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0385A - 투명 키캡들 - Google Patents
투명 키캡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70385A KR20210070385A KR1020217016610A KR20217016610A KR20210070385A KR 20210070385 A KR20210070385 A KR 20210070385A KR 1020217016610 A KR1020217016610 A KR 1020217016610A KR 20217016610 A KR20217016610 A KR 20217016610A KR 20210070385 A KR20210070385 A KR 202100703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cap
- transparent
- glass
- piece
- transparent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ergonomic functions, e.g. for miniature keyboards; characterised by operational sensory functions, e.g. sound feedback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24—Profile on actua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28—Printed information
- H01H2219/03—Printed information in transparent keyboar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28—Printed information
- H01H2219/034—Coloured area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56—Diffuser; Uneven surfa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58—Optical grid, collimator or microlouv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Reflec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투명 상단 부분들을 갖는 키보드들을 위한 키캡(keycap)들은 곡률, 텍스처, 융기들, 또는 다른 외부 구조적 특징부들에 의한 키 정의(key definition)를 제공하는 상부 표면을 정의하는 층형(layered) 컴포넌트들의 세트를 갖는다. 키캡들의 다른 부분들은 상부 층에 대한 글리프(glyph) 또는 지지 구조체를 정의한다. 각도 필터들 및 부분 반사성 재료들과 같은 특징부들이 키캡들의 가시성, 콘트라스트, 및 반사율을 개선하도록 구현된다. 표면 특징부들을 추가하고 키보드의 키캡들의 심미감을 개선하기 위해, 유리와 같은 강성 투명 재료들을 굽히거나 달리 변형하기 위해 다수의 방법들이 사용된다.
Description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5월 9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TRANSPARENT KEYCAPS"인 미국 특허 출원 제16/408,209호, 및 2018년 12월 26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TRANSPARENT KEYCAPS"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784,955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의 개시내용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기술된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컴퓨팅 키보드들을 위한 키캡(keycap)들에 관한 것이다.
많은 전자 디바이스들이 사용자들로부터 입력 및 상호작용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 및 메커니즘들을 갖는다. 디바이스 상호작용을 위한 주요 분야들은 컴퓨터들,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들, 태블릿 컴퓨터들, 스마트폰들, 및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들, 예컨대 미디어 플레이어들, 비디오 및 오디오 장비, 차량 콘솔들, 홈 자동화 제어기들, 및 관련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키보드들, 키패드들, 버튼들, 터치패드들, 및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다른 입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입력 디바이스들은 또한, 예컨대 시각적, 터치/햅틱들, 또는 오디오 표시기들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출력 및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의 멋진 외관은 종종 고급 기능구현, 개선된 내구성, 키 정의(key definition), 및 감소된 두께 및 중량에 대한 시장 요구와 병립되기 어렵다. 일부 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재료는 디바이스 하우징 또는 다른 컴포넌트들에 포함시키기에 충분히 내구성이 없을 수 있고, 다른 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재료들은 전자 디바이스의 고급 기능구현에 방해될 수 있다. 일부 미적 재료들은 부서지기 쉽거나, 강성이거나, 또는 원하는 표면 특징들을 갖는 키캡들로 제조하기가 어렵다.
또한, 버튼들 및 키들과 같은 소정 입력 디바이스들 및 컴포넌트들의 경우, 사용자는 디바이스의 수명 동안, 선택된 재료에 수백만 회는 아니더라도, 수십만 회 물리적으로 닿을 수 있다. 많은 시각적으로 만족스러운 해결책들은 그러한 연장된 기능에 대한 내구성이 결여되어 있다. 이는 전자 디바이스들 및/또는 연관된 입력 디바이스들이 더 작게, 더 얇게, 또는 달리 감소된 차원으로 구성될 때 특히 그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캡들의 감소된 차원들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 보다 두꺼운 키캡들보다 구조적으로 덜 견고하고 수명이 더 짧은 키캡들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 제조업자들 및 사용자들은 입력 디바이스들에 사용되는 버튼들 및 키들에 대한 일정한 개선들에 대한 필요성을 갖는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는 상부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키 본체를 포함하는, 키보드를 위한 키캡에 관한 것이다. 키 본체는 저부 표면을 갖는 투명 본체, 투명 본체의 저부 표면에 부착되는 차광 재료 - 차광 재료는 글리프(glyph) 형상을 정의함 -, 및 투명 본체 및 차광 재료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외부 표면은 적어도 2개의 에지들 및 중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2개의 에지들은 중심부에 대해서 상승되어 있을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투명 본체는 유리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캐리어 본체는 중합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차광 재료는 유리 재료와 중합체 재료 사이에 위치된 불투명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본체는 투명 중합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상부 외부 표면은 또한 오목한 곡률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오목한 곡률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또는 구형으로 오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부 외부 표면은 적어도 2개의 에지들을 따라 적어도 2개의 융기된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외부 표면은 중심부에 있는 제1 텍스처 및 중심부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외부에 있는 제2 텍스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텍스처는 제1 텍스처와 상이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는 만곡된 키캡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유리 재료 조각 상에 만곡된 상부 표면을 형성하는 단계, 및 만곡된 상부 표면이 노출되게 하여 비-유리(non-glass) 캐리어 본체에 유리 재료 조각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만곡된 상부 표면을 형성하는 단계는 유리 재료 조각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 표면의 에지 상에 만곡된 형상으로 투명 재료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만곡된 상부 표면을 형성하는 단계는 유리 재료 조각에 굴곡부(bend)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굽힘된 재료는 유리 재료 조각의 굽힘 해제(unbending)를 제한하도록 구속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굽힘된 재료의 내부 응력들은 굴곡부를 유발한 후에 완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굴곡부를 유도하는 단계는 유리 재료 조각의 일부분을 화학적으로 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만곡된 상부 표면을 형성하는 방법들은 유리 재료 조각을 금형에 적용하는 단계, 유리 재료 조각을 슬럼핑하는(slumping) 단계, 또는 유리 재료 조각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 표면으로부터 재료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비-유리 캐리어 본체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유리 재료 조각은 비-유리 캐리어 본체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유리 재료 조각과 비-유리 캐리어 본체 사이에 적어도 반-불투명(semi-opaque) 재료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위한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키보드는 베이스 층, 키캡들의 세트, 및 지지 메커니즘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키캡들은 저부 표면, 투명 재료의 저부 표면 아래에 위치된 부분적으로 미러링된(mirrored) 재료, 및 투명 본체 및 부분적으로 미러링된 재료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본체를 포함하는 투명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메커니즘들의 세트는 베이스 층에 대한 키캡들의 세트의 작동 이동들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키캡들의 세트에 커플링될 수 있다.
각각의 키캡은 투명 재료의 저부 표면 아래에 위치된 불투명 재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불투명 재료는 글리프 개구부를 가질 수 있고 부분적으로 미러링된 재료는 글리프 개구부를 덮을 수 있다. 캐리어 배킹(backing) 아래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은 캐리어 배킹, 부분적으로 미러링된 재료, 및 투명 재료를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키캡은 각도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부분적으로 미러링된 재료는 각도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재료는 에지들 및 중심부를 갖는 상부 표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에지들은 중심부에 대해 상승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유사한 구조적 요소들을 가리킨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캡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단면 라인들 3-3을 통해 취해진 도 2의 키캡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캡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캡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단면 라인들 6-6을 통해 취해진 도 5의 키캡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5의 키캡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캡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8의 단면 라인들 9-9를 통해 취해진 도 8의 키캡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캡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의 단면 라인들 11-11을 통해 취해진 도 10의 키캡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캡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2의 단면 라인들 13-13을 통해 취해진 도 12의 키캡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2의 키캡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캡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른 키캡의 도식적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른 키캡의 도식적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다른 키캡의 도식적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에 따른 키캡의 일부분을 변형하는 공정의 도식적 도면을 도시한다.
도 20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른 키캡의 도식적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캡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단면 라인들 3-3을 통해 취해진 도 2의 키캡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캡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캡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단면 라인들 6-6을 통해 취해진 도 5의 키캡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5의 키캡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캡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8의 단면 라인들 9-9를 통해 취해진 도 8의 키캡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캡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의 단면 라인들 11-11을 통해 취해진 도 10의 키캡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캡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2의 단면 라인들 13-13을 통해 취해진 도 12의 키캡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2의 키캡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캡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른 키캡의 도식적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른 키캡의 도식적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다른 키캡의 도식적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에 따른 키캡의 일부분을 변형하는 공정의 도식적 도면을 도시한다.
