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693B1 - 헤어드라이어 - Google Patents

헤어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693B1
KR102364693B1 KR1020200056534A KR20200056534A KR102364693B1 KR 102364693 B1 KR102364693 B1 KR 102364693B1 KR 1020200056534 A KR1020200056534 A KR 1020200056534A KR 20200056534 A KR20200056534 A KR 20200056534A KR 102364693 B1 KR102364693 B1 KR 102364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ound
fan unit
gas
absorb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8330A (ko
Inventor
민경석
박군동
김준영
안광운
오현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6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693B1/ko
Priority to PCT/KR2020/012328 priority patent/WO2021230434A1/ko
Priority to TW109135773A priority patent/TWI767361B/zh
Priority to US17/084,668 priority patent/US11571056B2/en
Publication of KR20210138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2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3Sound attenuation
    • F04D29/664Sound attenuation by means of sound 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헤어드라이어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는 본체부, 손잡이부, 기체유로 및 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손잡이케이스 및 손잡이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프레임은 상기 팬유닛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기체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가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팬유닛을 향해 유동되며, 상기 손잡이케이스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음공간이 형성되는 유동안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헤어드라이어{HAIR DRYER}
본 발명은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기체유입부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가 기체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을 젖은 상태에서 원하는 만큼 물기를 제거하거나, 현재 모양으로부터 원하는 모양으로 스타일링하는 경우, 기체토출부를 통해 기체를 토출하는 헤어드라이어가 이용될 수 있다.
헤어드라이어 내부에는 기체를 유동시키기 위한 팬유닛 등이 내장될 수 있고, 이러한 내부 구성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를 자체 하중 등을 고려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미국 특허 공개문헌 US 2019/00116955 A1에는 팬유닛 및 기체유입부가 사용자에게 쥐어지는 손잡이부에 배치됨에 따라, 헤어 드라이어의 무게 중심이 손잡이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헤어 드라이어가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쥐고 기체토출부의 기체 토출방향을 원하는대로 조절하는 데에 필요한 손목의 부담 등이 줄어들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공개문헌 US 2019/00116955 A1에 개시된 헤어드라이어는 사용자가 직접 쥐는 손잡이부 내부에 팬유닛이 마련되고, 상기 팬유닛은 진동을 발생시키면서 사용자에게 진동을 전달하거나 소음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 내부에 팬유닛이 위치됨에 따라 손잡이부로부터 본체부까지 이어지는 기체유로에서 유동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유동 손실에 의해 기체의 토출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헤어드라이어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켜 사용자의 불쾌감을 해소하고, 유동 손실을 최소화하며 손잡이부 내부에 팬유닛이 구비되는 효율적인 구조를 개발하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 있어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체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안정시키고 기체의 토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팬유닛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손잡이부 내부에 팬유닛을 배치할 수 있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손잡이부에 팬유닛이 내장될 수 있고, 팬유닛과 기체유입부 사이에 유동안정부가 마련될 수 있다.
기체유입부를 통과하는 기체는 기체유입부의 형상이나 유동 방향의 급격한 전환 등에 의해 난류성이 강해진다. 즉, 기체유입부를 통해 손잡이부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는 유동방향이 불규칙적인 난류성 유동을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이 기체가 난류성 유동을 가지며 기체유로를 유동하는 경우, 기체유로상에서 기체에 의한 소음이 증가될 수 있고, 팬유닛에 의한 기체 유동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손잡이부 내부에 유동안정부가 마련되고, 기체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는 상기 유동안정부를 통과하면서 유동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동안정부와 손잡이케이스 사이에 흡음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흡음공간은 헬름홀츠 공명공간으로 마련되어 유동안정부 등으로부터 손잡이부 외부로 방사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기체유로상의 소음 또한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손잡이프레임을 통해 팬유닛과 손잡이케이스 사이가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팬유닛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이 손잡이부를 통해 외부로 방사되는 수준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흡음공간은 팬유닛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1흡음공간 및 제2흡음공간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주파수영역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는 본체부, 손잡이부, 기체유로 및 팬유닛을 포함한다. 본체부는 기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기체토출부를 포함하고, 손잡이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외부에서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부를 포함한다.
기체유로는 상기 기체유입부로부터 상기 기체토출부까지 연장되어 기체가 유동되며, 팬유닛은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기체유로상에 배치되어 기체를 유동시키도록 마련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기체유로를 형성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손잡이케이스 및 상기 손잡이케이스의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팬유닛이 결합되는 손잡이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프레임은 상기 팬유닛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기체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가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팬유닛을 향해 유동되며, 상기 손잡이케이스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음공간이 형성되는 유동안정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기체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안정시켜 기체상의 소음을 효과적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팬유닛에 의한 기체 유동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기체유입부는 상기 유동안정부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유동안정부는 내부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동을 안정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동안정부는 상기 기체유입부로부터 기체가 유입되고, 상기 기체유입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내경이 감소되는 내경감소부 및 상기 내경감소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경감소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내경이 증가되는 내경증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유닛은 상기 손잡이케이스의 상기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흡음공간은 상기 팬유닛과 상기 손잡이케이스 사이의 이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프레임은 상기 손잡이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링 형상으로 마련되고, 내측에 상기 팬유닛이 결합되는 팬유닛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팬유닛은 하단부가 상기 팬유닛결합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팬유닛결합부는 상기 손잡이케이스의 상기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흡음공간의 상단부를 상기 기체유로로로부터 폐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프레임은 상기 유동안정부의 하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손잡이케이스와 결합되는 하단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단결합부는 상기 손잡이케이스의 상기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흡음공간의 하단부를 상기 기체유로로부터 폐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케이스는 상기 손잡이케이스의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단결합부와 결합되는 프레임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안정부는 상기 팬유닛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팬유닛과의 사이에 상기 흡음공간의 개방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흡음공간은 상기 개방영역을 통해 상기 기체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팬유닛은 팬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팬이 상기 팬유닛의 상기 하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흡음공간은 서로 다른 용적을 가지는 제1흡음공간 및 제2흡음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프레임은 상기 제1흡음공간 및 상기 제2흡음공간을 상호 격리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흡음공간은 상기 유동안정부와 상기 손잡이케이스 사이의 공간 및 상기 팬유닛과 상기 손잡이케이스 사이의 공간 일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흡음공간은 상기 팬유닛과 상기 손잡이케이스 사이의 공간 중 상기 제1흡음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프레임은 상기 유동안정부와 상기 팬유닛결합부 사이를 연결하는 하부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부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하부연결부는 제1하단연결부 및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하부연결부와 이격 배치되는 제2하부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하부연결부 및 상기 제2하부연결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흡음공간 및 상기 제2흡음공간 사이를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프레임은 상기 유동안정부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공간구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구획부는 양단부에 각각 상기 제1흡음공간 또는 상기 제1흡음공간이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제1흡음공간 및 상기 제2흡음공간 사이를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프레임은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상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상단결합부 및 상기 상단결합부와 상기 팬유닛결합부 사이를 연결하는 상부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체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안정시키고 기체의 토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팬유닛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손잡이부 내부에 팬유닛을 배치할 수 있는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에서 손잡이케이스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에서 손잡이프레임을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에서 손잡이케이스의 프레임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에서 손잡이케이스 및 손잡이프레임을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에서 손잡이부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에서 손잡이부 내부에 마련되는 흡음공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에서 손잡이부로부터 분리된 필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에서 필터부가 결합된 손잡이부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에서 흡음공간에 의한 소음 저감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헤어드라이어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와 손잡이부(200)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부(10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기체가 토출되는 기체토출부(12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기체가 유동하는 기체유로(150)가 형성될 수 있다. 기체유로(150)는 손잡이부(200)로부터 본체부(100)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체유로(150)는 본체부(100)의 내부 및 손잡이부(200)의 내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기체유입부(220)로부터 기체토출부(120)까지 연장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체부(100)에는 기체유로(150)를 따라 유동되는 기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기체토출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기체토출부(120)의 기체토출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는 기체유입부(220)를 통해 유입되며, 기체유입부(220)는 본체부(100) 또는 손잡이부(2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2와 같이 기체유입부(220)가 손잡이부(200)에 구비된 경우, 기체유로(150)가 손잡이부(200)로부터 본체부(100)까지, 구체적으로 기체유로(150)는 기체유입부(220)로부터 기체토출부(120)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 또는 손잡이부(200)에 마련되는 기체유입부(220)를 통해 외부로부터 기체가 유입되고,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는 상기 기체유로(150)를 따라 유동되어 본체부(100)에 마련되는 기체토출부(12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1 내지 2를 참고하면, 본체부(100)로부터 대략 하방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200)가 도시되어 있다.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로부터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부(200)가 본체부(100)와 별개로 제조되어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경우,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의 대한 길이방향이 고정되거나 가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부(200)는 힌지결합부를 가지며 본체부(100)에 결합되어 손잡이부(200)의 길이방향이 변화 가능하도록, 즉 본체부(100)에 대해 접힐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부(2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부위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립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손잡이부(200)의 연장방향은 다양할 수 있으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체부(100)에서 손잡이부(200)가 연장되는 방향을 하방으로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서 상하방향은 손잡이부(200)를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방에 본체부(100)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하방향은 반드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해될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손잡이부(200)를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는 기체를 유동시키고 기체토출부(120)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기체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팬유닛(300)을 포함한다. 팬유닛(300)은 기체유로(150)상에 배치되어 기체를 유동시키며, 본체부(100)의 내부 또는 손잡이부(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기체유입부(220)가 손잡이부(200)에 배치된 경우, 기체유로(150)는 손잡이부(200)의 기체유입부(220)로부터 본체부(100)의 기체토출부(120)까지 연장될 수 있고, 팬유닛(300)은 손잡이부(200)에 위치되는 기체유로(150)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토출기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유닛(160)이 구비될 수 있다. 온도조절유닛(160)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된 온도조절유닛(160)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온도조절유닛(160)은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온도조절유닛(160)은 코일 형태의 저항체에 전류를 제공하여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기체를 가열하는 방식일 수 있다.
