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7471A -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향미 흡인기 - Google Patents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향미 흡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7471A
KR20210087471A KR1020217015316A KR20217015316A KR20210087471A KR 20210087471 A KR20210087471 A KR 20210087471A KR 1020217015316 A KR1020217015316 A KR 1020217015316A KR 20217015316 A KR20217015316 A KR 20217015316A KR 20210087471 A KR20210087471 A KR 20210087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eating element
thermal diffusion
diffusion member
diffusio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5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우지 츠카모토
타케오 미츠이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87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4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4Waterproof or air-tight seal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2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gaseous material

Landscapes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새로운 구조를 가지는 하우징 및 향미 흡인기를 제공한다. 하우징이 제공된다. 이 하우징은, 발열체를 수용 가능한 제1 하우징과, 제1 하우징을 둘러싸는 제2 하우징과,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보다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는 열확산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향미 흡인기
본 발명은, 하우징(筐體) 및 이를 구비한 향미 흡인기(香味吸引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재료의 연소를 하지 않고 향미를 흡인하기 위한 향미 흡인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향미 흡인기로서, 예를 들면, 거의 원통형의 가열기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외부 표면을 가지며, 단열 재료로 만들어진 절연 재킷으로서, 외부 표면의 온도가 40도 미만인 채로 있도록 선택된 두께를 가지는 절연 재킷을 포함하는 점화기를 사용한 무연(無煙) 시가렛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5133891호 명세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구조를 가지는 하우징 및 향미 흡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우징이 제공된다. 이 하우징은, 발열체를 수용 가능한 제1 하우징과, 제1 하우징을 둘러싸는 제2 하우징과,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보다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는 열확산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을 구비한 향미 흡인기가 제공된다.
[도 1a] 본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b] 흡연물품을 보지(保持, 보유 지지)한 상태의 본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 흡연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3] 도 1a에 나타낸 화살표 3-3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 가열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 아우터(outer)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향미 흡인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향미 흡인기의 단면도이다.
[도 7] 열확산시트(heat diffusion sheet)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 발열체, 이너(inner) 하우징, 열확산시트 및 아우터 하우징의 관계를 모식(模式)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 이너 하우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 열확산시트가 설치된 이너 하우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상당(相當)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a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b는, 흡연물품을 보지한 상태의 본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는, 예를 들면, 에어로졸원(源)을 포함한 향미원(香味源)을 가지는 흡연물품(110)을 가열함으로써, 향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흡인기(10)는, 톱(top) 하우징(11A)과, 보텀(bottom) 하우징(11B)과, 커버(12)와, 스위치(13)와, 덮개부(14)를 가진다. 톱 하우징(11A)과 보텀 하우징(11B)은, 서로 접속됨으로써, 향미 흡인기(10)의 최외(最外)의 아우터 하우징(11)(제2 하우징)을 구성한다. 아우터 하우징(11)은, 사용자의 손에 들어가도록 한 사이즈이다. 사용자가 향미 흡인기(10)를 사용할 때는, 향미 흡인기(10)를 손으로 보지하고, 향미를 흡인할 수 있다.
톱 하우징(11A)은, 도시하지 않은 개구(開口)를 가지며, 커버(12)는, 해당 개구를 폐쇄하도록 톱 하우징(11A)에 결합된다.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12)는, 흡연물품(110)을 삽입 가능한 개구(12a)를 가진다. 덮개부(14)는, 커버(12)의 개구(12a)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덮개부(14)는, 커버(12)에 장착되며, 개구(12a)를 폐쇄하는 제1 위치와 개구(12a)를 개방하는 제2 위치 사이를, 커버(12)의 표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에 의해, 덮개부(14)는, 향미 흡인기(10)의 내부로의 흡연물품(110)의 액세스(access)를 허가 또는 제한할 수 있다.
스위치(13)는, 향미 흡인기(10)의 작동의 온(on)과 오프(off)를 전환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연물품(110)을 개구(12a)에 삽입한 상태에서 스위치(13)를 조작함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가열부재에 도시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흡연물품(110)을 연소시키지 않고 가열할 수 있다. 흡연물품(110)이 가열되면, 흡연물품(110)에 포함되는 에어로졸원으로부터 에어로졸이 증발하고, 에어로졸에 향미원의 향미가 끌려 들어간다. 사용자는, 흡연물품(110)의 향미 흡인기(10)로부터 돌출한 부분(도 1b에서 도시된 부분)을 흡인함으로써, 향미를 포함한 에어로졸을 흡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향미 흡인기(10)의 길이방향이란, 흡연물품(110)이 개구(12a)에 삽입되는 방향을 말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에 사용되는 흡연물품(1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흡연물품(110)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흡연물품(110)은, 충전물(充塡物)(111)과, 충전물(111)을 권장(卷裝, wrap)하는 제1 권지(卷紙)(112)를 포함하는 기재부(基材部)(110A)와, 기재부(110A)와는 반대측의 단부(端部)를 형성하는 흡구부(吸口部)(110B)를 가진다. 기재부(110A)와 흡구부(110B)는, 제1 권지(112)와는 다른 제2 권지(11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단, 제2 권지(113)를 생략하고, 제1 권지(112)를 사용하여 기재부(110A)와 흡구부(110B)를 연결할 수도 있다.
