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355B1 - 예삭 지지용 새들 - Google Patents

예삭 지지용 새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355B1
KR100901355B1 KR1020070120428A KR20070120428A KR100901355B1 KR 100901355 B1 KR100901355 B1 KR 100901355B1 KR 1020070120428 A KR1020070120428 A KR 1020070120428A KR 20070120428 A KR20070120428 A KR 20070120428A KR 100901355 B1 KR100901355 B1 KR 100901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ides
vertical frame
carriage
sad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3545A (ko
Inventor
이재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림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림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림이엔지
Priority to KR1020070120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355B1/ko
Publication of KR20090053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1/00Cable cranes, i.e. comprising hoisting devices running on aerial cable-ways
    • B66C21/08Sag carriers or rope trolleys, suspended or not, e.g. fixed but offering clearance for travelling gea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16Tracks for aerial rope railways with a stationary rope
    • E01B25/18Ropes; Supports, fastening or straining means for ropes

Abstract

본 발명은 예삭 지지용 새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간 주기둥에 설치되는 새들 하단에 롤러체를 형성하여 캐리지와 연결된 예삭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당겨지거나 풀어지게 함으로써, 캐리지의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예삭 지지용 새들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부프레임의 하부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대향 형성되는 세로프레임과; 상기 양측으로 형성된 세로프레임 하단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양측으로 형성된 세로프레임 하단 사이의 회전축 부위로부터 연장되면서 세로프레임의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뭉치와, 일측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뭉치의 끝단에 설치되는 롤러로 이루어지는 롤러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주삭, 예삭, 롤러, 롤러체, 프레임

