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133B1 - 종구 파종기 - Google Patents

종구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133B1
KR100933133B1 KR1020090061362A KR20090061362A KR100933133B1 KR 100933133 B1 KR100933133 B1 KR 100933133B1 KR 1020090061362 A KR1020090061362 A KR 1020090061362A KR 20090061362 A KR20090061362 A KR 20090061362A KR 100933133 B1 KR100933133 B1 KR 100933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hopper
coupled
interlocking
dro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수
이영준
김장호
조진언
이향의
박강용
양재연
Original Assignee
신안군농업기술센터소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안군농업기술센터소장 filed Critical 신안군농업기술센터소장
Priority to KR1020090061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1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A01C7/14Seeders with spoon or bucket whe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구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리기를 이용한 경운(耕耘)과 동시에 호퍼 내부에 담아둔 다량의 종구를 재배지에 일정간격마다 순차로 투하시킬 수 있도록 한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기와의 연계장착을 위한 차체와; 상기 차체의 일 상단에 설치된 상태로, 파종을 목적하는 다량의 종구를 한대 담아두도록 한 호퍼와; 상기 호퍼의 일 측에 연계된 상태로, 상기 호퍼 내에 축적된 상기한 종구를 순차적으로 개별 포획 및 인양 후 밭고랑에 낙하시키기 위한 다수의 투하장치와; 상기 차체의 후방 하단에 장착됨으로써, 상기한 관리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밭고랑을 형성토록 된 다수의 배토휠과; 상기 차체의 전방 하단 양측에 장착상태에서, 지면을 타고 도는 회전작용으로 상기 투하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 복수의 구름휠과; 상기 차체의 후방 및 상기 배토휠에 연계장착됨에 따라, 상기한 관리기의 동력을 상기 배토휠에 전달하기 위한 제1동력전달체와; 그리고, 상기 차체의 전방 및 상기 구름휠에 연계장착됨으로 인해, 상기 구름휠의 자전 동력을 상기 투하장치에 전달할 수 있게 된 제2동력전달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구, 구근, 튤립, 파종, 호퍼, 투하장치, 배토휠, 구름휠, 동력전달체

Description

종구 파종기{Seeding apparatus of the seed bulb}
본 발명은 종구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리기를 이용한 경운(耕耘)과 동시에 호퍼 내부에 담아둔 다량의 종구를 재배지에 일정간격마다 순차로 투하시킬 수 있도록 한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종구(種球, Seed bulb)라 함은, 구근(球根, Bulb / 알뿌리)으로 번식하는 구근식물의 씨(種子)를 통틀어 일컫는 것으로, 대표적인 구근식물로는 튤립·백합·수선화와 더불어 양파·마늘·연근 등이 있다.
이러한 구근식물들은, 땅에 심으면 바로 꽃을 피우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시기에 심어야만 성장하고 꽃을 피운다. 더욱이, 내한성(耐寒性)이 강하고 저온으로 인한 꽃눈형성의 촉진으로 계절상 가을에 심어 그 다음 봄에 꽃이 피는 추식구근(秋植球根)과 내한성이 약하고 꽃눈 형성이 늦어 봄에 심어 여름에 꽃이 피는 춘식구근(春植球根)으로 크게 구분한다.
한편, 상기한 튤립(Tulip, 학명 : Tulipa gesneriana) 종구의 파종시 촉성 용(促成用)으로 재배하려면 공기와 물의 유통이 원활하고 비료의 분해가 빠른 사질토(沙質土 , 모래 성분이 많은 흙)에서 경작(耕作, Tillage)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기후 및 지형적 특성에 따라 수년 전까지만 해도 네덜란드와 일본에서 전량 수입해 왔으나 국내 관련기관에서 기술개발에 성공하면서부터 국내 공급량으로 확대시키고 실정에 이르렀다.
특히, 전라남도 신안군의 임자도는 적당한 일조량과 해풍 그리고 전체 면적의 약 8%가 게르마늄을 함유한 모래흙(사질토)으로 이루어져 있어, 지난해 8만㎡에 대규모 튤립단지를 조성하였으며 올해에는 그 면적을 10만㎡(3만3000평)로 늘렸을 만큼 우리나라 튤립 식재량의 40%를 넘어 전국 최대 규모의 튤립 재배지역으로 손꼽히고 있다.
여기서, 땅을 경운(耕耘 : 논밭을 갈고 김을 맴)하여 형성된 고랑에 개화의 크기와 모양을 감안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뿌리는 튤립 종구의 파종에서부터 구근생산 혹은 튤립재배에 필요한 모든 공정에 기계자동화가 필수적이나, 유럽의 여러 국가들에 비해 재배기술이 열악한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튤립 재배과정에 많은 인력을 투입할 수밖에 없어 왔다.