도 2 중의 흡구부(110B)는, 지관부(紙管部, 종이관부)(114)와, 필터부(115)와, 지관부(114)와 필터부(115) 사이에 배치된 중공(中空) 세그먼트부(segment部)(116)를 가진다. 중공 세그먼트부(116)는,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복수의 중공 채널을 가지는 충전층과, 충전층을 덮는 플러그 래퍼(plug wrapper)로 구성된다. 충전층은, 섬유의 충전 밀도가 높기 때문에, 흡인시, 공기나 에어로졸은, 중공 채널만을 흐르게 되고, 충전층 안은 거의 흐르지 않는다. 흡연물품(110)에서, 필터부(115)에서의 에어로졸 성분의 여과에 의한 감소를 적게 하고 싶을 때에, 필터부(115)의 길이를 짧게 해서 중공 세그먼트부(116)로 치환하는 것은, 에어로졸의 딜리버리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유효하다.
도 2 중의 흡구부(110B)는, 3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 흡구부(110B)는, 하나 또는 2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4개 또는 그 이상의 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중공 세그먼트부(116)를 생략하고, 지관부(114)와 필터부(115)를 서로 인접 배치하여 흡구부(110B)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 흡연물품(110)의 길이방향의 길이는, 40㎜∼9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75㎜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50㎜∼6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연물품(110)의 원둘레(圓周)는, 15㎜∼25㎜인 것이 바람직하고, 17㎜∼24㎜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20㎜∼2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흡연물품(110)에서의 기재부(110A)의 길이는 20㎜, 제1 권지(112)의 길이는 20㎜, 중공 세그먼트부(116)의 길이는 8㎜, 필터부(115)의 길이는 7㎜이어도 되지만, 이들 개개의 세그먼트의 길이는, 제조 적성(適性), 요구 품질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흡연물품(110)의 충전물(111)은, 소정 온도로 가열되어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에어로졸원을 함유할 수 있다. 에어로졸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천연물로부터의 추출 물질 및/또는 그들 구성성분을 선택할 수 있다. 에어로졸원으로서, 예를 들면,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트리아세틴, 1, 3-부탄디올,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충전물(111) 중의 에어로졸원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충분히 에어로졸을 발생함과 아울러, 양호한 향끽미(香喫味)의 부여의 관점에서, 통상 5중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이며, 또한, 통상 50중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흡연물품(110)의 충전물(111)은, 향미원으로서 담배각(shred tobacco, 살담배)을 함유할 수 있다. 담배각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엽편(laminae)이나 줄기(中骨, stem) 등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흡연물품(110)에서의 충전물(111)의 함유량의 범위는, 원둘레 22㎜, 길이 20㎜인 경우, 예를 들면, 200㎎∼400㎎이며, 250㎎∼3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물(111)의 수분 함유량은, 예를 들면, 8중량%∼18중량%이며, 10중량%∼16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분 함유량이면, 권염(卷染, 얼룩)의 발생을 억제하고, 기재부(110A)의 제조시의 권상(卷上, winding) 적성을 양호하게 한다. 충전물(111)로서 사용하는 담배각의 크기나 그 조제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건조된 담배잎을, 폭 0.8㎜∼1.2㎜로 자른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건조된 담배잎을 평균 입경(粒徑)이 20㎛∼200㎛ 정도가 되도록 분쇄하여 균일화한 것을 시트 가공하고, 그것을 폭 0.8㎜∼1.2㎜로 자른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시트 가공한 것에 대해 자르지 않고 개더(gather) 가공한 것을 충전물(111)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충전물(111)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향료(香料)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해당 향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양호한 끽미(喫味)의 부여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멘톨(menthol)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흡연물품(110)의 제1 권지(112) 및 제2 권지(113)는, 평량(坪量)이 예를 들면 20gsm∼65gsm이며, 바람직하게는 25gsm∼45gsm인 원지(原紙)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권지(112) 및 제2 권지(113)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강성(剛性), 통기성(通氣性), 및 제지(製紙)시의 조정 용이성의 관점에서, 10㎛∼100㎛이며, 바람직하게는 20㎛∼75㎛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0㎛∼50㎛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흡연물품(110)의 제1 권지(112) 및 제2 권지(113)에는, 전료(塡料, loading material)가 포함될 수 있다. 전료의 함유량은, 제1 권지(112) 및 제2 권지(113)의 전체 중량에 대해 10중량%∼60중량%를 들 수 있으며, 15중량%∼4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바람직한 평량의 범위(25gsm∼45gsm)에 대해, 전료가 15중량%∼4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료로서는, 예를 들면, 탄산칼슘, 이산화티탄, 카올린(kaoli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전료를 포함하는 종이는, 흡연물품(110)의 권지로서 이용하는 외관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백색계(白色系)의 밝은 색을 띠고, 항구적으로 백색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한 전료를 많이 함유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권지의 ISO 백색도(白色度)를 83%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흡연물품(110)의 권지로서 이용하는 실용상의 관점에서, 제1 권지(112) 및 제2 권지(113)는 8N/15㎜ 이상의 인장 강도(强度)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인장 강도는, 전료의 함유량을 적게 함으로써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에서 예시한 각 평량의 범위에서 나타낸 전료의 함유량의 상한보다 전료의 함유량을 적게 함으로써,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향미 흡인기(10)의 내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a에 나타낸 화살표 3-3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흡인기(10)는, 아우터 하우징(11) 및 이너 하우징(18)(제1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전원부(20)와, 회로부(30)와, 가열부(40)를 가진다. 아우터 하우징(11) 및 이너 하우징(18)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회로부(30)는, 제1 회로기판(31)과, 제1 회로기판(3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회로기판(32)을 가진다. 제1 회로기판(31)은,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전원부(20)와 가열부(40)는, 제1 회로기판(31)에 의해 구획된다. 그 결과, 가열부(40)에서 발생하는 열이 전원부(20)에 전달되는 것이 억제된다.
