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1052A - 하이브리드 라이드 차량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라이드 차량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1052A
KR20210071052A KR1020217013609A KR20217013609A KR20210071052A KR 20210071052 A KR20210071052 A KR 20210071052A KR 1020217013609 A KR1020217013609 A KR 1020217013609A KR 20217013609 A KR20217013609 A KR 20217013609A KR 20210071052 A KR20210071052 A KR 20210071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de vehicle
bogie
slot
ride
amusement p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3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드류 에반 블룸필드
케빈 블레인 프림
마이클 케이쓰 브리스터
Original Assignee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10071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0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00Water roundabouts, e.g. freely fl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0Slideways with movably suspended cars, or with cars moving on rop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00Roundabou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00Roundabouts
    • A63G1/24Roundabouts with seats performing movements in a horizontal plane, other than circular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12Chutes; Helter-skelters with special cars, e.g. horse-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18Water-chut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00Water roundabouts, e.g. freely floating
    • A63G3/02Water roundabouts, e.g. freely floating with floating sea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07Amusement arrangements involving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A63G31/1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with inflatable and movable sub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7/00Up-and-down hill tracks; Switchbacks

Landscapes

  • Toy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놀이공원 시스템은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라이드 차량과, 물 유로에 의해 규정된 경로의 수중 부분과, 대차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트랙에 의해 규정된 경로의 공중 부분을 포함한다. 라이드 차량은 물 유로의 흐름에 응답하여 물 유로를 따라 자유롭게 부유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라이드 차량은 대차에 의해 트랙을 따라 운반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라이드 차량 시스템 및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10월 5일에 출원된 "하이브리드 라이드 차량 시스템 및 방법(HYBRID RIDE VEHICLE SYSTEMS AND METHODS)"이라는 명칭의 미국 가특허출원 제 62/742,124 호에 대한 우선권 및 이점을 주장하고, 이는 모든 목적을 위해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놀이공원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놀이공원 라이드와 함께 사용되는 장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섹션은 이하에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관점에 관련될 수 있는 기술의 다양한 관점을 독자에게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논의는 본 개시의 다양한 관점의 더 나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독자에게 배경 정보를 제공하는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러한 진술은 선행 기술의 인정으로서가 아니라 이러한 관점에서 읽어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20세기 초부터 놀이공원(또는 테마파크)의 인기가 크게 높아졌다. 특정 놀이공원 라이드는 사용자를 수로를 따라서만 운반하도록 구성된 수상 라이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놀이공원 라이드는 트랙을 따라서만 대차(bogie)로 사용자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롤러코스터 라이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좁은 라이딩 포맷은 사용자의 경험을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중 운송 모드를 갖는 개선된 놀이공원 라이드가 게스트 경험을 향상시키기에 바람직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제 인식된다.
원래 청구된 내용의 범위에 상응하는 특정 실시예가 이하에 요약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러한 실시예는 오직 특정의 개시된 실시예의 간략한 요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 본 개시는 이하에 기재된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는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놀이공원 시스템은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라이드 차량과, 물 유로에 의해 규정된 경로의 수중 부분과, 대차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트랙에 의해 규정된 경로의 공중 부분을 포함한다. 라이드 차량은 물 유로의 흐름에 응답하여 물 유로를 따라 자유롭게 부유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라이드 차량은 대차에 의해 트랙을 따라 운반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드 차량 시스템은 라이드 차량의 선체 내부에 배치된 슬롯을 포함하고 유로를 따라 액체 상에서 자유롭게 부유하도록 구성되는 라이드 차량을 포함한다. 라이드 차량 시스템은 트랙을 따라 이동하고 슬롯을 거쳐서 라이드 차량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대차를 더 포함한다.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놀이공원 시스템은 지리적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라이드 차량을 포함한다. 놀이공원 시스템은 트랙을 따라 주행하고, 라이드 차량과 맞물리고, 트랙을 따라 라이드 차량을 운반하며, 라이드 차량으로부터 맞물림해제되도록 구성된 대차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이러한 및 다른 특징, 관점 및 이점은 유사한 도면 부호가 도면 전체에 걸쳐서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라이드 어트랙션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도 1의 라이드 어트랙션의 라이드 차량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도 1의 라이드 어트랙션의 라이드 차량의 일 실시예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다중 운송 모드를 갖는 라이드 어트랙션을 작동시키는 프로세스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대차와 맞물리는 프로세스에서 도 1의 라이드 어트랙션의 라이드 차량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라이딩 포맷 사이의 전환 프로세스에서 도 5의 라이드 차량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도 1의 라이드 어트랙션의 라이드 차량 및 대차의 맞물림 전의 이들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7의 라이드 차량 및 대차가 맞물리는 동안에 이들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라이드 어트랙션의 라이드 차량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본 개시는 그 중에서도 수중 라이드 부분 및 공중 라이드 부분(예를 들면, 다중 운송 모드)을 모두 구비하는 라이드 시스템의 실시예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라이드 시스템은 수중 부분의 물 유로를 따라 부유하는 보트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고, 공중 부분의 공중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코스터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 라이드 차량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놀이공원은 수로를 따라 부유하도록 구성된 보트를 구비하는 라이드 어트랙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놀이공원은 또한 트랙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코스터를 구비하는 별도의 라이드 어트랙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어트랙션의 단일의 그리고 때로는 예측 가능한 라이드 포맷은 사용자의 경험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일부 놀이공원 라이드는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라이드 차량을 활용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이 트랙은 공중 부분과 잠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공중 트랙과 잠수 트랙 사이로부터 전환하는 것은 여전히 제한된 경험을 제공한다. 실제로, 라이드 차량은 물 부분 내에 있는 동안 잠수 트랙에 갇혀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실제 보트에 있는 것과 관련된 완전한 부유 효과를 경험하지 못한다. 실제로, 그 결과는 단순히, 물과 접촉할 수도 있는 저속이며 예측 가능한 롤러코스터이다. 따라서, 라이딩 포맷 사이의 하나 이상의 전환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라이딩 어트랙션이 본 명세서에 제공된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라이딩 포맷은 분리되고 구별될 수 있어서, 라이딩 포맷 사이의 전환은 예상치 못한다. 실제로, 라이딩 포맷 사이의 전환은 사용자를 놀라게 하고 사용자의 엔터테인먼트 수준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개시의 실시예는 물 위에 자유롭게 부유하고, 대차로부터 연장되는 맞물림 조립체(예를 들면, 프롱(prongs), 포크리프트)를 거쳐서 라이드 트랙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라이드 차량을 포함한다. 라이드 차량이 라이드의 물 부분 상에 부유하는 동안, 사용자는 다가오는 라이드 포맷의 변화를 알지 못할 수도 있다. 실제로, 라이드 차량은 사용자에게 순전히, 공중 라이드 포맷으로 전환할 수 없는 보트로 보일 수도 있다. 라이드 차량이 대차에 결합되면, 대차는 라이드 차량을 피칭, 요잉(yawing) 및/또는 롤링하면서 라이드 트랙을 따라 라이드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스릴 요인을 더욱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를 염두에 두고, 도 1은 놀이공원(12)의 라이드 시스템(10)(예를 들면, 놀이공원 어트랙션)을 도시한다. 라이드 시스템(10)은 이 라이드 시스템(10)의 경로(16)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다중 라이드 차량(14)을 포함한다. 경로(16)는 물 미끄럼틀(flume)(22)에 의해 규정된 유로(20)를 구비하는 수중 부분(18)을 포함한다. 경로(16)는 또한 트랙(26)에 의해 규정된 공중 부분(24)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라이드 차량(14)은 수중 부분(18)을 따라 자유롭게 부유하고, 화살표(29)로 나타낸 방향으로 공중 부분(24)을 따라 대차(28)에 의해 운반되도록 구성된다. 라이드 차량(14)이 경로(16)를 따라 주행할 때, 라이드 차량(14)은 애니마트로닉 쇼 피스(animatronic show piece), 특수 효과 등과 같은 다양한 테마적 효과를 받을 수도 있다.
