는 덕트(4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 트레이(600)는 하우징(100)의 개구(104)를 통해 액체가 직접 유입될 수 있는 경로 상에 배치되어 액체가 드레인 트레이(600)에 집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0) 및 승강 장치(300)는 한 쌍의 덕트(340) 또는 한 쌍의 브러시 유닛(400) 사이로 승강되도록 마련되는데 드레인 트레이(600)는 한 쌍의 덕트(340) 하측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부(200) 또는 승강 장치(300) 상에 잔존된 액체를 집수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덕트(340)는 유로(341)와 연통되고 드레인 트레이(600)를 향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보조 토출구(4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덕트(340)는 팬(410)의 구동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인데 유로(341)를 유동하는 공기 중의 일부를 드레인 트레이(600)로 송풍할 수 있다. 이는 드레인 트레이(600)에 집수된 액체를 효율적으로 증발시키기 위함이다.
보조 토출구(433)는 바디(422) 상에서 드레인 트레이(600)가 배치되는 방향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 따라서 팬(410)이 구동될 시 송풍되는 공기의 일부가 드레인 트레이(600)로 유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상부 감지 센서(540) 외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와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우징(100)의 상면(105)에 물체 등이 적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상부 감지 센서(5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감지 센서(540)는 하우징(100)의 상면(105) 특히 캡(230)의 상면에 물체 등이 적재되었는지를 센싱할 수 있다.
상부 감지 센서(540)는 제어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부 감지 센서(540)는 물체 등이 적재되는지 여부에 대한 센싱값을 제어부(2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상부 감지 센서(540)에 의해 물체 등이 캡(230) 상에 적재될 시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00)의 구동 신호를 입력 받아도 승강 장치(300)가 구동되지 않도록 승강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부 감지 센서(540)는 하우징(100)의 좌우 방향으로 캡(23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감지 센서(540)는 광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상부 감지 센서(540)는광이 조사되고 조사된 광이 수광되는 센싱부(451)와 센싱부(451)에서 조사된 광이 반사되도록 마련되는 반사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451)는 캡(230)의 일측에 배치되고 반사부(452)는 캡(23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감지 센서(540)는 광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광을 수집하여 센싱부(451)와 반사부(452) 사이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감지 센서(540)는 다른 타입의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상부 감지 센서(540)는 하우징(100)의 상면(105)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감지 센서(540)는 캡(23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승강 장치(700) 외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와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의 후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도 17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의 후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200)가 하우징(100)에서 출몰되도록 디스플레이부(200)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70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장치(700)는 디스플레이부(2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제 1암(710)과 제 2암(720)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 장치(700)는 제 1암(710)을 구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제 1구동부(730)와 제 2암(720)을 구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제 2구동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암(710)은 캡(230)의 제 1단(231)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 2암(720)은 캡(230)의 제 2단(232)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230)이 좌우 방향으로 지지되고 제 1,2암(710,720)에 의해 캡(23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2암(710,720)의 상단은 각각 캡(230)과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2암(710,720)은 각각 복수의 세그먼트(711,721)를 가지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암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세그먼트(711,712)는 각각 다른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으로 마련되어 각각의 세그먼트(711,721)가 포개져서 제 1,2암(710,720)의 길이가 줄어들거나 각각의 세그먼트(711,721)가 연장되면서 제 1,2암(710,720)의 길이가 늘어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세그먼트(711,721)가 모두 포개진 상태에서 제 1,2암(710,720)은 최소 길이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2암(710,720)이 최소 길이인 상태를 제 1상태(700A)로 가정할 때, 제 1,2암(710,720)이 제 1상태(700A)일 시 디스플레이부(200)는 하우징(10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복수의 세그먼트(711,721)가 포개진 상태에서 외측으로 연장될 시 제 1,2암(710,720)의 길이는 증가하게 되는데 이 때 제 1,2암(710,720)의 상단에 연결된 캡(230)이 제 1,2암(710,720)의 길이의 연장에 연동되어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2암(710,720)의 타단은 하우징(10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2암(710,720)의 길이가 증가될 시 제 1,2암(710,720)은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연동되어 디스플레이부(200)가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2암(710,720)이 최대한 연장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된 상태를 제 2상태(700B)라고 할 때 디스플레이부(200)는 제 1,2암(710,720)이 제 2상태(700 B)에 도달될때까지 하우징(100)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 1,2암(710,720)이 제 2상태(700B) 일 시 디스플레이부(20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최대 돌출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2암(710,720)이 제 1상태(700A)에서 제 2상태(700B)로 연장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00)는 하우징(100)에서 삽입된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반대로 제 1,2암(710,720)이 제 2상태(700B)에서 제 1상태(700A)로 축소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200)는 하우징(100)의 외측에 돌출된 상태에서 하우징(100) 내부로 점진적으로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2암(710,720)은 각각 제 1구동부(730)와 제 2구동부(740)에 의해 연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 1,2구동부(730,740)는 모터 등의 동력 발생 구성을 포함하여 동력을 제 1,2암(710,720)에 전달하고 제 1,2암(710,720)은 제 1,2구동부(730,740)에서 전달받은 동력을 변환하여 제 1,2암(710,720)이 늘어나거나 축소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승강 장치(700)는 단일개의 구동부를 통해 제 1,2암(710,72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 1,2구동부(730,740)는 제 1,2암(710,720)이 제 1상태(700A)에서 제 2상태(700B)로 도달되는 동안 동일한 속도로 제 1,2암(710,720)이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2암(710,720)에 결합된 캡(230)은 좌우가 수평하게 상승될 수 있다.
