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473B1 - 흡입식 상품인출장치 - Google Patents

흡입식 상품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473B1
KR102090473B1 KR1020180070180A KR20180070180A KR102090473B1 KR 102090473 B1 KR102090473 B1 KR 102090473B1 KR 1020180070180 A KR1020180070180 A KR 1020180070180A KR 20180070180 A KR20180070180 A KR 20180070180A KR 102090473 B1 KR102090473 B1 KR 102090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uction
exhaust pump
cup
sli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2919A (ko
Inventor
이영숙
Original Assignee
이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숙 filed Critical 이영숙
Priority to KR1020180070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473B1/ko
Priority to PCT/KR2018/007933 priority patent/WO2019245099A1/ko
Priority to CN201810803705.5A priority patent/CN109064646A/zh
Publication of KR20190142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 G07F17/3253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involving articles, e.g. paying in bottles, paying out to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165Delivery means using xyz-picker or multi-dimensional article pick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30Capturing games for grabbing or trapping objects, e.g. fishing g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165Delivery means using xyz-picker or multi-dimensional article picking arrangements
    • G07F11/1657Delivery means using xyz-picker or multi-dimensional article picking arrangements the picking arrangements using su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16Construction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housing, seats, ergonomic aspec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7Fairground games, e.g. Tivoli, coin pusher machines,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식 상품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배기펌프의 흡입력과 흡착컵을 이용하여 상품저장 케이스 내에 비치되어 있는 상품을 하나씩 들어 올려서 상품저장 케이스 밖으로 인출해 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특히 오락용 자동판매기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흡입식 상품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입식 상품인출장치{Apparatus for taking out goods with suction type}
본 발명은 흡입식 상품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배기펌프의 흡입력과 흡착컵을 이용하여 상품저장 케이스 내에 비치되어 있는 상품을 하나씩 들어 올려서 상품저장 케이스 밖으로 인출해 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특히 오락용 자동판매기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흡입식 상품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밀폐된 상품저장 케이스 안에 인형이나 장난감, 담배, 사탕 등 다양한 상품들을 넣어 놓고, 사용자가 소형 크레인과 같은 상품인출수단을 조작하여 상기 상품 중 하나를 들어 올린 다음, 상품저장 케이스 밖으로 인출해 낼 수 있도록 구성된 오락용 자동판매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오락용 자동판매기는 통상적으로 바닥면에 상품들이 나열되어 있는 상품저장 케이스와, 상기 상품저장 케이스의 내부 상단에 X축 및 Y축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유닛과, 상기 슬라이딩유닛에서 Z축 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상품 중 하나를 집어서 들어 올리는 상품인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품저장 케이스의 외부에는 사용자가 코인이나 지폐를 투입할 수 있는 코인슬롯과, 상기 슬라이딩 블록과 상품인출수단을 조작하는 조작핸들, 그리고 상품배출구 등이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오락용 자동판매기는 상기 상품인출수단의 구조에 따라 집게방식과 흡입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집게방식은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70512호(1999년 11월 27일) 및 등록특허 제10-0845881호(2008년 07월 07일) 등에 소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삼발이 형태의 집게를 이용하여 상품을 인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흡입방식은 한국 특허등록 제10-0324888호(2002년 02월 04일) 및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34088호(2001년 05월 31일)에 소개된 바와 같이, 배기펌프의 공기 흡입력을 이용하여 상품을 인출하는 것이다.
상기 집게방식은 대체로 봉제 인형 등과 같이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큰 상품에 적합하고, 따라서 그 사용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다. 그러나, 상기 흡입방식은 상기 봉제 인형은 물론, 껌이나 담배, 사탕, 공 등과 같이 무게나 부피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활용범위가 상대적으로 넓다는 장점이 있다.