다만, 온도조절유닛(160)의 저항체가 반드시 코일 형태가 아닐 수 있고, 열전소자를 이용하는 등 기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작동방식을 기체 유동과 함께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본체부(100) 또는 손잡이부(200)에 배치되는 전원버튼을 조작할 수 있다. 전원버튼이 온 상태가 되면, 팬유닛(300)이 작동되면서 기체가 기체유입부(220)를 통해 헤어드라이어의 내부로 유입된다.
기체유입부(220)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는 팬유닛(300)에 의해 기체유로(150)를 따라 유동되어 기체토출부(120)를 향하고, 기체토출부(120)에서는 토출기체가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 과정에서, 기체유로(150)상의 기체는 팬유닛(300)에 의해 유동속도가 조절될 수 있고, 온도조절유닛(160)에 의해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팬유닛(300), 온도조절유닛(160), 전원버튼 및 조작부 등과 연결되어 상기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유닛(300) 및 온도조절유닛(160)의 운전상태 조절은 사용자가 조작부를 조작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어부에 미리 설정된 운전모드에 따라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손잡이케이스(250)가 분리된 손잡이부(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손잡이부(200) 내부에 마련되는 손잡이프레임(400)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체부(100), 손잡이부(200), 기체유로(150) 및 팬유닛(300)을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외부로 기체를 토출하도록 마련된다. 즉, 본체부(100)는 기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기체토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200)는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연장되고, 내부로 기체가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부(200)는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외부에서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체유입부(220)는 손잡이케이스(250)를 관통하는 복수의 기체유입홀(222)을 포함할 수 있다.
기체유로(150)는 상기 기체유입부(220)로부터 상기 기체토출부(120)까지 연장되어 기체가 유동된다. 기체유로(150)의 일부는 본체부(100) 내부에 위치되고 기체유로(150)의 나머지는 손잡이부(20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본체부(100)의 내부는 기체유로(15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손잡이부(200)의 내부는 기체유로(150)의 나머지를 형성할 수 있다.
팬유닛(300)은 상기 손잡이부(200)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부(200) 내부로 유입된 기체를 상기 기체토출부(120)측으로 유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유닛(300)은 상기 기체유로(150)상에 배치되어 기체를 유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체부(100)로부터 분리된 손잡이프레임(400) 및 손잡이케이스(25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부(200)는 손잡이케이스(250) 및 손잡이프레임(400)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케이스(250)는 내부에 상기 손잡이프레임(400)이 수용된다. 즉, 손잡이케이스(250)는 상기 기체유로(150)를 형성하는 내부공간(251)이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부(200)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는 내부에 손잡이프레임(400)이 수용되고 손잡이부(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손잡이케이스(250)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손잡이프레임(400)과 분리된 손잡이케이스(250)가 도시되어 있다.
손잡이케이스(250)는 내부공간(251)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251)은 기체유로(15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251)에는 손잡이프레임(400)이 위치될 수 있다.
손잡이프레임(400)은 상기 손잡이케이스(250)의 상기 내부공간(251)에 배치되고, 상기 팬유닛(30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손잡이프레임(400)은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케이스(250)의 상기 내부공간(251)에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프레임(400)은 상단부가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손잡이부(200)의 길이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하방향으로 정의되어 설명될 수 있다. 상기 상하방향은 지면 또는 중력방향과 무관하게 정의될 수 있고, 손잡이부(2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손잡이부(200)에서 본체부(100)를 향하는 방향이 상방향에 해당되고, 본체부(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 하방향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손잡이프레임(400)은 본체부(100)와 일체로 제조되거나, 상기 본체부(100)와 별개로 제조되어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프레임(400)은 상단부가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프레임(400)의 상단부와 본체부(100)간의 결합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프레임(400)은 상단부가 후크식 결합, 자력 결합, 끼워맞춤식 결합,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본체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프레임(400)은 본체부(10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손잡이프레임(400)은 손잡이케이스(250)의 내부공간(251)에 위치될 수 있고, 팬유닛(300)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팬유닛(300)은 상기 손잡이프레임(400)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케이스(250)의 내주면(254)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팬유닛(300)은 상기 손잡이프레임(4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손잡이케이스(250)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손잡이케이스(250)의 내주면(254)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팬유닛(30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손잡이프레임(400)에 팬유닛(300)이 결합 및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프레임(400)이 손잡이케이스(250)의 내부로 삽입 및 수용됨으로써, 손잡이부(200)의 내부에 팬유닛(300)이 효율적으로 배치되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내용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손잡이케이스(250) 내부에 팬유닛(3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케이스(250)를 복수의 분할 구성으로 마련할 필요가 없고, 밀폐성이 향상되어 풍량 등 기체 유동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팬유닛(300)이 직접 손잡이케이스(250)의 내주면(254)에 결합되지 않고, 손잡이프레임(400)을 통해 팬유닛(300)과 손잡이케이스(250)가 상호 이격되도록 마련됨으로써, 팬유닛(300)측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소음이 상기 손잡이케이스(25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정도가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손잡이케이스(250)는 손잡이프레임(400)과 결합되거나, 본체부(100)와 결합되거나, 손잡이프레임(400) 및 본체부(100)와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프레임(40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며, 기체유로(150)의 일측에 위치되거나 손잡이프레임(400)의 내측에 기체유로(150)가 형성될 수도 있다.
팬유닛(300)과 손잡이프레임(400)간의 결합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팬유닛(300)은 자력 결합, 후크식 결합, 끼워맞춤식 결합, 나사식 결합 등의 방식으로 손잡이프레임(40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프레임(400)은 상단결합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결합부(410)는 상기 손잡이프레임(400)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단결합부(4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00)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손잡이프레임(400)은 상단결합부(410)가 본체부(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나머지가 본체부(100)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프레임(400)은 상기 손잡이케이스(250)의 개방된 상면(252)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251)으로 삽입될 수 있다. 손잡이케이스(250)는 상면(252)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본체부(100)를 향해 이동되면서 손잡이프레임(400)이 상기 개방된 상면(252)을 통해 손잡이케이스(25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손잡이케이스(250)의 상단부는 본체부(100)의 외벽과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케이스(250)와 본체부(100) 사이의 접촉면을 통한 기체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손잡이케이스(250)의 상단부는 손잡이프레임(400)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체유로(150)상의 기체는 손잡이케이스(250)와 손잡이프레임(400)의 밀착에 의해 1차적인 밀폐성이 확보되고, 손잡이케이스(250)와 본체부(100) 외벽간의 밀착에 의해 2차적인 밀폐성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단결합부(410)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링 형상으로 마련되고, 내측으로 기체가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링 형상이란 단면상 폐곡선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내측에 폐단면이 형성되는 형상을 의미한다. 상기 폐곡선은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상단결합부(410)는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결합부(410)의 상기 중공부는 기체유로(15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손잡이부(200) 내부의 팬유닛(300)에 의해 유동되는 기체는 상단결합부(410)의 내측을 통과하여 본체부(100)로 유동될 수 있다.
