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8151A - 현수 및 부유 작동을 위한 차량 지지체가 있는 탑승물 시스템 - Google Patents

현수 및 부유 작동을 위한 차량 지지체가 있는 탑승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8151A
KR20230008151A KR1020227041670A KR20227041670A KR20230008151A KR 20230008151 A KR20230008151 A KR 20230008151A KR 1020227041670 A KR1020227041670 A KR 1020227041670A KR 20227041670 A KR20227041670 A KR 20227041670A KR 20230008151 A KR20230008151 A KR 20230008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xtender
ride
bogi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1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르카 해링턴
에릭 알랜 반스
Original Assignee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30008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1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07Amusement arrangements involving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00Water roundabouts, e.g. freely fl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00Roundabou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04Chutes; Helter-skelters with fixed r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0Slideways with movably suspended cars, or with cars moving on rop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00Water roundabouts, e.g. freely floating
    • A63G3/02Water roundabouts, e.g. freely floating with floating sea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7/00Up-and-down hill tracks; Switchbacks

Abstract

탑승물 시스템은 액체에서 부유하도록 구성된 부력 재료로 제조된 탑승물 차량을 포함한다. 탑승물 시스템의 대차는 탑승물 차량 아래에 위치된 차량 지지체를 포함하고, 대차는 트랙을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익스텐더는 차량 지지체에 결합되고 탑승물 차량에 결합된다. 익스텐더는 차량 지지체에 대한 모션 범위 내에서 탑승물 차량이 액체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수축 구성과 연장 구성 사이를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현수 및 부유 작동을 위한 차량 지지체가 있는 탑승물 시스템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개시는 2020년 5월 5일에 출원된 "현수 및 부유 작동을 위한 차량 지지체가 있는 탑승물 시스템(RIDE SYSTEM WITH VEHICLE SUPPORT FOR SUSPENSION AND FLOATING OPERATION)"이라는 명칭의 미국 가특허출원 제 63/020,210 호에 대한 우선권 및 이익을 주장하며, 그 개시 내용은 모든 목적을 위해 인용에 의해 포함된다.
본 개시는 개략적으로 놀이공원(amusement park)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놀이공원 탑승물(amusement park ride)과 함께 사용되는 방법 및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섹션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태양과 관련될 수도 있는 기술의 다양한 측면에 대해 독자에게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이 논의는 독자에게 배경 정보를 제공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태양의 더 나은 이해를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들 진술은 이러한 관점에서 읽어야 하며 선행 기술을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20세기 초부터 놀이공원(또는 테마파크)의 인기가 크게 높아졌다. 특정 놀이공원 탑승물은 수로를 따라서만 탑승자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수상 탑승물(water ride)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놀이공원 탑승물은 대차(bogie)가 있는 트랙을 따라서만 탑승자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롤러코스터 탑승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일 환경 탑승 형식은 의도치 않게 탑승자의 경험을 제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제는 이용객의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중 운송 모드를 갖는 개량된 놀이공원 탑승물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되고 있다.
최초 청구된 주제와 범위가 상응하는 특정 실시예가 아래에 요약된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특정 개시된 실시예의 간략한 요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 본 개시는 아래에 제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또는 그와 상이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포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탑승물 시스템은 액체에서 부유하도록 구성된 부력 재료로 제조된 탑승물 차량을 포함한다. 탑승물 시스템의 대차는 탑승물 차량 아래에 위치된 차량 지지체를 포함하고, 대차는 트랙을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익스텐더(extender)가 차량 지지체에 결합되고, 탑승물 차량에 결합된다. 익스텐더는 차량 지지체에 대한 모션 범위(range of motion) 내에서 탑승물 차량이 액체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수축 구성(retracted configuration)과 연장 구성(extended configuration) 사이를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탑승물 시스템은 공중 부분(aerial portion) 및 수상 부분(aquatic portion)을 포함하는 탑승물 경로를 포함한다. 탑승물 시스템의 트랙은 경로를 따라 연장되며, 대차는 트랙과 맞물려서 트랙을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탑승물 시스템의 탑승물 차량은 탑승자를 이송하도록 구성되고, 대차의 차량 지지체는 탑승물 차량 아래에 위치되며, 탑승물 경로의 공중 부분에서 탑승물 차량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익스텐더는 탑승물 차량을 차량 지지체에 결합한다. 익스텐더는, 탑승물 경로의 공중 부분에서, 수축하여 탑승물 차량을 차량 지지체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익스텐더는, 탑승물 경로의 수상 부분에서, 액체 내에 위치된 탑승물 차량의 부력에 반응하여 연장 및 수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탑승물 시스템 작동 방법은 탑승물 차량 지지체를 통해 탑승물 차량에 결합된 대차를 사용하여 탑승물 차량을 액체 내에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데, 탑승물 차량 지지체는 익스텐더를 통해 탑승물 차량에 결합된다. 