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5580A - 플렉서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580A
KR20210065580A KR1020190154491A KR20190154491A KR20210065580A KR 20210065580 A KR20210065580 A KR 20210065580A KR 1020190154491 A KR1020190154491 A KR 1020190154491A KR 20190154491 A KR20190154491 A KR 20190154491A KR 20210065580 A KR20210065580 A KR 20210065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d
display panel
driving circuit
data
protrusion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기영
김상호
오은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4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5580A/ko
Priority to US17/029,515 priority patent/US11294515B2/en
Priority to CN202011052350.4A priority patent/CN112864191A/zh
Priority to TW111130049A priority patent/TWI835242B/zh
Priority to TW109140796A priority patent/TWI777306B/zh
Priority to EP20209193.0A priority patent/EP3828938A1/en
Publication of KR20210065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580A/ko
Priority to US17/680,822 priority patent/US11842016B2/en
Priority to US18/386,379 priority patent/US2024007797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layout of the wiring layers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e.g. scanning lines in LCD pixel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 H01L27/3276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액티브 영역 및 액티브 영역의 주변에 있는 비액티브 영역을 가지는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의 액티브 영역에 인접한 비액티브 영역에 배치되고, 복수의 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데이터 패드, 제1 데이터 패드와 액티브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된 패드 및 제1 데이터 패드와 패드 사이에 있는 제2 데이터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패드와 패드는 연결배선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표시 패널의 상부와 제1 데이터 패드, 제2 데이터 패드 및 패드의 일부를 덮는 절연층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데이터 패드와 패드 사이에 위치하며 절연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돌기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
본 명세서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에 있는 데이터 패드 부분의 내구성이 향상된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내비게이션, 또는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을 포함하며, 표시 모듈은 표시 패널 및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구동 회로는 표시 패널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한다.
한편, 표시 패널에 구동 회로를 실장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열과 압력이 인가되는데, 이 과정에서 표시 패널의 일부분이 휘어지게 되고, 표시 패널의 휨에 따라 구동 회로의 입출력 범프가 아닌 구동 회로의 끝단과 표시 패널이 접촉되어 단락이 발생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표시 장치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패널의 휨에 따라 표시 패널과 구동 회로의 끝단이 단락되어 표시장치에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액티브 영역 및 액티브 영역의 주변에 있는 비액티브 영역을 가지는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의 액티브 영역에 인접한 비액티브 영역에 배치되고, 복수의 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데이터 패드, 제1 데이터 패드와 액티브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된 패드 및 제1 데이터 패드와 패드 사이에 있는 제2 데이터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패드와 패드는 연결배선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표시 패널의 상부와 제1 데이터 패드, 제2 데이터 패드 및 패드의 일부를 덮는 절연층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데이터 패드와 패드 사이에 위치하며 절연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돌기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표시 패널에 휨이 발생하더라도 표시 패널과 구동 회로의 끝단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에 따라 표시 패널과 구동 회로의 끝단이 단락되지 않아 표시 패널에 과전류가 흐르지 않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표시 패널에 과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표시품질의 저하를 방지하여
표시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발명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절단선 I-I'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2의 절단선 II-II'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2의 C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표시 모듈(DM)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윈도우 부재(WM), 표시 모듈(DM), 및 세트부재(ST)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에는 투과영역(TA) 및 베젤영역(BZA)이 정의될 수 있다.
