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6892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6892A
KR20220106892A KR1020210009474A KR20210009474A KR20220106892A KR 20220106892 A KR20220106892 A KR 20220106892A KR 1020210009474 A KR1020210009474 A KR 1020210009474A KR 20210009474 A KR20210009474 A KR 20210009474A KR 20220106892 A KR20220106892 A KR 20220106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substrate
display device
pad area
discharge patte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정오
엄철환
소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9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6892A/ko
Priority to CN202111081876.XA priority patent/CN114784052A/zh
Priority to US17/544,414 priority patent/US20220238627A1/en
Publication of KR20220106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8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7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8Structural electrical arrangements for semiconduct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n combination with batteries
    • H01L23/60Protection against electrostatic charges or discharges, e.g. Faraday shiel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01L27/323
    • H01L27/326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18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subgroups of the same main 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ome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기판 상의 패드 영역의 제1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입력 패드들, 기판 상의 패드 영역의 제2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출력 패드들, 입력 패드들 및 출력 패드들 상에 배치되는 구동부, 기판 상의 패드 영역에서 구동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방전 패턴들, 및 기판 상의 패드 영역에서 입력 패드들 중 적어도 하나와 방전 패턴들을 연결시키는 복수의 그라운드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 상에서 정전기로 인한 구동부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 장치는 경량 및 박형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음극선관 표시 장치를 대체하는 표시 장치로써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액정 표시 장치와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있다.
표시 장치는 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기판은 표시 영역 및 패드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기판 상의 표시 영역에는 화소 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고, 화소 구조물을 통해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기판 상의 패드 영역에는 구동부, 신호 패드들 등이 배치될 수 있고, 영상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는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 신호들이 신호 패드들을 통해 구동부에 제공된 후, 구동부에 제공된 영상 신호는 화소 구조물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 상에서 정전기(static electricity)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정전기는 기판에 형성된 화소 구조물, 구동부 등을 손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술한 목적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의 제1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입력 패드들,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의 제2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출력 패드들, 상기 입력 패드들 및 상기 출력 패드들 상에 배치되는 구동부,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구동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방전 패턴들, 및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입력 패드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방전 패턴들을 연결시키는 복수의 그라운드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전 패턴들은 금속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방전 패턴들은 상기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 패드들은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방전 패턴들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전 패턴들은 상기 패드 영역의 제3 부분에 배치되는 제1 방전 패턴들 및 상기 패드 영역의 제4 부분에 배치되는 제2 방전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 영역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은 서로 마주보고, 상기 패드 영역의 상기 제3 및 제4 부분들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구동부 주변에 배치되는 터치 회로부 및 상기 터치 회로부와 상기 방전 패턴들을 연결시키는 복수의 터치 그라운드 배선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배치되는 드레인 전극, 상기 드레인 전극 상에 배치되는 화소 구조물, 상기 드레인 전극과 상기 화소 구조물 상에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 전극과 상기 화소 구조물을 연결시키는 연결 전극 및 상기 화소 구조물 상에 배치되는 센싱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배선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도전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배선들 각각은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배치되는 제2 도전층 및 상기 제2 도전층 상에 배치되는 제3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도전층은 상기 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3 도전층은 상기 연결 전극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 구조물은 상기 화소 구조물 상에 배치되는 하부 터치 절연층, 상기 하부 터치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센싱 연결 패턴, 상기 센싱 연결 패턴 상에 배치되는 층간 터치 절연층 및 상기 층간 터치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센싱 전극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전 패턴들은 상기 게이트 전극, 상기 드레인 전극, 상기 연결 전극, 상기 센싱 연결 패턴 및 상기 센싱 전극 패턴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그라운드 배선들은 상기 센싱 연결 패턴 및 상기 센싱 전극 패턴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의 제1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입력 패드들,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의 제2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출력 패드들, 상기 입력 패드들 및 상기 출력 패드들 상에 배치되는 구동부,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구동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방전 패턴들,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구동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가드 패턴 및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입력 패드들 중 적어도 하나, 상기 방전 패턴들 및 상기 가드 패턴을 연결시키는 복수의 그라운드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드 패턴은 일측이 