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5083A - 족용 온열 시트 - Google Patents

족용 온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5083A
KR20210075083A KR1020217010085A KR20217010085A KR20210075083A KR 20210075083 A KR20210075083 A KR 20210075083A KR 1020217010085 A KR1020217010085 A KR 1020217010085A KR 20217010085 A KR20217010085 A KR 20217010085A KR 20210075083 A KR20210075083 A KR 20210075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rotrusion
feet
heating
heat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0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광윈 싱
리츠코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75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0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2Sandals; Strap guides there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61H2201/1284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using own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 A61H2205/125Foot reflex z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돌기부 (12) 와 온열부를 갖는 족용 온열 시트 (100) 로서, 복수의 돌기부 (12) 와, 복수의 돌기부 (12) 가 형성되어 있는 기재 시트 (10) 를 구비하고, 기재 시트 (10) 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온열부는, 발열재를 갖고, 돌기부 (12) 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족용 온열 시트
본 발명은, 족용 온열 시트, 및, 족용 온열 시트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바닥의 급소를 자극하는 족용 온열 시트로는,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것 (동 문헌의 족용 일회용 회로 (懷爐)) 이 있다. 특허문헌 1 의 족용 온열 시트는, 급소 자극용의 돌기부가 되는 자석을 구비하고 있고, 편평한 반타원상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6370호
본 발명은, 돌기부와 온열부를 갖는 족용 온열 시트로서,
복수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재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 시트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온열부는, 발열재를 갖고,
상기 돌기부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족용 온열 시트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A-A 선을 따른 족용 온열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의 바닥면도이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의 돌기부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 는,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의 돌기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6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의 돌기부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의 제 2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의 제 2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10 은, 도 9 의 A-A 선을 따른 제 2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11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의 제 1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12 는,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은,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의 제 2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14 는,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의 돌기부 및 그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 15 는,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의 평면도이다.
특허문헌 1 의 족용 온열 시트에서는, 자석 이외의 온열 시트부에 의해, 피부에 열이 전달된다. 자석제의 돌기부는 열이 전달되지 않고, 또한, 온열 시트와 피부 사이에 간극을 발생시킨다. 그 간극에 존재하는 공기가 열 전달을 저해하기 때문에, 온열 시트의 열을 피부에 충분히 전달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돌기부의 열 전달 효과에 관하여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돌기부의 열 전달 효과가 우수한 구조의 족용 온열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돌기부와 온열부를 갖는 족용 온열 시트로서, 복수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재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 시트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온열부는, 발열재를 갖고, 상기 돌기부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족용 온열 시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있다.
먼저, 제 1 실시형태를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5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당해 설명은 기본적으로는 다른 실시양태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상이한 경우에는 그때마다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또는 도 2 중 어느 것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돌기부 (12) 와 온열부를 갖는 족용 온열 시트 (100) 로서, 복수의 돌기부 (12) 와, 복수의 돌기부 (12) 가 형성되어 있는 기재 시트 (예를 들어, 제 1 시트 (10)) 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돌기부 (12) 는, 제 1 시트 (10) 와는 별체로 형성되어 있어 제 1 시트 (10) 에 대해 첩부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도 되고, 제 1 시트 (10) 와 일체 형성 (제 1 시트 (10) 의 일부분으로서 형성) 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돌기부 (12) 는, 제 1 시트 (10) 의 일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 1 시트 (10) 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온열부는, 발열재 (41) 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온열부는, 돌기부 (12) 의 이면측의 공동 (空洞) (13) 내에 발열재 (41) 가 충전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돌기부 (12) 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 (100) 에 의하면, 돌기부 (12) 가 사람의 발바닥의 피부에 긴밀하게 압접되는 상태에서 족용 온열 시트 (100) 를 사용함으로써, 돌기부 (12) 에 의해 생체의 피부를 가압하면서, 온열부가 발한 온열을, 돌기부 (12) 를 경유하여 보다 양호하게 생체의 피부에 전달시키고, 또한 생체의 피부의 광범위에 균일적으로 확산시켜, 피부의 광범위를 따뜻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침구 (鍼灸) 와 같이, 발바닥의 경락이나 경혈을 가압과 온열에 의해 자극할 수 있다. 따라서, 다리의 피로가 풀려 수면의 질이 개선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돌기부 (12) 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부직포는 적당한 탄력성과 경도를 갖기 때문에, 체중 등의 가중에 의해 부직포가 신장됨으로써, 서서히 찌부러져 간다. 그러나, 완전히 찌부러지는 경우는 없다. 그 때문에, 이후 서술하는 <0029>~<0031> 에 기재된 내하중성 제어와 더불어, 발바닥의 급소나 피부로의 죄어드는 정도가 서서히 감소하여, 장시간 사용해도 과도한 통증이나 자극 없이,
발바닥의 급소나 피부를 적절한 정도로 발 마사지를 할 수 있다.
또한,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사용 전의 상태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포장재 내에 밀폐 수용되어 있다. 포장재가 개봉되어, 족용 온열 시트 (100) 가 포장재로부터 꺼내어지면, 외기에 포함되는 산소가 발열재 (41) 에 공급됨으로써 그 발열재 (41) 가 발열하도록 되어 있다.
돌기부 (12) 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선단측을 향하여 끝이 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단, 돌기부 (12) 의 선단부는,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부 (12) 의 형상은, 예를 들어, 원뿔상, 타원뿔상 또는 장원뿔상 등의 뿔상, 원뿔대상, 타원뿔대상 또는 장원뿔대상 등의 뿔대상, 혹은, 반구상 등으로 할 수 있다.
발열재 (41) 의 발열 성능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피부의 표면의 온도가 37 ℃ 이상 44 ℃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38 ℃ 이상 42 ℃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돌기부 (12) 의 공동 (13) 내에 발열재 (41) 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제 1 시트 (10) 의 상태에 있어서, 제 1 시트 (10) 의 면직 방향으로 돌기부 (12) 를 가압했을 때에, 1 개의 돌기부 (12) 당, 1 N 의 힘에서는 돌기부 (12) 가 실질적으로 소성 변형되지 않고 탄성 변형의 범위에서의 돌기부 (12) 의 변형이 발생하고, 60 N 의 힘에서는 돌기부 (12) 가 소성 변형되도록, 돌기부 (12) 의 내하중성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 개의 돌기부 (12) 당, 5 N 의 힘에서는 돌기부 (12) 가 실질적으로 소성 변형되지 않고 탄성 변형의 범위에서의 돌기부 (12) 의 변형이 발생하고, 40 N 의 힘에서는 돌기부 (12) 가 소성 변형되도록, 돌기부 (12) 의 내하중성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돌기부 (12) 에 의해 생체의 피부를 충분히 누를 수 있음과 함께, 생체의 피부에 대한 돌기부 (12) 의 죄어드는 정도를 적당한 범위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시트 (10) 의 면직 방향이란, 제 1 시트 (10) 의 법선 방향 (제 1 시트 (10) 의 일방의 면 (10a) 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 이다.
또, 돌기부 (12) 의 공동 (13) 내에 발열재 (41) 가 충전된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돌기부 (12) 를, 제 1 시트 (10) 의 면직 방향으로 가압했을 때에, 1 개의 돌기부 (12) 당, 3 N 의 힘에서는 돌기부 (12) 가 실질적으로 소성 변형되지 않고 탄성 변형의 범위에서의 돌기부 (12) 의 변형이 발생하도록, 족용 온열 시트 (100) 에 있어서 돌기부 (12) 와 대응하는 부위의 내하중성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 N 의 힘에서도 돌기부 (12) 가 실질적으로 소성 변형되지 않고 탄성 변형의 범위에서의 돌기부 (12) 의 변형이 발생하도록, 족용 온열 시트 (100) 에 있어서 돌기부 (12) 와 대응하는 부위의 내하중성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돌기부 (12) 에 의해 생체의 피부를 충분히 누를 수 있음과 함께, 생체의 피부에 대한 돌기부 (12) 의 죄어드는 정도를 적당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도 1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람의 족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평면 형상이, 사람의 족형 형상으로 되어 있고,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사람의 발바닥에 댄 상태에서 사용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족용 온열 시트 (100) 에 있어서의 발끝측을 전 (전측), 발뒤꿈치측을 후 (후측) 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복수의 돌기부 (12) 에는, 족용 온열 시트 (100) 에 있어서, 사람의 발바닥의 용천 급소 (91) (도 4) 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 (12a) 와, 족용 온열 시트 (100) 에 있어서, 사람의 발바닥의 실면 급소 (92) (도 4) 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 (12b) 가 포함되어 있다.
사람의 발바닥의 용천 급소 (91) 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는 것은, 제 1 돌기부 (12a) 중 어느 하나의 돌기가, 용천 급소 (91) 에 직접적으로 닿도록 배치되는 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에서, 용천 급소 (91) 주변에 제 1 돌기부 (12a) 가 배치되거나, 또는, 용천 급소 (91) 를 둘러싸 제 1 돌기부 (12a) 가 배치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사람의 발바닥의 실면 급소 (92) 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는 것은, 제 2 돌기부 (12b) 중 어느 하나의 돌기가, 실면 급소 (92) 에 직접적으로 닿도록 배치되는 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에서, 실면 급소 (92) 주변에 제 2 돌기부 (12b) 가 배치되거나, 또는, 실면 급소 (92) 를 둘러싸 제 2 돌기부 (12b) 가 배치되는 것도 포함한다.
이 때문에, 족용 온열 시트 (100) 를 사용함으로써, 용천 급소 (91) 와 실면 급소 (92) 를 동시에 가압할 수 있다.
사람의 족형 형상이란, 사람의 발바닥의 외형을 따른 형상이며,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대략 장원 형상이나, 대략 타원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발의 전부와 대응하는 부분의 가로폭 치수가, 발의 후부와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가로폭 치수보다 크다. 단,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발의 전부와 대응하는 부분의 가로폭 치수와 발의 후부와 대응하는 부분의 가로폭 치수가 서로 동등해도 된다.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발가락이 재치 (載置) 되는 부분을 갖고 있어도 되고,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족용 온열 시트 (100) 가, 발가락이 재치되는 부분을 갖는 경우에는, 족형 형상은, 발가락을 포함하는 발바닥의 외형을 따른 형상이다. 족용 온열 시트 (100) 가, 발가락이 재치되는 부분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족형 형상은, 발가락을 제외한 발바닥의 외형을 따른 형상이다. 도 4 에 있어서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외형선이 이점 쇄선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발가락이 재치되는 부분을 갖고 있지 않다.
여기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과 제 3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의 중간점 (P11) 으로부터 발뒤꿈치측의 가장자리 (P12) 까지의 거리를 L1 로 한다. 용천 급소 (91) 는, 중간점 (P11) 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대략 L1/3 의 위치에 있는 급소이다. 실면 급소 (92) 는, 중간점 (P11) 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대략 4·L1/5 의 위치에 있는 급소이다. 바꾸어 말하면, 실면 급소 (92) 는, 발뒤꿈치측의 가장자리 (P12) 로부터 발끝측으로, 대략 L1/5 의 위치에 있는 급소이다.
용천 급소 (91) 와 대응하는 위치는, 족용 온열 시트 (100) 를 발바닥에 대었을 때에 용천 급소 (91) 의 근방에 배치되는 위치이고, 실면 급소 (92) 와 대응하는 위치는, 족용 온열 시트 (100) 를 발바닥에 대었을 때에 실면 급소 (92) 의 근방에 배치되는 위치이다.
제 1 돌기부 (12a) 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 개여도 되고, 복수 개여도 된다. 일례로서, 제 1 돌기부 (12a) 의 수는, 1 개 이상 128 개 이하로 할 수 있다.
제 2 돌기부 (12b) 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 개여도 되고, 복수 개여도 된다. 일례로서, 제 2 돌기부 (12b) 의 수는, 1 개 이상 50 개 이하로 할 수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돌기부 (12a) 의 배치 영역의 중심 위치 (P1) 와, 제 2 돌기부 (12b) 의 배치 영역의 중심 위치 (P2) 의 거리 (L3) 는,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20 ㎝ 이하로 되어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 ㎝ 이상 15 ㎝ 이하로 되어 있다. 제 1 돌기부 (12a) 의 배치 영역의 중심 위치 (P1) 란, 제 1 돌기부 (12a) 가 복수인 경우에는, 이들 복수의 제 1 돌기부 (12a) 의 중심 위치이고, 제 1 돌기부 (12a) 가 1 개인 경우에는, 당해 제 1 돌기부 (12a) 의 중심 위치이다. 마찬가지로, 제 2 돌기부 (12b) 의 중심 위치 (P2) 란, 제 2 돌기부 (12b) 가 복수인 경우에는, 이들 복수의 제 2 돌기부 (12b) 의 중심 위치이고, 제 2 돌기부 (12b) 가 1 개인 경우에는, 당해 제 2 돌기부 (12b) 의 중심 위치이다.
돌기부 (12) 의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 ㎜ 이상 20 ㎜ 이하로 할 수 있고, 1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부 (12) 의 높이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 ㎜ 이상 8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돌기부 (12a) 의 높이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4 ㎜ 이상 8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돌기부 (12b) 의 높이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 ㎜ 이상 6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돌기부 (12a) 의 높이 치수와, 제 2 돌기부 (12b) 의 높이 치수는, 서로 동등해도 되고, 서로 상이해도 된다.
또한, 실면 급소 (92) 는 발뒤꿈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실면 급소 (92) 의 위치의 피부에 대한 제 2 돌기부 (12b) 의 죄어드는 깊이는 어느 정도 억제되는 반면, 용천 급소 (91) 의 위치의 피부에 대해서는 제 1 돌기부 (12a) 가 보다 깊게 죄어들기 쉽다. 이 때문에, 제 1 돌기부 (12a) 의 높이 치수와 제 2 돌기부 (12b) 의 높이 치수가 상이한 경우, 제 1 돌기부 (12a) 의 높이 치수가, 제 2 돌기부 (12b) 의 높이 치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돌기부 (12b) 의 높이 치수가 제 1 돌기부 (12a) 의 높이 치수보다 커도 된다.
또한, 제 1 돌기부 (12a) 의 높이 치수가, 제 2 돌기부 (12b) 의 높이 치수보다 크다란, 제 1 돌기부 (12a) 의 높이 치수가, 중앙 돌기부 (121) 의 높이 치수 또는 주변 돌기부 (122) 의 높이 치수 중 어느 일방보다 큰 것을 가리킨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 1 돌기부 (12a) 의 높이 치수가, 제 2 돌기부 (12b) 의 높이 치수보다 크다란, 제 1 돌기부 (12a) 의 높이 치수를, 주변 돌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높이 치수보다 크게 할 수 있고, 모든 주변 돌기부의 높이 치수보다 크게 해도 되고, 나아가서는, 중앙 돌기부 (1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높이 치수보다 크게 할 수 있고, 모든 중앙 돌기부 (121) 의 높이 치수보다 크게 해도 된다.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이웃하는 돌기부 (12) 의 정점끼리의 최단 거리 (D1) (도 1)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6 ㎝ 이하로 할 수 있고, 0.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이웃하는 제 1 돌기부 (12a) 의 정점끼리의 거리 (D11) (도 1)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6 ㎝ 이하로 할 수 있고, 0.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이웃하는 제 2 돌기부 (12b) 의 정점끼리의 거리 (D12) (도 1)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6 ㎝ 이하로 할 수 있고, 0.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이웃하는 돌기부 (12) 끼리의 최단 거리 (최단 간격) (D2) (도 1)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4 ㎝ 이하로 할 수 있고, 0.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웃하는 돌기부 (12) 끼리는, 서로 접해 있어도 되고, 서로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이웃하는 제 1 돌기부 (12a) 끼리의 거리 (간격) (D21) (도 1)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4 ㎝ 이하로 할 수 있고, 0.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웃하는 제 1 돌기부 (12a) 끼리는, 서로 접해 있어도 되고, 서로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이웃하는 제 2 돌기부 (12b) 끼리의 거리 (간격) (D22) (도 1)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4 ㎝ 이하로 할 수 있고, 0.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웃하는 제 2 돌기부 (12b) 끼리는, 서로 접해 있어도 되고, 서로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거리 (D11) 와 거리 (D12) 는, 서로 동등해도 되고, 일방이 타방보다 커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거리 (D11) 와 거리 (D12) 는, 서로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거리 (D11) 가 거리 (D12) 보다 큰 것도 바람직하다.
