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967A - 헤어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헤어 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967A
KR20210058967A KR1020217012367A KR20217012367A KR20210058967A KR 20210058967 A KR20210058967 A KR 20210058967A KR 1020217012367 A KR1020217012367 A KR 1020217012367A KR 20217012367 A KR20217012367 A KR 20217012367A KR 20210058967 A KR20210058967 A KR 20210058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disposed
hair dryer
electronic control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2312B1 (ko
Inventor
주겐 니
Original Assignee
킹클린 일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킹클린 일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킹클린 일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58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45D20/122Diffusers, e.g. for variable air fl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2I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기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헤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상기 헤어 드라이어는 바디부 및 핸들부를 포함하고, 바디부 내에는 송풍 어셈블리 및 송풍 어셈블리의 외측에 슬리빙 되어 있는 전자 제어 PCB가 배치되고, 전자 제어 PCB는 송풍 어셈블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 제어 PCB는 바디부의 메인 덕트의 외부에 위치하며, 전자 제어 PCB는 방열 구조에 연결된다. 상기 헤어 드라이어에서 송풍 어셈블리와 전자 제어 PCB는 바디부 내에 배치된다. 전자 제어 PCB는 고리형으로 설계되고 송풍 어셈블리의 외부에 슬리빙 되어, 송풍 어셈블리와 전자 제어 PCB의 조립을 보다 컴팩트하게 함으로써, 송풍 어셈블리와 전자 제어 PCB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합리적인 레이아웃을 통해 바디부의 크기를 줄여, 바디부는 종래 기술에서 송풍기를 핸들부에 배치한 형태의 헤어 드라이어의 바디부와 동일한 크기를 갖거나 더 작은 크기를 갖는다. 또한, 바디부의 크기가 동일한 조건에서, 송풍 어셈블리를 핸들부에 배치한 것에 비해, 송풍 어셈블리가 바디부 내에 위치하여 덕트의 길이를 줄일 수 있기에 헤어 드라이어의 효율을 향상한다.

Description

헤어 드라이어
본 발명은 가전기기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헤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헤어 드라이어는 일상 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가전 제품이다. 헤어 드라이어는 모터에 의해 팬 블레이드의 회전을 구동시키고, 팬 블레이드가 회전하면 공기가 공기 흡입구를 통해 바디부 내로 흡입되고, 바디부 내의 가열 부품을 통과하면서 형성된 원심 기류가 바디부의 전방에 있는 송풍구를 통해 다시 토출되어, 헤어 드라이어의 건조 및 스타일링 목적이 이루어진다.
종래 기술에서, 헤어 드라이어의 기능성 부품(예를 들면, 팬 및 제어판 등)은 일반적으로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고, 기류가 바디부 내의 기능성 부품을 통과하여 방열 효과를 확보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헤어 드라이어의 크기가 증가되며, 브러시리스 모터의 전자 제어 PCB를 덕트에 배치하면 소음을 증가시키고 들어오는 바람에 급류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종래 기술에서는 팬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브러시리스 모터와 전자 제어 PCB를 핸들부에 넣어 보다 작은 바디부를 얻을 수 있는 헤어 드라이어가 제안되었다. 브러시리스 모터는 자체로 일정한 크기를 갖고 있으며 브러시리스 모터와 조합되어야 하는 전자 제어 PCB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고, 또한 헤어 드라이어 사용시 핸들부의 진동을 줄이기 위한 충격 흡수 슬리브가 브러시리스 모터의 외부에 슬리빙 되어 있기때문에, 핸들부의 길이와 지름이 모두 커서 사용자의 그립감이 떨어진다.
또한, 브러시리스 모터와 전자 제어 PCB는 작동 과정에서 많은 열을 발생시키는데, 이러한 유형의 헤어 드라이어는 핸들부가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핸들부의 끝단을 통해 공기를 유입시키고, 기류는 핸들부를 통과하여 바디부의 내부로 유입되기에, 덕트가 너무 길어지고 풍량이 작아져서 헤어 드라이어의 효율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컴팩트한 구조 및 작은 크기를 갖는 헤어 드라이어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바디부의 구조가 컴팩트하고 크기가 작은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방안을 사용한다.
바디부 및 핸들부를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내에는 송풍 어셈블리 및 상기 송풍 어셈블리의 외측에 슬리빙 되어 있는 전자 제어 PCB가 배치되고, 상기 전자 제어 PCB는 상기 송풍 어셈블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자 제어 PCB는 상기 바디부의 메인 덕트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전자 제어 PCB는 방열 구조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방전단은 상기 바디부의 중심 축선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방전단은 상기 바디부의 송풍구를 향해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바디부의 길이는 120mm 미만이고, 상기 바디부의 직경은 77mm 미만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핸들부의 길이는 170mm 미만이고, 상기 핸들부의 직경은 40mm 미만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헤어 드라이어는 상기 송풍 어셈블리의 하류에 배치된 가열 챔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 어셈블리 내에 송풍 챔버가 배치되고, 상기 가열 챔버와 상기 송풍 챔버는 메인 덕트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방열 구조는, 상기 송풍 어셈블리와 상기 가열 챔버를 연결하는 에어 가이딩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 가이딩 커버에는 상기 송풍 어셈블리를 통과하는 기류의 일부를 상기 전자 제어 PCB로 가이딩하도록 구성된 가이딩 구조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바디부 내에는 장착 슬리브가 배치되며, 상기 전자 제어 PCB는 상기 장착 슬리브의 외측에 슬리빙 되고; 상기 송풍 어셈블리는 상기 장착 슬리브 내에 배치되는 송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기 내에 상기 송풍 챔버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열 구조는 상기 전자 제어 PCB(14)의 가열소자와 접촉하는 방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는 메인 덕트 내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방열 어셈블리는 일단은 상기 전자 제어 PCB의 가열소자와 접촉하고 타단은 상기 바디부의 공기 흡입구 내에 위치하는 제1 방열 시트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방열 어셈블리는 일단은 상기 전자 제어 PCB의 가열소자와 접촉하고 타단은 상기 송풍 어셈블리 하류의 상기 메인 덕트 내로 연장되는 제2 방열 시트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열소자와 상기 방열 어셈블리 사이에는 열전도성 실리콘 그리스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부 내에는 음이온 발생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음이온 발생장치의 방전단은 상기 바디부 내로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바디부 내에는 내부 원통이 배치되고, 상기 바디부의 송풍구 측에는 이온 토출구가 배치되고, 상기 방전단은 상기 내부 원통 내에 위치하며 상기 이온 토출구를 향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부 내에는 상기 메인 덕트와 연통되는 서브 덕트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부 내에는 PCB 메인 제어판이 배치되고, 상기 가열 챔버에는 각각 상기 PCB 메인 제어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열 어셈블리 및 온도 검측 부품이 배치되고, 상기 PCB 메인 제어판은 상기 온도 검측 부품으로부터 획득된 온도값에 따라 상기 가열 어셈블리가 간헐적으로 턴온 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헤어 드라이어는 상기 바디부에 흡착되어 고정되는 노즐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바디부의 송풍구의 내측에는 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노즐에는 상기 자석과 결합되는 흡착 블록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은, 입구, 출구 및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를 연통시키는 송풍로가 배치되어 있는 에어 가이딩 부품; 및 상기 에어 가이딩 부품에 연결되고, 상기 에어 가이딩 부품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조절 부품을 포함하되, 상기 입구는 상기 바디부의 송풍구에 연통되고, 상기 조절 부품이 상기 에어 가이딩 부품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때 상기 송풍로의 어느 위치에서의 단면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즐은 그릴을 포함하며, 상기 그릴은 상기 노즐로 송풍된 공기의 일부가 제1 방향을 따라 토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그릴에는 복수의 빗살이 연장되어 설치되며, 적어도 일부의 상기 빗살에는 상기 빗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공기 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출구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공기의 다른 일부를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디부의 공기 흡입구 위치에 보호커버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보호커버 내에는 필터 어셈블리가 탈착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은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한다. 상기 헤어 드라이어에서 송풍 어셈블리와 전자 제어 PCB는 바디부 내에 배치된다. 송풍 어셈블리와 전자 제어 PCB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기 위하여, 전자 제어 PCB는 고리형으로 설계되고 송풍 어셈블리의 외부에 슬리빙 되어, 송풍 어셈블리와 전자 제어 PCB의 조립을 보다 컴팩트하게 함으로써, 송풍 어셈블리와 전자 제어 PCB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합리적인 레이아웃을 통해 바디부의 크기를 줄여, 바디부는 종래 기술에서 송풍기를 핸들부에 배치한 형태의 헤어 드라이어의 바디부와 동일한 크기를 갖거나 더 작은 크기를 갖는다. 또한, 바디부의 크기가 동일한 조건에서, 송풍 어셈블리를 핸들부에 배치한 것에 비해, 송풍 어셈블리가 바디부 내에 위치하여 덕트의 길이를 줄일 수 있기에 헤어 드라이어의 효율이 향상된다. 전자 제어 PCB에는 방열 구조가 연결되어 전자 제어 PCB의 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전자 제어 PCB가 메인 덕트의 위부에 위치하는 경우의 방열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바디부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하우징을 제거한 바디부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하우징을 제거한 바디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송풍 어셈블리와 전자 제어 PCB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송풍 어셈블리와 전자 제어 PCB를 조립한 후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제1 방열 시트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하우징을 제거한 바디부의 구조를 제시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하우징을 제거한 바디부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가열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가열 챔버의 분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핸들부의 분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보호커버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보호커버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C 부분을 부분 확대하여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지지대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노즐이 어느 방향으로 방치될 때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노즐이 다른 방향으로 방치될 때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노즐이 또 다른 방향으로 방치될 때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에어 가이딩 부품이 어느 방향으로 방치될 때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에어 가이딩 부품이 다른 방향으로 방치될 때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조절 부품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연결부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조절 부품이 연결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른 노즐의 구조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른 노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사용된 기술적 수단 및 달성된 기술적 효과를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바디부(100), 바디부(100)에 연결된 핸들부(200) 및 핸들부(200)에 연결된 전원 코드(400)를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가 제공된다. 바디부(100) 내에는 메인 덕트가 형성되고, 메인 덕트에는 가열 어셈블리(123)가 배치되며, 바디부(100)에는 메인 덕트와 연통되는 공기 흡입구(101)와 송풍구(102)가 구비되어 있다. 기류는 바디부(100)의 후방에 위치한 공기 흡입구(101)를 통해 메인 덕트 내로 유입되고, 가열 어셈블리(123)를 거쳐 가열된 후 송풍구(102)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헤어 드라이어의 건조 및 스타일링 목적을 달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는 기류가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좌우 양단이 개방된 하우징(11)을 포함한다. 하우징(11)의 하부에는 장착구(103)가 배치되어 있으며, 핸들부(200)는 장착구(103)를 통하여 바디부(100)에 연결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덕트에서 송풍구(102)와 가까운 위치에 가열 챔버(12)가 배치되고, 가열 챔버(12) 내부에는 메인 덕트 내의 기류를 가열하는 가열 어셈블리(123)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열 챔버(12)는 송풍구(102)에 가깝게 배치되며, 가열 어셈블리(123)에 의해 가열된 기체는 직접 바디부(100)의 외부로 배출되어, 메인 덕트 내에서의 열 손실을 줄이고, 송풍온도를 만족시키면서 헤어 드라이어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헤어 드라이어는 메인 덕트 내에 부압을 형성하는 송풍 어셈블리(13)를 더 포함하여, 헤어 드라이어 외부의 공기가 압력의 작용에 의해 메인 덕트 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 어셈블리(13)는 송풍기 및 송풍기에 연결된 전자 제어 PCB(14)를 포함하고, 전자 제어 PCB(14)는 송풍기의 시작 및 정지를 제어한다. 송풍기는 모터와 팬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모터는 팬을 구동하여 회전시킨다. 선택적으로, 모터는 브러시리스 모터일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바디부(100)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송풍 어셈블리(13)와 전자 제어 PCB(14)를 핸들부 내에 배치하고 있는데, 브러시리스 모터 자체의 크기 및 브러시리스 모터와 조합되어야 하는 전자 제어 PCB(14)의 크기가 모두 크기 때문에, 핸들부의 길이와 지름이 모두 커서, 일상적인 사용이나 외출시 휴대가 불편하여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송풍 어셈블리(13)는 바디부(100) 내에 배치되고, 기류는 덕트 내의 송풍 어셈블리(13)와 가열 챔버(12)를 차례로 통과한다. 선택적으로, 가열 챔버(12)와 송풍 어셈블리(13)는 에어 가이딩 커버(15)를 통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송풍 어셈블리(13)가 바디부(100) 내에 위치하여 핸들부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사용자의 그립감을 향상시키고 사용 및 휴대를 용이하게 한다.
