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346A - 광 파이버 절단 장치 및 광 파이버 절단 방법 - Google Patents

광 파이버 절단 장치 및 광 파이버 절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346A
KR20210063346A KR1020217008773A KR20217008773A KR20210063346A KR 20210063346 A KR20210063346 A KR 20210063346A KR 1020217008773 A KR1020217008773 A KR 1020217008773A KR 20217008773 A KR20217008773 A KR 20217008773A KR 20210063346 A KR20210063346 A KR 20210063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blade
blade member
retracting
cu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8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스케 구리노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63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3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Preparing the ends of light guides for coupling, e.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4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 B26D1/1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with vertical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26D5/22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mechanical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광 파이버 절단 장치는, 선단에 있어서 소정 길이의 유리 파이버 부분이 노출된 광 파이버가 탑재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와의 사이에서 광 파이버를 고정하는 커버 부재와, 고정된 광 파이버의 유리 파이버 부분을 가상하는 칼날 부재와, 가상된 부분에 있어서 상기 유리 파이버 부분을 파단시키는 파단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광 파이버 절단 장치는 또한, 칼날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광 파이버의 파단 단부를 이동시키는 퇴피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광 파이버 절단 장치 및 광 파이버 절단 방법
본 개시는 광 파이버 절단 장치 및 광 파이버 절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8년 9월 27일 출원된 일본 출원 제 2018-181495 호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일본 출원에 기재된 모든 기재 내용을 원용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은 광 파이버의 외주면에 가상(scratching) 가능한 칼날과, 광 파이버를 가압하여 가상 부분으로부터 파단시키는 가압구를 구비한 광 파이버 절단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광 파이버 절단기는, 광 파이버에 상처를 낸 칼날이 역방향으로 이동되어 다시 광 파이버에 상처를 내는 것을 저지하는 역주(reverse-running) 방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는 광 파이버를 한쌍의 클램프에 의해 고정한 후, 한쌍의 클램프 사이에 마련된 절단 칼날에 대해 광 파이버 가압 부재에 의해 광 파이버를 가압하여 절단하는 광 파이버 절단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광 파이버 절단 장치에 있어서는, 절단 칼날을 칼날대(blade base)에 형성한 절단 칼날 장착 홈에 매립하도록 압입하여 고정하고, 절단 칼날의 칼날끝 부분만을 칼날대로부터 돌출시키고 있다. 칼날대에는, 절단 후의 광 파이버의 절단 단부를 받는 받이부가 마련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089035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11-131360 호 공보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개시의 광 파이버 절단 장치는,
선단에 있어서 소정 길이의 유리 파이버 부분이 노출된 광 파이버가 탑재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광 파이버를 고정하는 커버 부재와,
고정된 상기 유리 파이버 부분을 가상하는 칼날 부재와,
가상된 부분에 있어서 상기 유리 파이버 부분을 파단시키는 파단 부재와,
상기 칼날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상기 광 파이버의 파단 단부를 이동시키는 퇴피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광 파이버 절단 방법은,
선단에 있어서 소정 길이의 유리 파이버 부분이 노출된 광 파이버를 고정하는 단계와,
고정된 상기 유리 파이버 부분을 칼날 부재에 의해 가상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한 부분에 있어서 상기 유리 파이버 부분을 파단시키는 단계와,
상기 광 파이버의 파단 단부를 상기 칼날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 파이버 절단 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 파이버 절단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광 파이버 절단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광 파이버 절단 장치가 구비하는 퇴피 부재를 칼날 부재 및 보지 부재 등과 함께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클램프 커버를 폐쇄한 상태의 광 파이버 절단 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상태의 광 파이버 절단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회동 레버의 이동에 연동된 퇴피 부재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이어서 회동 레버의 이동에 연동된 퇴피 부재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이어서 회동 레버의 이동에 연동된 퇴피 부재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이어서 회동 레버의 이동에 연동된 퇴피 부재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이어서 회동 레버의 이동에 연동된 퇴피 부재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특허문헌 1의 역주 방지 기구는 구조가 복잡하며, 다음의 광 파이버의 절단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역주 방지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공정이 별도로 필요하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광 파이버 절단 장치에 있어서는, 광 파이버가 절단된 후의 공정이 개시되어 있지 않기는 하지만, 광 파이버 가압 부재를 퇴피시켰을 때에 광 파이버의 절단 단부가 절단 칼날에 다시 접촉하여, 상기 절단 단부에 상처가 나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개시는 간편한 구성으로, 광 파이버의 절단 후에 상기 광 파이버의 파단면이나 그 근방에 상처가 나 버리는 것을 방지 가능한 광 파이버 절단 장치 및 광 파이버 절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효과]
본 개시에 의하면, 간편한 구성으로 광 파이버의 절단 후에 상기 광 파이버의 파단면이나 그 근방에 상처가 나 버리는 것을 방지 가능한 광 파이버 절단 장치 및 광 파이버 절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설명]
최초에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내용을 열기하여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 파이버 절단 장치는,
(1) 선단에 있어서 소정 길이의 유리 파이버 부분이 노출된 광 파이버가 탑재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광 파이버를 고정하는 커버 부재와,
고정된 상기 유리 파이버 부분을 가상하는 칼날 부재와,
가상된 부분에 있어서 상기 유리 파이버 부분을 파단시키는 파단 부재와,
상기 칼날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상기 광 파이버의 파단 단부를 이동시키는 퇴피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본 개시의 구성에 의하면, 퇴피 부재를 이용하여, 광 파이버를 가상한 후의 칼날 부재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광 파이버의 파단 단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간편한 구성으로 광 파이버의 절단 후에 상기 광 파이버의 파단 단부(파단면이나 그 근방)에 상처가 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상기 퇴피 부재는 상기 칼날 부재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파단 단부를 이동시켜도 좋다.