상단결합부(410)가 링 형상을 가지며 본체부(100)에 결합되고, 내측으로 기체가 유동되도록 마련됨에 따라 손잡이부(200)와 본ㅂ체부간의 결합부위에서 기체가 누출되거나 풍량이 손실되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손잡이프레임(400)이 복수의 분할체(405)로 이루어진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프레임(400)은 상기 손잡이프레임(400)은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분할된 복수의 분할체(40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할체(405) 중 어느 하나의 분할체(405)는 상기 상단결합부(410)를 포함하며, 나머지 분할체(405)는 상기 상단결합부(410)의 하방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분할체(405)와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프레임(400)은 내측으로 팬유닛(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손잡이케이스(250) 내부로 수용되는데, 손잡이프레임(400)은 위와 같이 내측에 팬유닛(300)이 구비되기 용이하도록 복수의 분할체(405)로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프레임(400)은 원주방향을 따라 분할되어 복수의 분할체(405)를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분할체(405)는 손잡이부(20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길이방향을 가질 수 있다. 즉, 복수의 분할체(405)는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호 결합되어 완전한 손잡이프레임(40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단결합부(410)는 분할되지 않은 완전한 일체로 성형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분할체(405)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손잡이프레임(400)은 상기 상단결합부(410)의 하방 부위가 상기 복수의 분할체(405)로 분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손잡이프레임(400)이 상기 상단결합부(410)의 하방에서 복수의 분할체(405)로 분할됨에 따라, 상단결합부(410)가 분할되지 않고 본체부(100)에 결합되어 구조적인 안정성이 향상되고, 내측으로 기체가 유동되는 상단결합부(410)에서 기체의 밀폐성이 향상될 수 있다.
손잡이프레임(400)을 이루는 분할체(405)의 개수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4 내지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따라 손잡이프레임(400)이 2개의 분할체(405)로 구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팬유닛(300)은 모터마운트(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마운트(320)는 내측으로 팬모터가 삽입되고 상기 팬모터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케이스(250)는 상기 손잡이케이스(250)는 사출 성형되어 상기 내부공간(251)이 형성되고 상면(252)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손잡이케이스(250)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손잡이케이스(250)는 내부공간(251)을 가지며 상면(252)이 개방된 형태로 사출될 수 있다. 하면(253)은 필요에 따라 외주면(255)과 일체로 성형되거나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5 내지 6에는 손잡이케이스(250)의 하면(253)이 개방되고, 상기 하면(253)을 차폐하는 하면부가 별개 제조되어 결합되도록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팬유닛(300)은 손잡이프레임(400)에 고정되어 손잡이케이스(250) 내부에 삽입되는 바, 손잡이케이스(250)는 복수의 분할 구성으로 마련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즉, 손잡이케이스(250)는 자체적으로 별도의 조립선이 형성되지 않으며, 따라서 손잡이케이스(250)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의 밀폐성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조립선이 생략되어 심미성이 향상되고 조립 공차 등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조립 완전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에서 상기 손잡이프레임(400)은 팬유닛결합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팬유닛결합부(430)는 상기 상단결합부(41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링 형상으로 마련되며, 내측에 상기 팬유닛(300)이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잇다.
팬유닛결합부(430)는 상단결합부(41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팬유닛결합부(430)는 상단결합부(410)보다 본체부(100)로부터 더 멀리 위치될 수 있고, 손잡이케이스(250)의 기체유입부(220)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팬유닛결합부(430)는 상단결합부(410)와 유사하게 단면이 링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 및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략 원형의 링 형상을 가지는 팬유닛결합부(430) 및 상단결합부(410)가 도시되어 있다.
팬유닛결합부(430)는 내측으로 팬유닛(30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팬유닛결합부(430)는 팬유닛(300)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상단결합부(41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 배치되는 팬유닛결합부(430)에 팬유닛(300)이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케이스(250) 내부에 효과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프레임(400)은 상부연결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연결부(420)는 상기 상단결합부(410)와 상기 팬유닛결합부(430)를 연결하도록 마련되고,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부연결부(42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 내지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하방향, 즉 손잡이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4개로 마련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는 상부연결부(420)가 도시되어 있다.
상부연결부(420) 중 어느 하나는 복수의 분할체(405)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즉, 상부연결부(420) 중 어느 하나는 일부가 어느 하나의 분할체(405)에 마련되고, 나머지가 다른 분할체(405)에 마련될 수 있다.
상부연결부(420)는 상단결합부(410)와 상기 팬유닛결합부(430)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연결부(420)는 일측이 상단결합부(410)와 연결되고, 타측이 팬유닛결합부(430)와 연결될 수 있다.
상부연결부(420)는 일단부가 상단결합부(410)에 마련되고, 타단부가 팬유닛결합부(430)에 마련될 수 있다. 상부연결부(420)는 상단결합부(410) 및 팬유닛결합부(430)와 일체로 제조되거나, 별개로 제조되어 상기 상단결합부(410) 및 팬유닛결합부(430)와 결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부연결부(420)는 상단결합부(4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팬유닛결합부(430)에 결합되거나, 팬유닛결합부(43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단결합부(4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부연결부(420)를 통해 상단결합부(410)로부터 팬유닛결합부(430)를 하방으로 이격 배치함으로써 팬유닛(300)을 손잡이케이스(250) 내부의 적합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복수의 상부연결부(420)가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상부연결부(420) 사이마다 기체상에 존재하는 소음이 저감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프레임(400)은 하단결합부(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단결합부(460)는 상기 팬유닛결합부(43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케이스(25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내용과 같이 하단결합부(460)는 손잡이프레임(400)의 유동안정부(450)의 하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프레임(400)은 손잡이케이스(250)의 내부에서 상기 손잡이케이스(250)와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프레임(400)은 하단부, 즉 본체부(100)의 반대측 단부에 상기 하단결합부(460)가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프레임(400)과 손잡이케이스(250)는 상기 하단결합부(460)를 통해 손잡이케이스(250)의 내부에서 결합되므로, 외부로 결합 구조가 노출되지 않아 제품 외관의 심미성이 향상되고 손잡이케이스(250) 내부의 밀폐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하단결합부(460)와 손잡이케이스(250)의 결합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하단결합부(460)는 손잡이케이스(250)의 내주면(254)과 자력 결합, 나사 결합, 후크식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내용과 같이 손잡이케이스(250)는 내주면(254)으로부터 돌출되는 프레임결합부(25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손잡이프레임(400)의 하단결합부(460)와 프레임결합부(257)가 볼트 등의 수단을 통해 상호 결합되어 손잡이케이스(250)가 손잡이프레임(400)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체유입부(220)는 손잡이케이스(250)의 외주면(255)에 마련되고 상기 하단결합부(460)보다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7에는 하단결합부(460)와 기체유입부(220)의 위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기체유입부(220)는 손잡이케이스(250)의 외주면(255)에 형성됨으로써 기체가 유입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단결합부(460)는 기체유입부(220)보다 상방, 즉 본체부(100)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프레임(400)은 전체로서 내측으로 기체가 유동되는 기체유로(150)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게 되며, 기체유입부(220)를 통해 손잡이케이스(250)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는 하단결합부(460)를 지나 팬유닛(300)을 향하게 된다.
