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5410A -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5410A
KR20210075410A KR1020190166428A KR20190166428A KR20210075410A KR 20210075410 A KR20210075410 A KR 20210075410A KR 1020190166428 A KR1020190166428 A KR 1020190166428A KR 20190166428 A KR20190166428 A KR 20190166428A KR 20210075410 A KR20210075410 A KR 20210075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unit
cultivation box
supply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9039B1 (ko
Inventor
박민정
최덕규
강동현
손진관
윤성욱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90166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0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75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35Bulbs; Alliums, e.g. onions or lee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은 서로 간에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재배상자에 상토를 공급하는 제1 및 제2 공급부, 상기 재배상자를 상기 제1 공급부에서 상기 제2 공급부로 향하는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제1 및 제2 공급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재배상자에 구근 정식 틀을 삽입하여, 상기 재배상자에 대한 구근 정식 위치를 세팅하는 구근 정식부 및 상기 제2 공급부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이송된 상기 재배상자에 관수를 공급하는 관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SYSTEM FOR PLANTING BULBS OF LILY USED IN CUT-FLOWER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출원은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배상자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구근 정식할 수 있는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리는 국내 절화 생산액의 10.0%, 면적 8.8%를 점유하고 있는 주요 화훼 작목으로, 일본 수출 전략 작물이며 생산량의 약 39%를 일본에 수출하고 있는 작물 이다. 이러한 나리는 그 재배 방법에 있어 재배상자를 이용하는 경우, 출하 시기의 조정 및 집중 관리를 통한 고품질 절화나리(Cut-Flowers)의 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나리 구근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구근을 단기간 내에 집약적으로 정식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식 작업의 대부분을 인력에 의존하고 있어서 다른 작물들에 비해 노동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여기에, 최근 저일조, 고온 현상 등 이상 기후에 의한 절화 나리의 품질 저하까지 겹치면서 수출 경쟁력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재배상자 이용 절화나리 재배 시 인력 투입량 및 노동량을 줄일 수 있는 재배상자 이용하는 절화나리 구근 정식 기계화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하다.
본 출원의 목적은, 절화나리 재배 시 구근 정식을 위한 수작업을 기계화시킬 수 있는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은 서로 간에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재배상자에 상토를 공급하는 제1 및 제2 공급부, 상기 재배상자를 상기 제1 공급부에서 상기 제2 공급부로 향하는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제1 및 제2 공급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재배상자에 구근 정식 틀을 삽입하여, 상기 재배상자에 대한 구근 정식 위치를 세팅하는 구근 정식부 및 상기 제2 공급부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이송된 상기 재배상자에 관수를 공급하는 관수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공급부는, 상기 재배상자의 이송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상토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각도를 조절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공급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재배상자의 이송 속도를 조절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근 정식 틀은 구근 크기에 따라 다양한 정식틀들로 교체할 수 있도록 탈부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공급부는, 상기 상토를 수용하기 위한 주입홀과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교반기, 상기 제1 및 제2 교반기를 회전시키는 교반 모터, 상기 하우징의 경사진 하부에 위치한 진동기, 상기 상토의 토출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배출홀을 개폐시키는 댐퍼, 상기 댐퍼와 회동하도록 형성된 조절 레버 및 상기 배출홀을 통해 토출된 상기 상토를 상기 재배상자에 공급하기 위한 경사판 장치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 장치는, 상기 상토를 상기 재배상자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각도 및 상기 재배상자와의 이격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조절되도록 형성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하나의 이송 벨트, 한쌍의 트레이 이송 롤러 및 하나의 벨트 구동 모터로 구성된 컨베이어 장치가 복수개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근 정식부는, 상하 수직 이동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에어 실린더, 상기 로드의 일단에서 탈부착되는 구근 정식 틀 및 상기 구근 정식 틀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구근 정식 틀을 상기 에어 실린더로부터 분리시키는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 실린더는 상기 재배상자가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한 경우, 상기 로드를 하측으로 수직 이동시키고, 상기 구근 정식 틀과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된 경우, 상기 로드를 상측으로 수직 이동시킨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수부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모터, 상기 급수 모터로부터 물을 이송하기 위한 관인 급수 파이프 및 상기 급수 파이프의 일단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분사홀들이 형성된 한쌍의 분사 