본 방법은 탑승물 차량이 액체에서 부유하게 될 때 익스텐더를 수축 구성으로부터 연장 구성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방법은 탑승물 차량이 액체에서 부력을 받을 때 탑승물 차량을 수축 구성 및 연장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모션 한계(motion envelope) 내에서 움직이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이들 및 다른 특징, 양태 및 장점은 도면 전체에 걸쳐서 유사한 도면부호가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l은 본 개시에 따른 탑승물 시스템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탑승물 차량을 차량 지지체에 결합하는 익스텐더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탑승물 차량을 차량 지지체에 결합하는 익스텐더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익스텐더의 잠금(locking) 특징부를 도시하는, 탑승물 차량을 차량 지지체에 결합하는 익스텐더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익스텐더의 삼각형 배열을 갖는 탑승물 차량 및 차량 지지체의 개략적인 부감도(overhead view)이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탑승물 차량을 현수 구성(suspended configuration)으로 유지하는 대차의 측면도로서, 여기에서 익스텐더는 수축 구성 상태이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대차의 측면도로서, 여기에서 탑승물 차량은 탑승물의 수상 부분 내에 위치되고, 익스텐더가 완전히 연장되는 지점까지 침수되어 있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대차의 측면도로서, 여기에서 탑승물 차량은 탑승물의 수상 부분 내에 그리고 부유 작동 모드(buoyant mode of operation)에 위치된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대차의 측면도로서, 여기에서 탑승물 차량은 현수 작동 모드(suspended mode of operation)에 있고, 대차는 모션 플랫폼을 포함한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공중 부분 및 수상 부분이 있는 탑승물 경로를 포함하는 탑승물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특정 실시예가 아래에 기술될 것이다. 이들 실시예의 간결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실제 구현예의 모든 특징들이 명세서에 기술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엔지니어링 또는 설계 프로젝트에서와 같이 임의의 그러한 실제 구현예를 개발할 때, 시스템 관련 및 비즈니스 관련 제약 조건의 준수와 같은 개발자의 구체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많은 구현예 관련 결정을 내려야 하며, 이러한 제약 조건은 구현예마다 다를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그러한 개발 노력은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일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의 이점을 갖는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설계, 제작 및 제조의 일상적인 작업일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요소들을 소개할 때, 관사 "a", "an" 및 "the"는 하나 이상의 요소가 있음을 의미할 의도이다.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하는/구비하는(including)", "갖는(having)"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인 것으로 의도되며, 나열된 요소 외에 추가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 또는 "실시예"에 대한 언급은 또한 인용된 특징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실시예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될 의도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는 무엇보다도 수상 부분과 공중 부분을 모두 갖는 탑승물 시스템의 실시예를 제공하는데, 각각의 부분은 상이한 차량 작동 모드에 대응한다. 예컨대, 탑승물 시스템은 공중 부분의 공중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코스터뿐만 아니라 수상 부분의 수류 경로를 따라 부유하는 보트로서 기능하는 탑승물 차량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놀이공원 탑승물 어트랙션은 물길을 따라 부유하도록 구성된 보트 또는 트랙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코스터 중 하나를 포함하지만, 둘 다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들 어트랙션의 단수이면서 때로는 예측 가능한 탑승물 형식은 탑승자의 즐거움을 제한할 수도 있다. 몇몇 놀이공원 탑승물은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탑승물 차량을 활용하여 탑승자를 더욱 참여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이 경우 트랙에는 공중 부분과 잠수 부분(submerged portion)이 포함될 수도 있다. 그러나, 공중 트랙과 잠수 트랙(submerged track) 사이를 단순히 전환하는 것은 의도치 않게 탑승물 경험을 제한할 수도 있다. 실제로, 탑승물 차량은 잠수 부분에 있는 동안 잠수 트랙에 제한되기 때문에, 탑승자는 실제 보트에 타고 있는 것과 관련된 완전 부력 부유 효과(full buoyed floating effect)를 경험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는, 제한된 탑승물 차량의 결과는 물과 접촉할 수 있는 느리고 예측 가능한 롤러코스터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공중(또는 현수) 부분 및 수상(또는 부유) 부분을 포함하는 탑승 형식들 사이의 하나 이상의 전환을 포함하는 탑승물 어트랙션이 제공되는데, 수상(또는 부유) 부분에서는 탑승물 차량의 재미있는 부양을 경험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각각의 탑승 형식은 탑승 형식들 사이의 전환이 예상되지 않을 정도로 분리되고 구별될 수도 있다. 실제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탑승 형식들 사이의 각각의 전환은 탑승자를 놀라게 하고 탑승자의 여흥 수준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개시의 실시예는 탑승물 트랙에 결합되는 대차의 차량 지지체에 결합된 채로 유지되면서 물(임의의 형태의 유체 또는 액체를 대표함) 위에 부유하도록 구성된 탑승물 차량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탑승물 차량은 익스텐더가 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잠수되어 있는 동안 차량이 부유할(예컨대, 침수될(submersed)) 수 있게 하는 익스텐더(예컨대, 피스톤)를 통해 차량 지지체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잠수된(submerged) 구성요소는 개략적으로 완전히 수면 아래에 위치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반면에, 침수된(submersed) 또는 부분적으로 잠수된 구성요소는 개략적으로 구성요소가 수면 위에서 및/또는 수면 내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수면 아래에 있는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러한 구성은 탑승물 차량이 탑승물 시스템의 공중 부분과 수상 부분 사이를 쉽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탑승물 차량이 탑승물의 수상 부분에 부유하고 있는 동안, 탑승자는 현수 또는 공중 부분으로의 탑승물 형식의 다가올 변화를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 실제로, 대차(및 탑승물 차량과의 연결부)는 위장되어, 탑승물 차량이 개략적으로 탑승자에게 공중 탑승물 형식으로 전환할 수 없는 보트로 보이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단 탑승물 차량이 물에서 빠져나오면, 익스텐더가 접혀서, 탑승물의 공중 부분을 위한 대차에 탑승물 차량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탑승물 차량이 대차의 차량 지지체와 연관되게 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연관은 탑승물 차량을 차량 지지체에 고정시키는 잠금 특징부(예컨대, 유압 래치, 유압 액추에이터의 풀다운)의 작동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단 탑승물 차량이 대차에 이음매 없이 결합되면, 대차는 탑승물 차량을 피칭(pitching), 요잉(yawing) 및/또는 롤링(rolling)하면서 탑승물 트랙을 따라 탑승물 차량을 운반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탑승자를 위한 스릴 요소를 더욱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중 탑승물 부분과 수상 탑승물 부분 사이의 전환은 어느 방향으로든 발생할 수 있으며 탑승자에게 짜릿한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탑승물 차량은 이들이 탑승물 시스템의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한 공중 부분 및/또는 수상 부분으로 전환될 때 탑승자를 더욱 혼란스럽게 하고 스릴을 주기 위해 탑승물 차량 아래의 물리적 트랙을 따라 지나갈(또는 물리적 트랙을 따라 지나가는 것처럼 보이게 될) 수도 있다.
