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007B1 - 구근류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구근류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007B1
KR100760007B1 KR1020070027686A KR20070027686A KR100760007B1 KR 100760007 B1 KR100760007 B1 KR 100760007B1 KR 1020070027686 A KR1020070027686 A KR 1020070027686A KR 20070027686 A KR20070027686 A KR 20070027686A KR 100760007 B1 KR100760007 B1 KR 100760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s
steel mesh
mesh conveyor
bulb
wash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보영
Original Assignee
(주)명성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성기계 filed Critical (주)명성기계
Priority to KR1020070027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1Cleaning travelling work

Abstract

본 발명은 인산 또는 더덕과 같은 구근류를 세척하기 위한 구근류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근류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구근류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근류를 세척하기 위해 분사된 세척액이 수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근류를 이송하는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 상기 구근류 세척시 상기 구근류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상부 스틸망 컨베이어; 상기 구근류가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와 상기 상부 스틸망 컨베이어를 동일한 속도로 구동시키는 모터; 상기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의 상기 구근류가 실리는 상면 직하방 및 상기 상부 스틸망 컨베이어의 상기 구근류와 접촉되는 하면 직상방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세척액 분사 노즐; 및 상기 세척액 분사 노즐로 상기 세척액을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바, 구근류의 자동투입 및 연속생산이 가능하며, 구근류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인삼, 더덕, 구근류, 자동세척

Description

구근류 세척장치{Bulbous cleaning apparatus}
도 1은 종래 구근류 세척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근류 세척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근류 세척장치의 일부를 제거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근류 세척장치의 일부를 제거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구근류 100: 구근류 세척장치
110: 하우징 111: 구근류 유입구
113: 구근류 배출구 115: 호퍼
117: 세척액 수납통 119: 구근류 분리용 봉
130: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 150: 상부 스틸망 컨베이어
170: 세척액 분사 노즐 171: 종동풀리
173: 구동풀리 175: 밸트
191, 193: 모터 195: 펌프
200: 버블세척조
본 발명은 구근류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근류를 자동 투입할 수 있으며, 연속생산이 가능하고, 구근류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구근류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삼 또는 더덕과 같은 구근류는 채취된 후 대량 판매를 위해 깨끗이 세척하고 탈피시키는 과정이 필요한바, 세척 및 탈피 작업은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최근에는 자동화된 기계장치를 이용하는바, 세척과 탈피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인삼탈피장치가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325302호에 개시 되었다.
종래 인삼탈피장치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외주면에 다수의 배출공이 천공된 회전통이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통은 본체와 도어로 구성되어 도어가 개폐되게 설치되며, 회전통의 내부에는 펌프를 통해 고압으로 탈피수가 분사되는 탈피수파이프가 장착되고, 상기 탈피수파이프는 길이 방향으로 좌우 요동하여 회전통 안에서 인삼을 세척하고 고압으로 분사되는 탈피수로 인삼 껍질을 탈피하여 제거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종래 인삼탈피장치는 회전통에 설치된 도어를 통해 소정량의 인삼을 투입하고 회전통의 구동과 함께 펌프를 작동시켜 회전통이 회전하면서 고압으로 탈피수가 분사되어 인삼을 세척하는 동시에 껍질을 탈피하는 것으로, 회전통이 회전함에 따라 투입된 인삼이 뒤섞이면서 뒤집어지고 탈피수가 고압으로 인삼에 분사되어 세척과 탈피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인삼탈피장치는 세척과 탈피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도어가 설치된 회전통에 인삼을 투입하고 밀폐시킨 후 구동시킴에 따라 회전통 안에 투입된 인삼의 세척 및 탈피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 작업 도중에 회전통과 펌프를 정지시킨 후 도어를 열고 인삼의 세척 및 탈피상태를 관찰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 시간이 지연되고, 세척 및 탈피시간이 과다할 경우 고압으로 분사되는 탈피수에 의해 인삼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세척 및 탈피작업이 완료된 인삼은 회전통에서 도어를 열고 작업자가 손으로 집어내는 실정으로 사실상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삼의 세척 및 탈피과정이 외부로 노출되게 교반벨트로 인삼을 이송시켜 뒤집어 가면서 고압으로 물을 분사하여 인삼의 세척 및 탈피작업을 수행함으로서 작업자가 인삼의 세척 및 탈피상태를 관찰하면서 작업을 진행함으로 작업과정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인삼탈피장치가 국내 특허등록 제508111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개선된 인삼탈피장치에 의하면 종래 인삼탈피장치의 단점인 인삼의 세척 및 탈피 정도를 수행중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결한 반면에 교반밸트의 회전에 따라 인삼이 뒤섞여 세척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종래 드럼구조를 채택한 종래 인삼탈피장치의 문제점인 세척 대상물이 쉽게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또한 