노즐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분사홀들의 개수는 상기 이송부의 이송 속도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급수 모터는, 상기 복수개의 분사홀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관수량을 조절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급수 모터는, 상기 복수개의 분사홀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관수 횟수를 조절한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은 재배상자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재배상자에 대한 이송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제1 및 제2 이송 위치에 기초하여, 재배상자에 상토를 공급하는 제1 및 제2 공급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제3 이송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재배상자에 구근 정식 틀을 삽입하여, 상기 상토에 정식 위치를 표시하는 구근 정식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제4 이송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재배상자에 관수를 공급하는 관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이송 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이송 위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4 이송 위치는 상기 제1 공급부에서 상기 제2 공급부로 향하는 일 방향으로 상기 제3 이송 위치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의 동작 방법으로, 상토를 재배상자에 1차 공급하는 단계, 상기 재배상자에 구근 정식 틀을 삽입하여, 상기 재배상자의 구근 정식 위치를 세팅하는 단계, 상기 구근 정식 위치에 따라 파종되는 상기 재배상자에 상토를 2차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상토가 2차 공급된 상기 재배상자에 관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1차 공급하는 단계, 상기 세팅하는 단계, 상기 2차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관수를 공급하는 단계 이전 마다, 상기 재배상자를 일정 시간마다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은, 재배상자를 이용한 절화나리 재배 시 수작업에 따른 노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집약적인 관리가 가능한 재배상자를 이용한 구근 정식 시스템을 제공하여, 절화나리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절화나리의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토 공급과 관수 분사 공정을 일원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에 대한 전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공급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이다.
도 3은 도 2의 댐퍼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이송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이다.
도 6은 도 1의 구근 정식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도 1의 관수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에 대한 동작 프로세스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출원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출원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출원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출원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출원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출원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출원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a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1000)에 대한 전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10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1000)은 제1 공급부(100), 제2 공급부(200), 이송부(300), 구근 정식부(400) 및 관수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및 제2 공급부(100, 200)는 서로 간에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수용된 상토를 재배상자(1)에 일정량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재배상자(1)는 상부가 개구되어, 제1 및 제2 공급부(100, 200)로부터 공급되는 상토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공급부(100, 200)는 이송부(300)로부터 지면과 반대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공급부(100, 200)는 균일하지 않는 상토를 주입받고, 균일하지 않는 상토를 균일한 상토로 파쇄하며, 재배상자(1)에 균일한 상토를 일정량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공급부(100, 200)는 호퍼일 수 있다.
또한, 제1 공급부(100)는 재배상자(1)의 기설정된 제1 높이까지 상토를 공급하고, 제2 공급부(200)는 재배상자(1)의 기설정된 제2 높이까지 상토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높이는 상토가 재배상자(1)의 일부 공간을 채운 상토의 높이를 의미하며, 제2 높이는 상토가 재배상자(1)에 가득채워진 상토의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공급부(100, 200)는 재배상자(1)의 이송 속도에 기초하여, 공급 각도(θ)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 각도(θ)는 제1 및 제2 공급부(100, 200)로부터 재배상자(1)에 상토를 공급하기 위한 각도로서, 제1 및 제2 공급부(100, 200)와 재배상자(1)의 상단의 평행한 면과 이루는 각도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배상자(1)의 이송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보다 작은 경우, 제1 및 제2 공급부(100, 200)는 공급 각도(θ)를 증가시키고, 재배상자(1)의 이송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보다 큰 경우, 제1 및 제2 공급부(100, 200)는 공급 각도(θ)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이송부(300)는 제1 공급부(100)에서 제2 공급부(200)로 향하는 일 방향으로 재배상자(1)를 이송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송부(300)는 제1 및 제2 공급부(200, 400)의 공급 각도(θ)에 기초하여, 재배상자(1)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공급부(200, 400)의 공급 각도(θ)가 기설정된 각도보다 작은 경우, 이송부(300)는 이송 속도를 증가시키고, 제1 및 제2 공급부(200, 400)의 공급 각도(θ)가 기설정된 각도보다 큰 경우, 이송부(300)는 이송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구근 정식부(400)는 제1 공급부(100)와 제2 공급부(200) 사이에 위치하고, 이송부(300)로부터 지면과 반대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구근 정식부(400)는 재배상자(1)에 구근 정식 틀(320)을 삽입하여, 재배상자(1)에 수용된 상토 표면에 구근 정식 위치를 세팅할 수 있다. 