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5337A - 경화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경화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5337A
KR20210045337A KR1020200134049A KR20200134049A KR20210045337A KR 20210045337 A KR20210045337 A KR 20210045337A KR 1020200134049 A KR1020200134049 A KR 1020200134049A KR 20200134049 A KR20200134049 A KR 20200134049A KR 20210045337 A KR20210045337 A KR 20210045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urable composition
less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8069B1 (ko
Inventor
홍재성
윤후영
민진서
황남익
김우연
송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210045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8C8-(meth)acrylate, e.g. isooctyl (meth)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6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involving mechanical work, e.g. chopping, disintegrating, compacting, homogen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4Resins; Plastics; Rubber; Leather
    • G01N33/442Resins;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use of ir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단차 흡수성과 단차 매립성 및 타발성이 우수하고, 백탁이 방지되며, 낮은 유전율도 구현될 수 있는 경화성 조성물 및 그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화성 조성물{Curable Composition}
본 출원은 2019년 10월 16일자 제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9-0128580호 및 제10-2019-0128581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대한민국 특허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출원은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OCA(Optically Clear Adhesive) 또는 OCR(Optically Clear Rein)은,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소재이고,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나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자주 사용된다.
OCA나 OCR은 베젤과 같이 단차가 형성된 표면에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단차가 있는 표면에 적용되었을 때에도 단차에 의한 들뜸이나 지연성 기포(delayed bubble)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차 흡수성 내지 단차 매립성이 OCA나 OCR에는 요구된다.
그런데, 단차 흡수성은 타발성과는 상반되는 물성이다. OCA나 OCR은, 적용되기 전에 필요한 크기로 재단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효율적인 재단을 위해서는 우수한 타발성이 필요하다.
통상 OCA나 OCR 내에 히드록시기 등의 극성 관능기를 많이 포함시키면, 응집력 상승에 의해 타발성이 상승하지만, 이 경우에는 단차 흡수성과 단차 매립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극성 관능기는 OCA나 OCR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백탁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데, 단차 흡수성 및 단차 매립성을 고려하여 극성 관능기의 비율을 줄이면, 백탁 등이 발생하여 OCR이나 OCA의 광학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터치 민감성이 요구되는 적용 용도에 따라서 OCA나 OCR에는 낮은 유전율이 요구될 수 있는데, 유전율은 통상 극성 관능기의 양과 대략 비례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단차 흡수성, 단차 매립성 및 타발성이 동시에 우수하고, 백탁이 방지되는 저유전율의 OCA나 OCR을 형성하는 것은 쉽지 않은 과제이다.
본 출원은 소위 OCA나 OCR로 사용될 수 있는 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에서는 단차 흡수성과 단차 매립성 및 타발성이 우수하고, 백탁이 방지되며, 낮은 유전율도 구현될 수 있는 경화성 조성물 및 그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물성 중에서 측정 온도가 그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해당 물성은 상온에서 측정한 물성이다. 용어 상온은 가온 및 감온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온도로서 통상 약 10 ℃ 내지 30 ℃의 범위 내의 임의의 온도 또는 약 23 ℃ 또는 약 25 ℃ 정도의 온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온도의 단위는 ℃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물성 중에서 측정 압력이 그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해당 물성은 상압에서 측정한 물성이다. 용어 상압은 가압되거나 감압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압력으로서 통상 약 1 기압 정도를 상압으로 지칭한다.
본 출원은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경화성 조성물은 일 예시에서 점착제 조성물일 수 있다. 용어 점착제 조성물은 경화 전 또는 후에 점착제를 형성할 수 있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점착제 조성물은 하나의 예시에서 OCA(Optically Clear Adhesive) 또는 OCR(Optically Clear Resin)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화성 조성물 또는 점착제 조성물은 예를 들면 반경화 타입의 조성물일 수 있다. 반경화 타입의 경화성 조성물은, 1차 경화 후에 추가 경화(2차 경화 또는 후경화라고 불릴 수 있다.)될 수 있는 조성물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반경화 타입의 조성물은 일 예시에서 1차 경화된 상태로 단차가 있는 표면에 적용된 후에 후경화를 통해 완전 경화될 수 있다.
본 출원의 경화성 조성물은 무용제형 경화성 조성물일 수 있다. 용어 무용제형 경화성 조성물은, 용제(수성 용제 및 유기 용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이다. 따라서, 상기 경화성 조성물 내에서 수성 및 유기 용제의 함량은 1 중량% 이하, 0.5 중량% 이하 또는 0.1 중량% 이하이거나, 실질적으로 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경화성 조성물은, 적어도 중합체 성분과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중합체 성분은 시럽 성분일 수 있다. 상기 시럽 성분은, 2개 이상의 단량체가 중합되어 형성된 올리고머 혹은 고분자 성분과 단량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럽 성분은, 하나의 예시에서, 소위 부분 중합에 의해 형성하거나, 완전 중합 또는 부분 중합된 중합물에 추가로 단량체를 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목적하는 조성에 따른 단량체 조성을 부분 중합시키면, 일부의 단량체는 중합되어 상기 올리고머 혹은 고분자가 형성되고, 나머지 단량체는 잔존하여 상기 시럽 성분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부분 중합물 또는 완전 중합물에 추가로 단량체 성분을 배합하여도 시럽형 중합체 성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하기 기술하는 단량체 단위의 용어는 상기 중합체 성분 내에서는 상기 올리고머 또는 고분자를 형성한 상태로 존재하는 단량체 혹은 중합되지 않고 시럽 성분 내에 포함되어 있는 단량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경화성 조성물은, 경화 전 또는 후에 약 25 내지 100 gf/μm의 범위 내의 타발 인자(F)를 나타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타발 인자(F)는 단위가 gf/μm이고, 하기 일반식 1에 의해 정해지는 물리량이다.
[일반식 1]
F= 10 × (A/S)
일반식 1에서, F는 경화성 조성물 또는 그 경화물(반경화 타입인 경우에 1차 경화물 또는 후경화물)의 타발 인자이고, A는 상기 경화성 조성물 또는 그 경화물(반경화 타입인 경우에 1차 경화물 또는 후경화물)의 인성값(toughness)(단위: gf·mm)이며, S는, 상기 인성값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인장 시험에서의 인장 방향과 수직한 상기 경화성 조성물 또는 그 경화물(반경화 타입인 경우에 1차 경화물 또는 후경화물)의 표면의 면적이며, 단위는 μm·mm이다.
상기 A값(인성값)은 다음의 방식으로 측정한다. 우선 측정 대상(점착제 조성물 또는 그 경화물(반경화 타입의 경우 1차 경화물 또는 2차 경화물)을 재단하여 필름 형태의 시편을 제조한다. 이 때의 필름 형태의 시편은 가로의 크기가 4cm 정도이고, 세로의 크기가 1 cm 정도인 소정 두께를 가지는 형태로 제조한다.