이러한 제반문제점을 다소나마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등록특허 제10-600153호를 통해, 보습에 의해 형성된 밭고랑에 수직으로 원하는 시점에 구근을 교대로 투하시키도록 하는 구근 파종장치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구근 파종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써, 종래의 구근 파종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원형판(910) 각 측면에 다수 조립된 스푼(911)에 의 하여 호퍼(920)의 하부에서 구근(이하 "종구"라 함)이 개별포획된 후 상기 원형판(910)의 하부에서 상기 스푼(911)의 궤적에 대응하여 배치된 스페이서(930)에 의해 투하된다.
이때, 후프(940)를 이용한 배토(培土)로 미리 형성된 밭고랑에 종구의 투하가 가능한 것이며, 이후 프레임 하단에 지지결합된 술바닥(950)에 의해 밭고랑이 복토(覆土)되는 것으로 종구의 파종작업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배토작업 및 복토작업을 위한 상기 보습(940) 및 술바닥의 후프(941)를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한 장치파손의 우려가 높고, 종구의 파종을 위한 일률적인 밭고랑의 형성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상기 호퍼(920) 내부 바닥면의 청소를 위해, 작업자가 상단 개구부를 통해 팔을 집어넣고 엎드려서 실시함과 같은 어정쩡한 자세에서 청소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뒤따랐다.
이와 함께, 종구의 크기와 파종간격을 감안한 상기 원형판(910)의 작동을 위한 별도의 동력전달을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한 원형판(910)에 배치된 상기 스푼(911)들의 위치변경이 불가함으로써, 재배면적 및 재배수량에 맞춰 구근(종구)의 파종작업을 실시할 수 없음과 같은 장치사용의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관리기의 운행시 지면을 타고 도는 구름휠 및 상기한 관리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는 다수의 배토휠을 함께 구비함으로써, 재배지의 배토작업시 상기 배토휠이 상기의 구름휠에 뒷받침됨에 따라 일률적인 깊이를 갖는 밭고랑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종구 파종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구의 개별 포획 및 인양 후 낙하시켜 파종하기 위한 스푼들의 사이 간격 조절을 통해, 재배지 환경에 맞춰 종구의 파종간격 조절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종구 파종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호퍼의 양측으로 개폐 가능한 개폐도어의 구비로, 종구의 파종작업 완료 이후 상기 호퍼 내부의 청소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종구 파종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종구 파종기는, 관리기와의 연계장착을 위한 차체와; 상기 차체의 일 상단에 설치된 상태로, 파종을 목적하는 다량의 종구를 한대 담아두도록 한 호퍼와; 상기 호퍼의 일 측에 연계된 상태로, 상기 호퍼 내에 축적된 상기한 종구를 순차적으로 개별 포획 및 인양 후 밭고랑에 낙하시키기 위한 다수의 투하장치와; 상기 차체의 후방 하단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한 관리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밭고랑을 형성토록 된 다수의 배토휠과; 상기 차체의 전방 하단 양측에 장착상태에서, 지면을 타고 도는 회전작용으로 상기 투하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 복수의 구름휠과; 상기 차체의 후방 및 상기 배토휠에 연계장착됨에 따라, 상기한 관리기의 동력을 상기 배토휠에 전달하기 위한 제1동력전달체와; 그리고, 상기 차체의 전방 및 상기 구름휠에 연계장착됨으로 인해, 상기 구름휠의 자전 동력을 상기 투하장치에 전달할 수 있게 된 제2동력전달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종구 파종기는, 관리기의 운행만으로도 재배지의 배토작업 및 재배지 환경에 따른 종구의 파종형태를 다양하게 이룰 수 있음으로써, 그동안 인력의 투입이 반드시 이루어져야만 했던 튤립 구근 생산 및 재배에 필요한 시간 절약 및 인건비 감축을 통해 작업인력이 부족한 농촌 노동력의 환경에 개의치 않고도 최소 인력으로 튤립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종구 파종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종구 파종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종구 파종기에 있어서, 호퍼와 투하장치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요부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종구 파종기에 있어서, 제1,2동력전달체와 회전체의 연관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며,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종구 