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1996A - 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α겔, α겔을 포함하는 조성물, α겔의 제조 방법, α겔을 포함하는 화장료 - Google Patents

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α겔, α겔을 포함하는 조성물, α겔의 제조 방법, α겔을 포함하는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1996A
KR20210071996A KR1020217010922A KR20217010922A KR20210071996A KR 20210071996 A KR20210071996 A KR 20210071996A KR 1020217010922 A KR1020217010922 A KR 1020217010922A KR 20217010922 A KR20217010922 A KR 20217010922A KR 20210071996 A KR20210071996 A KR 20210071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mass
component
preferabl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0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 이케다
Original Assignee
마루젠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루젠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루젠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71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A)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 (B)탄소수 14~18의 지방족 알코올 및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C)아니온성 계면활성제, 카티온성 계면활성제, 노니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D)디프로필렌글리콜, 및 (E)물을 구성 성분으로서 가지는 α겔로 함으로써, 물이 고배합되는 제형으로의 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의 배합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의 경피 흡수를 촉진시키는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α겔, α겔을 포함하는 조성물, α겔의 제조 방법, α겔을 포함하는 화장료
본 발명은 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를 구성 성분으로서 가지는 α겔, α겔을 포함하는 조성물, α겔의 제조 방법, 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의 경피 흡수 촉진제, 및 α겔을 포함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는 항염증 작용의 약리활성을 가지는 유효 성분으로서 알려져 있다. 그 우수한 약리활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피부, 두피 등에 경피 흡수되는 것이 중요하다.
유효 성분의 경피 흡수를 촉진시키는 기술로서는, 온도 20℃에 있어서의 표면장력이 29.5mN/m 이하인 탄화수소유와의 조합(일본 특허 제5997546호 공보)이 제안되어 있지만, 더욱 우수한 효과가 요망되고 있었다.
또 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는 유용성 성분이기 때문에, 화장료 등의 외용제에 배합하는 경우에는, 제형이 크림 등의 유분을 고배합할 수 있는 처방에 한정되어 있어, 그 밖의 제형에 배합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었다.
일본 특허 제5997546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를 구성 성분으로서 가지는 α겔로 함으로써, 물이 고배합되는 제형으로의 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의 배합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의 경피 흡수를 촉진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α겔이 얻어지고,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이루기에 이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발명을 제공한다.
1. (A)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
(B)탄소수 14~18의 지방족 알코올 및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C)아니온성 계면활성제, 카티온성 계면활성제, 노니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D)디프로필렌글리콜, 및
(E)물
을 구성 성분으로서 가지는 α겔.
2. (A)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0.05~1질량%,
(B)탄소수 14~18의 지방족 알코올 및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C)아니온성 계면활성제, 카티온성 계면활성제, 노니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B)성분 및 (C)성분의 합계량 0.5~20질량%,
(D)디프로필렌글리콜 2.5~40질량%, 및
(E)물
을 배합하여 이루어지고, α겔을 포함하는 조성물.
3. (A)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0.05~1질량%,
(B)탄소수 14~18의 지방족 알코올 및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C)아니온성 계면활성제, 카티온성 계면활성제, 노니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B)성분 및 (C)성분의 합계량 0.5~20질량%,
(D)디프로필렌글리콜 2.5~40질량%, 및
(E)물
을 가열하에서 용해시킨 후에 균일하게 혼합하고, 실온까지 냉각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α겔 또는 α겔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1에 기재된 α겔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A)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의 경피 흡수 촉진제.
5. 1에 기재된 α겔을 포함하는 화장료.