도 20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른 키캡의 도식적 조립체를 도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은 키보드들, 버튼들, 및 다른 입력 디바이스들을 위한 키캡들에 관한 것이다. 이들 키보드들은 얇고, 가볍고, 내구성이 있는 것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유리들, 투명 세라믹들(예컨대, 사파이어), 투명 중합체들, 및 유사한 재료들이 이들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키캡들의 표면 상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할 수 있다. 타이핑 표면들 또는 다른 터치 인터페이스들로서 사용될 때, 이들 재료들은 수백만의 사이클들에 걸쳐 사용될 때조차도 내구성이 있고 흠 또는 스크래치가 생기기 어려울 수 있다. 이들은 여전히 높은 강성 및 강도를 가지면서 얇게 제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들 재료들이 구비된 키캡들은 가압될 때 굽힘 및 휨에 여전히 저항성이 있으면서 얇게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의 투명도 또는 반투명도는 또한 광을 전달, 반사 또는 분포시킬 수 있기 때문에 후방 조명되거나 측면 조명되는 키들을 갖는 키보드들에서 유리할 수 있다. 그들의 표면들은 평탄화되고 폴리싱될 수 있으며, 스크래치 또는 다른 흠집들에 저항성이 있을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은 키 정의(즉, 키 등록)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그의 표면 특성들을 보존 또는 향상시키면서 키캡들에서 이들 재료들을 구현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은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다른 기구를 키캡의 원하는 표면 상에 위치시키는(예컨대, "호밍하는(homing)") 것을 보조하는 키 구조체들에 관한 것이다. 이들 구조체들은 사용자가 키들을 보지 않고도 키캡의 에지 또는 다른 부분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타이핑 속도, 정확성 및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구조체들은 또한, 세련된 시각적 외관, 키들에 위치된 후방 조명 문자들 또는 글리프들의 개선된 가시성, 및 인접한 키들의 에지들 또는 그들 사이의 공간들의 개선된 가시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태들에서, 키캡들에 통합된 키 구조체들은 표면 곡률, 상승된 에지들, 융기들, 다양한 텍스처들, 및 사용자가 키들을 타이핑하거나 달리 키들을 사용하는 동안 가시적이거나 접촉할 수 있는 다른 특징부들을 포함한다. 키캡들은 다수의 층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 층은 키 구조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합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재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부 층의 상부 표면은 적어도 2개의 에지들 및 중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2개의 에지들은 키캡이 실질적으로 수평 배향일 때 중심부에 대해 상승된다(즉, 적어도 2개의 에지들은 키캡의 상부 표면 상의 실질적으로 중앙에 위치된 영역보다 큰 높이로 연장된다). 중간 층은 상부 층의 저부 표면에 부착되고 글리프 섹션을 정의하는 차광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층 또는 캐리어 본체는 키캡 안정부(stabilizer), 접힘가능 돔, 또는 다른 키캡 지지 구조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내구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키캡의 층들은 상이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고 상이한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캡들의 가시성, 콘트라스트, 색상 변화, 또는 다른 외관 특성들을 개선하기 위해 코팅들 또는 반사 층들이 키캡들에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캡들은 시야각들에 기초하여 광을 차단하거나 키보드 주위의 광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키들 아래의 조명을 반사하는 필터들을 통합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은 또한 투명 키캡들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유리 및 관련 재료들은 얇으면 부서지기 쉬울 수 있고, 굽힘 모멘트들이 인가되면 일반적으로 취약하지만,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유리 및 관련 재료들에 만곡되거나 융기된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리는 만곡된 형상으로 휘어지고, 이어서 유리가 평평한 형상으로 복귀하는 것을 제한하거나 방지하는 방식으로 별개의 부품에 부착된다. 다른 경우들에서, 본 명세서의 어딘가 다른 곳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리는 인서트 성형, 프레스 형성, 고브(gob)-형성, 화학적으로 강화, 추가, 연삭, 절단, 선삭 또는 슬럼핑될 수 있다.
이제, 첨부 도면들에 예시된 대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참조가 상세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다음의 설명들이 실시예들을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반대로,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기술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대안예들, 변형예들 및 등가물들을 포함하고자 한다.
도 1은 키보드(102)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도시한다. 키보드(102)는 키캡들(예컨대, 키캡(103))을 갖는 키 메커니즘들 또는 조립체들, 또는 사용자에 의해 눌려질 때 이동하는 버튼 캡들을 포함한다.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106)(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LCD) 스크린) 및 트랙 패드(108)를 또한 포함하는 하우징(104) 내에 키보드(102)를 위치시킬 수 있다. 하우징(104)은 디스플레이(106)를 지지하는 상부 하우징(110), 및 키보드(102) 및 트랙 패드(108)를 지지하는 베이스 하우징(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및 베이스 하우징들(110, 112)은 클러치(114)로도 알려진 힌지(114)에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중심으로 상부 하우징(110)이 베이스 하우징(112)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10)은 뚜껑 부분 또는 상부 부분으로 지칭될 수 있고, 베이스 하우징(112)은 베이스 부분 또는 하부 부분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의 전자 디바이스(100)가 노트북/랩톱 컴퓨터로서 도시되지만, 노트북 컴퓨터와 관련하여 기술되는 본 개시내용의 특징들 및 양태들은 다양한 다른 디바이스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쉽게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다른 디바이스들은 개인용 컴퓨터들(예를 들어, 컴퓨터 "타워(tower)들", "올인원(all-in-one)" 컴퓨터들, 컴퓨터 워크스테이션(computer workstation)들, 및 관련 디바이스들을 포함함) 및 관련 액세서리들, 스피커들, 그래픽 태블릿들 및 그래픽 입력 펜들/스타일러스들, 시계들, 헤드셋들,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및 관련 액세서리들, 차량들 및 관련 액세서리들, 네트워크 장비, 서버들, 스크린들, 디스플레이들, 및 모니터들, 사진 및 비디오 촬영 장비 및 관련 액세서리들, 프린터들, 스캐너들, 미디어 플레이어 디바이스들 및 관련 액세서리들, 리모트들, 헤드폰들, 이어폰들, 디바이스 충전기들, 컴퓨터 마우스들, 트랙볼들, 및 터치패드들, 판매시점 장비, 케이스들, 장착부들, 및 전자 디바이스들을 위한 스탠드들, 게임용 제어기들, 원격 제어(RC) 차량들/드론들, 증강 현실(AR) 디바이스들, 가상 현실(VR) 디바이스들, 홈 자동화 장비, 및 사람 입력을 사용, 전송, 또는 수신하는 임의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을 구현 및 적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의 종류들의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예들을 제공한다.
도 2는 키보드(102)와 같은 키보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키캡(200)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키캡(200)은 도 1의 키캡(103)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단면 라인들 3-3을 통해 취해진 키캡(200)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키캡(200)은 투명 본체(202), 중간 층(204), 및 캐리어 본체(206)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본체(202)는 상부 층, 외부 층, 또는 사용자 접촉 층으로 지칭될 수 있다. 투명 본체(202)는 유리, 플로트 유리, 강화(toughened) 또는 강화(tempered) 유리, 간유리(frosted glass), 미러링된 유리, 라미네이팅된 유리, 코팅된 유리, 투명 또는 반투명 세라믹들, 투명 또는 반투명 중합체들(예컨대, 폴리카르보네이트), 유사한 재료들,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투명" 본체는 그의 두께를 통해 가시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과시키는 본체로서 정의된다. 따라서, "투명" 본체는 완전히 투명하거나 또는 완전히 맑을(clear) 수 있거나(예컨대, 프리즘-유사 또는 유리-유사 외관을 가짐),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투명(예컨대, 젖빛(frosted) 또는 희미한(foggy) 외관을 가짐)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투명 본체는 약 0.50 밀리미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투명 본체(202)는 또한 키보드 조립체 내에 위치될 때 사용자에게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본체(202)에 사용되는 재료들이 최소의 색상의 변화, 굽힘, 또는 페이딩을 가지거나 전혀 가지지 않으면서 수백만의 사용 사이클들(예컨대, 손가락 탭들)을 견디도록 선택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투명 본체(202)에 사용되는 재료들은 또한 내구성이 있을 수 있고, 그에 의해 키캡(200)의 스크래치들 또는 칩핑을 제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투명 본체(202)가 키캡의 글리프를 커버하기 때문에, 글리프는 마모 또는 페이딩으로부터 보호된다. 유리가 투명 본체(202)에 사용될 때, 키캡은 대부분의 플라스틱 재료들보다 훨씬 더 강성이다.
따라서, 투명 본체(202)는 그의 표면들을 통해 광을 전달, 확산, 또는 방향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체로 키캡(200) 위로부터(예컨대, 도 3의 방향(A)으로부터) 오는 주변광은 투명 본체(202)의 상부 표면(208)을 통과할 수 있고, 중간 층(204)으로부터 반사될 수 있거나, 또는 투명 본체(202)를 통해 다수의 방향들로(예컨대, 방향(A)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확산될 수 있다. 유사하게, 투명 본체(202)의 저부 표면(210) 아래로부터 투명 본체(202)에 진입하는 광은 확산될 수 있거나 또는 상부 표면(208)을 통과하여 (예컨대, 방향(A)으로부터 키캡을 볼 때) 키캡(200) 위로부터 가시적일 수 있다.
상부 표면(208)은 평탄할 수 있고, 오목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표면(208)은, 상부 표면(208)의 중심 지점(212)이 상부 표면(208)의 적어도 2개의 외부 상승된 에지들(214, 216)보다 더 낮게 위치될 수 있는 반경(R)을 가질 수 있다. 중심 지점들(예컨대, 중심 지점(212))이 일반적으로 관련 도면들에서 점을 이용해 도시되어 있지만, 점의 예시는 물리적 특징부(예컨대, 범프, 돌출부, 또는 다른 구조적 요철)가 키캡의 상부 표면에 형성될 필요가 없다는 것에 유의한다. 오히려, 상부 표면(208)(및 다른 상부 표면들)은 중심 지점(212)을 통한 평탄하고 연속적인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표면(208)은 중심 지점(212)과 적어도 2개의 외부 상승된 에지들(214, 216) 사이에 연속적인 반경(R)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표면(208)은 사용자가 비수직 각도로 아래로 누를 때 또는 사용자가 중심 지점(212)과 적어도 2개의 외부 상승된 에지들(214, 216) 사이의 표면에서 아래로 누를 때 사용자의 손가락을 키캡(200)의 중심을 향해 안내하는 완만한 스쿠프(scoop)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표면(208)의 오목한 형상은 타이핑 편의성 및 효율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표면(208)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스쿠프형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부 표면(208)은 Y-축에 수직인 방향(예컨대, 도 2의 X-방향에 평행함)을 따라 만곡되는 한편 중심 Y-축(도 2 참조)에 평행한 방향으로는 곡률이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표면(208)은 원통형 형상이 Y-축을 따라 연장되기 때문에 "Y-원통형" 오목부, 곡률, 또는 스쿠프 형상을 갖는 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는 키캡의 곡률의 원통형 축이 키캡을 측방향 측면들로 분할하는 상부 표면의 대칭선임을 의미한다. 대칭선은 키캡(200)에 도시된 글리프 또는 레전드 영역의 좌측/우측 수평 대칭의 선일 수 있다. 상승된 에지들(214, 216)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는 중심 지점(212)에 대해 상승될 수 있고, 투명 본체(202)에서 상부 표면(208)의 다른 에지들(218, 220)의 부분들(도 2 참조)은 중심 지점(212)과 동일한 높이 또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부 표면(208)의 오목부는 도 2에 도시된 도면으로부터 90도 회전되어 배향될 수 있으며, X-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곡률이 실질적으로 없지만, Y-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곡률이 있다. 다시 말하면, 상부 및 저부 에지들(218, 220)은 중심 지점(212)에 대해 실질적으로 완전히 상승될 수 있고, 투명 본체(202)에서 측부 에지들(214, 216)은 중심 지점(212)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높이 또는 두께에 있을 수 있다. 그 경우에, 상부 표면(208)은 "X-원통형" 오목부, 곡률, 또는 스쿠프 형상을 갖는 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원통형 곡률의 축은, 키캡의 면을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으로 분할하거나 키캡 내에 도시된 글리프 또는 레전드 영역의 수직 대칭선인 키캡의 대칭선일 수 있다.