제2 회로기판(32)은, 톱 하우징(11A)과 전원부(2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회로기판(31)의 연재(延在)방향과 직교(直交)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스위치(13)는, 제2 회로기판(32)과 인접하여 배치된다. 사용자가 스위치(13)를 압하(押下)했을 때, 스위치(13)의 일부가, 제2 회로기판(32)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회로기판(31) 및 제2 회로기판(32)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며, 전원부(20)로부터 가열부(40)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회로기판(31) 및 제2 회로기판(32)은, 가열부(40)에 의한 흡연물품(110)의 가열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부(20)는, 제1 회로기판(31) 및 제2 회로기판(3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21)을 가진다. 전원(21)은, 예를 들면, 충전식 배터리 또는 비(非)충전식 배터리일 수 있다. 전원(21)은, 제1 회로기판(31) 및 제2 회로기판(32)의 적어도 한쪽을 통해, 가열부(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의해, 전원(21)은, 흡연물품(110)을 적절히 가열하도록, 가열부(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21)은, 가열부(4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전원(21)의 크기를 크게 해도, 향미 흡인기(10)의 길이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향미 흡인기(10)는, 외부 전원과 접속 가능한 단자(22)를 가진다. 단자(22)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USB 등의 케이블과 접속할 수 있다. 전원(21)이 충전식 배터리인 경우는, 단자(22)에 외부 전원을 접속함으로써,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21)에 전류를 흘려, 전원(21)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단자(22)에 마이크로 USB 등의 데이터 송신 케이블을 접속하는 것에 의해, 향미 흡인기(10)의 작동에 관련한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가열부(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열 어셈블리(41)를 가진다. 가열 어셈블리(41)는, 복수의 통 모양(筒狀) 부재로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통 모양체를 이루고 있다. 가열 어셈블리(41)는, 그 내부에 흡연물품(110)의 일부를 수납 가능하게 구성되며, 흡연물품(110)으로 공급할 공기의 유로(流路)를 획정하는 기능, 및 흡연물품(110)을 외주(外周)로부터 가열하는 기능을 가진다.
보텀 하우징(11B)에는, 가열 어셈블리(41)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통기구(通氣口)(15)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통기구(15)는, 가열 어셈블리(41)의 일단부(도 3에서의 좌측 단부)와 유체 연통(流體連通)한다. 또한, 향미 흡인기(10)는, 통기구(15)에 착탈(着脫) 가능한 캡(16)을 가진다. 캡(16)은, 통기구(15)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통기구(15)로부터 가열 어셈블리(41)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관통구멍 또는 절결부(notch) 등을 가질 수 있다. 캡(16)을 통기구(15)에 장착함으로써, 가열 어셈블리(41) 안에 삽입된 흡연물품(110)으로부터 발생하는 물질이, 통기구(15)로부터 아우터 하우징(11)의 외부로 낙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가열 어셈블리(41)의 다른 일단부(도 3에서의 우측 단부)는, 도 1b에 나타낸 개구(12a)와 유체 연통한다. 개구(12a)를 가지는 커버(12)와 가열 어셈블리(41)의 다른 일단부 사이에는, 거의 통 모양인 아우터 핀(17)이 설치된다. 흡연물품(110)은,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12)의 개구(12a)로부터 향미 흡인기(10)의 내부로 삽입되면, 아우터 핀(17)을 통과하여, 흡연물품(110)의 일부가 가열 어셈블리(41)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아우터 핀(17)은, 가열 어셈블리(41)의 다른 일단부측의 개구의 크기보다, 커버(12)측의 개구 쪽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흡연물품(110)을 개구(12a)로부터 아우터 핀(17)의 내부로 삽입하기 쉬워진다. 또한, 가열 어셈블리(41)의 내부에 흡연물품(110)이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는, 사용자는, 개구(12a)로부터 브러시(brush) 등의 기구를 삽입함으로써, 가열 어셈블리(41)의 내부를 클리닝할 수 있다. 클리닝용의 기구는, 가열 어셈블리(41)의 일단부(도 3에서의 좌측 단부)로부터 삽입될 수도 있다. 그 경우는 향미 흡인기(10)의 통기구(15)로부터 캡이 제거된다.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연물품(110)이 개구(12a)로부터 향미 흡인기(10) 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흡연물품(110)의 향미 흡인기(10)로부터 돌출한 부분, 즉 도 2에 나타낸 필터부(115)로부터 흡인하면, 통기구(15)로부터 가열 어셈블리(41)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한다. 유입한 공기는, 가열 어셈블리(41)의 내부를 통과하여, 흡연물품(110)으로부터 생기는 에어로졸과 함께, 사용자의 입안으로 도달한다. 따라서, 가열 어셈블리(41)의 통기구(15)에 가까운 측은 상류측이며, 가열 어셈블리(41)의 개구(12a)에 가까운 측(아우터 핀(17)에 가까운 측)은 하류측이다.
다음으로, 도 3에 나타낸 가열 어셈블리(4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가열 어셈블리(4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여기서는, 가열 어셈블리(41) 중, 흡연물품(110)을 외주로부터 가열하는 발열체(50)의 구성으로 좁혀 설명한다. 발열체(50)는, 내측관(內側管)(42)과, 가열부재(43)와, 에어로겔(aerogel)(44)(단열재의 일례에 상당한다)과, 외측관(45)을 가진다. 내측관(42)은, 흡연물품(110)을 삽입 가능한 제1 개구(42a)를 일단에 가지며, 또한 공기 입구를 형성하는 제2 개구(42b)를 타단에 가지며, 흡연물품(110)을 수용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측관(42)은, 기둥 모양(柱狀)이며, 제1 개구(42a)로부터 삽입된 흡연물품(110)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제2 개구(42b)는, 공기류(空氣流)의 상류측에 위치하며, 제1 개구(42a)는 하류측에 위치한다.
