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998B1 - 온열구 - Google Patents

온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998B1
KR102259998B1 KR1020197018986A KR20197018986A KR102259998B1 KR 102259998 B1 KR102259998 B1 KR 102259998B1 KR 1020197018986 A KR1020197018986 A KR 1020197018986A KR 20197018986 A KR20197018986 A KR 20197018986A KR 102259998 B1 KR102259998 B1 KR 102259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rotrusion
nonwoven fabric
resin material
heat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9965A (ko
Inventor
슈지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8/015641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194005A1/ja
Publication of KR20190089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A61F7/034Flam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8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ays of manufacturing heating or cooling devices for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26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adhesive, self-sti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A61F7/034Flameless
    • A61F2007/036Fuels
    • A61F2007/038Carbon or charcoal, e.g. ac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7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chemical reaction

Abstract

온열구 (100) 는, 일방의 면측에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고 타방의 면측이 공동 (13) 으로 되어 있는 돌기부 (12) 를 갖는 시트 (10) 와, 돌기부 (12) 의 공동 (13) 에 충전되어 있는 발열재 (30) 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온열구
본 발명은, 온열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에는, 시트상의 온열구가 기재되어 있다. 이 온열구는, 초조 (抄造) 에 의해 성형된 시트상의 것이고, 전체면이 발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편면측에 볼록한 복수의 돌기부를 가지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11180호
본 발명은, 일방의 면측에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고 타방의 면측이 공동으로 되어 있는 돌기부를 갖는 시트와,
상기 돌기부의 상기 공동에 충전되어 있는 발열재를 구비하는 온열구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단면도 (도 2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 이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를 구성하는 시트에 돌기부를 형성하는 일련의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를 생체에 첩부 (貼付) 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a), 도 7(b), 도 7(c), 도 7(d), 도 7(e), 도 7(f), 도 7(g), 도 7(h), 도 7(i), 도 7(j) 및 도 7(k)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돌기부의 배치 또는 형상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를 구성하는 시트에 돌기부를 형성하는 일련의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단면도이다.
도 11(a) 는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b) 는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장착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 는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이 중 도 12(a) 는 사시도, 도 12(b) 는 손바닥을 돌기부로 압압 (押壓) 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손바닥만을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3 은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a) 는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본체부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b) 는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본체부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a) 는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사시도, 도 15(b) 는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측면도, 도 15(c) 는 도 15(b) 의 C-C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돌기부를 갖는 온열구에 의해, 인체 등의 생체의 표층을 국소적으로 보다 충분히 따뜻하게 하는 것에 대하여, 요구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의 온열구에서는, 그러한 요구를 실현하는 데에 있어서, 또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인체 등의 생체의 표층을 국소적으로 충분히 따뜻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의 온열구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4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는, 일방의 면 (10a) 측에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고 타방의 면 (10b) 측이 공동 (13) 으로 되어 있는 돌기부 (12) 를 갖는 시트 (10) 와, 돌기부 (12) 의 공동 (13) 에 충전되어 있는 발열재 (30) 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부 (12) 가 피부에 압접되는 상태에서 온열구 (100) 를 인체 등의 생체에 장착함으로써, 돌기부 (12) 에 의해 생체의 피부를 압박하면서, 생체의 피부에 있어서 돌기부 (12) 와 대응하는 부위를 국소적으로 충분히 따뜻하게 할 수 있다.
즉, 인체 등의 생체의 표층을 국소적으로 충분히 따뜻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예를 들어, 피부의 하층의 근막에까지 돌기부 (12) 에 의한 압압과 발열재 (30) 의 온열에 의한 자극을 줌으로써, 침구와 같이, 경락이나 경혈을 압압과 온열에 의해 자극할 수 있다.
또한, 온열구 (100) 는, 사용 전 상태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포장재 내에 밀폐 수용되어 있다. 포장재가 개봉되고, 온열구 (100) 가 포장재로부터 취출되면, 외기에 포함된 산소가 발열재 (30) 에 공급됨으로써 그 발열재 (30) 가 발열하도록 되어 있다.
시트 (10) 는, 평탄한 시트상의 기부 (11) 와, 기부 (11) 를 기준으로 하여 시트 (10) 의 일방의 면 (10a) 측에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는 복수의 돌기부 (12) 를 구비하고 있다.
온열구 (100) 는, 생체의 피부에 있어서 온열을 부여하고 싶은 부위에 대어지는 본체부 (50) 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 (50) 는, 예를 들어, 시트 (10) 와, 시트 (10) 의 돌기부 (12) 의 공동 (13) 내에 충전되어 있는 발열재 (30) (도 3) 와, 시트 (10) 에 대해 타방의 면 (10b) 측에 적층되어 있는 제 2 시트 (20) (도 3) 와, 제 2 시트 (20) 와 기부 (11) 사이에 적층되어 있는 흡수 시트 (40) (도 3)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발열재 (30) 의 조성 등에 따라, 온열구 (100) 는 흡수 시트 (40) 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체부 (50) 에 있어서 돌기부 (12) 의 돌출 방향 (도 3 에 있어서의 하방) 을 전면측이라고 칭하고, 돌기부 (12) 의 돌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 (도 3 에 있어서의 상방) 을 후면측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체부 (50) 의 평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 개의 모서리부가 각각 모따기 형상으로 된 사각형상 (예를 들어 정방형상) 으로 할 수 있다. 단, 본체부 (50) 의 평면 형상은,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상, 원형, 타원형 등, 그 밖의 형상이어도 된다.
시트 (10) 는, 본체부 (50) 의 전면측의 외표면을 구성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시트 (10) (특히 돌기부 (12)) 가 생체의 피부에 직접 접촉한 상태에서 온열구 (100) 가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시트 (10) 는, 1 층의 부직포 시트 (15) (도 4)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제 2 시트 (20) 는, 본체부 (50) 의 후면측의 외표면을 구성하고 있다.
시트 (10) 와 제 2 시트 (20) 는, 예를 들어 서로 동일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서로의 외형선이 일치하는 상태로 중첩되고, 서로의 주연부끼리가 접합되어 있다.
이로써, 시트 (10) 의 기부 (11) 와 제 2 시트 (20) 사이에 흡수 시트 (40) 가 유지되고 있다.
또, 시트 (10) 의 돌기부 (12) 의 내주면과 흡수 시트 (40) 사이에 발열재 (30) 가 유지되고 있다.
발열재 (30) 는, 예를 들어, 피산화성 금속과, 보수제와, 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발열재 (30) 중의 피산화성 금속에 산소가 공급됨으로써, 발열재 (30) 가 발열한다.
또, 발열재 (30) 는, 철과 탄소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철은, 상기 피산화성 금속의 적어도 일부분이어도 되고, 상기 피산화성 금속과는 별도여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철은, 피산화성 철이다.
또, 여기서 말하는 탄소 성분은, 상기 보수제의 적어도 일부분이어도 되고, 발열재 (30) 는 상기 보수제와는 별도로 탄소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체부 (50) 에 있어서, 시트 (10) 의 돌기부 (12) 와 대응하는 부위에 발열재 (30) 가 충전되어 있는 외에, 기부 (11) 와 대응하는 부위에도 시트 (10) 와 제 2 시트 (20) 사이에 발열재 (30) 가 충전되어 있어도 된다. 단, 이 경우여도, 시트 (10) 의 돌기부 (12) 와 대응하는 부위에 있어서의 발열재 (30) 의 두께가, 기부 (11) 와 대응하는 부위에 있어서의 발열재 (30) 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시트 (10) 의 돌기부 (12) 와 대응하는 부위에 국소적으로 발열재 (30) 가 충전되어 있고, 기부 (11) 와 대응하는 부위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는 발열재 (30) 가 존재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시트 (10) 에 있어서 돌기부 (12) 와 대응하는 부위에는 발열재 (30) 가 충전되어 있는 데에 대해, 기부 (11) 와 대응하는 부위에는 실질적으로 발열재 (30) 가 존재하고 있지 않다.
발열재 (30) 는, 공동 (13) 내에 있어서, 적어도 돌기부 (12) 의 선단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충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돌기부 (12) 의 선단부에 의해 생체의 피부를 따뜻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동 (13) 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도 4 에 있어서의 하단측으로부터 50 % 이상의 영역 (도 4 에 높이 치수 H2 로 나타내는 범위의 하반분과 대응하는 영역) 에 발열재 (30) 가 충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발열재 (30) 는, 예를 들어, 공동 (13) 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70 % 이상의 영역에 충전되어 있다. 즉,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동 (13) 의 높이 치수 H2 에 대해, 공동 (13) 내에 있어서 발열재 (30) 가 충전되어 있는 영역의 높이 치수가, 0.7H2 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돌기부 (12) 를 보다 충분히 가열하여, 돌기부 (12) 에 의해 생체의 피부를 충분히 따뜻하게 할 수 있다.
발열재 (30) 는, 예를 들어, 공동 (13) 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90 % 이상의 영역에 충전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공동 (13) 내에 있어서 발열재 (30) 가 충전되어 있는 영역의 높이 치수가, 0.9H2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공동 (13) 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발열재 (30) 의 충전율은, 7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시트 (10) 의 기부 (11) 의 후면 (도 4 에 있어서의 상면) 과 발열재 (30) 의 후면 (도 4 에 있어서의 상면) 이 서로 면일 (面一) 로 되어 있다.
여기서, 공동 (13) 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발열재 (30) 의 충전율의 측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측정기로는, 고저차를 측정 가능한 레이저 현미경 또는 레이저 변위계를 사용한다. 레이저 변위계로는 1 차원의 스폿 타입, 2 차원 레이저 변위계, 3 차원 레이저 변위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돌기부 (12) 의 형상 및 높이 치수에 따라, 요구되는 측정 거리 및 레이저 광의 스폿 거리에 기초하여, 적절한 레이저 변위계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키엔스사 제조의 센서 헤드 ; IL-300 (측정 거리 160 mm ∼ 450 mm, 스폿 직경 φ500 ㎛) 을 사용할 수 있다.
측정하려면, 발열재 (30) 가 발열하지 않도록, 질소 분위기 중에서, 온열구 (100) 로부터 본체부 (50) 를 취출하고, 시트 (10) 로부터 제 2 시트 (20) 와 흡수 시트 (40) 를 제거하여, 공동 (13) 내의 발열재 (30) 에 있어서의 돌기부 (12) 의 기단측의 면 (도 4 에 있어서의 발열재 (30) 의 상면) 을 노출시킨다.
측정기에 의한 측정은, 시트 (10) 에 대해 수직으로 레이저 광이 조사되도록 하여 실시한다. 이 측정에서는, 발열재 (30) 에 있어서의 돌기부 (12) 의 기단측의 면 (도 4 에 있어서의 발열재 (30) 의 상면) 과, 시트 (10) 의 타방의 면 (10b) 의 고저차를 측정한다. 이때, 레이저 광이 발열재 (30) 에 있어서의 돌기부 (12) 의 기단측의 면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레이저 광을 당해 면의 직경 방향 (돌기부 (12) 의 직경 방향과도 일치한다) 으로 주사시키고, 고저차의 최대값을 구한다. 이때, 주사 거리는, 돌기부 (12) 의 직경보다 긴 거리로 설정한다.
발열재 (30) 의 높이 치수는, 도 4 에 나타내는 높이 치수 H2 로부터, 측정에 의해 구한 고저차의 최대값을 빼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값으로 한다.
여기서, 돌기부 (12) 의 내주면의 형상과 돌기부 (12) 의 외주면의 형상 (공동 (13) 의 외주면의 형상) 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에는, 높이 치수 H2 로서, 편의적으로, 도 4 에 나타내는 높이 치수 H1 을 사용할 수 있다.
요컨대, 발열재 (30) 의 높이 치수는, 높이 치수 H1 로부터, 측정에 의해 구한 고저차의 최대값을 빼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값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높이 치수 H1 을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한다. 즉, 상기 고저차의 측정 시란 시트 (10) 의 표리를 반전시켜 배치하고, 돌기부 (12) 의 정점을 통과하도록 하여, 레이저 광을 주사시켰을 때의 고저차의 최대값을 구한다. 이때, 레이저 광을 돌기부 (12) 의 직경 방향으로 주사시키고, 주사 거리는, 돌기부 (12) 의 직경보다 긴 거리로 설정한다.
