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2366A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2366A
KR20210082366A KR1020200179289A KR20200179289A KR20210082366A KR 20210082366 A KR20210082366 A KR 20210082366A KR 1020200179289 A KR1020200179289 A KR 1020200179289A KR 20200179289 A KR20200179289 A KR 20200179289A KR 20210082366 A KR20210082366 A KR 20210082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reading
image
job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하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82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3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85Image output
    • H04N1/00188Printing, e.g. prints or re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82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job set-up options, e.g. number of copies, paper size or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49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hotographic apparatus, e.g. a photographic printer or a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management, maintenance, service or repai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74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functional options, e.g. scan, copy or 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6Simultaneous or quasi-simultaneous functioning of a plurality of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Abstract

본 발명은 스캐닝을 수행할 때에 작업의 설정으로부터 스캐닝의 실행을 포함하는 출력 작업의 실행까지의 시간을 단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고 화상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독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판독 유닛; 및 판독 처리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 처리를 수행하는 작업의 선택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은 판독 유닛이 판독 처리를 수행하는 동안 작업의 선택을 수신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처리될 작업의 타입을 선택하고, 그 작업의 설정이 화상 처리 장치의 조작 유닛을 통해 수행된 후에 실행 지시를 수신할 때 작업을 실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가 있었다(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10818호).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상 처리 장치의 원고 트레이 상에 원고를 배치하고, 화상 처리 장치가 조작 유닛을 통해 스캐닝하는 것을 포함하는 작업의 실행 지시를 수신하고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에, 화상 처리 장치는 사용자가 작업을 설정하고 작업의 실행을 지시한 후에 스캐닝을 시작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작업의 실행이 종료될 때까지 화상 처리 장치 앞에서 긴 시간 동안 대기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졌으며, 스캐닝 동안 작업 설정 및 스캐닝 실행을 포함하는 출력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시간을 단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고 화상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독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판독 유닛; 및 판독 처리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 처리를 수행하는 작업의 선택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은 판독 유닛이 판독 처리를 수행하는 동안 작업의 선택을 수신한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추가 특징들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MFP(multifunctional peripheral)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조작 패널 상에 표시된 홈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로 구성된 도 4는 자동 스캐닝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조작 패널 상에 표시되는 홈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간단한 복사 기능의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자동 스캐닝 처리가 실행되는 동안 표시되는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자동 스캐닝 처리 및 인쇄 처리의 타이밍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자동 스캐닝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인쇄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송신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자동 스캐닝 처리 및 송신 처리의 타이밍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음 예시적인 실시예에 나타낸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은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상 처리 장치로서의 복합기(MFP)(8)는 스캐너(2), 전체 MFP(8)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1), 및 프린터(3)를 포함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화상 처리 장치이지만, 원고 판독기, 정보 처리 장치, 또는 다른 장치가 채택가능하다. MFP(8)는 네트워크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PC)(9)에 접속된다.
화상의 판독 엔진인 스캐너(2) 이외에, MFP(8)는 프린터(3), 화상의 출력 엔진, 조작 유닛(4), 배지 트레이(7), 급지 카세트(5), 및 전자 사진 프로세스 유닛(6)을 포함한다. MFP(8)는 또한 자동 원고 이송기(ADF)(10)를 포함한다. 원고들이 원고 적재부인 적재 트레이 상에 배치되고 조작 유닛(4)으로부터 복사 동작이 지시되면, 스캐너(2)는 원고들을 순차적으로 판독하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프린터(3)는 급지 카세트(5)로부터 시트들을 순차적으로 급지한다. 전자 사진 프로세스 유닛(6)은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트 상에 화상을 인쇄한다.
PC(9)로부터 인쇄 작업을 수신하면, 프린터(3)는 수신된 인쇄 작업에 포함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트 상에 화상을 인쇄한다.
도 2는 MFP(8)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MFP(8)는, 제어 유닛(1)에, CPU(central processing unit)(21), RAM(random access memory)(22), LAN(local area network) 인터페이스(I/F)(23), HDD(hard disk drive)(24), ROM(read only memory)(25), 및 전력 스위치(26)를 포함한다. MFP(8)는 스캐닝용 화상 처리 모듈(29), 인쇄용 화상 처리 모듈(30), 및 송신용 화상 처리 모듈(31)을 포함한다.
ROM(25)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RAM(22)에 판독되어 CPU(21)에 의해 실행될 때, MFP(8)의 각종 기능이 실행된다.
CPU(21)가 ROM(25)으로부터 부팅되어 스토리지 제어기를 초기화할 때, CPU(21)는 HDD(24)에 액세스할 수 있고, 그에 의해 MFP(8)를 사용가능 상태가 되도록 활성화할 수 있다.
MFP(8)는 LAN I/F(23)를 포함하고, 이더넷®과 같은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PC(9)와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이 이더넷 등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행되는 일례에 대해설명한다. 그러나, LAN I/F(23)는 무선 LAN에 접속가능한 I/F일 수 있고, 이에 의해, MFP(8)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CPU(21)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유닛(4), 스캐너(2), 및 프린터(3)에 접속된다.