예시를 위해, 라이드 사이클의 처음에는, 사용자는 탑승 플랫폼(32)으로부터 라이드 차량(14)에 승하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탑승 플랫폼(32)으로부터 라이드 차량(14)에 승차/하차하는 동안에, 라이드 차량(14)은 탑승 플랫폼(32)에 인접하게 배치된 컨베이어(34)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컨베이어(34)는 사용자가 라이드 차량(14)에 쉽게 승차하게 하도록, 탑승 플랫폼(32)의 전방에서 라이드 차량(14)을 일정한 속도 및 고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컨베이어(34)는 사용자가 라이드 차량(14)에 승차하게 하도록, 라이드 차량(14)이 탑승 플랫폼(32)의 전방에서 잠시 정지하게 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컨베이어(34)는 유로(20)의 물 아래에 부분적으로 잠기거나 완전히 잠길 수도 있다.
사용자가 라이드 차량(14)에 승차하면, 컨베이어(34)는 화살표(29)로 표시된 바와 같이 수중 부분(18)에서 유로(20)의 유동 방향에 대해, 컨베이어(34)의 하류측의 위치로 라이드 차량(14)을 옮길 수도 있다. 라이드 차량(14)은 그 다음에, 소정 길이의 수중 부분(18)을 따라 자유롭게 부유할 수도 있다. 즉,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드 차량(14)의 이동은 유로(20)의 흐름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라이드 차량(14)은 수중 부분(18)을 따라 라이드 차량(14)에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수중 부분(18) 내에 배치된 임의의 요소를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임의의 요소/특징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실제로, 컨베이어(34)를 제외하고, 수중 부분(18)은 유로(20)를 따라 라이드 차량(14)에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임의의 기계적 요소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경로(16)를 따라 라이드 차량(14)에 동기를 부여하는데 사용되는 수류는 물 미끄럼틀(22)의 경사에 의해, 그리고/또는 유로(20)를 따라 배치된 워터 제트 또는 프로펠러와 같은 기계적 추진 시스템(35)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다. 경로(16)를 따라 특정 지점에 도시되어 있지만, 추진 시스템(35)이 경로(16)의 수중 부분(18) 전체에 배치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수중 부분(18)에 있는 동안 라이드 차량(14)의 움직임은 유로(20)의 잔물결(ripple), 파도, 흐름 등의 직접적인 결과일 수도 있다. 이는 물 위의 보트의 전통적인 이동과 유사한 라이드 차량(14)의 무작위의 예측할 수 없는 이동을 유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의 스릴 요인을 향상시킨다. 실제로, 트랙이 수중에 존재하는 전통적인 수상 라이드와 달리, 특정 실시예에서, 라이드 차량(14)은 수중 부분(18)의 물에서의 차량의 부력에 의해서만 지지된다.
라이드 차량(14)은 일반적으로 화살표(29)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로(20)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주행할 수도 있고, 라이드 차량(14)의 전방부(40)는 일반적으로 유로(20)의 하류측 방향을 향한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드 차량(14)은 유로(20)를 따라 주행하는 동안 어느 정도 흔들릴(예를 들면, 요잉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유로(20)의 하류측 방향을 향하는 전방부(40)로 배향될 수도 있다. 대차(28)는, 라이드 차량(14)이 소정 길이의 수중 부분(18)을 주행하고 수중 부분(18)의 종점(36)(예를 들면, 전환 영역)에 도달한 후에, 라이드 차량(14)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즉,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드 차량(14)이 종점(36)에 접근하는 동안, 대차(28)는 종점(36)에 위치될 수도 있다. 라이드 차량(14)은 그 다음에, 이하에 더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대차(28)와 맞물리거나 맞물림해제되도록 대차(28)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수중 부분(18)의 종점(36)에 도달하기 전에, 라이드 차량(14)의 전방부(40)가 일반적으로 유로(20)의 상류측을 향하도록, 라이드 차량(14)이 회전(예를 들면, 대략 180°)될 수도 있다. 특히, 수중 부분(18)은 유로(20) 내에서 라이드 차량(14)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회전 시스템(42)(예를 들면, 턴테이블)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시스템(42)은 물이 소용돌이치게 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라이드 차량(14)을 회전시키는 쇼 효과(show effect)와 조합하여 라이드 차량(14)을 이동시키는 대형 애니마트로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라이드 차량(14)의 전방부(40)를 향하고 있는 사용자는 수중 부분(18)의 종점(36)에서 라이드 차량(14)의 하류측에 위치한 대차(28)를 알지 못할 수도 있다. 이는, 경로(16)의 공중 부분(24)으로의 전환이 사용자에게 놀라움으로 다가올 것이기 때문에, 라이드 시스템(10)의 스릴 요인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다. 대차(28)가 라이드 차량(14)과 맞물리면(예를 들면, 결합되면), 대차(28)는 경로(16)의 공중 부분(24)을 따라 라이드 차량(14)을 운반할 수도 있다. 라이드 차량(14)이 대차(28)에 의해 공중 부분(24)의 트랙(26)을 따라 운반될 때, 대차(28) 및 트랙(26)은 라이드 차량(14)을 협력적으로 피칭, 요잉 및 롤링하도록 구성된다.
