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095B1 - 공작물을 운반하는 이송장치가 구비된 머시닝센터 - Google Patents

공작물을 운반하는 이송장치가 구비된 머시닝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095B1
KR101665095B1 KR1020160060722A KR20160060722A KR101665095B1 KR 101665095 B1 KR101665095 B1 KR 101665095B1 KR 1020160060722 A KR1020160060722 A KR 1020160060722A KR 20160060722 A KR20160060722 A KR 20160060722A KR 101665095 B1 KR101665095 B1 KR 101665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er
workpiece
wire
main bod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상환
곽상호
곽부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용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용진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용진정밀
Priority to KR1020160060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05L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workpiece characteristics, e.g. contour, dimension, 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28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7/00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 B23Q2707/02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Workpie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물을 손쉽게 지그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공작물을 운반하는 이송장치가 구비된 머시닝센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센터는 상기 본체(1)의 일측에는 공작물(4)을 운반하는 이송장치(A)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피커(20)를 공작물(4)에 고정한 후 피커(20)에 구비된 손잡이(23)를 승강시키거나, 상기 손잡이(23)를 잡고 피커(20)를 측방향으로 밀면 제어수단(40)이 상기 승강감지수단(24)과 경사감지수단(30)을 통해 이를 감지하여, 윈치(15)와 제1 및 제2 구동모터(11a,13a)를 제어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피커(20)를 승강시키거나 피커(20)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무거운 공작물(4)을 손쉽게 이동시켜 지그(2)에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공작물을 운반하는 이송장치가 구비된 머시닝센터{machining center}
본 발명은 공작물을 손쉽게 지그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공작물을 운반하는 이송장치가 구비된 머시닝센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물을 가공하는데 사용하는 머시닝센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구비되어 공작물(4)을 고정하는 지그(2)와, 상기 본체(1)에 구비되어 상기 지그(2)에 고정된 공작물(4)을 가공하는 가공유닛(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에는 도어(1a)에 의해 개폐되는 작업실(1b)이 형성되고, 상기 지그(2)는 상기 작업실(1b)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며, 상기 가공유닛(3)은 상기 지그(2)의 상부 일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그(2)에 공작물(4)을 올려놓아 고정한 후 상기 가공유닛(3)을 이용하여 공작물(4)을 가공할 수 있다.
상기 도어(1a)는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상기 작업실(1b)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머시닝센터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공작물(4)은 비중이 많이 나가는 금속재질로 구성됨으로, 무게가 많이 나가게 되며, 작업자가 공작물(4)을 들어서 지그(2)에 고정하는 과정에 공작물(4)을 떨어뜨려 안전사고가 발생되거나, 공작물(4)이 머시닝센터의 다른 곳에 충돌하여 상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작업자가 반복적으로 공작물(4)을 들어 옮김에 따라, 작업자의 신체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져 근육통 등의 질환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0293097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작물을 손쉽게 지그(2)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공작물을 운반하는 이송장치가 구비된 머시닝센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구비되어 공작물(4)을 고정하는 지그(2)와, 상기 본체(1)에 구비되어 상기 지그(2)에 고정된 공작물(4)을 가공하는 가공유닛(3)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에는 도어(1a)에 의해 개폐되는 작업실(1b)이 형성되며, 상기 지그(2)는 상기 작업실(1b)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공유닛(3)은 상기 지그(2)의 상부 일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머시닝센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작물(4)을 운반하는 이송장치(A)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장치(A)는 상기 본체(1)의 상부 일측에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1 구동모터(11a)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제1 구동축(11)과,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기단부가 상기 제1 구동축(11)에 결합된 제1 지지아암(12)과, 상기 제1 지지아암(12)의 선단부에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제2 구동모터(13a)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제2 구동축(13)과,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기단부가 상기 제2 구동축(13)에 결합된 제2 지지아암(14)과, 상기 제2 지지아암(14)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와이어(15b)를 감아 올리거나 풀어낼 수 있도록 된 윈치(15)와, 상기 와이어(15b)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공작물(4)에 고정되는 피커(20)와, 상기 제1 지지아암(12)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15b)가 기울어지는 방향을 측정하는 경사감지수단(30)과, 상기 경사감지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 및 제2 구동모터(11a,13a)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을 더 포함하여, 작업자가 상기 피커(20)를 측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와이어(15b)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제어수단(40)이 상기 경사감지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와이어(15b)가 기울어진 방향을 측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모터(11a,13a)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2 지지아암(14)의 선단부가 상기 와이어(15b)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시닝센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경사감지수단(30)은 상기 제2 지지아암(14)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31a)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31a)에는 상기 와이어(15b)가 통과하는 장공(31b)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1 회동바(31)와, 