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089A - 고무 라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무 라벨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4089A
KR20210044089A KR1020190127220A KR20190127220A KR20210044089A KR 20210044089 A KR20210044089 A KR 20210044089A KR 1020190127220 A KR1020190127220 A KR 1020190127220A KR 20190127220 A KR20190127220 A KR 20190127220A KR 20210044089 A KR20210044089 A KR 20210044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layer
base
urethane resin
lab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9901B1 (ko
Inventor
박형진
Original Assignee
박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진 filed Critical 박형진
Priority to KR1020190127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901B1/ko
Publication of KR20210044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1/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 B31D1/02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the articles being labels or t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1/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 B31D1/02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the articles being labels or tags
    • B31D1/021Making adhesive labels having a multilayered structure, e.g. provided on carrie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 B05D3/065After-treatment
    • B05D3/067Curing or cross-linking the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23C14/021Cleaning or etching treat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4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 C23C14/20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on organic subst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 라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면에 원하는 형상의 문양부가 양각 형태로 돌출 형성되도록 고무판 베이스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고무판 베이스의 문양부 상면에 잔존하는 유분(油分)의 제거를 통해 접착력을 증진시켜 메탈 컬러 도포층의 증착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베이스 도포층을 도포하는 단계와; 자외선을 정해진 시간(t1) 동안 조사시켜 상기 하도 베이스 도포층을 건조 및 경화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 하도 베이스 도포층의 상면에 주석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을 진공 하에서 정해진 온도로 가열/증발시켜 원하는 색상의 컬러가 나타날 수 있도록 메탈 컬러 도포층을 정해진 두께만큼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메탈 컬러 도포층을 보호함과 동시에 증착된 메탈 컬러 도포층의 색상에 대한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탈 컬러 도포층 상면에 상도 베이스 도포층을 도포하는 단계와; 자외선을 정해진 시간(t2) 동안 조사시켜 상기 상도 베이스 도포층을 건조 및 경화시켜 주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고무 라벨의 문양부가 화려하고 빛나는 금속 색상을 갖게 할 수 있어 라벨의 핵심인 문양부가 사람들의 눈에 잘 뜨여 식별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자체의 외관상 미려함과 심미감을 대폭 향상시켜 줄 수 있음은 물론 해당 라벨이 부착되는 제품의 상품성과 품질에 대한 고급화를 대폭 증대시켜 줄 수 있다.

Description

고무 라벨 제조방법{Rubber Label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고무 라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나 섬유, 신발, 가방, 모자 등과 같은 제품에 상표, 상호, 도형 등으로 부착하는 라벨을 고무판을 이용하여 제조함에 있어서, 고무판 베이스의 상면으로 돌출 성형시킨 문양부 위에 하도 베이스 도포층과 메탈 컬러(예를 들어 골드 또는 실버 등) 도포층 및 상도 베이스 도포층을 순차적으로 증착시켜 라벨의 문양부가 눈에 잘 보여 자체의 외관상 미려함과 심미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라벨이 부착되는 제품의 상품성 향상과 고급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고무 라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나 섬유, 신발, 가방, 모자 등과 같은 제품에 부착되는 라벨은 제품의 브랜드 이름이나 특정문자, 도안 등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이미지를 부각시키거나 제품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라벨은 주로 직물 또는 피혁과 PVC 등의 합성수지, 그리고 실리콘 수지 등의 소재로 제작된다.