조작 유닛(4)은 터치 패널이 액정 디스플레이(LCD) 화면에 접착된 조작 패널(27)을 포함한다. 조작 패널(27)은 사용자 조작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 및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유닛으로서 동작한다. 작업 시작 버튼(32)은 눌려질 때 작업의 실행을 지시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버튼이다. 작업 시작 버튼(28)은 조작 패널(27) 상에 표시된 소프트웨어 버튼이며, 작업의 실행을 지시할 수 있다.
이제, 복사 동작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화면은 조작 유닛(4) 상의 복사 기능 화면으로 천이되고, 설정이 수행된다. 설정은 컬러 복사를 수행할지 및 양면을 판독할지와 같은 스캐너(2)에 관한 설정을 포함한다. 인쇄에 관한 설정은 동시에 수행된다. 설정의 샘플들은 컬러로 인쇄를 수행할지, 양면으로 인쇄를 수행할지, 스태플러를 사용할지, 및 몇부 인쇄할지를 포함한다.
설정이 수신된 후에 작업 시작 버튼(32) 또는 작업 시작 버튼(28)을 누르면, CPU(21)는 스캐너(2)에게 원고 화상을 판독하도록 지시한다. 스캐너(2)는 원고 화상을 판독하고, CPU(21)는 원고 화상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RAM(22)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다음, HDD(24)에 저장된다.
프린터(3)가 준비되면, HDD(24)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RAM(22)에 판독하고, 프린터(3)에 송신한다. 프린터(3)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트 상에 화상을 인쇄한다. 이 때, 인쇄용 화상 처리 모듈(30)은 프린터(3)의 특성을 고려하여, 인쇄 후에 우수한 화상을 출력하도록 화상 처리를 실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사 작업은 스캔 작업(판독 처리)과 인쇄 작업(인쇄 처리)의 연동 동작에 의해 실행된다. 스캔 작업은 스캔된 화상 데이터를 HDD(24)에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인쇄 작업은 프린터(3)에게 시트 상에 저장된 화상들을 순차적으로 인쇄하도록 지시한다.
이제, 송신 작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작업에서, 원고 화상의 판독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PC(9)에 송신된다. 송신 작업의 설정은 조작 유닛(4)의 송신 기능 화면을 통해 수행된다.
설정은 컬러로 스캐닝을 수행할지 및 양면을 판독할지와 같은 스캐닝 관련 설정과 스캐닝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 수행되는, 목적지(destination), 해상도, 및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의 실행/비실행과 같은 화상 처리 및 송신 설정을 포함한다.
설정이 수신된 후에 작업 시작 버튼(32) 또는 작업 시작 버튼(28)을 누르면, CPU(21)는 스캐너(2)에게 원고 화상을 판독하도록 지시한다. 스캐너(2)는 원고 화상을 판독하고, CPU(21)는 원고 화상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RAM(22)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다음, HDD(24)에 저장된다.
스캐닝 처리와 병행하여, 송신용 화상 처리 모듈(31)은 HDD(24)로부터 RAM(22)에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PC(9)에서 사용될 적절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화상 데이터는 RAM(22)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CPU(21)는 변환된 화상 데이터를 LAN I/F(23)를 통해 PC(9)에 송신한다.
상술한 "복사 동작"은, 스캐닝 처리와 인쇄 처리를 포함한다. 기존의 기술에서는, 복사 작업이 시작되기 전에, 스캐닝 처리 및 인쇄 처리 양측 모두에 대해 설정이 수행된다. 그 후, 스캐너(2)는 작업 시작 버튼(32)을 누를 때의 타이밍에서 스캐닝 동작을 시작한다.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송신 작업 동작"은 스캐닝 처리 및 네트워크 송신 처리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송신 작업이 시작되기 전에, 스캐닝 처리 및 네트워크 송신 처리 양측 모두에 대해 설정이 수행된다. 그 후, 스캐너(2)는 작업 시작 버튼(32)을 누를 때의 타이밍에서 스캐닝 동작을 시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 유닛을 통한 스캐닝의 실행을 포함하는 작업의 실행 지시에 응답하여 작업이 실행되는 경우에, 원고의 처리는 시간 소모적이고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작업의 실행의 종료까지 화상 처리 장치 근처에서 긴 시간 동안 대기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 처리가 실행된다.
도 3은 조작 패널(27) 상에 표시되는 홈 화면(3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홈 화면(300)은 MFP(8)가 턴 온될 때 자동으로 표시된다. 홈 화면(300)에는, 복수의 기능을 설정 및 실행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버튼들이 표시된다. 도 3에 표시된 버튼들 이외에, 다른 기능들의 버튼들이 표시되는 페이지가 조작 패널(27) 상에서 수행되는 플릭 조작(flick operation)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영역(301)은 자동 스캐닝 설정이 수행되는 영역이다. 영역(301)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 시작 버튼(32) 또는 작업 시작 버튼(28)의 누름없이 원고가 자동으로 스캐닝되는 "자동 스캐닝"을 수행할지를 설정할 수 있다. ON 버튼(302)이 선택되면, 자동 스캐닝의 실행이 설정된다. OFF 버튼(303)이 선택되면, 자동 스캐닝의 비실행이 설정된다. 도 3에 나타낸 홈 화면(300)에서는, ON 버튼(302)이 선택되고, 자동 스캐닝의 실행이 설정되어 있다.