도 1은 대차(12) 및 탑승물 차량(14)을 포함하는 탑승물 시스템(10)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12)는 트랙(18)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휠 조립체(16)를 포함한다. 또한, 대차(12)는 익스텐더(22)를 통해 탑승물 차량(14)에 결합되는 차량 지지체(20)(예컨대, 요크, 골조)를 포함한다. 익스텐더(22)는 피스톤, 액추에이터(예컨대, 유압식, 전기식), 에어백,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높이 조절 가능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으며, 탑승물 차량(14)이 차량 지지체(20)에 대해 다수의 자유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작동한다. 예컨대, 익스텐더(22)는 (화살표(2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이한 길이에 이르도록 연장 및 수축할 수 있어서, 탑승물 차량(14)이 부력에 반응하여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움직이게 한다. 실제로, 탑승물 차량(14)이 물 안에 위치될 때, 부력은 익스텐더(22)의 탑승물 차량(14)을 따른 다양한 위치에서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익스텐더(22)는 그에 따라 조정(예컨대, 연장 또는 수축)될 수도 있다. 이로써, 탑승자는 탑승물 차량(14)이 실제로는 익스텐더(22)를 통해 대차(1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마치 탑승물 차량(14)이 물 위에서 자유롭게 부유하는 것처럼 느끼게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탑승물 시스템(10)은 대차(12)의 휠 조립체(16) 및 다른 요소에 대한 탑승자의 시야를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오버헤드 구조(26)(예컨대, 캐노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탑승자의 몰입감 있는 경험에 추가로 기여할 수 있다. 즉, 탑승자는 마치 물과 관련된 힘(예컨대, 부력)에 의해 완전히 제어되는 보트 내에 있는 것처럼 느끼게 될 수도 있다. 탑승물 차량(14)은 탑승물 차량(14)의 부력에 기여하고 탑승물 차량(14)의 무게 중심 위에 있는 적절한 경심(metacenter)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탑승물 차량(14)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일부 실시예에서, 탑승물 차량(14)은 임의의 적절한 수의 탑승자를 태울 수 있는 범선의 형태일 수도 있다.
탑승물 차량(14)은 예컨대 탑승물 어트랙션의 수상 부분(예컨대, 수로)에서 발견되는 물 내에 위치될 때 부유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부유는 차량 지지체(20)에 대한 탑승물 차량(14)의 이동 범위를 허용하는 익스텐더(22)에 의해 촉진된다. 익스텐더(22)는 예컨대 부력 및 중력에 반응하는 것과 같이 순전히 기계적인 방식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익스텐더(22)는 이중 모드(예컨대, 수동 모드 및 능동 모드)로 작동할 수도 있다. 수동 모드에서, 익스텐더(22)는 (예컨대, 탑승물 차량(14)이 물에 있는 동안) 부력에 의해 야기되는 모션을 수동적으로 허용할 수도 있으며, 능동 모드에서는, 탑승물 차량(14)을 차량 지지체(20)에 대해 다양한 자유도로 움직이게 하기 위한 모션 베이스로서 작동할 수도 있다. 현재 인식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부력은 또한 탑승물 차량(14)의 중량의 적어도 일부를 상쇄함으로써 능동 모드에서의 탑승물 차량(14)의 효율적인 움직임을 용이하게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텐더(22)는 익스텐더 구성요소(34)(예컨대, 피스톤 아암 및 피스톤 하우징)의 연장 구성(30)(예컨대, 50%보다 많이 연장됨) 및 수축 구성(32)(예컨대, 50%보다 많이 수축됨)을 갖는 여러 가지 다양한 익스텐더 유형 및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연장 구성(30)과 수축 구성(32) 간의 차이는 부력을 수용하기 위해 차량 지지체(20)와 탑승물 차량(14)의 위치 사이의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모션 한계를 한정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 논의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텐더들(22)은 좌우 흔들림 및 앞뒤 흔들림과 같은 흔들림 모션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탑승물 차량(14)에 대해 분포될 수도 있다.
도 2를 더 상세히 참조하면, 익스텐더(22)는 피스톤(38)으로서 도시되는데, 여기에서 익스텐더 구성요소(34)는 각각 피스톤 아암(40)(예컨대, 연장 부분) 및 피스톤 하우징(41)(예컨대, 하우징 부분)을 포함한다. 피스톤(38)은 실질적으로 선형 방식으로 연장 구성(30)과 수축 구성(32) 사이를 전환하도록 작동한다. 피스톤 아암(40)은 강성이거나 가요성일 수 있으며, 다양한 유형의 동력(예컨대, 전기, 연소 기반, 유압)을 사용하여 작동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피스톤(38)은 임의의 다양한 메커니즘(42)(예컨대, 윈치, 유압 장치, 모터)을 사용하여 작동될 수도 있다. 예컨대, 피스톤(38)은 유체 작동식(예컨대, 유압 피스톤 또는 가스 기반 피스톤), 래칫식 또는 나사 작동식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피스톤(38)은 그러한 실시예에서 가요성일 수도 있는 피스톤 아암(40)을 방출 및/또는 수축시키기 위해 다른 메커니즘(예컨대, 윈치)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피스톤(38)은 각각 피스톤 하우징(41)에 대해 피스톤 아암(40)을 연장 또는 수축시키는 윈치를 피스톤 하우징(41) 내에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스톤(38)은 피스톤 아암(40)을 수축시키거나, 그와 달리 피스톤 아암(40)을 고정하여 탑승물 차량(14)을 차량 지지체(20)에 대해 실질적으로 고정된 구성으로 유지하도록 작동할 수도 있다.