브러시리스 모터가 필요로 하는 전자 제어 PCB(14)가 큰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전자 제어 PCB(14)는 송풍 어셈블리(13)의 외측에 슬리빙 되는 고리형의 구조로 구성된다. 전자 제어 PCB(14)를 고리형으로 설정함으로써 전자 제어 PCB(14)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전자 제어 PCB(14)는 송풍 어셈블리(13)의 외측에 슬리빙 되어 바디부(100)의 내부 구조를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바디부(100)의 크기를 감소하는 것에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전자 제어 PCB(14)는 두 개의 고리형 제어판으로 구성되어, 전자 제어 PCB(14)가 바디부(100)에서 차지하는 반경 방향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두 개의 고리형 제어판은 연결 리브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바디부(100)의 구조를 보다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 어셈블리(13)는 송풍기를 포함하며, 바디부(100) 내에 장착 슬리브(18)가 배치되고, 장착 슬리브(18)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 송풍기 연결부(181), 및 송풍기 연결부(181)의 공기 흡입구(101)에 가까운 일단에 연결되는 단부캡(182)을 포함한다. 장착 슬리브(18)의 양단은 개방되어 있고, 장착 슬리브(18) 내에 송풍기가 위치하여 송풍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고리형의 전자 제어 PCB(14)는 장착 슬리브(18)내에 슬리빙 되어 있어 송풍기와 전자 제어 PCB(14)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한다. 단부캡(182)은 장착 슬리브(18)의 공기 흡입구(101)에 가까운 일단에 배치되고, 단부캡(182)에는 바디부(100)의 공기 흡입구(101)와 연통되는 중앙홀이 제공된다. 송풍기의 내부에 송풍 챔버가 형성되고, 송풍 챔버는 가열 챔버(12)와 연통되어 메인 덕트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제어 PCB(14)는 송풍 어셈블리(13)의 외측에 슬리빙 되어 있다. 즉, 전자 제어 PCB(14)가 메인 덕트의 외부에 위치하고 기류는 전자 제어 PCB(14)와 접촉하지 않기에, 전자 제어 PCB(14)가 메인 덕트 내에서 소음을 증가시키는 것을 피하고, 기류를 방해하지 않아 난류의 발생을 피할 수 있어, 메인 덕트 내의 기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전자 제어 PCB(14)가 메인 덕트 외부에 위치하고, 또한 전자 제어 PCB(14)가 작동 중에 많은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전자 제어 PCB(14)에서 발생되는 열의 방출을 용이하게 하여 바디부(100)가 뜨거워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전자 제어 PCB(14)에는 방열 구조가 더 연결되어 있고, 방열 구조는 전자 제어 PCB의 열을 신속하게 방출하여 메인 덕트 외부에 배치된 전자 제어 PCB(14)의 방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 구조는 방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방열 어셈블리의 일단은 전자 제어 PCB(14)의 가열소자와 접촉하고, 타단은 메인 덕트 내로 연장되어, 가열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한다. 여기서, 열을 전도할 수 있다면, 방열 어셈블리는 가열소자와 직접 접촉할 수도 있고, 다른 구조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할 수도 있다.
방열 어셈블리는 가열소자와 접촉하고 가열소자의 열은 방열 어셈블리로 전달될 수 있다. 방열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는 메인 덕트 내에 위치하고, 자연 바람과 같은 방열 어셈블리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기류에 의해 방열 어셈블리의 열이 흡수됨으로써 가열소자의 방열 효과를 달성한다. 즉, 방열 어셈블리는 가열소자의 보조 방열장치로서, 가열소자의 열을 적시에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어 전자 제어 PCB(14) 등 구조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도록 하고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종래의 헤어 드라이어에서 전자 제어 PCB(14)의 방열이 잘 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한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슬리브(18)에는 제1 방열 시트(191)이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방열 시트(191)의 일단은 전자 제어 PCB(14)의 가열소자와 접촉하고 타단은 바디부(100)의 공기 흡입구(101)에 위치한다. 가열소자에서 발생된 열은 열전도에 의해 제1 방열 시트(191)으로 전달되고, 제1 방열 시트(191)을 통해 공기 흡입구(101)에 위치한 제1 방열 시트(191)의 단부로 전달되고, 기류가 공기 흡입구(101)로 유입됨에 따라 제1 방열 시트(191)의 열이 흡수된다. 본 실시예에서 열을 흡수한 기류는 송풍 챔버를 거쳐 가열 챔버(12)로 유입되고, 가열소자에서 발생된 열을 이용함으로써 열의 낭비를 피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발열 소자는 전자 제어 PCB(14) 상의 MOS관 또는 실리콘 제어 정류기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열 시트(191)은 베이스(1911)와 베이스(1911) 상에 배치된 복수의 핀(1912)을 포함하며, 핀(1912)은 가열소자로부터 공기흡입 단부를 향해 연장되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핀(1912)은 들어오는 바람의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기류와 열교환하는 면적을 증가시키면서 바람 저항을 최대한 줄여 소음을 감소시킨다. 즉, 핀(1912)의 연장 방향과 헤어 드라이어로 유입되는 바람의 방향이 반대이므로, 핀(1912)은 온도가 더 낮은 보다 상류의 기류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핀(1912)은 공기흡입 단부와 떨어진 하부, 공기흡입 단부와 가까운 상부, 풍상측에 위치한 전방면, 및 풍하측에 위치한 후방면을 포함한다. 핀(31)의 하부(311)는 베이스(32) 상에 배치되어 구조가 더욱 안정적이며, 상부(312)는 반드시 메인 덕트 내에 위치하며, 다른 구조가 메인 덕트 내에 있는지 여부는 실제 사용수요에 따라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핀(1912)의 상부는 공기 흡입구(101) 내에 위치한다.
상부와 하부 사이의 거리는 바람이 유입되는 방향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즉, 상부는 바람이 유입되는 방향에 따라 경사진 사면으로서, 방열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바람 저항을 감소시켜 소음을 줄인다. 전방면은 외부로 돌출된 아치형이고, 즉, 기와모양과 유사하여, 유입되는 바람이 전방면을 지날 때 기류는 더욱 평온하여 소음이 낮아진다. 후방면과 상부가 연결되는 곳은 곡면을 형성한다. 즉, 후방면은 상부와 매끄럽게 연결되어, 유입되는 바람이 후방면과 상부가 연결되는 곳에서 방해받는 것을 피한다.
베이스(1911) 상에는 가열소자와 접착하는 계단면(1913)이 배치되어, 열전도 효율이 높다. 또한, 계단면(1913)은 베이스(1911)와 가열소자 사이에서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베이스(1911)의 구체적인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며, 가열소자의 열을 효율적으로 전도할 수 있으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1911)는 가열소자의 발열점과 정렬되는 부채 모양이거나 가열소자와 전체적으로 정렬되는 고리 모양의 시트형 구조이다. 고리 모양인 경우, 방열면적이 크고 방열효율이 높다. 부채 모양인 경우, 체적이 작고 무게가 가벼우며, 헤어 드라이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 구현에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1911)는 가열소자의 발열점과 직접 열전도적으로 연결되어 열전도 효율을 보다 향상시킨다.
베이스(1911)에서 가열소자와 접촉하는 부분이 열을 전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열소자와 접착하지 않은 부분도 가열소자 주위 공기 속으로 열을 신속하게 발산시킬 수 있어, 마찬가지로 가열소자가 방열될 수 있도록 보조적 역할을 한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전자 제어 PCB(14)는 이층 고리형 구조로 구성되며, 전자 제어 PCB(14)의 전자 요소는 이층 고리형 구조의 외측의 2개 고리형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공기 흡입구(101)에 가까운 일측의 전자 요소는 상기 제1 방열 시트(191)을 통해 열을 방출할 수 있고, 다른 일측의 전자 요소는 공기 흡입구(101)와 떨어져 있기 때문에 연결된 방열 어셈블리가 공기 흡입구(101) 내로 연장되기 어려워 방열 효과가 떨어진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 어셈블리는 전자 제어 PCB(14)의 공기 흡입구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제2 방열 시트(192)을 더 포함한다. 제2 방열 시트(192)의 일단은 해당 측의 전자 제어 PCB(14)의 가열소자와 접촉하고, 타단은 가열 챔버(12) 내로 연장될 수 있으며, 가열 챔버(12)로 유입되는 기류에 의해 열이 제거되어 방열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제2 방열 시트(192)은 열전도 커버(15)를 관통하여 가열 챔버(12)의 상류, 즉 에어 가이딩 커버(15)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상류의 기류 온도가 비교적 낮아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2 방열 시트(192)의 열로 기류를 가열하여 열 이용률을 향상시킨다.