위와 같은 시편의 형태를 도 3에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다. 이어서 상기 시편을 인장 시험기(ex. TA 장비(Texture analyser plus))에 장착하고, 일정 속도로 인장한다. 이 때 상기 인장의 방향은 상기 시편의 가로 방향과 평행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시편의 양 말단을 1 cm씩 상기 인장 시험기에 고정하고, 일정 속도로 시편을 인장할 수 있다. 이 때 인장은 약 1,000 mm/min의 인장 속도로 수행한다. 도 2에 예시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인장 과정에서 측정한 인장 강도(gf)를 y축으로 하고, 인장 거리(mm)를 x축으로 하는 인장 곡선을 작성하고, 인장 거리가 200 mm에서의 인장 곡선의 적분값(그래프의 면적)을 상기 일반식 1의 A값인 인성(toughness)로 지정한다.
한편, 일반식 1에서 S는, 상기 A를 구하기 위한 인장 시험에서 인장 방향에 있는 시편의 단면적이고, 도 3에서 S로 표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S의 단위는, μm·mm이다. 즉, 상기 S는 인장 방향의 시편의 가로 방향인 경우에 시편의 세로의 길이(1cm)와 두께를 곱하여 구할 수 있는데, 이 때 세로 길이는 mm 단위의 값을 사용하고, 두께는 μm의 단위의 값을 사용한다.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 전 또는 경화 후의 타발 인자는 다른 예시에서 약 25 gf/μm 이상, 26 gf/μm 이상, 약 27 gf/μm 이상, 약 29 gf/μm 이상, 약 31 gf/μm 이상, 약 33 gf/μm 이상 또는 약 35 gf/μm 이상이거나, 약 98 gf/μm 이하, 약 96 gf/μm 이하, 약 94 gf/μm 이하, 약 92 gf/μm 이하, 약 90 gf/μm 이하, 약 88 gf/μm 이하, 약 86 gf/μm 이하, 약 84 gf/μm 이하, 약 82 gf/μm 이하, 약 80 gf/μm 이하, 약 78 gf/μm 이하, 약 76 gf/μm 이하, 약 74 gf/μm 이하, 약 72 gf/μm 이하, 약 70 gf/μm 이하, 약 68 gf/μm 이하, 65 gf/μm 이하, 60 gf/μm 이하, 55 gf/μm 이하, 50 gf/μm 이하, 약 45 gf/μm 이하, 약 43 gf/μm 이하, 약 41 gf/μm 이하, 약 39 gf/μm 이하 또는 약 37 gf/μm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위와 같은 타발 인자를 가지도록 경화성 조성물을 조성함으로써, 목적하는 단차 매립성 내지 단차 흡수성을 가지면서, 타발성이 우수하고, 백탁이 방지되며, 낮은 유전율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타발 인자를 나타내는 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중합체 성분은, 단량체 단위로서,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위,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단위 및 질소 함유 단량체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량체 단위는, 중합체 성분 내에서는 올리고머 또는 고분자를 형성한 상태로 존재하는 단량체 혹은 중합되지 않고 시럽 성분 내에 포함되어 있는 단량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중합체 성분에 포함되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위의 알킬기는, 탄소수 4 내지 20의 알킬기일 수 있다. 상기 알킬기의 탄소수는 다른 예시에서 16 이하, 12 이하 또는 8 이하일 수 있으며, 치환 또는 비치환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로는, 예를 들면 n-부틸 아크릴레이트, t-부틸 아크릴레이트, sec-부틸 아크릴레이트, 펜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n-옥틸 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데실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이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알킬 아크릴레이트는 중합체 성분 내에 약 50 내지 95 중량%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52 중량% 이상, 54 중량% 이상, 56 중량% 이상, 58 중량% 이상, 60 중량% 이상, 62 중량% 이상, 64 중량% 이상, 66 중량% 이상, 68 중량% 이상, 70 중량% 이상, 72 중량% 이상, 74 중량% 이상, 76 중량% 이상, 78 중량% 이상 또는 80 중량% 이상이거나, 93 중량% 이하, 91 중량% 이하, 89 중량% 이하, 87 중량% 이하, 85 중량% 이하, 83 중량% 이하 또는 81 중량%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중합체 성분은,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위와 함께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단위 및 질소 함유 단량체 단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2종의 단량체 단위를 적용하고, 필요에 따라서 그 비율을 제어함으로써, 적절한 타발성과 단차 매립성 또는 단차 흡수성이 동시에 달성되면서도, 극성 단량체에 의한 유전율의 상승 또는 백탁의 발생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단위는 경화성 조성물의 타발 성능 및 핸들링성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고온 및/또는 고습 환경에서 백탁을 억제하며, 유전율이 지나치게 상승하지 않도록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단위의 비율이 줄어들면, 단차 흡수성 내지 단차 매립성과 낮은 유전율 측면에서는 유리하지만, 타발성이 저하되고, 백탁 방지능이 떨어지게 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단위의 비율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부족한 부분을 질소 함유 단량체 단위로 보완함으로써, 목적하는 모든 물성이 만족되는 경화성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일 예시에서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단위 및 질소 함유 단량체 단위의 합계 중량은,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위 100 중량부 대비 8 내지 20 중량부가 되는 비율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9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상, 11 중량부 이상 또는 12 중량부 이상이거나, 19 중량부 이하, 18 중량부 이하, 17 중량부 이하, 16 중량부 이하, 15 중량부 이하, 14 중량부 이하 또는 13 중량부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합체 성분 내에서 상기 질소 함유 단량체 단위는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위 100 중량부 대비 2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3 중량부 이상, 4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상, 6 중량부 이상 또는 7 중량부 이상 정도이거나, 9 중량부 이하, 8 중량부 이하, 7 중량부 이하 또는 6 중량부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또한, 중합체 성분 내에서 상기 질소 함유 단량체 단위(A) 및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단위(B)의 중량 비율(B/A)은 0.1 내지 5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비율(B/A)은 다른 예시에서 0.2 중량부 이상, 0.3 중량부 이상, 0.4 중량부 이상, 0.5 중량부 이상, 0.6 중량부 이상, 0.7 중량부 이상, 0.8 중량부 이상, 0.9 중량부 이상, 1 중량부 이상, 1.1 중량부 이상, 1.2 중량부 이상, 1.3 중량부 이상, 1.4 중량부 이상 또는 1.5 중량부 이상 정도이거나, 4 중량부 이하, 3 중량부 이하, 2 중량부 이하, 1.9 중량부 이하, 1.8 중량부 이하, 1.7 중량부 이하, 1.6 중량부 이하, 1.5 중량부 이하, 1.4 중량부 이하, 1.3 중량부 이하, 1.2 중량부 이하, 1.1 중량부 이하, 1 중량부 이하, 0.9 중량부 이하, 0.8 중량부 이하 또는 0.7 중량부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비율 하에서 목적하는 물성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중합체 성분 내에서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단위 및 질소 함유 단량체 단위는 중합체 성분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8 중량부 초과 내지 12 중량부 미만의 범위로 포함된다. 또한 상기 질소 함유 단량체 단위는 중합체 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 중량부 초과 내지 6 중량부 이하의 범위로 포함한다.