도 3에서, 각각의 익스텐더(22)는 연장 구성(30)과 수축 구성(32) 사이의 안내된 전환을 허용하도록 협력하는 베이스 리셉터클(base receptacle)(44)(예컨대, 하우징 부분) 및 커넥터 인서트(connector insert)(46)(예컨대, 연장 부분)를 포함한다. 각각의 익스텐더(22)의 베이스 리셉터클(44)은 차량 지지체(20)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대응하는 커넥터 인서트(46)는 탑승물 차량(14)에 결합되어 있다. 각각의 익스텐더(22)의 커넥터 인서트(46)는 그것의 기하학적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탑승물 차량(14)으로부터 분해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러나 라인(47)은 커넥터 인서트(46)와 탑승물 차량(14) 사이의 결합을 나타낼 의도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베이스 리셉터클(44)은 원통형의 기하학적 구조를 갖고, 커넥터 인서트(46)는 기하학적 구조들이 그들 사이의 초기 맞물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협력하고 함께 힘을 받을 때 커넥터 인서트(46)를 베이스 리셉터클(44)과의 확고한 맞물림으로 안내하도록 원뿔형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다. 다른 기하학적 구조(예컨대, 피라미드형 및 프리즘형)도 또한 본 실시예에 포함된다. 커넥터 인서트(46)는 연장 구성(30)에 있을 때 차량 지지체(20)에 대한 탑승물 차량(14)의 상응하는 모션을 허용하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막대(48) 또는 실질적으로 가요성인 코드(50)(예컨대, 강철 케이블, 가요성 케이블)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가요성 코드(50)(윈치(51)로 수축되거나 방출될 수 있음)에 의해 강성 막대(48)에 대해 추가적인 모션 범위가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나, 두 실시예 모두 연장 구성(30)에 있을 때 다수의 방향(X, Y 및 Z 방향)으로 모션 범위를 제공할 수도 있다. 베이스 리셉터클(44) 및 커넥터 인서트(46)가 수축 구성(32)에 완전히 고정될 때, 이들의 맞물림 특성은 탑승물 차량(14)과 차량 지지체(20) 사이의 실질적인 상대 운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실제로, 커넥터 인서트(46)가 (예컨대, 윈치(51)에 의해 제공되는 가요성 코드(50)의 장력을 통해) Z 방향을 따라 베이스 리셉터클(44) 내에 유지되는 한, 리셉터클은 X 또는 Y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든 움직임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텐더(22)는 여러 가지 익스텐더(22)(예컨대, 피스톤(38))의 서로 다른 구성에 기초하여 탑승물 차량(14)의 상이한 배향(orientation)을 허용하도록 힌지형 또는 가요성 커플링(52)(예컨대, 볼 및 소켓 커플링, 구면 베어링)을 통해 탑승물 차량(14)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차량 지지체(20)에 대한 커플링(54)은 또한 볼 및 소켓 커플링과 같이 힌지형이거나 가요성일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특징부(58)(예컨대, 자동 또는 작동 가능한 잠금 장치)는 익스텐더(22)를 희망 배향 또는 구성으로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잠금 특징부(58)는 유압 유체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피스톤(38)을 수축 구성(32) 또는 연장 구성(30)으로 유지하는 유압 밀봉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잠금 특징부(58)는 익스텐더 구성요소(예컨대, 피스톤 아암(40) 및 피스톤 하우징(41), 또는 베이스 리셉터클(44) 및 커넥터 인서트(46))를 통해 연장되어 익스텐더(22)를, 고정된 익스텐더 구성요소들(34) 사이의 상대 운동을 물리적으로 차단함으로써 희망 구성에 고정하는 작동 막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잠금 특징부(58)는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모니터링될 수도 있다. 예컨대, 잠금 특징부(58)는 잠금 특징부(58)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상태를 프로세스 제어기에 알리기 위해 프로세스 제어기와 통신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프로세스 제어기는 수신된 센서 데이터를 기초로 탑승물 기능을 계속하거나, 정지하거나, 또는 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탑승물 시스템(10)의 개략적인 부감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탑승물 차량(14)의 모멘트를 상쇄하기 위해 3개의 위치에서 분산 배열로 탑승물 차량(14)과 차량 지지체(20) 사이에 결합된 3개의 익스텐더(22)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는 더 많은 연결 지점에서 더 많은 유연성 및/또는 더 많은 익스텐더(22)를 제공할 수도 있지만, 예시된 실시예는 탑승물 차량(14)의 X축(72) 및 Y축(74)에 대한 모멘트를 제한한다. 그러나, 탑승물 차량(14)에서 부유하는 운동학적 경험을 탑승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약간의 흔들림 모션이 허용된다. 예컨대, 익스텐더(22)를 예시된 삼각형 구성으로 분포시킴으로써, 화살표(76)로 표시된 바와 같은 (예컨대, X축(72)에 대한) 일정량의 좌우 흔들림, 및 화살표(78)로 표시된 바와 같은 (예컨대, Y축(74)에 대한) 일정량의 앞뒤 흔들림, 및 이들의 조합은 익스텐더(22)가 예컨대 Z축(80)과 평행하게 선형으로 다양한 길이로 연장 또는 수축함으로써 부력 및 중력에 반응할 때 촉진된다. 나아가, 익스텐더(22)는 탑승물 차량(14)과 차량 지지체(20) 사이의 임의의 적절한 모션 범위를 가능케 하도록 이들 사이에 결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파나르 로드(Panhard rod) 또는 트랙 바(track bar)는 3자유도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반면에, 스튜어트 플랫폼(Stewart platform)은 6자유도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물 차량(14)을 차량 지지체(20)에 대해 능동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때, 익스텐더(22)와는 별개인 액추에이터(82)가 제어 가능 모션 베이스로서 채용될 수도 있다. 이들 액추에이터(82)는 작동하지 않을 때 탑승물 차량(14)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어서, 탑승물 차량(14)이 물에서 부유하고 있을 때와 같은 익스텐더(22)에 의해 허용되는 수동적인 효과에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익스텐더(22)는 특정 실시예에서 능동적인 액추에이터 및 수동적인 고정 메커니즘 모두로서 작동할 수도 있다. 익스텐더(22)가 차량 지지체(20)에 대한 탑승물 차량(14)의 상대적인 위치 설정을 능동적으로 조작하도록 작동 가능한 실시예에서, 추가 액추에이터(82)는 배제되거나, 다른 기능을 위해 포함될 수도 있다.
