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815B1 - 오일겔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일겔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5815B1 KR102575815B1 KR1020180137356A KR20180137356A KR102575815B1 KR 102575815 B1 KR102575815 B1 KR 102575815B1 KR 1020180137356 A KR1020180137356 A KR 1020180137356A KR 20180137356 A KR20180137356 A KR 20180137356A KR 102575815 B1 KR102575815 B1 KR 1025758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il
- skin care
- cosmetic composition
- care cosmetic
- gelling age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겔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상인 유상에 오일겔화제를 포함하고, 수상에 카보머계 점증제를 포함함으로써, 제형 안정도를 향상시키고 유지시키는 동시에 전체적인 사용감을 높일 수 있는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량의 계면활성제의 사용으로도 제형 안정도가 우수하고 펴발림성, 끈적임 등의 사용감이 전체적으로 우수한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일겔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상인 유상에 오일겔화제를 포함하고, 수상에 카보머계 점증제를 포함함으로써, 높은 제형 안정도를 구비하고, 사용감이 전체적으로 개선된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뷰티 관련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함께,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제형의 안정도를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하는 것이 일관된 소비자 트렌드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제형의 안정도 향상 및 유지를 위하여 외상인 수상의 유동도를 감소시키는 수용성 점증제를 처방하거나, 내상인 유상의 유화력을 향상시키는 계면활성제를 처방하고 있으나, 제형의 사용감적인 측면에서 펴발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사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0688호에서는 피부에 즉각적인 탄력감을 부여하고, 유연한 피부 보호막의 형성을 통한 보습과 유효성분 흡수 증진을 위하여 수용성 필름포머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끈적임이 심해져 사용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이, 사용감은 탄력감뿐만 아니라 펴발림성, 끈적임 등 다양한 요소로 인한 결과로서, 종래에는 일부 요소만의 향상을 위한 연구만 수행되었으며, 사용감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키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안정도 유지와 더불어, 사용감이 전체적으로 향상된 제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유상 및 수상 간의 분리가 저해되어 높은 제형 안정도를 가지면서, 동시에 사용감이 전체적으로 개선된 조성물을 구현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내상인 유상에 오일겔화제를 포함하고, 수상에 카보머계 점증제를 포함할 경우, 제형 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동시에 사용감을 전체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상인 유상에 오일겔화제를 포함하고, 수상에 카보머계 점증제를 포함함으로써,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을 최소화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제형 안정도가 우수하고 펴발림성, 끈적임 등의 사용감이 전체적으로 우수한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일 및 오일겔화제를 포함하는 유상 성분, 및 물 및 카보머계 점증제를 포함하는 수상 성분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일 및 오일겔화제를 포함하는 유상 성분, 및 물 및 카보머계 점증제를 포함하는 수상 성분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의 점도 변화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감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의 점도 변화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감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화합물의 명칭은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미국화장품협회(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CTFA)에서 발행한 국제화장품원료집(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ICID)에 등재된 INCI(International Nomenclature Cosmetic Ingredient) 명에 해당하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해당 명칭이 INCI 명 중 존재하지 않으면,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IUPAC)에서 제정한 IUPAC 명명법에 따른 화합물을 의미하며, IUPAC 명명법에 따른 화합물이 존재하지 않으면,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용되는 화합물의 명칭에 대응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및 오일겔화제를 포함하는 유상 성분, 및 물 및 카보머계 점증제를 포함하는 수상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에멀젼 제형”은 두 불용성 상을 포함하는 제형으로서, 수상, 유상 등 적어도 두 개의 성분으로 구성된 제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수중유(Oil in Water, O/W)형”은 연속상은 수상이고, 분산상은 액적 형태의 유상인 에멀젼 제형으로서, 거시적으로 균질한 제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제형 안정도”는 특정 환경 특히, 저온, 고온 또는 장기간 보관 환경에서 유상 및 수상 간의 분리가 저해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0℃ 이하의 저온 환경, 30℃ 이상의 고온 환경 또는 4주 이상의 장기간 보관 환경에서 유상 및 수상 간의 분리가 저해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종래의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탄력감, 끈적임 등의 사용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 중량% 미만의 유상 성분을 처방하여 왔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 조성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함량의 오일 성분을 함유하여도 제형 안정도가 유지되고, 사용감 또한 전체적으로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상 성분과 수상 성분의 혼합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30:70 ~ 5:95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25:75 ~ 10:9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상기 조성물 내에 상기 유상 성분이 함유될 수 있는 최대 함량을 높임으로써, 높은 윤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피부에 도포할 시 뭉침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유상 성분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시 번들거리는 형상이 발생하고, 매트한 사용감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30 중량% 초과이면, 에멀젼 제형의 형성이 어렵고, 제형 안정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상기 유상 성분에 사용되는 오일은 에스테르계 오일, 실리콘계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친수성 