하단결합부(460)는 손잡이케이스(250)에서 적어도 기체유입부(220)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손잡이케이스(250)는 상기 하단결합부(460)의 하방으로 공간이 확보되어 추가적인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후술할 내용과 같이 하단결합부(460)의 하방으로 기체유입부(220)가 배치되고, 기체유입부(220)의 내측으로 필터부(230)가 배치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단결합부(460)를 통해 손잡이케이스(250)와 손잡이프레임(400)간의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손잡이프레임(400)의 하방으로 공간 확보가 용이하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프레임(400)의 하단결합부(460)와 손잡이케이스(250)의 프레임결합부(257)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상기 하단결합부(460) 및 프레임결합부(257)를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단결합부(460)와 프레임결합부(257)가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케이스(250)는 상기 손잡이케이스(250)의 상기 내주면(254)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하단결합부(460)가 결합되는 프레임결합부(257)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결합부(257)는 손잡이케이스(250)의 내주면(254)상에 위치되고, 내주면(254)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프레임결합부(257)는 손잡이케이스(250)의 반경방향과 나란한 돌출높이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결합부(257)는 하단결합부(460)와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단결합부(460)는 손잡이케이스(250) 내부에서 상기 프레임결합부(257)와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결합부(257)는 손잡이케이스(250)의 내주면(254)과 일체로 마련되거나, 손잡이케이스(250)와 별개로 제조되어 상기 손잡이케이스(250)의 내주면(254)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결합부(257) 및 상기 하단결합부(460)는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기체유입부(220)로부터 유입되는 기체가 내측을 통과하여 상기 팬유닛(300)으로 유동될 수 있다.
도 5 내지 6을 참고하면, 프레임결합부(257)와 하단결합부(460)는 각각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결합부(257)는 손잡이케이스(250)의 내주면(254)으로부터 돌출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하단결합부(460)는 팬유닛결합부(430)의 하방에 위치되고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결합부(257) 및 하단결합부(460)의 내측에는 기체유입부(220)로부터 유입되는 기체가 유동될 수 있다. 프레임결합부(257) 및 하단결합부(460)는 기체유입부(220)와 팬유닛(300) 사이에 위치되므로 기체유입부(220)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는 상기 프레임결합부(257) 및 하단결합부(460)의 중공부를 통과하며 팬유닛(300)을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손잡이프레임(400)이 복수의 분할체(405)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하단결합부(460)는 일부가 복수의 분할체(405)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고, 나머지는 복수의 분할체(405) 중 나머지에 마련될 수 있다.
즉, 하단결합부(460)는 상기 복수의 분할체(405)에 의해 분할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분할체(405)가 함께 결합되면서 상기 하단결합부(460)가 완전체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6에는 전선(235) 및 전선홈(237)이 도시되어 있다. 손잡이케이스(250) 내부에는 팬유닛(300)이 배치되고, 팬유닛(300)은 상기 전선(235)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선(235)은 적어도 일부가 손잡이케이스(250)의 내주면(254)과 손잡이프레임(400) 사이에서 손잡이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결합부(257) 및 하단결합부(460)는 각각 상기 전선(235)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결합부(257) 및 하단결합부(460)를 관통하는 전선(235)은 팬유닛(300)으로부터 손잡이부(200)의 하부측으로 연장되고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팬유닛(3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프레임결합부(257) 및 하단결합부(460)는 각각 전선홈(237)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선홈(237)은 프레임결합부(257) 및 하단결합부(460)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전선홈(237)은 반경방향으로 만입된 형상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손잡이프레임(400)과 손잡이케이스(250)가 결합되면 프레임결합부(257)의 전선홈(237)과 하단결합부(460)의 전선홈(237)은 서로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손잡이프레임(400)과 손잡이케이스(2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선(235)은 상기 손잡이프레임(400) 및 손잡이케이스(250)의 각 전선홈(237)을 함께 관통하며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손잡이부(200) 내부에 삽입되는 필터부(230)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필터부(230)가 삽입된 손잡이부(200)의 내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필터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필터부(230)는 상기 손잡이케이스(250)의 하면(253)을 통해 상기 손잡이케이스(25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기체유입부(220)로부터 유입되는 기체를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부(230)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기체유입부(220)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필터부(230)는 하단결합부(460) 및 프레임결합부(257)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필터부(230)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외주면이 상기 기체유입부(220)를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체유입부(220)로부터 유입되는 기체는 필터부(230)를 거쳐 팬유닛(300)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필터부(230)는 외주면이 기체유입부(220)에 밀착되도록 마련되거나, 기체유입부(220)를 기체유로(150)로부터 밀폐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필터부(23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기체유입부(220)를 통해 손잡이부(200)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는 필터부(230)의 외주면을 통과하며 필터링되고, 상기 필터부(230)의 외주면을 지나 상기 필터부(230)의 중공부를 통해 팬유닛(300)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230)는 외주면이 상기 손잡이부(200)의 상기 내주면(254)을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기체유입홀(222)로부터 유입되는 기체가 상기 필터부(230)를 거쳐 상기 기체유로(150)로 유입될 수 있다.
필터부(230)는 기체유입부(220)를 통해 손잡이부(200)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상의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체유입부(220)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는 팬유닛(300)을 지나 본체부(100)를 향하며, 기체상의 이물질은 팬유닛(300)의 손상이나 파손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체유입부(220)의 내측에 필터부(230)가 위치되고, 기체유입부(220)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는 필터부(230)를 통과하며 필터링된 이후 팬유닛(300)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단부면에 상기 필터부(230)가 삽입되는 필터삽입부(210)가 마련되고, 상기 필터부(230)는 상기 필터삽입부(210)를 통해 상기 손잡이부(2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일단부가 상기 제2폐쇄부에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부(200)는 외주면(255)상에 기체유입부(220)가 마련되고, 팬유닛(300) 등과의 배치 관계에 따라 기체유입부(220)는 손잡이부(200)의 단부, 즉 손잡이부(20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200)는 본체부(100)의 반대측 단부면, 즉 하면(253)에 필터삽입부(210)가 마련될 수 있다. 필터삽입부(210)는 필터가 삽입되는 필터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필터부(230)는 상기 필터삽입부(210)를 통해 손잡이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손잡이부(2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결합부(257)는 상면에 상기 하단결합부(460)가 결합되고, 하면에 상기 필터부(23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프레임결합부(257)는 본체부(100)를 향하는 일면에 하단결합부(460)가 결합될 수 있고, 기체유입부(220)를 향하는 타면에 필터부(230)가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프레임(400)은 하단부가 손잡이케이스(250)의 개방된 상면(252)을 통해 하방으로 삽입되므로, 손잡이프레임(400)의 하단결합부(460)는 하면이 상기 프레임결합부(257)의 상면을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230)는 손잡이케이스(250)의 하면(253)에 마련되는 필터삽입부(210)를 통해 상방으로 삽입되므로, 필터부(230)가 상단부는 프레임결합부(257)의 하면을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필터부(230)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프레임결합부(257) 및 하단결합부(460)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필터부(230), 프레임결합부(257) 및 하단결합부(460)의 단면은 각각 대략 원형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필터부(230), 프레임결합부(257) 및 하단결합부(460)의 단면 형상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필터부(230), 프레임결합부(257) 및 하단결합부(460)는 상하방향으로 상호 결합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필터부(230), 프레임결합부(257) 및 하단결합부(460)는 나사식 결합, 끼워맞춤식 결합, 자력 결합, 후크식 결합 등 다양한 방식일 수 있고, 필터부(230)와 프레임결합부(257)간의 결합방식과 프레임결합부(257)와 하단결합부(460)간의 결합방식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하단결합부(460)와 프레임결합부(257)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고, 필터부(230)는 프레임결합부(257)에 자석 등을 이용한 자력 결합 방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손잡이프레임(400)에 마련되는 유동안정부(450)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손잡이케이스(250) 내부에 배치된 유동안정부(450)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프레임(400)은 유동안정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유동안정부(450)는 상기 하단결합부(460)와 상기 팬유닛(300) 사이에 마련되고,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측의 기체 유동을 안정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동안정부(450)는 기체유입부(22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기체유입부(220)는 유동안정부(450)보다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유동안정부(450)는 상기 유동안정부(450)는 내부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동을 안정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동안정부(450)는 하단결합부(460)와 팬유닛(30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하단결합부(460)는 유동안정부(450)의 하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하단결합부(460)는 유동안정부(450)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개로 제조되어 유동안정부(45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기체유입부(220)는 하단결합부(460)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고, 따라서 유동안정부(450)는 기체유입부(220)보다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기체유입부(220)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는 유동안정부(450)를 통과하여 팬유닛(3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유동안정부(450)는 내측에 손잡이부(200)의 길이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동안정부(450)는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는 파이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유동안정부(450)는 기체유입부(220)로부터 유입된 기체가 유동되는 기체유로(15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즉, 기체유입부(220)로부터 유입되는 기체는 유동안정부(450)를 지나 팬유닛(300)으로 전달될 수 있고, 유동안정부(450)는 내측을 통과하는 기체의 유동을 안정화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기체유입부(220)로부터 유입되는 기체는 유동의 강제성에 의한 유동방향 전환과 기체유입부(220)의 형상 등에 의해 유동이 불안정하다. 즉, 기체유입부(220)로부터 유입되는 기체의 유동은 난류성이 강하다.