도 6, 도 7 및 도 8은 탑승물 차량(14)이 현수된 탑승물 차량인 상태의 작동(도 6), 탑승물 차량(14)이 부분적으로 잠수되는(예컨대, 침수되는) 동안의, 그리고 익스텐더(22)가 완전히 연장된 상태의 작동(도 7), 및 탑승물 차량(14)이 부유 모드인 상태의 작동(도 8)을 포함하여, 다양한 작동 단계 동안의 탑승물 시스템(10)의 측면도를 포함한다. 또한, 도 6, 도 7 및 도 8 각각은 탑승물 시스템(10)의 각각의 작동 모드 동안 익스텐더(22)의 상태를 나타내는 익스텐더 작동(88)의 표시를 포함한다. 익스텐더 작동(88)의 표시는 연장 구성(30) 및 수축 구성(32)에서의 피스톤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익스텐더 작동(88)의 표시는 탑승물의 다양한 부분 동안의 익스텐더 작동의 특성을 개략적으로 반영할 의도이다. 그러나, 이들 작동은 제한적이지 않으며, 본 개시에 따라 다양한 변형예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현수식 탑승물 차량으로서의 탑승물 차량(14)의 작동(도 6) 중에, 익스텐더(22)는 도시된 수축 구성(32) 대신에 연장 구성(30)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대차(12)는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다양한 작동 단계 사이에서 트랙(18)을 따라 탑승물 차량(14)을 운반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6은 탑승물 차량(14)이 예컨대 탑승물의 공중 부분 동안에 현수된 상태로 작동하는 탑승물 시스템(10)을 도시한다. 이 작동 모드에서, 익스텐더 작동(88)의 표시는 익스텐더(22)가 각각 수축 구성(32)에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은 대차(12)가 탑승물 차량(14)을 물 밖으로 들어올려서 부력이 더 이상 탑승물 차량(14)을 차량 지지체(20)로부터 멀어지게 밀어내지 않게 된 것의 자연스러운 결과로서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중력이 탑승물 차량(14)을 차량 지지체(20) 쪽으로 밀어서 익스텐더(22)로 하여금 수축 구성(32)으로 접히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익스텐더 구성요소(34)의 기하학적 및/또는 구조적 측면은 수축 구성(32)에서의 익스텐더 구성요소들(34) 사이의 이러한 자연스러운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초래할 수 있다. 예컨대, 강성 피스톤 아암(40)은 중력에 의해 피스톤 하우징(41) 안으로 밀려 들어갈 수도 있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서, 익스텐더(22)는 수축 구성(32)으로 작동(예컨대, 윈치, 래칫, 유압식 견인)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익스텐더(22)(또는 다른 액추에이터(82))는 탑승물 차량(14)이 피칭, 요잉 및 롤링하도록 작동될 수 있도록 (예컨대, 연장 구성(30)과 수축 구성(32) 사이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탑승물 차량(14)은 대차(12)의 본체와 차량 지지체(20) 사이에서 연장되는 액추에이터로 인해 피칭, 요잉 및 롤링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탑승물 차량(14)의 모션의 양태(예컨대, 피칭 및 롤링)는 트랙(18)의 배향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예컨대, 트랙(18)은 탑승물 차량(14)과 함께 대차(12) 전체가 트랙(18)의 배향 및 곡률에 반응하여 피칭 및 롤링하게 할 수도 있다.
도 7은 대차(12) 및 트랙(18)이 탑승물 차량(14)을 탑승물의 수로(92) 내의 침수된 또는 부분적으로 잠수된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대차(12) 및 트랙(18)은 최대 연장량으로 연장 구성(30)에 있는 익스텐더(22)에 대응하는 높이까지 탑승물 차량(14)이 침수되도록 수로(92)에 대해 위치된다. 따라서, 도 7의 익스텐더 작동(88)의 표시는 익스텐더(22) 모두가 완전히 연장된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는 탑승물 차량(14)이 부분적으로만 침수될 때 그리고 익스텐더(22)가 잠수될 때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익스텐더(22)는 탑승물 차량(14)이 완전히 침수되거나 자체 부력의 성질에 의해 자유롭게 부유하고 있지 않는 한 익스텐더(22)의 최대 연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그러한 실시예는 탑승물 차량(14)이 부유할 수 있고 부력에 자연스럽게 반응할 수 있는 더 큰 작동 범위를 제공한다.
도 8은 대차(12) 및 트랙(18)이 탑승물 차량(14)을 탑승물의 수로(92) 내에서 부유 작동 모드에 위치시키는 것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대차와 트랙은 익스텐더(22)가 연장 구성(30)에서 완전히 연장되는 것과 수축 구성(32)에서 완전히 수축되는 것 사이의 모션 범위에 대응하는 높이까지 탑승물 차량이 침수되도록 수로(92)에 대해 위치된다. 이러한 위치 설정을 반영하기 위해, 익스텐더 작동(88)의 표시는 연장 구성(30)에서 완전히 연장된 하나의 익스텐더(22) 및 수축 구성(32)에서 완전히 수축된 하나의 익스텐더(22)를 도시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92)는 깊이가 변하는 것으로 표현된다. 예컨대, 파도(94)는 탑승물 차량(14)에 작용하는 관련 부력을 기초로 익스텐더(22)의 구성에 있어서의 불일치를 초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익스텐더(22)는 탑승자가 보다 확실하고 몰입감 있는 부유 경험을 느낄 수 있도록 수로(92)의 변화와 관련된 모션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 도 7 및 도 8 각각은 대차(12)의 강성 일체형 부분으로서 차량 지지체(20)를 포함하는 대차(12)를 도시한다. 어떤 추가적인 위치 설정이 작동 가능한 익스텐더(22)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실시예에서 수로(92)에 대한 탑승물 차량(14)의 위치 설정은 주로 트랙(18) 상의 대차(12)의 위치 설정에 기초한다. 그러나, 도 9는 대차(12)가 대차(12)의 본체(104)와 차량 지지체(20) 사이에 모션 플랫폼(102)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모션 플랫폼(102)은 다수의 자유도로 탑승물 차량(14)을 움직이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스튜어트 플랫폼으로 표현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모션 플랫폼(102)은 또한 수로(92), 또는 가짜 트랙(96)과 같은 다른 탑승물 특징부에 대해 탑승물 차량(14)을 위치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예컨대, 모션 플랫폼(102)은 탑승물 차량(14)이 부유하는 지점까지 탑승물 차량(14)을 수로(92) 내로 하강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익스텐더(22)는 탑승자가 경험할 탑승물 차량(14)에 대한 수로(92) 내의 물의 부력을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작동한다. 또한, 모션 플랫폼(102)은 가짜 트랙(96)과 맞물린 후 가짜 트랙(96)에서 떨어지는 듯한 느낌을 주도록 탑승물 차량을 가짜 트랙(96)에 대해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또한, 모션 플랫폼(102)이 대차(12)와 차량 지지체(20) 사이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특정 실시예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익스텐더(22)의 적절한 구성을 탑승물 차량(14)과 차량 지지체(20) 사이의, 스튜어트 플랫폼과 같은 모션 베이스로서 활용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실제로, 탑승물 차량(14)과 차량 지지체(20) 사이에 6개의 익스텐더(22)를 결합함으로써, 탑승물 차량(14)은 탑승자를 탑승물 내에 더욱 몰입시키기 위해 물에서 이동할 때 증가된 자유도를 겪을 수도 있다.