상기 제2 지지아암(14)의 하측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32a)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32a)에는 상기 와이어(15b)가 통과하는 장공(32b)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2 회동바(32)와, 상기 제1 및 제2 회동바(31,32)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회동바(31,32)가 회동되는 각도를 측정하는 제1 및 제2 각도측정수단(33,34)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회동바(31)와 제2 회동바(32)는 상기 장공(31b,32b)이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15b)는 상기 제1 및 제2 회동바(31,32)의 장공(31b,32b)을 동시에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15b)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제1 및 제2 각도측정수단(33,34)이 상기 제1 회동바(31)가 회동되는 각도를 측정하여 상기 와이어(15b)가 회동되는 방향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시닝센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피커(2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23)와, 상기 피커(20)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23)를 승강시키면 이를 감지하는 승강감지수단(2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23)는 링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피커(20)의 둘레부에 구비된 림(23a)과, 상기 림(23a)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여 상기 피커(20)의 둘레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포크(23b)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손잡이(23)가 승강되면 상기 승강감지수단(24)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감지하고, 상기 윈치(15)를 제어하여 상기 피커(20)가 승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시닝센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피커(20)는 상기 공작물(4)에 결합되는 피커본체(21)와, 상기 피커본체(21)의 상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15b)가 연결되는 연결부재(22)와, 상기 피커본체(21)와 연결부재(2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커본체(21)에 결합된 공작물(4)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25)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무게측정수단(2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피커본체(21)에 결합된 공작물(4)의 무게를 감시하고, 공작물(4)의 무게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날 경우, 경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시닝센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23)의 일측에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피커(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23c)가 구비되며, 상기 지그(2)의 상면에는 상기 공작물(4)이 결합되는 결합부(2a)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2a)의 내부에는 통기공(2b)이 형성되며, 상기 통기공(2b)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수단(4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기 결합부(2a)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결합부(2a)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에어펌프(50)와, 상기 통기공(2b)의 내부에 구비되어 통기공(2b)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센서(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40)은 사기 제어스위치(23c)의 신호를 감시하여 상기 피커(20)가 on되면 상기 에어펌프(50)를 정지시키고, 상기 피커(20)가 off되면 상기 에어펌프(50)를 작동시켜 상기 결합부(2a)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기압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여 통기공(2b)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고, 상기 통기공(2b) 내부의 기압이 미리 설정된 기압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에어펌프(50)를 작동시켜 상기 결합부(2a)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공작물(4)이 상기 결합부(2a)에 흡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시닝센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을 운반하는 이송장치가 구비된 머시닝센터는 상기 본체(1)의 일측에는 공작물(4)을 운반하는 이송장치(A)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피커(20)를 공작물(4)에 고정한 후 피커(20)에 구비된 손잡이(23)를 승강시키거나, 상기 손잡이(23)를 잡고 피커(20)를 측방향으로 밀면 제어수단(40)이 상기 승강감지수단(24)과 경사감지수단(30)을 통해 이를 감지하여, 윈치(15)와 제1 및 제2 구동모터(11a,13a)를 제어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피커(20)를 승강시키거나 피커(20)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무거운 공작물(4)을 손쉽게 이동시켜 지그(2)에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머시닝센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센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센터의 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센터의 이송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센터의 이송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센터의 이송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센터의 이송장치의 경사감지수단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센터의 이송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센터의 이송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센터의 이송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센터의 이송장치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센터의 이송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센터의 이송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구성도,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센터의 이송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머시닝센터를 도시한 것으로,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구비되어 공작물(4)을 고정하는 지그(2)와, 상기 본체(1)에 구비되어 상기 지그(2)에 고정된 공작물(4)을 가공하는 가공유닛(3)이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본체(1)에는 도어(1a)에 의해 개폐되는 작업실(1b)이 형성되며, 상기 지그(2)는 상기 작업실(1b)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공유닛(3)은 상기 지그(2)의 상부 일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도어(1a)는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상기 작업실(1b)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의 일측에는 공작물(4)을 운반하는 이송장치(A)가 