즉, 일례로서,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복수의 제 1 돌기부 (12a) 와, 복수의 제 2 돌기부 (12b) 를 갖고, 제 1 돌기부 (12a) 의 정점끼리의 거리 (D11) 가, 제 2 돌기부 (12b) 의 정점끼리의 거리 (D12) 보다 크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족용 온열 시트 (100) 에 있어서, 제 2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과 제 3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의 중간 (중간점 (P11)) 과 대응하는 중간 부위 (P21) 로부터, 당해 족용 온열 시트 (100) 에 있어서의 발뒤꿈치측의 가장자리 (P22) 까지의 거리도, L1 인 것으로 한다.
거리 (L1) 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3 ㎝ 이상 25 ㎝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복수의 제 1 돌기부 (12a) 는, 중간 부위 (P21) 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L1/3 의 위치에 있어서의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폭 중심 (P23) 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1 원형 영역 (R1) (도 4 에 나타내는 원 (C1) 내의 영역) 에 배치되어 있다. 돌기부 (12) 가 제 1 원형 영역 (R1) 에 배치되어 있다란, 당해 돌기부 (12) 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 1 원형 영역 (R1) 내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복수의 제 2 돌기부 (12b) 는, 중간 부위 (P21) 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1/5 의 위치에 있어서의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폭 중심 (P24) 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2 원형 영역 (R2) (도 4 에 나타내는 원 (C2) 내의 영역) 에 배치되어 있다. 돌기부 (12) 가 제 2 원형 영역 (R2) 에 배치되어 있다란, 당해 돌기부 (12) 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 2 원형 영역 (R2) 내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사람의 족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족용 온열 시트 (100) 에 있어서 제 2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과 제 3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의 중간과 대응하는 중간 부위 (P21) 로부터 발뒤꿈치측의 가장자리 (P22) 까지의 거리를 L1 로 하면, 복수의 돌기부 (12) 에는, 중간 부위 (P21) 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L1/3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 (P23) 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1 원형 영역 (R1) 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 (12a) 와, 중간 부위 (P21) 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1/5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 (P24) 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2 원형 영역 (R2) 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 (12b) 가 포함되어 있다.
또, 복수의 제 1 돌기부 (12a) 는, 중간 부위 (P21) 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L1/3 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길이 방향 (전후 방향) 에 있어서 ±3 ㎝ 의 범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 복수의 제 2 돌기부 (12b) 는, 중간 부위 (P21) 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1/5 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3 ㎝ 의 범위에 배치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부위 (P21) 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L1/3 의 위치에 있어서의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폭 치수를 W1 로 한다. 또, 중간 부위 (P21) 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1/5 의 위치에 있어서의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폭 치수를 W2 로 한다.
폭 치수 (W1)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7 ㎝ 이상 14 ㎝ 이하로 할 수 있다.
폭 치수 (W2)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4 ㎝ 이상 11 ㎝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복수의 제 1 돌기부 (12a) 는, 상기 폭 중심 (P23) 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1 이 (W1)2·π/2 인 제 3 원형 영역 (R3) (도 4 에 나타내는 원 (C3) 내의 영역) 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돌기부 (12a) 가 제 3 원형 영역 (R3) 에 배치되어 있다란, 당해 제 1 돌기부 (12a) 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 3 원형 영역 (R3) 내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복수의 제 2 돌기부 (12b) 는, 상기 폭 중심 (P24) 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2 가 (W2)2·π/2 인 제 4 원형 영역 (R4) (도 4 에 나타내는 원 (C4) 내의 영역) 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돌기부 (12b) 가 제 4 원형 영역 (R4) 에 배치되어 있다란, 당해 제 2 돌기부 (12b) 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 4 원형 영역 (R4) 내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사람의 족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족용 온열 시트 (100) 에 있어서 제 2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과 제 3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의 중간과 대응하는 중간 부위 (P21) 로부터 발뒤꿈치측의 가장자리 (P22) 까지의 거리를 L1 로 하고, 중간 부위 (P21) 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L1/3 의 위치에 있어서의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폭 치수를 W1 로 하고, 중간 부위 (P21) 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1/5 의 위치에 있어서의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폭 치수를 W2 로 하면, 복수의 돌기부 (12) 에는, 중간 부위 (P21) 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L1/3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 (P23) 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1 이 (W1)2·π/2 인 제 3 원형 영역 (R3) 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 (12a) 와, 중간 부위 (P21) 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1/5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 (P24) 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2 가 (W2)2·π/2 인 제 4 원형 영역 (R4) 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 (12b) 가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족용 온열 시트 (100) 에 있어서, 제 3 원형 영역 (R3) 및 제 4 원형 영역 (R4) 중 어느 것도 아닌 영역은, 돌기부 (12) 가 비형성으로 되어 있는 비형성 영역이다.
여기서, 돌기부 (12) 가 비형성으로 되어 있다란, 당해 돌기부 (12) 의 평면 중심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즉,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비형성 영역에는, 어느 돌기부 (12) 의 평면 중심도 존재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용천 급소의 주변과 실면 급소의 주변을 집중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 돌기부 (12a) 와 복수의 제 2 돌기부 (12b) 를 갖는다.
그리고, 복수의 제 1 돌기부 (12a) 의 배치 패턴과, 복수의 제 2 돌기부 (12b) 의 배치 패턴이 서로 상이하다.
일례로서, 복수의 제 1 돌기부 (12a) 는, 예를 들어, 지그재그 격자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발끝측으로부터 순서대로, 4 개의 제 1 돌기부 (12a) 가 가로폭 방향으로 나열되는 열, 3 개의 제 1 돌기부 (12a) 가 가로폭 방향으로 나열되는 열, 4 개의 제 1 돌기부 (12a) 가 가로폭 방향으로 나열되는 열, 및, 3 개의 제 1 돌기부 (12a) 가 가로폭 방향으로 나열되는 열을 구비하고 있다. 요컨대,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예를 들어, 합계 14 개의 제 1 돌기부 (12a) 를 구비하고 있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제 1 돌기부 (12a) 의 배치 패턴은, 여기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일례로서, 복수의 제 2 돌기부 (12b) 에는, 이들 복수의 제 2 돌기부 (12b) 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중앙 돌기부 (121) 와, 중앙 돌기부 (121) 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주변 돌기부 (122) 가 포함되어 있다.
급소에 대한 자극성의 관점에서, 중앙 돌기부 (121) 의 크기 (높이 치수 또는 평면적 중 적어도 어느 일방) 는, 주변 돌기부 (122) 의 크기와 동등하거나, 또는, 주변 돌기부 (122)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복수의 제 2 돌기부 (12b) 로부터 피부에 균일적으로 열 전달하고, 복수의 제 2 돌기부 (12b) 의 배치 영역의 중심으로의 열 전달을 적당히 억제하는 관점에서, 중앙 돌기부 (121) 의 크기 (높이 치수 또는 평면적 중 적어도 어느 일방) 는, 주변 돌기부 (122) 의 크기와 동등하거나, 또는, 주변 돌기부 (122)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예를 들어, 1 개의 중앙 돌기부 (121) 와, 동일한 원주 상에 나열되는 4 개의 주변 돌기부 (122) 의 합계 5 개의 제 2 돌기부 (12b) 를 구비하고 있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제 2 돌기부 (12b) 의 배치 패턴은, 여기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제 1 돌기부 (12a) 의 배치 패턴과, 복수의 제 2 돌기부 (12b) 의 배치 패턴이 서로 동일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돌기부 (12a) 의 선단부보다 제 2 돌기부 (12b) 의 선단부 쪽이 보다 날카롭고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제 1 돌기부 (12a) 는 반구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2 돌기부 (12b) 는 원뿔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돌기부 (12a) 및 제 2 돌기부 (12b) 의 형상은, 여기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돌기부 (12a) 와 제 2 돌기부 (12b) 는 서로 동일한 형상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돌기부 (12) 는,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일방의 면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어 타방의 면측이 공동 (13) 으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1 시트 (10) 가 국부적으로 당해 제 1 시트 (10) 의 일방의 면 (10a) 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됨으로써, 돌기부 (12) 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 (12) 의 형성 지점에서는, 제 1 시트 (10) 의 타방의 면 (10b) 측이 공동 (13) 으로 되어 있다.
제 1 시트 (10) 는, 평탄한 시트상의 기부 (11) 와, 기부 (11) 를 기준으로 하여 제 1 시트 (10) 의 일방의 면 (10a) 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는 복수의 돌기부 (12)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시트 (10) 는,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일방의 외표면을 구성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트 (10) (특히 돌기부 (12)) 가 발바닥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족용 온열 시트 (100) 가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1 시트 (10) 는, 1 층의 부직포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1 시트 (10) 의 평면 형상은,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평면 형상과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발열재 (41) 는, 돌기부 (12) 의 공동 (13) 에 충전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발열재 (41) 에서 발생한 열이 발바닥의 피부에 보다 전달되기 쉬워진다. 또, 돌기부 (12) 의 공동 (13) 에 발열재 (41) 가 충전되어 있음으로써, 돌기부 (12) 의 내하중성 및 보형성이 향상된다.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제 1 시트 (10) 의 타방의 면 (10b) 에 적층되어 있는 제 2 시트 (20) 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시트 (20) 는, 1 층 구조여도 되고, 복수 층 구조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2 시트 (20) 의 평면 형상은,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평면 형상과 동일하다. 제 1 시트 (10) 와 제 2 시트 (20) 는, 서로의 외형선이 일치하는 상태로 중첩되어, 적어도 서로의 둘레 가장자리부끼리가 접합되어 있다. 제 2 시트 (20) 와 제 1 시트 (10) 사이에 발열재 (41) 가 유지되어 있다.
즉,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온열부 (발열재 (41)) 를 사이에 끼워 기재 시트 (제 1 시트 (10)) 의 타방의 면 (타방의 면 (10b)) 에 적층되어 있는 제 2 시트 (20) 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1 시트 (10) 의 기부 (11) 는, 두께 치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제 1 부분 (11a) 과, 두께 치수가 상대적으로 큰 제 2 부분 (11b) 을 갖는다. 제 1 시트 (10) 와 제 2 시트 (20) 는, 예를 들어, 제 1 부분 (11a) 에 있어서, 히트 시일에 의해 서로 융착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 (11a) 은, 예를 들어, 제 1 시트 (10) 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복수의 제 1 돌기부 (12a) 의 배치 영역의 전측의 부분 및 후측의 부분과, 복수의 제 2 돌기부 (12b) 의 배치 영역의 전측의 부분 및 후측의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부분 (11a) 은, 히트 시일에 의해, 제 2 부분 (11b) 보다 경화되어 있다. 제 2 부분 (11b) 은, 제 1 부분 (11a) 과 비교하여, 보다 부직포의 질감을 갖고 있어 감촉이 좋다.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돌기부 (12) 의 배치 영역에 있어서, 제 2 시트 (20) 와 기부 (11) 사이에 적층되어 있는 흡수 시트를 구비하고 있다. 일례로서,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제 1 흡수 시트 (51) 및 제 2 흡수 시트 (52) 의 2 층의 흡수 시트를 구비하고 있다.
족용 온열 시트 (100) 가 흡수 시트를 구비함으로써, 발열재 (41) 중의 잉여의 물을 흡수 시트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족용 온열 시트 (100) 를 포장재로부터 꺼내면 신속하게 발열재 (41) 가 발열하도록 할 수 있다.
흡수 시트는, 예를 들어, 복수의 제 1 돌기부 (12a) 의 배치 영역과, 복수의 제 2 돌기부 (12b) 의 배치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발열재 (41) 의 조성 등에 따라,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흡수 시트 (도시 생략) 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되고, 흡수 시트는 1 층 구조여도 된다.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추가로, 제 2 시트 (20) 를 사이에 끼워 제 1 시트 (10) 의 타방의 면 (10b) 에 적층되어 있는 제 3 시트 (30) 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3 시트 (30) 가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타방의 외표면을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3 시트 (30) 의 평면 형상은,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평면 형상과 동일하다.
제 3 시트 (30) 는, 1 층 구조 또는 복수 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2 시트 (20) 와 제 3 시트 (30) 는, 서로의 외형선이 일치하는 상태로 중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2 시트 (20) 와 제 3 시트 (30) 는, 그들의 둘레 가장자리부끼리가 접합되어 있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3 시트 (30) 는, 두께 치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제 1 부분 (30a) 과, 두께 치수가 상대적으로 큰 제 2 부분 (30b) 을 갖는다. 제 2 시트 (20) 와 제 3 시트 (30) 는, 예를 들어, 제 1 부분 (30a) 에 있어서, 히트 시일에 의해 서로 융착되어 있다.
제 1 부분 (30a) 은, 히트 시일에 의해, 제 2 부분 (30b) 보다 경화되어 있다. 제 2 부분 (30b) 은, 제 1 부분 (30a) 과 비교하여, 보다 부직포의 질감을 갖고 있어 감촉이 좋다.
이와 같이, 제 1 부분 (30a) 은, 예를 들어, 제 3 시트 (30)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배치되어 있고, 제 3 시트 (30) 에 있어서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영역은, 제 2 부분 (30b) 으로 되어 있다.
또, 제 3 시트 (30) 의 두께 치수는, 제 3 시트 (30) 와 제 2 시트 (20) 의 접합 영역에서의 두께 치수보다, 제 3 시트 (30) 와 제 2 시트 (20) 의 비접합 영역에서의 두께 치수가 크다.
여기서,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예를 들어, 샌들이나 슬리퍼 등의 신발의 솔부 (바닥부) 의 상면을 따라 배치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3 시트 (30) 의 외표면 (제 3 시트 (30) 에 있어서, 제 1 시트 (10) 측과는 반대측의 면) 에는, 족용 온열 시트 (100) 를 신발의 솔부의 상면에 점착 고정시키기 위한 점착층 (61) (도 2) 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3 에 있어서는, 점착층 (61) 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 1 돌기부 (12a) 의 배치 영역, 그리고, 복수의 제 2 돌기부 (12b) 의 배치 영역은, 각각, 상기의 제 2 부분 (30b) 과 겹쳐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제 1 돌기부 (12a) 의 배치 영역, 그리고, 복수의 제 2 돌기부 (12b) 의 배치 영역에 있어서, 제 2 시트 (20) 와 제 3 시트 (30) 가 비접합으로 되어 있고, 제 2 시트 (20) 와 제 3 시트 (30) 가 그들의 면 방향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이동 (슬라이딩 등) 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요컨대, 제 2 시트 (20) 와 제 3 시트 (30) 는 부분적으로 서로 접합 (예를 들어 둘레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서로 접합) 되어 있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복수의 제 1 돌기부 (12a) 의 배치 영역, 그리고, 복수의 제 2 돌기부 (12b) 의 배치 영역에 있어서는, 제 2 시트 (20) 와 제 3 시트 (30) 는 서로 비접합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족용 온열 시트 (100) 를 신발의 솔부에 첩부하거나 하여 사용할 때에, 사용자가 보행하거나, 보행 중에 방향 전환하거나 할 때 등에, 제 2 시트 (20) 와 제 3 시트 (30) 가 그들의 면 방향에 있어서 상대 이동함으로써, 족용 온열 시트 (100) 에 가해지는 응력이 흡수되기 때문에, 각 제 1 돌기부 (12a) 및 각 제 2 돌기부 (12b) 는, 발바닥의 피부에 대해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어, 발바닥의 피부에 대한 각 제 1 돌기부 (12a) 및 각 제 2 돌기부 (12b) 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또한, 제 1 부분 (30a) 은, 두께가 크고 쿠션성이 높기 때문에, 돌기부 (12) 에 의한 피부의 가압을 적당히 완충할 수도 있다.
발열재 (41) 는, 예를 들어, 피산화성 금속과, 보수제와, 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발열재 (41) 중의 피산화성 금속에 산소가 공급됨으로써, 발열재 (41) 가 발열한다.
발열재 (41) 는, 철과 탄소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철은, 상기의 피산화성 금속의 적어도 일부분이어도 되고, 상기의 피산화성 금속과는 별개여도 되지만, 전형적으로는 상기의 피산화성 철이다.