전술한 내용을 염두에 두고, 도 10은 탑승물 시스템(10)의 경로(116)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탑승물 차량(14)을 포함하는 탑승물 시스템(10)(예컨대, 놀이공원 어트랙션)을 도시한다. 경로(116)는 (예컨대, 플룸(flume)에 의해 한정되는) 유동 경로(120)를 갖는 수상 부분(118)을 포함한다. 경로(116)는 또한 공중 부분(124)을 포함한다. 수상 부분(118)과 공중 부분(124) 모두 대차(12)를 지지하는 트랙(18)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탑승물 차량(14)은 익스텐더(22)를 통해 대차(12)와 동적으로 맞물리는 동안 수상 부분(118)을 따라 부유하도록 구성되고, 익스텐더(22)가 고정된(예컨대, 수축된, 잠금된) 구성에 있는 상태로 공중 부분(124)을 따라 대차(12)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운반되도록 구성된다. 탑승물 차량(14)이 경로(116)를 따라 주행할 때, 탑승물 차량(14)은 애니메트로닉스 전시물(animatronic show piece), 특수 효과 등과 같은 다양한 테마 효과를 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테마 효과 중 일부는 탑승물 전체에 걸쳐서 대차(12)의 특성 및 탑승물 차량(14)과 각각의 대차(12) 사이의 유지된 접촉을 감추기 위해 채용될 수도 있다. 즉, 특수 효과 및 위장을 사용하여 탑승물 차량(14)을 대차(12)와의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작동하지 않는 단순한 보트처럼 보이게 할 수도 있다.
탑승물 사이클의 시작 시에, 탑승자는 탑승 플랫폼(132)에서 탑승물 차량(14)에 승차 또는 하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탑승자가 탑승 플랫폼(132)에서 탑승물 차량(14)에 승차/하차하는 동안, 탑승물 차량(14)은 탑승 플랫폼(132)에 인접하게 배치된 슈트(shoot)(134)를 통과할 수도 있다. 슈트(134)는 탑승물 차량(14)의 통과를 좁게 허용하여 탑승자의 탑승물 차량(14) 내외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슈트(134)는 보트에 타는 느낌을 제공하기 위해 물로 채워질 수도 있으며, 대차(12)로부터 연장되는 차량 지지체(20)는 이러한 탑승물 단계 동안 대차(12)와 탑승물 차량(14) 사이의 경계면의 특성에 대한 탑승자의 식별을 제한하기 위해 위장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대차(12)는 탑승 플랫폼(132) 앞에서 탑승물 차량(14)을 일정한 속도 및 고도로 이동시켜서 탑승자가 탑승물 차량(14)에 쉽게 승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탑승물 차량(14)을 대차(12)에 대해 고정하는 위치(예컨대, 수축 구성(32))에 익스텐더(22)를 잠그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대차(12)는 탑승물 차량(14)을 탑승 플랫폼(132) 앞에서 일시적으로 정지시켜서 탑승자가 탑승물 차량(14)에 승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차량 지지체(20)의 일부(익스텐더(22)를 포함함)는 유동 경로(120)의 물 아래에 부분적으로 잠수되거나 완전히 잠수될 수도 있다.
일단 탑승자가 탑승물 차량(14)에 승차하면, 대차(12)는 탑승물 차량(14)을 수상 부분(118)의 물에 부분적으로 침수된 상태로 전환할 수도 있다(예컨대, 도 8). 그러면 탑승물 차량(14)은 익스텐더(22)가 수상 부분(118)의 길이를 따라 해제되거나 활성화됨에 따라 부유 상태가 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예컨대, 익스텐더(22)로서 작동하고 탑승물 차량(14)을 대차(12)의 차량 지지체(20)에 결합하는 피스톤들은 탑승물 차량(14)이 수상 부분(118)에서 물의 부력을 받을 때 연장 및 수축하게 될 수도 있다. 또한, 대차(12)는, 탑승물 차량(14)이 수상 부분(118)의 흐름에 의해서만 끌려가고 있다는 착시를 탑승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수상 부분(118)의 측정된 유속 값과 조화를 이룰 수도 있다. 예컨대, 물의 흐름은 유동 경로(120)를 따라 배치된 워터 제트 또는 프로펠러와 같은 기계적 추진 시스템(135)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유속은 기계적 추진 시스템(135)의 센서 또는 다른 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으며, 경로(116)를 따라 대차(12)의 속도를 관리하기 위해 (예컨대, 어트랙션 제어기(160)를 통해) 사용될 수도 있다. 경로(116)를 따른 특정 지점에 도시되어 있지만, 기계적 추진 시스템(135)은 경로(116)의 수상 부분(118) 전역에 걸쳐서 배치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수상 부분(118)에 있는 동안의 탑승물 차량(14)의 모션은 대차(12)의 속도의 결과일 수 있으며, 기계적 추진 시스템(135)과 같은 시스템은 배제될 수도 있다. (기계적 추진 시스템(135)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대차(12)에 의해 구동됨에도 불구하고, 본 실시예는 익스텐더(22)가 부력에 기초하여 탑승물 차량(14)의 동작을 허용하기 때문에 실제 보트의 느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실제로, 트랙이 물 아래에 존재하는 전통적인 유사 수상 탑승물과 달리, 본 실시예는 익스텐더(22)가 수상 부분(118) 내에서 대차(12)와의 궁극적인 맞물림을 유지하면서도 부력에 따라 조정되기 때문에 물에서 자연적인 자체 부력에 의해 지지되는 탑승물 차량(14)을 포함한다.
