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387A - 장치 및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장치 및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387A
KR20210063387A KR1020217012001A KR20217012001A KR20210063387A KR 20210063387 A KR20210063387 A KR 20210063387A KR 1020217012001 A KR1020217012001 A KR 1020217012001A KR 20217012001 A KR20217012001 A KR 20217012001A KR 20210063387 A KR20210063387 A KR 20210063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ight
casing
substrat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7647B1 (ko
Inventor
가즈요시 야마가타
Original Assignee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63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05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 G02B6/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the light being emitt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ateral surface of the fib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Refl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장치는,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에 형성된 기판과, 기판의 일방의 측에 실장된 발광체와, 기판의 일방의 측과 발광체를 덮고, 발광체로부터의 광을 도광하는 탄성 시트를 구비한다. 케이싱에는, 기판의 일방의 측에 대응하여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 시트는, 관통공에 대응하는 부분의 표면에, 그 내부를 통과하는 광을 전반사시키기 위한 경면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장치 및 조작 장치
본 발명은, 장치 및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케이싱의 내부에 형성된 기판의 표면을, 광 투과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커버로 덮음으로써, 기판의 표면을 보호함과 함께, 기판에 실장된 발광체로부터 출사된 광을, 커버를 투과시키고, 케이싱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된 소정의 발광 부위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고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에는, 투광성을 갖는 누름 버튼을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누름 버튼의 하측에 형성된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누름 버튼의 천면부 (天面部) 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스위치용 커버 부재에 있어서, 누름 버튼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의 내측 벽면에 차광층을 형성함으로써,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누름 버튼의 측면 방향으로의 광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80763호
본 발명의 발명자는, 기판에 실장된 발광체로부터 출사된 광이, 커버를 다 투과되지 않고 커버의 내부에서 도광되어, 케이싱에 형성된 관통공으로부터 누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고, 종래 기술에서는 이와 같은 광 누출을 억제할 수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광 누출을 포함하는, 관통공으로부터의 광 누출을 억제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있는 것을 알아냈다.
일 실시형태의 장치는,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에 형성된 기판과, 기판의 일방의 측에 실장된 발광체와, 기판의 일방의 측과 발광체를 덮고, 발광체로부터의 광을 도광하는 탄성 시트를 구비하고, 케이싱에는, 기판의 일방의 측에 대응하여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 시트는, 관통공에 대응하는 부분의 표면에, 그 내부를 통과하는 광을 전반사시키기 위한 경면부를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케이싱에 형성된 관통공으로부터의 광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워 시트 스위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워 시트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워 시트 스위치가 구비하는 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워 시트 스위치에 있어서의 패널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5 는 도 1 에 나타내는 파워 시트 스위치의 A-A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내는 파워 시트 스위치의 광 누출 억제 구조를 간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워 시트 스위치가 구비하는 러버 시트의 표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도면 중 Z 축 정 (正) 방향을 상방 (청구항에 기재된 「일방」의 일례) 으로 하고, 도면 중 Z 축 부 (負) 방향을 하방 (청구항에 기재된 「타방」의 일례) 으로 한다.
(파워 시트 스위치 (100) 의 개요)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워 시트 스위치 (100) 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및 「조작 장치」의 일례이며, 차량의 파워 시트를 조작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차내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 (예를 들어, 운전석 측의 도어의 차내 측) 에 설치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케이싱 (110) (청구항에 기재된 「케이싱」의 일례) 을 구비한다. 케이싱 (110) 의 상면에는, 부분적으로 융기한 대좌부 (110A) 및 대좌부 (110B) 가 형성되어 있다. 대좌부 (110A) 에는, 조작 패널 유닛 (120A) 이 설치되어 있다. 대좌부 (110B) 에는, 조작 패널 유닛 (120B) 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 유닛 (120A) 은, 조작 패널 (121), 조작 노브 (122), 발광부 (123), 및 베젤 (125) (청구항에 기재된 「장착 부재」의 일례) 을 갖는다. 조작 패널 (121) 은, 수평인 평면상의 부재이다. 조작 노브 (122) 는, 조작 패널 (121) 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노브 (122) 는, 파워 시트의 각종 조정 (예를 들어, 리클라이닝 조정, 높이 조정, 경사 조정, 전후 위치 조정) 을 실시하기 위한 스위치 (136) (도 3 참조) 에 대한, 스위치 조작 (예를 들어, 압하 조작, 슬라이드 조작, 경도 조작) 이 이루어지는 조작 부재이다.
