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9149A -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9149A
KR20210049149A KR1020217008978A KR20217008978A KR20210049149A KR 20210049149 A KR20210049149 A KR 20210049149A KR 1020217008978 A KR1020217008978 A KR 1020217008978A KR 20217008978 A KR20217008978 A KR 20217008978A KR 20210049149 A KR20210049149 A KR 20210049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mass
less
wrinkles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8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키 이이다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49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1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노르보르난 구조를 함유하는 폴리머 (A) 및 헥사메틸디실록산 (B) 를 함유하는 외용제 조성물이다.

Description

외용제 조성물
본 발명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나이를 먹으면서 사람의 피부에는 주름이 많아진다. 이것은 피부의 노화 현상의 일부로, 피부 조직의 변화, 자외선을 받은 영향 등 복수의 인자에 좌우된다.
피부의 주름을 눈에 띄지 않게 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지만, 미용 성형에 의한 방법에서는 피부에 침습함으로써 형상 제어할 필요가 있었다. 피부의 주름을 비침습으로 개선하는 스킨 케어 상품도 알려져 있지만, 그 개선 효과는 매우 낮아, 주름의 고민을 가진 여성의 만족도는 얻어져 있지 않았다.
그래서, 비침습으로 피부의 형상을 제어하고, 효과적으로 주름을 개선할 수 있는 외용제 조성물이 요망되고 있다.
그런데, 화장막의 균일성이나 화장료의 유지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막 형성성 폴리머를 배합한 화장료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은, 소정 프락토 올리고당 지방산 에스테르, 휘발성 탄화수소, 및 유용성 피막 형성 수지를 배합한, 도포성 및 화장막의 균일성이 우수한 메이크업용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2 는, 폴리시클로올레핀 중합체의 골격에 소정 관능기를 도입한 막 형성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화장 유지나 감촉이 양호한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4776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7317호
본 발명은 노르보르난 구조를 함유하는 폴리머 (A) 및 헥사메틸디실록산 (B) 를 함유하는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주름 (팔자 주름) 의 주변부의 피부에 조성물을 면상 또는 띠상으로 도포한 형태의 일례이다.
도 2 는, 주름 (팔자 주름) 의 주변부의 피부에 조성물을 선상으로 도포한 형태의 일례이다.
도 3 은, 주름 (팔자 주름) 의 주변부의 피부에 조성물을 도트상으로 도포한 형태의 일례이다.
도 4 는, 실시예 1 의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 는, 비교예 2 의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외용제 조성물]
본 발명은, 노르보르난 구조를 함유하는 폴리머 (A) 및 헥사메틸디실록산 (B) 를 함유하는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당해 조성물을 적절히 「본 발명의 조성물」 이라고도 한다.
본 발명자는, 성분 (A) 및 성분 (B) 를 함유하는 외용제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비침습으로 피부의 형상을 제어하여, 피부의 주름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피부의 주름」 이란, 피부 표면에 나타나는 요철 및 주름을 의미한다. 피부의 주름은 입의 주위, 눈의 주위, 이마, 목 등에 나타나기 쉽다. 작은 주름이 소주름, 큰 주름이 대주름이고, 대주름은 팔자 주름, 뺨 등의 모공 흐름에서 발생한다.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에 의하면, 어느 주름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효과를 나타내고, 특히, 팔자 주름과 같은 대주름이어도 비침습으로 개선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성분 (A)>
본 발명의 조성물은, 노르보르난 구조를 함유하는 폴리머 (A) 를 함유한다. 성분 (A) 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주름 주변부의 피부에 도포하는 등 하여 적용하고, 이어서 건조시켰을 때에, 성분 (A) 를 포함하는 막이 수축하고, 이것과 함께 그 막에 밀착한 피부 표면이 수축한다. 이 작용에 의해, 주름을 발생시키고 있는 부분의 피부가 신장되기 때문에, 주름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성분 (A) 는 내굴곡성도 우수한 것으로부터, 성분 (A) 를 포함하는 막은 균열을 잘 일으키지 않고, 또한, 피부 형상에 추종한 상태로 수축하기 쉽다. 그 때문에, 성분 (A) 를 포함하는 막이 수축할 때에도, 그 막과 피부 표면의 충분한 밀착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노르보르난 구조란,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구조를 의미한다. 성분 (A) 는, 폴리머 중의 임의의 부위에 그 식으로 나타내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성분 (A) 는 분자 중에 상기 노르보르난 구조를 갖는 폴리머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전술한 작용 기구에 의해 피부의 주름을 신장시켜 눈에 띄지 않게 하여, 충분한 주름 개선 효과를 얻는 관점 (이하,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 라고도 한다) 으로부터, 성분 (A) 는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로는, 하기 일반식 (1) 또는 (2)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머를 들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 중, R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이상 12 이하의 알킬기이고, X 는 하기 식 (i) 로 나타내는 기이다. a 는 1 이상 3 이하의 정수이고, b 는 0 이상 2 이하의 정수이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식 중,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이상 12 이하의 탄화수소기이고, c 는 1 이상 5 이하의 정수이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식 중, R1, R2 및 b 는 상기와 동일하고, d 는 2 이상 5 이하의 정수이다.
