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6583A - 의료 환경에 사용하기 위한 텍스타일의 내구성 항균 처리 - Google Patents

의료 환경에 사용하기 위한 텍스타일의 내구성 항균 처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6583A
KR20210046583A KR1020207032053A KR20207032053A KR20210046583A KR 20210046583 A KR20210046583 A KR 20210046583A KR 1020207032053 A KR1020207032053 A KR 1020207032053A KR 20207032053 A KR20207032053 A KR 20207032053A KR 20210046583 A KR20210046583 A KR 20210046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ile
antibacterial
laundry
article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2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니즈 소 빅 찬
지아치 치우
치 와이 칸
김 헝 람
와이 한 람
카 푸 융
존슨 이유-남 라우
Original Assignee
아발론 폴리밀스 (에이치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발론 폴리밀스 (에이치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아발론 폴리밀스 (에이치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46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01N25/10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nitrogen compounds
    • A01N33/02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01N33/12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a double or triple bond to nitrogen, e.g. cyanates, cyanamides
    • A01N47/4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a double or triple bond to nitrogen, e.g. cyanates, cyanamides containing —N=CX2 groups, e.g. isothiourea
    • A01N47/44Guanidin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1/00Disinfectants; Antimicrobial compounds or mixtur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4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8Organic compounds
    • D06M10/10Macromolecular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325Amines
    • D06M13/342Amino-carboxylic acids; Betaines; Aminosulfonic acids; Sulfo-beta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46Compounds containing quaternary nitrogen atoms
    • D06M13/463Compounds containing quaternary nitrogen atoms derived from monoam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46Compounds containing quaternary nitrogen atoms
    • D06M13/47Compounds containing quaternary nitrogen atoms derived from heterocyclic compounds
    • D06M13/477Compounds containing quaternary nitrogen atoms derived from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ix-membered heterocyclic r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8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 D06M15/33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of vinyl acetate; Polyvinylalcoh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5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other 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sulfur, silicon or phosphorus atoms
    • D06M15/356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other 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sulfur, silicon or phosphorus atoms containing nitroge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3Polyeth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9Polyamides; Polyimi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1Polyamines polyim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6/00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6/00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 D06M16/006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with wool-protecting agents; with anti-moth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02Natural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04Vegetal fibres
    • D06M2101/06Vegetal fibres cellulos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50Modified hand or grip properties; Softening compositio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525Coating or impregnation functions biologically [e.g., insect repellent, antiseptic, insecticide, bactericide,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Abstract

내구성의 항균 특성을 갖는 셀룰로스 섬유 및 비-셀룰로스 섬유를 제공하는 조성물 및 방법이 설명된다.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결합제를 포함하는 코팅의 직물에의 적용 후 건조 및 경화는 공격적인 병원 세탁 조건에서 100회 초과의 세탁을 통해서도 유지되는 항균 특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처리된 직물의 촉감 특성과 인열 저항이 유지되거나 개선된다.

Description

의료 환경에 사용하기 위한 텍스타일의 내구성 항균 처리
본 출원은 2018년 4월 6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2/654,193의 이익을 주장한다. 이들 및 기타 모든 참조된 외부 자료는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참고로 포함된 참조에서 용어의 정의 또는 사용이 본원에 제공된 해당 용어의 정의와 일치하지 않거나 반대되는 경우, 본원에 제공된 해당 용어의 정의가 우선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의 분야는 내구성의 항균 특성을 갖는 텍스타일이다.
배경
다음 설명은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유용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원에 제공된 임의의 정보가 선행 기술이거나 현재 청구된 발명과 관련이 있거나 구체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참조된 임의의 출판물이 선행 기술이라는 것을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
배경 설명은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유용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원에 제공된 임의의 정보가 선행 기술이거나 현재 청구된 발명과 관련이 있거나 구체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참조된 임의의 출판물이 선행 기술이라는 것을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 세계적으로 매년 수억명의 환자가 의료 서비스를 받는 동안 의료 관련 감염(HAI)에 감염되어 의료 시스템에 상당한 사망과 재정적 손실을 초래한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임의의 주어진 시점에서 입원 환자 100명당 선진국 7명 및 개발 도상국 10명은 적어도 하나의 HAI를 얻게될 것이다. HAI로 인한 연간 재정 손실 또한 상당하며, 직접 비용만 포함하고, 추가 입원일 1600만일을 반영하여 유럽에서는 약 70억 유로 및 미국에서는 약 65억 US 달러로 추정된다(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Report on the burden of endemic health care-associated infection worldwide. Geneva: WHO; 2011). 본원의 모든 간행물은 각각의 개별 간행물 또는 특허 출원이 참조로 포함되는 것으로 구체적이고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것과 동일한 정도로 참조로 포함된다. 통합된 참조에서 용어의 정의 또는 사용이 본원에 제공된 해당 용어의 정의와 일치하지 않거나 반대되는 경우, 본원에 제공된 해당 용어의 정의가 적용되고 참조에서 해당 용어의 정의가 적용되지 않는다.
텍스타일 및 의류는 의료 분야의 감염성 미생물에 자주 노출되므로 병원성 미생물을 운반할 수 있어, HAI의 위험이 증가한다(Mitchell A, Spencer, M, Edmiston, C. Role of healthcare apparel and other healthcare textiles in the transmission of pathogens: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2015;90:285-292).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그람-양성 박테리아) 및 클렙시엘라 뉴모니애(Klebsiella pneumoniae)(그람-음성 박테리아)는 병원 및 외과적 감염을 초래하는 일반적인 병원균이다.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A)는 특히,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서 종기, 피부 감염, 폐렴 및 수막염을 초래할 수 있다. 클렙시엘라 뉴모니애(KP)는 폐렴, 패혈증 및 요로 감염의 주요 원인이다(Prescott LM, Harley JP, Klein DA. Microbiology (5th ed.). Boston: McGraw-Hill; 2002; Singleton, P. Bacteria in biology, biotechnology, and medicine (3rd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1995).
병원 및 의료 환경에서 사용되는 텍스타일에 항균 기능을 제공하면 HAI 병원균의 확산을 잠재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이것은 환자, 일선 의료 종사자 및 의료 제공자에게 큰 혜택을 준다. 병원의 의류 및 텍스타일 제품에 사용되는 직물 제품 중 면직물(셀룰로스가 주요 성분임)은 이들의 유연성, 착용감, 흡수성 및 통기성으로 인해 시장 점유율을 주도한다.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PHMB)는 셀룰로스 텍스타일에 항균 기능을 부여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양이온성 비구아니드-기반 살생물 중합체이다(Zhao T, Chen Q. Halogenated phenols and polybiguanides as antimicrobial textile finishes. Antimicrobial Textiles. 2016:141-153; Simoncic B, Tomsic B. Structures of novel antimicrobial agents for textiles - A review. Textile Research Journal. 2008; 80:1721-1737). PHMB로 처리된 직물이 박테리아와 접촉하면 양으로 하전된 비구아니드 그룹이 음으로 하전된 박테리아 세포 표면과 상호작용하여, 막 구조의 유동성과 투과성을 증가시킨다. 이는 외막으로부터 세포내 물질의 누출이 발생되게 하고, 결국 미생물이 치사하게 된다(McDonnell G, Russell AD. Antiseptics and disinfectants: activity, action, and resistance. Clinical Microbiology Reviews. 1999;12:147-179).