위와 같은 범위 내에서 경화성 조성물의 단차 흡수성 내지 단차 매립성을 확보하면서, 적절한 인장 강도를 유지하고, 고온/고습 환경에서 백탁이 방지되는 경화성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단위의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로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1에서, R1은 알킬렌기이고, R2는 수소 또는 알킬기이다.
화학식 1에서 알킬렌기 또는 알킬기는 일 예시에서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기 또는 알킬기일 수 있으며, 이 알킬렌기 또는 알킬기는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일 수 있고, 이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상태이거나, 비치환 상태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화학식 1에서 R2는 수소 또는 메틸기일 수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히드록시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5-히드록시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로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이용되는 경우, 우수한 인장강도, 고온/고습환경에서의 백탁 억제 효과 감소 방지, 낮은 유전율 및 우수한 단차 흡수 성능을 동시에 확보하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질소 함유 단량체 단위의 질소 함유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아미드, N-알킬 (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알킬 (메타)아크릴아미드, 1-아미노부트-3-엔-2-온, 1-(디메틸아미노)부트-3-엔-2-온, 1-(디메틸아미노)-3-메틸부트-3-엔-2-온, 5-아미노펜트-1-엔-3-온, 5-(디메틸아미노)펜트-1-엔-3-온, 5-(디메틸아미노)-2-메틸펜트-1-엔-3-온, 5-아미노-2-메틸펜트-1-엔-3-온 및 5-아미노-2-메틸헥스-1-엔-3-온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질소 함유 단량체의 종류를 규정하면서 사용한 알킬기는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일 수 있으며, 이 알킬렌기 또는 알킬기는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일 수 있고, 이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상태이거나, 비치환 상태일 수 있다.
적절한 효과 확보 측면에서 아크릴아미드가 이용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중합체 성분은, 추가적인 단량체 단위로서,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포함할 수 있고, 일 예시에서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위의 알킬기는, 탄소수 4 내지 20의 알킬기일 수 있다. 상기 알킬기의 탄소수는 다른 예시에서 16 이하, 12 이하 또는 8 이하일 수 있으며, 치환 또는 비치환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로는, 예를 들면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크릴레이트, 펜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및 테트라데실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이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는 중합체 성분 내에서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위 100 중량부 대비 약 1 내지 2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3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상, 7 중량부 이상, 7.5 중량부 이상, 8 중량부 이상 또는 8.5 중량부 이상 정도이거나, 18 중량부 이하, 16 중량부 이하, 14 중량부 이하, 12 중량부 이하, 10 중량부 이하 또는 9 중량부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중합체 성분은, 추가 단량체 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의 단위를 단량체 단위로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2에서 R은 수소 또는 알킬기이고, Q는 탄소수 3 내지 20의 비방향족 고리 구조의 1가 치환기이다.
화학식 2에서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의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기가 예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Q는 탄소수 3 내지 20의 비방향족 고리 구조의 1가 치환기이고, 예를 들면, 지방족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 고리형 화합물로부터 유래되는 1가 치환기일 수 있다. 상기 고리형 화합물은 단환식이거나, 축합형 또는 스피로형 등과 같은 다환식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고리 구조의 탄소수는 다른 예시에서 6 이상 또는 8 이상이거나, 18 이하, 16 이하, 14 이하 또는 12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치환기로는, 예를 들면, 이소보르닐기(isobornyl group), 시클로헥실기, 노르보나닐기(norbornanyl group), 노르보네닐기(norbornenyl group), 디시클로펜타디에닐기, 에티닐시클로헥산기, 에티닐시클로헥센기 또는 에티닐데카히드로나프탈렌기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2의 화합물의 단위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위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0.5 중량부 이상, 1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상, 2 중량부 이상, 2.5 중량부 이상, 3 중량부 이상 또는 3.5 중량부 이상이거나, 9 중량부 이하, 8 중량부 이하, 7 중량부 이하, 6 중량부 이하, 5 중량부 이하 또는 4 중량부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중합체 성분이 상기 단위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에 의해서 목적하는 물성의 경화성 조성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중합체 성분은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5만 내지 12만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중합체 성분은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6만 이상, 7만 이상 또는 약 8만 이상일 수 있으며, 약 11.5 만 이하, 11.0 만 이하 또는 약 10.5만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g/mol)은 GPC(gel permeation chromatiogryaphy)에 의해 본 실시예에 기재된 방식으로 측정되는 폴리스티렌에 대한 환산 수치를 의미할 수 있고,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어떠한 중합체의 분자량은 그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의미할 수 있다.