파종기에 있어서, 낙구방지부재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고, 도 6b 및 6c는 본 발명에 따른 종구 파종기에 있어서, 낙구방지부재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종구 파종기의 장착예시 및 작동예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구 파종장치(A)는, 장치의 단일조합 및 통상 관리기와의 연계장착을 위한 차체(1)와, 상기 차체(1)의 일 상단에 설치된 상태로 파종을 목적하는 다량의 종구(s)를 한대 담아두도록 한 호퍼(2)와, 상기 호퍼(2)의 일 측에 연계된 상태로 상기한 호퍼(2) 내에 축적된 종구(s)를 순차적으로 개별 포획 및 인양 후 밭고랑에 낙하시키기 위한 다수의 투하장치(3)와, 상기 차체(1)의 후방 하단에 장착됨으로써 관리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밭고랑을 형성토록 된 다수의 배토휠(4)과, 상기 차체(1)의 전방 하단 양측에 장착상태에서 지면을 타고 도는 자전작용으로 상기 투하장치(3)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 복수의 구름휠(5)과, 상기 차체(1)의 후방 및 상기 배토휠(4)에 연계장착됨에 따라 관리기의 동력을 상기 배토휠(4)에 전달하기 위한 제1동력전달체(6)와, 상기 차체(1)의 전방 및 상기 구름휠(5)에 연계장착됨으로 인해 상기 구름휠(5)의 자 전 동력을 상기 투하장치(3)에 전달할 수 있게 된 제2동력전달체(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체(1)는, 상술한 호퍼(2)와 투하장치(3) 그리고 상기 배토휠(4)과 구름휠(5) 및 상기 제1,2동력전달체(6)(7)를 단일 조합장치로 구조화함과 더불어 상술한 경운기(c, 이하 "관리기"라 함.)와의 연계장착을 위한 것으로, 사각 형틀 구조를 이루는 메인프레임(11)과, 상기 메인프레임(11)의 후방 단부 일 측에 수직결합되는 "П"형 수직프레임(12)과, 상기 수직프레임(12)의 지지 및 상기 배토휠(41)의 장착목적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1)의 후방 양측 하단에 연계결합되는 복수의 "ㄴ"자형 하부프레임(13)과, 상기 구름휠(5) 장착을 목적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전방 양측으로부터 하향 경사구조로 더 연계결합된 복수의 경사프레임(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수직프레임(12)과 근접한 상기 메인프레임(11)의 후방 단부 중앙에는, 상기한 관리기(c)에 밀착조립되는 브래킷(111)을 더 구비결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중앙 양단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수직하는 연계결합에 의해, 상기 투하장치(3)의 설치를 가능케 한 복수의 이격대(112)가 더 구비결합된다.
더불어, 상기 배토휠(4)을 이용한 재배지의 배토(밭갈이)작업 도중 토사(土沙)나 각종 이물질(異物質)이 상기 제1,2동력전달체(6)(7)에 들러붙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제1보호덮개(113) 및 제2보호덮개(113)(114)가 상기 메인프레임(11)과 상 기 수직프레임(12)에 각각 추가 구비조립되되, 상기한 제1,2동력전달체(6)(7)의 외부를 둘러 덮게 됨이 바람직하다.
호퍼(2)는, 종구(s)의 다량 적재와 더불어 개별 포획 및 인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다량의 종구(s)를 담아둘 수 있는 수납부(2a)가 내부에 마련된 상부 개구형 함체 구조를 이루는 한편, 상기 수납부(2a)에 적재된 종구(s)의 수납위치를 상기 투하장치(3) 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형 집합부(2a-1)가 바닥면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집합부(2a-1)를 균등분할하여, 다량의 종구(s)가 상기 수납부(2a) 전체에 고르게 분산분포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구획판(21)이 일정간격마다 상향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집합부(2a-1)의 분할공간 각 바닥면 가장자리에는, 차후 후술될 상기 투하장치(3)의 스푼이 통과할 수 있도록 된 소통공(2a-11)을 관통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집합부(2a-1)에 근접한 상기 호퍼(2)의 양 측벽에는, 상기 수납부(2a)에 담긴 잔여 종구(s)를 외부로 배출함과 같은 이물질제거를 위한 청소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한 개방홀(2b)이 절개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개방홀(2b)마다의 양측 절개부위에는 복수의 가이드편(22)이 수직방으로 부착결합되고, 복수의 상기 가이드편(21) 내에 양단이 끼움된 채로 수동식 상,하 슬라이딩을 통해 상기 개방홀(2b)의 개방과 밀폐를 선택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한 개폐도어(23)가 구비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소통공(2a-11)과 직하(直下)하는 상기 호퍼(2)의 바닥면에는, 상기 소통공(2a-11)을 차폐시켜 종구(s)의 임의낙하를 차단하기 위한 낙구방지부재(24)가 더 구비결합된다.
