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954B1 - 상승견인기구가 마련된 활강 시설물 - Google Patents

상승견인기구가 마련된 활강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954B1
KR102523954B1 KR1020230019615A KR20230019615A KR102523954B1 KR 102523954 B1 KR102523954 B1 KR 102523954B1 KR 1020230019615 A KR1020230019615 A KR 1020230019615A KR 20230019615 A KR20230019615 A KR 20230019615A KR 102523954 B1 KR102523954 B1 KR 102523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upport rail
trolley
slide
sl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9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해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웹
(주)신흥이앤지
㈜우연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웹, (주)신흥이앤지, ㈜우연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웹
Priority to KR1020230019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9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2Suspended slidewa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04Chutes; Helter-skelters with fixed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2Suspension of the load; Guiding means, e.g. wheels; Attaching tractio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0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with operating gear or operator's cabin suspended, or laterally offset, from runway or track
    • B66C11/04Underhung tro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부위가 후방부위 낮은 고도를 가지며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제1지지레일(12), 제1지지레일(12)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활주레일(13), 트롤리(15) 및 탑승체(17)가 구비되는 플랫폼부(10); 제1지주(21), 후단부위가 제1지지레일(12)과 연결되어 일정길이로 연장되되 전방부위가 후방부위보다 높은 고도를 가지도록 경사진 제2지지레일(22), 후단부위는 제1활주레일(13)의 전단부위와 연결되어 제2지지레일(22)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활주레일(23), 모터(24), 가동풀리(25) 및 피동풀리(26), 견인와이어(27), 견인후크(28)가 구비되는 상승견인부(20); 제2지주(31), 후단부위는 제2지지레일(22)과 연결되고 전단부위는 제1지지레일(12)의 후단부위와 연결되도록 일정길이 연장되되 전방부위가 후방부위보다 낮은 고도를 가지도록 경사진 제3지지레일(32), 후단부위는 제2활주레일(23)의 전단부위와 연결되고 전단부위는 제1활주레일(13)의 후단부위와 연결되어 제3지지레일(32)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3활주레일(33)이 구비되는 자유활강부(30);를 포함하는 상승견인기구가 마련된 활강 체험시설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상승견인기구가 마련된 활강 시설물{Leisure facilities of aerial glide with auto elevating device}
본 발명은 활강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연환경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에 따른 비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으며, 시설물의 이용자는 시간 지연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설물의 운용 효율은 최대화할 수 있는 활강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근자 일상생활에 지친 직장인을 위한 짜릿한 레저 활동이나 청소년들의 모험심을 함양하기 위한 방편으로 짚 라인이나 짚 트랙과 같은 활강 시설물들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활강 시설물들은 중력에 의해 자유 낙하하면서 주변의 경관을 조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점차 그 이용자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각 지방자치단체도 관할 지역의 관광객 유치를 위해 그 설치를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활강 시설물들은 도 6에 일례로 개시된 것과 같이,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를 케이블이나 금속관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하네스 등과 같은 탑승체를 케이블과 연결된 트롤리에 연결한 다음 케이블을 따라 자유 낙하 방식으로 활주한다. 즉, 활강 시설물을 있어 이용자를 활주시키는 원동력은 전적으로 중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처럼 활주가 중력에 의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에는 반드시 일정한 고도차를 유지해야 하며, 이로 인해 이용자가 출발지보다 낮은 해발고도에 위치한 도착지에 도착하면, 활주를 위해 사용된 트롤리, 또는 트롤리 및 하네드 등을 도착지보다 높은 해발고도를 가지는 출발지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에 대한 마땅한 수단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