한편, 돌기부 (12) 의 내주면의 형상과 돌기부 (12) 의 외주면의 형상 (공동 (13) 의 외주면의 형상) 이 상이한 경우, 예를 들어, 공동 (13) 의 외주면이 뿔대상인 경우에는, 질소 분위기 중에서, 공동 (13) 중에 들어가 있는 발열재 (30) 를 제거한다. 이때, 브러시 등을 사용하여, 공동 (13) 의 형상이 변화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발열재 (30) 를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고저차의 최대값의 측정과 마찬가지로, 레이저 광을 주사시킴으로써, 공동 (13) 의 높이 치수 (높이 치수 H2) 를 측정한다.
돌기부 (12) 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선단측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단, 돌기부 (12) 의 선단부는,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부 (12) 의 형상은, 예를 들어, 원뿔상, 타원뿔상 또는 장원뿔상 등의 뿔상, 혹은, 원뿔대상, 타원뿔대상 또는 장원뿔대상 등의 뿔대상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돌기부 (12) 의 형상은, 원뿔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 (12) 의 높이 치수 H1 (도 4) 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 mm 이상 1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mm 이상 10 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 mm 이상 8 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돌기부 (12) 의 높이 치수 H1 이 2 mm 이상 15 mm 이하임으로써, 돌기부 (12) 에 의해 생체의 피부를 충분히 또한 적당히 압박할 수 있다.
돌기부 (12) 의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 mm 이상 38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mm 이상 20 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돌기부 (12) 의 직경이 2 mm 이상 38 mm 이하임으로써, 돌기부 (12) 에 의해 생체의 피부를 충분히 또한 적당히 압박할 수 있다.
돌기부 (12) 의 경사 각도 α (도 4)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30 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도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돌기부 (12) 의 경사 각도 α 가 30 도 이상임으로써, 돌기부 (12) 에 의해 생체의 피부를 충분히 압박할 수 있다.
또, 돌기부 (12) 의 경사 각도 α 는, 80 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도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65 도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돌기부 (12) 의 경사 각도 α 가 80 도 이하임으로써, 생체의 피부에 대한 돌기부 (12) 의 파고드는 정도를 적당한 범위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돌기부 (12) 의 선단부는, 둥그스름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돌기부 (12) 의 선단부의 곡률 반경은, 0.5 mm 이상 3.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8 mm 이상 1.5 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근막은, 예를 들어, 인체의 어깨의 부분이면, 피부의 표면으로부터 약 6 mm 의 깊이에 위치하고 있고, 그 깊이에 압압 작용과 가온 작용이 미치도록, 돌기부 (12) 의 형상과 발열재 (30) 의 발열 성능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발열재 (30) 의 발열 성능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피부의 표면의 온도가 37 ℃ 이상 44 ℃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38 ℃ 이상 42 ℃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복수의 돌기부 (12) 의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지그재그 격자상, 정방 격자상 등의 배치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10) 는, 지그재그 격자상으로 배치된 5 개의 돌기부 (12) 를 가지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10) 의 중앙부에 1 개의 돌기부 (12) 가 배치되고, 당해 돌기부 (12) 의 주위에 나머지 4 개의 돌기부 (12) 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4 개의 돌기부 (12) 는, 시트 (10) 의 4 개의 모퉁이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웃하는 돌기부 (12) 의 중심 간 거리 L (도 2) 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돌기부 (12) 의 높이 치수 H1 (도 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높이 치수 H1 의 1.5 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개개의 돌기부 (12) 에 의해 생체의 피부를 충분히 압박할 수 있다.
여기서, 돌기부 (12) 내에 발열재 (30) 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시트 (10) 의 상태에 있어서, 시트 (10) 의 면직 방향으로 돌기부 (12) 를 압압했을 때에, 1 개의 돌기부 (12) 당, 1 N 의 힘으로는 돌기부 (12) 가 실질적으로 소성 변형하지 않고 탄성 변형의 범위에서의 돌기부 (12) 의 변형이 생기고, 25 N 의 힘으로는 돌기부 (12) 가 소성 변형하도록, 돌기부 (12) 의 내하중성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 개의 돌기부 (12) 당, 5 N 의 힘으로는 돌기부 (12) 가 실질적으로 소성 변형하지 않고 탄성 변형의 범위에서의 돌기부 (12) 의 변형이 생기고, 18 N 의 힘으로는 돌기부 (12) 가 소성 변형하도록, 돌기부 (12) 의 내하중성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돌기부 (12) 에 의해 생체의 피부를 충분히 압박할 수 있음과 함께, 생체의 피부에 대한 돌기부 (12) 의 파고드는 정도를 적당한 범위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시트 (10) 의 면직 방향이란, 시트 (10) 의 법선 방향 (시트 (10) 의 일방의 면 (10a) 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 이다.
또, 돌기부 (12) 내에 발열재 (30) 가 충전된 본체부 (50) 의 돌기부 (12) 를, 시트 (10) 의 면직 방향으로 압압했을 때에, 1 개의 돌기부 (12) 당, 3 N 의 힘으로는 돌기부 (12) 가 실질적으로 소성 변형하지 않고 탄성 변형의 범위에서의 돌기부 (12) 의 변형이 생기도록, 본체부 (50) 에 있어서 돌기부 (12) 와 대응하는 부위의 내하중성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 N 의 힘으로도 돌기부 (12) 가 실질적으로 소성 변형하지 않고 탄성 변형의 범위에서의 돌기부 (12) 의 변형이 생기도록, 본체부 (50) 에 있어서 돌기부 (12) 와 대응하는 부위의 내하중성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돌기부 (12) 에 의해 생체의 피부를 충분히 압박할 수 있음과 함께, 생체의 피부에 대한 돌기부 (12) 의 파고드는 정도를 적당한 범위로 할 수 있다.
본체부 (50) 의 전후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시트 (10) 와 제 2 시트 (20) 중, 적어도 일방은, 통기성을 가지고 있다. 이로써, 시트 (10) 또는 제 2 시트 (20) 의 적어도 일방을 통해 발열재 (30) 에 산소를 공급하여, 그 발열재 (30) 를 발열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시트 (10) 가 통기성을 가지고 있음과 함께, 시트 (10) 의 통기성이 제 2 시트 (20) 의 통기성보다 높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10) 는, 돌기부 (12) 에 있어서도 통기성을 가지고 있어, 돌기부 (12) 를 통하여 발열재 (30) 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돌기부 (12) 를 통하여 수증기를 방출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2 시트 (20) 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공기를 통과시키지 않는 비통기성의 시트이다.
상기 흡수 시트 (40) 는, 기부 (11) 에 대해 시트 (10) 의 타방의 면 (10b) 측에 적층되어 있다.
즉, 온열구 (100) 는, 시트 (10) 의 기부 (11) 에 대해 타방의 면 (10b) 측에 적층되어 있는 흡수 시트 (40) (도 3) 를 구비하고 있다.
온열구 (100) 가 흡수 시트 (40) 를 구비함으로써, 발열재 (30) 중의 잉여의 물을 흡수 시트 (40) 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온열구 (100) 를 포장재로부터 취출하면 신속하게 발열재 (30) 가 발열하도록 할 수 있다.
흡수 시트 (40) 로는, 예를 들어, 흡수성 폴리머, 레이온 부직포, 셀룰로오스 부직포 또는 종이 등에 의해 구성된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흡수 시트 (40) 는,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흡수 시트 (40) 는, 흡수성 폴리머를 시트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얻어진 것이어도 된다.
흡수 시트 (40) 는, 적어도, 각 돌기부 (12) 의 후면측을 덮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흡수 시트 (40) 는, 각 돌기부 (12) 내에 충전된 발열재 (30) 의 충전 영역의 후면측을 덮고 있다. 따라서, 각 돌기부 (12) 내에 충전된 발열재 (30) 중의 수분을 흡수 시트 (40) 에 의해 바람직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온열구 (100) 는, 흡수 시트 (40) 대신에, 불연속으로 배치 (시트상이 아닌 형상으로 배치) 된 흡수성 폴리머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발열재 (30) 는 흡수성 폴리머를 실질적으로 함유하고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발열재 (30) 중에 있어서의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 비율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발열재 (30) 의 발열량 및 발열의 지속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온열구 (100) 는, 돌기부 (12) 가 피부에 압접되는 상태에서 온열구 (100) 를 생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 (60) 를 구비하고 있다.
장착부 (60) 는, 예를 들어, 각각 일방향 (도 2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으로 약간 장척의 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1 쌍의 장착 밴드부 (61)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본체부 (50) 의 평면 형상은 사각형상이다. 예를 들어, 본체부 (50) 의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연변의 각각을 따라, 각 장착 밴드부 (61)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인 기단부 (66) 가 고정되어 있다.
장착 밴드부 (61) 는, 시트상의 장착부 구성 시트 (63) 와, 장착부 구성 시트 (63) 의 선단측의 부분에 있어서의 일방의 면에 형성된 점착층 (64) 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점착층 (64) 은, 장착부 구성 시트 (63) 에 있어서 온열구 (100) 를 생체에 장착할 때에 피부측이 되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착부 (60) 는, 피부에 점착 고정되는 점착 시트부 (예를 들어, 장착부 구성 시트 (63) 에 있어서 점착층 (64) 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장착부 (60) 에 장력이 부여되는 상태에서 점착 시트부를 피부에 점착 고정함으로써,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 (12) 를 피부 (91) 에 대해 압접시키고, 온열구 (100) 를 생체에 장착할 수 있다.
생체에 있어서 온열구 (100) 가 장착되는 부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깨나 등 등의 동체부, 손목 등의 팔부, 발바닥 등의 다리부, 눈가 등의 두부에 온열구 (100) 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온열구 (100) 의 사용 전 상태에서는, 각 장착 밴드부 (61) 에는, 점착층 (64) 을 덮는 박리지 (65) 가 첩부 (貼付) 되어 있다.
온열구 (100) 의 사용 시에는, 각 장착 밴드부 (61) 로부터 박리지 (65) 를 벗기고, 각 장착 밴드부 (61) 의 점착층 (64) 을 피부 (91) 에 첩부함으로써, 온열구 (100) 를 생체에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장착부 구성 시트 (63) 는, 당해 장착부 구성 시트 (63) 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각 장착부 구성 시트 (63) 는, 도 2 에 있어서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장착부 (60) 는, 신축성의 신축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장착부 구성 시트 (63) 의 전체가 신축 시트부로 되어 있다.
장착 밴드부 (61) 를 당해 장착 밴드부 (61) 의 길이 방향으로 잡아 늘인 상태에서, 장착 밴드부 (61) 의 선단부의 점착층 (64) 을 피부 (91) 에 첩부함으로써, 보다 충분한 압접력으로 돌기부 (12) 를 피부 (91) 에 대해 압접시킬 수 있다.