제2 방열 시트(192)과 에어 가이딩 커버(15) 사이의 갭을 줄이기 위해, 제2 방열 시트(192)과 에어 가이딩 커버(15) 사이에는 가열 챔버(12) 내의 기체가 하우징(11)과 메인 덕트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 차단 플러그가 더 배치된다.
상술한 구조에 기초하여, 방열 어셈블리와 가열소자 사이의 갭에 열전도성 재료가 충진되어 방열 어셈블리와 가열소자가 안정적으로 열전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가열소자의 열이 공기의 차단으로 인해 방열 어셈블리에 전달되지 못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성 재료는 열전도성 실리콘 그리스일 수 있으나, 효율적으로 열 전달을 할 수 있는 것이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방열 구조는 또한 에어 가이딩 커버(15)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 어셈블리(13)와 가열 챔버(12)를 연결하는 에어 가이딩 커버(15)에는 가이딩 구조가 배치될 수 있고, 가이딩 구조는 공기 흡입구(101)를 통해 유입되는 기류의 일부를 전자 제어 PCB(14)으로 가이딩하여 전자 제어 PCB(14)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에어 가이딩 커버(15)의 일단은 송풍 어셈블리(13)의 장착 슬리브(18)에 연결되고, 타단은 가열 챔버(12)에 연결된다. 에어 가이딩 커버(15)에는 제1 바이패스홀이 구비되고, 송풍 어셈블리(13)의 단부캡(182)에는 제2 바이패스홀이 구비되며, 에어 가이딩 커버(15)를 통과하는 기류의 일부가 제1 바이패스홀을 통해 하우징(11)과 송풍 어셈블리(13) 사이로 유입되어 전자 제어 PCB(14)를 냉각시키고, 전자 제어 PCB(14)의 열을 흡수한 기류는 제2 바이패스홀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전자 제어 PCB(14)를 냉각시키는 공기 순환 경로가 형성된다.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한 후 모발이 건조하고 및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헤어 드라이어는 음이온 발생장치(2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음이온 발생장치(23)는 공기 중 음이온을 발생시키고, 기류와 모발의 접촉에 의하여 모발에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모발을 보다 부드럽게 함으로써 모발을 케어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헤어 드라이어에서는 음이온 발생장치(23)가 바디부(100)의 내부, 예를 들어 가열 챔버(12)의 외주면에 위치하여 바디부(100)의 공간을 차지하고 가열 챔버(12)와 하우징(11) 사이의 간격이 증가시키므로 바디부(100)의 크기가 비교적 크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이온 발생장치(23)가 핸들부(200) 내에 배치되고, 음이온 발생장치(23)의 방전단(231)이 바디부(100) 내로 연장된다. 음이온 발생장치(23)를 핸들부(200)에 배치함으로써 바디부(1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서, 가열 챔버(12)와 하우징(11) 사이의 갭을 줄이는데 유리하며, 바디부(100)의 구조가 더 컴팩트 해져서 바디부(100)의 크기를 감소시키는데 유리하다.
음이온이 공기 중에 존재하는 시간이 짧기 때문에, 방전단(231)은 바디부(100)의 송풍구(102)를 향해 연장되어 방전단(231)에서 발생된 음이온이 메인 덕트 내에서 머무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음이온이 최대한 빨리 모발과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방전단(231)은 바디부(100)의 중심축 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바디부(100) 내의 공간 이용률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음이온의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 챔버(12)는 외부 원통(121) 및 내부 원통(122)을 포함한다. 외부 원통(121)의 하류측 단부에는 이온 토출구(1211) 및 송풍구(102)가 배치된다. 내부 원통(122)은 양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외부 원통(121) 내에 배치되고, 내부 원통(122)과 외부 원통(121) 사이에는 가열 어셈블리(123)가 배치되고, 방전단(231)은 내부 원통(122) 내에 위치하며 이온 토출구(1211)를 향해 배치된다. 기류는 송풍 챔버를 거쳐 내부 원통(122)과 외부 원통(121) 사이로 유입되고, 가열 어셈블리(123)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는 동시에 방전단(231)이 작동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키고, 음이온은 이온 토출구(1211)를 통해 배출된 후 기류에 혼입되어 모발과 접촉하여 정전기를 제거한다.
방전단(231)을 보호하기 위해, 방전단(231)의 외측에는 이온단 커버(232)이 더 배치되어 가열 챔버(12) 내의 부품들이 방전단(231)과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방전단(231)을 보호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선택적으로, 가열 어셈블리(123)는 내부 원통(122)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가열 유닛을 포함하고, 복수의 가열 유닛은 내부 원통(122)의 원주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배치되어 가열의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외부 원통(121)을 통한 열 방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열 어셈블리(123)는 외부 원통(121)의 내측에 배치되는 단열통(1232)을 더 포함하고, 단열통(1232)은 열 손실을 줄여 열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헤어 드라이어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핸들부(200)에는 스위치 버튼, 풍속 조절 버튼, 온도 조절 버튼 및 모드 조절 버튼과 같은 제어 버튼(26)이 더 배치되어 헤어 드라이어의 시작과 정지, 풍속, 온도 또는 적절한 송풍모드의 선택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버튼을 통한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를 구현하기 위해, 핸들부(200) 내에는 PCB 메인 제어판(24)이 더 배치되고, PCB 메인 제어판(24)은 송풍 어셈블리(13), 가열 어셈블리(123) 및 음이온 발생장치(23)에 각각 연결되어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송풍 어셈블리(13) 및 가열 어셈블리(123)를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음이온 발생장치(23)는 PCB 메인 제어판(24)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헤어 드라이어는 복수의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각 노즐은 모두 바디부(100)의 송풍구(10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상이한 수요에 따라 노즐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노즐과 바디부(100)는 버클 구조를 통해 연결되거나, 자석 부재를 통해 흡착되어 고정되거나, 나사와 같은 조임쇠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다이슨 슈퍼소닉 HD01모델 헤어 드라이어와 같이, 송풍기를 핸들부(200) 내에 배치하면 바디부(1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바디부(100)의 직경과 길이는 각각 78mm와 97mm이지만 핸들부(200)의 길이는 245mm로 증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헤어 드라이어 내부의 각 부품의 구조 및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바디부(1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서, 바디부(100)의 길이는 125mm 이하, 예를 들어 120mm 미만이고, 바디부(100)의 직경은 80mm 이하, 예를 들어 77mm 미만일 수 있으므로, 바디부(100)의 크기와 다이슨 슈퍼소닉 HD01모델 헤어 드라이어의 바디부(100) 크기의 차이가 작을 수 있고, 또한 메인 덕트가 핸들부(200)를 통과할 필요가 없어 메인 덕트의 길이가 대폭 단축되어 헤어 드라이어의 효율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바디부(100) 내의 부품을 합리적으로 배치함으로써 핸들부(200)의 부피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어, 핸들부(200)의 길이는 125mm 이하, 직경은 40mm 이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핸들부(200)의 길이는 170mm, 직경은 38mm로 줄일 수 있어, 종래 기술의 245mm에 비해 핸들부(200)의 길이가 대폭 단축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헤어 드라이어가 실시예 1과 차이점은, 헤어 드라이어 내에 보호 장치가 더 배치되어 헤어 드라이어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호 장치는 온도 검측 부품(17)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검측 부품(17)은 가열 챔버(1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검측 부품(17)은 내부 원통(122)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PCB 메인 제어판(24)은 온도 검측 부품(17)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온도 검측 부품(17)에 의해 획득된 온도값에 따라 가열 어셈블리(123)가 간헐적으로 턴오프 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PCB 메인 제어판(24)은 저장 유닛, 비교 유닛 및 실행 유닛을 포함하고, 저장 유닛은 제1 온도 설정값 및 제2 온도 설정값을 미리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비교 유닛은 온도 검측 부품(17)에 의해 획득된 온도값을 제1 온도 설정값 및 제2 온도 설정값과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실행 유닛은 헤어 드라이어가 건조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온도 검측 부품(17)에 의해 획득된 온도값이 제1 온도 설정값보다 높으면 과열로 판단하고, PCB 메인 제어판(24)은 가열 어셈블리(123)가 턴오프 되어 발열이 정지되고 헤어 드라이어의 송풍 어셈블리(13)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헤어 드라이어가 건조 모드로 작동하고 가열 어셈블리(123)가 정지된 상태인 경우, 온도 검측 부품(17)에 의해 획득된 온도값이 제2 온도 설정값보다 낮으면 PCB 메인 제어판(24)은 가열 어셈블리(123)가 다시 턴온 되도록 제어한다.
온도 검측 부품(17)에 의해 획득된 온도값이 제2 온도 설정값과 제1 온도 설정값 사이에 있는 경우는 가열 어셈블리(123)의 온도가 정상임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1 온도 설정값 및 제2 온도 설정값의 크기는 제한되지 않으며, 실제 상황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사용 중에 헤어 드라이어가 건조 모드인 경우, 송풍 어셈블리(13)와 가열 어셈블리(123)는 동시에 작동되어 열풍을 공급한다. 사용하는 과정에서 온도 검측 부품(17)은 실시간으로 가열 어셈블리(123)의 온도를 검측하여 획득된 신호를 PCB 메인 제어판(24)에 전달하고, PCB 메인 제어판(24)은 가열 어셈블리(123)의 현재 온도값을 획득하여 제1 온도 설정값 및 제 2 온도 설정값과 비교하고, 현재 온도값이 제 2 온도 설정값과 제1 온도 설정값 사이에 있으면 가열 어셈블리(123)의 온도가 정상임을 의미한다.
