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6995A -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 Google Patents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6995A
KR20150056995A KR1020130139743A KR20130139743A KR20150056995A KR 20150056995 A KR20150056995 A KR 20150056995A KR 1020130139743 A KR1020130139743 A KR 1020130139743A KR 20130139743 A KR20130139743 A KR 20130139743A KR 20150056995 A KR20150056995 A KR 20150056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conveyor belt
spray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7047B1 (ko
Inventor
이선호
최승렬
오성식
박석호
정훈
윤홍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30139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047B1/ko
Publication of KR20150056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23N12/023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for wash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6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combined with subsequent dr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과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과류의 세척률은 높이되 손상률은 억제하여 소과류의 품질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는 공기공급부, 상부 분사부 및 하부 분사부를 포함하여 소과류의 상·하부에 공기를 동시에 분사하는 공기분사부와 이송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부 분사부와 하부 분사부에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상부 분사부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 분사노즐에 의해 상기 공기공급부에서 공급받은 공기를 소과류의 상부에서 하부로 분사한다. 상기 하부 분사부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 분사노즐에 의해 상기 공기공급부에서 공급받은 공기를 소과류의 하부에서 상부로 분사한다. 상기 이송부는 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소과류를 배출부까지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소과류의 종류에 따라 세척 또는 탈수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송되는 피세척물의 상·하부에 공기를 동시에 분사함으로써 열매의 크기가 작은 소과류의 세척 및 탈수가 가능하며, 특히 물성이 연약한 소과류를 손상없이 세척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Air washing and drying machine for small fruits}
본 발명은 소과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과류의 세척률은 높이되 손상률은 억제하여 소과류의 품질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산물을 처리하거나 가공하는 작업이 산업화되면서 농산물을 대량으로 신속하고 위생적으로 처리하여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인력에 의하여 처리되었던 세척 등의 전처리작업이 기계화되고 있으나, 농산물은 배추와 같이 잎을 이용하는 옆채, 과일, 뿌리식물 등 그 종류나 형태가 다양하고, 농산물의 종류나 형태에 따라서 처리조건도 달라져야하므로, 세척하고자 하는 농산물의 종류나 형태에 따른 전용 세척장치를 채택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 열매의 크기가 작은 소과류(small fruits)만을 위한 세척장치가 없어, 소과류의 세척은 일반적인 과실류를 위한 세척장치를 통해 세척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과실류를 위한 세척장치는 과실류를 물속에 침지하여 공기를 공급하여 세척하거나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하여 세척한 뒤, 송풍팬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방식을 이용한다. 그러나,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하여 소과류를 세척할 경우, 물성이 연약한 복분자, 오디는 물 세척시 물러지는 현상이 나타나 품질에 있어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하며, 송풍팬을 이용하여 공기를 불어넣어 주는 방식의 건조는 세척된 과실류의 하부로는 공기의 흐름이 약하게 발생하여, 소과류 하부의 오염물질 및 물기를 제대로 제거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소과류(small fruits)의 상·하부에 공기를 동시에 분사하여 세척 또는 탈수를 수행함으로써 소과류의 세척률은 높이되 손상률은 억제하여 소과류의 품질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는 공기공급부, 상부 분사부 및 하부 분사부를 포함하여 소과류의 상·하부에 공기를 동시에 분사하는 공기분사부와 이송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투입부는, 소과류가 하적될 수 있는 내측 공간이 형성된 투입 대기구 및 상기 투입 대기구로부터 상기 컨베이어 벨트까지 경사를 형성시키는 슬라이드 형태의 투입구로 구성되어, 상기 투입 대기구의 소과류가 상기 투입구의 경사를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세척 또는 탈수가 완료된 소과류가 적재될 수 있는 내측 공간이 형성된 적재부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상기 적재부까지 경사를 형성시키는 슬라이드 형태의 배출구로 구성되어, 소과류가 상기 배출구의 경사를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적재부의 내측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부 분사부와 하부 분사부에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상부 분사부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 분사노즐에 의해 상기 공기공급부에서 공급받은 공기를 소과류의 상부에서 하부로 분사한다.