이하, 온열구 (100) 의 각 부의 재료 및 특성의 예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발열재 (30) 중의 피산화성 금속으로는, 이러한 종류의 발열재의 재료로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피산화성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피산화성 금속으로는, 취급성, 성형성 등의 관점에서, 분체 또는 섬유상의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체의 형태를 갖는 피산화성 금속으로는, 예를 들어, 철분, 알루미늄분, 아연분, 망간분, 마그네슘분, 칼슘분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취급성 및 제조 비용 등의 점에서 철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분체의 형태를 갖는 피산화성 금속으로는, 반응의 컨트롤이 양호한 점에서 입경 (이하, 입경이라고 할 때에는, 분체의 형태에 있어서의 최대 길이, 또는 동적 광 산란법, 레이저 회절법 등에 의해 측정되는 평균 입경을 말한다.) 이 0.1 ㎛ 이상 300 ㎛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입경이 0.1 ㎛ 이상 150 ㎛ 이하인 것을 50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섬유상의 형태를 갖는 피산화성 금속으로는, 스틸 섬유, 알루미늄 섬유, 마그네슘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취급성 및 제조 비용 등의 점에서 스틸 섬유, 알루미늄 섬유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섬유상의 형태를 갖는 피산화성 금속은, 발열 성능 등의 점에서 섬유 길이 0.1 mm 이상 50 mm 이하, 굵기 1 ㎛ 이상 1000 ㎛ 이하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재 (30) 중의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은, 30 질량% 이상 8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을 30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발열재 (30) 가 충전된 돌기부 (12) 의 발열 온도를, 인간이 손가락끝 등으로 접촉하여 뜨겁게 느끼는 정도 이상으로 충분히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을 80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발열재 (30) 의 통기성이 충분한 것이 되고, 그 결과, 발열재 (30) 의 중심부까지 충분히 반응이 일어나, 발열재 (30) 의 발열 온도를 충분히 상승시킬 수 있다. 또, 발열재 (30) 의 발열 시간을 충분한 길이로 할 수 있는 외에, 보수제에 의한 수분 공급도 충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발열재 (30) 중의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은, JIS P8128 에 준하는 회분 시험으로 측정하거나, 피산화성 금속이 철인 경우에는 외부 자장을 인가하면 자화가 생기는 성질을 이용하여 진동 시료형 자화 측정 시험 등에 의해 측정하거나 할 수 있다.
발열재 (30) 중의 보수제로는, 이러한 종류의 발열재의 재료로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보수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보수제는, 수분 유지제로서 기능한다. 또, 이 보수제는, 피산화성 금속에 공급되는 산소를 유지하고 그 산소를 피산화성 금속에 공급하는 공급제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보수제로는, 예를 들어, 무기 재료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보수제로는, 예를 들어, 다공질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보수제로는, 예를 들어, 활성탄 (야자각탄, 목탄분, 역청탄, 이탄, 아탄),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흑연,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실리카, 캔크리나이트, 플루오라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보수능, 산소 공급능, 촉매능을 갖는 점에서 활성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보수제로는, 피산화성 금속과의 유효한 접촉 상태를 형성할 수 있는 점에서 입경이 0.1 ㎛ 이상 500 ㎛ 이하의 분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입경이 0.1 ㎛ 이상 200 ㎛ 의 분체상의 것을 50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보수제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분체상 이외의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활성탄 섬유 등의 섬유상의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발열재 (30) 중의 보수제의 함유량은, 1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을 1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피산화성 금속이 산화 반응에 의해 인체 온도 이상으로 온도 상승하는 정도로 반응을 지속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수분을 발열재 (30) 중에 충분히 축적할 수 있다. 또, 발열재 (30) 의 통기성이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발열재 (30) 에 대한 산소 공급을 충분히 실시할 수 있어, 발열재 (30) 의 발열 효율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 함유량을 50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발열량에 대한 발열재 (30) 의 열용량을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발열 온도 상승이 커져, 인간이 따뜻하다고 체감할 수 있는 온도 상승이 얻어진다.
발열재 (30) 는, 전해질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 전해질로는, 이러한 종류의 발열재의 재료로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전해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혹은 중금속의 염화물 또는 수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중에서도, 도전성, 화학적 안정성, 생산 비용이 우수한 점에서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철 (제 1, 제 2) 등의 각종 염화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전해질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발열재 (30) 중의 전해질의 함유량은, 발열재 (30) 중의 물 질량비로 0.5 질량% 이상 24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을 0.5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발열재 (30) 의 산화 반응을 충분히 진행시킬 수 있고, 발열 기능에 필요한 전해질을 확보하기 때문에, 발열재 (30) 의 수분의 비율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발열 온도 상승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 함유량을 24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발열재 (30) 의 통기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또, 발열 기능에 필요한 전해질을 확보하기 때문에, 발열재 (30) 중의 수분 비율을 어느 정도의 크기로 유지할 수 있어, 충분한 물이 피산화성 금속 등에 공급되어, 발열 성능이 우수하고, 발열재 (30) 에 균일하게 전해질을 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발열재 (30) 에는, 증점제나 응집제, 나아가서는 그 밖의 첨가물이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미세한 돌기부 (12) 의 공동 (13) 내에 발열재 (30) 를 균일하게 충전하기 위해, 당해 발열재 (30) 를, 유동성을 가지는 슬러리의 상태로 공동 (13) 내에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발열재 (30) 는 증점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점제로는, 주로, 수분을 흡수하여 조도 (稠度) 를 증대시키거나, 틱소트로피성을 부여하는 물질, 예를 들어, 수용성의 고분자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온열구 (100) 의 돌기부 (12) 는, 발열 도달 온도가 35 ℃ 이상 98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8 ℃ 이상 7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온열구 (100) 의 발열 도달 온도의 측정은, JIS S4100 과 동등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돌기부 (12) 에 발열재 (30) 가 충전된 시트 (10) 는, 발열재 (30) 의 단위중량 (1 g) 당, 10 분 동안에 발생하는 수증기량이, 20 mg/g 이상 250 mg/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mg/g 이상 180 mg/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 수증기량 (수증기 발생량) 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측정된다.
측정에 사용되는 장치는, 알루미늄제의 측정실 (용적 4.2 L) 과, 측정실의 하부에 제습 공기 (습도 2 % 미만, 유량 2.1 L/분) 를 유입시키는 유입로와, 측정실의 상부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로를 구비하고 있다. 유입로에는, 입구 온습도계와 입구 유량계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유출로에는, 출구 온습도계와 출구 유량계가 장착되어 있다. 측정실 내에는 온도계 (서미스터) 가 장착되어 있다. 온도계로는, 온도 분해능이 0.1 ℃ 정도인 것을 사용한다.
측정 환경 온도 30 ℃ (30 ± 1 ℃) 에 있어서 온열구 (100) 를 포장 주머니로부터 취출하고, 시트 (10) 의 일방의 면 (10a) 측을 위로 하여 측정실에 재치하고, 금속구 (질량 4.5 g) 를 부착한 온도계를 그 위에 얹는다. 이 상태에서 측정실의 하부로부터 제습 공기를 흘리고, 입구 온습도계와 출구 온습도계에 의해 계측되는 온도 및 습도에 기초하여, 측정실에 공기가 유입되기 전후의 절대습도의 차를 구한다. 또한 입구 유량계와 출구 유량계에 의해 계측되는 유량에 기초하여, 온열구 (100) 가 방출한 수증기량을 산출한다. 측정 개시로부터 10 분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수증기 발생량을 계측한다.
부직포 시트 (15) 의 재료로는, 합성 섬유, 천연 섬유 또는 이들의 복합 섬유를 들 수 있고, 제법으로는 스펀 본드법, 니들 펀치법, 스펀 레이스법, 멜트 블로우법, 플래시 방사법, 에어레이드법, 에어스루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부직포 시트 (15) 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있고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부직포 시트 (15) 를 구성하는 제 1 수지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레이온, 폴리스티렌, 아크릴, 비닐론, 셀룰로오스, 아라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 시트 (15) 를 구성하는 제 2 수지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부직포 시트 (15) 를 구성하는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의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 시트 (15) 를 구성하는 제 2 수지 재료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수지, 또는 저융점 PET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인 것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또는, 저융점의 PET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직포 시트 (15) 를 구성하는 섬유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심과,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초를 포함하는 심초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된다.
시트 (10) 및 부직포 시트 (15) 는,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 또한 제 2 수지 재료보다 고융점의 융점을 가지는 적어도 1 개 이상의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당해 수지 재료보다 고융점의 수지 재료 (돌기부 (12) 의 성형을 수반하는 부직포의 가공 시에 융해하지 않는 수지군 (적어도 제 1 수지 재료를 포함한다)) 의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제 2 결착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부직포 시트 (15) 에 있어서의 제 1 수지 재료의 함유량은, 부직포 시트 (15) 에 있어서의 제 2 수지 재료의 함유량보다 많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시트 (15) 에 있어서의 제 1 수지 재료의 함유량은, 60 질량% 이상 95 질량% 이하이다. 또, 부직포 시트 (15) 에 있어서의 제 2 수지 재료의 함유량은, 5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이다.
부직포 시트 (15) 에 있어서의 제 1 수지 재료 및 제 2 수지 재료의 함유량을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부직포 시트 (15) 의 통기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부직포 시트 (15) 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부직포 시트 (15) 의 평량은, 15 g/㎡ 이상 500 g/㎡ 이하, 특히 30 g/㎡ 이상 35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 시트 (15) 의 평량이 15 g/㎡ 이상임으로써, 시트 (10) 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외에, 발열재 (30) 의 온도가 적당히 완화되어 피부에 전해지도록 할 수 있다. 부직포 시트 (15) 의 평량이 500 g/㎡ 이하임으로써, 시트 (10) 를 통하여 발열재 (30) 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피부에 전달할 수 있다.
시트 (10) 의 기부 (11) 의 두께는, 0.03 mm 이상 2.6 mm 이하, 특히 0.08 mm 이상 1.2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부 (11) 의 두께가 0.03 mm 이상임으로써, 시트 (10) 의 형태 유지성 (특히 돌기부 (12) 의 형태 유지성), 나아가서는 본체부 (50) 의 형태 유지성이 양호해진다. 기부 (11) 의 두께가 2.6 mm 이하임으로써, 시트 (10) 의 전열성이 양호해진다.
시트 (10) 의 투습도는, 예를 들어, 1000 g/(㎡·24h) 이상 17000 g/(㎡·24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 g/(㎡·24h) 이상 12000 g/(㎡·24h)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2 시트 (20) 의 투습도는, 시트 (10) 의 투습도보다 낮다.
제 2 시트 (20) 의 투습도는, 예를 들어, 2000 g/(㎡·24h) 이하, 특히 1000 g/(㎡·24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시트 (20) 의 투습도가 이와 같은 범위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발열재 (30) 의 발열에 수반하는 수증기의 발생 방향을 제 2 시트 (20) 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재 (30) 에 대한 산소의 공급이 시트 (10) 측으로부터 실시되고, 제 2 시트 (20) 로부터의 수증기의 발생은 억제할 수 있어, 주로 시트 (10) 측으로부터 수증기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 시트 (20) 는, 평량이 10 g/㎡ 이상 200 g/㎡ 이하, 20 g/㎡ 이상 1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시트 (20) 의 평량이 이와 같은 범위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발열에 수반하는 수증기의 발생 방향을 제 2 시트 (20) 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제 2 시트 (20) 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나일론,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수지에 의해 구성된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시트를 들 수 있고, 특히, 상기 수지 중에 산화티탄 등의 무기 필러를 배합한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제 2 시트 (20) 에 의한 발열재 (30) 의 은폐성이 양호해진다. 제 2 시트 (20) 는, 복수 장을 겹쳐 사용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시트 (20) 로는, 예를 들어, 종이와 상기 수지 필름의 적층 시트나, 부직포와 상기 수지 필름의 적층 시트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수지 필름이 제 2 시트 (20) 의 내면측 (흡수 시트 (40) 측) 이 되고, 제 2 시트 (20) 를 구성하는 종이나 부직포가 제 2 시트 (20) 의 외면측 (후면측) 에 배치된다. 나아가서는, 배면측으로의 방열을 억제하기 위해서, 제 2 시트 (20) 의 후면측에 부직포가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흡수 시트 (40) 가 흡수성 폴리머 시트인 경우, 당해 흡수성 폴리머 시트를 구성하는 흡수성 폴리머는, 흡수성을 갖는 중합체 입자이다.
흡수성 폴리머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상, 괴상, 포도상, 부정 형상, 다공상, 분말상 또는 섬유상일 수 있다. 이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입자경은, 본체부 (50) 로부터의 흡수성 폴리머의 탈락이나 흡수성 폴리머의 이동의 억제를 위해서, 100 ㎛ 이상 1000 ㎛ 이하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0 ㎛ 이상 650 ㎛ 이하로 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이상 500 ㎛ 이하로 할 수 있다.