개방된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드 패턴은 상기 방전 패턴들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전 패턴들 및 상기 가드 패턴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드 패턴은 상기 출력 패드들 및 상기 방전 패턴들을 둘러쌀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방전 패턴들 및 상기 가드 패턴은 상기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전 패턴들은 상기 패드 영역의 제3 부분에 배치되는 제1 방전 패턴들 및 상기 패드 영역의 제4 부분에 배치되는 제2 방전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 영역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은 서로 마주보고, 상기 패드 영역의 상기 제3 및 제4 부분들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구동부 주변에 배치되는 터치 회로부, 및 상기 터치 회로부, 상기 방전 패턴들 및 상기 가드 패턴을 연결시키는 터치 그라운드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 상의 패드 영역에 구동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방전 패턴들 및 입력 패드들 중 적어도 하나와 방전 패턴들을 연결시키는 복수의 그라운드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 상에서 구동부에 유입된 정전기를 방전 패턴들에 유도하여 그라운드 배선들 및 입력 패드들을 통해 외부로 방전시켜, 정전기로 인한 구동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가 벤딩된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터치 센싱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A'영역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II-II'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패드 영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II-III'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표시 장치의 패드 영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IV-IV'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패드 영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들을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가 벤딩된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기판(110), 화소 구조물(300), 구동부(310), 신호 패드들(3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은 투명한 또는 불투명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은 투명 수지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10)으로 이용될 수 있는 상기 투명 수지 기판은 폴리이미드 기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폴리 이미드 기판은 제1 폴리이미드층, 베리어 필름층, 제2 폴리이미드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은 표시 영역(10), 벤딩 영역(20) 및 패드 영역(3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10)의 일측으로부터 기판(110)의 상면에 평행한 제2 방향(D2)으로 이격되어 패드 영역(30)이 위치할 수 있고, 표시 영역(10)과 패드 영역(30) 사이에 벤딩 영역(20)이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영역(20)은 제2 방향(D2)과 직교하는 제1 방향(D1)을 축으로 벤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패드 영역(30)과 표시 영역(10)이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과 수직하는 제3 방향(D3)으로 중첩할 수 있다.
기판(110) 상의 패드 영역(30)에 신호 패드들(320)이 배치될 수 있다. 신호 패드들(320)은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신호 패드들(320) 각각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신호 패드들(320) 각각은 복수의 금속층들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층들은 두께가 서로 다르거나 서로 다른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101)는 연성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및 신호 패드들(320)을 통해 표시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게이트 신호, 데이터 신호, 게이트 초기화 신호, 초기화 전압, 발광 제어 신호, 전원 전압 등을 화소 구조물(300)에 제공할 수 있다.
기판(110) 상의 표시 영역(10)에 광을 방출하는 화소 구조물들(300)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 구조물들(300)은 표시 영역(10)에서 제1 방향(D1) 및 제1 방향(D1)과 직교하는 제2 방향(D2)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에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표시 영역(10)에는 화소 구조물들(300)에 연결되는 배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선들은 데이터 신호 배선, 게이트 신호 배선, 발광 제어 신호 배선, 게이트 초기화 신호 배선, 전원 전압 배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표시 장치(100)는 표시 영역(10), 벤딩 영역(20) 및 패드 영역(30) 각각의 형상이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10), 벤딩 영역(20) 및 패드 영역(30) 각각의 형상은 삼각형의 평면 형상, 마름모의 평면 형상, 다각형의 평면 형상, 원형의 평면 형상, 트랙형의 평면 형상 또는 타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부(310)가 기판(110) 상의 패드 영역(3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구동부(310)가 기판(110)에 실장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I-I'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센싱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100)의 표시 영역(1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기판(110), 게이트 절연층(120), 제1 층간 절연층(130a), 제2 층간 절연층(130b), 반도체 소자(150), 제1 평탄화층(140a), 제2 평탄화층(140b), 연결 전극(CE), 화소 정의막(160), 화소 구조물(300), 박막 봉지 구조물(180), 센싱 구조물(2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반도체 소자(150)는 액티브층(ACT), 제1 게이트 전극(GE1), 제2 게이트 전극(GE2),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할 수 있고, 화소 구조물(300)은 하부 전극(171), 발광층(172) 및 상부 전극(17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박막 봉지 구조물(180)은 제1 무기 박막 봉지층(181), 유기 봉지층(182) 및 제2 무기 박막 봉지층(183)을 포함할 수 있고, 센싱 구조물(260)은 센싱 연결 패턴(220), 제1 센싱 전극 패턴(240a), 제2 센싱 전극 패턴(240b) 및 연결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 상에 버퍼층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버퍼층은 기판(110)으로부터 금속 원자들이나 불순물들이 상부 구조물(예를 들어, 반도체 소자(150), 화소 구조물(300) 등)로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액티브층(ACT)을 형성하기 위한 결정화 공정 동안 열의 전달 속도를 조절하여 실질적으로 균일한 액티브층(ACT)을 수득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버퍼층은 기판(110)의 표면이 균일하지 않을 경우, 기판(110)의 표면의 평탄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퍼층은 유기 절연 물질 또는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 상의 표시 영역(10)에 액티브층(ACT)이 배치될 수 있다. 액티브층(ACT)은 금속 산화물 반도체, 무기물 반도체(예를 들어, 아몰퍼스 실리콘(amorphous silicon), 폴리실리콘(poly silicon)) 또는 유기물 반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층(ACT)은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상기 소스 영역과 상기 드레인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채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 상의 표시 영역(10) 및 패드 영역(30)에 게이트 절연층(12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7 참조). 