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5039A - 리튬 복합 산화물,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복합 산화물,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75039A KR20210075039A KR1020210074599A KR20210074599A KR20210075039A KR 20210075039 A KR20210075039 A KR 20210075039A KR 1020210074599 A KR1020210074599 A KR 1020210074599A KR 20210074599 A KR20210074599 A KR 20210074599A KR 20210075039 A KR20210075039 A KR 202100750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tive material
- positive electrode
- electrode active
- lithium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Ti2O4 or LiTi2OxF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복합 산화물, 상기 리튬 복합 산화물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상기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을 사용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튬 복합 산화물, 상기 리튬 복합 산화물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상기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을 사용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전지는 양극과 음극에 전기 화학 반응이 가능한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전력을 저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지 중 대표적인 예로는 양극 및 음극에서 리튬 이온이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될 때의 화학전위(chemical potential)의 차이에 의하여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리튬 이차 전지가 있다.
상기 리튬 이차 전지는 리튬 이온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물질을 양극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하고,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유기 전해액 또는 폴리머 전해액을 충전시켜 제조한다.
리튬 이차 전지의 양극 활물질로는 리튬 복합 산화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예로 LiCoO2, LiMn2O4, LiNiO2, LiMnO2 등의 복합 산화물들이 연구되고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들 중에 LiCoO2은 수명 특성 및 충방전 효율이 우수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원료로서 사용되는 코발트의 자원적 한계로 인해 고가이므로 가격 경쟁력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LiMnO2, LiMn2O4 등의 리튬 망간 산화물은 열적 안전성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용량이 작고, 고온 특성이 열악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LiNiO2계 양극 활물질은 높은 방전용량의 전지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Li과 전이금속 간의 양이온 혼합(cation mixing) 문제로 인해 합성이 어려우며, 그에 따라 레이트(rate) 특성에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양이온 혼합의 심화 정도에 따라 다량의 Li 부산물이 발생하게 되고, 이들 Li 부산물의 대부분은 LiOH 및 Li2CO3의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어서, 양극 페이스트 제조시 겔(gel)화되는 문제점과 전극 제조 후 충방전 진행에 따른 가스 발생의 원인이 된다. 잔류 Li2CO3는 셀의 스웰링 현상을 증가시켜 사이클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배터리가 부풀어 오르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용 리튬 복합 산화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리튬 복합 산화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원에서 정의된 리튬 복합 산화물과 코팅 산화물을 동시에 포함함으로써 고온 저장 안정성 및 수명 특성을 향상된 양극 활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원에서 정의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을 사용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1차 입자 및 상기 1차 입자가 응집하여 형성된 2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 복합 산화물이 제공될 수 있다.
[화학식 1]
LiaNi1-(b+c+d+e)CobM1cM2dWeO2
(여기서,
M1은 Mn 및 Al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M2는 Ti, Zr, Mg, V, B, Mo, Zn, Nb, Ba, Ca, Ta, Fe, Cr, Sn, Hf, Ce, Nd 및 Gd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0.5≤a≤1.5, 0.01≤b≤0.50, 0.01≤c≤0.20, 0≤d≤0.20, 0.001≤e≤0.20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차 입자의 표면부에 존재하는 상기 1차 입자 내 포함된 M2 원소 및 W의 함량(at%)의 합은 Ni의 함량(at%)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원에 정의된 리튬 복합 산화물 및 상기 리튬 복합 산화물을 형성하는 1차 입자 사이의 계면 및 2차 입자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존재하는 코팅 산화물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 산화물은 상기 2차 입자의 표면부로부터 상기 2차 입자의 중심부를 향해 감소하는 농도 구배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코팅 산화물에 의해 전기화학반응 중 양극 활물질의 전체적인 구조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원에 정의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을 사용하는 리튬 이차전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리튬 복합 산화물은 이를 구성하는 2차 입자 의 표면부에 존재하는 1차 입자 내 포함된 도핑 금속의 함량의 합이 Ni의 함량보다 큼으로써 코팅 산화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양극 활물질은 상기 리튬 복합 산화물을 구성하는 1차 입자 사이의 계면 및 상기 1차 입자가 응집하여 형성된 2차 입자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존재하는 코팅 산화물을 포함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을 리튬 이차전지의 양극으로서 사용할 경우 고온 저장 안정성 및 수명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에 대한 투과전자현미경(TEM) 분석 및 TEM/EDS Mapping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에 대한 TEM/EDS Mapping 결과에 따라 측정된 금속 원소(Ni, Co, Al, W)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line sum spectrum)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에 대한 전자투과현미경(TEM)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 중 Li 3a 사이트에 삽입된 Ni 중 일부가 W로 치환된 결정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 중 도핑 금속에 대한 TEM/EDS Mapping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에 대한 TEM/EDS Mapping 결과에 따라 측정된 도핑 금속 원소(Zr, Ti, W)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line sum spectrum)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에 대한 투과전자현미경(TEM) 분석 및 TEM/EDS Mapping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에 대한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에 대한 TEM/EDS Mapping 결과에 따라 측정된 금속 원소(Ni, Co, Al, W)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line sum spectrum)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에 대한 전자투과현미경(TEM)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 중 Li 3a 사이트에 삽입된 Ni 중 일부가 W로 치환된 결정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 중 도핑 금속에 대한 TEM/EDS Mapping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에 대한 TEM/EDS Mapping 결과에 따라 측정된 도핑 금속 원소(Zr, Ti, W)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line sum spectrum)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에 대한 투과전자현미경(TEM) 분석 및 TEM/EDS Mapping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에 대한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리튬 복합 산화물, 상기 리튬 복합 산화물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상기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을 사용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리튬 복합 산화물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1차 입자 및 상기 1차 입자가 응집하여 형성된 2차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 복합 산화물이 제공될 수 있다.