때문에, 출발지에 이용자의 활주가 완료되면, 트롤리 등을 도착지 인근의 케이블 등에 순차적으로 중첩시킨 다음, 일정 개수의 트롤리가 모이면 이를 현장 관리자나 도우미 등이 수작업을 통해 일일이 출발지까지 다시 옮겨서 사용하거나, 또는 이용자가 직접 탑승체를 착용한 상태로 출발지까지 이동하고 있다. 이럴 경우, 활강 시설물을 사용하는 이용자들의 불편이 가중됨은 물론 시설물의 운용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고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대안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4643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64506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출발지와 도착지 플랫폼을 통합함과 동시에 플랫폼에서 자유 활강이 가능한 지점까지 이용자들을 순차적으로 연속하며 견인할 수 있는 설비가 구비된 활강 시설물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면으로부터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위치하되 전방부위가 후방부위보다 낮은 고도를 가지며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제1지지레일(12), 제1지지레일(12) 하측에 위치하며 지지되되 제1지지레일(12)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활주레일(13), 제1활주레일(13)에 가이드되어 활주하는 트롤리(15), 트롤리(15) 하측부위에 연결되는 탑승체(17)가 구비되는 플랫폼부(10); 상호 간에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하단부위는 지면에 고정되고 각각의 상측부위는 일정 수직 높이로 돌출되는 제1지주(21), 후단부위가 제1지지레일(12)과 연결되어 일정길이로 연장되되 전방부위가 후방부위보다 높은 고도를 가지도록 경사져 제1지주(21)에 의해 지지되는 제2지지레일(22), 제2지지레일(22) 하측에 위치하며 지지되되 후단부위는 제1활주레일(13)의 전단부위와 연결되어 제2지지레일(22)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활주레일(23), 제2지지레일(22)의 전방 일측부위에 마련되는 모터(24), 모터(25)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제2지지레일(22)의 전방 타측부위에 마련되는 가동풀리(25), 가동풀리(25)와 대향하며 제2지지레일(22)의 후방 타측부위에 마련되는 피동풀리(26), 가동풀리(25) 및 피동풀리(26) 각각을 따라 무한궤도 운동하는 견인와이어(27),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견인와이어(27)에 결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제2활주레일(23)로 진입하는 트롤리(15)를 견인하는 견인후크(28)가 구비되는 상승견인부(20); 상호 간에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하단부위는 지면에 고정되고 각각의 상측부위는 일정 수직 높이로 돌출되는 제2지주(31), 후단부위는 제2지지레일(22)과 연결되고 전단부위는 제1지지레일(12)의 후단부위와 연결되도록 일정길이 연장되되 전방부위가 후방부위보다 낮은 고도를 가지도록 경사져 제2지주(31)에 의해 지지되는 제3지지레일(32), 제3지지레일(32) 하측에 위치하며 지지되되 후단부위는 제2활주레일(23)의 전단부위와 연결되고 전단부위는 제1활주레일(13)의 후단부위와 연결되어 제3지지레일(32)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3활주레일(33)이 구비되는 자유활강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2, 3활주레일(13, 23, 33) 각각은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트롤리(15)에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1, 2, 3활주레일(13, 23, 33) 각각의 중간 사이를 따라 이동하는 몸체(151), 몸체(151)의 상측 좌우 각각에서 돌출되는 걸림단(153), 몸체(151)의 좌우 각각에서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 2, 3활주레일(13, 23, 33) 각각의 상면부위 및 하면부위 각각과 밀착되는 제1, 2활주휠(155, 156)이 마련되고; 상기 견인후크(28)의 상단부위는 견인와이어(27)에 고정 결합되고 그 하측부위는 상기 트롤리(15)의 걸림단(153)에 밀착되는 좌우 한 쌍의 견인단(281)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롤리(15)의 몸체(151) 상부에는 가이드체(152)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체(152)의 상면 중앙부위는 평탄하되 상면 전방부위 및 후방부위 각각은 하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며, 상기 걸림단(153)은 가이드체(152)의 좌우 각각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활주레일(13)의 전방 상측부위에는 가이드프레임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전방부위에는 상기 트롤리(15)의 가이드체(152) 상면부위와 밀착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휠(161)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후방부위에는 가이드휠(161)과 연동되어 가이드휠(161)을 회전시키는 가이드모터(163)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단(153)에는 탄성수단이 내장되어, 상기 걸림단(153) 후방으로 접근하는 견인후크(28)의 견인단(281)이 걸림단(153)과 접촉되면 탄성수단이 압축되며 걸림단(153)이 펼쳐지고, 상기 걸림단(153)이 견인단(281)과 분리되면 탄성수단의 복원력으로 걸림단(153)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활주레일(13) 하측의 지면에는 플랫폼(18)이 마련되고, 상기 플랫폼(18) 중앙부위에는 수직 높이가 조절되는 탑승판(19)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트롤리가 활주하는 레일을 폐회로로 구성하여 출발지와 도착지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연환경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에 따른 비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롤리에 이용자의 탑승체가 연결되면 중력을 이용하여 트롤리를 전방으로 자연스럽게 이동시킨 다음 그 상태에서 트롤리를 자유 활강이 가능한 최고점까지 인위적으로 견인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시설물 이용자는 시간 지연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설물의 운용 효율은 최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활강 시설물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활강 시설물에 있어 플랫폼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활강 시설물에 사용되는 트롤리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활강 시설물에 있어 상승견인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a는 도 3에 개시된 상승견인부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
도 4b는 도 3에 개시된 상승견인부에 있어 견인와이어 및 견인후크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a 및 도 5b 각각은 도 3에 개시된 상승견인부의 개략적인 작동 구성도.