여기서, 구근 정식 틀(320)은 구근 크기에 따라 다양한 정식틀들로 교체할 수 있도록 탈부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는 재배상자(1)의 내주에 대응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근 정식부(400)는 지면 방향으로 구근 정식 틀(320)을 수직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근 정식 틀(320)은 구근 정식부(400)의 수직 이동에 따라, 재배상자(1)의 내부로 삽입되어 재배상자(1)에 수용된 상토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관수부(500)는 제2 공급부(200)로부터 일 방향으로 이송된 재배상자(1)에 관수를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수부(500)는 재배상자(1)가 사이로 이송되는 이송부(300)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양 측면에서 재배상자(1)에 관수를 분사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1000)은 제1 및 제2 공급부(100, 200), 이송부(300), 구근 정식부(400) 및 관수부(500)를 통해 재배상자(1)에 대한 구근 정식을 기계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절화나리 재배 시 수작업에 따른 노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1 및 제2 공급부(100, 2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및 제2 공급부(100, 200)를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이고, 도 3은 도 2의 댐퍼(15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며, 도 4는 도 1의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1000)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공급부(100, 200) 각각은 하우징(101), 제1 및 제2 교반기(110, 120), 교반 모터(130), 진동기(140), 댐퍼(150), 조절 레버(160) 및 경사판 장치(17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하우징(11)은 상토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은 상부의 일부가 개구되고, 상토를 집중시켜 토출하도록 하부가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부의 일부가 개구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1)의 상부의 일부는 주입홀(103)에 대응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1)의 하부의 일부는 배출홀(105)에 대응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교반기(110, 120)는 하우징(101) 내부에 형성되고, 하우징(101)에 수용된 상토를 서로 다른 회전 방향으로 파쇄하여, 상토를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교반기(110)는 하우징(101) 내부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여, 시계 방향으로 상토를 파쇄하고, 제2 교반기(120)는 내부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며, 반시계 방향으로 상토를 파쇄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교반 모터(130)는 하우징(101)의 외부에 위치하여, 제1 및 제2 교반기(110, 1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1 및 제2 교반기(110, 120)와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교반 모터(130)는 복수개로 형성되며, 제1 및 제2 교반기(110, 120)를 개별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진동기(140)는 하우징(101)의 경사진 하부에 형성되고, 상토가 용이하게 토출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부의 경사진 면에 진동을 유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150)는 상토의 토출량을 조절하도록 배출홀(105)을 개폐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조절 레버(160)는 하우징(101) 외부에 위치하여, 댐퍼(150)와 회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절 레버(160)가 회전됨에 따라 댐퍼(250)가 회동하여, 배출홀(105)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다음으로, 경사판 장치(170)는 하우징(101)으로부터 배출홀(105)을 통해 배출된 상토를 재배상자(1)에 공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경사판 장치(170)는 재배상자(1)에 상토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각도(θ) 및 재배상자(1)와의 이격 거리(L)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이송부(300)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이다.
도 1 ,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송부(300)는 하나의 이송 밸트(310), 한쌍의 트레이 이송 롤러(320_1, 320_2) 및 하나의 벨트 구동 모터(330)로 구성된 컨베이어 장치들(예컨대, 300_1~300_3)이 복수개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 장치들(예컨대, 300_1~300_3)은 직렬로 연결되어, 일 방향으로 재배상자(1)를 이송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컨베이어 장치(100_1)의 타측은 제2 컨베이어 장치(100_2)의 일측과 연결되고, 제2 컨베이어 장치(100_2)의 타측은 제3 컨베이어 장치(100_3)의 일측과 연결되어, 재배상자(1)는 제1 컨베이어 장치(100_1)의 일측으로부터 제3 컨베이어 장치(100_3)의 타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이송 밸트(310)는 한쌍의 트레이 이송 롤러(320_1, 320_2)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한쌍의 트레이 이송 롤러(320_1, 320_2)는 이송 밸트(310)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하며, 한쌍 중 하나는 벨트 구동 모터(330)에 회동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벨트 구동 모터(330)는 한쌍의 트레이 이송 롤러(320_1, 320_2) 중 하나를 회전시켜, 이송 밸트(310)를 회전시키고, 재배상자(1)를 일 방향으로 이송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구근 정식부(400)를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이다.