상기 낙구방지부재(24)는, 상기 소통공(2a-11)들 사이의 상기 호퍼(2) 하면마다 "ㄱ"자형으로 부착결합되는 다수의 절곡판(241)과, 상기 절곡판(241) 측부마다 각각 조립결합된 상태로 상기 소통공(2b)을 차폐시키기 위한 한 쌍의 차폐판(242)과, 상기 차폐판(242)의 조립결합 및 소정 반경 힌지회동을 가능케 한 힌지핀(243)과, 한 쌍의 상기 차폐판(242) 각 상측에 횡으로 연계결합되어 복원력을 발휘하게 된 조임스프링(244)의 조립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한 쌍의 상기 차폐판(242) 각 상단에는, 상기 소통공(2b)을 밀폐시킬 수 있는 수평단(242-1)이 상호 대향 외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투하장치(3)는, 상기 호퍼(2)의 수납부(2a)에 담아둔 다량의 종구(s)를 밭고랑에 차례로 투하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름휠(5)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일정구간 순환 구동함으로써 상기 수납부(2a)에 담아둔 종구(s)를 개별 포획 및 인양 후 밭고랑에 일정간격을 두고 낙하시킬 수 있도록 된 회전체(31)와, 상기 회전체(31)의 근접 일 측에 수직하게 장착됨에 따라 상기 회전체(31)를 통해 투하되는 종구(s)의 낙하방향을 일정하게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부재(32)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체(31)는, 상기 이격대(112)의 하단에 힌지조립된 상태로 상기 제2동력전달체(6)에 의해 일 방향 회전되는 하부풀리(311)와, 상기 이격대(112) 상단에 힌지조립된 채 상기 하부풀리(311)의 회동시 연계 회동케 된 상부풀리(312)와, 상기 상,하부풀리(312)(311)를 둘러 감싸도록 연계조립됨으로써 상기 하부풀리(311)의 회동시 상기 상부풀리(312)가 동시 회전 가능토록 하기 위한 컨베이어벨트(313)와, 상기 컨베이어벨트(313)의 외면 일정간격마다 결합된 상태로 상기한 호퍼(2)의 수납부(2a)에 담아둔 종구(s)를 차례로 개별 포획하고 인양한 다음 아래로 낙하시키기 위한 다수의 스푼(3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푼(314)은, 종구(s)의 포획과 인양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호형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전술한 호형부의 일 측으로부터 더 연장절곡됨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벨트(313)의 외면에 부착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결착단(314-1)이 형성되고, 상기 결착단(314-1)과 상기 컨베이어벨트(313)에 관통체결되는 결합볼트(314-2)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재(32)는, 상기 회전체(31)의 외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조립됨으로써, 상기 스푼(314)에 의해 투하되는 종구(s)의 낙하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형 낙하유도받이(321)와, 상기 낙하유도받이(321)의 최상단에 조립되어 종구(s)의 최초 투하방향을 결정하는 방향전환틀(322)로 구성된다.
배토휠(4)은, 종구(s)의 파종을 목적으로 재배지를 밭갈이하는 배토(培土)작업을 위한 것으로, 복수의 상기 하부프레임(13) 사이에 일정간격마다 다수개가 횡으로 균등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토휠(4)의 각 단부에는 중심부를 기준하여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호형 배토날(41)이 일체로 구비결합된다.
한편, 다수의 상기 배토휠(4)의 공통 중심부를 연이어 관통함과 동시에 복수의 상기 하부프레임(13)에 양 선단이 각각 삽입결합되는 제1회동샤프트(42)를 더 포함한다.
구름휠(5)은, 관리기(c)를 이용한 본 발명의 파종기(A) 운행시 지면을 타고 도는 자전력을 상기 투하장치(3)에 동력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경사프레임(14)의 각 외측부에 조립되되, 복수의 상기 경사프레임(14) 최말단을 연계하는 자전샤프트(51)에 의해 자전 가능한 상태로 힌지결합된다.
제1동력전달체(6)는, 관리기(c)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배토휠(4)을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한 관리기로(c)부터 최초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된 구동기어(61)와, 상기 구동기어(61)가 상기한 수직프레임(12)에 조립상태로 회동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구동축(62)과, 상기 구동축(62)에 더 결합되어 상기 구동기어(61)와 동일 방향 및 회전수로 연계 회전작동을 이루게 된 제1연동기어(63)와, 상기 제1연동기어(63)의 하측에 맞물림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1연동기어(63)의 반대방향으로 역회전 구동하는 제1맞물림기어(64)와, 상기 제1맞물림기어(64)가 상기 수직프레임(12)에 조립된 채로 회전 가능케 하기 위한 연동축(65)과, 상기 제1맞물림기어(64)와 동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동축(65)에 더 축결합되는 제2연동기어(66)와, 상기 배토휠(4)을 관통한 상기 제1회동샤프트(42)에 축결합하는 제1회동기어(67)와, 상기 제2연동기어(66) 및 상기 제1회동기어(67)를 둘러 감싸는 연계조립을 통해 상기 제2연동기어(66)를 따라 상기 제1회동기어(67)가 동시 회전 가능케 하기 위한 제1체인(68)으로 구성된다.