Description

예삭 지지용 새들{Saddle for Supporting tugging cable}
본 발명은 예삭 지지용 새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간 주기둥에 설치되는 새들 하단에 롤러체를 형성하여 캐리지와 연결된 예삭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당겨지거나 풀어지게 함으로써, 캐리지의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예삭 지지용 새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악 경사지형에서의 화물 운반을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지대와 고지대의 2지점 사이에 하부 주기둥과 상부 주기둥을 세우고 이 하부 주기둥과 상부 주기둥을 주삭(主索)으로 연결한 다음 주삭에 캐리지를 설치한다.
상기 캐리지는, 주삭(130)을 따라 고지대와 저지대 사이를 왕복하면서 화물을 운반하는 장치로서, 예삭(曳索)과 연결되며 예삭은 고지대에 설치된 윈치(110)와 연결되어 윈치의 작동에 의해 예삭이 감기거나 풀리면서 작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고지대와 저지대 사이에 장애물이 없으면 하부 주기둥(133)과 상부 주 기둥(131)만을 세워도 되나, 상, 하부 주기둥(131, 133) 사이에 언덕과 같은 융기된 지형이 있을 경우에는 캐리지(120)가 이동하는 주삭(130)과 캐리지(120)를 끌어당기는 예삭(140) 사이의 각도(θ) 차와, 캐리지(120)와 캐리지(120)에 실리는 화물(150)의 무게에 의해 주삭(130)이 아래로 처짐에 따라 캐리지(120)가 언덕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리기 때문에 언덕 지형에 중간 주기둥(132)을 세우고 여기에 주삭(130)을 지지하는 새들(134)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새들은, 주삭을 지지하는 역할만 할 뿐 주삭과 캐리지를 끌어당기는 예삭 사이의 각도 차에 의해 여전히 캐리지의 이동이 불안정하고 예삭의 끌어당김이 부드럽고 안정적이지 못함에 따라 캐리지의 이동이 또한 불안정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새들 하단에 롤러체를 형성하여 캐리지를 끌어당기는 예삭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당겨지게 함으로써, 캐리지의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예삭 지지용 새들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부프레임의 하부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대향 형성되는 세로프레임과; 상기 양측으로 형성된 세로프레임 하단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양측으로 형성된 세로프레임 하단 사이의 회전축 부위로부터 연장되면서 세로프레임의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뭉치와, 일측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뭉치의 끝단에 설치되는 롤러로 이루어지는 롤러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은 삼각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부프레임의 양측에는 주삭에 고정 설치되면서 캐리지의 주행롤러가 통과 가능하도록 호형의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롤러 양측에는 롤러의 양측을 감싸면서 롤러의 상부에서 “ V”와 같은 형태를 이루는 안내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체가 설치된 세로프레임 하단의 반대편 쪽 부위에는 푸시 스 프링을 설치하고 뭉치 상면에 밀착판을 설치함으로써, 롤러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였을 때 뭉치 상면에 형성된 밀착판이 푸시 스프링에 부딪쳐 롤러체가 원상태로 복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예삭 지지용 새들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새들 하단에 롤러체를 형성하여 캐리지를 끌어당기는 예삭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당겨지게 함으로써, 캐리지의 이동이 매우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2. 캐리지가 통과할 때는 롤러체가 젖혀졌다가 캐리지의 통과가 완료되면 롤러체는 자중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는 등 캐리지의 안정적인 이동을 유도하면서 캐리지의 이동에는 전혀 방해를 주지않는다.
본 발명은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부프레임의 하부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대향 형성되는 세로프레임과; 상기 양측으로 형성된 세로프레임 하단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양측으로 형성된 세로프레임 하단 사이의 회전축 부위로부터 연장되면서 세로프레임의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뭉치와, 일측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뭉치의 끝단에 설치되는 롤러로 이루어지는 롤러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은 삼각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부프레임의 양측에는 주삭에 고정 설치되면서 캐리지의 주행롤러가 통과 가능하도록 호형의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롤러 양측에는 롤러의 양측을 감싸면서 롤러의 상부에서 “ V”와 같은 형태를 이루는 안내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체가 설치된 세로프레임 하단의 반대편 쪽 부위에는 푸시 스프링을 설치하고 뭉치 상면에 밀착판을 설치함으로써, 롤러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였을 때 뭉치 상면에 형성된 밀착판이 푸시 스프링에 부딪쳐 롤러체가 원상태로 복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3,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체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새들은, 중간 주기둥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10)과,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아래에 설치되는 세로프레임(20)과, 상기 세로프레임(20) 하단에 설치 롤러체(3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0)은, 위쪽 부위가 중간 주기둥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서 구조적인 안전을 고려하여 꼭짓점이 위로 향하고 밑변이 아래로 향하는 삼각형 모 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프레임(10)의 상부 전방에는 양측으로 가이드 레일(50)이 설치되는데, 이 가이드 레일(50)은 주삭(60)에 고정 설치되면서 캐리지(80)의 주행롤러(81)의 통과시 방해를 주지않도록 부드러운 곡선의 호형으로 형성한다.