반대로 제 1,2구동부(730,740)는 제 1,2암(710,720)이 제 2상태(700B)에서 제 1상태(700A)로 도달되는 동안 동일한 속도로 제 1,2암(710,720)이 축소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2암(710,720)에 결합된 캡(230)은 좌우가 수평하게 하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200)가 승강될 시 외력이 발생되어 승강 장치(300)에 오작동이 발생할 시의 승강 장치(300)의 구동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도 2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오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1단(231)과 제 2단(232) 중 어느 한 부분과 인접한 부분에 외력이 발생하여 캡(230)이 좌우 방향으로 수평이되지 못한 상태로 상승될 수 있는데 이 때, 디스플레이부(200)에 응력이 발생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파손되거나 승강 장치(300)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외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00)가 수평하지 않은 상태로 상승될 시 제 1구동부(730) 또는 제 2구동부(740)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승강 장치(700)가 디스플레이부(200)를 수평한 상태로 승강하도록 승강 장치(7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단(231)과 인접한 부분에서 하측으로 외력(F)이 발생될 시 승강되는 제 1,2암(710,720) 중 제 1암(710)에 외력(F)이 크게 발생되어 제 1,2암(710,720)이 각각 다른 높이(L1,L2)로 상승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위치 감지 센서(510) 중 외력(F)이 가해지는 위치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위치 감지 센서(511)와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 2위치 감지 센서(512)에서 감지되는 제 1,2암(710,720)이 상승되는 높이(L1,L2)가 각각 다른 값으로 센싱될 수 있다.
제 1,2위치 감지 센서(511,512)는 각각 센싱된 값을 제어부(2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승강 장치(700)가 상승되도록 승강 장치(700)를 구동하고 각각 다른 센싱 값이 전달될 시, 제 1,2위치 감지 센서(511,512)에서 전달 받는 센싱 값이 동일해지도록 제 1구동부(730) 또는 제 2구동부(7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승강 장치(700)가 상승되는 상태에서 제 1위치 감지 센서(511)에서 전달 받은 센싱 값(L1)이 제 2위치 감지 센서(512)에서 전달 받은 센싱 값(L2)보다 작을 경우, 제어부(20)는 제 2구동부(740)가 제 2암(720)이 제 1암(710)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상승되되록 제 2구동부(7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700)는 각각의 암(710,720)을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복수의 구동부(730,740)를 포함하는 바 제어부(20)는 각각의 구동부(730,740)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2위치 감지 센서(511,512)에서 전달 되는 센싱 값이 다를 때, 제 1,2구동부(730,740) 중 어느 하나의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부(20)는 제 1,2위치 감지 센서(511,512)에서 전달 되는 센싱 값이 미리 입력된 값과 각각 다른 값이 입력될 시 제 1,2구동부(730.740)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제 1,2위치 감지 센서(511,512)가 미리 입력된 값과 동일한 값이 센싱되도록 제 1,2구동부(730.7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배출 장치(800) 외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와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도 23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측면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은 본 발명의 도 24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도 23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측면이 폐쇄된 상태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고, 도 27은는 본 발명의 도 23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측면이 개방된 상태의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우징(100) 내부에 유입된 이물질을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마련되는 배출 장치(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0)가 승강됨에 따라 하우징(100)의 개구(104)가 개방될 시 외부의 이물질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물질은 개구(104)로 집접 유입되거나 디스플레이부(200) 또는 승강 장치(300)에 안착된 이물질이 디스플레이부(200) 또는 승강 장치(300)가 삽입될 시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청소 어셈블리(400)에 의해 개구(104) 측에서 이물질이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나 일부 이물질은 청소 어셈블리(400)를 통과하여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배출 장치(800)는 이와 같이 청소 어셈블리(400)를 거쳐 하우징(100) 내부까지 유입된 이물질을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는 청소 어셈블리(400)를 포함하지 않고 한 쌍의 팬(410)과 배출 장치(800)만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측면(17)은 