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6424A - 탑승물 차량 상의 쇼 요소를 작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탑승물 차량 상의 쇼 요소를 작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6424A
KR20210056424A KR1020217011006A KR20217011006A KR20210056424A KR 20210056424 A KR20210056424 A KR 20210056424A KR 1020217011006 A KR1020217011006 A KR 1020217011006A KR 20217011006 A KR20217011006 A KR 20217011006A KR 20210056424 A KR20210056424 A KR 20210056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ail
show element
track
lin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1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콧 데이비드 사벤스
크리스틴 마리 소렌티노
저스틴 마이클 슈왈츠
에릭 숀 토마스
에릭 알랜 반스
Original Assignee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10056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4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7/00Up-and-down hill tracks; Switchba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04Chutes; Helter-skelters with fixed r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A63G31/06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with undulatory motion of the substructure

Abstract

탑승물 차량 시스템은 탑승물 트랙과 탑승물 차량을 포함한다. 탑승물 트랙은 차량 레일 및 보조 레일을 포함한다. 탑승물 차량은 탑승물 차량 베이스, 탑승물 차량 베이스에 결합된 쇼 요소, 및 기계식 링크 장치를 포함한다. 탑승물 차량 베이스는 탑승물 트랙의 차량 레일과 상호 연결되고 탑승물 트랙의 차량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탑승물 차량 베이스에 결합된 쇼 요소는 탑승물 차량 베이스에 대해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기계식 링크 장치는 쇼 요소에 결합된 제 1 단부 및 탑승물 트랙의 보조 레일에 결합된 제 2 단부를 포함한다. 기계식 링크 장치는 보조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차량 레일에 대한 보조 레일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쇼 요소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탑승물 차량 상의 쇼 요소를 작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본 개시는 개략적으로 놀이공원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의 실시예는 놀이공원 탑승물 차량(amusement park ride vehicle) 상의 쇼(show) 요소를 작동시키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 섹션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태양과 관련될 수 있는 기술의 다양한 태양을 독자에게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이 논의는 본 개시의 다양한 태양의 더 나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독자에게 배경 정보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러한 진술은 선행 기술의 인정으로서가 아니라 이러한 관점에서 읽어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20세기 초부터 놀이공원의 인기가 크게 높아졌다. 이러한 인기 성장을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놀이공원 어트랙션은 이용객에게 독특한 동작과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대부분의 놀이공원 어트랙션에는 탑승물 경로를 따라 승객을 운반하는 탑승물 차량이 있다. 일부 놀이공원 어트랙션은 놀이공원 어트랙션의 시각적 경험을 강화하기 위해 탑승물 경로를 따라 쇼 요소를 통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놀이공원 어트랙션이 독특한 쇼 요소를 통합하여 이용객에게 독특한 동작과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최초 청구된 주제와 범위가 상응하는 특정 실시예들이 아래에 요약되어 있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특정 개시된 실시예의 간략한 요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실제로, 본 개시는 아래에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포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탑승물 차량 시스템은 차량 레일 및 보조 레일을 갖는 탑승물 트랙을 포함한다. 탑승물 차량 시스템은 또한 탑승물 트랙의 차량 레일과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 탑승물 차량 베이스를 갖는 탑승물 차량을 포함한다. 탑승물 차량 베이스는 탑승물 트랙의 차량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탑승물 차량은 또한 탑승물 차량 베이스에 결합된 쇼 요소를 포함한다. 쇼 요소는 탑승물 차량 베이스에 대해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탑승물 차량은 쇼 요소에 결합된 제 1 단부 및 탑승물 트랙의 보조 레일에 결합된 제 2 단부를 갖는 기계식 링크 장치를 포함한다. 기계식 링크 장치는 보조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차량 레일에 대한 보조 레일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쇼 요소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탑승물 차량은 탑승물 트랙의 차량 레일과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 탑승물 차량 베이스를 포함한다. 탑승물 차량 베이스는 탑승물 트랙의 차량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탑승물 차량은 탑승물 차량 베이스에 결합된 쇼 요소를 포함한다. 쇼 요소는 탑승물 차량 베이스에 대해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탑승물 차량은 쇼 요소에 결합된 제 1 단부 및 탑승물 트랙의 보조 레일에 결합된 제 2 단부를 갖는 기계식 링크 장치를 포함한다. 기계식 링크 장치는 차량 레일에 대한 보조 레일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쇼 요소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탑승물 트랙의 차량 레일을 따라 탑승물 차량을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또한 차량 레일에 대한 탑승물 트랙의 보조 레일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탑승물 차량에 결합된 쇼 요소를 이동시키도록 기계식 링크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보조 레일의 위치는 탑승물 트랙을 따라 차량 레일에 대해 변화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쇼 요소는 탑승물 차량에 대해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탑승물 차량은 탑승물 트랙과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 탑승물 차량 베이스를 포함한다. 탑승물 차량 베이스는 또한 탑승물 차량 베이스 허용 범위(ride vehicle base envelope)를 규정하는 동작 범위 내에서 탑승물 트랙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탑승물 차량은 또한 탑승물 차량 베이스에 결합된 쇼 요소를 포함한다. 쇼 요소는 탑승물 차량 베이스에 대해 그리고 탑승물 차량 베이스 허용 범위의 외부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탑승물 차량은 또한 탑승물 차량 베이스 허용 범위 외부의 구조물과 쇼 요소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쇼 요소의 위치 설정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이들 및 다른 특징, 태양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며, 첨부 도면 전체에 걸쳐서 유사한 문자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기술에 따른 탑승물 차량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기술에 따른 보조 레일을 포함하는 탑승물 차량 시스템의 탑승물 트랙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기술에 따른 탑승물 차량 시스템의 탑승물 차량의 보조 레일, 쇼 요소 및 기계식 링크 장치를 포함하는 탑승물 차량 시스템의 탑승물 트랙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기술에 따른 상방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쇼 요소를 갖는 탑승물 차량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기술에 따른 후방 위치에 배치된 쇼 요소를 갖는 탑승물 차량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기술에 따른 접힌 위치(collapsed position)에 배치된 쇼 요소를 갖는 탑승물 차량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기술에 따른 접힌 상방 위치에 배치된 쇼 요소를 갖는 탑승물 차량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적재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쇼 요소를 갖는 탑승물 차량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놀이공원 어트랙션을 위한 탑승물 차량 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기술에 따른 탑승물 차량에 대해 쇼 요소를 작동시키는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특정 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들 실시예의 간결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으로, 실제 구현예의 모든 특징들이 명세서에 설명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엔지니어링 또는 디자인 프로젝트에서와 같이 임의의 실제 구현예를 개발할 때, 시스템 관련 및 비즈니스 관련 제약 조건의 준수와 같은 개발자의 구체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많은 구현예 관련 결정을 내려야 하며, 이러한 제약 조건은 구현예마다 다를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그러한 개발 노력은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일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의 이점을 갖는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설계, 제작 및 제조의 일상적인 작업일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전형적인 놀이공원 어트랙션(예컨대 롤러코스터 또는 다크 라이드(dark ride))은 탑승물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탑승물 차량을 포함한다. 또한, 일부 놀이공원 어트랙션은 탑승물 차량 내의 승객에 대한 시각적 경험을 증대시키기 위해 애니메트로닉스(animatronics), 소품, 조명 효과, 스크린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쇼 이벤트를 포함한다. 전통적으로 쇼 요소는 놀이공원 어트랙션의 특정 장소에 배치된다. 예컨대, 애니메트로닉 사자가 탑승물 트랙에 인접한 잔디밭을 두루 이동할 수 있으며, 탑승물 차량이 애니메트로닉 사자를 지나갈 때 포효하거나 탑승물 차량 쪽으로 선회할 수도 있다. 그러나, 탑승물 차량이 탑승물 트랙을 따라 계속 가면 승객은 더 이상 애니메트로닉 사자 근처에 있지 않다. 탑승물 트랙을 따라 많은 쇼 요소를 배치하는 것은 비용과 설계 시간 둘 모두의 측면에서 리소스 집약적일 수도 있다. 따라서, 승객에게 독특한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탑승물 차량과 함께 이동하는 쇼 요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을 사용하여 탑승물 차량에 결합된 쇼 요소를 작동시킴으로써, 승객은 전체 탑승물 트랙을 따라 쇼 요소로부터의 시각적 경험을 즐길 수도 있다.