게이트 절연층(120)은 기판(110) 상에서 액티브층(ACT)을 덮으며, 균일한 두께로 액티브층(ACT)의 프로파일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게이트 절연층(120)은 기판(110) 상에서 액티브층(ACT)을 충분히 덮을 수 있으며, 액티브층(ACT)의 주위에 단차를 생성시키지 않고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도 있다. 게이트 절연층(120)은 실리콘 화합물, 금속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절연층(120)은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탄화물(SiCx), 실리콘 산질화물(SiOxNy), 실리콘 산탄화물(SiOxC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20) 상의 표시 영역(10)에 제1 게이트 전극(GE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전극(GE1)은 액티브층(ACT)의 상기 채널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게이트 전극(GE1)은 금속,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20) 상의 표시 영역(10) 및 패드 영역(30)에 제1 층간 절연층(130a)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7 참조). 제1 층간 절연층(130a)은 제1 게이트 전극(GE1)을 덮으며, 균일한 두께로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층간 절연층(130a)은 게이트 절연층(120) 상에서 제1 게이트 전극(GE1)의 주위에 단차를 생성시키지 않고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층간 절연층(130a)은 실리콘 화합물, 금속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층(130a) 상의 표시 영역(10)에 제2 게이트 전극(GE2)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게이트 전극(GE2)은 제1 게이트 전극(GE1)과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게이트 전극(GE2)은 금속,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층(130a) 상의 표시 영역(10) 및 패드 영역(30)에 제2 층간 절연층(130b)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7 참조). 제2 층간 절연층(130b)은 제2 게이트 전극(GE2)을 덮으며, 균일한 두께로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층간 절연층(130b)은 제1 층간 절연층(130a) 상에서 제2 게이트 전극(GE2)의 주위에 단차를 생성시키지 않고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층간 절연층(130b)은 실리콘 화합물, 금속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층(130b) 상의 표시 영역(10)에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이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전극(SE)은 게이트 절연층(120), 제1 층간 절연층(130a) 및 제2 층간 절연층(130b)의 제1 부분을 제거하여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액티브층(ACT)의 상기 소스 영역에 접속될 수 있고, 드레인 전극(DE)은 게이트 절연층(120), 제1 층간 절연층(130a) 및 제2 층간 절연층(130b)의 제2 부분을 제거하여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액티브층(ACT)의 상기 드레인 영역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 각각은 금속,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층(130b),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 상의 표시 영역(10)에 제1 평탄화층(140a)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평탄화층(140a)은 제2 층간 절연층(130b) 상의 패드 영역(30)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평탄화층(140a)은 제2 층간 절연층(130b) 상에서 구동부(310)와 중첩하는 영역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 및 도 7 참조). 예를 들어, 제1 평탄화층(140a)은 제2 층간 절연층(130b) 상에서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충분히 덮도록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제1 평탄화층(140a)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제1 평탄화층(140a)의 평탄한 상면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1 평탄화(140a) 층에 대해 평탄화 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제1 평탄화층(140a)은 드레인 전극(DE)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을 가질 수 있다. 제1 평탄화층(140a)은 유기 절연 물질 또는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평탄화층(140a)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얘를 들어, 제1 평탄화층(140a)은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폴리아크릴계 수지(polyacryl-based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based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based resin), 실록산계 수지(siloxane-based resin), 아크릴계 수지(acryl-based resin), 애폭시계 수지(epoxy-based resi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평탄화층(140a) 상의 표시 영역(10)에 연결 전극(CE)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전극(CE)은 제1 평탄화층(140a)의 상기 콘택홀을 통해 드레인 전극(DE)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전극(CE)은 금속,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연결 전극(CE) 및 제1 평탄화층(140a) 상에 제2 평탄화층(140b)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평탄화층(140b)은 패드 영역(30)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평탄화층(140b)은 구동부(310)와 중첩하는 영역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 및 도 7 참조). 예를 들어, 제2 평탄화층(140b)은 제1 평탄화층(140a) 상에서 연결 전극(CE)을 충분히 덮도록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제2 평탄화층(140b)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제2 평탄화층(140b)의 평탄한 상면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2 평탄화층(140b)에 대해 평탄화 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제2 평탄화층(140b)은 연결 전극(CE)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평탄화층(140b)은 유기 절연 물질 또는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평탄화층(140b) 상의 표시 영역(10)에 하부 전극(171)이 배치될 수 있댜. 하부 전극(171)은 제2 평탄화층(140b)의 상기 콘택홀을 통해 연결 전극(CE)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고, 하부 전극(171)은 반도체 소자(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전극(171)은 금속,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2 평타화층(140b) 상의 표시 영역(10)에 화소 정의막(16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화소 정의막(160)은 패드 영역(30)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 참조). 다시 말하면, 화소 정의막(160)은 표시 영역(10)에서 하부 전극(171)의 일부 및 제2 평탄화층(140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60)은 하부 전극(171)의 양측부를 덮을 수 있고, 하부 전극(171)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정의막(160)은 유기 절연 물질 또는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전극(171) 상의 표시 영역(10)에 발광층(172)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발광층(172)은 화소 정의막(160)의 상기 개구에 의해 노출된 하부 전극(17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172)은 서브 화소의 종류에 따라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등을 방출시킬 수 있는 발광 물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발광층(172)은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등의 다른 색광들을 발생시킬 수 있는 복수의 발광 물질들을 적층하여 전체적으로 백색광을 방출할 수도 있다.
