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86208A1 - 진공 흡착 컵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흡착 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86208A1
WO2022086208A1 PCT/KR2021/014797 KR2021014797W WO2022086208A1 WO 2022086208 A1 WO2022086208 A1 WO 2022086208A1 KR 2021014797 W KR2021014797 W KR 2021014797W WO 2022086208 A1 WO2022086208 A1 WO 202208620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uction
vacuum
cup
suction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479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규진
최재령
김웅배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208620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8620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suction cup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suction cup device configured to be deformable to a size suitable for an object to be gripped.
  • the vacuum adsorption port is used when transferring a predetermined article by vacuum adsorption.
  • the vacuum suction port is usually provided with a suction plate formed in the shape of an upside down dish.
  • the center portion of the suction plate is placed on the flat surface of the article so that the air existing on the center of the suction plat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uction plate. In this way, the space between the article and the sucker plate is created in a vacuum state, thereby fixing the sucker plate to the article.
  • the air inside the suction plat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pressing force, and the spa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article and the suction plate is in a vacuum state so that the suction plate is fixed by this.
  • a vacuum suction plate connected to a vacuum suction line is used.
  • a vacuum suction plate must be used. Therefore, the sucker is modularized and the sucker is replac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rticle.
  •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suction cup device configured to be deformed to a size suitable for an object without the need to replace i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bject will be.
  • a pressure chamber is formed therein, an air flow line for injecting air into the pressure chamber is connected, and an opening toward one side a housing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a suction cup member that is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has an upper portion positioned toward the pressure chamber, a suction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 vacuum line for sucking air to maintain a vacuum state is connected to be adsorbed on the object to be adsorbed; a pump connected to the air flow line and the vacuum line, for discharging air into the pressure chamber, and vacuum sucking the air inside the suction spac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pump, wherein the suction cup member is formed in a cone shape that gradually increases in diameter from an upper portion to a lower portion, and a pressure cup portion having the suc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the and a connection part extending from the lower edge of the pressure cup part and connected to the outer edge of the opening, and the diameter of the lower
  • fixing grooves are concave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surface of the pressure cup part.
  • the suction cup member It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uction cup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act rib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adsorbed.
  • a plurality of the close contact rib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close contact rib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s a ring-shaped disk.
  • the suction cup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having flexibility.
  • One end of the air flow line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pressure chamber, the other end is bifurcated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rt of the pump,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art of the pump, and by driving the pump
  • the pressure cup portion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ure cup portion becomes smaller while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ure cup portion is moved downward, and when air is sucked from the inside of the pressure chamber, As the upper part of the pressure cup part moves upwar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lower part of the pressure cup part increases.
  •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ir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ure cup portion, a winch having the other end of the wire wound, and a motor connected to the winch to drive the winch.
  • the contact area of the suction cup member is increased by driving the pump to create a large pressure difference, and it is possible to grip a small object.
  • the contact area of the suction cup member may be reduced by driving the pump to create a vacuum with the objec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hold various objects by deforming to a size suitable for the object without replacing the suction cup memb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bject.
  •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acuum suction cu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 and 3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vacuum suction cu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vacuum suction cup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acuum adsorp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 vacuum suction cup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acuum suction cu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acuum suction cup device 10 includes a housing 100 .
  • the housing 10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ollow cylindrical shape.
  • a pressure chamber 110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100 .
  • the pressure chamber 110 is a portion positioned to be movable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of the pressure cup portion 210 of the suction cup member 200 to be described below.
  • An opening 112 is formed in the housing 100 .
  • the opening 112 is formed to open toward one side.
  • the opening 112 is formed to open in a direction toward the adsorption target article (G).
  • the vacuum suction cup device 10 includes a suction cup member 200 .
  • the suction cup member 200 is connected to the opening 112 .
  • the suction cup member 20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polymer material.
  • it may be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having excellent elasticity.