일정 시간 사용한 후, 가열 어셈블리(123)의 온도값이 제1 온도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열을 의미하므로, PCB 메인 제어판(24)은 가열 어셈블리(123)가 턴오프 되어 발열이 정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헤어 드라이어 내부의 온도가 너무 높아 헤어 드라이어의 부품이 훼손되거나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송풍 어셈블리(13)는 여전히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가열 어셈블리(123)의 잔류온도로도 열풍을 발생시킬 수 있다. 송풍 어셈블리(13)는 가열 어셈블리(123)를 냉각시킬 수 있고, 또한 가열 어셈블리(123)의 발열을 중지되는 동안, 가열 어셈블리(123)의 잔류온도로도 열풍을 발생시킬 수 있어 정상적인 사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가열 어셈블리(123)의 온도가 제2 온도 설정값 미만으로 낮아지면, PCB 메인 제어판(24)은 가열 어셈블리(123)가 다시 턴온 되도록 제어한다. 간헐적 턴온은 가열 어셈블리(123)의 냉각에 유리하고 정상적인 사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CB 메인 제어판(24)과 가열 어셈블리(123)는 가열 제어회로를 통해 연결되고, 가열 제어회로에는 실리콘 제어 정류기가 구비되고, PCB 메인 제어판(24)은 실리콘 제어 정류기의 개폐를 제어한다. 실리콘 제어 정류기가 턴오프 되면, 가열 어셈블리(123)의 전원공급 유닛이 차단되고, 가열 어셈블리(123)는 턴오프 되어 발열을 중지한다. 그러나, 이 때 송풍 어셈블리(13)는 정상적으로 작동된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헤어 드라이어가 실시예 2와 차이점은, PCB 메인 제어판(24)이 송풍 어셈블리(13) 및 송풍 어셈블리(13) 부근의 온도를 검측할 수 있는 보조 온도 검측 부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PCB 메인 제어판(24)은 보조 온도 검측 부품에 의해 획득된 온도값에 따라 총 전원 공급 유닛의 개폐를 제어한다.
송풍 어셈블리(13)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송풍 어셈블리(13)의 작동 시간이 너무 길거나 비정상적인 작동임을 의미한다. PCB 메인 제어판(24)은 즉시 송풍 어셈블리(13)의 전원공급 유닛을 차단시키고, 송풍 어셈블리(13)의 작동이 중지됨에 따라 냉풍의 통과 없이 가열 어셈블리(123)가 단독으로 작동되면 필연적으로 과열되므로 가열 어셈블리(123)의 전원을 동시에 차단시켜야 한다. 따라서, 송풍 어셈블리(13)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 PCB 메인 제어판(24)은 송풍 어셈블리(13) 및 가열 어셈블리(123)의 전원, 즉 총전원공급 유닛을 차단시켜야 한다.
송풍 어셈블리(13)는 가열 어셈블리(123)에 병렬로 연결되어 개별 제어가 용이하도록 한다. 온도 검측 부품(17)과 보조 온도 검측 부품은 병렬로 연결되어 검측 결과 간의 교란을 방지한다.
PCB 메인 제어판(24)의 저장 유닛에는 제3 온도 설정값이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보조 온도 검측 부품에 의해 획득된 온도값이 제3 온도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는 송풍 어셈블리(13)의 온도가 너무 높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PCB 메인 제어판(24)은 총전원공급 유닛을 차단시킨다. 여기서, 제3 온도 설정값의 크기는 제한되지 않으며, 실제 상황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송풍 어셈블리(13)의 장시간 작동 또는 송풍 어셈블리(13)의 고장으로 인해 과열될 수 있으며, 헤어 드라이어를 일정 시간 방치시켜 냉각되도록 한 후 작업자는 메인 스위치를 켜서 검측을 진행할 수 있다. 다시 켰었을 때 송풍이 안되면 송풍 어셈블리(13)에 고장이 생겨서 적시 유지 보수가 필요하고, 다시 켰었을 때 송풍이 정상적으로 되면 송풍 어셈블리(13)의 지난번 사용시간이 너무 긴 것이다.
온도 검측 부품(17)과 보조 온도 검측 부품을 조합하여 배치함으로써, 헤어 드라이어에 대한 이중 보호 역할을 제공하고 어느 하나의 고장에 의한 부정확한 검측을 방지한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헤어 드라이어가 실시예 2와 차이점은, 헤어 드라이어의 송풍구(102)에 PCB 메인 제어판(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풍속 센서가 배치되는 것이다. 풍속 센서는 송풍구(102)의 풍속을 검측하도록 구성되고, 풍속 센서는 온도 검측 부품과 협동하여 헤어 드라이어에 대한 다중 보호를 제공한다.
헤어 드라이어가 건조 모드인 경우, 온도 검측 부품(17)에 의해 가열 어셈블리(123)의 온도가 너무 높은 것으로 검측되면, 가열 어셈블리(123)의 과도한 작동 시간 외에, 송풍 어셈블리(13)의 회전 정지 또는 송풍구 막힘이 원인일 수 있다. 이 때, PCB 메인 제어판(24)은 가열 어셈블리(123)가 턴오프 되어 발열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풍속 센서에 의해 검측된 풍속 값에 따라 종합적인 판단을 내린다.
풍속 센서에 의해 획득된 풍속 값이 풍속 설정값보다 낮으면 송풍 어셈블리(13)의 고장으로 회전 정지된 것을 의미하고, PCB 메인 제어판(24)은 가열 어셈블리(123)를 턴오프시키는 동시에 송풍 어셈블리(13)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즉 총전원공급 유닛을 차단시켜 송풍 어셈블리(13)에 대한 보수를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풍속 센서에 의해 획득된 풍속 값이 정상이면 송풍 어셈블리(13)가 정상임을 의미하고, PCB 메인 제어판(24)은 가열 어셈블리(123)만 턴오프시키고, 송풍 어셈블리(13)를 이용하여 가열 어셈블리(123)를 방열시키는 동시에 송풍구를 검사하여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풍속 센서의 배치를 통해 헤어 드라이어의 상태를 더 추가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더 좋은 처리 방법을 취할 수 있다. 여기서, PCB 메인 제어판(24)에 미리 저장된 풍속 설정값의 크기는 제한되지 않으며, 실제 상황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PCB 메인 제어판(24)에 의해 헤어 드라이어에 고장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고장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색상의 경고등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맞춤형 보수를 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헤어 드라이어가 실시예 2와 차이점은, 모터에 PCB 메인 제어판(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전속도 센서가 배치되는 것이다. 회전속도 센서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검측하도록 구성되고, 회전속도 센서는 온도 검측 부품과 협동하여 헤어 드라이어에 대한 다중 보호를 제공한다.
헤어 드라이어가 건조 모드인 경우, 온도 검측 부품(17)에 의해 가열 어셈블리(123)의 온도가 너무 높은 것으로 검측되면, 가열 어셈블리(123)의 과도한 작동 시간 외에, 송풍 어셈블리(13)의 회전 정지 또는 송풍구 막힘이 원인일 수 있다. 이 때, PCB 메인 제어판(24)은 가열 어셈블리(123)가 턴오프 되어 발열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회전속도 센서에 의해 검측된 회전속도값에 따라 종합적인 판단을 내린다.
송풍 어셈블리(13)의 회전속도가 회전속도 설정범위 내이면 송풍구 막힘이 발생했을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 때 발열 어셈블리(123)만 턴오프시키고 송풍 어셈블리(13)를 이용하여 발열 어셈블리(123)의 열을 방산시키는 동시에 송풍구를 검사하여 처리한다. 헤어 드라이어에 방열 장치가 장착된 경우, 이 때 방열 장치를 켜서 방열을 진행할 수 있다. 또는 헤어 드라이어를 방치하여 방열시킨다. 헤어 드라이어가 냉각된 후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송풍 어셈블리(13)의 회전속도가 비정상이면 송풍 어셈블리(13)의 고장으로 회전 정지된 것을 의미하고, PCB 메인 제어판(24)은 가열 어셈블리(123)를 턴오프시키는 동시에 송풍 어셈블리(13)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즉 총전원공급 유닛을 차단시켜 송풍 어셈블리(13)에 대한 보수를 진행할 수 있다.
PCB 메인 제어판(24)의 저장 유닛에는 회전속도 설정범위가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회전속도 센서에 의해 검측된 회전속도값은 회전속도 설정범위의 상한치 및 하한치와 비교하여, 회전속도값이 회전속도 설정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송풍 어셈블리(13)의 회전속도가 비정상임을 의미한다.
온도 검측 부품(17)에 의해 검측된 온도값이 제2 온도 설정값보다 낮은 경우, 이 때 가열 어셈블리(123)의 턴온을 제어하기 전에, 우선 회전속도 센서에 의해 검측된 회전속도값이 회전속도 설정범위 내에 있는지를 확인하여 송풍 어셈블리(13)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음을 확인한 상태에서 가열 어셈블리(123)의 턴온을 제어하여 안전성을 확보한다.
따라서, 회전속도 센서의 배치를 통해 헤어 드라이어의 상태를 더 추가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더 좋은 처리 방법을 취할 수 있다.