본 개시의 구성에 의하면, 광 파이버의 절단이 완료되고, 다음의 광 파이버의 절단을 개시할 때까지의 일련의 작업 공정에 있어서 퇴피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3) 상기 퇴피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파단 단부를 이동시켜도 좋다.
본 개시의 구성에 의하면, 광 파이버의 절단이 완료되고, 다음의 광 파이버의 절단을 개시할 때까지의 일련의 작업 공정에 있어서 퇴피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4) 상기 칼날 부재는 원호를 따라서 이동하여도 좋다.
본 개시의 구성에 의하면, 원호를 따라서 이동하는 칼날 부재로부터, 광 파이버를 퇴피시킬 수 있다.
(5) 상기 칼날 부재는, 상기 광 파이버의 상기 유리 파이버 부분이 존재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퇴피 부재는, 상기 원호를 따라서 이동하는 상기 칼날 부재가 통과하는 영역보다 상기 원호의 중심에 대해 보다 이격된 위치에 상기 파단 단부를 이동시켜도 좋다.
본 개시의 구성에 의하면, 원호를 따라서 이동하는 칼날 부재로부터, 간편하게 광 파이버를 퇴피시킬 수 있다.
(6) 상기 칼날 부재는 직선을 따라서 이동하여도 좋다.
본 개시의 구성에 의하면, 직선을 따라서 이동하는 칼날 부재로부터 광 파이버를 퇴피시킬 수 있다.
(7) 광 파이버 절단 장치는, 상기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칼날 부재를 보지하는 보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퇴피 부재는 상기 보지 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퇴피 부재와 상기 보지 부재 사이에는, 상기 퇴피 부재를 부세하는 부세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퇴피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서 고정된 상기 광 파이버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퇴피 부재는 상기 부세 부재에 의해 부세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서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기 광 파이버를 상기 칼날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켜도 좋다.
본 개시의 구성에 의하면, 칼날 부재가 광 파이버를 가상할 때에는 퇴피 부재가 칼날 부재의 움직임의 방해가 되는 일이 없으며, 광 파이버의 파단 후에는 퇴피 부재가 광 파이버를 칼날 부재의 이동 경로로부터 퇴피 가능한 구성을 간편하게 실현할 수 있다.
(8) 상기 퇴피 부재는, 상기 광 파이버를 그 길이방향 중심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파단 단부를 상기 칼날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켜도 좋다.
본 개시의 구성에 의하면, 간편한 구성에 의해, 광 파이버 절단 후의 칼날 부재의 이동 경로로부터 광 파이버를 퇴피시킬 수 있다.
(9) 상기 퇴피 부재는, 상기 광 파이버를 그 길이방향 중심축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파단 단부를 상기 칼날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켜도 좋다.
본 개시의 구성에 의하면, 간편한 구성에 의해, 광 파이버 절단 후의 칼날 부재의 이동 경로로부터 광 파이버를 퇴피시킬 수 있다.
(10)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 파이버 절단 방법은,
선단에 있어서 소정 길이의 유리 파이버 부분이 노출된 광 파이버를 고정하는 단계와,
고정된 상기 유리 파이버 부분을 칼날 부재에 의해 가상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한 부분에 있어서 상기 유리 파이버 부분을 파단시키는 단계와,
상기 광 파이버의 파단 단부를 상기 칼날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방법에 의하면, 퇴피 부재를 이용하여, 광 파이버를 가상한 후의 칼날 부재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광 파이버의 파단 단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간편한 구성으로 광 파이버의 절단 후에 상기 광 파이버의 파단 단부(파단면이나 그 근방)에 상처가 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1) 상기 광 파이버를 고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퇴피 부재를 상기 광 파이버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파단 단부를 이동시키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퇴피 부재를 이동하여 상기 광 파이버와 접촉시키고, 상기 파단 단부를 상기 칼날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켜도 좋다.
본 개시의 방법에 의하면, 칼날 부재가 광 파이버를 가상할 때에는 퇴피 부재가 칼날 부재의 움직임의 방해가 되는 일이 없이, 광 파이버의 파단 후에는 퇴피 부재가 광 파이버를 칼날 부재의 이동 경로로부터 퇴피 가능한 구성을 간편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상세)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 파이버 절단 장치와 그것에 장착되는 홀더의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광 파이버 절단 장치의 정면도이다.