즉시 인쇄 버튼(304)은 PC(9)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선택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트 상에 화상이 인쇄되는 인쇄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복사 버튼(305)은 원고 화상의 판독을 통해 스캐너(2)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트 상에 화상이 인쇄되는 복사 처리의 설정 및 실행 지시를 수행하기 위한 버튼이다.
팩시밀리 버튼(306)은 원고 화상의 판독을 통해 스캐너(2)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가 팩시밀리 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로 송신되는 팩시밀리 처리의 설정 및 실행 지시를 수행하기 위한 버튼이다. 팩시밀리 통신에서, MFP(8)는 통합된 모뎀(incorporated modem) 또는 NCU(network control unit)(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공중 회선(예를 들어,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에 접속되고, MFP(8)는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스캔 및 송신 버튼(307)은 원고 화상의 판독을 통해 스캐너(2)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PC(9)와 같은 외부 장치에 송신되는 송신 처리의 설정 및 실행 지시를 수행하기 위한 버튼이다.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은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를 사용하는 메일 송신 및 FTP(file transfer protocol) 또는 SMB(server message block)를 사용하는 파일 송신과 같은 통신이다.
스캔 및 저장 버튼(308)은 원고 화상의 판독을 통해 스캐너(2)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가 조작 패널(27)을 통해 나중에 사용자에 의해 참조되도록 HDD(24)의 미리 결정된 영역에 저장되는 소위 BOX 저장 처리의 설정 및 실행 지시를 수행하는 버튼이다.
저장된 파일 사용 버튼(309)은 BOX 저장 처리에서 HDD(24)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가 조작 패널(27)에 표시되거나 또는 외부 장치에 송신되거나, 또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트 상에 화상이 인쇄되는 처리의 설정 및 실행 지시를 수행하기 위한 버튼이다.
수신 트레이 버튼(310)은 팩시밀리 통신, 인터넷 팩시밀리(I-FAX) 통신, 또는 다른 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MFP(8)에 의해 수신된 화상 데이터가 표시 또는 인쇄되는 처리의 설정 및 실행 지시를 수행하기 위한 버튼이다.
스캔 및 모바일 버튼(311)은 원고 화상의 판독을 통해 스캐너(2)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가 MFP(8)와 통신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송신되는 송신 처리의 설정 및 실행 지시를 수행하기 위한 버튼이다.
도 4a 및 도 4b로 구성된 도 4는 자동 스캐닝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처리 흐름은 CPU(21)가 ROM(25)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22)에 판독하고 그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실현된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처리 흐름은 MFP(8)가 턴 온될 때 시작된다.
도 8은 자동 스캐닝 처리 및 인쇄 처리의 타이밍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평축 t는 시간을 나타내고, 오른쪽으로 간만큼 시간이 경과한다. 사각형 내에 나타낸 숫자 1, 2, 3, 및 4는 화상들 붙여진 연속적인 식별(ID)이다. 사각형 내에 나타낸 R과 W는 각각 판독 및 기입을 의미한다.
사각형 내에 "W1"이 기입된 경우에, 사각형은 ID=1의 화상을 대응하는 디바이스에 기입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각형 내에 "R1"이 기입된 경우에, 사각형은 ID=1의 화상을 대응하는 디바이스에서 판독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캐너(2)에 의한 원고 판독의 행에서 "1"이 기재된 사각형은 ID=1이 화상의 원고를 스캐닝한 것을 의미한다. 스캔된 원고는 프린터(3)의 행에서 "1"이 기재된 사각형의 타이밍에서 인쇄 및 출력된다. 다음 처리 흐름은 또한 도 8에 나타낸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단계 S401에서, CPU(21)는 변수 Scan-State의 값을 0으로 설정(초기화)한다. 단계 S402에서, CPU(21)는 홈 화면(300)을 조작 패널(27) 상에 표시한다.
단계 S403에서, CPU(21)는 변수 Scan-State=0이고 자동 스캐닝의 트리거(801)가 생성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변수 Scan-State=0이고, 자동 스캐닝이 ON으로 설정되고, 원고가 ADF(10)의 원고 트레이 상에 배치된 후에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CPU(21)는 자동 스캐닝의 트리거가 생성되었다고 판정한다(828). 그렇지 않으면, CPU(21)는 자동 스캐닝의 트리거가 생성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자동 스캐닝의 트리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자동 스캐닝의 트리거는 자동 스캐닝이 ON으로 설정되고 원고가 ADF(10)의 원고 트레이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자동 스캐닝 실행 시작 버튼(도시되지 않음)의 선택일 수 있다. 자동 스캐닝 실행 시작 버튼은 작업 시작 버튼(32) 또는 작업 시작 버튼(28)과 유사한 버튼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자동 스캐닝의 트리거는 자동 스캐닝의 ON/OFF에 관계없이 작업 시작 버튼(32) 또는 작업 시작 버튼(28)의 선택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변수 Scan-State=0이고 자동 스캐닝의 트리거가 생성되었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403에서 예), 처리는 단계 S40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단계 S403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405로 진행한다.