여기서 말하는 탄소 성분은, 상기의 보수제의 적어도 일부분이어도 되고, 발열재 (41) 는 상기의 보수제와는 별개로 탄소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족용 온열 시트 (100) 에 있어서, 제 1 시트 (10) 의 돌기부 (12) 와 대응하는 부위에 발열재 (41) 가 충전되어 있는 것 외에, 기부 (11) 와 대응하는 부위에도 제 1 시트 (10) 와 제 2 시트 (20) 사이에 발열재 (41) 가 충전되어 있어도 된다. 단, 이 경우에도, 제 1 시트 (10) 의 돌기부 (12) 와 대응하는 부위에 있어서의 발열재 (41) 의 두께 쪽이, 기부 (11) 와 대응하는 부위에 있어서의 발열재 (41) 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시트 (10) 의 돌기부 (12) 와 대응하는 부위에 국소적으로 발열재 (41) 가 충전되어 있어, 기부 (11) 와 대응하는 부위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는 발열재 (41) 가 존재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1 시트 (10) 에 있어서 돌기부 (12) 와 대응하는 부위에는 발열재 (41) 가 충전되어 있는 반면, 기부 (11) 와 대응하는 부위에는 실질적으로 발열재 (41) 가 존재하고 있지 않다.
발열재 (41) 는, 공동 (13) 내에 있어서, 적어도 돌기부 (12) 의 선단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충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돌기부 (12) 의 선단부에 의해 피부를 따뜻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동 (13) 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돌기부 (12) 의 선단측으로부터 50 % 이상의 영역에 발열재 (41) 가 충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발열재 (41) 는, 예를 들어, 공동 (13) 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70 % 이상의 영역에 충전되어 있다.
발열재 (41) 는, 공동 (13) 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90 % 이상의 영역에 충전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제 1 시트 (10) 의 기부 (11) 에 있어서의 타방의 면 (10b) 과, 공동 (13) 내의 발열재 (41) 에 있어서의 돌기부 (12) 의 기단측의 면이 서로 면일 (面一) 로 되어 있다.
여기서, 공동 (13) 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발열재 (41) 의 충전율의 측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측정기로는, 고저차를 측정 가능한 레이저 현미경 또는 레이저 변위계를 사용한다. 레이저 변위계로는 1 차원의 스폿 타입, 2 차원 레이저 변위계, 3 차원 레이저 변위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돌기부 (12) 의 형상 및 높이 치수에 따라, 요구되는 측정 거리 및 레이저 광의 스폿 거리에 기초하여, 적절한 레이저 변위계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키엔스사 제조의 센서 헤드 ; IL-300 (측정 거리 160 ㎜ ∼ 450 ㎜, 스폿 직경 φ500 ㎛) 을 사용할 수 있다.
측정하려면, 발열재 (41) 가 발열하지 않도록, 질소 분위기 중에서, 제 1 시트 (10) 로부터 제 3 시트 (30), 제 2 시트 (20) 및 흡수 시트 (제 1 흡수 시트 (51) 및 제 2 흡수 시트 (52)) 를 제거하고, 공동 (13) 내의 발열재 (41) 에 있어서의 돌기부 (12) 의 기단측의 면을 노출시킨다.
측정기에 의한 측정은, 제 1 시트 (10) 에 대해 수직으로 레이저 광이 조사되도록 하여 실시한다. 이 측정에서는, 발열재 (41) 에 있어서의 돌기부 (12) 의 기단측의 면과, 제 1 시트 (10) 의 타방의 면 (10b) 의 고저차를 측정한다. 이 때, 레이저 광이 발열재 (41) 에 있어서의 돌기부 (12) 의 기단측의 면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레이저 광을 당해 면의 직경 방향 (돌기부 (12) 의 직경 방향) 으로 주사시켜, 고저차의 최댓값을 구한다. 이 때, 주사 거리는, 돌기부 (12) 의 직경보다 긴 거리로 설정한다.
여기서, 돌기부 (12) 의 내주면의 형상과 돌기부 (12) 의 외주면의 형상 (공동 (13) 의 외주면의 형상) 이 실질적으로 동등한 경우에는, 발열재 (41) 의 높이 치수는, 돌기부 (12) 의 높이 치수로부터, 측정에 의해 구한 고저차의 최댓값을 뺌으로써 얻어지는 값으로 할 수 있다.
돌기부 (12) 의 높이 치수는,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한다. 즉, 상기 고저차의 측정시와는 제 1 시트 (10) 의 표리를 반전시켜 배치하고, 돌기부 (12) 의 정점을 통과하도록 하여 레이저 광을 주사시켰을 때의 고저차의 최댓값을 구한다. 이 때, 레이저 광을 돌기부 (12) 의 직경 방향으로 주사시키고, 주사 거리는, 돌기부 (12) 의 직경보다 긴 거리로 설정한다.
한편, 돌기부 (12) 의 내주면의 형상과 돌기부 (12) 의 외주면의 형상 (공동 (13) 의 외주면의 형상) 이 상이한 경우, 예를 들어, 공동 (13) 의 외주면이 뿔대상인 경우에는, 질소 분위기 중에서, 공동 (13) 안에 들어가 있는 발열재 (41) 를 제거한다. 이 때, 브러시 등을 사용하여, 공동 (13) 의 형상이 변화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발열재 (41) 를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고저차의 최댓값의 측정과 마찬가지로, 레이저 광을 주사시킴으로써, 공동 (13) 의 높이 치수를 측정한다.
제 1 시트 (10) 와 제 2 시트 (20) 중, 적어도 일방은, 통기성을 갖고 있다. 이로써, 제 1 시트 (10) 또는 제 2 시트 (20) 의 적어도 일방을 통하여 발열재 (41) 에 산소를 공급하고, 그 발열재 (41) 를 발열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제 1 시트 (10) 가 통기성을 갖고 있음과 함께, 제 1 시트 (10) 의 통기성이 제 2 시트 (20) 의 통기성보다 높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시트 (10) 는, 돌기부 (12) 에 있어서도 통기성을 갖고 있고, 돌기부 (12) 를 통하여 발열재 (41) 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돌기부 (12) 를 통하여 수증기를 방출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2 시트 (20) 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공기를 통과시키지 않는 비통기성의 시트이다.
흡수 시트 (제 1 흡수 시트 (51), 제 2 흡수 시트 (52)) 로는, 예를 들어, 흡수성 폴리머, 레이온 부직포, 셀룰로오스 부직포 또는 종이 등에 의해 구성된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흡수 시트는,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흡수 시트는, 흡수성 폴리머를 시트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얻어진 것이어도 된다.
흡수 시트는, 적어도, 각 돌기부 (12) 의 기단측을 덮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흡수 시트는, 각 돌기부 (12) 내에 충전된 발열재 (41) 의 충전 영역의 기단측을 덮고 있다. 따라서, 각 돌기부 (12) 내에 충전된 발열재 (41) 중의 수분을 흡수 시트에 의해 바람직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흡수 시트 대신에, 불연속으로 배치 (시트상이 아닌 형상으로 배치) 된 흡수성 폴리머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발열재 (41) 는 흡수성 폴리머를 실질적으로 함유하고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발열재 (41) 중에 있어서의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 비율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발열재 (41) 의 발열량 및 발열의 지속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사용 전의 상태에서는, 점착층 (61) 을 덮는 박리지 (도시 생략) 가 첩부되어 있다.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사용시에는, 각 점착층 (61) 으로부터 박리지를 벗겨, 점착층 (61) 을 신발의 솔부의 상면에 첩부할 수 있다.
이하,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각 부의 재료 및 특성의 예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발열재 (41) 중의 피산화성 금속으로는, 이 종류의 발열재의 재료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피산화성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피산화성 금속으로는, 취급성, 성형성 등의 관점에서, 분체 또는 섬유상의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체의 형태를 갖는 피산화성 금속으로는, 예를 들어, 철분, 알루미늄 분말, 아연 분말, 망간 분말, 마그네슘 분말, 칼슘 분말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취급성 및 제조 비용 등의 점에서 철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분체의 형태를 갖는 피산화성 금속으로는, 반응의 컨트롤이 양호한 점에서 입경 (이하, 입경이라고 할 때에는, 분체의 형태에 있어서의 최대 길이, 또는 동적 광 산란법, 레이저 회절법 등에 의해 측정되는 평균 입경을 말한다) 이 0.1 ㎛ 이상 300 ㎛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입경이 0.1 ㎛ 이상 150 ㎛ 이하인 것을 50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섬유상의 형태를 갖는 피산화성 금속으로는, 스틸 섬유, 알루미늄 섬유, 마그네슘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취급성 및 제조 비용 등의 점에서 스틸 섬유, 알루미늄 섬유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섬유상의 형태를 갖는 피산화성 금속은, 발열 성능 등의 점에서 섬유 길이 0.1 ㎜ 이상 50 ㎜ 이하, 굵기 1 ㎛ 이상 1000 ㎛ 이하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재 (41) 중의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은, 30 질량% 이상 8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을 30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발열재 (41) 가 충전된 돌기부 (12) 의 발열 온도를, 사람이 손끝 등으로 만져 뜨겁게 느끼는 정도 이상으로 충분히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을 80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발열재 (41) 의 통기성이 충분한 것이 되고, 그 결과, 발열재 (41) 의 중심부까지 충분히 반응이 일어나, 발열재 (41) 의 발열 온도를 충분히 상승시킬 수 있다. 또, 발열재 (41) 의 발열 시간을 충분한 길이로 할 수 있는 것 외에, 보수제에 의한 수분 공급도 충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발열재 (41) 중의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은, JIS P8128 에 준하는 회분 시험으로 측정하거나, 피산화성 금속이 철인 경우에는 외부 자장을 인가하면 자화가 발생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진동 시료형 자화 측정 시험 등에 의해 측정하거나 할 수 있다.
발열재 (41) 중의 보수제로는, 이 종류의 발열재의 재료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보수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보수제는, 수분 유지제로서 작용한다. 또, 이 보수제는, 피산화성 금속에 공급되는 산소를 유지하여 그 산소를 피산화성 금속에 공급하는 공급제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보수제로는, 예를 들어, 무기 재료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보수제로는, 예를 들어, 다공질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보수제로는, 예를 들어, 활성탄 (야자 껍질탄, 목탄 분말, 역청탄, 이탄, 아탄),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흑연,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실리카, 칸크리나이트, 플루오라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보수능, 산소 공급능, 촉매능을 갖는 점에서 활성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보수제로는, 피산화성 금속과의 유효한 접촉 상태를 형성할 수 있는 점에서 입경이 0.1 ㎛ 이상 500 ㎛ 이하인 분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입경이 0.1 ㎛ 이상 200 ㎛ 인 분체상의 것을 50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보수제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분체상 이외의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활성탄 섬유 등의 섬유상의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발열재 (41) 중의 보수제의 함유량은, 1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을 1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피산화성 금속이 산화 반응에 의해 인체 온도 이상으로 온도 상승하는 정도로 반응을 지속시키기 위해 필요한 수분을 발열재 (41) 중에 충분히 축적시킬 수 있다. 또, 발열재 (41) 의 통기성이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발열재 (41) 에 대한 산소 공급을 충분히 실시할 수 있어, 발열재 (41) 의 발열 효율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 함유량을 50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발열량에 대한 발열재 (41) 의 열용량을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발열 온도 상승이 커져, 사람이 따뜻하다고 체감할 수 있는 온도 상승이 얻어진다.
발열재 (41) 는, 전해질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 전해질로는, 이 종류의 발열재의 재료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해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혹은 중금속의 염화물 또는 수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중에서도, 도전성, 화학적 안정성, 생산 코스트가 우수한 점에서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철 (제1, 제2) 등의 각종 염화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전해질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발열재 (41) 중의 전해질의 함유량은, 발열재 (41) 중의 물 질량비로 0.5 질량% 이상 24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을 0.5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발열재 (41) 의 산화 반응을 충분히 진행시킬 수 있고, 발열 기능에 필요한 전해질을 확보하기 위해, 발열재 (41) 의 수분의 비율도 억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발열 온도 상승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 함유량을 24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발열재 (41) 의 통기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또, 발열 기능에 필요한 전해질을 확보하기 위해, 발열재 (41) 중의 수분 비율을 어느 정도의 크기로 유지할 수 있고, 충분한 물이 피산화성 금속 등에 공급되어, 발열 성능이 우수하고, 발열재 (41) 에 균일하게 전해질을 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발열재 (41) 에는, 증점제나 응집제, 나아가서는 그 밖의 첨가물이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미세한 돌기부 (12) 의 공동 (13) 내에 발열재 (41) 를 균일하게 충전하기 위해, 당해 발열재 (41) 를, 유동성을 갖는 슬러리의 상태에서 공동 (13) 내에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발열재 (41) 는 증점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점제로는, 주로, 수분을 흡수하여 조도를 증대시키거나, 틱소트로피성을 부여하는 물질, 예를 들어, 수용성의 고분자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돌기부 (12) 는, 발열 도달 온도가 35 ℃ 이상 98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8 ℃ 이상 7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발열 도달 온도의 측정은, JIS S4100 과 동등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돌기부 (12) 에 발열재 (41) 가 충전된 제 1 시트 (10) 는, 발열재 (41) 의 단위 중량 (1 g) 당, 10 분 동안에 발생하는 수증기량이, 20 ㎎/g 이상 25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g 이상 180 ㎎/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 수증기량 (수증기 발생량) 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측정된다.
측정에 사용되는 장치는, 알루미늄제의 측정실 (용적 4.2 ℓ) 과, 측정실의 하부에 제습 공기 (습도 2 % 미만, 유량 2.1 ℓ/분) 를 유입시키는 유입로와, 측정실의 상부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로를 구비하고 있다. 유입로에는, 입구 온습도계와 입구 유량계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유출로에는, 출구 온습도계와 출구 유량계가 장착되어 있다. 측정실 내에는 온도계 (서미스터) 가 장착되어 있다. 온도계로는, 온도 분해능이 0.1 ℃ 정도인 것을 사용한다.
측정 환경 온도 30 ℃ (30 ± 1 ℃) 에 있어서 족용 온열 시트 (100) 를 포장 주머니로부터 꺼내고, 제 1 시트 (10) 의 일방의 면 (10a) 측을 위로 하여 측정실에 재치하고, 금속구 (질량 4.5 g) 를 부착한 온도계를 그 위에 올린다. 이 상태에서 측정실의 하부로부터 제습 공기를 흐르게 하고, 입구 온습도계와 출구 온습도계로 계측되는 온도 및 습도에 기초하여, 측정실에 공기가 유입되기 전과 유입된 후의 절대 습도의 차를 구한다. 또한 입구 유량계와 출구 유량계로 계측되는 유량에 기초하여, 족용 온열 시트 (100) 가 방출한 수증기량을 산출한다. 측정 개시로부터 10 분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수증기 발생량을 계측한다.
제 1 시트 (10) 를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의 재료로는, 합성 섬유, 천연 섬유 또는 이들의 복합 섬유를 들 수 있고, 제법으로는 스펀 본드법, 니들 펀치법, 스펀레이스법, 멜트 블로법, 플래시 방사법, 에어 레이드법, 에어 스루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1 시트 (10) 를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시트 (10) 를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를 구성하는 제 1 수지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레이온, 폴리스티렌, 아크릴, 비닐론, 셀룰로오스, 아라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시트 (10) 를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를 구성하는 제 2 수지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부직포 시트를 구성하는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의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 시트를 구성하는 제 2 수지 재료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수지, 또는 저융점 PET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인 것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또는, 저융점의 PET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직포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심 (core) 과,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초 (sheath) 를 포함하는 심초 (core/sheath)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된다.
제 1 시트 (10) 및 부직포 시트는,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 또한 제 2 수지 재료보다 고융점의 융점을 갖는 적어도 1 개 이상의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당해 수지 재료보다 고융점의 수지 재료 (돌기부 (12) 의 성형을 수반하는 부직포의 가공시에 융해되지 않는 수지군 (적어도 제 1 수지 재료를 포함한다)) 의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제 2 결착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제 1 시트 (10) 를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에 있어서의 제 1 수지 재료의 함유량은, 부직포 시트에 있어서의 제 2 수지 재료의 함유량보다 많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시트에 있어서의 제 1 수지 재료의 함유량은, 60 질량% 이상 95 질량% 이하이다. 또, 부직포 시트에 있어서의 제 2 수지 재료의 함유량은, 5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이다.