광 파이버 절단 장치(1)는 본체부(10)와, 클램프 커버(2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0)는 홀더 고정부(11)와, 하부 고정 부재(12)와, 파이버 위치결정부(13)와, 칼날 부재(14)와, 보지 부재(15)와, 퇴피 부재(50)를 갖고 있다. 클램프 커버(20)는 아암 부재(21)와, 회동 부재(22)와, 상부 고정 부재(23)와, 장착 부재(24)와, 레버 가압부(25)와, 파단 부재(26)를 갖고 있다. 본체부(10)의 하부 고정 부재(12)와, 클램프 커버(20)의 상부 고정 부재(23)에 의해 광 파이버(100)(도 4 참조)의 유리 파이버 부분을 클램프하는 클램프부가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10)는 또한, 천장판부(10A)와, 바닥판부(10B)와, 천장판부(10A)와 바닥판부(10B)를 연결하는 기둥부(10C)를 구비하고 있다. 천장판부(10A)의 상면(10A1)에는 홀더 고정부(11)가 마련되어 있다. 홀더 고정부(11)는 광 파이버(100)를 그 보호 피복의 부분에서 보지하는 홀더(30)를 고정하기 위해서 오목형상으로 형성된 부위이다. 홀더(30)는 일 예로서, 그 상면에 외경이 상이한 복수종의 광 파이버를 수용 가능한 파이버 수용 홈(31)이 마련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천장판부(10A)의 상면(10A1)에 있어서 클램프 커버(20)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하부 고정 부재(12)가 고정되어 있다. 하부 고정 부재(12)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하부 클램프부(12A, 12B)를 구비하고 있다. 각 하부 클램프부(12A, 12B)는, 금속제의 대의 상면에 고무재가 끼워지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하부 클램프부(12A, 12B)는, 상기 고무재의 상면(이하, 클램프 면(12P)으로 함)에 광 파이버(100)의 유리 파이버 부분이 탑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한쌍의 하부 클램프부(12A, 12B)는 후술하는 한쌍의 상부 고정 부재(23)와 대향하며, 클램프 커버(20)를 폐쇄하는 것에 의해 광 파이버(100)의 유리 파이버 부분을 사이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하부 고정 부재(12) 중 홀더 고정부(11)와는 반대측에 배치된 하부 클램프부(12B)의 외측에는 파이버 위치결정부(13)가 마련되어 있다. 파이버 위치결정부(13)는 천장판부(10A)의 상면(10A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부재이다. 파이버 위치결정부(13)의 중앙부에는, 광 파이버(100)의 유리 파이버 부분이 수용되는 가이드 홈(13A)이 마련되어 있다. 광 파이버(100)는 선단에 있어서 소정 길이의 유리 파이버 부분이 노출되어 있다. 광 파이버(100)의 보호 피복 부분이 홀더(30)의 파이버 수용 홈(31)에 수용되고, 노출된 유리 파이버 부분이 하부 클램프부(12A, 12B)에 탑재되며, 또한, 유리 파이버 부분의 선단측이 파이버 위치결정부(13)의 가이드 홈(13A)에 수용된다. 이에 의해, 광 파이버(100)가 천장판부(10A) 위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다.
한쌍의 하부 클램프부(12A, 12B) 사이에는, 노출 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 노출 구멍(16)으로부터 칼날 부재(14)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칼날 부재(14)는 원판의 주위에 칼날이 형성된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칼날 부재(14)의 중앙에는 지지축(14A)이 마련되어 있다.
보지 부재(15)는 지지축(14A)을 거쳐서 칼날 부재(14)를 보지하는 부재이다. 보지 부재(15)는 칼날 보지부(41)와, 회동축(42)과, 회동 레버(43)와, 금속제의 환봉(44)을 갖고 있다. 보지 부재(15)의 칼날 보지부(41)에는, 칼날 부재(14)의 지지축(14A)이 장착되어 있다. 보지 부재(15)는 회동축(42)에 의해 본체부(10)의 기둥부(10C)에 장착되어 있다. 회동 레버(43)는 칼날 보지부(41)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회동 레버(43)가 상하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보지 부재(15)는 회동축(42)을 중심으로 본체부(10)의 기둥부(10C)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회동 레버(43)의 이동에 의해, 칼날 보지부(41)에 장착된 칼날 부재(14)가 회동축(42)을 중심으로 원호를 따라서 이동된다(원호 운동함). 환봉(44)은 회동 레버(43)의 칼날 보지부(41)측의 영역에 있어서, 홀더(30)에 보지되는 광 파이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회동 레버(43)로부터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4는 퇴피 부재(50)를 칼날 부재(14) 및 보지 부재(15)나 상하의 고정 부재(12, 23)와 함께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퇴피 부재(50)는 칼날 부재(14)의 후면측에 있어서, 보지 부재(15)의 칼날 보지부(41)에 장착되어 있다. 퇴피 부재(50)는 회전축(52)을 갖는 베어링부(51)와, 아암부(53)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52)은 예를 들면, 칼날 보지부(41)의 우측 단부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아암부(53)는 베어링부(51)의 상단으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방으로 돌출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아암부(53)는 칼날 보지부(41)에 대해, 회전축(5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퇴피 부재(50)와 칼날 보지부(41) 사이에는, 토션 스프링(55)(부세 부재의 일 예)이 마련되어 있다. 