배출 장치(800)에 의해 이물질이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 개구(17a)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출 개구(17a)는 하우징(100)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청소 어셈블리(400)를 통과하여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은 청소 어셈블리(400)와 디스플레이부(200) 및 승강 장치(300)가 밀착되게 마련되는 바 다시 개구(104)를 통해 배출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다른 경로를 통해 배출하도록 배출 개구(17a)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장치(800)는 배출 개구(17a)를 개방 가능하게 폐쇄하는 도어(81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장치(800)는 도어(810)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배출 장치(800)의 구동으로 도어(810)가 개방될 시 배출 개구(17a)가 외부로 연통되고 이물질이 배출 개구(17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 장치(800)는 한 쌍의 팬(410) 중 어느 하나의 팬(410)과 배출 개구(17a)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팬(410)에 있어서 캡(230)의 제 1단(231)과 인접한 팬(410)을 제 1팬(411)이라고 하고 캡(230)의 제 2단(232)과 인접한 팬(410)을 제 2팬(412)이라고 명명할 시 배출 장치(800)는 제 1팬(411)과 배출 개구(17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팬(410)을 커버하는 한 쌍의 팬 하우징(420)에 있어서 제 1팬(411)을 커버하는 팬 하우징(420)을 제 1팬 하우징(421), 제 2팬(412)을 커버하는 팬 하우징(420)을 제 2팬 하우징(422)으로 명명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출 장치(800)는 제 2팬(412)과 측면(1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배출 개구(17a)는 제 2단(232)과 인접한 측면(17)에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배출 장치(800) 및 한 쌍의 팬(410)을 구동하여 하우징(100) 내부의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 장치(800)와 한 쌍의 팬(410)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팬(410)은 하우징(104)의 개구(104)를 향해 공기를 송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어부(20)는 배출 장치(800)가 구동될 시 제 1팬(411)은 공기를 배출 개구(17a) 방향으로 송풍하도록 제 1팬(411)을 구동할 수 있다.
제 2팬 하우징(422)은 제 2팬(412)이 덕트(430)를 통해 공기를 송풍하지 않고 직접 하우징(100)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도록 제 2팬 하우징(422)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팬 하우징(421)은 제 2팬(412)에서 송풍된 공기가 제 1팬 하우징(421) 내부로 유입되어 제 1팬(4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개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는 청소 어셈블리(400)가 구동되는 상황에서는 제 1팬(411)이 공기를 개구(104) 방향으로 송풍하도록 제 1팬(411)을 제어하고 배출 장치(800)가 구동되는 상황에서는 도어(810)가 개방되도록 배출 장치(800)를 제어하고 제 1팬(411)이 공기를 배출 개구(107a) 방향으로 송풍하도록 제 1팬(411)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배출 장치(800)가 구동되는 상황에서 제 1,2팬 하우징(421,422)의 개방부(미도시)를 개방할 수 있다.
제 2팬(412)는 개구(104)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는데, 개구(104)가 캡(230)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는 송풍된 공기가 개방부(미도시)를 통해 제 1팬(411)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팬(411)과 제 2팬(412)은 배출 개구(107a) 방향을 향해 공기를 송풍하고 이에 따라 하우징(100) 내부에 유입된 이물질 은 배출 개구(107a)를 통해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배출 장치(800)가 구동되는 상황에서 제어부(20)는 제 2팬(412)이 제 1팬(411)보다 더 큰 출력으로 공기를 송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장치(800)는 도어(810)를 지지하고 도어(810)가 선택적으로 배출 개구(107a)를 개방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820)는 도어(810)가 배출 개구(107a)를 폐쇄하는 제 1위치(810A)와 도어(810)가 하우징(100)의 측면(107)의 외측으로 가압되어 배출 개구(107a)를 개방하는 제 2위치(810B) 사이에서 병진 이동되도록 도어(81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820)는 도어(810)가 제 1위치(810A)와 제 2위치(810B) 사이에서 병진 이동되도록 도어(8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지지부(820)는 도어(810)가 제 1위치(810A)에서 제 2위치(810B)로 이동되도록 도어(810)를 가압하는 푸시로드(821)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로드(821)는 지지부(82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배출 장치(800)가 구동될 시 지지부(820)에서 하우징(100)의 측면(107)이 배치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푸시로드(821)의 일단은 지지부(820) 내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푸시로드(821)의 타단은 도어(810)와 결합될 수 있다.