그런데, 피혁은 한정된 공급량, 물세탁의 어려움, 부패와 변질 등의 문제점이 있고, PVC는 가격은 저렴하나 PVC가 경질이고 열에 약하기 때문에 다림질을 할 수 없고 접었을 때 복원이 어려우며 촉감이 좋지 않고 유해물질이 발생하며 환경오염물질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리콘 수지 라벨은 실리콘 수지액을 금형판에 주입하고, 일정 온도를 가해 굳어지게 하는 열성형 방법으로 제조함에 따라 실리콘 수지 라벨은 두께가 두껍고 도형이나 문자를 정교하게 표현하기 어려우며 제조공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 일부에서는 원하는 문양이 돌출되도록 고무판 베이스를 금형을 통해 제작한 다음 문양부 상면에 원하는 색상의 페인트를 인쇄하는 방식으로 라벨을 제조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장기간 착용시 또는 해당 제품의 세탁시 문양부 상면에 인쇄된 색상이 벗겨지거나 스크래치 또는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라벨을 금속으로 제조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라벨 자체가 딱딱하여 제품의 사용시 사용자가 많은 불편함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시 금속 라벨이 부착되어 있는 해당 제품은 물론 같이 세탁하는 다른 제품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9909호(2015년 11월 23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69199호(2014년 11월 28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41757호(2012년 04월 24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316969호(2001년 11월 26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의류나 섬유, 신발, 가방, 모자 등과 같은 제품에 상표, 상호, 도형 등으로 부착하는 라벨을 고무판을 이용하여 제조함에 있어서, 고무판 베이스의 상면으로 돌출 성형시킨 문양부 위에 프라이머수지와 경질의 우레탄수지를 순차적으로 증착시키는 방식을 통해 하도 베이스 도포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주석 또는 알루미늄 분말 등과 같은 금속 분말을 증착시켜 원하는 색상(예를 들어 골드 또는 실버 등)의 메탈 컬러 도포층을 형성한 다음 연질의 투명 우레탄수지와 UV(ultra-violets) 코팅제 또는 경질의 투명 우레탄수지를 순차적으로 증착시키는 방식을 통해 상도 베이스 도포층을 형성하여 라벨의 문양부가 화려하고 빛나는 금속 색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라벨의 핵심인 문양부가 사람들의 눈에 잘 뜨여 식별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자체의 외관상 미려함과 심미감을 대폭 향상시켜 줄 수 있음은 물론 해당 라벨이 부착되는 제품의 상품성과 품질에 대한 고급화를 대폭 증대시켜 줄 수 있는 고무 라벨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무 라벨 제조방법은, 상면에 원하는 형상의 문양부가 양각 형태로 돌출 형성되도록 금형을 이용하여 정해진 형상 및 면적을 갖도록 고무판 베이스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고무판 베이스의 문양부 상면에 잔존하는 유분(油分)의 제거를 통해 접착력을 증진시켜 메탈 컬러 도포층의 증착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도 베이스 도포층을 도포하는 단계와; UV 램프를 통해 자외선을 정해진 시간(t1; 예를 들어 30초~1분 30초) 동안 조사시켜 상기 하도 베이스 도포층을 건조 및 경화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 하도 베이스 도포층의 상면에 주석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을 진공 하에서 정해진 온도로 가열/증발시켜 원하는 색상(예를 들어 골드 또는 실버 등)의 컬러가 나타날 수 있도록 메탈 컬러 도포층을 정해진 두께(예를 들어 2.0 ~ 4.0㎛)만큼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메탈 컬러 도포층을 보호함과 동시에 증착된 메탈 컬러 도포층의 색상에 대한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탈 컬러 도포층 상면에 상도 베이스 도포층을 도포하는 단계와; UV 램프를 통해 자외선을 정해진 시간(t2; 예를 들어 15~20분) 동안 조사시켜 상기 상도 베이스 도포층을 건조 및 경화시켜 주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도 베이스 도포층은, 상기 고무판 베이스의 문양부 상면에 잔존하는 유분을 제거시켜 주고 접착력을 증대시켜 주기 위해 프라이머수지를 정해진 두께(예를 들어 0.1 ~ 1.0㎛)로 도포시켜 