구비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송장치(A)는 상기 본체(1)의 상부 일측에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1 구동모터(11a)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제1 구동축(11)과,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기단부가 상기 제1 구동축(11)에 결합된 제1 지지아암(12)과, 상기 제1 지지아암(12)의 선단부에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제2 구동모터(13a)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제2 구동축(13)과,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기단부가 상기 제2 구동축(13)에 결합된 제2 지지아암(14)과, 상기 제2 지지아암(14)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와이어(15b)를 감아 올리거나 풀어낼 수 있도록 된 윈치(15)와, 상기 와이어(15b)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공작물(4)에 고정되는 피커(20)와, 상기 제1 지지아암(12)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15b)가 기울어지는 방향을 측정하는 경사감지수단(30)과, 상기 윈치(15)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모터(11a,13a)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구동축(11)은 상기 본체(1)의 상면에 수직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1 지지아암(12)은 사각바형상으로 구성되어 기단부가 상기 제1 구동축(11)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 구동모터(11a)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구동축(11)을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제1 지지아암(12)이 상기 제1 구동축(11)을 중심으로 측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제2 구동축(13)은 상기 제1 지지아암(12)의 선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지지아암(14)은 사각바형상으로 구성되어 기단부가 상기 제2 구동축(13)에 결합된 것으로, 상기 제2 구동모터(13a)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구동축(13)을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제2 지지아암(14)이 제2 구동축(13)을 중심으로 측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상기 제2 지지아암(14)의 선단부에는 상기 와이어(15b)가 관통하는 관통공(14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구동모터(11a,13a)를 구동시켜 상기 제1 및 제2 지지아암(12,14)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지지아암(14)의 선단부의 위치를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윈치(15)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지지아암(14)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둘레면에 상기 와이어(15b)가 권취되는 권취드럼(15a)과, 상기 권취드럼(15a)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드럼(15a)을 정역회전시키는 권취모터(15c)와, 상기 관통공(14a)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권취드럼(15a)에서 풀려 나온 와이어(15b)가 상기 관통공(14a)을 통해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안내하는 기이드로울러(15d)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권취모터(15c)를 이용하여 권취드럼(15a)을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와이어(15b)가 권취드럼(15a)에 감기거나 권취드럼(15a)에 감긴 와이어(15b)가 하측으로 풀려나감으로써, 상기 와이어(15b)에 연결된 피커(20)와, 피커(20)에 고정된 공작물(4)을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피커(2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작물(4)에 결합되는 피커본체(21)와, 상기 피커본체(21)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15b)가 연결되는 연결부재(22)와, 상기 피커본체(2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서 상기 피커(20)를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된 손잡이(23)와, 상기 피커본체(21)에 구비되어 손잡이(23)의 승강을 감지할 수 있도록 된 승강감지수단(24)과, 상기 손잡이(23)에 구비되며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피커(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23c)로 구성된다.
상기 피커본체(21)는 하측면에 다수개의 배기공(21a)이 형성되며 상기 배기공(21a)에는 진공펌프가 연결되어 공작물(4)의 상면에 진공흡착고정되는 진공흡착식 피커를 이용한다.
이러한 진공흡착식 피커는 다양한 것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연결부재(2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단에는 상기 와이어(15b)가 고정되는 고정고리(22a)가 형성되며, 하단부가 상기 피커본체(21)의 상면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손잡이(23)는 링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피커(20)의 둘레부에 구비된 림(23a)과, 상기 림(23a)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여 상기 피커본체(21)의 둘레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스포크(23b)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피커본체(21)의 양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21b)이 구비되고, 상기 스포크(23b)는 내측단이 상기 가이드레일(21b)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피커본체(21)에는 상기 스포크(23b)를 지지하는 도시 안된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23)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23)를 손으로 잡고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감지수단(24)은 상기 피커본체(21)의 둘레부에 상기 스포크(23b)의 상하측에 위치된 한 쌍의 리미트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승강감지수단(24)에는 상기 스포크(23b)를 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돌출된 푸쉬버튼(24a)이 구비된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23)를 하측으로 누르면 하측의 승강감지수단(24)에 구비된 푸쉬버튼(24a)이 눌리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23)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상측의 승강감지수단(24)의 푸시버튼이 눌려서, 상기 손잡이(23)가 승강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23)를 잡고 상기 피커(20)를 측방향으로 밀면, 상기 와이어(15b)가 상기 관통공(14a)을 중심으로 상기 피커(20)를 민 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 제어스위치(23c)는 일측에 푸쉬버튼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푸쉬버튼을 누르면 상기 피커(20)가 on되고, 상기 푸쉬버튼을 놓으면 상기 피커(20)가 off되도록 구성된다.
즉, 작업자가 상기 피커본체(21)를 공작물(4)의 상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어스위치(23c)의 푸쉬버튼을 누르면, 상기 진공펌프가 작동되어 배기공(21a)의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피커본체(21)가 공작물(4)의 상면에 흡착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푸쉬버튼에서 손을 때면 상기 진공펌프가 off되며, 이에 따라, 상기 피커본체(21)의 고정이 해제된다.