대차(28) 및 라이드 차량(14)이 소정 길이의 공중 부분(24)을 주행한 후, 대차(28)는 경로(16)의 수중 부분(18) 내에 라이드 차량(14)을 위치시키고, 라이드 차량(14)과 맞물림해제될 수도 있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28)는 라이드 차량(14)의 전방부(40)가 유로(20)의 하류측을 향하도록, 수중 부분(18)의 원점(50)에 라이드 차량(14)을 위치시킬 수도 있다. 대차(28)가 라이드 차량(14)으로부터 맞물림해제되면, 라이드 차량(14)은 컨베이어(34)로 유로(20)를 따라 자유롭게 부유할 수도 있다. 라이드 차량(14)이 대차(28)를 넘어 이동되면, 대차는 화살표(5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종점(36)으로부터 다른 라이드 차량(14)을 픽업하기 위해, 수중 부분(18)의 종점(36)을 향해 트랙(26)을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대차(28)는 화살표(5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로(20)의 유동 방향과 반대이며 평행한 방향으로 라이드 차량(14)으로부터 떼어질 수도 있다. 실제로,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드 차량(14)이 유로(20)의 흐름에 응답하여 대차(28)로부터 멀리 부유될 수 있는 것보다 더 빨리, 대차(28)가 라이드 차량(14)으로부터 떼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단순히 라이드 차량(14)이 대차(28)로부터 멀리 부유되게 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라이드 차량(14)으로부터 떼어짐으로써, 대차(28)는 시간을 절약하여 다른 라이드 차량(14)을 픽업하기 위해 수중 부분(18)의 종점(36)으로 즉시 주행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라이드 시스템(10)의 작동은 어트랙션 컨트롤러(60)를 활용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컨트롤러(60)는 주문형 프로세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나타낼 수도 있는) 프로세서(62)를 채용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도 있다. 컨트롤러(60)는 또한 라이드 시스템(10)과 관련되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및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62)에 의해 실행 가능한 지시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64)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62)는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고, 메모리 장치(64)는 하나 이상의 유형(有形)의 비일시적인 기계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로서, 이러한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 또는 기계 실행 가능 지시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의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휴대하거나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프로세서(62)에 의해, 또는 임의의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를 갖는 다른 기계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에 더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어트랙션 컨트롤러(60)는 라이드 차량(14)에 대한 대차(28)의 맞물림을 보장하고, 라이드 차량(14)과 대차(28) 사이의 맞물림해제를 보장하며, 라이드 차량(14)이 공중 부분(24)의 트랙(26)을 따라 주행할 때 라이드 차량(14)의 회전 또는 요잉을 결정하는데 활용될 수도 있다. 어트랙션 컨트롤러(60)는 또한 라이드 차량(14)이 라이드 시스템(10)을 통해 진행할 때 라이드 차량(14)의 타이밍에 관련된 관점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염두에 두고, 도 2는 라이드 차량(14) 및/또는 대차(28)를 포함하는 라이드 차량 시스템(69)의 사시도이다. 특히, 도 2는 수중 부분(18)의 종점(36)(예를 들면, 전환 영역)에서 대차(28)와 맞물린 라이드 차량(14)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28)는 트랙(26)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휠 조립체(70)를 포함한다. 도시된 대차(28)는 또한, 휠 조립체(70)로부터 연장되고 프롱(74)(예를 들면, 포크리프트 구조체, 부착 연장부)을 거쳐서 라이드 차량(14)에 결합된 부착 아암(72)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아암(72)은 캐노피와 같은 오버헤드 구조체(79)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오버헤드 구조체(79)는 대차(28)의 휠 조립체(70) 및 다른 요소로부터의 사용자 시야를 방해하는 역할을 하고, 이에 의해 사용자의 진정한 경험에 더 기여할 수도 있다. 라이드 차량(14)은 이 라이드 차량(14)의 부력에 기여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라이드 차량(14)의 형상은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드 차량(14)은 범선의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라이드 차량(14)은 화살표(29)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중 부분(18)의 유로(20)를 따라 부유하도록 구성된다. 유로(20)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라이드 차량(14)의 전방부(40)가 유로(20)의 하류측을 향하도록, 라이드 차량(14)은 대략 180도 회전될 수도 있다. 따라서, 회전된 후, 라이드 차량(14)은 대차(28)에 접근할 수 있고, 대차(28)의 프롱(74)에 결합하기 위해 종점(36)에서 상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될 수도 있다. 경로(16)로부터 분리된 제 2 경로(81)로부터 주행해온 대차(28)는 라이드 차량(14) 전에 종점(36)에 도착했을 수도 있다. 라이드 차량(14)이 대차(28)에 접근할 때, 라이드 차량(14)의 주행 방향은, 대차(28)에 결합하도록 라이드 차량(14)을 사전결정된 위치(78)에 접촉시키고, 향하게 하고, 중심설정시키도록 구성된 트로프(trough)(76)(예를 들면, 채널, 도관, 퍼널(funnel))를 포함할 수도 있는 위치설정 시스템(75)과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라이드 차량(14)은, 이 라이드 차량(14)의 외주에 결합되고, 트로프(76)의 벽과 상호 작용하기 위해 라이드 차량(14)으로부터 외측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휠(80) 또는 다른 마찰-감소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라이드 차량(14)의 휠(80)은 트로프(76)와 상호 작용하여 라이드 차량(14)을 사전결정된 위치(78)에, 그리고 프롱(74) 상으로 매끄럽게 안내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트로프(76) 및 휠(80) 모두는 사용자가 트로프(76) 및 휠(80)을 보기 어렵게 하기 위해 유로(20)의 물에 완전히 잠기거나, 부분적으로 잠길 수도 있다.
대차(28)가 라이드 차량(14)과 맞물리면, 대차(28)는 경로(16)를 따라 라이드 차량(14)을 더 운반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수중 부분(18)의 종점(36) 및 공중 부분(24)의 시점은 폭포(82)에 인접할 수도 있다. 따라서, 대차(28)가 라이드 차량(14)과 맞물리면, 대차(28)는 트랙(26)을 따라 폭포(82) 위로 라이드 차량(14)을 이동시키고, 경로(16)의 공중 부분(24)을 따라 계속될 수도 있다. 라이드 차량(14)이 경로(16)의 공중 부분(24)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에, 라이드 차량(14)은 피칭, 요잉 및 롤링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라이드 차량(14)은 트랙(26)에 결합되는 휠 조립체(70)에 대해 요잉(예를 들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휠 조립체(70)는 회전 기구(84)를 거쳐서 부착 아암(72)에 결합될 수도 있다. 