실시예 6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헤어 드라이어가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은, 핸들부(200) 내에 메인 덕트와 연통되는 서브 덕트가 배치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200)는 케이싱(21)과 커넥터(25)를 포함한다. 케이싱(21) 내에는 서브 덕트가 형성되고, 케이싱(21)의 상단은 바디부(100)의 장착구(103)에 연결되고, 케이싱(21)의 하단은 커넥터(25)를 통해 전원 코드(400)에 연결된다. 커넥터(25)는 케이싱(21) 내부와 연통되는 중공 영역을 갖는 그릴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중공 영역은 서브 덕트의 기류 입구로 사용될 수 있다. 헤어 드라이어가 작동 중일 때, 핸들부(200) 주변의 공기는 압력차에 의해 기류 입구로부터 서브 덕트 내로 유입되어, 핸들부(200) 내의 PCB 메인 제어판(24)과 음이온 발생장치(23)를 통과한 후 메인 덕트로 유입된다. 서브 덕트를 배치함으로써, 헤어 드라이어 내의 기류 안정성을 높여 보다 원활한 흐름을 구현할 수 있는 한편, 핸들부(200) 내의 전자 요소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켜 헤어 드라이어 사용시 핸들부(200)의 발열 및 과열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사용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케이싱(21) 내에는 좌측 케이싱(221) 및 우측 케이싱(222)을 포함하는 내부 케이싱(21)이 배치되고, PCB 메인 제어판(24) 및 음이온 발생장치(23)는 내부 케이싱(21) 내에 배치되고, 좌측 케이싱(221)과 우측 케이싱(222)은 나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내부 케이싱(21)은 PCB 메인 제어판(24) 및 음이온 발생장치(23)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PCB 메인 제어판(24) 및 음이온 발생장치(23)를 보수할 때, 내부 케이싱(21)은 케이싱(21)으로부터 매끄럽게 인출된 후 나사를 해체하여 좌측 케이싱(221)과 우측 케이싱(222)을 분리함으로써, 탈착 과정에서 PCB 메인 제어판(24) 및 음이온 발생장치(2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7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헤어 드라이어가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의 공기 흡입구 위치에 보호커버(111)와 필터장치가 배치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00)의 하우징(11)은 실린더 본체 및 공기 흡입구 측에 위치하는 보호커버(11)를 포함하며, 보호 커버(11)는 실린더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보호커버(111) 내에는 필터 어셈블리(112)가 배치된다. 공기는 필터 어셈블리(112)를 통해 송풍 챔버 내로 유입되며, 필터 어셈블리(112)는 공기 중의 먼지, 모발과 같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하고 바디부(100) 내의 송풍기가 엉켜 강제적인 제동이 걸리지 않토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필터 어셈블리(112)는 보호커버(111)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필터 어셈블리(112)를 장기간 사용한 경우, 작업자는 먼저 바디부(100)로부터 보호커버(111)를 분리한 후, 보호커버(111)로부터 필터 어셈블리(112)를 분리한 후, 필터 어셈블리(112)를 별도로 철저하게 세척하여, 세척된 필터 어셈블리(112)가 더 좋은 여과 효과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어셈블리(112)와 보호커버(111)가 탈착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필터 어셈블리(112) 또는 보호커버(111) 중 하나가 파손된 경우, 필터 어셈블리(112)와 보호커버(111)를 동시에 교체할 필요없이 손상된 부품만 교체하면 되므로, 헤어 드라이어의 유지 보수 비용을 효과적으로 줄인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필터 어셈블리(112)는 필터 스폰지 또는 필터 메쉬일 수 있고, 필터 스폰지 또는 필터 메쉬는 보호커버(111)의 내벽에 래칭 연결될 수 있고, 필터 어셈블리(112)와 보호커버(111) 사이에 별도의 고정용 부품을 배치할 필요없이, 필터 스폰지 또는 필터 메쉬와 보호커버(111)의 탈착가능한 연결이 구현되어, 헤어 드라이어의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하고 필터 어셈블리(112)와 보호커버(111)의 탈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필터 스펀지 또는 필터 메쉬의 공극이 작기 때문에, 필터 스펀지 또는 필터 메쉬는 직경이 작은 먼지와 미세한 모발을 걸러낼 수 있고, 직경이 작은 먼지와 미세한 모발이 바디부(100)의 덕트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필터 스펀지의 공극 밀도(PPI, Pores Per Linear Inch)는 40PPI 이상, 필터 메쉬의 메쉬수는 40 이상으로, 필터 어셈블리(1123)가 먼지나 모발 등의 이물질에 대한 우수한 필터효과를 가지며, 필터 어셈블리(1123)로 인해 헤어 드라이어의 공기 유입량이 감소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여기사, 공극 밀도는 1인치 당 평균 공극 수를 의미하고, 메쉬수는 필터 스크린의 1인치 당 공극 수를 의미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커버(111)의 일측 단면은 실린더 본체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 단면에는 흡입용 그릴(1111)이 배치되며, 흡입용 그릴(1111)은 공기 흡입구(101)를 형성한다. 흡입용 그릴(1111)은 바디부(100)의 축선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필러를 포함하고, 흡입용 그릴(1111)은 전체적으로 중공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공기가 보호커버로 원활하게 유입되는 것을 확보하면서 작업자의 손이 헤어 드라이어 내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보호커버(111) 내에는 복수의 여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필터 커버(113)가 더 배치되고, 공기는 필터 어셈블리(112)와 필터 커버(113)를 차례로 통과하고, 필터 어셈블리(112) 및 필터 커버(113)의 두 단계 여과를 거쳐 바디부(100)의 덕트로 유입됨으로써, 필터 어셈블리(112)만 배치한 경우에 비하여 먼지 및 모발에 대한 여과효과가 더욱더 향상된다.
헤어 드라이어의 사용 중에 진동이 발생하는데, 진동의 영향으로 인해 필터 어셈블리(112)가 보호커버(111)로부터 분리되어 바디부(100) 내의 송풍 어셈블리에 휘말려 들어갈 수 있는 위험이 있기에, 바디부(100) 내의 송풍기가 엉켜 강제적인 제동이 걸려 송풍기가 소손되고 사용자의 사용 안전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터 커버(113)는 복수의 여과구멍이 형성된 스테인리스 스틸 메쉬 커버로서, 필터 어셈블리(112)가 바디부(100)의 외부에 있도록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필터 어셈블리(112)가 송풍 어셈블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송풍기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하며 사용자의 사용 안전을 보장한다.
필터 커버(113)는 흡입용 그릴(1111)을 향해 돌출되고, 스테인레스 스틸 메쉬 커버에 형성된 복수의 여과구멍의 단면 면적의 합이 송풍 어셈블리의 공기 입구의 단면 면적을 초과하도록, 필터 커버(113)에는 더 많은 여과구멍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공기가 송풍 어셈블리로 원활하게 유입되고 헤어 드라이어가 우수한 송풍 효과를 갖도록 한다.
바디부(100)의 길이를 줄이기 위하여, 필터 어셈블리(112)에는 제1 양보 홀(1124)이 형성되고, 필터 커버(113)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양보 홀(1124)에 수용되어, 필터 어셈블리(112)와 필터 커버(113)가 바디부(100)의 길이 방향에서 보다 컴팩트하게 배치됨으로써, 헤어 드라이어의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헤어 드라이어의 휴대성을 향상시킨다.
실시예 8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헤어 드라이어가 실시예 7과 차이점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커버(111)의 내벽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클램핑 블록(1112)이 돌출되게 배치되고, 클램핑 블록(1112)과 흡입용 그릴(1111) 사이에 필터 어셈블리(112)를 수용하는 장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클램핑 블록(1112)을 배치함으로써, 보호커버(111)의 축 방향에서, 필터 어셈블리(112)의 보호커버(111)에 상대적인 이동을 제한할 수 있어, 필터 어셈블리(112)와 보호커버(111)의 고정 효과를 향상시킨다. 필터 어셈블리(112)의 위치에 대한 클램핑 블록(1112)의 제한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클램핑 블록(1112)이 보호커버(1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클램핑 블록(1112)과 보호커버(11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보호커버(111)의 가공 단계를 단순화하고 보호커버(111)의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9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헤어 드라이어가 실시예 8과 차이점은,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필터 어셈블리(112)는 여과포(1122)로서, 여과포(1122) 상의 구멍이 필터 메쉬 또는 필터 스펀지에 비하여 더 미세하기 때문에, 보다 작은 먼지나 모발에 대한 여과가 가능하여, 실시예 8의 헤어 드라이어보다 더 우수한 여과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과포(1122)의 질감이 비교적 부드러워 여과포(1122)를 보호커버(111)에 직접 고정하는 것은 어려우며 여과포(1122)와 보호커버(111)의 탈착도 불편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필터 어셈블리(112)는 지지체(1121)를 더 포함하고, 여과포(1122)는 지지체(1121)의 일면에 피복하여 일정한 장력을 갖도록 한다. 지지체(1121)의 외주부를 보호커버(111)의 내벽에 래칭 연결되는 것으로, 여과포(1122)와 보호커버(111)의 고정이 이루어지고, 여과포(1122)와 보호커버(111)의 탈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여과포(1122) 상의 구멍 직경은 0.3mm 이하로서, 필터 어셈블리(1122)의 우수한 여과 효과와 통풍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1121)에는 통풍구가 형성되어, 공기가 필터 어셈블리(112)를 잘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얇은 필터 스펀지 또는 필터 메쉬의 질감도 부드럽기 때문에, 얇은 필터 스펀지 또는 필터 메쉬도 지지체(1121)에 장착한 다음, 지지체(1121)의 외주부를 보호커버(111)의 내벽에 래칭 연결할 수 있다.
여과포(1122)는 일정 시간 사용한 후 교체시켜야 한다. 여과포(1122)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필터 어셈블리(112)는 고리형 고정띠(1123)를 더 포함한다. 여과포(1122)의 외주부는 고리형 고정띠(1123)와 지지체(1121) 사이에 껴있고, 고리형 고정띠(1123)가 지지체(1121)로부터 분리된 후에 지지체(1121)로부터 여과포(1122)를 떼어내서 교체시킬 수 있다.