도 1과 도 6을 참조하면, 구근 정식부(400)는 에어 실린더(410), 구근 정식 틀(420) 및 리미트 스위치(4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에어 실린더(410)는 상하 수직 이동되는 로드(411)를 통해 구근 정식 틀(420)과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재배상자(1)가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한 경우, 에어 실린더(410)는 로드(411)를 하측으로 수직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구근 정식 틀(420)은 일면에 로드(411)와 탈부착되는 결합 프레임(421)이 형성되고, 구근 정식 위치를 세팅할 수 있는 고정돌기들(423)이 타면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돌기들(423)은 상토에 일정 깊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리미트 스위치(430)는 재배상자(1)의 일측에 위치하고, 구근 정식 틀(420)과 접촉이 이루어질 때, 구근 정식 틀(420)을 에어 실린더(4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리미트 스위치(430)와 구근 정식 틀(420)이 서로 접촉이 이루어지는 경우, 에어 실린더(410)는 로드(411)를 상측으로 수직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관수부(500)를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이다.
도 1과 도 7을 참조하면, 관수부(500)는 급수 모터(510), 급수 파이프(520_1, 520_2) 및 분사 노즐(530_1, 530_2)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급수 모터(510)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모터 펌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수 모터(510)는 물을 공급받아 급수 파이프(520_1, 520_2)를 통해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급수 파이프(520_1, 520_2)는 급수 모터(510)로부터 물을 이송하는 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수 파이프(520_1, 520_2)는 재배상자(1)가 사이로 이송되는 이송부(300)의 양 측면에 위치하도록 이송부(300)의 지면 측에서 분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분사 노즐(530_1, 530_2)은 급수 파이프(520_1, 520_2)의 일단에 결합되며, 복수개의 분사홀(531_1~531_N)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분사홀(531_1~531_N)의 개수는 이송부(300)의 이송 속도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송부(300)의 이송 속도가 1.8m/min 인 경우, 분사홀(531_1~531_N)의 개수는 20개로 형성되고, 이송부(300)의 이송 속도가 3.6m/min 인 경우, 분사홀(531_1~531_N)의 개수는 30개로 형성되며, 이송부(300)의 이송 속도가 5.4m/min 인 경우, 분사홀(531_1~531_N)의 개수는 40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급수 모터(510)는 분사홀(531_1~531_N)의 개수에 기초하여, 급수 파이프(520_1, 520_2)를 통해 공급되는 관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사홀(531_1~531_N)의 개수가 이송부(300)의 이송 속도에 대응되는 개수보다 작은 경우, 급수 모터(510)는 관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분사홀(531_1~531_N)의 개수가 이송부(300)의 이송 속도에 대응되는 개수보다 큰 경우, 급수 모터(510)는 관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급수 모터(510)는 분사홀(531_1~531_N)의 개수에 기초하여, 급수 파이프(520_1, 520_2)를 통해 공급하는 관수 횟수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사홀(531_1~531_N)의 개수가 이송부(300)의 이송 속도에 대응되는 개수보다 작은 경우, 급수 모터(510)는 관수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분사홀(531_1~531_N)의 개수가 이송부(300)의 이송 속도에 대응되는 개수보다 큰 경우, 급수 모터(510)는 관수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관수부(500)는 제2 공급부(200)로부터 일 방향으로 이송된 재배상자(1)에 수용된 상토의 표면을 정돈할 수 있도록 브러쉬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부(550)는 제2 공급부(200)와 분사 노즐(530_1, 530_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20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2000)은 제1 공급부(100), 제2 공급부(200), 이송부(300), 구근 정식부(400), 관수부(500) 및 센서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된 동일한 부재번호의 제1 공급부(100), 제2 공급부(200), 이송부(300), 구근 정식부(400) 및 관수부(500)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먼저, 센서부(600)는 재배상자(1)에 대한 이송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600)는 재배상자(1)의 이송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한쌍의 레이저 센서(610_1, 620_1)가 이송부(300)의 일정거리 마다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한쌍의 레이저 센서(610_1, 620_2)는 레이저를 송신하는 송신 센서(610_1)와 상기 레이저를 수신하는 수신 센서(620_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부(600)는 재배상자(1)에 대한 제1 이송 위치를 감지하여, 제1 공급부(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송 위치는 제1 공급부(100)가 상토를 공급하는 위치일 수 있다. 