  • the suction cup member 20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polymer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uction cup member 200 may include natural rubber or derivatives of natural rubber (chlorinated rubber, hydrochloric acid, cyclized rubber), butanediene-based synthetic rubber, olefin-based synthetic rubber, multi-sulfurized synthetic rubber, thermoplastic elastomer, and the like. It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of
  • the suction cup member 200 may include a pressure cup part 210 and a connection part 220 .
  • the pressure cup part 210 and the connection part 220 may be integrally formed.
  • the pressure cup portion 210 is formed in a cone shape with a diameter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with reference to FIG. 1 . At this time, an upper portion of the pressure cup part 210 is positioned toward the pressure chamber 110 .
  • a suction space 212 is formed inside the pressure cup part 210 .
  • the suction space 212 is formed downward, that is, open toward the adsorption target article (G).
  • G adsorption target article
  • the diamete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ure cup portion 210 adsorbed to the surface of the adsorption target article (G) may be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that decreases as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ure cup portion 210 moves downward. . That is, as the inner side of the pressure cup part 210 is turned over in an outward direction, the diameter of the lower part of the pressure cup part 210 is reduced.
  • a vacuum line 214 is connected to the suction space 212 .
  • the vacuum line 214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art P2 of the pump P to be described below, and serves to suck air in the suction space 212 to form a vacuum state. That is, the vacuum state is maintained by sucking the air in the suction space 212 through the vacuum line 214 . In this way, the state in which the pressure cup part 210 is adsorbed to the surface of the article G to be adsorbed can be maintained.
  • connection part 220 extends from the lower edge of the pressure cup part 210 and is connected to the outer edge of the opening 112 .
  • the connecting portion 220 is a portion formed by substantially turning the bottom portion of the suction cup member 200 outward.
  • a fixing groove 230 may be formed in the suction cup member 200 .
  • the fixing grooves 230 may be concave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inner surface of the pressure cup part 210 .
  • the fixing groove 230 can be easily deformed by inverting around the fixing groove 230 when the pressure cup part 210 is deformed, and thus the pressure cup part 210 . ) structure can be stably maintained.
  • the distance between the fixing grooves 230 may vary according to the height and inner diameter of the pressure cup part 210 .
  • the fixing grooves 230 are formed to be concave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inner surface of the pressure cup part 210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xing grooves 230 may be concave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e cup part 210 .
  • the connection part 220 extending from the lower edge of the pressure cup part 210 is formed as a free end, and the pressure cup part 210 may be turned over and deformed around the fixing groove 230 .
  • the suction cup member 200 may be provided with a contact rib 240 .
  • the adhesion rib 240 is a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adsorption target article (G).
  • the adhesion rib 240 serves to increase the area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adsorbed (G).
  • the contact rib 24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e cup portion (210).
  • the close contact rib 24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ressure cup part 210 .
  • the contact rib 240 may be formed as a ring-shaped disk.
  • the contact rib 240 is formed as a ring-shaped disk,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close contact rib 240 may have a semicircular cross-section, and a plurality of the contact ribs 240 may be provid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pressure cup part 210 .
  • a plurality of contact ribs 240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 the close contact rib 24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xing groove 230 . This is because the pressure cup part 210 is turned over and deformed around the fixing groove 230 .
  • the close contact rib 24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ressure cup portion 2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ntact rib 240 ′ may be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essure cup unit 210 and coupled to the pressure cup unit 210 .
  • the contact ribs 240 ′ may conform to F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1 CFR 177.2600. And made of a silicone material complying with EU regulations EU 1935/2004 may be coupled to the pressure cup portion (210).
  • a stopper 242 may be formed on the close contact rib 240 ′.
  • a plurality of stoppers 242 may be formed radially around the center of the pressure cup part 210 .
  • the stopper 242 is approximately arc-shap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topper 242 may be formed in various pattern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bject to be adsorbed (G).
  • the stopper 242 serves to prevent wrinkles from forming when the pressure cup part 210 adsorbs a thin work (film or vinyl, etc.).
  • the stopper 242 forms a horizontal state with the surface of the contact rib 240 ′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rib 240 ′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article G to be adsorbed.