도 6은 종래 활강 시설물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활강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플랫폼부, 상승견인부, 자유활강부로 이루어지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이루는 이들 각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플랫폼부는 활강을 마친 이용자들이 도착하는 도착지임과 동시에, 시설물의 이용자들이 준비를 하고 출발하는 출발지이다. 플랫폼부는 도 2a와 같이, 제1지지레일(12), 제1활주레일(13), 트롤리(15), 탑승체(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지지레일(12)은 제1활주레일(13)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수단으로, 지면으로부터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위치하고, 그 전방부위가 후방부위보다 낮은 고도를 가지며 일정 길이로 연장된다. 도면에는 개시되지 않았지만, 제1지지레일(12)의 연장 길이에 따라 별도의 제1지주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활주레일(13)은 제1지지레일(12)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제1지지레일(12)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일정길이 연장되며 제1지지레일(12)에 의해 지지된다. 이처럼, 제1활주레일(13)을 지지레일(12)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하게 되면, 이용자는 후술할 자유활강부를 따라 활주를 마친 다음 안정적으로 플랫폼부로 이동할 수 있다.
도면부호 121은 제1활주레일(13)을 제1지지레일(12)에 고정하여 지지하는 지지편이며, 도면부호 14는 브레이크 레일이다. 브레이크 레일(14)은 후술할 트롤리(15)와 연동되어 이용자를 보다 안정적으로 플랫폼부에 정지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브레이크 레일(14)과 트롤리(15)의 연동은 자력을 이용한 전자기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기술은 널리 알려져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본 발명은 제1활주레일(13)이 도면과 같이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제안한다. 이러한 구성은 후술할 제2, 3활주레일(23, 33) 각각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활주레일이 단일 레일이 아닌 좌우 한 쌍의 레일로 이루어지면, 트롤리가 보다 활주레일을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활주할 수 있다는 점에서 탈선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예방에 유리하다.
트롤리(15)는 제1활주레일(13) 및 후술할 제2, 3활주레일(23, 33) 각각을 따라 활주하는 부분이다. 이때, 트롤리(15)는 도 2b에 개시된 것과 같이, 몸체(151) 및 몸체(151)에 마련되는 걸림단(153), 제1, 2활주휠(153, 1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151)는 트롤리(15)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제1, 2, 3활주레일(13, 23, 33) 각각이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 몸체(151)는 도 5a와 같이 각 활주레일의 중간 사이에 위치하며 활주레일을 따라 이동한다. 도면부호 158은 후술할 탑승체(17)와 연결되는 연결대이다.
걸림단(153)은 후술할 견인후크(28)와 접촉하는 부분으로, 몸체(151)의 상측 좌우 각각에서 돌출된다. 걸림단(153)은 몸체(151)의 상측부위에서 단순히 좌우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도면과 같이 전방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는, 걸림단(153) 내부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을 마련하여, 걸림단(153)과 접촉전에는 내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고(도 2b의 실선 참조), 걸림단(153) 후방으로 접근하는 견인후크(28)의 견인단(281)이 접촉되면 그 가압력으로 인해 탄성수단이 압축되며 걸림단(153)이 수직으로 펼쳐지며(도 2b의 점선 참조), 걸림단(153)이 견인단(281)과 분리되면 탄성수단의 복원력으로 걸림단(153)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코일링된 스프링을 몸체에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된 스프링의 일측부위를 직선으로 일정길이 연장하여 걸림단 내부로 삽입하는 통상적인 방식을 상정할 수 있음은 물론 이 외에 관련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식 중의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면부호 152는 가이드체로서 이는 후술한다.