단계 S404에서, CPU(21)는 자동 스캔 작업(834)의 실행을 시작한다. CPU(21)는 변수 Scan-State=1을 설정한다. 단계 S405에서, CPU(21)는 홈 화면(300) 내의 버튼들(304 내지 311) 및 다른 페이지들의 버튼들 중 어느 것이 조작 패널(27)을 통해 선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버튼들 중 어느 것이 선택되었다고 판정된 경우(단계 S405에서 예), 처리는 단계 S408로 진행한다(도 4b). 그렇지 않으면(단계 S405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4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407에서는 버튼들의 표시 위치들이 변경되지만, 단계 S405에서의 처리는 홈 화면 전체에 포함된 버튼들 중 어느 버튼이 선택되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처리이므로, 동작은 변경되지 않는다.
이제, 도 9를 참조하여, 단계 S404에서의 자동 스캐닝의 실행의 세부사항들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도 9는 자동 스캐닝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에 나타낸 처리 흐름은 CPU(21)가 ROM(25)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22)에 판독하여 그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실현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처리 흐름은 단계 S403에서 변수 Scan-State=0이고 자동 스캐닝의 트리거가 생성되었다고 판정될 때 시작된다.
단계 S901에서, CPU(21)는 스캐닝용 화상 처리 모듈(29)을 제어하여, 스캐닝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가 표준 화상이 되도록 설정을 수행한다. 자동 스캐닝에서, 스캐닝된 화상 데이터는 나중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화상이 흑백으로 처리되는지가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화상은 컬러 화상으로 일정하게 설정되고, 해상도는 최고 해상도로 설정되며, 배면이 사용되는지가 알려지지 않기 때문에 양면 판독이 일정하게 설정된다(832).
단계 S902에서, CPU(21)는 스캐너(2)를 제어하여 ADF(10) 상에 배치된 원고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 원고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단계 S902에서 예), 처리는 단계 S905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단계 S902에서 아니오), 처리는 종료한다.
단계 S903에서, CPU(21)는 스캐너(2)를 제어하여 ADF(10) 상에 배치된 원고를 반송한다.
단계 S904에서, CPU(21)는 ADF(10)로부터 반송된 원고의 화상이 판독되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캐닝 처리를 수행하도록 스캐너(2)에게 요청하고, 스캐너(2)를 제어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804).
단계 S905에서, CPU(21)는 단계 S904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RAM(22)에 저장한다(805). 단계 S906에서, CPU(21)는 단계 S905에서 RAM(22)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HDD(24)에 저장한다(806).
도 4a 및 도 4b의 처리 흐름을 다시 참조하면, 단계 S406에서, CPU(21)는 변수 Scan-State=1이고 원고의 타입이 특정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원고의 타입의 사양의 세부사항은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변수 Scan-State=1이고 원고의 타입이 특정되었다고 판정된 경우(단계 S406에서 예), 처리는 단계 S407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단계 S406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403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S407에서, CPU(21)는 홈 화면(300) 상에 표시될 버튼들의 우선 순위가 단계 S406에서 특정된 원고의 타입에 기초하여 변경된 화면을 조작 패널(27) 상에 표시한다. 홈 화면(300)에서, 버튼들(304 내지 311)이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기능들의 설정 및 실행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들도 다른 페이지들에 표시된다. MFP(8)는 자동 스캐닝을 실행하므로, 스캐닝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 또는 저장을 수행하는 기능이 선택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선택될 가능성이 있는 기능들의 버튼들은 홈 화면 상에 우선 순위로 표시된다. 대안적으로, 선택될 가능성이 없는 기능들의 버튼들은 홈 화면 상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S407에서 수행된 처리에서, 변수 Scan-State는 2로 설정된다.
이제, 버튼의 우선도를 높이는 처리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5는 조작 패널(27) 상에 표시되는 홈 화면(5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홈 화면(500)은 도 3에 나타낸 홈 화면(300)으로부터 우선도가 변경된 후의 화면이다.
홈 화면(500)은 다음 버튼들: 복사 버튼(305), 스캔 및 모바일 버튼(311), 자신에게 송신 버튼(501), 스캔 및 저장 버튼(308), 간단한 복사 버튼(502), 및 팩시밀리에 의한 송신 버튼(503)을 포함한다.
자동 스캐닝이 실행되면, 사용자가 스캐닝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을 수행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스캐닝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버튼들이 우선도 기반으로 표시된다. 도 5에서, 복사 버튼(305)은 홈 화면(500)에 표시된다. 복사 버튼(305)은 스캐닝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이 시트 상에 인쇄되는 복사 기능의 설정 및 실행을 수행한다. 스캔 및 모바일 버튼(311)도 홈 화면(500)에 표시된다. 스캔 및 모바일 버튼(311)은 스캐닝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모바일 단말기에 송신되는 모바일 송신 기능의 설정 및 실행을 수행한다. 자신에게 송신 버튼(501)도 홈 화면(500)에 표시된다. 자신에게 송신 버튼(501)은 스캐닝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이전에 등록된 자신의 메일 어드레스에 송신한다. 기능은 사용자가 MFP(8)에 로그인할 때 실행가능하다.