토션 코일 스프링(torsion coil spring)이라고도 불리는 토션 스프링(55)은 코일부(56)와, 코일부(56)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1 아암부(57)와, 코일부(56)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2 아암부(58)를 구비하고 있다. 코일부(56)는 퇴피 부재(50)의 회전축(52)에 외측 삽입되어 있다. 제 1 아암부(57)는 퇴피 부재(50)의 베어링부(51)에 고정되고, 제 2 아암부(58)는 칼날 보지부(41)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토션 스프링(55)은 아암부(53)에 있어서 베어링부(51)에 접속된 측의 단부(도 4에 있어서의 아암부(53)의 우측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도 4에 있어서의 아암부(53)의 좌측 단부)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회전축(52)을 부세한다. 즉, 토션 스프링(55)은 회전축(5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부세한다. 이와 같은 토션 스프링(55)의 부세력에 의해, 도 4에 도시하는 상태(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아암부(53)의 상면이 칼날 부재(14) 상연부보다 약간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부세된 아암부(53)를 클램프 커버(20)에 마련된 후술의 돌기부(27)에 의해 가압하는 것에 의해, 토션 스프링(55)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아암부(53)가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와 같이, 퇴피 부재(50)의 아암부(53)는 클램프 커버(20)의 움직임에 따라서, 칼날 보지부(41)와의 상대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클램프 커버(20)는 장척형상의 아암 부재(21)를 구비하고 있다. 아암 부재(21)는 본체부(10)의 천장판부(10A)에 있어서 하부 고정 부재(12), 파이버 위치결정부(13) 및 칼날 부재(14)가 배치된 영역을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아암 부재(21)는 본체부(10)에 회동 부재(22)를 거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아암 부재(21)의 이면측에는, 하부 고정 부재(12)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부 고정 부재(23)가 배치되어 있다. 상부 고정 부재(23)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상부 클램프부(23A, 23B)를 구비하고 있다. 한쌍의 상부 클램프부(23A, 23B)는 장착 부재(24)에 장착되어 있다. 장착 부재(24)는 회동 부재(22)를 거쳐서 회동 가능하게 천장판부(10A) 및 아암 부재(21)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장착 부재(24)는 아암 부재(21)에 마련된 긴 구멍(21A)에 삽입되는 돌기부(24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아암 부재(21)의 이면과 상부 고정 부재(23)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부 고정 부재(23)는 아암 부재(21)에 대해 긴 구멍(21A)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레버 가압부(25)는 아암 부재(21)의 회동 부재(22)가 마련된 부위와는 반대측에 있어서, 아암 부재(21)를 폐쇄한 상태에서 본체부(10)측을 향하여 아암 부재(21)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레버 가압부(25)는 아암 부재(21)를 폐쇄할 수 있도록 회동시켰을 때에, 보지 부재(15)의 회동 레버(43)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부 바닥이 폭넓은 사다리꼴(역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0)에 대해 클램프 커버(20)를 폐쇄했을 때에, 레버 가압부(25)에 의해 회동 레버(43)가 하방으로 가압되고, 칼날 부재(14)가 원호를 따라서 이동한다. 즉, 칼날 부재(14)가 원호 운동한다. 이 칼날 부재(14)의 원호 운동에 의해, 상하의 고정 부재(12, 23)로 고정된 광 파이버(100)의 유리 파이버 부분에 상처를 낼 수 있다.
상부 클램프부(23A, 23B) 사이에는, 칼날 부재(14)에 의해 유리 파이버 부분에 난 상처를 진전시켜 유리 파이버 부분을 파단시키기 위한 파단 부재(26)가 마련되어 있다. 파단 부재(26)는 장착 부재(24)에 고정된 부재이며, 상부 클램프부(23A, 23B)의 하면보다 약간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회동 레버(43)의 하방 이동에 근거하여 원호를 따라서 이동된 칼날 부재(14)에 의해 창상(가상)된 유리 파이버 부분을 가압하여, 상처를 진전시켜 파단시킬 수 있다. 파단 부재(26)는 일 예로서, 금속제의 대의 상면에 고무재가 끼워진 것이다. 파단 부재(26)로 상처를 진전시켜 파단하는 것에 의해, 유리 파이버 부분을, 칼날 부재(14)로 가상된 부위로부터 확실히 파단하여, 양호한 파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파단 부재(26)의 일단부에는, 장착 부재(24)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27)가 마련되어 있다. 돌기부(27)는 클램프 커버(20)가 본체부(10)에 대해 폐쇄되었을 때에, 칼날 보지부(4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퇴피 부재(50)의 아암부(53)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클램프 커버(20)를 본체부(10)에 대해 폐쇄하는 동작에 따라서, 토션 스프링(55)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아암부(53)가 돌기부(27)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된다.