2001년에 PHMB 처리된 면직물의 항균 효율이 다양한 세탁주기 후에 테스트되었다(Wallace M. Testing the efficacy of polyhexamethylene biguanide as an antimicrobial treatment for cotton fabric. AATCC Review. 2001;1:18-20). 결과는 PHMB가 10회 초과의 세탁 주기 후에도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를 98%까지 감소시켰고 5회 세탁 주기 후에도 클렙시엘라 뉴모니애를 99% 초과로 감소시켰음을 보여준다. PHMB 처리된 면 혼방 직물은 25번의 통상적인 세탁 주기 후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의 99% 초과 및 클렙시엘라 뉴모니애의 약 94%의 감소를 지속적으로 나타내었음이 또한 보고되었다(Chen-Yu JH, Eberhardt DM, Kincade DH. Antibacterial and laundering properties of AMS and PHMB as finishing agents on fabric for health care workers’ uniform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2007;25:258-272). 그러나, 병원에서 수행되는 세탁은 일반적으로 공격적이며 적절한 수준의 위생을 제공하기 위해 기존 세탁보다 더욱 엄격한 조건(예를 들어, 더 높은 온도)에서 수행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Sehulster LM, Chinn RYW, Arduino MJ, Carpenter J, Donlan R, Ashford D, Besser R, Fields B, McNeil MM, Whitney C, Wong S, Juranek D, Cleveland J. Guidelines for environmental infection control in health-care facilities. Recommendations from CDC and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HICPAC). American Society for Healthcare Engineering/American Hospital Association: Chicago, IL, USA, 2004; Fijan S,
Figure pct00001
ostar-Turk S, Cenci
Figure pct00002
A. Implementing hygiene monitoring systems in hospital laundries in order to reduce microbial contamination of hospital textiles.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2005;61:30-38).
반복되는 공격적인 세탁으로 처리된 항균 기능의 세탁 내구성은 현재의 PHMB-처리 항균 텍스타일에서 문제가 된다. 불행히도 통상적인 방법으로 적용된 PHMB는 결국 세탁에 의해 제거되어 항균 효과가 감소한다(Abdullah I, Gilani S, Mubeen F. Effect of repeated laundering on durability and bactericidal activity of some antibacterial finishes. Pakistan Journa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Series A: Physical Sciences. 2014;57:47-52).
따라서, 표면-결합된 병원성 미생물을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하게 제거하기 위해 반복되는 공격적 세탁시 효과적이며 내구성의 항균 활성을 제공하는 직물에 대한 처리가 여전히 필요하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주제는 적어도 104회의 공격적인 세탁 주기 동안 항균 특성을 유지하는 내구성의 항균 물질을 제공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하다. 이러한 물질에는 종이, 티슈, 드레싱 및/또는 텍스타일과 같은 셀룰로스 제품뿐만 아니라 합성 중합체로 만든 종이, 티슈, 드레싱 및/또는 텍스타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주제의 한 구현예는 의료 및 병원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세탁-내구성 항균 텍스타일 및/또는 텍스타일 기재이다. 이러한 항균 및/또는 텍스타일 기재는 양이온성 살생물제(예를 들어,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PHMB), 폴리아미노프로필 비구아니드(PAPB), 4차 암모늄 염, 벤즈알코늄 염, 클로르헥시딘 염, 세틸피리디늄 염 및/또는 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 친수성 생체적합성 중합체(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2-옥사졸린),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 알콜)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의 항균 조성물, 및 일부 구현예에서, 결합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텍스타일 및/또는 텍스타일 기재는 셀룰로스 또는 합성 중합체 섬유를 포함할 수 있거나, 셀룰로스와 합성 중합체 섬유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친수성 생체적합성 중합체는 항균성 효과를 제공할뿐만 아니라 항균성 조성물의 텍스타일 기재로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선택된다. 적합한 결합제는 양이온성 살생물제, 친수성 생체적합성 중합체 및/또는 텍스타일 기재에 대한 공유 화학 결합과 양립가능한 작용기를 포함한다. 항균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는 텍스타일 기재에 화학적으로 결합되며, 생성된 항균 텍스타일은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및 항진균 특성을 나타낸다. 항박테리아 특성은 약물-민감성 및 약물-내성 박테리아에 대해 효과적인 반면, 항바이러스 특성은 외피 바이러스(예를 들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해 효과적이다. 항균 특성은 위생 세탁(예를 들어, 세제 및 산소-기반 살균제로 10분 동안 65℃에서 교반하거나 세제로 5분 동안 75℃에서 교반)을 위한 병원 프로토콜에 따라 적어도 104회 세탁 주기를 수행한 후에도 유지된다. 유사하게는,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및 항진균 특성은 고온 또는 건조 프레싱 후에도 유지된다. 이러한 항균 텍스타일에서 항균 조성물은 5% 내지 15% v/v의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 5% 내지 10% v/v의 300 달톤 내지 1000 달톤 분자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3% 내지 8% v/v의 결합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항균 조성물은 예를 들어, 패드-건조-경화 방법을 이용하여 텍스타일 기재 상에서 코팅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패드-경화-건조 방법에서, 항균 조성물은 70% 내지 80%의 웨트 픽업이 달성될 때 까지 주위 온도에서 딥핑하고 패딩한 후, 약 90℃에서 1 내지 10분 동안 건조시키고, 약 120℃ 내지 약 140℃에서 약 30초 내지 1분 동안 경화시킴으로써 텍스타일 기재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패드-경화-건조 공정은 산업적 규모에서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항균 텍스타일의 인열 강도는 텍스타일 기재에 비해 증가하는 반면, 탄성, 연성 및 평활성을 포함하는 촉감 특성은 엄격한 병원 세탁 조건하에서 적어도 50회 세탁 주기 후에도 유지된다.
본 발명의 개념의 또 다른 구현예는 세탁-내구성 항균 텍스타일 및/또는 텍스타일 기재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이는 텍스타일 또는 텍스타일 기재를 수득하고, 텍스타일 및/또는 텍스타일 기재를 항균 조성물(이는 양이온성 살생물제, 친수성 생체적합성 중합체 및 결합제를 포함함)과 접촉시키고, 항균 조성물이 건조되게 하여 처리된 텍스타일 기재를 생성시키고, 처리된 텍스타일 기재를 경화시킴으로써 달성된다. 텍스타일 기재는 셀룰로스 또는 합성 중합체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친수성 생체적합성 중합체는 항균성 효과를 제공할뿐만 아니라 항균성 조성물의 텍스타일 기재로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선택된다. 적합한 결합제는 양이온성 살생물제, 친수성 생체적합성 중합체 및/또는 텍스타일 기재에 대한 공유 화학 결합과 양립가능한 작용기를 포함한다. 항균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는 텍스타일 기재에 화학적으로 결합되며, 생성된 항균 텍스타일은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및 항진균 특성을 나타낸다. 항박테리아 특성은 약물-민감성에 대해 효과적인 반면, 항바이러스 특성은 외피 바이러스(예를 들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해 효과적이다. 항균 특성은 위생 세탁(예를 들어, 세제 및 산소-기반 살균제로 10분 동안 65℃에서 교반하거나 세제로 5분 동안 75℃에서 교반)을 위한 병원 프로토콜에 따라 적어도 104회 세탁을 수행한 후에도 유지된다. 유사하게는,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및 항진균 특성은 고온 또는 건조 프레싱 후에도 유지된다. 이러한 항균 텍스타일에서 항균 조성물은 5% 내지 15% v/v의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 5% 내지 10% v/v의 300 달톤 내지 1000 달톤 분자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3% 내지 8% v/v의 결합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항균 조성물은 예를 들어, 패드-건조-경화 방법을 이용하여 텍스타일 기재 상에서 코팅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패드-경화-건조 방법에서, 항균 조성물은 70% 내지 80%의 웨트 픽업이 달성될 때 까지 주위 온도에서 딥핑하고 패딩한 후, 약 90℃에서 1 내지 10분 동안 건조시키고, 약 120℃ 내지 약 140℃에서 약 30초 내지 1분 동안 경화시킴으로써 텍스타일 기재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패드-경화-건조 공정은 산업적 규모에서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항균 텍스타일의 인열 강도는 텍스타일 기재에 비해 증가하는 반면, 탄성, 연성 및 평활성을 포함하는 촉감 특성은 엄격한 병원 세탁 조건하에서 적어도 50회 세탁 주기 후에도 유지된다.