[화학식 1]
LiaNi1-(b+c+d+e)CobM1cM2dWeO2
(여기서, M1은 Mn 및 Al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M2는 Ti, Zr, Mg, V, B, Mo, Zn, Nb, Ba, Ca, Ta, Fe, Cr, Sn, Hf, Ce, Nd 및 Gd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0.5≤a≤1.5, 0.01≤b≤0.50, 0.01≤c≤0.20, 0≤d≤0.20, 0.001≤e≤0.20이다)
본원에서 리튬 복합 산화물은 상기 1차 입자 및 상기 1차 입자 복수 개가 서로 응집(물리적으로 결합)된 응집체를 포함하는 입자로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1차 입자는 막대 형상, 타원 형상 및/또는 부정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1차 입자는 이웃한 1차 입자와 서로 접하여 1차 입자 사이의 계면 또는 결정립계(grain boundary)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입자는 상기 2차 입자의 내부에서 이웃한 1차 입자와 이격되어 내부 공극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1차 입자의 평균 직경은 0.1 μm 내지 6.0 μm 일 수 있으며, 상기 2차 입자의 평균 직경은 6.0 μm 내지 20.0 μm 일 수 있다.이 때, 상기 1차 입자는 이웃한 1차 입자와 서로 접하여 결정립계를 형성하지 않고 내부 공극과 접함으로써 상기 2차 입자 내부에 존재하는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2차 입자의 최표면에 존재하는 상기 1차 입자가 외기(外氣)에 노출된 면은 상기 2차 입자의 표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2차 입자의 표면부에 존재하는 상기 1차 입자 내 포함된 M2 원소 및 W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는 상기 2차 입자의 중심부를 향해 감소하는 농도 구배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1차 입자 내 형성된 M2 원소 및 W의 농도 구배의 방향은 상기 2차 입자의 표면부로부터 상기 2차 입자의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1차 입자 내에는 상기 2차 입자의 중심부를 향해 배열된 리튬 이온의 이동 경로(리튬 이온의 확산 경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도 7 참조), 이를 통해 리튬 복합 산화물 나아가 양극 활물질에 의한 리튬 이온 전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1차 입자 내 포함된 M2 원소 및 W의 농도 구배는 상기 1차 입자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2차 입자의 중심부측보다 상기 2차의 표면부측에서 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2차 입자는 M2 원소의 농도가 서로 상이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W 원소의 농도가 서로 상이한 영역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1차 입자 내 포함된 M2 원소 및 W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상기 2차 입자의 중심부를 향해 감소하는 농도 구배를 나타내는 영역은 제1 영역일 수 있다. 즉, 본원에서 정의된 M2 원소 및/또는 W의 농도 구배는 단일의 1차 입자를 기준으로 나타나는 농도 구배를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리튬 복합 산화물을 형성하는 상기 2차 입자의 최표면으로부터 상기 2차 입자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R이라 할 때, 상기 2차 입자의 최표면으로부터의 거리(R')가 0 내지 0.02R인 영역을 제1 영역이라 정의하면 상기 제1 영역 내 존재하는 M2 원소 및/또는 W는 상기 1차 입자 내에서 상기 2차 입자의 중심부를 향해 감소하는 농도 구배를 나타낼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1 영역 내 존재하는 Ni은 M2 원소 및/또는 W와 반대로 상기 1차 입자 내에서 상기 2차 입자의 중심부를 향해 증가하는 농도 구배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차 입자의 중심부는 상기 2차 입자의 정중심을 지칭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2차 입자의 상기 제1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1차 입자 내 포함된 W의 함량(at%)은 Ni의 함량(at%)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입자 내 M2 원소가 포함될 경우, 상기 2차 입자의 상기 제1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1차 입자 내 포함된 M2 원소 및 W의 함량(at%)의 합은 Ni의 함량(at%)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M2 원소 및/또는 W는 X선 회절 패턴의 리트벨트 분석에 의한 상기 1차 입자 중 Li 3a 사이트 및 3b 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된 Ni과 치환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2차 입자의 상기 제1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1차 입자는 X선 회절 패턴의 리트벨트 분석에 의한 Li 3a 사이트에 삽입된 W의 비율(Wocc)은 Li 3a 사이트에 삽입된 Ni의 비율(Niocc)보다 클 수도 있다. 또한, 상기 1차 입자 내 M2 원소가 포함될 경우, 상기 2차 입자의 상기 제1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1차 입자는 X선 회절 패턴의 리트벨트 분석에 의한 Li 3a 사이트에 삽입된 W의 비율(Wocc) 및 M2 원소의 비율(M2occ)은 Li 3a 사이트에 삽입된 Ni의 비율(Niocc)보다 클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2차 입자의 상기 제1 영역에 존재하는 M2 원소 및/또는 W의 함량(또는 함량의 합)은 단순히 Ni의 함량보다 큰 것이 아니라, X선 회절 패턴의 리트벨트 분석에 의한 Li 3a 사이트에 삽입된 비율이 크기 때문에 상기 1차 입자, 나아가 상기 1차 입자가 응집되어 형성된 상기 2차 입자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제조된 양극 활물질의 전기적 특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M2 원소 및/또는 W와 Ni의 상반된 농도 구배 양태는 상기 제1 영역 내 존재하는 상기 1차 입자 내 포함된 M2 원소 및/또는 W가 상기 리튬 복합 산화물 중 Li 3a 사이트 및 3b 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된 Ni과 치환됨에 따라 나타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영역 내 존재하는 상기 1차 입자 내 포함된 M2 원소 및/또는 W의 농도 변화율은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제2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2차 입자의 최표면으로부터의 거리(R')가 0 내지 0.02R인 영역을 제1 영역이라 정의하면, 상기 2차 입자의 최표면으로부터의 거리(R')가 0.02R 초과 1.0R인 영역을 제2 영역이라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영역 내 존재하는 상기 1차 입자 내 포함된 M2 원소 및/또는 W는 상기 1차 입자 내에서 일정 방향으로 농도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형태의 농도 구배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 내 존재하는 상기 1차 입자 내 M2 원소 및/또는 W의 농도 변화율은 49%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1차 입자 내 포함된 M1 원소 및 Co의 농도 변화율은 49%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리튬 복합 산화물을 구성하는 상기 2차 입자가 M2 원소 및/또는 W의 농도가 서로 상이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획되며, M2 원소 및/또는 W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내에서 다른 양태의 농도 구배를 나타냄으로써 상기 리튬 복합 산화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원에 정의된 리튬 복합 산화물 및 상기 리튬 복합 산화물을 형성하는 1차 입자 사이의 계면 및 2차 입자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존재하는 코팅 산화물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튬 복합 산화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편의상 구체적인 설명을 생락하고, 이하에서는 나머지 전술되지 아니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코팅 산화물은 상기 리튬 복합 산화물을 형성하는 상기 1차 입자 및/또는 상기 2차 입자와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으로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코팅 산화물은 상기 리튬 복합 산화물을 형성하는 상기 1차 입자 사이의 계면 및 상기 2차 입자의 표면을 전체적으로 코팅하거나 상기 리튬 복합 산화물을 형성하는 상기 1차 입자 사이의 계면 및 상기 2차 입자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를 코팅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리튬 복합 산화물을 형성하는 상기 1차 입자 사이의 계면 및 상기 2차 입자의 표면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에 입자상으로 분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양극 활물질은 상술한 코팅 산화물을 포함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으며, 이러한 양극 활물질을 리튬 이차전지에 사용할 경우, 양극 활물질의 고온 저장 안정성 및 수명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 산화물은 상기 양극 활물질 내 리튬 이온의 이동 경로(pathway)로서 작용함으로써 리튬 이차전지의 효율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코팅 산화물은 상기 리튬 복합 산화물을 형성하는 상기 1차 입자 사이의 계면 및 상기 2차 입자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뿐만 아니라, 상기 2차 입자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공극에도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팅 산화물은 하기의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
LifM3gOh
(여기서, M3은 Ti, Zr, Mg, V, B, Mo, Zn, Nb, Ba, Ca, Ta, Fe, Cr, Sn, Hf, Ce, W, Nd 및 Gd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0≤f≤6, 0<g≤6, 0≤h≤10이다)