상기 일반식 (1) 중, R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이상 12 이하의 알킬기이고,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 및 범용성의 관점에서,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부틸기, 또는 펜틸기가 바람직하고, 메틸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X 는 상기 식 (i) 로 나타내는 기이고, 식 (i) 중,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이상 12 이하의 탄화수소기이다.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의 관점 및 범용성의 관점에서, R2 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이상 12 이하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이상 12 이하의 아릴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이상 12 이하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이상 3 이하의 알킬기,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틸기이다. c 는 1 이상 5 이하의 정수이고, 범용성의 관점에서, c = 1 이 바람직하다. 즉 X 는, 바람직하게는 트리메틸실록시기이다.
a 는 1 이상 3 이하의 정수이고, 예를 들어 a = 2 의 반복 단위와 a = 3 의 반복 단위가 혼합하여 존재하는 중합체여도 된다. 범용성의 관점에서, a 는 3 인 것이 바람직하다. b 는 0 이상 2 이하의 정수이고, 동일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 1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0 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2) 중, R1, R2 및 b 는 상기와 동일하다. d 는 2 이상 5 이하의 정수이고, 범용성의 관점에서, d = 2 가 바람직하다. 일반식 (2) 에 있어서의 고리형 실리콘 구조는, 동일한 관점에서, R1 및 R2 가 메틸기이고, d 가 2 또는 3 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반식 (2) 에 있어서의 고리형 실리콘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4) 또는 (5) 로 나타내는 구조이다.
[화학식 5]
Figure pct00005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의 관점에서,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 중의 상기 일반식 (1) 또는 (2)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의 비율은, 그 폴리머 중의 전체 반복 단위수 중,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이다. 또한, 상한은 100 % 이고, 바람직하게는 9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이다.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 중의 상기 일반식 (1) 또는 (2)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수의 구체적 범위는, 그 폴리머 중의 전체 반복 단위수 중, 바람직하게는 10 ∼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95 %,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90 %,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70 % 이다.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는, 상기 일반식 (1) 또는 (2)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에 더하여, 하기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가져도 된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6
식 중, R3 ∼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이상 10 이하의, 알킬기, 알케닐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및 할로겐화탄화수소기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 또는, 옥세타닐기, 알콕시카르보닐기, 폴리옥시알킬렌기, 폴리글리세릴기, 또는 알콕시실릴기이다. R3 ∼ R6 으로부터 선택되는 2 개의 기는, 서로 결합하여 지환 구조, 방향 고리 구조, 카르보이미드기 또는 산 무수물기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b 는 상기와 동일하다.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 중의 상기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의 비율은,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의 관점에서 그 폴리머 중의 전체 반복 단위수 중, 바람직하게는 9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이다. 또한 상기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그 비율은, 그 폴리머 중의 전체 반복 단위수 중,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이다.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 중의 상기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수의 구체적 범위는, 그 폴리머 중의 전체 반복 단위수 중, 바람직하게는 5 ∼ 9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7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50 % 이다.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 중의 상기 일반식 (1) ∼ (3) 으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의 비율은, 1H-NMR 측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로는, 실리콘 변성 폴리노르보르넨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6) 으로 나타내는 실리콘 변성 폴리노르보르넨이다.