상기 경사감지수단(3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지지아암(14)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31a)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31a)에는 상기 와이어(15b)가 통과하는 장공(31b)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1 회동바(31)와, 상기 제2 지지아암(14)의 하측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32a)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32a)에는 상기 와이어(15b)가 통과하는 장공(32b)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2 회동바(32)와, 상기 제1 및 제2 회동바(31,32)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회동바(31,32)가 회동되는 각도를 측정하는 제1 및 제2 각도측정수단(33,34)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제1 회동바(31)와 제2 회동바(32)는 상기 장공(31b,32b)이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 지지아암(14)의 선단부 하측면에는 상기 관통공(14a)의 측면에 위치되는 제1 브라켓(14b)과, 상기 관통공(14a)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2 브라켓(14c)이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1 회동바(31)는 상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힌지축(31c)에 의해 상기 제1 브라켓(14b)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회동바(32)는 상단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힌지축(32c)에 의해 상기 제2 브라켓(14c)에 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 회동바(31)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제2 회동바(32)의 상하방향 길이에 비해 조금 짧게 구성되어, 상기 제1 회동바(31)의 연장부(31a)가 상기 제2 회동바(32)의 연장부(32a)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15b)는 상기 제1 및 제2 회동바(31,32)의 장공(31b,32b)을 동시에 통과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제1 및 제2 각도측정수단(33,34)은 상기 제1 및 제2 회동바(31,32)의 힌지축(31c,32c)에 연결된 각도센서를 이용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피커(20)를 밀어서 상기 와이어(15b)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제1 및 제2 회동바(31,32)가 회동되고, 상기 제1 및 제2 각도측정수단(33,34)이 이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와이어(15b)가 기울어진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상기 피커(20)를 전후방향으로 밀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15b)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제1 회동바(31)를 전방후방향으로 밀어 회동시킨다.
이때, 상기 와이어(15b)는 상기 제2 회동바(32)의 장공(32b)을 따라 전진됨으로, 상기 제2 회동바(32)는 회동되지 않는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피커(20)를 측방향으로 밀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15b)가 측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제2 회동바(32)를 측방향으로 밀어 회동시킨다.
이때, 상기 와이어(15b)는 상기 제2 회동바(32)의 장공(32b)을 따라 측방향으로 회동됨으로, 상기 제1 회동바(31)는 회동되지 않는다.
또한, 작업자가 상기 피커(20)를 경사방향으로 밀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회동바(31,32)가 함께 전후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각도측정수단(33,34)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회동바(31,32)가 회동된 방향과 각도를 측정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피커(20)를 어느 방향으로 밀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승강감지수단(24)과 상기 경사감지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윈치(15)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모터(11a,13a)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승강감지수단(24)의 신호를 수신하여,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손잡이(23)를 하측으로 밀 경우, 상기 와이어(15b)가 풀려 나오도록 윈치(15)를 제어하여, 상기 피커(20)가 하강되도록 한다.
반대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손잡이(23)를 상측으로 밀 경우,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와이어(15b)가 감기도록 윈치(15)를 제어하여 상기 피커(20)가 상승되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23)를 잡고 피커(20)를 전후 또는 측방향으로 밀면,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경사감지수단(30)에 구비된 제1 및 제2 각도측정수단(33,34)의 신호를 수신하여, 작업자가 피커(20)를 어느 방향으로 미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모터(11a,13a)의 작동을 제어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피커(20)를 미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지지아암(14)의 선단부가 이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구동모터(11a,13a)의 작동을 제어하여 제2 지지아암(14)의 선단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 또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모터(11a,13a)의 제어방법은 일반적인 2관절 로봇아암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머시닝센터를 이용하여 공작물(4)을 상기 지그(2)에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23)를 잡고 피커(20)를 공작물(4)쪽으로 밀면, 상기 제어수단(40)이 상기 제1 및 제2 각도측정수단(33,34)의 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모터(11a,13a)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2 지지아암(14)의 선단부가, 작업자가 피커(20)를 민 쪽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피커(20)가 공작물(4)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피커(20)가 공작물(4)의 상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23)가 하측으로 누르면, 상기 제어수단(40)이 윈치(15)를 작동시켜 피커(20)가 하강되어 상기 공작물(4)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피커(20)가 공작물(4)에 밀착되어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23)가 하측으로 눌리지 않도록 하면 상기 윈치(15)가 정지되어 피커(20)가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제어스위치(23c)의 푸쉬버튼을 누르면, 상기 진공펌프가 작동되어 피커(20)가 공작물(4)의 상면에 흡착고정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23)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제어수단(40)이 상기 윈치(15)를 작동시켜 와이어(15b)를 감아 올림으로써, 피커(20)와 공작물(4)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23)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지지 않도록 하면, 상기 윈치(15)가 정지되며, 작업자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23)를 상기 지그(2)쪽으로 밀면 상기 제어수단(4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사감지수단(30)을 통해 이를 감지하고, 상기 재1 및 제2 구동모터(13a)를 구동시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지지아암(14)의 선단부가 상기 지그(2)의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피커(40)와 피커(40)에 고정된 공작물(4)을 상기 지그(2)의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피커(40)와 피커(40)에 고정된 공작물(4)이 상기 지그(2)의 상측으로 이동된 후,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23)를 하측으로 누르면 상기 윈치(15)가 작동되어 와이어(15b)를 풀어 내리고, 이에 따라, 상기 피커(20)와 공작물(4)이 하강되어 공작물(4)이 상기 지그(2)에 결합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제어스위치(23c)의 푸쉬버튼을 놓으면 상기 진공펌프가 off되어 피커(20)의 고정이 해제된다.