회전 기구(84)는 휠 조립체(70)에 대해 부착 아암(72)을 회전시키거나, 부착 아암(72)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 라이드 차량(14)이 프롱(74)에 결합되는 동안 라이드 차량(14)을 회전(예를 들면, 요잉)시킨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드 차량(14)의 피칭 및 롤링은 트랙(26)의 배향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즉, 트랙(26)은 라이드 차량(14)과 함께 전체 대차(28)가 트랙(26)의 배향 및 곡률에 응답하여 피칭 및 롤링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대차(28)는 라이드 차량(14)이 트랙(26)을 따라 운반되는 동안 라이드 차량(14)을 피칭 및/또는 롤링하도록 구성된 경사 기구(88)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라이드 차량(14)이 유로(20)를 따라 주행할 때 라이드 차량(14)은 예를 들면, 좌석 영역(89) 내에 물이 수집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대차(28)는, 라이드 차량(14) 내의 임의의 고여있는 물이 라이드 차량(14)으로부터 흘러나오게 하도록, 라이드 차량(14)을 젖히기 위해(예를 들면, 비스듬히 하기 위해, 경사지게 하기 위해) 경사 기구(88)를 활용하고, 이에 의해 라이드 차량(14)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도 3은 수중 부분(18)의 종점(36)에서 라이드 차량(14)과 맞물린 대차(28)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28)는 트랙(26)에 결합된 휠 조립체(7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트랙(26)은 이 트랙(26)을 따라 대차(28)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 시스템(91)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대차(28)는 트랙(26)을 따라 대차(28)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시스템(91)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차(28)는 또한 휠 조립체(70)로부터, 라이드 차량(14)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프롱(74)으로 연장되는 부착 아암(72)을 포함한다. 라이드 차량(14)은 한 명 이상의 사용자(87)를 잡고 고정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좌석(86)을 포함한다. 라이드 차량(14)은 이 라이드 차량(14)의 선체(92)(예를 들면, 본체, 섀시) 내에서 연장되는 슬롯(90)을 더 포함한다. 슬롯(90)은 대차(28)의 프롱(7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실제로,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슬롯(90)은 라이드 차량(14)의 선체(92)의 길이의 대부분을 통해 연장될 수도 있고, 프롱(7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동일한 길이일 수도 있다. 게다가, 실시예들의 특정 관점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도 3의 도시가 하나의 슬롯(90)과 하나의 프롱(74)만을 보여주도록 단순화되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대차(28)가 하나 이상의 프롱(74)을 포함할 수 있고, 라이드 차량(14)이 하나 이상의 프롱(7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대응하는 수의 하나 이상의 슬롯(90)을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프롱(74)은 이 프롱(74)의 원위 단부(96) 상에 배치된 테이퍼형(예를 들면, 원형, 뾰족한) 팁(94)을 포함할 수도 있다. 슬롯(90)은 유사하게, 프롱(7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플레어형 오리피스(98)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롱(74)의 원위 단부(96)는 용이하게 슬롯(90)의 플레어형 오리피스(98) 내로 삽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퍼널의 기능성과 유사하게, 플레어형 오리피스(98)의 플레어형 기하학적 구조 및 테이퍼형 팁(94)의 테이퍼형 기하하적 구조는, 프롱(74)을 삽입하는 동안 프롱(74)이 슬롯(90)과 완벽하게 정렬되지 않은 경우, 프롱(74)의 원위 단부(96)를 슬롯(90) 내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90)의 플레어형 오리피스(98)는 라이드 차량(14)의 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플레어형 오리피스(98)는 또한 라이드 차량(14)의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을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87)는 슬롯(90)의 존재 및/또는 목적을 모를 수도 있으며, 이는 대차(28)의 맞물림에 의해 놀라게 되는 스릴 요인을 더 추가할 수도 있다. 프롱(74)이 슬롯 내에 삽입되면, 대차(28)는 로킹 시스템(100)을 활용하여 라이드 차량(14)과 수동적으로 맞물릴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로킹 시스템(100)은 프롱(74)이 슬롯(90) 내에 삽입되면, 프롱(74)이 슬롯(90)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로킹 시스템(100)은 프롱(74)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폴(pawl)(102)을 포함할 수도 있다. 로킹 시스템(100)은 또한 슬롯(90)의 내벽(106)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리세스(104)를 포함한다. 폴(102)은 프롱(74)으로부터 외측으로 편향되고, 그에 따라 폴(102)은 프롱이 슬롯(90) 내에 삽입될 때, 내벽(106)에 대해 후퇴하고 리세스(104) 내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폴(102)은 프롱(74)이 슬롯(90) 밖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리세스(104)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폴(102)은 스프링 기구를 거쳐서 리세스를 향해 외측으로 편향될 수도 있다.
로킹 시스템(100)은 폴(102)의 위치를 검출(예를 들면, 결정)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108)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폴(102)의 연장 위치는 대차(28)가 라이드 차량(14)에 결합됨을 나타낼 수도 있다. 즉, 폴(102)이 외측으로 연장되면, 이는 폴(102)이 리세스(104) 내에 배치됨을 나타낼 수도 있다. 유사하게, 폴(102)의 후퇴 위치는 대차(28)가 라이드 차량(14)과 맞물리지 않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 즉, 폴(102)이 내측으로 후퇴되면, 이는 폴(102)이 리세스(104) 내에 배치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센서(108)는 프롱(74)이 슬롯(90) 내로 삽입되는 거리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센서(108)는 프롱(74)의 원위 단부(96)와 슬롯(90)의 후방 벽(110)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60)는, 폴(102)이 (슬롯(90)의 외부에 배치되는) 연장 위치로부터 (프롱(74)이 슬롯(90) 내로 삽입되는 동안) 후퇴 위치로, 그리고 (폴(102)이 리세스(104) 내에 배치될 때) 연장 위치로 다시 이동하는 것을 센서(108)가 검출하면, 대차(28)가 라이드 차량(14)과 맞물렸다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로킹 시스템(100)은 라이드 차량(14)으로부터 대차(28)를 맞물림해제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11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액추에이터(112)는 폴(102)을 후퇴시키기 위해 폴(102)의 외측 편향을 극복하도록 구성된다. 폴(102)이 후퇴 위치에 있으면, 프롱(74)이 슬롯(90)의 외부로 당겨질 수 있고, 대차(28)가 라이드 차량(14)으로부터 맞물림해제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롱(74)은 라이드 차량(14)과 (예를 들면, 편향된 폴(102)을 거쳐서) 수동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라이드 차량(14)으로부터 (예를 들면, 액추에이터(112)를 거쳐서) 능동적으로 맞물림해제될 수도 있다. 실제로, 프롱(74)은 라이드 차량(14)과 맞물리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수동 연결 시스템 또는 방법을 활용할 수 있고, 라이드 차량(14)과 맞물림해제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능동(예를 들면, 동력) 시스템을 활용할 수도 있다.