일례로서, 흡수성 폴리머를 얻으려면, 이하의 모노머로부터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의 모노머를 중합하고, 또, 필요에 따라 가교한다. 여기서의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역상 현탁 중합법이나 수용액 중합법 등의 일반적으로 알려진 흡수성 폴리머의 여러 가지 중합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중합에 의해 얻어진 중합체에 대해 필요에 따라 분쇄, 분급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 중합체를 원하는 평균 입자경으로 조정하고, 필요에 따라 무기 미립자 처리함으로써, 흡수성 폴리머가 얻어진다.
흡수성 폴리머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모노머로는, 수용성이고, 중합성의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모노머로는, 보다 상세하게는, 올레핀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염, 올레핀계 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올레핀계 불포화 술폰산 또는 그 염, 올레핀계 불포화 인산 또는 그 염, 올레핀계 불포화 인산에스테르, 올레핀계 불포화 아민, 올레핀계 불포화 암모늄염, 올레핀계 불포화 아미드 등의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가 예시된다.
흡수 시트 (40) 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05 mm 이상 2 mm 이하로 할 수 있고, 0.1 mm 이상 1 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시트 (40) 의 두께가 0.05 mm 이상임으로써, 흡수 시트 (40) 에 의해 충분히 흡수를 실시할 수 있다. 또, 흡수 시트 (40) 의 두께가 2 mm 이하임으로써, 본체부 (50) 를 충분히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흡수 시트 (40) 의 두께의 측정은, 예를 들어, 피콕 게이지 측정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흡수 시트 (40) 로는, 수분의 흡수 유지가 가능하고, 유연성을 갖는 시트 재료가 사용된다. 그러한 시트 재료로는, 예를 들어 섬유를 원료로 하는 종이, 부직포, 직물, 편물 등의 섬유 시트나, 스펀지 등의 다공체 등을 들 수 있다. 흡수 시트 (40) 의 재료가 되는 섬유로는, 예를 들어 식물 섬유나 동물 섬유 등의 천연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나 화학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식물 섬유로는, 예를 들어 코튼, 케이폭, 목재 펄프, 비목재 펄프, 낙화생 단백 섬유, 옥수수 단백 섬유, 대두 단백 섬유, 만난 섬유, 고무 섬유, 마, 마닐라마, 사이잘마, 뉴질랜드마, 나포마, 야자, 골풀, 맥고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동물 섬유로는, 예를 들어 양모, 염소모, 모헤어, 캐시미어, 알파카, 앙고라, 카멜, 비큐나, 실크, 우모, 다운, 페더, 알긴 섬유, 키틴 섬유, 카세인 섬유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화학 섬유로는, 예를 들어 레이온,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흡수 시트 (40) 로는, 전술한 섬유로 구성되는 섬유 재료와,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시트 (40) 가, 성분 (a) 섬유 재료, 및, 성분 (b)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한다고 하면, 흡수 시트 (40) 의 형태로는, (i) 성분 (a) 및 성분 (b) 가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에서 1 장 시트로 한 것, (ii) 성분 (a) 를 포함하는 동일한 또는 서로 상이한 시트 사이에 성분 (b) 가 배치된 것, (iii) 성분 (b) 를 산포하여 시트상으로 한 것의 3 개의 형태를 예시할 수 있다.
이 중 바람직한 것은, (ii) 의 형태의 것이다. 또한, (ii) 의 형태의 흡수 시트 (40) 는, 예를 들어, 성분 (a) 를 포함하는 시트 상에 성분 (b) 의 흡수성 폴리머를 균일하게 산포하고, 그 위로부터 200 g/㎡ 의 양의 물을 분무한 후, 또 그 위에 성분 (a) 를 포함하는 동일한 또는 서로 상이한 시트를 적층하고, 100 ± 0.5 ℃, 5 kg/㎠ 의 압력으로 프레스 건조하여 함수율이 5 질량%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흡수성 폴리머로서, 자중의 20 배 이상의 액체를 흡수 및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겔화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흡수 시트 (40) 의 충분한 흡수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형상으로는, 구상, 괴상, 포도송이상, 섬유상 등을 들 수 있다.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입경은,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입경은, 1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5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입경은 동적 광 산란법, 레이저 회절법 등에 의해 측정된다.
흡수성 폴리머의 구체예로는, 전분, 가교 카르복실메틸화셀룰로오스,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알칼리금속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등, 폴리아크릴산 및 그 염 그리고 폴리아크릴산염 그래프트 중합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알칼리금속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등, 폴리아크릴산 및 그 염 그리고 폴리아크릴산염 그래프트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흡수 시트 (40) 의 흡수성능을 높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흡수 시트 (40) 에서 차지하는 성분 (b)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비율은, 건조 상태에서 1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2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흡수 시트 (40) 에서 차지하는 성분 (b)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비율은, 건조 상태에서 7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6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시트 (40) 는, 건조 상태에서 그 평량이 20 g/㎡ 이상 25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40 g/㎡ 이상 22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g/㎡ 이상 180 g/㎡ 이하이다. 흡수 시트 (40) 에 포함되는 성분 (b) 의 평량은, 건조 상태에서 5 g/㎡ 이상 2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0 g/㎡ 이상 17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g/㎡ 이상 130 g/㎡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흡수 시트 (40) 로는, 목재 펄프제의 종이 (평량 20 g/㎡) 와 흡수성 폴리머 (구상, 평균 입자경 300 ㎛, 평량 90 g/㎡) 와 목재 펄프제의 종이 (평량 30 g/㎡) 를 적층하여 일체화한 흡수성 폴리머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장착부 구성 시트 (63) 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신축성을 갖는 부직포로 할 수 있다. 이 부직포의 재료로는, 합성 섬유, 천연 섬유 또는 이들의 복합 섬유를 들 수 있다.
단, 장착부 구성 시트 (63) 는, 부직포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고무 섬유 함유 직포 등이어도 된다.
점착층 (64) 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고무계, 아크릴계, 실리콘계, 에멀션계, 핫멜트계, 수겔계 등의 점착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제조 방법은, 프레스에 의해 시트 (10) 에 돌기부 (12) 를 형성하는 공정과, 돌기부 (12) 의 공동 (13) 에 발열재 (30) 를 충전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시트 (10) 에 돌기부 (12) 를 형성하려면, 먼저, 부직포 시트 (15) 의 기초가 되는 부직포 시트 (18) 를 준비한다.
여기서, 부직포 시트 (18) 는, 예를 들어,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제 1 섬유와,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제 2 섬유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섬유와 제 2 섬유의 혼면인 경우). 단, 부직포 시트 (18) 를 구성하는 섬유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심과,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초를 포함하는 심초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부직포 시트 (18) 에 대해 열 프레스를 실시함으로써, 돌기부 (12) 가 형성된 시트 (10) 를 성형한다.
여기서, 열 프레스의 온도는, 제 1 수지 재료의 융점과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의 중간의 온도로 설정한다. 즉, 열 프레스의 온도는, 제 1 수지 재료의 융점 미만의 온도이고, 또한,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 이상의 온도로 한다.
이로써, 제 2 수지 재료가 용융되는 한편으로, 제 1 수지 재료는 용융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용융된 제 2 수지 재료를 통하여,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섬유 (당해 섬유는, 심초 구조의 심의 부분이어도 된다) 끼리가 결착된다. 즉, 용융된 제 2 수지 재료가,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섬유끼리를 결착하는 결착부를 구성한다.
그 결과, 시트 (10) 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도, 시트 (10) 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즉, 기부 (11) 의 통기성 및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돌기부 (12) 에 대해서도, 당해 돌기부 (12) 의 기단부터 선단에 걸쳐, 통기성을 확보하면서도, 전체를 충분한 강성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열 프레스의 온도는, 제 2 수지 재료가 충분히 용융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저온 (예를 들어,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 + 30 ℃ 이하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 + 20 ℃ 이하의 온도) 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열 프레스 후의 부직포 시트 (15) 가 부직포의 질감을 갖도록 할 수 있어, 본체부 (50) 의 촉감이 양호하게 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금형 (70) 및 제 2 금형 (80) 을 사용하여, 시트 (10) 에 돌기부 (12) 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금형 (70) 은, 제 2 금형 (80) 과 대향하는 평탄면 (71) 과, 평탄면 (71) 으로부터 제 2 금형 (80) 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 (72) 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금형 (80) 은, 제 1 금형 (70) 과 대향하는 평탄면 (81) 과, 평탄면 (81) 에 있어서 각 돌기부 (72) 와 대향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오목부 (82) 를 구비하고 있다.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금형 (70) 과 제 2 금형 (80) 을 서로 근접시켜 시트 (10) 를 두께 방향으로 가압함과 함께, 제 1 금형 (70) 및 제 2 금형 (80) 에 의해 시트 (10) 를 가열함으로써, 시트 (10) 에 복수의 돌기부 (12) 를 형성한다. 시트 (10) 에 있어서, 제 1 금형 (70) 및 제 2 금형 (80) 의 평탄면 (71, 81) 과 대응하는 부위는 기부 (11) 가 되고, 제 1 금형 (70) 및 제 2 금형 (80) 의 돌기부 (72) 및 오목부 (82) 와 대응하는 부위는 돌기부 (12) 가 된다.
이렇게 하여 시트 (10) 에 돌기부 (12) 를 형성한 후, 돌기부 (12) 에 발열재 (30) 를 충전한다.
이를 위해서는, 피산화성 금속, 보수제 및 물을 포함하는, 발열재 (30) 의 원료 조성물 (슬러리) 을 조제하고, 그 원료 조성물을 각 돌기부 (12) 에 흘려 넣는다.
이로써, 돌기부 (12) 의 내주면의 형상을 따르게 하여 발열재 (30) 를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발열재 (30) 의 형상은, 예를 들어, 돌기부 (12) 의 형상과 동일한 뿔상 또는 뿔대상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시트 (10) 의 각 돌기부 (12) 에 발열재 (30) 를 충전한 후에, 시트 (10) 의 기부 (11) 상에 흡수 시트 (40) 를 적층한다.
또한, 흡수 시트 (40) 상에 제 2 시트 (20) 를 적층하고, 제 2 시트 (20) 의 주연부와 시트 (10) 의 주연부를 서로 접합한다.
제 2 시트 (20) 와 시트 (10) 의 접합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실시해도 되고, 히트 시일에 의해 실시해도 된다.
이렇게 하여, 본체부 (50) 를 제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체부 (50) 에 대해 1 쌍의 장착 밴드부 (61) 의 기단부 (66) 를 각각 접합한다.
본체부 (50) 에 대한 장착 밴드부 (61) 의 접합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실시해도 되고, 히트 시일에 의해 실시해도 된다.
이렇게 하여, 온열구 (100) 가 제조된다.
이상과 같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온열구 (100) 는, 일방의 면 (10a) 측에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고 타방의 면 (10b) 측이 공동 (13) 으로 되어 있는 돌기부 (12) 를 갖는 시트 (10) 와, 돌기부 (12) 의 공동 (13) 에 충전되어 있는 발열재 (30) 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돌기부 (12) 가 피부에 압접되는 상태에서 온열구 (100) 를 인체 등의 생체에 장착함으로써, 돌기부 (12) 에 의해 생체의 피부를 압박하면서, 생체의 피부에 있어서 돌기부 (12) 와 대응하는 부위를 국소적으로 충분히 따뜻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온열구 (100) 가 돌기부 (12) 를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발열재 (30) 는, 피산화성 금속과, 보수제와, 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침이나 불을 사용하지 않고, 돌기부 (12) 에 의해 생체를 국소적으로 압압하면서 가온할 수 있다.
또, 온열구 (100) 는, 돌기부 (12) 가 피부에 압접되는 상태에서 당해 온열구 (100) 를 생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 (60) 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용이하게 온열구 (100) 를 생체에 장착할 수 있음과 함께, 예를 들어 텔레비전을 보거나 가사를 실시하거나 하는 등 다른 일을 실시하면서, 생체의 국부적인 압압과 가온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a) 내지 도 7(k) 를 이용하여, 시트 (10) 의 평면 형상, 돌기부 (12) 의 배치 및 돌기부 (12) 의 형상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변형예 1>
도 7(a) 및 도 7(b) 는, 시트 (10) 의 평면 형상 및 돌기부 (12) 의 배치의 변형예 1 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이 중 도 7(a) 는 평면도, 도 7(b) 는 도 7(a)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의 경우,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형상의 돌기부 (12) 가, 지그재그 격자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시트 (10) 에 예를 들어 가로 3 열, 합계 10 개의 돌기부 (12) 가 형성되어 있다.