[화학식 7]
Figure pct00007
식 중, e, f 는 반복 단위수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다.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의 관점에서, 일반식 (6) 중의 e 와 f 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e/f = 20/80 ∼ 90/1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0/70 ∼ 80/2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50 ∼ 70/30 (㏖/㏖) 이다.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의 수평균 분자량 Mn 은, 수축성과 내굴곡성을 양립하는 관점 및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만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만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만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00 만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만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만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만 이하이다.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의 수평균 분자량 Mn 의 구체적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5 만 ∼ 200 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만 ∼ 150 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만 ∼ 80 만,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만 ∼ 60 만이다.
당해 폴리머의 수평균 분자량 Mn 은, 폴리스티렌을 표준 물질로 한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 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성분 (A) 는, 예를 들어, 노르보르난 구조를 함유하거나 또는 노르보르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고리형 올레핀 모노머를 공지된 방법으로 부가 중합시켜 얻어진다.
예를 들어 성분 (A) 가 상기 일반식 (1) 또는 (2)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갖는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이면, 하기 일반식 (1a) 또는 (2a) 로 나타내는 고리형 올레핀 모노머를 부가 중합시켜 얻을 수 있다. 또한, 하기 일반식 (3a) 로 나타내는 고리형 올레핀 모노머를 공중합시켜도 된다.
[화학식 8]
Figure pct00008
식 중, R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이상 12 이하의 알킬기이고, X 는 하기 식 (i) 로 나타내는 기이다. a 는 1 이상 3 이하의 정수이고, b 는 0 이상 2 이하의 정수이다.
[화학식 9]
Figure pct00009
식 중,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이상 12 이하의 탄화수소기이고, c 는 1 이상 5 이하의 정수이다.
[화학식 10]
Figure pct00010
식 중, R1, R2 및 b 는 상기와 동일하고, d 는 2 이상 5 이하의 정수이다.
[화학식 11]
Figure pct00011
식 중, R3 ∼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이상 10 이하의, 알킬기, 알케닐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및 할로겐화탄화수소기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 또는, 옥세타닐기, 알콕시카르보닐기, 폴리옥시알킬렌기, 폴리글리세릴기, 또는 알콕시실릴기이다. R3 ∼ R6 으로부터 선택되는 2 개의 기는, 서로 결합하여 지환 구조, 방향 고리 구조, 카르보이미드기 또는 산 무수물기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b 는 상기와 동일하다.
상기 일반식 (3a) 로 나타내는 고리형 올레핀 모노머를 공중합시키는 경우, 그 사용량은,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의 관점에서, 중합에 사용하는 전체 모노머를 100 몰% 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몰% 이하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5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몰% 이상이다.
상기 식 (6) 으로 나타내는 실리콘 변성 폴리노르보르넨은, 하기 식 (6a) 로 나타내는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노르보르넨과, 노르보르넨을 부가 중합시켜 얻을 수 있다.
[화학식 12]
Figure pct00012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의 관점에서,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노르보르넨과, 노르보르넨의 공중합비는, 바람직하게는 20/80 ∼ 90/1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0/70 ∼ 80/2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50 ∼ 70/30 (㏖/㏖) 이다.
또한, 상기 일반식 (1) ∼ (3), 및 상기 식 (6) 에 있어서 나타나는 반복 단위는, 모두 원료 모노머인 고리형 올레핀 모노머의 2,3-부가 구조 단위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그 고리형 올레핀 모노머의 부가 중합에 의한 2, 7-부가 구조 단위로 되어 있는 것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로는, 노르보르넨/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노르보르넨) 코폴리머가 바람직하고, INCI 명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제 16 판, 제 2 권, 2016 년, p. 2274) : NORBORNENE/TRIS(TRIMETHYLSILOXY)SILYLNORBORNENE COPOLYMER 로 표기되는 화합물이다.