본체부(10)와 클램프 커버(20)는, 아암 부재(21)와 장착 부재(24) 사이에 마련된 스프링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서로 개방하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본체부(10)의 천장판부(10A)와 클램프 커버(20)가 개방된 상태로 하는 각도(개방도)는 일 예로서 약 90도로 설정된다. 이에 의해, 절단 작업 종료 후, 클램프 커버(20)로부터 손을 떼어 놓으면, 스프링 부재의 부세력을 이용하여 클램프 커버(20)가 자동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스프링 부재의 부세력으로 본체부(10)와 클램프 커버(20)를 개방된 상태로 보지할 수 있으므로, 홀더 고정부(11)에 홀더(30)를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유리 파이버 부분을 절단한 후, 홀더(30)로부터 광 파이버(1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의 광 파이버 절단 장치(1)에 의해 광 파이버(100)의 유리 파이버 부분을 절단할 때의 광 파이버 절단 장치(1)의 동작의 일 예를, 도 1 내지 도 11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광 파이버 절단 장치(1)의 클램프 커버(20)를 폐쇄한 상태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상태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7 내지 도 11은 회동 레버(43)의 이동에 연동된 퇴피 부재(50)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본체부(10)와 클램프 커버(20)가 개방된 상태에서, 홀더 고정부(11)에 장착된 홀더(30)의 파이버 수용 홈(31)에 선단에 있어서 소정 길이의 유리 파이버 부분이 노출된 광 파이버(100)의 보호 피복 부분을 수용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광 파이버(100)의 유리 파이버 부분을 하부 클램프부(12A, 12B)에 탑재하는 동시에, 상기 유리 파이버 부분의 선단을 파이버 위치결정부(13)의 가이드 홈(13A)에 수용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개방 상태에 있는 클램프 커버(20)(아암 부재(21))를 본체부(10)를 향하여 회동시키면,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하부 클램프부(12A, 12B)와 상부 클램프부(23A, 23B)에 의해, 광 파이버(100)의 유리 파이버 부분이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 때,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퇴피 부재(50)의 아암부(53)는 장착 부재(24)의 돌기부(27)에 의해 가압되는 것에 의해, 회전축(52)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토션 스프링(55)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하방으로 이동된다. 즉, 아암부(53)는 광 파이버(100)가 상하의 고정 부재(12, 23)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광 파이버(100)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는, 아암부(53)는 그 상면이 도 4의 방향(전방향)으로부터 보아 칼날 부재(14)의 내측으로 가라앉도록 이동된다.
그리고, 레버 가압부(25)가 회동 레버(43)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회동 레버(43)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 회동 레버(43)의 하방 이동에 근거하여 회동축(4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서 이동된 칼날 부재(14)에 의해 상하의 고정 부재(12, 23) 사이에 고정된 광 파이버(100)의 유리 파이버 부분에 상처가 난다.
이 때,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 레버(43)의 하방 이동을 따라서, 퇴피 부재(50)의 아암부(53)는 칼날 부재(14)와 마찬가지로 회동축(4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서 이동된다. 도 8 상태에 있어서도, 아암부(53)는 돌기부(27)에 의해 가압되어 있으며, 아암부(53)의 상면은 칼날 부재(14)의 내측으로 가라앉는 위치로 유지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또한 회동 레버(43)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돌기부(27)가 아암부(53)의 상면으로부터 벗어나고, 아암부(53)의 우측 단부를 따라서 낙하한다. 이 돌기부(27)의 낙하에 따라서, 파단 부재(26)가 더욱 하방으로 이동하여, 가상된 유리 파이버 부분을 가압한다. 이에 의해, 유리 파이버 부분의 상처를 진전시켜 유리 파이버 부분이 파단된다.
유리 파이버 부분의 절단 작업이 종료되고, 작업자가 아암 부재(21)로부터 손을 떼어 놓으면, 아암 부재(21)와 장착 부재(24) 사이에 마련된 스프링 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클램프 커버(20)(아암 부재(21) 및 장착 부재(24))가 개방된다(도 1 등 참조).
이 때,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램프 커버(20)의 자동 개방에 따라서, 퇴피 부재(50)의 회전축(52)도 토션 스프링(55)의 부세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의해, 돌기부(27)에 의해 하방에 가압되어 있던 퇴피 부재(50)의 아암부(53)가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한 아암부(53)는 광 파이버(100)에 접촉된다.