도 1은 놀이공원 어트랙션(12)을 위한 탑승물 차량 시스템(1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탑승물 차량 시스템(10)은 차량 레일(16) 및 보조 레일(18)을 갖는 탑승물 트랙(14)을 포함한다. 탑승물 차량 시스템(10)은 또한 차량 레일(16)과 상호 연결되고 탑승물 트랙(14)의 차량 레일(16)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탑승물 차량 베이스(22)를 갖는 탑승물 차량(20)(예컨대, 롤러코스터 또는 다크 라이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탑승물 차량 베이스(22)는 차량 레일(16)과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 마찰 휠 조립체(24)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탑승물 차량(20)은 임의의 적절한 추진 또는 인터페이스 조립체를 사용하여 차량 레일(16)을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탑승물 차량(20)은, 탑승물 차량(20)이 탑승물 트랙(14)을 따라 이동할 때 탑승물 차량(20)이 한 명 이상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도록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탑승물 좌석(26)을 구비할 수도 있다. 탑승물 차량 베이스(22)는 탑승물 차량(20)의 프레임(frame) 또는 몸체(body)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탑승물 차량(20)은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에 결합된 쇼 요소(28)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쇼 요소(28)는 기계식 링크 장치(30)를 통해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에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식 링크 장치(30)는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의 측면 부분(32)에 결합된다. 그에 따라, 쇼 요소(28)는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의 측면 부분(32)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쇼 요소(28)가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에 결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해적 테마 어트랙션에서, 탑승물 차량(20)은 해적선 외관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의 쇼 요소(28)는 해적선을 위한 한 쌍의 노(oar)일 수도 있다.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의 좌측(34)에는 제 1 노가 결합되고,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의 우측(36)에는 제 2 노가 결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쇼 요소(28)는 놀이공원 어트랙션(12)의 적어도 시각적 경험을 증대시키기 위해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에 대해 작동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기계 장치일 수도 있다. 쇼 요소(28)의 추가 예는 돛대와 돛, 판자, 기계 팔, 날개, 패들, 애니메트로닉 캐릭터, 애니메트로닉 캐릭터 또는 특수 효과 장치를 위한 플랫폼,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계 장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식 링크 장치(30)는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의 전면 부분(38), 후면 부분(40) 또는 상단 부분(42)에 결합된다. 예컨대, 해적 테마 어트랙션에서, 쇼 요소(28)는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의 상단 부분(42)에 결합된 돛대와 돛,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의 후면 부분(40)에 결합된 판자, 또는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의 전면 부분(38)에 결합된 대포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탑승물 차량(20)은 복수의 쇼 요소(28)가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의 전면 부분(38), 후면 부분(40) 및 상단 부분(42)에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기계식 링크 장치(30)를 가질 수도 있다.
쇼 요소(28)는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에 대해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식 링크 장치(30)는 쇼 요소(28)를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에 대해 상방으로(upward), 하방으로(downward), 전방으로(forward), 후방으로(rearward), 외측 방향으로(outward), 내측 방향으로(inward),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해적 테마 어트랙션에서, 한 쌍의 노의 각 노는 노들이 해적선을 나아가게 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에 대해 작동할 수 있고, 돛대와 돛은 강한 바람이 부는 것처럼 보이도록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으며, 판자는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에 대해 위아래로 흔들거릴 수 있고, 대포는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에 대해 전진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압식, 공압식, 전기식 또는 기계식 액추에이터가 쇼 요소(28)의 작동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추가 실시예에서, 기계식 링크 장치(30) 및 액추에이터(44) 둘 모두가 쇼 요소(28)의 작동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쇼 요소(28)는 탑승물 트랙(14)을 따른 탑승물 차량(20)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탑승물 시스템 제어기는 탑승물 트랙(14)을 따른 탑승물 차량(20)의 탐지된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쇼 요소(28)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탑승물 차량 제어기는 탑승물 트랙(14)을 따른 탑승물 차량(20)의 탐지된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쇼 요소(28)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쇼 요소(28)는 기계식 링크 장치(30)의 작동에 기초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기계식 링크 장치(30)는, 탑승물 차량(20)이 탑승물 트랙(14)을 따라 진행함에 따라 (예컨대, 차량 레일(16), 탑승물 차량(20), 지면 등에 대한) 보조 레일(18)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쇼 요소(28)를 작동시킴으로써 쇼 요소(28)가 탑승물 트랙(14)을 따른 각각의 위치에서 보조 레일(18)의 위치에 기초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보조 레일(18)을 포함하는 탑승물 차량 시스템(10)의 탑승물 트랙(14)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보조 레일(18)은 차량 레일(16)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보조 레일(18)은 탑승물 트랙(14)의 전체 길이 동안 차량 레일(16)에 인접할 수도 있다. 보조 레일(18)과 차량 레일(16) 사이의 거리(48)는 탑승물 트랙(14)을 따라 변화할 수도 있다. 보조 레일(18)과 차량 레일(16) 사이의 거리(48)의 변화에 의해 쇼 요소(28)가 작동하게 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탑승물 트랙(14)은 탑승물 차량(20)과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차량 레일(16)을 가질 수도 있다. 탑승물 트랙(14)은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의 좌측 부분 및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의 우측 부분과 각각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 좌측 차량 레일(50) 및 우측 차량 레일(52)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보조 레일(18)은 탑승물 차량(20)에 대해 수평 방향(58)으로 좌측 차량 레일(50)과 우측 차량 레일(52)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보조 레일(18)은 복수의 차량 레일(16)의 외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탑승물 차량(20)에 대한 수평 방향(58)은 좌측 차량 레일(50)과 우측 차량 레일(52)을 교차하며 개략적으로 탑승물 트랙(14)을 따른 탑승물 차량의 이동 방향(60)에 대해 수직 또는 횡단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기계식 링크 장치(30)는 차량 레일(16)에 대한 보조 레일(18)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식 링크 장치는 하나 이상의 캠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캠을 통해 보조 레일(18) 및/또는 쇼 요소(28)와 상호 연결될 수도 있다. 기계식 링크 장치(30)의 작동은 차량 레일(16)에 대한 보조 레일(18)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도 있다(예컨대, 수평 방향(58)에서의 보조 레일(18)과 차량 레일(16) 사이의 거리에 기초함).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기계식 링크 장치(30)의 작동은 보조 레일(18)과 차량 레일(16) 사이의 절대 거리, 탑승물 차량(20)에 대한 보조 레일(18)의 위치, 지면에 대한 보조 레일(18)의 위치, 또는 어떤 다른 물체에 대한 보조 레일(18)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도 있다.