상기의 화학식 2를 통해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코팅 산화물은 리튬과 M3으로 표시되는 금속 원소가 복합화된 산화물로서, 상기 코팅 산화물은 예를 들어, Li(W)O, Li(Zr)O, Li(Ti)O, Li(B)O, WOx, ZrOx, TiOx 등일 수 있으나, 상술한 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편의상 기재한 것에 불과할 뿐 본원에서 정의된 상기 코팅 산화물은 상술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후술할 실험예에서는 편의상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는 대표적인 코팅 산화물의 몇몇 예시에 대한 실험 결과를 기재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 산화물은 리튬과 M3으로 표시되는 적어도 2종의 원소가 복합화된 산화물이거나, 리튬과 M3으로 표시되는 적어도 2종의 원소가 복합화된 산화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튬과 M3으로 표시되는 적어도 2종의 원소가 복합화된 코팅 산화물은 예를 들어, Li(W/Ti)O, Li(W/Zr)O, Li(W/Ti/Zr)O, Li(W/Ti/B)O 등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경우, 텅스텐 산화물 내 적어도 1종의 금속 원소가 도핑된 격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의 코팅 산화물은 텅스텐 산화물(예를 들어, Li2WO4, Li2W2O7, Li4WO5, Li6WO6 또는 Li6W2O9)이 형성하는 격자 구조 내 텅스텐 중 일부가 금속 원소로 치환된 격자 구조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격자 구조 내 텅스텐을 치환하는 금속 원소로는 Ti, Zr, Mg, V, B, Mo, Zn, Nb, Ba, Ca, Ta, Fe, Cr, Sn, Hf, Ce, Nd 및 Gd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 산화물은 상기 리튬 복합 산화물을 형성하는 상기 2차 입자의 표면부로부터 상기 2차 입자의 중심부를 향해 감소하는 농도 구배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팅 산화물의 농도는 상기 2차 입자의 최표면으로부터 상기 2차 입자의 중심부를 향해 감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코팅 산화물이 상기 리튬 복합 산화물을 형성하는 상기 2차 입자의 표면부로부터 상기 2차 입자의 중심부를 향해 감소하는 농도 구배를 나타냄으로써 상기 양극 활물질의 표면에 존재하는 잔류 리튬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미반응 잔류 리튬에 의한 부반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코팅 산화물에 의해 상기 양극 활물질의 표면 내측 영역에서의 결정성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팅 산화물에 의해 전기화학반응 중 양극 활물질의 전체적인 구조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 산화물은 하기의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제1 코팅 산화물 및 하기의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제2 코팅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LiiWjOk
(여기서, 0≤i≤6, 0<j≤6, 0<k≤10이다)
[화학식 4]
LilM4mOn
(여기서, M4는 Ti, Zr, Mg, V, B, Mo, Zn, Nb, Ba, Ca, Ta, Fe, Cr, Sn, Hf, Ce, Nd 및 Gd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0≤l≤6, 0<m≤6, 0<n≤10이다)
이 때, 상기 제1 코팅 산화물 및 상기 제2 코팅 산화물은 상기 리튬 복합 산화물을 형성하는 상기 2차 입자의 표면부로부터 상기 2차 입자의 중심부를 향해 감소하는 농도 구배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팅 산화물의 농도는 상기 2차 입자의 최표면으로부터 상기 2차 입자의 중심부를 향해 감소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코팅 산화물의 농도 감소율은 상기 제1 코팅 산화물의 농도 감소율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 코팅 산화물의 농도 감소율이 상기 제1 코팅 산화물의 농도 감소율보다 큼으로써 코팅 산화물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의 구조적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활물질 내 효율적인 리튬 이온의 이동 경로(pathway)를 형성함으로써 리튬 이차전지의 효율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을 리튬 이차전지의 양극으로서 사용할 경우 고온 저장 안정성 및 수명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코팅 산화물은 하기의 하기의 화학식 5로 표시되는 지르코늄 산화물 및 하기의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티탄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5]
LioZrpOq
(여기서, 0≤o≤6, 0<p≤6, 0<q≤10이다)
[화학식 6]
LirTisOt
(여기서, 0≤r≤6, 0<s≤6, 0<t≤10이다)
상기의 화학식 5로 표시되는 지르코늄 산화물과 상기의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티탄 산화물은 상기의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텅스텐 산화물과 함께 상기 양극 활물질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상기 양극 활물질 내 효율적인 리튬 이온의 이동 경로(pathway)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르코늄 산화물 및 상기 티탄 산화물은 상기 텅스텐 산화물과 마찬가지로 상기 리튬 복합 산화물을 형성하는 상기 2차 입자의 표면부로부터 상기 2차 입자의 중심부를 향해 감소하는 농도 구배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르코늄 산화물 및 상기 티탄 산화물의 농도는 상기 2차 입자의 최표면으로부터 상기 2차 입자의 중심부를 향해 감소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텅스텐 산화물과 함께 상기 지르코늄 산화물 및 상기 티탄 산화물을 동시에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의 구조적 안정성 및 결정성 유지 등을 위해 상기 지르코늄 산화물의 농도 감소율은 상기 티탄 산화물의 농도 감소율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리튬 이차전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양극 집전체 상에 형성된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양극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극 활물질층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양극 활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양극 활물질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편의상 구체적인 설명을 생락하고, 이하에서는 나머지 전술되지 아니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스틸 표면에 탄소,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집전체는 통상적으로 3 내지 5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집전체 표면 상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양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층은 상기 양극 활물질과 함께 도전재 및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양극 활물질은 양극 활물질층 총 중량에 대하여 80 내지 99 wt%, 보다 구체적으로는 85 내지 98.5 wt%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함량범위로 포함될 때 우수한 용량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전재는 전극에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되는 전지에 있어서, 화학변화를 야기하지 않고 전자 전도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카본 블랙, 아세틸렌블랙, 케첸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탄소섬유 등의 탄소계 물질; 구리, 니켈, 알루미늄, 은 등의 금속 분말 또는 금속 섬유;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또는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전도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양극 활물질층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 wt%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양극 활물질 입자들 간의 부착 및 양극 활물질과 집전체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PVDF-co-HFP),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폴리머(EPDM), 술폰화-EPDM,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불소 고무, 또는 이들의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양극 활물질층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 wt%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양극은 상기한 양극 활물질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의 양극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양극 활물질 및 선택적으로, 바인더 및 도전재를 용매 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제조한 양극 활물질층 형성용 조성물을 양극 집전체 상에 도포한 후, 건조 및 압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매일 수 있으며, 디메틸셀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N-메틸피롤리돈(NMP), 아세톤(acetone) 또는 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사용량은 슬러리의 도포 두께, 제조 수율을 고려하여 상기 양극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를 용해 또는 분산시키고, 이후 양극제조를 위한 도포시 우수한 두께 균일도를 나타낼 수 있는 점도를 갖도록 하는 정도면 충분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상기 양극 활물질층 형성용 조성물을 별도의 지지체 상에 캐스팅한 다음, 이 지지체로부터 박리하여 얻은 필름을 양극 집전체 상에 라미네이션함으로써 제조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양극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기화학소자는 구체적으로 전지, 커패시터 등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구체적으로, 양극, 상기 양극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 및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극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편의상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전술되지 아니한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상기 양극, 상기 음극 및 상기 분리막의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는 전지용기 및 상기 전지용기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극은 음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 상에 위치하는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레스 스틸의 표면에 탄소,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 집전체는 통상적으로 3 μm 내지 500 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양극 집전체와 마찬가지로, 상기 집전체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음극 활물질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층은 음극 활물질과 함께 선택적으로 바인더 및 도전재를 포함한다.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리튬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인조흑연, 천연흑연, 흑연화 탄소섬유, 비정질탄소 등의 탄소질 재료; Si, Al, Sn, Pb, Zn, Bi, In, Mg, Ga, Cd, Si합금, Sn합금 또는 Al합금 등 리튬과 합금화가 가능한 금속질 화합물; SiOβ (0 < β < 2), SnO2, 바나듐 산화물, 리튬 바나듐 산화물과 같이 리튬을 도프 및 탈도프할 수 있는 금속산화물; 또는 Si-C 복합체 또는 Sn-C 복합체과 같이 상기 금속질 화합물과 탄소질 재료를 포함하는 복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 활물질로서 금속 리튬 박막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탄소재료는 저결정 탄소 및 고결정성 탄소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저결정성 탄소로는 연화탄소 (soft carbon) 및 경화탄소 (hard carbon)가 대표적이며, 고결정성 탄소로는 무정형, 판상, 인편상, 구형 또는 섬유형의 천연 흑연 또는 인조 흑연, 키시흑연 (Kish graphite), 열분해 탄소 (pyrolytic carbon), 액정피치계 탄소섬유 (mesophase pitch based carbon fiber), 탄소 미소구체 (meso-carbon microbeads), 액정피치 (Mesophase pitches) 및 석유와 석탄계 코크스 (petroleum or coal tar pitch derived cokes) 등의 고온 소성탄소가 대표적이다.