본 발명에 의하면, 물이 고배합되는 제형으로의 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의 배합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의 경피 흡수를 촉진시키는 α겔을 제공할 수 있다. 또 α겔을 포함하는 조성물, α겔의 제조 방법, 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의 경피 흡수 촉진제, 및 α겔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1, 비교예 1-1의 외관 사진을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 1-1의 DSC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 1-1의 X선 산란 해석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화합물명을 화장품 표시 명칭으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α겔]
본 발명에 있어서의 α겔이란, (A)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와, (B)탄소수 14~18의 지방족 알코올 및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C)아니온성 계면활성제, 카티온성 계면활성제, 노니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D)디프로필렌글리콜, (E)물과의 공존하에서 형성하는 라멜라상의 2분자막으로 이루어지는 회합체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B)지방족 알코올 또는 지방산의 알킬쇄와, (A)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 및 (C)계면활성제의 알킬쇄가 육방정을 형성하고 있다. 또 이 육방정 구조는 2분자막의 적층 구조를 가지고 있고, α형 수화결정 구조를 하고 있다. α형 수화결정은 그 2분자 적층 구조의 층간에 대량의 물이나 (D)디프로필렌글리콜을 유지하고, 2분자막의 네트워크 구조에 의해 수분이 유지됨으로써 겔 상태의 성상을 나타낸다.
[(A)성분]
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로서는 글리시르레틴산스테아릴, 스테아린산글리시르레티닐 등을 들 수 있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어느 것이나 친수기와 소수기를 가지는 것이다.
[(B)성분]
본 발명의 (B)성분은 탄소수 14~18의 지방족 알코올 및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지방족기는 직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특정의 성분을 선택함으로써, α겔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탄소수 14~18의 지방족 알코올로서는 미리스틸알코올(1-테트라데카놀), 세틸알코올(1-헥사데카놀),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옥타데실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세틸알코올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14~18의 지방산으로서는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등을 들 수 있다.
[(C)성분]
본 발명의 (C)성분은 아니온성 계면활성제, 카티온성 계면활성제, 노니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니온성 계면활성제는 친수기의 알킬쇄가 trans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킬술폰산염, 알킬황산염, 아실화아미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N-스테아로일-N-메틸타우린염 등의 N-아실-N-메틸타우린염, α-올레핀술폰산염,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술폰산염, 알킬에테르아세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아세트산염, 스테아린산Na 등의 지방산 비누, 알킬인산에스테르염, N-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염, N-라우로일글루타민산염, N-팔미토일글루타민산염, N-라우로일글루타민산염, N-팔미토일글루타민산염 등의 아실글루타민산염, 스테아로일락트산Na 등의 스테아로일락트산염, 라우로일락트산나트륨, N-라우로일-N-에틸글리신염, N-라우로일사르코신염, N-미리스토일-β-알라닌염 등을 들 수 있다. 염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암모늄, 알카놀아민, 염기성 아미노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N-아실-N-메틸타우린염, N-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염, 스테아린산염, 스테아로일락트산염 등이 바람직하다.
카티온성 계면활성제는 친수기의 알킬쇄가 trans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알킬암모늄염 등의 제4급 암모늄염, 벤잘코늄염, 피리디늄염, 아미드아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카티온성 계면활성제의 반대 이온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물 이온, 브롬화물 이온 등의 할로겐 이온, 황산메틸 이온(CH3OSO3 -), 황산에틸 이온(CH3CH2OSO3 -)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트리메틸스테아릴암모늄클로리드,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클로리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리드 등을 들 수 있다.
노니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친수기의 알킬쇄가 trans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베헤닐에테르,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당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스테아린산PEG-40글리세릴, α옥타데실ω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린산PEG-32, 세테스-30(어느 것이나 화장품 표시 명칭)이 바람직하다.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친수기의 알킬쇄가 trans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알킬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등의 알킬베타인계 활성제, 알킬아미드프로필베타인 등의 아미드베타인계 활성제, 술포베타인계 활성제, 히드록시술포베타인계 활성제, 아미드술포베타인계 활성제, 포스포베타인계 활성제, 이미다졸리늄베타인계 활성제, 아미노프로피온산계 활성제, 아미노산계 활성제, 아민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디메틸옥타데실아민N-옥시드, 스테아릴디메틸아민옥시드 등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아니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고, N-아실-N-메틸타우린염, N-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염이 보다 바람직하다.
[(D)성분]
본 발명의 (D)성분은 디프로필렌글리콜이다. 디프로필렌글리콜을 사용함으로써, 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α겔을 형성시킬 수 있다.