프라이머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프라이머수지층의 상부에 메탈 컬러 도포층의 접착력 강화 및 경도 증대를 위해 경질의 우레탄수지를 정해진 두께(예를 들어 0.5 ~ 1.5㎛)로 도포시켜 제 1 우레탄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도 베이스 도포층은, 고무 라벨에 압력이 가해지거나 휘어질 경우 탄력성을 부여시켜 상기 메탈 컬러 도포층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질의 투명 우레탄수지를 정해진 두께(예를 들어 0.2 ~ 1.2㎛)로 도포시켜 제 2 우레탄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우레탄수지층의 상부에 크랙 또는 스크래치 발생 방지를 위해 UV 코팅제 또는 경질의 투명 우레탄수지를 정해진 두께(예를 들어 0.1 ~ 1.0㎛)로 도포시켜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무 라벨 제조방법에 의하면, 의류나 섬유, 신발, 가방, 모자 등과 같은 제품에 상표, 상호, 도형 등으로 부착하는 라벨을 고무판을 이용하여 제조함에 있어서, 고무판 베이스의 상면으로 돌출 성형시킨 문양부 위에 프라이머수지와 경질의 우레탄수지를 순차적으로 증착시키는 방식을 통해 하도 베이스 도포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주석 또는 알루미늄 분말 등과 같은 금속 분말을 증착시켜 원하는 색상(예를 들어 골드 또는 실버 등)의 메탈 컬러 도포층을 형성한 다음 연질의 투명 우레탄수지와 UV(ultra-violets) 코팅제 또는 경질의 투명 우레탄수지를 순차적으로 증착시키는 방식을 통해 상도 베이스 도포층을 형성하여 라벨의 문양부가 화려하고 빛나는 금속 색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라벨의 핵심인 문양부가 사람들의 눈에 잘 뜨여 식별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자체의 외관상 미려함과 심미감을 대폭 향상시켜 줄 수 있음은 물론 해당 라벨이 부착되는 제품의 상품성과 품질에 대한 고급화를 대폭 증대시켜 줄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공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여 제조한 고무 라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하여 제조한 고무 라벨의 종단면도.
도 3의 (a)~(h)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고무 라벨의 제조 공정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여 제조한 고무 라벨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하여 제조한 고무 라벨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의 (a)~(h)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고무 라벨의 제조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고무 라벨 제조방법은,
상면에 원하는 형상의 문양부(11)가 양각 형태로 돌출 형성되도록 금형을 이용하여 정해진 형상 및 면적을 갖도록 고무판 베이스(10)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고무판 베이스(10)의 문양부(11) 상면에 잔존하는 유분(油分)의 제거를 통해 접착력을 증진시켜 메탈 컬러 도포층(30)의 증착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도 베이스 도포층(20)을 도포하는 단계와;
UV 램프(50)를 통해 자외선을 정해진 시간(t1; 예를 들어 30초~1분 30초) 동안 조사시켜 상기 하도 베이스 도포층(20)을 건조 및 경화시켜 주는 단계와;
하도 베이스 도포층(20)의 상면에 주석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을 진공 하에서 정해진 온도로 가열/증발시켜 원하는 색상(예를 들어 골드 또는 실버 등)의 컬러가 나타날 수 있도록 메탈 컬러 도포층(30)을 정해진 두께(예를 들어 2.0 ~ 4.0㎛)만큼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메탈 컬러 도포층(30)을 보호함과 동시에 증착된 메탈 컬러 도포층(30)의 색상에 대한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탈 컬러 도포층(30)의 상면에 상도 베이스 도포층(40)을 도포하는 단계와;
UV 램프(50)를 통해 자외선을 정해진 시간(t2; 예를 들어 15~20분) 동안 조사시켜 상기 상도 베이스 도포층(40)을 건조 및 경화시켜 주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도 베이스 도포층(20)은,