위와 같이 층류보다 난류에 가까운, 즉 난류성이 강한 기체의 유동이 팬유닛(300)으로 전달되면 팬유닛(300)에 의한 기체 유동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예컨대, 난류성이 강한 기류가 그대로 팬유닛(300)에 전달되면 소음이 증가될 뿐 풍량 등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체유입부(220)와 팬유닛(300) 사이에 유동안정부(450)를 마련하고, 상기 유동안정부(450)를 통해 기체유입부(220)로부터 유입되는 기체의 유동을 안정시킬 수 있다.
유동안정부(450)는 손잡이부(200)의 길이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체유입부(220)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의 복잡한 기류가 유동안정부(450)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점차 안정화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동안정부(450)는 하단결합부(46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손잡이프레임(400)은 하부연결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연결부(44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팬유닛결합부(430)와 상기 유동안정부(450)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동안정부(450)는 하단부에 상기 하단결합부(460)가 마련될 수 있고, 하부연결부(440)를 통해 팬유닛결합부(43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유동안정부(450)는 하부연결부(440)를 통해 손잡이프레임(400)에 고정될 수 있다.
하부연결부(44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손잡이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유동안정부(450)와 팬유닛결합부(430)를 연결하는 하부연결부(440)가 도시되어 있다.
하부연결부(44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고, 하부연결부(440)는 상기 팬유닛결합부(430) 및 유동안정부(450)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개로 제조되어 상기 팬유닛결합부(430) 및 유동안정부(450)와 결합될 수도 있다.
하부연결부(440)는 손잡이부(200)의 내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됨으로써 상호간의 이격공간이 확보되고, 이에 따라 기체 또는 팬유닛(3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동안정부(450)는 내경감소부(452) 및 내경증가부(454)를 포함할 수 있다. 내경감소부(452)는 상기 하단결합부(460)로부터 멀어질수록 내경이 감소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내경증가부(454)는 상기 내경감소부(45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경감소부(452)로부터 멀어질수록 내경이 증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동안정부(450)는 내경감소부(452)와 내경증가부(454)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서 내측의 기체 유동 단면적이 최소가 되는 목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동안정부(450)는 내경감소부(452)와 내경증가부(454)에 의해 벤츄리 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경감소부(452)는 하단결합부(460)로부터 멀어질수록, 즉 상방을 향할수록 내경이 감소되어 유동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체유입부(220)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는 프레임결합부(257) 및 하단결합부(460)를 통과하여 상기 내경감소부(452)에 유입되고, 내경감소부(452)에 의해 유동 단면적이 감소되며 유속은 증가될 수 있다.
이 때, 기체는 손잡이부(200)의 길이방향에 따른 유속이 증가되므로 상기 길이방향과 무관한 난류성 성분이 감소될 수 있으며, 유동 안정성 향상에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내경증가부(454)는 내경감소부(452)로부터 멀어질수록, 즉 상방을 향할수록 내경이 점차 증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내경감소부(452)를 지나 유속이 증가되는 기체는 내경증가부(454)에 의해 다시 유속이 감소되면서 유동 단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층류화가 진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경감소부(452) 및 내경증가부(454)를 포함하는 유동안정부(450)에 의해 기체유입홀(222)로부터 유입되는 기체의 유동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팬유닛(300)에 공급함으로써 팬유닛(300)의 기체 유동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팬유닛(300)을 둘러싸는 흡음공간(470)이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상기 흡음공간(470)을 단면으로 나타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동안정부(450)는 외주면이 상기 손잡이케이스(250)의 상기 내주면(254)으로부터 이격되어 흡음공간(47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동안정부(450)는 상기 팬유닛(300)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기체유입부(220)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가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팬유닛(300)을 향해 유동되며, 상기 손잡이케이스(250)의 내주면(254)과의 사이에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음공간(470)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동안정부(450)의 외주면과 손잡이케이스(250)의 내주면(254) 사이에 흡음공간(470)이 형성될 수 있다. 흡음공간(470)은 유동안정부(450)의 외주면과 손잡이케이스(250)의 내주면(254)에 의해 정의되거나, 유동안정부(450) 및 손잡이케이스(250) 사이에서 타 구성에 의해 정의될 수도 있다.
흡음공간(470)은 상기 유동안정부(450) 등 기체유로(150)상에서 기체로부터 발생되거나 팬유닛(300)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손잡이부(200) 외부로 방사되는 수준을 저감시킬 수 있고, 후술할 내용과 같이 기체유로(150)상에서 기체에 존재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도 있다.
흡음공간(470)은 공기 등이 충전된 빈 공간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소음 등이 저감되는 흡음재로 충전되거나, 전기에너지를 통해 진동하는 압전 소자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체유입부(220)로부터 유입되는 기체의 유동을 안정시키며 상기 기체 유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는 유동안정부(450)와 손잡이케이스(250) 사이에 흡음공간(470)을 형성함으로써, 기체 유동 또는 팬유닛(300)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헤어드라이어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에서 상기 팬유닛(300)은 하단부가 상기 팬유닛결합부(43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손잡이케이스(250)의 상기 내주면(254)과 이격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흡음공간(470)은 상기 팬유닛(300)과 상기 손잡이케이스(250) 사이의 이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팬유닛(300)의 하단부와 손잡이케이스(250)의 내주면(254)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은 흡음공간(470)의 일부에 해당될 수 있다. 즉, 흡음공간(470)은 유동안정부(450)와 손잡이케이스(250) 사이를 포함하고, 팬유닛(300)과 손잡이케이스(250) 사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팬유닛(300)은 팬모터에 의한 작동 소음은 물론 기체가 팬을 통과하며 기체상의 소음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흡음공간(47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팬유닛(300)을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팬유닛(300)측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팬유닛결합부(430)는 상기 손잡이케이스(250)의 상기 내주면(254)에 밀착되어 상기 흡음공간(470)의 상단부를 상기 기체유로(150)로로부터 폐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유닛결합부(430)는 내측, 즉 중공부에 팬유닛(300)이 결합되고, 외주면이 손잡이케이스(250)의 내주면(254)에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음공간(470)의 일부는 팬유닛(300)과 손잡이케이스(250) 사이에 형성되므로, 팬유닛(300)과 손잡이 케이스 사이에 정의되는 흡음공간(470)의 상단부는 상기 팬유닛결합부(430)에 의해 상방에서 차폐될 수 있다.
흡음공간(470)의 상단부는 팬유닛(300)의 외주면, 손잡이케이스(250)의 내주면(254) 및 팬유닛결합부(430)의 하면에 의해 정의될 수 있고, 상기 팬유닛결합부(430)에 의해 기체유로(150)로부터 격리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팬유닛결합부(430)가 손잡이케이스(250)에 밀착되도록 마련됨으로써 흡음공간(470)의 상단부, 즉 본체부(100)를 향하는 단부가 기체유로(150)로부터 격리되고, 흡음공간(470)이 기체유로(150)와 분리된 별도의 공간으로서 소음을 저감시키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단결합부(460)는 상기 손잡이케이스(250)의 상기 내주면(254)에 밀착되어 상기 흡음공간(470)의 하단부를 상기 기체유로(150)로부터 폐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흡음공간(470)의 하단부는 손잡이케이스(250)의 내주면(254), 유동안정부(450)의 외주면 및 하단결합부(460)의 상면에 의해 정의될 수 있고, 상기 하단결합부(460)가 손잡이케이스(250)의 내주면(254)에 밀착됨으로써 기체유로(150)로부터 격리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단결합부(460)가 손잡이케이스(250)에 밀착되도록 마련됨으로써 흡음공간(470)의 하단부, 즉 기체유입부(220)를 향하는 단부가 기체유로(150)로부터 격리되고, 흡음공간(470)이 기체유로(150)와 분리된 별도의 공간으로서 소음을 저감시키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에서 상기 유동안정부(450)는 상기 팬유닛(300)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팬유닛(300)과의 사이에 상기 흡음공간(470)의 개방영역(47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음공간(470)은 상기 개방영역(476)을 통해 상기 기체유로(150)와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연결부(440)를 통해 팬유닛결합부(430)에 연결되는 유동안정부(450)의 상단은 팬유닛(300)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될 수 있고, 유동안정부(450)와 팬유닛(300) 사이에는 흡음공간(470)이 기체유로(150)와 연통되는 개방영역(47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음공간(470)은 상기 기체유로(150)와 연통되는 목부를 가지는 헬름홀츠 공명공간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흡음공간(470)은 손잡이케이스(250)의 내주면(254), 팬유닛결합부(430), 팬유닛(300), 유동안정부(450) 및 하단결합부(460)에 의해 정의되고, 팬유닛(300)과 유동안정부(450) 사이의 개방영역(476)을 통해 기체유로(150)와 연통되는 헬름홀츠 공명공간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흡음공간(470)의 공명주파수는 상기 개방영역(476)의 크기, 즉 팬유닛(300)과 유동안정부(450)간의 이격거리나 내부 체적의 설계적인 조절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11에는 흡음공간(470)에 의한 소음 저감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X축은 소음의 주파수(Hz)에 해당하고, Y축은 소음의 크기(db)에 해당된다.
