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790B1 - 헤어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헤어 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790B1
KR102211790B1 KR1020190037861A KR20190037861A KR102211790B1 KR 102211790 B1 KR102211790 B1 KR 102211790B1 KR 1020190037861 A KR1020190037861 A KR 1020190037861A KR 20190037861 A KR20190037861 A KR 20190037861A KR 102211790 B1 KR102211790 B1 KR 102211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hub
air
induc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6277A (ko
Inventor
안광운
김성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7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790B1/ko
Publication of KR20200116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in systems with fluid flow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1Rotating machines, e.g. engines, turbines, motors; Periodic or quasi-periodic signals in general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내측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하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유입구 측에 장착되고, 제1허브와 상기 제1허브 주변으로 복수의 블레이드를 형성하는 팬과, 상기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팬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팬이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구동부 및 중심부에 제2허브를 형성하고, 상기 제2허브의 주변으로 복수의 날개를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팬의 선단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팬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인듀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헤어 드라이어{hair dryer}
본 발명은 헤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 드라이어는 열선에 의한 더운 바람을 외부로 송풍시켜 머리를 말리거나 또는 다양한 헤어 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헤어 드라이어는 열에 강한 재질로 성형된 케이스 내에 열선, 송풍팬, 모터, 지지부재에 고정된 열선 등을 구비하고, 케이스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마련된다. 헤어 드라이어는 사용자의 작동시킴에 따라 열선을 가열시키고 송풍팬을 구동시켜 열선에 발생되는 열이 토출구를 통해 밖으로 토출하게 된다.
종래 헤어 드라이어는 케이스 내에 열선, 송풍 팬, 모터, 열선 등의 많은 부품들이 장착되기 때문에 케이스의 길이가 상당히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른 외관 사출물들에 의해 무게가 상당히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는 모발을 건조하기 위해 귀에 가깝게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소음에 의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한국 공개특허 10-2013-0064136(이하, '선행문헌 1')에는, 저소음 헤어 드라이어가 개시된다.
선행문헌 1의 경우, 하나의 모터에 제1팬(시로코 팬)과 제2팬(축류팬)이 구비되어 2차에 걸쳐 공기를 전방으로 분출시켜 풍량 증가를 이룬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의 경우, 실제 풍량 증가의 효과는 크지 않고, 팬-모터의 크기만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참고로, 2개의 팬을 사용하여 풍량을 증가시키려면 2개의 축류팬을 직렬로 연결하고 그 중간에 스테이터(stator)를 배치해야만 한다.
한국 공개특허 10-2015-0071896(이하, '선행문헌 2')에는, 헤어 드라이어가 개시된다.
선행문헌 2의 경우, 다수의 송풍팬을 구비하고 그 날개 각도를 서로 다르게 하여 효율증가 및 소음감소를 이룬다.
하지만, 선행문헌 2의 경우에도, 팬-모터의 크기가 증가할 것이고, 다수의 팬으로 소음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헤어 드라이어의 크기 및 팬과 모터의 사양은 유지한 상태에서, 팬의 풍량을 증가시켜, 모발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내측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하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유입구 측에 장착되고, 제1허브와 상기 제1허브 주변으로 복수의 블레이드를 형성하는 팬과, 상기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팬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팬이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구동부, 및중심부에 제2허브를 형성하고, 상기 제2허브의 주변으로 복수의 날개를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팬의 선단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팬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인듀서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팬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인듀서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인듀서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허브는 상기 고정몸체의 중심부에 배치되며, 상기 날개는 상기 제2허브의 외면과 상기 고정몸체의 내주면을 연결한다.
상기 제2허브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그 직경이 점차 증가되고,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날개는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날개는, 상기 팬의 회전축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도입부와, 상기 팬의 블레이드의 입구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출구각을 형성하고, 상기 도입부로 유입된 공기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와, 상기 도입부와 토출부를 연결하고, 곡면으로 이루어진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팬의 블레이드의 입구각과 상기 날개의 토출부의 출구각의 차이는 10˚ 이하이다.
상기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링의 선단은 상기 제2허브 및 상기 날개의 선단보다 상기 유입구 측으로 더 돌출된다.
상기 인듀서는 상기 팬과 대면하는 후단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캐비티를 형성한다.
상기 날개의 후단은 상기 제2허브의 후단보다 상기 팬 방향으로 더 돌출된다.
상기 팬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허브의 길이는 상기 날개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 팬의 제1허브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인듀서의 캐비티에 수용된다.
상기 팬의 블레이드와 상기 인듀서의 날개 사이 간격은 1mm이하의 범위를 유지한다.