외측관(45)은, 내측관(42)을 둘러싸서 배치되며, 내측관(42)과 외측관(45) 사이에 소정의 통 모양 공간이 형성된다. 가열부재(43)는, 예를 들면 2장의 PI(폴리이미드) 등의 필름으로 발열 저항체를 끼워넣어 구성되는, 가요성(可撓性)의 필름 히터일 수 있다. 가열부재(43)는, 내측관(42)에 맞닿도록(當接)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된 예에서는, 가열부재(43)가 내측관(42)의 외주면(外周面)에 배치되어, 가열부재(43)의 내부 표면이 내측관(42)의 외부 표면과 접촉한다. 가열부재(43)는, 내측관(42)의 외주면을 따라서 배치되므로, 전체적으로 거의 통 모양으로 변형된다.
에어로겔(44)은, 내측관(42)과 외측관(45) 사이에 형성된 통 모양 공간에 배치된다. 내측관(42)과 외측관(45) 사이에 에어로겔(44)이 배치되므로, 가열부재(43)로부터 발생하는 열은, 외측관(45)에 전해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열부재(43)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단열하기 위해 에어로겔(44)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다른 단열재를 사용해도 되며, 내측관(42)과 외측관(45) 사이에 형성된 통 모양 공간을 진공으로 하여 진공 단열 공간을 구성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3에 나타낸 아우터 하우징(11) 및 이너 하우징(18)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아우터 하우징(11)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향미 흡인기(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향미 흡인기(10)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서, 이너 하우징(18)은, 도 3에 나타낸 전원부(20)와, 회로부(30)와, 가열부(40)를 내부 공간에 격납(格納)한다. 즉, 이너 하우징(18)은, 가열 어셈블리(41) 중, 흡연물품(110)을 외주로부터 가열하는 발열체(50)를 격납하고 있다. 아우터 하우징(11)을 구성하는 톱 하우징(11A) 및 보텀 하우징(11B)은, 이너 하우징(18)을 둘러싸서, 이너 하우징(18)을 내부 공간에 격납한다. 이너 하우징(18)과 아우터 하우징(11) 사이에는, 열확산시트(60)(열확산부재의 일례에 상당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너 하우징(18)의 표면(도 5에서의 앞쪽 면) 및 이면(도 5에서의 안쪽 면)에 열확산시트(60)가 설치되어 있다.
이너 하우징(18) 및 아우터 하우징(11)은, 예를 들면 수지제(樹脂製)이며, 특히, 폴리카보네이트(PC),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또는 복수 종류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폴리머 알로이(polymer alloy)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하우징(18) 및 아우터 하우징(11)은, 같은 재료로 만들어져도 되고, 열전도율이 상이한 다른 재료로 만들어져도 된다. 또한, 이너 하우징(18) 및/또는 아우터 하우징(11)이 복수 부품으로 구성될 경우, 그들 복수 부품은, 같은 재료로 만들어져도 되고, 열전도율이 상이한 다른 재료로 만들어져도 된다. 또한, 열확산시트(60)는, 예를 들면 그래파이트(graphite)제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면서, 열확산시트(6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열확산시트(6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에서, 열확산시트(60)는, 이너 하우징(18)의 외부 표면에 접촉하는 제1 면(60a)과, 제1 면(60a)의 반대측을 향한 제2 면(60b)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열확산시트(60)는, 그래파이트 재료에 의해 형성된 그래파이트층(61)과, 그래파이트층(61)의 한쪽 면에 첩부(貼付, 부착)되어 제1 면(60a)을 형성하는 양면 접착지(62)와, 그래파이트층(61)의 다른쪽 면에 첩부되어 제2 면(60b)을 형성하는 편면(片面, 일면) 테이프(63)를 가진다. 또한, 열확산시트(60)는, 예를 들면 두께 60마이크로미터의 그래파이트 재료를 3층 적층한 두께 180마이크로미터의 그래파이트층(61)과, 양면 접착지(62)와, 편면 테이프(63)를 합쳐 약 0.2㎜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또한, 편면 테이프(63)는, 그래파이트층(61)의 제2 면(60b)측의 면을 보호하는 보호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열확산시트(60)의 구조는, 상기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그래파이트층(61)은 2층 이하 또는 4층 이상이어도 되고, 양면 접착지(62) 및/또는 편면 테이프(63) 대신에 다른 동등한 기능을 가지는 공지의 것을 사용해도 된다.
여기서, 주위 온도가 20℃일 때의 이너 하우징(18) 또는 아우터 하우징(11)의 열전도율은, 예를 들면 0.1W/mK∼0.8W/mK이며, 바람직하게는 0.1W/mK∼0.4W/mk이고, 전형적으로는 0.2W/mK이다. 또한, 주위 온도가 20℃일 때의 그래파이트제의 열확산시트(60)의 열전도율은, 예를 들면 700W/mK∼2000W/mK이고, 바람직하게는 1100W/mK∼1500W/mK이며, 전형적으로는 1300W/mK이다. 그래서, 이너 하우징(18)의 열전도율 및 아우터 하우징(11)의 열전도율 중, 큰 쪽의 열전도율 RA에 대한 열확산시트(60)의 열전도율 RB의 비(比)인 RB/RA는, 875 이상 2000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2750 이상 15000이며, 전형적으로는 6500이다. 또한, 이너 하우징(18), 아우터 하우징(11) 및 열확산시트(60)의 열전도율은, 상기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열확산시트(60)의 열전도율이 이너 하우징(18) 또는 아우터 하우징(11)의 열전도율보다 높으면 된다. 또한, 열확산시트(60)는, 그래파이트제로 한정되지 않고, 알루미늄이나 구리와 같은 금속제이어도 된다.