각각의 유형의 곡률은 키캡(200)의 느낌, 외관, 및 키 정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Y-원통형 오목부를 갖는 상부 표면(208)은 좌우 측방향으로 인접한 키캡들(예컨대, X-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서로 옆에 있는 키캡들) 사이에 더 중요한 키 정의를 제공할 수 있다. X-원통형 오목부를 갖는 상부 표면은 전후 측방향으로 인접한 키캡들(예컨대, Y-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서로 옆에 있는 키캡들) 사이에 더 중요한 키 정의를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서 개선된 키 정의가 제공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인접한 키캡들 각각 상의 상승된 에지들이 서로 옆에 위치되며, 사용자는 키캡들이 2개의 인접한 평평한 표면들에 대해 서로 옆에 있는 정점(peak)을 쉽게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 및 도 3은 Y-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표면(208)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상승된 에지들(214, 216)을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승된 에지들(214, 216)은 Y-축(또는 X-원통형 곡률의 경우, X-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부 표면(208)의 전체 길이의 단지 일부분만을 따라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일련의 범프들 또는 다른 이격된 상승된 부분들이 상부 표면(208)의 에지의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또한, 에지들(214, 216)은 (X-축을 따라 측정될 때) 중심 지점(212)에 더 가깝게 위치된 융기들일 수 있다. 따라서, 에지들(214, 21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표면(208)의 폭의 최외측 한계들에 있을 수 있지만, 이들은 이들 최외측 한계들에 대해 내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 제조업자는 인접한 키캡들의 에지들(214, 216) 사이의 공간의 양을 최적화할 수 있거나, 에지들(214, 216)의 상부의 곡률 반경을 도 3에 도시된 도면에 비해 더 평탄하게 또는 가파르게 되도록 최적화할 수 있다.
키캡(200)의 중간 층(204)은 투명 본체(202)와 캐리어 본체(20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중간 층(204)은 그의 적어도 일부분 내에 차광 재료를 포함할 수 있는 광-차단 층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층(204)은 글리프(222)를 포함할 수 있다. 글리프(222)는 레전드, 심볼, 문자, 또는 유사한 특징부로 지칭될 수 있다. 글리프(222)는 중간 층(204)을 통한 개구 또는 개구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층(204)은 글리프 형상을 정의하는 불투명 재료를 관통하는 글리프 윈도우 또는 개구부를 갖는 불투명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투명 재료는 투명 본체(202) 또는 캐리어 본체(206)에 적용된 잉크, 페인트, 수지, 또는 유사한 얇고 불투명한 재료일 수 있다. 백라이트 조명은 특히 저-조도 조건들에서 글리프(222)의 가시성을 개선하기 위해 글리프(222)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글리프(222)는 적어도 이들이 조명될 때 중간 층(204)의 나머지보다 외관이 덜 불투명하거나 더 밝을 수 있다. 글리프(222)는 키캡(200)의 목적 또는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어들 또는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층(204) 내의 "글리프 영역" 또는 "레전드 영역"은 다수의 문자들 또는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고, 글리프 영역 또는 레전드 영역의 경계들은 X-축 및 Y-축을 따른 가시적인 심볼들 또는 문자들의 최외측 한계들에 의해 정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글리프(222)는 만곡된 상부 표면(208)의 최하점(nadir) 아래에 위치된다. 글리프 개구부가 중간 층(204) 내에 형성되는 경우들에서, 개구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는 투명 본체(202)의 저부 표면(210)으로부터 연장되거나 캐리어 본체(206)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로 충전될 수 있다. 글리프 개구부는 대안적으로 비어 있고 채워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중간 층(204)은 투명 재료를 포함한다. 이어서, 글리프(222)는 불투명(또는 더 불투명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간 층(204)은 중간 층(204)의 주변 부분들보다 더 어둡게 나타나는 글리프(222)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0과 도 11 및 본 명세서에서 그의 관련 설명들을 참조한다.
캐리어 본체(206) 또는 저부 층은 투명 본체(202) 및 중간 층(204)에 부착되는(예컨대, 접합되는 또는 오버몰딩되는) 플라스틱 또는 유사한 내구성이 있는 성형가능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 본체(206)는 키캡(200)을 위한 안정부, 접힘가능 돔, 스프링, 또는 다른 지지부(도시되지 않음)에 키캡(200)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클립들, 후크들, 링크들, 또는 유사한 기계 부품들(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 저부 표면 또는 측면 표면을 가질 수 있다. 플라스틱 및 유사한 재료들이 내구성을 유지하고 균열이나 파손되지 않으면서 작고 섬세한 형상들로 성형하기가 더 용이하기 때문에 캐리어 본체(206)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캐리어 본체(206)는 더 평탄하고, 더 반짝이고, 내구성 있는 투명 본체(202)가 부착되는 내구성 기재일 수 있다. 캐리어 본체(206)는 또한 키캡(200)이, 이들이 투명 본체(202)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었다면 파손되기 쉬울 수 있는 더 작거나 더 복잡한 저부 또는 측면 표면 기하학적 형상들을 갖도록 허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캐리어 본체(206)는 투명 본체(202) 또는 중간 층(204) 상에, 그러한 다른 층들(202, 204)을 용융시키거나 달리 변형시키지 않을 조건들 하에서 성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캐리어 본체(206)는 반투명 재료를 포함하고 키캡(200) 내의 광 분배기, 확산기, 또는 도광기로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캐리어 본체(206)에 진입하는 광은 중간 층(204)의 원하는 부분들을 통해(예컨대, 글리프 개구부를 통해) 또는 캐리어 본체(206)의 주연부 주위에서 측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캐리어 본체(206)는 불투명할 수 있고, 중간 층(204)의 하나 이상의 원하는 부분들로 캐리어 본체(206)의 저부를 통해 광을 지향시키기 위한 채널 또는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키캡(200)과 유사한 키캡(400)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유사한 특징부들이 대응하는 수치 표시자들을 사용하여 표시된다. 이 키캡(400)의 투명 본체(402)의 상부 표면(408)은 구형의 접시형(dished) 오목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키캡(400)은 상부 표면(408)의 중심 지점(412)에서 가장 얇을 수 있고, 키캡(400)은 중심 지점(412)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연장되거나 중심 지점(412)을 통해 연장되는 수직축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수직으로 연장되는 모든 방향들에서 증가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투명 본체(402)는 그의 외측 4개의 코너들(424, 426, 428, 430)에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의 외측 에지들(414, 416, 418, 420)은 또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키캡(400)의 중간 층(404) 및 캐리어 본체(406)는 키캡(200)의 중간 층(204) 및 캐리어 본체(206)와 관련하여 전술한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표면(408)의 구형 오목 곡률은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다른 기구를 키캡(400) 상에 더 중심을 두도록 안착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고, 다수의 방향들(예컨대, X-축 및 Y-축 둘 모두에 평행)에서 개선된 키 정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곡률은 타원형으로 오목하고, 상부 표면의 오목부는 다른 축에 비해 키캡의 하나의 축을 따라 더 깊다.
도 5는 키캡들(200, 400)과 유사한 키캡(500)의 다른 실시예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단면 라인들 6-6을 통해 취해진 키캡(500)의 측단면도이다. 키캡(500)은 그의 에지들(514, 516, 518, 520)들에 대해 리세스된 실질적으로 평평한 중심 상부 표면(508)을 갖는 투명 본체(50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투명 본체(502)는 실질적으로 평면이되 그의 주변 에지들(514, 516, 518, 520) 주위에 융기들 또는 상승된 섹션들을 갖는 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에지 융기들은 예를 들어, 약 0.1 밀리미터 내지 약 0.2 밀리미터, 또는 약 0.15 밀리미터 내지 약 0.18 밀리미터의 인접 주위 표면에 대한 상승부와 같은 다양한 높이들을 가질 수 있다.
융기들 또는 상승된 섹션들은 그들의 상부 에지들 주위에서 둥글게 되거나(예컨대, 반경형 처리됨(radiused)) 또는 베벨링(beveled)(예컨대, 챔퍼링)될 수 있다. 융기들 또는 상승된 섹션들은, 특히 그들이 이웃 키캡의 상승된 에지들에 인접하게 위치될 때, 4개의 에지(514, 516, 518, 520)들 모두 주위의 키 정의를 개선할 수 있다. 평평한 상부 표면(508)은 글리프(522) 형상의 최소 굴절 또는 다른 왜곡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에지들(514, 516, 518, 520)의 융기들의 크기, 형상, 및 위치설정은 키캡(500)에 대한 원하는 양의 키 정의를 제공하도록 최적화될 수 있다. 키캡(500)의 중간 층(504) 및 캐리어 본체(506)는 키캡(200)의 중간 층(204) 및 캐리어 본체(206)와 관련하여 전술한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본체(502)는 중간 층(504) 및 캐리어 본체(506) 또는 저부 층에 장착된 상부 층일 수 있다. 따라서, 3개의 컴포넌트들(502, 504, 506) 모두는 동일한 폭(W1)을 가질 수 있다. 그 폭(W1)은 키캡(500)의 전체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키캡(500)의 전체 상부 표면은 투명 본체(50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층들(702, 704, 706) 모두가 동일한 측방향 폭을 갖지는 않는 키캡(700)의 관련 실시예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캐리어 본체(706)는 투명 본체(702) 및 중간 층(704)의 폭(W3)보다 큰 폭(W2)을 가질 수 있다. 키캡(700)의 상승된 에지들(714, 716)은 캐리어 본체(706)의 일부일 수 있다. 따라서, 캐리어 본체(706)는 투명 본체(702)의 상부 표면(708)을 넘어서 상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키캡(700)의 상부 표면은 투명 본체(702)와 캐리어 본체(706)의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캐리어 본체(706)는 투명 본체(702) 및 중간 층(704)의 두께와 중첩되는 수직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키 정의 특징부들(예컨대, 714, 716)은 캐리어 본체(706)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키캡(700)은 투명 본체(702) 및 중간 층(704)을 캐리어 본체(706) 내로 삽입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캐리어 본체(706)는 투명 본체(702) 및 중간 층(704) 주위에 오버몰딩되거나 인서트 성형될 수 있다.