상기 고무판 베이스(10)의 문양부(11) 상면에 잔존하는 유분을 제거시켜 주고 접착력을 증대시켜 주기 위해 프라이머수지를 정해진 두께(예를 들어 0.1 ~ 1.0㎛)로 도포시켜 프라이머수지층(21)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프라이머수지층(21)의 상부에 메탈 컬러 도포층(30)의 접착력 강화 및 경도 증대를 위해 경질의 우레탄수지를 정해진 두께(예를 들어 0.5 ~ 1.5㎛)로 도포시켜 제 1 우레탄수지층(22)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도 베이스 도포층(40)은,
고무 라벨에 압력이 가해지거나 휘어질 경우 탄력성을 부여시켜 상기 메탈 컬러 도포층(3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질의 투명 우레탄수지를 정해진 두께(예를 들어 0.2 ~ 1.2㎛)로 도포시켜 제 2 우레탄수지층(41)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우레탄수지층(41)의 상부에 크랙 또는 스크래치 발생 방지를 위해 UV 코팅제 또는 경질의 투명 우레탄수지를 정해진 두께(예를 들어 0.1 ~ 1.0㎛)로 도포시켜 보호막(42)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고무 라벨 제조방법에 대한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고무 라벨 제조방법은 도 1 내지 도 3의 (a)~(h)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고무판 베이스(10) 성형단계와 하도 베이스 도포층(20) 도포단계, 메탈 컬러 도포층(30) 증착단계, 1차 건조 및 경화단계, 상도 베이스 도포층(40) 도포단계 및 2차 건조 및 경화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고무판 베이스(10)는 150~250℃의 온도를 갖는 금형 내에 고무판을 삽입하고 3~35psi의 압력을 가하여 도 3의 (a)와 같이 정해진 형상 및 면적을 갖도록 성형함과 동시에 상면에 원하는 형상의 도형이나 문자 등을 포함하는 문양부(11)가 양각 형태로 돌출 형성된 형태를 갖도록 성형한다.
이와 같이 150~250℃의 온도를 갖는 금형 내에 고무판을 삽입하고 3~35psi의 압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고무판 베이스(10)를 성형시키게 되면 고무판 베이스(10)의 상면에 원하는 도형이나 문자 등을 포함하는 문양부(11)를 정교하게 표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한 번의 금형 작업으로 입체형 라벨 본체 즉, 고무판 베이스(10)를 제조할 수 있어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그에 따라 비용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상기 고무판 베이스(10)의 문양부(11) 상면에 형성시켜 주는 상기 하도 베이스 도포층(20)은 프라이머수지층(21)과 제 1 우레탄수지층(22)을 순차적으로 도포시켜 주는 방식을 통해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고무판 베이스(10)의 문양부(11) 상면에 도 3의 (b)와 같이 하도 베이스 도포층(20)을 도포시켜 주게 되면, 상기 고무판 베이스(10)의 문양부(11) 상면에 잔존하는 유분(油分)의 제거를 통해 접착력을 증진시켜 메탈 컬러 도포층(30)의 증착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도 베이스 도포층(20)을 성형하는 단계 중 상기 프라이머수지층(21)은, 상기 고무판 베이스(10)의 문양부(11) 상면에 프라이머수지를 스프레이 방식을 통해 정해진 두께로 도포시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고무판 베이스(10)의 문양부(11) 상면에 도 3의 (c)와 같이 상기 프라이머수지층(21)을 형성시켜 주면, 상기 고무판 베이스(10)의 문양부(11) 상면에 잔존하는 유분을 제거시켜 줄 수 있으므로 상기 프라이머수지층(21)과 상기 고무판 베이스(10)의 문양부(11) 상면 사이의 접착력을 유분의 존재 유무와 무관하게 대폭 증대시켜 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라이머수지층(21)의 두께는 0.1 ~ 1.0㎛가 되도록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의 두께는 프라이머수지의 점도 등을 조절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약 0.6㎛ 내외의 범위로 도포하는 것이 좋다.
1.0㎛를 초과하여, 두껍게 도포할 경우,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는 있으나 불필요하게 소재를 낭비하게 될 뿐만 아니라 건조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0.1㎛ 미만으로 얇게 도포할 경우,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으나 유분을 제거하고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본래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수지층(21)의 상부에 도포시켜 주는 제 1 우레탄수지층(22)은, 경화시 딱딱한 성질을 갖는 경질의 우레탄수지를 스프레이 방식을 통해 정해진 두께로 도포시켜 형성한다.