상기 세로프레임(20)은, 상부프레임(10)의 하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설치시 상부프레임(10) 하부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대향 설치된다.
한편, 양측으로 설치된 세로프레임(20)의 대략 중앙에는 내구성 향상을 위해 가로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체(30)는, 양측으로 설치된 세로프레임(20) 하단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축(31)과, 상기 회전축(31)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뭉치(32)와, 상기 뭉치(32)의 끝단에 설치되는 롤러(33)로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축(31)은, 양측으로 설치된 세로프레임(20) 하단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축(31)은 롤러체(30)가 회전하는 중심축의 역할을 한다.
상기 뭉치(32)는, 도 3, 4와 같이 뒤쪽은 회전축(31)에 연결설치되고 앞쪽은 세로프레임(20) 앞쪽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회전축(31)을 중심으로 롤러체(30)의 무게중심이 앞쪽으로 치우치게 한다.
상기 롤러(33)는, 예삭(70)을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끌어당길 수 있게 하여 캐리지(80)의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서, 양측 중 일측이 뭉치(32)의 끝단(앞쪽 면)에 고정 설치된다.
물론, 상기 롤러(33)는 예삭(70)의 부드러운 이동을 위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롤러(33) 양측에는 안내판(34)을 설치하여 예삭(70)이 롤러(33) 상면에 정확하게 안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 예삭(7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안내판(34)은, 롤러(33)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단은 롤러(33) 중심의 축 양단에 결합하고 롤러(33) 상부에 위치하는 상단 부위는 “ V”와 같은 형태로 경사지게 절곡하여 예삭(70)이 롤러(33) 상면에 정확하게 안치되게 하면서 예삭(7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롤러체(30)가 설치된 세로프레임(20)의 하단의 반대편에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스프링(40)을 설치하여 롤러체(30)가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였을 때 뭉치(32) 상면에 형성된 밀착판(35)이 푸시 스프링(40)에 정확하게 맞닿게 함으로써, 롤러체(30)가 원상태로 되돌아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다.
즉, 캐리지(80)가 새들에 접근하기 전에는 예삭(70)이 롤러(33)에 걸쳐진 상태로 당겨지다가 캐리지(80)가 새들을 지나갈 때는 주행롤러(81)가 가이드 레일(50)을 통과하기 때문에 캐리지(80)와 연결된 예삭(70)은 롤러(33) 상면에서 일탈하여 위쪽으로 들려진 상태가 되고, 캐리지(80)는 롤러체(30)를 치면서 지나가게 된다.
이때, 롤러체(30)는, 캐리지(80)에 부딪치면서 회전축(31)을 중심으로 뒤쪽으로 회전되고 캐리지(80)가 완전히 지나가면 무게중심이 앞쪽으로 치우쳐 있어 다시 원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그리고 롤러체(30)가 회전하였을 때 뭉치(32) 상면에 형성된 밀착판(35)이 푸시 스프링(40)과 맞닿음과 동시에 푸시 스프링(40)이 롤러체(30)를 밀어주기 때문에 롤러체(30)의 원상태로의 복원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삭 지지용 새들은 세로프레임(20) 하단에 롤러체(30)를 설치하여 캐리지(80)를 끌어당기는 예삭(70)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당겨지게 함으로써, 캐리지(8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을 중간 주기둥에 연결설치 하고 가이드 레일(50)을 주삭(60)에 고정 설치한 다음 예삭(70)이 롤러(33)에 걸쳐지게 한다.
이 상태에서 예삭(70)을 윈치로 끌어당기면 예삭(70)과 연결된 캐리지(80)가 주삭(6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예삭(70)은 롤러(33)에 걸쳐진 상태로 부드럽게 당겨지기 때문에 예삭(70)에는 전혀 손상이 없고 롤러(33)가 예삭(70)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잡아주어 캐리지(80)의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캐리지(80)가 새들과 가까워 지기 전에는 예삭(70)이 롤러(33)에 걸쳐진 상태로 당겨지나 캐리지(80)가 새들과 가까워지면 캐리지(80)의 주행롤러(81)가 상부프레임(10)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50) 쪽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캐리지(80)와 연결된 예삭(70) 또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롤러(33)에 걸쳐져 있던 예삭(70)은 자연스럽게 롤러(33) 상면에서 상향을 들려지게 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캐리지(80)가 지나가면서 롤러체(30)를 밀면 롤러체(30)는 캐리지(80)의 미는 힘에 의해 회전축(31)을 중심으로 뒤로 완전히 젖혀져 캐리지(80)가 지나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캐리지(80)가 완전히 지나가고 나면 롤러체(30)는 자중에 의해 원상태로 되돌아오게 된다.
즉, 뭉치(32)가 회전축(31)의 앞쪽으로 치우쳐서 설치되기 때문에 무게 중심이 앞쪽으로 쏠려있어 캐리지(80)가 지나가고 나면 롤러체(30)는 자중에 의해 바로 앞쪽으로 하강하면서 원 상태로 되돌아오게 된다.
또한, 롤러체(30)가 뒤쪽으로 젖혀지면 뭉치(32) 상면에 형성된 밀착판(35)이 푸시 스프링(40)에 닿기 때문에 롤러체(30)가 윈래 상태로의 복귀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다시 한번 간략하게 롤러체(3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치에 의해 예삭(70)을 끌어당기면 캐리지(80)는 롤러체(30)를 치면서 계속 이동하게 된다.
롤러체(30)는 캐리지(80)와 부딪침과 동시에 캐리지(80)의 이동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게 되고, 캐리지(80)가 롤러체(30)를 완전히 지나치게 되면 롤러체(30)는 무게 중심이 앞쪽으로 쏠려 있기 때문에 예삭(70)을 안내할 수 있는 상태로 원위치 된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체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상부프레임 20:세로프레임 30:롤러체
31:회전축 32:뭉치 33:롤러
34:안내판 35:밀착판 40:푸시 스프링
50:가이드 레일 60:주삭 70:예삭
80:캐리지 81:주행롤러