  • the stopper 242 is formed on the contact rib 240 ′ separately manufactured from the pressure cup part 21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topper 242 may also be formed on the contact rib 240 integrally formed with the pressure cup part 210 .
  • an air flow line 30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pressure chamber 110 of the housing 100 .
  • the air flow line 300 is a part connected to inject air into the pressure chamber 110 .
  • the air flow line 300 serves to receive air from a pump P to be described below and inject air into the pressure chamber 110 .
  • the air flow line 300 serves to receive air from a pump P to be described below and inject air into the pressure chamber 110 .
  • the upper part of the pressure cup part 210 moves downward, it elastically deform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lower part of the pressure cup part 210 decreases.
  • one end of the air flow line 30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pressure chamber 110, the other end is divided into two,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rt (P1) of the pump (P)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art P2 of the pump P.
  • the diameter of the pressure cup portion 21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rticle G to be adsorbed, the contact area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ure cup portion 210 can be reduced when a small object is gripped.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form the adsorption object article (G) to a size suitable for the adsorption object article (G) without having to replace the suction cup member 20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bject object article (G) to be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object article (G) to be adsorbed.
  • the vacuum suction cup device 10 is provided with a pump (P).
  • the pump P is connected to the air flow line 300 and the vacuum line 214 .
  • the pump (P) serves to discharge air into the pressure chamber 110 through the air flow line 300 or suck the air inside the pressure chamber 110 . In addition, it serves to vacuum the air inside the suction space 212 .
  • the pump (P)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unit (P1) for discharging air and a suction unit (P2) for sucking air,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ir flow line (300) are respectively connected.
  • a first solenoid valve B1 and a second solenoid valve B2 may be provided between one side of the air flow line 300 and the discharge part P1 and between the other side and the suction part P2, respectively.
  • the first solenoid valve (B1) and the second solenoid valve (B2) are part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C) to be described below, and are discharged with one side of the air flow line 300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C). It serves to open and close between the part (P1) and between the other side and the suction part (P2).
  • a third solenoid valve B3 may also be provided between the vacuum line 214 and the suction unit P2.
  • the third solenoid valve (B3) is also a part connected to the controller (C), and the vacuum line (214) and the suction part (P2)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C).
  • the vacuum suction cup device 10 is provided with a controller (C).
  • the controller (C) may be connected to the pump (P) and the first to third solenoid valves (P1, P2, P3).
  • the controller (C) serv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ump (P) and the first to third solenoid valves (P1, P2, P3).
  • one end of the air flow line 30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pressure chamber 110, the other end is divided into two,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rt P1 of the pump P.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art P2 of the pump P,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one end of the air flow line 30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pressure chamber 110 ,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rt P1 of the pump P. And one end of the wire (W)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ure cup portion (210).
  • the other end of the wire (W) is wound around the winch (500).
  • the winch 500 is connected to a motor M to be described below.
  • a motor M is connected to the winch 500 .
  • the motor M serves to drive the winch 500 .
  • the motor (M)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C). Accordingly, as the motor M is rot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C, the wire W is wound or unwound.
  • the pressure cup portion 210 of the suction cup member 200 by driving the pump (P) so as to create a large pressure difference when gripping the large and heavy suction target article (G)
  • the contact area is increased.
  • the contact area of the pressure cup part 210 of the suction cup member 200 may be reduced by driving the pump P to create a vacuum with the suction target article G.