드럼 또는 교반밸트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구조 특성상, 다수개의 인삼을 드럼 또는 교반밸트에 넣고 구동시켜 세척한 후 구동을 정지시키고 세척된 인삼을 추출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기에 연속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근류를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스틸망으로 제작하고, 이를 상부 및 하부에 구비시키며, 상하부의 스틸망 컨베이어 사이로 이송되는 구근류에 물을 분사시킴으로써, 구근류가 손상되지 않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구근류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근류 세척장치는 구근류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구근류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근류를 세척하기 위해 분사된 세척액이 수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근류를 이송하는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 상기 구근류 세척시 상기 구근류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상부 스틸망 컨베이어; 상기 구근류가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와 상기 상부 스틸망 컨베이어를 동일한 속도로 구동시키는 모터; 상기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의 상기 구근류가 실리는 상면 직하방 및 상기 상부 스틸망 컨베이어의 상기 구근류와 접촉되는 하면 직상방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세척액 분사 노즐; 및 상기 세척액 분사 노즐로 상기 세척액을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근류 세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근류 세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에 따른 구근류 세척장치의 일부를 제거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근류 세척장치의 일부를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근류 세척장치(100)는 구근류(1)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인바, 하우징(110),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130), 상부 스틸망 컨베이어(150), 모터(191), 세척액 분사 노즐(170) 및 펌프(19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하우징(110)은 양측에 구근류 유입구(111)와 구근류 배출구가 형성된 직육면체 금속 케이스로 달성되는바, 내부에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130), 상부 스틸망 컨베이어(150) 및 세척액 분사 노즐(170)이 설치되며, 구근류(1)를 세척하기 위해 분사된 세척액이 수납된다.
상술한 세척액 수납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달성될 수 있는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액을 하우징(110)의 내측 하부로 안내하는 호퍼(115) 및 호퍼(115)를 통하여 모인 세척액이 수납되는 세척액 수납통(117)을 구비시킴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으며, 하우징의 측면 하단에 배출구를 형성시킴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한편, 구근류(1)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130) 및 상부 스틸망 컨베이어(150)에의 스틸망 사이에 잔뿌리가 끼어 세척된 구근류(1)가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지 못하고, 세척장치에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는바, 세척된 구근류(1)가 배출되는 하우징(110)의 구근류 배출구(113)에 구근류 분리용 봉(119)을 설치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즉, 세척된 구근류(1)가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130)의 스틸망에 끼인 경우 구근류 배출구(113)에 도착한 구근류(1)는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130)의 외부로 떨어지지 못하고 일부분이 낀 상태로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130)의 회수 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구근류 분리용 봉(119)이 설치된 위치에서 구군류(1)는 더 이상 회수되는 방향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구근류 분리용 봉(119)에 부딪혀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다음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130)는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며, 버블세척조(200)에서 세척된 구근류(1)를 이송하는 수단으로, 일반적인 스틸망 컨베이어로 달성된다.
다음 상부 스틸망 컨베이어(150)는 구근류(1) 세척시 구근류(1)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13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며, 일반적인 스틸망 컨베이어로 달성된다.
따라서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130)의 하부에서 분사되는 세척액에 의해 구근류(1)가 요동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요동이라 함은 세척액의 분사압에 의해 구근류(1)가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130)사의 상하 전후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말하며, 상부 스틸망 컨베이어(150)가 구근류(1)를 누르고 있음으로 해서 이러한 요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모터(191)는 구근류(1)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130)와 상부 스틸망 컨베이어(150)를 동일한 속도로 구동시키는바, 동일한 속도로 구동되지 않으면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130)와 상부 스틸망 컨베이어(150) 사이에 삽입 된 구근류(1)가 두 컨베이어(130)(150)의 속도 차이에 의해 으깨질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세척액 분사 노즐(170)은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130)의 상기 구근류가 실리는 상면 직하방 및 상부 스틸망 컨베이어(150)의 구근류와 접촉되는 하면 직상방에 위치되어 구근류(1)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액을 분사한다.
