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5067A - 김스낵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김스낵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067A
KR20210065067A KR1020207007864A KR20207007864A KR20210065067A KR 20210065067 A KR20210065067 A KR 20210065067A KR 1020207007864 A KR1020207007864 A KR 1020207007864A KR 20207007864 A KR20207007864 A KR 20207007864A KR 20210065067 A KR20210065067 A KR 20210065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snack
powder
dough
ob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인애
Original Assignee
(주) 하하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하하푸드 filed Critical (주) 하하푸드
Publication of KR20210065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04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0006Manufacture or treatment of liquids, pastes, creams, granules, shred or powder
    • A23G3/001Mixing, knead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04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0019Shaping of liquid, paste, powder; Manufacture of moulded articles, e.g. modelling, moulding, calender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스낵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김스낵에 관한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김스낵은 맛, 향, 식감 등의 관능성이 우수하고, 제품의 형태가 우수하고, 그 형태를 조절하는 것이 용이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김스낵을 제조하는 방법
본 발명은 관능성 및 형태가 우수한 김스낵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김은 예로부터 해태 또는 해의로 알려져 왔으며 삼면이 바다로 둘러쌓인우리나라의 해안 양식장에서 생산되고, 국내 김의 총생산량은 210,024 톤으로 전체 해조류 생산량의 41.3%를 차지하고 있고, 우리 국민이 오래전부터 인기리에 겨먹고있는 조미식품으로 한해 2억 3천만불을 수출하고 있다.
김에 함유된 당질은 다른 음식물에서 쉽게 찾아볼 수 없는 저분자에서 고분자의 유황을 함유한 유황다당체가 들어있으며 생리 기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의 갈조류에 함유된 유황다당체는 육상식물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고 주로 해수에 함유된 황산이온이 김이 양식하는 동안 김의 성분과 결합하여 생성된다. 김의 유황다당체는 분자량에 따라 다르나 대표적인 것이 푸코이단(fucoidan)으로 알려져 있다. 푸코오스(fucose)외에 갈락토스, 자일리톨, 만니톨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점질이 높은 다당류이다. 특히 항혈액 응고 작용이 강하여 해파린(haparine) 보다 몇 배 높다. 또한, 유황다당체는 혈액응고뿐 아니라 항함 효능이 우수하여 현재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다. 또한, 해수중에 존재하는 약 45종의 미량 원소가 김의 양식시에 영양원으로 이용되어 김에는 칼슘, 철외에 우리 몸에 필요한 요오드 등 미량 원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김은 영양이 풍부한 무기질의 보고이기도 하다.
김은 클로로필(chlorophyl), 카로테노이드(carotenoids), 피코빌린(phycobilin) 등 수 많은 색소가 혼재하여 나타나는 색태이며 이들 색소는 생산건조유통과정 및 저장중에 pH, 온도, 습도, 효소에 의하여 변하기도 한다. 이들색소중 클로로필은 엽록소로서 인간의 성장에 필요한 요소이며 신생아 세포 생육에 필수물질이다. 카로테노이드는 주황색을 띄는 색소로 비타민 A의 전구물질로서 우리 인체에 반드시 필요한 비타민이다.