첨부 도 1 및 도 2는 상기 특허등록 제10-0324888호에 소개된 흡입식 상품인출장치의 구조를 예시한 것으로, 본체(1) 내부에서 가이드 부재(3,9)를 따라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10)와, 상기 슬라이더(10)의 하단에서 Z축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1 내지 제5 파이프 부재(20~24)를 갖는다. 상기 파이프 부재(20~24)들 중에서 맨 위쪽에 있는 제1 파이프 부재(20)의 상단에는 관부재(31)를 통해서 진공흡입부(30)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맨 아랫쪽에 있는 제5 파이프 부재(24)의 내부에는 에어밸브(28)와 이를 개폐하는 구동모터(27)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상기 에어밸브(28)가 닫혀 있는 상태로서, 상기 진공흡입부(30)의 흡입력에 의해서 제2 내지 제5 파이프 부재(21~24)가 모두 제1 파이브 부재(20) 속으로 수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레버(83)를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더(10)를 적당한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에어밸브(28)를 개방하면, 상기 파이프 부재(20~24)들이 도 2와 같이 자중에 의해서 하방으로 길게 신장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흡입부(30)의 흡입력에 의해서 제5 파이프 부재(24)의 하단부에 상품이 달라붙으면, 다시 상기 파이프 부재(20~24)가 다시 도 1과 같이 수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10)를 이동시킨 다음, 상기 에어밸브(28)를 개방하여 상기 상품을 본체(1) 밖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도 1 및 도 2의 상품인출장치는, 상품을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에어밸브(28)를 개방하면, 상기 제5 파이프 부재(24)의 하단부에서 상품이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파이프 부재(20~24)가 하방으로 길게 신장되기 때문에 조작 및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진공흡입부(30)에서 발생하는 배기압력이 상기 파이프 부재(20~24)를 통하여 상품을 흡착하기 때문에 상기 배기압력의 손실이 많고,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첨부 도 3은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0-0234088호에 소개된 흡입식 상품인출장치의 구조를 예시한 것으로, 오락기 본체 내부에 고정바(7)를 따라 이동하는 작동구(23)가 설치되고, 상기 작동구(23)의 하단에는 작동봉(25)과 흡착구(9)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봉(25)은 상기 작동구(23)를 통과하는 와이어(22)에 의해서 상승 또는 하강하고, 상기 와이어(22)는 롤러(20)를 통해서 와이어드럼(18)에 권취되어 있다. 상기 흡착구(9)는 진공호스(30)를 통해서 콤프레샤(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도 3의 상품인출장치는, 상기 고정바(7)에 설치된 진공호스(30)로 인해서 상기 작동구(23)가 이동에 구조적인 장애를 받을 뿐 아니라, 나아가 상기 고정바(7) 상에서 상기 작동구(23)의 이동 범위가 제한을 받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흡착구(9)에 상품이 부착되면 상기 콤프레샤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모터가 연소되는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미설명 도면부호들은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국 특허등록 제10-0324888호(2002년 02월 04일)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34088호(2001년 05월 31일)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흡입식 상품인출장치에 비해 전체적인 작동이 원활하고, 소음이 적으며, 조작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흡입식 상품인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배경기술로 소개한 도 1 내지 도 3의 상품배출장치와 상관없이 각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독자적인 명칭과 독자적인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입식 상품인출장치는, 상품저장 케이스와; 상기 상품저장 케이스의 상단 내부에 X축 및 Y축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유닛과; 상기 슬라이딩유닛에서 Z축 방향으로 승강하는 상품인출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품인출수단은, 상기 슬라이딩유닛의 저면에 순차적으로 수납되어 Z축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은 가능하되 회전은 제한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다수개의 승강파이프와; 상기 승강파이프의 하단부에 설치된 다공성 펌프하우징 내에 분리가능하게 내장되어 있는 배기펌프와; 상기 승강파이프를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딩유닛과 상기 배기펌프 사이를 연결하는 승강와이어와; 상기 배기펌프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품저장 케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을 흡착하는 흡착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유닛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회전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승강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서 상기 배기펌프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는 와이어드럼; 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파이프들은 각각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스토퍼 이동슬롯과, 상기 이동슬롯 내에서 이동하는 스토퍼에 의해서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컵은 개구부가 밑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반구형 외부흡착컵과, 상기 외부흡착컵 속에 구비된 내부흡착컵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흡착컵은 하단 개구부의 테두리가 사선구조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입식 상품인출장치는, 상품을 흡착하는 흡착컵과 상기 흡착컵에 흡착력을 제공하는 배기펌프가 바로 인접하여 있기 때문에 상기 배기펌프의 압력 손실과 소음 발생이 적고, 상기 배기펌프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하여 그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입식 상품인출장치는, 상기 승강파이프가 상기 배기펌프 및 상기 흡착컵의 요동과 회전을 방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흡착컵을 자신이 원하는 상품 위에 신속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입식 상품인출장치는, 상기 흡착컵이 외부흡착컵과 내부흡착컵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외부흡착컵은 하단 개구부의 테두리가 사선구조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자진이 원하는 상품을 보다 용이하게 인출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흡입식 상품인출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식 상품인출장치의 작동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상품인출수단이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상품인출수단이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외부흡착컵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므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을 