발광부 (123) 는, 조작 노브 (122) 를 둘러싸는 띠상의 부재이다. 발광부 (123) 는, 광 투과성을 가지고 있고, 케이싱 (110) 의 내부에 설치된 LED (134) (도 3 참조) 로부터의 출사광을 투과하여 발광함으로써, 조작 노브 (122) 의 위치의 판별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베젤 (125) 은, 조작 패널 유닛 (120A) 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따라 조작 패널 유닛 (120A) 을 둘러싸는 부재이다. 베젤 (125) 은, 입체적 형상, 또는, 크롬 도금 표면 가공 등이 이루어져 있는 것에 의한 가식 기능을 가지고 있고, 스냅 피트 구조에 의해, 대좌부 (110A) 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조작 패널 유닛 (120B) 은, 복수의 조작체 (124) 및 베젤 (126) (청구항에 기재된 「장착 부재」의 일례) 을 갖는다. 복수의 조작체 (124) 는, 파워 시트의 조정값을 사용자별로 기억 및 호출하기 위한 스위치 (135) (도 3 참조) 에 대한, 스위치 조작 (예를 들어, 압하 조작) 이 이루어지는 조작 부재이다.
각 조작체 (124) 의 표면에는, 문자 형상 또는 도면 형상의 발광부 (124A) 가 형성되어 있다. 발광부 (124A) 는, 광 투과성을 가지고 있고, 케이싱 (110) 의 내부에 설치된 LED (133) 로부터의 출사광을 투과하여 발광함으로써, 각 조작체 (124) 의 위치나 기능의 판별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베젤 (126) 은, 조작 패널 유닛 (120B) 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따라 조작 패널 유닛 (120B) 을 둘러싸는 부재이다. 베젤 (126) 은, 입체적 형상, 또는, 크롬 도금 표면 가공 등이 이루어져 있는 것에 의한 가식 기능을 가지고 있고, 스냅 피트 구조에 의해, 대좌부 (110B) 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케이싱 (110) 의 측면에 형성된 차입구 (도시 생략) 에 커넥터 (도시 생략) 가 접속됨으로써, 당해 커넥터 및 케이블을 개재하여, 차량에 탑재된 컨트롤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로써,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조작 노브 (122), 조작체 (124) 에 의한 스위치 조작에 따른 전기신호를, 컨트롤 유닛에 출력하여, 컨트롤 유닛에 파워 시트의 제어를 실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파워 시트 스위치 (100) 의 구성)
도 2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워 시트 스위치 (100) 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상방으로부터 순서대로, 조작 패널 유닛 (120A), 조작 패널 유닛 (120B), 케이싱 (110), 및 기판 유닛 (130) 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 (110) 은, 내부 공간 (110C) 을 갖고, 하방 측에 하부 개구를 갖는 용기상의 부재이다. 예를 들어, 케이싱 (110) 은, 수지 소재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1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싱 (110) 의 상면에 형성된 대좌부 (110A), 대좌부 (110B) 에는, 조작 패널 유닛 (120A, 120B) 이 설치된다.
내부 공간 (110C) 에는, 기판 유닛 (130) 이 수용된다. 기판 유닛 (130) 은, 평판상의 기판 (131) (청구항에 기재된 「기판」의 일례) 에 복수의 전자 부품 (예를 들어, 스위치 (135, 136), LED (133, 134) 등) 이 실장되어 구성되어 있다. 기판 (131) 상에 실장되는 각 스위치 (135, 136) 는, 케이싱 (110) 의 대좌부 (110A, 110B) 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 대응하는 조작 노브 (122), 조작체 (124) 와 접속함으로써, 조작 노브 (122), 조작체 (124) 에 의한 스위치 조작이 가능해진다.