이때, 제1 공급부(100)는 센서부(600)를 통해 감지된 제1 이송 위치에 기초하여, 재배상자(1)에 상토를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센서부(600)는 재배상자(1)에 대한 제2 이송 위치를 감지하여, 제2 공급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이송 위치는 제2 공급부(200)가 상토를 공급하는 위치일 수 있다. 이때, 제2 공급부(100)는 센서부(600)를 통해 감지된 제2 이송 위치에 기초하여, 재배상자(1)에 상토를 공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센서부(600)는 재배상자(1)에 대한 제3 이송 위치를 감지하여, 구근 정식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이송 위치는 제1 및 제2 이송 위치 사이에서 구근 정식부(400)가 구근 정식 틀(320)을 삽입하는 위치일 수 있다. 이때, 구근 정식부(400)는 센서부(600)를 통해 감지된 제3 이송 위치에 기초하여, 재배상자(1)에 구근 정식 틀(320)을 삽입하여, 재배상자에 수용된 상토에 구근 정식 위치를 세팅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센서부(600)는 재배상자(1)에 대한 제4 이송 위치를 감지하여, 관수부(5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이송 위치는 제1 공급부(100)에서 제2 공급부(200)로 향하는 일 방향으로 제3 이송 위치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일 수 있다. 이때, 관수부(500)는 센서부(600)를 통해 감지된 제4 이송 위치에 기초하여, 재배상자(1)에 관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30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3000)은 제1 공급부(100), 제2 공급부(200), 이송부(300), 구근 정식부(400), 관수부(500) 및 추가 관수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된 동일한 부재번호의 제1 공급부(100), 제2 공급부(200), 이송부(300), 구근 정식부(400) 및 관수부(500)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관수부(700)는 제1 공급부(100)와 구근 정식부(4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추가 관수부(700)는 재배상자(1)가 사이로 이송되는 이송부(300)의 양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관수부(700)는 제1 공급부(100)로부터 일 방향으로 이송된 재배상자(1)에 관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1000)에 대한 동작 프로세스이다.
도 1 내지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S110 단계에서, 이송부(300)는재배상자(1)를 제1 공급부(100)의 기설정된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공급부(100), 구근 정식부(400), 제2 공급부(200) 및 관수부(500)는 일정거리 마다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이송부(300)는 재배상자(1)를 일 방향으로 일정 시간마다 일정 거리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S120 단계에서, 제1 공급부(100)는 재배상자(1)에 상토를 1차 공급할 수 있다.
그런 다음, S130 단계에서, 이송부(300)는 재배상자(1)를 구근 정식부(400)의 기설정된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S140 단계에서, 구근 정식부(400)는 재배상자(1)에 구근 정식 틀(320)을 삽입하여, 재배상자(1)에 대한 구근 정식 위치를 세팅할 수 있다.
그런 다음, S150 단계에서, 이송부(300)는 재배상자(1)를 제2 공급부(200)의 기설정된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S160 단계에서, 제2 공급부(200)는 구근 정식 위치에 따라 파종된 재배상자(1)에 상토를 2차 공급할 수 있다.
그런 다음, S170 단계에서, 이송부(300)는 재배상자(1)를 관수부(500)의 기설정된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후, S180 단계에서, 관수부(500)는 상기 상토가 2차 공급된 재배상자(1)에 관수를 공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송부(300)는 S120 단계, S140 단계, S160 단계 및 S180 단계 이전에 재배상자(1)를 일정 시간마다 제1 공급부(100)로부터 관수부(500)로 향하는 일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송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제1 공급부
200: 제2 공급부
300: 이송부
400: 구근 정식부
500: 관수부
1000: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Claims (15)

  1.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재배상자에 상토를 공급하는 제1 및 제2 공급부;
    상기 재배상자를 상기 제1 공급부에서 상기 제2 공급부로 향하는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제1 및 제2 공급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재배상자에 구근 정식 틀을 삽입하여, 상기 재배상자에 대한 구근 정식 위치를 세팅하는 구근 정식부; 및
    상기 제2 공급부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이송된 상기 재배상자에 관수를 공급하는 관수부를 포함하는,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공급부는, 상기 재배상자의 이송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상토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각도를 조절하는,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공급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재배상자의 이송 속도를 조절하는,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근 정식 틀은 구근 크기에 따라 다양한 정식틀들로 교체할 수 있도록 탈부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공급부는, 상기 상토를 수용하기 위한 주입홀과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교반기;