시판되는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로는, 신에츠 화학 공업 (주) 제조 「NBN-30-ID」 (노르보르넨/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노르보르넨) 코폴리머의 이소도데칸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의 성분 (A) 의 함유량은,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이다. 또한, 조성물의 도포성, 처방의 자유도, 및 건조 후에 피부에 위화감을 주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조성물 중의 성분 (A) 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이다. 조성물 중의 성분 (A) 의 함유량의 구체적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0.1 ∼ 3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25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20 질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5 질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15 질량% 이다.
<성분 (B)>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를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 성분 (B) 로서 헥사메틸디실록산을 함유한다. 헥사메틸디실록산은 휘발성이 높은 것으로부터, 이것을 함유시키면, 성분 (A) 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건조 속도가 향상됨으로써 건조 과정에서의 성분 (A) 의 수축이 가속하여, 전술한 작용 기구에 의해 피부의 주름을 신장시켜 눈에 띄지 않게 하는 효과가 보다 향상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의 성분 (B) 의 함유량은,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를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질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상이고,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를 높이는 관점 및 처방의 자유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99.9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9.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9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7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하이다. 조성물 중의 성분 (B) 의 함유량의 구체적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1 ∼ 99.9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99.9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99.5 질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99.5 질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99.5 질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99.5 질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99 질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97 질량%,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 95 질량% 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성분 (B) 이외의 유제를 함유해도 된다. 성분 (B) 이외의 유제로는, 조성물의 건조 속도 향상의 관점에서, 탄화수소유 및 실리콘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이소도데칸, 메틸트리메티콘,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및, 25 ℃ 에 있어서의 동점도가 2 cSt 이하인 디메틸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이소도데칸 및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소도데칸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점도는, 예를 들어 우베로데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성분 (B) 이외의 유제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조성물 중,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이고, 하한은 0 질량% 이다.
<그 밖의 성분>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은 상기 성분 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화장료 등의 외용제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배합되는 그 밖의 성분을 적절히 함유해도 된다. 당해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계면 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비타민제, 방부제, pH 조정제, 향료, 식물 엑기스류, 보습제, 착색제, 냉감제, 제한제, 살균제, 피부 부활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의 형태는, 피부에 적용 가능한 형태이면 되고, 예를 들어 용액, 유액, 크림, 로션, 젤, 팩, 시트, 거품상 등의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 등 하여 적용하고, 이어서 그 조성물을 건조시킴으로써 성분 (A) 를 수축시켜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를 발휘하는 관점에서, 피부에 대한 적용시에 액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 에 있어서 액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 등 하여 적용하고, 이어서 그 조성물을 건조시키는 공정에서의 성분 (A) 의 수축을 가속시켜, 피부의 주름 개선 효과를 높이는 관점에서, 물의 함유량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 중의 물의 함유량으로는,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의 주름 개선용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피부의 주름 주변부에 도포하는 등 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술한 작용 기구에 의해 비침습으로 피부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고, 피부의 주름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피부의 주름 개선 방법도 제공할 수 있다.