여과포(1122)는 지지체(1121)에서 공기 흡입구(101)를 등지는 일면에 커버된다. 헤어 드라이어의 사용 과정에서, 공기는 여과포(1122) 및 지지체(1121)를 차례로 통과한다. 여과포(1122)에 작용되는 공기의 힘에 의해, 여과포(1122)는 지지체(1121)에 압착되고 지지체(1121)는 여과포(1122)를 지지하여, 여과포(1122)와 지지체(1121)가 분리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112)의 축선은 바디부(100)의 축선과 일치하며, 지지체(1121)는 바디부(100)의 축선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함으로써, 여과포(1122)가 지지체(1121)에 압착될 때, 여과포(1122)에 가해지는 힘을 균일하게 하여, 일부 영역에 과도하게 집중된 힘으로 인한 여과포(1122)의 손상을 방지하고 여과포(1122)의 사용수명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지지체(1121)에는 제2 양보 홀이 더 형성되어 있고, 필터 커버(113)와 여과포(1122)는 바디부(100)의 축선 방향을 따라 지지체(1121)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필터 커버(113)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양보 홀에 위치함으로써, 바디부(100)의 축선 방향에서 필터 커버(113)와 지지체(1121)의 배열이 보다 컴팩트하여, 바디부(100)의 축선 방향을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크기를 줄여, 헤어 드라이어의 전체적인 부피가 작고 헤어 드라이어의 휴대가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10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헤어 드라이어가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은,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300)과 바디부(100)는 자석(16)을 통해 흡착 고정되고, 자석(16)은 은폐식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헤어 드라이어의 외관이 보다 미려하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00)는 송풍구의 내측에 자석(16)이 배치되어 있고, 자석(16)은 외부 원통(121)의 하류측 단면의 내측에 배치되며, 노즐(300)에는 자석(16)과 흡착되어 결합되는 흡착 블록이 배치되어, 자석(16)과 흡착 블록의 결합을 통해 노즐(300)과 바디부(100)의 고정을 구현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원통(121)의 하류측 단면의 내측에는 클램핑 홈이 배치되고, 자석(16)이 클램핑 홈에 감입됨으로써, 외부 원통의 반경 방향 및 원주 방향에서 자석(16)에 대한 고정을 구현한다. 내부 원통(122)의 단부에는 위치 제한용 필러가 배치되고, 위치 제한용 필러는 자석(16)에 맞닿아서 자석(16)이 외부 원통(121)의 하류측 단면에 맞닿도록 함으로써, 축 방향에서 자석(16)에 대한 고정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자석(16)은 고리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고리형의 자석(16)은 이온 토출구(1211)를 둘러싸는 것으로 배치되어, 자석(16)로 인해 이온 토출구(1211)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 원통(121)의 하류측 단면에는 이온 토출구(1211)를 둘러싸는 그릴 구조가 배치되어 송풍구(102)를 형성할 수 있고, 자석(16)은 송풍구(102)와 이온 토출구(1211) 사이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흡착 블록은 철판일 수 있다. 철판은 자석(16)에 흡착되어 노즐(300)을 고정시키는 충분한 흡착력을 제공할 수만 있다면, 노즐(300)의 외측 또는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 11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헤어 드라이어가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은, 본 실시예의 노즐(300)은 노즐(300)을 교체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보다 향상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0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은 에어 가이딩 부품 및 조절 부품(36)을 포함한다. 여기서, 에어 가이딩 부품에는 입구(351), 출구(352) 및 입구(351)와 출구(352)를 연통시키는 송풍로가 배치된다. 조절 부품(36)은 에어 가이딩 부품의 외측부분에 슬리빙 되고, 에어 가이딩 부품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조절 부품(36)이 에어 가이딩 부품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경우 송풍로에서 임의의 위치 상의 송풍 단면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에어 가이딩 부품과 조절 부품(36)을 조합하여 배치함으로써, 하나의 노즐을 통해 송풍 면적을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이 간편하여, 복수의 노즐로 인한 낭비를 피할 수 있고 노즐의 실용가치를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에어 가이딩 부품에는 부드러운 고무로 제조된 변형 영역이 배치되고, 조절 부품(36)이 에어 가이딩 부품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때, 에어 가이딩 부품에 힘이 가해질 수 있고, 에어 가이딩 부품에 가해진 힘으로 인해 변형 영역이 변형될 경우, 변형 위치에서의 송풍로의 단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변형 영역은 에어 가이딩 부품 상의 송풍구(102)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조절 부품(36)이 변형 영역의 변형을 통해 송풍구(102)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에어 가이딩 부품은 전체가 부드러운 고무로 제조되어, 힘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에어 가이딩 부품은 변형 영역의 일부가 부드러운 고무로, 다른 부분이 단단한 고무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에어 가이딩 부품에는 베어링 블록(353)이 배치되고, 조절 부품(36)에는 어플라이잉 블록(361)이 배치된다. 조절 부품(36)이 에어 가이딩 부품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때, 어플라이잉 블록(361)은 베어링 블록(353)을 가압 또는 인장하는 방식으로 변형 영역을 변형시킴으로써, 해당 위치의 송풍로 단면적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베어링 블록(353)은 변형 영역에 배치되거나, 에어 가이딩 부품의 원주 방향에서 변형 영역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 가이딩 부품의 송풍구 부분은 납작한 기둥 모양의 구조이고, 2개의 베어링 블록(353)은 각각 상기 기둥 구조에서 두께방향의 양측에 있는 평탄 영역, 즉 비변형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기둥 구조의 원주 방향에서 비변형 영역에 인접한 호형 영역은 변형 영역이다.
선택적으로, 베어링 블록(353)은 오목 블록이고, 어플라이잉 블록(361)은 볼록 블록(또는, 베어링 블록(353)이 볼록 블록이고 어플라이잉 블록(361)이 오목 블록일 수 있음) 일 수 있고, 베어링 블록(353)과 어플라이잉 블록(361) 중 적어도 하나의 연장 방향은 송풍로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고, 송풍구로부터 안쪽으로 점차 송풍로의 축선에 접근하고, 어플라이잉 블록(361)은 베어링 블록(353)에 래칭 연결된다. 여기서, 어플라이잉 블록(361)의 볼록 블록이 송풍로의 축선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고, 베어링 블록(353)의 오목 블록이 어플라이잉 블록(361)의 연장 방향에서의 상이한 위치에 슬리빙 되어, 변형 위치의 송풍로 단면적을 변경시키거나; 또는, 베어링 블록(353)의 오목 블록이 송풍로의 축선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고, 어플라이잉 블록(361)의 볼록 블록은 어플라이잉 블록(361)의 연장 방향에서의 상이한 위치에 슬리빙 되어, 변형 위치의 송풍로 단면적을 변경시키거나; 또는, 어플라이잉 블록(361)의 볼록 블록과 베어링 블록(353)의 오목 블록이 모두 송풍로의 축선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오목 블록과 볼록 블록의 래칭 연결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변형 영역 지점의 송풍로 단면적을 변경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어플라이잉 블록(361)의 범프와 베어링 블록(353)의 노치는 모두 송풍로의 축선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됨으로써, 조절 부품(36)이 에어 가이딩 부품 상에서 송풍구를 향해 이동할 때, 어플라이잉 블록(361)은 베어링 블록(353)을 송풍로 내벽 측으로 압착시켜, 송풍구가 작아지고, 공기 흡입구를 향해 이동할 때 송풍구는 커진다(송풍로가 탄성 복원될 수 없는 경우, 어플라이잉 블록(361)은 베어링 블록(353)이 송풍로 내벽 측과 멀어지도록 압착하는 것이고, 송풍로가 탄성 복원될 수 있는 경우, 어플라이잉 블록(361)은 베어링 블록(353)에 대한 송풍로 내벽 측을 향한 압착을 점차 완화하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에어 가이딩 부품에 대한 조절 부품(36)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송풍구의 면적이 조절된다. 상술한 배치 외에도, 송풍구로부터 송풍로 내부로 갈수록, 어플라이잉 블록(361)과 베어링 블록(353)은 송풍로의 축선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조절 부품(36)이 송풍구를 향해 이동할 때 송풍구가 커지고, 공기 흡입구를 향해 이동할 때 송풍구가 작아진다.
선택적으로, 에어 가이딩 부품은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37)와 배출부(35)를 포함하고, 공기 흡입구는 연결부(37)에 배치되고, 송풍구와 변형 영역은 배출부(35)에 배치되며,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노즐은 연결부(37)를 통해 헤어 드라이어의 본체에 연결되고, 송풍로는 연결부(37)와 배출부(35)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조절 부품(36)은 연결부(37)에 연결되고, 연결부(37)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할 때 변형 영역에 힘을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부(35)는 납작한 기둥 구조이고, 배출부(35)는 두께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하나의 변형 영역이 배치되고, 각 변형 영역에는 하나의 베어링 블록(353)이 배치되고, 고리형의 조절 부품(36)의 내벽에는 두 개의 어플라이잉 블록(361)이 배치되어, 각각 두 개의 베어링 블록(353)에 끼워 장착된다. 상기 두 개의 베어링 블록(353)과 두 개의 어플라이잉 블록(361)가 배치됨으로써, 두 방향에서 동시에 배출부(35)에 힘이 인가되어, 송풍구 면적에 대한 조절 효율이 향상되고 조절 효과가 증대된다.
선택적으로, 조절 부품(36)은 탈체 방지 구조를 통해 연결부(37)에 연결되고, 탈체 방지 구조는 조절 부품(36)이 연결부(37)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탈체 방지 구조는 연결용 걸림턱(362)과 연결용 걸림홀(371)을 포함하고, 그 중 하나는 조절 부품(36)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연결부(37)에 배치되며, 연결용 걸림홀(371)은 긴 스트립 형상으로 구성되며, 연장 방향은 송풍로의 축선에 평행되고, 연결용 걸림턱(362)은 연결용 걸림홀(371)에서 연결용 걸림홀(371)의 연장 방향을 따라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 부품(36)은 연결부(37)의 외측에 부분적으로 슬리빙 되어 있고, 조절 부품(36)의 내벽에는 연결용 걸림턱(362)이 배치되고, 연결부(37)의 외벽에는 연결용 걸림홀(371)이 배치됨으로써, 조절 부품(36)이 연결부(37)에서 분리되지 않으면서 연결부(37)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래칭 연결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연결용 걸림홀(371)의 송풍구 측 가장자리의 에지부에는 가이딩 홈이 배치되어, 조립시 연결용 걸림턱(362)이 연결용 걸림홀(371)에 용이하게 래칭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탈체 방지 구조는 연결용 걸림턱(362)과 연결용 걸림홀(371)의 배치 외에도, 연결선 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조절 부품(36) 및 연결부(37)에는 매칭되는 안내 구조가 배치되고, 조절 부품(36)은 안내 구조의 안내하에 송풍로의 축 방향을 따라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내 구조는 가이딩 플레이트(363) 및 가이딩 노치(372)를 포함하고, 그 중 하나는 조절 부품(36)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연결부(37)에 배치되며, 가이딩 플레이트(363)는 가이딩 노치(37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래칭 연결되며, 가이딩 플레이트(363)와 가이딩 노치(372)의 연장 방향은 모두 송풍로의 축선에 평행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 부품(36)의 내벽에는 가이딩 플레이트(363)가 배치되고, 연결부(37)의 외벽에는 가이딩 노치(372)이 배치됨으로써, 조절 부품(36)이 연결부(37)에 상대적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안내 구조는 가이딩 플레이트(363) 및 가이딩 노치(372) 외에도, 가이딩 레일과 슬라이더가 협동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용 걸림턱(362)와 연결용 걸림홀(371)은 네 세트로 배치되고, 가이딩 플레이트(363)와 가이딩 노치(372)는 두 세트로 배치된다. 연결부(37)에서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두 세트의 연결용 걸림턱(362) 및 연결용 걸림홀(371), 한 세트의 가이딩 플레이트(363) 및 가이딩 노치(372)가 배치된다.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한 세트의 가이딩 플레이트(363) 및 가이딩 노치(372)는 두 세트의 연결용 걸림턱(362) 및 연결용 걸림홀(371)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37)에서 송풍구를 향하는 측은 납작한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위의 대향하는 두 측면에는 각각 두 개의 연결용 걸림홀(371)과 하나의 가이딩 노치(372)이 배치되고, 같은 측에 있는 하나의 가이딩 노치(372)는 두 개의 연결용 걸림홀(371) 사이에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가이딩 노치(372)에 두 개의 가이딩 플레이트(363)가 래칭 연결 되고, 두 개의 가이딩 플레이트(363)는 서로 평행되고 이격되어 배치되고, 두 개의 가이딩 플레이트(363)는 각각 가이딩 노치(372)의 양 측벽에 각각 맞닿고, 가이딩 노치(372)의 송풍구를 향하는 측의 개구에는 외부로 확장되는 가이딩 입구가 배치되어, 정렬 장착이 용이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조절 부품(36)과 연결부(37)에는 매칭되는 포지셔닝 구조가 배치된다. 조절 부품(36)이 연결부(37)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때, 조절 부품(36)은 포지셔닝 구조에 의해 여러 위치에 정지될 수 있어서, 변형 영역 지점의 송풍로가 조절 가능한 여러 단면적을 갖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포지셔닝 구조는 포지셔닝 블록 그룹(364) 및 포지셔닝 걸림턱(373)를 포함한다. 포지셔닝 블록 그룹(364) 및 포지셔닝 걸림턱(373) 중 하나는 조절 부품(36)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연결부(37)에 배치되며, 포지셔닝 블록 그룹(364)은 복수의 포지셔닝 블록을 포함하고, 포지셔닝 걸림턱(373)은 임의의 인접한 두 포지셔닝 블록 사이에 래칭 연결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37)에서 송풍구를 향하는 측은 납작한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위의 대향하는 두 개의 호면에는 각각 연결부(37)에 상대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하나의 포지셔닝 걸림턱(373)이 배치된다. 조절 부품(36)의 내벽에는 두 개의 포지셔닝 걸림턱(373)과 매칭되는 두 개의 포지셔닝 블록 그룹(364)이 배치되고, 각 포지셔닝 블록 그룹(364)은 3개의 포지셔닝 블록을 포함하고, 3개의 포지셔닝 블록은 동일한 크기 또는 상이한 크기일 수 있다. 포지셔닝 걸림턱(373)이 상이한 포지셔닝 블록 사이에 있도록 조절함으로써, 변형 위치의 송풍로 단면적을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와 상술한 풍량 조절이 가능한 노즐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로서, 풍량 조절이 가능한 노즐은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헤어 드라이어에서, 에어 가이딩 부품과 조절 부품(36)을 조합하여 배치함으로써, 하나의 풍량 조절이 가능한 노즐을 통해 송풍 면적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써 본체의 송풍기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조절이 간단하고 편리하여, 복수의 노즐로 인한 낭비를 피할 수 있고 노즐의 실용가치를 향상시킨다.