상기 음극 활물질은 음극 활물질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80 내지 99 wt%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도전재, 활물질 및 집전체 간의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음극 활물질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wt%로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바인더의 예로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폴리머(EPDM), 술폰화-EPDM,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불소 고무, 이들의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음극 활물질의 도전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으로서, 음극 활물질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wt% 이하, 바람직하게는 5 wt% 이하로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멀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키; 산화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층은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 및 선택적으로 바인더 및 도전재를 용매 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제조한 음극 활물질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제조되거나, 또는 상기 음극 활물질층 형성용 조성물을 별도의 지지체 상에 캐스팅한 다음, 이 지지체로부터 박리하여 얻은 필름을 음극 집전체 상에 라미네이션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층은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활물질, 및 선택적으로 바인더 및 도전재를 용매 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제조한 음극 활물질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하거나, 또는 상기 음극 활물질층 형성용 조성물을 별도의 지지체 상에 캐스팅한 다음, 이 지지체로부터 박리하여 얻은 필름을 음극 집전체 상에 라미네이션함으로써 제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분리막은 음극과 양극을 분리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통상 리튬 이차전지에서 분리막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며, 특히 전해질의 이온 이동에 대하여 저저항이면서 전해액 함습 능력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다공성 고분자 필름, 예를 들어 에틸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고분자 필름 또는 이들의 2층 이상의 적층 구조체가 사용될 수 있다. 또 통상적인 다공성 부직포, 예를 들어 고융점의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등으로 된 부직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내열성 또는 기계적 강도 확보를 위해 세라믹 성분 또는 고분자 물질이 포함된 코팅된 분리막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선택적으로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해질로는 리튬 이차전지 제조시 사용 가능한 유기계 액체 전해질, 무기계 액체 전해질, 고체 고분자 전해질, 겔형 고분자 전해질, 고체 무기 전해질, 용융형 무기 전해질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해질은 유기 용매 및 리튬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로는 전지의 전기 화학적 반응에 관여하는 이온들이 이동할 수 있는 매질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 용매로는, 메틸 아세테이트(methyl acetat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γ-부티로락톤(γ-butyrolactone), ε-카프로락톤(ε-caprolactone)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디부틸 에테르(dibutyl ether) 또는 테트라히드로퓨란(tetrahydrofuran) 등의 에테르계 용매; 시클로헥사논(cyclohexanone) 등의 케톤계 용매; 벤젠(benzene), 플루오로벤젠(fluorobenzene)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carbonate, DMC), 디에틸카보네이트(diethylcarbonate, DEC), 메틸에틸카보네이트(methylethylcarbonate, ME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thylmethylcarbonate, EMC), 에틸렌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EC),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PC) 등의 카보네이트계 용매;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R-CN (R은 탄소수 2 내지 20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 구조의 탄화수소기이며, 이중결합 방향 환 또는 에테르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등의 니트릴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1,3-디옥솔란 등의 디옥솔란류; 또는 설포란(sulfolane)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중에서도 카보네이트계 용매가 바람직하고, 전지의 충방전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높은 이온전도도 및 고유전율을 갖는 환형 카보네이트(예를 들면, 에틸렌카보네이트 또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등)와, 저점도의 선형 카보네이트계 화합물(예를 들면, 에틸메틸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또는 디에틸카보네이트 등)의 혼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환형 카보네이트와 사슬형 카보네이트는 약 1:1 내지 약 1:9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전해액의 성능이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은 리튬 이차전지에서 사용되는 리튬 이온을 제공할 수 있는 화합물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튬염은, LiPF6, LiClO4, LiAsF6, LiBF4, LiSbF6, LiAl04, LiAlCl4, LiCF3SO3, LiC4F9SO3, LiN(C2F5SO3)2, LiN(C2F5SO2)2, LiN(CF3SO2)2. LiCl, LiI, 또는 LiB(C2O4)2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의 농도는 0.1 내지 2.0 M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튬염의 농도가 상기 범위에 포함되면, 전해질이 적절한 전도도 및 점도를 가지므로 우수한 전해질 성능을 나타낼 수 있고, 리튬 이온이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에는 상기 전해질 구성 성분들 외에도 전지의 수명특성 향상, 전지 용량 감소 억제, 전지의 방전 용량 향상 등을 목적으로 예를 들어, 디플루오로 에틸렌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할로알킬렌카보네이트계 화합물, 피리딘, 트리에틸포스파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환상 에테르, 에틸렌 디아민, n-글라임(glyme), 헥사인산 트리아미드, 니트로벤젠 유도체, 유황, 퀴논 이민 염료, N-치환 옥사졸리디논, N,N-치환 이미다졸리딘, 에틸렌 글리콜 디알킬 에테르, 암모늄염, 피롤, 2-메톡시 에탄올 또는 삼염화 알루미늄 등의 첨가제가 1종 이상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첨가제는 전해질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wt%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는 우수한 방전 용량, 출력 특성 및 수명 특성을 안정적으로 나타내기 때문에, 휴대전화,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등의 휴대용 기기, 및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등의 전기 자동차 분야 등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외형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캔을 사용한 원통형, 각형, 파우치(pouch)형 또는 코인(coin)형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리튬 이차전지는 소형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전지셀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전지셀들을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모듈에 단위전지로도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튬 이차전지를 단위 셀로 포함하는 전지 모듈 및/또는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지모듈 또는 상기 전지팩은 파워 툴(Power Tool);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를 포함하는 전기차; 또는 전력 저장용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중대형 디바이스 전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주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할 것이다.
실험예 1.
(1) 양극 활물질의 제조
실시예 1
공침법(co-precipitation method)에 의해 구형의 Ni0.92Co0.08(OH)2 수산화물 전구체를 합성하였다. 90L 급의 반응기에서 NiSO4·7H2O 및 CoSO4·7H2O를 92:8의 몰비로 혼합한 1.5 M의 복합 전이금속 황산 수용액에 25 wt%의 NaOH와 30 wt%의 NH4OH를 투입하였다. 반응기 내의 pH는 11.5를 유지시켰고 이때의 반응기 온도는 60 ℃로 유지하였으며, 불활성 가스인 N2를 반응기에 투입하여, 제조된 전구체가 산화되지 않도록 하였다. 합성 교반 완료 후, Filter press (F/P) 장비를 이용하여 세척 및 탈수를 진행하여, Ni0.92Co0.08(OH)2 수산화물 전구체를 수득하였다.