탑승물 차량(14)은 일반적으로 탑승물 차량(14)의 전방이 대체로 유동 경로(120)의 하류측 방향을 향한 상태로 유동 경로(120)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주행할 수 있지만, 본 개시에서는 다양한 배향이 고려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탑승물 차량(14)은 대차(12)(예컨대, 스튜어트 플랫폼과 같은 대차(12)의 모션 플랫폼(102))에 의해 또는 트랙(18)의 위치 설정을 기초로 유동 경로(120)를 따라 주행하는 동안 어느 정도 흔들릴 수도 있다(예컨대, 요잉될 수도 있음). 트랙(18)의 다양한 구성 또는 대차(12)의 작동은 유동 경로(120) 내의 물에 의해서만 부유 및 안내되는 사실적인 느낌을 제공하도록 유동 경로(120)와 조화를 이룰 수도 있다. 대차(12)는 탑승물 차량(14)에 대해 상승하고, 그에 따라서, 탑승물 차량(14)이 수상 부분(118)의 길이를 주행하고 전환 위치(136)에 도달한 후 (예컨대, 익스텐더(22)의 접힘을 통해) 탑승물 차량(14)과 보다 직접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공중 부분(124)으로의 전환은 탑승물 차량(14)을 대차(12)에 잠그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 이러한 잠금은 익스텐더(22)를 적소에(예컨대, 수축 구성으로) 유지하기 위해 익스텐더(22)의 작동 특징부(예컨대, 유압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탑승물 차량(14)이 대차(12)에 의해 공중 부분(124)의 트랙(18)을 따라 운반됨에 따라, 대차(12) 및 트랙(18)은 협동적으로 탑승물 차량(14)을 피칭, 요잉 및 롤링하도록 구성된다.
대차(12)와 탑승물 차량(14)이 공중 부분(124)의 길이를 주행한 후에, 대차(12)는 탑승물 차량(14)을 경로(116)의 수상 부분(118)에 배치하고, 대차(12)와 탑승물 차량(14) 사이의 임의의 잠금 결합을 해제하여 익스텐더(22)를 작동하게 해서 다시 탑승물 차량(14)과 수상 부분(118)의 물 사이의 부력에 기초한 모션을 허용할 수도 있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12)는 탑승물 차량(14)이 유동 경로(120)를 따라 하류측으로 향하도록 수상 부분(118)의 시작점(150)에 탑승물 차량(14)을 배치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탑승물 시스템(10)의 작동은 제어기(160)(예컨대, 어트랙션 제어기, 탑승물 제어기)를 이용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제어기(160)는 특수 용도 프로세서(application-specific processor)와 같은 프로세서(162)(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대표할 수도 있음)를 채용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제어기(160)는 탑승물 시스템(10)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및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162)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164)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62)는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 장치(164)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비일시적 기계 판독 가능 매체(tangible, non-transitory, machine-readable media)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로서, 이러한 기계 판독 가능 매체에는 RAM, ROM, EP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기계 실행 가능한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희망 프로그램 코드를 지니거나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62)에 의해 또는 임의의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있는 다른 기계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어트랙션 제어기(160)는 탑승물 차량(14)에 대한 차량 지지체(20)의 잠금 결합을 보장하거나, 부력으로 인한 대차(12)에 대한 탑승물 차량(14)의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익스텐더(22)의 작동을 보장하거나, 탑승물 차량(14)이 트랙(18)을 따라 주행할 때 탑승물 차량(14)의 배향을 결정하거나, 및/또는 (예컨대, 수상 부분(118)에서의 물의 유속을 기초로 대차(12)를 제어함으로써) 탑승물 차량(14)의 속도를 제어하는 데 활용될 수도 있다. 어트랙션 제어기(160)는 또한 탑승물 차량(14)이 탑승물 시스템(10)을 통해 나아갈 때 탑승물 차량(14)의 움직임의 타이밍에 관한 양태를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 실시예만이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수많은 수정 및 변경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개시의 진정한 사상에 속하는 모든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할 의도임을 이해해야 한다. 위에서 논의된 도면과 관련하여 예시되거나 설명된 임의의 특징들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제시되고 청구된 기술은 본 기술 분야를 명백하게 향상시키는 실제적인 성질의 물질적 대상 및 구체적인 예들을 참조하고 그에 적용되며, 그에 따라서 추상적이거나 무형적이거나 순수하게 이론적인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명세서의 끝에 첨부된 임의의 청구항이 "...[기능]을 [실행]하는 수단"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로 표기된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그러한 요소는 35 U.S.C. 112(f)에 따라 해석될 의도이다. 그러나,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표기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청구항에 대해서는 그러한 구성요소가 35 U.S.C. 112(f)에 따라 해석되지 않아야 함을 의미한다.

Claims (20)

  1. 탑승물 시스템(ride system)에 있어서,
    액체에서 부유하도록 구성된 부력 재료를 포함하는 탑승물 차량;
    상기 탑승물 차량 아래에 위치된 차량 지지체를 포함하고, 트랙을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된 대차(bogie); 및
    상기 차량 지지체에 결합되며 상기 탑승물 차량에 결합되는 익스텐더(extender)를 포함하고,
    상기 익스텐더는, 상기 차량 지지체에 대한 모션 범위(range of motion) 내에서 상기 탑승물 차량이 액체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수축 구성(retracted configuration)과 연장 구성(extended configuration) 사이를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탑승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더는 상기 차량 지지체 및 상기 탑승물 차량에 결합된 복수의 익스텐더 중 하나이고, 상기 복수의 익스텐더의 각각의 익스텐더는 각자의 수축 구성과 연장 구성 사이를 전환하도록 개별적으로 작동 가능한
    탑승물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더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피스톤이 수축 구성으로부터 연장 구성으로 전환될 때 피스톤 하우징 밖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피스톤 아암을 포함하는
    탑승물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더는 커넥터 인서트(connector insert) 및 베이스 리셉터클(base receptacle)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인서트는 상기 익스텐더가 수축 구성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리셉터클 내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탑승물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인서트의 본체를 상기 베이스 리셉터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가요성 케이블 또는 강성 막대를 포함하는
    탑승물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인서트는 상기 차량 지지체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리셉터클은 상기 탑승물 차량에 결합되는
    탑승물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더는 상기 차량 지지체 및 상기 탑승물 차량에 삼각형 배열로 결합된 복수의 익스텐더 중 하나이고, 상기 복수의 익스텐더의 각각의 익스텐더는 상기 탑승물 차량이 좌우로 그리고 앞뒤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각자의 수축 구성과 연장 구성 사이를 전환하도록 개별적으로 작동 가능한
    탑승물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더는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탑승물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더는 연장 부분 및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 부분은 윈치(winch)를 통해 상기 하우징 부분 내로 수축되도록 구성되는
    탑승물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더는 피스톤 아암 및 피스톤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하우징에 대한 상기 피스톤 아암의 위치는 유압 장치를 통해 조정되도록 구성되는
    탑승물 시스템.