제2동력전달체(7)는, 상기 구름휠(5)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투하장치(3)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름휠(5)의 자전샤프트(51)에 축결합되는 자전기어(71)와, 상기 하부풀리(312)에 축결합되는 제3연동기어(72)와, 상기 자전기어(71)와 상기 제3연동기어(72)를 둘러 감싸는 연계조립을 이루게 된 제2체인(73)과, 상기 제3연동기어(72)와 축결합된 상태로 동시 회전되는 제2회동기어(74)와, 상기 제2회동기어(74)의 하단에 맞물림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회동기어(74)의 반대방향으로 역회전 구동케 된 제2맞물림기어(75)와, 상기 제2맞물림기어(75)가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외측에 조립된 채로 회전구동을 이룰 수 있게 한 제2회동샤프트(76)와, 상기한 상부풀리(312) 및 상기 제2맞물림기어(75)의 동축결합을 위한 연계샤프트(7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종구 파종기(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튤립 종구(s)의 파종(播種)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튤립은, 가을에 정식(定植)하여 일정기간 저온을 받아야만 이듬해 4~5월경에 개화하는 추식 구근화초에 속하며, 6~7월경에는 구근을 수확해서 저장한다. 작형(作型, Cropping pattern)은 구근생산재배, 노지재배, 촉성재배, 분화재배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며 용도에 따라 그 작형을 달리한다.
여기서, 상술한 촉성(促成)재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와 물의 유통이 원활하고 비료의 분해가 빠른 사질토(沙質土 , 모래 성분이 많은 흙)에서 경작(耕作, Tillage)함에 적합하다.
이렇게, 종구(s) 파종에 적당한 재배지를 선정한 후 통상 경운기라 칭하는 관리기(c)를 이용하여 재배지의 배토작업과 더불어 상기한 종구(s)의 파종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1)의 브래킷(17)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종구 파종기(A)를 관리기(c)에 일체로 장착한다. 이후, 상기 호퍼(2)의 수납부(2a)에 다량의 종구(s)를 담아두는 것으로 튤립 종구(s)의 파종 준비를 끝마친다.
이를 위해, 먼저 상기한 관리기(c)를 구동시켜 상기 제1동력전달체(6)로부터 그 동력을 전달받은 상기 배토휠(4)의 배토날개(41)가 땅을 파헤치기 위한 회전 작동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도 7b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관리기(c)의 운행시 종구 크기의 약 2~3배 정도로 튤립 종구(s)를 심는데 적합한 깊이의 밭고랑을 재배지에 형성함과 같은 배토작업(밭갈이)을 실시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관리기(c)의 운행시, 상기한 구름휠(5)이 지면을 타고 도는 회전에 따라, 상기 제2동력전달체(7)가 상기 투하장치(3)의 회전체(31)를 순환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때문에, 상기 회전체(31)의 하부풀리(311)가 회전 구동하게 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313)는 상기 상,하부풀리(312)(311)과의 연계작동으로 원활한 순환 작동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벨트(313)의 외면에 일정간격마다 구비결합된 다수의 상기 스푼(314)이 순환한다. 이때, 상기 호퍼(2)의 바닥면에 형성된 상기 소통공(2a-11)을 차례로 통과함과 동시에 상기 호퍼(2)의 수납부(2a) 하측의 상기 집합부(2a-1)에 위치한 종구(s)를 개별 포획한 후 상기 상부풀리(312) 측으로 인양시킨 다음 재배지에 최종 낙하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풀리(312)의 최상단을 기점으로 아래로 떨어지게 된 종 구(s)는 상기 가이드부재(32)의 방향전환틀(322)에 의해 그 낙하방향이 결정되는 것이며, 낙하 도중에는 상기 낙하유도받이(321)에 안내되어 밭고랑에 정확히 투하되는 것이다.
또한, 최초 상기 낙구방지부재(24)에 밀폐된 상기 소통공(2a-11)은, 상기 스푼(314)의 통과시 개방된다. 즉,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푼(314)이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시 한 쌍의 상기 차폐판(242)들 사이를 지나게 되어 그들을 상호 양방으로 밀어내고, 이로 상기 차폐판(242)들 상단의 수평단(242-1)이 상기한 소통공(2a-11)을 개방하여 상기 스푼(314)이 종구(s)를 개별 포획 및 인양할 수 있다.
