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720A -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가 결실된 밀 품종을 구별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가 결실된 밀 품종을 구별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720A
KR20210050720A KR1020190135111A KR20190135111A KR20210050720A KR 20210050720 A KR20210050720 A KR 20210050720A KR 1020190135111 A KR1020190135111 A KR 1020190135111A KR 20190135111 A KR20190135111 A KR 20190135111A KR 20210050720 A KR20210050720 A KR 20210050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mega
wheat
gliadin
primer set
pr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수
강유나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5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0720A/ko
Publication of KR20210050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5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plants, fungi or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3Plant trai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메가-5 글리아딘(omega-5 gliadin) 유전자가 결실된 밀(Triticum aestivum) 품종 구별용 프라이머 세트에 관한 것으로, 밀의 대표적인 알러지 유발 인자인 오메가-5 글리아딘이 결실된 밀 품종을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가 결실된 밀 품종을 구별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Primer set for discrimination of omega-5 gliadin gene deleted wheat cultivar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가 결실된 밀 품종을 구별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밀(Triticum aestivum)은 벼과(Gramineae) 밀속(Triticum)의 한해살이풀로 소맥이라고도 불린다. 밀은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세계 곡물 생산량에서 옥수수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다. 밀은 쌀 다음으로 소비가 많이 되는 작물인데 1년에 국민 1인당 약 30kg 이상을, 국가적으로는 약 400만톤 정도가 소비되지만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밀은 길고 날씬한 잎을 가지고 있고, 줄기가 비어 있으며 이삭은 20~100개의 꽃을 가지고 있다. 밀의 사용 목적은 빵, 국수, 케익, 크래커 등 다양한데 그 중 Triticum aestivum은 빨이나 국수 등을 만드는데 사용되며, T. durum은 스파게티나 마카로니 등을 만드는데 주로 사용된다.
밀은 종피가 13~17%, 배가 2~3% 그리고 배유가 81~84%를 차지하고 있으며, 배유 저장 단백질 중 글루텐으로 인해 빵, 라면, 과자 등과 같은 가공적성을 가진다. 글루텐 단백질은 알코올 수용액 용해도에 따라 녹는 글리아딘(gliadin)과 녹지 않는 글루테닌(glutenin)으로 나뉜다. 대부분의 글리아딘은 단량체로 존재하고 있으며, 낮은 pH의 A-PAGE(Acid-PAGE)나 SDS-PAGE의 이동성에 따라 ω5-글리아딘, ω1,2-글리아딘, α-/β-글리아딘 및 γ-글리아딘 그룹으로 구분된다. 전체 글리아딘 단백질 중 α-/β-글리아딘 및 γ-글리아딘은 각각 28~33%, 23~31%를 차지하고 있는 주요 단백질이며, ω1,2-글리아딘과 ω5-글리아딘은 각각 4~7%, 3~6%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ω5-글리아딘은 심각한 음식 알러지인 밀 의존성 운동 유발성 과민증(wheat-dependent exercise-induced anaphylaxis, WDEIA)의 중심 항원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게 한다. 밀이 들어간 음식을 섭취한 후 물리적으로 운동했을 때 증상이 발생하며 주로 성인들에게 발병한다.