이와 같이 문양부(11)의 상면에 도포된 프라이머수지층(21)의 상부에 또 다시 경질의 우레탄수지을 도포하여 도 3의 (a)와 같이 제 1 우레탄수지층(22)을 형성시켜 주게 되면, 후술하는 메탈 컬러 도포층(30)의 접착력을 대폭 강화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경도도 대폭 증대시켜 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우레탄수지층(22)의 두께는 메탈 컬러 도포층(30)의 경도 강화를 감안하여 0.5 ~ 1.5㎛가 바람직하고, 약 1.0㎛ 내외 범위인 것이 더 바람직한데, 만약 1.5㎛를 초과하여 두껍게 도포할 경우, 후술하는 메탈 컬러 도포층(30)에 대한 경도를 더 강화시킬 수는 있으나 불필요한 소재 낭비 및 건조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클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질 때 크랙 등이 갈 우려가 있고, 0.5㎛ 미만으로 얇게 도포할 경우, 생산비는 절감할 수 있으나 메탈 컬러 도포층(30)에 대한 접착력 증대 및 경도를 강화시켜 주기 위한 본래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무판 베이스(10)의 상면에 프라이머수지층(21)과 제 1 우레탄수지층(22)으로 이루어진 하도 베이스 도포층(20)을 형성시킨 후에는, 상기 고무판 베이스(10)의 상부에서 도 3의 (d)와 같이 UV 램프(50)를 통해 자외선을 정해진 시간(t1) 동안 조사시켜 상기 하도 베이스 도포층(20)을 구성하고 있는 프라이머수지층(21)과 제 1 우레탄수지층(22)의 수지들이 건조 및 경화되게 한다.
이때, UV 램프(50)에서 발생하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하도 베이스 도포층(20)을 건조 및 경화시키는데 필요한 시간(t1)으로는 30초~1분 30초가 바람직하며, 이 시간은 UV 램프(50)의 출력 광량과 프라이머수지층(21) 및 제 1 우레탄수지층(22)의 두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약 1분 정도가 좋다.
1분 30초를 초과하여 자외선을 조사할 경우, 프라이머수지가 불필요하게 증발하고 우레탄수지는 너무 딱딱해져 후술하는 메탈 컬러 도포층(30)의 증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30초 미만으로 짧게 자외선을 조사할 경우는 상기 하도 베이스 도포층(20)을 구성하고 있는 프라이머수지층(21)과 제 1 우레탄수지층(22)의 수지가 덜 건조 및 경화되어 후술하는 메탈 컬러 도포층(30)의 증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메탈 컬러 도포층(30)은, 상기 하도 베이스 도포층(20)의 상면에 원하는 색상(예를 들어 골드 또는 실버 등)의 컬러가 나타날 수 있도록 10-4 ~ 10-6 torr 정도의 진공 하에서 주석 또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을 1,000~15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증발시키는 방식을 통해 도 3의 (e)와 같이 증착/형성한다.
이때, 상기 메탈 컬러 도포층(30)을 금속을 증착하는 형태를 갖는 것으로 그 두께는 2.0 ~ 4.0㎛ 정도가 바람직하고, 약 3.0㎛ 내외 범위인 것이 더 바람직한데, 만약 4.0㎛를 초과하여 두껍게 도포할 경우 불필요하게 생산원가가 상승될 뿐만 아니라 메탈 컬러 도포층(30)의 강도가 너무 강하고 탄성력 및 복원력이 약해져 외압에 의해 고무 라벨이 휘어질 경우 원상복귀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2.0㎛ 미만으로 얇게 증착할 경우, 원하는 색상(예를 들어 골드 또는 실버 등)의 컬러가 나타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 상기 메탈 컬러 도포층(30)의 상면에 형성시켜 주는 상기 상도 베이스 도포층(40)은, 제 2 우레탄수지층(41)과 보호막(42)을 순차적으로 도포시켜 주는 방식을 통해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메탈 컬러 도포층(30)의 상면에 상기 상도 베이스 도포층(40)을 도포시켜 주게 되면, 상기 메탈 컬러 도포층(30)을 외압으로부터 보호(즉, 크랙 또는 