그리고, 다시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23)를 상측으로 들어 피커(20)가 상승되도록 한 후, 상기 손잡이(23)를 외측으로 밀면, 상기 제1 및 제2 구동모터(11a,13a)가 구동되어 제2 지지아암(14)의 선단부와 피커(20)가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공작물(4)의 가공이 완료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피커(20)를 공작물(4)을 머시닝센터의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머시닝센터는 상기 본체(1)의 일측에는 공작물(4)을 운반하는 이송장치(A)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피커(20)를 공작물(4)에 고정한 후 피커(20)에 구비된 손잡이(23)를 승강시키거나, 상기 손잡이(23)를 잡고 피커(20)를 측방향으로 밀면 제어수단(40)이 상기 승강감지수단(24)과 경사감지수단(30)을 통해 이를 감지하여, 윈치(15)와 제1 및 제2 구동모터(11a,13a)를 제어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피커(20)를 승강시키거나 피커(20)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무거운 공작물(4)을 손쉽게 이동시켜 지그(2)에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경사감지수단(30)은 상기 제2 지지아암(14)의 하측에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후방향의 장공(31b,32b)이 형성된 제1 및 제2 회동바(31,32)와, 상기 제1 및 제2 회동바(31,32)에 연결된 제1 및 제2 각도측정수단(33,34)으로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15b)는 상기 제1 및 제2 회동바(31,32)의 장공(31b,32b)을 동시에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15b)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제1 및 제2 각도측정수단(33,34)은 상기 제1 회동바(31)가 회동되는 각도를 측정하여 상기 와이어(15b)가 회동되는 방향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피커(20)를 조금만 밀어서 상기 와이어(15b)가 조금만 일측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이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회동바(31,32)가 회동됨으로, 상기 와이어(15b)가 기울어진 방향, 즉, 작업자가 상기 피커(20)를 민 방향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23)는 링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피커(20)의 둘레부에 구비된 림(23a)과, 상기 림(23a)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여 상기 피커(20)의 둘레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포크(23b)로 구성됨으로,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23)를 잡고 피커(20)를 승강시키거나 측방향으로 미는 것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피커본체(21)는 하측면에 다수개의 배기공(21a)이 형성되며 상기 배기공(21a)에는 진공펌프가 연결되어 공작물(4)의 상면에 진공흡착고정되는 진공흡착식 피커를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피커본체(21)는 전자석을 이용하는 자석식 클램프 또는 기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공작물(4)의 둘레부를 물어 고정하는 척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피커(20)의 연결부재(22)는 상기 피커본체(21)의 상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피커본체(21)와 연결부재(22)의 사이에는 상기 피커본체(21)에 결합된 공작물(4)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25)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피커본체(21)의 상면에는 상기 연결부재(22)가 결합되는 결합공(21c)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22)의 하단부에는 걸림부(22b)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22b)가 상기 결합공(21c)에 승강가능하게 끼움고정된다.
상기 무게측정수단(25)은 상기 무게측정수단(25)은 하중이 가해지면 이를 감지하는 일반적인 하중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결합공(21c)의 내부에 상기 걸림부(22b)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윈치(15)를 이용하여 상기 피커(20)를 상측으로 들어올릴 때, 상기 피커본체(21)에 고정된 공작물(4)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피커본체(21)를 공작물(4)의 상면에 밀착시키고 작업자가 상기 제어스위치(23c)를 조작하여 피커본체(21)를 공작물(4)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23)를 상측으로 들어 피커(20)가 상승되도록 하면, 상기 공작물(4)과 피커본체(21)의 하중이 상기 무게측정수단(25)에 가해진다.