부직포 시트에 있어서의 제 1 수지 재료 및 제 2 수지 재료의 함유량을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부직포 시트의 통기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부직포 시트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제 1 시트 (10) 를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의 평량은, 15 g/㎡ 이상 500 g/㎡ 이하, 특히 30 g/㎡ 이상 35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 시트의 평량이 15 g/㎡ 이상임으로써, 제 1 시트 (10) 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 외에, 발열재 (41) 의 온도가 적당히 완화되어 피부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부직포 시트의 평량이 500 g/㎡ 이하임으로써, 제 1 시트 (10) 를 통하여 발열재 (41) 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피부에 전달할 수 있다.
제 1 시트 (10) 의 기부 (11) 의 두께는, 0.03 ㎜ 이상 2.6 ㎜ 이하, 특히 0.08 ㎜ 이상 1.2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부 (11) 의 두께가 0.03 ㎜ 이상임으로써, 제 1 시트 (10) 의 형태 유지성 (특히 돌기부 (12) 의 형태 유지성), 나아가서는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형태 유지성이 양호해진다. 기부 (11) 의 두께가 2.6 ㎜ 이하임으로써, 제 1 시트 (10) 의 전열성이 양호해진다.
제 1 시트 (10) 의 투습도는, 예를 들어, 1000 g/(㎡·24 h) 이상 17000 g/(㎡·24 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 g/(㎡·24 h) 이상 12000 g/(㎡·24 h)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2 시트 (20) 의 투습도는, 제 1 시트 (10) 의 투습도보다 낮다.
제 2 시트 (20) 의 투습도는, 예를 들어, 2000 g/(㎡·24 h) 이하, 특히 1000 g/(㎡·24 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시트 (20) 의 투습도가 이와 같은 범위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발열재 (41) 의 발열에 수반하는 수증기의 발생 방향을 제 2 시트 (20) 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재 (41) 에 대한 산소의 공급이 제 1 시트 (10) 측으로부터 실시되고, 제 2 시트 (20) 로부터의 수증기의 발생은 억제할 수 있어, 주로 제 1 시트 (10) 측으로부터 수증기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 시트 (20) 는, 평량이 10 g/㎡ 이상 200 g/㎡ 이하, 20 g/㎡ 이상 1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시트 (20) 의 평량이 이와 같은 범위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발열에 수반하는 수증기의 발생 방향을 제 2 시트 (20) 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제 2 시트 (20) 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나일론,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수지에 의해 구성된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시트를 들 수 있고, 특히, 상기 수지 중에 산화티탄 등의 무기 필러를 배합한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제 2 시트 (20) 에 의한 발열재 (41) 의 은폐성이 양호해진다. 제 2 시트 (20) 는, 복수 장을 겹쳐 사용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시트 (20) 로는, 예를 들어, 종이와 상기 수지 필름의 적층 시트나, 부직포와 상기 수지 필름의 적층 시트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수지 필름이 제 2 시트 (20) 의 내면측 (흡수 시트측) 이 되고, 제 2 시트 (20) 를 구성하는 종이나 부직포가 제 2 시트 (20) 의 외면측에 배치된다. 나아가서는, 외면측으로의 방열을 억제하기 위해, 제 2 시트 (20) 에 있어서의 제 3 시트 (30) 측의 면에 부직포가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흡수 시트 (제 1 흡수 시트 (51), 제 2 흡수 시트 (52)) 가 흡수성 폴리머 시트인 경우, 당해 흡수성 폴리머 시트를 구성하는 흡수성 폴리머는, 흡수성을 갖는 중합체 입자이다.
흡수성 폴리머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상, 괴상, 포도상, 부정 형상, 다공상, 분말상 또는 섬유상일 수 있다. 이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입자경은, 족용 온열 시트 (100) 로부터의 흡수성 폴리머의 탈락이나 흡수성 폴리머의 이동의 억제를 위해, 100 ㎛ 이상 1000 ㎛ 이하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0 ㎛ 이상 650 ㎛ 이하로 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이상 500 ㎛ 이하로 할 수 있다.
일례로서, 흡수성 폴리머를 얻으려면, 이하의 모노머에서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의 모노머를 중합하고, 또, 필요에 따라 가교한다. 여기서의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역상 현탁 중합법이나 수용액 중합법 등의 일반적으로 알려진 흡수성 폴리머의 여러 가지 중합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중합에 의해 얻어진 중합체에 대해 필요에 따라 분쇄, 분급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 중합체를 원하는 평균 입자경으로 조정하고, 필요에 따라 무기 미립자 처리함으로써, 흡수성 폴리머가 얻어진다.
흡수성 폴리머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모노머로는, 수용성이고, 중합성의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모노머로는, 보다 상세하게는, 올레핀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염, 올레핀계 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올레핀계 불포화 술폰산 또는 그 염, 올레핀계 불포화 인산 또는 그 염, 올레핀계 불포화 인산에스테르, 올레핀계 불포화 아민, 올레핀계 불포화 암모늄염, 올레핀계 불포화 아미드 등의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가 예시된다.
흡수 시트 (제 1 흡수 시트 (51), 제 2 흡수 시트 (52)) 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05 ㎜ 이상 2 ㎜ 이하로 할 수 있고, 0.1 ㎜ 이상 1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시트의 두께가 0.05 ㎜ 이상임으로써, 흡수 시트에 의해 충분히 흡수를 실시할 수 있다. 또, 흡수 시트의 두께가 2 ㎜ 이하임으로써, 족용 온열 시트 (100) 를 충분히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흡수 시트의 두께의 측정은, 예를 들어, 피코크 게이지 측정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흡수 시트 (제 1 흡수 시트 (51), 제 2 흡수 시트 (52)) 로는, 수분의 흡수 유지가 가능하고, 유연성을 갖는 시트 재료가 사용된다. 그와 같은 시트 재료로는, 예를 들어 섬유를 원료로 하는 종이, 부직포, 직물, 편물 등의 섬유 시트나, 스펀지 등의 다공체 등을 들 수 있다. 흡수 시트 (40) 의 재료가 되는 섬유로는, 예를 들어 식물 섬유나 동물 섬유 등의 천연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나 화학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식물 섬유로는, 예를 들어 코튼, 케이폭, 목재 펄프, 비목재 펄프, 낙화생 단백 섬유, 옥수수 단백 섬유, 대두 단백 섬유, 만난 섬유, 고무 섬유, 마, 마닐라마, 시살마, 뉴질랜드마, 나포마, 야자, 등심초, 밀짚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동물 섬유로는, 예를 들어 양모, 염소모, 모헤어, 캐시미어, 알파카, 앙고라, 카멜, 비쿠냐, 실크, 우모, 다운, 페더, 알긴 섬유, 키틴 섬유, 카세인 섬유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화학 섬유로는, 예를 들어 레이온,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흡수 시트 (제 1 흡수 시트 (51), 제 2 흡수 시트 (52)) 로는, 전술한 섬유로 구성되는 섬유 재료와,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시트가, 성분 (a) 섬유 재료, 및, 성분 (b)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한다고 하면, 흡수 시트의 형태로는, (i) 성분 (a) 및 성분 (b) 가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에서 1 장 시트로 한 것, (ii) 성분 (a) 를 포함하는 동일한 또는 서로 상이한 시트 사이에 성분 (b) 가 배치된 것, (iii) 성분 (b) 를 산포하여 시트상으로 한 것의 3 개의 형태를 예시할 수 있다.
이 중 바람직한 것은, (ii) 의 형태의 것이다. 또한, (ii) 의 형태의 흡수 시트는, 예를 들어, 성분 (a) 를 포함하는 시트 상에 성분 (b) 의 흡수성 폴리머를 균일하게 산포하고, 그 위에서 200 g/㎡ 의 양의 물을 분무한 후, 다시 그 위에 성분 (a) 를 포함하는 동일한 또는 서로 상이한 시트를 적층하고, 100 ± 0.5 ℃, 5 ㎏/㎠ 의 압력으로 프레스 건조시켜 함수율이 5 질량%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흡수성 폴리머로서, 자중의 20 배 이상의 액체를 흡수 및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겔화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흡수 시트 (제 1 흡수 시트 (51), 제 2 흡수 시트 (52)) 의 충분한 흡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형상으로는, 구상, 괴상, 포도 송이상, 섬유상 등을 들 수 있다.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입경은,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입경은, 1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5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입경은 동적 광 산란법, 레이저 회절법 등에 의해 측정된다.
흡수성 폴리머의 구체예로는, 전분, 가교 카르복실메틸화 셀룰로오스,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알칼리 금속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등, 폴리아크릴산 및 그 염 그리고 폴리아크릴산염 그래프트 중합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알칼리 금속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등, 폴리아크릴산 및 그 염 그리고 폴리아크릴산염 그래프트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흡수 시트 (제 1 흡수 시트 (51), 제 2 흡수 시트 (52)) 의 흡수 성능을 높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흡수 시트 (제 1 흡수 시트 (51), 제 2 흡수 시트 (52)) 에서 차지하는 성분 (b)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비율은, 건조 상태에서 1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2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흡수 시트에서 차지하는 성분 (b)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비율은, 건조 상태에서 7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6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시트 (제 1 흡수 시트 (51), 제 2 흡수 시트 (52)) 는, 건조 상태에서 그 평량이 20 g/㎡ 이상 25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g/㎡ 이상 22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g/㎡ 이상 180 g/㎡ 이하이다. 흡수 시트 (40) 에 포함되는 성분 (b) 의 평량은, 건조 상태에서 5 g/㎡ 이상 2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g/㎡ 이상 17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g/㎡ 이상 130 g/㎡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흡수 시트 (제 1 흡수 시트 (51), 제 2 흡수 시트 (52)) 로는, 목재 펄프제의 종이 (평량 20 g/㎡) 와 흡수성 폴리머 (구상, 평균 입자경 300 ㎛, 평량 90 g/㎡) 와 목재 펄프제의 종이 (평량 30 g/㎡) 를 적층하여 일체화한 흡수성 폴리머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제 3 시트 (30) 의 재료로는, 제 1 시트 (10) 와 동일한 부직포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3 시트 (30) 의 두께 치수는, 제 1 시트 (10) 의 두께 치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층 (61) 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고무계, 아크릴계, 실리콘계, 에멀션계, 핫멜트계, 수겔계 등의 점착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왼발 또는 오른발 중 어느 쪽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2 장 세트, 또는, 복수 장 세트 (바람직하게는 짝수 장 세트) 로 되어, 함께 포장되어 유통 (판매에 제공되는 등)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오른발용과 왼발용에서 돌기부 (12) 의 배치 등이 서로 상이해도 된다.
여기서, 족용 온열 시트 (100) 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프레스에 의해 제 1 시트 (10) 에 돌기부 (12) 를 형성하려면, 먼저, 제 1 시트 (10) 의 재료가 되는 부직포 시트를 준비한다. 이 부직포 시트는, 예를 들어,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제 1 섬유와,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제 2 섬유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섬유와 제 2 섬유의 혼면인 경우). 단, 이 부직포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심과,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초를 포함하는 심초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이 부직포 시트에 대해 열 프레스를 실시함으로써, 돌기부 (12) 가 형성된 제 1 시트 (10) 를 성형한다.
여기서, 열 프레스의 온도는, 제 1 수지 재료의 융점과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의 중간의 온도로 설정한다. 즉, 열 프레스의 온도는, 제 1 수지 재료의 융점 미만의 온도이고, 또한,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 이상의 온도로 한다.
이로써, 제 2 수지 재료가 용융되는 한편으로, 제 1 수지 재료는 용융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용융된 제 2 수지 재료를 통하여,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섬유 (당해 섬유는, 심초 구조의 심의 부분이어도 된다) 끼리가 결착된다. 즉, 용융된 제 2 수지 재료가,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섬유끼리를 결착하는 결착부를 구성한다.
그 결과, 제 1 시트 (10) 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도, 제 1 시트 (10) 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즉, 기부 (11) 의 통기성 및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돌기부 (12) 에 대해서도, 당해 돌기부 (12) 의 기단으로부터 선단에 걸쳐, 통기성을 확보하면서도, 전체를 충분한 강성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제 1 시트 (10) 에 돌기부 (12) 를 형성한 후, 돌기부 (12) 에 발열재 (41) 를 충전한다.
이것을 위해서는, 피산화성 금속, 보수제 및 물을 포함하는, 발열재 (41) 의 원료 조성물 (슬러리) 을 조제하고, 그 원료 조성물을 각 돌기부 (12) 에 흘려 넣는다.
이로써, 돌기부 (12) 의 내주면의 형상에 따르게 하여 발열재 (41) 를 충전할 수 있다.
제 1 시트 (10) 의 각 돌기부 (12) 에 발열재 (41) 를 충전한 후, 제 1 시트 (10) 의 기부 (11) 상에 흡수 시트 (제 1 흡수 시트 (51), 제 2 흡수 시트 (52)) 를 적층한다.
또한, 흡수 시트 상에 제 2 시트 (20) 를 적층하여, 제 1 시트 (10) 의 기부 (11) 의 제 1 부분 (11a) 과 제 2 시트 (20) 를 서로 접합한다.
제 2 시트 (20) 와 제 1 시트 (10) 의 접합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실시해도 되고, 히트 시일에 의해 실시해도 된다.
또한, 제 2 시트 (20) 상에 제 3 시트 (30) 를 적층하여, 제 3 시트 (30) 의 제 2 부분 (30b) 과 제 2 시트 (20) 를 서로 접합한다.
이렇게 하여, 족용 온열 시트 (100) 를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이 사용 방법에서는, 상기 서술한 족용 온열 시트 (100) 를 사용하여, 복수의 돌기부 (12) 에 의해 용천 급소 (91) 와 대응하는 발바닥 영역의 피부와 실면 급소 (92) 와 대응하는 발바닥 영역의 피부를 각각 가압한다.
이로써, 다리의 피로가 풀려 수면의 질이 개선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복수의 제 1 돌기부 (12a) 중 어느 것에 의해 용천 급소 (91) 를 가압할 수 있고, 복수의 제 2 돌기부 (12b) 중 어느 것에 의해 실면 급소 (92) 를 가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점착층 (61) 을 사용하여, 족용 온열 시트 (100) 를 신발의 솔부의 상면에 첩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신발을 신는 것에 의해, 족용 온열 시트 (100) 를 발바닥에 장착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일어서거나, 걷거나 하는 것 등에 의해, 돌기부 (12) 에 의해 발바닥의 피부를 가압에 의해 자극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취침의 30 분 내지 120 분 전에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복수의 돌기부 (12) 에 의한 가압을 개시하고, 취침 전에 가압을 끝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가압의 개시란, 예를 들어, 족용 온열 시트 (100) 를 발바닥에 장착하여 일어서거나 걷거나 하는 것 등이다. 또, 가압을 끝낸다란, 족용 온열 시트 (100) 를 발바닥으로부터 떼어내는 (예를 들어, 족용 온열 시트 (100) 가 장착된 신발을 벗는) 것 등이다.
이와 같이, 취침 전에 족용 온열 시트 (100) 를 사용함으로써, 한층 수면의 질이 개선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다음으로, 도 5 를 사용하여,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경우, 중앙 돌기부 (121) 의 높이 치수가, 주변 돌기부 (122) 의 높이 치수보다 크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중앙 돌기부 (121) 에 의해 보다 충분한 가압력으로 실면 급소 (92) 를 가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6 및 도 7 을 사용하여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이하에 설명하는 점에서,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 (100) 와 상이하며, 그 밖의 점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 (100)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도,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사람의 족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발가락이 재치되는 부분을 갖고 있지 않은 족용 온열 시트 (100) 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가락이 재치되는 부분을 갖고 있는 족용 온열 시트 (100) 에 대해 설명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 (100) 와 비교하여, 전후로 장척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도,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사람의 족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길이 치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치수) 를 L2 로 하면, 복수의 돌기부 (12) 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 (P31) 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1 원형 영역 (R1) (도 6 에 나타내는 원 (C1) 내의 영역) 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 (12a) 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 (P32) 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2 원형 영역 (R2) (도 6 에 나타내는 원 (C2) 내의 영역) 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 (12b) 가 포함되어 있다.
또, 복수의 제 1 돌기부 (12a) 는,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길이 방향 (전후 방향) 에 있어서 ±3 ㎝ 의 범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 복수의 제 2 돌기부 (12b) 는,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3 ㎝ 의 범위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폭 치수를 W1 로 하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폭 치수를 W2 로 한다.