기계식 링크 장치(30)는 기계식 링크 장치(30)의 설계에 기초하여 좌측 차량 레일(50) 또는 우측 차량 레일(52)에 대한 보조 레일(18)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기계식 링크 장치(30)가 보조 레일(18), 우측 차량 레일(52) 또는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의 우측 부분, 및 쇼 요소(28)에 결합되는 실시예에서, 기계식 링크 장치(30)는 우측 차량 레일(52)에 대한 보조 레일(18)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탑승물 트랙(14)은 복수의 보조 레일(18)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수의 보조 레일(18)은 각 쇼 요소(28)가 각자의 보조 레일(18)을 갖도록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에 결합된 다수의 쇼 요소(28)에 대응한다. 예컨대,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의 좌측에 결합된 제 1 쇼 요소(28) 및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의 우측에 결합된 제 2 쇼 요소를 갖는 탑승물 차량(20)은 좌측 보조 레일(66) 및 대응하는 우측 보조 레일(68)을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쇼 요소(28)가 단일 보조 레일(18)에 대응하여, 단일 보조 레일(18)과 차량 레일(16) 사이의 거리(48)가 복수의 쇼 요소(28)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단일 보조 레일(18)이 제 1 쇼 요소(28) 및 제 2 쇼 요소(28) 모두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기술에 따른 탑승물 차량 시스템(10)의 탑승물 차량(20)의 보조 레일(18), 쇼 요소(28) 및 기계식 링크 장치(30)를 포함하는 탑승물 차량 시스템(10)의 탑승물 트랙(14)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보조 레일(18)은 좌측 차량 레일(50)과 우측 차량 레일(52)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보조 레일(18)은 수평 방향(58)으로 대응하는 차량 레일(16)(예컨대, 우측 레일)로부터의 오프셋인 수평 오프셋(70)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보조 레일(18)의 수직 위치는 대응하는 차량 레일(16)에 대해 변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보조 레일(18)은 수직 방향으로 대응하는 차량 레일(16)로부터의 오프셋인 수직 오프셋(72)을 가질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보조 레일(18)은 수평 오프셋(70) 및 수직 오프셋(72) 모두를 포함하지만, 일부 실시예의 보조 레일은 수평 오프셋(70) 또는 수직 오프셋(72)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식 링크 장치(30)는 쇼 요소(28)에 결합된 제 1 단부(74) 및 탑승물 트랙(14)의 보조 레일(18)에 결합된 제 2 단부(76)를 갖는다. 기계식 링크 장치(30)는 탑승물 차량(20)이 차량 레일(16)을 따라 이동할 때 보조 레일(18)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식 링크 장치(30)는 대응하는 차량 레일(16) 에 결합되어 그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중간 부분을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계식 링크 장치(30)는 대응하는 차량 레일(16)에 근접하게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기계식 링크 장치(30)는 중간 부분에 배치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기계식 링크 장치(30)는 단일체이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기계식 링크 장치(30)는 탑승물 차량이 차량 레일(16)을 따라 진행할 때 보조 레일(18)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이동하는 강성 또는 이동 가능한 조인트를 통해 서로 결합된 다중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계식 링크 장치(30)를 보조 레일(18)에 대해 이동시키면, 차량 레일(16)에 대한 보조 레일(18)의 위치(예컨대, 수직 오프셋(72) 및 수평 오프셋(7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쇼 요소(28)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수평 오프셋(70)의 변화는 기계식 링크 장치(30)를 통해 전방(78) 또는 후방(80)으로의 쇼 요소(28)의 작동을 유발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수평 오프셋(70)의 변화는 추가 방향(예컨대, 내측 방향(82), 외측 방향(84), 상방(86), 하방(88),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으로 작동을 유발할 수도 있다. 또한, 수직 오프셋(72)의 변화는 기계식 링크 장치(30)를 통해 상방(86) 또는 하방(88)으로의 쇼 요소(28)의 작동을 유발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수직 오프셋(72)의 변화는 추가 방향(예컨대, 내측 방향(82), 외측 방향(84), 전방(78), 후방(80),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으로 작동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탑승물 차량이 탑승물 트랙(14)을 따라 진행할 때의 수평 오프셋(70) 및 수직 오프셋(72)의 변화는 쇼 요소(28)의 작동의 방향을 제어하지만, 그러나, 예컨대 수평 오프셋 및 수직 오프셋의 변화에 의해 결정되는 보조 레일(18)의 위치에서의 총 거리 변화는 쇼 요소(28)의 작동의 크기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식 링크 장치(30)는 보조 레일(18)의 총 거리 변화와 쇼 요소(28)의 원위 단부(100)에서의 쇼 요소(28)의 작동의 크기 사이의 1 대 1 비를 생성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예컨대, 5인치의 총 거리 변화는 쇼 요소(28)의 원위 단부(100)가 5인치를 이동하게 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계식 링크 장치(30)는 기어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어 시스템은 기어비(예컨대, 1 대 2, 2 대 1, 3 대 1, 등)에 따른 총 거리 변화에 기초하여 기계식 링크 장치(30)가 쇼 요소(28)의 원위 단부(100)를 이동시키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1 대 2의 기어비의 경우, 10인치의 총 거리 변화는 쇼 요소(28)가 20인치를 이동하게 할 수도 있다. 기계식 링크 장치(30)의 상대적 길이 및/또는 쇼 요소(28)의 길이가 본질적으로 기어비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어 시스템은 기어비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기어 및/또는 캠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상방 위치(90)에 배치된 복수의 쇼 요소를 갖는 탑승물 차량(20)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식 링크 장치(30)의 작동에 의해 쇼 요소(28)가 보조 레일(18)과 차량 레일(16) 사이의 거리의 변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이동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계식 링크 장치(30)는 보조 레일(18)과 탑승물 차량 베이스의 일부 사이의 거리의 변화에 기초하여 쇼 요소(28)를 이동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식 링크 장치(30)는 보조 레일(18)과 지면 사이의 거리의 변화에 기초하여 쇼 요소(28)를 이동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식 링크 장치(30)는 탑승물 차량(20)의 한 명 이상의 승객을 위한 독특한 시각적 경험을 생성하기 위해 쇼 요소(28)를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에 대해 상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새 테마 탑승물 차량의 경우, 쇼 요소(28)는 새의 날개처럼 보일 수도 있다. 