본 발명의 개념의 또 다른 구현예는 항균성을 갖는 의류 물품이다. 이러한 의류 물품은 항균 조성물(예를 들어, 양이온성 살생물제, 친수성 생체적합성 중합체 및 결합제)로 코팅된 셀룰로스 또는 합성 중합체 섬유를 포함하는 텍스타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조된다. 항균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는 텍스타일에 화학적으로 결합되며, 의류의 생성 물품은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및 항진균 특성을 나타낸다. 적합한 의류 물품에는 신발, 슬리퍼, 스타킹, 속옷, 천 기저귀, 손 보호대, 바지, 드레스, 스커트, 셔츠, 실험실 또는 의료 종사자의 코트, 파자마, 모자, 머리 스카프 및/또는 장갑이 포함된다. 이러한 의류 물품은 의류 물품이 항균성을 가짐을 의미하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텍스타일은 셀룰로스 또는 합성 중합체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친수성 생체적합성 중합체는 항균성 효과를 제공할뿐만 아니라 텍스타일 기재로의 항균성 조성물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선택된다. 적합한 결합제는 양이온성 살생물제, 친수성 생체적합성 중합체 및/또는 텍스타일 기재에 대한 공유 화학 결합과 양립가능한 작용기를 포함한다. 항균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는 텍스타일에 화학적으로 결합되며, 의류의 생성 항균 물품은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및 항진균 특성을 나타낸다. 항박테리아 특성은 약물-민감성에 대해 효과적인 반면, 항바이러스 특성은 외피 바이러스(예를 들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해 효과적이다. 항균 특성은 위생 세탁(예를 들어, 세제 및 산소-기반 살균제로 10분 동안 65℃에서 교반하거나 세제로 5분 동안 75℃에서 교반)을 위한 병원 프로토콜에 따라 적어도 104회 세탁 주기를 수행한 후에도 유지된다. 유사하게는,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및 항진균 특성은 고온 또는 건조 프레싱 후에도 유지된다. 항균 조성물은 5% 내지 15% v/v의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 5% 내지 10% v/v의 300 달톤 내지 1000 달톤 분자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3% 내지 8% v/v의 결합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항균 조성물은 예를 들어, 패드-건조-경화 방법을 이용하여 텍스타일 상에 코팅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패드-경화-건조 방법에서, 항균 조성물은 70% 내지 80%의 웨트 픽업이 달성될 때 까지 주위 온도에서 딥핑하고 패딩한 후, 약 90℃에서 1 내지 10분 동안 건조시키고, 약 120℃ 내지 약 140℃에서 약 30초 내지 1분 동안 경화시킴으로써 텍스타일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제의 다양한 목적, 특징, 양태 및 장점은 유사한 번호가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과 함께 바람직한 구현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도 1은 셀룰로스 및/또는 합성 중합체 섬유를 갖는 물질 상에 본 발명의 개념의 항균 코팅 조성물을 적용하여 내구성의 향균 물질을 생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공정을 개략적으로 묘사한다.
상세한 설명
다음 설명은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유용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원에 제공된 임의의 정보가 선행 기술이거나 현재 청구된 발명과 관련이 있거나 구체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참조된 임의의 간행물이 선행 기술이라는 것을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주제는 내구성의 항균 특성을 부여하고 의료 및 병원 환경에서 광범위하게 사용하기에 적합한 텍스타일에 대한 처리를 제공하는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한다. 적합한 조성물은 양이온성 살생물제(예컨대,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PHMB), 폴리아미노프로필 비구아니드(PAPB), 4차 암모늄 염, 벤즈알코늄 염, 클로르헥시딘 염, 세틸피리디늄 염 및/또는 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 및 친수성의 생체적합성 중합체(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2-옥사졸린),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 알콜)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놀랍게도 조합적으로 여러 항균 메커니즘에 의해 약물-내성 박테리아 및 외피 바이러스를 포함한 광범위한 병원체를 제거하는 고도로 내구성인 직물 처리를 제공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조성물 및 처리는 또한 처리된 텍스타일의 인열 강도, 탄성, 연성 및 평활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예기치 않게 발견되었다. 이러한 개선은 엄격한 병원 조건에서 수행되는 여러 번(예를 들어, 50회 이상)의 세탁을 통해서도 지속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결합제는 패드-건조-경화 공정을 통해 다양한 셀룰로스 물질에 적용하기 위해 포함된다. 놀랍게도, 이러한 조성물로 처리된 텍스타일의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및 항진균 특성은 엄격한 병원 세탁 조건 하에서 104회 주기의 공격적인 세탁 후에도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항균 텍스타일의 인열 강도, 탄성, 연성 및 평활성이 개선(예를 들어, 증가)되거나 유지된다.
본 발명의 주제의 다양한 목적, 특징, 측면 및 장점은 다음의 바람직한 구현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를 기술하고 청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성분, 특성 예컨대, 농도, 반응 조건 등의 양을 표현하는 숫자는 용어 "약"에 의해 일부 경우에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기재된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제시된 수치 파라미터는 특정 구현예에 의해 수득하고자 하는 요망되는 특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근사치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수치 파라미터는 보고된 유효 자릿수에 비추어 일반적인 반올림 기법을 적용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의 넓은 범위를 제시하는 수치 범위 및 파라미터가 근사치임에도 불구하고, 특정 실시예에 제시된 수치 값은 실행가능한 한 정확하게 보고된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서 제시된 수치 값은 각각의 테스트 측정에서 발견된 표준 편차로부터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특정 오류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설명 및 후속 청구범위 전체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a", "an" 및 "the")의 의미는 문맥이 달리 명확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대상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의 설명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에서(in)"의 의미는 문맥상 명백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안에서(in)" 및 "상에서(on)"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값의 범위를 언급하는 것은 단지 범위 내에 속하는 각각의 개별 값을 개별적으로 언급하는 것의 속기 방법으로 이용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본원에서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각각의 개별 값은 본원에서 개별적으로 언급된 것처럼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원에 설명된 모든 방법은 본원에서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상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원의 특정 구현예와 관련하여 제공된 임의의 및 모든 예 또는 예시적인 언어(예를 들어, "예컨대")의 사용은 단지 본 발명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달리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명세서의 어떠한 언어도 본 발명의 실행에 필수적인 임의의 비-청구된 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원에 개시된 본 발명의 대안적인 요소 또는 구현예의 그룹은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각 그룹 구성원은 개별적으로 또는 군의 다른 구성원 또는 본원에서 발견된 다른 요소와의 임의의 조합으로 언급되고 청구될 수 있다. 군의 하나 이상의 구성원은 편의성 및/또는 특허성의 이유로 군에 포함되거나 군으로부터 삭제될 수 있다. 임의의 이러한 포함 또는 삭제가 발생하면, 명세서는 본원에서 수정된 군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사용된 모든 마커쉬 군의 서면 설명을 충족한다.
개시된 기술은 특히 병원 또는 다른 임상 환경에서 병원성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의 전염을 감소시켜 환자 결과를 개선할 수 있는 텍스타일 및 다른 셀룰로스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많은 유리한 기술적 효과를 제공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음 논의는 본 발명의 주제의 많은 예시적인 구현예를 제공한다. 각 구현예는 발명의 요소의 단일 조합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 주제는 개시된 요소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한 구현예가 요소 A, B 및 C를 포함하고 제2 구현예가 요소 B 및 D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주제는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더라도 A, B, C 또는 D의 다른 나머지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또한 간주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문맥 상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에 결합된"이라는 용어는 직접 결합(서로 결합된 두 요소가 서로 접촉함) 및 간접 결합(적어도 하나의 추가 요소가 두 요소 사이에 위치함) 둘 모두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에 결합된" 및 "와 결합된"이라는 용어는 동의어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주제의 조성물은 병원 세탁 조건 하에서 반복 세탁에 적합한 항균 텍스타일을 제공하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조성물은 합성 중합체 및 합성 중합체와 셀룰로스 물질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된 텍스타일뿐만 아니라 셀룰로스 텍스타일 및 다른 셀룰로스 물질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텍스타일은 필터, 와이프, 흡수 패드, 상처 드레싱, 의류 물품, 침구류, 수건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의 한 구현예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EG)과 조합된 용액 중의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PHMB)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이다. PHMB는 1% 내지 99%, 5% 내지 90%, 10% 내지 70%, 약 10%, 약 20%, 약 30%, 약 40% 및/또는 약 50% 미만 (w/v) 범위의 농도로 존재할 수 있다. 사용되는 PEG는 약 300 내지 약 10,000 달톤 범위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적합한 용매는 수성 용매(예를 들어, 물, 완충된 수용액), 적합한 유기 용매(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아세톤, DMSO, 기타 수혼화성 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코팅 조성물은 수용액 중 약 300 달톤 내지 약 1,000 달톤의 분자량을 갖는 PEG(예를 들어, PEG 300 - PEG 1000) 및 약 20% w/v의 PHMB를 포함한다.