그 후, 작업자가 보지 부재(15)의 회동 레버(43) 혹은 환봉(44)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칼날 부재(14)를 보지한 보지 부재(15)는, 회동 레버(43)가 천장판부(10A)에 접촉하는 대기 위치로 이동된다. 즉, 보지 부재(15)는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지 부재(15)의 이동에 따라서, 칼날 부재(14) 및 퇴피 부재(50)도 대기 위치(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이 때, 아암부(53)의 상면은, 토션 스프링(55)의 부세력에 의해, 전방향으로부터 보아 칼날 부재(14)보다 외측(상측)으로 돌출되는 위치에 부세되어 있다. 즉, 아암부(53)의 상면은 칼날 부재(14)의 이동 경로의 정점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광 파이버(100)는 칼날 부재(14)와 함께 이동하는 퇴피 부재(50)의 아암부(53)의 상면을 미끄러지면서 더욱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광 파이버(100)는 광 파이버 절단 후의 칼날 부재(14)의 원호를 따른 이동 경로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구체적으로는, 상기 이동 경로의 정점보다 상부의 위치)로 이동된다. 즉, 광 파이버(100)의 파단 단부가, 퇴피 부재(50)에 의해 칼날 부재(14)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광 파이버 절단 장치(1)는 선단에 있어서 소정 길이의 유리 파이버 부분이 노출된 광 파이버(100)가 탑재되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 사이에서 광 파이버(100)를 고정하는 커버 부재(20)와, 고정된 광 파이버(100)의 유리 파이버 부분을 가상하는 칼날 부재(14)와, 가상된 부분에 있어서 광 파이버(100)의 유리 파이버 부분을 파단시키는 파단 부재(26)를 구비하고 있다. 광 파이버 절단 장치(1)는 또한, 본체부(1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칼날 부재(14)를 보지하는 보지 부재(15)와, 보지 부재(15)에 장착된 퇴피 부재(50)를 구비하고 있다. 퇴피 부재(50)는, 칼날 부재(14)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광 파이버(100)의 파단 단부를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퇴피 부재(50)와 보지 부재(15) 사이에는, 퇴피 부재(50)를 부세하는 토션 스프링(55)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퇴피 부재(50)는 클램프 커버(20)에 의해 가압되는 것에 의해, 본체부(10)와 클램프 커버(20) 사이에서 고정된 광 파이버(100)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다. 즉, 본체부(10)와 클램프 커버(20) 사이에서 광 파이버(100)가 고정되었을 때에는, 퇴피 부재(50)는 토션 스프링(55)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광 파이버(100)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퇴피 부재(50)는 토션 스프링(55)에 의해 부세되는 것에 의해, 본체부(10)와 클램프 커버(20) 사이에서 고정되어 있지 않은 광 파이버(100)가 칼날 부재(14)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다. 즉, 본체부(10)와 클램프 커버(20)에 의한 광 파이버(100)의 고정이 해제되었을 때에는, 퇴피 부재(50)는 칼날 부재(14)와 광 파이버(100)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퇴피 부재(50)를 이용하여, 광 파이버(100)를 가상한 후의 칼날 부재(14)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광 파이버(100)의 파단 단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광 파이버(100)의 절단 후에 상기 광 파이버(100)의 파단 단부(파단면이나 그 근방)에 상처가 나 버리는 것을 간편한 구성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칼날 부재(14)가 광 파이버(100)를 가상할 때에는, 퇴피 부재(50)가 광 파이버(100)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되기 때문에, 광 파이버 절단시의 칼날 부재(14)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광 파이버(100)의 원활한 절단 처리를 실행할 수 있으며, 또한, 절단 후의 광 파이버(100)로의 예기치 않은 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퇴피 부재(50)는 칼날 부재(14)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절단 후의 광 파이버(100)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광 파이버(100)의 절단이 완료되고, 다음의 광 파이버의 절단을 개시할 때까지의 일련의 작업 공정에 있어서 퇴피 부재(5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작업 효율을 감소시키는 일 없이, 절단 후의 광 파이버(100)를 칼날 부재(14)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다.
이상, 본 개시를 상세하게 또 특정의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개시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이 없이 여러 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하다. 또한, 상기 설명한 구성 부재의 수, 위치, 형상 등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개시를 실시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한 수, 위치, 형상 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퇴피 부재(50)가 보지 부재(15)에 장착되고, 칼날 부재(14)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퇴피 부재(50)가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퇴피 부재가 본체부(10)의 천장판부(10A)와 보지 부재(15) 사이에 마련되며, 이 퇴피 부재가 보지 부재(15)나 칼날 부재(14)의 움직임과는 독립되어 이동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때, 퇴피 부재는 예를 들면, 클램프 커버(20)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초기 상태)에서는, 노출 구멍(16)으로부터 상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0)에 대해 폐쇄된 클램프 커버(20)가 다시 개방될 때의 클램프 커버(20)의 움직임에 따라서 퇴피 부재가 노출 구멍(16)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클램프 커버(20)의 회동 부재(22)의 회전을, 편심 캠 등을 거쳐서 퇴피 부재에 전달하고, 퇴피 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칼날 부재(14)가 광 파이버(100)를 가상 할 때에는 퇴피 부재가 칼날 부재(14)의 움직임의 방해가 되는 일이 없으며, 또한, 광 파이버(100)의 절단 후에는 광 파이버(100)가 칼날 부재(14)와 접촉하지 않도록 광 파이버(100)를 퇴피 가능한 구성을 간편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칼날 부재(14)가 원호를 따라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광 파이버(100)의 적어도 일부를 가상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칼날 부재가 직선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직선 운동하는 것에 의해), 광 파이버(100)를 가상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퇴피 부재는 광 파이버(100)가 가상된 후에 직선을 따라서 이동하는 칼날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광 파이버(100)의 파단 단부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단 후의 광 파이버(100)를 