투과영역(TA)은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모듈(DM)이 생성한 이미지(IM)가 투과영역(TA)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베젤영역(BZA)은 투과영역(TA)에 인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젤영역(BZA)은 투과영역(TA)을 둘러쌀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베젤영역(BZA)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베젤영역(BZA)은 비표시영역(N/A)에 중첩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윈도우 부재(WM)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윈도우 부재(WM)에 의해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표시 모듈(DM)에는 액티브 영역(A/A) 및 비액티브 영역(N/A)이 정의될 수 있다. 액티브 영역(A/A)은 도 1의 투과영역(TA)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이미지(IM)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비액티브 영역(N/A)은 베젤영역(BZA)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액티브 영역(A/A)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거나, 액티브 영역(A/A)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제공받기 위한 배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입력감지회로(ISC), 구동 회로(DIC), 인쇄회로기판(PCB), 입력감지 구동회로(TIC), 및 제어 회로(CIC)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복수의 화소(PX), 복수의 데이터 패드(PD-D), 및 복수의 패드(PD)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PX)은 액티브 영역(A/A)에 중첩하게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패드(PD-D) 및 패드(PD)은 비액티브 영역(N/A)에 중첩하게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패드(PD-D)는 복수의 제1 데이터 패드(PD-D1) 및 복수의 제2 데이터 패드(PD-D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데이터 패드(PD-D1)의 개수는 제2 데이터 패드(PD-D2)의 개수보다 더 많을 수 있다.
제1 데이터 패드(PD-D1)는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데이터 패드(PD-D1)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데이터 패드(PD-D1)가 3개의 행들로 배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데이터 패드(PD-D2)는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데이터 패드(PD-D1)과 제2 데이터 패드(PD-D2)는 제2 방향(DR2)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데이터 패드(PD-D1)는 화소(PX)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데이터 패드(PD-D1) 및 제2 데이터 패드(PD-D2)는 구동 회로(D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패드(PD)는 복수의 제1 패드(PD1) 및 복수의 제2 패드(P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PD1)는 구동 회로(DIC)를 통해 화소(PX)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2 패드(PD2)는 입력감지회로(ISC)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입력감지회로(ISC)는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감지회로(ISC)는 복수의 제1 센서 전극(IE1) 및 복수의 제2 센서 전극(I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 전극(IE1) 및 제2 센서 전극(IE2) 각각은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센서 전극(IE1) 및 제2 센서 전극(IE2) 각각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인듐 갈륨 아연 산화물(Indium gallium zinc oxide), 또는 아연 산화물(Zinc Oxide, ZnO)을 포함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센서 전극(IE1) 및 제2 센서 전극(IE2) 각각은 각각은 몰리브덴(Mo) 또는 구리(Cu)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 전극(IE1)은 제2 센서 전극(IE2)과 정전용량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액티브 영역(ACA)을 터치하는 경우, 제1 센서 전극(IE1) 및 제2 센서 전극(IE2) 사이의 정전용량은 변할 수 있다. 입력감지 구동회로(TIC)는 제1 센서 전극(IE1) 및 제2 센서 전극(IE2)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액티브 영역(ACA) 중 어느 지점을 터치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구동 회로(DIC)는 데이터 패드(PD-D)에 중첩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동 회로(DIC)는 액티브 영역(ACA)의 화소(PX)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소(PX)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은 패드(PD)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입력감지 구동회로(TIC) 및 제어 회로(CIC)는 인쇄회로기판(PCB)에 실장될 수 있다.
입력감지 구동회로(TIC)는 제2 패드(PD2)을 이용하여 제1 센서 전극(IE1) 및 제2 센서 전극(IE2)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감지 구동회로(TIC)는 액티브 영역(ACA)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 회로(CIC)는 구동 회로(DIC) 및 입력감지 구동회로(TI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 모듈(DM)의 일부분(BA, 벤딩영역)은 벤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DD)의 비표시영역(NDA)이 줄어들 수 있다.