  • various objects can be gripped by deforming to a size suitable for the object without the need to replace the suction cup memb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흡착 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진공 흡착 컵 장치는 내부에 압력실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부가 상기 압력실을 향해 위치되고, 내부에 흡입공간이 형성되며, 흡착 대상 물품에 흡착되는 흡착 컵 부재, 상기 압력실 내부로 공기를 토출시키며, 상기 흡입공간 내부의 공기를 진공 흡입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착 컵 부재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점차 직경이 커지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흡입공간이 형성되는 가압 컵부 및, 상기 가압 컵부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의 외측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흡착 대상 물품의 표면에 밀착되는 상기 가압 컵부의 하부의 직경은 상기 가압 컵부의 상부가 하방으로 이동될수록 작아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물체의 크기에 따라 흡착 컵 부재를 교체할 필요할 필요 없이 물체에 적합한 크기로 변형하여 다양한 물체를 파지할 수 있으므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생산원가 및 교체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진공 흡착 컵 장치
본 발명은 진공 흡착 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지하는 물체에 적합한 크기로 형상이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진공 흡착 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흡착구는 소정의 물품을 진공 흡착하여 이송시킬 때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진공 흡착구에는 통상 엎어높은 접시모양으로 형성되는 흡착판이 구비되는데, 사용시에는 이 흡착판의 중심부분을 물품의 평면에 대고 흡착판의 중심부위에 존재하는 공기가 흡착판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면, 물품과 흡착판 사이의 공간이 진공상태로 만들어지면서 이에 의해 흡착판이 물품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통상의 진공 흡착구는 누르는 힘에 의해 흡착판 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물품의 표면과 흡착판 사이의 공간을 진공 상태로 하여 이에 의해 흡착판이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 중량체인 유리패널 등의 표면을 흡착시켜 이송하는데 있어 부족한 흡착력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중량의 유리패널 등을 흡착시켜 이송하는 경우 진공 흡입라인과 연결되는 진공 흡착판을 이용하고 있는데, 진공 흡입라인을 이용하더라도, 흡착판에 밀착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해야 하므로 물품의 크기에 따라서 그에 맞는 크기의 진공 흡착판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흡착판을 모듈화하여 물품의 크기에 따라 흡착판을 교체하여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흡착판은 별도의 픽업장치에서 물품의 크기에 따라 매번 교체되어야 하므로 생산 원가 및 교체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체의 크기에 따라 교체할 필요 없이 물체에 적합한 크기로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진공 흡착 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 컵 장치에 따르면, 내부에 압력실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실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유동라인이 연결되며, 일측을 향해 개구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개구부에 연결되어 상부가 상기 압력실을 향해 위치되고, 내부에 흡입공간이 형성되며,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진공라인이 연결되어 흡착 대상 물품에 흡착되는 흡착 컵 부재; 상기 공기유동라인 및 상기 진공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압력실 내부로 공기를 토출시키며, 상기 흡입공간 내부의 공기를 진공 흡입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착 컵 부재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점차 직경이 커지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흡입공간이 형성되는 가압 컵부, 및 상기 가압 컵부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의 외측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 대상 물품의 표면에 밀착되는 상기 가압 컵부의 하부의 직경은 상기 가압 컵부의 상부가 하방으로 이동될수록 작아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 컵부의 표면을 둘러 일정 간격으로 고정 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 컵 부재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흡착 대상 물품의 표면에 밀착되는 밀착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리브는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리브는 링형상의 원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 컵 부재는 유연성을 가지는 고분자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유동라인의 일단은 상기 압력실의 내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두 갈래로 갈라져 일측은 상기 펌프의 토출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펌프의 흡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펌프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압력실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상기 가압 컵부의 상부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가압 컵부의 하부의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고, 상기 압력실의 내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는 경우, 상기 가압 컵부의 상부가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가압 컵부의 하부의 직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일단이 상기 가압 컵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권취되는 윈치, 및 상기 윈치에 연결되어 상기 윈치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 컵 장치에 따르면, 크고 무거운 물체를 파지할 경우 큰 압력 차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펌프가 구동함으로써 흡착 컵 부재의 접촉 면적은 늘어나며, 크기가 작은 물체를 파지할 경우 물체와의 진공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펌프가 구동함으로써 흡착 컵 부재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물체의 크기에 따라 흡착 컵 부재를 교체할 필요 없이 물체에 적합한 크기로 변형하여 다양한 물체를 파지할 수 있으므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생산원가 및 교체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 컵 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 컵 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인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 컵 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 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 컵 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 컵 장치의 구성이 개략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흡착 컵 장치(10)에는 하우징(100)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00)은 대략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압력실(110)이 형성된다. 상기 압력실(110)은 아래에서 설명될 흡착 컵 부재(200)의 가압 컵부(210)의 상방 및 하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100)에는 개구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12)는 일측을 향해 개구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112)는 흡착 대상 물품(G)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 흡착 컵 장치(10)에는 흡착 컵 부재(200)가 구비된다. 상기 흡착 컵 부재(200)는 상기 개구부(112)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착 컵 부재(200)는 유연성을 가지는 고분자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축성이 우수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착 컵 부재(200)는 유연성을 가지는 고분자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흡착 컵 부재(200)는 천연고무나 천연고무의 유도체(염화고무, 염산고무, 고리화고무), 부탄디엔계 합성고무, 올레핀계 합성고무, 다중 황화계 합성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 컵 부재(200)는 가압 컵부(210) 및 연결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 컵부(210) 및 연결부(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 컵부(210)는 도 1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점차 직경이 커지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 컵부(210)의 상부는 상기 압력실(110)을 향해 위치된다.