타입으로서, 촉촉하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하는 것을 장점으로 하는 반면, 내수성 및 화장 지속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등의 탄화수소계 오일을 함유하지 아니하며, 피부에 자극이나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도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을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로는, 옥틸도데칸올, 에틸헥실네오펜타노에이트, 에틸헥실이소노나노에이트, 에틸라우레이트, 부틸라우레이트, 에틸헥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에틸헥실올레이트, 에틸헥실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에틸헥실이소팔미테이트, 에틸헥실스테아레이트, 에틸헥실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다이머리놀리에이트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옥틸도데칸올,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및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페닐실록산, 알킬메틸 실록산,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올, 디메치콘코폴리올, 실리콘 엘라스토머, 실리콘 레진, 디메치콘/폴리시릴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교차 중합체, 폴리실리콘-11, 폴리실리콘-15, 폴리실리콘-8, 폴리실리콘-17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 및 디메치콘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2 ~ 25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상인 유상에 오일겔화제를 포함하고, 수상에 카보머계 점증제를 포함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 내에 함유될 수 있는 상기 유상 성분의 최대 함량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유상 성분에 있어서, 높은 윤기를 제공하는 주 성분이 바로 오일에 해당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경우 조성물에 포함되는 오일의 최대 함량이 20%에 불과하여, 윤기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오일 성분의 최대 함량을 25%로 증대시킬 수 있다. 다만, 오일이 상기 하한 미만일 경우, 사용감 측면에서 윤기, 펴발림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며, 상기 상한을 초과할 경우, 유화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유상과 수상이 분리되어 유화 안정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으며, 사용감 측면에서 끈적임, 번들거림이 심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량의 계면활성제의 사용으로도 제형 안정도가 우수하고 펴발림성, 끈적임 등 사용감이 전체적으로 우수한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상 성분에는 소량의 계면활성제가 포함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모노- 및 디-알칸올아미드, 예컨대, 코카미드 MEA 및 코카미드 DEA, 아민 옥사이드, 알킬 폴리글루코시드,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에톡실화, 프로폭실화 또는 글리세롤화될 수 있으며, 에톡실화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PEG-9 내지 PEG-50 라우레이트, PEG-9 내지 PEG-50 팔미테이트, PEG-9 내지 PEG-50 스테아레이트, PEG-9 내지 PEG-50 팔미토스테아레이트, PEG-9 내지 PEG-50 베헤네이트, PEG-100 스테아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롤화 지방 알코올계 화합물일 수 있으며, 특히 라우릴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세테아릴 알코올, 올레일/세틸 알코올, 옥타데카놀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HLB의 범위가 1~17이며, 피부 자극이 보다 적은 비이온 계면활성제임이 바람직하며,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PEG-100 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소량의 계면활성제”는 최적의 제형 안정도 및 사용감을 위하여 계면활성제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 3 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기존의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에서 사용되어 오던 계면활성제 양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소량에 해당한다. 소량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함으로써, 조성물의 도포로 인한 피부 트러블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내상인 유상에 오일겔화제를 포함하고, 수상에 카보머계 점증제를 포함할 경우 유상 및 수상 간의 분리가 저해되어 제형 안정도가 유지되는 동시에, 사용감이 전체적으로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여 완성된 발명으로서, 상기 유상 성분에 오일겔화제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오일겔화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의 유상을 겔화할 수 있는 화합물로서, 조성물의 유상에 존재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오일겔화제는 친유성 점토, 다당류, 덱스트린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친유성 점토로는, 디메틸알킬암모늄 헥토라이트,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 벤질디메틸스테아릴암모늄 헥토라이트,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처리 규산 알루미늄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고, 다당류로는,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메틸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나트륨 셀룰로오스 술페이트 등을 들 수 있고, 덱스트린 에스테르로는, 덱스트린 베헤네이트,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 덱스트린 라우레이트, 덱스트린 미리스테이트,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고온에서의 제형 안정도 및 장기간의 제형 안정도의 향상 및 유지를 위하여 상기 오일겔화제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 에틸 셀룰로오스 및 덱스트린 팔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겔화제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6 ~ 2 중량%일 수 있다. 제형 안정도 및 전체적인 사용감 측면에서 0.8 ~ 1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오일겔화제가 상기 하한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사용감 측면에서 탄력감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상기 상한을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오일겔화제의 분산 및 용해가 어려워져 제형 안정도가 떨어지며, 제품의 끈적임 강도가 너무 높아 사용감 측면에서 펴발림성이 떨어지며, 끈적임이 심해지는 등의 우려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내상인 유상에 오일겔화제를 포함하고, 수상에 카보머계 점증제를 포함할 경우 제형 안정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사용감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완성된 발명으로서, 상기 수상 성분에 카보머계 점증제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카보머계 점증제”는 가교 결합된 아크릴산 중합체로서, 비환식 지방족 탄화수소 계열의 백본(backbone)을 갖는 중합체를 의미한다.