시트 (10) 의 평면 형상은, 예를 들어, 육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변형예의 경우의 본체부 (50) 의 평면 형상은, 시트 (10) 의 평면 형상과 동일하다.
<변형예 2>
도 7(c) 및 도 7(d) 는, 시트 (10) 의 평면 형상, 돌기부 (12) 의 배치 및 돌기부 (12) 의 형상의 변형예 2 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이 중 도 7(c) 는 평면도, 도 7(d) 는 도 7(c)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의 경우, 돌기부 (12) 가 원뿔대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돌기부 (12) 의 꼭대기부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변형예의 경우, 돌기부 (12) 의 배치 및 시트 (10) (및 본체부 (50)) 의 평면 형상에 대해서는, 변형예 1 과 동일하다.
<변형예 3>
도 7(e) 및 도 7(f) 는, 시트 (10) 의 평면 형상, 돌기부 (12) 의 배치 및 돌기부 (12) 의 형상의 변형예 3 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이 중 도 7(e) 는 평면도, 도 7(f) 는 도 7(e)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의 경우, 시트 (10) 는, 서로 형상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돌기부 (12) 를 가지고 있다.
또, 본 변형예의 경우, 시트 (10) 는, 서로 치수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돌기부 (12) 를 가지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변형예의 경우, 시트 (10) 의 중앙부에 1 개의 돌기부 (12) (이하, 제 1 돌기부 (12a)) 가 배치되고, 제 1 돌기부 (12a) 의 주위에 복수 (예를 들어 8 개) 의 돌기부 (12) (이하, 제 2 돌기부 (12b)) 가 원주 상에 등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돌기부 (12a) 의 직경이, 제 2 돌기부 (12b) 의 직경보다 크다. 요컨대, 제 1 돌기부 (12a) 의 치수와 제 2 돌기부 (12b) 의 치수가 서로 상이하고, 예를 들어, 시트 (10) 의 면직 방향으로 봤을 때에, 제 1 돌기부 (12a) 의 외형 치수가 제 2 돌기부 (12b) 의 외형 치수보다 크다.
또한, 제 1 돌기부 (12a) 의 높이 치수는, 예를 들어, 제 2 돌기부 (12b) 의 높이 치수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제 1 돌기부 (12a) 의 경사 각도는, 제 2 돌기부 (12b) 의 경사 각도보다 완만하게 되어 있다. 요컨대, 제 1 돌기부 (12a) 와 제 2 돌기부 (12b) 에서는 서로 형상이 상이하다.
또, 본 변형예의 경우, 시트 (10) 및 본체부 (50) 의 평면 형상이, 예를 들어 원형으로 되어 있다.
단, 제 1 돌기부 (12a) 의 높이 치수가 제 2 돌기부 (12b) 의 높이 치수보다 커도 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중앙의 제 1 돌기부 (12a) 에 의해 보다 충분히 생체의 피부를 압박할 수 있다.
또, 제 2 돌기부 (12b) 의 높이 치수가 제 1 돌기부 (12a) 의 높이 치수보다 커도 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주위의 제 2 돌기부 (12b) 에 의해 보다 충분히 생체의 피부를 압박할 수 있다.
<변형예 4>
도 7(g) 및 도 7(h) 는, 시트 (10) 의 평면 형상 및 돌기부 (12) 의 배치의 변형예 4 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이 중 도 7(g) 는 평면도, 도 7(h) 는 도 7(g)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의 경우, 복수 (예를 들어 9 개) 의 돌기부 (12) 가 정방 격자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시트 (10) 및 본체부 (50) 의 평면 형상이, 모서리가 둥근 정방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변형예 5>
도 7(i) 및 도 7(j) 는, 시트 (10) 의 평면 형상, 돌기부 (12) 의 배치 및 돌기부 (12) 의 형상의 변형예 5 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이 중 도 7(i) 는 평면도, 도 7(j) 는 도 7(i)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변형예의 경우, 시트 (10) 는, 서로 형상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돌기부 (12) 를 가지고 있다.
또, 본 변형예의 경우, 시트 (10) 는, 서로 치수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돌기부 (12) 를 가지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변형예의 경우, 시트 (10) 및 본체부 (50) 의 평면 형상은, 예를 들어, 변형예 1 및 2 와 동일하다. 그리고, 시트 (10) 의 중앙부에 가로로 긴 장원형의 1 개의 돌기부 (12) (이하, 제 1 돌기부 (12a)) 가 배치되어 있고, 제 1 돌기부 (12a) 의 주위에 복수 (예를 들어 8 개) 의 돌기부 (12) (이하, 제 2 돌기부 (12b)) 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돌기부 (12a) 의 꼭대기부는, 가로로 긴 능선을 가지고 있다 (도 7(j) 참조).
본 변형예의 시트 (10) 에 있어서의 제 1 돌기부 (12a) 의 배치 영역은, 변형예 1 및 2 의 시트 (10) 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2 개의 돌기부 (12) 의 배치 영역에 상당하고 있다. 요컨대, 제 1 돌기부 (12a) 의 치수와 제 2 돌기부 (12b) 의 치수가 서로 상이하고, 예를 들어, 시트 (10) 의 면직 방향으로 봤을 때에, 제 1 돌기부 (12a) 의 외형 치수가 제 2 돌기부 (12b) 의 외형 치수보다 크다.
제 1 돌기부 (12a) 의 평면 형상은, 예를 들어, 장원형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제 2 돌기부 (12b) 의 평면 형상은, 예를 들어, 원형으로 되어 있다. 요컨대, 제 1 돌기부 (12a) 와 제 2 돌기부 (12b) 는 서로 형상이 상이하다.
<변형예 6>
도 7(k) 는, 시트 (10) 의 평면 형상 및 돌기부 (12) 의 배치의 변형예 6 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변형예의 경우, 복수 (예를 들어 4 개) 의 돌기부 (12) 가 직선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9(b) 를 이용하여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는, 시트 (10) 의 구성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와 상위하고, 그 밖의 점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10) 가 1 장의 부직포 시트 (15) 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였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10) 는, 당해 시트 (10) 에 있어서의 일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 (15) (제 1 부직포 시트) 와, 당해 시트 (10) 에 있어서의 타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 (17) (제 2 부직포 시트) 와, 제 1 부직포 시트와 제 2 부직포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구성하는 통기 시트 (16)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시트 (10) 는, 예를 들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직포 시트 (15), 통기 시트 (16) 및 부직포 시트 (17) 의 3층 구조로 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 예로 한정하지 않고, 시트 (10) 는, 부직포 시트 (15), 통기 시트 (16) 및 부직포 시트 (17) 의 3 층의 다른 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일례로서, 시트 (10) 는, 부직포 시트 (15) 와 부직포 시트 (17) 사이에 2 층의 통기 시트 (16) 를 구비하고, 또한, 이들 2 층의 통기 시트 (16) 끼리의 사이에 제 3 부직포 시트를 구비하고 있어, 합계 5 층의 층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직포 시트 (15) 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부직포 시트 (17) 도, 부직포 시트 (15) 와 마찬가지로,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제 1 부직포 시트 및 제 2 부직포 시트의 각각은,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단, 부직포 시트 (15) 를 구성하는 제 1 수지 재료와, 부직포 시트 (17) 를 구성하는 제 1 수지 재료는, 서로 동일한 재료여도 되고, 서로 상이한 재료여도 된다.
또, 부직포 시트 (15) 를 구성하는 제 2 수지 재료와, 부직포 시트 (17) 를 구성하는 제 2 수지 재료는, 서로 동일한 재료여도 되고, 서로 상이한 재료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부직포 시트 (15) 와 부직포 시트 (17) 는 서로 동일한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부직포 시트 (15) 를 구성하는 제 1 수지 재료와, 부직포 시트 (17) 를 구성하는 제 1 수지 재료가 서로 동일한 재료임과 함께, 부직포 시트 (15) 를 구성하는 제 2 수지 재료와 부직포 시트 (17) 를 구성하는 제 2 수지 재료가 서로 동일한 재료이다.
또, 부직포 시트 (17) 의 평량에 대해서는, 부직포 시트 (15) 의 평량과 마찬가지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도, 부직포 시트 (15) 를 구성하는 섬유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심과,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초를 포함하는 심초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 부직포 시트 (17) 를 구성하는 섬유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심과,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초를 포함하는 심초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된다.
통기 시트 (16) 는, 제 2 수지 재료보다 고융점의 제 3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통기 시트 (16) 의 통기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통기 시트 (16) 의 투습도가 100 g/(㎡·24h) 이상 13000 g/(㎡·24h) 이하, 특히 200 g/(㎡·24h) 이상 8000 g/(㎡·24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 시트 (16) 의 투습도가 이와 같은 범위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온열구 (100) 를 포장재로부터 취출하면 신속하게 시트 (10) 를 통하여 산소가 발열재 (30) 에 공급되고, 그 발열재 (30) 로부터 열과 수증기가 빠르게 발생하도록 할 수 있음과 함께, 발열의 지속 시간을 충분히 길게 할 수 있다. 통기 시트 (16) 의 투습도의 측정은, 예를 들어, JIS(Z0208) CaCl2 법으로 실시할 수 있고, 측정 조건은, 40 ℃, 90 %RH 로 할 수 있다.
통기 시트 (16) 는, 그 전체면에 걸쳐 통기성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부분적으로 통기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통기 시트 (16) 는, 평량이 10 g/㎡ 이상 200 g/㎡ 이하, 특히 20 g/㎡ 이상 1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 시트 (16) 의 평량이 이와 같은 범위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온열구 (100) 를 포장재로부터 취출하면 열과 수증기가 빠르게 발생하도록 할 수 있음과 함께, 발열의 지속 시간을 충분히 길게 할 수 있다.
통기 시트 (16) 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수지에 의해 구성된 시트에 기계적으로 통기 구멍을 형성한 것, 이들 수지와 무기 필러의 혼합 시트를 연신에 의해 계면 박리시켜 미세한 통기 구멍을 형성한 것, 또, 그 결정 구조의 계면 박리를 이용하여, 미세한 통기 구멍을 형성한 것, 발포 성형에 의한 연속 기포를 이용하여 미세한 통기 구멍을 연통시킨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 통기 시트 (16) 로는, 폴리올레핀 등의 합성 펄프, 목재 펄프,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섬유, 비닐론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으로 형성된 부직포, 직포, 합성지, 종이 등도 들 수 있다. 통기 시트 (16) 는, 복수 장을 겹쳐 사용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기 시트 (16) 로는, 폴리프로필렌과 탄산칼슘의 혼합 시트를 연신에 의해 계면 박리시킴으로써, 그 혼합 시트에 미세한 통기 구멍을 형성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폴리프로필렌과 탄산칼슘의 혼합 시트를 연신함으로써 통기 시트 (16) 가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이하의 설명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제조 방법도, 프레스에 의해 시트 (10) 에 돌기부 (12) 를 형성하는 공정과, 돌기부 (12) 의 공동 (13) 에 발열재 (30) 를 충전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시트 (10) 에 돌기부 (12) 를 형성하려면, 먼저, 부직포 시트 (15) 의 기초가 되는 부직포 시트 (18), 통기 시트 (16), 및, 부직포 시트 (17) 의 기초가 되는 부직포 시트 (19) 를 준비하고, 부직포 시트 (18), 통기 시트 (16) 및 부직포 시트 (19) 의 순서로 겹쳐지도록 이들 3 개의 시트를 적층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부직포 시트 (18) 는, 예를 들어,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제 1 섬유와,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제 2 섬유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단, 부직포 시트 (18) 를 구성하는 섬유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심과,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초를 포함하는 심초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된다.
부직포 시트 (19) 도, 예를 들어, 부직포 시트 (18) 와 동일한 것이다.