당해 방법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의 주름 주변부에 적용하는 공정과, 이어서 그 조성물을 건조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 (A) 를 포함하는 막의 수축 작용에 의해 주름 주변부의 피부를 인장하여 신장시켜, 비침습으로 피부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피부의 주름 개선 방법은, 전술한 작용 기구에 의해 물리적으로 피부의 주름을 신장시켜 피부 표면의 요철 형상을 평탄화시키는 방법으로, 예를 들어, 외용제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여 피부 표면의 요철을 매립하거나, 광학적으로 주름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방법과는 상이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피부의 주름 주변부」 는, 주름의 내부, 즉 피부 표면의 오목부나 주름의 오목부와는 구별된다. 본 발명에서는 주름 주변부의 피부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함으로써, 그 조성물을 건조시켰을 때에 성분 (A) 를 포함하는 막의 수축과 함께 주름 주변부의 피부 표면이 수축하여, 주름을 발생시키고 있는 부분의 피부가 인장되어 주름이 눈에 띄지 않게 된다. 단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의 주름 주변부에만 한정하지 않고, 주름의 내부에도 적용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주름 주변부 중에서도, 상기 조성물을 적용하는 영역으로는, 주름의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름의 방향이란 주름이 뻗은 방향을 말한다. 주름의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에 상기 조성물을 적용함으로써, 주름을 발생시키고 있는 부분의 피부가 신장되어 주름이 눈에 띄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주름의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으로는, 주름의 방향을 따른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영역은 주름의 편측만이어도 되고, 양측이어도 된다. 특히, 주름을 사이에 둔 양측으로 상기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주름을 발생시키고 있는 부분의 피부를 주름의 양측으로부터 인장함으로써, 주름을 보다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주름의 방향을 따른 영역에 상기 조성물을 적용하는 형태로는, 예를 들어 당해 영역에 상기 조성물을 면상, 띠상, 선상 또는 도트상으로 도포하는 형태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형태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팔자 주름과 같이, 주름의 방향이 중력 방향에 대하여 병행이 아닌 경우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하는 영역 (주름의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이 주름의 상측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중력 방향」 이란, 사람이 직립하고 있는 경우에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상측」 이란, 상기 중력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적어도 주름의 상측의 영역에 상기 조성물을 적용함으로써, 주름을 일으키고 있는 부분의 피부를 상측으로 인장하여, 주름을 보다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와 동일한 관점에서, 주름의 방향이 중력 방향에 대하여 병행이 아닌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하는 영역이 주름을 사이에 둔 상측 및 하측의 영역이고, 또한, 주름의 상측의 영역이 주름의 하측의 영역보다 넓은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의 주름 주변부에 적용하는 형태의 일례를 도 1 ∼ 도 3 에 나타낸다.
도 1 은 주름 (팔자 주름) 의 주변부의 피부에 조성물을 면상 또는 띠상으로 도포한 형태로, 도 1(a) 는 주름의 상측의 영역, 도 1(b)(c) 는 주름을 사이에 둔 상측 및 하측의 영역에 각각 조성물을 도포한 것이다. 주름을 보다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관점에서는, 도 1(c) 와 같이, 조성물을 도포하는 영역이 주름을 사이에 둔 상측 및 하측의 영역이고, 또한, 주름의 상측의 영역이 주름의 하측의 영역보다 넓은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2(a)(b)(c) 는 주름 (팔자 주름) 의 주변부의 피부에 조성물을 선상으로 도포한 형태이고, 도 3(a)(b) 는 주름 (팔자 주름) 의 주변부의 피부에 조성물을 도트상으로 도포한 형태이다. 도 2,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성물을 선상 또는 도트상으로 도포하는 경우에도, 피부를 주름의 양측으로부터 균등하게 인장하는 관점에서, 주름을 사이에 둔 상측 및 하측의 영역에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경우의 사용량은, 주름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01 g 이상, 10 g 이하의 양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방법으로는, 그 조성물을 피부의 주름 주변부에 도포하는 등 하여 적용하는 공정과, 이어서 그 조성물을 건조시켜 상기 폴리머를 수축시키는 공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건조에 의해, 피부에 도포 등을 한 조성물 중의 성분 (A) 가 수축하고, 이 수축 작용으로 주름 주변부의 피부를 인장하여 신장시킴으로써 피부 표면의 요철 형상을 평탄화시키고, 나아가서는 주름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건조 후에는,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거해도 된다. 혹은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고, 이어서 건조시킨 후, 조성물을 제거하지 않고, 그 위로부터 화장을 실시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본 발명은 추가로 이하의 실시양태를 개시한다.
<1>
노르보르난 구조를 함유하는 폴리머 (A) 및 헥사메틸디실록산 (B) 를 함유하는 외용제 조성물.
<2>
노르보르난 구조를 함유하는 폴리머 (A) 의 함유량이 0.1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이고, 헥사메틸디실록산 (B) 의 함유량이 1 질량% 이상 99.9 질량% 이하인, <1> 에 기재된 외용제 조성물.
<3>
노르보르난 구조를 함유하는 폴리머 (A) 가 하기 식 (6) 으로 나타내는 실리콘 변성 폴리노르보르넨인, <1> 또는 <2> 에 기재된 외용제 조성물.
[화학식 13]
Figure pct00013
식 중, e, f 는 반복 단위수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다.