게다가,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라이드 차량(14)은 이 라이드 차량(14)이 경로(16)의 수중 부분(l8)을 통해 주행할 때 좌석 영역(89) 내에 모아질 수 있는 라이드 차량(14)의 임의의 잔류수를 배수하도록 피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드 차량(14)은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경사 기구(88)를 활용하여 피칭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드 차량(14)은 컨베이어 기구를 활용할 수도 있는 위치결정 시스템(75)의 경사면(114) 또는 램프(ramp)를 활용하여 피칭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차(28)와 맞물리기 전에, 라이드 차량(14)은 트로프(76) 내에 위치될 수도 있는 경사면(114) 상으로 주행할 수도 있다. 라이드 차량(14)이 경사면(114) 상으로 이동할 때, 라이드 차량(14)은 상향 경사 각도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라이드 차량(14) 내에 배치된 액체는 배수구(115)를 통해서와 같이 라이드 차량(14) 밖으로 흘러나올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드 차량(14)은 유사하게, 배수구를 통해서와 같이 라이드 차량(14)의 후방을 통해 액체를 배수하기 위해 하향 경사 각도로 위치될 수도 있다. 게다가,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경사면(114) 상에 배치되는 라이드 차량(14)의 경사 위치는, 라이드 차량(14)이 대차(28)와 적절하게 맞물리지 않은 경우, 라이드 차량(14)이 경로(16)의 공중 부분(24)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예시를 위해, 대차(28)와 맞물리기 전에, 라이드 차량(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114) 상에 비스듬히 배치될 수도 있다. 대차(28)의 프롱(74)은 그 다음에, 라이드 차량(14)의 슬롯(90) 내로 유사한 각도로 삽입될 수도 있다. 라이드 차량(14)에 삽입되면, 대차(28)는 슬롯(90)의 각도에 평행한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라이드 차량(14)을 들어올리려고 시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롱(74)이 라이드 차량(14)과 적절하게 맞물리지 않으면, 라이드 차량(14)은 간단히 프롱(74)에서 미끄러져 떨어지고, 대차(28)가 빼내지는 동안 경사면(114) 상에 남아있을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대차(28)가 슬롯(90)으로부터 떼어놓아지는 각도는 대차(28)가 트랙(26)을 따라 이동할 때 트랙(26)이 대응하는 각도가 원인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도는 대략 10° 내지 45°,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각도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부착 아암(72) 및 라이드 차량(14)은 대차(28)의 휠 조립체(70)에 대해 회전(예를 들면, 요잉)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대차(28)는 부착 아암(72)이 휠 조립체(70)에 대해 회전되게 하도록 구성된 회전 기구(84)(예를 들면, 모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대차(28)의 하나 이상의 센서(108)는 휠 조립체(70)에 대한 부착 아암(72)의 각위치(angular position)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기구(84)는 하나 이상의 센서(108)의 근접 센서로부터 측정된 각위치에 기초하여 원하는 위치로 부착 아암(72)을 회전시키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대차의 하나 이상의 작동은 대차 컨트롤러(120)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실제로, 하나 이상의 센서(108), 액추에이터(112), 회전 기구(84) 및 경사 기구(88)는 대차 컨트롤러(120)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특히, 이하에 더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대차 컨트롤러(120)는 액추에이터(112), 회전 기구(84) 및 경사 기구(88)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센서(108)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활용할 수도 있다. 실제로,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드 시스템(10)의 각 대차(28)는 대차 컨트롤러(1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라이드 시스템(10)의 대차(28)의 각 대차 컨트롤러(120)는, 각자의 대차(28)를 각각 나타내는 데이터를 어트랙션 컨트롤러(60)에 통신하도록 어트랙션 컨트롤러(60)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어트랙션 컨트롤러(60)는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22)를 통해서와 같이, 어트랙션 오퍼레이터에게 관련 라이드 차량 정보를 제공하도록, 각자의 대차 컨트롤러(120)로부터 각각 획득된 데이터를 활용할 수도 있다. 관련 라이드 차량 정보는 예를 들면, 대차(28)가 라이드 차량(14)과 맞물리는지 여부, 경로(16)를 따른 대차(28)의 위치, 대차(28)의 건강 상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하나 이상의 센서(108), 액추에이터(112), 회전 기구(84), 경사 기구(88), 대차 컨트롤러(120) 및 어트랙션 컨트롤러(60)는 통신 시스템(124)을 거쳐서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시스템(124)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무선 광역 통신망[WWAN], 근거리 무선통신[NFC],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통신 시스템(124)은 근거리 통신망[LAN] 또는 광역 통신망[WAN]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시스템(124)은 센서(108), 액추에이터(112), 경사 기구(88) 및 회전 기구(84)를 대차 컨트롤러(120)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하는 전도성 매체(126)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시스템(124)은 대차(28)(예를 들면, 대차 컨트롤러(120))와 어트랙션 컨트롤러(60)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트랙(26)에 결합된 버스 바아(bus bar)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차(28)의 휠 조립체(70)는 대차(28)(예를 들면, 대차 컨트롤러(120))와 어트랙션 컨트롤러(60)를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브러시(예를 들면, 카본 브러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게다가,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드 시스템(10)은 상술된 바와 같이 대차 컨트롤러(120) 및 어트랙션 컨트롤러(60) 모두의 기능성을 포함할 수도 있는 단일 컨트롤러(예를 들면, 어트랙션 컨트롤러(6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라이드 차량(14)과 대차(28)의 맞물림 및 맞물림해제를 위한 프로세스(135)의 흐름도이다. 먼저, 도 4의 이하의 논의가 도 3에 도시된 요소를 참조할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블록(136)에서, 대차(28)의 프롱(74)은 라이드 차량(14)의 슬롯(90) 내로 삽입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대차(28)는 정지될 수도 있고, 라이드 차량(14)은 프롱(74) 상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대차(28), 라이드 차량(14), 또는 둘 모두는 블록(136)에 의해 나타낸 행동 동안에 이동할 수도 있다. 프롱(74)이 슬롯(90) 내로 삽입될 때, 프롱(74)은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폴(102) 및 대응하는 리세스(104)를 거쳐서 라이드 차량(14)과 수동적으로 맞물릴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라이드 차량(14)은 상향 경사 각도로 대차(28)와 맞물릴 수도 있고, 이에 의해 적절한 맞물림을 보장하고, 라이드 차량(14)의 과도한 물을 배수한다.
블록(138)에서, 컨트롤러(예를 들면, 어트랙션 컨트롤러(60), 대차 컨트롤러(120), 또는 둘 다)는 대차(28)와 라이드 차량(14)의 맞물림을 확인할 수도 있다. 특히, 하나 이상의 센서(108)는 슬롯(90)과 프롱(74)의 맞물림 수준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고, 이 데이터를 컨트롤러로 전송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맞물림 수준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맞물림 수준은 프롱(74)의 폴(102)의 측정된 각위치에 기초할 수도 있다. 즉, 폴(102)이 프롱(74)으로부터 멀리 외측으로 각을 이룬 경우, 이는 폴(102)이 리세스(104) 내에 배치되어서, 프롱(74)이 슬롯(90) 밖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충분한 맞물림을 나타냄을 나타낼 수도 있다. 게다가,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대차(28)는 슬롯(90) 밖으로 당기기 위해 힘을 가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센서(108)는 이 힘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 힘을 측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센서(108)는 폴(102)이 리세스(104)의 표면에 가하는 압력을 측정할 수도 있다. 힘이 사전결정된 임계 레벨 초과이면, 컨트롤러는 대차(28)가 라이드 차량(14)과 적절하게 맞물렸다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대차(28)가 라이드 차량(14)과 적절하게 맞물리지 않았다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라이드 시스템(10)이 작동을 중단하게 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라이드 차량(14)이 프롱(74) 상에 배치되지만, 프롱(74)과는 맞물리지 않았다는 것을 결정하면, 컨트롤러는 대차(28)가 라이드 차량(14)을 경로(16)로부터 분리된 보조 위치로 밀게 하도록 하나 이상의 신호를 대차(28)에 전송할 수도 있다.