또한, 김에는 식이섬유가 듬뿍 들어 있으며 그 중 Trypsin Indigestable Substrates(TIS)가 다소 들어있어 TIS를 불활성화하여 김의 소화 효율을 높이고 단백 효율을 높이는 기술도 개발되기도 하였다. 특히 김에는 사람의 성장에 꼭 필요한 필수아미노산인 알리신, 바린, 글루타민산 등이 듬뿍 들어 있어 영양면에서도 손색없는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다양한 영양성분을 가지고 있는 김은 김 그 자체로만 널리 애용되고 있을 뿐, 김을 가공한 가공품, 특히 섭취가 간편하고 용이한 김을 이용한 과자의 생산은 제한적인 실정이다. 이는, 김을 이용하여 김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장점을 살려 과자의 형태로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반죽물 수득 단계, 김가루세절 단계, 반죽물 투입 단계 및 김스낵 수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스낵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반죽물 수득 단계;
김가루 세절 단계;
반죽물 투입 단계; 및
김스낵 수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스낵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김스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죽물 수득 단계;
김가루 세절 단계;
반죽물 투입 단계; 및
김스낵 수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스낵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김스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김스낵을 제조하는 경우 맛, 향, 식감 등의 관능성이 우수하고, 제품의 형태가 우수하고, 그 형태를 조절하는 것이 용이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반죽물을 제조한 것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김가루를 세절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가열 및 조미김가루와 반죽물 투입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부 및 하부가열판을강하게 압축시키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몰드에 얇게 제조된 김스낵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조된 김스낵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중분쇄 쌀가루 및 미분쇄 생김가루를 이용하여 제조된 김스낵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중분쇄 쌀가루 및 세절된 생김가루를 이용하여 제조된 김스낵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중분쇄 쌀가루 및 세절된 조미김가루를 이용하여 제조된 김스낵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가로 4 mm, 세로 1 cm 미만의 길이로 세절한 조미김가루를 이용하여 제조된 김스낵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가로 4 mm, 세로 2 cm 이상의 길이로 세절한 조미김가루를 이용하여 제조된 김스낵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반죽물 수득 단계에서 물의 함량이 46.8%(w/w)가 되도록 하여 제조된 김스낵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반죽물 수득 단계에서 물의 함량이 60.7%(w/w)가 되도록 하여 제조된 김스낵을 나타낸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미분쇄 쌀가루를 이용한 김스낵의 제조
1-1. 반죽물 수득 단계
1개의 김스낵을 제조하기 위해서 물 5 mL, 미분쇄 쌀가루 2.88 g, 설탕 0.67 g, 땅콩가루 0.22 g 및 소금 0.05 g을 혼합하여 물의 함량이 52.4%(w/w)인 반죽물을 제조하였다(도 1).
상기 미분쇄 쌀가루는 믹서기 또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입자 크기가 0.074 mm 이하인 것(200 메쉬 이하)을 의미한다.
1-2. 김가루 세절단계
용이한 성형을 위해 조미김가루(㈜하하푸드)를 가로 4 mm, 세로 1 cm 이상 2 cm 미만의 길이로 잘라서 준비했다(도 2).
1-3. 가열 및 조미김가루와반죽물 투입단계
전기히터가 내장된 장치(벧엘전자, BE-5200)의 상부가열판 및 하부가열판을 평균 200℃로 가열하여 상기 온도를 유지시킨 후, 김스낵을 위한 성형몰드가 형성된 하부가열판에 몰드 한 개당 상기 1-2에서 잘라서 준비한 조미김가루 0.7 g을 투입하고 그 위에 상기 1-1에서 수득한 반죽물을 투입했다(도 3).
1-4. 김스낵 수득단계
상부 및 하부가열판을 2 내지 3분간 강하게 압착시켜 가능한 얇은 김스낵을 제조했다(도 4 내지 도 6).
실시예 2. 미분쇄 생김가루를 사용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김스낵을 제조하되, 김가루 세절단계에서 사용한 김가루를 미분쇄 생김가루(㈜하하푸드)로 대체하고, 가로 4 mm, 세로 2 내지 4 cm의 길이로 자르지 않고 상기 1-1과 같은 방법으로 미분쇄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미분쇄 생김가루를 제조하기 위해서 생김가루를 실시예 1-1과 유사한 방법으로 믹서기 또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입자 크기가 0.3 mm 이하(50 메쉬 이하)로 만들었다.