포함하는 종래기술에 소개되어 있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입식 상품인출장치는, 첨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품저장 케이스(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상품저장 케이스의 상단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0)과, 상기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유닛(20)과, 상기 슬라이딩유닛(20)에서 승강하는 상품인출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상품저장 케이스는, 예컨대 통상적인 오락용 자동판매기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여러 가지 상품(G)들이 비치되어 있는 사각함체 형상으로서, 적어도 일면에는 사용자가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창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품저장 케이스에는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딩유닛(20)과 상품인출수단(30)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핸들과, 코인이나 지폐를 투입할 수 있는 코인슬롯, 그리고 상품배출구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품(G)들이 재배열되도록 바닥면을 회전시켜 주는 턴테이블(turntable)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레일(10)은, X축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고정레일(11a,11b)과 Y축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이동레일(12a,12b)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레일(11a,11b)은 상기 상품저장 케이스 내부의 서로 대향하는 양쪽 모서리 부위에 나란히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레일(12a,12b)은 상기 고정레일(11a,11b) 사이에 약간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고정레일(11a,11b)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고정레일(11a,11b)에는 각각 상기 이동레일(12a,12b)의 양쪽 단부를 지지하는 레일블록(1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고정레일(10a)의 양쪽 단부에는 구동풀리(14)와 피동풀리(1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풀리(14)와 피동풀리(15) 사이에는 상기 레일블록(13)을 견인하여 이동시켜 주는 견인와이어(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레일(10a)과 상기 이동레일(20b)의 일측에는 각각 케이블 지지빔(17)이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 지지빔(17)은 상기 슬라이딩유닛(20)과 상품인출수단(3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을 수용 및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레일(12a,12b)과 슬라이딩유닛(20)의 이동 위치와 상관없이 상기 전선 케이블이 밑으로 늘어지지 않도록 지지해 주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슬라이딩유닛(20)은 양쪽 이동레일(12a,12b)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레일(12a,12b)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유닛(20)의 일측에는 부시베어링(21)이 설치되어 있고, 타측에는 구동롤러(22)와 가압롤러(2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유닛(20)의 내부에는 와이어드럼(2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시베어링(21)에는 제1 이동레일(12a)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어 있고, 상기 구동롤러(22)와 가압롤러(23) 사이에는 제2 이동레일(12b)이 지지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구동롤러(22)의 구동력에 의해서 슬라이딩유닛(20)이 이동레일(12a,12b)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드럼(24)은 상기 상품인출수단(30)을 승강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상품인출수단(30)은 상기 슬라이딩유닛(20)의 하단에 설치된 다수개의 승강파이프(31)와, 상기 승강파이프(31)의 하단부에 설치된 배기펌프(32)와, 상기 슬라이딩유닛(20)과 상기 배기펌프(32) 사이를 연결하는 승강와이어(33)와, 상기 배기펌프(32)의 하단에 결합된 흡착컵(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승강파이프(31)는 순차적으로 수납 가능하도록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딩유닛(20)의 하단에서 Z축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하나 회전은 제한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첨부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승강파이프(31)가 4개, 즉 제1 내지 제4 파이프(31a~31d)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직경이 가장 큰 제1 파이프(31a)는 상단부가 상기 슬라이딩유닛(20)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고, 그 나머지 제2 내지 제4 파이프(31b~31d)는 순차적으로 상기 제1 파이프(31a) 속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파이프(31a~31c)의 일측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스토퍼 이동슬롯(3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내지 제4 파이프(31b~31d)의 상단에는 각각 상기 이동슬롯(311)을 따라 이동하는 스토퍼(312)가 돌출되어 있다. 그래서 제1 파이프(31a)의 이동슬롯(311)에는 제2 파이프(31b)의 스토퍼(312)가 삽입되고, 제2 파이프(31b)의 이동슬롯(311)에는 제3 파이프(31c)의 스토퍼(312)가 삽입된다. 그래서 상기 승강파이프(31)는 서로 이탈하지 않고 Z축 방향으로 수축 또는 신장은 가능하되 회전은 제한되어 있다. 첨부 도 5는 상기 승강파이프(31)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첨부 도 6은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배기펌프(32)는 상기 제4 파이프(31d)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배기펌프(32)는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도록 펌프하우징(321) 내에 분리가 가능하게 내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펌프하우징(321)은 상기 배기펌프(32)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발산, 냉각할 수 있도록 다공성 금속판재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와이어(33)는 상기 슬라이딩유닛(20)과 상기 배기펌프(32)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일측 단부는 상기 와이어드럼(24)에 권취되어 있고, 타측 단부는 상기 상기 펌프하우징(321)에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와이어드럼(24)이 승강와이어(33)를 감아주면 상기 배기펌프(32)가 상승하고, 상기 승강와이어(33)를 풀어주면 배기펌프(32)가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펌프(32)가 상승하면 상기 승강파이프(31)가 축소되고, 상기 배기펌프(32)가 하강하면 상기 승강파이프(31)가 신장된다. 상기 배기펌프(32)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은 상기 승강파이프(31)의 신축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승강파이프(31)의 주위를 감아 돌아가는 코일형 전선(322)으로 구성된다.
