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5781A - 블루베리 발효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블루베리 발효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781A
KR20210065781A KR1020190154900A KR20190154900A KR20210065781A KR 20210065781 A KR20210065781 A KR 20210065781A KR 1020190154900 A KR1020190154900 A KR 1020190154900A KR 20190154900 A KR20190154900 A KR 20190154900A KR 20210065781 A KR20210065781 A KR 20210065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berry
blueberry juice
juice
kacc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택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내츄럴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내츄럴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내츄럴코어
Priority to KR1020190154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5781A/ko
Publication of KR20210065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7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08Denaturation, e.g. denaturation of prote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Y2220/0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베리 착즙액의 pH를 4~5로 조정한 후 페디오코커스 이노피나투스(Pediococcus inopinatus) BK-3(KACC 91859)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M-17(KACC 91861)을 접종하여 발효시켜 얻어진 블루베리 발효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블루베리 발효추출물은 건강에 유익한 블루베리 성분을 함유하고 많은 수의 유산균을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그 자체로 또는 다른 식품에 첨가하여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루베리 발효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Fermented extract of blueberry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블루베리 발효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베리 착즙액의 pH를 조정한 후 유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켜 블루베리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한 블루베리 발효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월귤나무의 일종인 블루베리(blueberry)는 세계적으로 북반구를 중심으로 150~200종이 분포되어 있으며, 로부시(lowbush) 블루베리, 하이부시(highbush) 블루베리, 래비트아이(rabbiteye) 블루베리 등 세 품종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한국에도 정금나무, 산앵두나무 등이 있으며 모두 열매를 먹을 수 있다.
블루베리에는 푸른 색으로 상징되는 안토시안 색소, 새콤달콤한 당분, 점성이 있는 펙틴, 은은한 향기 등이 있다. 또한 블루베리는 100g당 식이섬유가 4.5g이 들어 있으며 칼슘, 철, 망간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세계적으로 블루베리 관련 제품으로 캔디, 껌, 잼, 드링크류 등이 생산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눈의 기능성에 착안한 기능성식품과 의약품 개발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블루베리의 재배 및 관련 산업은 미국, 캐나다, 일본, 독일, 뉴질랜드 등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북미 대륙의 인디언들은 옛날부터 블루베리를 식품으로 사용하였으며, 열매와 잎의 엑기스는 괴혈병, 당뇨병, 비뇨기 질환 등의 치료에 사용하였다.
블루베리는 시력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눈 망막의 로돕신 재합성의 활성화 촉진, 암 순응 촉진 효과, 모세혈관 보호 작용, 항산화 작용, 비타민 P와 같은 작용, 항궤양 활성 및 항염증 작용, 정장 작용(식이섬유) 등 여러가지 생리기능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30102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59679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29328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7-0061299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8-0056455호
본 발명은 유산균이 살아있는 무향, 무색소, 무방부제의 블루베리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루베리를 착즙하여 블루베리 착즙액을 얻는 단계; 상기 블루베리 착즙액을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된 블루베리 착즙액의 pH를 4~5로 조정하는 단계; 상기 pH가 조정된 블루베리 착즙액을 80~90℃에서 25~35분 동안 살균하는 단계; 상기 살균된 블루베리 착즙액을 28~30℃로 자연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냉각된 블루베리 착즙액에 유산균인 페디오코커스 이노피나투스(Pediococcus inopinatus) BK-3(KACC 91859)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M-17(KACC 91861)을 혼합하여 접종하는 단계; 및 유산균을 접종한 블루베리 착즙액을 28~32℃에서 10~14시간 동안 20~30rpm으로 교반하면서 발효시켜 블루베리 발효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베리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루베리 착즙액의 pH를 4~5로 조정한 후 페디오코커스 이노피나투스(Pediococcus inopinatus) BK-3(KACC 91859)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M-17(KACC 91861)을 접종하여 발효시켜 얻어진 블루베리 발효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블루베리 발효추출물은 건강에 유익한 블루베리 성분과 다량의 유산균을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그 자체로 또는 다른 식품에 첨가하여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실험예 1의 실험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블루베리 착즙액에 페디오코커스 이노피나투스 BK-3(KACC 91859)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M-17(KACC 91861) 배양액을 접종하였을 때 발효시간에 따른 생균수, pH, 산도 및 환원당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실험예 2의 실험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pH가 조정된 블루베리 착즙액에 페디오코커스 이노피나투스 BK-3(KACC 91859)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M-17(KACC 91861) 배양액을 접종하였을 때 발효시간에 따른 생균수, pH, 산도 및 환원당을 측정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블루베리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블루베리를 착즙하여 블루베리 착즙액을 얻는 단계; 상기 블루베리 착즙액을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된 블루베리 착즙액의 pH를 4~5로 조정하는 단계; 상기 pH가 조정된 블루베리 착즙액을 80~90℃에서 25~35분 동안 살균하는 단계; 상기 살균된 블루베리 착즙액을 28~30℃로 자연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냉각된 블루베리 착즙액에 유산균인 페디오코커스 이노피나투스(Pediococcus inopinatus) BK-3(KACC 91859)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M-17(KACC 91861)을 혼합하여 접종하는 단계; 및 유산균을 접종한 블루베리 착즙액을 28~32℃에서 10~14시간 동안 20~30rpm으로 교반하면서 발효시켜 블루베리 발효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블루베리를 착즙하여 블루베리 착즙액을 얻는다.