홈 화면(500)에는, 스캔 및 저장 버튼(308)이 표시된다. 스캔 및 저장 버튼(308)은 스캐닝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HDD(24)의 미리 결정된 영역에 나중에 사용자가 조작 패널(27)을 통해 참조할 수 있도록 저장한 소위 BOX 저장 처리의 설정 및 실행을 수행한다. 홈 화면(500)에 표시된 스캔 및 저장 버튼(308)의 명칭은 스캐닝이 이미 수행되었기 때문에 "저장"일 수 있다.
홈 화면(500)에는, 간단한 복사 버튼(502)이 표시된다. 간단한 복사 버튼(502)은 스캐닝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트 상에 화상이 인쇄되는 복사 기능의 간단한 설정 및 실행 지시를 수행한다. 또한, 홈 화면(500)에는, 팩시밀리에 의한 송신 버튼(503)이 표시된다. 팩시밀리에 의한 송신 버튼(503)은 스캐닝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가 팩시밀리에 의해 송신되는 팩시밀리 기능의 설정 및 실행 지시를 수행한다.
홈 화면(500)에 표시된 버튼들 중에서, 버튼들(305, 311, 501)과 같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가능성이 있는 버튼들은 버튼들(308, 502, 503)과 비교하여 크게 표시되고, 사용자에 의해 눈에 띄기 쉽게 선택가능하다.
전술된 이러한 6개의 버튼이 홈 화면(500)에 표시되지만, 페이지가 변경될 때 다른 버튼들이 표시된다. 즉, 홈 화면(500)은 탑 화면이고, 사용자는 페이지를 변경하지 않고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캐닝 후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가능성이 있는 기능들의 버튼들은 우선도 기반으로 표시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단계 S408에서, CPU(21)는 단계 S405에서 선택된 것으로 판정된 버튼에 대응하는 화면 데이터를 HDD(24)로부터 취득하고, 이 화면 데이터를 RAM(22)에 저장한다.
단계 S409에서, CPU(21)는 변수 Scan-State가 2인지를 판정한다. 변수 Scan-State가 2라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409에서 예), 처리는 단계 S410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즉, 변수 Scan-State가 0 또는 1인 경우(단계 S409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411로 진행한다.
단계 S410에서, CPU(21)는 단계 S408에서 취득된 화면 데이터를 원고의 타입에 기초하여 화면 데이터로 변경하고, 변경된 화면 데이터를 RAM(22)에 저장한다.
화면 데이터가 원고의 타입에 기초하여 화면 데이터로 변경되는 일례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6은 간단한 복사 기능의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설정 화면(600)은 자동 스캐닝이 수행되지 않는 동안 간단한 복사 버튼(502)의 선택에 응답하여 조작 패널(27) 상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설정 화면(600)에는, 다음 설정들이 표시된다: 원고 타입 설정(601), 배율 설정(602), 시트 크기 설정(603), 단면/양면 설정(604), 및 정렬 설정(605).
원고 타입 설정(601)은 원고에 대한 화상의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설정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다음의 타입들: 문자들만을 표현하는 "문자", 사진만을 표현하는 "사진", 및 문자와 사진의 조합을 표현하는 "문자와 사진"으로부터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설정에 따라, 스캐닝용 화상 처리 모듈(29)에 의해 수행되는 화상 처리를 위한 설정 및 파라미터들이 변경된다.
배율 설정(602)은 스캐닝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의 크기를 변경하기 위한 설정을 나타낸다. 퍼센티지는 "+" 및 "-" 버튼들에 의해 변경될 수 있거나, 또는 크기는 A4 크기 및 A3 크기와 같은 정형 크기로 변경될 수 있다.
시트 크기 설정(603)은 화상이 인쇄되는 시트의 크기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다음의 크기들: 검출 센서 등에 의해 검출된 원고의 크기에 따라 시트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자동 시트"와 A4 및 A3 크기와 같은 정형 크기로부터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단면/양면 설정(604)은 시트의 한면 또는 양면에 화상을 인쇄할지를 선택하기 위한 설정을 나타낸다. "단면에서 단면으로"는 화상이 한면에 형성되는 원고를 스캐닝하고, 화상을 시트의 한면에 인쇄하기 위한 설정이다. "단면에서 양면으로"는 화상이 한면에 형성되는 원고를 스캐닝하고, 화상을 시트의 양면에 인쇄하기 위한 설정을 나타낸다. "양면에서 단면으로"는 화상들이 양면에 형성되는 원고를 스캐닝하고, 화상들을 시트의 한면에 인쇄하기 위한 설정을 나타낸다. "양면에서 양면으로"는 화상들이 양면에 형성되는 원고를 스캐닝하고, 화상들을 시트의 양면에 인쇄하기 위한 설정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단면에서 단면으로", "단면에서 양면으로", "양면에서 단면으로", 및 "양면에서 양면으로"로부터 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정렬 설정(605)은 복수의 부수 인쇄가 설정될 때 부수마다 또는 페이지마다 인쇄할지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을 나타낸다.