이러한 향균 코팅 조성물은 결합제 또는 결합제 화합물(예를 들어, 폴리아민, 폴리아크릴레이트 및/또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임의의 적합한 공정에 의해 다양한 셀룰로스, 합성 중합체 또는 혼합된 셀룰로스/합성 중합체 물질 상에 적용될 수 있다. 적합한 공정은 셀룰로스 물질 상에의 코팅 액체의 분무, 침지 및 패딩을 포함한다. 코팅 조성물의 적용은 항균성 코팅을 형성하기 위해 건조(예를 들어, 주변 또는 상승된 온도에서)가 이어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러한 건조 단계는 건조 단계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는 경화 단계가 뒤따를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코팅 조성물은 패드-건조-경화 공정을 사용하여 적용된다.
본 발명의 개념의 패드 전사-건조-경화 공정의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적합한 직물 또는 섬유 물질(예를 들어, 셀룰로스 및/또는 합성 중합체 섬유를 함유하는 물질)은 패드 전사에 의해 본 발명의 개념의 항균 코팅 조성물로 코팅될 수 있다. 적절한 수준의 코팅 포화가 달성되면(예를 들어, 약 70% 내지 80%), 물질을 건조한다. 건조는 주변(즉, 실온) 온도 또는 상승된 온도(예를 들어, 약 90℃)에서 달성될 수 있다. 건조는 일반적으로 약 1분에서 약 10분에 완료된다. 그 후, 건조된 물질은 증가된 온도(예를 들어, 약 120℃ 내지 약 140℃)에의 노출에 의해 경화되어 본 발명의 개념의 내구성의 항균 물질을 제공한다. 경화 공정은 일반적으로 약 30초 내지 약 1분이 소요된다.
코팅 조성물의 적용에 의해 수득된 처리된 직물은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및/또는 항진균 특성을 갖는다. 본원에 제공된 항균 조성물의 막-표적화 메커니즘(들)은 약물-내성 박테리아 및 외피 바이러스(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포함)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병원체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더욱 중요하고 놀랍게는, 이러한 특성은 엄격한 병원 세탁 조건 하에서 적어도 104회 주기의 가속화된 세탁을 거쳐서도 유지된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각 주기는 약 5회 가정용 또는 통상적인 상업적 세탁과 동등함을 이해해야 한다. 놀랍게도, 인열 강도와 같은 기계적 특성은 해당 처리되지 않은 직물에 비해 개선되는 반면, 처리된 직물의 탄성, 연성 및 평활성과 같은 촉감 특성은 엄격한 병원 조건에서 약 50회 이상 세탁한 후에도 유지된다.
이러한 내구성의 항균 텍스타일은 의료 및 병원 환경, 및 위생 관리가 가장 중요한 기타 환경 예컨대, 호텔/리조트, 유람선, 탁아 시설, 학교, 보드 및 요양 시설, 재활 시설, 체육관, 교도소 및/또는 전염이 중요한 관심사인 모든 곳에서 널리 사용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임의의 셀룰로스 직물, 예컨대 면직물 또는 셀룰로스 물질, 예컨대 종이가 기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직물은 편물, 직조 또는 부직포일 수 있다. 적합한 항균 코팅 조성물은 약 5% 내지 15% v/v의 PHMB(이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의 20% w/v 용액으로서), 5% 내지 10% v/v의 평균 분자량이 300 내지 1000 달톤 범위인 PEG, 및 3% 내지 8% v/v의 결합제 용액을 포함할 수 있는 수용액이다. 적합한 결합제는 폴리아민, 폴리아크릴레이트 및/또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이러한 코팅 조성물은 "패드-건조-경화" 방법을 사용하여 셀룰로스 직물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룰로스 직물은 약 70% 내지 80%의 웨트 픽업이 달성될 때까지 실온에서 본 발명의 개념의 코팅 조성물에 침지될 수 있고/거나 이로 패딩될 수 있다. 그 후, 처리된 직물은 주변 온도 또는 약 90℃에서 약 1 내지 10분 동안 건조될 수 있으며, 이어서 약 120℃ 내지 약 140℃에서 약 30초 내지 약 1분 동안 경화될 수 있다.
비-셀룰로스 또는 중합체 직물이 또한 본 발명의 개념의 조성물 및 방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및/또는 플루오로에틸렌 중합체로부터 제조되거나 이를 포함하는 텍스타일 및/또는 표면이 적합한 기재일 수 있다. 셀룰로스 및 중합체 섬유 둘 모두를 모두 포함하는 혼합 직물 또는 물질은 또한 본 발명의 개념의 조성물 및 방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개념의 항균 조성물은 주위 온도에서 패딩한 후 약 1 내지 10분 동안 약 90℃에서 건조함으로써 이러한 중합체 직물에 적용될 수 있다.
PHMB는 높은 치료 지수로 박테리아, 진균, 기생충 및 특정 바이러스를 치사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Muller G, Kramer, A. Biocompatibility index of antiseptic agents by parallel assessment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cellular cytotoxicity. Journal of Antimicrobial Chemotherapy. 2008;61: 1281-1287). PHMB의 양으로 하전된 비구아니드 그룹과 음으로 하전된 박테리아 세포 표면 사이의 정전기적 끌림은 박테리아 세포벽의 파괴를 일으켜 세포 사멸을 초래한다. 또한, PEG 400, 600 및 1000은 다양한 병원성 박테리아, 예컨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및 클렙시엘라 뉴모니애에 대한 현저한 항박테리아 활성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Chirife J, Herszage L, Joseph A, Bozzini JP, Leardini N, Kohn ES.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y of concentrated polyethylene glycol 400 solutions.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1983;24: 409-412; S
Figure pct00003
jka-Ledakowicz J, Chru
Figure pct00004
ciel JJ, Kudzin MH,
Figure pct00005
M,
Figure pct00006
M. Antimicrobial Functionalization of textile materials with copper silicate. Fibres & Textiles in Eastern Europe. 2016;24: 151-156; Nalawade TM, Bhat K, Sogi SHP. Bactericidal activity of propylene glycol, glycerin, polyethylene glycol 400, and polyethylene glycol 1000 against selected microorganisms. Journal of International Society of Preventive and Community Dentistry. 2015;5: 114-119). 또한 PEG는 예를 들어, 임플란트 표면에 대한 박테리아 부착을 억제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Jinkins RS, Leonas KK. Influence of a polyethylene glycol treatment on surface, liquid barrier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Textile Chemist & Colorist. 1994;26: 25-29). PHMB 및 PEG의 조합된 항균 메카니즘과 함께, 본원에 논의된 처리된 직물은 병원 및 의료 시설 사용에 매우 유익한 광범위한 병원체를 치사시키는데 효과적인 고유의 항균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PHMB는 수소 결합 및 정전기 상호 작용을 통해 셀룰로스 기재의 카르복실 기(화학적 마무리로부터 생성됨)에 부착되는 것으로 여겨진다(Blackburn RS, Harvey A, Kettle LL, Payne JD, Russell SJ. Sorption of poly(hexamethylenebiguanide) on cellulose: mechanism of binding and molecular recognition. Langmuir. 1994;26: 25-29). 그러나, 통상적인 PHMB-기반 제제는 세제 및 산화제(예를 들어, 표백제)의 존재 하에 엄격한 세척 조건 하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개념의 코팅 포뮬레이션에 제공된 중합체 결합제는 셀룰로스 표면 및 항균 시약 둘 모두와의 강한 상호작용을 통해 세탁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PEG는 결합제 및 PHMB를 코팅된 직물의 섬유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그물형 중합체 매트릭스를 형성함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놀랍게도(특히, PEG의 높은 수용해도를 고려하여), 이러한 조합은 처리된 직물의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항균 활성을 발생시키며, 이는 적어도 104회 엄격한 병원 세탁 주기의 반복에 걸쳐 및 그 후에는 물론 건조 프레싱 후에도 유지된다.