도 8은 키캡(900)의 다른 실시예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8의 단면 라인들 9-9를 통해 취해진 키캡(900)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키 정의는 투명 본체(902)의 상부 표면(908) 상에 상이한 표면 텍스처들을 통합함으로써 개선된다. 예를 들어, 상부 표면(908)의 외측 에지 영역들(914, 916, 918, 920)은 상부 표면(908)의 중심 영역(930)과 상이한(예컨대, 더 거친 또는 더 매끄러운) 텍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상부 표면(908)은 대체로 평평하고 평면일 수 있다. 키캡(900)의 중간 층(904) 및 캐리어 본체(906)는 키캡(200)의 중간 층(204) 및 캐리어 본체(206)와 관련하여 전술한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키캡(900)은 매우 얇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외측 에지 영역들(914, 916, 918, 920)은 중심 영역(930)에 대해 텍스처가 샌딩되거나(sanded), 샌드블라스팅되거나(sandblasted), 비드 블라스팅되거나(bead blasted), 에칭되거나, 달리 조면화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부 표면(908)은 중심 영역(930)에서 폴리싱되거나, 광택을 내거나(glossed), 수지 돔화되거나(resin domed), 또는 달리 평탄화되는, 조면화된 텍스처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배열들에서, 중심 영역(930)은 외측 에지 영역들(914, 916, 918, 920)에 비해 텍스처가 조면화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8에서 중심 영역(930)과 외측 에지 영역들(914, 916, 918, 920) 사이의 한계들을 명확하게 정의하는 경계부(931)가 있지만, 일부 경우들에서, 상부 표면(908)의 중심에서의 조도와 그의 외측 한계들 사이에 점진적이거나 더 완만한 전이가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다른 기구를 상부 표면(908)을 가로질러 이동시킴에 따라, 표면의 텍스처는 표면과 손가락 또는 기구 사이의 마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키캡(900)은 사용자가 에지 영역들(914, 916, 918, 920)에서 더 적은 마찰을 느끼고 중심 영역(930)에서 더 많은 마찰을 느끼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표면(908)의 중간은 더 접착성, 더 점착성이게 느껴지거나, 손가락 또는 다른 기구에 대한 더 큰 슬라이딩 저항을 제공하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상부 표면(908)의 중간에 더 가깝게 키캡(900)을 찾고 접촉을 유지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될 수 있다. 키캡(900)의 텍스처 속성들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캡(200)은 그의 상부 표면(208)의 중심에 비해 상이한 텍스처를 갖는 외측 에지 영역들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외측 에지 영역들(914, 916, 918, 920)은 상부 표면(908)의 중심 영역(930) 또는 중간보다 더 많은 마찰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마찰은 상부 표면(908)의 중간과 닿은 사용자가 외측 에지들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증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먼저 더 중심으로 키캡(900)에 닿은 후에 키캡(900)의 에지로부터 자신의 손가락 또는 다른 기구를 슬라이드하여 뗄 가능성이 더 적을 수 있다.
상부 표면(908)의 상이한 텍스처들은 또한 투명 본체(902)에서의 광 분산 및 반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평탄한 중심 영역(930)은 더 거친 외측 에지 영역들(914, 916, 918, 920)과 비교하여 광의 더 적은 확산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시야각들로부터 외측 에지 영역들(914, 916, 918, 920)은 중심 영역(930)보다 더 밝게 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투명 본체(902)의 측부 표면들(932, 934)(도 9 참조)은 키캡(900)의 주연부 주위에서 그의 광 확산 속성들을 추가로 향상시키기 위해 새틴처리(satin), 반투명화(frosted), 또는 달리 텍스처화될 수 있다. 또한, 입상 텍스처(grainy texture)를 갖는 도 10의 측부 표면(1009)을 참조한다. 측부 표면들(932, 934)은 대안적으로 광택이 있거나 매끄럽고 반사성일 수 있다.
도 10은 투명 본체(1002), 중간 층(1004), 및 캐리어 본체(1006)를 갖는 키캡(200)과 유사한 다른 키캡(1000)의 등각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단면 라인들 11-11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키캡(1000)을 통한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중간 층(1004) 내의 글리프(1022)는 도 2 및 도 3과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중간 층(1004)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불투명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층(1004)은 키캡(1000)을 통해 광을 더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글리프(1022)를 둘러싸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10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밝은 주변광 조건들에서 글리프(1022)의 가시성을 유익하게 개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백라이트 조명이 색상을 변경하면 키캡(1000)은 색상을 더욱 극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팅에 사용되는 듀얼-컬러 또는 RGB LED들은 키캡(200)과 비교하여 글리프(1022)를 둘러싸는 에지들 및 영역들을 포함하는 키캡의 더 큰 비율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백라이팅은 글리프(1022) 외에도 전체 중간 층(1004)의 휘도 및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글리프(1022)는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투명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백라이팅은 전체 중간 층(1004)의 밝기 및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반투명 재료(1036)는 캐리어 본체(1006)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 본체(1006)의 재료는 투명 본체(1002)의 저부에 적용된 글리프(1022)를 위한 재료 주위에 오버몰딩될 수 있다. 따라서, 캐리어 본체(1006)는 투명 본체(1002)를 통해 가시적일 수 있다. 캐리어 본체(1006)는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반투명 재료(1036)의 위치들을 통해 전달되는 광에 대한 확산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키캡(1000)의 캐리어 본체(1006)는 키캡(200)의 캐리어 본체(206)와 관련하여 전술한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키캡(200)과 유사한 키캡(1200)의 다른 실시예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2의 단면 라인들 13-13을 통해 취해진 키캡(1200)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의 글리프(1222)는 투명 본체(1202) 아래의 2-파트 중간 층(1204)에 형성될 수 있다. 캐리어 본체(1206)가 중간 층(1204) 아래에 제공될 수 있다. 키캡(1200)의 투명 본체(1202) 및 캐리어 본체(1206)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른 투명 본체들 및 캐리어 본체들과 관련하여 전술된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층(1204)은 적어도 2개의 컴포넌트 층들 또는 라미네이팅된 섹션들, 예컨대 상부 층(1238) 및 하부 층(1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층(1238)은 투명 본체(1202)에 인접하게 그리고 그와 접촉하여 위치될 수 있고, 하부 층(1240)은 캐리어 본체(1206)에 인접하게 그리고 그와 접촉하여 위치될 수 있다. 하부 층(1240)은 글리프(1222)의 최외측 주연부 및 외부 영역(1242)을 정의할 수 있고, 상부 층(1238)은 외부 영역(1242)에 의해 측방향으로 둘러싸인 글리프(1222)의 내부 영역(1244)을 정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부 및 하부 층들(1238, 1240)은 각각 두께가 약 1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상부 층(1238)은 제1 섹션(1246) 및 제2 섹션(1248)을 포함할 수 있고, 하부 층(1240)은 제3 섹션(1250) 및 제4 섹션(12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한다. 제1 섹션(1246)과 제2 섹션(1248) 사이의 계면은 내부 영역(1244)의 경계들을 정의할 수 있고, 제3 섹션(1250)과 제4 섹션(1252) 사이의 계면은 외부 영역(1242)의 경계들을 정의할 수 있다.
섹션들(1246, 1248, 1250, 1252) 각각은 상이한 재료 또는 상이한 시각적 특성들 또는 외관을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섹션들(1246, 1248, 1250, 1252)은 반사성 또는 부분적으로 미러링된 반사 코팅들, 재료 삽입체들, 또는 잉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미러링된" 또는 "부분적으로 미러링된" 반사성 재료 또는 코팅은, 미러와 유사하게, 그의 표면으로부터 가시광의 파장들의 일부분 또는 그들의 세트를 실질적으로 반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미러링된 또는 부분적으로 미러링된 재료는 약 1 내지 10%의 광(나머지 90 내지 99%를 반사시키지 않음), 약 10 내지 20%의 광, 약 20 내지 30%의 광, 약 30 내지 40%의 광 등, 최대 약 90 내지 100%의 광(예컨대, 완벽한 미러)을 반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미러링된 또는 부분적으로 미러링된 재료는 소정 색상들을 반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착색된(color-tinted) 외관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미러링된 코팅 또는 부분적인 미러 코팅(예컨대, PVD)은 약 20 나노미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미러 코팅 또는 부분적인 미러 코팅은 층들(1238, 1240)의 상부 표면, 저부 표면, 또는 상부 표면 및 저부 표면 둘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부분적으로 미러링된 재료는 본 명세서에서 도 15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논의된 것들과 같은 각도 필터 또는 광 편광 특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 필터 또는 편광 재료가 부분적으로 미러링된 재료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거나, 부분적으로 미러링된 재료의 본체 내에 통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섹션(1246)은 제2, 제3, 또는 제4 섹션들(1248, 1250, 1252)보다 더 반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섹션(1246)은 제2 섹션(1248)보다 더 반사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섹션(1246)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물리 증착(PVD) 코팅 또는 이러한 반사 속성들을 갖는 다른 PVD 코팅과 같은 50% 반사성 및 50% 투과성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섹션(1248)은, 예를 들어 10% 반사성 재료 및 90% 투과성 재료(예컨대, 이들 반사 속성들을 갖는 다른 PVD 코팅)와 같은 덜 반사성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섹션(1246)은 제2 섹션(1248)보다 적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2 섹션(1248)은 제1 섹션(1246)보다 더 맑게 보일 수 있다.
제3 섹션(1250) 및 제4 섹션(1252)은 예를 들어, 잉크들 또는 페인트들과 같은 불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섹션(1250)은 반투명 백색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제4 섹션(1252)은 불투명 흑색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섹션(1250)은 제4 섹션(1252)보다 더 광-투과성일 수 있다. 따라서, 중간 층(1204)의 백라이팅은 제4 섹션(1252)을 통한것 보다 외부 영역(1242)을 통해 더 가시적일 수 있다.