기계식 링크 장치(30)는 날개를 펄럭이기 위해 날개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보조 레일(18)의 위치는 기계식 링크 장치(30)가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의 탑승물 차량 베이스 허용 범위 외부의, 탑승물 트랙(14)을 둘러싼 환경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고정 또는 이동 요소에 기초하여 쇼 요소(28)를 전략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예컨대, 탑승물 트랙(14)을 둘러싼 환경에 배치된 요소들과 쇼 요소(28)의 충돌을 회피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탑승물 차량 베이스 허용 범위는 탑승물 차량(20)이 탑승물 트랙(14)을 따라 이동할 때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에 의해 점유되는 3차원 체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쇼 요소(28)는 탑승물 차량 베이스 허용 범위의 외부로 연장될 수도 있다. 예컨대, 애니메트로닉 동물은 탑승물 트랙(14)에 근접하여 놀이공원 어트랙션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보조 레일(18)은, 탑승물 차량(20)이 탑승물 베이스 허용 범위의 외부에 있는 애니메트로닉 동물에 접근할 때 기계식 링크 장치(30)가 쇼 요소(28)를 위로 들어올려서 쇼 요소(28)가 애니메트로닉 동물과 충돌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레일(18)은 기계식 링크 장치(30)가 쇼 요소(28)를 애니메트로닉 동물 위로 들어올리도록 애니메트로닉 동물의 영역에서 차량 트랙(16)에 대해 위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44)(예컨대, 공압식, 유압식, 기계식, 전기식)는 쇼 요소(28)의 위치를 제어하여(즉, 기계식 링크 장치(30)에 추가하여 또는 기계식 링크 장치(30) 대신에), 독특한 시각 효과를 생성하고 탑승물 차량 베이스 허용 범위 외부의 탑승물 트랙(14)을 따른 구조물과 쇼 요소(28)의 충돌을 방지할 수도 있다. 액추에이터(44)는 탑승물 시스템 제어기 및/또는 탑승물 차량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쇼 요소(28)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제어 신호는 예컨대 탑승물 차량(20)의 위치, 쇼 요소(28)의 위치 또는 어떤 다른 값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센서는 적외선 센서, 압력 센서, 전자기 센서, 또는 탑승물 차량(20)의 위치, 쇼 요소(28)의 위치 또는 어떤 다른 값을 탐지하기 위한 다른 적절한 센서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센서는 탑승물 차량 상에 배치된다(예컨대, 온보드 센서).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센서는 탑승물 트랙(14) 및/또는 놀이공원 어트랙션(12)을 따라 배치된다(예컨대, 오프보드 센서). 일부 실시예에서, 탑승물 차량 시스템(10)은 예비 부품(예컨대, 센서, 제어기, 통신 장치 등), 고장 허용 한계(fault tolerance) 및/또는 복구 절차를 포함하는 페일 세이프(fail-safe) 센서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페일 세이프 센서 구성은 제어 신호의 정확도를 높일 수도 있다. 탑승물 시스템 제어기 및/또는 탑승물 차량 제어기는 사전 결정된 프로그램, 탐지된 장애물, 기타 요인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44)는 탑승물 차량 베이스 허용 범위 외부의 탑승물 트랙(14)을 따른 구조물과 쇼 요소(28)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기계식 링크 장치(30)(즉, 차량 레일(16), 탑승물 차량(20), 지면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에 대한 보조 레일(18)의 경로 또는 형태)와 조합하여 쇼 요소(28)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탑승물 차량 시스템(10)은 제동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동 시스템은 탑승물 차량(20) 상에 배치된다(예컨대, 온보드 제동 시스템). 온보드 제동 시스템은 제어기로부터 출력된 제동 신호에 응답하여 탑승물 트랙(14)을 따른 탑승물 차량(20)의 이동을 늦추거나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기는 쇼 요소(28)가 제자리를 벗어났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제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온보드 제동 시스템은 마찰 휠 조립체(24) 또는 탑승물 차량(20)의 임의의 적절한 추진 또는 인터페이스 조립체와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동 시스템은 탑승물 트랙(14)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예컨대, 오프보드 제동 시스템). 제어기는 쇼 요소(28)가 제자리를 벗어났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탑승물 트랙(14)을 따라 배치된 오프보드 제동 시스템에 제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오프보드 제동 시스템은 탑승물 트랙(14)을 따른 탑승물 차량(20)의 이동을 늦추거나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오프보드 제동 시스템은 제동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가동되도록 구성된 블록 구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오프보드 제동 시스템은 탑승물 트랙(14)을 따라 탑승물 차량(20)을 감속시키거나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임의의 적절한 메커니즘 또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쇼 요소(28), 기계식 링크 장치(30)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은 해제 메커니즘(92)을 가질 수도 있다. 해제 메커니즘(92)은 탑승물 차량 베이스(22)로부터, 기계식 링크 장치(30)로부터, 또는 둘 모두로부터 쇼 요소(28)를 수동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유지보수 중에, 쇼 요소(28)는 유지보수 작업자가 차량 주위를 이동하기 위해 더 먼 거리를 걸어야 하는 장애를 만들 수도 있다. 따라서, 해제 메커니즘(92)은 탑승물 차량(20)의 보다 신속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해제 메커니즘(92)은 쇼 요소(28)의 수동 해제를 허용하기 위한 레버 또는 어떤 다른 적절한 유형의 해제 트리거를 가질 수도 있다. 레버는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후방 위치(96)에 배치된 복수의 쇼 요소(28)를 갖는 탑승물 차량(20)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식 링크 장치(30)의 작동에 의해 쇼 요소(28)가 보조 레일(18)과 차량 레일(16), 탑승물 차량 베이스(22), 지면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 사이의 거리의 변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이동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식 링크 장치(30)는 탑승물 차량(20)의 한 명 이상의 승객을 위한 독특한 시각적 경험을 생성하기 위해 쇼 요소(28)를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에 대해 후방 및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새 테마 탑승물 차량의 경우, 쇼 요소(28)는 새의 날개처럼 보일 수도 있다. 기계식 링크 장치(30)는 탑승물 트랙의 하향 경사와 조합하여 날개를 후방으로 이동시켜서, 지면을 향해 다이빙하는 새의 움직임 및 시각적 경험을 생성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44)(예컨대, 공압식, 유압식, 기계식 또는 전기식 액추에이터)는 쇼 요소(28)를 후방 및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액추에이터(44)는 미리 정의된 편성에 따라 독특한 시각 효과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탑승물 차량 베이스 허용 범위 외부의 탑승물 트랙(14)을 따른 구조물과 쇼 요소(28)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탑승물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쇼 요소(28)를 후방 및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44)는 탑승물 차량(20)을 위한 승하차 구역에서 쇼 요소(28)를 후방 또는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승객은 승하차 구역에서 탑승물 차량(20)에 출입할 수도 있다. 