중합체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상기 범위 내로 제어함으로써 적정한 가교 효과, 인장 성능 및 단차 흡수성 등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중합체 성분은 중합체(즉, 2 이상의 단량체가 중합된 형태의 성분으로서 고분자나 올리고머 등)를 60 내지 80 중량%의 범위 내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중합체 성분과 함께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목적하는 가교 구조의 확보를 위해서 상기 경화제로는, 2종 이상의 경화제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화제로는, 몰질량이 500 g/mol 이하인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용어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는, (메타)아크릴로일기 및/또는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 등의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2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이 때 상기 아크릴레이트 관능기의 수는 예를 들면, 2개 내지 10개, 2개 내지 9개, 2개 내지 8개, 2개 내지 7개, 2개 내지 6개, 2개 내지 5개, 2개 내지 4개 또는 2개 내지 3개의 범위 내의 수로 존재할 수 있다. 적절한 가교 구조를 위해서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로는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인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트)아크릴옥시 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화시클로헥실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디시클로펜탄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헥사히드로프탈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 디(메타)아크릴레이트,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등의 2관능형;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메트)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관능형;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형;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형; 및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6관능형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로는 분자량이 약 500 g/mol 이하인 성분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분자량은 다른 예시에서 약 450 g/mol 이하, 약 400 g/mol 이하, 약 350 g/mol 이하, 약 300 g/mol 이하 또는 약 250 g/mol 이하이거나, 약 50 g/mol 이상, 약 55 g/mol 이상, 약 60 g/mol 이상, 약 65 g/mol 이상, 약 70 g/mol 이상, 약 75 g/mol 이상, 약 80 g/mol 이상, 약 85 g/mol 이상, 약 90 g/mol 이상, 약 95 g/mol 이상, 약 100 g/mol 이상, 약 110 g/mol 이상, 약 120 g/mol 이상, 약 130 g/mol 이상, 약 140 g/mol 이상, 약 150 g/mol 이상, 약 160 g/mol 이상, 약 170 g/mol 이상, 약 180 g/mol 이상, 약 190 g/mol 이상 또는 약 200 g/mol 이상 정도일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분자량을 가지는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로서 지방족 비고리형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를 적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경화제로 적용될 수 있는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고, 그 예로는 톨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보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과 같은 디이소시아네이트나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종류와 폴리올(ex. 트리메틸롤 프로판)과의 반응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로는, 폴리올,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및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의 반응물 또는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및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의 반응물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폴리올 단위,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단위 및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단위를 포함하거나, 혹은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단위 및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폴리올로는 디올이 적용될 수 있고, 디올로는 저분자량 디올, 폴리엔 골격을 가지는 디올, 폴리에스테르 골격을 가지는 디올, 폴리에테르 골격을 가지는 디올 및 폴리카보네이트 골격을 가지는 디올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저분자량 디올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네오펜틸글리콜,3-메틸-1,5-펜탄디올 및/또는 1,6-헥산디올 등이 예시될 수 있고, 폴리엔 골격을 가지는 디올로는 폴리부타디엔 골격을 가지는 디올, 폴리이소프렌 골격을 가지는 디올, 수소 첨가형 폴리부타디엔 골격을 가지는 디올 및/또는 수소 첨가형 폴리이소프렌 골격을 가지는 디올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폴리에스테르 골격을 가지는 디올로는 상기 저분자량 디올 또는 폴리카프로락톤 디올 등의 디올 성분과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 등의 산 성분과의 에스테르화 반응물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에서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로는 아디프산, 숙신산, 프탈산, 테트라히드르후탈산, 헥사하이드로프탈산 및/또는 테레프탈산 등 및 이들의 무수물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테르 디올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폴리카보네이트 디올로는 상기 저분자량 디올 또는/및 비스페놀 A 등의 비스페놀과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탄산 디부틸 에스테르 등의 탄산 디알킬 에스테르의 반응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엔 골격을 가지는 디올로는 수소 첨가형 폴리디엔 골격을 가지는 디올이 적용될 수 있는데, 그 예로는 이소프렌, 1,3-부타디엔 및 1,3-펜타디엔 등의 모노머의 중합체 말단에 디올을 가지는 화합물 및 이들 모노머의 중합체의 말단에 디올을 가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로는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라이신 메틸에스테르 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다이머산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사이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디이소시아네이트 디메틸사이클로헥산 등의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3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로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량체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3량체 등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또는 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또는 트리메티롤프로판의 모노 또는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의 모노, 디 또는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롤프로판의 모노, 디 또는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디펜타에리트리톨의 모노, 디, 트리, 테트라 또는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기 및 2개 이상의(메타) 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화합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성분을 적용하여 목적하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하는 방식은 공지이다. 예를 들면, 공지의 방식에 따라서 폴리올과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화합물을 제조하고, 이것과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키는 방식이나, 폴리올,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및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동시에 반응시키거나, 혹은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및 히드록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로는, 일 예로서, 수평균분자량(Mn)이 2,000 내지 50,000 g/mol의 범위 내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2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즉 (메타)아크릴로일기 및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로부터 선택되는 관능기를 2개 포함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평균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 방식에 의해 측정된 표준 폴리스티렌의 환산 수치이다.
일 예시에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로는 2관능 지방족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SUO 1020(신아티앤씨社제), SUO 1200(신아티앤씨社제), SUO 4120(신아티앤씨社제), SUO M2000(신아티앤씨社제) 또는 SUO 2150(신아티앤씨社제) 등으로 시판되어 있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와 같은 경화제 중에서 적정한 2종의 경화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목적하는 화학적 가교 및 물리적 엉킴을 적절하게 달성하기 위해서 경화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일 예시에서 본 출원의 경화성 조성물에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화합물이기 때문에,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제조에 적용되어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이미 소실된 경우는 제외된다.
상기 경화제는 상기 중합체 성분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10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0.05 중량부 이상, 0.1 중량부 이상, 0.15 중량부 이상 또는 0.2 중량부 이상 정도이거나, 9 중량부 이하, 8 중량부 이하, 7 중량부 이하, 6 중량부 이하, 5 중량부 이하, 4 중량부 이하, 3 중량부 이하, 2 중량부 이하, 1 중량부 이하, 0.9 중량부 이하, 0.8 중량부 이하, 0.7 중량부 이하, 0.6 중량부 이하, 0.5 중량부 이하, 0.4 중량부 이하 또는 0.3 중량부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2종 이상의 경화제가 적용되는 경우에 적용된 각 경화제의 비율은 목적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화제로서, 상기 몰질량이 500 g/mol 이하인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및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상기 중합체 성분 100 중량부 대비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 내의 비율로 포함되고, 상기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C) 및 몰질량이 500 g/mol 이하인 다관능 아크릴레이트(D)의 중량 비율(C/D)이 5 내지 50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상기 중합체 성분 100 중량부 대비 0.05 중량부 이상, 0.1 중량부 이상, 0.15 중량부 이상 또는 0.2 중량부 이상 정도이거나, 9 중량부 이하, 8 중량부 이하, 7 중량부 이하, 6 중량부 이하, 5 중량부 이하, 4 중량부 이하, 3 중량부 이하, 2 중량부 이하, 1 중량부 이하, 0.9 중량부 이하, 0.8 중량부 이하, 0.7 중량부 이하, 0.6 중량부 이하, 0.5 중량부 이하, 0.4 중량부 이하 또는 0.3 중량부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량 비율(C/D)은, 다른 예시에서 10 이상, 15 이상 또는 18 이상이거나, 45 이하, 40 이하, 35 이하, 30 이하, 25 이하 또는 22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목적하는 가교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성분 외에도 필요한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화성 조성물은, 라디칼 개시제, 예를 들면 광 라디칼 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라디칼 개시제로는, 예를 들면, 벤조인,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 n-부틸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니노 