상기 팬의 제1허브와, 상기 인듀서의 제2허브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는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몸체의 단부에 결합된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제1몸체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제2몸체의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 및 인듀서는 상기 제1몸체의 내부에 상기 제1몸체와 동축으로 배치된다.
상기 모터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팬에서 토출된 공기가 통과하는 복수의 디퓨저 베인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어 드라이어의 크기 및 팬과 모터의 사양은 유지한 상태에서, 팬의 풍량을 증가시켜, 모발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헤어드라이어의 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팬 블레이드의 입구각도로 공기가 유입되어 유입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헤어 드라이어에 인듀서 만을 추가 설치하여, 헤어 드라이어의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풍량 증가에 따른 소음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인듀서와 팬의 연결부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인듀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인듀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인듀서의 허브 형상에 따른 인듀서와 팬의 배치관계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7은 인듀서와 팬의 연결부위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부분을 확대시킨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인듀서와 팬의 연결부위를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인듀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인듀서의 측면도이다.
일반적으로, 헤어 드라이어는, 모발 등을 건조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그리고, 모발 건조 시간 단축을 위해, 핵심부품인 팬과 모터의 풍량을 증가시키는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먼저, 팬과 모터의 풍량 증가를 위해서, 팬의 새로운 형상 설계를 고려해볼 수 있다.
또한, 팬의 새로운 형상 설계를 제외하고, 팬과 모터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과, 팬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은 소음의 증가를 초래한다.
또한, 팬과 모터의 크기가 전반적으로 증가되므로, 고풍량, 저소음, 소형 헤어드라이어의 컨셉에 맞지 않는다.
본 발명의 경우, 팬(210)과 모터(220) 및 케이스(100)의 크기는 컴팩트하게 유지하고, 팬(210)과 모터(220)의 사양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팬의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팬(210)의 공기 흡입측에 블레이드(212)의 입구각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유입된 공기의 방향을 전환시켜 토출하는 구조물인, 인듀서(310)를 배치하여, 풍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때, 상기 인듀서(310)의 출구각은 상기 블레이드(212)의 입구각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되어, 모터(220)의 축 방향과 나란하게 일직선으로 들어오는 외부 공기가 인듀서(310)를 통과하면서, 블레이드(212)의 입구각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전환된 후, 블레이드(212)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인듀서(310)는 공기가 흡입되는 팬(210)의 앞부분에 설치되기 때문에, 공기 유입가이드(Inlet Guide Vane)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인듀서(310)는 상기 팬(210)의 회전축과 동일 축상에 중심축을 구성하고, 상기 인듀서(310)는 회전하지 않는 다수의 날개(3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인듀서(310)의 날개(312)는, 공기가 빠져나가는 그 후단의 출구각이 블레이드(212)의 입구각과 정렬되도록 하되, 날개(312)의 출구각과, 블레이드(212)의 입구각의 차이는 10˚를 벗어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인듀서(310)의 날개(312)는 선단과 후단을 잇는 중간 부분이 유선형의 곡면으로 연결되어 공기의 흐름이 부드럽게 굽어지도록 유도하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인듀서(310)의 날개(312)의 후단과 블레이드(212)의 선단의 간극을 최소화하기 위해 인듀서(310)의 제2허브(311) 길이를 인듀서(310)의 날개(312) 끝단보다 덜 돌출되게 형성하여, 팬(210)의 제1허브(211)가 인듀서(310)의 날개(312)와 반경방향으로 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팬(210)의 제1허브(211)는 상기 블레이드(212) 대비 상기 인듀서(310) 측으로 더 돌출된 상태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케이스(100), 구동부(200), 인듀서(300)를 포함한다.
먼저, 케이스(100)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01)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02)가 형성되며, 내측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103)를 형성하고, 하측에 손잡이(104)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손잡이(104) 부분에 개구(105)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개구(105)는 별도의 커버(106)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커버(106)는 분리 가능하게 상기 손잡이(105)에 결합되고, 커버(106)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개구(105)는 차폐되고, 커버(106)가 분리되면, 상기 개구(105)는 개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개구(105)가 개방되면, 구동부(200) 및 인듀서(30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04)의 하단에는 복수의 유입구(101)가 형성된 그릴(107)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그릴(107)에는 작은 크기의 유입구(101)가 복수 형성된다. 상기 그릴(107)에 의해서, 공기의 흡입이 가능한 반면, 이물질의 유입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04)는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되는 부분이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원통형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손잡이(104)의 상측에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본체(108)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8)에는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100)는 전반적으로 'T'자 형 또는 'ㄱ'자 형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케이스(100) 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100)의 유입구(101) 측에 장착되고, 제1허브(211)와 상기 제1허브(211) 주변으로 복수의 블레이드(212)를 형성하는 팬(210)과, 상기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팬(210)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팬(210)이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20)와, 상기 모터(220)를 지지하는 하우징(230)을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모터(220)가 회전하면, 모터(220)의 회전축(221)과 연결된 팬(210)이 회전하면서, 케이스(100)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이 생성된다.