실시예 3. 세절된 생김가루를 사용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김스낵을 제조하되, 김가루 세절단계에서 사용한 김가루를 가로 4 mm, 세로 2 내지 4 cm의 길이로 세절한 생김가루로 대체하여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중분쇄 쌀가루 및 미분쇄 생김가루를 사용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김스낵을 제조하되, 반죽물 수득 단게에서 사용한 쌀가루를 중분쇄 쌀가루로 대체하여 사용하였고, 김가루 세절단계에서 사용한 김가루를 실시예 2의 미분쇄 생김가루로 대체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중분쇄 쌀가루를 제조하기 위해서 쌀가루를 실시예 1-1의 유사한 방법으로 믹서기 또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입자 크기가 0.14 mm 이하(100 메쉬 이하)로 만들었다.
비교예 2. 중분쇄 쌀가루 및 세절된 생김가루를 사용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김스낵을 제조하되, 반죽물 수득 단게에서 사용한 쌀가루를 비교예 1의 중분쇄 쌀가루로 대체하여 사용하였고, 김가루 세절단계에서 사용한 김가루를 가로 4 mm, 세로 2 내지 4 cm의 길이로 세절한 생김가루로 대체하여 사용하였다.
비교예 3. 중분쇄 쌀가루 및 세절된 조미김가루를 사용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김스낵을 제조하되, 반죽물 수득 단게에서 사용한 쌀가루를 비교예 1의 중분쇄 쌀가루로 대체하여 사용하였다.
비교예 4. 작은 크기의 세절된 조미김가루를 사용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김스낵을 제조하되, 김가루 세절단계에서 가로 4 mm, 세로 1 cm 미만의 길이로 세절한 조미김가루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5. 너무 큰 크기의 세절된 조미김가루를 사용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김스낵을 제조하되, 김가루 세절단계에서 가로 4 mm, 세로 2 cm 이상의 길이로 세절한 김가루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6. 물의 함량(46.8%)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김스낵을 제조하되, 반죽물 수득 단게에서 4 mL의 물을 사용하여 물의 함량이 46.8%(w/w)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4. 물의 함량(56.9%)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김스낵을 제조하되, 반죽물 수득 단게에서 6 mL의 물을 사용하여 물의 함량이 56.9%(w/w)되도록 하였다.
비교예 7. 물의 함량(60.7%)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김스낵을 제조하되, 반죽물 수득 단계에서 7 mL의 물을 사용하여 물의 함량이 60.7%(w/w)되도록 하였다.
비교예 8. 땅콩 가루 함량 변화(0.12 g)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김스낵을 제조하되, 반죽물 수득 단게에서 0.12 g의 땅콩가루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9. 땅콩 가루 함량 변화(0.31 g)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김스낵을 제조하되, 반죽물 수득 단게에서 0.31 g의 땅콩가루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5. 아몬드의 사용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김스낵을 제조하되, 반죽물 수득 단게에서 사용한 땅콩가루를 0.22 g의 세절된 아몬드로 대체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6. 호두의 사용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김스낵을 제조하되, 반죽물 수득 단게에서 사용한 땅콩가루를 0.22 g의 세절된 호두로 대체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제조된 김스낵의 관능 및 외형 평가
1-1. 평가방법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8의 방법으로 제조한 김스낵의 맛, 향, 식감 등의 관능 평가 및 모양, 두께 등의 외형 평가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과자류의 맛, 향, 식감 등의 관능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성인 남녀 30명을 검사 패널로 선정하고,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8의 방법으로 제조한 김스낵의 맛, 향, 식감 등의 관능을 평가하고 모양 및 두께 등을 측정하였다. 관능 평가 결과는 개별 패널이 제조된 김스낵의 맛, 향, 식감 등의 우수 정도를 상(5), 중(3) 하(1)로 평가하고 이를 평균화하여 수치로 표 1에 나타냈고, 모양 평가 결과는 개별 패널이 제조된 김스낵의 과자로서 모양의 우수 정도를 상(5), 중(3) 하(1)로 평가하고 이를 평균화하여 수치로 표 1에 나타냈고, 두께는 3.0 mm 이하는 얇음, 3.0 mm 초과 4.0 mm 미만은 보통, 4.0 mm 이상은 두꺼움으로 평가했다.