즉, 세척액 분사 노즐(170)은 각 스틸망 컨베이어의 루프 사이에 다수개가 위치되는바, 컨베이어가 스틸망으로 되어 있어 세척액 분사 노즐(170)에서 분사되는 세척액이 스틸망을 통과하여 구근류(1)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세척액 분사 노즐(170)을 상하 및 좌우로 이동시키면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는바, 좌우이동은 세척액 분사 노즐(170) 각각의 단부에 종동풀리(171)를 구비시키고, 모터(193)와 연결된 구동풀리(173)와 종동풀리(171)를 벨트(175)로 연결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상하 이동은 차량을 정비하기 위해 이용되는 잭(jack)을 구비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잭은 국내 실용등록 제200239호에 개시된 잭으로 대표되는 일반적인 잭으로 달성되는바,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펌프(195)는 세척액 분사 노즐(170)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수단인바, 일반적인 펌프로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근류 세척장치(100)는 버블세척조(200)에서 1차로 세척된 구근류(1)를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130)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며, 구근류(1)가 세척액 분사 노즐(170)이 위치한 곳 까지 이송되면 세척액 분사 노즐(170) 에서 분사되는 세척액에 의해 다시 한번 세척되도록 한다.
이때 분사되는 세척액에 의해 구근류(1)가 날리거나 요동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부 스틸망 컨베이어(150)를 구비시켜 이를 방지하였다.
즉, 상부 스틸망 컨베이어(150)에 구근류(1)의 크기만큼 상부로 이격 설치된 상부 스틸망 컨베이어(150)로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130) 상에 실린 구근류(1)를 누름으로써 구근류(1)의 요동을 막는 것이다.
한편 구근류(1)는 종류별로 그 크기가 다른바,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130)와 상부 스틸망 컨베이어(150) 사이의 이격간격이 조절되지 않으면, 작은 크기의 구근류(1)의 경우 세척시 구근류(1)의 요동을 방지하지 못할 수 있으며, 큰 크기의 구근류(1)의 경우 구근류(1)가 손상 즉, 으깨질 수 있기 때문에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130)와 상부 스틸망 컨베이어(150) 사이의 이격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위치조절수단을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위치조절수단은 당 분야의 전문가라면 극히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근류 세척장치에 따르면, 구근류의 자동투입 및 연속생산이 가능하며, 구근류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구근류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구근류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근류를 세척하기 위해 분사된 세척액이 수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근류를 이송하는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
    상기 구근류 세척시 상기 구근류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상부 스틸망 컨베이어;
    상기 구근류가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와 상기 상부 스틸망 컨베이어를 동일한 속도로 구동시키는 모터;
    상기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의 상기 구근류가 실리는 상면 직하방 및 상기 상부 스틸망 컨베이어의 상기 구근류와 접촉되는 하면 직상방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세척액 분사 노즐; 및
    상기 세척액 분사 노즐로 상기 세척액을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된 구근류가 배출되는 상기 하우징의 구근류 배출구에는 상기 하부 스틸망 컨베이어 및 상기 상부 스틸망 컨베이어에의 스틸망에 잔뿌리가 끼어 있는 구근류를 상기 스틸망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구근류 분리용 봉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세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액 분사 노즐을 상하 및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세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세척액 분사 노즐의 단부에 구비된 종동풀리; 및
    상기 종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된 구동풀리가 구비된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세척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세척액을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부로 안내하는 호퍼; 및
    상기 호퍼를 통하여 모인 세척액이 수납되는 세척액 수납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류 세척장치.