화소 정의막(160) 및 발광층(172) 상의 표시 영역(10)에 상부 전극(173)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전극(173)은 금속,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부 전극(173) 상에 제1 무기 박막 봉지층(18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무기 박막 봉지층(181)은 상부 전극(173)을 덮으며, 균일한 두께로 상부 전극(173)의 프로 파일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무기 박막 봉지층(181)은 화소 구조물(300)이 수분, 산소 등의 침투로 인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무기 박막 봉지층(181)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화소 구조물(300)을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기 박막 봉지층(181)은 가요성을 갖는 무기 절연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 박막 봉지층(181) 상에 유기 박막 봉지층(182)이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박막 봉지층(182)은 표시 장치(100)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 무기 박막 봉지층(181)과 함께 화소 구조물(300)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박막 봉지층(182)은 가요성을 갖는 유기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박막 봉지층(182) 상에 제2 무기 박막 봉지층(183)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무기 박막 봉지층(183)은 유기 박막 봉지층(182)을 덮으며, 균일한 두께로 유기 박막 봉지층(182)의 프로 파일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2 무기 박막 봉지층(183)은 제1 무기 박막 봉지층(181)과 함께 화소 구조물(300)이 수분, 산소 등의 침투로 인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무기 박막 봉지층(183)은 제1 무기 박막 봉지층(181) 및 유기 박막 봉지층(182)과 함께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화소 구조물(300)을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무기 박막 봉지층(183)은 가요성을 갖는 무기 절연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박막 봉지 구조물(180)은 3개의 무기 박막 봉지층들 및 2개의 유기 박막 봉지층들로 적층된 5층 구조 또는 4개의 무기 박막 봉지층들 및 3개의 유기 박막 봉지층들로 적층된 7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제2 무기 박막 봉지층(183) 상의 표시 영역(10)에 하부 터치 절연층(21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터치 절연층(210)은 무기 절연 물질 또는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부 터치 절연층(210)은 복수의 절연층들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층들은 두께가 서로 다르거나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터치 절연층(210) 상의 표시 영역(10)에 센싱 연결 패턴(22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연결 패턴(220)은 제1 센싱 전극 패턴(240a) 및 제2 센싱 전극 패턴(240b)을 콘택홀들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연결 패턴(220)과 제1 및 제2 센싱 전극 패턴들(240a, 240b)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센싱 연결 패턴(220)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하부 터치 절연층(210) 및 센싱 연결 패턴(220) 상의 표시 영역(10)에 층간 터치 절연층(230)이 배치될 수 있다. 층간 터치 절연층(230)은 센싱 연결 패턴(220)을 충분히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층간 터치 절연층(230)은 유기 절연 물질 또는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층간 터치 절연층(230)은 복수의 절연층들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층들은 두께가 서로 다르거나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층간 터치 절연층(230) 상의 표시 영역(10)에 제1 센싱 전극 패턴(240a), 제2 센싱 전극 패턴(240b) 및 연결부(241)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터치 절연층(230) 상의 표시 영역(10)에 제3 센싱 전극 패턴(242)이 배치될 수 있고, 제3 센싱 전극 패턴(242)은 연결부(241)와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센싱 전극 패턴(240a), 제2 센싱 전극 패턴(240b), 제3 센싱 전극 패턴(242) 및 연결부(241) 각각은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투명 도전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 갈륨 아연 산화물(indium gallium zinc oxide IGZO), 아연 산화물(zinc oxide ZnO), 그래핀(graphene), 은 나노와이어(Ag nanowire AgNW), 구리(Cu), 크롬(C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싱 전극 패턴(240a) 및 제2 센싱 전극 패턴(240b)은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열되는 전극 패턴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센싱 전극 패턴(242)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열되는 전극 패턴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층간 터치 절연층(230), 제1 센싱 전극 패턴(240a), 제2 센싱 전극 패턴(240b) 및 연결부(241) 상에 보호층(250)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250)은 제1 센싱 전극 패턴(240a), 제2 센싱 전극 패턴(240b) 및 연결부(241)를 충분히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알려진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하부 터치 절연층(210)이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센싱 전극 패턴들(240a, 240b)과 제3 센싱 전극 패턴(242)은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센싱 