<4>
상기 식 (6) 중의 e 와 f 의 비율이, e/f = 20/80 ∼ 90/10 (㏖/㏖) 인, <3> 에 기재된 외용제 조성물.
<5>
성분 (A) 의 함유량이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인, <1> ∼ <4>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용제 조성물.
<6>
성분 (B) 의 함유량이 5 질량% 이상 99.5 질량% 이하인, <1> ∼ <5>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용제 조성물.
<7>
성분 (B) 의 함유량이 20 질량% 이상 99.5 질량% 이하인, <1> ∼ <6>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용제 조성물.
<8>
성분 (B) 의 함유량이 35 질량% 이상 99 질량% 이하인, <1> ∼ <7>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용제 조성물.
<9>
성분 (A) 의 함유량이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이 5 질량% 이상 99.5 질량% 이하인, <1> 또는 <2> 에 기재된 외용제 조성물.
<10>
성분 (A) 의 함유량이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이 20 질량% 이상 99.5 질량% 이하인, <1> 또는 <2> 에 기재된 외용제 조성물.
<11>
성분 (A) 의 함유량이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이 35 질량% 이상 99 질량% 이하인, <1> 또는 <2> 에 기재된 외용제 조성물.
<12>
성분 (A) 가 하기 식 (6) 으로 나타내는 실리콘 변성 폴리노르보르넨이고, 그 함유량이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이 5 질량% 이상 99.5 질량% 이하인, <1> 또는 <2> 에 기재된 외용제 조성물.
[화학식 14]
Figure pct00014
식 중, e, f 는 반복 단위수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다.
<13>
성분 (A) 가 하기 식 (6) 으로 나타내는 실리콘 변성 폴리노르보르넨이고, 그 함유량이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이 20 질량% 이상 99.5 질량% 이하인, <1> 또는 <2> 에 기재된 외용제 조성물.
[화학식 15]
Figure pct00015
식 중, e, f 는 반복 단위수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다.
<14>
성분 (A) 가 하기 식 (6) 으로 나타내는 실리콘 변성 폴리노르보르넨이고, 그 함유량이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이고, 성분 (B) 의 함유량이 35 질량% 이상 99 질량% 이하인, <1> 또는 <2> 에 기재된 외용제 조성물.
[화학식 16]
Figure pct00016
식 중, e, f 는 반복 단위수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다.
<15>
상기 식 (6) 중의 e 와 f 의 비율이, e/f = 20/80 ∼ 90/10 (㏖/㏖) 인, <12> ∼ <14>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용제 조성물.
<16>
피부의 주름 개선용 조성물인, <1> ∼ <15>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용제 조성물.
<17>
물의 함유량이 5 질량% 이하인, <1> ∼ <16>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용제 조성물.
<18>
<1> ∼ <17>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용제 조성물을 피부의 주름 주변부에 적용하는, 피부의 주름 개선 방법.
<19>
<1> ∼ <17>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용제 조성물을 피부의 주름 주변부에 적용하는 공정과, 이어서 그 조성물을 건조시키는 공정을 갖는, 피부의 주름 개선 방법.
<20>
상기 주름 주변부에 있어서 상기 외용제 조성물을 적용하는 영역이, 주름의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18> 또는 <19> 에 기재된 방법.
<21>
상기 영역이, 주름의 방향을 따른 영역인 <20> 에 기재된 방법.
<22>
상기 영역이, 주름을 사이에 둔 양측인 <20> 또는 <21> 에 기재된 방법.