현재까지 글루테닌에 대한 유전자좌, 및 글루테닌과 밀 품질의 관계에 관련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글리아딘은 일부 알러지 및 기본적인 물성 연구 외에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밀 알러지에 대한 위험성을 줄이기 위한 여러 육종적 및 생명공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17-0142910호에는 글루테닌 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세트가 기재되어 있는 '글루텐불내성 및 밀 의존성 운동 유발성 과민증의 개선 및 예방용 밀'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가 결실된 밀 품종을 구별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밀의 대표적인 알러지 유발 인자인 오메가-5 글리아딘을 코딩하는 유전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세트를 제작하였고,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금강', '올그루' 및 금강과 올그루의 인공교배로 얻어진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가 결실된 '오프리(O-free)' 밀 품종을 대상으로 PCR을 수행한 결과, 제작된 프라이머 세트 중 1개의 프라이머 세트가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의 결손 여부를 판별하여 오프리 밀 품종을 특이적으로 구별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오메가-5 글리아딘(omega-5 gliadin) 유전자가 결실된 밀(Triticum aestivum) 품종 구별용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라이머 세트; 및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하는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가 결실된 밀 품종 구별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밀 시료로부터 게놈 DNA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 반응을 수행하여 표적 서열을 증폭하는 단계; 및 상기 증폭 단계의 산물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가 결실된 밀 품종을 구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는 알러지 유발 인자인 오메가-5 글리아딘을 코딩하는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오메가-5 글리아딘이 포함되어 있거나 결실된 밀 품종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으므로 식품 안정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밀(Triticum aestivum) 유래 오메가-5 글리아딘(omega-5 gliadin) 유전자의 염기서열에서 프라이머 세트 'ω-5 gli1, ω-5 gli2 및 ω-5 gli3'이 결합하는 위치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 및 도 3은 프라이머 세트 'ω-5 gli1, ω-5 gli2, ω-5 gli3, ω-5 gli4, ω-5 gli5 또는 ω-5 gli6'을 이용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이다. 오프리: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가 결실된 밀 품종.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오메가-5 글리아딘(omega-5 gliadin) 유전자가 결실된 밀(Triticum aestivum) 품종 구별용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13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NCBI accession number: AB181300.1)의 염기서열에 기반하여 제작된 서열번호 1의 정방향 프라이머 및 서열번호 2의 역방향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이다.
본 발명의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가 결실된 밀 품종에서는 증폭 반응이 일어나지 않고,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가 존재하는 밀 품종에서는 증폭 반응이 일어남으로써,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가 결실된 밀 품종을 효율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서열 내의 16개 이상, 17개 이상, 18개 이상의 연속 뉴클레오티드의 절편으로 이루어진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의 부가, 결실 또는 치환된 서열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라이머"는 카피하려는 핵산 가닥에 상보적인 단일 가닥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말하며, 프라이머 연장 산물의 합성을 위한 개시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의 길이 및 서열은 연장 산물의 합성을 시작하도록 허용해야 한다. 프라이머의 구체적인 길이 및 서열은 요구되는 DNA 또는 RNA 표적의 복합도(complexity)뿐만 아니라 온도 및 이온 강도와 같은 프라이머 이용 조건에 의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프라이머로서 이용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또한 뉴클레오티드 유사체(analogue), 예를 들면, 포스포로티오에이트(phosphorothioate), 알킬포스포로티오에이트 또는 펩티드 핵산(peptide nucleic acid)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삽입 물질(intercalating agen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프라이머 세트; 및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하는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가 결실된 밀 품종 구별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있어서, 상기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은 DNA 폴리머라제, dNTPs 및 버퍼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또한 최적의 반응 수행 조건을 기재한 사용자 안내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안내서는 키트 사용법, 예를 들면, 역전사 완충액 및 PCR 완충액 제조 방법, 제시되는 반응 조건 등을 설명하는 인쇄물이다. 안내서는 팜플렛 또는 전단지 형태의 안내 책자, 키트에 부착된 라벨, 및 키트를 포함하는 패키지의 표면상에 설명을 포함한다. 또한, 안내서는 인터넷과 같이 전기 매체를 통해 공개되거나 제공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밀 시료로부터 게놈 DNA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 반응을 수행하여 표적 서열을 증폭하는 단계; 및