전극 패턴들(240a, 240b)은 센싱 연결 패턴(220) 없이 연속적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100)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표시 장치(10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device PDP) 또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image display device EPD)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1의 'A'영역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6은 도 1의 표시 장치(100)의 패드 영역(3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은 기판(110), 구동부(310), 복수의 출력 패드들(312), 복수의 입력 패드들(311), 복수의 제1 방전 패턴들(330), 복수의 그라운드 배선들(3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부(310)는 출력 패드들(312) 및 입력 패드들(3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310)는 출력 패드들(312) 및 입력 패드들(311)에 본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패드 영역(30)은 제1 부분(32), 제2 부분(31), 제3 부분(33) 및 제4 부분(3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분(31)은 표시 영역(10)과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고, 제1 부분(32)은 신호 패드들(320)과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부분(33) 및 제4 부분(34)은 입력 패드들(311) 및 출력 패드들(312)과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부분(32) 및 제2 부분(31)은 서로 마주볼 수 있고, 제3 부분(33) 및 제4 부분(34)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부(310)는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구동 IC 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IC 칩은 출력 영역(31)과 입력 영역(32) 사이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구동 IC 칩의 일측이 회로 배선들을 통해 입력 패드들(3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구동 IC 칩의 타측이 회로 배선들을 통해 출력 패드들(3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 IC 칩은 도 3의 외부 장치(101)로부터 신호 패드들(320) 및 입력 패드들(311)을 통해 입력 신호 및 구동 IC 전원 전압을 제공받을 수 있고, 상기 구동 IC 칩은 상기 입력 신호를 기초하여 화소 구조물(300)에 출력 패드들(312) 및 화소 구조물(300)을 연결시키는 배선들을 통해 출력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기판(110) 상의 패드 영역(30)에 출력 패드들(312) 및 입력 패드들(311)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패드 영역(30)의 제1 부분(32)에 입력 패드들(311)이 배치될 수 있고, 패드 영역(30)의 제2 부분(31)에 출력 패드들(312)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패드들(312)은 제1 방향(D1) 및 제1 방향(D1)과 직교하는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고, 입력 패드들(311)은 제1 방향(D1)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패드들(312) 및 입력 패드들(311) 각각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출력 패드들(312) 및 입력 패드들(311) 각각은 복수의 금속층들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판(110) 상의 패드 영역(30)에 신호 패드들(32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신호 패드들(320)은 기판(110) 상의 패드 영역(30)에서 입력 영역(32)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 패드들(320) 각각은 배선들(321)을 통해 입력 패드들(3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110) 상의 패드 영역(30)에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방전 패턴들(330)이 배치될 수 있다. 방전 패턴들(330)은 패드 영역(30)의 제3 부분(33)에 배치되는 제1 방전 패턴들 및 패드 영역의 제4 부분(34)에 배치되는 제2 방전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방전 패턴들은 제3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방전 패턴들은 제4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방전 패턴들(330)은 제1 방향(D1)과 다른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전 패턴들(330)은 기판(110) 상의 패드 영역(30)에서 구동부(310)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방전 패턴들(330)은 기판(110) 상의 패드 영역(30)에서 구동부(31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방전 패턴들(330) 각각은 패드 영역(30)에서 기판(110)과 구동부(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110) 상의 패드 영역(30)에서 그라운드 배선들(340) 각각은 방전 패턴들(3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 배선들(340) 각각은 입력 패드들(311)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그라운드 배선들(340)은 입력 패드들(311) 중 적어도 하나와 방전 패턴들(33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라운드 배선들(340) 중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연장부들 각각이 방전 패턴들(330)에 연결되고, 그라운드 배선들(340) 중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들 각각에 연결되며, 그라운드 배선들(340) 중 제3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와 입력 패드들(311)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100)의 제조 과정 상에서 구동부(310)에 유입된 정전기를 방전 패턴들(330)에 유도하여 그라운드 배선들(340) 및 입력 패드들(311)을 통해 외부로 방전시킬 수 있다.