기판 (131) 의 표면은, 전역에 걸쳐 러버 시트 (132) 에 의해 덮여 있어, 방수성이 높아져 있다. 또한, 케이싱 (110) 의 하부 개구는, 도시를 생략하는 언더 패널이 장착됨으로써 폐색된다.
(기판 (131) 의 구성)
도 3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워 시트 스위치 (100) 가 구비하는 기판 (131)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131) 은, 복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는 평판상의 부재이다. 예를 들어, 기판 (131) 에는, 유리 에폭시 등의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PWB (Printed Wiring Board) 가 사용된다. 기판 (131) 의 표면에는, 복수의 LED (133), 복수의 LED (134), 복수의 스위치 (135), 및 복수의 스위치 (136) 가 실장된다. 또한, 도 3 에서는, 기판 (131) 의 표면 상에 있어서의 LED (133, 134) 및 스위치 (135, 136) 의 배치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기판 (131) 의 표면 상에 실장되는 일부의 부품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복수의 LED (133) 는, 각 조작체 (124) 의 하측에 배치된다. 각 LED (133) 는, 「발광체」의 일례이며, 조작체 (124) 에 형성된 발광부 (124A) 에 대해 하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함으로써, 발광부 (124A) 를 발광시킨다. 복수의 LED (134) 는, 조작 패널 (121) 의 하측에 배치된다. 각 LED (134) 는, 조작 패널 (121) 에 형성된 발광부 (123) 에 대해 광을 조사함으로써, 발광부 (123) 를 발광시킨다.
복수의 스위치 (135) 는, 각 조작체 (124) 의 하측에 배치된다. 각 스위치 (135) 는, 각 조작체 (124) 의 스위치 조작에 연동하여, 파워 시트의 조정값을 사용자별로 기억 및 호출하기 위한 스위치 동작을 실시한다. 복수의 스위치 (136) 는, 조작 패널 (121) 의 하측에 배치된다. 각 스위치 (136) 는, 조작 노브 (122) 의 스위치 조작에 연동하여, 파워 시트의 각종 조정을 실시하기 위한 스위치 동작을 실시한다.
기판 (131) 의 표면은, 각 전자 부품이 실장된 상태에서, 전역에 걸쳐 러버 시트 (132) 에 의해 덮인다. 러버 시트 (132) 는, 청구항에 기재된 「탄성 시트」의 일례이며, 가요성을 갖는 시트상의 부재이다. 예를 들어, 러버 시트 (132) 는,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 소재가 프레스 성형됨으로써 형성된다. 러버 시트 (132) 는, 상방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기판 (131) 과 대략 동일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로써, 러버 시트 (132) 는, 기판 (131) 의 표면을 전역에 걸쳐 덮을 수 있다. 기판 (131) 은, 러버 시트 (132) 에 의해 덮임으로써, 방수성이 높아진다. 또한, 러버 시트 (132) 는, 광 투과성을 갖는 탄성 소재로 형성된다. 이로써, 러버 시트 (132) 는, LED (133, 134) 를 덮은 상태에서, LED (133, 134) 로부터의 출사광을 상방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러버 시트 (132) 는, 각 LED (133, 134) 와 겹치는 위치에, 상방으로 돌출된 볼록상부 (132A) 가 일체 형성되어 있고, 볼록상부 (132A) 의 하측이 개구된 공간 내에, 각 LED (133, 134) 를 수용한 상태에서, 볼록상부 (132A) 의 표면으로부터 LED (133, 134) 의 광을 상방으로 출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러버 시트 (132) 는, 각 스위치 (135, 136) 와 겹치는 위치에, 상방으로 돌출된 볼록상부 (132B) 를 가지고 있고, 볼록상부 (132B) 의 하측이 개구된 공간 내에, 각 스위치 (135, 136) 가 수용되어 있다. 각 스위치 (135, 136) 는, 조작 노브 (122), 조작체 (124) 의 조작에 수반하여, 볼록상부 (132B) 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파워 시트 스위치 (100) 의 광 누출 억제 구조)
이하, 파워 시트 스위치 (100) 의 광 누출 억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워 시트 스위치 (100) 에 있어서의 베젤 (126) 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베젤 (126) 은, 이른바 스냅 피트 구조를 사용하여, 대좌부 (110B) 에 대해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젤 (126) 의 측면에는, 하방으로 수하한 훅 (126A) 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대좌부 (110B) 의 측면에는, 걸어맞춤 클로 (110D) 가 형성되어 있다. 훅 (126A) 은, 걸어맞춤 클로 (110D) 의 형상에 대응한 방향 측으로 확대된 상태로 끼워넣어지고, 걸어맞춤 클로 (110D) 와 걸어맞춤한다. 이로써, 베젤 (126) 은, 케이싱 (110) 의 상방의 측에 형성된 대좌부 (110B) 에 대해 고정적 또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베젤 (125) 도 동일한 스냅 피트 구조를 사용하여, 대좌부 (110A) 에 대해 장착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 (110) 의 표면에 있어서, 걸어맞춤 클로 (110D) 의 바로 밑의 위치에는, 관통공 (110E) (청구항에 기재된 「관통공」의 일례) 이 형성되어 있다. 