스크래치 발생 방지 등)해 줄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하도 베이스 도포층(20)의 상면에 증착된 메탈 컬러 도포층(30)의 색상에 대한 신뢰도(즉, 컬러의 선명성 유지 및 변색 등을 방지)를 대폭 증대시켜 줄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도 베이스 도포층(40)을 성형하는 단계 중 상기 제 2 우레탄수지층(41)은, 경화시 탄력성을 유지하도록 연질의 투명 우레탄수지를 스프레이 방식을 통해 상기 메탈 컬러 도포층(30)의 상면에 정해진 두께로 도포시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메탈 컬러 도포층(30)의 상면에 연질의 투명 우레탄수지를 스프레이 방식을 통해 정해진 두께로 도포하여 도 3의 (f)와 같이 제 2 우레탄수지층(41)을 형성시켜 주게 되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고무 라벨 자체에 압력이 가해지거나 휘어질 경우 탄력성을 부여시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휨에 대하여 상기 메탈 컬러 도포층(30)이 파손되지 않도록 탄력적으로 보호해 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우레탄수지층(41)의 두께는 0.2 ~ 1.2㎛가 바람직하고, 약 0.7㎛ 내외 범위인 것이 더 바람직한데, 만약 1.2㎛를 초과하여 두껍게 도포할 경우, 메탈 컬러 도포층(30)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은 강화시킬 수는 있으나 불필요한 소재 낭비 및 탄력성 부족과 컬러의 투시성이 부족할 우려가 있고, 0.2㎛ 미만으로 얇게 도포할 경우, 생산비는 절감할 수 있으나 메탈 컬러 도포층(30)에 대한 보호가능 저하와 탄성력 부족으로 본래의 메탈 컬러 도포층(30) 보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막(42)은 상기 제 2 우레탄수지층(41)의 상부에 UV 코팅제 또는 경질의 투명 우레탄수지를 정해진 두께로 도포시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우레탄수지층(41)의 상부에 UV 코팅제 또는 경질의 투명 우레탄수지를 정해진 두께로 도포시켜 도 3의 (g)와 같이 보호막(42)을 형성시켜 주게 되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고무 라벨의 외면(즉, 메탈 컬러 도포층(30)이 증착된 문양부의 표면)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 등에 의해 손상(즉, 크랙 또는 스크래치 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막(42)의 두께는 0.1 ~ 1.0㎛가 바람직하고, 약 0.6㎛ 내외 범위인 것이 더 바람직한데, 만약 1.0㎛를 초과하여 두껍게 도포할 경우, 불필요하게 소재를 낭비하게 될 뿐만 아니라 건조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0.1㎛ 미만으로 얇게 도포할 경우,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으나 보호막에 대한 본래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상도 베이스 도포층(40)의 보호막(42) 도포까지 완료시킨 후에는, 도 3의 (h)와 같이 상기 고무판 베이스(10)를 UV 램프(50) 저부에 위치시킨 다음, 자외선을 정해진 시간(t2) 동안 조사시켜 상기 상도 베이스 도포층(40)을 구성하고 있는 제 2 우레탄수지층(41)과 보호막(42)의 수지들을 건조 및 경화시켜 줌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라벨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때, UV 램프(50)에서 발생하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상도 베이스 도포층(40)을 건조 및 경화시키는데 필요한 시간(t2)으로는 15~20분이 바람직하며, 이 시간은 UV 램프(50)의 출력 광량과 제 2 우레탄수지층(41)과 보호막(42)의 두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약 18분 정도가 좋다.