식감 모양 두께
실시예1 4.8 4.9 4.9 4.8 얇음(2.5 mm)
실시예2 3.2 1.5 3.1 3.0 두꺼움(4.5 mm)
실시예3 3.3 1.8 3.4 2.8 두꺼움(4.6 mm)
비교예1 0.8 2.7 1.1 2.9 두꺼움(4.7 mm)
비교예2 0.9 1.2 1.3 2.8 두꺼움(4.8 mm)
비교예3 1.2 4.1 1.3 3.3 두꺼움(4.7 mm)
비교예4 4.7 4.4 3.5 3.7 얇음(2.8 mm)
비교예5 4.7 4.6 4.4 3.6 얇음(2.5 mm)
비교예6 4.2 4.7 3.3 3.2 보통(3.8 mm)
실시예4 3.8 4.4 4.4 3.8 얇음(2.6 mm)
비교예7 3.8 4.4 2.7 1.3 아주얇음(2.0 mm)
비교예8 3.9 3.8 4.1 4.6 얇음(2.6 mm)
비교예9 3.8 3.6 4.5 4.7 얇음(2.5 mm)
실시예5 4.7 4.8 4.8 3.3 얇음(2.5 mm)
실시예6 4.6 4.7 4.7 3.2 얇음(2.5 mm)
1-2. 평가결과
반죽물 수득 단계에서 미분쇄 쌀가루 및 세절된 조미김가루를 사용하여 김스낵을 제조(실시예 1)하는 경우에 비해서 미분쇄 쌀가루 및 미분쇄 생김가루 또는 미분쇄 쌀가루 및 세절된 생김가루를 사용(실시예 2 및 3)하여 김스낵을 제조했을 때는 제조된 김스낵의 두께도 두꺼워지고, 맛, 향, 식감 등의 관능성도 떨어짐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중분쇄 쌀가루 및 미분쇄 생김가루, 중분쇄 쌀가루 및 세절된 생김가루, 또는 중분쇄 쌀가루 및 세절된 조미김가루를 사용(비교예 1 내지 3)하여 김스낵을 제조(각각 도 7 내지 9)했을 때는 제조된 김스낵의 두께도 두꺼워지고, 맛, 향, 식감 등의 관능성도 떨어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김가루 세절 단계에서 조미김가루를 가로 4 mm, 세로 1 cm 이상 2 cm 미만의 길이로 세절한 것을 이용하여 김스낵을 제조(실시예 1)하는 경우에 비해서 가로 4 mm, 세로 1 cm 미만의 길이로 세절한 조미김가루를 이용하여 김스낵을 제조(비교예 4, 도 10)하는 경우 맛 및 향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식감이 나쁘고 제조된 김스낵에 포함된 김이 한군데로 뭉쳐져 모양이 우수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고, 가로 4 mm, 세로 2 cm 이상의 길이로 세절한 조미김가루를 이용하여 김스낵을 제조(비교예 5, 도 11)하는 경우도 맛 및 향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김가루가 몰드 밖으로 삐져나와 성형이 용이하지 않은 모양상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반죽물 수득 단계에서 사용한 물의 함량이 52.4%(w/w)인 경우(실시예 1) 및 물의 함량이 56.9%(w/w)인 경우(실시예 4) 제조된 김스낵의 관능성, 모양 및 두께 등의 모든 항목에서 우수했지만, 반죽물 수득 단계에서 사용한 물의 함량이 46.8%(w/w)인 경우(비교예 6, 도 12) 제조된 김스낵의 모양이 좋지 않았고, 두께도 다소 두꺼운 문제가 있었고, 반죽물 수득 단계에서 사용한 물의 함량이 60.7%(w/w)인 경우(비교예 7, 도 13) 반죽물이 너무 묽어 제조된 김스낵이 두께도 너무 얇고 모양도 좋지 않아 잘 부서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반죽물 수득 단계에서 0.22 g의 땅콩가루를 사용한 경우(실시예 1)에 비해서 0.12 g의 땅콩가루를 사용한 경우(비교예 8) 제조된 김스낵에서 땅콩가루의 고소한 향 및 부드러운 풍미가 나지 않아 관능성이 떨어졌고, 0.31 g의 땅콩가루를 사용한 경우(비교예 9) 땅콩가루의 향이 강해 김가루 특유의 맛과 향이 묻혀 관능성이 떨어졌고, 땅콩가루 대신 세절된 아몬드를 사용한 경우(실시예 5) 및 세절된 호두를 사용한 경우(실시예 6) 관능성은 우수했으나 아몬드 및 호두의 입자 크기로 인해 과자에서 아몬드 및 호두가 떨어져 나와 모양이 우수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물, 미분쇄 쌀가루, 설탕, 견과류가루 및 소금을 혼합하여 반죽물을 만드는 반죽물 수득단계;
김가루를 세절하는 김가루 세절단계;
김스낵 성형몰드가 형성된 가열판의 몰드에 상기 김가루를 투입하고 그 위에 상기 반죽물 수득단계에 얻은 반죽물을 넣는 반죽물 투입단계; 및