상기 가압 컵부(210)의 내부에는 흡입공간(212)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공간(212)은 하방, 즉, 상기 흡착 대상 물품(G)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공간(212)의 공기가 흡입되면, 상기 흡입공간(212)이 진공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가압 컵부(210)의 하부가 상기 흡착 대상 물품(G)의 표면에 흡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착 대상 물품(G)의 표면에 흡착되는 상기 가압 컵부(210)의 하부의 직경은 상기 가압 컵부(210)의 상부가 하방으로 이동될수록 작아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 컵부(210)의 내측이 외측 방향으로 뒤집어지면서 상기 가압 컵부(210)의 하부의 직경이 줄어드는 것이다.
상기 흡입공간(212)에는 진공라인(214)이 연결된다. 상기 진공라인(214)은 아래에서 설명될 펌프(P)의 흡입부(P2)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공간(212)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상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진공라인(214)을 통해 상기 흡입공간(212)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진공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되면, 흡착 대상 물품(G)의 표면에 상기 가압 컵부(210)가 흡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가압 컵부(210)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112)의 외측 가장자리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220)는 실질적으로 상기 흡착 컵 부재(200)의 맨아래 일부분이 바깥을 향해 뒤집어져 형성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흡착 컵 부재(200)에는 고정 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홈(230)은 상기 가압 컵부(210)의 내측 표면을 둘러 일정 간격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홈(2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 컵부(210)가 변형될 때 상기 고정 홈(230)을 중심으로 뒤집혀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압 컵부(210)의 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홈(230) 사이의 거리는 상기 가압 컵부(210)의 높이 및 내부 직경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홈(230)은 가압 컵부(210)의 내측 표면을 둘러 일정 간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고정 홈(230)은 가압 컵부(210)의 외측 표면을 둘러 일정 간격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가압 컵부(210)의 하부 가장자리에 연장되는 연결부(220)는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고정 홈(230)을 중심으로 가압 컵부(210)가 뒤집혀 변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 컵 부재(200)에는 밀착리브(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착리브(240)는 상기 흡착 대상 물품(G)의 표면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밀착리브(240)는 흡착 대상 물품(G)의 표면에 밀착되는 면적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밀착리브(240)는 상기 가압 컵부(2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밀착리브(240)는 상기 가압 컵부(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리브(240)는 링형상의 원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밀착리브(240)는 링형상의 원판으로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밀착리브(240)는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상기 가압 컵부(210)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리브(240)는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착리브(240)는 상기 고정 홈(230)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압 컵부(210)가 상기 고정 홈(230)을 중심으로 뒤집혀 변형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밀착리브(240)는 상기 가압 컵부(210)와 일체로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리브(240')는 가압 컵부(210)와 다른 재질로 제작되어 가압 컵부(2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착리브(240')는 식품 접촉 물체와 밀착될 수 있도록 FDA(미국식품의약국) 21 CFR 177.2600. 및 EU 규정 EU 1935/2004를 준수한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어 가압 컵부(21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리브(240')에는 스토퍼(2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42)는 상기 가압 컵부(210)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242)는 대략 호 형상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토퍼(242)는 흡착 대상 물품(G)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42)는 얇은 워크(필름 또는 비닐 등)를 가압 컵부(210)가 흡착 할 때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토퍼(242)는 상기 밀착리브(240')가 흡착 대상 물품(G)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밀착리브(240')의 표면과 수평 상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242)는 상기 가압 컵부(210)와 별도로 제작되는 밀착리브(240')에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스토퍼(242)는 가압 컵부(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밀착리브(240)에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압력실(110)의 내부에는 공기유동라인(300)이 연결된다. 