설정 화면(600) 상에서 설정이 수신되고, 작업 시작 버튼(28) 또는 작업 시작 버튼(32)이 선택되면, 복사가 실행된다.
도 7은 자동 스캐닝이 실행되는 동안 표시되는 설정 화면(70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설정 화면(700)은 자동 스캐닝이 실행되는 동안 도 5의 홈 화면(500) 내의 간단한 복사 버튼(502)의 선택에 응답하여 표시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자동 스캐닝에 의해 스캐닝된 원고들 각각이 "A4 크기", "제1 시트는 컬러 원고임", 및 "양면 원고"를 갖는다는 가정 하에서 설명된다.
자동 스캐닝에 의해 화상 데이터가 이미 생성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원고 타입 설정(701)은 하나의 작업 내에서 화상 처리를 변경하지 않도록 선택불가능한 상태에 있다. 선택불가능한 상태에서, 버튼은 그레이 아웃(gray out)되거나 또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화상 데이터의 생성 후에(예를 들어, 인쇄 처리의 실행 전에) 화상 처리가 수행되는 경우, 원고 타입 설정(701)은 선택가능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화상 처리가 미리 결정된 표준 설정들로 수행된다(832).
적어도 원고의 제1 시트가 배율 설정(702)에서 A4 크기를 갖는 것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크기를 A4 크기로부터 다른 크기들로 변경하기 위한 설정만이 표시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에 관해 혼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시트 크기 설정(703)에서, "자동 시트"는 표시되지 않는다. 이것은 원고의 크기가 자동 스캐닝에 의해 특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현재 스캐닝되고 있는 원고의 크기와 동일한 출력 크기를 갖는 시트가 발견되기 때문에, A4 크기가 선택된 상태로 표시된다.
단면/양면 설정(704)에서, "단면에서 단면으로" 및 "단면에서 양면으로"의 설정들은 표시되지 않는다. 이것은 원고가 자동 스캐닝에 의해 양면 원고인 것으로 특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단면/양면 설정(704)에서는, "양면에서 양면으로"와 "양면에서 단면으로"가 선택가능하다.
자동 스캐닝에 의해 특정가능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정렬 설정(705)은 도 6에 나타낸 설정 화면(600)에서와 같이 표시된다.
또한, 도 7의 설정 화면(700)에서는, 설정이 수행되고, 작업 시작 버튼(28) 또는 작업 시작 버튼(32)이 선택되면, 복사 작업이 실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불필요한 설정들을 위한 버튼들은 표시되지 않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향상된 편의로 원하는 설정들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단계 S411에서, CPU(21)는 원고에 대한 타입 정보가 특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CPU(21)는 원고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가 RAM(22)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타입 정보가 특정되어 있다고 판정되면(단계 S411에서 예), 처리는 단계 S410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단계 S411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412로 진행한다. 원고에 대한 타입 정보는 원고의 크기, 및 화상이 원고의 한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원고의 크기는 스캐너(2)의 반송 경로에 제공된 크기 검출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특정된다. 화상이 한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지는 원고의 양면을 스캐닝하고 배면이 블랭크 화상인지를 검출함으로써 특정된다.
단계 S412에서, CPU(21)는 RAM(22)에 저장된 화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작 패널(27) 상에 기능 화면을 표시한다.
단계 S413에서, CPU(21)는 단계 S412에서 표시된 기능 화면 내의 설정 버튼이 선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설정 버튼이 선택되었다고 판정되면(단계 S413에서 예), 처리는 단계 S41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단계 S413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415로 진행한다.
단계 S414에서, CPU(21)는 단계 S413에서 선택되었다고 판정된 버튼의 표시를 반전시키고, 강조된 화면을 조작 패널(27) 상에 표시한다.
단계 S415에서, CPU(21)는 작업 시작 버튼(32) 또는 작업 시작 버튼(28)이 선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작업 시작 버튼(32) 또는 작업 시작 버튼(28)이 선택되었다고 판정되면(단계 S415에서 예), 처리는 단계 S416으로 진행한다(835). 그렇지 않으면(단계 S415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409로 진행한다.
단계 S416에서, CPU(21)는 단계 S405에서 선택되었다고 판정된 버튼의 기능이 송신계 또는 인쇄계에 관련되는지를 판정한다. 기능이 송신계(단계 S416에서의 송신계)에 관련된 것으로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 S420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단계 S416에서의 인쇄계), 처리는 단계 S417로 진행한다.
단계 S417에서, CPU(21)는 인쇄 작업의 사양을 생성한다. 단계 S418에서, CPU(21)는 프린터(3)를 제어하여 인쇄 작업을 실행한다(830). 이 예에서 인쇄 작업은 예를 들어, 복사 작업이다.
이제, 도 10을 참조하여 인쇄 작업이 실행되는 동안의 상세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도 10은 인쇄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처리 흐름은 CPU(21)가 ROM(25)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22)에 판독하고 그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실현된다. 도 10에 나타낸 처리 흐름은 단계 S415에서 작업 시작 버튼의 선택에 응답하여 시작된다.
단계 S1001에서, CPU(21)는 설정 화면(700)에서 설정된 내용들로 인쇄용 위한 화상 처리 모듈(30)의 설정을 수행한다(833).