탑승물 차량(20)을 위한 승하차 구역은 탑승물 트랙(14)의 나머지에 대한 좁은 개구를 가질 수도 있다. 쇼 요소(28)는 쇼 요소(28)를 갖는 탑승물 차량 베이스(22)가 좁은 개구를 통해 끼워질 수 있도록 후방 또는 전방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도 6은 수축 또는 접힌 위치(98)에 배치된 쇼 요소(28)를 갖는 탑승물 차량(20)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쇼 요소(28)는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에 대해 연장 또는 수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쇼 요소(28)는 원위 단부(100) 및 근위 단부(102)를 갖는다. 원위 단부(100)는 근위 단부(102)의 반대편에 있다. 근위 단부(102)는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원위 단부(100)는 근위 단부(102)에 대해 상방으로, 하방으로, 전방으로, 후방으로, 외측 방향으로, 내측 방향으로,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근위 단부(102)는 기계식 링크 장치(30)의 제 1 단부(74)에 결합된다. 원위 단부(100)는 쇼 요소(28)의 근위 단부(102)에 대해 외측으로 연장하거나 내측으로 수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해적 테마 탑승물 차량의 경우, 노의 원위 단부는 노가 해적선의 선체 내로 당겨지는 시각 효과를 생성하기 위해 노의 근위 단부에 대해 수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노의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가 함께 선체 쪽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체 내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체 밑으로 수축할 수도 있다(즉, 노 전체가 수축할 수도 있음).
도 7은 접힌 상방 위치(104)에 배치된 쇼 요소(28)를 갖는 탑승물 차량(20)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식 링크 장치(30) 및 액추에이터(44) 둘 모두가 쇼 요소(28)의 작동을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쇼 요소(28)의 근위 단부(102)는 기계식 링크 장치(30)의 작동이 쇼 요소(28)를 상방으로, 하방으로, 후방으로, 전방으로,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으로 이동시키도록 기계식 링크 장치(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44)는 탑승물 차량(2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44)는 쇼 요소(28)에 결합될 수도 있다. 액추에이터(44)는 쇼 요소(28)의 원위 단부(100)를 근위 단부(102)에 대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해적 테마 탑승물 차량의 경우, 기계식 링크 장치(30)는 노 젓는 동작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쇼 요소(28)(예컨대, 노)를 전방으로, 그 후에 하방으로, 그 후에 후방으로, 그 후에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작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44)는 노젓기 스트로크의 내향 및 외향 동작을 시뮬레이션하여 승객에게 보다 현실적인 시각적 경험을 생성하기 위해 기계식 링크 장치(30)로부터의 움직임과 조합하여 쇼 요소(28)(예컨대, 노)를 수축 및 연장시킬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쇼 요소(28)는 쇼 요소 특징부(106)를 가질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쇼 요소 특징부(106)는 쇼 요소(28)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쇼 요소 특징부(106)는 쇼 요소(28)에 통합된다. 액추에이터(44)는 쇼 요소 특징부(106)를 쇼 요소(28)에 대해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비행기 테마 탑승물 차량의 경우, 쇼 요소(28)는 비행기의 날개일 수 있고, 쇼 요소 특징부(106)은 플랩 또는 에일러론일 수도 있다. 액추에이터(44)는 날개에 대해 플랩 또는 에일러론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쇼 요소(28)는 탑승물 차량(20)의 측면 부분(32)으로부터 연장되지만, 쇼 요소(28)가 탑승물 차량의 다른 부분(예컨대, 전면 부분(38), 후면 부분(40), 상단 부분(42), 바닥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다른 실시예도 고려됨을 이해해야 한다.
도 8은 적재 위치(144)와 개방 위치(146)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쇼 요소(28)를 갖는 탑승물 차량(2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계 시스템(148)은 쇼 요소(28)가 적재 위치(144)로부터 개방 위치(146)로 작동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기계 시스템(148)은 탑승물 트랙(14)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기계 시스템(148)은 탑승물 차량(20)과 기계 시스템(148)의 접촉에 기초하여 가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기계 시스템(148)은 쇼 요소(28)와 기계 시스템(148)의 접촉에 기초하여 가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 시스템(148)은 마찰 휠 조립체(24)와 기계 시스템(148)의 접촉에 기초하여 가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 시스템(148)은 쇼 요소(148)를 결합구(coupling)(150)로부터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액추에이터(44)는 쇼 요소(28)가 결합구(150)로부터 분리될 때 쇼 요소(28)를 적재 위치(144)로부터 개방 위치(146)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액추에이터(44)는 쇼 요소(28)가 결합구(150)로부터 분리될 때 쇼 요소(28)를 탑승물 차량(20)의 측면 상의 적재 위치(144)로부터 개방 위치(146)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스프링일 수도 있다. 쇼 요소(28)는 개방 위치(146)에서 탑승물 차량(20)으로부터 쭉 뻗어나갈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쇼 요소(28)는 적재 위치(144)에서 기계식 링크 장치 및/또는 보조 레일(18)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쇼 요소(28)를 개방 위치(146)로 이동시키는 것은, 쇼 요소(28)가 개방 위치(146)에 있을 때 쇼 요소(28)가 차량 레일(16)에 대한 보조 레일(18)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동하도록 쇼 요소(28)를 기계식 링크 장치 및/또는 보조 레일(18)과 맞물릴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식 저장 시스템(152)은 쇼 요소(28)를 개방 위치(146)로부터 적재 위치(144)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기계식 저장 시스템(152)은 탑승물 트랙(14)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기계식 저장 시스템(152)은 탑승물 차량(20)이 탑승물 트랙(14)을 따라 이동할 때 탑승물 차량(20)이 기계식 저장 시스템(152)을 지나가기 전에 기계 시스템(148)을 통과하도록 위치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식 저장 시스템(152)은 탑승물 차량(20)이 트랙(14)을 따라 이동할 때 쇼 요소(28)가 기계식 저장 시스템(152)과 접촉하도록 쇼 요소(28)의 경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기계식 저장 시스템(152)은 쇼 요소(28)의 결합 부분(154)을 결합구(150) 내로 밀어 넣어서 쇼 요소(28)를 결합구(150)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쇼 요소(28)가 결합구(150)에 결합될 때 쇼 요소(28)는 적재 위치(144)에 있다.