Claims (3)

  1. 삭제
  2. 삼각형태로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주삭에 고정 설치되면서 캐리지의 주행롤러가 통과 가능하도록 호형의 가이드 레일이 양측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부프레임의 하부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대향 형성되는 세로프레임과;
    상기 양측으로 형성된 세로프레임 하단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양측으로 형성된 세로프레임 하단 사이의 회전축 부위로부터 연장되면서 세로프레임의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뭉치와, 일측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뭉치의 끝단에 설치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양측을 감싸면서 롤러의 상부에서 “ V”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안내판으로 이루어지는 롤러체를;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삭 지지용 새들.
  3.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부프레임의 하부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대향 형성되는 세로프레임과;
    상기 양측으로 형성된 세로프레임 하단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양측으로 형성된 세로프레임 하단 사이의 회전축 부위로부터 연장되면서 세로프레임의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뭉치와, 일측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뭉치의 끝단에 설치되는 롤러로 이루어지는 롤러체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체가 설치된 세로프레임 하단의 반대편 쪽 부위에는 푸시 스프링이 설치되고, 뭉치 상면에 밀착판이 설치됨으로써 롤러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였을 때 뭉치 상면에 형성된 밀착판이 푸시 스프링에 부딪쳐 롤러체가 원상태로 복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예삭 지지용 새들.
KR1020070120428A 2007-11-23 2007-11-23 예삭 지지용 새들 KR100901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428A KR100901355B1 (ko) 2007-11-23 2007-11-23 예삭 지지용 새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428A KR100901355B1 (ko) 2007-11-23 2007-11-23 예삭 지지용 새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545A KR20090053545A (ko) 2009-05-27
KR100901355B1 true KR100901355B1 (ko) 2009-06-05

Family

ID=40861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428A KR100901355B1 (ko) 2007-11-23 2007-11-23 예삭 지지용 새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3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15420B (zh) * 2016-10-17 2018-05-04 广西大学 一种吊臂式y型双线缆索运输装置
CN114735034B (zh) * 2022-03-08 2024-02-13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移动式智能索道山区运输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4970A (ja) * 1995-06-01 1996-12-10 Chubu Electric Power Co Inc 索道基地における荷物昇降機の移動装置
JPH1191552A (ja) * 1997-09-24 1999-04-06 Airin Kikai Kogyo Kk 曳索受けローラ付き主索支持器
JP2005035520A (ja) 2003-07-17 2005-02-10 Innova Patent Gmbh ケーブルカー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4970A (ja) * 1995-06-01 1996-12-10 Chubu Electric Power Co Inc 索道基地における荷物昇降機の移動装置
JPH1191552A (ja) * 1997-09-24 1999-04-06 Airin Kikai Kogyo Kk 曳索受けローラ付き主索支持器
JP2005035520A (ja) 2003-07-17 2005-02-10 Innova Patent Gmbh ケーブルカー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545A (ko)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29269B2 (ko)
KR100901355B1 (ko) 예삭 지지용 새들
KR20210071052A (ko) 하이브리드 라이드 차량 시스템 및 방법
JP2007189918A (ja) ラッピングマシン
JP4104249B2 (ja) 鉄塔移動ロボット
JP2018122999A (ja) ジブ係留方法およびジブ係留装置
JP3524901B2 (ja) 移動体におけるピットカバー開閉装置
KR101140733B1 (ko) 연습용 자전거
JP5050001B2 (ja) 走行作業機用旋回台
JP4642916B2 (ja) 水路蓋の設置運搬用台車装置
JP5191371B2 (ja) ロープ牽引式輸送設備のロープ誘導装置
CN214355394U (zh) 一种燃油系统牵引装置
JP5252501B2 (ja) 茶樹畝用スクリーン巻取機
JPH084393Y2 (ja) 吊上げ式の自転車駐車装置
CN208127849U (zh) 一种掘进机电拖移装置
JP6738779B2 (ja) 杭打機及び杭打機の姿勢変更方法
JP2001186819A (ja) マルチフィルム剥ぎ取り装置
JPS634067Y2 (ko)
JP2011245952A (ja) ユニット搭載治具
JP3924099B2 (ja) 管体搬送用台車
KR200376368Y1 (ko) 어선용 그물 인양 장치
JP2011173451A (ja) 索道設備のプラットホームにおける可動ステップ
CN1105730A (zh) 可调节倾斜角的双层停车装置
JP5612327B2 (ja) 立体駐車設備への自動二輪車の搬入搬出装置
JPH053591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