상기 카보머계 점증제는 카보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 교차 중합체, 폴리아크릴레이트-1 교차 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이, 다른 점증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점도 상승 효과가 좋으며, 사용감 및 제형 안정도의 측면에서 우수한 카보머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카보머는, 루브리졸사(Lubrizol Corporation)에서 카보폴(CARBOPOL®)의 상표명으로 시판 중이다. 루브리졸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카보머의 예로는 CARBOPOL 934, 940, 941, 980, 981, 1342, 2984, 5984, SILK 100, ETD 2020, 2050, ULTREZ 10, 및 ULTREZ 30가 있다. 또한, 카보머를 교차 결합시키는 트리에틸아민,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등의 알칼리 물질을 첨가하여 그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카보머계 점증제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3 ~ 0.2 중량%일 수 있다. 제형 안정도 및 전체적인 사용감 측면에서 0.05 ~ 0.2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카보머계 점증제가 상기 하한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제품이 목표로 하는 점도까지 상승하지 못하며, 상 분리가 발생하여 제형 안정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고, 상기 상한을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제품의 강도가 너무 높아 사용감 측면에서 펴발림성이 떨어지며, 끈적임이 심해지는 등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내상인 유상에 오일겔화제를 포함하고, 동시에 수상에 카보머계 점증제를 포함하며, 상기 카보머계 점증제 및 상기 오일겔화제의 혼합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1 : 3 ~ 67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중량 비율로 포함되어야만 제형 안정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사용감이 전체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상인 유상에 오일겔화제를 포함하고, 수상에 카보머계 점증제를 포함함으로써, 제형 안정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사용감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전체적인 사용감”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을 특히 피부결 개선 기능성 화장료로 제형화할 경우에 요구되는 펴발림성, 밀착감, 끈적임과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을 특히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로 제형화할 경우에 요구되는 수분감, 탄력감, 윤기를 종합한 사용감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증대된 펴발림성, 우수한 밀착감, 감소된 끈적임으로 인하여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결 개선 기능성 화장료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증대된 수분감, 증대된 탄력감, 높은 윤기로 인하여 우수한 광택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로 이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산뜻한 사용감 및 우수한 광택감을 모두 나타냄으로 인하여 본 발명은 스킨 케어 제품뿐만 아니라 색조 화장품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피부를 화사하면서도 매끄럽고 윤기 있게 표현하며 건강한 피부로 보이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피부결 개선”은 피부 표면에 형성된 3차원 미세 구조의 거칠기 등을 개선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항노화”는 피부 외관에 발생하는 기미, 주근깨, 잡티, 각질, 주름 등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피부결 개선 활성을 갖는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결 개선 기능성 화장료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으로는, 줄기세포 배양액, 제라닐제라닐이소프로판올, SH-폴리펩타이드-7, 나이아신아마이드, 우레아, 및 D-판테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표면의 상태뿐만이 아닌, 피부 내부의 상태를 반영하는 미세 구조인 피부결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항노화 활성을 갖는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으로는, 카베올린-1 등의 억제제, 줄기세포 배양액, 에스쿨레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외관에 발생하는 기미, 주근깨, 잡티, 각질, 주름 등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에몰리엔트제, 안료,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보습제, 색소, 향료, 냉감제, 제한(制汗)제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안료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호(쿼터늄-51),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고, pH 조정제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으며, 보습제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크림, 화장수 또는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제조예 1> 실시예 1~3 및 비교예 1~6의 제조
믹서를 이용하여 정제수 및 카보폴 940을 포함하는 수상 성분을 혼합하고, 80℃로 가온하면서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별도의 믹서를 이용하여 오일겔화제 및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 성분을 용해 및 분산한 다음, 계면활성제를 혼합하고 80℃로 가온하면서 교반하여 균일화하였다. 이후, 유상 성분을 수상 성분에 천천히 투입하면서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유화시켰다. 30℃까지 냉각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3의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 및 비교예 1~6의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조성을 나타내었다(단위: 중량%).