복수의 돌기부 (12) 에는,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 (P31) 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3 이 (W1)2·π/2 인 제 3 원형 영역 (R3) (도 6 에 나타내는 원 (C3) 내의 영역) 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 (12a) 와,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 (P32) 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4 가 (W2)2·π/2 인 제 4 원형 영역 (R4) (도 6 에 나타내는 원 (C4) 내의 영역) 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 (12b) 가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도, 족용 온열 시트 (100) 에 있어서, 제 3 원형 영역 (R3) 및 제 4 원형 영역 (R4) 중 어느 것도 아닌 영역은, 돌기부 (12) 가 비형성으로 되어 있는 비형성 영역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돌기부 (12a) 및 제 2 돌기부 (12b) 의 배치에 관하여,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규정도 아울러 적용할 수 있다.
즉, 중간 부위 (P21) 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L1/3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 (P23) 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이 (W1)2·π/2 인 원형 영역과, 중간 부위 (P21) 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1/5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 (P24) 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이 (W2)2·π/2 인 원형 영역과,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 (P31) 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이 (W1)2·π/2 인 원형 영역과,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 (P32) 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이 (W2)2·π/2 인 원형 영역 중 어느 것도 아닌 영역은, 돌기부 (12) 가 비형성으로 되어 있는 비형성 영역이다.
도 7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 (100) 를 신발 (70) 의 솔부 (71) 의 상면에 장착하여, 사용자의 발 (80) 로 신발 (70) 을 신는 것에 의해, 발바닥에 족용 온열 시트 (100) 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2 를 사용하여 제 3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는, 이하에 설명하는 점에서,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 (100) 와 상이하고, 그 밖의 점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 (100)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는, 발바닥의 전부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제 1 시트 (100a) (도 11, 도 12) 와, 제 1 시트 (100a) 와는 분리된 상태에서 발바닥의 후부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제 2 시트 (100b) (도 8 ∼ 도 10, 도 12) 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기재 시트는, 제 1 시트 (100a) 를 구성하는 제 1 기재 시트 (제 1 시트 (10)) 와, 제 2 시트 (100b) 를 구성하는 제 2 기재 시트 (제 1 시트 (10)) 를 포함하고, 복수의 돌기부 (12) 에는, 제 1 시트 (100a) 가 구비하는 제 1 돌기부 (12a) 와, 제 2 시트 (100b) 가 구비하는 제 2 돌기부 (12b) 가 포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제 1 시트 (100a) 의 제 1 돌기부 (12a) 에 의해, 용천 급소를 가압할 수 있고, 제 2 시트 (100b) 의 제 2 돌기부 (12b) 에 의해, 실면 급소를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시트 (100a) 와 제 2 시트 (100b) 는, 전형적으로는, 당초부터 서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 직전에 사용자가 제 1 시트 (100a) 와 제 2 시트 (100b) 를 서로 분리시켜, 이들을 개별로 발바닥의 전부와 후부에 각각 장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는, 부직포를 포함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잡아당기거나 함으로써 약간 신축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시에 스스로 돌기부 (12) 의 위치를 미조정 (微調整) 할 수 있어, 사용자의 급소의 위치에 맞추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1 시트 (100a) 와 제 2 시트로 나누어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발바닥 사이즈에 따라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종래, 족용의 돌기구는, 일정하게 발바닥 사이즈를 갖는 시트에 돌기구를 부착하는 방식이 취해지고 있었다. 이 때문에, 발바닥 사이즈마다 족용의 돌기구를 준비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는, 이용하는 발의 사이즈에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성에 있어서도 크게 우위에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1 시트 (100a) 와 제 2 시트 (100b) 가 함께 포장되어 유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족용 온열 시트는, 제 1 시트 (100a) 와 제 2 시트 (100b) 의 세트를 복수 세트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복수 세트의 제 1 시트 (100a) 및 제 2 시트 (100b) 가, 함께 포장되어 유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내지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2 시트 (100b) 는, 복수의 제 2 돌기부 (12b) 를 갖는다. 복수의 제 2 돌기부 (12b) 에는, 제 2 시트 (100b) 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중앙 돌기부 (121) 와, 중앙 돌기부 (121) 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주변 돌기부 (122) 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시트 (100b) 의 가로폭 방향이란, 제 2 시트 (100b) 를 발바닥에 장착하여 사용할 때에, 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시트 (100b) 의 길이 방향이, 제 2 시트 (100b) 의 가로폭 방향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도, 급소에 대한 자극성의 관점에서, 중앙 돌기부 (121) 의 크기 (높이 치수 또는 평면적 중 적어도 어느 일방) 는, 주변 돌기부 (122) 의 크기와 동등하거나, 또는, 주변 돌기부 (122)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복수의 제 2 돌기부 (12b) 로부터 피부에 균일적으로 열 전달하고, 복수의 제 2 돌기부 (12b) 의 배치 영역의 중심으로의 열 전달을 적당히 억제하는 관점에서, 중앙 돌기부 (121) 의 크기 (높이 치수 또는 평면적 중 적어도 어느 일방) 는, 주변 돌기부 (122) 의 크기와 동등하거나, 또는, 주변 돌기부 (122)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중앙 돌기부 (121) 의 평면적이, 주변 돌기부 (122) 의 평면적보다 크다. 이 때문에, 중앙 돌기부 (121) 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실면 급소를 가압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시트 (100b) 의 복수의 제 2 돌기부 (12b) 의 평면적은, 서로 동등해도 되고, 주변 돌기부 (122) 의 평면적이, 중앙 돌기부 (121) 의 평면적보다 커도 된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중앙 돌기부 (121) 의 높이 치수와 주변 돌기부 (122) 의 높이 치수가 서로 동등하다.
단,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중앙 돌기부 (121) 의 높이 치수가, 주변 돌기부 (122) 의 높이 치수보다 커도 되고,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중앙 돌기부 (121) 에 의해 보다 충분한 가압력으로 실면 급소를 가압할 수 있다.
혹은, 반대로, 주변 돌기부 (122) 의 높이 치수가, 중앙 돌기부 (121) 의 높이 치수보다 커도 된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시트 (100b) 는, 예를 들어, 제 1 시트 (10) 와, 제 2 시트 (20) 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시트 (20) 는 단층 구조여도 되고, 복수의 층 구조여도 된다. 제 2 시트 (20) 는, 복수의 돌기부 (12) 의 배치 영역을 포함하는 범위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시트 (20) 는, 제 2 시트 (100b)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일례로서,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열재 (41) 는, 제 1 시트 (10) 의 돌기부 (12) 와 대응하는 부위에 충전되어 있는 것 외에, 기부 (11) 와 대응하는 부위에 있어서도 제 1 시트 (10) 와 제 2 시트 (20) 사이에 충전되어 있다.
또, 제 1 시트 (100a) 에 대해서는, 단면 구조의 도시를 생략하지만, 제 2 시트 (100b) 와 동일한 층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제 1 시트 (100a) 의 평면 형상은, 예를 들어, 제 2 시트 (100b) 의 평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11, 도 12 참조).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시트 (100a) 는, 당해 제 1 시트 (100a) 를 발바닥에 첩부하기 위한 1 쌍의 첩부부 (점착층 (61)) 를, 당해 제 1 시트 (100a) 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하고 있다. 제 1 시트 (100a) 에 있어서, 1 쌍의 첩부부끼리의 사이의 영역에, 복수의 제 1 돌기부 (12a) 가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8 내지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시트 (100b) 는, 당해 제 2 시트 (100b) 를 발바닥에 첩부하기 위한 1 쌍의 첩부부 (점착층 (61)) 를, 당해 제 2 시트 (100b) 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하고 있다. 제 2 시트 (100b) 에 있어서, 1 쌍의 첩부부끼리의 사이의 영역에, 복수의 제 2 돌기부 (12b) 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시트 (100a) 와 제 2 시트 (100b) 의 각각이, 족용 온열 시트여도 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경우, 족용 온열 시트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를 발바닥에 첩부하기 위한 1 쌍의 첩부부 (점착층 (61)) 를,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하고, 복수의 돌기부 (12) 가 1 쌍의 첩부부끼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돌기부 (12) 가 발바닥의 피부에 접하는 상태에서, 족용 온열 시트를 발바닥에 첩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돌기부 (12a) 는, 제 1 시트 (100a) 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고, 제 1 시트 (100a) 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의 각각은, 돌기부 (12) (제 1 돌기부 (12a)) 가 비형성으로 되어 있는 비형성 영역으로 되어 있다.
또, 제 2 돌기부 (12b) 는, 제 2 시트 (100b) 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고, 제 2 시트 (100b) 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의 각각은, 돌기부 (12) (제 2 돌기부 (12b)) 가 비형성으로 되어 있는 비형성 영역으로 되어 있다.
또, 제 1 시트 (100a) 및 제 2 시트 (100b) 의 각각은, 첩부부 (점착층 (61)) 의 근방의 위치에 있어서 기재 시트 (제 1 시트 (10)) 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 (15) 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시트 (100a) 및 제 2 시트 (100b) 의 각각은, 1 쌍의 슬릿 (15) 을 갖고 있고, 각 슬릿 (15) 은, 각 첩부부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기재 시트에 슬릿 (15) 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첩부부의 근방에 있어서 기재 시트를 용이하게 굽힐 수 있다. 이 때문에, 첩부부를 피부에 붙이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점착층 (61) 의 형성 영역과, 제 2 시트 (20) 의 배치 영역이 이간되어 있고, 점착층 (61) 의 형성 영역과 제 2 시트 (20) 의 배치 영역 사이에 있어서, 제 1 시트 (10) 의 기부 (11) 에 슬릿 (15) 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 (15) 은, 기부 (11) 의 표리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슬릿 (15) 은, 폭을 갖는 형상이어도 되고 (개구여도 되고), 실질적으로 폭을 갖고 있지 않은 형상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슬릿 (15) 은, 실질적으로 폭을 갖고 있지 않다.
보다 상세하게는, 슬릿 (15) 은, 족용 온열 시트 (예를 들어, 제 1 시트 (100a) 및 제 2 시트 (100b) 의 각각의) 의 가로폭 방향 중앙측을 향하여 볼록한 U 자상 또는 V 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기재 시트 (제 1 시트 (10)) 에 있어서, 슬릿 (15) 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는, 첩부부 (점착층 (61)) 에 가까운 지점일수록 굽힘 강성이 작아져, 첩부부에 가까운 부분일수록 용이하게 굽힐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의 복수의 돌기부 (12) 의 배치 영역에 대해서는 평면상으로 유지하면서, 기재 시트를 굽혀, 첩부부를 피부에 첩부할 수 있다. 따라서, 첩부부를 피부에 붙이는 작업을 한층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우의 발바닥에 각각 제 1 시트 (100a) 와 제 2 시트 (100b) 를 첩부한 상태에서, 일어서거나 걷거나 함으로써, 좌우의 발바닥의 용천 급소와 실면 급소를 돌기부 (12) 에 의해 가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발바닥의 제 2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과 제 3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의 중간과 대응하는 중간 부위로부터 발뒤꿈치측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L1 로 하면, 복수의 돌기부 (12) 에 의해,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L1/3 의 위치에 있어서의 발바닥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1 원형 영역의 피부와,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1/5 의 위치에 있어서의 발바닥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2 원형 영역의 피부를 각각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시트 (100a) 의 제 1 돌기부 (12a) 에 의해 제 1 원형 영역의 피부를 가압하고, 제 2 시트 (100b) 의 제 2 돌기부 (12b) 에 의해 제 2 원형 영역의 피부를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발바닥의 길이 치수를 L2 로 하면, 복수의 돌기부 (12) 에 의해,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발바닥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1 원형 영역의 피부와,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발바닥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2 원형 영역의 피부를 각각 가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시트 (100a) 의 제 1 돌기부 (12a) 에 의해 제 1 원형 영역의 피부를 가압하고, 제 2 시트 (100b) 의 제 2 돌기부 (12b) 에 의해 제 2 원형 영역의 피부를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발바닥의 제 2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과 제 3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의 중간과 대응하는 중간 부위로부터 발뒤꿈치측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L1 로 하고,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L1/3 의 위치에 있어서의 발바닥의 폭 치수를 W1 로 하고,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1/5 의 위치에 있어서의 발바닥의 폭 치수를 W2 로 하면, 복수의 돌기부 (12) 에 의해,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L1/3 의 위치에 있어서의 발바닥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1 이 (W1)2·π/2 인 제 3 원형 영역의 피부와,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1/5 의 위치에 있어서의 발바닥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2 가 (W2)2·π/2 인 제 4 원형 영역의 피부를 각각 가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시트 (100a) 의 제 1 돌기부 (12a) 에 의해 제 3 원형 영역의 피부를 가압하고, 제 2 시트 (100b) 의 제 2 돌기부 (12b) 에 의해 제 4 원형 영역의 피부를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용천 급소의 주변과 실면 급소의 주변을 집중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발바닥의 길이 치수를 L2 로 하고,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발바닥의 폭 치수를 W1 로 하고,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발바닥의 폭 치수를 W2 로 하면, 복수의 돌기부 (12) 에 의해,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발바닥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3 이 (W1)2·π/2 인 제 3 원형 영역의 피부와,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발바닥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4 가 (W2)2·π/2 인 제 4 원형 영역의 피부를 각각 가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시트 (100a) 의 제 1 돌기부 (12a) 에 의해 제 3 원형 영역의 피부를 가압하고, 제 2 시트 (100b) 의 제 2 돌기부 (12b) 에 의해 제 4 원형 영역의 피부를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용천 급소의 주변과 실면 급소의 주변을 집중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3 을 사용하여 제 4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족용 온열 시트는, 제 1 시트 (10) 와 제 2 시트 (20)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온열부 (42) 를 구비하고 있다. 도 13 에서는, 족용 온열 시트가 제 2 시트 (100b) 인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족용 온열 시트는, 제 2 시트 (100b) 여도 되고,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족형 형상의 타입의 것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는, 부직포를 포함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잡아당기거나 함으로써 약간 신축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시에 스스로 돌기부 (12) 의 위치를 미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급소의 위치에 맞추는 것도 가능하다.
족용 온열 시트가, 제 2 시트 (100b) 인 경우, 제 1 시트 (100a) 와 제 2 시트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발바닥 사이즈에 따라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종래, 족용의 돌기구는, 일정하게 발바닥 사이즈를 갖는 시트에 돌기구를 부착하는 방식이 취해지고 있었다. 이 때문에, 발바닥 사이즈마다 족용의 돌기구를 준비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는, 이용하는 발의 사이즈에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성에 있어서도 크게 우위에 있다.
온열부 (42) 는, 예를 들어, 제 1 피복 시트 (44) 와, 제 2 피복 시트 (45) 와, 제 1 피복 시트 (44) 와 제 2 피복 시트 (45)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시트상의 발열부 (43)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피복 시트 (44) 와 제 2 피복 시트 (45) 는, 서로 중첩되어 있다. 제 1 피복 시트 (44) 와 제 2 피복 시트 (45) 는, 예를 들어, 그들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피복 시트 (44) 와 제 2 피복 시트 (45) 에 의해, 발열부 (43) 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체가 구성되어 있다. 제 1 피복 시트 (44) 와 제 2 피복 시트 (45) 는, 점착 또는 접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되고, 히트 시일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제 1 피복 시트 (44) 와 제 2 피복 시트 (45) 중, 제 1 피복 시트 (44) 는, 제 1 시트 (10) 측, 즉 족용 온열 시트가 발바닥에 장착된 상태에서 발바닥의 피부측이 되는 쪽에 배치되어 있고, 제 2 피복 시트 (45) 는, 제 2 시트 (20) 측, 즉 족용 온열 시트가 발바닥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피부측과는 반대측이 되는 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온열부 (42) 는 제 1 피복 시트 (44) 및 제 2 피복 시트 (45) 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발열부 (43) 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체는, 예를 들어, 제 1 시트 (10) 및 제 2 시트 (20) 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이 경우, 제 1 시트 (10) 는 제 1 피복 시트 (44) 의 기능 (제 1 피복 시트 (44) 의 통기성 등) 을 갖고, 제 2 시트 (20) 는 제 2 피복 시트 (45) 의 기능 (제 2 피복 시트 (45) 의 통기성 등) 을 갖는다.
발열부 (43) 는, 상기의 발열재 (41)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온열부 (42) 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에 있어서, 제 1 시트 (10) 또는 제 2 시트 (20) 의 내면에 대해 접합되어 있다.
발열부 (43) 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도포형, 분체 타입, 및, 초지 (초조) 타입의 3 타입을 들 수 있다.