  11. 탑승물 시스템에 있어서,
    공중 부분(aerial portion) 및 수상 부분(aquatic portion)을 포함하는 탑승물 경로;
    상기 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트랙;
    상기 트랙과 맞물려서 상기 트랙을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된 대차;
    탑승자를 이송하도록 구성된 탑승물 차량;
    상기 탑승물 차량 아래에 위치되며, 상기 탑승물 경로의 공중 부분에서 상기 탑승물 차량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상기 대차의 차량 지지체; 및
    상기 탑승물 차량을 상기 차량 지지체에 결합하는 익스텐더를 포함하고,
    상기 익스텐더는, 상기 탑승물 경로의 공중 부분에서, 수축하여 상기 탑승물 차량을 상기 차량 지지체에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익스텐더는, 상기 탑승물 경로의 수상 부분에서, 액체 내에 위치된 탑승물 차량의 부력에 반응하여 연장 및 수축하도록 구성되는
    탑승물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는 상기 차량 지지체를 상기 트랙에 대해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구성된 모션 베이스(motion base)를 포함하는
    탑승물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더는 복수의 익스텐더 중 하나인
    탑승물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익스텐더는 각자의 연장 구성과 각자의 수축 구성 사이의 전환을 수동적으로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탑승물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익스텐더는 각자의 연장 구성 및 각자의 수축 구성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탑승물 시스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더를 고정 구성(fixed configuration)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 잠금 특징부를 포함하는
    탑승물 시스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더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피스톤 하우징 내외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피스톤 아암을 포함하는
    탑승물 시스템.
  18. 탑승물 시스템 작동 방법에 있어서,
    탑승물 차량 지지체를 통해 탑승물 차량에 결합된 대차를 사용하여 탑승물 차량을 액체 내에 위치시키는 것― 상기 탑승물 차량 지지체는 익스텐더를 통해 상기 탑승물 차량에 결합됨 ―;
    상기 탑승물 차량이 액체에서 부유하게 될 때 상기 익스텐더를 수축 구성으로부터 연장 구성으로 전환시키는 것;
    상기 탑승물 차량이 액체에서 부력을 받을 때, 상기 탑승물 차량을 상기 수축 구성 및 상기 연장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모션 한계(motion envelope) 내에서 움직이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탑승물 시스템 작동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탑승물 차량을 액체 밖으로 들어올리는 것을 포함하는
    탑승물 시스템 작동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물 차량을 들어올리는 것에 의해, 상기 익스텐더가 완전히 수축 구성으로 전환하게 되는
    탑승물 시스템 작동 방법.
KR1020227041670A 2020-05-05 2021-05-05 현수 및 부유 작동을 위한 차량 지지체가 있는 탑승물 시스템 KR202300081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20210P 2020-05-05 2020-05-05
US63/020,210 2020-05-05
US17/307,707 2021-05-04
US17/307,707 US20210346814A1 (en) 2020-05-05 2021-05-04 Ride system with vehicle support for suspension and floating operation
PCT/US2021/030920 WO2021226257A1 (en) 2020-05-05 2021-05-05 Ride system with vehicle support for suspension and floating ope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151A true KR20230008151A (ko) 2023-01-13

Family

ID=78411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670A KR20230008151A (ko) 2020-05-05 2021-05-05 현수 및 부유 작동을 위한 차량 지지체가 있는 탑승물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346814A1 (ko)
EP (1) EP4146362A1 (ko)
JP (1) JP2023524272A (ko)
KR (1) KR20230008151A (ko)
CN (1) CN115515693A (ko)
CA (1) CA3175330A1 (ko)
WO (1) WO202122625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3430A (en) * 1956-07-16 1961-10-10 Walt Disney Prod Boat guiding apparatus
DE102004062315A1 (de) * 2004-12-20 2006-06-29 Mack Ride Gmbh & Co Kg Wasserfahrgeschäft
US8091483B1 (en) * 2011-03-31 2012-01-10 Disney Enterprises, Inc. Amusement park ride with underwater-controlled boats
US8453579B2 (en) * 2011-05-20 2013-06-04 Disney Enterprises, Inc. Water ride with improved boat capture mechanism
US8641540B2 (en) * 2011-07-13 2014-02-04 Roland Feuer Inverted simulation attra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515693A (zh) 2022-12-23
CA3175330A1 (en) 2021-11-11
EP4146362A1 (en) 2023-03-15
US20210346814A1 (en) 2021-11-11
JP2023524272A (ja) 2023-06-09
WO2021226257A1 (en)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49381B2 (ja) アミューズメント乗り物、特に水上のアミューズメント乗り物、及びそのような乗り物の運転方法
US8641540B2 (en) Inverted simulation attraction
JP6707585B2 (ja) 運動台座起動方法
CN102961872B (zh) 具有水下控制船的游乐场乘坐装置
JP6517798B2 (ja) 移動可能な軌道セクションを有するアミューズメント装置
JP7422144B2 (ja) ハイブリッド乗り物車両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10022687A (ko) 다차원 보기 및 트랙 시스템
CN109152959A (zh) 用于使游乐设施的车辆的导轨系统的导轨部段移动的设备
JP2020521563A (ja) 可変車両乗り物スイッチ
US6862997B2 (en) Amusement device and method for using an amusement device
KR20230008151A (ko) 현수 및 부유 작동을 위한 차량 지지체가 있는 탑승물 시스템
ES2965844T3 (es) Sistema impulsor de movimiento vertical para un sistema de atracciones
US115837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tuating a show element on a ride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