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잔톤(thioxanthone), 2-에틸티오잔톤, 2-클로로티오잔톤, 2,4-디메틸티오잔톤, 2,4-디에틸티오잔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 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미노 안식향산 에스테르,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논] 또는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라디칼 개시제는 예를 들면, 경화성 조성물 내에서 적절한 비율로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중합체 성분 100 중량부 대비 대략 0.1 내지 3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은 또한 실란 커플링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점착제의 밀착성 및 접착 안정성을 향상시켜, 내열성 및 내습성을 개선하고, 또한 가혹 조건에서 장기간 방치되었을 경우에도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예를 들면,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 메틸디에톡시 실란,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3-머캅토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 실란, 감마-메타크릴록시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감마-메타크릴록시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감마-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감마-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3-이소시아네이토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감마-아세토아세테이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감마-아세토아세테이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베타-시아노아세틸 트리메톡시 실란, 베타-시아노아세틸 트리에톡시 실란, 아세톡시아세토 트리메톡시 실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아세토아세테이트기 또는 베타-시아노아세틸기를 갖는 실란계 커플링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란 커플링제는 적절한 비율로 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중합체 성분 100 중량부 대비 약 0.01 중량부 내지 약 5 중량부 정도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은 또한 필요한 경우에 산화 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면,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 황계 산화 방지제, 페닐 아세트산 계열의 산화 방지제 또는 인계의 산화 방지제 등이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산화 방지제는 경화성 조성물 내에서 상기 중합체 성분 100 중량부 대비 약 0.01 중량부 내지 약 5 중량부 또는 약 0.01 중량부 내지 약 1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은, 대전 방지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대전 방지제로는 통상 이온성 화합물이 적용된다. 이온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금속염 또는 유기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대전 방지제는 경화성 조성물 내에서 상기 중합체 성분 100 중량부 대비 약 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목적하는 도전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비율이 적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경화성 조성물은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광 조사 등을 통하여 경화성 조성물의 중합 반응을 개시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파-히드록시케톤계 화합물(ex. IRGACURE 184, IRGACURE 500, IRGACURE 2959, DAROCUR 1173; Ciba Specialty Chemicals(제)); 페닐글리옥실레이트 (phenylglyoxylate)계 화합물(ex. IRGACURE 754, DAROCUR MBF; Ciba Specialty Chemicals(제)); 벤질디메틸케탈계 화합물(ex. IRGACURE 651; Ciba Specialty Chemicals(제)); a-아미노케톤계 화합물(ex. IRGACURE 369, IRGACURE 907, IRGACURE 1300; Ciba Specialty Chemicals(제)); 모노아실포스핀계 화합물(MAPO)(ex. DAROCUR TPO; Ciba Specialty Chemicals(제)); 비스아실포스펜계 화합물(BAPO)(ex. IRGACURE 819, IRGACURE 819DW; Ciba Specialty Chemicals(제)); 포스핀옥시드계 화합물(ex. IRGACURE 2100; Ciba Specialty Chemicals(제)); 메탈로센계 화합물(ex. IRGACURE 784; Ciba Specialty Chemicals(제)); 아이오도늄염(iodoniμm salt)(ex. IRGACURE 250; Ciba Specialty Chemicals(제)); 및 상기 중 하나 이상의 혼합물(ex. DAROCUR 4265, IRGACURE 2022, IRGACURE 1300, IRGACURE 2005, IRGACURE 2010, IRGACURE 2020; Ciba Specialty Chemicals(제))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광개시제로서 400nm 이상의 흡수 파장대를 가지는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 광개시제의 흡수 파장대를 조절함으로써, 우수한 경화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중합체 성분 100 중량부 대비 2 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약 1 중량부 이하 또는 약 0.5 중량부 이하 일 수 있으며, 약 0.001 중량부 이상, 약 0.005 중량부 이상 또는 약 0.01 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다. 광개시제가 상기 범위내로 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 경화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경화성 조성물은 전술한 400nm 이상의 파장대를 흡수하는 광개시제(이하, '제 1 광개시제'라고 호칭할 수 있다.) 이외에 추가로 260nm 내지 330nm 범위의 파장영역을 흡수하는 후경화 광개시제(이하, '제 2 광개시제'라고 호칭할 수 있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광개시제로는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단량체 단위로서 중합체 성분 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성분으로 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될 수도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화학식 3에서 R은 수소 또는 알킬기이고, Ar1은 아릴렌기이며, Ar2는 아릴기이다.
화학식 3에서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의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기가 예시될 수 있다.
화학식 3에서 아릴렌기 또는 아릴기는 탄소수 6 내지 30, 탄소수 6 내지 26, 탄소수 6 내지 22, 탄소수 6 내지 18, 탄소수 6 내지 14,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렌기 또는 아릴기이거나, 페닐렌기 또는 페닐기일 수 있고, 이러한 아릴렌기 또는 아릴기는 치환 상태이거나, 비치환 상태일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의 예로는, 벤조일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4-Benzoylphenyl methacrylate)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2 광개시제는 중합체 성분 100 중량부 대비 0.001 내지 1 중량부의 범위내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율 하에서 적절한 후경화를 달성하면서 목적하는 물성을 가지는 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경화성 조성물 또는 그 경화물(반경화 타입의 경우, 1차 경화물 또는 2차 경화물(후경화물))은 최대 인장강도가 250 초과 gf 내지 600gf 이하 범위 내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약 260 gf 이상 또는 약 270 gf 이상 일 수 있으며, 약 600 gf 이하, 580 gf 이하, 560 gf 이하 또는 약 540 gf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최대 인장 강도는, 인장 시험 과정에서 시편이 파단될 때의 인장 강도를 의미하고, 이 때 상기 인장 시험을 수행하는 방식은 상기 일반식 1의 A값을 구하는 경우와 유사하다.
구체적으로 우선 A값(인성값)의 측정과 같이 측정 대상(점착제 조성물 또는 그 경화물(반경화 타입의 경우 1차 경화물 또는 2차 경화물)을 재단하여 필름 형태의 시편을 제조한다. 이 때의 필름 형태의 시편은 가로의 크기가 4cm 정도이고, 세로의 크기가 1 cm 정도이며, 두께가 약 600μm 정도가 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시편을 인장 시험기(ex. TA 장비(Texture analyser plus))에 장착하고, 일정 속도로 인장한다. 이 때 상기 인장의 방향은 상기 시편의 가로 방향과 평행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시편의 양 말단을 1 cm씩 상기 인장 시험기에 고정하고, 일정 속도로 시편을 인장할 수 있다. 이 때 인장은 약 1,000 mm/min의 인장 속도로 수행한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약 1,000 mm/min 정도의 속도로 인장하면서, 시편이 파단될 때의 인장강도를 최대 인장강도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최대 인장강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적절한 타발 성능, 핸들링성 및 단차 흡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경화성 조성물 또는 그 경화물(반경화 타입의 경우, 1차 경화물 또는 2차 경화물(후경화물))은 100kHz의 주파수에서 유전율이 4.0 이하일 수 있다. 다른예로 약 3.9 이하, 약 3.8 이하 또는 약 3.7 이하일 수 있으며, 약 2.0 이상, 2.1 이상, 2.2 이상, 2.3 이상, 2.4 이상 또는 약 2.5 이상, 2.6 이상, 2.7 이상, 2.8 이상, 2.9 이상, 3 이상, 3.1 이상, 3.2 이상, 3.3 이상, 3.4 이상 또는 3.5 이상 정도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전술한 일반식 1을 만족하고,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단위 및 질소 함유 단량체 단위를 소정의 함량비율로 중합체 성분에 포함되며, 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부터 형성된 경화물은, 100kHz의 주파수에서 4.0 이하의 유전율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터치패널과 같은 광학 부재에 적용되는 경우 우수한 터치 민감도를 부여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점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점착 필름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점착 필름은 기재(20) 및 상기 기재상에 형성된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물은 1차 경화물 또는 2차 경화물일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는 전술한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은 우수한 인장강도, 고온/고습환경에서의 백탁 억제 효과 감소 방지, 낮은 유전율 및 우수한 단차 흡수 성능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기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점착제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기재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형처리가 된 PET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상기 경화성 조성물 또는 그 경화물(점착제, 반경화 타입의 경우, 1차 경화물 또는 2차 경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 예시에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상기 경화성 조성물 또는 그 경화물(점착제)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OCA 또는 OCR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구성이나 상기 OCA 또는 OCR의 적용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단차 흡수성과 단차 매립성 및 타발성이 우수하고, 백탁이 방지되며, 낮은 유전율도 구현될 수 있는 경화성 조성물 및 그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출원에 따른 경화성 조성물은 단차가 있는 기판 등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단차 부위에 들뜸이나 지연성 기포(delayed bubble)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고온/고습의 환경에서 백탁 억제 효과가 유지되며, 유전율이 낮고, 타발성능 및 핸들링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은 우수한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점착 필름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인장거리(distance) 대비 인장강도(force)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 타발 인자
점착제 조성물의 타발 인자(F)(단위: gf/μm)값은 하기 일반식 1에 따라 구해진다.