도 11에서 측정결과 A는 흡음공간(470)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된 결과이며, 측정결과 B는 흡음공간(470)이 형성된 상태에서 측정된 결과이다. 소음의 측정은 기체의 유동을 기준으로 팬유닛(300)의 하류측에서 이루어진다.
도 11을 살펴보면, 측정결과 A와의 관계에서 흡음공간(470)이 형성된 결과인 측정결과 B는 M영역 및 N영역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소음의 크기가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흡음공간(470)에 의해 소음이 저감되고자 하는 타겟주파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흡음공간(470)의 용적이나 개방영역(476)의 크기 등과 같은 설계적 요인을 조절함으로써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동안정부(450) 및 팬유닛(300)을 둘러싸는 흡음공간(470)을 형성함으로써, 손잡이케이스(250) 내부에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팬유닛(300)은 팬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팬(310)이 상기 팬유닛(300)의 상기 하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즉, 팬유닛(300)의 팬(310)은 흡음공간(470)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흡음공간(470)의 개방영역(476)은 팬유닛(300)과 유동안정부(450) 사이에 형성되므로, 팬유닛(30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팬(310)은 상기 개방영역(476)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흡음공간(470)에 의해 상기 팬(310)에서 발생되는 기체상의 소음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한편, 팬유닛(300)의 팬(310)은 손잡이케이스(250)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개방영역(476)과 중첩되지는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팬(310)은 개방영역(476)보다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개방영역(476)은 흡음공간(470)과 기체유로(150)가 연통되는 영역에 해당되고, 상기 영역에 존재하는 기체가 팬(310)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되는 경우, 상기 흡음공간(470)에 의한 헬름홀츠 공명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팬(310)은 상기 개방영역(476)과 인접하게 배치되지만 중첩되지는 않도록 상기 개방영역(476)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흡음공간(470)은 서로 다른 용적을 가지는 제1흡음공간(472) 및 제2흡음공간(474)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프레임(400)은 상기 제1흡음공간(472) 및 상기 제2흡음공간(474)을 상호 격리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7 및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손잡이프레임(400)에 의해 상호 구획되는 제1흡음공간(472) 및 제2흡음공간(474)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흡음공간(470)은 서로 구획되는 제1흡음공간(472) 및 제2흡음공간(474)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흡음공간(472) 및 제2흡음공간(474)은 상기 개방영역(476)을 통해 각각 기체유로(150)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흡음공간(472) 및 제2흡음공간(474)은 서로 구분되는 헬름홀츠 공명공간에 해당될 수 있다. 제1흡음공간(472) 및 제2흡음공간(474)은 서로 다른 체적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서로 다른 공명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체유로(150)상에서 발생되는 소음에서 복수의 주파수영역을 타겟으로 하여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흡음공간(470)은 제3흡음공간(470), 제4흡음공간(470) 등 필요에 따라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1에는 제1흡음공간(472) 및 제2흡음공간(474)에 의해 서로 다른 주파수영역에서 소음이 저감되는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결과 B에서 M영역은 제1흡음공간(472)에 의해 소음이 저감된 결과이며, N영역은 제2흡음공간(474)에 의해 소음이 저감된 결과이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흡음공간(470)이 손잡이프레임(400) 등에 의해 복수로 구획되도록 마련되고, 각각의 공명주파수가 설계적으로 결정되어 복수의 주파수영역에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흡음공간(472)은 상기 유동안정부(450)와 상기 손잡이케이스(250) 사이의 공간 및 상기 팬유닛(300)과 상기 손잡이케이스(250) 사이의 공간 일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흡음공간(474)은 상기 팬유닛(300)과 상기 손잡이케이스(250) 사이의 공간 중 상기 제1흡음공간(472)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팬유닛(300)과 손잡이케이스(250) 사이의 이격공간은 손잡이케이스(250)의 내주방향을 따라 일부가 제1흡음공간(472)의 일부에 해당되고, 나머지가 제2흡음공간(474)에 해당될 수 있다.
제1흡음공간(472)은 유동안정부(450)와 손잡이케이스(250) 사이의 공간 전체를 포함하며, 팬유닛(300)과 손잡이케이스(250) 사이의 공간 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흡음공간(472)은 제2흡음공간(474)보다 큰 체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2흡음공간(474)은 팬유닛(300)과 손잡이케이스(250) 사이의 공간 중 상기 제1흡음공간(472)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흡음공간(474)은 제1흡음공간(472)보다 체적이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흡음공간(472)은 제2흡음공간(474)보다 낮은 주파수영역의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흡음공간(472) 및 제2흡음공간(474)의 체적 설계를 통해 비교적 저주파수영역과 고주파수영역에서 동시에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흡음공간(472) 및 상기 제2흡음공간(474)이 결국 유동안정부(450) 및 팬유닛(300)을 전체로서 둘러싸도록 마련됨에 따라, 상기 유동안정부(450)와 팬유닛(300)으로부터 방사되는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 및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하부연결부(440)는 제1하부연결부(442) 및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하부연결부(442)와 이격 배치되는 제2하부연결부(444)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하부연결부(442) 및 상기 제2하부연결부(444)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상기 내주면(254)에 밀착되어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흡음공간(472) 및 상기 제2흡음공간(474) 사이를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부연결부(440)는 제1하부연결부(442) 및 제2하부연결부(4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부연결부(442)와 제2하부연결부(444)는 손잡이케이스(250)의 내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체유로(150)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되는 제1하부연결부(442) 및 제2하부연결부(444)가 도시되어 있다.
제1하부연결부(442) 및 제2하부연결부(444)는 상기 내주방향을 기준으로 제1흡음공간(472)과 제2흡음공간(474)의 경계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하부연결부(442) 및 제2하부연결부(444)는 상기 내주방향을 기준으로 제1흡음공간(472)의 양단부 또는 제2흡음공간(474)의 양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하부연결부(442) 및 제2하부연결부(444)는 손잡이케이스(250)의 내주면(254)에 밀착되어 상기 내주방향 또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1흡음공간(472)과 제2흡음공간(474) 사이를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8에는 하부연결부(440)가 중앙에 위치되도록 손잡이부(200)의 내부를 바라본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하부연결부(440)는 제1하부연결부(442) 또는 제2하부연결부(444)일 수 있고, 나머지는 반대측에 위치되어 도 8에서 도시되지 않는다.
도 8을 참고하면, 제1흡음공간(472)과 제2흡음공간(474)은 하부연결부(440)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상호 격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흡음공간(470)이 서로 다른 체적을 가지는 제1흡음공간(472) 및 제2흡음공간(474)으로 구획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프레임(400)은 공간구획부(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간구획부(480)는 상기 유동안정부(450)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공간구획부(480)는 양단부에 각각 상기 제1흡음공간(472) 또는 상기 제1흡음공간(472)이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부(200)의 상기 내주면(254)에 밀착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제1흡음공간(472) 및 상기 제2흡음공간(474) 사이를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간구획부(480)는 제2흡음공간(474)의 하단부와 제1흡음공간(472) 사이를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간구획부(480)는 유동안정부(450)의 상단부 중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공간구획부(480)는 유동안정부(450)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손잡이부(200)의 내주면(254)에 밀착될 수 있다. 즉, 유동안정부(450)의 상단부는 일부에 공간구획부(480)가 형성되어 손잡이부(200)의 내주면(254)에 밀착되고, 나머지는 손잡이부(200)의 내주면(254)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유동안정부(450)의 상단부는 손잡이부(200)의 내주면(254)에 밀착되는 공간구획부(480)는 손잡이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흡음공간(472)과 제2흡음공간(474)을 분리시키도록 마련되고, 유동안정부(450)의 상단부 중 손잡이부(200)의 내주면(254)으로부터 이격되는 공간은 제1흡음공간(472)의 일부에 해당될 수 있다.