상기 증폭 단계의 산물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가 결실된 밀 품종을 구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밀 시료에서 게놈 DNA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밀 시료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밀로 의심되는 식물체의 뿌리, 잎, 줄기 혹은 낟알일 수 있다. 상기 게놈 DNA를 분리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CTAB 방법을 이용할수도 있고, Wizard prep 키트(Promega 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분리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프라이머로 이용하여 증폭 반응을 수행하여 표적 서열을 증폭할 수 있다. 표적 핵산을 증폭하는 방법은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리가아제 연쇄반응(ligase chain reaction), 핵산 서열 기재 증폭(nucleic acid sequence-based amplification), 전사 기재 증폭시스템(transcription-based amplification system), 가닥 치환 증폭(strand displacement amplification) 또는 Qβ 복제효소(replicase)를 통한 증폭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핵산 분자를 증폭하기 위한 임의의 기타 적당한 방법이 있다. 이 중에서, PCR이란 중합효소를 이용하여 표적 핵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쌍으로부터 표적 핵산을 증폭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PCR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키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있어서, 상기 증폭된 표적 서열은 검출가능한 표지 물질로 표지될 수 있다. 상기 표지 물질은 형광, 인광 또는 방사성을 발하는 물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지 물질은 Cy-5 또는 Cy-3이다. 표적 서열의 증폭시 프라이머의 5'-말단에 Cy-5 또는 Cy-3를 표지하여 PCR을 수행하면 표적 서열이 검출가능한 형광 표지 물질로 표지될 수 있다. 또한, 방사성 물질을 이용한 표지는 PCR 수행시 32P 또는 35S 등과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PCR 반응액에 첨가하면 증폭 산물이 합성되면서 방사성이 증폭 산물에 혼입되어 증폭 산물이 방사성으로 표지될 수 있다. 표적 서열을 증폭하기 위해 이용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는 전술한 것과 같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가 결실된 밀 품종을 구별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증폭 단계의 산물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증폭 단계 산물의 검출은 모세관 전기영동, DNA 칩, 겔 전기영동, 방사성 측정, 형광 측정 또는 인광 측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증폭 산물을 검출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서, 모세관 전기영동을 수행할 수 있다. 모세관 전기영동은 예를 들면, ABi Sequencer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겔 전기영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겔 전기영동은 증폭 산물의 크기에 따라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 또는 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형광 측정 방법은 프라이머의 5'-말단에 Cy-5 또는 Cy-3를 표지하여 PCR을 수행하면 표적 서열이 검출가능한 형광 표지 물질로 표지되며, 이렇게 표지된 형광은 형광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방사성 측정 방법은 PCR 수행시 32P 또는 35S 등과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PCR 반응액에 첨가하여 증폭 산물을 표지한 후, 방사성 측정기구, 예를 들면, 가이거 계수기(Geiger counter) 또는 액체섬광계수기(liquid scintillation counter)를 이용하여 방사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및 방법
1. 게놈 DNA 추출
'금강, 올그루 및 오프리' 밀 품종의 종자를 수집(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하여 28℃, 18시간의 주광 조건으로 생육하였으며, 생장 후 15일 시점에 각 품종에 대해 유묘기의 잎을 수확하였다. -80℃에서 동결 보존한 각 품종의 잎을 막자사발에 넣고 액체질소로 냉각시키며 분말상태로 분쇄하였다. DNA 추출을 위해 시료 분말 100mg과 CTAB 버퍼 1㎖을 2㎖ 튜브에 넣고 볼텍싱하였으며, 65℃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온에서 15분간 방치하였다. 그 다음, 12,0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700㎕의 상층액을 새 튜브에 옮긴 뒤 클로로폼(chloroform) 700㎕를 첨가하였다. 60여 차례 잘 섞은 후 12,0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 500㎕를 새 튜브에 옮기고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500㎕를 첨가하였다. 20여 차례 잘 섞고 -20℃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12,0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상층액 제거 후 70% 에탄올 500㎕를 첨가하고 12,000g에서 1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상층액을 모두 제거하고 펠렛을 대기중에서 5분간 건조시시킨 다음 1X TE 버퍼 400㎕를 첨가하였다. 이후 RNA와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해 20㎎/㎖의 RNase A를 첨가하여 볼텍싱하였으며, 37℃의 중탕기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페놀(400㎕):클로로폼:이소아밀 알코올(isoamyl alcohol)을 25:24:1 비율로 혼합하여 첨가한 후 12,0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 350㎕를 새 튜브에 옮긴 다음 클로로폼 350㎕를 첨가하였다. 12,0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 300㎕를 새 튜브에 옮긴 후 3M 소듐아세테이트(sodium acetate) 30㎕가 첨가된 이소프로판올 330㎕를 첨가하였다. 그 후 12,0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70% 에탄올 500㎕를 첨가하고 12,000g에서 1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였으며, 펠렛을 대기중에 5분간 건조시키고 1X TE 버퍼 50㎕를 첨가하였다. 추출한 DNA는 1kb DNA ladder와 함께 0.8% 아가로스 겔에서 확인하였다.