착즙하여 얻은 블루베리 착즙액은 여과한다. 40메쉬로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한 블루베리 착즙액은 원액으로 사용하거나 정제수로 희석하여 사용한다. 희석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농도로 희석할 수 있으며, 50%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블루베리 착즙액의 pH를 4~5로 조정한다. pH를 4.5로 조정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때 pH를 조정하기 위한 염기로는 식용의 다양한 염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H가 조정된 블루베리 착즙액을 80~90℃에서 25~35분 동안 살균한다. 85℃에서 30분 동안 살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살균된 블루베리 착즙액은 28~30℃로 자연냉각시킨다.
냉각된 블루베리 착즙액에 유산균을 접종한다. 유산균으로는 페디오코커스 이노피나투스 BK-3(KACC 91859)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M-17(KACC 91861)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유산균을 접종한 블루베리 착즙액은 28~32℃에서 10~14시간 동안 20~30rpm으로 교반하면서 발효시킨다. 30℃에서 12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발효가 완료되면 블루베리 발효추출물이 얻어진다.
블루베리 발효추출물은 유산균발효 특유의 풍미를 가지며, 그 자체로 또는 다양한 식품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냉동불루베리를 상온에서 약 6시간 동안 자연해동시켰다.
충분히 해동한 블루베리를 착즙하였다. 착즙시 수율은 60%였다.
착즙한 블루베리즙을 40메쉬로 여과하였다. 여과 후 수율이 약 5% 감소하여, 착즙수율은 55%였다. 여과하여 얻어진 블루베리즙은 당도가 11±0.3Brix이고 pH는 2.9±0.3이었다.
여과한 블루베리즙와 정제수를 1:1의 부피비로 혼합하였다. 정제수가 혼합된 블루베리즙은 당도가 5.5±0.3Brix이고 pH는 3.0±0.3이었다.
블루베리즙의 pH를 조정하기 위하여 0.25% 농도의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pH를 4.5±0.3으로 조정하였다.
pH가 조정된 블루베리즙을 85℃에서 30분 동안 살균하고, 28~30℃로 자연냉각하였다.
냉각된 블루베리즙에 유산균을 접종하였다. 유산균으로는 페디오코커스 이노피나투스(Pediococcus inopinatus) BK-3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m17를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107개의 유산균을 접종하였다. 유산균을 접종한 블루베리즙은 30℃에서 12시간 동안 20~30rpm으로 천천히 교반하면서 발효시켜 블루베리 발효추출물을 얻었다.
얻어진 블루베리 발효추출물은 당도가 5.5±0.3 Brix이고 pH가 4.5±0.3이었다.
<실험예 1>
실험시료로는 블루베리 착즙액을 원액인 100%와 정제수로 희석한 20%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먼저, 유리병을 멸균하고, 멸균된 유리병에 블루베리 착즙액을 100㎖ 씩 넣었다.
블루베리 착즙액에 12시간 동안 배양한 페디오코커스 이노피나투스 BK-3(KACC 91859)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M-17(KACC 91861) 배양액 1㎖씩을 증류수 세척 후 접종하였다.
발효시간에 따라 경시적으로 생균수, pH, 산도 및 환원당을 측정하였다.
실험과정을 도 1에 나타내고, 실험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엇다.
도 2의 결과에서와 같이, 블루베리 착즙액의 pH가 아주 낮아 접종한 두 균주 모두 생장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M-17(KACC 91861)의 경우 배양 초기에 생균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실험예 2>
실험시료로는 정제수로 희석한 50% 농도의 블루베리 착즙액을 사용하였다.
먼저, 유리병을 멸균하고, 멸균된 유리병에 블루베리 착즙액을 50㎖를 넣었다.
블루베리 착즙액에 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하여 pH를 4.5로 조정하였다.
pH가 조정된 블루베리 착즙액에, 12시간 동안 배양한 페디오코커스 이노피나투스 BK-3(KACC 91859)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M-17(KACC 91861) 배양액 1㎖를 증류수 세척 후 접종하였다.
발효시간에 따라 경시적으로 생균수, pH, 산도 및 환원당을 측정하였다.