이렇게, 종구(s)를 개별 포획 및 인양한 상기 스푼(314)이 상기한 종구(s)를 재배지로 낙하시키는 파종작업이 가능한 것이며, 상기 스푼(314)을 통해 순차적으로 개별 포획된 종구(s)의 그 빈자리를 다른 종구(s)들이 채워나가게 되는바, 이는 상기 집합부(2a-1) 및 그 집합부(a-1)를 균등하게 분할한 상기 구획판(21)에 의해 상기 호퍼(2)의 수납부(2a) 전체에 종구(s)의 분산분포 배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컨베이어벨트(313)에 결합된 상기 스푼(314)의 이격차를 조절하여, 구근의 생산 또는 튤립 꽃 보기를 위함과 같은 재배지의 환경에 적합하도록 종구(s)의 파종간격을 달리할 수도 있음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한 관리기(c)를 구동시키는 것만으로도 상기 제1동력전달체(6)가 상기 배토휠(4)을 작동시켜 재배지의 배토를 이룰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관리기(c)의 운행만으로도 상기한 구름휠(5) 자전을 이용한 상기 투하장치(3)의 작동 및 상기 회전체(31)와 상기 가이드부재(32)를 통한 종구(s)의 파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전술한 바와 같은 모든 과정을 통해 튤립 종구(s)의 파종작업을 완료한 다음 상기 호퍼(2)의 수납부(2a)를 청소함에 있어, 상기 호퍼(2)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된 상기 개폐도어(23)를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개방홀(2b)을 개방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토휠(4) 및 상기 구름휠(5)의 회전작동시 재배지의 토사나 이물질이 상기 제1,2동력전달체(6)(7)에 들러붙지 않도록 하여, 장치의 고장 방지하고 유지보수 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구근 파종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종구 파종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종구 파종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종구 파종기에 있어서, 호퍼와 투하장치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요부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종구 파종기에 있어서, 제1,2동력전달체와 회전체의 연관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종구 파종기에 있어서, 낙구방지부재의 구성구조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6b 및 6c는 본 발명에 따른 종구 파종기에 있어서, 낙구방지부재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종구 파종기의 장착예시 및 작동예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파종기, s : 종구, 1 : 차체
2 : 호퍼, 2a : 수납부, 2a-1 : 집합부
2a-11 : 소통공, 2b : 개방홀, 3 : 투하장치
4 : 배토휠, 5 : 구름휠, 6 : 제1동력전달체
7 : 제2동력전달체, 11 : 메인프레임, 12 : 수직프레임
13 : 하부프레임, 14 : 경사프레임, 21 : 구획판
22 : 가이드편, 23 : 개폐도어, 24 : 낙구방지부재
31 : 회전체, 32 : 가이드부재, 41 : 배토날
69 : 제1회동샤프트, 51 : 자전샤프트, 61 : 구동기어
62 : 구동축, 63 : 제1연동기어, 64 : 제1맞물림기어
65 : 연동축, 66 : 제2연동기어, 67 : 제1회동기어
68 : 제1체인, 71 : 자전기어, 72 : 제3연동기어
73 : 제2체인, 74 : 제2회동기어, 75 : 제2맞물림기어
76 : 제2회동샤프트, 77 : 연계샤프트, 111 : 브래킷
112 : 이격대, 113 : 제1보호덮개, 114 : 제2보호덮개
241 : 절곡판, 242 : 차폐판, 242-1 : 수평단
243 : 힌지핀, 244 : 조임스프링, 311 : 하부풀리
312 : 상부풀리, 313 : 컨베이어벨트, 314 : 스푼
314-1 : 결착단, 314-2 : 결합볼트, 321 : 낙하유도받이
322 : 방향전환틀

Claims (15)

  1. 관리기와의 연계장착을 위한 차체와; 상기 차체의 일 상단에 설치된 상태로, 파종을 목적하는 다량의 종구를 한대 담아두도록 한 호퍼와; 상기 호퍼의 일 측에 연계된 상태로, 상기 호퍼 내에 축적된 상기한 종구를 순차적으로 개별 포획 및 인양 후 밭고랑에 낙하시키기 위한 다수의 투하장치와; 상기 차체의 후방 하단에 장착됨으로써, 상기한 관리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밭고랑을 형성토록 된 다수의 배토휠과; 상기 차체의 전방 하단 양측에 장착상태에서, 지면을 타고 도는 회전작용으로 상기 투하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 복수의 구름휠과; 상기 차체의 후방 및 상기 배토휠에 연계장착됨에 따라, 상기한 관리기의 동력을 상기 배토휠에 전달하기 위한 제1동력전달체와; 그리고, 상기 차체의 전방 및 상기 구름휠에 연계장착됨으로 인해, 상기 구름휠의 자전 동력을 상기 투하장치에 전달할 수 있게 된 제2동력전달체;로 구성되되,
    상기 차체는, 사각 형틀 구조를 이루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 단부 일 측에 수직결합하는 "П"형 수직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 양측 하단에 연계결합되는 복수의 "ㄴ"자형 하부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 양측으로부터 하향 경사구조로 더 연계결합된 복수의 경사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과 근접한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 단부 중앙에는, 상기한 관리기에 밀착조립되는 브래킷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앙 양단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계결합되는 복수의 이격대가 더 구비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구 파종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는, 재배지의 배토작업 도중 토사나 각종 이물질이 상기 제1,2동력전달체에 들러붙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제1보호덮개 및 제2보호덮개가 상기 제1,2동력전달체의 각 외부를 둘러 덮도록 더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구 파종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토휠의 양단부 각각에는, 중심부를 기준하여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호형 배토날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구 파종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하장치는, 상기 구름휠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일정구간 순환 구동함으로써, 상기 호퍼에 담아둔 종구를 개별 포획 및 인양 후 밭고랑에 일정간격을 두고 낙하시킬 수 있도록 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근접 일 측에 수직하게 장착됨에 따라, 상기 회전체를 통해 투하되는 종구의 낙하방향을 일정하게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구 파종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전달체는, 상기한 관리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수직프레임에 조립상태로 회동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더 결합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동일 방향 및 회전수로 연계 회전작동을 이루게 된 제1연동기어와,