2.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 결실 품종 선별용 프라이머 세트 설계
NCBI에 등록된 오메가-5 글리아딘 CDS 데이터 (https://www.ncbi.nlm.nih.gov/nuccore/AB181300.1/)에 기초한 서열을 이용하였으며, 서열간 유사성이 높은 특징을 고려하여 각 글리아딘 서열간의 차이점이 있는 서열에 대하여 primer3 프로그램 v.4.0.0(http://bioinfo.ut.ee/primer3-0.4.0/)을 이용하여 총 3개의 프라이머 세트(ω-5 gli1, ω-5 gli2, ω-5 gli3)를 설계하였고(도 1), 이전 연구와의 차별성 및 재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전 연구에서 사용된 프라이머 세트(ω-5 gli4, ω-5 gli5, ω-5 gli6)를 사용하였다(표 1).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 정보
프라이머명 염기서열(5'→3') (서열번호)
ω-5 gli1 F: GGCCACAACAATCCCCTGAA (서열번호 1)
R: ATAACGTCGCTCCAGATGG (서열번호 2)
ω-5 gli2 F: CCAGCAACCACCACAACAAT (서열번호 3)
R: ACGATGATTCACCCGTCTAGT (서열번호 4)
ω-5 gli3 F: TCCAATACCATACCCACCCC (서열번호 5)
R: ACTAACAACGATGATTCACCCG (서열번호 6)
ω-5 gli4 F: AGTAGGCTGCTAAGCCCTAGA (서열번호 7)
R: ATATTGTTGGTATGGGGAAGG (서열번호 8)
ω-5 gli5 F: AAGTGAGCAATAGTAAACACAAATCAAAC (서열번호 9)
R: CGTTACATTATGCTCCATTGACTAACAACGATG (서열번호 10)
ω-5 gli6 F: CAACCACCACAACAATTC (서열번호 11)
R: TTACATCTCTTCATTTCATAGG (서열번호 12)
3.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분석
PCR 분석에는 SimpliAmp Thermal Cycler(ThermoFisher Scientific, 미국) 기기를 이용하였으며, Taq polymerase는 Ex Taq(Takara Bio, 일본), Taq 5x master mix(NEB, 미국), Taq DNA Polymerase(BioFact, 한국)을 사용하였다. PCR을 위한 혼합물 조건과 PCR 조건은 각각 표 2, 표 3에 나타내었다. PCR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세관을 이용한 DNA 자동화 전기영동 장치인 QIAxecl(Qiagen, 독일)을 사용하였고 15bp~3kb를 확인할 수 있는 QIAxcel DNA Fast Analysis Kit(Qiagen)를 사용하였다.
PCR을 위한 혼합물 조건
Ex Taq(Takara Bio)
50ng template DNA 4 ㎕
10mM Forward primer 1 ㎕
10mM Reverse primer 1 ㎕
dNTP mix 2 ㎕
Ex Taq polymerase 0.125 ㎕
10X buffer 2.5㎕
RNase/DNase free water 14.375 ㎕
Taq 5x master mix(NEB)
50ng template DNA 4 ㎕
10mM Forward primer 0.5 ㎕
10mM Reverse primer 0.5 ㎕
Taq 5X master mix 5 ㎕
RNase/DNase free water 15 ㎕
Taq DNA Polymerase (BioFact)
50ng template DNA 4 ㎕
10mM Forward primer 1 ㎕
10mM Reverse primer 1 ㎕
dNTP mix 2 ㎕
Ex Taq polymerase 0.125 ㎕
10X buffer 2.5㎕
RNase/DNase free water 14.375 ㎕
PCR 조건
Ex Taq(Takara Bio)
전-변성 98℃ 10초

30 cycle
변성 98℃ 10초
결합 60℃ 30초
신장 72℃ 1분
최종 신장 72℃ 5분
Taq 5x master mix(NEB)
전-변성 95℃ 30초

30 cycle
변성 95℃ 30초
결합 60℃ 1분
신장 68℃ 1분
최종 신장 68℃ 5분
Taq DNA Polymerase (BioFact)
전-변성 95℃ 2분

30 cycle
변성 95℃ 20초
결합 60℃ 40초
신장 72℃ 1분
최종 신장 72℃ 5분
실시예 1.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가 결실된 밀 품종 구별 검정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가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가 결실된 밀 품종을 구별하는데 적합한 마커인지 확인하기 위해, 표 1의 프라이머 세트와 표 2의 Taq polymerase를 사용하여 '금강, 올그루 및 오프리' 밀 품종을 대상으로 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서 제작한 프라이머 세트 'ω-5 gli1, ω-5 gli2 및 ω-5 gli3' 중에서 ω-5 gli1를 사용한 경우에는 금강밀과 올그루밀에서 증폭 반응이 나타나고 오프리밀에서는 증폭 반응이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가 결실된 오프리 밀 품종을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었으나, ω-5 gli2 또는 ω-5 gli3을 사용한 경우에는 모든 밀 품종에서 증폭 반응이 일어나 오프리밀을 구별하지 못하였다(도 2). 또한, 이전 연구에서 사용된 프라이머 세트 'ω-5 gli4, ω-5 gli5 및 ω-5 gli6'를 사용한 경우에도 모든 밀 품종에서 증폭 반응이 나타나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의 결실 유무를 판단하지 못하였다(도 3).