상기 공기유동라인(300)은 상기 압력실(110)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연결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유동라인(300)은 아래에서 설명될 펌프(P)로부터 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압력실(110)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가압 컵부(210)의 상부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가압 컵부(210)의 하부의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동라인(300)의 일단은 상기 압력실(110)의 내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두 갈래로 갈라져 일측은 펌프(P)의 토출부(P1)와 연결되고, 타측은 펌프(P)의 흡입부(P2)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P)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압력실(110)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상기 가압 컵부(210)의 상부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가압 컵부(210)의 하부의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흡착 대상 물품(G)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압 컵부(210)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크기가 작은 물체를 파지할 경우, 가압 컵부(210)의 하부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흡착 대상 물품(G)의 크기에 따라 흡착 컵 부재(200)를 교체할 필요 없이 흡착 대상 물품(G)에 적합한 크기로 변형하여 흡착 대상 물품(G)의 표면에 흡착시킬 수 있다.
반대로, 표면적이 크고 무거운 흡착 대상 물품(G)을 파지할 경우에는, 펌프(P)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압력실(110)의 내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된다. 이와 같이 되면, 도 2 또는 도 3의 상태에서 상기 가압 컵부(210)의 상부가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가압 컵부(210)의 하부의 직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가압 컵부(210)의 하부의 접촉 면적은 늘어나며, 상기 압력실(110)의 내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는 상태가 유지되므로, 상기 흡착 컵 부재(200)에 의해 견고하게 흡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 흡착 컵 장치(10)에는 펌프(P)가 구비된다. 상기 펌프(P)는 상기 공기유동라인(300) 및 상기 진공라인(214)과 연결된다. 상기 펌프(P)는 상기 공기유동라인(300)을 통해 상기 압력실(110) 내부로 공기를 토출시키거나, 상기 압력실(1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흡입공간(212) 내부의 공기를 진공흡입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펌프(P)에는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P1) 및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P2)가 구비되어, 상기 공기유동라인(300)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동라인(300)의 일측과 토출부(P1) 사이 및 타측과 흡입부(P2) 사이에는 각각 제 1솔레노이드밸브(B1) 및 제 2솔레노이드밸브(B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솔레노이드밸브(B1) 및 제 2솔레노이드밸브(B2)는 아래에서 설명될 컨트롤러(C)에 연결되는 부분으로, 컨트롤러(C)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공기유동라인(300)의 일측과 토출부(P1) 사이 및 타측과 흡입부(P2) 사이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진공라인(214)과 상기 흡입부(P2)의 사이에도 제 3솔레노이드밸브(B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솔레노이드밸브(B3)도 컨트롤러(C)에 연결되는 부분으로, 컨트롤러(C)의 제어에 의해 진공라인(214)과 흡입부(P2) 사이가 개폐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 흡착 컵 장치(10)에는 컨트롤러(C)가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펌프(P) 및 제 1 내지 제 3솔레노이드밸브(P1, P2, P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펌프(P) 및 제 1 내지 제 3솔레노이드밸브(P1, P2, P3)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유동라인(300)의 일단이 상기 압력실(110)의 내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두 갈래로 갈라져 일측은 상기 펌프(P)의 토출부(P1)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펌프(P)의 흡입부(P2)와 연결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동라인(300)의 일단이 상기 압력실(110)의 내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펌프(P)의 토출부(P1)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 컵부(210)의 상부에는 와이어(W)의 일단이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W)의 타단은 윈치(500)에 권취된다. 