수산화물 전구체를 Li 함유 원료 물질인 LiOH 및 Al 함유 원료물질인 Al2O3와 함께 믹서를 사용하여 혼합하였고 소성로에서 O2 분위기를 유지하며 분당 1 ℃로 승온하여 열처리 온도 650 ℃에서 10시간 유지한 후 자연 냉각하였다. 얻어진 양극 활물질을 W 함유 원료 물질(WO3)과 함께 믹서를 사용하여 혼합하였다. 동일한 소성로에서 O2 분위기를 유지하며, 분당 2℃로 승온하여 열처리 온도 600 ℃에서 5시간 유지한 후 자연 냉각하였다. 이어서, 상기와 동일한 조건 하에서 열처리 및 냉각을 1회 추가적으로 수행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양극 활물질이 Li1.05Ni0.9060Co0.0790Al0.0140W0.0010O2 조성식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제조된 양극 활물질이 Li1.04Ni0.9020Co0.0790Al0.0140W0.0050O2 조성식을 갖도록 양극 활물질을 W 함유 원료 물질(WO3)와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제조된 양극 활물질이 Li1.03Ni0.8970Co0.0790Al0.0140W0.010O2 조성식을 갖도록 양극 활물질을 W 함유 원료 물질(WO3)와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제조된 양극 활물질이 Li1.04Ni0.9037Co0.0786Al0.0138W0.0029B0.001O2 조성식을 갖도록 양극 활물질을 W 함유 원료 물질(WO3) 및 B 함유 원료 물질(B2O3)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제조된 양극 활물질이 Li1.06Ni0.9029Co0.0788Al0.0142W0.0031Nb0.001O2 조성식을 갖도록 B 함유 원료 물질(B2O3) 대신 Nb 함유 원료 물질(Nb2O5)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제조된 양극 활물질이 Li1.04Ni0.9034Co0.0787Al0.0138W0.003Ce0.0011O2 조성식을 갖도록 B 함유 원료 물질(B2O3) 대신 Ce 함유 원료 물질(CeO2)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제조된 양극 활물질이 Li1.03Ni0.9030Co0.0789Al0.0143W0.0028Ti0.001O2 조성식을 갖도록 B 함유 원료 물질(B2O3) 대신 Ti 함유 원료 물질(TiO2)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제조된 양극 활물질이 Li1.06Ni0.9032Co0.0787Al0.0141W0.003Zr0.001O2 조성식을 갖도록 B 함유 원료 물질(B2O3) 대신 Zr 함유 원료 물질(ZrO2)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제조된 양극 활물질이 Li1.06Ni0.9027Co0.0787Al0.0141W0.0031Ti0.0009Zr0.0005O2 조성식을 갖도록 B 함유 원료 물질(B2O3) 대신 Zr 함유 원료 물질(ZrO2) 및 Ti 함유 원료 물질(TiO2)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에서 양극 활물질을 W 함유 원료 물질(WO3)과 혼합한 후 600℃에서 1회만 열처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양극 활물질과 W 함유 원료 물질(WO3)을 혼합한 후 700 ℃에서 열처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양극 활물질과 W 함유 원료 물질(WO3)을 혼합한 후 700 ℃에서 1회만 열처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7에서 양극 활물질과 W 함유 원료 물질(WO3) 및 Ti 함유 원료 물질(TiO2)을 혼합한 후 700 ℃에서 1회만 열처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8에서 양극 활물질과 W 함유 원료 물질(WO3) 및 Zr 함유 원료 물질(ZrO2)을 혼합한 후 700 ℃에서 1회만 열처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2) 양극 활물질의 SEM 및 TEM 분석
도 1 내지 도 5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을 구성하는 1차 입자에 대한 투과전자현미경(TEM) 분석 및 TEM/EDS Mapping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TEM/EDS Mapping 결과에 따라 측정된 금속 원소(Ni, Co, Al, W)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line sum spectrum)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양극 활물질을 구성하는 1차 입자의 최표면으로부터 일부분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2 내지 도 5는 각각 도 1에 나타낸 1차 입자에 존재하는 Ni, Co, Al 및 W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양극 활물질의 표면부에 위치하는 1차 입자 내 포함된 W는 2차 입자의 표면부(우측)로부터 2차 입자의 중심부(좌측)를 향해 감소하는 농도 구배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 Ni은 2차 입자의 표면부로부터 2차 입자의 중심부를 향해 증가하는 농도 구배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양극 활물질 중 Co 및 Al은 Ni 및 W와 달리 2차 입자 내에서 농도 변화의 편차가 크지 않거나 농도 구배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에 대한 전자투과현미경(TEM)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양극 활물질 중 Li 3a 사이트에 삽입된 Ni 중 일부가 W로 치환된 결정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의 1차 입자 표면에 Ni-O층(cation mixing layer)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도 8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Ni2+가 Li+의 3a 사이트를 점유함을 의미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 내 형성된 리튬 이온 확산 경로가 모두 장축 방향으로 등방향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양극 활물질 내 리튬 이온이 다방향으로 확산되지 않고 일 방향으로 집중되어 확산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양극 활물질에 의한 리튬 이온의 전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구체적인 실험 결과와 함께 후술하겠으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을 구성하는 1차 입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Li 3a 사이트에 삽입된 Ni 중 일부가 W 및 W 이외의 도핑 금속으로 치환된 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양극 활물질의 표면부에 위치하는 1차 입자의 Li 3a 사이트에 삽입된 W 및 W 이외의 도핑 금속의 비율의 합은 Ni의 비율보다 클 수도 있다.