[일반식 1]
F = 10 × (A / S)
일반식 1에서, F는 타발 인자(단위: gf/μm)이다.
일반식 1에서 A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점착제)의 인성값(toughness, 단위: gf·mm)이며, 이는 하기의 방식으로 측정한다.
우선 상기 점착제를 필름 형태로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한다. 이 때 상기 필름 형태의 시편은, 점착제를 가로가 4 cm이며, 세로가 1 cm인 소정 두께의 필름 형태로 재단하여 제조한다. 상기 필름 형태의 시편을 인장 시험기(TA 장비(Texture analyzer plus))에 가로 방향이 인장 방향이 되도록 고정하고, 이 때 시편의 가로 방향 양 끝 1 cm씩을 고정한다. 그 후, 상기 시편을 1,000 mm/min 정도의 속도로 인장시키면서 인장 거리가 200 mm가 될 때까지 인장한다. 상기 인장 과정에서의 인장 강도(gf)를 y축으로 하고, 인장 거리(mm)를 x축으로 하여 작성한 그래프를 적분하여 상기 인성값을 구할 수 있다.
일반식 1에서 S는 상기 시편의 인장되는 방향의 면(측면)의 면적이고, 단위는 μm·mm이다. 즉, 상기 시편의 측면의 두께는 단위 μm의 값으로 적용하고, 세로 방향의 길이(1cm)는 mm 단위로 환산하여 상기 S를 구할 수 있다.
2. 분자량 평가
중합체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를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측정하였으며, 검량선의 제작에는 Agilent system의 표준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여 측정 결과를 환산하였다.
<측정 조건>
측정기: Agilent GPC (Agilent 1200 series, U.S.)
컬럼: PLGel-M, PLGel-L 직렬 연결
컬럼 온도: 35℃
용리액: THF(Tetrahydrofuran)
유속: 1.0 mL/min
농도: ~ 1 mg/mL (100 μL injection)
3. 백탁 평가
1.1 mm 두께의 유리 기판과 0.55 mm 두께의 유리 기판을 실시예 또는 비교에의 점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한다.
이어서 상기 적층체를 40 ℃ 및 4bar 조건의 오토클레이브(auto clave)에 10분간 방치한 후에 metal halide lamp를 이용하여 3J의 광량으로 자외선을 상기 점착제에 조사하여 후경화 하였다.
그 후, 85 ℃ 및 85%의 상대 습도 조건에서 유리에 부착된 상기 점착제를 200시간 보관하고, 상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흰 반점(또는, 백탁)이 관찰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하기 표 1은 백탁 성능 평가 기준이다.
등급 백탁
이상 없음
× 백탁 발생
4. 단차 흡수 평가 실시예 또는 비교에의 점착 필름을 가로 및 세로가 각각 8.0cm 및 14.0cm가 되도록 재단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그 후 15μm 높이의 인쇄 단차를 가지는 베젤부 및 화면부를 가지는 유리 기판상에 상기 시편에서 일측면의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1.5 bar의 압력으로 1차 라미네이션하고, 시편의 다른 측면의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그 위에 0.55 mm 두께의 유리 기판을 적층하고 1.5bar의 압력으로 2차 라미네이션하였다.
이어서, 40 ℃ 및 4bar 조건의 오토클레이브(auto clave)에 10분간 방치한 후 베젤부의 4개의 꼭지점 부분에서 단차를 충분히 극복하지 못하여 생성되는 기포의 개수 및 베젤부의 모서리 부분에 존재하는 기포의 개수를 확인하여 단차 흡수 성능을 평가하였다. 하기 표 2은 단차 흡수 평가 기준이다.
등급 꼭지점 기포 모서리 기포
1~2 개 10개 미만
3~4 개 10개 미만
4 개 10개 이상
× 4 개 10개 이상 및 선 형태
5. 인장 평가 실시예 또는 비교에에서 제조된 점착제층을 6매 적층하여 두께가 600 μm 정도가 되도록 한 후, 가로가 4.0cm 정도이고, 세로가 1.0cm 정도가 되도록 재단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그 후, TA 장비(Texture analyser plus)에 시편을 가로 방향이 인장 방향이 되도록 시편의 양 끝을 1cm씩 고정하고, 약 1,000 mm/min 의 속도로 450 mm까지 인장하여 인장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후 인장 강도를 평가하여 최대 인장 강도(단위: gf)에 따라 하기 표 3에 나타난 기준으로 인장 성능을 평가하였다.
등급 최대인장강도
550 초과
410 초과 내지 550 이하
250 초과 내지 410 이하
× 250 이하
상기 평가 기준에서 최대인장강도는 시편이 파단될 때의 인장 강도이고, 단위는 gf이다.