제1, 2활주휠(155, 156)은 몸체(151)의 좌우 각각에서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며, 제1, 2, 3활주레일(13, 23, 33) 각각의 상면부위 및 하면부위 각각과 밀착되어 각 활주레일을 따라 활주한다. 이처럼, 활주레일 각각이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제1, 2활주휠 각각이 좌우 한 쌍의 각 활주레일에 밀착되면, 트롤리는 더욱 안정적으로 활주할 수 있다. 도면부호 154, 153 각각은 제1, 2활주휠(155, 156) 각각의 장착판이다.
탑승체(17)는 활주레일을 따라 안전한 활주를 담보하기 위해 이용자가 착용하는 부분으로서, 그 상단부위는 연결대(158)에 연결될 수 있다. 탑승체(17)는 통상적인 하네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도 2a와 같이, 제1활주레일(13) 하측의 지면에는 플랫폼(18)이 마련되고, 이 플랫폼(18) 중앙부위에는 탑승판(19)이 설치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플랫폼(18)은 출발지 및 도착지로서 기능하며, 탑승판(19)은 유압 등으로 인해 그 수직 높이가 조절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된 작동은 후술한다.
상승견인부는 도 1 및 도 3 각각과 같이, 트롤리(15)와 연결된 탑승체(17)를 자유 활강이 가능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부분으로, 제1지주(21), 제2지지레일(22), 제2활주레일(23), 모터(24), 가동풀리(25) 및 피동풀리(26), 견인와이어(27), 견인후크(28)를 포함하여 플랫폼부 전방부위에 위치한다.
제1지주(21)는 제2지지레일(22)을 지지하는 수단으로, 상호 간에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하단부위는 지면에 고정되고, 각각의 상측부위는 일정 수직 높이로 돌출된다. 이때, 자유 활강을 위해서는 상승견인부 구간의 일측부위(도 1에서 좌측)에 위치한 제1지주(21)가 타측부위(도 1에서 우측)에 위치한 제1지주(21)보다 높은 수직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지지레일(22)은 제1지주(21) 각각에 의해 지지되며, 그 후단부위는 제1지지레일(12)과 연결되고, 그 전방부위는 후방부위보다 높은 고도를 가지도록 경사져 연장된다. 제1지지레일(22)의 전단부위와 후단부위 사이의 고도차는 전체 활주레일의 길이 및 설치 공간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일이다.
제2활주레일(23)은 제2지지레일(22)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그 후단부위는 제1활주레일(13)의 전단부위와 연결되고, 그 전방부위는 제2지지레일(22)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일정길이 연장된다. 도면부호 221은 제2활주레일(23)을 제2지지레일(22)에 고정하여 지지하는 고정편이다.
모터(24)는 제2지지레일(22)의 전방부위에 마련되는 제1고정프레임(211)의 일측부위에 설치된다. 가동풀리(25)는 모터(25)의 구동축과 축으로 연결되며, 제1고정프레임(211)의 타측부위에 마련된다. 피동풀리(26)는 가동풀리(25)와 대향하며 위치하고, 제2지지레일(22)의 후방부위에 마련되는 제2고정프레임(213)의 타측부위에 마련된다.
도면에는 제1, 2고정프레임(211, 213) 각각이 좌우 한 쌍의 판 구조로 이루어지고, 가동풀리(25) 및 피동풀리(26) 각각이 제1, 2고정프레임(211, 213) 각각의 사이에 설치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일례일 뿐 가동풀리(25)와 피동풀리(26) 상호 간이 일정거리 떨어져 대향할 수 있는 상태로 설치되기만 하면 족하다.