상기 윈치(500)는 아래에서 설명될 모터(M)에 연결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윈치(500)에는 모터(M)가 연결된다. 상기 모터(M)는 상기 윈치(50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M)는 컨트롤러(C)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C)의 제어에 의해 모터(M)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W)가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이때, 흡착 대상 물품(G)의 표면에 밀착되는 상기 가압 컵부(210)의 하부의 직경을 크게 할 경우, 상기 와이어(W)를 감는 방향, 즉, 화살표 A 방향으로 감게 되면, 상기 가압 컵부(210)의 상부가 올라가면서 상기 가압 컵부(210)의 하부의 직경이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크고 무거운 흡착 대상 물품(G)을 파지할 경우 큰 압력 차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펌프(P)가 구동함으로써 흡착 컵 부재(200)의 가압 컵부(210)의 접촉 면적은 늘어난다. 그리고 크기가 작은 물체를 파지할 경우 흡착 대상 물품(G)과의 진공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펌프(P)가 구동함으로써 흡착 컵 부재(200)의 가압 컵부(210)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흡착 대상 물품(G)의 크기에 따라 흡착 컵 부재(200)를 교체할 필요할 필요 없이 흡착 대상 물품(G)에 적합한 크기로 변형하여 다양한 물체를 파지할 수 있으므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생산원가 및 교체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체의 크기에 따라 흡착 컵 부재를 교체할 필요 없이 물체에 적합한 크기로 변형하여 다양한 물체를 파지할 수 있으므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생산원가 및 교체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7)

  1. 내부에 압력실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실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유동라인이 연결되며, 일측을 향해 개구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개구부에 연결되어 상부가 상기 압력실을 향해 위치되고, 내부에 흡입공간이 형성되며,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진공라인이 연결되어 흡착 대상 물품에 흡착되는 흡착 컵 부재;
    상기 공기유동라인 및 상기 진공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압력실 내부로 공기를 토출시키며, 상기 흡입공간 내부의 공기를 진공 흡입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착 컵 부재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점차 직경이 커지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흡입공간이 형성되는 가압 컵부, 및
    상기 가압 컵부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의 외측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 대상 물품의 표면에 밀착되는 상기 가압 컵부의 하부의 직경은 상기 가압 컵부의 상부가 하방으로 이동될수록 작아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 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컵부의 표면을 둘러 일정 간격으로 고정 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 컵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컵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흡착 대상 물품의 표면에 밀착되는 복수 개의 밀착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착리브는,
    상기 고정 홈과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압 컵부가 상기 고정 홈을 중심으로 뒤집혀 변형되는 경우, 상기 가압 컵부의 외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 컵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리브는 링형상의 원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 컵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컵 부재는 유연성을 가지는 고분자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 컵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라인의 일단은 상기 압력실의 내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두 갈래로 갈라져 일측은 상기 펌프의 토출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펌프의 흡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펌프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압력실의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상기 가압 컵부의 상부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가압 컵부의 하부의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고,
    상기 압력실의 내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는 경우, 상기 가압 컵부의 상부가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가압 컵부의 하부의 직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 컵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가압 컵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권취되는 윈치, 및
    상기 윈치에 연결되어 상기 윈치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 컵 장치.