주변광은 제2 섹션(1248) 및 제4 섹션(1252)에 비해 제1 섹션(1246) 및 제3 섹션(1250)으로부터 더 집합적으로 반사될 수 있다. 부분적으로 미러링된 반사 코팅들의 통합은 키캡(1200) 상으로 하향으로 지향되는 주변광을 반사시키면서도 백라이트 조명이 중간 층(1204)을 통과하게 할 수 있다. 외부 영역(1242)에 비한 내부 영역(1244)의 감소된 크기는 글리프(1222)의 에지 주위에 "헤일로(halo)" 효과를 생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외부 영역(1242)은 글리프(1222)가 백라이트 조명될(backlit) 때 내부 영역(1244)보다 더 밝게 보일 수 있다. 내부 영역(1244)/제1 섹션(1248))의 반사율은 그 영역이 외부 영역(1242)/제3 섹션(1250)보다 정상적인 하향식 주변 조명 조건들 하에서 더 밝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재료들 및 반사율은 외부 및 내부 영역들(1242, 1244)의 색상, 콘트라스트, 미러 효과, 및 크기 및 형상을 최적화하기 위해 디바이스 제조업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외부 영역(1242)은 제2 및 제3 섹션들(1248, 1250)의 조합된 반사 및 색상 속성들을 갖는 것으로 보일 수 있고, 내부 영역은 제1 및 제3 섹션들(1246, 1250)의 조합된 반사 및 색상 속성들을 갖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중간 층(1204)의 나머지는 제2 및 제4 섹션들(1248, 1252)의 조합된 반사 및 색상 속성들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부 층(1238)은 달리 실질적으로 투명한 동안 반사율 속성들을 제공할 수 있고, 하부 층(1240)은 달리 실질적으로 무광택(matte)(즉, 비반사성)인 동안 색상 속성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섹션(1446)은 제3 섹션(1450)과 실질적으로 중첩되고 동일한 외측 폭 치수들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 제3 섹션(1450)을 통해 상향으로 통과하는 광은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제1 섹션(1446) 내로 통과할 수 있고, 제2 섹션(1448)을 통해 하향으로 통과하는 광은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제4 섹션(1452) 내로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글리프의 실질적으로 전체 영역은 제1 및 제3 섹션들(1446, 1450)의 집합적 반사 및 색상 속성들을 가질 수 있다. 키캡의 나머지는 제2 및 제4 섹션들(1448, 1452)의 집합적 반사 및 색상 속성들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상부 층(1438)은 달리 실질적으로 투명한 동안 반사율 속성들을 제공할 수 있고, 하부 층(1440)은 달리 실질적으로 비반사성인 동안 색상 속성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키캡(1500)의 실시예의 다른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키캡(150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베이스 층(1502)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층(1502)의 일 측면(예컨대, 도 15의 상부 면)은 불투명 재료로 덮인 측벽들(1506)을 갖는 이격된 홈들 또는 슬릿들(1504)의 세트를 가질 수 있다. 슬릿들(1504)은 수평에 대해 각도(B)로 배향된 그들의 측벽들(1506)을 가질 수 있다. 각도(B)는 약 0도 내지 약 180도의 임의의 크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고, 유익하게는 약 40도 내지 약 60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불투명 측벽들(1506)은 광이 측벽들(1506)의 크기, 배향, 및 위치와 일치하는 각도들의 범위로 베이스 층(1502)을 빠져나가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폭 또는 측방향 두께(T2, T3)에 비한 슬릿들(1504)의 깊이 또는 두께(T1)의 종횡비는 베이스 층(1502)의 상부에서 얼마나 많은 광이 수평 평면에 대한 다양한 각도들로 빠져나가는지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키캡(1500)은 미리 결정된 시야각들의 범위 내에서 광의 가시성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각도 필터 또는 다른 편광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릿들(1504)이 45도의 각도로 배향되는 경우(즉, 여기서 B가 45도임), 두께들(T1, T2, T3)은 약 60도 내지 80도(예컨대, 수평으로부터 약 70도)의 시야각 초과 또는 수평으로부터 약 10도 내지 30도(예컨대, 수평으로부터 약 20도) 미만에서 광이 가시적이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최적화될 수 있다. 더 큰 두께(T1)는 슬릿들(1504)을 통한 시야각들의 범위를 좁히고, 더 큰 두께(T2 또는 T3)는 시야각들의 범위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키캡(1500)은 키캡(1500)에 비해 제1 뷰잉 위치(예컨대, 타이핑 위치)(예컨대, 수평으로부터 약 40 내지 50도)에 위치된 사용자에 대해 제1 외관을 갖고, 키캡(1500)은 제2 뷰잉 위치에 있는(예컨대, 타이피스트 근처에 서 있는) 사람에 대해 제2 외관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뷰잉 위치로부터, 사용자는 키캡(1500)을 통한 글리프들, 심볼들, 또는 다른 정보의 조명을 관찰할 수 있고, 제2 뷰잉 위치로부터, 글리프들, 심볼들, 또는 다른 정보는 측벽들(1506)에 의해 가려지거나 필터링될 수 있다. 따라서, 키보드는 여전히 완전히 조명되고 타이티스트에게 가시적일 수 있으면서 인근 관찰자에게는 그들의 방향에서 가시적인 광을 제한함으로써 덜 교란하거나 산만할 수 있다. 키보드는 또한 키보드의 미리결정된 시야각들의 범위 밖의 사람에게 블랭크(blank)로 보이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전자 디바이스의 세련되고 깔끔한 외관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슬릿이 페이지와 교차하는 슬릿들(1504)의 단일 층이 도 15에 도시되어 있지만, 슬릿들의 제2 층이 이들 슬릿들에 수직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슬릿들의 제2 층은 좌우 각도들로(예컨대, 도 15의 페이지 내외로) 방출되는 광을 필터링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2 층은, 키보드의 실질적으로 전면 중앙에 위치하고 키보드를 마주보고 있는 사람이, 중심에서 벗어나거나 키보드 측면에서 옆으로 서있는 사람에게 보이는 것과는 상이한(예컨대, 더 밝은) 제1 외관(예컨대, 조명이 켜진 외관)을 관찰할 수 있는 일정 범위의 시야각들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키캡은 이중 방향, 이중층 편광기 또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슬릿들(1504)은 투명 본체(예컨대, 202)의 상부 표면에서와 같이 키캡(1500)의 상부 표면에 형성된다. 슬릿들(1504)은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중간 층(예컨대, 204) 또는 캐리어 본체(예컨대, 206)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본체(1508)가 슬릿들(1504)을 덮고 보호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20은 강성 투명 또는 반투명 키캡들의 실시예들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기법들 및 구조체들의 다양한 양태들을 도시한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어딘가 다른 곳에서 기술된 부품들과 유사한 투명 본체(1602), 중간 층(1604), 및 캐리어 본체(1606)를 갖는 키캡(1600)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투명 본체(1602)는 대체로 평평하고 평면인 상부 표면(1608a)을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의 블록일 수 있다. 키캡(1600)은 대체로 평평한 상부 표면(1608a)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투명 본체(1602)는 도 16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상부 표면(1608b)과 같은 만곡된 상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투명 본체(1602)는 상부 표면(1608b)의 곡률을 생성하도록 변형되는 평평한 상부 표면(1608a)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표면(1608b)의 곡률은 본 명세서의 어딘가 다른 곳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투명 본체(1602)의 상부의 영역을 가로지르는 원통형, 구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투명 본체(1602)는 연삭, 선삭, 성형, 압축-형성, 화학적으로 변형되거나, 유사한 공정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본체(1602)는 기계가공, 연삭, 또는 선삭 공정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연삭 또는 선삭 공정은 투명 본체(1602)로부터 재료를 제거하고 상부 표면(1608b)의 곡률을 생성하기 위해 평평한 상부 표면(1608a)에 대한 커터 또는 연마 재료의 적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삭 공구 또는 샌딩 또는 연삭 휠 또는 벨트가 상부 표면(1608a)으로부터 재료를 제거하여 그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다이아몬드 절삭 공구는 투명 본체(1602)에 사용되는 재료의 표면을 연삭, 절삭, 또는 선삭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삭 또는 선삭 단계는 투명 본체(1602)의 절단 표면이 평탄화되고 세정되는 마무리 또는 폴리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공구들은 원통형, 구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들에서, 폴리싱은 구형 랩핑(sphere lapping)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만곡된 폴리싱 패드가 랩핑 기계에 사용되고 공작물 아래의 저부 플레이트는 공작물의 곡률과 완전히 동일하지 않다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경을 갖는다. 회전 저부 패드 상에서 회전하는 링 및 캐리어는 균일한 곡률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폴리싱된 표면의 텍스처 조도는 저부 패드 그리드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유사하게, 투명 본체의 재료를 연삭하기 위해 연삭 휠이 기울어진 셋업으로 되는 구형 연삭이 구현될 수 있다. 휠은 연삭되지 않은 영역을 남기는 것을 피하기 위해 그의 중심 영역에서 투명 본체와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구형 랩핑과 비교하여 감소된 사이클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투명 본체(1602)는 기계가공, 연삭, 또는 선삭되는 동안 중간 층(1604) 및 캐리어 본체(1606)에 부착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경우들에서, 투명 본체(1602)는 상부 표면(1068b)의 곡률이 형성된 후에 중간 층(1604) 또는 캐리어 본체(1606)에 부착된다. 도 17은, 만곡된 상부 표면(1608b)이 투명 본체(1602) 상에 형성된 후에 투명 본체(1602)의 저부 표면(1610)이 중간 층(1604)의 상부 표면(1714)에 어떻게 부착될 수 있는지를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투명 본체(1602)에는 상부 표면(1608a) 내의 리세스 또는 절결부(1612)가 미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계가공 시간 및 재료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투명 본체(1602)가 상부 표면(1608a)의 중심 부근에서 얇아질 수 있다. 리세스된 블랭크 투명 본체(1602)는 마무리된 만곡된 상부 표면(1608b)에 더 가까운 형상일 수 있어서, 최종 형상에 이르기 위해 더 적은 폴리싱, 절단, 연삭, 또는 다른 제거 공정이 필요하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서, 투명 본체(1602)의 만곡된 상부 표면(1608b)은 성형, 고브-형성, 또는 압축-형성 공정을 사용하여 형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본체(1602)의 재료는 액체 또는 반유체 상태(예컨대, 용융 유리 또는 유리 고브)에 투입되고, 이어서 금형 또는 다른 형성 표면 내로 위치되거나(예컨대, 주입되거나) 그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이어서, 재료는 금형 또는 형성 표면과 접촉하는 동안 냉각 또는 경질화되고 그 후에 만곡된 상부 표면(1608b)을 유지할 수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시트 또는 다른 평평한 재료 조각을 가열하고 이어서 만곡된 금형 또는 다른 형태 표면에 대해 재료를 가압함으로써 프레스 형성이 수행될 수 있다. 고브 형성을 위해, 재료는 용융되고, 만곡된 표면에 대해 가압되고, 이어서 최종 형상으로 랩핑되거나 폴리싱될 수 있다. 재료는 또한, 투명 본체(1602)의 외부 면들을 적어도 대략적으로 정의하는 금형(예컨대, 2-파트 사출 금형) 내로 유체 상태로 주입될 수 있다. 이어서, 부품은 금형으로부터 제거되고 그 후에 중간 층(1604) 또는 캐리어 본체(1606)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투명 본체(1602)는 캐리어 본체(1606) 내에 인서트 성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 및 본 명세서의 관련 설명들을 참조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투명 본체(1602)는 예컨대, 투명 본체(1602)의 저부 표면(1610)을 도핑하여 상부 표면(1608b)의 곡률을 유도함으로써 화학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투명 본체(1602)는 저부 표면(1610)의 화학적 변형에 의해,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평면인 상부 표면으로부터 만곡된 상부 표면(1608b)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는 변형된 후에 실질적으로 평탄하게 유지된다. 예를 들어, 저부 표면은 이온 교환을 통해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고, 상부 표면은 저부 표면이 팽창하거나 수축함에 따라 곡률을 취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저부 표면이 강화될 수 있고, 상부 표면은 저부 표면의 팽창 또는 수축으로 인해 곡률을 얻을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양태들의 도식적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8의 키캡(1800)에서, 투명 본체(180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중간 층(1804) 및 캐리어 본체(1806)에 부착된다. 투명 본체(1802)는 대체로 평평하고 평면인 상부 표면(1808)을 갖는다. 상부 표면(1808)의 외측 부분들에 융기들(1816)을 부가하는 방식으로 상부 표면(1808)에 재료를 선택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적층 공정이 사용될 수 있다. 융기들(1816)은 투명 본체(1802)의 외부 표면들 또는 키캡(1800) 내의 다른 층들과 정렬되는 외부 표면들(1818)로 형성될 수 있다. 융기들(1816)은 또한 만곡된 상부 표면들(1820)을 가질 수 있다.