KR1020070027686A 2007-03-21 2007-03-21 구근류 세척장치 KR100760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686A KR100760007B1 (ko) 2007-03-21 2007-03-21 구근류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686A KR100760007B1 (ko) 2007-03-21 2007-03-21 구근류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0007B1 true KR100760007B1 (ko) 2007-09-18

Family

ID=38738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686A KR100760007B1 (ko) 2007-03-21 2007-03-21 구근류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00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507B1 (ko) 2007-11-29 2008-06-09 보령시농업기술센터 쪽파 자동 탈피장치
KR101174070B1 (ko) * 2012-02-29 2012-08-1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인삼세척기
KR101226999B1 (ko) 2012-02-29 2013-01-28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인삼세척방법
KR101307558B1 (ko) * 2011-08-12 2013-09-12 한국식품연구원 원주형 근채류의 신선편이를 위한 전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323482B1 (ko) 2012-01-19 2013-11-08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수삼 세척기
CN107802007A (zh) * 2017-10-31 2018-03-16 傅淑君 一种樱桃循环供水清洗设备
CN107811305A (zh) * 2017-10-31 2018-03-20 傅淑君 一种樱桃输送辅助清洗设备
KR20210075410A (ko) * 2019-12-13 2021-06-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226Y1 (ko) 1999-08-20 2000-02-1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백합구근 세척장치
KR200215705Y1 (ko) 2000-10-02 2001-03-15 양옥열 고구마 자동 세척시스템
KR200325302Y1 (ko) 2003-05-21 2003-09-02 길태리 인삼 탈피기
KR200335279Y1 (ko) 2003-09-23 2003-12-06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감자세척 건조장치
KR200365598Y1 (ko) 2004-07-29 2004-10-26 학교법인 제주교육학원 무우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226Y1 (ko) 1999-08-20 2000-02-1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백합구근 세척장치
KR200215705Y1 (ko) 2000-10-02 2001-03-15 양옥열 고구마 자동 세척시스템
KR200325302Y1 (ko) 2003-05-21 2003-09-02 길태리 인삼 탈피기
KR200335279Y1 (ko) 2003-09-23 2003-12-06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감자세척 건조장치
KR200365598Y1 (ko) 2004-07-29 2004-10-26 학교법인 제주교육학원 무우 세척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507B1 (ko) 2007-11-29 2008-06-09 보령시농업기술센터 쪽파 자동 탈피장치
KR101307558B1 (ko) * 2011-08-12 2013-09-12 한국식품연구원 원주형 근채류의 신선편이를 위한 전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323482B1 (ko) 2012-01-19 2013-11-08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수삼 세척기
KR101174070B1 (ko) * 2012-02-29 2012-08-1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인삼세척기
KR101226999B1 (ko) 2012-02-29 2013-01-28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인삼세척방법
CN107802007A (zh) * 2017-10-31 2018-03-16 傅淑君 一种樱桃循环供水清洗设备
CN107811305A (zh) * 2017-10-31 2018-03-20 傅淑君 一种樱桃输送辅助清洗设备
KR20210075410A (ko) * 2019-12-13 2021-06-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359039B1 (ko) 2019-12-13 2022-02-07 대한민국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0007B1 (ko) 구근류 세척장치
US7171762B2 (en) Self-cleaning centrifugal pellet dryer and method thereof
CN211247510U (zh) 喷淋清洗模块及通过式喷淋清洗机
KR101034978B1 (ko) 농수축산물 및 자동차 부품 박스 컨테이너 자동세척기
KR20100005996U (ko) 컨테이너 세척장치
KR200482344Y1 (ko) 부추 및 대파 세척기
KR20150056995A (ko)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JP2006223991A (ja) パレットの洗浄装置
JPS59209588A (ja) 洗浄装置
KR101072441B1 (ko) 건조 겸용 팔레트 세척기
KR101770103B1 (ko) 세척수 탱크 착탈형 범용 세척장치
JP7328521B2 (ja) 容器洗浄装置
KR0162263B1 (ko) 산업용 클리닝 장치
KR200394201Y1 (ko) 고추세척기
KR20100006384U (ko) 과실 선별 세척장치
CN111011890A (zh) 一种喷淋式毛刷苹果清洗机
KR101974858B1 (ko) 원형 전지 세정기의 물류방법
CN110236466A (zh) 箱体式喷淋装置及餐具回收一体机
US2461162A (en) Can washing machine
KR100763644B1 (ko) 고추 세척기
KR101194159B1 (ko) 공기를 이용한 실린더 헤드 이물질제거장치
KR101323482B1 (ko) 수삼 세척기
JPH05281A (ja) 瓶の洗浄装置
KR20000014399A (ko) 부품 자동세척기
CN108655104A (zh) 一种翻转式超声波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