퇴피 부재에 의해 직선 운동 하는 칼날 부재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퇴피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광 파이버(100)의 절단 후에 상기 광 파이버(100)의 파단면이나 그 근방에 상처가 나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광 파이버(100)가 본체부(10)와 클램프 커버(20) 사이에서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퇴피 부재(50)가 칼날 부재(14)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에 의해, 퇴피 부재(50)가 광 파이버(100)를 칼날 부재(14)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퇴피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광 파이버 절단 후의 칼날 부재(14)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광 파이버(100)를 그 길이방향 중심축과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면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광 파이버(100)의 파단 단부를 이동 가능한 기구를 구비한 퇴피 부재를 마련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광 파이버(100)를 보지하는 홀더(30)를, 광 파이버 절단 후의 칼날 부재(14)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경사지는 기구를 퇴피 부재로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퇴피 부재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칼날 부재(14)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광 파이버(100)의 파단 단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광 파이버 절단 후의 칼날 부재(14)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광 파이버(100)를 그 길이방향 중심축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기구를 구비한 퇴피 부재를 마련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광 파이버(100)를 보지하는 홀더(30)를, 광 파이버 절단 후의 칼날 부재(14)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도 1에 도시하는 후방향으로 약간 이동 가능한 기구를 퇴피 부재로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퇴피 부재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도, 칼날 부재(14)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광 파이버(100)의 파단 단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광 파이버(100)가 가상된 후에 칼날 부재(14)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광 파이버(100)의 파단 단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한, 퇴피 부재는 여러 가지 구성으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퇴피 부재(50)와 칼날 보지부(41) 사이에 마련된 토션 스프링(55)에 의해, 퇴피 부재(50)의 회전축(5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퇴피 부재(50)와 칼날 보지부(41) 사이에, 예를 들면, 압축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과 같은 부세 부재를 마련하고, 이들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퇴피 부재(50)의 회전축(5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1: 광 파이버 절단 장치 10: 본체부
10A: 천정판부 10B: 바닥판부
10C: 기둥부 11: 홀더 고정부
12: 하부 고정 부재(고정 부재의 일 예)
13: 파이버 위치결정부(위치결정부의 일 예)
14: 칼날 부재 15: 보지 부재
16: 노출 구멍 17: 자석
18: 로크 기구
20: 클램프 커버(커버 부재의 일 예) 21:아암 부재
21A: 긴 구멍 21B: 노치부
22: 회동 부재 23: 상부 고정 부재
24: 장착 부재 25: 레버 가압부
26: 파단 부재 30: 홀더
31: 파이버 수용 홈 41: 칼날 보지부
42: 회동축 42A: 편심 캠 영역
42B: 캠면 43: 회동 레버
44: 환봉 50: 퇴피 부재
51: 베어링부 52: 회전축
53: 아암부 55: 토션 스프링
56: 코일부 100: 광 파이버

Claims (11)

  1. 선단에 있어서 소정 길이의 유리 파이버 부분이 노출된 광 파이버가 탑재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광 파이버를 고정하는 커버 부재와,
    고정된 상기 유리 파이버 부분을 가상하는 칼날 부재와,
    가상된 부분에 있어서 상기 유리 파이버 부분을 파단시키는 파단 부재와,
    상기 칼날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상기 광 파이버의 파단 단부를 이동시키는 퇴피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광 파이버 절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퇴피 부재는 상기 칼날 부재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파단 단부를 이동시키는
    광 파이버 절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퇴피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파단 단부를 이동시키는
    광 파이버 절단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 부재는 원호를 따라서 이동하는
    광 파이버 절단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 부재는, 상기 광 파이버의 상기 유리 파이버 부분이 존재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퇴피 부재는, 상기 원호를 따라서 이동하는 상기 칼날 부재가 통과하는 영역보다 상기 원호의 중심에 대해 보다 이격된 위치로 상기 파단 단부를 이동시키는
    광 파이버 절단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 부재는 직선을 따라서 이동하는
    광 파이버 절단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칼날 부재를 보지하는 보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퇴피 부재는 상기 보지 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퇴피 부재와 상기 보지 부재 사이에는, 상기 퇴피 부재를 부세하는 부세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퇴피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서 고정된 상기 광 파이버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퇴피 부재는 상기 부세 부재에 의해 부세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 부재 사이에서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기 광 파이버를 상기 칼날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광 파이버 절단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퇴피 부재는, 상기 광 파이버를 그 길이방향 중심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파단 단부를 상기 칼날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광 파이버 절단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퇴피 부재는, 상기 광 파이버를 그 길이방향 중심축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파단 단부를 상기 칼날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광 파이버 절단 장치.