공간구획부(480)를 기준으로 상방에는 제2흡음공간(474)이 위치되고 하방에는 제1흡음공간(472)이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흡음공간(472)은 유동안정부(450)의 상단부 중 공간구획부(480)가 마련되지 않은 영역을 통해 유동안정부(450)를 둘러싸는 공간과 팬유닛(300)의 일부를 둘러싸는 공간이 연통되어 하나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흡음공간(474)보다 큰 체적을 가지는 제1흡음공간(47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간구획부(480)는 손잡이부(200)의 내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양단부에 상기 제1하단연결부 및 제2하단연결부가 연결될 수 있다. 공간구획부(480)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1하단연결부의 하단 또는 제2하단연결부의 하단이 연결될 수 있다.
공간구획부(480)는 유동안정부(450) 또는 하단연결부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개로 제조되어 상기 유동안정부(450) 및 하단연결부와 결합될 수 있다. 제2흡음공간(474)은 팬유닛결합부(430)와 공간구획부(480) 사이 및 제1하단연결부와 제2하단연결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는 하단연결부 및 공간구획부(480)에 의해 제1흡음공간(472)과 제2흡음공간(474)이 상호 구획된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손잡이프레임(400)에 의해 제1흡음공간(472) 및 제2흡음공간(474)이 서로 구획되도록 마련되고, 개방영역(476)을 통해 각각 기체유로(150)와 연통되도록 마련되어, 서로 다른 주파수영역의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본체부 120 : 기체토출부
150 : 기체유로 160 : 온도조절유닛
200 : 손잡이부 210 : 필터삽입부
220 : 기체유입부 222 : 기체유입홀
230 : 필터부 250 : 손잡이케이스
257 : 프레임결합부 300 : 팬유닛
400 : 손잡이프레임 405 : 분할체
410 : 상단결합부 420 : 상부연결부
430 : 팬유닛결합부 440 : 하부연결부
442 : 제1하부연결부 444 : 제2하부연결부
450 : 유동안정부 452 : 내경감소부
454 : 내경증가부 460 : 하단결합부
470 : 흡음공간 472 : 제1흡음공간
474 : 제2흡음공간 476 : 개방영역
480 : 공간구획부

Claims (15)

  1. 기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기체토출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외부에서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부를 포함하는 손잡이부;
    상기 기체유입부로부터 상기 기체토출부까지 연장되어 기체가 유동되는 기체유로; 및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기체유로상에 배치되어 기체를 유동시키도록 마련되는 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기체유로를 형성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손잡이케이스; 및
    상기 손잡이케이스의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팬유닛이 결합되는 손잡이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프레임은,
    상기 팬유닛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기체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기체가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팬유닛을 향해 유동되며, 상기 손잡이케이스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음공간이 형성되는 유동안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팬유닛은 상기 손잡이케이스의 상기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흡음공간은 상기 팬유닛과 상기 손잡이케이스 사이의 이격공간을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유입부는 상기 유동안정부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유동안정부는 내부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동을 안정시키도록 마련되는 헤어드라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안정부는,
    상기 기체유입부로부터 기체가 유입되고, 상기 기체유입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내경이 감소되는 내경감소부; 및
    상기 내경감소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경감소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내경이 증가되는 내경증가부;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프레임은,
    상기 손잡이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링 형상으로 마련되고, 내측에 상기 팬유닛이 결합되는 팬유닛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팬유닛은 하단부가 상기 팬유닛결합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팬유닛결합부는 상기 손잡이케이스의 상기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흡음공간의 상단부를 상기 기체유로로로부터 폐쇄하도록 마련되는 헤어드라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프레임은,
    상기 유동안정부의 하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손잡이케이스와 결합되는 하단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단결합부는 상기 손잡이케이스의 상기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흡음공간의 하단부를 상기 기체유로로부터 폐쇄하도록 마련되는 헤어드라이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케이스는,
    상기 손잡이케이스의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단결합부와 결합되는 프레임결합부;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안정부는 상기 팬유닛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팬유닛과의 사이에 상기 흡음공간의 개방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흡음공간은 상기 개방영역을 통해 상기 기체유로와 연통되는 헤어드라이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팬유닛은 팬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팬이 상기 팬유닛의 상기 하단부에 마련되는 헤어드라이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공간은 서로 다른 용적을 가지는 제1흡음공간 및 제2흡음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프레임은 상기 제1흡음공간 및 상기 제2흡음공간을 상호 격리시키도록 마련되는 헤어드라이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음공간은 상기 유동안정부와 상기 손잡이케이스 사이의 공간 및 상기 팬유닛과 상기 손잡이케이스 사이의 공간 일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흡음공간은 상기 팬유닛과 상기 손잡이케이스 사이의 공간 중 상기 제1흡음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위치되는 헤어드라이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프레임은,
    상기 유동안정부와 상기 팬유닛결합부 사이를 연결하는 하부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연결부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하부연결부는 제1하부연결부 및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하부연결부와 이격 배치되는 제2하부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하부연결부 및 상기 제2하부연결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제1흡음공간 및 상기 제2흡음공간 사이를 구획하도록 마련되는 헤어드라이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프레임은,
    상기 유동안정부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공간구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구획부는 양단부에 각각 상기 제1흡음공간 또는 상기 제1흡음공간이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제1흡음공간 및 상기 제2흡음공간 사이를 구획하도록 마련되는 헤어드라이어.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프레임은,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상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상단결합부; 및
    상기 상단결합부와 상기 팬유닛결합부 사이를 연결하는 상부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KR1020200056534A 2020-05-12 2020-05-12 헤어드라이어 KR102364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534A KR102364693B1 (ko) 2020-05-12 2020-05-12 헤어드라이어
PCT/KR2020/012328 WO2021230434A1 (ko) 2020-05-12 2020-09-11 헤어드라이어
TW109135773A TWI767361B (zh) 2020-05-12 2020-10-15 吹風機
US17/084,668 US11571056B2 (en) 2020-05-12 2020-10-30 Hair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534A KR102364693B1 (ko) 2020-05-12 2020-05-12 헤어드라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330A KR20210138330A (ko) 2021-11-19
KR102364693B1 true KR102364693B1 (ko) 2022-02-18

Family

ID=78513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534A KR102364693B1 (ko) 2020-05-12 2020-05-12 헤어드라이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71056B2 (ko)
KR (1) KR102364693B1 (ko)
TW (1) TWI767361B (ko)
WO (1) WO20212304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37678B2 (en) * 2019-08-29 2024-03-26 Natan Ashkenazi Auto-rotate hair iron assembly and method of styling hair to achieve at least one curl style based on extent of rotation
KR102384524B1 (ko) * 2020-05-12 2022-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드라이어
KR102366465B1 (ko) 2020-05-12 2022-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드라이어
KR102364693B1 (ko) * 2020-05-12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드라이어
US20240245190A1 (en) 2023-01-19 2024-07-25 Sharkninja Operating Llc Identification of hair care appliance attachmen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7770A (ja) 2012-03-30 2014-11-20 ダイソン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ヘアドライヤー