푸시로드(821)의 타단은 푸시로드(821)가 돌출될 시 도어(810)를 지지한 상태로 도어(810)를 하우징(100)의 측면(107)의 외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지지부(820)는 제어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지지부(820)의 푸시로드(821)가 돌출되도록 지지부(8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푸시로드(821)가 지지부(820)에서 돌출되어 도어(810)를 개방하도록 지지부(820)를 제어하고, 제 1팬(411)과 제 2팬(412)을 구동하여 공기가 배출 개구(107a) 방향으로 송풍되도록 제 1,2팬(411,412)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제 1팬(411)과 제 2팬(412)이 구동될 시 푸시로드(821)가 왕복 운동되도록 지지부(8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2팬(411,412)이 구동될 시 푸시로드(821)가 도어(810)를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부(8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디스플레이 장치 10 : 롤러
20 : 제어부 100 : 하우징
200 : 디스플레이부 210 : 디스플레이 패널
220 : 디스플레이 커버 230 : 캡
231 : 제 1단 232 : 제 2단
233 : 제 1반사부 234 : 제 2반사부
300 : 승강 장치 400 : 청소 어셈블리
410 : 팬 430 : 덕트
440 : 브러시 유닛 510 : 위치 감지 센서
520 : 회전 감지 센서 530 : 리미트 센서

Claims (20)

  1. 하우징;
    제 1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서 출몰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제 1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승강시키는 승장장치;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방향으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가 이동되는 거리를 센싱하는 위치 감지 센서; 및
    상기 위치 감지 센서는 제 1위치 감지 센서와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 2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위치 감지 센서와 상기 제 2위치 감지 센서는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승강되는 거리를 센싱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위치 감지 센서와 상기 제 2위치 감지 센서는 광센서로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1위치 감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 1반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2위치 감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 2반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 1,2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화면이 표시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는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캡은 제 3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2반사부는 상기 연장부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장장치의 구동 중에 상기 제 1위치 감지 센서와 상기 제 2위치 감지 센서가 미리 정해진 시간 마다 획득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몰 오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위치 감지 센서와 제 1반사부 간의 제 1거리 및 상기 제 2위치 감지 센서와 제 2반사부 간의 제 2거리를 획득하고, 상기 제 1거리와 상기 제 2거리가 다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몰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돌출 길이가 미리 정해진 길이에 도달하면, 상기 승강 장치의 구동을 중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몰 오류에 대한 알림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돌출 길이가 미리 정해진 길이보다 큰 경우, 상기 승강 장치의 구동을 중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장치의 구동을 감지하는 리미트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 장치는 구동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승강시키는 암과, 상기 암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암과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는 구동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전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도록 이동되는 제 1위치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에서부터 돌출되도록 이동되는 제 2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리미트 센서는 상기 구동전달부의 제 1위치 또는 제 2위치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승강될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감기거나 풀리도록 마련되는 롤러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롤러의 회전을 센싱하는 회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감지 센서가 센싱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승강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 장치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승될 시 상기 회전 감지 센서에서 센싱된 값이 상기 제어부에 미리 입력된 값과 다를 경우, 상기 승강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하강시키도록 상기 승강 장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돌출 길이가 미리 정해진 길이에 대응되고, 구동전달부의 제 1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 위치한 제 3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 센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돌출 길이가 미리 정해진 길이에 도달하면, 상기 승강 장치의 구동을 중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몰 오류에 대한 알림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미트 센서가 상기 제 3위치를 감지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돌출 길이가 미리 정해진 길이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돌출 길이가 미리 정해진 길이보다 큰 경우, 상기 승강 장치의 구동을 중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을 감지하는 집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진 센서가 이물질을 감지한 것에 기초하여 청소 어셈블리가 구동되도록 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 장치의 작동 횟수 주기에 따라 상기 팬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오프(off)된 상태에서만 상기 팬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롤러;