상기 하부 분사부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 분사노즐에 의해 상기 공기공급부에서 공급받은 공기를 소과류의 하부에서 상부로 분사한다. 이때, 하부 분사부 하부에는 소과류에서 낙하되는 이물질을 상기 이송부 밖으로 배출시키는 이물질 배출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 배출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 이송방향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경사가 형성된 측면상 삼각모양인 슬라이드 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분사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하는 벨트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하는 벨트 하부와 리턴하는 벨트 상부 사이에 상기 하부 분사부 및 이물질 배출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분사부와 하부 분사부의 분사노즐은 양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 분사부의 분사노즐과 상기 하부 분사부의 분사노즐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소과류를 배출부까지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시킨다. 이때, 컨베이어 벨트에는 보호벽이 형성될 수 있으며, 망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소과류의 종류에 따라 세척 또는 탈수를 제어한다. 제어부는 세척의 경우 풍속 5m/s~12m/s 및 컨베이어 이송속도 0.02m/s~0.03m/s로, 탈수의 경우 풍속 5m/s~12m/s 및 컨베이어 이송속도 0.02m/s~0.03m/s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는 외부 하우징의 전부 또는 일부가 투명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의 상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는, 이송되는 피세척물의 상·하부에 공기를 동시에 분사함으로써 열매의 크기가 작은 소과류의 세척 및 탈수가 가능하며, 특히 물성이 연약한 소과류를 손상없이 세척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소과류에 대한 가공 및 유통 중 품질손실을 최소화하고 유통기한을 연장시켜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의 내부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투입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상부 분사부 및 하부 분사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이물질 배출대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하우징의 상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의 내부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는 소과류가 투입되는 투입부(100), 세척 또는 탈수된 소과류가 적재되는 배출부(400), 투입부(100)를 통해 투입받은 소과류를 배출부(400)까지 컨베이어 벨트(210)를 통해 이송시키는 이송부(200), 상기 이송부(200)를 통해 이송되는 소과류의 상·하부에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부(300) 및 소과류의 종류에 따라 세척 또는 탈수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선택키를 구비한 키입력부(500) 및 전원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투입부(100)는 세척 또는 탈수하고자 하는 소과류가 투입되는 곳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과류가 하적될 수 있는 내측 공간이 형성된 투입 대기구(110) 및 상기 투입 대기구(110)로부터 상기 컨테이어 벨트(210) 일측까지 경사를 형성시키는 슬라이드 형태의 투입구(120)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투입 대기구(110)에 투입된 소과류가 투입구(120)에서 컨베이어 벨트(210) 측으로 형성된 경사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소과류가 컨베이어 벨트(210) 측으로 아무런 충격없이 이동될 수 있다.
배출부(400)는 세척 또는 탈수가 완료된 소과류가 배출되는 곳으로서, 소과류가 적재될 수 있는 내측 공간이 형성된 적재부(420)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 타측으로부터 상기 적재부(420)까지 경사를 형성시키는 슬라이드 형태의 배출구(410)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세척 또는 탈수가 완료된 소과류가 배출구(410)의 경사를 따라 컨베이어 벨트(210)에서 적재부(420)의 내측 공간으로 자동으로 이동되어 적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투입부(100) 및 배출부(400)는 소과류의 투입 또는 배출시 소과류의 낙하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완충부재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송부(200)는 투입부(100)를 통해 투입받은 소과류를 배출부(400)를 향해 일방향으로 자동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이송부(200)는 투입부(100)로부터 배출부(400)까지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컨베이어 벨트(21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다수개의 롤러(220), 상기 롤러(22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230)의 구동력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210)는 일방향으로 궤도 이송되어 진다.
공기분사부(300)는 소과류의 상·하부에 공기를 동시에 분사할 수 있도록 공기공급부(330)와, 상기 공기공급부(330)에서 공급받은 공기를 소과류의 상부에서 하부로 분사하는 상부 분사부(310) 및 공기공급부(330)에서 공급받은 공기를 소과류의 하부에서 상부로 분사하는 하부 분사부(320)를 포함한다.
상부 분사부(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210)의 이송하는 벨트(212) 상부에 배치되며, 공기공급부(330)에서 공급받은 공기를 유입시키는 파이프 형태의 상부 공급관(312)과, 상부 공급관(312)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하부로 분사하는 다수개의 분사노즐(314)이 구비된다.
하부 분사부(320)는 컨베이어 벨트(210)의 이송하는 벨트(212) 하부와 리턴하는 벨트(214) 상부 사이에 배치되며, 공기공급부(330)에서 공급받은 공기를 유입시키는 파이프 형태의 하부 공급관(322)과, 하부 공급관(322)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부로 분사하는 다수개의 분사노즐(324)이 구비된다.