견인와이어(27)는 가동풀리(25) 및 피동풀리(26) 각각을 따라 무한궤도 운동한다. 견인와이어(27)는 통상적인 금속케이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견인후크(28)는 제2활주레일(23)로 진입하는 트롤리(15)를 견인하는 수단으로,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견인와이어(27)에 결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이때, 견인후크(28)는 도 5a에 개시된 것과 같이, 그 상단부위가 견인와이어(28)에 고정 결합되고, 그 하측부위는 좌우 한 쌍의 견인단(281)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견인단(281)은 트롤리(15)의 걸림단(153)에 밀착되는 부분으로, 걸림단(153)이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질 경우 이들 걸림단(153) 각각에 접촉하며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랫폼부의 제1활주레일(13)은 전방부위가 후방부위보다 낮은 고도차를 가지고 있으며, 상승견인부의 제2활주레일(23)은 전방부위가 후방부위보다 높은 고도차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도면과 같이 제1, 2활주레일(13, 23)이 연결되는 지점은 경사각의 불연속점이 형성되며, 이럴 경우 트롤리(15)가 불연속점에 의해 자연스러운 이동에 제약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트롤리(15)에는 도 2b와 같이 가이드체(152)가 마련되고, 제1활주레일(12)의 전방 상측부위에는 도 3 및 도 4a 각각과 같이 가이드휠(161) 및 가이드모터(163)가 마련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가이드체(151)는 몸체(151)의 상측부위에 마련되며, 도면과 같이 그 상면 중앙부위는 평탄하고, 상면의 전방부위 및 후방부위 각각은 하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은 도면과 달리 가이드체(151)의 상면부위가 일정 원호를 이루는 곡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몸체(151)의 상측부위에 가이드체(151)가 마련될 경우, 걸림단(153)은 가이드체(152)의 좌우 각각에서 돌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걸림단(153) 내부에 탄성수단을 내장하여 걸림단(153)을 일정각도 회전하게 구성하는 경우에는, 탄성수단은 가이드체(15)의 내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프레임(215)은 제1활주레일(13)의 전방 상측부위에 마련된다. 도면에는 가이드프레임(215)이 제2고정프레임(213)의 후측부위에서 플랫폼부로 연장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시공의 편리성을 감안한 구성일 뿐 본 발명은 가이드프레임이 제2고정프레임과 별도 구성으로 이루어져 제1지지레일(12)의 전방부위에 구성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가이드휠(161)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가이드프레임(215)의 전방부위를 따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모터(163)는 가이드프레임(215)의 후방부위에 설치되며, 가이드휠(161)과 연동되어 가이드휠(161)을 회전시킨다. 가이드체(152)의 상면부위와 밀착되는 가이드휠(161)이 회전하면, 트롤리(15)는 전방으로 이동하며 상승견인부로 진입한다. 도면부호 162는 가이드모터(163)와 가이드휠(161) 상호 간을 연동시키는 수단으로 벨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유활강부는 탑승체(17)를 착용한 이용자가 중력에 의해 자유 활강하는 부분으로, 도 1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2지주(31), 제3지지레일(32), 제3활주레일(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지주(31)는 상호 간에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제1지주(21)와 같이 각각의 하단부위는 지면에 고정되고, 각각의 상측부위는 일정 수직 높이로 돌출된다. 제3지지레일(32)은 제2지주(31) 각각에 의해 지지되며, 그 후단부위가 제2지지레일(22)과 연결되고, 그 전단부위는 제1지지레일(12)의 후단부위와 연결되도록 일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제3지지레일(32)의 전방부위는 후방부위보다 낮은 고도를 가지도록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활주레일(33)은 제3지지레일(32) 하측에 위치하며, 그 후단부위는 제2활주레일(23)의 전단부위와 연결되고, 그 전단부위는 제1활주레일(13)의 후단부위와 연결되어 제3지지레일(32)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도면부호 321은 제3활주레일(33)을 제3지지레일(32)에 고정하는 고정편이다.
이때, 자유활강부에서 이용자가 중력에 의해 자유 활강을 즐기기 위해서는, 제3지지레일(32)의 전방부위는 후방부위보다 높은 고도를 가지도록 경사져 연장되어야 하며, 이에 부가하여 제1지지레일(12)과 연결되는 제3지지레일(32)의 후단부위의 고도 역시 제1지지레일(12)의 고도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작동 구성을 전술한 설명부분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시설물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가 플랫폼부의 플랫폼(18)에 입장하면, 플랫폼(18)의 도우미가 이용자의 탑승체(17)를 점검한 다음 이용자를 탑승판(19)에 위치시킨다. 이때, 탑승판(19)은 하강한 상태이다. 이용자가 탑승판(19)이 중앙부위에 정위치하면, 탑승판(19)을 서서히 상승시킨다.