실험과정을 도 3에 나타내고, 실험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엇다.
도 4의 결과에서와 같이, 블루베리 착즙액의 pH를 4.5로 조정한 후 두 균주를 동시에 접종하였을 때 균의 증식이 관찰되었고, pH, 산도 및 환원당은 생균수와 연동하여 변화하였다.

Claims (2)

  1. 블루베리를 착즙하여 블루베리 착즙액을 얻는 단계;
    상기 블루베리 착즙액을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된 블루베리 착즙액의 pH를 4~5로 조정하는 단계;
    상기 pH가 조정된 블루베리 착즙액을 80~90℃에서 25~35분 동안 살균하는 단계;
    상기 살균된 블루베리 착즙액을 28~30℃로 자연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냉각된 블루베리 착즙액에 유산균인 페디오코커스 이노피나투스(Pediococcus inopinatus) BK-3(KACC 91859)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M-17(KACC 91861)을 혼합하여 접종하는 단계;
    유산균을 접종한 블루베리 착즙액을 28~32℃에서 10~14시간 동안 20~30rpm으로 교반하면서 발효시켜 블루베리 발효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베리 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
  2. 블루베리 착즙액의 pH를 4~5로 조정한 후 페디오코커스 이노피나투스(Pediococcus inopinatus) BK-3(KACC 91859)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M-17(KACC 91861)을 접종하여 발효시켜 얻어진 블루베리 발효추출물.
KR1020190154900A 2019-11-27 2019-11-27 블루베리 발효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657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900A KR20210065781A (ko) 2019-11-27 2019-11-27 블루베리 발효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900A KR20210065781A (ko) 2019-11-27 2019-11-27 블루베리 발효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781A true KR20210065781A (ko) 2021-06-04

Family

ID=76392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900A KR20210065781A (ko) 2019-11-27 2019-11-27 블루베리 발효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578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1299A (ko) 2015-11-26 2017-06-05 전라북도(농업기술원) 블루베리 발효음료 제조방법
KR101859679B1 (ko) 2016-11-18 2018-05-25 대한민국 내산성, 내당성 및 내알코올성 유산균
KR20180056455A (ko) 2016-11-18 2018-05-2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유산균을 이용한 베리류 발효액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베리류 발효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1299A (ko) 2015-11-26 2017-06-05 전라북도(농업기술원) 블루베리 발효음료 제조방법
KR101830102B1 (ko) 2015-11-26 2018-02-21 전라북도(농업기술원) 블루베리 발효음료 제조방법
KR101859679B1 (ko) 2016-11-18 2018-05-25 대한민국 내산성, 내당성 및 내알코올성 유산균
KR20180056455A (ko) 2016-11-18 2018-05-2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유산균을 이용한 베리류 발효액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베리류 발효액
KR101929328B1 (ko) 2016-11-18 2018-12-18 대한민국 유산균을 이용한 베리류 발효액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베리류 발효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44866B (zh) 一种开胃型蓝莓蓝靛果复合果酒及其制备方法
CN105779206B (zh) 半甜型苹果酒
CN105524815A (zh) 猕猴桃酒的酿造方法
CN101469305A (zh) 一种枸杞子果醋及其制备方法
CN106190691A (zh) 一种甘蔗百香果酒的生产方法
KR101690413B1 (ko) 아로니아 열매를 이용한 식초의 제조방법
CN108504501A (zh) 一种用耐高渗透压酵母生产火龙果酒的方法
CN111406861A (zh) 一种混菌发酵的蓝莓气泡饮料及其制备方法
CN105639371B (zh) 一种蓝莓醋饮料的生产方法
KR101092482B1 (ko) 과일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68691A (ko) 사과 식초의 제조 방법
CN105685703A (zh) 多菌群发酵野生蓝莓果汁及其制备方法
CN113637550A (zh) 一种猕猴桃果酒的制备方法
CN105602821B (zh) 一种香菇菌黑蒜醋
CN105695287B (zh) 一种富硒木耳桑葚保健黑醋
CN106497737A (zh) 一种火龙果苹果复合养生果酒及其制备方法
CN109294864B (zh) 利用红曲脱苦的油橄榄果汁酿造食醋的方法
KR100781466B1 (ko) 꾸지뽕나무 열매를 이용한 와인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272798A (zh) 一种普洱茶发酵酒的制备方法
KR20210065781A (ko) 블루베리 발효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342276A (zh) 一种养生复合果酒的制作方法
CN109170721B (zh) 一种发酵型低糖滁菊花瓣悬浮酱及其制备方法
CN111979085A (zh) 一种蓝莓保健醋及其生产方法
JP2008000010A (ja) 耐糖性酵母Zygosaccharomycesrouxiiの発酵液及びその製法
KR20090076201A (ko) 산딸기 와인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