상기 가열판을 압착시켜 얇은 김스낵을 만드는 김스낵 수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스낵 제조방법.
상기 반죽물 수득단계에서 사용하는 조미김은 김을 수확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건조과정을 거쳐 가공공장(㈜하하푸드)에서 조미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특히 철분 및 요오드등 무기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상기 조미김을 사용하여 김스낵을 제조함으로써, 튀기지 않아도 감칠맛 나는 식감의 김스낵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반죽물 수득 단계에서 미분쇄 쌀가루는 쌀가루를 믹서기 또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얻은 것으로서, 그 입자 크기는 0.074 mm 이하(또는 0.025 mm 내지 0.074 mm)인 것(200 메쉬(mesh) 이하)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입자 크기가 0.14 mm 이하인 경우 중분쇄 쌀가루(100 메쉬 이하)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반죽물 수득 단계에서 미분쇄 쌀가루를 사용하여 김스낵을 제조한 경우에 비해서 중분쇄 쌀가루를 사용하여 김스낵을 제조한 경우 맛, 향, 식감 등의 관능성이 저하되었다.
상기 반죽물 수득 단계에서 견과류는 땅콩, 호두, 아몬드, 은행, 잣, 밤, 및 브라질너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견과류가루의 함량은 0.17 내지 0.25 g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의하면, 0.12 g의 땅콩가루를 사용하여 김스낵을 제조한 경우 제조된 김스낵에서 땅콩가루의 고소한 향 및 부드러운 풍미가 나지 않아 관능성이 떨어질 수 있고, 0.31 g의 땅콩가루를 사용하여 김스낵을 제조한 경우 땅콩가루의 향이 강해 김가루 특유의 맛과 향이 묻혀 관능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땅콩가루 대신 세절된 아몬드를 사용한 경우(실시예 5) 및 세절된 호두를 사용한 경우(실시예 6) 관능성은 우수했으나 아몬드 및 호두의 입자 크기로 인해 과자에서 아몬드 및 호두가 떨어져 나와 모양이 우수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반죽물 수득 단계에서 반죽물 전체 성분 대비 물의 함량이 50 내지 58%(w/w)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반죽물 수득 단계에서 사용한 물의 함량이 52.4%(w/w)인 경우(실시예 1) 및 물의 함량이 56.9%(w/w)인 경우(실시예 4) 제조된 김스낵의 관능성, 모양 및 두께 등의 모든 항목에서 우수했지만, 반죽물 수득 단계에서 사용한 물의 함량이 46.8%(w/w)인 경우(비교예 6, 도 12)제조된 김스낵의 모양이 좋지 않고, 두께도 다소 두꺼운 문제가 있었고, 반죽물 수득 단계에서 사용한 물의 함량이 60.7%(w/w)인 경우(비교예 7, 도 13) 반죽물이 너무 묽어 제조된 김스낵이 두께도 너무 얇고 모양도 좋지 않아 잘 부서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반죽물 전체 성분 함량 대비 물의 함량은 50 내지 58%(w/w)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7(w/w)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김스낵을 제조하는 경우 김스낵의 수분함량을 최소화하면서, 관능적 특성 및 형태가 우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얇고 바삭하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김가루 세절 단계에서 김가루는 조미김가루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미분쇄 생김가루, 또는 세절된 생김가루를 이용하여 김스낵을 제조한 경우에 비해서 세절된 조미김가루를 이용하여 김스낵을 제조한 경우 조미김 특유의 향이 우수했다.