블록(140)에서, 라이드 차량(14) 및 대차(28)가 적절하게 맞물렸다는 것을 컨트롤러가 확인/결정하면, 대차(28)는 트랙(26)의 공중 부분(24)을 따라 라이드 차량(14)을 운반할 수도 있다. 트랙(26)을 따라 라이드 차량(14)을 운반하는 동안, 대차(28)는 라이드 차량(14)이 휠 조립체(70)에 대해 회전 또는 요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휠 조립체(70)와 부착 아암(72) 사이에서 연장되는 회전 기구(84)는 라이드 차량(14)이 컨트롤러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회전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대차(28)가 경로(16)의 공중 부분(24)의 끝(예를 들면, 수중 부분(18)의 원점(50))에 접근할 때, 하나 이상의 센서(108)는 부착 아암(72) 및 라이드 차량(14)의 각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센서(108)는 이 데이터를 컨트롤러에 전송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는 이 데이터를 분석하고, 회전 기구(84)가 라이드 차량(14)을 중심에 놓도록 부착 아암(72)을 회전시키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신호를 회전 기구(84)에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라이드 차량(14)을 중심에 놓는 것은 라이드 시스템(10)의 디자인에 의존할 수도 있는 원하는 각위치로 라이드 차량(14)을 회전시키는 것을 지칭할 수도 있다. 즉,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드 차량(14)의 중심설정된 위치는, 라이드 차량(14)의 전방부(40)가 경로(16)의 방향에 평행한 방향, 또는 라이드 차량(14)의 이동 방향을 향하도록 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드 차량(14)의 중심설정된 위치는 반송 방향(dispatch direction), 또는 수중 부분(18)의 유로(20)의 방향을 향하는 라이드 차량(14)의 전방부(40)를 참조할 수도 있다.
블록(141)에서, 대차(28)는 경로(16)의 수중 부분(18)에 라이드 차량(14)을 위치시키고 라이드 차량(14)으로부터 맞물림해제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에 간략히 논의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는 폴(102)이 프롱(74)을 향해 후퇴하게 하도록 하나 이상의 신호를 액추에이터(112)에 전송하고, 이에 의해 라이드 차량(14)으로부터 대차(28)를 맞물림해제시킬 수도 있다. 라이드 차량(14)이 대차(28)로부터 맞물림해제되면, 라이드 차량(14)은 유로(20)의 수류에 응답하여 수중 부분(18)의 유로(20)를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대차(28)는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라이드 차량(14)으로부터 떼어놓아질 수도 있다. 대차(28)의 프롱(74)이 라이드 차량(14)의 외부에 배치되면, 대차(28)는 다른 라이드 차량(14)과 맞물리기 위해 종점(36)으로 주행될 수도 있다.
도 5는 라이드 차량(14)이 수중 부분(18)의 종점(36)에 접근할 때 라이드 차량(14)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실제로, 수중 부분(18)의 종점(36)은 폭포(82) 또는 다른 유사한 특징부(예를 들면, 절벽, 도랑(ditch))에 인접한 유로(20)의 영역에 의해 규정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드 차량(14)은 이 라이드 차량(14)의 전방부(40)가 폭포(82)를 향한 상태로 수중 부분(18)의 종점(36)에 접근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라이드 차량(14) 내에 배치된 사용자는 폭포(82)를 보고 흥분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는 라이드 시스템(10)의 스릴 요인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대차(28)는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드 차량(14)의 후방으로부터 라이드 차량(14)에 접근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라이드 차량(14)이 대차(28)에 결합되고 대차(28)에 의해 들어올려지려고 하는 것을 알지 못할 수도 있다. 실제로, 상기 논의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라이드 차량(14)은 대차(28)가 라이드 차량(14)에 맞물릴 수도 있는 사전결정된 위치(78)로 라이드 차량(14)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트로프(76)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도 6은 라이드 차량(14)이 대차(28)에 결합된 후 라이드 차량(14)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대차(28)는 일정 기간 동안 폭포(82)에서의 정체 위치로 라이드 차량(14)을 안내할 수도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대차(28)는 폭포(82)에 접근하기 전에 라이드 차량(14)에 맞물리고, 라이드 차량(14)과 맞물린 다음에, 라이드 차량(14)의 일부분이 폭포(82)의 에지(130) 위로 연장된 상태로 라이드 차량(14)을 폭포(82)에 유지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라이드 차량(14)이 폭포(82) 아래로 떨어지려고 하는 것처럼 느낄 수도 있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대차(28)는 라이드 차량(14)을 요잉 및 피칭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대차(28)는 화살표(132)로 나타낸 바와 같이, 폭포(82) 위로 라이드 차량(14)을 전방으로 피칭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라이드 차량(14)은 이 라이드 차량(14) 내에 배치된 임의의 물을 배수시키고, 이에 의해 라이드 차량(14)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특히, 대차(28)는 라이드 차량(14) 위에 배치된 휠 조립체(70)에 대해 라이드 차량(14)의 각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경사 기구(88)를 거쳐서 라이드 차량(14)을 전방으로 피칭하도록 구성된다. 대차(28)는 또한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휠 조립체(70)에 대해 라이드 차량(14)을 회전 또는 요잉하도록 구성된 회전 기구(84)를 포함한다. 라이드 차량(14)이 대차(28)와 맞물려졌으면, 대차(28)는 경로(16)의 수중 부분(18)으로부터 라이드 차량(14)을 들어올리고 경로(16)의 공중 부분(24)을 따라 계속할 수도 있다. 대차(28)는 그 다음에, 라이드 차량(14)이 소정 길이의 공중 부분(24)을 주행하면 유로(20)의 원점(50)에 라이드 차량(14)을 위치시킬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라이드 차량(14)은 다양한 지형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드 차량(14)은 자동차와 유사하게, 콘크리트, 잔디, 흙 등과 같은 다양한 지형 위를 이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휠(139)을 포함할 수도 있다. 실제로, 라이드 시스템(10)은 라이드 차량(14)이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경로(16)의 지상 부분(142)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라이드 차량(14)은 지상 부분(142) 및/또는 수중 부분(18)과 같은 다양한 지리적 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경로(16)의 지상 부분(142)은 경로(16)의 수중 부분(18) 및/또는 공중 부분(24)에 더해지거나 대신할 수도 있다. 라이드 차량(14)은 이 라이드 차량(14)의 지붕(144) 상에 배치된 슬롯(90)(예를 들면, 가이드 레일)을 거쳐서 대차(28)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슬롯(90)은 대차(28)의 일 세트의 맞물림 휠(146)을 수용 및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즉, 대차(28)는 맞물림 휠(146)을 슬롯(90) 내로 삽입하기 위해 휠 조립체(70)를 거쳐서 트랙(26)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 더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맞물림 휠(146)이 슬롯(90) 내에 배치되면, 슬롯(90)은 맞물림 휠(146)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8은 라이드 차량(14)의 상부 부분의 사시도이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슬롯(90)의 일부분은 슬롯(90)의 로킹 시스템(100)을 강조하기 위해 제거되었다. 로킹 시스템(100)은 라이드 차량(14)을 대차(28)와 맞물리도록 슬롯(90)의 내벽(150)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로킹 핀(148)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맞물림 휠(146)은 슬롯(90) 내로 옮겨질 수도 있다. 맞물림 휠(146)이 슬롯(90) 내에 배치되면, 로킹 핀(148)은 내벽(150)으로부터 멀리 (예를 들면, 액추에이터(151)를 거쳐서) 측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로킹 핀(148)의 연장된 배열은 맞물림 휠(146)이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90) 내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할 수도 있다. 맞물림해제 동안에, 로킹 핀(148)은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151)를 거쳐서) 슬롯(90)의 내벽(150) 내로 후퇴할 수도 있다. 로킹 핀(148)이 내벽(150) 내로 후퇴되면, 대차(28)는 슬롯(90)과의 맞물림에서 벗어나는 것이 허용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드 차량(14)은 휠 조립체(70)에 대해 맞물림 휠(146) 및 라이드 차량(14)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회전 기구(8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드 차량(14)은 경로(16) 외측으로 주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라이드 차량(14)은 어트랙션, 호텔, 주차장, 상점 등 사이와 같이 놀이공원(12) 도처에 사용자를 운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드 차량(14)은 대차(28)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대차(28)는 예를 들면, 유동 인파(foot traffic)를 피하기 위해 놀이공원(12)의 일부 위로 라이드 차량(14)을 운반하도록 구성된다. 