종래의 표시 장치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정전기를 유도할 만한 금속 패턴들이 없어 상기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 상에서 구동부에 유입된 정전기로 인해 상기 구동부가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특히, 출력 패드들에 유입된 정전기는 상기 구동부 내부의 소자를 손상시켰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100)는 기판(110) 상의 패드 영역(30)에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방전 패턴들(330)이 배치될 수 있고, 입력 패드들(311) 각각이 그라운드 배선들(340)을 통해 방전 패턴들(3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100)의 제조 과정 상에서 구동부(310)에 유입된 정전기를 방전 패턴들(330)에 유도하여 그라운드 배선들(340) 및 입력 패드들(311)을 통해 외부로 방전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정전기 유입으로 인한 구동부(3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II-II'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7은 도 6의 표시 장치(100)의 패드 영역(30)에 배치되는 방전 패턴(330) 및 그라운드 배선(34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기판(110), 게이트 절연층(120), 그라운드 배선(340), 제1 층간 절연층(130a), 제2 층간 절연층(130b), 하부 터치 절연층(210), 층간 터치 절연층(230), 방전 패턴(3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운드 배선(340)은 제1 도전층(341), 제2 도전층(342) 및 제3 도전층(3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층(341)은 게이트 절연층(12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도전층(342)은 제2 층간 절연층(130a)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도전층(343)은 제2 도전층(34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도전층(341)은 도 4에 도시된 제1 게이트 전극(GE1)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도전층(342)은 도 4에 도시된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도전층(343)은 도 4에 도시된 연결 전극(CE)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도전층(341)은 제1 게이트 전극(GE1)과 동일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고, 제2 도전층(342)은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과 동일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제3 도전층(343)은 연결 전극(CE)과 동일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도전층들(341, 342, 343) 각각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도전층(342)은 제1 및 제2 층간 절연층들(130a, 130b)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제1 도전층(341)에 접속될 수 있고, 제3 도전층(343)의 저면은 제2 도전층(342)의 상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그라운드 배선(340)이 제1 내지 제3 도전층들(341, 342, 343)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그라운드 배선(340)은 적어도 하나의 도전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라운드 배선(340)은 1개 또는 2개의 도전층들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그라운드 배선(340)은 4개 이상의 도전층들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층간 터치 절연층(230) 상에 방전 패턴(33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전 패턴(330)은 도 4에 도시된 제1 센싱 전극 패턴(240a) 및 제2 센싱 전극 패턴(240b)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방전 패턴(330)은 제1 센싱 전극 패턴(240a) 및 제2 센싱 전극 패턴(240b)과 동일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전 패턴(330)은 탄소 나노 튜브, 투명 도전 산화물, 인듐 주석 산화물, 인듐 갈륨 아연 산화물, 아연 산화물, 그래핀, 은 나노와이어, 구리, 크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참조).
또한, 방전 패턴(330)은 하부 터치 절연층(210) 및 층간 터치 절연층(230)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제3 도전층(343)에 접속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방전 패턴(330)이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 센싱 전극 패턴들(240a, 240b)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방전 패턴(330)은 도 4에 도시된 제1 게이트 전극(GE1), 제2 게이트 전극(GE2), 드레인 전극(DE), 연결 전극(CE) 및 센싱 연결 패턴(220)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패드 영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0)는 터치 회로부(35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8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도 8은 도 1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은 구동부(310), 복수의 출력 패드들(312), 복수의 입력 패드들(311), 복수의 방전 패턴들(330), 복수의 그라운드 배선들(340), 터치 회로부(3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110) 상의 패드 영역(30)에서 구동부(310) 주변에 터치 회로부(350)가 배치될 수 있다. 터치 회로부(350)는 터치 그라운드 배선들(351)을 통해 도 4에 도시된 센싱 구조물(2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터치 회로부(350)는 터치 그라운드 배선들(351)을 통해 센싱 구조물(260)의 구동에 필요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110) 상의 패드 영역(30)에서 터치 그라운드 배선들(351)은 터치 회로부(350)와 방전 패턴들(33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1000)의 제조 과정 상에서 구동부(310)로 유입된 정전기를 방전 패턴들(330)에 유도하여 그라운드 배선들(340) 및 입력 패드들(311)을 통해 외부로 방전시킬 수 있고, 터치 그라운드 배선들(351) 및 터치 회로부(350)를 통해 외부로 방전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정전기로 인한 구동부(310)의 손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III-III'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다만, 도 9의 표시 장치(1000)는 터치 회로부(350)의 터치 그라운드 배선(351)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9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는 기판(110), 게이트 절연층(120), 그라운드 배선(340), 제1 층간 절연층(130a), 제2 층간 절연층(130b), 하부 터치 절연층(210), 층간 터치 절연층(230), 방전 패턴(330), 터치 그라운드 배선(35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운드 배선(340)은 제1 도전층(341), 제2 도전층(342) 및 제3 도전층(34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터치 절연층(210) 상에 터치 그라운드 배선(351)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 그라운드 배선(351)은 도 4에 도시된 센싱 연결 패턴(220)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터치 그라운드 배선(351)은 센싱 연결 패턴(220)과 동일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그라운드 배선(351)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방전 패턴(330)은 층간 터치 절연층(230)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터치 