    상기 제1 및 제2 교반기를 회전시키는 교반 모터;
    상기 하우징의 경사진 하부에 위치한 진동기;
    상기 상토의 토출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배출홀을 개폐시키는 댐퍼;
    상기 댐퍼와 회동하도록 형성된 조절 레버; 및
    상기 배출홀을 통해 토출된 상기 상토를 상기 재배상자에 공급하기 위한 경사판 장치를 포함하는,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 장치는, 상기 상토를 상기 재배상자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각도 및 상기 재배상자와의 이격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조절되는,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하나의 이송 벨트, 한쌍의 트레이 이송 롤러 및 하나의 벨트 구동 모터로 구성된 컨베이어 장치가 복수개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근 정식부는, 상하 수직 이동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에어 실린더;
    상기 로드의 일단에서 탈부착되는 구근 정식 틀; 및
    상기 구근 정식 틀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구근 정식 틀을 상기 에어 실린더로부터 분리시키는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실린더는 상기 재배상자가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한 경우, 상기 로드를 하측으로 수직 이동시키고,
    상기 구근 정식 틀과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로드를 상측으로 수직 이동시키는,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부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모터;
    상기 급수 모터로부터 물을 이송하기 위한 관인 급수 파이프; 및
    상기 급수 파이프의 일단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분사홀들이 형성된 한쌍의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분사홀들의 개수는 상기 이송부의 이송 속도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모터는, 상기 복수개의 분사홀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관수량을 조절하는,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모터는, 상기 복수개의 분사홀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관수 횟수를 조절하는,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14. 재배상자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재배상자에 대한 이송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제1 및 제2 이송 위치에 기초하여, 재배상자에 상토를 공급하는 제1 및 제2 공급부;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제3 이송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재배상자에 구근 정식 틀을 삽입하여, 상기 재배상자에 수용된 상기 상토에 구근 정식 위치를 세팅하는 구근 정식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제4 이송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재배상자에 관수를 공급하는 관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이송 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이송 위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4 이송 위치는 상기 제1 공급부에서 상기 제2 공급부로 향하는 일 방향으로 상기 제3 이송 위치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인,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15.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의 동작 방법으로,
    상토를 재배상자에 1차 공급하는 단계;
    상기 재배상자에 구근 정식 틀을 삽입하여, 상기 재배상자의 구근 정식 위치를 세팅하는 단계;
    상기 구근 정식 위치에 따라 파종되는 상기 재배상자에 상토를 2차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상토가 2차 공급된 상기 재배상자에 관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1차 공급하는 단계, 상기 세팅하는 단계, 상기 2차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관수를 공급하는 단계 이전 마다, 상기 재배상자를 일정 시간마다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90166428A 2019-12-13 2019-12-13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359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428A KR102359039B1 (ko) 2019-12-13 2019-12-13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428A KR102359039B1 (ko) 2019-12-13 2019-12-13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410A true KR20210075410A (ko) 2021-06-23
KR102359039B1 KR102359039B1 (ko) 2022-02-07

Family

ID=76599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428A KR102359039B1 (ko) 2019-12-13 2019-12-13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0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479B1 (ko) * 2022-11-30 2023-07-31 문영철 순환형 작물재배시스템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50528A1 (en) * 1983-12-07 1985-08-07 Oglevee, Ltd. Method of growing lilies, and adult lily plant of the Longiflorum type