열확산시트(60)는, 발열체(50)의 외부 표면의 최고 온도 T1과 아우터 하우징(11)의 외부 표면의 최고 온도 T2의 온도차인 T1-T2가, 예를 들면 17도 이상 27도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열확산시트(60)는, 아우터 하우징(11)의 외부 표면의 최고 온도 T2가, 예를 들면 43도 이상 53도 이하가 되도록, 전형적으로는 48도가 되도록, 발열체(50) 및 아우터 하우징(11)에 대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열확산시트(60)의 성능은, 상기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5 및 도 6으로 돌아가, 열확산시트(60)의 제1 면(60a)은, 이너 하우징(18)의 외부 표면에 접촉하며, 열확산시트(60)의 제2 면(60b)은, 아우터 하우징(11)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이간(離間)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너 하우징(18)과 아우터 하우징(11) 사이에 열확산시트(60)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에서, 열확산시트(60)의 제2 면(60b)과 아우터 하우징(11)의 내부 표면 사이에는, 예를 들면 공기층이 형성되어 있다. 단, 이 공기층은 필수가 아니며, 열확산시트(60)의 제2 면(60b)은, 아우터 하우징(11)의 내부 표면과 접촉해 있어도 된다. 또한, 열확산시트(60)는, 발열체(50)의 길이방향, 즉, 향미 흡인기(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발열체(50)를 보았을 때에, 발열체(50)의 전체 길이를 덮고, 또한 발열체(50)의 전체 길이보다 긴 범위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너 하우징(18)과 아우터 하우징(11) 사이에 열확산시트(6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는, 이너 하우징(18)의 외부 표면과 아우터 하우징(11)의 내부 표면이 서로 접촉해 있다. 또한, 외측관(45)의 외주면에는, 발열체(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이너 하우징(18)의 내부 표면과의 접촉 영역(45a)이 형성된다. 열확산시트(60)는, 발열체(5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촉 영역(45a)을 가로질러 연재(延在)해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서, 발열체(50), 이너 하우징(18), 열확산시트(60) 및 아우터 하우징(11)의 위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발열체(50), 이너 하우징(18), 열확산시트(60) 및 아우터 하우징(11)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에서, 열확산시트(60)의 제2 면(60b)과 아우터 하우징(11)의 내부 표면 사이에는, 예를 들면 공기층 등의 간극(spac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열확산시트(60)는, 발열체(50)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긴 범위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아우터 하우징(11)의 내부 표면은, 열확산시트(60)와 마주한 부분 영역(11c)을 가지며, 아우터 하우징(11)의 외부 표면에서의 부분 영역(11c)과 대응하는 영역(11d)는, 사용자가 손으로 보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이너 하우징(18)과 열확산시트(60)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이너 하우징(18)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열확산시트(60)가 설치된 이너 하우징(18)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서, 이너 하우징(18)의 외부 표면에는, 열확산시트(60)를 설치하기 위한 오목부(凹部)(18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18a)의 깊이는, 열확산시트(60)의 두께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크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18a)의 깊이 d에 대한 열확산시트(60)의 두께 t의 비인 t/d가, 0.9 이상 1.0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오목부(18a)로부터 열확산시트(60)가 밀려나오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이너 하우징(18)의 반대측의 면에도, 동일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는, 이너 하우징(18)에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아우터 하우징(11)의 내부 표면에 형성되어도 되고, 이너 하우징(18) 및 아우터 하우징(11) 양쪽 모두에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의 향미 흡인기(10)에 따르면, 발열체(50)와, 발열체(50)를 격납하는 이너 하우징(18)과, 이너 하우징(18)을 격납하는 아우터 하우징(11)과, 이너 하우징(18)과 아우터 하우징(11)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며, 이너 하우징(18) 및 아우터 하우징(11)보다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는 열확산시트(60)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발열체(50)로부터 발생한 열을 열확산시트(60)에 의해 확산시킬 수 있어, 하우징이 국소적으로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향미 흡인기(10)를 이너 하우징(18) 및 아우터 하우징(11)의 이중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향미 흡인기(10)의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향미 흡인기(10)의 하우징을 일중(一重, 한 겹)으로 했을 경우에는, 내부 부품의 고정 구조와 외장(外裝) 부품을 일체로 하게 되어 디자인의 제약이 커지지만, 이중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디자인의 제약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열확산시트(60)는, 이너 하우징(18)의 외부 표면에 접촉하는 제1 면(60a)과, 제1 면(60a)의 반대측을 향한 제2 면(60b)을 가지며, 제2 면(60b)은, 아우터 하우징(11)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이간해 있다. 그 때문에, 열확산시트(60)가 이너 하우징(18)에 설치되고, 열확산시트(60)의 제2 면(60b)과 아우터 하우징(11)의 내부 표면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발열체(50)로부터 발생한 열을 열확산시트(60)에 의해 효율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어, 하우징이 국소적으로 뜨거워지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푸리에 법칙(Fourier's law)에 의해, 열확산시트(60) 내부의 전열량(傳熱量)은, 온도 구배(勾配)에 비례한다. 그 때문에, 더 발열체(50)에 가까운 이너 하우징(18)측에 열확산시트(60)를 설치한 편이, 고온부(열원(熱源)에 의한 온도 상승이 큰 부분)와 저온부(온도 상승이 작은 부분)의 온도 구배가 커져, 전열량이 커진다. 