세트부재(ST)의 적어도 일부분은 표시 모듈(DM)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세트부재(ST)는 윈도우 부재(WM) 및 표시 모듈(DM)을 수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PX)의 등가회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화소(PX)는 트랜지스터들(TR1, TR2), 커패시터(CP), 및 발광소자(LD)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트랜지스터들(TR1, TR2) 및 하나의 커패시터(CP)를 포함하는 화소(PX)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화소(PX)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광소자(LD)의 애노드 전극은 제2 트랜지스터(TR2)를 통해 전원 라인(PL)으로 인가된 제1 전원전압(ELVDD)을 수신한다. 발광소자(LD)의 캐소드 전극은 제2 전원전압(ELVSS)을 수신한다. 제1 트랜지스터(TR1)는 주사 라인(SL)에 인가된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L)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커패시터(CP)는 제1 트랜지스터(TR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제2 트랜지스터(TR2)는 커패시터(CP)에 저장된 전압에 대응하여 발광소자(LD)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한다.
도 4는 도 3의 I-I`을 따른 단면 중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표시 패널(DP)은 베이스층(BL), 회로층(CL), 발광소자층(ELL), 및 봉지층(ENP)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BL)은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폴리이미드(PI, polyimide)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층(BL)은 제1 면(SF1) 및 제2 면(SF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SF1)은 제2 면(SF2)과 대향할 수 있다. 제1 면(SF1)은 제2 면(SF2) 보다 트랜지스터들(TR1, TR2)에 더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회로층(CL)은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되며, 트랜지스터들(TR1, TR2), 커패시터(CP), 트랜지스터들(TR1, TR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라인들(SL, DL, PL), 버퍼층(BFL), 게이트 절연층(GI), 층간 절연층(ILD), 및 비아층(VIA)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들(TR1, TR2) 각각은 활성화패턴(ACP), 제어전극(GE), 입력전극(SE), 및 출력전극(DE)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화 패턴(ACP)은 폴리 실리콘, 아몰포스 실리콘, 또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전극(GE)은 몰리브덴(Mo)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전극(SE), 및 출력전극(DE) 각각은 알루미늄(Al) 및 티타늄(T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전극(SE), 및 출력전극(DE) 각각은 티타늄(Ti), 알루미늄(Al), 및 티타늄(Ti)이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버퍼층(BFL)은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BFL)은 베이스층(BL)에 존재하는 불순물이 화소(PX)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불순물이 화소(PX)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TR1, TR2)의 활성화 패턴(ACP)에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불순물은 외부에서 유입되거나, 베이스층(BL)이 열분해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불순물은 베이스층(BL)으로부터 배출된 가스 또는 나트륨일 수 있다. 또한, 버퍼층(BFL)은 외부로부터 화소(PX)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GI)은 버퍼층(BFL) 상에 배치되고, 활성화 패턴(ACP)을 커버할 수 있다.
층간 절연층(ILD)은 게이트 절연층(GI) 상에 배치되고, 제어전극(GE)을 커버할 수 있다.
비아층(VIA)은 층간 절연층(ILD) 상에 배치되고, 입력전극(SE) 및 출력전극(DE)을 커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 절연층(GI) 및 층간 절연층(ILD) 각각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또는 실리콘 옥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비아층(VIA)은 유기물 및/또는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층(ELL)은 발광소자(LD) 및 화소정의막(PDL)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LD)는 애노드 전극(AE), 발광층(EML), 및 캐소드 전극(CE)을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 전극(AE)은 비아층(VI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AE)은 컨택홀을 통해 출력전극(D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화소정의막(PDL)은 비아층(VIA) 상에 배치되며, 애노드 전극(AE)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다. 