이 중 도포형의 발열부 (43) 는, 크레이프지, 또는 종이의 적층체에 도공 가능한 발열 조성물 (철분, 활성탄, 물 등을 함유하는 발열 조성물) 을 도포하고, 그 위에 폴리머 시트를 적층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폴리머 시트 대신에, 흡수성 폴리머, 종이나 레이온 부직포 등의 흡수층을 사용해도 된다.
분체 타입의 발열부 (43) 는, 철, 활성탄, 물, SAP (Super Absorbent Polymer), 무기 분체 등을 혼합한 분체를 시트상으로 눌러 굳히고, 이것을 제 1 피복 시트 (44) 와 제 2 피복 시트 (45) 사이에 봉입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초지 타입의 발열부 (43) 는, 철분, 활성탄 및 펄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열 재료에 식염수를 포함시키고, 이것을 제 1 피복 시트 (44) 와 제 2 피복 시트 (45) 사이에 봉입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피복 시트 (44) 와 제 2 피복 시트 (45) 중 적어도 일방은 통기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1 피복 시트 (44) 는 제 2 피복 시트 (45) 와 비교하여 보다 통기성이 높다. 또한, 제 2 피복 시트 (45) 는 통기성을 갖고 있어도 되고, 통기성을 실질적으로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 제 1 피복 시트 (44) 는 투습성 시트이다. 한편, 제 2 피복 시트 (45) 는, 투습성 시트이거나, 또는 비투습성 시트이다. 제 2 피복 시트 (45) 가 투습성 시트인 경우, 그 제 2 피복 시트 (45) 의 통기성은, 제 1 피복 시트 (44) 의 통기성과 동일해도 되고, 제 1 피복 시트 (44) 의 통기성보다 낮게 되어 있어도 되고, 제 1 피복 시트 (44) 의 통기성보다 높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제 1 시트 (10) 의 통기성은 제 1 피복 시트 (44) 의 통기성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제 2 시트 (20) 의 통기성은 제 2 피복 시트 (45) 의 통기성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시트 (20) 가 비통기성인 경우, 제 2 피복 시트 (45) 도 비통기성이어도 되고, 제 2 피복 시트 (45) 는 비통기성이 아니어도 된다.
또한, 제 2 피복 시트 (45) 의 통기성을 제 1 피복 시트 (44) 의 통기성보다 낮게 하는 편이, 보다 피부측으로 증기를 방출시키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1 시트 (10) 의 돌기부 (12) 의 공동 (13) 내에는 발열재 (41) 가 충전되어 있지 않고, 돌기부 (12) 의 내부는 중공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도, 제 1 시트 (10) 가 통기성을 갖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시트 (10) 는, 돌기부 (12) 에 있어서도 통기성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제 1 시트 (10) 및 제 1 피복 시트 (44) 를 통하여 온열부 (42) 의 발열부 (43) 의 발열재 (41) 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족용 온열 시트가 사용시에 포장재로부터 꺼내어짐으로써, 온열부 (42) 의 발열부 (43) 의 발열재 (41) 가 공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고, 발열부 (43) 가 발열 함과 함께 수증기 (증기 온열) 를 발생시키고, 이 수증기가 제 1 피복 시트 (44) 및 제 1 시트 (10) 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같이 돌기부 (12) 의 공동 (13) 에 발열재 (41) 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구조라도, 온열부 (42) 의 열을 수증기의 잠열에 의해 생체의 피부에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돌기부 (12) 도 통기성을 갖고 있음으로써, 돌기부 (12) 로부터 방출되는 수증기에 의해 피부에 열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돌기부 (12) 로 피부를 가온하면서, 돌기부 (12) 에 의해 피부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족용 온열 시트는, 제 2 시트 (20) 를 갖고 있지 않음과 함께, 제 1 시트 (10) 의 타방의 면 (10b) 에 온열부 (42) 가 첩부된 구조여도 된다.
〔제 5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4 를 사용하여 제 5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는, 제 1 시트 (10) 의 구성이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와 상이하고, 그 밖의 점에서는, 상기 중 어느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시트 (10) 가 1 장의 부직포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였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시트 (10) 는, 당해 제 1 시트 (10) 에 있어서의 일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 (16) (제 1 부직포 시트) 와, 당해 제 1 시트 (10) 에 있어서의 타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 (18) (제 2 부직포 시트) 와, 제 1 부직포 시트와 제 2 부직포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구성하는 통기 시트 (17)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1 시트 (10) 는, 부직포 시트 (16), 통기 시트 (17) 및 부직포 시트 (18) 의 3 층 구조로 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시트 (10) 는, 부직포 시트 (16), 통기 시트 (17) 및 부직포 시트 (18) 의 3 층의 다른 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일례로서, 제 1 시트 (10) 는, 부직포 시트 (16) 와 부직포 시트 (18) 사이에 2 층의 통기 시트 (17) 를 구비하고, 또한, 이들 2 층의 통기 시트 (17) 끼리의 사이에 제 3 부직포 시트를 구비하고 있어, 합계 5 층의 층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된다.
부직포 시트 (16) 는,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부직포 시트와 마찬가지로,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부직포 시트 (18) 도, 부직포 시트 (16) 와 마찬가지로,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제 1 부직포 시트 및 제 2 부직포 시트의 각각은,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단, 부직포 시트 (16) 를 구성하는 제 1 수지 재료와, 부직포 시트 (18) 를 구성하는 제 1 수지 재료는, 서로 동일한 재료여도 되고, 서로 상이한 재료여도 된다.
또, 부직포 시트 (16) 를 구성하는 제 2 수지 재료와, 부직포 시트 (18) 를 구성하는 제 2 수지 재료는, 서로 동일한 재료여도 되고, 서로 상이한 재료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부직포 시트 (16) 와 부직포 시트 (18) 는 서로 동일한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부직포 시트 (16) 를 구성하는 제 1 수지 재료와, 부직포 시트 (18) 를 구성하는 제 1 수지 재료가 서로 동일한 재료임과 함께, 부직포 시트 (16) 를 구성하는 제 2 수지 재료와 부직포 시트 (18) 를 구성하는 제 2 수지 재료가 서로 동일한 재료이다.
또, 부직포 시트 (18) 의 평량에 대해서는, 부직포 시트 (16) 의 평량과 마찬가지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도, 부직포 시트 (16) 를 구성하는 섬유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심과,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초를 포함하는 심초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 부직포 시트 (18) 를 구성하는 섬유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심과,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초를 포함하는 심초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된다.
통기 시트 (17) 는, 제 2 수지 재료보다 고융점의 제 3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통기 시트 (17) 의 통기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통기 시트 (17) 의 투습도가 100 g/(㎡·24 h) 이상 13000 g/(㎡·24 h) 이하, 특히 200 g/(㎡·24 h) 이상 8000 g/(㎡·24 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 시트 (17) 의 투습도가 이와 같은 범위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족용 온열 시트 (100) 를 포장재로부터 꺼내면 신속하게 제 1 시트 (10) 를 통하여 산소가 발열재 (41) 에 공급되고, 그 발열재 (41) 로부터 열과 수증기가 재빠르게 발생하도록 할 수 있음과 함께, 발열의 지속 시간을 충분히 길게 할 수 있다. 통기 시트 (17) 의 투습도의 측정은, 예를 들어, JIS (Z0208) CaCl2 법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측정 조건은, 40 ℃, 90 %RH 로 할 수 있다.
통기 시트 (17) 는, 그 전체면에 걸쳐 통기성을 갖고 있어도 되고, 부분적으로 통기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통기 시트 (17) 는, 평량이 10 g/㎡ 이상 200 g/㎡ 이하, 특히 20 g/㎡ 이상 1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 시트 (17) 의 평량이 이와 같은 범위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족용 온열 시트 (100) 를 포장재로부터 꺼내면 열과 수증기가 재빠르게 발생하도록 할 수 있음과 함께, 발열의 지속 시간을 충분히 길게 할 수 있다.
통기 시트 (17) 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수지에 의해 구성된 시트에 기계적으로 통기공을 형성한 것, 이들 수지와 무기 필러의 혼합 시트를 연신에 의해 계면 박리시켜 미세한 통기공을 형성한 것, 또, 그 결정 구조의 계면 박리를 이용하여 미세한 통기공을 형성한 것, 발포 성형에 의한 연속 기포를 이용하여 미세한 통기공을 연통시킨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 통기 시트 (17) 로는, 폴리올레핀 등의 합성 펄프, 목재 펄프,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섬유, 비닐론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으로 형성된 부직포, 직포, 합성지, 종이 등도 들 수 있다. 통기 시트 (17) 는, 복수 장을 겹쳐 사용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기 시트 (17) 로는, 폴리프로필렌과 탄산칼슘의 혼합 시트를 연신에 의해 계면 박리시킴으로써, 그 혼합 시트에 미세한 통기공을 형성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폴리프로필렌과 탄산칼슘의 혼합 시트를 연신함으로써 통기 시트 (17) 가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이하의 설명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의 제조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의 제조 방법도, 프레스에 의해 제 1 시트 (10) 에 돌기부 (12) 를 형성하는 공정과, 돌기부 (12) 의 공동 (13) 에 발열재 (41) 를 충전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시트 (10) 에 돌기부 (12) 를 형성하려면, 먼저, 부직포 시트 (16) 의 토대가 되는 부직포 시트, 통기 시트 (17), 및, 부직포 시트 (18) 의 토대가 되는 부직포 시트를 준비하여, 2 개의 부직포 시트 사이에 통기 시트 (17) 가 위치하도록 이들 3 개의 시트를 적층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부직포 시트는, 예를 들어,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제 1 섬유와,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제 2 섬유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단, 부직포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심과,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초를 포함하는 심초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이들 3 개의 시트의 적층체에 대해 열 프레스를 실시함으로써, 돌기부 (12) 가 형성된 제 1 시트 (10) 를 성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열 프레스의 온도는, 제 1 수지 재료의 융점과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의 중간의 온도로 설정한다. 즉, 열 프레스의 온도는, 제 1 수지 재료의 융점 미만의 온도이고, 또한,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 이상의 온도로 한다.
이로써, 제 2 수지 재료가 용융되는 한편으로, 제 1 수지 재료는 용융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용융된 제 2 수지 재료를 통하여,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섬유 (당해 섬유는, 심초 구조의 심의 부분이어도 된다) 끼리가 결착된다. 즉, 용융된 제 2 수지 재료가,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섬유끼리를 결착하는 결착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부직포 시트 (16) 및 부직포 시트 (18) 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도, 부직포 시트 (16) 및 부직포 시트 (18) 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시트 (10) 의 통기성 및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즉, 기부 (11) 의 통기성 및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돌기부 (12) 에 대해서도, 당해 돌기부 (12) 의 기단으로부터 선단에 걸쳐, 통기성을 확보하면서도, 전체를 충분한 강성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열 프레스의 온도는, 통기 시트 (17) 가 포함하는 제 3 수지 재료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이고, 통기 시트 (17) 의 연신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열 프레스 후에 있어서도 통기 시트 (17) 의 통기공을 유지시켜, 그 통기 시트 (17) 의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열 프레스 후의 제 1 시트 (10) 에 있어서, 부직포 시트의 제 2 수지 재료는, 통기 시트 (17) 에 대해 결착되어 있어도 되고, 결착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부직포 시트의 제 2 수지 재료는, 통기 시트 (17) 에 대해 결착되어 있지 않고, 이로써, 통기 시트 (17) 의 통기성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기 시트 (17) 로서, 폴리프로필렌과 탄산칼슘의 혼합 시트를 연신함으로써 구성된 것을 사용하는 예에 대해 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기 시트 (17) 는, 제 3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수지 시트에 복수의 세공을 형성함으로써 제작된 것이어도 된다. 즉, 통기 시트 (17) 는, 예를 들어, 제 3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수지 시트로서, 당해 통기 시트 (17) 의 표리를 관통하는 복수의 세공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열 프레스시에 통기 시트 (17) 의 양면에 부직포 시트를 겹치기 전에, 미리 통기 시트 (17) 에 부직포를 첩합하여, 통기 시트 (17) 를 보강해 두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 6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5 를 사용하여 제 6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돌기부 (12) 가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거의 전체면에 걸쳐 분산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중간 부위 (P21) 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L1/3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 (P23) 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이 (W1)2·π/2 인 원형 영역과, 중간 부위 (P21) 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1/5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 (P24) 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이 (W2)2·π/2 인 원형 영역 중 어느 것도 아닌 영역에도, 돌기부 (12)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 (P31) 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이 (W1)2·π/2 인 원형 영역과, 족용 온열 시트 (100) 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 (P32) 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이 (W2)2·π/2 인 원형 영역 중 어느 것도 아닌 영역에도, 돌기부 (12) 가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상기의 제 1 실시형태 또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족용 온열 시트 (100)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각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한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변형, 개량 등의 양태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발열재 (41) 는, 피산화성 금속과, 보수제와, 물과,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발열재 (41) 가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발열재 (41) 중의 잉여의 물을 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족용 온열 시트 (100) 를 포장재로부터 꺼내면 신속하게 발열재 (41) 가 발열하도록 할 수 있다.
발열재 (41) 가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 족용 온열 시트 (100) 는, 상기 서술한 흡수 시트 (제 1 흡수 시트 (51), 제 2 흡수 시트 (52)) (도 2) 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발열재 (41) 중의 흡수성 폴리머의 함유량은, 1 질량% 이상 12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질량% 이상 8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발열재 (41) 중의 흡수성 폴리머의 함유량을 1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충분히 흡수를 실시할 수 있다. 또, 발열재 (41) 중의 흡수성 폴리머의 함유량을 12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발열에 기여하는 피산화성 금속의 발열재 (41) 중의 함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시트 (10) 를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의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였다.
단,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시트 (10) 를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는, 아모르퍼스 PET 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부직포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에는, 아모르퍼스 PET 이외의 재료에 의해 형성된 섬유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 아모르퍼스 PET 의 섬유는, 아모르퍼스 PET 이외의 재료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의 기술 사상을 포함한다.
<1> 돌기부와 온열부를 갖는 족용 온열 시트로서,
복수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재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 시트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온열부는, 발열재를 갖고,
상기 돌기부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족용 온열 시트.
<2>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사람의 발바닥의 용천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의 실면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는 <1> 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3> 복수의 상기 제 2 돌기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2 돌기부에는, 이들 복수의 제 2 돌기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중앙 돌기부와, 상기 중앙 돌기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주변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는 <2> 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4> 상기 제 2 돌기부의 상기 중앙 돌기부의 평면적이, 상기 제 2 돌기부의 상기 주변 돌기부의 평면적보다 큰 <3> 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5> 상기 제 2 돌기부의 상기 중앙 돌기부의 높이 치수가, 상기 제 2 돌기부의 상기 주변 돌기부의 높이 치수보다 큰 <3> 또는 <4> 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6> 상기 제 1 돌기부의 높이 치수가, 상기 제 2 돌기부의 상기 중앙 돌기부의 높이 치수 또는 상기 제 2 돌기부의 상기 주변 돌기부의 높이 치수 중 어느 일방보다 큰 <3>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7> 복수의 상기 제 1 돌기부와, 복수의 상기 제 2 돌기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1 돌기부의 배치 패턴과, 상기 복수의 제 2 돌기부의 배치 패턴이 서로 상이한 <2>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8> 복수의 상기 제 1 돌기부와, 복수의 상기 제 2 돌기부를 갖고,
상기 제 1 돌기부의 정점끼리의 거리가, 상기 제 2 돌기부의 정점끼리의 거리보다 큰 <2>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9> 상기 제 1 돌기부의 선단부보다 상기 제 2 돌기부의 선단부 쪽이 보다 날카롭고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2>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10> 상기 돌기부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일방의 면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어 타방의 면측이 공동으로 되어 있는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11> 상기 발열재는, 상기 돌기부의 상기 공동에 충전되어 있는 <10> 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12> 상기 족용 온열 시트는, 사람의 족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13>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제 2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과 제 3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의 중간과 대응하는 중간 부위로부터 발뒤꿈치측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L1 로 하면,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L1/3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1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상기 발뒤꿈치측으로 4·L1/5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2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는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14>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길이 치수를 L2 로 하면,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1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2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는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15>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제 2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과 제 3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의 중간과 대응하는 중간 부위로부터 발뒤꿈치측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L1 로 하고,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상기 발뒤꿈치측으로 L1/3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폭 치수를 W1 로 하고,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상기 발뒤꿈치측으로 4·L1/5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폭 치수를 W2 로 하면,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상기 발뒤꿈치측으로 L1/3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1 이 (W1)2·π/2 인 제 3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상기 발뒤꿈치측으로 4·L1/5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2 가 (W2)2·π/2 인 제 4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는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16>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길이 치수를 L2 로 하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폭 치수를 W1 로 하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폭 치수를 W2 로 하면,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3 이 (W1)2·π/2 인 제 3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4 가 (W2)2·π/2 인 제 4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는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17> 상기 제 3 원형 영역 및 상기 제 4 원형 영역 중 어느 것도 아닌 영역은, 상기 돌기부가 비형성으로 되어 있는 비형성 영역인 <15> 또는 <16> 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18> 발바닥의 전부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제 1 시트와,
상기 제 1 시트와는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발바닥의 후부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제 2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 시트는, 상기 제 1 시트를 구성하는 제 1 기재 시트와, 상기 제 2 시트를 구성하는 제 2 기재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상기 제 1 시트가 구비하는 제 1 돌기부와, 상기 제 2 시트가 구비하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는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19> 상기 제 1 돌기부는, 상기 제 1 시트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시트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의 각각은, 상기 돌기부가 비형성으로 되어 있는 비형성 영역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 2 돌기부는, 상기 제 2 시트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시트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의 각각은, 상기 돌기부가 비형성으로 되어 있는 비형성 영역으로 되어 있는 <18> 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20> 상기 제 1 시트는, 당해 제 1 시트를 발바닥에 첩부하기 위한 1 쌍의 첩부부를, 당해 제 1 시트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 2 시트는, 당해 제 2 시트를 발바닥에 첩부하기 위한 1 쌍의 첩부부를, 당해 제 2 시트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하고 있는 <19> 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21> 상기 첩부부의 근방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을 갖는 <20> 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22> 상기 슬릿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가로폭 방향 중앙측을 향하여 볼록한 U 자상 또는 V 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21> 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23>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의 세트를 복수 세트 구비하고 있는 <18> 내지 <2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24> <1> 내지 <2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 의해 용천 급소와 대응하는 발바닥 영역의 피부와 실면 급소와 대응하는 발바닥 영역의 피부를 각각 가압하는 족용 온열 시트의 사용 방법.