상세히, 구동부(200)가 작동하면, 그릴(107)의 유입구(101)를 통해 외부 공기가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이후,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팬(210) 및 모터(220)를 통과하면서, 손잡이(104)에서, 본체(108)로 유동하고, 토출구(10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본체(108)로 유동된 공기는, 별도의 가열부(미도시)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토출구(102)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미도시)는 사용자의 온풍 명령이 있을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공기를 가열시킬 수 있고, 공기의 가열 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모터(220)의 회전속도 역시, 사용자의 풍량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 가능하다.
상기 인듀서(310)는 중심부에 제2허브(311)를 형성하고, 상기 제2허브(311)의 주변으로 복수의 날개(312)를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팬(210)의 선단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팬(210)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한다.
따라서, 전원 공급에 의해, 모터(220)가 작동하면, 팬(210)이 회전하고, 팬(210)의 회전에 의해서, 공기 흡입력이 발생된다.
공기의 흡입 방향은 팬(210)이 배치된 일측(도 2 기준 하측)에서 모터(220)가 배치된 타측(도 2 기준 상측)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그릴(107)의 유입구(101)를 통해, 외부 공기가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인듀서(310)를 통과한 뒤, 팬(210)으로 흡입된 수 있다.
상기 인듀서(310)의 구성으로, 상기 팬(210)의 흡입력을 증가될 수 있다.
즉, 인듀서(310)가 설치된 경우와 인듀서(310)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를 비교했을 때, 인듀서(310)가 설치된 경우, 풍량이 증가될 수 있다.
날개와 블레이드 간격
(mm)
풍량 증가율
(%)
인듀서 미설치 - 0
인듀서 설치
(ver. 1)
6 18.28
인듀서 설치
(ver. 2)
0.6 25
상기 표 1은 인듀서의 설치 여부에 따른 풍량 증가율을 측정한 결과표이다.
아울러, 인듀서를 설치하고, 인듀서와 블레이드의 간격에 따른 풍량 증가율도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인듀서가 미 설치된 경우 대비, 인듀서가 설치된 경우, 풍량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듀서와 블레이드의 간격이 좁혀질수록 풍량이 더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인듀서가 설치되고, 인듀서(310)의 날개(312)와 팬(210)의 블레이드(212) 간격이 좁을수록, 풍량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인 '인듀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모터(2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팬(210)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인듀서(310)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인듀서(310)는 고정체이며, 단지, 팬(210)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방향을 상기 팬(210)의 입구각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전환시키면서, 안내하는 유입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인듀서(310)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고정링(313)을 포함하고, 상기 제2허브(311)는 상기 고정링(313)의 중심부에 배치되며, 상기 날개(312)는 상기 제2허브(311)의 외면과 상기 고정링(313)의 내주면을 연결한다.
또한, 상기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링(313)의 선단은 상기 제2허브(311) 및 상기 날개(312)의 선단보다 상기 유입구(101) 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즉,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링(313)의 하단은 상기 제2허브(311) 및 상기 날개(312)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허브(311)의 하단은 상기 날개(312)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도 6은 인듀서의 허브 형상에 따른 인듀서와 팬의 배치관계를 비교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인듀서와 팬의 연결부위를 보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의 일부분을 확대시킨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허브(311)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그 직경이 점차 증가되고,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허브(311)는 상기 그릴(107)과 인접하는 일측 단부(311a, 도 6 참조)의 단면적 보다, 상기 팬(210)과 인접하는 타측 단부(311b, 도 6참조)의 단면적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허브(311)는 공기의 유동저항을 줄이도록, 전체적으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허브(311)와 고정링(313)을 연결하면서, 제2허브(311)와 고정링(313) 사이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날개(312)는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날개(312)는, 상기 팬(210)의 회전축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도입부(312a, 도 7참조)와, 상기 팬(210)의 블레이드(212)의 입구각(β, 도 8 참조)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출구각(α, 도 8 참조)을 형성하고, 상기 도입부(312a)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312c, 도 7 참조), 및 상기 도입부(312a)와 토출부(312c)를 연결하고, 곡면으로 이루어진 연결부(312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팬(210)의 블레이드(212)의 입구각(β, 도 8 참조)과 상기 날개(312)의 토출부(312c)의 출구각(α, 도 8 참조)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팬(210)의 블레이드(212)의 입구각(β, 도 8 참조)과 상기 날개(312)의 토출부(312c)의 출구각(α, 도 8 참조)은 ±10˚ 이하의 범위에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블레이드 입구각과
인듀서 출구각 차이
낼개와 블레이드 간격
(mm)
풍량 증가율
(%)
정압 효율
(%)
0.6 25 24.49
0.6 23.48 17.98