화소정의막(PDL)은 유기물 및/또는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애노드 전극(A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소자(LD)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인 경우, 발광층(EML)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발광소자(LD)가 마이크로 LED인 경우, 발광층(EML)은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캐소드 전극(CE)은 발광층(EM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ENP)은 제1 무기층(CVD1), 유기층(MN), 제2 무기층(CVD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봉지층(ENP)이 2개의 무기층과 1개의 유기층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봉지층(ENP)은 3개의 무기층과 2개의 유기층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 경우, 무기층과 유기층은 교대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a는 도 2의 절단선 II-II'를 따른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2의 C영역을 개략적으로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PX)들을 포함하는 액티브 영역(A/A) 및 액티브 영역(A/A)의 주변에 있는 비액티브 영역(N/A)을 가지는 표시 패널(DP)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액티브 영역(A/A)에 인접한 비액티브 영역(N/A)에 배치되고, 복수의 화소(PX)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데이터 패드(PD-D1), 제1 데이터 패드(PD-D1)와 액티브 영역(A/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된 패드(PD) 및 제1 데이터 패드(PD-D1)와 패드(PD) 사이에 있는 제2 데이터 패드(PD-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패드(PD-D2)와 패드(PD)는 연결배선(C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표시 패널(DP)의 상부와 제1 데이터 패드(PD-D1), 제2 데이터 패드(PD-D2) 및 패드(PD)의 일부를 덮는 절연층(PLN)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데이터 패드(PD-D2)와 패드(PD) 사이에 위치하며 절연층(PLN)의 상부에 배치되는 돌기패턴(SPC)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인쇄회로기판(PCB)가 패드(PD)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으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 신호를 표시 패널(DP)로 출력하는 구동 회로(DIC)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회로(DIC)에 연결되고,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 범프(IB)와 구동 회로(DIC)에 연결되고, 영상 데이터를 표시 패널(DP)로 출력하는 출력 범프(O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범프(OB)는 제1 데이터 패드(PD-D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입력 범프(IB)는 제2 데이터 패드(PD-D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돌기패턴(SPC)은 구동 회로(DIC)의 입력 범프(IB) 방향의 끝단과 중첩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돌기패턴(SPC)은 도 4의 화소정의막(PDL)과 동일한 층일 수 있다. 돌기패턴(SPC)은 절연층(PLN)의 상부에 있으며 절연층(PLN)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회로(DIC)를 표시 패널(DP)에 실장하기 위해 구동 회로(DIC)와 표시 패널(DP) 사이에 접착부재(ACF)를 개재한 후 열과 압력을 인가한다. 이 때, 표시 패널(DP)에 휨이 발생하게 되고 구동 회로(DIC)의 일 측 끝단과 표시 패널(DP)간의 공간이 협소해지게 된다. 협소해진 공간에는 접착부재(ACF)에 포함되어 있는 도전볼(CB)이 뭉치게 되고 표시 패널(DP)의 절연층(PLN)이 파괴되면서 구동 회로(DIC)와 절연층(PLN) 하부의 연결배선(CL)이 단락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널 휨 현상은 현상은 구동 회로(DIC)의 양 끝단 중 표시 패널(DP)의 끝단에 가까운 일 측 끝단쪽에서 발생한다.
돌기패턴(SPC)은 표시 패널(DP)에 휨이 발생하여 구동 회로(DIC)와의 간격이 좁아질 때 도전볼(CB)이 뭉치는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전볼(CB) 뭉침이 발생하여도 도전볼(CB)이 절연층(PLN)을 관통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돌기패턴(SPC)은 절연층(PLN)으로 이루어지며 유기물 및 또는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패턴(SPC)의 높이는 입력 범프(IB)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돌기패턴(SPC)의 높이가 입력 범프(IB)의 높이보다 작아야 구동 회로(DIC)를 표시패널에 부착할 때 방해가 되지 않는다.
돌기패턴(SPC)은 구동 회로(DIC)의 장변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나로 연결된 바(bar) 형태일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으며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바(bar) 형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PX)들을 포함하는 액티브 영역(A/A) 및 액티브 영역(A/A)의 주변에 있는 비액티브 영역(N/A)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DP)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를 표시 패널(DP)로 전송하는 인쇄회로기판(PCB)과 인쇄회로기판(PCB)으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 신호를 표시 패널(DP)로 출력하는 구동 회로(DIC)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회로(DIC)에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 범프(IB)와 영상 데이터를 표시 패널(DP)로 출력하는 출력 범프(OB)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액티브 영역(N/A)에 배치되고 출력 범프(O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데이터 패드(PD-D1)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의 하부에는 인쇄회로기판(PC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드(PD)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데이터 패드(PD-D1)와 패드(PD) 사이에 위치하며 구동회로에 연결된 입력 범프(I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데이터 패드(PD-D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데이터 패드(PD-D2)와 패드(PD)는 연결배선(CL)으로 연결되어 있다.