구분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비교예 5 | 비교예 6 | 비교예 7 | ||
유상 | 계면활성제 | PEG-100 스테아레이트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 0.5 | 0.5 | 0.5 | 0.5 | 0.5 | 0.5 | 0.5 | 0.5 | 0.5 | 0.5 | ||
세테아릴 알코올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
에스테르계 오일 |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 10 | 7.5 | 10 | 10 | 10 | 10 | 10 | 7.5 | 10 | 10 | |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 10 | 7.5 | 10 | 10 | 10 | 10 | 10 | 7.5 | 10 | 10 | ||
옥틸도데칸올 | - | 5 | - | - | - | - | - | 5 | - | - | ||
오일겔화제 |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 | 1 | - | - | - | - | 1 | 0.5 | - | - | - | |
에틸 셀룰로오스 | - | 1 | - | - | - | - | - | 0.5 | - | - | ||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 - | - | 1 | - | - | - | - | - | 0.5 | 2.5 | ||
실리콘계 오일 | 디메치콘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
수상 | - | 정제수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보습제 | 글리세린 | 5 | 5 | 5 | 5 | 5 | 5 | 5 | 5 | 5 | 5 | |
점증제 | 카보폴 981 | 0.05 | 0.05 | 0.05 | 0.05 | 0.25 | - | 0.05 | 0.05 | 0.05 | 0.25 | |
중화제 | 트로메타민 | 0.03 | 0.03 | 0.03 | 0.03 | 0.14 | 0.03 | 0.03 | 0.03 | 0.03 | 0.14 |
<시험예 1> 오일겔화제 및 수상점증제의 함량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 평가 1
1. 조성물의 준비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6의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2. 제형 안정도 평가 방법
제조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6의 조성물을 항온조에 보관하여 냉동(-15℃), 냉장(0℃), 상온(25℃), 30℃ 및 45℃의 온도 하에서, 매 주 제형 안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45℃→30℃→냉동(-15℃) 각 8시간씩 총 24시간의 사이클을 수행하여, 매 주 제형 안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는 제형이 분리되지 않아서 안정된 상태를 나타내며, ×는 제형이 분리되어 불안정하게 된 상태를 나타낸다. 불안정하게 된 상태의 경우, 상 분리가 관측된 시점을 × 표시 아래에 기재하였다. 상기 조성물 중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의 조성물의 45℃ 조건에서의 4주차 제형 안정도를 육안을 통하여 확인한 사진은 도 1에 나타내었다.
3. 제형 안정도 평가 결과
온도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비교예 5 | 비교예 6 |
냉동 | ○ | ○ | ○ | ○ | ○ | ○ | ○ | ○ | ○ |
냉장 | ○ | ○ | ○ | ○ | ○ | ○ | ○ | ○ | ○ |
상온 | ○ | ○ | ○ | ○ | ○ | × 3주 |
○ | ○ | ○ |
30℃ | ○ | ○ | ○ | × 3주 |
○ | × 2주 |
○ | ○ | ○ |
45℃ | ○ | ○ | ○ | × 1주 |
× 2주 |
× 1주 |
× 3주 |
× 3주 |
× 3주 |
사이클 | ○ | ○ | ○ | × 1주 |
× 1주 |
× 1주 |
○ | ○ | ○ |
상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일겔화제 및 카보머계 점증제를 바람직한 함량 범위로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의 경우, 냉동, 냉장, 상온, 30℃, 45℃ 및 사이클 조건 모두에서, 4주 동안 상 분리 없이 제형 안정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오일겔화제를 포함하지 아니하는 비교예 1의 조성물의 경우, 30℃ 조건에서 3주차에 상 분리가 관측되었고, 45℃ 조건에서 1주차에 상 분리가 관측되었고, 사이클 조건에서 1주차에 상 분리가 관측되었다.