즉, 걸어맞춤 클로 (110D) 는, 관통공 (110E) 에 대응하여, 관통공 (110E) 의 상방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110E) 은, 케이싱 (110) 의 상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해, 내부 공간 (110C) 내에 통하는 것이다. 관통공 (110E) 은, 걸어맞춤 클로 (110D) 를 형성할 때에, 걸어맞춤 클로 (110D) 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을 하방으로 인발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 관통공 (110E) 은, LED (133, 134) 로부터 발산된 광을 외부로 누출시켜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관통공 (110E) 으로부터의 광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광 누출 억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베젤 (125, 126) 은, 외주 가장자리부를 따른 복수 지점에서, 스냅 피트 구조에 의해 대좌부 (110A, 110B) 에 고정된다. 즉, 케이싱 (110) 의 상부에는, 대좌부 (110A, 110B) 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따라, 복수 지점에 관통공 (110E)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복수의 관통공 (110E) 의 각각에 대해, 광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광 누출 억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5 는, 도 1 에 나타내는 파워 시트 스위치 (100) 의 A-A 단면도이며, 파워 시트 스위치 (100) 의 광 누출 억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내는 파워 시트 스위치 (100) 의 광 누출 억제 구조를 간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 (110) 의 상벽부에 있어서의 내부 공간 (110C) 측에는, 관통공 (110E) 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관통공 (110E) 을 둘러싸는 통상의 통부 (110F) 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내부 공간 (110C) 내를 도광하는 광을, 관통공 (110E) 에 진입하지 않도록 통부 (110F) 에 의해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관통공 (110E) 으로부터의 광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파워 시트 스위치 (100) 에서는, 통부 (110F) 의 하단부가 러버 시트 (132) 의 표면에 근접하고 있지만, 치수 오차를 고려해, 통부 (110F) 의 하단부를 러버 시트 (132) 의 표면에 맞닿게 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통부 (110F) 의 하단부를 러버 시트 (132) 의 표면에 맞닿게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로써, 내부 공간 (110C) 내를 도광하는 광의 관통공 (110E) 에의 진입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러버 시트 (132) 의 표면에 있어서의 관통공 (110E) 과 볼록상부 (132A) 사이에는, 수직으로 세워 형성된 벽부 (132C) 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LED (133, 134) 로부터 출사되어 관통공 (110E) 을 향해 내부 공간 (110C) 내를 도광하는 광을, 관통공 (110E) 의 주위로 진입하지 않도록 벽부 (132C) 에 의해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관통공 (110E) 으로부터의 광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파워 시트 스위치 (100) 에서는, 벽부 (132C) 의 상단부가 케이싱 (110) 의 상벽부에 근접하고 있지만, 치수 오차를 고려해, 벽부 (132C) 의 상단부를 케이싱 (110) 의 상벽부에 맞닿게 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벽부 (132C) 의 상단부를 케이싱 (110) 의 상벽부에 맞닿게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로써, 내부 공간 (110C) 내를 도광하는 광의 관통공 (110E) 의 주위에의 진입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러버 시트 (132) 에 있어서의 관통공 (110E) 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경면부 (132D) (청구항에 기재된 「경면부」의 일례) 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러버 시트 (132) 에 있어서의 관통공 (110E) 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러버 시트 (132) 의 상면 (관통공 (110E) 측의 표면) 및 하면 (기판 (131) 측의 표면) 의 각각에, 경면부 (132D) 가 형성되어 있다.