절연층(PLN)은 제1 데이터 패드(PD-D1), 제2 데이터 패드(PD-D2) 및 패드(PD)의 상면을 노출시키며 연결배선(CL)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절연층(PLN)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BCB(Benzocyclobutene) 또는 아크릴(Acryl) 등과 같은 유기 절연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SiNx), 실리콘 산화막(SiOx)와 같은 무기 절연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단층으로 형성되거나 이중 혹은 다중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절연층(PLN)은 도 4의 비아층(VIA)과 동일한 층일 수 있다. 즉, 유기물 및/또는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범프(IB)를 제2 데이터 패드(PD-D2)에 접속시키고, 출력 범프(OB)를 제1 데이터 패드(PD-D1)에 접속시키기 위한 접착부재(ACF)가 개재될 수 있다. 접착부재(ACF)는 도전볼(CB)을 포함하며 구동 회로(DIC)와 표시 패널(DP) 사이에 개재된다.
구동 회로(DIC)를 표시 패널(DP)에 부착하기 위해 가압 시 입력 범프(IB) 방향 구동 회로(DIC)의 끝단과 제2 데이터 패드(PD-D2)와 패드(PD)를 연결하는 연결배선(CL)이 단락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기패턴(SP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돌기패턴(SPC)은 구동 회로(DIC)를 표시 패널(DP)에 부착하기 위해 가압 시 도전볼(CB)이 구동 회로(DIC)의 끝단에 뭉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전볼(CB)이 뭉치지 않기 때문에 구동 회로(DIC)의 끝단과 연결배선(CL)이 접촉하지 않아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설사 구동 회로(DIC)의 끝단에서 도전볼(CB) 뭉침이 발생하더라도 돌기패턴(SPC)의 두께로 인해 도전볼(CB)이 절연층(PLN)을 관통하지 못하므로 구동 회로(DIC)의 끝단과 연결배선(CL) 사이에 단락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돌기패턴(SPC)은 도 4의 화소정의막(PDL)과 동일한 층일 수 있다. 즉, 유기물 및/또는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패턴(SPC)은 절연층(PLN)의 상부에 있으며 절연층(PLN)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돌기패턴(SPC)의 높이는 입력 범프(IB)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돌기패턴(SPC)의 높이가 입력 범프(IB)의 높이보다 작아야 구동 회로(DIC)를 표시패널에 부착할 때 방해가 되지 않는다.
돌기패턴(SPC)은 구동 회로(DIC)의 장변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나로 연결된 바(bar) 형태일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으며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바(bar)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구동 회로 끝단에 중접하도록 표시 패널의 절연층 상부에 돌기패턴을 배치하여 표시 패널에 휨이 발생하더라도 표시 패널과 구동 회로 끝단이 단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과 구동 회로의 끝단이 단락 되지 않아 표시 패널에 과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표시 패널에 과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표시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그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당업자에 의해 기술적으로 다양하게 연동 및 구동될 수 있으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되거나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DD: 표시장치 DM: 표시 모듈
WM: 윈도우 부재 ST: 세트부재
DP: 표시 패널 ISC: 입력감지회로
DIC: 구동 회로 PX: 화소
OB: 출력 범프 IB: 입력 범프
SPC: 돌기패턴

Claims (20)

  1.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액티브 영역 및 상기 액티브 영역의 주변에 있는 비액티브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액티브 영역에 인접한 비액티브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데이터 패드, 상기 제1 데이터 패드와 상기 액티브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된 제3 데이터 패드 및 상기 제1 데이터 패드와 제3 데이터 패드 사이에 있는 제2 데이터 패드;
    상기 제2 데이터 패드와 상기 제3 데이터 패드를 연결하는 연결배선;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 및 상기 제1 데이터 패드, 상기 제2 데이터 패드 및 제3 데이터 패드의 일부를 덮는 절연층; 및
    상기 제2 데이터 패드와 상기 제3 데이터 패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절연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돌기패턴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데이터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표시 패널로 상기 영상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표시 패널로 출력하는 구동 회로;
    상기 구동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 범프; 및
    상기 구동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패널로 출력하는 출력 범프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범프는 상기 제1 데이터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입력 범프는 상기 제2 데이터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패턴은 상기 구동 회로의 끝단과 중첩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패턴은 상기 절연층과 직접 접촉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패턴은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이루어진, 플렉서블 표시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패턴은 상기 구동 회로의 장변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나로 연결된 바(bar) 형태인, 플렉서블 표시장치.