본 발명의 개념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PHMB, PEG 및 (선택적으로) 결합제의 조합물로 처리된 직물을 포함하는 의류 물품이다. 이러한 의류 물품은 성인용, 어린이용 또는 유아용으로 치수 지정될 수 있다. 이러한 의류 물품은 이전에 처리된 셀룰로스 및/또는 중합체 직물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의류 물품은 통상적인 셀룰로스 및/또는 중합체 직물로부터 제조되고, 이어서 물품의 전부 또는 일부가 PHMB, PEG 및 (선택적으로) 결합제의 조합물로 처리될 수 있다. 적합한 의류 물품에는 신발, 슬리퍼, 스타킹, 속옷, 천 기저귀, 손 보호대, 바지, 드레스, 스커트, 남성 및/또는 여성 셔츠, 실험실 또는 의료 종사자의 코트, 파자마 또는 다른 잠옷, 모자, 머리 스카프 및/또는 장갑이 포함된다. 이러한 의류 물품은 이의 항균 특성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표시는 특징적인 색상, 패턴 또는 디자인 및/또는 인간 또는 기계-판독 가능한 라벨 또는 태그를 포함한다.
세탁 내구성 평가: 세탁 내구성 평가는 전형적인 엄격한 병원 세탁 조건 하에서 가속화된 세탁 테스트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Laird K, Riley K. Chapter 13. Antimicrobial textiles for medical environments. Antimicrobial Textiles. (1st ed.). Cambridge: Woodhead Publishing; 2016). 한번의 가속 세탁은 일반적으로 가정 세탁의 5회 주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간주된다(Laundering durable antibacterial cotton fabrics grafted with pomegranate-shaped polymer wrapped in silver nanoparticle aggregations. Scientific Reports. 2014;4:5920).
직물은 40 ± 2 rpm에서 작동하는 주어진 온도에서의 자동 온도 조절식 수조에서 수성 세탁 용액을 함유하는 회전 밀폐 캐니스터에서 세탁되었다. 세탁 테스트에는 2 조건이 사용되었다:
· 세탁 테스트는 세제(0.0065%, w/v)와 산소-기반 표백제(300 ppm)를 사용하여 65℃에서 10분 동안 수행하였다(조건 I).
· 세탁 테스트는 세제(0.0065%, w/v)로 75℃에서 5분 동안 수행하였다(조건 II).
세탁 후, 직물 샘플은 항균 테스트 전에 적어도 24시간 동안 20 ± 2℃ 온도 및 65 ± 2% 상대 습도에서 표준 조건하에 보관하였다.
건조 프레싱: 건조 프레싱 테스트는 ISO 105-X11에 설명된 하기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다. 건조 표본을 양모 플란넬 패딩을 덮는 면 의류 위에 놓았다. 가열 장치의 상판을 내리고 표본을 150℃에서 15초 동안 방치한 후 항균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항박테리아 효율 평가:
약간 수정한 AATCC 100-2004에 설명된 절차에 따라 정량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클렙시엘라 뉴모니애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둘 모두를 5 mL의 트립틱 소이 브로쓰(TSB)에서 성장시키고, 250 rpm에서 진탕시키면서 37℃에서 1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박테리아 배양물의 OD600을 광밀도 판독기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1.0의 OD600으로 조정하였다. 이 시점은 "0 시간"으로 설정하였다. 0시간에서 초기 박테리아 수는 0.9% 염수를 사용하여 박테리아를 103 내지 107배로 희석함으로써 결정하였다. 150 μL의 적절한 박테리아 희석액을 제거하고, 트립틱 소이 한천(TSA) 플레이트에 스프레딩하였다. 그 후, 평균 박테리아 수는 2x108 내지 8x108 CFU/mL 범위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직물 시험편은 각각 1.5 cm2의 면적을 가진 정사각형 샘플로 절단하고, 그 중 하나씩 일련의 페트리 디쉬 각각에 놓았다. 음성 대조군은 항균 코팅이 없는 직물 샘플이며, 처리된 샘플과 동일한 기본 직물로부터 제조하였다. 그 후, 100 μL의 적절한 세균 배양물 희석액을 직물 샘플에 첨가하였다. 0시간 시점에서 직물 샘플을 테스트할 때, 직물 샘플 중의 박테리아는 5 mL의 0.9% 염수 용액을 사용하여 즉시 용출하였다. 18시간 인큐베이션 후 직물 샘플을 테스트할 때, 직물 샘플 중의 박테리아는 37℃의 수분 챔버에서 18시간 이하 동안 직물과 인큐베이션한 후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용출되었다. 150 μL의 세탁된 용액을 취하고, TSA 플레이트에 스프레딩하고, 플레이트를 37℃에서 1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각 플레이트 상의 콜로니를 계수하고, 박테리아 밀리리터 당 콜로니 형성 단위(CFU/ml)를 계산하였다. 단지 25-250 사이의 콜로니 수를 이용하여 CFU/ml를 계산하였다.
박테리아의 감소 백분율(R)은 하기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pct00007
여기에서 A = 18시간 후 처리된 시험편에서 회수된 박테리아의 수; B = 제로-접촉 시간에서 비처리된 시험편에서 회수된 박테리아의 수.
기타 직물 특성: 직물 핸드 특성, 즉 탄성, 연성 및 평활성은 AATCC 테스트 방법 202-2012에 설명된 절차에 따라 평가하였다. 경사 및 위사 과정에서 모든 대조군 및 처리된 직물의 인열 강도 테스트는 ISO 13937-2에 기술된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항박테리아 테스트 결과는 하기 표 1에 도시된다.
Figure pct00008
SA = 스트렙토코커스 아우레우스; KP = 클렙시엘라 뉴모니애
[a] 박테리아의 감소 백분율(R)은 하기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pct00009
여기에서 A = 18시간 후 처리된 시험편에서 회수된 박테리아의 수; B = 제로-접촉 시간에서 비처리된 시험편에서 회수된 박테리아의 수; [b] 폴리우레탄; [c] 폴리아민
표 1
표 1은 PHMB, PEG 및 결합제 화합물(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아민)을 포함하는 다양한 항균 코팅으로 처리된 다양한 직물 샘플(면 또는 폴리프로필렌)에서 항박테리아 활성에 대한 정량 테스트 결과를 보여준다. 모든 처리된 직물은 예시적인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 박테리아 종 둘 모두에 대해 상당한 항박테리아 효과(> 99.9% 감소)를 나타내며, 이는 이러한 처리된 직물이 실질적으로 높고 넓은 스펙트럼의 항박테리아 효과를 가짐을 나타낸다.