상승하는 탑승판(19)이 일정 높이로 상승되면, 탑승판(19)의 작동을 중지시킨 다음 그 상태에서 이용자가 착용한 탑승체(17)를 제1활주레일(13)에 걸려 있는 트롤리(15)와 연결시킨다. 제1활주레일(13)은 제1지지레일(12)에 의해 전방 하측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탑승체(17)가 트롤리(15)와 연결되면 트롤리(15)는 중력에 의해 활주하면서 제1활주레일(13)을 따라 서서히 전방으로 이동한다.
만일, 도 2a와 같이 플랫폼부에 브레이크 레일(14)이 마련되고, 트롤리(15)가 이 브레이크 레일(14)과 연동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면, 탑승체(17)가 트롤리(15)와 연결되는 동안 트롤리(15)는 브레이크 레일(14)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탑승체(17)와 트롤리(15) 상호 간의 연결이 완료되면 별도의 제어 신호에 따라 트롤리(15)의 정지상태가 해제되며 제1활주레일(13)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용자가 매달린 트롤리(15)가 중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플랫폼부의 전방부위에 도달하면, 트롤리(15)의 가이드체(152) 상면부위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가이드롤러(161) 각각과 순차적으로 접하면서 트롤리(15)는 가이드롤러(161)의 회전 마찰력에 의해 상승견인부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한다(도 4a 참조).
트롤리(15)가 가이드롤러(161)에 의해 밀려 제1활주레일(13)을 이동한 다음 상승견인부의 제2활주레일(23)로 진입하면, 견인와이어(27)를 따라 순환하는 견인후크(28) 중의 어느 하나가 트롤리(15)와 만나면서, 견인후크(28)의 견인단(281)이 트롤리(15)의 걸림단(153)과 밀착된다(도 5a 및 도 5b 각 참조). 견인후크(28)는 모터(24)의 구동력에 의해 견인와이어(27)를 따라 무한궤도 운동하기 때문에, 트롤리(15)는 견인후크(28)에 의해 제2활주레일(23)을 따라 서서히 상승한다(도 3 참조).
트롤리(15)가 견인후크(28)에 의해 상승되면서 제3활주레일(33)과 연결되는 제2활주레일(23)의 최고점에 이르면, 견인후크(28)는 가동풀리(25)를 따라 회전하면서 트롤리(15)의 걸림단(153)과 자연스럽게 분리되고, 이에 따라 이용자가 매달린 트롤리(15)는 제2활주레일(23)을 지나 자유활강부를 이루는 제3활주레일(33)로 진입한다.
자유활강부를 이루는 제3활주레일(33)은 그 후단부위가 전방부위에 비하여 일정 수직 높이의 해발고도차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트롤리(15)는 제3활주레일(33)에 있어 최고점을 지나면서 이용자의 체중에 따른 중력의 작용으로, 제3활주레일(33)이 가지는 고도차이만큼 제3활주레일(33)을 따라 도 1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일정시간 동안 자유 활강이 이어진다.
이러한 자유 활강은 플랫폼부에 다다를 때까지 이어지며, 그 활강 속도는 트롤리(15)가 플랫폼부 근처에 이르면서 서서히 감소하며 출발지였던 플랫폼부로 되돌아 온다. 트롤리(15)가 플랫폼부의 플랫폼(18)으로 진입하여 탑승판(19) 부근에 오면 도우미 등이 이용자의 이동을 제어하며, 이용자를 탑승판(19) 중앙부위로 유도한다. 트롤리(15)가 탑승판(18) 중앙부위에 위치하면, 탑승체(17)를 트롤리(15)로부터 분리하고, 그 상태에서 탑승판(18)을 서서히 하강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탑승판(18)이 원위치로 복귀하면, 이용자는 탑승체(17)를 벗어 도우미에게 전달하고 플랫폼(17)으로부터 이탈하면서 시승은 종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만일 플랫폼부에 브레이크 레일(14)이 마련되면, 트롤리(15)가 브레이크 레일(14)에 진입할 때 전자기력이 작용하여 트롤리(15)의 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며, 트롤리(15)가 탑승판(19)의 상측 중앙부위에 위치할 때 트롤리(15)를 완전히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2, 22, 32 : 제1, 2, 3지지레일 13, 23, 33 : 제1, 2, 3활주레일
15 : 트롤리 17 : 탑승체
18 : 플랫폼 19 : 탑승판
21, 31 ; 제1, 2지주 24 : 모터
25 : 가동풀리 26 : 피동풀리
27 : 견인와이어 28 : 견인후크

Claims (5)

  1. 지면으로부터 일정 수직 높이를 가지며 위치하되 전방부위가 후방부위보다 낮은 고도를 가지며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제1지지레일(12), 제1지지레일(12) 하측에 위치하며 지지되되 제1지지레일(12)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활주레일(13), 제1활주레일(13)에 가이드되어 활주하는 트롤리(15), 트롤리(15) 하측부위에 연결되는 탑승체(17)가 구비되는 플랫폼부(10);