<23>
상기 영역에 상기 외용제 조성물을 면상, 띠상, 선상 또는 도트상으로 도포하는 <20> ∼ <22>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24>
상기 주름 개선 방법이, 성분 (A) 의 수축 작용에 의해 주름 주변부의 피부를 인장하여 신장시켜, 비침습으로 피부의 형상을 제어하는 방법인, <18> ∼ <23>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25>
<1> ∼ <17> 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용제 조성물의, 피부의 주름 개선용 조성물로서의 사용.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의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종 측정 및 평가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수평균 분자량 Mn)
폴리머의 수평균 분자량은, 폴리스티렌을 표준 물질로 한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 법에 의해, 이하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장치 : HLC-8320GPC (토소 (주) 제조)
칼럼 : K-806L (Shodex 제조), 2 개 직렬
검출기 : RI
용리액 : 1 m㏖/ℓ-파민 DM20 (카오 (주) 제조)/CHCl3
유량 : 1.0 ㎖/분
칼럼 온도 : 40 ℃
(주름 개선 효과)
도 1(c) 의 형태로, 피험자의 얼굴의 절반면의 입가의 팔자 주름을 사이에 두도록 각 예의 조성물 0.2 g 을 손가락으로 도포하였다. 실온 (25 ℃) 에서 10 분 건조시킨 후, 전문 평가자가 하기 5 단계의 기준으로 주름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5 : 주름이 상당히 연해졌다
4 : 주름이 연해졌다
3 : 주름이 약간 연해졌다.
2 : 주름이 남고 별로 변하지 않았다
1 : 변화 없음
실시예 1 ∼ 9, 비교예 1 ∼ 2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 및 평가)
표 1 에 나타내는 전체 성분을 배합하여 디스퍼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표 1 에 나타내는 외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외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 방법으로 피부의 주름 개선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표 1 에 기재한 배합량은 각 성분의 유효 성분량 (질량%) 이다.
Figure pct00017
표 1 의 배합 성분은 하기이다.
*1 : 신에츠 화학 공업 (주) 제조 「NBN-30-ID」 (하기 식 (6) 에 있어서 e/f = 60/40 ㏖/㏖), Mn = 36 만의 노르보르넨/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노르보르넨) 코폴리머의 이소도데칸 용액, 유효분 농도 : 30 질량%) 를 50 ℃ 에서 12 시간 감압 건조시켜, 얻어진 고형분을 사용하였다.
[화학식 17]
Figure pct00018
*2 : 신에츠 화학 공업 (주) 제조 「KP-550」 (아크릴 폴리머와 디메틸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이소도데칸 용액, 유효분 농도 : 40 질량%) 을 50 ℃ 에서 12 시간 감압 건조시켜, 얻어진 고형분을 사용하였다.
*3 : 신에츠 화학 공업 (주) 제조, 「KF-96L-0.65cs」, 헥사메틸디실록산
*4 : 신에츠 화학 공업 (주) 제조, 「KF-995」,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주름 개선 효과에 대하여, 실시예 1 의 결과를 도 4, 비교예 2 의 결과를 도 5 에 나타낸다. 도 4(a) 및 도 5(a) 는 외용제 조성물을 적용하기 전의 팔자 주름 주변부의 사진이고, 도 4(b) 및 도 5(b) 는 외용제 조성물을 적용한 후의 팔자 주름 주변부의 사진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의 외용제 조성물을 적용했을 경우, 팔자 주름 및 그 주변부의 소주름이 눈에 띄지 않게 되어 있는 데에 반하여, 도 5 에 나타내는 비교예 2 에서는 개선 효과를 볼 수 없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에 의하면, 비침습으로 피부의 형상을 제어하여, 피부의 주름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Claims (9)

  1. 노르보르난 구조를 함유하는 폴리머 (A) 및 헥사메틸디실록산 (B) 를 함유하는 외용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 가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인 외용제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르보르난 구조 함유 실리콘 변성 폴리머가 하기 일반식 (1) 또는 (2)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머인 외용제 조성물.
    Figure pct00019

    식 중, R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이상 12 이하의 알킬기이고, X 는 하기 식 (i) 로 나타내는 기이다. a 는 1 이상 3 이하의 정수이고, b 는 0 이상 2 이하의 정수이다.
    Figure pct00020

    식 중,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이상 12 이하의 탄화수소기이고, c 는 1 이상 5 이하의 정수이다.
    Figure pct00021

    식 중, R1, R2 및 b 는 상기와 동일하고, d 는 2 이상 5 이하의 정수이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가 하기 식 (6) 으로 나타내는 실리콘 변성 폴리노르보르넨인 외용제 조성물.
