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667A -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667A
KR20210085667A KR1020190178982A KR20190178982A KR20210085667A KR 20210085667 A KR20210085667 A KR 20210085667A KR 1020190178982 A KR1020190178982 A KR 1020190178982A KR 20190178982 A KR20190178982 A KR 20190178982A KR 20210085667 A KR20210085667 A KR 20210085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rtical frame
pair
horizontal frames
spaced a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3867B1 (ko
Inventor
이흥식
하성용
Original Assignee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8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867B1/ko
Priority to PCT/KR2020/017260 priority patent/WO2021137448A2/ko
Publication of KR20210085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4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of adjustable length or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되는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는 자동차의 사이드멤버 사이에 결합되는 크로스멤버에 있어서, 제1세로프레임과 제1세로프레임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1프레임; 제2세로프레임과 제2세로프레임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2가로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2프레임; 및 제3세로프레임과 제3세로프레임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3가로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하고, 보강프레임은 제1프레임에 삽입되어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을 지지하고, 제1프레임은 제2프레임에 삽입되어 한 쌍의 제2가로프레임을 지지하고, 제1세로프레임과 제2세로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정한 후에 제1가로프레임과 제2가로프레임을 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Variable cross member reinforcement structure of automobile frame}
본 발명은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량으로 생산되는 차량을 위한 프레임 제작 시 크로스멤버의 단면을 변형하여 보강할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프레임(frame)은 섀시를 구성하는 각종 장치나 차체(body)를 설치하는 부분으로, 차체에서 전달되는 하중 및 전후 차축의 반력 등을 지지하는 자동차의 골격에 해당하는 구조물이다.
즉, 자동차 프레임은 엔진, 클러치, 변속기, 서스펜션, 액슬, 조향장치 따위가 장착되어 섀시를 이루는 기본적인 구조물 또는 틀을 말한다.
자동차를 구성하는 장치가 설치되고, 설치 부품을 지지하며, 가벼우면서 강도가 높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차 프레임은 사이드멤버(side member)와 크로스멤버(cross member)를 포함한다.
자동차 차체의 앞뒤와 좌우 방향의 뒤틀림과 구부러짐을 막기 위해 앞뒤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이 사이드 멤버이고, 옆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이 크로스 멤버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프레임은 사이드멤버와 크로스멤버가 용접 또는 리벳으로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크로스멤버는 소량으로 생산되는 차량의 제작에 있어 강성 증대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차량을 개조하면서 지지 강성에 취약한 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소량으로 생산되는 차량의 개발 시 파워트레인의 변경으로 크로스멤버의 지지구조가 취약해지면 충돌성능에 불리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량으로 생산되는 차량을 위한 크로스멤버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여러 차종에 적용할 수 있는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자동차의 사이드멤버 사이에 결합되는 크로스멤버에 있어서, 제1세로프레임과 제1세로프레임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1프레임; 제2세로프레임과 제2세로프레임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2가로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2프레임; 및 제3세로프레임과 제3세로프레임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3가로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하고, 보강프레임은 제1프레임에 삽입되어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을 지지하고, 제1프레임은 제2프레임에 삽입되어 한 쌍의 제2가로프레임을 지지하고, 제1세로프레임과 제2세로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정한 후에 제1가로프레임과 제2가로프레임을 결합할 수 있는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제1프레임은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 각각에 폭방향으로 이격된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되고, 제2프레임은 한 쌍의 제2가로프레임 각각에 폭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2체결공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되고,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에 결합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고, 체결구에 결합되는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여 제1세로프레임과 제2세로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제1프레임은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이 제1세로프레임에서 멀어질수록 서로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각각에 폭방향으로 이격된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되고, 제2프레임은 한 쌍의 제2가로프레임이 제2세로프레임에서 멀어질수록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각각에 폭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2체결공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되고,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에 결합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고, 체결구에 결합되는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여 제1세로프레임과 제2세로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제1프레임은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 각각에 폭방향으로 이격된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되고, 제2프레임은 한 쌍의 제2가로프레임 각각에 폭방향으로 긴 체결홈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되고, 제1체결공과 체결홈에 결합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고, 체결구에 결합되는 제1체결공과 체결홈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여 제1세로프레임과 