융기들(1816)의 상부 표면들(1820)의 곡률은 그 내부 단부들에서(예컨대, 1822에서) 투명 본체(1802)의 상부 표면(1808)의 형상으로 점진적으로 전이될 수 있다. 상부 표면(1820)의 곡률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할 수 있거나, 볼록할 수 있거나,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오목한 상부 표면(1820)은 키캡(1800)의 중간을 향해 사용자를 안내할 수 있고, 볼록한 상부 표면은 상부 표면(1808) 상의 융기 또는 벽과 유사하게 느껴질 수 있다. 따라서, 조합된 상부 표면들(1808, 1820)은 키캡(1800)에 대해 대체로 스쿠프형, 원통형, 구형, 또는 타원형 곡률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투명 본체(1802)의 상부 표면(1808)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프로파일 형상들과 유사하게, 대체로 평평하되 융기들(1816)의 볼록한 상부 표면들을 가질 수 있다.
융기들(1816)은 상부 표면(1808)에 적용되고 융기들(1816)의 형상으로 적층된 경화성 액체 또는 분말 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겔 재료(예컨대, 졸-겔)는 만곡된 프로파일 형상으로 경화되는 상부 표면(1808)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재료의 다수의 층들이 개별적으로 적용되고 경화되어 융기들(1816)의 형상으로 적층된다. 사용되는 재료는 유익하게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할 수 있다. 융기들(181)은 또한 도 8 및 도 9 그리고 본 명세서의 그들의 관련 설명들과 관련해서와 같이, 상부 표면(1808)과 상이한 표면 마감 또는 질감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키캡들의 추가의 양태들이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9는 평평한 상부 표면(1908a) 및 평평한 저부 표면(1910a)을 갖는 투명 본체(1902a)의 도식적 측면도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투명 본체를 투명 본체(1902b)의 형상으로 굽힘으로써 투명 본체(1902a)에 곡률이 부가될 수 있으며, 투명 본체(1902b)는 만곡된 상부 표면(1908b) 및 만곡된 저부 표면(1910b)을 갖는다. 굽힘은 (투명 본체(1902b)의 단부들에서) 투명 본체(1902b)에 인가되는 굽힘 모멘트들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투명 본체(1902a)에 사용되는 재료 조각에서 굴곡부가 유도될 수 있다.
일부 배열들에서, 투명 본체(1902b)의 곡률은 평평한 재료의 시트의 롤-투-롤(roll-to-roll) 형성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얇은 유리 또는 유사한 재료의 롤이 풀리고(unrolled), 가열되고(또는 달리 연화되고), 이어서 표면들(1908b, 1910b)의 곡률을 갖는 형성 롤러들 또는 금형 표면들에 대해 다시 롤링되고 경화된다. 이어서, 경화된 재료는 도 19에 도시된 프로파일을 갖는 형상으로 절단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 프로파일을 갖는 키캡-크기 형상들로 분할될 수 있다.
투명 본체(1902b)의 곡률은 또한 슬럼핑 공정을 사용하여 생산될 수 있다. 평평한 투명 본체(1902a)가 지지 장치 내에 위치되고, 연화되고, 이어서 표면들(1908b, 1910b)의 곡률을 투명 본체에 제공하는 형태 또는 금형 표면과 접촉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본체(1902a)는 슬럼핑 지지체 상에 위치되고, 사전결정된 가요성으로 가열되고, 이어서 투명 본체(1902a)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들이 음압 또는 양압에 놓여 그것이 형태 표면으로 이동하고 그의 최종 만곡된 형상(즉, 1902b)으로 경화될 때까지 형태 표면에 대해 유지될 수 있다.
일단 만곡된 투명 본체(1902b)가 형성되면, 만곡된 투명 본체(1902b)는 중간 층(1904) 또는 캐리어 본체(1906)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한다. 예를 들어, 투명 본체(1902)의 저부 표면(1910b)은 중간 층(1904)의 만곡된 상부 표면(2010)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중간 층(1904)은 투명 본체(1902b)에 부착될 수 있고, 이어서 중간 층(1904)은 캐리어 본체(1906)의 만곡된 상부 표면(2012)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본체(1902b)는 접착, 접합, 글루잉, 용접, 오버몰딩, 인서트 성형 또는 유사하게 서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중간 층(1904)에 부착될 수 있다(또는 투명 본체(1902b) 및 중간 층(1904)이 캐리어 본체(1906)에 부착될 수 있다). 만곡된 투명 본체(1902b)를 중간 층(1904)에 부착하는 것은 표면(1910b)을 중간 층(1904) 또는 캐리어 본체(1906)의 상부 표면들(2010, 2012)의 곡선에 구속시키는 부착 방법으로 인한 재료의 굽힘 해제를 제한할 수 있다. 부착 방법은 표면들을 서로에 대해 유지할 수 있고, 그에 의해 투명 본체(1902b)가 그의 변형되지 않은 형상(즉, 1902a)으로 탄성적으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키캡(2000)은 만곡된 상부 표면(1908b)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또한 유익하게는, 투명 본체(1902)의 곡률에 의해 야기된 렌즈 효과들 또는 다른 시각적 왜곡을 감소시키기거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들과는 상이한 시각적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 외측 만곡된 상부 표면(1908b) 아래에 만곡된 내측 컴포넌트 상부 표면들(2010, 2012)을 가질 수 있다.
투명 본체(1902b)의 굽힘된 실시예는 중간 층(1904) 또는 캐리어 본체(1906)에 대해 유지되면서도 증가된 내부 응력들을 가질 수 있고, 그러한 응력들은 상부 표면들(2010, 2012)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저부 표면(1910b)의 부착에 의해 보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투명 본체(1902b)는 굴곡이 유발된 후에 그의 내부 응력들이 완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본체(1902b)는 내부 응력들을 감소시키고 완화시키기 위해 가열 및 냉각(예컨대, 어닐링)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투명 본체(1902b)는 균열, 치핑(chipping), 또는 희미한 또는 달리 불명확한 외관을 발생시키는 것에 덜 민감하게 만들 수 있다.