[(E)성분]
본 발명의 (E)성분은 물이며, 정제수 등, 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α겔이 형성되어 있는지 여부는, α겔의 특징인 균일한 1상 상태, 바람직하게는 증점한 균일한 1상 상태의 외관을 가지고, 또한 시차 주사 열량 분석(DSC)으로부터 단일의 상전이 온도를 나타냄으로써, α겔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된다. 또한 X선 산란 해석에 의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α겔을 포함하는 조성물]
본 발명은 (A)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0.05~1질량%,
(B)탄소수 14~18의 지방족 알코올 및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C)아니온성 계면활성제, 카티온성 계면활성제, 노니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B)성분 및 (C)성분의 합계량 0.5~20질량%,
(D)디프로필렌글리콜 2.5~40질량%, 및
(E)물
을 배합하여 이루어지고, α겔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조성물에는 상기 α겔이 포함되어 있고, α겔 형성의 관점에서, 각 성분의 함유량은 하기와 같게 된다. 또한 하기 함유량에는 α겔을 구성하는 것도 포함된다.
(A)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0.05~1질량%이며, 0.05~0.5질량%가 바람직하다.
(B)성분 및 (C)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조성물 중 0.5~20질량%이며, 0.5~12질량%가 바람직하다. 또 (B):(C)의 질량비는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데, 0.5:1~5:1이 바람직하고, 1:1~4:1이 보다 바람직하며, 1.3:1~3:1이 가장 바람직하다. (B)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0.3~16.0질량%가 바람직하고, (C)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0.2~8.0질량%가 바람직하다.
(D)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2.5~40질량%이며, 2.5~20질량%가 바람직하다.
또한 (A)성분:(B)성분 및 (C)성분의 합계:(D)성분의 배합 질량비는 0.05~1:0.5~20:2.5~40이 바람직하다.
이하, (C)성분마다의 적합한 범위를 하기에 나타낸다.
(C)성분이 N-아실-N-메틸타우린나트륨인 경우에는,
(A)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0.05~1질량%가 바람직하고, 0.05~0.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B)성분 및 (C)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조성물 중 0.5~20질량%가 바람직하고, 0.5~12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B):(C)의 질량비는 1:1~5:1이 바람직하다.
(D)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2.5~40질량%가 바람직하고, 2.5~2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2.5~1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C)성분이 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나트륨인 경우에는,
(A)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0.05~1질량%가 바람직하고, 0.05~0.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B)성분 및 (C)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조성물 중 0.5~20질량%가 바람직하다. (B):(C)의 질량비는 1:1~3:1이 바람직하다.
(D)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2.5~40질량%가 바람직하고, 2.5~3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C)성분이 스테아린산Na인 경우에는,
(A)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0.05~1질량%가 바람직하고, 0.05~0.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B)성분 및 (C)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조성물 중 0.5~20질량%가 바람직하다. 또 (B):(C)의 질량비는 1:1~6:1이 바람직하다.
(D)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2.5~40질량%가 바람직하고, 2.5~3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C)성분이 스테아로일락트산Na인 경우에는,
(A)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0.05~1질량%가 바람직하고, 0.05~0.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B)성분 및 (C)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조성물 중 0.5~20질량%가 바람직하다. 또 (B):(C)의 질량비는 1:1~6:1이 바람직하다.
(D)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2.5~40질량%가 바람직하고, 2.5~3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C)성분이 트리메틸스테아릴암모늄클로리드인 경우에는,
(A)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0.05~1질량%가 바람직하고, 0.05~0.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B)성분 및 (C)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조성물 중 0.5~20질량%가 바람직하다. 또 (B):(C)의 질량비는 1:1~6:1이 바람직하다.
(D)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2.5~40질량%가 바람직하고, 2.5~3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C)성분이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클로리드(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인 경우에는,
(A)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0.05~1질량%가 바람직하고, 0.05~0.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B)성분 및 (C)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조성물 중 0.5~20질량%가 바람직하다. 또 (B):(C)의 질량비는 1:1~6:1이 바람직하다.