상기 결과를 통해, 프라이머 세트 ω-5 gli1가 재연성이 높으면서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가 결실된 밀 품종을 효율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프라이머 세트임을 확인하였고, ω-5 gli1를 제외한 나머지 프라이머 세트는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가 결실된 밀 품종을 구별하기에 부적절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110> The Industry & Academic Cooperation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AC) <120> Primer set for discrimination of omega-5 gliadin gene deleted wheat cultivar and uses thereof <130> PN19348 <160> 1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 ggccacaaca atcccctgaa 20 <210> 2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ataacgtcgc tccagatgg 19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 ccagcaacca ccacaacaat 20 <210> 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4 acgatgattc acccgtctag t 21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5 tccaatacca tacccacccc 20 <210> 6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6 actaacaacg atgattcacc cg 22 <210> 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7 agtaggctgc taagccctag a 21 <210> 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8 atattgttgg tatggggaag g 21 <210> 9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9 aagtgagcaa tagtaaacac aaatcaaac 29 <210> 10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0 cgttacatta tgctccattg actaacaacg atg 33 <210> 11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1 caaccaccac aacaattc 18 <210> 1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2 ttacatctct tcatttcata gg 22 <210> 13 <211> 1413 <212> DNA <213> Triticum aestivum <400> 13 aagtgagcaa tagtaaacac aaatcaaaca tgaagacctt catcatattt gtcctccttg 60 ccatggcgat gaacatcgcc agtgccagta ggctgctaag ccctagaggc aaggaattgc 120 atactccaca agaacaattc ccccaacaac aacaattccc ccaaccacaa caattccccc 180 aacaacaaat cccccaacaa catcaaatcc cccagcaacc acaacaattc ccccaacaac 240 aacaattcct ccaacaacaa caaatcccgc aacaacaaat cccccaacaa catcaaatcc 300 cccagcaacc acaacaattc ccccagcaac agcaattccc ccaacaacac caatcccccc 360 aacaacaatt cccacaacaa caattccccc aacagaaatt gccgcaacag gaattcccac 420 aacaacaaat ctcccagcaa ccacaacaac tcccccagca acaacaaatc ccccagcaac 480 cacaacaatt tctccaacaa caacaattcc cccagcaaca acccccccaa caacatcaat 540 ttccccaaca gcaattgccc caacaacaac aaatccccca acaacaacag atcccccagc 600 aaccacaaca aatcccccaa caacaacaaa tcccccagca accacaacaa ttcccccaac 660 aacaattccc gcaacaacaa tttccccaac agcaattccc gcaacaggaa ttcccacaac 720 aacaacaatt cccgcaacaa caaatcgccc ggcaaccaca acaactcccc caacaacaac 780 aaatccccca gcaaccacaa caatttcccc aacaacaaca attcccccag caacaatcac 840 cccaacaaca gcaatttccc caacaacaat tcccccaaca acaacaatta ccgcaaaaac 900 aattccccca accacaacaa ataccccaac aacaacaaat cccccagcaa ccacaacaat 960 tcccccagca acaattcccc caacaacagc aatttcccca acaacaagaa ttcccccaac 1020 agcaattccc gcaacaacaa ttccaccaac aacaattacc gcaacaacaa tttccccaac 1080 aacaattccc ccaacagcaa ttcccccaac aacaacagtt cccccaacaa caacaattaa 1140 cgcaacaaca attcccccgg ccacaacaat cccctgaaca acaacaattc ccccaacaac 1200 aattccccca gcaaccacca caacaattcc cccaacaaca atttccaata ccatacccac 1260 cccagcaatc agaagaacct tccccatacc aacaatatcc acaacaacaa ccatctggga 1320 gcgacgttat aagtatcagt ggcctatgaa atgaagagat gtaatactag acgggtgaat 1380 catcgttgtt agtcaatgga gcataatgta acg 1413

Claims (5)

  1.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오메가-5 글리아딘(omega-5 gliadin) 유전자가 결실된 밀(Triticum aestivum) 품종 구별용 프라이머 세트.