도 19를 다시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평평한 투명 본체(1902a)는 투명 본체(1902c)의 파선 프로파일에 의해 부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된 상부 표면(1908b) 및 평평한 저부 표면(1910c)을 취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투명 본체(1902c)의 형상은 화학적 강화, 성형, 고브 형성, 프레스 형성, 기계가공, 연삭, 선삭, 또는 본 명세서의 어딘가 다른 곳에서 기술된 다른 공정들과 같은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투명 본체(1902c)는 도 16 및 도 17과 관련하여 기술된 투명 본체(1602)와 유사한, 적어도 단면 형상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위에 나타낸 특징부들 및 공정들은 다양한 방식들로 조합되거나 병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캡은 상부 표면(408)과 유사한 상부 표면 곡률을 갖는 투명 본체, 상부 표면 곡률의 에지들에서의 융기들(514, 516)과 유사한 융기들, 영역들(914, 916, 930)과 유사한 텍스처 차이들, 글리프(1022)와 유사한 불투명 글리프, (도 13의 층들(1238, 1240)과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 같은) 글리프를 둘러싸는 영역 내의 부분적으로 미러링된 반사 재료, 및 (키캡(1500)과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 같은) 각도 필터들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들 특징부들의 많은 다른 변형들 및 변경들이 또한 다양한 유형들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개선된 가시성, 내구성, 미적 매력, 및 키 정의를 갖는 키캡들을 생성하도록 조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본 기술에 적용가능한 범위까지, 초청 콘텐츠 또는 사용자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콘텐츠의 사용자들에게로의 전달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소스들로부터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수집 및 사용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이러한 수집된 데이터가 특정 개인을 고유하게 식별하거나 또는 그와 연락하거나 그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개인 정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음을 고려한다.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는 인구통계 데이터, 위치-기반 데이터, 전화 번호들, 이메일 주소들, TWITTER® ID들, 집 주소들, 사용자의 건강 또는 피트니스 레벨에 관한 데이터 또는 기록들(예컨대, 바이탈 사인(vital sign) 측정치들, 약물 정보, 운동 정보), 생년월일, 또는 임의의 다른 식별 또는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본 기술에서의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이용이 사용자들에게 이득을 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개인 정보 데이터는 더 큰 관심이 있는 타깃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이용은 사용자들이 전달된 콘텐츠의 계산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사용자에게 이득을 주는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다른 이용들이 또한 본 개시내용에 의해 고려된다. 예를 들어, 건강 및 피트니스 데이터는 사용자의 일반적인 웰니스(wellness)에 대한 식견들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웰니스 목표들을 추구하는 기술을 이용하는 개인들에게 긍정적인 피드백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수집, 분석, 공개, 전송, 저장, 또는 다른 이용을 담당하는 엔티티들이 잘 확립된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또는 프라이버시 관례들을 준수할 것이라는 것을 고려한다. 특히, 그러한 엔티티들은, 대체로 개인 정보 데이터를 사적이고 안전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산업적 또는 행정적 요건들을 충족시키거나 넘어서는 것으로 인식되는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관례들을 구현하고 지속적으로 이용해야 한다. 그러한 정책들은 사용자들에 의해 쉽게 액세스가능해야 하고, 데이터의 수집 및/또는 이용이 변화함에 따라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사용자들로부터의 개인 정보는 엔티티의 적법하며 적정한 사용들을 위해 수집되어야 하고, 이들 적법한 사용들을 벗어나서 공유되거나 판매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그러한 수집/공유는 사용자들의 통지된 동의를 수신한 후에 발생해야 한다. 추가적으로, 그러한 엔티티들은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보호하고 안전하게 하며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다른 사람들이 그들의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절차들을 고수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임의의 필요한 단계들을 취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게다가, 그러한 엔티티들은 널리 인정된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관례들에 대한 그들의 고수를 증명하기 위해 제3자들에 의해 그들 자신들이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추가로, 정책들 및 관례들은 수집되고/되거나 액세스되는 특정 유형들의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해 조정되고, 관할구역 특정 고려사항들을 비롯한 적용가능한 법률들 및 표준들에 적응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소정 건강 데이터의 수집 또는 그에 대한 액세스는 연방법 및/또는 주의 법, 예컨대 미국 건강 보험 양도 및 책임 법령(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HIPAA)에 의해 통제될 수 있는 반면; 다른 국가들에서의 건강 데이터는 다른 규정들 및 정책들의 적용을 받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취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이한 프라이버시 관례들은 각각의 국가의 상이한 개인 데이터 유형들에 대해 유지되어야 한다.
전술한 것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내용은 또한 사용자들이 개인 정보 데이터의 사용, 또는 그에 대한 액세스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실시예들을 고려한다. 즉, 본 개시내용은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방지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광고 전달 서비스들의 경우에, 본 기술은 사용자들이 서비스를 위한 등록 중 또는 이후 임의의 시간에 개인 정보 데이터의 수집 시의 참여의 "동의함" 또는 "동의하지 않음"을 선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들은 타깃 콘텐츠 전달 서비스들을 위한 분위기-연관된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도록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사용자들은 분위기-연관된 데이터가 유지되는 시간의 길이를 제한하거나 또는 베이스라인 분위기 프로파일의 개발을 전적으로 금지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동의" 및 "동의하지 않음" 옵션들을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본 개시내용은 개인 정보의 액세스 또는 이용에 관한 통지들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그들의 개인 정보 데이터가 액세스될 앱을 다운로드할 시에 통지받고, 이어서 개인 정보 데이터가 앱에 의해 액세스되기 직전에 다시 상기하게 될 수 있다.
더욱이, 의도하지 않은 또는 인가되지 않은 액세스 또는 사용의 위험요소들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개인 정보 데이터가 관리되고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본 개시내용의 의도이다. 데이터의 수집을 제한하고 데이터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면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다. 추가로, 그리고 소정의 건강 관련 애플리케이션들을 비롯하여, 적용가능할 때,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데이터 비식별화가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특정 식별자들(예컨대, 생년월일 등)을 제거함으로써, 저장된 데이터의 양 또는 특이성을 제어함으로써(예컨대, 주소 수준이라기보다는 오히려 도시 수준에서 위치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데이터가 저장되는 방식을 제어함으로써(예컨대, 사용자들에 걸쳐 데이터를 집계함으로써), 그리고/또는 다른 방법들에 의해, 비식별화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이 하나 이상의 다양한 개시된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해 개인 정보 데이터의 사용을 광범위하게 커버하지만, 본 개시내용은 다양한 실시예들이 또한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에 액세스할 필요 없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고려한다. 즉, 본 기술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의 결여로 인해 동작불가능하게 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콘텐츠는, 사용자와 연관된 디바이스에 의해 요청되는 콘텐츠, 콘텐츠 전달 서비스들에 대해 이용가능한 다른 비-개인 정보, 또는 공개적으로 입수가능한 정보와 같은 비-개인 정보 데이터 또는 최소량의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선호도를 추론함으로써 선택되고 사용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기술된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명명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특정 세부사항들은 기술된 실시예들을 실시하기 위해 요구되지는 않는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실시예들의 전술한 설명들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제시된다. 이들은 망라하고자 하거나 실시예들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들로 제한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교시 내용에 비추어 많은 변형들 및 변경들이 가능하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23)
- 키보드를 위한 키캡(keycap)으로서, 상기 키캡은:
키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키 본체는:
상부 외부 표면;
저부 표면을 갖는 투명 본체;
상기 투명 본체의 상기 저부 표면에 부착되는 차광 재료 - 상기 차광 재료는 글리프(glyph) 형상을 정의함 -; 및
상기 투명 본체 및 상기 차광 재료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외부 표면은 적어도 2개의 에지들 및 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에지들은 상기 중심부에 대해서 상승되어 있는, 키보드를 위한 키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본체는 유리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본체는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차광 재료는 상기 유리 재료와 상기 중합체 재료 사이에 위치된 불투명 층을 포함하는, 키보드를 위한 키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본체는 투명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키보드를 위한 키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외부 표면은 오목한 곡률을 포함하는, 키보드를 위한 키캡.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곡률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오목한, 키보드를 위한 키캡.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곡률은 실질적으로 구형으로 오목한, 키보드를 위한 키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외부 표면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에지들을 따라 적어도 2개의 융기된 부분들을 포함하는, 키보드를 위한 키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외부 표면은 상기 중심부에 있는 제1 텍스처 및 상기 중심부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외부에 있는 제2 텍스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텍스처는 상기 제1 텍스처와 상이한, 키보드를 위한 키캡.
- 만곡된 키캡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유리 재료 조각 상에 만곡된 상부 표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만곡된 상부 표면이 노출되게 하여 비-유리(non-glass) 캐리어 본체에 상기 유리 재료 조각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된 상부 표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리 재료 조각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 표면의 에지 상에 만곡된 형상으로 투명 재료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된 상부 표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리 재료 조각에 굴곡부(bend)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재료 조각의 굽힘 해제(unbending)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유리 재료 조각을 구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재료 조각에서 상기 굴곡부를 유발한 후에 상기 유리 재료 조각에서의 내부 응력들을 완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를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유리 재료 조각의 일부분을 화학적으로 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된 상부 표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리 재료 조각을 금형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된 상부 표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리 재료 조각을 슬럼핑하는(slumping)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된 상부 표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리 재료 조각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 표면으로부터 재료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유리 캐리어 본체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유리 재료 조각은 상기 비-유리 캐리어 본체의 상기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 표면에 부착되는,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재료 조각과 상기 비-유리 캐리어 본체 사이에 적어도 반-불투명(semi-opaque) 재료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컴퓨팅 디바이스를 위한 키보드로서,
베이스 층;
키캡들의 세트 - 각각의 키캡은:
저부 표면을 포함하는 투명 재료;
상기 투명 재료의 상기 저부 표면 아래에 위치되는 부분적으로 미러링된(mirrored) 재료; 및
상기 투명 재료 및 상기 부분적으로 미러링된 재료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배킹(backing)을 포함함 -; 및