PCT/KR2021/014797 2020-10-22 2021-10-21 진공 흡착 컵 장치 WO202208620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581 2020-10-22
KR1020200137581A KR102306129B1 (ko) 2020-10-22 2020-10-22 진공 흡착 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6208A1 true WO2022086208A1 (ko) 2022-04-28

Family

ID=7792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4797 WO2022086208A1 (ko) 2020-10-22 2021-10-21 진공 흡착 컵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06129B1 (ko)
WO (1) WO20220862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129B1 (ko) * 2020-10-22 2021-09-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진공 흡착 컵 장치
KR102535215B1 (ko) * 2021-10-08 2023-05-26 한국기계연구원 측면 파지가 가능한 그리퍼
WO2024005291A1 (ko) * 2022-06-29 2024-01-04 한국기계연구원 파지면의 능동 접힘이 가능한 그리퍼
KR102624036B1 (ko) * 2022-11-29 2024-01-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길이 방향 전개형 진공 흡입 컵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8757A (ja) * 2000-07-05 2002-01-22 Toyota Kihan:Kk 複数重ねの吸着パッドを備えた真空吸着リフト
JP2003225880A (ja) * 2002-02-05 2003-08-12 Mitsubishi Heavy Ind Ltd 物品の吸着搬送用吸盤
KR100934704B1 (ko) * 2009-06-01 2009-12-31 한국뉴매틱(주) 이중-실링 구조를 갖는 에어 그리퍼
KR101784780B1 (ko) * 2016-07-13 2017-10-16 (주)엔에스 진공 그리퍼
KR102090473B1 (ko) * 2018-06-19 2020-03-18 이영숙 흡입식 상품인출장치
KR102306129B1 (ko) * 2020-10-22 2021-09-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진공 흡착 컵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587A (ko) 2003-04-23 2003-05-09 한국뉴매틱(주) 진공펌프용 흡착패드
KR200434642Y1 (ko) 2006-10-10 2006-12-22 장대환 실리콘 패드가 구비된 흡착패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8757A (ja) * 2000-07-05 2002-01-22 Toyota Kihan:Kk 複数重ねの吸着パッドを備えた真空吸着リフト
JP2003225880A (ja) * 2002-02-05 2003-08-12 Mitsubishi Heavy Ind Ltd 物品の吸着搬送用吸盤
KR100934704B1 (ko) * 2009-06-01 2009-12-31 한국뉴매틱(주) 이중-실링 구조를 갖는 에어 그리퍼
KR101784780B1 (ko) * 2016-07-13 2017-10-16 (주)엔에스 진공 그리퍼
KR102090473B1 (ko) * 2018-06-19 2020-03-18 이영숙 흡입식 상품인출장치
KR102306129B1 (ko) * 2020-10-22 2021-09-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진공 흡착 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129B1 (ko)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86208A1 (ko) 진공 흡착 컵 장치
WO2011002202A2 (ko) 각변위 가능한 진공-그리퍼 장치
WO2009116761A2 (ko) 진공 패드장치
WO2021118025A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WO2011071231A2 (ko) 필름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WO2012153944A2 (ko) 진공 그리퍼 장치
WO2016013891A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WO2012134055A2 (ko) 진공 그리퍼 장치
WO2023027383A1 (ko) 펌핑장치의 펌핑을 순조롭게 유도하는 구조의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장치
WO2015088250A1 (ko) 병 진공밀폐장치
CN102751224A (zh) 吸盘、吸盘系统及具有该吸盘的传输系统
WO2018021710A1 (ko) 조립이 용이한 원터치형 흡착유닛
WO2022177196A1 (ko) 모유 착유기 어셈블리
WO2012086949A2 (ko) 레벨보정 기능 갖는 진공컵 어셈블리
SE511790C2 (sv) Hanteringsanordning innefattande sugkoppar
WO2014069723A1 (ko) 병 용기 마개 진공장치
WO2011118885A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CN113580038A (zh) 一种磁控pcb线路板防漏真空吸附装置及吸附方法
WO2010140794A2 (ko) 이중-실링 구조를 갖는 에어 그리퍼
WO2022225098A1 (ko) 오토 드롭퍼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WO2008129409A1 (en) Lyophilization cap and assembly
JP2003225880A (ja) 物品の吸着搬送用吸盤
WO2020009323A1 (ko) 진공 그리퍼 장치
WO2016085309A1 (ko) 진공펌프
WO2019240536A1 (ko) 캡을 갖는 타이어용 공기주입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832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832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