이러한 분사노즐(314, 324)은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장착되되, 양단으로 장착될 수도 있으며, 다각도로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급관(312, 322)과 분사노즐(314, 324)을 양단으로 구성하여 배치하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분사부의 분사노즐(314)과 하부 분사부의 분사노즐(324)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210)의 이송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 분사부(320)의 하부와 컨베이어 벨트의 리턴하는 벨트(214) 상부 상이에 소과류에서 낙하되는 이물질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 밖으로 배출시키는 이물질 배출대(430)가 구비된다. 상기 이물질 배출대(4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 이송방향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경사가 형성된 측면상 삼각형상의 슬라이드 판 형태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소과류의 세척시 소과류에서 낙하되는 이물질이 컨베이어 벨트에 유입되지 않고, 이물질 배출대(430)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장치의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송부의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210)는 망(net)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소과류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상기 이송하는 벨트(212)를 통과하여 하부에 위치한 이물질 배출대(430)로 낙하될 수 있으며, 하부 분사부(320)의 분사노즐(324)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소과류의 하부에 직접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210)는 이송방향의 상·하단부에 소정형상 및 높이로 보호벽(미도시)이 돌출 형성되어, 이송되는 소과류가 컨베이어 벨트(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입력부(500)는 다수의 선택키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제어부(700)에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세척 및 탈수 장치의 전원구동을 위한 전원버튼과 복분자, 오디 등 물성이 약한 소과류를 공기로 세척하기 위한 세척버튼, 물로 세척된 오미자, 블루베리 등의 물성이 강한 소과류를 탈수하기 위한 탈수버튼 등을 구비한다.
제어부(700)는 상기 각 장치들을 제어하여 투입구(100)를 통해 투입된 소과류를 컨베이어 벨트(210)를 통해 이송시켜 배출구(400)에 적재시키며, 컨베이어 벨트(210)를 통해 이송되는 소과류의 상·하부에 공기를 동시에 분사하여 세척 또는 탈수를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700)는 소과류의 종류에 따라 세척일 경우, 공기분사부(300)와 이송부(200)를 제어하여 풍속 5m/s~12m/s, 컨베이어 이송속도 0.02m/s~0.04m/s에서 공기세척을 수행한다. 또한, 탈수일 경우에는, 공기분사부(300)와 이송부(200)를 제어하여 풍속 5m/s~12m/s, 컨베이어 이송속도 0.02m/s~0.04m/s에서 공기탈수를 수행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는 외부 하우징의 전부 또는 일부가 투명재질로 구성되어, 외부에서 사용자가 소과류의 세척 및 탈수 과정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하는 벨트(212)를 기준으로 외부 하우징을 상부 하우징(810)과 하부 하우징(820)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으며, 상부 하우징(8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전면에는 사용자가 소과류의 세척 및 탈수과정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아크릴 재질의 투시창(812)을 구비하고, 타측에는 경첩(816)을 통해 하부 하우징(820)과 연결되어, 일측 전면에 위치한 손잡이(814)를 통해 상부 하우징(810)을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하부 하우징(820)은 불투명 재질의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하단에는 장치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송수단(822)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부 하우징(810) 만을 개패하여 용이하게 장치의 유지보수 관리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를 이용하여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복분자, 오디 등을 풍속 10.6m/s, 컨베이어 이송속도 0.03m/s에서 세척한 경우, 약 98% 세척률을 보였고, 처리량은 106kg/시간으로 나타났으며, 세척 후의 경도변화는 미세척 543gf/cm2, 세척 691gf/cm2으로 세척 후에 약 27% 증가하였다. 또한, 오미자, 블루베리 등의 탈수 결과 풍속 10.6m/s, 컨베이어 이송속도 0.025m/s에서 약 99%의 탈수율을 보였고, 처리량은 70kg/시간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는 소과류에 있어서 품질손실 없이 높은 세척률과 탈수율을 보이고 있어, 소과류의 세척 및 탈수 등의 전처리작업에 있어서 기계화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0 : 투입부 110 : 투입 대기구
120 : 투입구 200 : 이송부
210 : 컨베이어 벨트 212 : 이송하는 벨트
214 : 리턴하는 벨트 220 : 롤러
230 : 구동모터 300 : 공기분사부
310 : 상부 분사부 312 : 상부 공급관
314, 324 : 분사노즐 320 : 하부 분사부
322 : 하부 공급관 330 : 공기공급부
400 : 배출부 410 : 배출구
420 : 적재부 430 : 이물질 배출대
500 : 키입력부 600 : 전원부
700 : 제어부 810 : 상부 하우징
812 : 투시창 814 : 손잡이
816 : 경첩 820 : 하부 하우징
822 : 이송수단

Claims (13)

  1. 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소과류를 배출부까지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시키는 이송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와,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 분사노즐에 의해 상기 공기공급부에서 공급받은 공기를 소과류의 상부에서 하부로 분사하는 상부 분사부, 및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 분사노즐에 의해 상기 공기공급부에서 공급받은 공기를 소과류의 하부에서 상부로 분사하는 하부 분사부를 포함하여 소과류의 상·하부에 공기를 동시에 분사하는 공기분사부; 및