(D)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2.5~40질량%가 바람직하고, 2.5~3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C)성분이 스테아린산PEG-40글리세릴(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인 경우에는,
(A)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0.05~1질량%가 바람직하고, 0.05~0.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B)성분 및 (C)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조성물 중 0.5~20질량%가 바람직하다. 또 (B):(C)의 질량비는 1:1~6:1이 바람직하다.
(D)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2.5~40질량%가 바람직하고, 2.5~3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C)성분이 α옥타데실ω히드록시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인 경우에는,
(A)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0.05~1질량%가 바람직하고, 0.05~0.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B)성분 및 (C)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조성물 중 0.5~20질량%가 바람직하다. 또 (B):(C)의 질량비는 1:1~6:1이 바람직하다.
(D)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2.5~40질량%가 바람직하고, 2.5~3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C)성분이 스테아린산PEG-32(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인 경우에는,
(A)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0.05~1질량%가 바람직하고, 0.05~0.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B)성분 및 (C)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조성물 중 0.5~20질량%가 바람직하다. 또 (B):(C)의 질량비는 1:1~6:1이 바람직하다.
(D)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2.5~40질량%가 바람직하고, 2.5~3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C)성분이 세테스-30(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인 경우에는,
(A)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0.05~1질량%가 바람직하고, 0.05~0.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B)성분 및 (C)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조성물 중 0.5~20질량%가 바람직하다. 또 (B):(C)의 질량비는 1:1~6:1이 바람직하다.
(D)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2.5~40질량%이며, 2.5~3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C)성분이 디메틸옥타데실아민N-옥시드(스테아릴디메틸아민옥시드)인 경우에는,
(A)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0.05~1질량%가 바람직하고, 0.05~0.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B)성분 및 (C)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조성물 중 0.5~20질량%가 바람직하다. 또 (B):(C)의 질량비는 1:1~6:1이 바람직하다.
(D)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2.5~40질량%가 바람직하고, 2.5~3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E)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 58.5~96.95질량%가 바람직하고, 78.5~96.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와 같은 고함수량의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임의 성분]
임의 성분으로서는 화장료, 육모제, 의약품, 의약부외품 등에 배합할 수 있는 다양한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적량 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유, 에스테르유, 식물유 등의 유제, 실리콘 분체, 고분자 화합물, 에탄올 등의 용제, 저급 알코올(탄소수 2~5), 고급 알코올(탄소수 6~22) 등의 알코올, 증점제, 분체, 미백제, 항노화제, 보습제, 방부제, 항균제, 효소, 식물추출물 등의 기능성 성분 외에, 향료, 색소, pH 조정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α겔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물성]
α겔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25℃에 있어서의 점도는 1,000~10,000mPa·s가 바람직하다. 또한 점도의 측정은 B형 점도계, 예를 들면 BROOKFILD사제로 측정한다.
[α겔 또는 α겔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
α겔 또는 α겔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A)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0.05~1질량%,
(B)탄소수 14~18의 지방족 알코올 및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C)아니온성 계면활성제, 카티온성 계면활성제, 노니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B)성분 및 (C)성분의 합계량 0.5질량% 이상,
(D)디프로필렌글리콜 2.5~40질량%, 및
(E)물
을 가열 용해 후에 균일 혼합하고, 실온까지 냉각시키는 공정을 포함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가열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70~90℃가 바람직하다. 혼합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혼합 장치를 사용하여 혼합할 수 있다. 혼합 속도, 혼합 장치, 혼합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상 증점물이 형성되면 되는데, 혼합 속도는 150rpm 이상이 바람직하고, 200rp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혼합 장치 등에 따라, 10,000rpm 이하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혼합 시간은 1분 이상이 바람직하고, 2~10분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후, 실온(약20℃)까지 냉각시킨다.
[경피 흡수 촉진제]
본 발명의 겔 구조체는 (A)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의 경피 흡수를 촉진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이 때문에, 이 α겔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A)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의 경피 흡수 촉진제를 제공한다. 적합한 성분, 함유량 등은 상기한 바와 같다.