또한, 단열부로서의 공기층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아우터 하우징(11)의 온도를 전체적으로 낮출 수 있다. 즉, 이너 하우징(18), 열확산시트(60), 공기층, 아우터 하우징(11)의 순번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높은 열확산 효과와 단열 효과의 양쪽 모두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아우터 하우징(11)에 열확산시트(60)를 설치하고, 이너 하우징(18), 공기층, 열확산시트(60), 아우터 하우징(11)의 순번으로 배치했을 경우에는, 공기층의 단열 효과에 의해 열확산시트(60)의 온도 구배가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열확산 효과가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또한, 아우터 하우징(11)에 열확산시트(6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아우터 하우징(11)이 톱 하우징(11A) 및 보텀 하우징(11B)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열확산시트(60)도 분리하게 된다. 즉, 이너 하우징(18)에 열확산시트(60)를 설치하는 경우와 같은 면적으로 아우터 하우징(11)에 열확산시트(60)를 설치하려고 하면, 톱 하우징(11A)측과 보텀 하우징(11B)측에서 열확산시트(60)를 분리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너 하우징(18)에 열확산시트(6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열확산시트(60)를 분리하지 않고 넓은 면적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발열체(50)는, 기둥 형상을 가지며, 열확산시트(60)는, 발열체(5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발열체(50)를 보았을 때에, 발열체(50)의 전체 길이를 덮고, 또한 발열체(50)의 전체 길이보다 긴 범위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측관(45)은, 발열체(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이너 하우징(18)의 내부 표면과의 접촉 영역(45a)을 외측관(45)의 외주면에 포함하며, 열확산시트(60)는, 발열체(5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촉 영역(45a)을 가로질러 연재해 있다. 그 때문에, 발열체(50)를 덮도록 열확산시트(60)를 배치했으므로, 발열체(50)로부터 발생한 열을 열확산시트(60)에 의해 효율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어, 하우징이 국소적으로 뜨거워지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너 하우징(18)과 아우터 하우징(11) 사이에 열확산시트(6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 이너 하우징(18)의 외부 표면과 아우터 하우징(11)의 내부 표면은, 서로 접촉하고 있다. 그 때문에, 아우터 하우징(11)을 이너 하우징(18)에 대해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이너 하우징(18) 및 아우터 하우징(11)은, 예를 들면 수지제이다. 열확산시트(60)는, 예를 들면 그래파이트제이다. 또한, 이너 하우징(18)의 열전도율 및 아우터 하우징(11)의 열전도율 중, 큰 쪽의 열전도율 RA에 대한 열확산시트(60)의 열전도율 RB의 비인 RB/RA는, 875 이상 2000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2750 이상 15000이고, 전형적으로는 6500이다. 열확산시트(60)는, 발열체(50)의 외부 표면의 최고 온도 T1과 아우터 하우징(11)의 외부 표면의 최고 온도 T2의 온도차인 T1-T2가, 예를 들면 17도 이상 27도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열확산시트(60)는, 아우터 하우징(11)의 외부 표면의 최고 온도 T2가, 예를 들면 43도 이상 53도 이하가 되도록, 발열체(50) 및 아우터 하우징(11)에 대해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발열체(50)로부터 발생한 열을 열확산시트(60)에 의해 확산시킬 수 있어, 하우징이 국소적으로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발명자들에 의한 실험의 결과, 주위 온도가 25℃인 환경 아래에서, 발열체(50)의 표면 온도가 약 70도일 경우에, 발열체(50)의 표면으로부터 2.5㎜ 떨어진 위치에서의 아우터 하우징(11)의 표면 온도의 피크값이, 약 48도가 되었다. 또한, 열확산시트(6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발열체(50)의 표면으로부터 2.5㎜ 떨어진 위치에서의 아우터 하우징(11)의 표면 온도의 피크값은, 약 60도였다. 즉, 아우터 하우징(11)의 표면이 국소적으로 고온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확산시트(60)가 도전성체(導電性體)였다고 해도, 수지인 이너 하우징(18) 및 아우터 하우징(11)에 열확산시트(60)가 끼워지는 구조인 점에서, 기판이 쇼트(short, 단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너 하우징(18)의 외부 표면 및 아우터 하우징(11)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한쪽에는, 열확산시트(60)를 설치하기 위한 오목부(18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18a)의 깊이는, 열확산시트(60)의 두께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크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18a)의 깊이 d에 대한 열확산부재의 두께 t의 비 t/d는, 0.9 이상 1.0 이하이다. 그 때문에, 발열체(50)로부터 발생한 열을 열확산시트(60)에 의해 확산시켜, 하우징이 국소적으로 고온화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너 하우징(18) 또는 아우터 하우징(11)이 두꺼워져, 향미 흡인기(10)가 대형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명세서와 도면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직접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어떤 형상이나 재질이어도, 본원발명의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이상,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이다.
이하에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형태의 몇 가지를 기재해 둔다.
제1 형태에 따르면, 발열체를 수용 가능한 제1 하우징과, 제1 하우징을 둘러싸는 제2 하우징과,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보다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는 열확산부재를 구비한 하우징이 제공된다.
제2 형태에 따르면, 제1 형태의 하우징에서,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수지제이다.
제3 형태에 따르면,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의 하우징에서, 열확산부재는, 제1 하우징의 외부 표면에 접촉하는 제1 면과, 제1 면의 반대측을 향한 제2 면을 가지며, 제2 면은, 제2 하우징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이간해 있다.