이때, 상기 피커본체(21)의 무게는 알려져 있음으로, 상기 무게측정수단(25)을 이용하여 피커(20)에 고정된 공작물(4)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40)에는 경보수단(41)이 연결되고, 상기 공작물(4)의 무게와 허용가능한 오차범위가 미리 입력되며, 작업자가 상기 제어스위치(23c)를 조작하여 공작물(4)을 고정한 후, 윈치(15)를 가동시켜 피커(20)를 상측으로 들어올릴 때, 상기 무게측정수단(25)의 신호를 수신하여 공작물(4)의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공작물(4)의 무게가 오차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경보수단(41)을 on시켜 경보를 출력한다.
즉, 상기 공작물(4)은 전공정에서 금속블록을 일정한 형태로 1차 가공한 후, 상기 머시닝센터를 이용하여 2차로 정밀 가공하게 되는데, 이때, 1차 가공시 공작물(4)이 정확히 가공되지 않은 경우, 공작물(4)의 무게가 정해진 무게를 넘거나 정해진 무게보다 가볍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커(20)를 이용하여 공작물(4)을 들어올려 상기 지그(2)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공작물(4)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지그(2)로 공급되는 공작물(4)의 불량을 판별할 수 있으며, 머시닝센터를 이용하여 가공된 공작물(4)의 불량 발생률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6 내지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지그(2)의 상면에는 상기 공작물(4)이 결합되는 결합부(2a)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2a)는 상기 공작물(4)의 하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장치(A)를 이용하여 공작물(4)을 지그(2)에 올려놓으면, 상기 공작물(4)이 상기 결합부(2a)에 기밀하게 끼움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a)의 내부에는 통기공(2b)이 형성되며, 상기 통기공(2b)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수단(4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기 결합부(2a)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결합부(2a)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에어펌프(50)가 연결되고, 상기 통기공(2b)의 내부에는 통기공(2b)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센서(60)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펌프(50)는 연결관(51)을 통해 상기 통기공(2b)에 연결되는 것으로, 정방향으로 구동되면 외부의 공기를 가압하여 상기 통기공(2b)을 통해 결합부(2a)의 내부로 공급하고,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결합부(2a)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결합부(2a)에 결합된 공작물(4)이 결합부(2a)에 흡착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제어스위치(23c)의 신호를 감시하여 상기 피커(20)가 on되면 상기 에어펌프(50)를 정지시키고, 상기 피커(20)가 off되면 상기 에어펌프(50)를 작동시켜 상기 결합부(2a)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기압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여 통기공(2b)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고, 상기 통기공(2b) 내부의 기압이 미리 설정된 기압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에어펌프(50)를 작동시켜 상기 결합부(2a)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공작물(4)이 상기 결합부(2a)에 흡착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수단(40)은 작업자가 상기 제어스위치(23c)를 조작하여 상기 피커(20)가 on되어 공작물(4)이 피커(20)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에어펌프(50)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피커(20)를 이동시켜 공작물(4)을 상기 지그(2)의 결합부(2a)에 결합한 후 상기 피커(20)를 off시키면,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에어펌프(50)를 정방향으로 작동시켜 상기 결합부(2a)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기압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공작물(4)이 지그(2)의 결합부(2a)에 정확히 결합되면, 상기 공작물(4)이 결합부(2a)에 기밀하게 밀착되어, 상기 통기공(2b)을 통해 결합부(2a)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할 때 공기가 외부로 새어나기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통기공(2b) 내부의 기압이 상승된다.
반대로, 상기 공작물(4)이 지그(2)의 결합부(2a)에 정확히 결합되지 못하면, 상기 결합부(2a)로 공급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통기공(2b) 내부의 기압이 상승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통기공(2b) 내부의 기압이 설정된 기압 이상으로 상승된다고 하는 것은 상기 공작물(4)이 지그(2)의 결합부(2a)에 정확히 결합된 것을 의미하게 되며,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기압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여 공작물(4)이 지그(2)의 결합부(2a)에 정확히 결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공작물(4)이 지그(2)의 결합부(2a)에 정확히 결합되어 상기 통기공(2b) 내부의 기압이 상승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에어펌프(50)를 역방향으로 작동시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2a)에 결합된 공작물(4)이 결합부(2a)에 흡착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공작물(4)이 지그(2)의 결합부(2a)에 정확히 결합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경보수단(41)을 구동시켜 경보를 출력한다.
그리고, 공작물(4)의 가공이 완료되어, 작업자가 상기 피커(20)를 공작물(4)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어스위치(23c)를 조작하여 피커(20)를 on시키면,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에어펌프(50)를 off시킨다.