    상기 롤러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롤러와 연동되어 제 1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승강시키는 승장장치;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방향으로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가 이동되는 거리를 센싱하는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감지 센서는 제 1위치 감지 센서와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 2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위치 감지 센서와 상기 제 2위치 감지 센서는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승강되는 거리를 센싱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000889A 2020-01-03 2020-01-03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8776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889A KR20210087765A (ko) 2020-01-03 2020-01-03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20/018889 WO2021137505A1 (en) 2020-01-03 2020-12-22 Display apparatus
US17/132,774 US11853020B2 (en) 2020-01-03 2020-12-23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889A KR20210087765A (ko) 2020-01-03 2020-01-03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765A true KR20210087765A (ko) 2021-07-13

Family

ID=76655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889A KR20210087765A (ko) 2020-01-03 2020-01-03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53020B2 (ko)
KR (1) KR20210087765A (ko)
WO (1) WO20211375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712A1 (ko) * 2021-11-12 2023-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3600B (zh) * 2021-10-26 2023-04-07 浙江中科冠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显示器支架
CN114234008B (zh) * 2021-12-23 2023-09-26 陕西理工大学 一种公共区域计算机显示器用展示固定结构
JP3237729U (ja) 2022-03-15 2022-06-03 宏行 田中 小型パーソナルデバイス
CN115294885B (zh) * 2022-08-21 2024-04-16 中理科技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
CN115325408A (zh) * 2022-10-14 2022-11-11 微起科技(南通)有限公司 一种带有抗震防晃动功能的人工智能终端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2541A (en) * 1988-03-11 1989-02-07 Pitney Bowes Inc. Weighing scale with voice coil
KR20050037881A (ko) * 2003-10-20 2005-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E102006036320B4 (de) * 2006-08-03 2012-12-20 Pepperl + Fuch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rührungslosen Bestimmen der Position eines sich bewegenden Zielobjektes
JP5644559B2 (ja) * 2011-02-04 2014-1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スクリーン装置
KR101383092B1 (ko) * 2012-06-27 2014-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9266674B2 (en) * 2013-04-22 2016-02-23 Vidir Machine Inc Vertical storage system
WO2015181891A1 (ja) * 2014-05-27 2015-12-0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自動組立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773443B1 (ko) 2014-07-22 2017-09-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장치
KR101758835B1 (ko) 2014-07-24 2017-07-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동 롤러블 표시장치
KR101570869B1 (ko) 2014-12-31 2015-1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9011B1 (ko) * 2016-02-15 202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27214B1 (ko) * 2016-05-04 2023-04-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CN106157816B (zh) * 2016-07-08 2017-11-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US10377611B2 (en) * 2016-10-28 2019-08-13 Advance Lifts, Inc. Scissors lift with height sensor system
KR102332710B1 (ko) * 2017-07-31 2021-1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두루마리형 연성표시장치
KR102431319B1 (ko) * 2017-11-13 2022-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19156289A (ja) * 2018-03-15 2019-09-19 株式会社東芝 搬送装置
US11437461B2 (en) * 2018-03-22 2022-09-06 Sharp Kabushiki Kaisha Rollable display panel with switched power delivery
KR102031910B1 (ko) * 2018-06-01 2019-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리프트 어셈블리
US10440900B1 (en) * 2019-01-22 2019-10-15 Calyx Cultivation Tech. Corp. Grow light with adjustable height and emission spectrum
WO2020209403A1 (ko) * 2019-04-10 2020-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712A1 (ko) * 2021-11-12 2023-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7505A1 (en) 2021-07-08
US20210208552A1 (en) 2021-07-08
US11853020B2 (en) 202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87765A (ko) 디스플레이 장치
TWI535402B (zh) 電動窗簾及其操作方法
JP4036745B2 (ja) 巻上装置
KR101973546B1 (ko) 세척 및 헹굼 운전시스템을 갖는 저류조 티핑버켓
KR100780165B1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그릴 승강기
KR102090473B1 (ko) 흡입식 상품인출장치
JPH0899798A (ja) 昇降装置
KR102193112B1 (ko) 전선권출장치
KR100919358B1 (ko) 절첩 이동식 농구대
KR101295986B1 (ko) 이동식 칠판
JP6113434B2 (ja) 採光装置
KR102193123B1 (ko) 에어부스
JP2009024392A (ja) 発電手段を備えるシャッター装置
JP2007056534A (ja) 駐車管理装置
JP5859776B2 (ja) 立体駐車装置
KR101514975B1 (ko) 지면진동 차단기능이 구비된 시험장치
KR20100012675A (ko) 모니터 승강장치
JP5604182B2 (ja) 投入装置
JPH11125082A (ja) シートシャッターの操作装置
JP5612865B2 (ja) 電動昇降式収納庫ユニット
KR20170068905A (ko) 음향 발생 기능을 갖는 블라인드
KR20040062930A (ko)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
JP2005069921A (ja) 管内探査ロボットのレーダーアンテナ昇降装置
JP3711342B2 (ja) 電磁式クラッチ装置で制御する電動カーテン
JP4635176B2 (ja) 車椅子用昇降機の安全装置及びそれを具備する車椅子用昇降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