제4 형태에 따르면, 제1 형태에서부터 제3 형태까지의 어느 하나의 하우징에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열확산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 제1 하우징의 외부 표면과 제2 하우징의 내부 표면은, 서로 접촉해 있다.
제5 형태에 따르면, 제1 형태에서부터 제4 형태까지의 어느 하나의 하우징에서, 제1 하우징의 외부 표면 및 제2 하우징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한쪽에는, 열확산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6 형태에 따르면, 제5 형태의 하우징에서, 오목부의 깊이는, 열확산부재의 두께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크다.
제7 형태에 따르면, 제1 형태에서부터 제6 형태까지의 어느 하나의 하우징에서, 발열체는, 기둥 형상을 가지며, 열확산부재는, 발열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발열체를 보았을 때에, 발열체의 전체 길이를 덮고, 또한 발열체의 전체 길이보다 긴 범위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제8 형태에 따르면, 제1 형태에서부터 제7 형태까지의 어느 하나의 하우징에서, 열확산부재는, 그래파이트제, 알루미늄제 및 구리제의 적어도 하나이다.
제9 형태에 따르면, 제8 형태의 하우징에서, 열확산부재는, 그래파이트제이며, 열확산부재의 제2 하우징측의 면에는, 보호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제10 형태에 따르면, 제1 형태에서부터 제9 형태까지의 어느 하나의 하우징에서, 제1 하우징의 열전도율 및 제2 하우징의 열전도율 중, 큰 쪽의 열전도율(RA)에 대한 열확산부재의 열전도율(RB)의 비(RB/RA)는, 2500 이상 16000 이하다.
제11 형태에 따르면, 제1 형태에서부터 제10 형태까지의 어느 하나의 하우징에서, 열확산부재는, 발열체의 외부 표면의 최고 온도(T1)와 제2 하우징의 외부 표면의 최고 온도(T2)의 온도차(T1-T2)가, 17도 이상 27도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2 형태에 따르면, 제1 형태에서부터 제11 형태까지의 어느 하나의 하우징에서, 열확산부재는, 제2 하우징의 외부 표면의 최고 온도(T2)가, 43도 이상 53도 이하가 되도록, 발열체 및 제2 하우징에 대해 배치되어 있다.
제13 형태에 따르면, 제1 형태에서부터 제12 형태까지의 어느 하나의 하우징을 구비한 향미 흡인기가 제공된다.
제14 형태에 따르면, 제13 형태의 향미 흡인기에서, 발열체는, 기둥 모양의 흡연물품을 수용 가능한 내측관과, 내측관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흡연물품을 지름방향의 외측으로부터 가열하는 가열부재와, 내측관 및 가열부재를 둘러싸서 배치되며, 발열체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측관과, 내측관과 외측관 사이의 통 모양 공간에 배치된 단열재를 가진다.
제15 형태에 따르면, 제14 형태의 하우징에서, 외측관은, 발열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제1 하우징의 내부 표면과의 접촉 영역을 외측관의 외주면에 포함하며, 열확산부재는, 발열체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촉 영역을 가로질러 연재해 있다.
제16 형태에 따르면, 제13 형태에서부터 제15 형태까지의 어느 하나의 향미 흡인기에서, 제2 하우징의 내부 표면은, 열확산부재와 마주한 부분 영역을 가지며, 제2 하우징의 외부 표면에서의 부분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은, 사용자가 손으로 보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10…향미 흡인기
11…아우터 하우징
18…이너 하우징
42…내측관
43…가열부재
44…에어로겔
45…외측관
50…발열체
60…열확산시트
60a…제1 면
60b…제2 면
61…그래파이트층
62…양면 접착지
63…편면 테이프
11A…톱 하우징
11B…보텀 하우징

Claims (16)

  1. 발열체를 수용 가능한 제1 하우징(筐體)과,
    상기 제1 하우징을 둘러싸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보다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는 열확산부재
    를 구비한 하우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은, 수지제(樹脂製)인
    하우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확산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외부 표면에 접촉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을 향한 제2 면을 가지며,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이간(離間)해 있는
    하우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상기 열확산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외부 표면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 표면은, 서로 접촉해 있는
    하우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외부 표면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열확산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오목부(凹部)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상기 열확산부재의 두께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큰
    하우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열확산부재는, 상기 발열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발열체를 보았을 때에, 상기 발열체의 전체 길이를 덮고, 또한 상기 발열체의 전체 길이보다 긴 범위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확산부재는, 그래파이트(graphite)제, 알루미늄제 및 구리제의 적어도 하나인
    하우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열확산부재는, 그래파이트제이며,
    상기 열확산부재의 상기 제2 하우징측의 면에는, 보호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열전도율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열전도율 중, 큰 쪽의 열전도율(RA)에 대한 상기 열확산부재의 열전도율(RB)의 비(RB/RA)는, 2750 이상 20000 이하인
    하우징.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확산부재는, 상기 발열체의 외부 표면의 최고 온도(T1)와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부 표면의 최고 온도(T2)의 온도차(T1-T2)가, 17도 이상 27도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우징.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확산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부 표면의 최고 온도(T2)가, 43도 이상 53도 이하가 되도록, 상기 발열체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해 배치되어 있는
    하우징.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우징을 구비한 향미 흡인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발열체를 구비하며,
    상기 발열체는,
    기둥 모양의 흡연물품을 수용 가능한 내측관(內側管)과,
    상기 내측관의 외주면(外周面)에 배치되며, 상기 흡연물품을 지름방향의 외측으로부터 가열하는 가열부재와,
    상기 내측관 및 상기 가열부재를 둘러싸서 배치되며, 상기 발열체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측관과,
    상기 내측관과 상기 외측관 사이의 통 모양 공간에 배치된 단열재
    를 가지는
    향미 흡인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외측관은, 상기 발열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재(延在)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 표면과의 접촉 영역을 상기 외측관의 외주면에 포함하고,
    상기 열확산부재는, 상기 발열체의 길이방향과 직교(直交)하는 방향으로, 상기 접촉 영역을 가로질러 연재해 있는
    향미 흡인기.