제2세로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제1세로프레임과 제3세로프레임 사이와 제2세로프레임과 제3세로프레임 사이에 탄성체가 각각 배치될 수 있는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충진재가 충전될 수 있는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에 의하면, 자동차의 사이드멤버 사이에 결합되는 크로스멤버에 있어서, 제1세로프레임과 제1세로프레임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1프레임; 제2세로프레임과 제2세로프레임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2가로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2프레임; 및 제3세로프레임과 제3세로프레임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3가로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하고, 보강프레임은 제1프레임에 삽입되어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을 지지하고, 제1프레임은 제2프레임에 삽입되어 한 쌍의 제2가로프레임을 지지하고, 제1세로프레임과 제2세로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정한 후에 제1가로프레임과 제2가로프레임을 결합할 수 있으므로, 소량으로 생산되는 차량을 위한 크로스멤버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여러 차종에 적용할 수 있고, 크로스멤버의 강성을 증가시켜 차량의 충돌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에 의하면, 제1프레임은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 각각에 폭방향으로 이격된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되고, 제2프레임은 한 쌍의 제2가로프레임 각각에 폭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2체결공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되고,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에 결합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고, 체결구에 결합되는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여 제1세로프레임과 제2세로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각형 단면을 갖는 크로스멤버의 단면 크기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에 의하면, 제1프레임은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이 제1세로프레임에서 멀어질수록 서로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각각에 폭방향으로 이격된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되고, 제2프레임은 한 쌍의 제2가로프레임이 제2세로프레임에서 멀어질수록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각각에 폭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2체결공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되고,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에 결합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고, 체결구에 결합되는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여 제1세로프레임과 제2세로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다리형(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크로스멤버의 단면 크기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에 의하면, 제1프레임은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 각각에 폭방향으로 이격된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되고, 제2프레임은 한 쌍의 제2가로프레임 각각에 폭방향으로 긴 체결홈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되고, 제1체결공과 체결홈에 결합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고, 체결구에 결합되는 제1체결공과 체결홈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여 제1세로프레임과 제2세로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각형 단면을 갖는 크로스멤버의 단면 크기를 쉽고 정밀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에 의하면, 제1세로프레임과 제2세로프레임 사이에 탄성체가 배치될 수 있으므로, 보강프레임을 고정할 필요가 없고, 차량의 충돌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에 의하면,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충진재가 충전될 수 있으므로, 보강프레임을 고정할 필요가 없고 차량의 강성과 충돌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가 적용된 자동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의 제1프레임과 보강프레임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의 제1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의 제2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의 제3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3실시예에서 크로스멤버의 단면을 변형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 나타난 X, Y, Z 축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임의로 정한 것으로, X축이 차량의 전방(화살표 쪽), 차량의 후방(화살표 반대쪽) 방향을 지시하고, Y축은 차량의 좌우 측면방향을 지시하며, Z축은 차량의 상, 하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 앞쪽), 후(배, 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이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의 제1프레임(100)과 보강프레임(300)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는,
자동차(1)의 사이드멤버(20) 사이에 결합되는 크로스멤버(10)에 있어서,
제1세로프레임(120)과 제1세로프레임(120)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1프레임(100);
제2세로프레임(220)과 제2세로프레임(220)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2가로프레임(240)으로 구성되는 제2프레임(200); 및
제3세로프레임(320)과 제3세로프레임(320)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3가로프레임(340)으로 구성되는 보강프레임(300)을 포함한다.
상기 보강프레임(300)은 제1프레임(100)에 삽입되어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을 지지한다.
상기 제1프레임(100)은 제2프레임(200)에 삽입되어 한 쌍의 제2가로프레임(240)을 지지한다.
상기 제1프레임(100)은 제2프레임(200)은 제1세로프레임(120)과 제2세로프레임(22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한 후에 제1가로프레임과 제2가로프레임(240)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100), 제2프레임(200) 및 보강프레임(300)은 단면이 ‘ㄷ’형상을 가지는 긴 막대 형태이다.
상기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은 결합되어 단면이 ‘ㅁ’형상으로 사각 폐단면이 된다.
상기 보강프레임(300)은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이 형성하는 사각 폐단면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지지한다.
상기 보강프레임(300)은 제1프레임(100)에 삽입되어 제1프레임(100)을 지지하고, 제1프레임(100)은 제2프레임(200)에 삽입되어 제2프레임(200)을 지지한다.
즉, 상기 제3가로프레임(340)의 외측면은 제1가로프레임의 내측면과 접하게 되고, 제1가로프레임의 외측면은 제2가로프레임(240)의 내측면과 접하게 된다.