도 9는 놀이공원 어트랙션(12)을 위한 탑승물 차량 제어 시스템(108)의 블록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탑승물 차량 제어 시스템(108)은 프로세서(112) 및 메모리(114)를 갖는 탑승물 시스템 제어기(110)를 갖는다. 나아가, 탑승물 차량 제어 시스템(108)은 탑승물 차량 제어기(116) 및 센서(118)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센서(118)는 탑승물 차량(20)에 대한 쇼 요소(28)의 위치를 탐지하고, 탑승물 차량(20)에 대한 쇼 요소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탑승물 상태 신호(120)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118)는 탑승물 트랙(14)을 따른 탑승물 차량(20)의 위치를 탐지하고, 탑승물 트랙(14)을 따르는 탑승물 차량(20)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탑승물 상태 신호(120)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탑승물 시스템 제어기(110)는 센서(118)로부터 탑승물 상태 신호(120)를 수신하고, 탑승물 상태 신호(12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어 신호(예컨대, 쇼 요소 위치 신호)(122)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탑승물 차량 제어기(116)는 쇼 요소 위치 신호(122)를 수신하고 쇼 요소 위치 신호(122)를 액추에이터(44)에 중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쇼 요소 위치 신호(122)를 액추에이터(44)에 중계하는 것은 쇼 요소 위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쇼 요소 위치 신호를 처리하고, 새로운 쇼 요소 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탑승물 시스템 제어기(110)는 쇼 요소 위치 신호(122)를 액추에이터(44)에 직접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탑승물 차량 제어기(116)는 센서(118)로부터 직접 탑승물 상태 신호(120)를 수신하고, 탑승물 상태 신호(12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쇼 요소 위치 신호(122)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액추에이터(44)는 쇼 요소 위치 신호(122)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쇼 요소(28)를 작동시키기 위해 그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탑승물 시스템 제어기(110) 및/또는 탑승물 차량 제어기(116)는 탑승물 상태 신호(12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쇼 특징부 위치 신호(124)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쇼 특징부 위치 신호(124)는 액추에이터(44)가 쇼 요소 특징부(106)를 이동시키게 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탑승물 차량 제어기(116), 센서(118) 및 액추에이터(44)는 안테나, 무선 송수신기 회로, 신호 처리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예컨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필터, A/D 변환기, 멀티플렉서 증폭기)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회로는 IR 무선 통신, 위성 통신, 방송 라디오, 마이크로파 라디오,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와이파이, 극초단파(UHF), 근거리 무선 통신(NFC) 등을 통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경로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한 통신은 또한 무전탑, 셀룰러 타워 등과 같은 중간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액추에이터(44)가 전자식 액추에이터인 경우, 액추에이터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액추에이터(44)가 공압식 또는 유압식 액추에이터인 경우, 액추에이터는 축압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배터리 및/또는 축압기는 탑승물 차량(20)에 배치될 수 있으며, 탑승물 차량 시스템(10)의 작동 중에 주기적으로 충전(charging)되거나 충진(filling up)될 수도 있다. 예컨대, 놀이공원 어트랙션(12)은 탑승물 차량(20)이 승객을 승차 및/또는 하차시키기 위해 정지될 때 탑승물 차량(20) 상의 배터리 및/또는 축압기를 충전 및/또는 충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탑승물 차량 제어기(116)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고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해 프로세서(128)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한 메모리 장치(12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8)는 탑승물 상태 신호(120) 또는 탑승물 차량 제어기(116)에 의해 수신된 다른 입력에 기초한 응답을 위해 메모리 장치(126)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탑승물 차량(20)은 온보드 추진 시스템을 포함하지 않는다. 예컨대, 놀이공원 어트랙션(12)은 탑승물 차량(20)을 경사로 위로 추진하기 위해 탑승물 차량(20) 외부의 추진 시스템을 사용한다. 그 후, 탑승물 차량(20)은 위치 에너지 및 운동 에너지를 이용해서 차량 레일(12)을 따라 진행하여 하나 이상의 운동 구역을 통과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놀이공원 어트랙션(12)은 탑승물 차량(20)이 경사로 위로 추진된 후 추진 없이 하나 이상의 운동 구역을 통해 진행하는 다중 사이클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탑승물 차량(20)은 탑승물 차량 제어기(116)의 제어를 받는 온보드 추진 시스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쇼 요소(28)는 쇼 요소 위치 신호(12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쇼 요소 위치 신호(122)는 쇼 요소(28)를 탑승물 차량 베이스(22)에 대해 상방으로, 하방으로, 전방으로, 후방으로, 외측 방향으로, 내측 방향으로,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탑승 시스템 제어기(110), 탑승물 차량 제어기(116)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으로부터의 명령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액추에이터(44)는 쇼 요소(28)를 이동시키기 위해 쇼 요소 위치 신호(122)에 응답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44)는 탑승물 차량(20) 상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44)는 탑승물 차량(20)에서 떨어진 놀이공원 어트랙션(12)의 일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센서(118)는 탑승물 차량(20) 상에, 또는 탑승물 차량(20)에서 떨어진 놀이공원 어트랙션(12)의 일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탑승물 차량(20), 쇼 요소(28) 또는 둘 모두의 제어는 환경 또는 기상 조건(예컨대, 강풍)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 예컨대, 쇼 요소(28)는 측정된 돌풍이 어떤 임계값보다 높을 때 탑승물 차량(20) 상의 공기역학적 항력을 감소시키도록 작동될 수도 있다.