    상호 간에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하단부위는 지면에 고정되고 각각의 상측부위는 일정 수직 높이로 돌출되는 제1지주(21), 후단부위가 제1지지레일(12)과 연결되어 일정길이로 연장되되 전방부위가 후방부위보다 높은 고도를 가지도록 경사져 제1지주(21)에 의해 지지되는 제2지지레일(22), 제2지지레일(22) 하측에 위치하며 지지되되 후단부위는 제1활주레일(13)의 전단부위와 연결되어 제2지지레일(22)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활주레일(23), 제2지지레일(22)의 전방 일측부위에 마련되는 모터(24), 모터(25)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제2지지레일(22)의 전방 타측부위에 마련되는 가동풀리(25), 가동풀리(25)와 대향하며 제2지지레일(22)의 후방 타측부위에 마련되는 피동풀리(26), 가동풀리(25) 및 피동풀리(26) 각각을 따라 무한궤도 운동하는 견인와이어(27),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견인와이어(27)에 결합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제2활주레일(23)로 진입하는 트롤리(15)를 견인하는 견인후크(28)가 구비되는 상승견인부(20);
    상호 간에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하단부위는 지면에 고정되고 각각의 상측부위는 일정 수직 높이로 돌출되는 제2지주(31), 후단부위는 제2지지레일(22)과 연결되고 전단부위는 제1지지레일(12)의 후단부위와 연결되도록 일정길이 연장되되 전방부위가 후방부위보다 낮은 고도를 가지도록 경사져 제2지주(31)에 의해 지지되는 제3지지레일(32), 제3지지레일(32) 하측에 위치하며 지지되되 후단부위는 제2활주레일(23)의 전단부위와 연결되고 전단부위는 제1활주레일(13)의 후단부위와 연결되어 제3지지레일(32)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3활주레일(33)이 구비되는 자유활강부(30);를
    포함하는 상승견인기구가 마련된 활강 체험시설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3활주레일(13, 23, 33) 각각은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트롤리(15)에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1, 2, 3활주레일(13, 23, 33) 각각의 중간 사이를 따라 이동하는 몸체(151), 몸체(151)의 상측 좌우 각각에서 돌출되는 걸림단(153), 몸체(151)의 좌우 각각에서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1, 2, 3활주레일(13, 23, 33) 각각의 상면부위 및 하면부위 각각과 밀착되는 제1, 2활주휠(155, 156)이 마련되고; 상기 견인후크(28)의 상단부위는 견인와이어(27)에 고정 결합되고 그 하측부위는 상기 트롤리(15)의 걸림단(153)에 밀착되는 좌우 한 쌍의 견인단(281)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견인기구가 마련된 활강 체험시설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15)의 몸체(151) 상부에는 가이드체(152)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체(152)의 상면 중앙부위는 평탄하되 상면 전방부위 및 후방부위 각각은 하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며, 상기 걸림단(153)은 가이드체(152)의 좌우 각각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활주레일(13)의 전방 상측부위에는 가이드프레임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전방부위에는 상기 트롤리(15)의 가이드체(152) 상면부위와 밀착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휠(161)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후방부위에는 가이드휠(161)과 연동되어 가이드휠(161)을 회전시키는 가이드모터(16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견인기구가 마련된 활강 체험시설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153)에는 탄성수단이 내장되어, 상기 걸림단(153) 후방으로 접근하는 견인후크(28)의 견인단(281)이 걸림단(153)과 접촉되면 탄성수단이 압축되며 걸림단(153)이 펼쳐지고, 상기 걸림단(153)이 견인단(281)과 분리되면 탄성수단의 복원력으로 걸림단(153)이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견인기구가 마련된 활강 체험시설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활주레일(13) 하측의 지면에는 플랫폼(18)이 마련되고, 상기 플랫폼(18) 중앙부위에는 수직 높이가 조절되는 탑승판(19)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견인기구가 마련된 활강 체험시설물.