    소과류의 종류에 따라 세척 또는 탈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소과류가 하적될 수 있는 내측 공간이 형성된 투입 대기구 및 상기 투입 대기구로부터 상기 컨베이어 벨트까지 경사를 형성시키는 슬라이드 형태의 투입구로 구성되어, 상기 투입 대기구의 소과류가 상기 투입구의 경사를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세척 또는 탈수가 완료된 소과류가 적재될 수 있는 내측 공간이 형성된 적재부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상기 적재부까지 경사를 형성시키는 슬라이드 형태의 배출구로 구성되어, 소과류가 상기 배출구의 경사를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서 상기 적재부의 내측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망(net)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는,
    보호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분사부 하부에는,
    소과류에서 낙하되는 이물질을 상기 이송부 밖으로 배출시키는 이물질 배출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하는 벨트 상부에 상기 상부 분사부가 배치되고, 상기 이송하는 벨트 하부와 리턴하는 벨트 상부 사이에 상기 하부 분사부 및 상기 이물질 배출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 이송방향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경사가 형성된 측면상 삼각모양인 슬라이드 판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분사부 및 하부 분사부의 분사노즐은 양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 분사부의 분사노즐과 상기 하부 분사부의 분사노즐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는 외부 하우징의 전부 또는 일부가 투명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부는,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세척의 경우 풍속 5m/s~12m/s 및 컨베이어 이송속도 0.02m/s~0.04m/s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탈수의 경우 풍속 5m/s~12m/s 및 컨베이어 이송속도 0.02m/s~0.04m/s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KR1020130139743A 2013-11-18 2013-11-18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KR101557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743A KR101557047B1 (ko) 2013-11-18 2013-11-18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743A KR101557047B1 (ko) 2013-11-18 2013-11-18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995A true KR20150056995A (ko) 2015-05-28
KR101557047B1 KR101557047B1 (ko) 2015-10-07

Family

ID=53391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743A KR101557047B1 (ko) 2013-11-18 2013-11-18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04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3202A (zh) * 2018-11-04 2019-02-22 贵州剑河珍源生态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便于清洗的大球盖菇的加工装置
KR20190102120A (ko) * 2018-02-23 2019-09-03 한국식품연구원 수삼 제조용 세척 장치
KR20210097375A (ko) * 2020-01-30 2021-08-09 주식회사 한국농산식품 농산물 세척장치
KR20220067413A (ko) * 2020-11-17 2022-05-24 주식회사 아콩 살균수를 이용한 직선형 과일 세척장치
KR20220067415A (ko) * 2020-11-17 2022-05-24 주식회사 아콩 살균수를 이용한 회전형 과일 세척장치
KR20220165952A (ko) * 2021-06-09 2022-12-1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농산물 탈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4165A (ko) 2022-02-18 2023-08-25 양지연 농산물 세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280B1 (ko) * 2008-03-28 2008-10-27 음성군 인삼류 표면처리방법 및 표면처리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120A (ko) * 2018-02-23 2019-09-03 한국식품연구원 수삼 제조용 세척 장치
CN109363202A (zh) * 2018-11-04 2019-02-22 贵州剑河珍源生态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便于清洗的大球盖菇的加工装置
KR20210097375A (ko) * 2020-01-30 2021-08-09 주식회사 한국농산식품 농산물 세척장치
KR20220067413A (ko) * 2020-11-17 2022-05-24 주식회사 아콩 살균수를 이용한 직선형 과일 세척장치
KR20220067415A (ko) * 2020-11-17 2022-05-24 주식회사 아콩 살균수를 이용한 회전형 과일 세척장치
KR20220165952A (ko) * 2021-06-09 2022-12-1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농산물 탈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047B1 (ko)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047B1 (ko)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KR101545400B1 (ko)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KR100634668B1 (ko) 착색단고추 열수세척장치
US8348046B1 (en) Conveyor belt cleaning assembly
JP5894650B2 (ja) 韮洗浄装置
KR20120139927A (ko) 파레트 살균 소독 장치
CN107962022B (zh) 瓶盖自动清洗生产线
CN210960344U (zh) 一种绿色葡萄干清洗干燥机
KR101904650B1 (ko) 패각류 자동 세척장치
KR101867875B1 (ko) 곡물세척기
KR20200064672A (ko) 멸치자숙용 발 세척장치
JP2013236591A (ja) 茶葉給葉兼予備洗浄機
US20200221671A1 (en) Vertical egg washer and dryer such as integrated into an egg processing line
CN105057298A (zh) 一种容器自动清洗烘干机
CN211726877U (zh) 药瓶全自动清洗机
CN205020473U (zh) 一种容器自动清洗烘干机
CN207940322U (zh) 一种洗果机
KR100431665B1 (ko) 습식 마늘박피장치
US20060096470A1 (en) Apparatus for peeling outer skins of garlic using wet process
KR101764223B1 (ko) 즉석밥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36464B1 (ko) 슬러지용 저온 열풍 건조장치
EP3599874B1 (en) Device for cleaning chicken feet
JP6325899B2 (ja) 水耕パネルの洗浄装置および方法
EP2799372A1 (en) A method and a processing station for processing shell eggs
KR20120130448A (ko) 어업용 그물 세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