상기 표2를 참조하면, 팬(210)의 블레이드(212)의 입구각(β, 도 8 참조)과 상기 날개(312)의 토출부(312c)의 출구각(α, 도 8 참조)이 동일한 경우, 즉 팬(210)의 블레이드(212)의 입구각(β, 도 8 참조)과 상기 날개(312)의 토출부(312c)의 출구각(α, 도 8 참조)의 차이가 0인 경우, 팬(210)의 블레이드(212)의 입구각(β, 도 8 참조)과 상기 날개(312)의 토출부(312c)의 출구각(α, 도 8 참조)의 차이가 5˚인 경우 대비, 풍량 증가율도 커지고, 덕트 입출구간 정압 효율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인듀서(310)의 날개(312)와 팬(210)의 블레이드(212) 간격을 좁히기 위한 구조를 제안한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인듀서(310)는 상기 팬(210)과 대면하는 후단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캐비티(314, 도 6 참조)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날개(312)의 후단(도 6 기준 우측)은 상기 제2허브(311)의 후단(도 6 기준 우측)보다 상기 팬(210) 방향(도 6기준 우측 방향)으로 더 돌출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링(313)이 바닥면에 위치되게 인듀서(310)를 세웠을 때, 날개(312)와 제2허브(311) 사이에는 높이차(Δh)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팬(210)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허브(311)의 길이는 상기 날개(31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팬(210)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허브(311)의 길이는 상기 날개(312)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오히려 더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팬(210)의 제1허브(211)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인듀서(310)의 캐비티(314)에 수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팬(210)의 제1허브(211)는 상기 인듀서(310)와 대면하는 일측(도 6 기준 좌측)이 블레이드(212) 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블레이드(212) 보다 돌출된 팬(210)의 제1허브(211)의 선단(211a)는 상기 캐비티(314)에 수용된다.
도 6의 (a)는 인듀서(310')에 캐비티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인듀서(310')와 팬의 배치 관계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의 (b)는 인듀서(310)에 캐비티(314)가 형성된 경우, 인듀서와 팬의 배치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의 (a)의 경우, 인듀서(310')의 제2허브(311')의 후단(도 6기준 우측)과, 날개(312')의 후단(도 6기준 우측)이 일직선 상에 위치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인듀서(310')에 캐비티가 형성될 수 없고, 팬(210)의 제1허브(211)가 인듀서(31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없다.
반면, 도 6 (b)의 경우, 인듀서(310)의 제2허브(311)의 후단(도 6기준 우측)이, 날개(312)의 후단(도 6기준 우측) 보다 오목하게 형성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인듀서(310)에 캐비티(314)가 형성될 수 있고, 팬(210)의 제1허브(211)의 일부가 인듀서(310)의 캐비티(314)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도면을 비교하면, 인듀서(310)에 캐비티(314)가 형성된 도 6의 (b)의 경우, 인듀서(310)의 날개(312)와 팬(210)의 블레이드(212)의 간격이 좁혀진 것을 획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팬(210)의 블레이드(212)와 상기 인듀서(310)의 날개(312) 사이 간격은 1mm이하의 범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210)의 제1허브(211)와, 상기 인듀서(310)의 제2허브(311)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몸체의 단부에 결합된 제2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101)는 상기 제1몸체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제2몸체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몸체는 손잡이(104)가 형성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고, 제2몸체는 상기 본체(108)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200) 및 인듀서(310)는 상기 제1몸체의 내부에 상기 제1몸체와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22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팬(210)에서 토출된 공기가 통과하는 복수의 디퓨저 베인(23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내측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하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유입구 측에 장착되고, 제1허브와 상기 제1허브 주변으로 복수의 블레이드를 형성하는 팬과, 상기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팬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팬이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구동부; 및
    중심부에 제2허브를 형성하고, 상기 제2허브의 주변으로 복수의 날개를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팬의 선단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팬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인듀서를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팬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인듀서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헤어 드라이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듀서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허브는 상기 고정링의 중심부에 배치되며, 상기 날개는 상기 제2허브의 외면과 상기 고정링의 내주면을 연결하는 헤어 드라이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허브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그 직경이 점차 증가되고,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진 헤어 드라이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진 헤어 드라이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상기 팬의 회전축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도입부;
    상기 팬의 블레이드의 입구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출구각을 형성하고, 상기 도입부로 유입된 공기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