  2. 제1항에 따른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라이머 세트; 및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을 포함하는 오메가-5 글리아딘(omega-5 gliadin) 유전자가 결실된 밀(Triticum aestivum) 품종 구별용 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시약은 DNA 폴리머라제, dNTPs 및 버퍼를 포함하는 것인 키트.
  4. 밀 시료로부터 게놈 DNA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제1항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 반응을 수행하여 표적 서열을 증폭하는 단계; 및
    상기 증폭 단계의 산물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메가-5 글리아딘(omega-5 gliadin) 유전자가 결실된 밀(Triticum aestivum) 품종을 구별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단계의 산물의 검출은 모세관 전기영동, 겔 전기영동, DNA 칩, 방사성 측정, 형광 측정 또는 인광 측정을 통해 수행되는 것인 방법.
KR1020190135111A 2019-10-29 2019-10-29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가 결실된 밀 품종을 구별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20210050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11A KR20210050720A (ko) 2019-10-29 2019-10-29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가 결실된 밀 품종을 구별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11A KR20210050720A (ko) 2019-10-29 2019-10-29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가 결실된 밀 품종을 구별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720A true KR20210050720A (ko) 2021-05-10

Family

ID=75917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111A KR20210050720A (ko) 2019-10-29 2019-10-29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가 결실된 밀 품종을 구별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07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6758B1 (ko) 엽록체 유전체와 45S nrDNA 염기서열 정보를 활용한 들깨 배수체간 품종 판별용 분자 마커 및 이의 용도
Al-Qurainy et al. SCAR marker for gender identification in date palm (Phoenix dactylifera L.) at the seedling stage
KR101860232B1 (ko) Ssr 마커를 이용한 대추 품종의 감별방법
KR102029016B1 (ko) 양송이 균주 구별을 위한 ssr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2009712B1 (ko) 대추 복조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912933B1 (ko) 더덕과 잔대 구별을 위한 분자마커와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20140106892A (ko) Ssr 마커를 이용한 마 유전자원 식별 방법
KR102163233B1 (ko) 양송이 품종 새정, 새아, 설강 구별을 위한 ssr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054459B1 (ko) 벼 품종을 구분하기 위한 특이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CN109517921B (zh) 大麦P3G和C3G合成主效QTL紧密连锁的InDel分子标记及其应用
KR102335806B1 (ko) 대추 산조 품종을 구별하기 위한 엽록체 게놈 서열 기반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KR20210050720A (ko) 오메가-5 글리아딘 유전자가 결실된 밀 품종을 구별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2332689B1 (ko) 인삼 &#39;금진&#39; 및 &#39;선향&#39; 품종을 구별하기 위한 미토콘드리아 게놈 서열 기반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332688B1 (ko) 인삼 &#39;선향&#39; 품종을 구별하기 위한 핵 게놈 서열 기반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174274B1 (ko) 대추 품종 &#39;보은&#39;과 &#39;추석&#39;을 판별하기 위한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948389B1 (ko) Ssr 마커를 이용한 더덕 및 잔대의 감별방법
KR100938413B1 (ko) 식품검사방법
KR20040083428A (ko) 밀의 검사 방법
CN108220470B (zh) 一种检测青稞籽粒蛋白的试剂盒和方法
KR101919605B1 (ko) 인삼 속 5종의 엽록체 게놈 서열의 완전 해독 기반 종간 구별 마커와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JP4102116B2 (ja) 豆類の品種判別
KR101088775B1 (ko) 벼 품종을 구분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699518B1 (ko) 인삼 품종 금풍과 황숙 재래종을 판별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CN111485031A (zh) 水稻分子标记dof8及其应用、一种利用水稻分子标记dof8鉴别粳稻和籼稻的方法
KR102370010B1 (ko) 국내 대추 품종과 일본 대추 품종을 구별하기 위한 엽록체 게놈 서열 기반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