한편, 상기 미분쇄 생김가루의 입자 크기는 0.3 mm 이하(50 메쉬(mesh)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김가루 세절 단계는 김가루를 가로 4 mm, 세로 2 내지 4 cm의 길이로 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로 4 mm, 세로 1 cm 미만의 길이로 세절한 조미김가루를 이용하여 김스낵을 제조하는 경우 식감이 나쁘고 제조된 김스낵에 포함된 김이 한군데로 뭉쳐져 모양이 우수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가로 4 mm, 세로 2 cm 이상의 길이로 세절한 조미김가루를 이용하여 김스낵을 제조하는 경우도 맛 및 향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김가루가 몰드 밖으로 삐져나와 성형이 용이하지 않은 모양상의 문제가 있었다.
상기 반죽물 투입 단계는 180 내지 210℃의 온도로 유지되는 가열판에 김가루 및 반죽물을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가열판에 김가루 및 반죽물을 넣기 전에 상기 가열판을 상기 온도로 가열한 후 김가루 및 반죽물을 넣을 수 있다.
또한, 가열판에 김가루를 먼저 투입하지 않고, 반죽물을 가열판에 투입후김가루를 넣는 경우 반죽물의 모양이 빠르게 형성이 되어 김가루가 반죽물에 유기적으로 결합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판에 김가루를 먼저 투입하고, 그 다음에 반죽물을 넣어야 김가루가 적절히 반죽물에 결합한 형태의 김스낵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김스낵 성형몰드가 형성된 가열판은 상부가열판 및 하부가열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김스낵 수득 단계는 상기 김스낵 성형몰드가 형성된 가열판을 2 내지 3분동안 100 내지 120 kPa의 압력으로 강하게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부가열판 및 하부가열판가 2 내지 3분동안 100 내지 120 kPa의압력으로 강하게 압착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 본 발명은 상기 반죽물 수득 단계;
김가루 세절 단계;
반죽물 투입 단계; 및
김스낵 수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스낵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김스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맛, 향, 식감 등의 관능성이 우수하고, 제품의 형태가 우수하고 산업적으로 유용한 김스낵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0)

  1. 물, 미분쇄 쌀가루, 설탕, 견과류가루 및 소금을 혼합하여 반죽물을 만드는 반죽물 수득 단계;
    김가루를 세절하는 김가루 세절 단계;
    김스낵 성형몰드가 형성된 가열판의 몰드에 상기 김가루를 투입하고 그 위에 상기 반죽물 수득단계에 얻은 반죽물을 넣는 반죽물 투입 단계; 및
    상기 가열판을 압착시켜 얇은 김스낵을 만드는 김스낵 수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스낵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쇄 쌀가루의 입자 크기는 200 메쉬(mes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스낵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과류는 땅콩, 호두, 아몬드, 은행, 잣, 밤, 및 브라질너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김스낵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김가루는 조미김가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스낵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김가루 세절 단계는 김가루를 2 내지 4 cm의 길이로 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스낵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물 투입 단계는 180 내지 210℃의 온도로 유지되는 가열판에 김가루 및 반죽물을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스낵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김스낵 수득 단계는 2 내지 3분동안 100 내지 120 kPa의 압력으로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스낵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물 수득 단계에서 반죽물 전체 성분 대비 물의 함량이 50 내지 58%(w/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스낵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과류가루는 0.17 내지 0.25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스낵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김스낵.