  16.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 표면은, 상기 열확산부재와 마주한 부분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부 표면에서의 상기 부분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은, 사용자가 손으로 보지(保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향미 흡인기.
KR1020217015316A 2018-10-26 2018-10-26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향미 흡인기 KR202100874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39856 WO2020084759A1 (ja) 2018-10-26 2018-10-26 筐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香味吸引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471A true KR20210087471A (ko) 2021-07-12

Family

ID=70331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5316A KR20210087471A (ko) 2018-10-26 2018-10-26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향미 흡인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235761A1 (ko)
EP (1) EP3871532A4 (ko)
JP (1) JP7258908B2 (ko)
KR (1) KR20210087471A (ko)
CN (1) CN112969377A (ko)
TW (1) TWI774868B (ko)
WO (1) WO20200847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216B1 (ko) * 2017-10-30 2019-12-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히터 조립체
US20220202088A1 (en) 2019-05-03 2022-06-30 Jt International S.A. Aerosol Generation Device Having A Thermal Bridge
WO2022123754A1 (ja) * 2020-12-11 2022-06-1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吸引器
EP4252568A3 (en) 2020-12-11 2024-01-03 Japan Tobacco Inc. Flavor inhaler
WO2023218586A1 (ja) * 2022-05-12 2023-11-1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及び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の製造方法
CN114983028A (zh) * 2022-07-21 2022-09-02 北京微焓科技有限公司 散热系统及电子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3891B1 (ko) 1970-10-15 1976-09-22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N166122B (ko) * 1985-08-26 1990-03-17 Reynolds Tobacco Co R
US5665262A (en) * 1991-03-11 1997-09-09 Philip Morris Incorporated Tubular heater for use in an electrical smoking article
CA2244210C (en) * 1996-11-25 2006-04-11 Philip Morris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cleaning, and maintaining electrical heat sources and lighters useful in smoking systems and other apparatuses
US5878752A (en) * 1996-11-25 1999-03-09 Philip Morri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cleaning, and maintaining electrical heat sources and lighters useful in smoking systems and other apparatuses
WO2001095687A1 (fr) * 2000-06-06 2001-12-1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tructure de refroidissement d'un dispositif de communication
US20070074734A1 (en) 2005-09-30 2007-04-05 Philip Morris Usa Inc. Smokeless cigarette system
JP5069861B2 (ja) * 2006-02-15 2012-11-07 株式会社カネカ グラファイト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熱拡散フィルム、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熱拡散方法。
JP5607780B2 (ja) 2013-03-28 2014-10-15 株式会社カネカ グラファイト複合フィルム
SG11201601985VA (en) * 2013-10-29 2016-04-28 British American Tobacco Co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WO2015127429A1 (en) 2014-02-24 2015-08-27 Arash Sabet Electronic cigarette charging systems integration with cell phone case
US9451792B1 (en) * 2014-09-05 2016-09-27 Atmos Natio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vaporizing assembly
KR102409852B1 (ko) 2015-06-26 2022-06-15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흡연가능한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
CN106263038B (zh) * 2016-08-31 2019-02-19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按压式喷气装置
JP6525278B2 (ja) 2016-11-11 2019-06-05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放熱構造及び電子装置
WO2018135887A1 (ko) 2017-01-18 2018-07-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미세 입자 발생 장치
CN110476044B (zh) * 2017-04-03 2021-06-22 夏普株式会社 电子设备
JP3215568U (ja) 2018-01-17 2018-03-29 烟神科技(深▲せん▼)有限公司 発熱温度の制御できる電子タバ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3891B1 (ko) 1970-10-15 1976-09-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58908B2 (ja) 2023-04-17
WO2020084759A1 (ja) 2020-04-30
CN112969377A (zh) 2021-06-15
US20210235761A1 (en) 2021-08-05
TWI774868B (zh) 2022-08-21
TW202015556A (zh) 2020-05-01
JPWO2020084759A1 (ja) 2021-10-21
EP3871532A1 (en) 2021-09-01
EP3871532A4 (en) 202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87471A (ko)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향미 흡인기
TWI792116B (zh) 可吸煙物的霧化裝置
CN112135536B (zh) 用于气溶胶生成装置的再充电系统
WO2021214924A1 (ja) 香味吸引器用加熱ユニット及び香味吸引器
JP7463556B2 (ja) 香味吸引器
WO2020084761A1 (ja) 吸引装置
JP2024057043A (ja) 香味吸引器
JP7296021B2 (ja) 筐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香味吸引器
JP7204918B2 (ja) 加熱アセンブリおよび香味吸引器
JP2023113897A (ja) 筐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香味吸引器
RU2774289C1 (ru) Корпус и снабженное им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дыхания ароматизатора
JP7263518B2 (ja) 加熱アセンブリおよび香味吸引器
TW202222178A (zh) 香味吸嚐器及壓力緩和方法
WO2020084760A1 (ja) 加熱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備えた香味吸引器
JP7493024B2 (ja) デバイス
JP7493023B2 (ja) デバイス及び喫煙システム
EP4245157A1 (en) Flavor-generating article
WO2021220421A1 (ja) 吸引装置
TW202102144A (zh) 香味吸嚐器及插入導引構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