오일겔화제를 포함하지 아니하며, 카보머계 점증제를 바람직한 함유량(0.03 ~ 0.2 중량%)을 초과하여 포함하며, 중화제를 0.14 중량% 포함하는 비교예 2의 조성물의 경우, 45℃ 조건에서 2주차에 상 분리가 관측되었고, 사이클 조건에서 1주차에 상 분리가 관측되었다. 이를 통하여 카보머계 점증제의 증량만으로 조성물을 안정화시킬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카보머계 점증제를 포함하지 아니하는 비교예 3의 조성물의 경우, 상온 조건에서 3주차에 상 분리가 관측되었고, 30℃ 조건에서 2주차에 상 분리가 관측되었고, 45℃ 조건에서 1주차에 상 분리가 관측되었고, 사이클 조건에서 1주차에 상 분리가 관측되었다.
오일겔화제를 바람직한 함유량(0.6 ~ 2 중량%)의 하한 미만으로 포함하는 비교예 4 내지 6의 조성물의 경우, 45℃ 조건에서 3주차에 상 분리가 관측되었다.
<시험예 2> 오일겔화제 및 수상점증제의 함량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 평가 2
시험예 1을 통하여, 오일겔화제 및 카보머계 점증제를 모두 포함한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의 경우 제형 안정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오일겔화제 및 카보머계 점증제의 바람직한 함량 범위 및 비율을 구체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 조성물의 준비
제조예 1에서 있어서, 오일겔화제인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및 카보머계 점증제인 카보폴 981을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2. 제형 안정도 평가 방법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제조된 조성물을 항온조에 보관하여 냉동(-15℃), 냉장(0℃), 상온(25℃), 30℃ 및 45℃의 온도 하에서, 매 주 제형 안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45℃→30℃→냉동(-15℃) 각 8시간씩 총 24시간의 사이클을 수행하여, 매 주 제형 안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평가 기준>
○: 냉동, 냉장, 상온, 30℃, 45℃ 및 사이클 조건 모두에서 4주 동안 상 분리 없이 제형 안정도가 유지되는 안정한 제형.
△: 냉동, 냉장, 상온 조건에서는 4주 동안 상 분리 없이 제형 안정도가 유지되나, 45℃ 및 사이클 조건에서 4주 내에 상 분리가 일어나는 제형.
×: 상온 조건에서도 4주 내에 상 분리가 일어나는 불안정한 제형.
3. 제형 안정도 평가 결과
구분
|
수상점증제(카보폴 981)
|
||||||
0.02 | 0.03 | 0.05 | 0.1 | 0.2 | 0.25 | ||
오일겔화제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
0.5 | × | × | × | × | × | × |
0.6 | × | × | × | × | △ | ○ | |
0.8 | × | △ | ○ | ○ | ○ | ○ | |
1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2.5 | × | ○ | ○ | ○ | ○ | ○ |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일겔화제 및 카보머계 점증제를 바람직한 함량 범위 및 비율로 포함하는 경우, 4주 동안 상 분리가 없거나, 일부만 분리되어 제형 안정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바람직한 함량 범위 미만의 오일겔화제 및 카보머계 점증제를 포함하는 경우, 제형 안정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때, 오일겔화제 및 카보머계 점증제 중 어느 한 성분이 바람직한 함량이면서 다른 성분이 바람직한 함량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제형 안정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하기 시험예 4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감 측면에서 펴발림성이 떨어지며, 끈적임이 심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조성물에 포함되는 오일겔화제 및 카보머계 점증제는 바람직한 함량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성분에 따른 조성물의 점도 변화 평가
1. 조성물의 준비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6의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2. 점도 평가 방법
점도는 브룩필드점도계(Brookfield Viscometer LVDV-Ⅱ, Spindle No.3, 12rpm, 2mi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이하 표 4 및 도 2에 나타내었다(단위: cps).