도 10은 쇼 요소를 탑승물 차량에 대해 이동시키기 위해 기계식 링크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의 흐름도(130)이다. 본 방법의 시작시에, 탑승물 차량은 탑승물 트랙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방법(130)은 탑승물 차량을 탑승물 트랙의 차량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단계(블록 132)를 포함한다. 탑승물 차량은 롤러코스터일 수도 있으며, 따라서, 탑승물 차량을 이동시키는 것은 위치 구역(potential zone)에서 탑승물 차량을 수직으로 위로 추진하는 것과 하나 이상의 운동 구역(kinetic zone)을 통해 탑승물 차량을 중력 구동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방법(130)은 센서를 통해 탑승물 트랙을 따른 탑승물 차량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탑승물 차량 시스템은 탑승물 트랙을 따라 탑승물 차량을 탐지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쇼 요소가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장소에서의 탑승물 차량의 위치에 관한 업데이트를 탑승물 차량 제어 시스템이 수신하도록 한다. 나아가, 방법(130)은 센서를 통해 탑승물 차량에 대한 쇼 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블록 13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센서는 쇼 요소가 정확하게 위치된 것을 탑승물 차량 제어 시스템이 확인할 수 있도록 쇼 요소의 현재 위치를 탐지할 수도 있다. 쇼 요소가 정확하게 위치되지 않은 경우, 탑승물 차량 제어기는 쇼 요소를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쇼 요소 위치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방법(130)은 센서를 통해 탑승물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블록 136)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신호는 트랙을 따른 탑승물 차량의 탐지된 위치 및/또는 탑승물 차량에 대한 쇼 요소의 탐지된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탑승물 차량 제어기는 탑승물 상태 신호를 수신하고(블록 138), 액추에이터에 대한 명령을 결정할 수도 있다. 방법(130)은, 탑승물 상태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탑승물 차량 제어기를 통해, 쇼 요소 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블록 1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방법(130)은 쇼 요소 위치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액추에이터를 통해 쇼 요소 및/또는 쇼 요소 특징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130)은 차량 레일에 대한 탑승물 트랙의 보조 레일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탑승물 차량에 결합된 쇼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해 기계식 링크 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블록 14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계식 링크 장치는 보조 레일과 탑승물 차량 베이스의 부분 사이의 거리의 변화에 기초하여 쇼 요소를 이동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식 링크 장치는 보조 레일과 지면 사이의 거리의 변화에 기초하여 쇼 요소를 이동시킨다. 보조 레일의 위치는 탑승물 트랙을 따라 차량 레일, 지면 또는 탑승물 차량 베이스에 대해 변화하도록 구성된다. 보조 레일의 위치는 수평 방향 및/또는 수직 방향으로 차량 레일로부터 오프셋될 수도 있다. 나아가, 쇼 요소는 탑승물 차량, 지면 또는 탑승물 차량 베이스에 대해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기계식 링크 장치는 차량 레일, 지면 또는 탑승물 차량 베이스에 대한 보조 레일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쇼 요소(28)를 탑승물 차량에 대해 상방으로, 하방으로, 전방으로, 후방으로, 내측 방향으로, 외측 방향으로,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으로 작동시키도록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효과는 탑승물 차량에 결합된 쇼 요소를 작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은 승객이 놀이공원 어트랙션의 탑승물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즐길 수 있는 독특한 시각적 경험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개시된 기술은 승객을 위한 독특한 시각적 경험을 생성하기 위해 기계식 링크 장치, 액추에이터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을 사용하여 쇼 요소를 이동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정한 특징만이 본 명세서에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많은 수정 및 변경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개시의 진정한 사상 내에 있는 이러한 모든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할 의도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제시되고 청구된 기술은 본 기술 분야를 명백하게 향상시키고 따라서, 추상적이거나 무형적이거나 순수하게 이론적이지 않은 실제적인 성질의 물질적 대상 및 구체적인 예들을 참조하고 그에 적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끝에 첨부된 임의의 청구항이 "...[기능]을 [실행]하는 수단"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로 표기된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그러한 요소는 35 U.S.C. 112(f)에 따라 해석될 의도이다. 그러나,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표기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청구범위에 대해서는 이러한 구성요소가 35 U.S.C. 112(f)에 따라 해석되지 않아야 함을 의미한다.

Claims (20)

  1. 탑승물 차량 시스템(ride vehicle system)에 있어서,
    차량 레일 및 보조 레일을 포함하는 탑승물 트랙; 및
    탑승물 차량을 포함하고, 상기 탑승물 차량은,
    상기 탑승물 트랙의 차량 레일과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탑승물 트랙의 차량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탑승물 차량 베이스;
    상기 탑승물 차량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탑승물 차량 베이스에 대해 작동하도록 구성된 쇼 요소(show element); 및
    상기 쇼 요소에 결합된 제 1 단부 및 상기 탑승물 트랙의 보조 레일에 결합된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기계식 링크 장치― 상기 기계식 링크 장치는 상기 보조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차량 레일에 대한 상기 보조 레일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쇼 요소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됨 ―를 포함하는
    탑승물 차량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 링크 장치는 강성 또는 이동 가능한 조인트를 통해 서로 결합된 다수의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몸체는 상기 차량 레일에 대한 상기 보조 레일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탑승물 차량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물 트랙은 상기 탑승물 차량과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차량 레일을 포함하는
    탑승물 차량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레일과 상기 차량 레일 사이의 거리는 상기 탑승물 트랙을 따라 변화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 레일과 상기 차량 레일 사이의 거리의 변화는 상기 쇼 요소를 연장 또는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쇼 요소를 작동시키는
    탑승물 차량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쇼 요소는 상기 탑승물 차량 베이스에 대해 연장 또는 수축하도록 구성되는
    탑승물 차량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레일의 수직 위치는 상기 차량 레일에 대해 변화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 레일과 상기 차량 레일 사이의 수직 위치의 변화는 상기 쇼 요소를 상방으로 또는 하방으로 작동시키는
    탑승물 차량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 링크 장치는 상기 차량 레일에 결합된 중간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기계식 링크 장치는 상기 중간 부분에 배치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탑승물 차량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 링크 장치의 제 1 단부의 수평 위치는 상기 중간 부분에 대해 변화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평 위치의 변화는 상기 쇼 요소를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작동시키는
    탑승물 차량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쇼 요소를 상기 탑승물 차량에 대해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공압식으로, 유압식으로 또는 전기식으로 구동되는
    탑승물 차량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물 차량의 탑승물 차량 베이스에 부착된 탑승물 시트를 포함하는
    탑승물 차량 시스템.