  9. 제5 항에 잇어서,
    상기 돌기패턴은 상기 구동 회로의 장변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부를 갖는 바(bar) 형태인, 플렉서블 표시장치.
  1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패턴의 높이는 상기 입력 범프의 높이보다 작은, 플렉서블 표시장치.
  11.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액티브 영역 및 상기 액티브 영역의 주변에 있는 비액티브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로 상기 영상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표시 패널로 출력하는 구동 회로;
    상기 구동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 범프;
    상기 구동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표시 패널로 출력하는 출력 범프;
    상기 표시 패널의 액티브 영역에 인접한 비액티브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출력 범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데이터 패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데이터 패드;
    상기 제1 데이터 패드와 상기 제3 데이터 패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입력 범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데이터 패드;
    상기 제1 데이터 패드, 제2 데이터 패드 및 제3 데이터 패드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절연층;
    상기 제2 데이터 패드와 상기 제3 데이터 패드를 연결하는 연결배선;
    상기 입력 범프를 상기 제2 데이터 패드에 접속시키고, 상기 출력 범프를 상기 제1 데이터 패드에 접속시키는 접착부재; 및
    상기 구동 회로를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하기 위한 가압 시 구동 회로의 끝단과 상기 표시 패널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패턴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구동 회로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도전볼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패턴은 상기 구동 회로를 상기 표 시패널에 부착하기 위한 가압 시 상기 도전볼이 상기 구동 회로의 끝단에 뭉치는 것을 방지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패턴은 상기 구동 회로를 상기 표시 패널에 부착하기 위한 가압 시 상기 도전볼이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패턴은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연층과 직접 접촉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패턴의 높이는 상기 입력 범프의 높이보다 작은, 플렉서블 표시장치.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패턴은 상기 구동 회로의 장변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나로 연결된 바(bar) 형태인, 플렉서블 표시장치.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패턴은 상기 구동 회로의 장변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부를 갖는 바(bar) 형태인, 플렉서블 표시장치.