여기서, 20분를 초과하여 자외선을 조사할 경우, 불필요하게 전력을 낭비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제 2 우레탄수지층(41)과 보호막(42)이 너무 경화됨은 물론 변색될 우려가 있고, 15분 미만으로 짧게 자외선을 조사할 경우는 상기 상도 베이스 도포층(40)을 구성하고 있는 제 2 우레탄수지층(41)과 보호막(42)의 수지가 덜 건조 및 경화되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 쉽게 패이는 등의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한편, 지금까지의 설명은 상기 하도 베이스 도포층(20)과 메탈 컬러 도포층(30) 및 상도 베이스 도포층(40)을 고무판 베이스(10)의 상면에 돌출된 문양부(11)에서 형성시켜 주는 단계 및 구성을 주로 설명하였는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하도 베이스 도포층(20)과 상도 베이스 도포층(40)은 문양부(11)의 외부로 노출된 고무판 베이스(10)의 상면 전체에 도포시킨 후 각 단계에서 건조 및 경화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고무판 베이스(10)의 상면 전체에 하도 베이스 도포층(20)과 상도 베이스 도포층(40)을 더 도포시켜 주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고무 라벨의 상면 전체가 미려하여 고급스러운 라벨의 형태를 갖게 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고무판 베이스 11 : 문양부
20 : 하도 베이스 도포층
21 : 프라이머수지층 22 : 제 1 우레탄수지층
30 : 메탈 컬러 도포층
40 : 상도 베이스 도포층
41 : 제 2 우레탄수지층 42 : 보호막
50 : UV 램프

Claims (7)

  1. 상면에 원하는 형상의 문양부가 양각 형태로 돌출 형성되도록 금형을 이용하여 정해진 형상 및 면적을 갖도록 고무판 베이스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고무판 베이스의 문양부 상면에 잔존하는 유분(油分)의 제거를 통해 접착력을 증진시켜 메탈 컬러 도포층의 증착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도 베이스 도포층을 도포하는 단계와;
    UV 램프를 통해 자외선을 정해진 시간(t1) 동안 조사시켜 상기 하도 베이스 도포층을 건조 및 경화시켜 주는 단계와;
    상기 하도 베이스 도포층의 상면에 주석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을 진공 하에서 정해진 온도로 가열/증발시켜 원하는 색상의 컬러가 나타날 수 있도록 메탈 컬러 도포층을 정해진 두께만큼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메탈 컬러 도포층을 보호함과 동시에 증착된 메탈 컬러 도포층의 색상에 대한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탈 컬러 도포층 상면에 상도 베이스 도포층을 도포하는 단계와;
    UV 램프를 통해 자외선을 정해진 시간(t2) 동안 조사시켜 상기 상도 베이스 도포층을 건조 및 경화시켜 주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라벨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도 베이스 도포층은,
    상기 고무판 베이스의 문양부 상면에 잔존하는 유분을 제거시켜 주고 접착력을 증대시켜 주기 위해 프라이머수지를 정해진 두께로 도포시켜 프라이머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프라이머수지층의 상부에 메탈 컬러 도포층의 접착력 강화 및 경도 증대를 위해 경질의 우레탄수지를 정해진 두께로 도포시켜 제 1 우레탄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라벨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도 베이스 도포층은,
    고무 라벨에 압력이 가해지거나 휘어질 경우 탄력성을 부여시켜 상기 메탈 컬러 도포층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질의 투명 우레탄수지를 정해진 두께로 도포시켜 제 2 우레탄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우레탄수지층의 상부에 크랙 또는 스크래치 발생 방지를 위해 UV 코팅제 또는 경질의 투명 우레탄수지를 정해진 두께로 도포시켜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라벨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탈 컬러 도포층은 2.0 ~ 4.0㎛ 이내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라벨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도 베이스 도포층의 건조 및 경화를 위한 자외선 조사시간(t1)은 30초~1분 30초 이내이고, 상기 상도 베이스 도포층의 건조 및 경화를 위한 자외선 조사시간(t2)은 15~20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라벨 제조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도 베이스 도포층의 프라이머수지층은 0.1 ~ 1.0㎛ 이내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제 1 우레탄수지층은 0.5 ~ 1.5㎛ 이내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라벨 제조방법.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도 베이스 도포층의 제 2 우레탄수지층은 0.2 ~ 1.2㎛ 이내의 두께를 갖고, 상기 보호막은 0.1 ~ 1.0㎛ 이내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라벨 제조방법.