  10. 선단에 있어서, 소정 길이의 유리 파이버 부분이 노출된 광 파이버를 고정하는 단계와,
    고정된 상기 유리 파이버 부분을 칼날 부재에 의해 가상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한 부분에 있어서 상기 유리 파이버 부분을 파단시키는 단계와,
    상기 광 파이버의 파단 단부를 상기 칼날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파이버 절단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버를 고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퇴피 부재를 상기 광 파이버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파단 단부를 이동시키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퇴피 부재를 이동하여 상기 광 파이버와 접촉시키고, 상기 파단 단부를 상기 칼날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광 파이버 절단 방법.
KR1020217008773A 2018-09-27 2019-08-26 광 파이버 절단 장치 및 광 파이버 절단 방법 KR202100633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81495 2018-09-27
JPJP-P-2018-181495 2018-09-27
PCT/JP2019/033229 WO2020066407A1 (ja) 2018-09-27 2019-08-26 光ファイバ切断装置および光ファイバ切断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346A true KR20210063346A (ko) 2021-06-01

Family

ID=69949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8773A KR20210063346A (ko) 2018-09-27 2019-08-26 광 파이버 절단 장치 및 광 파이버 절단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13291B2 (ko)
EP (1) EP3859414A4 (ko)
JP (1) JP7383863B2 (ko)
KR (1) KR20210063346A (ko)
CN (1) CN112771427B (ko)
WO (1) WO20200664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4801A1 (ja) 2021-04-19 2022-10-27 住友電工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切断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9035A (ja) 1998-09-11 2000-03-3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切断器
JP2011131360A (ja) 2009-12-25 2011-07-07 Fujikura Ltd 光ファイバ切断装置及び光ファイバ切断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2846B2 (ja) * 1985-10-14 1997-05-2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心線の被覆除去及び切断方法
JPS62218908A (ja) * 1986-03-20 1987-09-2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フアイバ切断装置
JPH0580219A (ja) * 1991-09-25 1993-04-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フアイバー斜め劈開器
JP3108221B2 (ja) * 1992-09-04 2000-11-1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切断装置
AU2003261613A1 (en) * 2002-08-26 2004-09-17 Ilsin Precision Co., Ltd. Automatic optical-fiber cutter
JP3877005B2 (ja) * 2004-03-15 2007-02-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切断装置
JP4214417B2 (ja) 2004-03-15 2009-01-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切断装置
DE202008002887U1 (de) * 2008-02-29 2008-04-24 CCS Technology, Inc., Wilmington Vorrichtung zum Trennen mindestens eines Lichtwellenleiters
JP5403758B2 (ja) * 2010-09-28 2014-01-29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切断装置の屑回収装置
KR101915590B1 (ko) * 2012-10-18 2018-11-06 이노 인스트루먼트 (차이나). 인코퍼레이션 전자동 광섬유 절단기
JP6673712B2 (ja) 2016-02-12 2020-03-25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切断装置
JP6623490B2 (ja) * 2016-02-12 2019-12-25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切断装置
JP6340401B2 (ja) * 2016-11-22 2018-06-06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カッタ
JP7014524B2 (ja) 2017-04-06 2022-02-0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及び電磁継電器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9035A (ja) 1998-09-11 2000-03-3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切断器
JP2011131360A (ja) 2009-12-25 2011-07-07 Fujikura Ltd 光ファイバ切断装置及び光ファイバ切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59414A4 (en) 2022-07-06
JPWO2020066407A1 (ja) 2021-09-24
CN112771427B (zh) 2023-05-23
US20220043213A1 (en) 2022-02-10
WO2020066407A1 (ja) 2020-04-02
EP3859414A1 (en) 2021-08-04
US11513291B2 (en) 2022-11-29
JP7383863B2 (ja) 2023-11-21
CN112771427A (zh) 202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2461B1 (ko) 광섬유 절단 장치
JP4947904B2 (ja) 紙裁断機
KR101928642B1 (ko) 광섬유 절단 장치
US20100187276A1 (en) Optical fiber cutting device, optical fiber cutting method, and optical fiber cutting blade member
EP2629125B1 (en) Optical fiber cutter, and optical fiber cutter unit
US20080302445A1 (en) Structures for supporting splitters of cutting tools
KR20210063346A (ko) 광 파이버 절단 장치 및 광 파이버 절단 방법
EP2584387B1 (en) Optical fiber cutter storage case
JP2009107102A (ja) 切断機のカバー装置
US20150343662A1 (en) Table saws having integrated control systems
CA3014522C (en) Optical fiber cutter
JP4403478B2 (ja) 光ファイバカッタ
KR20230169996A (ko) 광 파이버 절단 장치
JP2009107103A (ja) 切断機のカバー装置
JP2012008432A (ja) 眼鏡レンズ用クロスカット装置および眼鏡レンズのクロスカット方法
JP2000176881A (ja) ペーパーカッター
JP2004091039A (ja) キャリアテープ切断装置及び方法、並びにキャリアテープ
AU2006277761A1 (en) Apparatus including spring and method for tensioning the same
CA2472983C (en) Device for cutting through a binding strip
US6691599B2 (en) Cutter guard device for a belt saw machine
KR20240019782A (ko) 광 파이버 커터
JP2000210814A (ja) 切断機におけるバイス装置
JP2005096054A (ja) カッタ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