단계 S1002에서, CPU(21)는 단계 S906에서 HDD(24)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RAM(22)에 판독한다(816 및 817).
단계 S1003에서, CPU(21)는 단계 S1002에서 RAM(22)에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3)에 송신하는 지시를 발행한다(818).
단계 S1004에서, CPU(21)는 프린터(3)를 제어하여 단계 S1003에서 송신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트 상에 화상을 인쇄한다.
단계 S1005에서, CPU(21)는 스캐닝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가 HDD(24)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화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단계 S1005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002로 복귀한다. 그렇지 않으면(단계 S1005에서 아니오), 처리는 종료한다.
도 4b를 다시 참조하면, 단계 S419에서, CPU(21)는 자동 스캔 작업과 인쇄 작업이 종료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자동 스캔 작업과 인쇄 작업이 종료되었다고 판정되면(단계 S419에서 예), 처리는 종료된다. 그렇지 않으면(단계 S419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419로 복귀한다.
이제, 단계 S416에서 송신계에 관련된 작업으로서 기능이 판정된 경우가 설명될 것이다. 단계 S420에서, CPU(21)는 송신 작업의 사양을 생성한다. 단계 S421에서, CPU(21)는 LAN I/F(23) 또는 모뎀(도시되지 않음)을 제어하여 스캔 작업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외부에 송신한다. 송신 방법은 기능 화면에서 또는 홈 화면(300)에서 선택될 수 있다. 화상 데이터는 SMTP를 사용하는 메일, SMB 또는 FTP를 사용하는 파일 송신, 및 팩시밀리 통신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송신 방법에 의해 송신된다.
이제, 도 11을 참조하여 송신 작업이 실행될 때의 상세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도 11은 송신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처리 흐름은 CPU(21)가 ROM(25)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22)에 판독하여 그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실현된다. 단계 S415에서 수행되는 작업 시작 버튼의 선택에 응답하여 도 11에 나타낸 처리 흐름이 시작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스캐닝 후에 인쇄가 선택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이제, 도 11에 나타낸 처리 흐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캐닝 후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예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2는 자동 스캐닝 처리 및 송신 처리의 타이밍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낸 처리 흐름은 도 12의 설명과 함께 설명될 것이다. 송신 작업(1201)은 다음 처리가 수행될 때 실행된다.
단계 S1101에서, CPU(21)는 설정 화면(도시되지 않음)에서 선택된 설정에 기초하여 송신용 화상 처리 모듈(31) 등을 위한 설정을 수행한다. 이 단계에서 설정된 내용은 송신시에 변환되는 파일 포맷, 목적지, 및 송신 해상도를 포함한다.
단계 S1102에서, CPU(21)는 단계 S906에서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HDD(24)로부터 RAM(22)에 판독한다.
단계 S1103에서, CPU(21)는 송신용 화상 처리 모듈(31)로 화상을 처리하는 동안 단계 S1102에서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RAM(22)으로부터 LAN I/F(23)에 송신한다.
단계 S1104에서, CPU(21)는 LAN I/F(23)를 제어하여 LAN I/F(23)에 송신된 화상 데이터를 설정된 목적지에 송신한다.
단계 S1105에서, CPU(21)는 스캐닝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가 HDD(24)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경우(단계 S1105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102로 복귀한다. 그렇지 않으면(단계 S1105에서 아니오), 처리가 종료된다.
도 4b를 다시 참조하면, 단계 S422에서, CPU(21)는 자동 스캔 작업과 송신 작업이 종료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자동 스캔 작업과 송신 작업이 종료되었다고 판정되면(단계 S422에서 예), 처리는 종료된다. 그렇지 않으면(단계 S422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422로 복귀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스캐닝을 수행할 때에 작업의 설정으로부터 스캐닝의 실행을 포함하는 출력 작업의 실행까지의 시간을 단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스캔 작업은 인쇄 작업과 병렬로 실행될 수 있다. 자동 스캔 작업은 송신 작업과도 병렬로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또한 저장 매체(이는 더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지칭될 수도 있음)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하나 이상의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을 수행하고, 및/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함으로써 및/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 처리 장치(MPU))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기 위해 개별 컴퓨터 또는 개별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화상 처리 장치로서,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고 상기 화상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독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판독 수단; 및
    상기 판독 처리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 처리를 수행하는 작업을 복수의 작업으로부터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판독 수단이 상기 판독 처리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작업을 선택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판독 수단이 상기 판독 처리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선택 수단이 작업을 선택하기 위한 제1 화면과 상기 판독 수단이 상기 판독 처리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선택 수단이 작업을 선택하기 위한 제2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1 화면은 상기 제2 화면과 상이한 화상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의 화상의 판독을 통해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처리를 수행하는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은 다른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보다 크고, 상기 버튼들은 상기 제2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원고 적재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판독 수단은 상기 원고 적재부 상의 상기 원고의 적재에 응답하여 상기 판독 처리를 시작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지시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판독 수단이 상기 판독 처리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실행 지시를 수신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수단이 상기 판독 처리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선택 수단이 작업을 선택할 때 표시되는 제1 설정 화면은 상기 판독 수단이 상기 판독 처리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선택 수단이 작업을 선택할 때 표시되는 제2 설정 화면과 상이한 화상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설정 화면은 상기 판독 처리에 의해 특정된 상기 원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화상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원고의 크기와 화상이 상기 원고의 배면 상에 존재하는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처리는 상기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화상을 시트 상에 인쇄하는 처리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외부에 송신하는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10.