러버 시트 (132) 의 상면에 형성된 경면부 (132D) 는, LED (133, 134) 로부터 출사되어 러버 시트 (132) 의 내부를 도광하는 광을, 전반사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당해 경면부 (132D) 의 형성 위치에 있어서, 러버 시트 (132) 의 내부를 도광하는 광이 러버 시트 (132) 의 상면에서 굴절하여, 러버 시트 (132) 의 상면으로부터 출사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러버 시트 (132) 의 하면에 형성된 경면부 (132D) 는, LED (133, 134) 로부터 출사되어 러버 시트 (132) 의 내부를 도광하는 광을, 전반사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당해 경면부 (132D) 의 형성 위치에 있어서, 러버 시트 (132) 의 내부를 도광하는 광이 러버 시트 (132) 의 하면에서 산란하여, 러버 시트 (132) 의 상면으로부터 출사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경면부 (132D) 는, 적어도, 상방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관통공 (110E) 과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고, 또한, 관통공 (110E) 의 전체를 포함하는 형상 및 사이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러버 시트 (132) 의 표면에 있어서, 경면부 (132D) 이외의 평면 부분 (경면부 (132D) 와 볼록상부 (132A) 사이를 포함한다) 은, 텍스처 가공 (청구항에 기재된 「조면부」의 일례) 이 실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경면부 (132D) 는, 러버 시트 (132) 를 프레스 성형하기 위한 금형에 대해, 텍스처 가공을 위한 요철을 부분적으로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경면부 (132D) 는, 텍스처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부분과 비교해, 금형의 이형성은 낮아지지만, 본 실시형태의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러버 시트 (132) 의 표면에 대해, 부분적으로 경면부 (132D) 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러버 시트 (132) 의 표면에 대해 전체적으로 경면 가공을 실시하는 구성과 비교하면, 금형의 이형성이 높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러버 시트 (132) 의 볼록상부 (132A) 의 표면에도 경면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각 LED (133, 134) 로부터 출사된 광을, 볼록상부 (132A) 의 표면에 있어서 산란시키는 일 없이, 볼록상부 (132A) 의 상방으로 출사시켜, 조사 대상 (발광부 (123, 124A)) 으로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볼록상부 (132A) 로부터 관통공 (110E) 을 향하는 광의 광량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관통공 (110E) 으로부터의 광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러버 시트 (132) 의 볼록상부 (132A) 의 표면은, 매우 얇은 박막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로써, 상방으로의 광 투과율이 보다 높아져 있다.
또한, 상기한 광 누출 억제 구조의 각 구성부 (통부 (110F), 벽부 (132C), 경면부 (132D), 및 볼록상부 (132A)) 는, 모두, 러버 시트 (132) 또는 케이싱 (110) 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러버 시트 (132) 또는 케이싱 (110) 에 대한 장착 작업은 불필요하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조립 용이성이 높아진 것으로 되어 있다.