처리된 직물에 대한 건조 프레싱 테스트를 수행하여 병원 환경에서 건조 다림질 조건을 모방하기 위해 고온 프레싱으로 처리될 때 항균 마감재의 저항성을 결정하였다. 다림질된 직물은 예시적인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 박테리아 종 둘 모두에 대한 현저한 항박테리아 효과(>99.9% 감소)를 보이며, 이는 처리된 면직물의 항균 특성이 고온 프레싱 후에도 변화지 않은채 유지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개념의 처리된 직물은 또한 카르바페넴-내성 에스체리치아 콜라이(CRE), 다중약물-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만니(MRAB) 및 메티실린-내성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MRSA)를 포함하는 약물-내성 박테리아에 대한 강한 항박테리아 특성을 가짐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약물-내성 박테리아는 병원 감염에서 종종 발생하며 치료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개념의 항균 조성물 및 직물은 병원성 미생물(예컨대, 약물-내성 박테리아)의 세포 표면 구조를 표적으로 하며, 이는 이러한 항생제와 무관한 메카니즘에 의한 세포 벽 및/또는 막의 파괴 및 후속 세포 사멸로 이어지는 것으로 여겨진다. 대표적인 약물-내성 박테리아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의 테스트 결과는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의 처리된 면직물은 모두 3개의 예시적인 약물-내성 박테리아에 대한 높은 정도의 항균 활성을 가지며, 이는 이러한 코팅된 직물이 광범위한 약물-내성 박테리아에 대해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0
[a] 면직물은 PHMB:10%(v/v); PEG-400:5%(v/v); 폴리우레탄 결합제:8%(v/v)로 코팅하였다; [b] 박테리아의 감소 백분율(R)은 하기를 이용하여 계산되었다:
Figure pct00011
여기에서 A = 18시간 후 처리된 시험편에서 회수된 박테리아의 수; B = 제로-접촉 시간에서 비처리된 시험편에서 회수된 박테리아의 수.
표 2
본 발명의 개념의 처리된 직물은 엄격한 병원 세탁 조건 하에서 여러 번의 세탁(적어도 104회 주기의 세탁)을 견딜 수 있고 항균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의 처리된 직물은 두가지 상이한 엄격한 병원 세탁 조건 하에서 104회 주기의 세탁 후에도 약물-민감성(SA 및 KP) 및 약물-내성(CRE, MRAB 및 MRSA) 박테리아 종 모두에 있어서 상당한 박테리아 감소(>99.9%)를 보인다. 이는 항균 코팅이 텍스타일에 단단히 결합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2
[a] 면직물은 PHMB:10%(v/v); PEG-400:5%(v/v); 폴리우레탄 결합제:8%(v/v)로 코팅하였다; [b] 박테리아의 감소 백분율(R)은 하기를 이용하여 계산되었다:
Figure pct00013
여기서 A = 18시간 후 처리된 시험편에서 회수된 박테리아의 수; B = 제로-접촉 시간에 처리되지 않은 시험편에서 회수된 박테리아의 수; [c] 각 세탁 사이클은 세제와 과산화수소(300ppm)로 65℃에서 10분 동안 수행되었다; [d] 각 세탁 사이클은 75℃에서 5분 동안 세제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표 3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의 조성물 및 직물은 진균 및 바이러스 병원체를 포함하는 비-박테리아 종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다. 항-진균 활성은 일반적인 진균 병원체인 효모 칸디다 알비칸스를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직물 샘플을 25 mm × 25 mm 조각으로 자르고 일반 염수 중의 진균 현탁액(1 × 106 CFU/mL 칸디다 알비칸스)을 침투시켰다. 주위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침지된 직물 샘플을 10초 동안 Mueller-Hinton 한천 플레이트에 부드럽게 눌렀다. 이어서 직물 샘플을 제거하고 한천 플레이트를 35℃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생성된 콜로니를 계수하여 직물 샘플에 남아있는 콜로니-형성 단위(CFU)를 추정하였다.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의 항균 조성물로 처리된 직물은 지역 사회 및 의료 환경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칸디다 알비칸스(CA)에 대해 강력하고 세탁-내구성의 항진균 효과를 나타낸다. 104회의 엄격한 병원 세탁 주기 전 및 후에 처리된 면직물에 대해 칸디다 알비칸스의 관찰가능한 성장은 발견되지 않았다(즉, 거의 100% 살상률).
Figure pct00014
[a] 면직물은 PHMB:10%(v/v); PEG-400:5%(v/v); 및 폴리우레탄 결합제; 8%(v/v);로 코팅하였다; [b] CFU = 콜로니 형성 단위; [c] 각 세탁 주기는 세제와 과산화수소(300ppm)로 65℃에서 10분 동안 수행되었다.
표 4
본 발명 개념의 항균 코팅 및 처리된 직물은 또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다. 항바이러스 활성은 H1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인플루엔자 A/HK/415742/P4-pdmH1N1)를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이 균주의 TCDI50은 약 106/mL이다. TCID50에서 이 바이러스의 100 μL 샘플을 페트리 디쉬에 있는 직물 샘플(3cm X 3cm)에 직접 가하였다. 별도의 페트리 디쉬에 음성 대조군을 확립하였다. 직물 샘플은 주위 온도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바이러스를 매질 내로 회수하기 위해 바이러스 수송 매질(VTM; 0.9 mL)을 직물 샘플의 발현 즉시(시점:0) 또는 10분, 30분 또는 60분 후 겸자로 첨가하였다. 그 후, 테스트 샘플/음성 대조군에서 회수된 바이러스 샘플은 적정 곡선 연구를 위해 희석하였다. 각 샘플을 일련의 10배 연속 희석으로 처리하고 샘플의 각 희석액을 Madin-Darby 개 신장(MDCK) 세포(웰 당 약 104개 세포)를 함유하는 96-웰 플레이트의 웰에 삼중으로 첨가하였다(웰 당 100 μL). 그 후, 1시간 인큐베이션하였다. PBS로 1회 세척한 후, 배양물 배지를 2 μg/mL TPCK-트립신을 함유하는 최소 필수 배지(MEM)로 교체하였다. 세포병성 효과(CPE)를 매일 평가하고 2 내지 3일에 TCID50을 계산하였다. 표 5는 인플루엔자 타입 A H1N1 바이러스에 대한 처리된 면직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이 엄격한 병원 세탁 조건 하에서도 지속됨을 보여준다. 특히 104회의 엄격한 병원 세탁 주기 후에도 처리된 직물의 이러한 강한 살바이러스 효과(즉, 4 log10 이상의 TCID50 감소)는 이전에 보고된 적이 없다.
Figure pct00015
[a] 면직물은 PHMB:10%(v/v); PEG-400:5%(v/v); 폴리우레탄 결합제:8%(v/v)로 코팅하였다; [b] 각 세탁 주기는 세제와 과산화수소(300ppm)로 65℃에서 10분 동안 수행하였다; [c] 각 세탁 주기는 세제를 사용하여 75℃에서 5분 동안 수행하였다; [d] TCID50: 중간 조직 배양 감염 용량.
표 5
처리된 직물의 항균 및 항바이러스 특성에 더하여, 본 발명의 개념의 코팅 조성물은 이러한 처리된 텍스타일의 촉감(예를 들어, 손 느낌) 및/또는 기계적(예를 들어, 인열 강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대조 직물과 비교하여, 처리된 직물의 탄성, 연성 및 평활성은 적어도 50회의 엄격한 병원 세탁을 통해서도 유지되었다(표 6 참조). 또한, 항균 코팅 및 처리는 처리된 직물의 인열 강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열 강도는 항균 코팅을 적용한 후 경사 및 위사 방향 모두에서 처리되지 않은 직물에 비해 40% 넘게 증가하였다.
Figure pct00016
[a] 면직물은 PHMB:10%(v/v); PEG-400:5%(v/v); 폴리우레탄 결합제:8%(v/v)로 코팅하였다; [b] 각 세탁 주기는 세제와 과산화수소(300ppm)로 65℃에서 10분 동안 수행하였다; [c] 각 세탁 주기는 세제로 75℃에서 5분 동안 수행하였다.
표 6
Figure pct00017
[a] 면직물은 PHMB:10%(v/v); PEG-400:5%(v/v); 폴리우레탄 결합제:8%(v/v)로 코팅하였다.