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고 상기 화상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독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판독 처리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 처리를 수행하는 작업을 복수의 작업으로부터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독 처리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작업이 선택되는 화상 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판독 처리가 수행되기 전에 작업을 선택하기 위한 제1 화면은 상기 판독 처리가 수행되는 동안 작업을 선택하기 위한 제2 화면과 상이하고, 상기 제1 화면과 상기 제2 화면이 표시되는 화상 처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원고의 화상을 판독함으로써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처리를 수행하는 작업이 우선도 기반으로 표시되는 화면인 화상 처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의 화상을 판독함으로써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처리를 수행하는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은 다른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보다 크고, 상기 버튼들은 상기 제2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 처리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처리는 원고 적재부 상의 상기 원고의 적재에 응답하여 시작되는 화상 처리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실행 지시는 상기 판독 처리가 수행되는 동안 수신되는 화상 처리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처리가 수행되기 전에 작업이 선택될 때 표시되는 제1 설정 화면은 상기 판독 처리가 수행되는 동안 작업이 선택될 때 표시되는 제2 설정 화면과 상이한 화상 처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설정 화면은 상기 판독 처리에 의해 특정된 상기 원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화상 처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원고의 크기와 화상이 상기 원고의 배면 상에 존재하는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처리는 상기 화상 데이터에 기초한 화상을 시트 상에 인쇄하는 처리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외부에 송신하는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20.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가 화상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고 상기 화상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독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판독 처리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 처리를 수행하는 작업을 복수의 작업으로부터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독 처리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작업이 선택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00179289A 2019-12-25 2020-12-21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KR202100823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35090 2019-12-25
JP2019235090A JP7455576B2 (ja) 2019-12-25 2019-12-25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366A true KR20210082366A (ko) 2021-07-05

Family

ID=73854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289A KR20210082366A (ko) 2019-12-25 2020-12-21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90604B2 (ko)
EP (1) EP3843372B1 (ko)
JP (1) JP7455576B2 (ko)
KR (1) KR20210082366A (ko)
CN (1) CN113037940B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4275A (ja) 1999-05-12 2000-11-24 Canon Inc 画像読取方法及び装置
US7031003B2 (en) * 1999-12-27 2006-04-1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7120910B2 (en) * 2000-03-29 2006-10-10 Canon Kabushiki Kaisha Control method f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nectable to computer network
JP2004159366A (ja) * 2004-01-19 2004-06-0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961527B2 (ja) * 2004-11-08 2007-08-22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843578B2 (en) * 2004-12-21 2010-11-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4646740B2 (ja) * 2005-08-30 2011-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ジョブ処理方法、印刷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4795133B2 (ja) * 2006-06-23 2011-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該方法を実行する制御プログラム
JP2009010818A (ja) 2007-06-29 2009-01-15 Sharp Corp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5370638B2 (ja) * 2008-09-02 2013-12-1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290904A (ja) * 2009-09-08 2009-12-10 Brother Ind Ltd 画像読込装置
US20110085191A1 (en) * 2009-10-14 2011-04-14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12174048A (ja) * 2011-02-22 2012-09-10 Brother Ind Ltd 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処理装置
JP6753367B2 (ja) * 2017-06-27 2020-09-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037940A (zh) 2021-06-25
US20210203794A1 (en) 2021-07-01
JP7455576B2 (ja) 2024-03-26
JP2021103866A (ja) 2021-07-15
CN113037940B (zh) 2023-08-08
EP3843372B1 (en) 2024-05-01
US11290604B2 (en) 2022-03-29
EP3843372A1 (en)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45192A1 (en) Operation console receiving user operation and electronic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operation console
US20120243016A1 (en) Controller, image forming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that stores program, and control method
KR101383318B1 (ko)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독취방법
JP4744990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CN113037940B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和存储介质
US10609232B2 (en) Job execu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job execu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ob execu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job execu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setting a setting value
TWI549472B (zh) 影像複製方法以及使用該方法之事務機與文件處理系統
JP2022025767A (ja) プログラム、システム、およびスキャナ
JP599275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7215311B2 (ja) 画像読取り装置、画像読取り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715691B2 (ja) 画像処理装置
JP5427875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情報の表示方法
US20160065783A1 (en) Image reading device
JP2012004961A (ja) 画像処理装置
JP201717084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7156180A (ja) 画像読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927085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controlling display when the image forming appratus returns to an active state from a power-saving state
JP4437739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5014247A (ja) 画像形成装置
JP604545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24366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25042A (ja) 画像処理装置
JP2007151126A (ja) 多機能オフィス機器の操作方法
KR20060009565A (ko) 미리보기에 의한 사용자 복사 영역 설정 방법
JP2016197472A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