상기 흡착컵(34)은 상기 배기펌프(32)의 하단에 결합되는 반구형 컵 형상으로서, 개구부가 상기 상품저장 케이스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거꾸로 매달려 있다. 그래서 상기 흡착컵(34)은 상기 배기펌프(32)의 흡착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품저장 케이스의 바닥에 나열되어 있는 상품(G)을 흡착한다.
상기 흡착컵(34)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외부흡착컵(34a)과 그 내부에 구비된 내부흡착컵(34b)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흡착컵(34a)은 직경이 큰 상품(G)을 흡착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상기 내부흡착컵(34b)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상품(G)을 흡착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외부흡착컵(34a)은 개구부의 테두리(341)가 사선으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흡착컵(34c)의 개구부의 테두리(341)가 수평으로 절단되어 있으면, 상기 외부흡착컵(34c)이 하강할 때 2개 이상의 상품(G) 사이에 똑바로 얹힐 가능성이 있고, 이렇게 되면 두 상품(G)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면서 상기 상품(G)이 흡착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외부흡착컵(34a)은 상기 테두리(341)가 사선으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흡착컵(34a)이 2개 이상의 상품(G) 사이에 똑바로 얹힐 가능성이 거의 없다. 즉, 상기 외부흡착컵(34a)이 하강하면,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341) 중 어느 한쪽이 먼저 상품(G)에 닿으면서 균형을 잃고 비스듬히 미끄러지기 때문에 상기 외부흡착컵(34a)이 자연스럽게 상기 상품(G)들 중 어느 하나의 상품(G) 위에 안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내부흡착컵(34b)에는 통기공(3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공(342)은 상기 내부흡착컵(34b)에 상품(G)이 흡착되었을 때 상기 내부흡착컵(34b) 속으로 소량의 공기를 유입시켜서 상기 배기펌프(32)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내부흡착컵(34b)에 흡착되는 상품(G)은 상대적으로 다소 미약한 흡착력으로도 흡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상기 내부흡착컵(34b)은 필요에 따라 직경이 서로 다른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배기펌프(32)의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강파이프(31)는 상기 배기펌프(32)의 요동과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만일 상기 배기펌프(32)가 상기 승강파이프(31) 없이 상기 승강와이어(33)에만 매달려 있다면, 상기 슬라이딩유닛(20)이 이동할 때 상기 배기펌프(32)가 좌우로 심하게 요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흡착컵(34)을 자신이 원하는 상품(G) 위에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배기펌프(32)의 요동이 멈출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펌프(32)가 작동하면(특히 AC 모터를 사용할 경우) 회전력이 발생하면서 상기 승강와이어(33)가 꼬이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상품인출장치는 상기 승강파이프(31)가 배기펌프(32)를 붙잡고 있기 때문에 배기펌프(32)가 좌우로 요동하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가 상기 흡착컵(34)을 자신이 원하는 상품(G) 위에 신속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유닛(20)에는, 상기 배기펌프(32)의 상한선과 하한선을 감지하여 상기 와이어드럼(24)의 구동을 제어하는 승강제어센서(25a,25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제어센서(25a)는 상기 배기펌프(32)가 상승하여 제4 파이프(31d)의 상단부가 상기 슬라이딩유닛(20)의 하단에 닿으면 그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와이어드럼(24)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이를 위해서 제4 파이프(31d)의 상단부에 상기 슬라이딩유닛(20)의 하단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접촉감지부재(251,252)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2 제어센서(25b)는 상기 승강와이어(33)의 장력을 측정한다. 즉, 상기 배기펌프(32)가 하강하여 상기 흡착컵(34)이 상품(G) 위에 안착하면, 상기 승강와이어(33)의 장력이 느슨하게 완화되고, 상기 제2 제어센서(25b)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와이어드럼(24)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제어센서(25b)에는 장력감지부재(25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와이어(33)는 상기 접촉감지부재(251,252)와 장력감지부재(253)를 모두 통과한다.