3. 점도 평가 결과
구분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비교예 5 | 비교예 6 |
제조 초기 | 4,100 | 4,500 | 4,000 | 3,900 | 3,600 | 3,500 | 4,000 | 4,200 | 4,100 |
1일 | 7,000 | 7,900 | 7,980 | 4,500 | 4,600 | 3,600 | 5,100 | 5,500 | 5,300 |
7일 | 6,950 | 7,850 | 7,980 | 4,400 | 4,650 | 3,500 | 5,100 | 5,800 | 5,500 |
14일 | 6,990 | 7,900 | 7,900 | 4,400 | 4,600 | 3,000 | 5,120 | 5,800 | 5,500 |
21일 | 7,000 | 7,900 | 7,880 | 4,000 | 4,300 | 3,000 | 5,100 | 5,500 | 5,500 |
28일 | 7,000 | 7,890 | 7,900 | 3,500 | 4,000 | 2,500 | 4,500 | 4,700 | 4,800 |
상기 표 4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일겔화제 및 카보머계 점증제를 바람직한 함량 범위 및 비율로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의 경우, 1일차(익일, 제조 다음날) 점도가 급격히 상승하며, 상승한 점도가 4주 동안 유지되는 반면, 비교예 1 내지 6의 조성물의 경우, 제조 초기 대비 익일 점도 상승폭이 적고, 4주 동안 상대적으로 낮은 점도의 상태가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6의 조성물의 경우, 3주차 이후부터 점도가 감소하기 시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점도가 6,000cps 기준치 미만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장기간 제형 안정도를 유지하지 못하며, 제형이 붕괴되는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시험예 4> 성분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감 평가
1. 조성물의 준비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 2 및 7의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2. 사용감 평가 방법
피부병 및 알러지 증상이 없고 피부 과민 반응 과거력이 없는 20~40세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 2 및 7의 조성물을 각각 30㎍씩 첩포하게 한 후, 펴발림성, 수분감, 밀착감, 탄력감, 끈적임 및 윤기에 대한 전체적인 사용감을 10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이하 도 3에 나타내었다.
3. 사용감 평가 결과
도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오일겔화제 및 카보머계 점증제를 바람직한 함량 범위로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의 경우, 펴발림성, 수분감, 밀착감, 탄력감, 끈적임 및 윤기에 대한 전체적인 사용감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오일겔화제를 포함하지 아니하는 비교예 1의 조성물의 경우,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에 비하여 수분감은 다소 높게 나타났고, 펴발림성도 대등하게 나타났으나, 그 외의 밀착감, 탄력감, 끈적임 및 윤기에 대한 사용감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일겔화제를 포함하지 아니하며, 카보머계 점증제를 바람직한 함유량(0.03 ~ 0.2 중량%)을 초과하여 포함하는 비교예 2의 조성물의 경우,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에 비하여 수분감은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초반 느껴지는 사용감인 펴발림성이 현저히 낮게 나타났으며, 그 외의 밀착감, 탄력감, 끈적임 및 윤기에 대한 사용감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일겔화제를 바람직한 함량(0.6 ~ 2 중량%)을 초과하여 2.5 중량%로 포함하는 비교예 7의 조성물의 경우,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에 비하여 밀착감, 탄력감, 펴발림성, 끈적임, 수분감 및 윤기에 대한 모든 측면에서 사용감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끈적임이 심하고, 펴발림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이 포함될 것이다.