다음으로, 이들 3 개의 시트 (부직포 시트 (18), 통기 시트 (16) 및 부직포 시트 (19)) 의 적층체에 대해 열 프레스를 실시함으로써, 돌기부 (12) 가 형성된 시트 (10) 를 성형한다 (도 9(a), 도 9(b)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도, 열 프레스의 온도는, 제 1 수지 재료의 융점과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의 중간의 온도로 설정한다. 즉, 열 프레스의 온도는, 제 1 수지 재료의 융점 미만의 온도이고, 또한,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 이상의 온도로 한다.
이로써, 제 2 수지 재료가 용융되는 한편으로, 제 1 수지 재료는 용융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용융된 제 2 수지 재료를 통하여,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섬유 (당해 섬유는, 심초 구조의 심의 부분이어도 된다) 끼리가 결착된다. 즉, 용융된 제 2 수지 재료가,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섬유끼리를 결착하는 결착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부직포 시트 (15) 및 부직포 시트 (17) 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도, 부직포 시트 (15) 및 부직포 시트 (17) 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시트 (10) 의 통기성 및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즉, 기부 (11) 의 통기성 및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돌기부 (12) 에 대해서도, 당해 돌기부 (12) 의 기단부터 선단에 걸쳐, 통기성을 확보하면서도, 전체를 충분한 강성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도, 열 프레스의 온도는, 제 2 수지 재료가 충분히 용융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저온 (예를 들어,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 + 30 ℃ 이하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 + 10 ℃ 이하의 온도) 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열 프레스 후의 부직포 시트 (15) 및 부직포 시트 (17) 가 부직포의 질감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체부 (50) 의 외표면측에 위치하는 부직포 시트 (17) 가 부직포의 질감을 가짐으로써, 본체부 (50) 의 촉감이 양호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열 프레스의 온도는, 통기 시트 (16) 가 포함하는 제 3 수지 재료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이고, 통기 시트 (16) 의 연신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열 프레스 후에 있어서도 통기 시트 (16) 의 통기 구멍을 유지시켜, 그 통기 시트 (16) 의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제조 방법에서는, 시트는, 당해 시트에 있어서의 일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 (18) (제 1 부직포 시트) 와, 당해 시트에 있어서의 타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 (19) (제 2 부직포 시트) 와, 제 1 부직포 시트와 제 2 부직포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구성하는 통기 시트 (16)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제 1 부직포 시트 및 제 2 부직포 시트의 각각은,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의 제 2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통기 시트 (16) 는, 제 2 수지 재료보다 고융점의 제 3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스에 의해 시트에 돌기부 (12) 를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과 제 3 수지 재료의 융점의 중간의 온도에서 시트를 열 프레스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된 통기 시트 (16) 의 양면에 각각 부직포 시트 (18) 와 부직포 시트 (19) 를 겹친 상태에서, 이들 3 층의 시트 (부직포 시트 (18), 통기 시트 (16) 및 부직포 시트 (19)) 를 열 프레스함으로써, 돌기부 (12) 를 형성한다.
이로써, 열 프레스 시에, 통기 시트 (16) 의 양면을 각각 부직포 시트 (18, 19) 에 의해 보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열 프레스에 제공되는 시트 (10) 가 구비하는 통기 시트 (16) 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높은 결정성을 갖는 제 3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여도, 통기 시트 (16) 의 파단을 억제하면서, 시트 (10) 에 돌기부 (12) 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 (10) 가 전체면에 걸쳐 균일한 통기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 열 프레스 후의 시트 (10) 는, 통기 시트 (16) 의 양면에 각각 부직포 시트 (15, 17) 가 배치된 적층 구조가 된다. 이 때문에, 시트 (10) 의 강성을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특히 돌기부 (12) 에 대해서도 강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열 프레스 후의 시트 (10) 에 있어서, 부직포 시트 (15) 의 제 2 수지 재료, 및, 부직포 시트 (17) 의 제 2 수지 재료는, 통기 시트 (16) 에 대해 결착하고 있어도 되고, 결착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부직포 시트 (15) 의 제 2 수지 재료, 및, 부직포 시트 (17) 의 제 2 수지 재료는, 통기 시트 (16) 에 대해 결착하고 있지 않고, 이로써, 통기 시트 (16) 의 통기성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시트 (10) 에 돌기부 (12) 를 형성한 후의 제조 공정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가 제조된다.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시트 (10) 는, 당해 시트 (10) 에 있어서의 일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 (15) (제 1 부직포 시트) 와, 당해 시트 (10) 에 있어서의 타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 (17) (제 2 부직포 시트) 와, 제 1 부직포 시트와 제 2 부직포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구성하는 통기 시트 (16)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시트 (10) 의 강성을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특히 돌기부 (12) 에 대해서도 강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어, 돌기부 (12) 에 의해 생체의 피부를 보다 충분히 압압할 수 있다.
또, 통기 시트 (16) 는, 제 3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제 3 수지 재료의 융점이, 부직포 시트 (15, 17) 를 구성하는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보다 높기 때문에, 통기 시트 (16) 의 통기성이 양호하게 유지된 구조의 온열구 (100) 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통기 시트 (16) 로서, 폴리프로필렌과 탄산칼슘의 혼합 시트를 연신함으로써 구성된 것을 사용하는 예에 대해 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기 시트 (16) 는, 제 3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수지 시트에 복수의 세공을 형성함으로써 제작된 것이어도 된다. 즉, 통기 시트 (16) 는, 예를 들어, 제 3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수지 시트이고, 당해 통기 시트 (16) 의 표리를 관통하는 복수의 세공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열 프레스 시에 통기 시트 (16) 의 양면에 부직포 시트 (18) 와 부직포 시트 (19) 를 겹치기 전에, 미리, 통기 시트 (16) 에 부직포를 첩합 (貼合) 하여, 통기 시트 (16) 를 보강해 두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0 을 이용하여 제 3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는, 이하에 설명하는 점에서, 상기 제 1 실시형태 또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와 상위하고, 그 밖의 점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 또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온열구 (100) 는, 각각 이하에 설명하는 장착부 (60) 와 본체부 (50)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장착부 (60) 와 본체부 (50) 는, 당초에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 시 등에 있어서 사용자가 본체부 (50) 를 장착부 (60) 에 장착함으로써, 온열구 (100) 를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장착부 (60) 는, 1 쌍의 장착 밴드부 (61) 와, 이들 장착 밴드부 (61) 가 장착되어 있는 베이스 시트 (111) 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시트 (111) 의 평면 형상은, 예를 들어, 본체부 (50) 의 평면 형상과 동일하다. 1 쌍의 장착 밴드부 (61) 의 일방씩이 베이스 시트 (111) 의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있음으로써, 1 쌍의 장착 밴드부 (61) 는 베이스 시트 (111) 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베이스 시트 (111) 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베이스 시트 (111) 는, 예를 들어, 부직포 시트여도 되고, 수지 시트여도 된다. 베이스 시트 (111) 의 통기성 유무는 불문한다.
본체부 (50) 는, 예를 들어, 제 2 시트 (20) 에 있어서 본체부 (50) 의 외면측이 되는 면에 형성된 점착층 (112) 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온열구 (100) 의 사용 전 상태에서는, 점착층 (112) 에는 상기 서술한 박리지 (65) 와 동일한 박리지가 첩부되어 있고, 당해 점착층 (112) 은 당해 박리지에 의해 덮여 있다.
온열구 (100) 의 사용 시에는, 이 박리지를 점착층 (112) 으로부터 벗기고, 점착층 (112) 을 베이스 시트 (111) 에 첩부함으로써, 본체부 (50) 가 장착부 (60) 에 장착된다. 그 후에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온열구 (100) 를 생체에 장착하여, 돌기부 (12) 를 생체의 피부에 압접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본체부 (50) 는,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복수의 돌기부 (12) 를 갖는다. 즉, 본체부 (50) 는, 복수의 돌기부 (12) 와, 이들 돌기부 (12) 의 공동 (13) 에 각각 충전된 발열재 (30) 를 포함하여 구성된 돌기부 유닛이다.
또한, 베이스 시트 (111) 에 대해, 점착층 (112) 을 반복하여 첩부 및 박리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체부 (50) 를 일회용으로 하는 한편으로, 1 개의 장착부 (60) 에 대해 복수의 본체부 (50) 를 순차적으로 첩부 및 박리하여, 장착부 (60) 를 반복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에 의해 본체부 (50) 가 장착부 (60) 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1(a) 내지 도 12(b) 를 이용하여 제 4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는, 이하에 설명하는 점에서,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와 상위하고, 그 밖의 점에서는,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온열구 (100) 는, 상기 서술한 장착부 (60) 대신에, 이하에 설명하는 장착구 (114) (장착부) (도 11(b)) 를 구비하고 있다.
도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구 (114) 는, 예를 들어, 탄성 변형 가능한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지만, 일체 성형되어 있는 구성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장착구 (114) 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1 쌍의 대향부 (115) 와, 이들 대향부 (115) 끼리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 (116) 를 구비하고 있다. 1 쌍의 대향부 (115) 의 각각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예를 들어, 연결부 (116) 도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장착구 (114) 는, 총체적으로, 일방향으로 장척인 판을 U 자상으로 만곡시킨 형상으로 되어 있다.
장착구 (114) 는, 1 쌍의 대향부 (115) 의 대향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1 쌍의 대향부 (115) 의 대향 간격이 넓어진 상태에서는, 장착구 (114) 가 당초의 형태로 탄성 복귀 (탄성 복원) 하고자 함으로써, 장착구 (114) 는, 1 쌍의 대향부 (115) 의 대향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가진다.
1 쌍의 대향부 (115) 의 각각의 선단에는, 예를 들어, 만곡부 (117) 가 형성되어 있다. 일방의 대향부 (115) 의 선단의 만곡부 (117) 는, 타방의 대향부 (115)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동일하게, 타방의 대향부 (115) 의 만곡부 (117) 는, 일방의 대향부 (115)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단, 장착구 (114) 는, 만곡부 (117) 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1 쌍의 대향부 (115) 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복수의 리브 (118)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리브 (118) 는, 예를 들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단, 장착구 (114) 는, 리브 (118) 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본체부 (50) 는, 도 1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장척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돌기부 (12) 가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도, 본체부 (50) 는,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한 점착층 (112) 을 구비하고 있다 (도 12(b) 참조). 또, 온열구 (100) 의 사용 전 상태에서는, 점착층 (112) 에는 박리지가 첩부되어 있다.
온열구 (100) 의 사용 시에는, 점착층 (112) 으로부터 박리지를 벗기고, 점착층 (112) 을 장착구 (114) 의 내면에 첩부함으로써, 본체부 (50) 가 장착구 (114) 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돌기부 (12) 는, 대향부 (115) 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편으로, 연결부 (116) 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배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b) 참조).
본체부 (50) 를 장착구 (114) 에 장착한 상태에서, 1 쌍의 대향부 (115) 의 대향 간격을 넓히고, 또한, 그 상태에서, 1 쌍의 대향부 (115) 의 대향 간격에 손바닥 (113) 등을 삽입하고, 1 쌍의 대향부 (115) 의 대향 간격을 넓히는 힘을 해제한다.
이로써, 장착구 (114) 가 탄성 복귀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도 12(a) 및 도 1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바닥 (113) 에 있어서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 사이의 부분의 피부에 대해 돌기부 (12) 를 압접시켜, 이 부분에 위치하는 경혈 등을 돌기부 (12) 에 의해 압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장착부는, 돌기부 (12) 를 통하여 생체의 일부분 (손바닥 (113) 등) 을 탄성 복원력에 의해 협지함으로써 돌기부 (12) 를 피부에 압접시키는 장착구 (114) 이다.