표 7
본 발명 개념의 처리된 직물은 엄격한 병원 세탁 조건 하에서 여러 번의 세탁(적어도 104회 주기 세탁)을 견딜 수 있고 항균 특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는 항균 코팅이 직물 기재에 단단히 결합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 손 감촉 및 인열 강도가 강화된 세탁 내구성 직물은 의료 및 병원 환경뿐만 아니라 항균 활성이 바람직한 다른 그룹 관리 환경에서 널리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원의 본 발명의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미 설명된 것 외에 더 많은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제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을 제외하고는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이, 명세서와 청구 범위 둘 모두를 해석함에 있어서 모든 용어는 문맥과 일치하는 가능한 가장 광범위한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특히,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참조된 요소, 구성 요소 또는 단계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요소, 구성 요소 또는 단계와 함께 존재하거나 활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비 배타적인 방식으로 요소, 구성 요소 또는 단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청구 범위가 A, B, C... 및 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언급하는 경우, 본문은 A + N 또는 B + N 등등이 아닌 군으로부터 단지 하나의 요소만 필요로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3)

  1. 텍스타일(textile) 기재; 및
    양이온성 살생물제 및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탁-내구성의 항균 텍스타일로서,
    상기 항균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텍스타일 기재에 화학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세탁-내구성의 항균 텍스타일은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및 항진균 특성을 나타내는, 세탁-내구성의 항균 텍스타일.
  2. 제1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살생물제가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 폴리아미노프로필 비구아니드, 4차 암모늄 염, 벤즈알코늄 염, 클로르헥시딘 염, 세틸피리디늄 염 및 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세탁-내구성의 항균 텍스타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친수성 중합체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2-옥사졸린),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세탁-내구성의 항균 텍스타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친수성 중합체가 PEG이고, 친수성 중합체가 항균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텍스타일 기재로의 항균 조성물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도록 선택되는, 세탁-내구성의 항균 텍스타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세탁-내구성의 항균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결합제가 PHMB, PEG 또는 텍스타일 기재에 대한 공유 화학 결합과 양립가능한 작용기를 포함하는, 세탁-내구성의 항균 텍스타일.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결합제가 폴리아민,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세탁-내구성의 항균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균 조성물이 5% 내지 15% v/v의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 5% 내지 10% v/v의 분자량이 300 달톤 내지 1000 달톤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3% 내지 8% v/v의 결합제를 포함하는, 세탁-내구성의 항균 텍스타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균 조성물이 텍스타일 기재 상에 코팅으로서 제공되고, 코팅은 패드-건조-경화 방법을 이용하여 텍스타일 기재에 코팅 조성물을 적용한 결과인, 세탁-내구성의 항균 텍스타일.
  10. 제9항에 있어서, 패드-경화-건조 방법이 70% 내지 80%의 웨트 픽업(wet pick-up)이 달성될 때까지 주위 온도에서 텍스타일 기재를 항균 조성물에 담그고 패딩한 다음, 약 90℃에서 1 내지 10분 동안 건조시키고, 약 120℃ 내지 약 140℃에서 약 30초 내지 1분 동안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내구성의 항균 텍스타일 물품.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패드-경화-건조 방법이 산업적 규모로 적용되는, 세탁-내구성의 항균 텍스타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박테리아 특성이 약물-내성 박테리아에 대해 유효하며, 항바이러스 특성이 외피 바이러스에 대해 유효한, 세탁-내구성의 항균 텍스타일.
  13. 제12항에 있어서, 외피 바이러스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인, 세탁-내구성의 항균 텍스타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병원의 엄격한 위생 세탁 프로토콜에 따라 적어도 104회 세탁 주기를 수행한 후에도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및 항진균 특성이 유지되는, 세탁-내구성의 항균 텍스타일.
  15. 제14항에 있어서, 병원의 위생 세탁 프로토콜이 (1) 65℃에서 10분 동안 세제 및 산소계 소독제와의 진탕 및 (2) 75℃에서 5분 동안 세제와의 진탕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세탁-내구성의 항균 텍스타일.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및 항진균 특성이 고온 또는 건조 프레싱 후에도 유지되는, 세탁-내구성의 항균 텍스타일.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탁-내구성의 항균 텍스타일의 인열 강도가 단독의 텍스타일 기재와 비교하여 증가되는, 세탁-내구성의 항균 텍스타일.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탁-내구성의 항균 텍스타일의 탄성, 연성 및 평활성이 단독의 텍스타일 기재와 비교하여 유지되거나 개선되는, 세탁-내구성의 항균 텍스타일.
  19.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텍스타일 기재가 셀룰로스 섬유, 합성 중합체 섬유 또는 셀룰로스 섬유와 합성 중합체 섬유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세탁-내구성의 항균 텍스타일.
  20. 세탁-내구성의 항균 텍스타일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텍스타일 기재를 수득하고;
    텍스타일 기재를 양이온성 살생물제와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과 접촉시키고;
    항균 조성물을 건조시켜 처리된 텍스타일 기재를 생성시키고; 처리된 텍스타일 기재를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살생물제가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 폴리아미노프로필 비구아니드, 4차 암모늄 염, 벤즈알코늄 염, 클로르헥시딘 염, 세틸피리디늄 염 및 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친수성 중합체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2-옥사졸린),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친수성 중합체가 PEG이고, 친수성 중합체가 항균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텍스타일 기재로의 항균 조성물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도록 선택되는, 방법.
  24.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결합제가 PHMB, PEG 또는 텍스타일 기재에 대한 공유 화학 결합과 양립가능한 작용기를 포함하는, 방법.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결합제가 폴리아민,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7.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균 조성물이 5% 내지 15% v/v의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 5% 내지 10% v/v의 분자량이 300 달톤 내지 1000 달톤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3% 내지 8% v/v의 결합제를 포함하는, 방법.
  28. 제20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균 조성물과의 접촉이 패드-건조-경화 방법을 이용하여 텍스타일 기재에 항균 조성물의 코팅을 적용함으로써 수행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패드-경화-건조 방법이 텍스타일 기재를 항균 조성물에 담그고 패딩하는 것을 포함하며, 건조는 70% 내지 80%의 웨트 픽업이 달성될 때까지 주위 온도에서 수행되고 이어서 약 90℃의 제1 온도에 1 내지 10분 동안 노출함으로써 수행되며, 경화는 약 120℃ 내지 약 140℃의 제2 온도에 30초 내지 1분 동안 노출함으로써 수행되는, 방법.
  30. 제20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박테리아 특성이 약물-내성 박테리아에 대해 유효하며, 항바이러스 특성이 외피 바이러스에 대해 유효한,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외피 바이러스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인, 방법.
  32. 제20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병원의 엄격한 위생 세탁 프로토콜에 따라 적어도 104회 세탁 주기를 수행한 후에도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및 항진균 특성이 유지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병원의 엄격한 위생 세탁 프로토콜이 (1) 65℃에서 10분 동안 세제 및 산소계 소독제와의 진탕 및 (2) 75℃에서 5분 동안 세제와의 진탕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4. 제20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및 항진균 특성이 고온 또는 건조 프레싱 후에도 유지되는, 방법.
  35. 제20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텍스타일 기재가 셀룰로스 섬유, 합성 중합체 섬유 또는 셀룰로스 섬유와 합성 중합체 섬유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36. 항균 특성을 갖는 의류 물품으로서,
    항균 조성물로 코팅된 셀룰로스 또는 합성 중합체 섬유를 포함는 텍스타일을 포함하며, 상기 항균 조성물은 양이온성 살생물제 및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항균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텍스타일에 화학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의류 물품은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및 항진균 특성을 나타내는, 의류 물품.
  37. 제36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살생물제가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 폴리아미노프로필 비구아니드, 4차 암모늄 염, 벤즈알코늄 염, 클로르헥시딘 염, 세틸피리디늄 염 및 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의류 물품.
  38. 제36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친수성 중합체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2-옥사졸린),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의류 물품.
  39. 제36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친수성 중합체가 PEG이고, 친수성 중합체가 항균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텍스타일 내로의 항균 조성물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도록 선택되는, 의류 물품.
  40. 제36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의류 물품.
  41. 제40항에 있어서, 결합제가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텍스타일 기재에 대한 공유 화학 결합과 양립가능한 작용기를 포함하는, 의류 물품.
  42.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결합제가 폴리아민,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의류 물품.
  43. 제36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류 물품이 신발, 슬리퍼, 스타킹, 속옷, 천 기저귀, 손 보호대, 바지, 드레스, 스커트, 셔츠, 실험실 또는 의료용 코트, 파자마, 모자, 머리 스카프 및 장갑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의류 물품.