<25> 취침의 30 내지 120 분 전에 상기 족용 온열 시트의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 의한 상기 가압을 개시하고, 취침 전에 상기 가압을 끝내는 <24> 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의 사용 방법.
<26> 발바닥의 제 2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과 제 3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의 중간과 대응하는 중간 부위로부터 발뒤꿈치측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L1 로 하면,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 의해,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L1/3 의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발바닥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1 원형 영역의 피부와,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상기 발뒤꿈치측으로 4·L1/5 의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발바닥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2 원형 영역의 피부를 각각 가압하는 <24> 또는 <25> 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의 사용 방법.
<27> 발바닥의 제 2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과 제 3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의 중간과 대응하는 중간 부위로부터 발뒤꿈치측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L1 로 하고,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상기 발뒤꿈치측으로 L1/3 의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발바닥의 폭 치수를 W1 로 하고,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상기 발뒤꿈치측으로 4·L1/5 의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발바닥의 폭 치수를 W2 로 하면,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 의해,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상기 발뒤꿈치측으로 L1/3 의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발바닥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1 이 (W1)2·π/2 인 제 3 원형 영역의 피부와,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상기 발뒤꿈치측으로 4·L1/5 의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발바닥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2 가 (W2)2·π/2 인 제 4 원형 영역의 피부를 각각 가압하는 <24> 내지 <2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의 사용 방법.
상기 실시형태는, 추가로, 이하의 기술 사상을 포함한다.
<28> 복수의 상기 제 2 돌기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2 돌기부에는, 상기 제 2 시트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중앙 돌기부와, 상기 중앙 돌기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주변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는 <18> 내지 <2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29> 상기 제 1 돌기부의 높이 치수가, 상기 제 2 돌기부의 높이 치수보다 큰 <2> 내지 <9> 중 어느 한 항, <18> 내지 <23> 중 어느 한 항, 또는 <28> 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30> 상기 제 1 돌기부의 높이 치수가, 상기 주변 돌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높이 치수보다 큰 <3> 내지 <6> 중 어느 한 항, 또는 <28> 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31> 당해 족용 온열 시트를 발바닥에 첩부하기 위한 1 쌍의 첩부부를,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가 상기 1 쌍의 첩부부끼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1> 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32> 발바닥의 길이 치수를 L2 로 하면,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 의해,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발바닥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1 원형 영역의 피부와,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발바닥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2 원형 영역의 피부를 각각 가압하는 <24> 또는 <25> 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의 사용 방법.
<33> 발바닥의 길이 치수를 L2 로 하고,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발바닥의 폭 치수를 W1 로 하고,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발바닥의 폭 치수를 W2 로 하면,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 의해,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발바닥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3 이 (W1)2·π/2 인 제 3 원형 영역의 피부와,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발바닥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4 가 (W2)2·π/2 인 제 4 원형 영역의 피부를 각각 가압하는 <24> 내지 <2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의 사용 방법.
상기 실시형태는, 추가로, 이하의 기술 사상을 포함한다.
<34> 당해 족용 온열 시트는, 상기 온열부를 사이에 끼워 상기 기재 시트에 적층되어 있는 제 2 시트와, 상기 제 2 시트를 사이에 끼워 상기 기재 시트에 적층되어 있는 제 3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시트와 상기 제 3 시트는 부분적으로 서로 접합되어 있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돌기부의 배치 영역,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 2 돌기부의 배치 영역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시트와 상기 제 3 시트는 서로 비접합으로 되어 있는 전항 (前項)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35> 상기 제 2 시트와 상기 제 3 시트는, 그들의 둘레 가장자리부끼리가 접합되어 있는 <34> 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36> 상기 제 3 시트는, 부직포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34> 또는 <35> 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37> 상기 제 3 시트의 두께 치수는, 상기 제 3 시트와 상기 제 2 시트의 접합 영역에서의 두께 치수보다, 상기 제 3 시트와 상기 제 2 시트의 비접합 영역에서의 두께 치수가 큰 <36> 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
상기 실시형태는, 추가로, 이하의 기술 사상을 포함한다.
<38> 돌기부와 온열부를 갖는 족용 온열 시트로서,
복수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재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 시트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온열부는, 발열재를 갖고,
상기 돌기부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사람의 발바닥의 용천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의 실면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길이 치수를 L2 로 하면,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1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2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는 족용 온열 시트.
<39> 돌기부와 온열부를 갖는 족용 온열 시트로서,
복수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재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 시트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온열부는, 발열재를 갖고,
상기 돌기부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사람의 발바닥의 용천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의 실면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길이 치수를 L2 로 하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폭 치수를 W1 로 하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폭 치수를 W2 로 하면,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3 이 (W1)2·π/2 인 제 3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4 가 (W2)2·π/2 인 제 4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 3 원형 영역 및 상기 제 4 원형 영역 중 어느 것도 아닌 영역은, 상기 돌기부가 비형성으로 되어 있는 비형성 영역인 족용 온열 시트.
<40> 돌기부와 온열부를 갖는 족용 온열 시트로서,
복수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재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 시트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온열부는, 발열재를 갖고,
상기 돌기부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사람의 발바닥의 용천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의 실면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길이 치수를 L2 로 하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폭 치수를 W1 로 하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폭 치수를 W2 로 하면,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3 이 (W1)2·π/2 인 제 3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4 가 (W2)2·π/2 인 제 4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제 1 돌기부와, 복수의 상기 제 2 돌기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1 돌기부의 배치 패턴과, 상기 복수의 제 2 돌기부의 배치 패턴이 서로 상이한 족용 온열 시트.
<41> 돌기부와 온열부를 갖는 족용 온열 시트로서,
복수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재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 시트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온열부는, 발열재를 갖고,
상기 돌기부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사람의 발바닥의 용천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의 실면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길이 치수를 L2 로 하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폭 치수를 W1 로 하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폭 치수를 W2 로 하면,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3 이 (W1)2·π/2 인 제 3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4 가 (W2)2·π/2 인 제 4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제 1 돌기부의 높이 치수가, 상기 제 2 돌기부의 높이 치수보다 큰 족용 온열 시트.
<42> 돌기부와 온열부를 갖는 족용 온열 시트로서,
복수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재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 시트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온열부는, 발열재를 갖고,
상기 돌기부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고,
발바닥의 전부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제 1 시트와,
상기 제 1 시트와는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발바닥의 후부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제 2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 시트는, 상기 제 1 시트를 구성하는 제 1 기재 시트와, 상기 제 2 시트를 구성하는 제 2 기재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상기 제 1 시트가 구비하는 제 1 돌기부와, 상기 제 2 시트가 구비하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사람의 발바닥의 용천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의 실면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를 발바닥에 첩부하기 위한 1 쌍의 첩부부를,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가 상기 1 쌍의 첩부부끼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첩부부의 근방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을 갖는 족용 온열 시트.
<43> 돌기부와 온열부를 갖는 족용 온열 시트로서,
복수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재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 시트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온열부는, 발열재를 갖고,
상기 돌기부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사람의 발바닥의 용천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의 실면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일방의 면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어 타방의 면측이 공동으로 되어 있는 족용 온열 시트.
<44> 돌기부와 온열부를 갖는 족용 온열 시트로서,
복수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재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 시트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온열부는, 발열재를 갖고,
상기 돌기부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사람의 발바닥의 용천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의 실면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일방의 면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어 타방의 면측이 공동으로 되어 있고,
상기 발열재는, 상기 돌기부의 상기 공동에 충전되어 있는 족용 온열 시트.
<45> 돌기부와 온열부를 갖는 족용 온열 시트로서,
복수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재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 시트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온열부는, 발열재를 갖고,
상기 돌기부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사람의 발바닥의 용천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의 실면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길이 치수를 L2 로 하면,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1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2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족용 온열 시트는, 사람의 족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족용 온열 시트.
<46> 돌기부와 온열부를 갖는 족용 온열 시트로서,
복수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재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 시트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온열부는, 발열재를 갖고,
상기 돌기부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사람의 발바닥의 용천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의 실면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길이 치수를 L2 로 하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폭 치수를 W1 로 하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폭 치수를 W2 로 하면,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3 이 (W1)2·π/2 인 제 3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4 가 (W2)2·π/2 인 제 4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제 2 돌기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2 돌기부에는, 이들 복수의 제 2 돌기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중앙 돌기부와, 상기 중앙 돌기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주변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중앙 돌기부의 평면적이, 상기 주변 돌기부의 평면적보다 크고,
복수의 상기 제 1 돌기부와, 복수의 상기 제 2 돌기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1 돌기부의 배치 패턴과, 상기 복수의 제 2 돌기부의 배치 패턴이 서로 상이하고,
상기 족용 온열 시트는, 사람의 족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족용 온열 시트.
<47> 돌기부와 온열부를 갖는 족용 온열 시트로서,
복수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재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 시트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온열부는, 발열재를 갖고,
상기 돌기부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사람의 발바닥의 용천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의 실면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길이 치수를 L2 로 하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폭 치수를 W1 로 하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폭 치수를 W2 로 하면,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3 이 (W1)2·π/2 인 제 3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4 가 (W2)2·π/2 인 제 4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제 2 돌기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2 돌기부에는, 이들 복수의 제 2 돌기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중앙 돌기부와, 상기 중앙 돌기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주변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중앙 돌기부의 높이 치수가, 상기 주변 돌기부의 높이 치수보다 크고,
상기 제 1 돌기부의 높이 치수가, 상기 복수의 제 2 돌기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중앙 돌기부 또는 상기 중앙 돌기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주변 돌기부 중 어느 일방보다 크고,
상기 족용 온열 시트는, 사람의 족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족용 온열 시트.
<48> 돌기부와 온열부를 갖는 족용 온열 시트로서,
복수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재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 시트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온열부는, 발열재를 갖고,
상기 돌기부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사람의 발바닥의 용천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의 실면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길이 치수를 L2 로 하면,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1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2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발바닥의 전부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제 1 시트와,
상기 제 1 시트와는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발바닥의 후부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제 2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 시트는, 상기 제 1 시트를 구성하는 제 1 기재 시트와, 상기 제 2 시트를 구성하는 제 2 기재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상기 제 1 시트가 구비하는 제 1 돌기부와, 상기 제 2 시트가 구비하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는 족용 온열 시트.
<49> 돌기부와 온열부를 갖는 족용 온열 시트로서,
복수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재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 시트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온열부는, 발열재를 갖고,
상기 돌기부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사람의 발바닥의 용천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의 실면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길이 치수를 L2 로 하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폭 치수를 W1 로 하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폭 치수를 W2 로 하면,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3 이 (W1)2·π/2 인 제 3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4 가 (W2)2·π/2 인 제 4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제 2 돌기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2 돌기부에는, 상기 제 2 시트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중앙 돌기부와, 상기 중앙 돌기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주변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중앙 돌기부의 평면적이, 상기 주변 돌기부의 평면적보다 크고,
복수의 상기 제 1 돌기부와, 복수의 상기 제 2 돌기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1 돌기부의 배치 패턴과, 상기 복수의 제 2 돌기부의 배치 패턴이 서로 상이하고,
발바닥의 전부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제 1 시트와,
상기 제 1 시트와는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발바닥의 후부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제 2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 시트는, 상기 제 1 시트를 구성하는 제 1 기재 시트와, 상기 제 2 시트를 구성하는 제 2 기재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상기 제 1 시트가 구비하는 제 1 돌기부와, 상기 제 2 시트가 구비하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는 족용 온열 시트.
<50> 돌기부와 온열부를 갖는 족용 온열 시트로서,
복수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재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 시트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온열부는, 발열재를 갖고,
상기 돌기부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사람의 발바닥의 용천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의 실면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길이 치수를 L2 로 하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폭 치수를 W1 로 하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폭 치수를 W2 로 하면,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3 이 (W1)2·π/2 인 제 3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4 가 (W2)2·π/2 인 제 4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제 2 돌기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2 돌기부에는, 상기 제 2 시트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중앙 돌기부와, 상기 중앙 돌기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주변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중앙 돌기부의 높이 치수가, 상기 주변 돌기부의 높이 치수보다 크고,
상기 제 1 돌기부의 높이 치수가, 상기 복수의 제 2 돌기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중앙 돌기부 또는 상기 중앙 돌기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주변 돌기부 중 어느 일방보다 크고,
발바닥의 전부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제 1 시트와,
상기 제 1 시트와는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발바닥의 후부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제 2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 시트는, 상기 제 1 시트를 구성하는 제 1 기재 시트와, 상기 제 2 시트를 구성하는 제 2 기재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상기 제 1 시트가 구비하는 제 1 돌기부와, 상기 제 2 시트가 구비하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는 족용 온열 시트.
실시예
이하, 하기의 표 1 및 표 2 를 사용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표 1 및 표 2 에 있어서의「돌기부 및 온열」) 에서는,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 (도 1) 와 동일한 구조의 족용 온열 시트를 피험자에게 사용하였다. 요컨대, 실시예 1 에서는, 용천 급소의 주변과 실면 급소의 주변을 국소적으로 돌기부로 가압하면서, 온열부에 의한 온열 작용을 부여하였다.
실시예 2 (표 1 및 표 2 에 있어서의「전체면 돌기부 및 온열」) 에서는, 상기 서술한 제 6 실시형태 (도 15) 와 동일한 구조이고,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발가락이 재치되는 부분을 갖고 있지 않은 구조의 족용 온열 시트를 피험자에게 사용하였다. 요컨대, 실시예 2 에서는, 발바닥의 전체면에 걸쳐 실질적으로 빠짐없이 고르게 돌기부에 의한 가압 작용을 부여하면서, 온열부에 의한 온열 작용을 부여하였다.
비교예 1 (표 1 및 표 2 에 있어서의「컨트롤」) 에서는, 돌기부 및 온열부를 갖고 있지 않은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의 족용 온열 시트와는 상이한 족용 시트를 피험자에게 사용하였다. 요컨대, 비교예 1 에서는, 피험자에 대해 돌기부에 의한 가압 작용 그리고 온열부에 의한 온열 작용 모두 부여하지 않았다.