[화장료]
상기 α겔은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어, 상기 α겔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 화장료는 상기 α겔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화장료로 해도 된다. 또한 육모제, 의약품, 의약부외품 등에도 배합할 수 있다. α겔의 화장료 중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5~100질량%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된다.
화장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피부화장료, 모발화장료를 들 수 있다. 피부화장료로서는 파운데이션(고형, 액상 모두를 포함한다), 화장 베이스, 셰도우, 립스틱, 립크림, 치크, 아이브로우, 마스카라, 아이라인, 선스크린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화장수, 유액, 크림, 미용액, 아이크림, 팩 등의 스킨 케어용 화장료를 들 수 있다. 그 밖에 제한제 등도 들 수 있다. 모발화장료로서는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의 예에 있어서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경우에는, 조성의 「%」는 질량%, 비율은 질량비를 나타내고, 표 중의 각 성분의 양은 순분환산한 양이다.
[실시예, 비교예]
하기 조성을 90℃에서 가열한 후, 혼합하고, 진탕기를 사용하여 10분 혼합한 후, 실온(20℃)까지 냉각시켜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에 대해서, 하기 기준으로 조성물의 외관 및 DSC 측정 결과로부터 α겔의 형성을 확인했다. 점도는 B형 점도계(BROOKFILD사제)로 측정했다.
[α겔의 형성]
○:조성물이 증점한 균일한 1상 상태의 외관을 가지고, DSC로 단일의 상전이 온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성물이 균일한 1상 상태의 외관을 가지고, DSC로 단일의 상전이 온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성물이 2상 또는 결정물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및 ○를 겔이 형성된 것으로 한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1-1, 비교예 1-1의 외관 사진을 도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1의 DSC의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1의 X선 산란 해석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구조 해석으로부터도 α겔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시험예 1]
(시료)
(1)블랭크(표 14의 젤 조성):하기 조성을 혼합하여 조제했다.
(2)샘플(표 15의 α겔 조성):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조제했다.
○조건(N=4)
피부 모델:3차원 배양 표피 모델(EqiSkin TM-large Model)
리시버액:20% PEG400/PBS(-):6시간, 24시간 후에 회수했다.
◆투과량(피부 모델 중으로의 이행량, N=4의 평균)
글리시르레틴산스테아릴의 양을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로 측정했다.
○HPLC 측정 조건
칼럼:YMC-Pack Pro C18(150×4.6mmI.D.)
이동상:메탄올/에탄올 혼액(4:1)
칼럼 온도:40℃
주입량:10μL
측정 파장:248nm
(1)블랭크(젤 조성):0.93025μg/mL
(2)샘플(α겔 조성):8.00075μg/mL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글리시르레틴산스테아릴을 구성 성분으로서 가지는 α겔로 함으로써, 글리시르레틴산스테아릴의 경피 흡수가 촉진되었다.

Claims (5)

  1. (A)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
    (B)탄소수 14~18의 지방족 알코올 및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C)아니온성 계면활성제, 카티온성 계면활성제, 노니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D)디프로필렌글리콜, 및
    (E)물
    을 구성 성분으로서 가지는 α겔.
  2. (A)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0.05~1질량%,
    (B)탄소수 14~18의 지방족 알코올 및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C)아니온성 계면활성제, 카티온성 계면활성제, 노니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B)성분 및 (C)성분의 합계량 0.5~20질량%,
    (D)디프로필렌글리콜 2.5~40질량%, 및
    (E)물
    을 배합하여 이루어지고, α겔을 포함하는 조성물.
  3. (A)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0.05~1질량%,
    (B)탄소수 14~18의 지방족 알코올 및 지방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C)아니온성 계면활성제, 카티온성 계면활성제, 노니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B)성분 및 (C)성분의 합계량 0.5~20질량%,
    (D)디프로필렌글리콜 2.5~40질량%, 및
    (E)물
    을 가열하에서 용해시킨 후에 균일하게 혼합하고, 실온까지 냉각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α겔 또는 α겔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기재된 α겔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A)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의 경피 흡수 촉진제.
  5. 제 1 항에 기재된 α겔을 포함하는 화장료.