또한, 장착구 (114) 는, 온열구 (100) 와는 별도로 제공되고, 온열구 (100) 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본체부 (50) 자체가 온열구 (100) 가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장착구 (114) 는, 돌기부 (12) 를 갖는 온열구 (100) 를 생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 (114) 이고, 돌기부 (12) 를 통하여 생체의 일부분을 탄성 복원력에 의해 협지함으로써, 돌기부 (12) 를 피부에 압접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장착구 (114) 에 의하면, 돌기부 (12) 를 갖는 온열구 (100) 를 생체에 장착할 수 있음과 함께, 장착구 (114) 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돌기부 (12) 를 생체의 피부에 압접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간이한 구성의 장착구 (114) 에 의해, 돌기부 (12) 를 지속적으로 피부에 압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 장착구는, 상기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1 쌍의 대향부 (115) 와, 이들 대향부 (115) 끼리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 (116) 를 구비하고, 1 쌍의 대향부 (115) 의 대향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여기서, 장착구 (114) 는 복수의 리브 (118) 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장착구 (114) 에 대해 본체부 (50) 를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어, 장착구 (114) 에 대한 본체부 (50) 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장착구 (114) 가 만곡부 (117) 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장착구 (114) 를 손바닥 (113) 등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1 쌍의 대향부 (115) 의 대향 간격을 넓히려고 할 때에, 손가락을 만곡부 (117) 에 걸어 용이하게 1 쌍의 대향부 (115) 의 대향 간격을 넓힐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 (50) 가 점착층 (112) 에 의해 장착구 (114) 에 첩부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간단히 장착구 (114) 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장착구 (114) 와 피부 사이에 본체부 (50) 를 끼워 넣어도 된다.
〔제 5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3 을 이용하여 제 5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는, 이하에 설명하는 점에서, 상기 제 3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와 상위하고, 그 밖의 점에서는,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온열구 (100) 는, 본체부 (50) 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장착부 (60) (나 장착구 (114)) 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또, 본체부 (50) 가 구비하는 돌기부 (12) 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본체부 (50) 가 구비하는 돌기부 (12) 의 수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개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를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온열구 (100) 의 점착층 (112) 을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장착부 (60) 에 첩부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나, 온열구 (100) 의 점착층 (112) 을 도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장착구 (114) 에 첩부하여 사용하는 방법 외에, 예를 들어, 손가락끝에 점착층 (112) 을 첩부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돌기부 (12) 를 피부에 눌러 사용하는 방법 등도 들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4(a) 내지 도 15(c) 를 이용하여 제 6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는, 이하에 설명하는 점에서, 상기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와 상위하고, 그 밖의 점에서는, 상기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본체부 (50) 가 갖는 돌기부 (12) 의 수는, 예를 들어 도 14(a) 또는 도 1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 (도 14(a)) 또는 1 개 (도 14(b)) 로 되어 있다. 본체부 (50) 는, 시트상의 부분과, 이 시트상의 부분으로부터 일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부 (12) 를 갖는다.
이 시트상의 부분의 평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사각형상 (바람직하게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상) 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장착구 (114) 의 1 쌍의 대향부 (115) 중, 일방의 대향부 (115) (이하, 대향부 (115a)) 에는, 본체부 (50) 를 삽입 발출 가능한 유지 홈 (181) 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 홈 (181) 은, 예를 들어, 대향부 (115a)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1 쌍의 측방 홈부 (181a) 와, 1 쌍의 측방 홈부 (181a) 끼리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 홈부 (181b)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대향부 (115a) 의 폭 방향은, 도 15(c)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이고, 도 15(b) 에 있어서의 지면의 안측 방향 및 앞측 방향이다. 1 쌍의 측방 홈부 (181a) 의 각각은, 예를 들어, 연결부 (116) 측으로부터 대향부 (115) 의 선단측을 향하여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 홈부 (181b) 는, 1 쌍의 측방 홈부 (181a) 에 있어서의 연결부 (116) 측의 단부끼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이들 단부끼리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연결 홈부 (181b) 는, 대향부 (115a) 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1 쌍의 측방 홈부 (181a) 의 각각은, 서로의 방향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연결 홈부 (181b) 는, 대향부 (115a) 의 선단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대향부 (115a) 는, 평판상의 판상부 (182) 와, 이 판상부 (182) 를 기준으로 하여 타방의 대향부 (115) (이하, 대향부 (115b)) 측에 배치되어 있는 유지 클로부 (183)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유지 클로부 (183) 와 판상부 (182) 사이의 공간 (간극) 이, 유지 홈 (181) 을 구성하고 있다.
유지 클로부 (183) 는, 대향부 (115a)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1 쌍의 측방 클로부 (183a) 와, 1 쌍의 측방 클로부 (183a) 끼리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 클로부 (183b)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1 쌍의 측방 클로부 (183a) 의 각각은, 예를 들어, 대향부 (115a) 에 있어서의 연결부 (116) 측의 부분으로부터 대향부 (115) 의 선단측을 향하여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 클로부 (183b) 는, 1 쌍의 측방 클로부 (183a) 에 있어서의 연결부 (116) 측의 단부끼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이들 단부끼리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대향부 (115a) 의 선기단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측방 클로부 (183a) 의 형상은 L 자상으로 되어 있다 (도 15(c) 참조).
대향부 (115a) 의 폭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연결 클로부 (183b) 의 형상은 L 자상으로 되어 있다 (도시 생략).
유지 클로부 (183) 는, 타방의 대향부 (115b) 와 대향하는 위치에, U 자상의 절결 형상부를 갖는다.
판상부 (182) 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유지 홈 (181) 의 치수는, 본체부 (50) 에 있어서의 시트상의 부분의 두께 치수와 동등하거나, 또는, 당해 시트상의 부분의 두께 치수보다 약간 큰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본체부 (50) 는, 점착층 (112) 은 가지고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여 본체부 (50) 를 대향부 (115a) 에 장착할 수 있다.
먼저, 본체부 (50) 의 시트상의 부분을, 대향부 (115a) 의 선단측으로부터 도 15(b) 에 있어서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대향부 (115a) 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당해 시트상의 부분의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연변부 (53) (도 14(a), 도 14(b) 참조) 를 각각 1 쌍의 측방 홈부 (181a) 에 삽입하고, 이들 연변부 (53) 의 일단끼리를 연결하고 있는 다른 연변부를 연결 홈부 (181b) 에 삽입한다. 이때, 1 쌍의 연변부 (53) 가 1 쌍의 측방 홈부 (181a) 에 대해 슬라이드한다.
이렇게 하여, 도 15(a) 내지 도 15(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 (50) 가 대향부 (115a) 에 장착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본체부 (50) 의 돌기부 (12) 는, 유지 클로부 (183) 의 U 자상의 절결 형상부를 통하여, 타방의 대향부 (115b) 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또, 대향부 (115a) 에 장착된 본체부 (50) 를 도 15(b) 에 있어서의 화살표 B 방향으로, 대향부 (115a) 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본체부 (50) 를 대향부 (115a) 로부터 빼낼 수 있다. 이때에도, 1 쌍의 연변부 (53) 가 1 쌍의 측방 홈부 (181a) 에 대해 슬라이드한다.
예를 들어, 타방의 대향부 (115b) 에 있어서, 일방의 대향부 (115a) 와 대향하는 면에는, 대향부 (115a) 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돌기부 (185)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일방의 대향부 (115a) 에 있어서, 타방의 대향부 (115b) 측과는 반대측의 면 (1151) 에는, 예를 들어, 돌기부 (186) 가 형성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 예로 한정하지 않고, 대향부 (115b) 에는 돌기부 (185) 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 대향부 (115a) 에는 돌기부 (186) 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는, 1 쌍의 대향부 (115) 중 일방의 대향부 (115a) 가, 본체부 (50) 를 유지하는 위한 구조 (유지 홈 (181) 및 유지 클로부 (183)) 를 갖는 예를 설명했지만, 1 쌍의 대향부 (115) 의 쌍방이 유지 홈 (181) 및 유지 클로부 (183) 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도,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장착구 (114) 는, 온열구 (100) 와는 별도로 제공되고, 온열구 (100) 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것이어도 되고, 이 경우, 예를 들어, 본체부 (50) 자체가 온열구 (100) 가 된다.
이와 같이, 1 쌍의 대향부 (115) 의 적어도 일방은, 온열구 (100) 를 유지하는 유지부 (예를 들어 유지 홈 (181) 및 유지 클로부 (183) 에 의해 구성된다) 를 갖는다.
또, 유지부는, 시트상의 온열구 (100) 의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연변부 (53) 를 각각 착탈 가능하게 유지한다.
또, 유지부는, 온열구 (100) 의 1 쌍의 연변부 (53) 를 각각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삽입 발출 가능한 1 쌍의 홈부 (1 쌍의 측방 홈부 (181a)) 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한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변형, 개량 등의 양태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발열재 (30) 는, 피산화성 금속과, 보수제와, 물과,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발열재 (30) 가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발열재 (30) 중의 잉여의 물을 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온열구 (100) 를 포장재로부터 취출하면 신속하게 발열재 (30) 가 발열하도록 할 수 있다.
발열재 (30) 가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 온열구 (100) 는, 상기 서술한 흡수 시트 (40) (도 3) 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발열재 (30) 중의 흡수성 폴리머의 함유량은, 1 질량% 이상 12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질량% 이상 8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발열재 (30) 중의 흡수성 폴리머의 함유량을 1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충분히 흡수를 실시할 수 있다. 또, 발열재 (30) 중의 흡수성 폴리머의 함유량을 12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발열에 기여하는 피산화성 금속의 발열재 (30) 중의 함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장착부 (60) 가 점착성의 1 쌍의 장착 밴드부 (61)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예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포대 등의 띠상체를 사용하여 본체부 (50) 를 다리나 팔 등에 감아, 돌기부 (12) 를 피부에 압접시켜도 된다.
또, 장착부 (60) 는, 사용자의 귀에 걸리는 1 쌍의 귀걸이부를 구비하는 아이 마스크와 같은 형태여도 된다. 즉, 장착부 (60) 는, 1 쌍의 장착 밴드부 (61) 대신에 1 쌍의 귀걸이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의 기술 사상을 포함한다.
<1> 일방의 면측에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고 타방의 면측이 공동으로 되어 있는 돌기부를 갖는 시트와,
상기 돌기부의 상기 공동에 충전되어 있는 발열재를 구비하는 온열구.
<2> 상기 발열재는, 상기 공동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70 % 이상의 영역에 충전되어 있는 <1> 에 기재된 온열구.
<3> 상기 시트는,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직포 시트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1> 또는 <2> 에 기재된 온열구.
<4> 상기 시트는, 당해 시트에 있어서의 일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제 1 상기 부직포 시트와, 당해 시트에 있어서의 타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제 2 상기 부직포 시트와, 상기 제 1 부직포 시트와 상기 제 2 부직포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구성하는 통기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통기 시트는, 상기 제 2 수지 재료보다 고융점의 제 3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3> 에 기재된 온열구.
<5> 상기 시트는, 평탄한 기부와, 상기 돌기부를 갖고,
상기 발열재는, 피산화성 금속과, 보수제와, 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당해 온열구는, 상기 시트의 상기 기부에 대해 상기 타방의 면측에 적층되어 있는 흡수 시트를 구비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온열구.
<6> 상기 발열재는, 피산화성 금속과, 보수제와, 물과,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온열구.
<7> 당해 온열구는, 상기 시트에 대해 상기 타방의 면측에 적층되어 있는 제 2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가 통기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시트의 통기성이 상기 제 2 시트의 통기성보다 높은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온열구.
<8> 상기 돌기부가 피부에 압접되는 상태에서 당해 온열구를 생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구비하는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온열구.
<9> 상기 장착부는, 피부에 점착 고정되는 점착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8> 에 기재된 온열구.
<10> 상기 장착부는, 신축성의 신축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8> 또는 <9> 에 기재된 온열구.
<11> 상기 장착부는, 상기 돌기부를 통하여 생체의 일부분을 탄성 복원력에 의해 협지함으로써 상기 돌기부를 피부에 압접시키는 장착구인 <8> 에 기재된 온열구.
<12> 상기 발열재는, 철과 탄소 성분을 함유하는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온열구.
<13> 상기 철이 피산화성 철인 <12> 에 기재된 온열구.
<14>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온열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프레스에 의해 상기 시트에 상기 돌기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돌기부의 상기 공동에 상기 발열재를 충전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온열구의 제조 방법.