비교예 2 (표 1 및 표 2 에 있어서의「돌기부만」) 에서는, 온열부를 갖고 있지 않은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의 족용 온열 시트와는 상이한 족용 돌기부 시트를 피험자에게 사용하였다. 요컨대, 비교예 2 에서는, 온열부에 의한 온열 작용과 돌기부에 의한 가압 작용 중, 후자만을 부여하였다.
비교예 3 (표 1 및 표 2 에 있어서의「온열만」) 에서는, 돌기부를 갖고 있지 않은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의 족용 온열 시트와는 상이한 족용 온열 시트를 피험자에게 사용하였다. 요컨대, 비교예 3 에서는, 온열부에 의한 온열 작용과 돌기부에 의한 가압 작용 중, 전자만을 부여하였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평가 시험을 3 명의 피험자 (표 1 에 나타내는 A, B, C 의 3 명) 에 대해 각각 실시하였다.
평가 시험에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여, 안정 과정, 피로 과정 및 회복 과정을 이 순서대로 각 피험자에게 실시하게 한 후, 피로의 회복도를 평가하였다.
먼저, 안정 과정에서는, 각 피험자는, 15 분간 앙와위로 안정을 취하였다. 안정 과정의 종료 후에, 각 피험자는, 의자에 앉아 발가락 파지력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이 때의 측정값을 발가락 파지력의 초기값으로 한다.
다음으로, 피로 과정에서는, 각 피험자는, 30 분간 입위 자세를 유지하였다.
피로 과정의 종료 후에, 각 피험자는, 의자에 앉아 발가락 파지력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표 1 에 나타내는「입위 후」의 행의 수치는, 전술한 초기값에 대한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 있어서의 피로 과정의 종료 후의 측정값의 상대값 (단위 : %) 을 나타낸다. 각 측정은, 오른발과 왼발에 대해 각각 실시하였다.
발가락 파지력의 측정은, 타케이 기기 공업사 제조의 발가락 근력 측정기 II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발가락 근력 측정기 II 에 발을 올리고, 발뒤꿈치 고정 벨트를 장착하고, 슬관절 90 도 굴곡위의 상태에서, 발가락 견인력을 측정하였다. 한쪽 발 2 회씩 측정하고, 측정값이 높은 값을 채용하였다.
회복 과정에서는, 먼저,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2 장의 시트 (족용 온열 시트, 족용 시트, 또는, 족용 돌기부 시트) 를 좌우의 발과 대응하는 배치로 각각 지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피험자가 2 장의 시트에 한쪽 발씩 올린다. 그 상태에서, 피험자는, 3 분마다 입위 자세와 의자에 앉은 자세를 교대로 반복하고, 그 반복 동작을 합계 15 분에 걸쳐 계속하였다. 요컨대, 회복 과정의 최초 3 분간은 입위 자세이고, 다음 3 분간은 의자에 앉은 자세이고, 그 다음 3 분간은 입위 자세이고, 또 다음 3 분간은 의자에 앉은 자세이고, 마지막 3 분간은 입위 자세였다.
또한, 의자에 앉았을 때에도, 피험자의 좌우의 발바닥은,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2 장의 시트에 각각 올린 상태로 유지하였다.
그리고, 회복 과정의 종료 후에도, 각 피험자는, 의자에 앉아 발가락 파지력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표 1 에 나타내는「회복 후」의 행의 수치는, 전술한 초기값에 대한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 있어서의 회복 과정의 종료 후의 측정값의 상대값을 나타낸다. 여기서도, 각 측정은, 오른발와 왼발에 대해 각각 실시하였다.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표 1 에 나타내는「회복도」의 행의 수치 (단위 : %) 는, 입위 후의 측정값을 기준으로 하여, 회복 후의 측정값이 몇 % 개선되었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회복도의 값이 클수록, 회복 과정에 의한 발가락 파지력의 회복도가 양호한 것을 나타낸다.
표 1 에 나타내는「평균」의 열의 수치는,「입위 후」,「회복 후」및「회복도」의 각각의 평균값이다.
표 1 에 나타내는「상대 회복도」는, 비교예 1 (컨트롤) 의 회복도의 평균값를 기준 (100 %) 으로 했을 때의,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 있어서의 회복도의 값 (단위 : %) 을 나타내고 있다.
표 2 는, 표 1 에 나타내는「상대 회복도」를 그래프화한 것이다.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2 (돌기부만) 에서는, 비교예 1 과 비교하여 약간 회복도가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고, 비교예 3 (온열만) 에서는 비교예 2 보다 더욱 회복도가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2 (전체면 돌기부 및 온열) 에서는, 비교예 3 보다 더욱 회복도가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 1 (돌기부 및 온열), 즉, 용천 급소의 주변과 실면 급소의 주변을 국소적으로 돌기부로 가압하면서, 온열부에 의한 온열 작용을 부여함으로써, 실시예 2 와 비교해도 현저하게 회복도가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10 : 제 1 시트
10a : 일방의 면
10b : 타방의 면
11 : 기부
11a : 제 1 부분
11b : 제 2 부분
12 : 돌기부
12a : 제 1 돌기부
12b : 제 2 돌기부
121 : 중앙 돌기부
122 : 주변 돌기부
13 : 공동
15 : 슬릿
16 : 부직포 시트
17 : 통기 시트
18 : 부직포 시트
20 : 제 2 시트
30 : 제 3 시트
30a : 제 1 부분
30b : 제 2 부분
41 : 발열재
42 : 온열부
43 : 발열부
44 : 제 1 피복 시트
45 : 제 2 피복 시트
51 : 제 1 흡수 시트
52 : 제 2 흡수 시트
61 : 점착층
70 : 신발
71 : 솔부
80 : 발
91 : 용천 급소
92 : 실면 급소
100 : 족용 온열 시트
100a : 제 1 시트
100b : 제 2 시트

Claims (27)

  1. 돌기부와 온열부를 갖는 족용 온열 시트로서,
    복수의 상기 돌기부와,
    상기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재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 시트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온열부는, 발열재를 갖고,
    상기 돌기부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족용 온열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사람의 발바닥의 용천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의 실면 급소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는 족용 온열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 2 돌기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2 돌기부에는, 이들 복수의 제 2 돌기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중앙 돌기부와, 상기 중앙 돌기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주변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는 족용 온열 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기부의 상기 중앙 돌기부의 평면적이, 상기 제 2 돌기부의 상기 주변 돌기부의 평면적보다 큰 족용 온열 시트.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기부의 상기 중앙 돌기부의 높이 치수가, 상기 제 2 돌기부의 상기 주변 돌기부의 높이 치수보다 큰 족용 온열 시트.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기부의 높이 치수가, 상기 제 2 돌기부의 상기 중앙 돌기부의 높이 치수 또는 상기 제 2 돌기부의 상기 주변 돌기부의 높이 치수 중 어느 일방보다 큰 족용 온열 시트.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 1 돌기부와, 복수의 상기 제 2 돌기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 1 돌기부의 배치 패턴과, 상기 복수의 제 2 돌기부의 배치 패턴이 서로 상이한 족용 온열 시트.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 1 돌기부와, 복수의 상기 제 2 돌기부를 갖고,
    상기 제 1 돌기부의 정점끼리의 거리가, 상기 제 2 돌기부의 정점끼리의 거리보다 큰 족용 온열 시트.
  9.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기부의 선단부보다 상기 제 2 돌기부의 선단부 쪽이 보다 날카롭고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족용 온열 시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일방의 면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어 타방의 면측이 공동으로 되어 있는 족용 온열 시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재는, 상기 돌기부의 상기 공동에 충전되어 있는 족용 온열 시트.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족용 온열 시트는, 사람의 족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족용 온열 시트.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제 2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과 제 3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의 중간과 대응하는 중간 부위로부터 발뒤꿈치측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L1 로 하면,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L1/3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1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상기 발뒤꿈치측으로 4·L1/5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2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는 족용 온열 시트.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길이 치수를 L2 로 하면,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1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2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는 족용 온열 시트.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당해 족용 온열 시트에 있어서 제 2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과 제 3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의 중간과 대응하는 중간 부위로부터 발뒤꿈치측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L1 로 하고,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상기 발뒤꿈치측으로 L1/3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폭 치수를 W1 로 하고,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상기 발뒤꿈치측으로 4·L1/5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폭 치수를 W2 로 하면,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상기 발뒤꿈치측으로 L1/3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1 이 (W1)2·π/2 인 제 3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상기 발뒤꿈치측으로 4·L1/5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2 가 (W2)2·π/2 인 제 4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는 족용 온열 시트.
  16.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길이 치수를 L2 로 하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폭 치수를 W1 로 하고,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폭 치수를 W2 로 하면,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4·L2/9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3 이 (W1)2·π/2 인 제 3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돌기부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발끝으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5·L2/6 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4 가 (W2)2·π/2 인 제 4 원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는 족용 온열 시트.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원형 영역 및 상기 제 4 원형 영역 중 어느 것도 아닌 영역은, 상기 돌기부가 비형성으로 되어 있는 비형성 영역인 족용 온열 시트.
  18.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바닥의 전부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제 1 시트와,
    상기 제 1 시트와는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발바닥의 후부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제 2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 시트는, 상기 제 1 시트를 구성하는 제 1 기재 시트와, 상기 제 2 시트를 구성하는 제 2 기재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는, 상기 제 1 시트가 구비하는 제 1 돌기부와, 상기 제 2 시트가 구비하는 제 2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는 족용 온열 시트.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기부는, 상기 제 1 시트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시트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의 각각은, 상기 돌기부가 비형성으로 되어 있는 비형성 영역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 2 돌기부는, 상기 제 2 시트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시트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의 각각은, 상기 돌기부가 비형성으로 되어 있는 비형성 영역으로 되어 있는 족용 온열 시트.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트는, 당해 제 1 시트를 발바닥에 첩부하기 위한 1 쌍의 첩부부를, 당해 제 1 시트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 2 시트는, 당해 제 2 시트를 발바닥에 첩부하기 위한 1 쌍의 첩부부를, 당해 제 2 시트의 가로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하고 있는 족용 온열 시트.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첩부부의 근방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을 갖는 족용 온열 시트.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당해 족용 온열 시트의 가로폭 방향 중앙측을 향하여 볼록한 U 자상 또는 V 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족용 온열 시트.
  23. 제 18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의 세트를 복수 세트 구비하고 있는 족용 온열 시트.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족용 온열 시트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 의해 용천 급소와 대응하는 발바닥 영역의 피부와 실면 급소와 대응하는 발바닥 영역의 피부를 각각 가압하는 족용 온열 시트의 사용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취침의 30 분 내지 120 분 전에 상기 족용 온열 시트의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 의한 상기 가압을 개시하고, 취침 전에 상기 가압을 끝내는 족용 온열 시트의 사용 방법.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발바닥의 제 2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과 제 3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의 중간과 대응하는 중간 부위로부터 발뒤꿈치측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L1 로 하면,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 의해,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발뒤꿈치측으로 L1/3 의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발바닥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1 원형 영역의 피부와,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상기 발뒤꿈치측으로 4·L1/5 의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발바닥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3 ㎝ 의 제 2 원형 영역의 피부를 각각 가압하는 족용 온열 시트의 사용 방법.
  27. 제 24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바닥의 제 2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과 제 3 발가락이 붙어 있는 부분의 중간과 대응하는 중간 부위로부터 발뒤꿈치측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L1 로 하고,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상기 발뒤꿈치측으로 L1/3 의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발바닥의 폭 치수를 W1 로 하고,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상기 발뒤꿈치측으로 4·L1/5 의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발바닥의 폭 치수를 W2 로 하면,
    상기 복수의 돌기부에 의해,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상기 발뒤꿈치측으로 L1/3 의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발바닥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1 이 (W1)2·π/2 인 제 3 원형 영역의 피부와, 상기 중간 부위로부터 상기 발뒤꿈치측으로 4·L1/5 의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발바닥의 폭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면적 S2 가 (W2)2·π/2 인 제 4 원형 영역의 피부를 각각 가압하는 족용 온열 시트의 사용 방법.
KR1020217010085A 2018-10-17 2019-09-12 족용 온열 시트 KR202100750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PCT/CN2018/110643 2018-10-17
CN2018110643 2018-10-17
PCT/CN2019/105622 WO2020078155A1 (zh) 2018-10-17 2019-09-12 脚用温热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083A true KR20210075083A (ko) 2021-06-22

Family

ID=70284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085A KR20210075083A (ko) 2018-10-17 2019-09-12 족용 온열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386157A1 (ko)
EP (1) EP3868244A4 (ko)
JP (1) JP7341229B2 (ko)
KR (1) KR20210075083A (ko)
CN (1) CN112996407B (ko)
TW (1) TWI808272B (ko)
WO (1) WO20200781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08881A1 (en) * 2021-06-23 2022-12-29 Pro Arch International Development Enterprise Inc. Shoe accessory with activating fun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6370A (ja) 2004-07-21 2006-02-02 Hideo Hayashi つぼおよび磁気効果のある足用使い捨てカイロ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178U (ja) * 1993-12-22 1995-07-11 徳明 永石 履物用指圧部材
JP3018450U (ja) 1994-07-30 1995-11-21 白石 秋里美 健康器具
CN1149444A (zh) * 1995-10-27 1997-05-14 曲文财 药磁鞋垫
JP2003164501A (ja) 2001-11-30 2003-06-10 Lion Corp 身体ケア用成型体
JP2006305278A (ja) 2005-04-28 2006-11-09 Takeo Osaki 切れ目を入れた救急絆創膏
JP2008012101A (ja) 2006-07-06 2008-01-24 Ube Nitto Kasei Co Ltd 足裏マッサージ用シートまたはシート積層物
CN101518376A (zh) * 2008-02-29 2009-09-02 许建 一种电热保健鞋垫
CN202456737U (zh) * 2012-02-01 2012-10-03 杨狄鑫 电热穴位保健鞋垫
CN202950092U (zh) * 2012-11-17 2013-05-29 郑州市康健电子产品研究所 一种调理失眠鞋垫
CN204106301U (zh) * 2014-07-23 2015-01-21 湖北博康医药科技有限公司 热疗贴
CN205145099U (zh) * 2015-08-13 2016-04-13 李继前 一种足部按摩理疗板
CN205359763U (zh) * 2015-12-24 2016-07-06 郑州昊奥特电器有限公司 一种新型暖脚宝
CN205267120U (zh) * 2016-01-11 2016-06-01 广州市易好医学科技有限公司 一种按摩拖鞋
CN106235521B (zh) * 2016-08-31 2020-05-05 青岛大学 一种天然自发热的保健理疗鞋垫及其制备方法
CN106617490B (zh) * 2016-12-01 2018-10-09 山东中医药大学 保健鞋垫
CN206909865U (zh) * 2017-05-22 2018-01-23 九江学院 一种拼组式按摩垫
CN108042351A (zh) * 2017-12-21 2018-05-18 重庆普享科技有限公司 一种按摩垫
CN108030156A (zh) * 2018-01-29 2018-05-15 海宁市力天袜业有限公司 一种带按摩垫的休闲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6370A (ja) 2004-07-21 2006-02-02 Hideo Hayashi つぼおよび磁気効果のある足用使い捨てカイ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04452A (ja) 2022-01-13
EP3868244A1 (en) 2021-08-25
CN112996407A (zh) 2021-06-18
WO2020078155A1 (zh) 2020-04-23
TWI808272B (zh) 2023-07-11
CN112996407B (zh) 2023-01-10
US20210386157A1 (en) 2021-12-16
JP7341229B2 (ja) 2023-09-08
TW202031214A (zh) 2020-09-01
EP3868244A4 (en) 202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98992B (zh) 便携式湿热系统
EP1623689B1 (en) Warming tool
JPWO2006006662A1 (ja) 発熱体
KR20210075083A (ko) 족용 온열 시트
JP4394726B2 (ja) 発熱具
KR102259999B1 (ko) 온열구
KR102259998B1 (ko) 온열구
JP4757062B2 (ja) 生理機能改善器具
JP7229764B2 (ja) 足元用温熱具
WO2018194005A1 (ja) 温熱具
JP4822944B2 (ja) 生理機能改善器具
WO2018194006A1 (ja) 温熱具
JP7414846B2 (ja) 温熱具
JP2023078617A (ja) 蒸気温熱具
JP7332839B2 (ja) 温熱具
JP7096135B2 (ja) 温熱具
JP7343975B2 (ja) 温熱治療用の医療機器
KR20100012669U (ko) 황토 매트
KR101060632B1 (ko) 써멀유닛을 포함한 휴대용 온열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