KR1020217010922A 2018-10-04 2019-10-03 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α겔, α겔을 포함하는 조성물, α겔의 제조 방법, α겔을 포함하는 화장료 KR202100719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88862 2018-10-04
JPJP-P-2018-188862 2018-10-04
PCT/JP2019/039037 WO2020071464A1 (ja) 2018-10-04 2019-10-03 グリチルレチン酸誘導体を構成成分とするαゲル、αゲルを含む組成物、αゲルの製造方法、αゲルを含む化粧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996A true KR20210071996A (ko) 2021-06-16

Family

ID=70054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922A KR20210071996A (ko) 2018-10-04 2019-10-03 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α겔, α겔을 포함하는 조성물, α겔의 제조 방법, α겔을 포함하는 화장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WO2020071464A1 (ko)
KR (1) KR20210071996A (ko)
CN (1) CN112888422A (ko)
TW (1) TW202034895A (ko)
WO (1) WO20200714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62656A (zh) * 2021-01-12 2022-07-19 伽蓝(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阿尔法凝胶相及其制备方法和含其的沐浴产品
CN115400041B (zh) * 2022-06-17 2023-09-29 诺斯贝尔化妆品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α凝胶结构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5737451A (zh) * 2022-11-17 2023-03-07 美出莱(杭州)化妆品有限责任公司 一种α-凝胶组合物、化妆品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7546B2 (ja) 2012-08-23 2016-09-28 株式会社コーセー 有効成分の皮膚への浸透が促進された皮膚外用剤または化粧料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5961B2 (ja) * 1996-08-02 2007-06-06 株式会社資生堂 化粧料
CN1761450B (zh) * 2003-02-13 2010-05-05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特征在于含有α,α-海藻糖的糖类衍生物的皮肤外用剂
FR2991176B1 (fr) * 2012-06-01 2014-12-19 Galderma Res & Dev Compositions topiques, contenant un retinoide solubilise, de type gel hydroglycolique
JP6139937B2 (ja) * 2013-03-13 2017-05-31 株式会社コーセー 樹状突起負制御剤
TW201628603A (zh) * 2014-11-20 2016-08-16 Oji Holdings Corp 經皮吸收型製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7546B2 (ja) 2012-08-23 2016-09-28 株式会社コーセー 有効成分の皮膚への浸透が促進された皮膚外用剤または化粧料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888422A (zh) 2021-06-01
WO2020071464A1 (ja) 2020-04-09
TW202034895A (zh) 2020-10-01
JP2024003242A (ja) 2024-01-11
JPWO2020071464A1 (ja)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44003A1 (ko)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71996A (ko) 글리시르레틴산 유도체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α겔, α겔을 포함하는 조성물, α겔의 제조 방법, α겔을 포함하는 화장료
US20040115159A1 (en) Novel nanoemulsions
EP1377255A1 (en) Novel nanoemulsions
CN109310605B (zh) 包含酰胺醇的化妆用基剂及化妆品
US10524994B2 (en) Conditioning agent and conditioning composition
JP2001048720A (ja) 化粧料用保湿静菌剤
KR101776348B1 (ko) 샴푸 조성물
JP5755517B2 (ja) 油性ゲル状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JP2014091734A (ja) クレンジングクリーム
JP2002338459A (ja) セラミドの可溶化法及び該方法を用いたセラミド配合皮膚外用剤
EP3756645A1 (en) Hair cosmetic
WO2014128922A1 (ja) 粘性洗浄剤組成物
EP3738576A1 (en) Gel-state composition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04091333A (ja) 外用剤
KR102575815B1 (ko) 오일겔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
US20190282462A1 (en) Oil gel composition and cosmetic or external skin preparation containing the same
JPH07118290A (ja) N−長鎖アシル酸性アミノ酸エステル
JP3600434B2 (ja) 透明油状組成物
JPH10279421A (ja) 皮膚外用剤
JP2019099580A (ja) 油性ゲル状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または皮膚外用剤
JP2021172610A (ja) 化粧料
JP2003081805A (ja) 皮膚外用剤
KR19990023233A (ko) 화장품 조성물
JP2000063256A (ja) 皮膚外用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