상기 도 4 내지 도 7에서, 구동풀리(14)와 구동롤러(22), 와이어드럼(24) 및 배기펌프(32)에는 각각 이들을 구동하는 모터가 설치되는데, 상기 모터는 각 도면에 별도로 표시하지 않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흡입식 상품인출장치의 작동방법은 통상적인 오락용 상품인출장치의 구동방법과 유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입식 상품인출장치를 통해 판매할 수 있는 상품(G)의 종류는 상기 흡착컵(34)으로 흡착 가능한 형상이면 어떤 상품이라도 가능하지만, 전체적인 형상이 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컨대 소형 사탕이나 반지 등과 같이 상기 흡착컵(34)으로 흡착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형상일 경우, 이들 상품을 구형의 플라스틱 용기에 담아서 상품저장 케이스 내에 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가이드레일 11a,11b; 고정레일
12a,12b; 이동레일 13; 레일블록
14; 구동풀리 15; 피동풀리
16; 견인와이어 17; 케이블 지지빔
20; 슬라이딩유닛 21; 부시베어링
22; 구동롤러 23; 가압롤러
24; 와이어드럼 25a,25b; 승강제어센서
251,252; 접촉감지부재 253; 장력감지부재
30; 상품인출수단 31(31a~31d); 승강파이프
311; 스토퍼 이동슬롯 312; 스토퍼(stopper)
32; 배기펌프 321; 펌프하우징
322; 코일형 전선 33; 승강와이어
34(34a~34c); 흡착컵 341; 개구부 테두리
342; 통기공 G; 상품

Claims (8)

  1. 상품저장 케이스와; 상기 상품저장 케이스의 상단 내부에 X축 및 Y축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유닛과; 상기 슬라이딩유닛에서 Z축 방향으로 승강하는 상품인출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흡입식 상품인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품인출수단은, 상기 슬라이딩유닛의 저면에 순차적으로 수납되어 Z축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은 가능하되 회전은 제한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다수개의 승강파이프와; 상기 승강파이프의 하단부에 설치된 다공성 펌프하우징 내에 분리가능하게 내장되어 있는 배기펌프와; 상기 승강파이프를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딩유닛과 상기 배기펌프 사이를 연결하는 승강와이어와; 상기 배기펌프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품저장 케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을 흡착하는 흡착컵;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식 상품인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상품저장 케이스 내부에서 서로 대향하는 양쪽 모서리 부위에 X축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한쌍의 고정레일과, 상기 고정레일 사이에 Y축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한쌍의 이동레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의 일측에는 각각 전선 케이블이 밑으로 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빔이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식 상품인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파이프들은 각각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스토퍼 이동슬롯과, 상기 이동슬롯 내에서 이동하는 스토퍼에 의해서 신축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식 상품인출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컵은 개구부가 밑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반구형 외부흡착컵과, 상기 외부흡착컵 속에 구비된 내부흡착컵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식 상품인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흡착컵은 하단 개구부의 테두리가 사선구조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식 상품인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흡착컵에는 상기 배기펌프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시켜 주는 통기공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내부흡착컵은 직경이 다른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식 상품인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유닛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회전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승강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서 상기 배기펌프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주는 와이어드럼과, 상기 배기펌프의 상한선과 하한선을 감지하여 상기 와이어드럼의 구동을 제어하는 승강제어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식 상품인출장치.