도 9는 실시예 7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을 구성하는 1차 입자 중 도핑 금속인 Ti에 대한 TEM/EDS Mapping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도 10은 실시예 8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을 구성하는 1차 입자 중 도핑 금속인 Zr에 대한 TEM/EDS Mapping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양극 활물질의 표면부에 위치하는 1차 입자 내 포함된 Ti 및 Zr 역시 도 5에 나타낸 W와 마찬가지로 2차 입자의 표면부(좌측)로부터 2차 입자의 중심부(우측)를 향해 감소하는 농도 구배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실시예 9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을 구성하는 1차 입자에 대한 TEM/EDS Mapping 결과에 따라 측정된 도핑 금속 원소(Zr, Ti, W)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line sum spectrum)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 9에서 제조된 양극 활물질의 표면부에 위치하는 1차 입자 내 포함된 Zr, Ti 및 W는 2차 입자의 표면부로부터 2차 입자의 중심부를 향해 감소하는 농도 구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때 Ti 및 Zr의 경우, 2차 입자의 표면부에서 위치하는 1차 입자에서의 농도 감소율이 W 보다 크며, 2차 입자의 표면부에서 위치하는 1차 입자에서의 Zr의 농도 감소율은 Ti 농도 감소율보다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결과는, 리튬 복합 산화물을 형성하는 상기 1차 입자 내 W, Ti 및 Zr의 농도 구배뿐만 아니라 리튬 복합 산화물을 형성하는 1차 입자 사이의 계면 및 상기 1차 입자가 응집하여 형성된 2차 입자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존재하는 코팅 산화물의 농도 구배에 의한 영향일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는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에 대한 투과전자현미경(TEM) 분석 및 TEM/EDS Mapping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양극 활물질을 구성하는 1차 입자의 최표면으로부터 일부분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1차 입자에 존재하는 W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양극 활물질과 달리 1차 입자 중 W가 2차 입자의 표면부(우하단)로부터 2차 입자의 중심부(좌상단)를 향해 감소하는 농도 구배를 나타내고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는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의 표면부에 위치하는 1차 입자 내 포함된 도핑 금속인 Ti에 대한 TEM/EDS Mapping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도 15는 비교예 3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의 표면부에 위치하는 1차 입자 내 포함된 중 도핑 금속인 Zr에 대한 TEM/EDS Mapping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Ti 및 Zr 역시 도 11에 나타낸 W와 마찬가지로 2차 입자의 표면부(우하단)로부터 2차 입자의 중심부(좌상단)를 향해 감소하는 농도 구배를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의 표면부(2차 입자의 최표면으로부터 0.05 μm까지의 영역)에 대한 TEM/EDS Mapping 결과 측정된 Ni 및 도핑 금속의 평균 함량을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 Ni (at%) |
dopant | ||||||
W (at%) |
B (at%) |
Nb (at%) |
Ce (at%) |
Ti (at%) |
Zr (at%) |
Sum (at%) |
||
실시예 1 | 29.5 | 41.4 | - | - | - | - | - | 41.4 |
실시예 2 | 28.8 | 43.6 | - | - | - | - | - | 43.6 |
실시예 3 | 26.7 | 46.8 | - | - | - | - | - | 46.8 |
실시예 4 | 30.1 | 42.5 | 10.3 | - | - | - | - | 52.8 |
실시예 5 | 27.4 | 43.1 | - | 10.2 | - | - | - | 53.1 |
실시예 6 | 29.6 | 42.1 | - | - | 9.7 | - | - | 51.8 |
실시예 7 | 28.7 | 42.8 | - | - | - | 18.5 | - | 61.3 |
실시예 8 | 29.3 | 41.9 | - | - | - | - | 19.2 | 61.1 |
실시예 9 | 29.6 | 42.2 | - | - | - | 17.3 | 18.5 | 78.0 |
실시예 10 | 30.3 | 39.3 | - | - | - | - | - | 39.3 |
비교예 1 | 32.4 | 25.3 | - | - | - | - | - | 25.3 |
비교예 2 | 33.5 | 24.9 | - | - | - | - | - | 24.9 |
비교예 3 | 33.9 | 24.1 | - | - | - | 7.1 | - | 31.2 |
비교예 4 | 34.6 | 25.3 | - | - | - | - | 7.9 | 33.2 |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의 경우, 양극 활물질의 표면부(2차 입자의 최표면으로부터 0.05 μm까지의 영역) 영역 내 존재하는 1차 입자 내 포함된 도핑 금속의 평균 함량의 합은 Ni의 평균 함량보다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의 경우, 양극 활물질의 표면부(2차 입자의 최표면으로부터 0.05 μm까지의 영역) 영역 내 존재하는 1차 입자 내 포함된 도핑 금속의 평균 함량의 합은 Ni의 평균 함량보다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양극 활물질의 XRD 분석
X선 회절 패턴의 리트벨트 분석을 통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의 Li 3a 사이트에 삽입된 Ni 금속의 점유율(또는 함량; occupancy)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X선 회절 패턴의 리트벨트 분석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의 표면부(2차 입자의 최표면으로부터 0.05 μm까지의 영역)에 대하여 수행되었다.
구분 | W 함량 (mol%) |
Niocc in 3a site (%) |
d(003) (Å) |
실시예 1 | 0.1 | 1.34 | 4.7293 |
실시예 2 | 0.5 | 1.31 | 4.7300 |
실시예 3 | 1.0 | 1.28 | 4.7302 |
실시예 4 | 0.29 | 1.32 | 4.7296 |
실시예 5 | 0.31 | 1.31 | 4.7296 |
실시예 6 | 0.3 | 1.32 | 4.7298 |
실시예 7 | 0.28 | 1.33 | 4.7297 |
실시예 8 | 0.3 | 1.32 | 4.7301 |
실시예 9 | 0.3 | 1.31 | 4.7299 |
실시예 10 | 0.1 | 1.35 | 4.7294 |
비교예 1 | 0.1 | 1.38 | 4.7292 |
비교예 2 | 0.1 | 1.40 | 4.7291 |
비교예 3 | 0.28 | 1.39 | 4.7291 |
비교예 4 | 0.3 | 1.38 | 4.7292 |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의 경우, 양극 활물질의 표면부(2차 입자의 최표면으로부터 0.05 μm까지의 영역) 영역 내 존재하는 1차 입자의 Li 3a 사이트에 삽입된 Ni의 점유율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의 표면부(2차 입자의 최표면으로부터 0.05 μm까지의 영역) 영역 내 존재하는 1차 입자의 Li 3a 사이트에 삽입된 Ni의 점유율보다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표 2의 결과를 통해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비교하면, 양극 활물질에 존재하는 W 함량이 동일 또는 유사할지라도 양극 활물질 중 W가 존재하는 영역이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다. 양극 활물질의 표면부에 존재하는 W 중 일부는 Li 3a 사이트에 삽입된 Ni과 치환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Li 3a 사이트에 삽입된 Ni의 점유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도 8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특히 양극 활물질의 표면부에 존재하는 W 중 일부가 Li 3a 사이트에 삽입된 Ni과 치환됨에 따른 결과일 수 있다. 또한, 표 2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실시예들에 따른 양극 활물질이 비교예들에 따른 양극 활물질보다 Li 3a 사이트 및/또는 3b 사이트에 삽입된 W 함량이 큰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9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에 대하여 X선 회절(XRD) 분석을 수행하여 양극 활물질 중 코팅 산화물 및 합금 산화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XRD 분석은 Cu Kαradiation(1.540598Å)을 이용한 Bruker D8 Advance 회절계(diffractometer)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도 16 내지 도 18은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9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에 대한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양극 활물질 중 코팅 산화물인 Li4WO5에 상응하는 특성 피크가 확인되며, 특히, (220) 피크는 쉬프트(shift)되지 않았으나, (111) 및 (200) 피크가 특이적으로 저각(low angle)측 쉬프트(shift)됨에 따라 Li4WO5가 형성하는 격자 구조 내 텅스텐 중 일부가 Ti로 치환된 이종의 코팅 산화물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17을 참조하면, 양극 활물질 중 코팅 산화물인 Li4WO5에 상응하는 특성 피크가 확인되며, 특히, (111), (200) 및 (220) 피크가 특이적으로 저각(low angle)측 쉬프트(shift)됨에 따라 Li4WO5가 형성하는 격자 구조 내 텅스텐 중 일부가 Zr로 치환된 이종의 코팅 산화물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8을을 참조하면, NCA 조성의 양극 활물질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양극 활물질 내 Li4WO5, Li6WO6, LiTiO2, Li4TiO4 및 Li4ZrO4에 해당하는 피크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4) 양극 활물질의 미반응 리튬 측정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에 대한 미반응 리튬 측정은 pH 적정(pH titration)에 의해 pH 4가 될 때까지 사용된 0.1M HCl의 양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 각각 5 g을 DIW 100 ml에 넣고 15 분간 교반한 뒤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용액 50 ml를 취한 후 여기에 0.1 M HCl을 가하여 pH 변화에 따른 HCl 소모량을 측정하여 Q1 및 Q2를 결정하고, 이를 통해 미반응 LiOH 및 Li2CO3을 계산하였다.