JPH05137416A (ja) * 1991-11-20 1993-06-0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球根播種機
JPH0661015U (ja) * 1992-06-12 1994-08-30 株式会社コンマ製作所 育苗用播種機の感知構造
JPH0739256A (ja) * 1993-07-30 1995-02-10 Iseki & Co Ltd 育苗用播種機
US5500404A (en) * 1993-01-28 1996-03-19 Japan Tobacco Inc. Method for dwarfing lilies and lily bulbs obtained from the dwarfing treatment
KR960009480A (ko) * 1994-08-22 1996-03-22 정장호 고속 데이타 송수신 장치의 타이밍 복원 장치
WO2001058249A1 (en) * 2000-02-10 2001-08-16 Flexivorm Beheer B.V. Device and method for forcing flower bulbs
JP2004313105A (ja) * 2003-04-18 2004-11-11 Otsuka Sangyo:Kk 水稲育苗用培土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60007B1 (ko) * 2007-03-21 2007-09-18 (주)명성기계 구근류 세척장치
KR100933133B1 (ko) * 2009-07-06 2009-12-21 신안군농업기술센터소장 종구 파종기
KR20100057498A (ko) * 2008-11-21 2010-05-31 가부시키가이샤 스즈텍 육묘 용기용 공급 장치의 이송 장치 및 육묘 용기용 파종 장치
KR101440437B1 (ko) * 2013-06-10 2014-09-17 (주)헬퍼로보텍 기계 정식을 위한 육묘 트레이용 자동 파종장치
KR101661302B1 (ko) * 2015-03-31 2016-09-29 김애영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장치
EP3552480A1 (en) * 2018-04-10 2019-10-16 IG Specials B.V. Apparatus and method for placing plant bulbs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50528A1 (en) * 1983-12-07 1985-08-07 Oglevee, Ltd. Method of growing lilies, and adult lily plant of the Longiflorum type
JPH05137416A (ja) * 1991-11-20 1993-06-0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球根播種機
JPH0661015U (ja) * 1992-06-12 1994-08-30 株式会社コンマ製作所 育苗用播種機の感知構造
US5500404A (en) * 1993-01-28 1996-03-19 Japan Tobacco Inc. Method for dwarfing lilies and lily bulbs obtained from the dwarfing treatment
JPH0739256A (ja) * 1993-07-30 1995-02-10 Iseki & Co Ltd 育苗用播種機
KR960009480A (ko) * 1994-08-22 1996-03-22 정장호 고속 데이타 송수신 장치의 타이밍 복원 장치
WO2001058249A1 (en) * 2000-02-10 2001-08-16 Flexivorm Beheer B.V. Device and method for forcing flower bulbs
JP2004313105A (ja) * 2003-04-18 2004-11-11 Otsuka Sangyo:Kk 水稲育苗用培土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60007B1 (ko) * 2007-03-21 2007-09-18 (주)명성기계 구근류 세척장치
KR20100057498A (ko) * 2008-11-21 2010-05-31 가부시키가이샤 스즈텍 육묘 용기용 공급 장치의 이송 장치 및 육묘 용기용 파종 장치
KR100933133B1 (ko) * 2009-07-06 2009-12-21 신안군농업기술센터소장 종구 파종기
KR101440437B1 (ko) * 2013-06-10 2014-09-17 (주)헬퍼로보텍 기계 정식을 위한 육묘 트레이용 자동 파종장치
KR101661302B1 (ko) * 2015-03-31 2016-09-29 김애영 골재 또는 광물 건조 장치
EP3552480A1 (en) * 2018-04-10 2019-10-16 IG Specials B.V. Apparatus and method for placing plant bulb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479B1 (ko) * 2022-11-30 2023-07-31 문영철 순환형 작물재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9039B1 (ko) 202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88418B (zh) 一种定向定位播种机
KR101022025B1 (ko) 식물 재배 장치
KR101762498B1 (ko) 스마트 종자파종기
KR102359039B1 (ko)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23306A (ko) 간이형 체인 컨베이어식 무인자동 버섯재배장치
CN106961890A (zh) 一种电控气吹式精密排种器
CN108782030A (zh) 食用菌种植设备及其加工工艺
KR102471050B1 (ko) 다수개의 육묘상자공급기가 구비되는 육묘상자 공급용 컨베이어
CN110800508A (zh) 一种幼苗移栽装置及方法
KR101677011B1 (ko) 양식장용 송풍식 사료공급장치의 사료살포기
KR20200111382A (ko) 가정용 식물 재배장치
KR102077224B1 (ko) 생산량 증대를 위한 체인 컨베이어식 무인자동 작물재배장치
KR101780480B1 (ko) 수경 재배 장치
JP4963460B2 (ja) 播種方法および播種装置
KR20120117088A (ko) 모노레일식 식물자원 생산시스템
KR100814413B1 (ko) 농산물 자동화 재배기
KR102471053B1 (ko) 다수의 육묘상자공급기를 갖는 육묘상자 공급용 컨베이어의 육묘상자 공급 공정
KR20090082529A (ko) 종균 혼합기
CN208874930U (zh) 一种育秧大棚自动摆盘装置
CN108966776A (zh) 一种农业种植用施肥装置
KR101845481B1 (ko) 압력을 이용한 수분공급장치
CN211090585U (zh) 一种农业耕种用点播机
CN208972112U (zh) 一种育苗箱
KR100302906B1 (ko) 콩나물의자동재배장치
IT201900003689A1 (it) Impianto e metodo di coltivazione senza-terra di prodotti vegeta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