그라운드 배선(351)에 접속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터치 그라운드 배선(351)이 도 4에 도시된 센싱 연결 패턴(220)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터치 그라운드 배선(351)은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 센싱 전극 패턴(240a, 240b)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터치 그라운드 배선(351)은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 센싱 전극 패턴(240a, 240b)과 동일한 물질을 함유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표시 장치의 패드 영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만, 도 10의 표시 장치(1100)는 가드 패턴(360)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0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도 10은 도 1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100)는 기판(110), 구동부(310), 복수의 출력 패드들(312), 복수의 입력 패드들(311), 복수의 방전 패턴들(330), 복수의 그라운드 배선들(340), 가드 패턴(3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110) 상의 패드 영역(30)에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가드 패턴(360)이 배치될 수 있다. 가드 패턴(360)은 구동부(310)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드 패턴(360)은 구동부(31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도 상에서, 가드 패턴(360)은 일측이 개방된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평면도 상에서, 가드 패턴(360)은 출력 패드들(312) 및 방전 패턴들(330)을 둘러쌀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110) 상의 패드 영역(30)에서 그라운드 배선들(340)은 입력 패드들(311) 중 적어도 하나, 방전 패턴들(330) 및 가드 패턴(36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라운드 배선들(340) 중 제1 연장부들은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연장부들 각각은 제2 방향(D2)과 직교하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가드 패턴(36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1100)의 제조 과정 상에서 구동부(310)의 특정 방향으로 유입되는 정전기를 가드 패턴(360)으로 유도하여 그라운드 배선들(340) 및 입력 패드들(311)을 통해 외부로 방전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정전기로 인한 구동부(310)의 손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IV-IV'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다만, 도 11의 표시 장치(1100)는 가드 패턴(3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1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100)는 기판(110), 게이트 절연층(120), 그라운드 배선(340), 제1 층간 절연층(130a), 제2 층간 절연층(130b), 하부 터치 절연층(210), 층간 터치 절연층(230), 방전 패턴(330), 가드 패턴(3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운드 배선(340)은 제1 도전층(341), 제2 도전층(342) 및 제3 도전층(343)을 포함할 수 있다.
층간 터치 절연층(230) 상에 가드 패턴(36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드 패턴(360)은 제1 및 제2 센싱 전극 패턴들(240a, 240b)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가드 패턴(360)은 제1 및 제2 센싱 전극 패턴들(240a, 240b)과 동일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드 패턴(360)은 탄소 나노 튜브, 투명 도전 산화물, 인듐 주석 산화물, 인듐 갈륨 아연 산화물, 아연 산화물, 그래핀, 은 나노와이어, 구리, 크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참조).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드 패턴(360)은 방전 패턴(330)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가드 패턴(360)은 방전 패턴(330)과 다른 층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가드 패턴(360)은 하부 터치 절연층(210) 및 층간 터치 절연층(230)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제3 도전층(343)에 접속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가드 패턴(360)이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 센싱 전극 패턴들(240a, 240b)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드 패턴(360)은 도 4에 도시된 제1 게이트 전극(GE1), 제2 게이트 전극(GE2), 드레인 전극(DE), 연결 전극(CE) 및 센싱 연결 패턴(220)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패드 영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만, 도 12의 표시 장치(1200)는 터치 회로부(3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0의 표시 장치(1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2에 있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도 12는 도 1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200)는 기판(110), 구동부(310), 복수의 그라운드 배선들(340), 복수의 방전 패턴들(330), 복수의 입력 패드들(311), 복수의 출력 패드들(312), 복수의 신호 패드들(320), 가드 패턴(360), 터치 회로부(3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터치 회로부(350)는 기판(110) 상의 패드 영역(30)에서 구동부(310)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 그라운드 배선들(351)은 터치 회로부(350), 방전 패턴들(330) 및 가드 패턴(36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1200)의 제조 과정 상에서 구동부(310)의 특정 방향으로 유입된 정전기를 가드 패턴(360)으로 유도하여, 그라운드 배선들(340) 및 입력 패드들(311)을 통해 외부로 방전시킬 수 있고, 터치 그라운드 배선들(351) 및 터치 회로부(350)를 통해 외부로 방전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정전기로 인한 구동부(310)의 손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고해상도 스마트폰, 휴대폰, 스마트패드, 스마트 워치, 태블릿 PC,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노트북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000, 1100, 1200: 표시 장치
110: 기판 300: 화소 구조물
310: 구동부 320: 신호 패드들
10: 표시 영역 20: 벤딩 영역
30: 패드 영역 32: 제1 부분
31: 제2 부분 33: 제3 부분
34: 제4 부분 311: 입력 패드들
312: 출력 패드들 321: 배선들
330: 방전 패턴들 340: 그라운드 배선들
350: 터치 회로부 351: 터치 그라운드 배선들
360: 가드 패턴

Claims (20)

  1. 표시 영역 및 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의 제1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입력 패드들;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의 제2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출력 패드들;
    상기 입력 패드들 및 상기 출력 패드들 상에 배치되는 구동부;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구동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방전 패턴들; 및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입력 패드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방전 패턴들을 연결시키는 복수의 그라운드 배선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패턴들은 금속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방전 패턴들은 상기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패드들은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방전 패턴들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패턴들은,