Family Cites Families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96A (en) * 1932-04-04 1935-10-01 Martin Brothers Electric Compa Drier
US3006079A (en) * 1957-04-17 1961-10-31 Sunbeam Corp Hair dryer
US3840030A (en) 1973-05-31 1974-10-08 Gen Electric Detangling dryer
US4197448A (en) 1977-02-11 1980-04-08 Yamada Electric Industries, Co. Ltd. Hand-held hair dryer
US4596921A (en) * 1984-05-22 1986-06-24 Hersh Alan S Low noise hand-held hairdryer
US4721121A (en) 1984-11-16 1988-01-26 Adams Charles R Combination pressing comb dryer and blow dryer
JP2694831B2 (ja) 1987-07-15 1997-12-24 松下電工株式会社 ヘアカール器
US5074006A (en) 1989-09-01 1991-12-24 Nunzio Eremita Pet vacuum comb
US5875562A (en) * 1997-06-18 1999-03-02 Fogarty; Shaun P. Hand-held hair dryer with vibration and noise control
KR19990010222U (ko) 1997-08-28 1999-03-15 윤종용 헤어 드라이어의 모터
US6178591B1 (en) 1999-04-27 2001-01-30 Jules L. Dussourd Dust free and noise improved vacuum cleaner module
US6490756B2 (en) 2001-04-27 2002-12-10 Black & Decker Inc. Blower having fan oriented perpendicular to discharge nozzle
DE10160465C2 (de) * 2001-12-10 2003-10-02 Elaplast Technik Gmbh Elektrogerät mit Schalldämpfer
US7093376B2 (en) * 2004-10-19 2006-08-22 Ennova Direct, Inc. Hair drying and shaping system
JP4573270B2 (ja) * 2005-04-07 2010-11-04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温風乾燥機
US8434238B2 (en) 2007-06-29 2013-05-07 Andis Company Hair dryer with light source
US20110010958A1 (en) 2009-07-16 2011-01-20 Wayne Clark Quiet hair dryer
NO329243B1 (no) 2009-08-06 2010-09-20 Dual Air As Harfoner
FR2954055B1 (fr) * 2009-12-18 2012-01-27 Christian Carme Seche-cheveux a systeme silencieux passif
KR101229109B1 (ko) * 2011-01-21 2013-02-05 (주)엠파워텍 헤어 드라이어
GB201205690D0 (en) * 2012-03-30 2012-05-16 Dyson Technology Ltd A hand held appliance
KR101397054B1 (ko) 2012-08-31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1285469B1 (ko) * 2013-03-25 2013-07-12 이용학 전자파 제거 헤어드라이어
GB2515815B (en) 2013-07-05 2015-12-02 Dyson Technology Ltd A hand held appliance
GB2515808B (en) 2013-07-05 2015-12-23 Dyson Technology Ltd A handheld appliance
GB2515811B (en) 2013-07-05 2015-11-11 Dyson Technology Ltd A handheld appliance
RU2635063C2 (ru) 2013-07-05 2017-11-08 Дайсон Текнолоджи Лимитед Ручной бытовой прибор
GB2515810B (en) 2013-07-05 2015-11-11 Dyson Technology Ltd A hand held appliance
GB2515809B (en) 2013-07-05 2015-08-19 Dyson Technology Ltd A handheld appliance
GB2516311B (en) 2013-07-19 2016-06-29 Dyson Technology Ltd Motor mount
GB2518639B (en) 2013-09-26 2016-03-09 Dyson Technology Ltd A hand held appliance
KR101965272B1 (ko) * 2013-09-26 2019-04-03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휴대용 기구
CN207477129U (zh) 2013-12-10 2018-06-12 戴森技术有限公司 头发护理器具以及手持器具
KR20150072610A (ko) * 2013-12-20 2015-06-30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소음기
WO2016044268A1 (en) 2014-09-15 2016-03-24 Alare Technologies, Llc Portable electrically powered debris blower apparatus
GB2533323B (en) 2014-12-16 2017-12-20 Dyson Technology Ltd Hand held appliance
GB2534176B (en) * 2015-01-15 2018-08-08 Dyson Technology Ltd Motor mount
KR20160096888A (ko) * 2015-02-06 2016-08-17 탁월한아이디어발전소 협동조합 헤어드라이기
GB2538562B (en) 2015-05-22 2018-04-18 Dyson Technology Ltd A hand held appliance
GB2543537B (en) 2015-10-21 2018-09-19 Dyson Technology Ltd A handheld appliance
GB2543536B (en) 2015-10-21 2019-01-02 Dyson Technology Ltd A handheld appliance
GB2543538B (en) 2015-10-21 2018-05-09 Dyson Technology Ltd A haircare appliance
GB2543751B (en) 2015-10-21 2019-04-24 Dyson Technology Ltd Motor mount
GB2545412B (en) 2015-12-11 2018-06-06 Dyson Technology Ltd A hair care appliance comprising a motor
US10405630B2 (en) 2016-07-29 2019-09-10 Spur Concep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heat in a battery powered blow dryer
US20180042356A1 (en) * 2016-08-12 2018-02-15 Mohawk Innovations Limited Hairdryer Assembly with Interchangeable Styling Cartridges
US10485320B2 (en) 2016-08-19 2019-11-26 Shih-Ling Hsu Hair dryer
EP3510327A4 (en) 2016-09-09 2020-04-29 Airwirl, LLC PERSONAL AMBIENT AIR TEMPERATURE MODIFYING DEVICE
KR102476535B1 (ko) 2016-09-13 2022-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핸디형 잔수 흡입 장치
GB2557958B (en) * 2016-12-20 2020-05-13 Dyson Technology Ltd A motor and a handheld product having a motor
GB2560356B (en) 2017-03-09 2021-05-05 Dyson Technology Ltd A haircare appliance
GB2567661B (en) 2017-10-19 2020-09-09 Dyson Technology Ltd A haircare appliance
EP3626109B1 (en) * 2018-09-19 2021-05-1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trolling dryer and dryer stand
CN109700159B (zh) 2019-03-15 2024-05-24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吹风机
KR102211790B1 (ko) * 2019-04-01 2021-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 드라이어
US11369066B2 (en) 2019-07-09 2022-06-28 Darryl Stimpson Sound attenuation device
GB2618698B (en) * 2019-07-30 2024-01-31 Jemella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and styling hair
US11622611B2 (en) * 2020-05-07 2023-04-11 Jacques Depoyian Hair dryer apparatus
US11464313B2 (en) * 2020-05-09 2022-10-11 Sz Zuvi Technology Co., Lt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rying an object
KR102364693B1 (ko) * 2020-05-12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드라이어
KR102366465B1 (ko) 2020-05-12 2022-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드라이어
KR102384524B1 (ko) * 2020-05-12 2022-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드라이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7770A (ja) 2012-03-30 2014-11-20 ダイソン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ヘアドライヤ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330A (ko) 2021-11-19
US20210353026A1 (en) 2021-11-18
TWI767361B (zh) 2022-06-11
TW202142144A (zh) 2021-11-16
WO2021230434A1 (ko) 2021-11-18
US11571056B2 (en)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4524B1 (ko) 헤어드라이어
KR102364693B1 (ko) 헤어드라이어
KR102366465B1 (ko) 헤어드라이어
JP6654148B2 (ja) デュアルベンチュリ流路を備えたベンチュリデバイス
ES2440490T3 (es) Disposición de resonador en un silenciador acústico para un compresor de refrigeración
US8205714B2 (en) Method for adjusting a Helmholtz resonator and an adjustable Helmholtz resonator
US20190249580A1 (en) Muffling apparatus
CA2712924A1 (en) Silencer for drying appliance and silent hair dryer
CN105378358B8 (zh) 旁通止回阀以及具有该旁通止回阀的文丘里装置
RU2011121421A (ru) Устройство шумоглушения для фена
JPH05272412A (ja) 燃焼室内の高周波燃焼不安定用減衰装置
KR20130052785A (ko) 챔버 에어 클리너 및 이를 포함하는 엔진용 흡기 장치
KR100838266B1 (ko) 밀폐형 왕복 압축기의 흡입 머플러
KR101764944B1 (ko) 가스 터빈 엔진으로부터 가스를 분사하기 위한 장치 및 가스 터빈 엔진
CN110290769A (zh) 用于衰减声音的耳塞和方法
ES1063818U (es) Silencioso de escape para vehiculos automoviles.
KR20110048931A (ko) 연료 전지 차량용 흡기 소음장치
US20240090643A1 (en) Hairdryer
US20120181106A1 (en) Exhaust Assembly For Use With A Combustion Engine
CN207080344U (zh) 一种压电气泵
KR100357512B1 (ko)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JP2002188581A (ja) 冷媒ポンプシステム
JP6646033B2 (ja) 消音装置
CN209228723U (zh) 降噪风扇装置
JP2001263185A (ja) 内燃機関の吸気消音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