6. 유전율 평가
실시예 또는 비교에에서 제조된 점착 필름을 가로 및 세로가 각각 2mm 및 5mm가 되도록 재단하고, metal halide lamp를 이용하여 3J의 광량으로 점착제층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후경화 하였다. 그 후, 유전율 측정 장치(애질런트社, E4980A LCR meter + 16451B dielectric test fixture 장치)를 이용하여 유전율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중합체 성분 제조
질소 가스가 환류되고, 온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 장치를 설치한 2L의 반응기에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EHA),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EHMA), 아크릴아미드(AAm) 및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BoA)를 하기 표 4와 같이 80:6:7:4:3의 중량부 비율(EHA:HEA:EHMA:AAm:IBoA)로 투입하여 단량체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산소 제거를 위하여 질소 가스로 1 시간 퍼징하고, 온도를 약 67 ℃로 승온한 상태에서 에틸 아세테이트에 50 중량% 농도로 희석시킨 AIBN(Azobisisobutyronitrile)을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 대비 약 0.03 중량부로 투입한 후에 8 시간 동안 반응시켜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10.9만 정도인 시럽 형태의 중합체 성분을 제조하였다.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의 제조
상기 제조된 중합체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기 표 5와 같이 추가 성분을 배합하여 경화성 조성물(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경화성 조성물을 이형 처리된 이형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의 이형 처리면에 도포하고, 코팅층상에 추가의 이형 PET 필름의 이형 처리면을 합지한 후에 metal halide lamp로 자외선을 3분 정도 조사(1 J)하여 두께가 약 100μm 정도인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점착제층에 대해서 측정한 상기 타발 인자(F)는 35.9 gf/μm였다.
실시예 2
중합체 성분 제조 시에 사용된 단량체의 종류 및 비율을 하기 표 4과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중량평균분량(Mw)이 약 8.5만인 중합체 성분을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점착제층과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점착제층에 대해서 측정한 타발 인자(F)는 약 68.4 gf/μm 정도였다.
비교예 1
중합체 성분 제조 시에 사용된 단량체의 종류 및 비율을 하기 표 4과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중량평균분량(Mw)이 약 9.6만인 중합체 성분을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점착제층과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점착제층에 대해서 측정한 타발 인자(F)는 약 20.6 gf/μm 정도였다.
비교예 2
중합체 성분 제조 시에 사용된 단량체의 종류 및 비율을 하기 표 4과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중량평균분량(Mw)이 약 10만인 중합체 성분을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점착제층과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점착제층에 대해서 측정한 타발 인자(F)는 약 22.8 gf/μm 정도였다.
비교예 3
중합체 성분 제조 시에 사용된 단량체의 종류 및 비율을 하기 표 4과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중량평균분량(Mw)이 약 8.5만인 중합체 성분을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점착제층과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점착제층에 대해서 측정한 타발 인자(F)는 약 69.7 gf/μm 정도였다.
비교예 4
중합체 성분 제조 시에 사용된 단량체의 종류 및 비율을 하기 표 4과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중량평균분량(Mw)이 약 4.1만인 중합체 성분을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점착제층과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점착제층에 대해서 측정한 타발 인자(F)는 약 6.4 gf/μm 정도였다.
비교예 5
중합체 성분 제조 시에 사용된 단량체의 종류 및 비율을 하기 표 4과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중량평균분량(Mw)이 약 8.5만인 중합체 성분을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점착제층과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점착제층에 대해서 측정한 타발 인자(F)는 약 13.1 gf/μm 정도였다.
비교예 6
중합체 성분 제조 시에 사용된 단량체의 종류 및 비율을 하기 표 4과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중량평균분량(Mw)이 약 10.9만인 중합체 성분을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점착제층과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점착제층에 대해서 측정한 타발 인자(F)는 약 30.2 gf/μm 정도였다.
(단위: 중량부) EHA HEA EHMA mAAm AAm IBoA
실시예 1 80 6 7 - 4 3
실시예 2 80 4 7 - 6 3
비교예 1 74 8 11 4 - 3
비교예 2 70 14 9 4 - 3
비교예 3 78 6 7 - 6 3
비교예 4 78 6 7 - 6 3
비교예 5 82 6 7 - 2 3
비교예 6 80 6 7 - 4 3
*EHA: 2-Ethylhexyl acrylate
*HEA: 2-Hydroxyethyl acrylate
*EHMA: 2-Ethylhexyl methacrylate
*mAAm: Methacrylamide
*AAm: Acrylamide
*IBoA: Isobornyl acrylate
(단위: 중량부) 중합체 성분 I651 BPMA SUO-1020 HDDA KBM403
실시예 1 100 0.23 0.06 0.2 0.01 0.2
실시예 2 100 0.23 0.06 0.2 0.01 0.2
비교예 1 100 0.23 0.06 0.2 0.01 0.2
비교예 2 100 0.23 0.06 0.2 0.01 0.2
비교예 3 100 0.23 0.06 0.2 0.01 0.2
비교예 4 100 0.23 0.06 0.2 0.01 0.2
비교예 5 100 0.23 0.06 0.2 0.01 0.2
비교예 6 100 0.23 0.06 0.20 - 0.2
*I651: Ciba Specialty Chemicals 사
*BPMA: 4-Benzoylphenyl methacrylate
*SUO-1020: SHIN-A T&C사
*HDDA: 1,6-Hexanediol diacrylate
*KBM403: Shin-Etsu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평가 결과를 하기 표 6에 정리하여 기재하였다.
백탁 단차 인장강도
(단위: gf)
유전율(@100KHz)
실시예 1
(523)
3.65
실시예 2
(751)
3.52
비교예 1 ×
(377)
3.81
비교예 2 × ×
(383)
4.19
비교예 3
(842)
3.46
비교예 4 ×
(204)
3.60
비교예 5
(279)
3.47
비교예 6
(402)
3.67
표 4 및 6의 결과로부터 확인되는 것과 같이 실시예의 경화성 조성물(점착제 조성물)은, 서로 상반되는 물성인 적절한 타발성(적정 인장 강도)과 단차 흡수성이 동시에 확보되면서 백탁이 방지되고, 인장 특성이 우수하며 낮은 유전율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반면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4 및 비교예 5의 경우, 인장 강도가 떨어져서 타발성이 떨어질 것을 예상할 수 있었고, 비교예 3은, 단차 흡수 성능이 떨어졌다.
비교예 6 역시 인장 특성이 떨어져서 타발성이 떨어질 것을 예상할 수 있다.
10: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경화물
20: 기재

Claims (18)

  1.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위,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단위 및 질소 함유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 성분 및 경화제를 포함하고,
    타발 인자가 25 내지 100 gf/μm의 범위 내인 경화성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경화 전 또는 후에 최대 인장 강도가 250 gf 초과 및 600 gf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경화성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경화 전 또는 후에 100kHz의 주파수에서 유전율이 4.0 이하인 경화성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인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4

    화학식 1에서, R1은 알킬렌기이고, R2는 수소 또는 알킬기이다.