  11. 탑승물 차량에 있어서,
    탑승물 트랙의 차량 레일과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탑승물 트랙의 차량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탑승물 차량 베이스;
    상기 탑승물 차량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탑승물 차량 베이스에 대해 작동하도록 구성된 쇼 요소; 및
    상기 쇼 요소에 결합된 제 1 단부 및 상기 탑승물 트랙의 보조 레일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기계식 링크 장치― 상기 기계식 링크 장치는 상기 차량 레일에 대한 상기 보조 레일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쇼 요소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됨 ―를 포함하는
    탑승물 차량.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 링크 장치는 상기 쇼 요소를 상기 탑승물 차량 베이스에 대해 상방으로, 하방으로, 전방으로, 후방으로, 외측 방향으로, 내측 방향으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탑승물 차량.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 링크 장치는 상기 탑승물 차량 베이스의 측면 부분에 결합되는
    탑승물 차량.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 링크 장치는 상기 탑승물 차량 베이스의 전면 부분, 후면 부분 또는 상단 부분에 결합되는
    탑승물 차량.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쇼 요소는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근위 단부는 상기 탑승물 차량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원위 단부는 상기 근위 단부에 대해 상방으로, 하방으로, 전방으로, 후방으로, 외측 방향으로, 내측 방향으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탑승물 차량.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쇼 요소의 작동을 구동하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탑승물 차량.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유압식 액추에이터, 공압식 액추에이터, 전기식 액추에이터, 기계식 액추에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탑승물 차량.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쇼 요소는 상기 탑승물 트랙을 따른 상기 탑승물 차량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탑승물 차량.
  19. 방법에 있어서,
    탑승물 트랙의 차량 레일을 따라 탑승물 차량을 이동시키는 것; 및
    상기 차량 레일에 대한 탑승물 트랙의 보조 레일의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탑승물 차량에 결합된 쇼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해 기계식 링크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 상기 보조 레일의 위치는 상기 탑승물 트랙을 따라 상기 차량 레일에 대해 변화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쇼 요소는 상기 탑승물 차량에 대해 작동하도록 구성됨 ―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 링크 장치는 상기 쇼 요소를 상기 탑승물 차량에 대해 상방으로, 하방으로, 전방으로, 후방으로, 내측 방향으로, 외측 방향으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KR1020217011006A 2018-09-17 2019-09-04 탑승물 차량 상의 쇼 요소를 작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564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32310P 2018-09-17 2018-09-17
US62/732,310 2018-09-17
US16/551,333 2019-08-26
US16/551,333 US11583781B2 (en) 2018-09-17 2019-08-26 Systems and methods for actuating a show element on a ride vehicle
PCT/US2019/049474 WO2020060759A1 (en) 2018-09-17 2019-09-04 Systems and methods for actuating a show element on a ride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424A true KR20210056424A (ko) 2021-05-18

Family

ID=69772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006A KR20210056424A (ko) 2018-09-17 2019-09-04 탑승물 차량 상의 쇼 요소를 작동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583781B2 (ko)
EP (1) EP3852895B1 (ko)
JP (1) JP7418416B2 (ko)
KR (1) KR20210056424A (ko)
CN (1) CN112672796B (ko)
CA (1) CA3110752A1 (ko)
ES (1) ES2939139T3 (ko)
SG (1) SG11202102100XA (ko)
WO (1) WO20200607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6862B (zh) * 2021-06-11 2023-02-21 华强方特(深圳)科技有限公司 限位装置、轨道设备及轨道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15804A (en) * 1946-08-08 1949-01-12 Ernest Thomas James Tap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musement track apparatus
FR2215254B3 (ko) * 1973-01-30 1976-01-30 Fouche Michel Fr
US4170943A (en) * 1977-08-01 1979-10-16 Achrekar Prakash M Roller coaster assembly
JP2609930B2 (ja) * 1989-08-25 1997-05-14 泉陽機工株式会社 軌道走行娯楽乗物
US5403238A (en) * 1993-08-19 1995-04-04 The Walt Disney Company Amusement park attraction
JPH0852276A (ja) * 1994-08-10 1996-02-27 Oriental Sangyo Kk 遊戯用乗物装置
JPH0852277A (ja) * 1994-08-10 1996-02-27 Oriental Sangyo Kk 遊戯用乗物装置
US6170402B1 (en) 1999-04-21 2001-01-09 Universal City Studios, Inc. Roller coaster control system
US6523479B1 (en) 2001-09-06 2003-02-25 S&S-Arrow, Llc Amusement rides and methods
JP4036848B2 (ja) * 2004-05-18 2008-01-23 泉陽興業株式会社 遊戯装置
US7484460B2 (en) 2005-09-30 2009-02-03 Universal City Studios Lllp Amusement ride track with motion base
US8313389B2 (en) 2010-08-30 2012-11-20 Disney Enterprises, Inc. Ring carousel ride
DE102011114371A1 (de) * 2011-09-23 2013-03-28 Alexander Verl Fahrgeschäft
US9526997B2 (en) 2014-07-22 2016-12-27 Universal City Studios Llc Vehicle transportation room system and method
US10315120B2 (en) 2015-03-31 2019-06-11 Universal City Studios Llc Boom coaster
US20180255285A1 (en) 2017-03-06 2018-09-06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layered virtual features in an amusement park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52895B1 (en) 2022-12-28
CA3110752A1 (en) 2020-03-26
CN112672796B (zh) 2023-03-14
EP3852895A1 (en) 2021-07-28
US11583781B2 (en) 2023-02-21
WO2020060759A1 (en) 2020-03-26
ES2939139T3 (es) 2023-04-19
JP2022500159A (ja) 2022-01-04
CN112672796A (zh) 2021-04-16
SG11202102100XA (en) 2021-04-29
US20200086220A1 (en) 2020-03-19
JP7418416B2 (ja) 2024-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86454A1 (en) Aerial Delivery Assembly
KR102518862B1 (ko) 작동 가능한 모션 베이스 시스템
WO2007086055A1 (en) Aircraft landing method, system and device
JP7449381B2 (ja) アミューズメント乗り物、特に水上のアミューズメント乗り物、及びそのような乗り物の運転方法
JP2008540054A (ja) 車輪ハブ乗物搬送体
CA2810634A1 (en) Pivotable passenger carrier
RU2764238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развлекательными фигурами
JP7422144B2 (ja) ハイブリッド乗り物車両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20281596A1 (en) Method of Navigating an Amphibious Aerial Vehicle on Water
US11106221B1 (en) Multicopter with self-adjusting rotors
EP385289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tuating a show element on a ride vehicle
CN201921478U (zh) 一种游览车
CN105126360A (zh) 可行走的多维飞行动感模拟乘骑装置
WO2007073361A1 (fr) Procede de deplacement d'un appareil de remorquage aerien muni d'un vehicule de deplacement plus lourd que l'air en mode de glissement ou de roulement et appareil de remorquage aerien
CN105031926A (zh) 悬挂过山车动感轨道系统及其提升用户体验的方法
EP0998339B1 (en) Amusement device
RU2624231C1 (ru) Пассажирский экраноплан
KR20230008151A (ko) 현수 및 부유 작동을 위한 차량 지지체가 있는 탑승물 시스템
CN219077427U (zh) 一种无人驾驶充气渡轮系统
GB2537622A (en) An aerial delivery assem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