실시예 12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헤어 드라이어가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은,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노즐(300)은 입구 및 출구가 배치된 몸체(31)를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출구는 그릴(32) 및 복수의 빗살(33)을 포함하고, 복수의 빗살(33)은 그릴(32)로부터 외부를 향해 연장된다. 그릴(32)은 노즐(300)로 송풍된 공기의 일부가 제1 방향을 따라 토출되어 종방향의 유동체를 형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1 방향은 노즐(300)이 바디부(100)에 연결될 때 바디부(100)의 축선 방향이다. 적어도 일부의 빗살(33)에는 빗살(33)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공기 출구(331)가 형성되고, 공기 출구(331)는 제2 방향(제2 방향은 제1 방향에 수직됨)으로 공기의 다른 일부를 토출하여 횡방향 유동체를 형성하도록 한다. 각 빗살(33)에 공기 출구(331)가 하나만 형성된 솔루션과 비교할 때, 본 실시예의 노즐(300)은 더 많은 갈레의 횡방향 유동체를 제공함으로써, 종방향의 유동체와 상호 영향을 미치게 되어, 노즐의 출구(352) 지점의 유동체는 더 부드럽고, 외부로의 확산이 어려워 노즐의 출구(352) 지점의 온도가 높아져 모발 건조 시간이 더욱 단축되어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게 된다.
예시적으로, 본 실시예의 빗살(33)은 그룹으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제1 빗살 그룹 및 제2 빗살 그룹을 포함한다. 제1 빗살 그룹은 고리형 어레이로 배치된 5개의 제1 빗살을 포함하고, 제2 빗살 그룹은 고리형 어레이로 배치된 10개의 제2 빗살을 포함하며, 제2 빗살 그룹의 10개의 제2 빗살은 동일한 축을 기준으로 제1 빗살 그룹을 둘러싸면서 배치된다. 여기서, 각 제1 빗살의 원주 방향에는 그릴(32)의 반경 방향을 따라 분포된 2개의 제1 공기 출구가 형성되고, 각 제2 빗살에는 하나의 제2 공기 출구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노즐(300)은 총 20갈레의 횡방향 기류가 갖는다. 각 제1 빗살에 제1 공기 출구가 하나만 제공되는 경우, 노즐(300)은 15갈레의 횡방향 기류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노즐(300)은 종래 기술의 노즐보다 5갈레의 횡방향 기류를 더 가질 수 있어, 횡방향의 기류와 종방향 기류의 상호 영향이 보다 충분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빗살 그룹의 수량을 다르게 할 수 있으며, 각 빗살 그룹 내의 빗살의 수량 또한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빗살 그룹의 제2 빗살은 외륜에 배치되고, 제2 빗살 그룹에는 제1 빗살 그룹을 향하는 제2 공기 출구만 형성되어, 횡방향 유동체가 노즐(300)의 외주로 확산되는 것을 피함으로써 열을 보유한 유동체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열을 보유한 유동체가 그릴(32)의 선단에 최대한 집중되어 종방향 유동체와 상호 작용하여 모발을 신속하게 건조시킨다.
복수의 제1 빗살은 내륜에 배치된다. 제1 빗살의 개수가 제2 빗살의 개수와 동일한 경우, 제1 빗살의 배열이 너무 촘촘하게 되어 제1 빗살의 가공 공정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빗살 그룹과 제2 빗살 그룹은 원심이 동일한 고리형 어레이로 되어 있으며, 제2 빗살 그룹에서 제2 빗살은 하나씩 걸러 각자 제1 빗살 그룹 내의 대응하는 제1 빗살을 향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배치되어, 인접한 두 제1 빗살 간의 거리가 적절하게 되고 제1 빗살의 가공을 용이하게 한다.
그릴(32)에서 빗살 반대 측에는 가이딩 팬(34)이 배치되어 있으며, 입구(351), 가이딩 팬(34) 및 그릴(32)은 노즐(300)의 축선을 따라 차례로 배치된다. 가이딩 팬(34)은 공기를 외주로 안내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블레이드는 입구(351)로 유입된 공기를 노즐(300) 내의 외주로 확산시킬 수 있어, 공기는 원주 방향을 따라 그릴(32) 전체로 확산된 후 그릴의 구멍으로부터 토출됨으로써, 노즐(300)의 건조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한번에 건조시킬 수 있는 모발의 양이 많아져서 모발 건조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딩 팬(34)은 또한 공기를 외주로 안내할 수 있는 윈드 가이딩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사용자의 모발이 가이딩 팬(34)에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가이딩 팬(34)은 그릴(32)에 상대적으로 고정하여 배치된다. 나사는 그릴(32)의 축선을 따라 차례로 가이딩 팬(34) 및 그릴(32)에 끼워져, 그릴(32)의 축선 방향에서 가이딩 팬(34)과 그릴(32)의 고정이 구현된다. 가이딩 팬(34)에는 인서트 블록이 배치되고 그릴(32)에는 슬롯이 배치되며, 인서트 블록과 슬롯은 모두 그릴(32)의 축선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인서트 블록은 슬롯에 삽입하여 연결됨으로써 가이딩 팬(34)의 그릴에 상대적인 회전이 제한된다. 나사, 인서트 블록 및 슬롯의 조합을 통해, 가이딩 팬(34)은 그릴(32)에 더 확실하게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서트 블록은 그릴(32)에 배치되고, 슬롯은 가이딩 팬(34)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동일하게 그릴(32)에 대한 가이딩 팬(34)의 회전을 제한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서트 블록과 가이딩 팬(34)의 장착 커버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장착 커버의 가공 단계를 단순화하고 장착 커버의 생산효율을 향상시킨다.
그릴(32)의 개구율(그릴 구멍의 총면적과 그릴(32) 전체 면적의 비율)을 높이기 위하여, 그릴(32)에는 동일한 원심을 기준으로 그릴(32)의 반경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그릴 구멍군이 배치된다. 각 그릴 구멍군은 그릴(3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된 복수의 그릴 구멍을 포함하며, 그릴 구멍은 호형의 구멍으로 구성된다. 또한, 그릴 구멍을 호형 구멍으로 형성함으로써, 노즐(300)에 필요한 재료가 적어지고 비용이 저렴하며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제1 빗살의 내부에는 입구(351)와 연통하는 제1 구멍이 형성되고, 제1 빗살의 횡방향 단면은 타원형이고, 제1 공기 출구는 빗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빗살을 절단하여 형성된 절단구이며, 타원형의 장축은 절단면에 수직된다. 타원형의 장축이 절단면에 수직되기 때문에, 절단된 타원형은 장축 방향에서 크기가 줄어들고, 절단된 타원형의 모양은 원형에 보다 가까워지므로, 절단된 후의 제1 빗살의 횡방향 단면은 원형에 유사하고 제1 빗살의 외주는 둥글고 매끄러워진다. 둥글고 매끄러운 제1 빗살의 원주면이 사용자의 두피에 닿으면 매우 편안한 경험을 줄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당업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사상에 근거하여 구체적인 구현예 및 적용 범위가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내용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바디부, 101: 공기 흡입구, 102: 송풍구, 103: 장착구,
11: 하우징, 111: 보호커버, 1111: 흡입용 그릴, 1112: 클램핑 블록, 112: 필터 어셈블리, 1121: 지지체, 1122: 여과포, 1123: 고리형 고정띠, 1124: 제1 양보 홀, 113: 필터 커버, 12: 가열 챔버, 121: 외부 원통, 1211: 이온 토출구, 122: 내부 원통, 123: 가열 어셈블리, 1231: 가열소자, 1232: 단열통, 13: 송풍 어셈블리, 14: 전자 제어 PCB, 15: 에어 가이딩 커버, 16: 자석, 17: 온도 검측 부품, 18: 장착 슬리브, 181: 송풍기 연결부, 182: 단부캡, 191: 제1 방열 시트, 1911: 베이스, 1912: 핀, 1913: 계단면, 192: `제2 방열 시트,
200: 핸들부,
21: 케이싱, 221: 좌측 케이싱, 222: 우측 케이싱, 23: 음이온 발생장치, 231: 방전단, 232: 이온단 커버, 24: PCB 메인 제어판, 25: 커넥터, 26: 제어 버튼,
300: 노즐,
31: 몸체, 32: 그릴, 33: 빗살, 331: 공기 출구, 34: 가이딩 팬, 35: 배출부, 351: 입구, 352: 출구, 353: 베어링 블록, 36: 조절 부품, 361: 어플라이잉 블록, 362: 연결용 걸림턱, 363: 가이딩 플레이트, 364: 포지셔닝 블록 그룹, 37: 연결부, 371: 연결용 걸림홀, 372: 가이딩 노치, 373: 포지셔닝 걸림턱,
400: 전원코드.