게다가,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드 차량(14)은 경로(16)의 지상 부분(142)과 경로(16)의 수중 부분(18)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라이드 차량(14)은 구동 휠(139)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라이드 차량(14)은 이 라이드 차량(14)이 수중 부분(18)을 따라 자유롭게 부유할 수 있게 하는 부유 시스템(200)(도 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부유 시스템(200)은 라이드 차량(14)이 수중 부분(18) 내에 배치될 때 이 차량(14)에 부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재료/요소(예를 들면, 공기-충전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드 차량(14)은 이 라이드 차량(14)의 선체(92)를 통해 연장되는 슬롯을 거쳐서 대차(28)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드 차량(14)은 상술된 바와 같이 구동 휠(139)을 거쳐서 다양한 지형 위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한 도 3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대차(14)의 프롱(74)을 거쳐서 대차(28)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실제로, 도 9의 예시된 실시예가 라이드 차량(14)의 특정 관점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단순화되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라이드 차량(14) 및 대차(28)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지만 도 9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는 추가적인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예시된 실시예에서의 라이드 차량(14)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된 슬롯(90)의 모든 특징을 포함할 수도 있는 슬롯(9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대차(28)는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프롱(74)을 거쳐서 슬롯(90)에 결합하도록(예를 들면,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대차(28)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트랙(26)을 따라 주행하고, 라이드 차량(14)과 맞물리고, 트랙(26)을 따라 라이드 차량(14)을 운반하며, 라이드 차량(14)으로부터 맞물림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드 차량(14) 및 대차(28)의 실시예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의 특정한 특징만이 본 명세서에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많은 수정 및 변경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개시의 진정한 사상 내에 있는 이러한 모든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할 의도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제시되고 청구된 기술은 본 기술 분야를 명백하게 향상시키고 따라서, 추상적이거나 무형적이거나 순수하게 이론적이지 않은 실제적인 성질의 물질적 대상 및 구체적인 예들을 참조하고 그에 적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끝에 첨부된 임의의 청구범위가 "...[기능]을 [실행]하는 수단"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로 표기된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그러한 요소는 35 U.S.C. 112(f)에 따라 해석될 의도이다. 그러나,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표기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청구범위에 대해서는 이러한 구성요소가 35 U.S.C. 112(f)에 따라 해석되지 않아야 함을 의미한다.

Claims (23)

  1. 놀이공원 시스템에 있어서,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라이드 차량과,
    물 유로에 의해 규정된 상기 경로의 수중 부분과,
    대차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트랙에 의해 규정된 상기 경로의 공중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라이드 차량은 상기 물 유로의 흐름에 응답하여 상기 물 유로를 따라 자유롭게 부유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라이드 차량은 상기 대차에 의해 상기 트랙을 따라 운반되도록 구성되는
    놀이공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의 수중 부분은 상기 수중 부분의 종점(terminus)에 배치된 위치결정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 시스템은 상기 종점 내의 사전결정된 위치에 상기 라이드 차량을 위치시키도록 구성되는
    놀이공원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시스템은 상기 라이드 차량을 상기 사전결정된 위치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라이드 차량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트로프를 포함하는
    놀이공원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드 차량이 상기 경로의 수중 부분의 종점에서 상기 사전결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동안에, 상기 대차는 상기 라이드 차량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놀이공원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의 수중 부분은 상기 수중 부분의 종점에 인접하여 배치된 폭포를 포함하는
    놀이공원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시스템은 상기 라이드 차량을 지지하고 상기 라이드 차량을 상기 사전결정된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된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놀이공원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라이드 차량으로부터 액체를 배수하기 위해 상기 사전결정된 위치에서 수평면에 대해 비스듬히 상기 라이드 차량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경사진 표면을 포함하는
    놀이공원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부분은 상기 라이드 차량의 전방부가 상기 물 유로에 대해 상류측을 향하도록 상기 라이드 차량을 상기 물 유로에 대해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회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놀이공원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를 포함하고, 상기 대차는 트랙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휠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대차는 상기 라이드 차량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프롱을 포함하는
    놀이공원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는 상기 휠 조립체에 대해 상기 프롱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회전 기구를 포함하는
    놀이공원 시스템.
  11. 라이드 차량 시스템에 있어서,
    라이드 차량으로서, 상기 라이드 차량의 선체 내부에 배치된 슬롯을 포함하고 유로를 따라 액체 상에 자유롭게 부유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라이드 차량과,
    트랙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슬롯을 거쳐서 상기 라이드 차량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대차를 포함하는
    라이드 차량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는 상기 슬롯 내로 연장되고 상기 대차를 상기 라이드 차량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슬롯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프롱을 포함하는
    라이드 차량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롱은 폴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슬롯의 내벽에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폴은 상기 대차를 상기 라이드 차량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프롱을 상기 슬롯 내로 삽입할 때 상기 리세스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라이드 차량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롱은 상기 폴에 결합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폴을 후퇴시켜서, 상기 슬롯으로부터 상기 프롱을 맞물림해제하기 위해 상기 리세스로부터 상기 폴을 인출하도록 구성되는
    라이드 차량 시스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는 상기 라이드 차량이 상기 대차에 결합되는 동안 상기 라이드 차량을 피칭하도록 구성된 경사 기구를 포함하는
    라이드 차량 시스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드 차량과 상기 대차의 맞물림 수준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센서를 더 포함하는
    라이드 차량 시스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랙 또는 상기 대차는 상기 트랙을 따라 상기 대차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라이드 차량 시스템.