Claims (10)
- 오일 및 오일겔화제를 포함하는 유상 성분; 및
물 및 카보머계 점증제를 포함하는 수상 성분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오일은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다이머디리 놀리에이트, 옥틸도데칸올 및 디메치콘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오일겔화제는 에틸 셀룰로오스인,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 성분과 수상 성분의 혼합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30:70 ~ 5: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2 ~ 2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겔화제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6 ~ 2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보머계 점증제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3 ~ 0.2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보머계 점증제 및 상기 오일겔화제의 혼합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1 : 3 ~ 6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항노화 활성을 갖는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피부결 개선 활성을 갖는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결 개선 기능성 화장료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7356A KR102575815B1 (ko) | 2018-11-09 | 2018-11-09 | 오일겔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 |
PCT/KR2019/015155 WO2020096409A1 (ko) | 2018-11-09 | 2019-11-08 | 오일겔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 |
CN201980074111.8A CN112996474A (zh) | 2018-11-09 | 2019-11-08 | 含有油胶凝剂的水包油型护肤化妆料组合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7356A KR102575815B1 (ko) | 2018-11-09 | 2018-11-09 | 오일겔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3890A KR20200053890A (ko) | 2020-05-19 |
KR102575815B1 true KR102575815B1 (ko) | 2023-09-07 |
Family
ID=70612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7356A KR102575815B1 (ko) | 2018-11-09 | 2018-11-09 | 오일겔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5815B1 (ko) |
CN (1) | CN112996474A (ko) |
WO (1) | WO202009640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6308B1 (ko) * | 2021-11-17 | 2022-02-23 | 주식회사 엠씨테크 | 비저블한 오일입자를 가지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8978B1 (ko) * | 2003-07-29 | 2005-08-17 |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 오일 겔화제로서 스테아로일 이눌린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유화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
KR101221231B1 (ko) * | 2006-02-28 | 2013-01-11 | (주)아모레퍼시픽 | 투명한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 |
KR101480688B1 (ko) | 2007-11-30 | 2015-01-12 | (주)아모레퍼시픽 |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
KR101295724B1 (ko) * | 2011-10-17 | 2013-08-16 |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 투명한 화장료 조성물 |
KR102131181B1 (ko) * | 2013-12-18 | 2020-07-07 | (주)아모레퍼시픽 |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
KR102405998B1 (ko) * | 2015-06-26 | 2022-06-08 | (주)아모레퍼시픽 |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 제형 입술 화장료 조성물 |
WO2017119728A1 (ko) * | 2016-01-07 | 2017-07-13 | (주)셀트리온 | 형상기억 능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FR3047662B1 (fr) * | 2016-02-12 | 2018-03-16 | Capsum | Emulsions huile-dans-eau dont la phase grasse est sous forme d'un melange de gouttes de differentes tailles |
KR101994619B1 (ko) * | 2017-11-29 | 2019-07-02 | 코스맥스 주식회사 | 입자 형태의 유상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
-
2018
- 2018-11-09 KR KR1020180137356A patent/KR10257581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11-08 CN CN201980074111.8A patent/CN112996474A/zh active Pending
- 2019-11-08 WO PCT/KR2019/015155 patent/WO202009640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096409A1 (ko) | 2020-05-14 |
KR20200053890A (ko) | 2020-05-19 |
CN112996474A (zh) | 2021-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368334C (en) | Acidic gelled aqueous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oil-containing biliquid foam dispersion | |
CA2152640C (en) | Cosmetic compositions with keratolytic and anti-acne activity | |
US20200170917A1 (en) | Dextrin fatty acid ester and cosmetic | |
KR101462703B1 (ko) |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와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 |
US20220323307A1 (en) | Cosmetic composition having increased skin contact and makeup persiste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
JP4782137B2 (ja) | 化粧品用冷却組成物 | |
JP2002504113A (ja) | 水不溶性物質のための水性担体系 | |
JPH1053510A (ja) | 外用組成物 | |
JP2003081761A (ja) | 乳化組成物 | |
US20070122365A1 (en) | Skin-tightening preparations containing gliadin | |
US8021674B2 (en) | Cosmetic gel product on the basis of oils and gelling agents | |
KR102575815B1 (ko) | 오일겔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스킨 케어 화장료 조성물 | |
JP2003513998A (ja) | ゲルタイプのオイルフリー化粧品 | |
FR2771003A1 (fr) | Melanges de silicones volatils non cycliques et compositions cosmetiques a base desdits melanges | |
JPH09315937A (ja) | ゲル化組成物、乳化組成物及び皮膚外用剤 | |
JPH1192335A (ja) | 油性固形化粧料 | |
JP2003095844A (ja) | 化粧料 | |
JP2014177420A (ja) | 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 | |
JP2022102419A (ja) | 水中油滴型乳化物 | |
JP2000344697A (ja) | 長鎖分岐アルコ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料及び外用剤 | |
JP2019099580A (ja) | 油性ゲル状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または皮膚外用剤 | |
JP2003267828A (ja) | 粉末固形状化粧料 | |
JP7486928B2 (ja) | 化粧品用水性分散体、分散保護剤、化粧品の製造方法 | |
JP7130936B2 (ja) | ソフトゲル状組成物 | |
JP2000204032A (ja) | 化粧料、皮膚外用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