    상기 제1연동기어의 하측에 맞물림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1연동기어의 반대방향으로 역회전 구동하는 제1맞물림기어와,
    상기 제1맞물림기어가 상기 수직프레임에 조립된 채로 회전 가능케 하기 위한 연동축과,
    상기 제1맞물림기어와 동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동축에 더 축결합되는 제2연동기어와,
    상기 배토휠의 일측에 축결합하는 제1회동기어와,
    상기 제2연동기어 및 상기 제1회동기어를 둘러 감싸는 연계조립을 통해, 상기 제2연동기어를 따라 상기 제1회동기어가 동시 회전 가능케 하기 위한 제1체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구 파종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이격대의 하단에 힌지조립된 상태로 상기 제2동력전달체에 의해 일 방향 회전되는 하부풀리와,
    상기 이격대 상단에 힌지조립된 채 상기 하부풀리의 회동시 연계 회동케 된 상부풀리와,
    상기 상,하부풀리를 둘러 감싸도록 연계조립됨으로써, 상기 하부풀리의 회동시 상기 상부풀리가 동 회전 가능토록 하기 위한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외면 일정간격마다 결합된 상태로, 상기 호퍼에 담아둔 다량의 종구를 차례로 개별 포획하고 인양한 다음 아래로 낙하시키기 위한 다수의 스푼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구 파종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력전달체는, 상기 구름휠 일측에 축결합하는 자전기어와,
    상기 하부풀리 일측에 축결합되는 제3연동기어와,
    상기 자전기어와 상기 제3연동기어를 둘러 감싸는 연계조립을 이루게 된 제2체인과,
    상기 제3연동기어와 축결합 상태로 동시 회전되는 제2회동기어와,
    상기 제2회동기어의 하단에 맞물림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회동기어의 반대방향으로 역회전 구동케 된 제2맞물림기어와,
    상기 제2맞물림기어가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측에 조립된 채로 회전구동을 이룰 수 있게 한 제2회동샤프트와,
    상기 제2맞물림기어의 축결합을 위한 연계샤프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종구 파종기.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회전체의 외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조립됨으로써, 투하되는 종구의 낙하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형 낙하유도받이와,
    상기 낙하유도받이의 최상단에 조립되어 종구의 최초 투하방향을 결정하는 방향전환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구 파종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다량의 종구를 담아둘 수 있는 수납부가 내부에 마련된 상부 개구형 함체 구조를 이루는 한편,
    상기 수납부에 적재된 종구의 수납위치를 상기 투하장치 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형 집합부가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집합부에는, 다량의 종구가 상기 수납부 전체에 고르게 분산분포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구획판이 일정간격마다 상향 돌출형성되며,
    상기 구획판에 의해 분할된 상기 집합부의 각 바닥면 일 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회전체의 스푼이 통과할 수 있도록 된 소통공을 관통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구 파종기.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바닥면에는, 상기 소통공을 차폐시켜 종구의 낙하를 임의차단하기 위한 낙구방지부재가 더 구비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구 파종기.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푼은, 종구의 개별 포획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호형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한 호형부의 일 측으로부터 더 연장절곡됨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외면에 부착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결착단이 형성되고,
    상기 결착단과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관통체결되는 결합볼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구 파종기.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양 측벽에는, 상기 수납부에 담긴 잔여 종구를 외부로 배출함과 같은 이물질제거를 위한 개방홀이 상기 집합부의 근접 부위에 절개형성되고,
    상기 개방홀마다의 양측 절개부위에는, 복수의 가이드편이 수직방으로 부착결합되며,
    복수의 상기 가이드편 내에 양단이 끼움된 채로, 수동식 상,하 슬라이딩을 통해 상기 개방홀의 개방 및 밀폐를 선택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한 개폐도어가 구비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구 파종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낙구방지부재는, 상기 소통공들 사이의 상기 호퍼 하면마다 "ㄱ"자형으로 부착결합되는 다수의 절곡판과,
    상기 절곡판의 측부마다 각각 조립결합된 상태로, 상기 소통공을 차폐시키기 위한 한 쌍의 차폐판과,
    상기 차폐판의 조립결합 및 소정 반경 힌지회동을 가능케 한 힌지핀과,
    한 쌍의 상기 차폐판 각 상측에 횡으로 연계결합되어 복원력을 발휘하게 된 조임스프링의 조립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종구 파종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 각 상단에는, 상기 소통공을 밀폐시킬 수 있는 수평단이 절곡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구 파종기.