  44. 제40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균 조성물이 5% 내지 15% v/v의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 5% 내지 10% v/v의 분자량이 300 달톤 내지 1000 달톤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3% 내지 8% v/v의 결합제를 포함하는, 의류 물품.
  45. 제36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균 조성물이 패드-건조-경화 방법을 이용하여 텍스타일을 코팅함으로써 텍스타일에 적용되는, 의류 물품.
  46. 제45항에 있어서, 패드-경화-건조 방법이 70% 내지 80%의 웨트 픽업이 달성될 때까지 주위 온도에서 텍스타일 기재를 항균 조성물에 담그고 패딩한 다음, 약 90℃에서 1 내지 10분 동안 건조시키고, 약 120℃ 내지 약 140℃에서 약 30초 내지 1분 동안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의류 물품.
  47. 제36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류 물품의 항박테리아 특성이 약물-내성 박테리아에 대해 유효하고, 항바이러스 특성이 외피 바이러스에 대해 유효한, 의류 물품.
  48. 제47항에 있어서, 외피 바이러스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인, 의류 물품.
  49. 제36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병원의 엄격한 위생 세탁 프로토콜에 따라 의류 물품의 적어도 104회 세탁 주기를 수행한 후에도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및 항진균 특성이 유지되는, 의류 물품.
  50. 제49항에 있어서, 병원의 위생 세탁 프로토콜이 (1) 65℃에서 10분 동안 세제 및 산소계 소독제와의 진탕 및 (2) 75℃에서 5분 동안 세제와의 진탕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의류 물품.
  51. 제36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류 물품의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및 항진균 특성이 고온 또는 건조 프레싱 후에도 유지되는, 의류 물품.
  52. 제36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류 물품이 항균성을 가짐을 나타내는 표시를 추가로 포함하는, 의류 물품.
  53. 제36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텍스타일 기재가 셀룰로스 섬유, 합성 중합체 섬유 또는 셀룰로스 섬유와 합성 중합체 섬유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의류 물품.
KR1020207032053A 2018-04-06 2019-04-04 의료 환경에 사용하기 위한 텍스타일의 내구성 항균 처리 KR202100465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54193P 2018-04-06 2018-04-06
US62/654,193 2018-04-06
PCT/US2019/025887 WO2019195616A1 (en) 2018-04-06 2019-04-04 Durable antimicrobial treatment of textile for use in healthcare environ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583A true KR20210046583A (ko) 2021-04-28

Family

ID=6810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053A KR20210046583A (ko) 2018-04-06 2019-04-04 의료 환경에 사용하기 위한 텍스타일의 내구성 항균 처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10156080A1 (ko)
EP (1) EP3768889A4 (ko)
JP (1) JP7369467B6 (ko)
KR (1) KR20210046583A (ko)
CN (1) CN112867823A (ko)
AU (1) AU2019247408A1 (ko)
CA (1) CA3096209A1 (ko)
TW (1) TW201947084A (ko)
WO (1) WO20191956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98840A1 (en) * 2019-12-30 2021-07-01 Microban Products Company Odor reduction and bacterial control on a textile material
TWM625350U (zh) * 2020-03-12 2022-04-11 劍亮 龔 空氣過濾系統及抗病毒面罩
CN112041958B (zh) * 2020-07-28 2021-08-10 深圳市诚捷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卷绕系统
WO2023285840A1 (en) 2021-07-16 2023-01-19 Biointeractions Ltd Coatings, formulations, uses and coating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892B1 (ko) * 1989-08-16 1991-10-04 주식회사 선경인터스트리 합성섬유제품의 항균 처리방법
JPH08226077A (ja) * 1995-02-21 1996-09-03 Zeneka Kk 抗菌性繊維または繊維製品の製造方法
JP2000007511A (ja) * 1998-06-23 2000-01-11 Toyobo Co Ltd 抗菌性繊維、抗菌性布帛及びその製造法
JP3793706B2 (ja) * 2001-09-28 2006-07-05 日華化学株式会社 抗菌性繊維製品の製造方法及び繊維用抗菌剤組成物
JP2005139561A (ja) * 2003-11-04 2005-06-02 Nicca Chemical Co Ltd 制菌加工方法及び制菌性繊維製品
JP2005314823A (ja) * 2004-04-27 2005-11-10 Nicca Chemical Co Ltd 繊維製品の制菌加工方法及び制菌性繊維製品
US9028852B2 (en) * 2004-09-07 2015-05-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ationic antisep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JP2010018915A (ja) * 2008-07-11 2010-01-28 Osaka Kasei Kk 抗ウイルス性繊維製品
AU2011240856B2 (en) * 2010-04-12 2014-02-13 Basf Se Antimicrobial treatment of synthetic nonwoven textiles
KR101302488B1 (ko) 2010-05-07 2013-09-0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로헥시딘의 코팅을 통한 항균성 섬유의 제조방법
CN103608512A (zh) * 2011-04-08 2014-02-26 巴斯夫欧洲公司 用阳离子抗微生物剂处理合成织物的方法
EP2573215A1 (en) * 2011-09-20 2013-03-27 Mölnlycke Health Care AB Polymer fibers
WO2013047642A1 (ja) * 2011-09-29 2013-04-04 Tbカワシマ株式会社 抗菌性を有する剤が固定化された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211428A (ja) * 2012-05-25 2012-11-01 Osaka Kasei Kk 抗ウイルス性繊維製品の製造方法
KR101403527B1 (ko) * 2012-09-24 2014-06-09 주식회사 지클로 항균성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섬유
EP3086647A4 (en) * 2013-12-23 2017-08-02 Xmicrobial LLC Antimicrobial substrat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5002729A (zh) * 2015-07-13 2015-10-28 江苏神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织物抗菌整理剂
CN105401430A (zh) * 2015-12-01 2016-03-16 常熟市天字织造有限公司 超柔绒面料的加工工艺
CN105755614A (zh) * 2016-03-31 2016-07-13 杜敏 一种防辐射面料及其制备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68889A1 (en) 2021-01-27
US20210156080A1 (en) 2021-05-27
AU2019247408A1 (en) 2020-10-29
JP7369467B6 (ja) 2023-12-15
CA3096209A1 (en) 2019-10-10
JP7369467B2 (ja) 2023-10-26
TW201947084A (zh) 2019-12-16
JP2021521356A (ja) 2021-08-26
EP3768889A4 (en) 2022-01-26
CN112867823A (zh) 2021-05-28
WO2019195616A1 (en)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4686B2 (en) Disinfectant composition for textile and related substrates, and method of treating a substrate to provide disinfecting antibacterial, antiviral and antifungal, wash durable, optionally enhanced with multifunctional properties
JP7369467B2 (ja) 保健医療環境で使用する繊維品の耐久性のある抗菌処理
JP4999847B2 (ja) 感染防止のための不織布材料の抗微生物処理
AU2011240856B2 (en) Antimicrobial treatment of synthetic nonwoven textiles
JP2016535179A5 (ko)
JP2009521611A (ja) 殺菌力のある表面で覆われたアセンブリ
Vigo et al. Antibacterial Fiber Treatments and Disinfection1
US20180042320A1 (en) Textiles having antimicrobial propertie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WO2016043202A1 (ja) 抗菌・抗かび加工製品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抗菌・抗かび加工製品
McQueen et al. Antimicrobial textiles and infection prevention: Clothing and the inanimate environment
US20230407559A1 (en) Use of siliceous quaternary amines in durable antimicrobial treatment of textile for use in healthcare environment
Patel et al. Corporate uniform fabrics with antimicrobial edge: preparation and evaluation methodology
US20190254282A1 (en) Non-Leaching Surface Sanitizer and Wipe with Improved Washability and/or Absorbency
McQueen et al. Antimicrobial Textiles and Infection Prevention—Clothes and Inanimate Environment
Monticello et al. Antimicrobial textiles and testing techniques
MX2008002848A (en) Antimicrobial substr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