  20.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패턴은 상기 제2 데이터 패드와 이격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190154491A 2019-11-27 2019-11-27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210065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491A KR20210065580A (ko) 2019-11-27 2019-11-27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7/029,515 US11294515B2 (en) 2019-11-27 2020-09-23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protrusion pattern in data pads
CN202011052350.4A CN112864191A (zh) 2019-11-27 2020-09-29 柔性显示装置
TW111130049A TWI835242B (zh) 2019-11-27 2020-11-20 可撓式顯示裝置
TW109140796A TWI777306B (zh) 2019-11-27 2020-11-20 可撓式顯示裝置
EP20209193.0A EP3828938A1 (en) 2019-11-27 2020-11-23 Flexible display device
US17/680,822 US11842016B2 (en) 2019-11-27 2022-02-25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protrusion pattern in data pads
US18/386,379 US20240077978A1 (en) 2019-11-27 2023-11-02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protrusion pattern in data pa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491A KR20210065580A (ko) 2019-11-27 2019-11-27 플렉서블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580A true KR20210065580A (ko) 2021-06-04

Family

ID=73544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491A KR20210065580A (ko) 2019-11-27 2019-11-27 플렉서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1294515B2 (ko)
EP (1) EP3828938A1 (ko)
KR (1) KR20210065580A (ko)
CN (1) CN112864191A (ko)
TW (1) TWI7773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649A (ko) * 2020-06-03 2021-1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79304B (en) * 2001-02-06 2002-03-11 Acer Display Tech Inc Semiconductor apparatu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semiconductor apparatus
KR100737896B1 (ko) * 2001-02-07 2007-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레이 기판과,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34168B1 (ko) * 2005-08-24 2012-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칩 및 그 제조 방법과, 그를 이용한 표시 패널 및그 제조 방법
US20090044967A1 (en) * 2006-03-14 2009-02-19 Sharp Kabushiki Kaisha Circuit board, electronic circuit device, and display device
JP2012042490A (ja) * 2008-12-16 2012-03-01 Sharp Corp 液晶表示用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30007053A (ko) * 2011-06-28 2013-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13515A (ko) * 2011-07-28 2013-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I531835B (zh) * 2011-11-15 2016-05-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CN103680384B (zh) * 2012-09-26 2016-05-11 乐金显示有限公司 具有柔性膜线缆的显示装置
US9318454B2 (en) * 2012-10-11 2016-04-19 Sharp Kabushiki Kaisha Drive chip and display apparatus
KR101983374B1 (ko) * 2012-11-06 2019-08-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칩 온 필름, 및 이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50095988A (ko) 2014-02-13 2015-08-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69060B1 (ko) * 2014-05-02 2016-1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192589B1 (ko) * 2014-08-08 2020-1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9089B1 (ko) * 2015-04-17 2022-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KR102589214B1 (ko) * 2016-06-03 2023-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02123A (ko) * 2016-06-28 2018-0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615177B1 (ko) * 2016-10-06 2023-1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JP6872343B2 (ja) * 2016-10-18 2021-05-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341124B1 (ko) 2017-09-26 2021-1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패널,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8122497B (zh) * 2018-02-02 2023-11-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阵列基板、柔性显示装置及组装方法
JP2019169086A (ja) * 2018-03-26 2019-10-03 シャープ株式会社 位置入力装置
KR102512724B1 (ko) * 2018-04-19 2023-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39862A (ko) * 2018-10-05 2020-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00115772A (ko) * 2019-03-26 2020-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94515B2 (en) 2022-04-05
US20220179512A1 (en) 2022-06-09
EP3828938A1 (en) 2021-06-02
CN112864191A (zh) 2021-05-28
US20240077978A1 (en) 2024-03-07
TW202121937A (zh) 2021-06-01
US20210157426A1 (en) 2021-05-27
TWI777306B (zh) 2022-09-11
TW202247715A (zh) 2022-12-01
US11842016B2 (en) 202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2652B2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US10347187B2 (en)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513996B1 (ko) 표시 장치
US11579719B2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96483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9003871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GB2570566A (en) Display apparatus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KR102353726B1 (ko) 표시 장치
US20240077978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protrusion pattern in data pads
KR20150002290A (ko)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50000779A (ko)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I835242B (zh) 可撓式顯示裝置
KR10253049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10059531A (ko)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구동 회로 패키지 및 상기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KR20210076762A (ko) 표시장치
KR20240080912A (ko) 표시장치
KR20220043572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240002841A (ko) 표시 장치
KR20240002840A (ko) 표시 장치
KR20220091798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20082366A (ko) 표시장치
KR20220106892A (ko) 표시 장치
KR20210085827A (ko) 표시장치
KR20210069310A (ko) 표시장치
KR20210068708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