KR1020090061362A 2009-07-06 2009-07-06 종구 파종기 KR100933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362A KR100933133B1 (ko) 2009-07-06 2009-07-06 종구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362A KR100933133B1 (ko) 2009-07-06 2009-07-06 종구 파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3133B1 true KR100933133B1 (ko) 2009-12-21

Family

ID=41684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362A KR100933133B1 (ko) 2009-07-06 2009-07-06 종구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1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5564A (zh) * 2019-07-03 2019-09-17 福州科秸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播种机
KR20200127606A (ko) * 2019-05-03 2020-11-11 최덕규 마늘파종기
KR20210075410A (ko) * 2019-12-13 2021-06-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7413653A (zh) * 2023-12-06 2024-01-19 四平本农本色农业产业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机质球的土地耕种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4729U (ko) 1985-03-15 1986-09-25
KR200221950Y1 (ko) 2000-11-24 2001-04-16 홍순용 마늘파종기
KR100318052B1 (ko) 1999-08-05 2001-12-22 대한민국(관리청:특허청장, 승계청:농촌진흥청장) 마늘 파종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4729U (ko) 1985-03-15 1986-09-25
KR100318052B1 (ko) 1999-08-05 2001-12-22 대한민국(관리청:특허청장, 승계청:농촌진흥청장) 마늘 파종기
KR200221950Y1 (ko) 2000-11-24 2001-04-16 홍순용 마늘파종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606A (ko) * 2019-05-03 2020-11-11 최덕규 마늘파종기
KR102231619B1 (ko) * 2019-05-03 2021-03-23 최덕규 마늘파종기
CN110235564A (zh) * 2019-07-03 2019-09-17 福州科秸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播种机
CN110235564B (zh) * 2019-07-03 2024-05-17 福州科秸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播种机
KR20210075410A (ko) * 2019-12-13 2021-06-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359039B1 (ko) 2019-12-13 2022-02-07 대한민국 절화나리 구근 정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7413653A (zh) * 2023-12-06 2024-01-19 四平本农本色农业产业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机质球的土地耕种方法
CN117413653B (zh) * 2023-12-06 2024-05-10 四平本农本色农业产业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机质球的土地耕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4629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planting operations
CN2492049Y (zh) 开沟式多功能马铃薯播种机
CN108200785A (zh) 一种玉米播种机的自动化漏播检测及补种装置
KR100933133B1 (ko) 종구 파종기
CN104429236B (zh) 一种秸秆粉碎清理免耕精量玉米播种机
CN109168356B (zh) 一种小麦窄行线耕播种机
CN204335321U (zh) 一种秸秆粉碎清理免耕精量玉米播种机
CN111213464A (zh) 一种玉米秸秆三年轮作覆盖还田法
Abd El Mawla et al. Study on the mechanization of sugarcane transplanting
CN106717200A (zh) 便于扭转覆土的播种机
CN205726934U (zh) 一种手自两用玉米播种机
CN205694184U (zh) 一种小型手推式播种机
CN108633664A (zh) 玄参的培育方法
KR102092808B1 (ko) 직파기
Singh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pau manual paddy transplanter in hills of Himachal Pradesh
CN107581002B (zh) 土豆种植方法
CN203446194U (zh) 播种机
CN113348799A (zh) 一种节能环保的农作物均匀播种设备
JP2000333511A (ja) 直播装置
CN113141955A (zh) 一种福建青冈播种育苗方法
Yilmaz et al. The effects of different chemicals on yield and quality of'Sweet Ann'strawberry nursery plants grown in Cappadocia Region–preliminary results
CN207820519U (zh) 玉米漏播自动检测及补种系统
CN117044446B (zh) 一种用于市政工程的草地种植设备
CN109220028A (zh) 一种多功能蔬菜播种机
CN203105085U (zh) 轮式循环扎眼播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