    상기 도입부와 토출부를 연결하고, 곡면으로 이루어진 연결부를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블레이드의 입구각과 상기 날개의 토출부의 출구각의 차이는 10˚ 이하인 헤어 드라이어.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의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링의 선단은 상기 제2허브 및 상기 날개의 선단보다 상기 유입구 측으로 더 돌출되는 헤어 드라이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듀서는 상기 팬과 대면하는 후단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캐비티를 형성하는 헤어 드라이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의 후단은 상기 제2허브의 후단보다 상기 팬 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헤어 드라이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허브의 길이는 상기 날개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헤어 드라이어.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제1허브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인듀서의 캐비티에 수용되는 헤어 드라이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블레이드와 상기 인듀서의 날개 사이 간격은 1mm이하의 범위를 유지하는 헤어 드라이어.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제1허브와, 상기 인듀서의 제2허브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헤어 드라이어.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몸체의 단부에 결합된 제2몸체를 포함하고,
    유입구는 상기 제1몸체의 단부에 형성되고, 토출구는 상기 제2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는 헤어 드라이어.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및 인듀서는 상기 제1몸체의 내부에 상기 제1몸체와 동축으로 배치되는 헤어 드라이어.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팬에서 토출된 공기가 통과하는 복수의 디퓨저 베인이 형성되는 헤어 드라이어.
KR1020190037861A 2019-04-01 2019-04-01 헤어 드라이어 KR102211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861A KR102211790B1 (ko) 2019-04-01 2019-04-01 헤어 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861A KR102211790B1 (ko) 2019-04-01 2019-04-01 헤어 드라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277A KR20200116277A (ko) 2020-10-12
KR102211790B1 true KR102211790B1 (ko) 2021-02-03

Family

ID=72886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861A KR102211790B1 (ko) 2019-04-01 2019-04-01 헤어 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7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693B1 (ko) * 2020-05-12 2022-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드라이어
KR102366465B1 (ko) 2020-05-12 2022-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드라이어
KR102384524B1 (ko) 2020-05-12 2022-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드라이어
CN116685236A (zh) * 2021-11-12 2023-09-01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护发用具
CN116114987A (zh) 2021-11-12 2023-05-16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毛发护理器具
CN115462608A (zh) * 2022-08-26 2022-12-13 绍兴市益强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双风道高速吹风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787B1 (ko) 2005-10-05 2007-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흡입 강화형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용 팬-모터
CN102894628A (zh) 2012-10-31 2013-01-30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防缠发吹风机
CN205267329U (zh) 2016-01-07 2016-06-01 宁波动一电器有限公司 一种吹风效果较好的背包型吹风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787B1 (ko) 2005-10-05 2007-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흡입 강화형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용 팬-모터
CN102894628A (zh) 2012-10-31 2013-01-30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防缠发吹风机
CN205267329U (zh) 2016-01-07 2016-06-01 宁波动一电器有限公司 一种吹风效果较好的背包型吹风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277A (ko) 202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1790B1 (ko) 헤어 드라이어
JP5917614B2 (ja) 送風機組立体
RU2506024C2 (ru) Фен, насадка для фена и фен с такой насадкой
US10184490B2 (en) Noise reduction diffuser for an electric blower
JP5538622B2 (ja) 浴室乾燥機
US11311090B2 (en) Hair dryer
CN113374715A (zh) 空气循环器
CN208765261U (zh) 一种加热吹地机及其加热装置
KR200461234Y1 (ko) 헤어드라이어의 압축송풍장치
US20230088798A1 (en) Blower
CN105795673A (zh) 一种调节风量吹风机
KR101458567B1 (ko) 풍량확대형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CN108931055A (zh) 一种加热吹地机及其加热装置
WO2014153748A1 (zh) 离心风扇和具有其的干衣机
JP4872997B2 (ja) 送風機及び該送風機を備えた空気調和機
CN112336039A (zh) 一种便携式双层风道吹风机
CN111150205A (zh) 一种吹风机
CN205641525U (zh) 导风组件及暖风机
CN216998969U (zh) 风机装置及晾衣机
US2197752A (en) Hair drier
WO2022213747A1 (zh) 壁挂式洗涤设备
CN213045837U (zh) 多风道的电吹风机
KR101237548B1 (ko) 날개 없는 선풍기
CN116391953B (zh) 一种吹风装置及手持式吹风机
CN215808787U (zh) 一种聚风型静音取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