KR1020207007864A 2019-11-22 2019-11-22 김스낵을 제조하는 방법 KR202100650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6071 WO2021100920A1 (ko) 2019-11-22 2019-11-22 김스낵을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067A true KR20210065067A (ko) 2021-06-03

Family

ID=75980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864A KR20210065067A (ko) 2019-11-22 2019-11-22 김스낵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65067A (ko)
WO (1) WO20211009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2476A1 (ko) 2021-08-17 2023-02-23 씨제이제일제당 (주) 웨이브 형상을 갖는 김 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9272A (ko) * 2012-12-18 2014-06-26 씨제이제일제당 (주) 김과 곡물 시트를 이용한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0247B1 (ko) * 2015-08-03 2017-07-11 대한민국 자반형 마른김을 이용한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2476A1 (ko) 2021-08-17 2023-02-23 씨제이제일제당 (주) 웨이브 형상을 갖는 김 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26112A (ko) 2021-08-17 2023-02-24 씨제이제일제당 (주) 웨이브 형상을 갖는 김 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0920A1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49690A (zh) 快餐糕及其制备方法
KR101093600B1 (ko) 연근을 이용한 일회용 컵 누룽지 및 그의 제조방법
CN108354160B (zh) 一种双孢蘑菇酶解粉的制备方法及包含双孢蘑菇酶解粉的蘑菇盐调味品和制备方法
KR102328001B1 (ko) 양배추를 이용한 빵 반죽의 제조방법 및 그 반죽을 이용한 빵
KR20210065067A (ko) 김스낵을 제조하는 방법
KR102148926B1 (ko) 성형미와 팽화미를 이용한 스낵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낵
KR101723614B1 (ko) 보리 홍삼 즉석면과 그 제조방법
KR20190058780A (ko) 기능성 구기자 한과 제조방법 및 구기자 한과
KR100429003B1 (ko) 감분말을 주재로 한 선식의 제조방법
CN103653080A (zh) 一种板栗休闲食品及其加工方法
KR102471406B1 (ko) 발효 해조류를 주재료로 한 천연 조미료와 그 제조방법
KR101766288B1 (ko) 사과현미국수와 그 제조방법
KR100268570B1 (ko) 쑥인조미 제조방법
KR100245566B1 (ko) 인조미 제조방법
KR101692425B1 (ko) 쌀 누룽지를 포함하는 기능성 국수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국수
KR101341966B1 (ko) 갈색 가바쌀 분말을 함유하는 기호성이 증대된 한과 및 그 제조방법
CN113080376A (zh) 方便营养型谷物粥及其制备方法
CN106722058B (zh) 一种即食型祛湿谷物片/粉及其制作方法
KR101164930B1 (ko) 탄닌성분 및 식이섬유가 강화된 수수두부의 제조방법
KR101226756B1 (ko) 발효 비지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비지
KR101871971B1 (ko) 대추가 함유된 쌀돈까스
KR20160080878A (ko) 고구마와 팥앙금이 포함된 떡소를 가진 찹쌀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찹쌀떡
CN111280399A (zh) 一种无烟猪血丸子的制作方法
KR102522257B1 (ko) 굴을 주재로 한 떡국떡과 그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438214B1 (ko) 양파를 주재료로하여 이미 및 이취를 최소화하고 기능성을 향상시킨 양파 대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