Claims (13)

  1. 바디부(100) 및 핸들부(200)를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00) 내에는 송풍 어셈블리(13) 및 상기 송풍 어셈블리(13)의 외측에 슬리빙 되어 있는 전자 제어 PCB(14)가 배치되고, 상기 전자 제어 PCB(14)는 상기 송풍 어셈블리(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자 제어 PCB(14)는 상기 바디부(100)의 메인 덕트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전자 제어 PCB는 방열 구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00)의 길이는 120mm 미만이고, 상기 바디부(100)의 직경은 77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200)의 길이는 170mm 미만이고, 상기 핸들부(200)의 직경은 40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 드라이어는 상기 송풍 어셈블리(13)의 하류에 배치된 가열 챔버(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 어셈블리(13) 내에 송풍 챔버가 배치되고, 상기 가열 챔버(12)와 상기 송풍 챔버는 상기 메인 덕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구조는 상기 송풍 어셈블리(13)와 상기 가열 챔버(12)를 연결하는 에어 가이딩 커버(15)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 가이딩 커버(15)에는 상기 송풍 어셈블리(13)를 통과하는 기류의 일부를 상기 전자 제어 PCB(14)으로 가이딩하도록 구성된 가이딩 구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00) 내에는 장착 슬리브(18)가 배치되며, 상기 전자 제어 PCB(14)는 상기 장착 슬리브(18)의 외측에 슬리빙 되고, 상기 송풍 어셈블리(13)는 상기 장착 슬리브(18) 내에 배치되는 송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기 내에 상기 송풍 챔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구조는 상기 전자 제어 PCB(14)의 가열소자와 접촉하는 방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는 메인 덕트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어셈블리는 일단은 상기 전자 제어 PCB(14)의 가열소자와 접촉하고 타단은 상기 바디부(100)의 공기 흡입구(101) 내에 위치하는 제1 방열 시트(1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어셈블리는 일단은 상기 전자 제어 PCB(14)의 가열소자와 접촉하고 타단은 상기 송풍 어셈블리(13) 하류의 상기 메인 덕트 내로 연장되는 제2 방열 시트(1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소자와 상기 방열 어셈블리 사이에는 열전도성 실리콘 그리스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200) 내에는 음이온 발생장치(23)가 배치되고, 상기 음이온 발생장치(23)의 방전단(231)은 상기 바디부(100) 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00) 내에는 내부 원통(122)이 배치되고, 상기 바디부(100)의 송풍구(102) 측에는 이온 토출구(1211)가 배치되고, 상기 방전단(231)은 상기 내부 원통(122) 내에 위치하며 상기 이온 토출구(1211)를 향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200) 내에는 상기 메인 덕트와 연통되는 서브 덕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KR1020217012367A 2019-03-15 2019-12-19 헤어 드라이어 KR102542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200054.5A CN109700159B (zh) 2019-03-15 2019-03-15 一种吹风机
CN201910200054.5 2019-03-15
PCT/CN2019/126731 WO2020186855A1 (zh) 2019-03-15 2019-12-19 一种吹风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967A true KR20210058967A (ko) 2021-05-24
KR102542312B1 KR102542312B1 (ko) 2023-06-13

Family

ID=66265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367A KR102542312B1 (ko) 2019-03-15 2019-12-19 헤어 드라이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21738A1 (ko)
EP (1) EP3831240B1 (ko)
JP (1) JP7247329B2 (ko)
KR (1) KR102542312B1 (ko)
CN (1) CN109700159B (ko)
WO (1) WO20201868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43859B (zh) * 2019-03-15 2024-04-16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散热效率高的吹风机
CN109700159B (zh) * 2019-03-15 2024-05-24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吹风机
WO2020259165A1 (zh) * 2019-06-22 2020-12-30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加热器、电器设备、吹风机及负离子产生方法
CN113040493B (zh) * 2019-12-26 2022-11-18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负离子产生方法及吹风机
CN110973801A (zh) * 2019-12-24 2020-04-10 追觅科技(上海)有限公司 手持吹风设备
CN113491379B (zh) * 2020-03-20 2022-09-20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吹风机
CN111109811A (zh) * 2020-01-03 2020-05-08 侯美英 一种新型电吹风及控温方法
CN111166035A (zh) * 2020-03-12 2020-05-19 深圳奥郎格环保有限公司 干发器和干发器的温度校准方法
CN111449398A (zh) * 2020-04-10 2020-07-28 揭阳市恩美五金电器实业有限公司 一种带温度检测的吹风机
KR102366465B1 (ko) 2020-05-12 2022-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드라이어
KR102384524B1 (ko) * 2020-05-12 2022-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드라이어
KR102364693B1 (ko) 2020-05-12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드라이어
CN111387676A (zh) * 2020-05-13 2020-07-10 中山市西鸿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护理梳
USD1014843S1 (en) * 2020-11-05 2024-02-13 Guangzhou Milin Electric Appliance Co., Ltd. Hair dryer
CN114190682A (zh) * 2021-02-22 2022-03-18 杭州乐秀电子科技有限公司 使用安全的飓风筒
US11517092B1 (en) * 2021-03-17 2022-12-06 Damien Salter Ergonomic handle-less hair dryer
CN216880786U (zh) * 2021-08-26 2022-07-05 广州希脉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带移动电源功能的除尘器
WO2023050616A1 (zh) * 2021-09-30 2023-04-06 佛山市顺德区雷泰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风道组件及电吹风
CN216568812U (zh) * 2021-11-19 2022-05-24 佛山市顺德区雷泰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风道组件及电吹风
CN114698915A (zh) * 2022-03-21 2022-07-05 直白科技(杭州)有限公司 使用安全的吹风机
CN114794701B (zh) * 2022-04-30 2024-03-12 深圳市众平电机有限公司 基于空心杯高速电机的吹风机及其使用方法
CN116326902A (zh) * 2023-04-04 2023-06-27 中山市小绿山清洁设备有限公司 可换头多功能电吹风
USD1013266S1 (en) * 2023-06-20 2024-01-30 Dejun Li Hair dryer
USD1011615S1 (en) * 2023-07-20 2024-01-16 Rongfeng Jiang Hair dryer
USD1008547S1 (en) * 2023-07-21 2023-12-19 Linjun Shen Hair dryer
USD1004191S1 (en) * 2023-07-21 2023-11-07 Rongfeng Jiang Hair dry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6871A (ja) * 2012-05-17 2013-11-28 Ya Man Ltd 髪ケア送風装置
CN108991700A (zh) 2013-09-26 2018-12-14 戴森技术有限公司 手持式器具
CN109171160A (zh) * 2018-09-30 2019-01-11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散热的吹风机
CN109259408A (zh) * 2018-09-30 2019-01-25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手柄进风式吹风机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851B1 (ko) * 2004-05-13 2006-01-11 (주) 케이.아이.씨.에이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부재가 장착된 헤어드라이어
GB2515815B (en) * 2013-07-05 2015-12-02 Dyson Technology Ltd A hand held appliance
GB2518656B (en) 2013-09-27 2016-04-13 Dyson Technology Ltd Hand held appliance
CN105286263A (zh) * 2015-11-19 2016-02-03 深圳市纳顿科技有限公司 一种吹风机
GB2545225B (en) 2015-12-09 2018-05-02 Dyson Technology Ltd A handheld appliance
CN205624987U (zh) * 2016-05-20 2016-10-12 浙江金达电机电器有限公司 双风道吹风机
CN206166094U (zh) * 2016-08-31 2017-05-17 浙江诗杭电器有限公司 无辐射远红外线负离子电吹风
CN106690749B (zh) * 2017-02-28 2023-01-24 月立集团有限公司 一种全电压电吹风
CN208524019U (zh) * 2018-07-03 2019-02-22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降噪减震型吹风机
CN108903200B (zh) * 2018-09-29 2023-12-29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电吹风机
CN209788886U (zh) * 2019-03-15 2019-12-17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吹风机
CN109700159B (zh) * 2019-03-15 2024-05-24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吹风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6871A (ja) * 2012-05-17 2013-11-28 Ya Man Ltd 髪ケア送風装置
CN108991700A (zh) 2013-09-26 2018-12-14 戴森技术有限公司 手持式器具
CN109171160A (zh) * 2018-09-30 2019-01-11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散热的吹风机
CN109259408A (zh) * 2018-09-30 2019-01-25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手柄进风式吹风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02170A (ja) 2022-01-11
WO2020186855A1 (zh) 2020-09-24
EP3831240A1 (en) 2021-06-09
EP3831240B1 (en) 2024-02-07
EP3831240A4 (en) 2021-12-15
KR102542312B1 (ko) 2023-06-13
CN109700159B (zh) 2024-05-24
US20210321738A1 (en) 2021-10-21
EP3831240C0 (en) 2024-02-07
JP7247329B2 (ja) 2023-03-28
CN109700159A (zh) 2019-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8967A (ko) 헤어 드라이어
US11583053B2 (en) Digitally controlled hairdryer
CN111772317B (zh) 吹风机
KR20100086409A (ko)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장치
KR102235384B1 (ko) 기능 모듈이 결합된 휴대용 선풍기
CN111557539A (zh) 一种吹风机
KR101477739B1 (ko) 헤어드라이어
KR20220002054A (ko) 디지털 터치스크린 방식의 헤어 드라이어와 이를 위한 고효율 전원공급장치
KR101774033B1 (ko) 참빗 헤어드라이기
CN209788886U (zh) 一种吹风机
CN111802776A (zh) 一种头发成型器具
CN212650551U (zh) 一种头发成型器具
CN212185565U (zh) 一种液晶显示无级变速吹风机
CN110403326B (zh) 一种干发器
CN212546034U (zh) 一种吹风机
JPH0856739A (ja) ヘアードライヤ
CN219835301U (zh) 手持吹风机
CN218605466U (zh) 电吹风
KR102585497B1 (ko) 헤어드라이어
CN217565177U (zh) 出风头及护理装置
CN113491379B (zh) 吹风机
US20210298444A1 (en) Hair dryer
CN217065612U (zh) 吹风机
WO2021047626A1 (zh) 手持式吹风机
CN215225301U (zh) 一种电吹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