KR1020180070180A 2018-06-19 2018-06-19 흡입식 상품인출장치 KR102090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180A KR102090473B1 (ko) 2018-06-19 2018-06-19 흡입식 상품인출장치
PCT/KR2018/007933 WO2019245099A1 (ko) 2018-06-19 2018-07-13 흡입식 상품인출장치
CN201810803705.5A CN109064646A (zh) 2018-06-19 2018-07-20 吸入式商品引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180A KR102090473B1 (ko) 2018-06-19 2018-06-19 흡입식 상품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919A KR20190142919A (ko) 2019-12-30
KR102090473B1 true KR102090473B1 (ko) 2020-03-18

Family

ID=6481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180A KR102090473B1 (ko) 2018-06-19 2018-06-19 흡입식 상품인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90473B1 (ko)
CN (1) CN109064646A (ko)
WO (1) WO201924509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129B1 (ko) * 2020-10-22 2021-09-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진공 흡착 컵 장치
TWI796126B (zh) * 2022-01-27 2023-03-11 莊國峯 具有散熱構造的夾物機之夾爪及其驅動裝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60817A (zh) * 2020-12-22 2021-04-16 红云红河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烟支移动机构
CN113213152A (zh) * 2021-04-30 2021-08-06 广东安达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移送物件的钢丝传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1487A (ja) * 2002-07-12 2004-02-12 Namco Ltd クレーン装置及びクレーンゲーム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5374A (en) * 1997-03-10 1999-01-05 Shoemaker, Jr.; Stephen P. Crane game including vacuum and rotary table
CN1140882C (zh) * 1997-09-03 2004-03-03 艾尔盖茨供应股份有限公司 自动售货机
KR100324888B1 (ko) 1999-06-15 2002-02-28 김영준 오락용 상품인출장치
KR20010018546A (ko) * 1999-08-20 2001-03-05 송운용 상품인출용 오락기의 인출기 구동장치
KR200234088Y1 (ko) 2001-03-27 2001-10-10 김근수 상품이 내장된 구슬 인출용 오락기의 작동장치
CN2738333Y (zh) * 2004-08-29 2005-11-02 钱新 一种自选购物机
KR200478200Y1 (ko) * 2014-12-09 2015-09-08 김용복 공기 흡착 획득식 경품 인출 게임기
CN106097577A (zh) * 2016-05-31 2016-11-09 北京亿里创新科贸有限公司 一种自动售货机整机装置
CN206081594U (zh) * 2016-10-14 2017-04-12 王俭 抓礼品机的多爪与旋转机构
CN107519639A (zh) * 2017-09-28 2017-12-29 宁波市镇海丹发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娃娃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1487A (ja) * 2002-07-12 2004-02-12 Namco Ltd クレーン装置及びクレーンゲーム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129B1 (ko) * 2020-10-22 2021-09-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진공 흡착 컵 장치
WO2022086208A1 (ko) * 2020-10-22 2022-04-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진공 흡착 컵 장치
TWI796126B (zh) * 2022-01-27 2023-03-11 莊國峯 具有散熱構造的夾物機之夾爪及其驅動裝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64646A (zh) 2018-12-21
KR20190142919A (ko) 2019-12-30
WO2019245099A1 (ko)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0473B1 (ko) 흡입식 상품인출장치
JP6675225B2 (ja) 巻上げ装置
WO2005026038A3 (en) Platform lift apparatus for attic storage space
EP1329412A4 (en) LIFT DEVICE
CN111891990A (zh) 升降装置及抹灰设备
JP5998255B1 (ja) 景品取得ゲーム装置
CN209442275U (zh) 一种用于玻璃成品的吊运装置
CN101802507B (zh) 空调装置的室内机
CN206188252U (zh) 自动提升机
JP6450510B2 (ja) 景品取得ゲーム装置
KR101665095B1 (ko) 공작물을 운반하는 이송장치가 구비된 머시닝센터
JP2019202881A (ja) 搬送装置
CN210277629U (zh) 安葬工作系统
CN218809833U (zh) 一种电梯井道吊装玻璃缓冲柔控框架装置
CN113830710A (zh) 一种自适应斜坡的升降机底座
CN207880310U (zh) 一种滚轮式的对重架和使用该对重架的电梯对重
CN206194004U (zh) 一种点验钞机隐藏式显示装置
JP5800475B2 (ja) 景品払い出しゲーム機
JP2520357Y2 (ja) ゲーム機
JP2007275149A (ja) 景品取得ゲーム装置
CN219834525U (zh) 一种带有盖板翻转机构的叠板台
JPH06142014A (ja) 建物外壁面自動洗浄装置における昇降誘導装置
CN220701497U (zh) 一种码垛机升降式放袋接袋装置
CN219876353U (zh) 一种带有旋转臂翻转限位机构的叠板台
CN212099486U (zh) 一种双室真空包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