M1 = 23.95 (LiOH Molecular weight)
M2 = 73.89 (Li2CO3 Molecular weight)
SPL Size = (Sample weight Х Solution Weight) / Water Weight
LiOH (wt%) = [(Q1-Q2)ХCХM1Х100]/(SPL Size Х1000)
Li2CO3 (wt%) = [2ХQ2ХCХM2/2Х100]/(SPL SizeХ1000)
상기 계산식을 통해 측정된 미반응 리튬의 측정 결과는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 LiOH (ppm) | Li2CO3 (ppm) |
실시예 1 | 3,943 | 6,257 |
실시예 2 | 3,011 | 5,829 |
실시예 3 | 2,011 | 5,624 |
실시예 4 | 5,306 | 6,982 |
실시예 5 | 5,137 | 7,050 |
실시예 6 | 4,985 | 7,438 |
실시예 7 | 5,573 | 6,781 |
실시예 8 | 4,635 | 6,411 |
실시예 9 | 2,762 | 5,309 |
실시예 10 | 3,718 | 6.129 |
비교예 1 | 6,758 | 6,428 |
비교예 2 | 7,100 | 6,324 |
비교예 3 | 10,590 | 6,894 |
비교예 4 | 9,892 | 6,357 |
상기 표 3의 결과를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 대비 잔류 리튬의 양이 크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1)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 각각 94 wt%, 카본 블랙 (carbon black) 3 wt%, PVDF 바인더 3 wt%를 N-메틸-2 피롤리돈(NMP) 30 g에 분산시켜 양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 슬러리를 두께 15 μm의 양극 집전체인 알루미늄(Al) 박막에 도포 및 건조하고 롤 프레스(roll press)를 실시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양극의 로딩 레벨은 10 mg/cm2이고, 전극 밀도는 3.2 g/cm3이었다.
상기 양극에 대하여 금속 리튬을 대극(counter electrode)으로 하였으며, 전해액으로는 에틸렌카보네이트(EC),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및 디메틸카보네이트(DMC)를 2:4:4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매에 1.15M LiPF6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다공질 폴리에틸렌(PE) 필름으로 이루어진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전지 조립체를 형성하고, 상기 전해액을 주입하여 리튬 이차 전지(코인 셀)를 제조하였다.
(2) 리튬 이차전지 용량 특성 평가
상기에서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코인 셀)에 대하여 25 ℃에서 0.15 C의 정전류(CC)로 4.25 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이후 4.25 V의 정전압(CV)으로 충전하여 충전전류가 0.05 mAh가 될 때까지 1회째 충전을 행하였다. 이후 20 분간 방치한 다음 0.1 C의 정전류로 3.0 V가 될 때까지 방전하여 1사이클째의 방전 용량을 측정하였다. 제1 충방전시의 충전용량, 방전용량 및 충방전 효율을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 충전용량(mAh/g) | 방전용량(mAh/g) | 충방전 효율(%) |
실시예 1 | 234.2 | 208.9 | 89.2% |
실시예 2 | 233.1 | 210.3 | 90.2% |
실시예 3 | 230.1 | 205.0 | 89.1% |
실시예 4 | 233.9 | 211.4 | 90.4% |
실시예 5 | 233.5 | 207.5 | 88.9% |
실시예 6 | 233.9 | 211.6 | 90.5% |
실시예 7 | 233.8 | 211.1 | 90.3% |
실시예 8 | 233.8 | 211.0 | 90.3% |
실시예 9 | 233.7 | 211.5 | 90.5% |
실시예 10 | 233.8 | 211.2 | 90.4% |
비교예 1 | 233.5 | 204.2 | 87.4% |
비교예 2 | 233.6 | 204.5 | 87.5% |
비교예 3 | 233.9 | 203.9 | 87.2% |
비교예 4 | 233.2 | 204.1 | 87.5% |
상기 표 4의 결과를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을 사용한 리튬 이차전지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을 사용한 리튬 이차전지 대비 충방전 효율 및 용량 특성 측면에서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리튬 이차전지 안정성 평가
상기에서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코인 셀)에 대하여 25 ℃에서 1 C의 정전류(CC)로 3.0 내지 4.25 V 구동 전압 범위 내에서 충/방전을 100회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상온에서의 충방전 100회 실시 후 초기 용량에 대한 100 사이클째의 방전 용량의 비율인 사이클 용량 유지율(capacity retention)을 측정하였다.
또한, 리튬 이차전지의 고온 저장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25 ℃에서 충방전한 전지를 SOC 100%를 기준으로 충전하여 저항을 측정한 후 60 ℃에서 7일 동안 저장 후 저항을 측정하여 저항의 변화 폭을 확인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는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 용량 유지율(%) | 고온 저장 전 저항(Ω) | 고온 저장 후 저항(Ω) |
실시예 1 | 87.4% | 5.1 | 24.7 |
실시예 2 | 92.1% | 4.0 | 14.1 |
실시예 3 | 92.7% | 4.3 | 13.9 |
실시예 4 | 87.8% | 4.3 | 27.5 |
실시예 5 | 88.6% | 4.2 | 33.8 |
실시예 6 | 90.0% | 2.9 | 19.9 |
실시예 7 | 90.1% | 3.0 | 16.8 |
실시예 8 | 91.8% | 3.0 | 11.7 |
실시예 9 | 92.1% | 2.8 | 10.3 |
실시예 10 | 87.3% | 4.9 | 25.0 |
비교예 1 | 81.5% | 3.1 | 88.8 |
비교예 2 | 81.8% | 2.2 | 90.0 |
비교예 3 | 82.7% | 2.5 | 87.4 |
비교예 4 | 82.4% | 2.8 | 88.9 |
상기 표 5의 결과를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을 사용한 리튬 이차전지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 따라 제조된 양극 활물질을 사용한 리튬 이차전지 대비 용량 유지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고온 저장 전후 저항 변화 폭이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리튬 복합 산화물인 1차 입자 및 상기 1차 입자가 응집하여 형성된 2차 입자; 및
[화학식 1]
LiaNi1-(b+c+d+e)CobM1cM2dWeO2
(여기서,
M1은 Mn 및 Al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M2는 Ti, Zr, Mg, V, B, Mo, Zn, Nb, Ba, Ca, Ta, Fe, Cr, Sn, Hf, Ce, Nd 및 Gd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0.5≤a≤1.5, 0.01≤b≤0.50, 0.01≤c≤0.20, 0≤d≤0.20, 0.001≤e≤0.20이다)
상기 1차 입자 및 상기 2차 입자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존재하는 코팅 산화물;
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로서,
상기 양극 활물질의 표면부 내 존재하는 M2 원소의 함량(at%) 및 W의 함량(at%)의 합은 39 at% 이상인,
양극 활물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의 표면부 내 존재하는 W의 함량(at%)은 39 at% 이상인,
양극 활물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의 표면부 내 존재하는 W의 함량(at%)은 Ni의 함량(at%)보다 큰,
양극 활물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의 표면부에 존재하는 1차 입자의 Li 3a 사이트에 삽입된 Ni의 점유율은 1.35% 이하인,
양극 활물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의 표면부에 존재하는 1차 입자의 (003) 결정면의 면간 거리는 4.7293Å 이상인,
양극 활물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입자의 표면부에 존재하는 상기 1차 입자 내 포함된 M2 원소 및 W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는 상기 2차 입자의 중심부를 향해 감소하는 농도 구배를 나타내는,
양극 활물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산화물은 상기 2차 입자의 표면부로부터 상기 2차 입자의 중심부를 향해 감소하는 농도 구배를 나타내는,
양극 활물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산화물은 하기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양극 활물질:
[화학식 2]
LifM3gOh
(여기서,
M3은 Ti, Zr, Mg, V, B, Mo, Zn, Nb, Ba, Ca, Ta, Fe, Cr, Sn, Hf, Ce, W, Nd 및 Gd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0≤f≤6, 0<g≤6, 0<h≤10이다)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을 사용하는 리튬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8186 | 2018-08-22 | ||
KR20180098186 | 2018-08-22 | ||
KR1020180111347 | 2018-09-18 | ||
KR20180111347 | 2018-09-18 | ||
KR1020190061433A KR102265141B1 (ko) | 2018-08-22 | 2019-05-24 | 리튬 복합 산화물,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1433A Division KR102265141B1 (ko) | 2018-08-22 | 2019-05-24 | 리튬 복합 산화물,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5039A true KR20210075039A (ko) | 2021-06-22 |
KR102323190B1 KR102323190B1 (ko) | 2021-11-09 |
Family