(러버 시트 (132) 의 표면 구성)
도 7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워 시트 스위치 (100) 가 구비하는 러버 시트 (132) 의 표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에서는, 러버 시트 (132) 의 상면의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러버 시트 (132) 의 상면에는, 케이싱 (110) 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 (110E) 의 각각과 대응하는 복수의 부분의 각각에, 경면부 (132D) 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복수의 관통공 (110E) 의 각각에 대해, 러버 시트 (132) 내를 도광하는 광이 당해 관통공 (110E) 으로부터 누출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러버 시트 (132) 에 있어서, 복수의 관통공 (110E) 의 각각과 대응하는 복수의 부분의 각각에는, 상면 (관통공 (110E) 측의 표면) 뿐만 아니라 하면 (기판 (131) 측의 표면) 에도, 경면부 (132D) 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복수의 관통공 (110E) 의 각각에 대해, 러버 시트 (132) 내를 도광하는 광이, 러버 시트 (132) 의 하면에서 산란하고, 산란광의 일부가 러버 시트 (132) 의 상면으로부터 출사하여, 관통공 (110E) 으로부터 누출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러버 시트 (132) 의 상면에 있어서, 복수의 LED (133, 134) 의 각각을 덮는 복수의 부분의 각각에, 볼록상부 (132A) 가 형성되어 있다. 각 볼록상부 (132A) 의 표면은, 경면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복수의 LED (133, 134) 의 각각에 대해, 볼록상부 (132A) 의 표면에 의한 출사광의 산란을 억제하여, 볼록상부 (132A) 로부터 관통공 (110E) 을 향하는 광의 광량을 억제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관통공 (110E) 으로부터의 광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러버 시트 (132) 의 상면에는, 경면부 (132D) 와 볼록상부 (132A) 의 사이가 되는 복수의 위치의 각각에, 수직으로 세워 형성된 벽부 (132C) 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볼록상부 (132A) 로부터 관통공 (110E) 의 주위를 향하는 광을 벽부 (132C) 에 의해 차단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관통공 (110E) 으로부터의 광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러버 시트 (132) 에 있어서의 관통공 (110E) 과 대응하는 부분의 표면에, 내부를 도광하는 광을 전반사하는 경면부 (132D) 를 갖는다. 이로써,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러버 시트 (132) 의 내부를 도광하는 광이, 관통공 (110E) 과 대응하는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출사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워 시트 스위치 (100) 에 의하면, 관통공 (110E) 으로부터의 광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러버 시트 (132) 에 있어서의 관통공 (110E) 과 대응하는 부분의 상면 및 하면의 각각에, 경면부 (132D) 를 갖는다. 이로써,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러버 시트 (132) 의 내부를 도광하는 광이, 관통공 (110E) 과 대응하는 부분의 상면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출사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관통공 (110E) 과 대응하는 부분의 하면에서 산란하고, 그 산란광이 관통공 (110E) 과 대응하는 부분의 상면으로부터 출사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워 시트 스위치 (100) 에 의하면, 관통공 (110E) 으로부터의 광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러버 시트 (132) 의 표면에 있어서의, 경면부 (132D) 를 제외한 부분에, 경면부 (132D) 보다 반사율이 작은 조면부의 일례인 텍스처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이로써,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경면부 (132D) 에 의한 광 누출 억제 효과를 저해하는 일 없이, 러버 시트 (132) 의 금형으로부터의 이형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러버 시트 (132) 에 있어서의 볼록상부 (132A) 에, 하방 측으로부터 상방 측을 향해 LED (133, 134) 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저손실로 관통시키는 경면 가공 (청구항에 기재된 「광 투과부」의 일례) 이 실시되어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각 LED (133, 134) 로부터 출사된 광을, 볼록상부 (132A) 에 있어서 산란시키는 일 없이, 볼록상부 (132A) 의 상방으로 출사시키고, 발광부 (123, 124A) 로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파워 시트 스위치 (100) 에 의하면, 볼록상부 (132A) 로부터 관통공 (110E) 을 향하는 광의 광량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관통공 (110E) 으로부터의 광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케이싱 (110) 의 내부에, 관통공 (110E) 의 주위를 둘러싸고, 또한, 관통공 (110E) 으로부터 내부 공간 (110C) 측으로 연장되는 통부 (110F) 를 갖는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케이싱 (110) 의 내부를 도광하는 광을, 관통공 (110E) 에 진입하지 않도록 통부 (110F) 에 의해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파워 시트 스위치 (100) 에 의하면, 관통공 (110E) 으로부터의 광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러버 시트 (132) 의 표면에 있어서의 관통공 (110E) 에 대응하는 위치와 LED (133, 134) 에 대응하는 위치 사이에 세워 형성된 벽부 (132C) 를 갖는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LED (133, 134) 로부터 관통공 (110E) 의 주위를 향하는 광을 벽부 (132C) 에 의해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파워 시트 스위치 (100) 에 의하면, 관통공 (110E) 으로부터의 광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러버 시트 (132) 에 있어서의 경면부 (132D) 와 LED (133, 134) 를 덮는 볼록상부 (132A) 사이에, 텍스처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파워 시트 스위치 (100) 는, 광 누출 억제 효과를 저해하는 일 없이, 러버 시트 (132) 의 금형으로부터의 이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파워 시트 스위치에 적용한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적어도 케이싱의 내부에서 발광체를 발광시키는 구성을 채용한 것이면, 어떤 장치 및 어떤 스위치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러버 시트의 관통공과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 상면 및 하면의 양방에 경면부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러버 시트의 관통공과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 상면만 경면부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광 누출 억제 구조의 대상으로 하는 관통공을, 스냅 피트 구조의 걸어맞춤 클로를 형성하기 위한 관통공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광 누출 억제 구조의 대상으로 하는 관통공은, 케이싱에 형성된 어떠한 관통공이어도 된다.