  18. 놀이공원 시스템에 있어서,
    지리적 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된 라이드 차량과,
    트랙을 따라 주행하고, 상기 라이드 차량과 맞물리고, 상기 트랙을 따라 상기 라이드 차량을 운반하며, 상기 라이드 차량으로부터 맞물림해제되도록 구성된 대차를 포함하는
    놀이공원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적 경로는 물 미끄럼틀에 의해 규정된 액체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드 차량은 상기 액체 유로를 따라 부유하도록 구성되는
    놀이공원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적 경로는 지상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드 차량은 상기 지상 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되는
    놀이공원 시스템.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드 차량은 상기 라이드 차량의 지붕과 통합된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대차는 상기 슬롯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맞물림 휠을 포함하는
    놀이공원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슬롯의 내벽에 결합된 로킹 핀을 포함하고, 상기 로킹 핀은 상기 맞물림 휠을 상기 슬롯에 로킹하기 위해 상기 슬롯의 내벽으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로킹 핀은 상기 슬롯으로부터 상기 맞물림 휠을 로킹 해제하기 위해 상기 내벽으로 후퇴하도록 구성되는
    놀이공원 시스템.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적 경로는 지상 경로 및 액체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드 차량은 상기 지상 경로를 따라 상기 라이드 차량을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휠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드 차량은 상기 라이드 차량이 상기 액체 유로의 액체를 따라 자유롭게 부유하기 위한 부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부유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라이드 차량은 상기 지상 경로와 상기 액체 유로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놀이공원 시스템.
KR1020217013609A 2018-10-05 2019-10-03 하이브리드 라이드 차량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710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42124P 2018-10-05 2018-10-05
US62/742,124 2018-10-05
US16/282,140 US11241633B2 (en) 2018-10-05 2019-02-21 Hybrid ride vehicle systems and methods
US16/282,140 2019-02-21
PCT/US2019/054506 WO2020072779A1 (en) 2018-10-05 2019-10-03 Hybrid ride vehicle systems and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052A true KR20210071052A (ko) 2021-06-15

Family

ID=70051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3609A KR20210071052A (ko) 2018-10-05 2019-10-03 하이브리드 라이드 차량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241633B2 (ko)
EP (1) EP3860734B1 (ko)
JP (2) JP7422144B2 (ko)
KR (1) KR20210071052A (ko)
CN (2) CN117531208A (ko)
CA (1) CA3114114A1 (ko)
ES (1) ES2951307T3 (ko)
SG (1) SG11202102598PA (ko)
WO (1) WO20200727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0068B2 (en) * 2018-11-20 2021-09-28 Universal City Studios Llc Water amusement ride motion governor
DE102019130956A1 (de) * 2019-11-15 2021-05-20 Mack Rides Gmbh & Co. Kg Fahrgeschäft, insbesondere Wasserfahrgeschäft,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olchen Fahrgeschäfts
EP4212223A1 (en) * 2022-01-12 2023-07-19 Wiegand.Waterrides GmbH Hybrid amusement slide
KR102523954B1 (ko) * 2023-02-14 2023-04-20 주식회사 지에스웹 상승견인기구가 마련된 활강 시설물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0450A (en) * 1974-06-03 1976-01-06 Sid & Marty Krofft Productions, Inc. Boat ride for amusement park
US4595313A (en) * 1984-01-20 1986-06-17 Kotke Edwin J Boat hoist
US5704294A (en) * 1996-03-12 1998-01-06 Universal Studios, Inc. Waterfall ride attraction
NL1009494C2 (nl) 1998-06-25 2000-01-04 Caripro Holding B V Amusementsinrichting alsmede werkwijze voor het bedienen van een dergelijke amusementsinrichting.
NZ506297A (en) * 2000-08-11 2002-09-27 Queenstown Property Ltd A chute propelled amusement ride with bungy aided free fall after the discharge point
US6810817B1 (en) 2001-02-23 2004-11-02 William Jame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US7597630B2 (en) * 2004-11-24 2009-10-06 Water Ride Concepts, Inc. Water amusement park conveyors
US20060135271A1 (en) * 2004-12-17 2006-06-22 Casey Joseph F Amusement ride vehicle with sensory stimulation effects
WO2009006480A1 (en) 2007-07-02 2009-01-08 S & S Worldwide, Inc. Longitudinally spinning suspension roller coaster
US7677179B2 (en) 2008-02-06 2010-03-16 Disney Enterprises, Inc. Vehicle and track system for flying corner amusement park rides
US8079916B2 (en) 2008-12-18 2011-12-20 Water Ride Concepts, Inc. Themed amusement river ride system
US8091483B1 (en) * 2011-03-31 2012-01-10 Disney Enterprises, Inc. Amusement park ride with underwater-controlled boats
US8453579B2 (en) * 2011-05-20 2013-06-04 Disney Enterprises, Inc. Water ride with improved boat capture mechanism
US8689698B2 (en) * 2011-06-08 2014-04-08 Dennis Shasha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dimensional motion
US10315120B2 (en) 2015-03-31 2019-06-11 Universal City Studios Llc Boom coaster
CN106427430A (zh) * 2015-08-07 2017-02-22 黄安国 一种水陆两栖汽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08324A1 (en) 2020-04-09
EP3860734A1 (en) 2021-08-11
JP2024045229A (ja) 2024-04-02
SG11202102598PA (en) 2021-04-29
CA3114114A1 (en) 2020-04-09
CN117531208A (zh) 2024-02-09
WO2020072779A1 (en) 2020-04-09
US11241633B2 (en) 2022-02-08
CN112770821B (zh) 2023-10-31
JP2022504354A (ja) 2022-01-13
CN112770821A (zh) 2021-05-07
ES2951307T3 (es) 2023-10-19
EP3860734B1 (en) 2023-05-17
JP7422144B2 (ja)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71052A (ko) 하이브리드 라이드 차량 시스템 및 방법
ES2288722T3 (es) Atraccion acuatica.
CN202185151U (zh) 一种娱乐骑乘中组成骑乘车行进路径的轨道结构
KR101606180B1 (ko) 레일형 운하 가이드 시스템
US8453579B2 (en) Water ride with improved boat capture mechanism
JP7449381B2 (ja) アミューズメント乗り物、特に水上のアミューズメント乗り物、及びそのような乗り物の運転方法
JP2017508531A (ja) 可変水位を有するウォータライド
CN106088713B (zh) 一种基于机械式停车设备的转弯车板
CN112752599B (zh) 自主车辆运输系统和方法
US9878253B2 (en) Friction reducing waterslide section
CN105644718B (zh) 一种具有防溅结构的摆渡船靠岸自动锁定装置
US115837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tuating a show element on a ride vehicle
CN210887224U (zh) 抛石整平船
KR100901355B1 (ko) 예삭 지지용 새들
CN210884399U (zh) 空铁码头
CN110550161A (zh) 用于码头对接定位的渡船
US20210346814A1 (en) Ride system with vehicle support for suspension and floating operation
RU2021112574A (ru) Гибридные системы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для катания и способы
JPWO2020072779A5 (ko)
KR101724689B1 (ko) 마운틴 다운 코스터
JPH0466385A (ja) 水中モノレールシステム
CN204969945U (zh) 一种旅行箱助推器
JPH0362581B2 (ko)
CN107875637A (zh) 双层漂流河游乐设施及其游乐方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