상기 제1프레임(100), 제2프레임(200) 및 보강프레임(300)은 상호 접하고 있는 위치를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100), 제2프레임(200) 및 보강프레임(300)은 필요에 따라 용접, 리벳, 볼트 등의 방법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의 제1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제1실시예의 제1프레임(100)은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 각각에 폭방향으로 이격된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140)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실시예의 제2프레임(200)은 한 쌍의 제2가로프레임(240) 각각에 폭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2체결공(242)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공(140)과 제2체결공(242)은 크로스멤버(10)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공(140)과 제2체결공(242)은 제1가로프레임과 제2가로프레임(240)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벳이나 볼트 등의 체결구(40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400)에 결합되는 제1체결공(140)과 제2체결공(242)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여 제1세로프레임(120)과 제2세로프레임(2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크로스멤버(10)의 사각 폐단면 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체결구(4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보강프레임(300)에 제3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보강프레임(300)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조치가 필요 없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의 제2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제2실시예의 제1프레임(100)은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이 제1세로프레임(120)에서 멀어질수록 서로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각각에 폭방향으로 이격된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140)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은 제1세로프레임(120)에서 멀어질수록 상하방향으로 벌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제3가로프레임(340)의 외측면이 접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제3가로프레임(340)은 제3세로프레임(320)에서 멀어질수록 상하방향으로 벌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실시예의 제2프레임(200)은 상기 한 쌍의 제2가로프레임(240)이 상기 제2세로프레임(220)에서 멀어질수록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각각에 폭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2체결공(242)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제2가로프레임(240)은 제2세로프레임(220)에서 멀어질수록 상하방향으로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공(140)과 제2체결공(242)은 크로스멤버(10)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공(140)과 제2체결공(242)은 제1가로프레임과 제2가로프레임(240)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벳이나 볼트 등의 체결구(40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400)에 결합되는 제1체결공(140)과 제2체결공(242)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여 제1세로프레임(120)과 제2세로프레임(2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크로스멤버(10)의 사다리형(사다리꼴) 폐단면 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체결구(4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보강프레임(300)에 제3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보강프레임(300)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조치가 필요 없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의 제3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3실시예에서 크로스멤버(10)의 단면을 변형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제3실시예의 제1프레임(100)은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 각각에 폭방향으로 이격된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140)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실시예의 제2프레임(200)은 한 쌍의 제2가로프레임(240) 각각에 폭방향으로 긴 체결홈(244)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공(140)과 체결홈(244)은 크로스멤버(10)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공(140)과 체결홈(244)은 제1가로프레임과 제2가로프레임(240)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벳이나 볼트 등의 체결구(40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홈(244)은 체결구(400)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체결구(400)는 체결홈(244) 내에서 미세하게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체결구(400)에 결합되는 제1체결공(140)과 체결홈(244)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여 제1세로프레임(120)과 제2세로프레임(2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크로스멤버(10)의 사각 폐단면 폭의 크기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체결구(4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보강프레임(300)에 제3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보강프레임(300)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조치가 필요 없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부터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는, 제1세로프레임(120)과 제3세로프레임(320) 사이와 제2세로프레임(220)과 제3세로프레임(320) 사이에 탄성체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세로프레임(120)과 제3세로프레임(320) 사이에 탄성체가 배치될 수 있고, 제2세로프레임(220)과 제3세로프레임(320) 사이에 탄성체가 배치될 수 있으므로, 보강프레임(300)을 제1프레임(100)에 고정하지 않아도 보강프레임(300)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차량의 충돌 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충돌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부터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는,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 사이의 공간에 충진재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을 충진재가 모두 채우게 되므로, 보강프레임(300)을 제1프레임(100)에 고정하지 않아도 보강프레임(300)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충진재는 발포 스티롤(blowing styrole) 또는 발포 폴리스타이렌(expanded polystyrene)을 이용할 수 있다.
발포 스티롤은 발포법으로 만들어지는 폴리스티렌의 다공질체로서 완충제, 포장제, 단열제 등으로 사용된다.
발포 폴리스타이렌은 폴리스타이렌을 발포제의 작용으로 팽창시킨 것으로 희고 가벼우며, 내수성·단열성·방음성·완충성 등이 우수하다.