  5. 제 1 항에 있어서,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단위 및 질소 함유 단량체 단위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위 100 중량부 대비 8 내지 20 중량부로 중합체 성분에 포함되는 경화성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질소 함유 단량체 단위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위 100 중량부 대비 2 내지 10 중량부로 중합체 성분에 포함되는 경화성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질소 함유 단량체 단위(A) 및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단위(B)의 중량 비율(B/A)이 0.1 내지 5의 범위 내에 있는 경화성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 함유 단량체는 (메타)아크릴아미드, N-알킬 (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알킬 (메타)아크릴아미드, 1-아미노부트-3-엔-2-온, 1-(디메틸아미노)부트-3-엔-2-온, 1-(디메틸아미노)-3-메틸부트-3-엔-2-온, 5-아미노펜트-1-엔-3-온, 5-(디메틸아미노)펜트-1-엔-3-온, 5-(디메틸아미노)-2-메틸펜트-1-엔-3-온, 5-아미노-2-메틸펜트-1-엔-3-온 및 5-아미노-2-메틸헥스-1-엔-3-온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경화성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 성분은,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 성분은,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의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05

    화학식 2에서 R은 수소 또는 알킬기이고, Q는 탄소수 3 내지 20의 비방향족 고리 구조의 1가 치환기이다.
  11.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 성분은 중합체를 60 내지 80 중량%의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 성분은, 중량평균분자량(Mw)이 5만 내지 30만의 범위내인 점착제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경화제는, 몰질량이 500 g/mol 이하인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경화제는 중합체 성분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화성 조성물.
  15. 제 1 항에 있어서, 경화제는, 몰질량이 500 g/mol 이하인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및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중합체 성분 100 중량부 대비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 내의 비율로 포함되고, 상기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C) 및 몰질량이 500 g/mol 이하인 다관능 아크릴레이트(D)의 중량 비율(C/D)이 5 내지 50의 범위 내인 경화성 조성물.
  17.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pat00006

    화학식 3에서 R은 수소 또는 알킬기이고, Ar1은 아릴렌기이며, Ar2는 아릴기이다.
  18. 제 1 항의 경화성 조성물 또는 그 경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134049A 2019-10-16 2020-10-16 경화성 조성물 KR102398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581 2019-10-16
KR1020190128580 2019-10-16
KR20190128580 2019-10-16
KR20190128581 2019-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337A true KR20210045337A (ko) 2021-04-26
KR102398069B1 KR102398069B1 (ko) 2022-05-16

Family

ID=75537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049A KR102398069B1 (ko) 2019-10-16 2020-10-16 경화성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62359A1 (ko)
EP (1) EP4047066A4 (ko)
JP (1) JP7490765B2 (ko)
KR (1) KR102398069B1 (ko)
CN (1) CN113423747B (ko)
WO (1) WO20210759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693B1 (ko) * 2022-12-20 2023-08-29 율촌화학 주식회사 열경화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면 보호 필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9151A (ko) * 2010-11-08 2012-05-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20130072180A (ko) * 2011-12-21 2013-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20160016159A (ko) * 2014-08-04 2016-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20170049674A (ko) * 2015-10-27 2017-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경화성 점접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KR20180122185A (ko) * 2017-05-02 2018-1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20180122186A (ko) * 2017-05-02 2018-1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3779B2 (ja) * 1987-05-11 1995-06-07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アクリルエラストマ−の製造法
JP3577172B2 (ja) * 1996-09-02 2004-10-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難燃性光重合性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難燃性粘着テープ
JP5842825B2 (ja) * 2010-12-10 2016-01-13 日立化成株式会社 光学用粘着材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光学用粘着材シート及び画像表示装置
JP5688338B2 (ja) * 2011-07-12 2015-03-25 綜研化学株式会社 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用積層体
JP5764435B2 (ja) * 2011-08-29 2015-08-19 綜研化学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用積層体
JP5426715B2 (ja) * 2011-09-30 2014-02-2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粘着剤層、および粘着シート
JP6393921B2 (ja) * 2013-11-20 2018-09-26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5189938A (ja) * 2014-03-28 2015-11-02 アイカ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
JP6325328B2 (ja) * 2014-04-24 2018-05-16 綜研化学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用積層体
KR101882560B1 (ko) * 2014-08-01 2018-07-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광학부재 및 점착시트
KR101906637B1 (ko) * 2014-09-17 2018-10-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광학용 점착 필름 및 터치 스크린 패널
WO2017030099A1 (ja) * 2015-08-17 2017-02-23 日立化成株式会社 複合材料、ソルダーレジスト用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感光性エレメント
EP3351575A4 (en) * 2015-09-16 2019-05-15 KJ Chemicals Corporation URETHANE OLIGOMER BASED ON (METH) ACRYLAMIDE AND ACTIVE-ENERGY-RAY-CURABL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2017012B1 (ko) * 2016-01-05 2019-09-03 주식회사 엘지화학 3층 구조의 반경화형 광학 점착 필름
CN111909622B (zh) * 2017-08-08 2022-04-29 三菱化学株式会社 光固化性粘合片
KR20190128581A (ko) 2018-05-08 2019-1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EP3689926B1 (en) 2018-05-08 2023-03-15 Lg Chem, Ltd. Modified conjugated diene-based polymer and rubber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JP6796151B2 (ja) * 2019-01-04 2020-12-02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9151A (ko) * 2010-11-08 2012-05-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20130072180A (ko) * 2011-12-21 2013-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20160016159A (ko) * 2014-08-04 2016-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20170049674A (ko) * 2015-10-27 2017-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경화성 점접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KR20180122185A (ko) * 2017-05-02 2018-1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20180122186A (ko) * 2017-05-02 2018-1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693B1 (ko) * 2022-12-20 2023-08-29 율촌화학 주식회사 열경화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표면 보호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47066A4 (en) 2023-11-22
CN113423747B (zh) 2024-04-12
KR102398069B1 (ko) 2022-05-16
US20220162359A1 (en) 2022-05-26
JP2022553681A (ja) 2022-12-26
JP7490765B2 (ja) 2024-05-27
EP4047066A1 (en) 2022-08-24
CN113423747A (zh) 2021-09-21
WO2021075901A1 (ko)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0789B1 (en) Adhesive composition
JP5599177B2 (ja) 光学用粘着剤組成物、光学用粘着剤及び光学フィルム
KR101082447B1 (ko)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JP5563411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および光学フィルム
EP2770000B1 (en) Active-energy-ray-curable resin composition, adhesive, and laminate film
EP2223983A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polarizers, and liquid crystal displays comprising the same
KR101727948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 시트
KR20200026741A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경화물 및 점착시트
US20210139744A1 (en) Photocurable adhesive sheet, adhesive sheet laminate, laminate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70006953A (ko) 하드코팅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398069B1 (ko) 경화성 조성물
KR102543751B1 (ko) 경화성 조성물
JP5527886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CN113518808B (zh) 粘合片及其制造方法以及图像显示装置
KR20180036223A (ko)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KR20120137780A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시트
KR20120138481A (ko) 광학용 점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50418B1 (ko) 편광판
KR20180125271A (ko)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KR20180032132A (ko)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KR20220125426A (ko) 경화성 조성물
TW202330832A (zh) 黏著片及黏著片的製造方法
KR20180031428A (ko)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KR20140083267A (ko) 방현층 형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현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