ID=69938023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6060A KR102225892B1 (ko) | 2018-08-22 | 2019-04-19 | 리튬 복합 산화물,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KR1020190061433A KR102265141B1 (ko) | 2018-08-22 | 2019-05-24 | 리튬 복합 산화물,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KR1020190062986A KR102262164B1 (ko) | 2018-08-22 | 2019-05-29 |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KR1020190082546A KR102327321B1 (ko) | 2018-08-22 | 2019-07-09 |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KR1020210074599A KR102323190B1 (ko) | 2018-08-22 | 2021-06-09 | 리튬 복합 산화물,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6060A KR102225892B1 (ko) | 2018-08-22 | 2019-04-19 | 리튬 복합 산화물,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KR1020190061433A KR102265141B1 (ko) | 2018-08-22 | 2019-05-24 | 리튬 복합 산화물,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KR1020190062986A KR102262164B1 (ko) | 2018-08-22 | 2019-05-29 |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KR1020190082546A KR102327321B1 (ko) | 2018-08-22 | 2019-07-09 |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5) | KR10222589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9704B1 (ko) * | 2020-06-18 | 2021-12-15 | 주식회사 에코프로비엠 |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KR102513972B1 (ko) * | 2020-08-28 | 2023-03-24 | 주식회사 에코프로비엠 |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KR102518213B1 (ko) * | 2020-10-12 | 2023-04-05 | 주식회사 에코프로비엠 |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KR102471332B1 (ko) * | 2020-10-23 | 2022-11-28 | 주식회사 에코프로비엠 |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재 |
KR102641275B1 (ko) * | 2020-12-21 | 2024-02-27 | 포스코홀딩스 주식회사 |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KR102580334B1 (ko) * | 2020-12-21 | 2023-09-18 | 포스코홀딩스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전구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양극 활물질 |
KR102632381B1 (ko) * | 2021-03-31 | 2024-02-01 | 주식회사 에코프로비엠 | 양극 활물질 및 이를 사용하는 리튬 이차전지 |
US20240266519A1 (en) * | 2021-11-05 | 2024-08-08 | L&F Co., Ltd. | Cathode activ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
WO2023101512A1 (ko) * | 2021-12-03 | 2023-06-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
WO2023153875A1 (ko) * | 2022-02-11 | 2023-08-17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양극 활물질 분말,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리튬 이차 전지 |
KR20230121577A (ko) * | 2022-02-11 | 2023-08-18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양극 활물질 분말,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리튬 이차 전지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69334A (ko) | 2013-12-13 | 2015-06-23 |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
JP2015144108A (ja) * | 2013-12-27 | 2015-08-06 | 旭硝子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正極用の表面修飾リチウム含有複合酸化物 |
JP2017084676A (ja) * | 2015-10-29 | 2017-05-18 | Jx金属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正極活物質、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正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
KR20170063407A (ko) * | 2015-11-30 | 2017-06-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JP2018045758A (ja) * | 2016-08-31 | 2018-03-22 | 住友化学株式会社 |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081189B (zh) * | 2010-08-17 | 2017-02-15 | 尤米科尔公司 | 经铝干式涂覆的和热处理的阴极材料前体 |
KR101409191B1 (ko) * | 2012-03-26 | 2014-06-19 | 한국세라믹기술원 |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
JP6286855B2 (ja) * | 2012-04-18 | 2018-03-07 |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正極組成物 |
KR101666879B1 (ko) * | 2012-08-14 | 2016-10-1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WO2017095133A1 (ko) | 2015-11-30 | 2017-06-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KR101927295B1 (ko) * | 2015-11-30 | 2018-12-1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KR102004457B1 (ko) * | 2015-11-30 | 2019-07-2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KR101937899B1 (ko) * | 2015-12-23 | 2019-01-1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JP6818225B2 (ja) | 2016-01-27 | 2021-01-20 |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 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 |
KR101897365B1 (ko) * | 2016-11-23 | 2018-09-10 | 울산과학기술원 |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2019
- 2019-04-19 KR KR1020190046060A patent/KR10222589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5-24 KR KR1020190061433A patent/KR10226514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5-29 KR KR1020190062986A patent/KR10226216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7-09 KR KR1020190082546A patent/KR10232732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6-09 KR KR1020210074599A patent/KR10232319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69334A (ko) | 2013-12-13 | 2015-06-23 |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
JP2015144108A (ja) * | 2013-12-27 | 2015-08-06 | 旭硝子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正極用の表面修飾リチウム含有複合酸化物 |
JP2017084676A (ja) * | 2015-10-29 | 2017-05-18 | Jx金属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正極活物質、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正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
KR20170063407A (ko) * | 2015-11-30 | 2017-06-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JP2018045758A (ja) * | 2016-08-31 | 2018-03-22 | 住友化学株式会社 |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2328A (ko) | 2020-03-03 |
KR20200022320A (ko) | 2020-03-03 |
KR102225892B1 (ko) | 2021-03-11 |
KR102327321B1 (ko) | 2021-11-17 |
KR20200022313A (ko) | 2020-03-03 |
KR102262164B1 (ko) | 2021-06-09 |
KR20200022321A (ko) | 2020-03-03 |
KR102323190B1 (ko) | 2021-11-09 |
KR102265141B1 (ko) | 2021-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23190B1 (ko) | 리튬 복합 산화물,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US11643337B2 (en) | Lithium composite oxid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
US11581522B2 (en) |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
KR102213787B1 (ko) |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2506478B1 (ko) | 리튬 복합 산화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2600818B1 (ko) |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2559194B1 (ko) | 리튬 복합 산화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20220116105A (ko) |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US20210111396A1 (en) | Lithium composite oxid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
KR20220135707A (ko) | 양극 활물질 및 이를 사용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2513972B1 (ko) |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2264804B1 (ko) | 리튬 복합 산화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20230049240A (ko) |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20220055678A (ko) |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2323189B1 (ko) |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2195178B1 (ko) |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2471332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재 | |
KR20230172750A (ko) |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