상기 충진재를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 사이의 공간에 충전하면 차량의 강성과 충돌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부터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는, 각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다른 실시예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 자동차
10: 크로스멤버
20: 사이드멤버
100: 제1프레임
120: 제1세로프레임
140: 제2세로프레임
142: 제1체결공
200: 제2프레임
220: 제2세로프레임
240: 제2가로프레임
242: 제2체결공
244: 체결홈
300: 보강프레임
320: 제3세로프레임
340: 제3가로프레임
400: 체결구

Claims (6)

  1. 자동차의 사이드멤버 사이에 결합되는 크로스멤버에 있어서,
    제1세로프레임과 상기 제1세로프레임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1프레임;
    제2세로프레임과 상기 제2세로프레임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2가로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2프레임; 및
    제3세로프레임과 상기 제3세로프레임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3가로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을 지지하고,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2프레임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제2가로프레임을 지지하고,
    상기 제1세로프레임과 제2세로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정한 후에 상기 제1가로프레임과 제2가로프레임을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 각각에 폭방향으로 이격된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2가로프레임 각각에 폭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2체결공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에 결합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에 결합되는 상기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제1세로프레임과 제2세로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이 상기 제1세로프레임에서 멀어질수록 서로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각각에 폭방향으로 이격된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2가로프레임이 상기 제2세로프레임에서 멀어질수록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각각에 폭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2체결공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에 결합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에 결합되는 상기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제1세로프레임과 제2세로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1가로프레임 각각에 폭방향으로 이격된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2가로프레임 각각에 폭방향으로 긴 체결홈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공과 체결홈에 결합되는 체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에 결합되는 상기 제1체결공과 체결홈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제1세로프레임과 제2세로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세로프레임과 제3세로프레임 사이와 상기 제2세로프레임과 제3세로프레임 사이에 탄성체가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충진재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
KR1020190178982A 2019-12-31 2019-12-31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 KR102363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982A KR102363867B1 (ko) 2019-12-31 2019-12-31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
PCT/KR2020/017260 WO2021137448A2 (ko) 2019-12-31 2020-11-30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982A KR102363867B1 (ko) 2019-12-31 2019-12-31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667A true KR20210085667A (ko) 2021-07-08
KR102363867B1 KR102363867B1 (ko) 2022-02-15

Family

ID=76686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982A KR102363867B1 (ko) 2019-12-31 2019-12-31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63867B1 (ko)
WO (1) WO2021137448A2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8092U (ko) * 1996-09-25 1998-07-06 임경춘 자동차의 차체 보강구조
JP2004249794A (ja) * 2003-02-19 2004-09-09 Press Kogyo Co Ltd クロスメンバユニット
JP2016088206A (ja) * 2014-10-31 2016-05-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骨格部材構造
JP2017056874A (ja) * 2015-09-18 2017-03-23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体フレーム
JP6625545B2 (ja) * 2014-10-17 2019-12-25 日本製鉄株式会社 衝撃吸収部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8092U (ko) * 1996-09-25 1998-07-06 임경춘 자동차의 차체 보강구조
JP2004249794A (ja) * 2003-02-19 2004-09-09 Press Kogyo Co Ltd クロスメンバユニット
JP6625545B2 (ja) * 2014-10-17 2019-12-25 日本製鉄株式会社 衝撃吸収部材
JP2016088206A (ja) * 2014-10-31 2016-05-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骨格部材構造
JP2017056874A (ja) * 2015-09-18 2017-03-23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体フレ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7448A3 (ko) 2021-08-26
KR102363867B1 (ko) 2022-02-15
WO2021137448A2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673B1 (ko) 전방 차체 구조
JP5880071B2 (ja) 車両の車体前部構造
JP5727883B2 (ja) 車両用バンパ構造
JP6212526B2 (ja) 車体前部構造
JP2008174121A (ja) 車体後部構造
US7300099B2 (en) Clip in structural load transfer member
JP5118428B2 (ja) 車両用バンパ構造
JP5353372B2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KR102363867B1 (ko) 자동차 프레임의 가변형 크로스멤버 보강 구조
KR20190040745A (ko) 차체 측방 보강구조
JP2007008346A (ja) 車両後部構造
JP6206301B2 (ja) 車両用フレーム構造
JP2009280106A (ja) 車両用フレーム構造
KR101365057B1 (ko) 자동차용 범퍼빔
KR102199902B1 (ko) 자동차 프레임 구조
JP4858147B2 (ja) バンパ構造
JP2015199406A (ja) 車両用フレーム構造
JP7364613B2 (ja) バンパリンフォース
JP7192009B2 (ja) 車体後部構造
JP5195516B2 (ja) 車体構造
JP2010047077A (ja) 車両のバンパー構造
KR102515344B1 (ko) 지지바와 플레이트가 일체로 구성된 차량용 발포 성형제품
JP5617662B2 (ja) 車両の荷重伝達構造
JP2018177071A (ja) 車両
WO2022034878A1 (ja) 車両用構造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