<15> 상기 시트는, 당해 시트에 있어서의 일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제 1 부직포 시트와, 당해 시트에 있어서의 타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제 2 부직포 시트와, 상기 제 1 부직포 시트와 상기 제 2 부직포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구성하는 통기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부직포 시트 및 상기 제 2 부직포 시트의 각각은,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상기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의 제 2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통기 시트는, 상기 제 2 수지 재료보다 고융점의 제 3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스에 의해 상기 시트에 상기 돌기부를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과 상기 제 3 수지 재료의 융점의 중간의 온도에서 상기 시트를 열 프레스하는 <14> 에 기재된 온열구의 제조 방법.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의 기술 사상을 포함한다.
<16> 일방의 면측에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고 타방의 면측이 공동으로 되어 있는 돌기부를 갖는 시트와, 상기 돌기부의 상기 공동에 충전되어 있는 발열재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는,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직포 시트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는, 평탄한 기부와, 상기 돌기부를 갖고, 상기 발열재는, 피산화성 금속과, 보수제와, 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당해 온열구는, 상기 시트의 상기 기부에 대해 상기 타방의 면측에 적층되어 있는 흡수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발열재는, 철과 탄소 성분을 함유하는 온열구.
<17> 상기 돌기부가 피부에 압접되는 상태에서 당해 온열구를 생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구비하는 <16> 에 기재된 온열구.
<18> 상기 장착부는, 피부에 점착 고정되는 점착 시트부와, 신축성의 신축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17> 에 기재된 온열구.
<19> 상기 장착부는, 상기 돌기부를 통하여 생체의 일부분을 탄성 복원력에 의해 협지함으로써 상기 돌기부를 피부에 압접시키는 장착구인 <17> 에 기재된 온열구.
<20> 일방의 면측에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고 타방의 면측이 공동으로 되어 있는 돌기부를 갖는 시트와, 상기 돌기부의 상기 공동에 충전되어 있는 발열재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는,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직포 시트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는, 당해 시트에 있어서의 일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제 1 상기 부직포 시트와, 당해 시트에 있어서의 타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제 2 상기 부직포 시트와, 상기 제 1 부직포 시트와 상기 제 2 부직포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구성하는 통기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통기 시트는, 상기 제 2 수지 재료보다 고융점의 제 3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발열재는, 피산화성 금속과, 보수제와, 물과,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당해 온열구는, 상기 시트에 대해 상기 타방의 면측에 적층되어 있는 제 2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가 통기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시트의 통기성이 상기 제 2 시트의 통기성보다 높고, 상기 발열재는, 철과 탄소 성분을 함유하는 온열구.
<21> 상기 돌기부가 피부에 압접되는 상태에서 당해 온열구를 생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구비하는 <20> 에 기재된 온열구.
<22> 상기 장착부는, 피부에 점착 고정되는 점착 시트부와, 신축성의 신축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21> 에 기재된 온열구.
<23> 상기 장착부는, 상기 돌기부를 통하여 생체의 일부분을 탄성 복원력에 의해 협지함으로써 상기 돌기부를 피부에 압접시키는 장착구인 <21> 에 기재된 온열구.
<24> 상기 발열재는, 상기 공동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90 % 이상의 영역에 충전되어 있는 <1> 내지 <13> 또는 <16> 내지 <2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온열구.
<25> 상기 돌기부의 높이 치수는, 2 mm 이상 1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mm 이상 10 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 mm 이상 8 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1> 내지 <13> 또는 <16> 내지 <2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온열구.
<26> 상기 돌기부의 직경은, 2 mm 이상 38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mm 이상 20 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한 <1> 내지 <13> 또는 <16> 내지 <2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온열구.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의 기술 사상을 포함한다.
〔1〕돌기부를 갖는 온열구를 생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로서,
상기 돌기부를 통하여 생체의 일부분을 탄성 복원력에 의해 협지함으로써, 상기 돌기부를 피부에 압접시키는 장착구.
〔2〕당해 장착구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1 쌍의 대향부와, 이들 대향부끼리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1 쌍의 대향부의 대향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1〕에 기재된 장착구.
〔3〕상기 1 쌍의 대향부의 적어도 일방은, 상기 온열구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는〔2〕에 기재된 장착구.
〔4〕상기 유지부는, 시트상의 상기 온열구의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연변부를 각각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3〕에 기재된 장착구.
〔5〕상기 유지부는, 상기 온열구의 상기 1 쌍의 연변부를 각각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삽입 발출 가능한 1 쌍의 홈부를 갖는〔4〕에 기재된 장착구.
본 출원은, 2017년 4월 2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7-84049호 및 2018년 3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8-60658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의 모두를 여기에 받아들인다.
10 : 시트
10a : 일방의 면
10b : 타방의 면
11 : 기부
12 : 돌기부
12a : 제 1 돌기부
12b : 제 2 돌기부
13 : 공동
15 : 부직포 시트
16 : 통기 시트
17 : 부직포 시트
18, 19 : 부직포 시트
20 : 제 2 시트
30 : 발열재
40 : 흡수 시트
50 : 본체부
51 : 접합부
53 : 연변부
60 : 장착부
61 : 장착 밴드부
63 : 장착부 구성 시트
64 : 점착층
65 : 박리지
66 : 기단부
70 : 제 1 금형
71 : 평탄면
72 : 돌기부
80 : 제 2 금형
81 : 평탄면
82 : 오목부
91 : 피부
100 : 온열구
111 : 베이스 시트
112 : 점착층
113 : 손바닥
114 : 장착구 (장착부)
115, 115a, 115b : 대향부
116 : 연결부
117 : 만곡부
118 : 리브
181 : 유지 홈
181a : 측방 홈부
181b : 연결 홈부
182 : 판상부
183 : 유지 클로부
183a : 측방 클로부
183b : 연결 클로부
185 : 돌기부
186 : 돌기부

Claims (16)

  1. 일방의 면측에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고 타방의 면측이 공동으로 되어 있는 돌기부를 갖는 시트와,
    상기 돌기부의 상기 공동에 충전되어 있는 발열재를 구비하는 온열구로서,
    상기 시트의 상기 돌기부 내에 발열재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면직 방향으로 상기 돌기부를 압압했을 때에, 1 개의 상기 돌기부당, 1 N 의 힘으로는 상기 돌기부가 실질적으로 소성 변형하지 않도록, 상기 돌기부의 내하중성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시트는,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직포 시트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수지 재료의 융점은 상기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보다 높은, 온열구.
  2. 열 프레스에 의해 형성된 돌기부로서 일방의 면측에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고 타방의 면측이 공동으로 되어 있는 돌기부를 갖는 시트와,
    상기 돌기부의 상기 공동에 충전되어 있는 발열재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는,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직포 시트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수지 재료의 융점은 상기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보다 높은, 온열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재는, 상기 공동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70 % 이상의 영역에 충전되어 있는, 온열구.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당해 시트에 있어서의 일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제 1 부직포 시트와, 당해 시트에 있어서의 타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제 2 부직포 시트와, 상기 제 1 부직포 시트와 상기 제 2 부직포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구성하는 통기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통기 시트는, 상기 제 2 수지 재료보다 고융점의 제 3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온열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평탄한 기부와, 상기 돌기부를 갖고,
    상기 발열재는, 피산화성 금속과, 보수제와, 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당해 온열구는, 상기 시트의 상기 기부에 대해 상기 타방의 면측에 적층되어 있는 흡수 시트를 구비하는, 온열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재는, 피산화성 금속과, 보수제와, 물과,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온열구.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당해 온열구는, 상기 시트에 대해 상기 타방의 면측에 적층되어 있는 제 2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가 통기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시트의 통기성이 상기 제 2 시트의 통기성보다 높은, 온열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피부에 압접되는 상태에서 당해 온열구를 생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구비하는, 온열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피부에 점착 고정되는 점착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온열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신축성의 신축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온열구.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돌기부를 통하여 생체의 일부분을 탄성 복원력에 의해 협지함으로써 상기 돌기부를 피부에 압접시키는 장착구인, 온열구.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재는, 철과 탄소 성분을 함유하는, 온열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철이 피산화성 철인, 온열구.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온열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열 프레스에 의해 상기 시트에 상기 돌기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돌기부의 상기 공동에 상기 발열재를 충전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온열구의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당해 시트에 있어서의 일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제 1 부직포 시트와, 당해 시트에 있어서의 타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제 2 부직포 시트와, 상기 제 1 부직포 시트와 상기 제 2 부직포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구성하는 통기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부직포 시트 및 상기 제 2 부직포 시트의 각각은,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상기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의 제 2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통기 시트는, 상기 제 2 수지 재료보다 고융점의 제 3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열 프레스에 의해 상기 시트에 상기 돌기부를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과 상기 제 3 수지 재료의 융점의 중간의 온도에서 상기 시트를 열 프레스하는, 온열구의 제조 방법.
KR1020197018986A 2017-04-20 2018-04-16 온열구 KR102259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84049 2017-04-20
JP2017084049 2017-04-20
JPJP-P-2018-060658 2018-03-27
JP2018060658A JP2018175857A (ja) 2017-04-20 2018-03-27 温熱具
PCT/JP2018/015641 WO2018194005A1 (ja) 2017-04-20 2018-04-16 温熱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965A KR20190089965A (ko) 2019-07-31
KR102259998B1 true KR102259998B1 (ko) 2021-06-02

Family

ID=64280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986A KR102259998B1 (ko) 2017-04-20 2018-04-16 온열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8175857A (ko)
KR (1) KR102259998B1 (ko)
CN (1) CN110536663A (ko)
TW (1) TW20184159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0389A (zh) * 2020-10-16 2021-01-08 上海天意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足底反射弧刺激调节人体脏器功能的烫熨治疗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5082A (ja) * 2004-07-14 2007-10-25 Mycoal Products Corp 発熱パック及びその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728Y2 (ko) * 1986-06-06 1991-03-11
KR940011028B1 (ko) * 1992-07-21 1994-11-22 대우전자 주식회사 무 스위치 고역, 저역통과 여파기형 위상기
US5904710A (en) * 1997-08-21 1999-05-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elastic thermal body wrap
JP2003164501A (ja) * 2001-11-30 2003-06-10 Lion Corp 身体ケア用成型体
JP3725488B2 (ja) * 2002-04-25 2005-12-14 ユニチカ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成型体の製造方法
KR200299946Y1 (ko) * 2002-09-23 2003-01-06 유태우 지압벨트
JP2005111180A (ja) 2003-10-10 2005-04-28 Kao Corp 発熱成形体
EP2254534A1 (en) * 2008-02-25 2010-12-01 McNeil-PPC, Inc. Thermal treatment device
US20100161014A1 (en) * 2008-12-23 2010-06-24 Lynch Joseph M Thermal treatment device
DE202010011657U1 (de) * 2010-08-21 2011-11-30 Friedrich Baur Raumausstattungselement
KR101647369B1 (ko) * 2014-06-02 2016-08-11 (주)에릭스 원적외선 발열 찜질기 및 그 제조방법
JP6586317B2 (ja) * 2015-08-19 2019-10-02 花王株式会社 微細突起具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5082A (ja) * 2004-07-14 2007-10-25 Mycoal Products Corp 発熱パック及びその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36663A (zh) 2019-12-03
KR20190089965A (ko) 2019-07-31
TW201841594A (zh) 2018-12-01
JP2018175857A (ja) 2018-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136060A (ja) マスク用鼻部温熱具
KR102259998B1 (ko) 온열구
KR102259999B1 (ko) 온열구
JP4757062B2 (ja) 生理機能改善器具
TWI808272B (zh) 腳用溫熱貼
EP4140457A1 (en) Heating implement
WO2018194005A1 (ja) 温熱具
CN110536664B (zh) 温热器具
TWI754780B (zh) 溫熱器具
JP2023078617A (ja) 蒸気温熱具
JP7414846B2 (ja) 温熱具
JP7332839B2 (ja) 温熱具
JP5714296B2 (ja) 顔用温熱具
JP2022089420A (ja) 温熱具
JP2009034481A (ja) 発熱組成物の余剰水値の規定方法、含余剰水発熱組成物、発熱体及び発熱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