본 국제 출원은, 2018년 12월 13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18-233636호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당해 출원의 전체 내용을 본 국제 출원에 원용한다.
100 : 파워 시트 스위치 (장치, 조작 장치)
110 : 케이싱
110A, 110B : 대좌부
110C : 내부 공간
110D : 걸어맞춤 클로
110E : 관통공
110F : 통부
131 : 기판
132 : 러버 시트 (탄성 시트)
132A : 볼록상부 (발광체를 덮는 부분)
132B : 볼록상부
132C : 벽부
132D : 경면부
133, 134 : LED (발광체)

Claims (9)

  1.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방의 측에 실장된 발광체와,
    상기 기판의 일방의 측과 상기 발광체를 덮고, 상기 발광체로부터의 광을 도광하는 탄성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기판의 일방의 측에 대응하여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시트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부분의 표면에, 그 내부를 통과하는 광을 전반사시키기 위한 경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면부는, 상기 탄성 시트의 일방의 측의 표면, 및, 타방의 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시트는,
    상기 경면부를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경면부보다 반사율이 작은 조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시트는,
    상기 발광체를 덮는 부분에는, 상기 발광체로부터의 광을, 상기 탄성 시트의 타방의 측으로부터 일방의 측으로 저손실로 투과시키기 위한 광 투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관통공의 주위를 둘러싸고, 또한, 상기 기판의 일방의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통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시트는,
    상기 경면부와 상기 발광체를 덮는 부분 사이에 일방을 향하여 세워 형성된 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형성된 걸어맞춤 클로와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케이싱의 일방의 측에 장착되는 장착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 클로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여, 상기 관통공의 일방의 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시트에는, 상기 경면부와 상기 발광체를 덮는 부분 사이에, 상기 조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차량의 파워 시트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장치로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방의 측에 실장된 발광체와,
    상기 기판의 일방의 측과 상기 발광체를 덮고, 상기 발광체로부터의 광을 도광하는 탄성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기판의 일방의 측에 대응하여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시트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부분의 표면에, 그 내부를 통과하는 광을 전반사시키기 위한 경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KR1020217012001A 2018-12-13 2019-11-06 장치 및 조작 장치 KR102537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33636 2018-12-13
JPJP-P-2018-233636 2018-12-13
PCT/JP2019/043403 WO2020121688A1 (ja) 2018-12-13 2019-11-06 装置および操作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387A true KR20210063387A (ko) 2021-06-01
KR102537647B1 KR102537647B1 (ko) 2023-05-26

Family

ID=71076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001A KR102537647B1 (ko) 2018-12-13 2019-11-06 장치 및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54754B2 (ko)
JP (1) JP7253569B2 (ko)
KR (1) KR102537647B1 (ko)
CN (1) CN113168982B (ko)
DE (1) DE112019006167T5 (ko)
WO (1) WO2020121688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3975A (en) * 1979-12-07 1982-08-10 Shin-Etsu Polymer Co., Ltd. Key board switch unit with illumination
JP2001155576A (ja) * 1999-11-26 2001-06-08 Shin Etsu Polymer Co Ltd 照光式押釦スイッチ用部材
JP2007080763A (ja) 2005-09-16 2007-03-29 Shin Etsu Polymer Co Ltd 照光式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63388A (ko) * 2018-12-12 2021-06-01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장치 및 스위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4414A (ja) * 1987-11-20 1989-06-16 Fuji Rubber Kk 照光式接点ゴムの製造法