    상기 패드 영역의 제3 부분에 배치되는 제1 방전 패턴들; 및
    상기 패드 영역의 제4 부분에 배치되는 제2 방전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 영역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은 서로 마주보고, 상기 패드 영역의 상기 제3 및 제4 부분들은 서로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구동부 주변에 배치되는 터치 회로부; 및
    상기 터치 회로부와 상기 방전 패턴들을 연결시키는 복수의 터치 그라운드 배선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배치되는 드레인 전극;
    상기 드레인 전극 상에 배치되는 화소 구조물;
    상기 드레인 전극과 상기 화소 구조물 상에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 전극과 상기 화소 구조물을 연결시키는 연결 전극; 및
    상기 화소 구조물 상에 배치되는 센싱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배선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도전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배선들 각각은,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 상에 배치되는 제2 도전층; 및
    상기 제2 도전층 상에 배치되는 제3 도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층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도전층은 상기 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3 도전층은 상기 연결 전극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구조물은,
    상기 화소 구조물 상에 배치되는 하부 터치 절연층;
    상기 하부 터치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센싱 연결 패턴;
    상기 센싱 연결 패턴 상에 배치되는 층간 터치 절연층; 및
    상기 층간 터치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센싱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패턴들은 상기 게이트 전극, 상기 드레인 전극, 상기 연결 전극, 상기 센싱 연결 패턴 및 상기 센싱 전극 패턴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그라운드 배선들은 상기 센싱 연결 패턴 및 상기 센싱 전극 패턴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표시 영역 및 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의 제1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입력 패드들;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의 제2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출력 패드들;
    상기 입력 패드들 및 상기 출력 패드들 상에 배치되는 구동부;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구동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방전 패턴들;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구동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가드 패턴; 및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입력 패드들 중 적어도 하나, 상기 방전 패턴들 및 상기 가드 패턴을 연결시키는 복수의 그라운드 배선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 패턴은 일측이 개방된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 패턴은 상기 방전 패턴들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패턴들 및 상기 가드 패턴은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 패턴은 상기 출력 패드들 및 상기 방전 패턴들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방전 패턴들 및 상기 가드 패턴은 상기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패턴들은,
    상기 패드 영역의 제3 부분에 배치되는 제1 방전 패턴들; 및
    상기 패드 영역의 제4 부분에 배치되는 제2 방전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 영역의 상기 제1 및 제2 부분들은 서로 마주보고, 상기 패드 영역의 상기 제3 및 제4 부분들은 서로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구동부 주변에 배치되는 터치 회로부; 및
    상기 터치 회로부, 상기 방전 패턴들 및 상기 가드 패턴을 연결시키는 터치 그라운드 배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210009474A 2021-01-22 2021-01-22 표시 장치 KR2022010689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474A KR20220106892A (ko) 2021-01-22 2021-01-22 표시 장치
CN202111081876.XA CN114784052A (zh) 2021-01-22 2021-09-15 显示装置
US17/544,414 US20220238627A1 (en) 2021-01-22 2021-12-07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474A KR20220106892A (ko) 2021-01-22 2021-01-22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892A true KR20220106892A (ko) 2022-08-01

Family

ID=82423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474A KR20220106892A (ko) 2021-01-22 2021-01-22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38627A1 (ko)
KR (1) KR20220106892A (ko)
CN (1) CN114784052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38627A1 (en) 2022-07-28
CN114784052A (zh) 202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1465B2 (en) Display device having crack prevention portion
JP6756538B2 (ja) 表示装置
EP3300466B1 (en) Narrow border displays for electronic devices
KR102511049B1 (ko)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JP2018112859A (ja) 表示装置
KR20180047536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298367B1 (ko) 표시 장치
KR20210086142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US11237683B2 (en) Display device
KR102569727B1 (ko) 표시장치
KR20210074549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533228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US11251256B2 (en) Display apparatus
KR102510942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20106892A (ko) 표시 장치
KR20210080811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00104475A (ko) 표시 장치
US11995281B2 (en) Display device
US11930688B2 (en) Display device for blocking penetration of moisture into interior while extending cathode electrode
KR20240070048A (ko) 발광 표시 장치
KR20220077005A (ko) 표시장치
KR20220043560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220043572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240048079A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03614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