    Figure pct00022

    식 중, e, f 는 반복 단위수이고,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 (6) 중의 e 와 f 의 비율이, e/f = 20/80 ∼ 90/10 (㏖/㏖) 인 외용제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 의 함유량이 0.1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인 외용제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B) 의 함유량이 1 질량% 이상 99.9 질량% 이하인 외용제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의 주름 개선용 조성물인 외용제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외용제 조성물의, 피부의 주름 개선용 조성물로서의 사용.
KR1020217008978A 2018-09-28 2019-09-26 외용제 조성물 KR202100491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18/036563 2018-09-28
JP2018036563 2018-09-28
PCT/JP2019/038003 WO2020067360A1 (ja) 2018-09-28 2019-09-26 外用剤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149A true KR20210049149A (ko) 2021-05-04

Family

ID=69949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8978A KR20210049149A (ko) 2018-09-28 2019-09-26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023191A1 (ko)
EP (1) EP3858327A4 (ko)
JP (1) JP7342015B2 (ko)
KR (1) KR20210049149A (ko)
CN (1) CN112752565A (ko)
TW (1) TWI825186B (ko)
WO (1) WO202006736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7761A (ja) 2007-03-29 2008-10-16 Kose Corp アイ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2012017317A (ja) 2010-06-08 2012-01-26 Shin-Etsu Chemical Co Ltd 皮膜形成性重合体を含む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33A (ja) * 1990-03-19 1993-01-08 Ken Prod Kk しわ伸ばし化粧用液状組成物
US6512072B1 (en) * 2000-06-12 2003-01-28 Dow Corning Corporation Fast cure film forming formulation
JP2002322042A (ja) * 2001-04-25 2002-11-08 Pola Chem Ind Inc ポリノルボルネン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5353043B2 (ja) * 2008-04-11 2013-11-2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環状オレフィン付加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993508B2 (ja) * 2008-07-16 2012-08-0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皮膜形成性重合体を含む化粧料
JP2010174099A (ja) * 2009-01-28 2010-08-12 Shin-Etsu Chemical Co Ltd 環状オレフィン付加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26263A (ja) * 2009-07-28 2011-02-10 Shin-Etsu Chemical Co Ltd シリコーン変性ワックス含有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含む化粧料
JP6647102B2 (ja) * 2015-03-30 2020-02-14 株式会社コーセー 固形化粧料
JP6692703B2 (ja) * 2016-06-10 2020-05-13 株式会社 資生堂 制汗又はデオドラント化粧料
JP6809255B2 (ja) * 2017-01-30 2021-01-0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油中水型化粧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7761A (ja) 2007-03-29 2008-10-16 Kose Corp アイ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2012017317A (ja) 2010-06-08 2012-01-26 Shin-Etsu Chemical Co Ltd 皮膜形成性重合体を含む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27721A (zh) 2020-08-01
TWI825186B (zh) 2023-12-11
CN112752565A (zh) 2021-05-04
WO2020067360A1 (ja) 2020-04-02
JPWO2020067360A1 (ja) 2021-09-02
EP3858327A4 (en) 2022-07-20
US20220023191A1 (en) 2022-01-27
EP3858327A1 (en) 2021-08-04
JP7342015B2 (ja) 202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5709B2 (ja) アクリラート架橋されたシリコーン共重合体の網目
KR101005468B1 (ko) 수중유형 유화 모발 화장료
EP2027188B1 (en) Cosmetic compositions utilizing acrylate cross linked silicone copolymer networks
JP5259969B2 (ja) 凹凸補正化粧料
KR20210049149A (ko) 외용제 조성물
KR102522752B1 (ko) 피부의 주름 개선 방법
US20240156692A1 (en) Oil-in-water composition for second agent for coating-type body corrective film formation agent
JP7366044B2 (ja) 皮膚のシワ改善方法
TWI838407B (zh) 皮膚之皺紋改善方法
JP7426821B2 (ja) 皮膚外用剤組成物
KR20190066563A (ko)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KR20220104803A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21200353A1 (ja) 皮膚外用剤組成物
WO2021132032A1 (ja) 皮膚外用剤組成物
JP3933821B2 (ja) 毛髪化粧料
JP2004091377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6395448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101217636B1 (ko) 린스 정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