따라서, 상기 피커(20)를 상승시켜 상기 결합부(2a)에 결합된 공작물(4)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머시닝센터는 상기 제어수단(40)이 상기 제어스위치(23c)의 조작을 과 상기 기압센서(60)의 신호를 감지하여, 공작물(4)이 지그(2)의 결합부(2a)에 결합되면 상기 결합부(2a)에 공기를 공급하여 공작물(4)이 정확히 결합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공작물(4)이 지그(2)의 결합부(2a)에 정확히 결합되면 상기 결합부(2a)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공작물(4)이 지그(2)의 결합부(2a)에 흡착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공작물(4)을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작물(4)이 정확히 고정되었는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이송장치 11. 제1 구동축
12. 제1 지지아암 13. 제2 구동축
14. 제2 지지아암 15. 윈치
20. 피커 30. 경사감지수단
40. 제어수단 50. 에어펌프
60. 기압센서

Claims (5)

  1. 삭제
  2.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구비되어 공작물(4)을 고정하는 지그(2)와,
    상기 본체(1)에 구비되어 상기 지그(2)에 고정된 공작물(4)을 가공하는 가공유닛(3)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에는 도어(1a)에 의해 개폐되는 작업실(1b)이 형성되며,
    상기 지그(2)는 상기 작업실(1b)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공유닛(3)은 상기 지그(2)의 상부 일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머시닝센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작물(4)을 운반하는 이송장치(A)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장치(A)는
    상기 본체(1)의 상부 일측에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1 구동모터(11a)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제1 구동축(11)과,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기단부가 상기 제1 구동축(11)에 결합된 제1 지지아암(12)과,
    상기 제1 지지아암(12)의 선단부에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제2 구동모터(13a)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제2 구동축(13)과,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기단부가 상기 제2 구동축(13)에 결합된 제2 지지아암(14)과,
    상기 제2 지지아암(14)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와이어(15b)를 감아 올리거나 풀어낼 수 있도록 된 윈치(15)와,
    상기 와이어(15b)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공작물(4)에 고정되는 피커(20)와,
    상기 제1 지지아암(12)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15b)가 기울어지는 방향을 측정하는 경사감지수단(30)과,
    상기 경사감지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 및 제2 구동모터(11a,13a)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을 더 포함하여,
    작업자가 상기 피커(20)를 측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와이어(15b)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제어수단(40)이 상기 경사감지수단(3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와이어(15b)가 기울어진 방향을 측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모터(11a,13a)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2 지지아암(14)의 선단부가 상기 와이어(15b)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경사감지수단(30)은,
    상기 제2 지지아암(14)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31a)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31a)에는 상기 와이어(15b)가 통과하는 장공(31b)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1 회동바(31)와,
    상기 제2 지지아암(14)의 하측에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32a)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32a)에는 상기 와이어(15b)가 통과하는 장공(32b)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2 회동바(32)와,
    상기 제1 및 제2 회동바(31,32)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회동바(31,32)가 회동되는 각도를 측정하는 제1 및 제2 각도측정수단(33,34)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회동바(31)와 제2 회동바(32)는 상기 장공(31b,32b)이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15b)는 상기 제1 및 제2 회동바(31,32)의 장공(31b,32b)을 동시에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15b)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제1 및 제2 각도측정수단(33,34)이 상기 제1 회동바(31)가 회동되는 각도를 측정하여 상기 와이어(15b)가 회동되는 방향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을 운반하는 이송장치가 구비된 머시닝센터.
  3. 제 2항에 있어서,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피커(2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23)와,
    상기 피커(20)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23)를 승강시키면 이를 감지하는 승강감지수단(2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23)는
    링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피커(20)의 둘레부에 구비된 림(23a)과,
    상기 림(23a)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여 상기 피커(20)의 둘레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포크(23b)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손잡이(23)가 승강되면 상기 승강감지수단(24)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감지하고, 상기 윈치(15)를 제어하여 상기 피커(20)가 승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을 운반하는 이송장치가 구비된 머시닝센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피커(20)는
    상기 공작물(4)에 결합되는 피커본체(21)와,
    상기 피커본체(21)의 상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15b)가 연결되는 연결부재(22)와,
    상기 피커본체(21)와 연결부재(2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피커본체(21)에 결합된 공작물(4)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25)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무게측정수단(2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피커본체(21)에 결합된 공작물(4)의 무게를 감시하고, 공작물(4)의 무게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날 경우, 경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을 운반하는 이송장치가 구비된 머시닝센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3)의 일측에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피커(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23c)가 구비되며,
    상기 지그(2)의 상면에는 상기 공작물(4)이 결합되는 결합부(2a)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2a)의 내부에는 통기공(2b)이 형성되며,
    상기 통기공(2b)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수단(4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기 결합부(2a)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결합부(2a)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에어펌프(50)와,
    상기 통기공(2b)의 내부에 구비되어 통기공(2b)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센서(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40)은 사기 제어스위치(23c)의 신호를 감시하여 상기 피커(20)가 on되면 상기 에어펌프(50)를 정지시키고, 상기 피커(20)가 off되면 상기 에어펌프(50)를 작동시켜 상기 결합부(2a)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기압센서(60)의 신호를 수신하여 통기공(2b)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고, 상기 통기공(2b) 내부의 기압이 미리 설정된 기압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에어펌프(50)를 작동시켜 상기 결합부(2a)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공작물(4)이 상기 결합부(2a)에 흡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을 운반하는 이송장치가 구비된 머시닝센터.