KR1020230019615A 2023-02-14 2023-02-14 상승견인기구가 마련된 활강 시설물 KR102523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615A KR102523954B1 (ko) 2023-02-14 2023-02-14 상승견인기구가 마련된 활강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615A KR102523954B1 (ko) 2023-02-14 2023-02-14 상승견인기구가 마련된 활강 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954B1 true KR102523954B1 (ko) 2023-04-20

Family

ID=86143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615A KR102523954B1 (ko) 2023-02-14 2023-02-14 상승견인기구가 마련된 활강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9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293B1 (ko) * 2023-05-26 2023-07-28 주식회사 지에스웹 탑승체의 입출고 및 보관 설비가 구비된 익스트림 주행 시설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433B1 (ko) 2013-06-03 2014-01-02 이영조경(주) 좌우회전각과 상하경사각을 가변할 수 있는 주행기를 장착한 롤러코스터형 짚라인 공중놀이기구 운동시스템.
US20140096699A1 (en) * 2011-06-30 2014-04-10 William J. Kitchen Suspended Track Amusement Ride
KR102064506B1 (ko) 2019-08-08 2020-01-09 김희준 왕복 짚라인 장치
WO2020072779A1 (en) * 2018-10-05 2020-04-09 Universal City Studios Llc Hybrid ride vehicle systems and methods
KR102189413B1 (ko) * 2020-07-20 2020-12-11 (주)신흥이앤지 2인 협력식 익사이팅 체험시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96699A1 (en) * 2011-06-30 2014-04-10 William J. Kitchen Suspended Track Amusement Ride
KR101346433B1 (ko) 2013-06-03 2014-01-02 이영조경(주) 좌우회전각과 상하경사각을 가변할 수 있는 주행기를 장착한 롤러코스터형 짚라인 공중놀이기구 운동시스템.
WO2020072779A1 (en) * 2018-10-05 2020-04-09 Universal City Studios Llc Hybrid ride vehicle systems and methods
KR102064506B1 (ko) 2019-08-08 2020-01-09 김희준 왕복 짚라인 장치
KR102189413B1 (ko) * 2020-07-20 2020-12-11 (주)신흥이앤지 2인 협력식 익사이팅 체험시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293B1 (ko) * 2023-05-26 2023-07-28 주식회사 지에스웹 탑승체의 입출고 및 보관 설비가 구비된 익스트림 주행 시설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3954B1 (ko) 상승견인기구가 마련된 활강 시설물
KR20000057086A (ko) 산악지로부터 계곡지로 사람을 이송하는 설비
KR102177753B1 (ko) 무선 조종이 가능한 와이어 이송 트롤리
US6240851B1 (en) Transport system
JP2010126341A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2046507A (zh) 混合式缆索/轨道输送系统
US10414632B1 (en) Escalator system for facilitating the transport of goods
EP1810733B1 (en) An amusement ride
RU2610839C2 (ru) Транспорт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горнолыжного подъемника
CN209322273U (zh) 一种多坡度自动扶梯
CZ20031599A3 (cs) Eskalátor pro projíždění zatáček
US3136266A (en) Load transfer system
CN102895784B (zh) 跳跃类游乐设施
KR20210073406A (ko) 병렬삭도를 이용한 다인승 활강놀이기구
CN108290581B (zh) 空中运输装备
AU742454B2 (en) Recreational apparatus
JPS6118470B2 (ko)
CN201043115Y (zh) 胶带乘人装置
CN113003342A (zh) 一种基于嵌入式技术的电梯多参数检测的紧急制动装置
CN2196599Y (zh) 伞塔
RU83042U1 (ru)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варианты)
CN206915548U (zh) 具有分段式配重系统的多角度斜行电梯
CN205531486U (zh) 一种拖行式观影平台结构系统
CN209210170U (zh) 一种跨马路自动天桥
EP1789153B1 (en) An amusement ride insta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