상기 베이스 층에 대한 상기 키캡들의 세트의 작동 이동들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키캡들의 세트에 커플링된 지지 메커니즘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위한 키보드. - 제20항에 있어서, 각각의 키캡은 상기 투명 재료의 상기 저부 표면 아래에 위치된 불투명 재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불투명 재료는 글리프 개구부를 갖고, 상기 부분적으로 미러링된 재료는 상기 글리프 개구부를 덮고, 상기 캐리어 배킹, 상기 부분적으로 미러링된 재료 및 상기 투명 재료는 상기 캐리어 배킹, 상기 부분적으로 미러링된 재료, 및 상기 투명 재료를 통해 상기 캐리어 배킹 아래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위한 키보드.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적으로 미러링된 재료는 각도 필터인, 컴퓨팅 디바이스를 위한 키보드.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재료는 에지들 및 중심부를 갖는 상부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에지들은 상기 중심부에 대해 상승되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위한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862784955P | 2018-12-26 | 2018-12-26 | |
US62/784,955 | 2018-12-26 | ||
US16/408,209 US11398359B2 (en) | 2018-12-26 | 2019-05-09 | Transparent keycaps |
US16/408,209 | 2019-05-09 | ||
PCT/US2019/037276 WO2020139417A1 (en) | 2018-12-26 | 2019-06-14 | Transparent keycap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0385A true KR20210070385A (ko) | 2021-06-14 |
KR102568251B1 KR102568251B1 (ko) | 2023-08-18 |
Family
ID=71123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16610A KR102568251B1 (ko) | 2018-12-26 | 2019-06-14 | 투명 키캡들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2) | US11398359B2 (ko) |
JP (2) | JP7372973B2 (ko) |
KR (1) | KR102568251B1 (ko) |
CN (1) | CN113168238B (ko) |
WO (1) | WO202013941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98029A1 (en) | 2016-11-23 | 2018-05-31 | Ibs Of America | Monitoring system of a paper machine, control system of a paper machine and method of monitoring a paper machine |
JP7320471B2 (ja) * | 2020-03-23 | 2023-08-03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加飾パネル及び表示部 |
CN113192784A (zh) * | 2021-05-20 | 2021-07-30 | 曾艳 | 一种多色彩键帽及键帽制作方法 |
US20220399172A1 (en) * | 2021-06-10 | 2022-12-15 | Apple Inc. | One-way visibility keycap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163389A1 (en) * | 2008-12-29 | 2010-07-01 | Kai-Jie Tsao | Thin-type keycap structure, keypad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JP3167165U (ja) * | 2010-12-10 | 2011-04-07 | 毅嘉科技股▲ふん▼有限公司 | 発光キーキャップ構造 |
JP2012079473A (ja) * | 2010-09-30 | 2012-04-19 | Shin Etsu Polymer Co Ltd | 入力装置用部材 |
JP2015069644A (ja) * | 2013-09-30 | 2015-04-13 |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厚みを薄くしたキーキャップ |
Family Cites Families (4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66949A (en) * | 1990-03-29 | 1993-11-30 | Nokia Mobile Phones Ltd. | Lighted electronic keyboard |
JP3167165B2 (ja) | 1991-12-20 | 2001-05-21 | 日本スプライススリーブ株式会社 |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柱または梁部材の製作方法 |
US5515763A (en) * | 1993-12-22 | 1996-05-14 | Vandervoort; Paul B. | Tactile key tops |
JPH10289633A (ja) | 1997-04-15 | 1998-10-27 | Polymertech Kk | 加飾透光性キート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6871978B2 (en) * | 1998-11-13 | 2005-03-29 | Lightpath Technologies, Inc. | Computer keyboard backlighting |
JP2000268667A (ja) | 1999-03-19 | 2000-09-29 | Polymatech Co Ltd | 照光式押釦スイッチ |
JP2002108538A (ja) | 2000-10-03 | 2002-04-12 | Yaskawa Electric Corp | シートキーボード |
JP4657445B2 (ja) | 2000-12-21 | 2011-03-23 |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 押釦スイッチ |
JP2002298681A (ja) | 2001-03-29 | 2002-10-11 | Shin Etsu Polymer Co Ltd | キートップ部材及びスイッチ用部材 |
JP2004311049A (ja) | 2003-04-02 | 2004-11-04 | Canon Inc | スイッチ、ボタン、キー及び、それらを有する電子機器 |
JP2004310173A (ja) * | 2003-04-02 | 2004-11-04 | Canon Inc | テンキー及びテンキーを有する電子機器 |
JP2005242983A (ja) | 2004-01-30 | 2005-09-08 | Ntt Docomo Inc | 入力キー及び入力装置 |
JP4761997B2 (ja) | 2006-02-20 | 2011-08-31 |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 立体表示体及びこれを備える加飾成形体又は加飾シート、並びに加飾成形体の製造方法 |
JP2007242302A (ja) | 2006-03-06 | 2007-09-20 | Sunarrow Ltd | キーシート及びそれを備えたキーユニット |
JP2008065597A (ja) | 2006-09-07 | 2008-03-21 | Fujitsu Component Ltd | キーボード |
CN200953302Y (zh) | 2006-09-20 | 2007-09-26 | 李启华 | 防盗数字按键 |
JP2009021108A (ja) | 2007-07-12 | 2009-01-29 |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 キートップ板の製造方法 |
JP4920530B2 (ja) | 2007-09-10 | 2012-04-18 |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 表示用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押釦スイッチ用部材 |
JP5204017B2 (ja) | 2009-03-19 | 2013-06-05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照光機能を有するキーボード装置 |
US20100328219A1 (en) * | 2009-06-30 | 2010-12-30 | Motorola, Inc. | Method for Integrating an Imager and Flash into a Keypad on a Portable Device |
EP2290420B1 (en) | 2009-08-28 | 2016-07-27 | European Space Agency | Method for assembling a mirror plate stack |
JP2011070322A (ja) | 2009-09-24 | 2011-04-07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キー入力装置 |
JP5311051B2 (ja) | 2009-11-05 | 2013-10-09 | ミネベア株式会社 | キーボー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
US8330725B2 (en) | 2010-06-03 | 2012-12-11 | Apple Inc. | In-plane keyboard illumination |
US20120145522A1 (en) | 2010-12-10 | 2012-06-14 | Chih-Lun Lee | Illuminating key cap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TWM404427U (en) | 2010-12-23 | 2011-05-21 | Chicony Electronics Co Ltd | Anti-glare key cap |
US20150083561A1 (en) * | 2011-03-31 | 2015-03-26 | Google Inc. | Metal keycaps with backlighting |
JP5815347B2 (ja) | 2011-09-21 | 2015-11-17 | ミネベア株式会社 | 面状照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
US8854312B2 (en) * | 2011-10-28 | 2014-10-07 | Blackberry Limited | Key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
US9710069B2 (en) * | 2012-10-30 | 2017-07-18 | Apple Inc. | Flexible printed circuit having flex tails upon which keyboard keycaps are coupled |
CN104637715A (zh) * | 2013-11-15 | 2015-05-20 |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 键盘 |
JP2015185281A (ja) | 2014-03-20 | 2015-10-22 | ソニー株式会社 | キーボードカバーおよび電子機器 |
JP2015215993A (ja) | 2014-05-09 | 2015-12-03 | ヤマハ株式会社 | 電子機器の入力装置 |
TWI494961B (zh) | 2014-08-19 | 2015-08-01 | Darfon Electronics Corp | 透光按鍵、透光鍵帽及透光鍵帽的製造方法 |
WO2016136020A1 (ja) | 2015-02-26 | 2016-09-01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操作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画像読取装置 |
WO2016149861A1 (en) | 2015-03-20 | 2016-09-29 | Schott Glass Technologies (Suzhou) Co. Ltd. | Shaped glass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shaped glass article |
JP2017001902A (ja) | 2015-06-05 | 2017-01-05 | 旭硝子株式会社 | カバーガラス及びこれを有する携帯情報端末、並びにカバーガラスの製造方法 |
US11136255B2 (en) | 2015-06-16 | 2021-10-05 | Corning Incorporated | Systems and methods for thermally controlling warp |
WO2017131733A1 (en) * | 2016-01-29 | 2017-08-03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Keycaps for keyboards |
US10496164B2 (en) * | 2016-12-09 | 2019-12-03 | Apple Inc. | Electronic device with adjustable reflective display |
CN110121759B (zh) * | 2016-12-28 | 2023-02-03 | 英特尔公司 | 与键帽的电连接 |
TWI604484B (zh) | 2017-05-08 | 2017-11-01 | 達方電子股份有限公司 | 鍵盤膜、防水鍵盤、鍵盤膜的製作方法、防水按鍵總成及發光鍵盤 |
US10579157B1 (en) * | 2017-08-16 | 2020-03-03 | Apple Inc. | Electronic devices having keys with coherent fiber bundles |
CN107706028A (zh) | 2017-11-03 | 2018-02-16 | 惠州市金万合实业有限公司 | 一种新型键盘开关结构 |
JP2019091667A (ja) * | 2017-11-17 | 2019-06-13 | アルパイン株式会社 | 装飾パネル |
TWI683238B (zh) * | 2018-07-04 | 2020-01-21 | 群光電子股份有限公司 | 鍵盤 |
-
2019
- 2019-05-09 US US16/408,209 patent/US11398359B2/en active Active
- 2019-06-14 JP JP2021532141A patent/JP7372973B2/ja active Active
- 2019-06-14 CN CN201980082633.2A patent/CN113168238B/zh active Active
- 2019-06-14 KR KR1020217016610A patent/KR10256825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6-14 WO PCT/US2019/037276 patent/WO202013941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
- 2022-07-20 US US17/813,930 patent/US20220359133A1/en active Pending
-
2023
- 2023-04-12 JP JP2023065198A patent/JP7542680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163389A1 (en) * | 2008-12-29 | 2010-07-01 | Kai-Jie Tsao | Thin-type keycap structure, keypad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JP2012079473A (ja) * | 2010-09-30 | 2012-04-19 | Shin Etsu Polymer Co Ltd | 入力装置用部材 |
JP3167165U (ja) * | 2010-12-10 | 2011-04-07 | 毅嘉科技股▲ふん▼有限公司 | 発光キーキャップ構造 |
JP2015069644A (ja) * | 2013-09-30 | 2015-04-13 |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厚みを薄くしたキーキャップ |
US9704670B2 (en) * | 2013-09-30 | 2017-07-11 | Apple Inc. | Keycaps having reduced thicknes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139417A1 (en) | 2020-07-02 |
JP7372973B2 (ja) | 2023-11-01 |
US20220359133A1 (en) | 2022-11-10 |
US20200211795A1 (en) | 2020-07-02 |
KR102568251B1 (ko) | 2023-08-18 |
CN113168238B (zh) | 2024-09-24 |
CN113168238A (zh) | 2021-07-23 |
JP2022511536A (ja) | 2022-01-31 |
US11398359B2 (en) | 2022-07-26 |
JP2023099006A (ja) | 2023-07-11 |
JP7542680B2 (ja) | 2024-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68251B1 (ko) | 투명 키캡들 | |
US11864304B2 (en) | Patterned glass layers in electronic devices | |
KR20150039292A (ko) | 모바일 기기용 화면 보호판 | |
JP6457270B2 (ja) | 自動車用制御表示モジュール | |
US20150002437A1 (en) |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and touch-sensitive device | |
TWI635793B (zh) | 電子裝置及背蓋 | |
US20230395340A1 (en) | One-way visibility keycaps | |
EP3989684B1 (en) | Shell and electronic device | |
CN107808598B (zh) | 一种曲面显示器及其制作方法 | |
CN107105587A (zh) | 终端外壳以及终端外壳的制作方法 | |
CN210443474U (zh) | 键帽和键盘 | |
WO2019006249A1 (en) |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A REFRIGERATION SYSTEM | |
JP4159886B2 (ja) | 反射体及び液晶表示装置 | |
CN105005413A (zh) | 显示屏模组及终端 | |
CN113167933A (zh) | 反射型透明屏幕及影像显示系统 | |
CN115933217A (zh) | 裸眼3d广告在扶手显示终端的实现方法、系统 | |
US20210003771A1 (en) | Light guide module and display module having the same | |
TW201703517A (zh) | 立體影像顯示屏 | |
KR101031427B1 (ko) | 화면 렌즈 보안기 | |
KR102520162B1 (ko) | 만곡 디스플레이 표면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 | |
US20230102639A1 (en) | Electronic Devices with Diffractive Coatings | |
JP2017194674A (ja) | 表示装置 | |
JP2023059833A (ja) | ダイヤルユニット、入力システム、ダイヤル部品およびダイヤル外装体 | |
TWM515112U (zh) | 立體影像顯示屏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