KR1020160060722A 2016-05-18 2016-05-18 공작물을 운반하는 이송장치가 구비된 머시닝센터 KR101665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722A KR101665095B1 (ko) 2016-05-18 2016-05-18 공작물을 운반하는 이송장치가 구비된 머시닝센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722A KR101665095B1 (ko) 2016-05-18 2016-05-18 공작물을 운반하는 이송장치가 구비된 머시닝센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095B1 true KR101665095B1 (ko) 2016-10-12

Family

ID=57173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722A KR101665095B1 (ko) 2016-05-18 2016-05-18 공작물을 운반하는 이송장치가 구비된 머시닝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0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15825A (zh) * 2022-09-28 2022-12-02 黄耀庄 一种数控机床用自动化高精度定位夹紧系统及夹紧方法
KR102624281B1 (ko) * 2023-05-02 2024-01-15 주식회사 한국자동화 스테커 크레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3094A (ja) * 1990-01-24 1991-10-02 Amada Co Ltd ワーク加工機用ジブクレーン
JPH10291766A (ja) * 1997-04-21 1998-11-04 Nissan Motor Co Ltd ワークの搬送装置
KR200293097Y1 (ko) 2002-07-31 2002-10-25 위아 주식회사 머시닝센터 스핀들의 공구장착구조
KR100891469B1 (ko) * 2007-11-05 2009-04-02 한국고벨주식회사 관절식 전동 지브 크레인
KR20100071366A (ko) * 2008-12-19 2010-06-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3094A (ja) * 1990-01-24 1991-10-02 Amada Co Ltd ワーク加工機用ジブクレーン
JPH10291766A (ja) * 1997-04-21 1998-11-04 Nissan Motor Co Ltd ワークの搬送装置
KR200293097Y1 (ko) 2002-07-31 2002-10-25 위아 주식회사 머시닝센터 스핀들의 공구장착구조
KR100891469B1 (ko) * 2007-11-05 2009-04-02 한국고벨주식회사 관절식 전동 지브 크레인
KR20100071366A (ko) * 2008-12-19 2010-06-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15825A (zh) * 2022-09-28 2022-12-02 黄耀庄 一种数控机床用自动化高精度定位夹紧系统及夹紧方法
CN115415825B (zh) * 2022-09-28 2024-04-05 深圳市惠之达精密工业有限公司 一种数控机床用自动化高精度定位夹紧系统及夹紧方法
KR102624281B1 (ko) * 2023-05-02 2024-01-15 주식회사 한국자동화 스테커 크레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27206B (zh) 物品输送设备
US9061868B1 (en) Vacuum-assisted carton or box lifter
KR102045388B1 (ko) 실린더 이동용 카트
JP6330714B2 (ja) 物品搬送設備及び物品搬送設備の保守作業方法
CN104891195B (zh) 铜锭自动堆叠装置
KR101665095B1 (ko) 공작물을 운반하는 이송장치가 구비된 머시닝센터
TWI314913B (en) Transporting apparatus having vertically movable holding portion
US6634621B2 (en) Lifting device and a method for lifting by using the same
US20170275096A1 (en) Powered lifting device for portable container
KR101610928B1 (ko)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CN211971003U (zh) 一种提料装置
KR101599215B1 (ko) 무충격 슬래브통 시스템 및 운반방법
KR100941186B1 (ko) 밸런스머신
JP5267853B2 (ja) 物品搬送設備における学習装置
KR100778735B1 (ko) 다양한 크기의 간지코일 삽입장치
JPH10316354A (ja) 板体の運搬吊具
WO2021050894A1 (en) Lifting and transport device
JP5612865B2 (ja) 電動昇降式収納庫ユニット
JP2002210685A (ja) ワークピッキング装置
KR102454853B1 (ko) 파이프가공장치
KR20040006536A (ko) 스틸 슬리브 폭별 공급장치
CN216889866U (zh) 一种集成系统安装用的搬运装置
CN219541285U (zh) 抓取机构及清洗装置
KR102625343B1 (ko) 공작기계용 피가공물 회수장치
KR20060028079A (ko) 버켓의 선회및 상하조정동작이 개선된 리크레이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