JPH11306898A (ja) * 1998-04-20 1999-11-0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 Ltd スイッチユニットの光漏れ防止構造
JP2002352656A (ja) * 2001-05-25 2002-12-06 Fujitsu I-Network Systems Ltd キースイッチ
JP2007188683A (ja) * 2006-01-11 2007-07-26 Funai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CN201022058Y (zh) 2006-11-24 2008-02-13 毅嘉科技股份有限公司 透光式键盘结构
JP2008186674A (ja) * 2007-01-29 2008-08-14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用可動接点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US8334794B2 (en) * 2008-10-16 2012-12-18 Alps Electric Co., Ltd. Input device and keyboard device having illumination function
JP5324972B2 (ja) * 2009-03-25 2013-10-23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スイッチモジュール
JP4888524B2 (ja) * 2009-06-10 2012-02-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押ボタンスイッチ装置及びミシン
JP2011204766A (ja) * 2010-03-24 2011-10-13 Stanley Electric Co Ltd 発光装置
JP2012114031A (ja) * 2010-11-26 2012-06-14 Shin Etsu Polymer Co Ltd 照光式押釦スイッチ用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057597B2 (ja) * 2010-11-30 2012-10-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13134359A (ja) 2011-12-26 2013-07-08 Nikon Corp 操作ユニット、表示ユニット、電子機器および表示ユニットの制御プログラム
TWI478195B (zh) 2012-12-19 2015-03-21 Primax Electronics Ltd 發光鍵盤
TW201501161A (zh) * 2013-06-17 2015-01-01 Primax Electronics Ltd 發光鍵盤裝置
JP6066080B2 (ja) * 2013-08-30 2017-01-25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2016134324A (ja) 2015-01-21 2016-07-2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3975A (en) * 1979-12-07 1982-08-10 Shin-Etsu Polymer Co., Ltd. Key board switch unit with illumination
JP2001155576A (ja) * 1999-11-26 2001-06-08 Shin Etsu Polymer Co Ltd 照光式押釦スイッチ用部材
JP2007080763A (ja) 2005-09-16 2007-03-29 Shin Etsu Polymer Co Ltd 照光式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63388A (ko) * 2018-12-12 2021-06-01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장치 및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47558A1 (en) 2021-08-12
WO2020121688A1 (ja) 2020-06-18
CN113168982A (zh) 2021-07-23
US11454754B2 (en) 2022-09-27
JP7253569B2 (ja) 2023-04-06
KR102537647B1 (ko) 2023-05-26
DE112019006167T5 (de) 2021-09-02
CN113168982B (zh) 2024-02-13
JPWO2020121688A1 (ja)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6914B2 (en) Light source unit assembly
US7129432B2 (en) Lighted switch unit
JP5282133B2 (ja) 車両用照明装置
US20130163226A1 (en) Light-emitting knob mechanism and an audio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JP6114091B2 (ja) 乗物用照明装置
US9837228B2 (en) Illuminated keyboard with optical switch
JP2015098707A (ja) ドアハンドル
JP2015098706A (ja) ドアハンドル
KR20210063387A (ko) 장치 및 조작 장치
JP6766789B2 (ja) バックドアハンドル装置
JP6769339B2 (ja) 表示装置
JP7356594B2 (ja) 表示装置
JP6779713B2 (ja) 車載アンテナ装置
JP4889547B2 (ja) 操作スイッチ
JP4768062B2 (ja) 自動車の室内照明装置
TWI571770B (zh) 發光鍵盤
JP7115103B2 (ja) Etcアンテナ
CN110195831A (zh) 照明装置
JP2836582B2 (ja) キー入力装置
JP2019189151A (ja) 乗物用照明装置
JP3235195U (ja) 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
JP7049479B2 (ja) 照光式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008021512A (ja) スイッチパネル装置
TWI430306B (zh) 開關模組、應用其之電子裝置及其製造方法
JP2009166725A (ja) ミラー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