KR1020190127220A 2019-10-14 2019-10-14 고무 라벨 제조방법 KR102279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220A KR102279901B1 (ko) 2019-10-14 2019-10-14 고무 라벨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220A KR102279901B1 (ko) 2019-10-14 2019-10-14 고무 라벨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089A true KR20210044089A (ko) 2021-04-22
KR102279901B1 KR102279901B1 (ko) 2021-07-20

Family

ID=75731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220A KR102279901B1 (ko) 2019-10-14 2019-10-14 고무 라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90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969B1 (ko) 1999-05-27 2001-12-22 김규환 열경화성 물질로 이루어진 라벨용 열전사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429732B1 (ko) * 2002-01-21 2004-05-03 강방석 상표라벨의 제조방법
KR101141757B1 (ko) 2004-12-31 2012-05-03 주식회사 케이씨씨 부착력이 향상된 금속효과를 내는 고광택시트 제조방법
KR101354577B1 (ko) * 2013-09-11 2014-01-22 박세두 합성수지필름을 이용한 브랜드로고 및 상표라벨의 제조방법
KR101469199B1 (ko) 2014-04-15 2014-12-09 한상용 입체 라벨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29909A (ko) 2014-05-12 2015-11-23 아셉시스글로벌 주식회사 금속 증착층을 구비하는 열수축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열수축 라벨 및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969B1 (ko) 1999-05-27 2001-12-22 김규환 열경화성 물질로 이루어진 라벨용 열전사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429732B1 (ko) * 2002-01-21 2004-05-03 강방석 상표라벨의 제조방법
KR101141757B1 (ko) 2004-12-31 2012-05-03 주식회사 케이씨씨 부착력이 향상된 금속효과를 내는 고광택시트 제조방법
KR101354577B1 (ko) * 2013-09-11 2014-01-22 박세두 합성수지필름을 이용한 브랜드로고 및 상표라벨의 제조방법
KR101469199B1 (ko) 2014-04-15 2014-12-09 한상용 입체 라벨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29909A (ko) 2014-05-12 2015-11-23 아셉시스글로벌 주식회사 금속 증착층을 구비하는 열수축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열수축 라벨 및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901B1 (ko) 202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9770B2 (ja) 3次元コーティングを備えた車両構造体及び方法
US20090208756A1 (en) Housing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199054B1 (en) Method of combining laser-engraving and in-mold decoration techniques to laser-engrave pattern on plastic product
KR101320751B1 (ko) 입체 패턴의 포함하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261571B1 (ko) 전사 인몰드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전사 인몰드 필름을 이용한 사출물의 제조 방법
JP5296059B2 (ja) 優れた立体感を有する転写シート
KR20110112749A (ko) 사출물 제조 방법
JP7026692B2 (ja) 装飾面を有する成形プラスチック部品の製造方法及び装飾面を有する成形プラスチック部品
KR101164056B1 (ko) 유브이 전사를 이용한 필름상의 패턴 형성 방법
US20070184207A1 (en) Method of molding decorative elements for consumer packaging
JP2010089480A (ja) インモールド・デコレーション方法
KR20210044089A (ko) 고무 라벨 제조방법
JP6198575B2 (ja) 加飾成形体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加飾成形体
JPS649954B2 (ko)
KR102415498B1 (ko) 네일용 장식물
KR101281833B1 (ko) 무광 타입의 헤어라인 무늬를 갖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20170022599A1 (en) Method and machine for treating small objects
JP4593325B2 (ja) 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167422A (ja) 立体成型加飾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46480B1 (ko) 철판에 문양을 각인하는 방법
JPS59187811A (ja) 無光沢表面を有する樹脂成型物の製造方法
JP6857382B2 (ja) 切欠き模様付成形品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切欠き模様付成形品
KR101323992B1 (ko) 멀티 코팅된 윈도우 및 그의 멀티 코팅 방법
JP3684276B2 (ja) ヘアライン目インサートフィルム、ヘアライン目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
JPS61172626A (ja) 光輝性メタリツク加飾印刷を施した金属製容器蓋体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