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2255A - 유지 함유 식품 수용용의 성형 용기 및 포장체 - Google Patents

유지 함유 식품 수용용의 성형 용기 및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2255A
KR20210042255A KR1020200129328A KR20200129328A KR20210042255A KR 20210042255 A KR20210042255 A KR 20210042255A KR 1020200129328 A KR1020200129328 A KR 1020200129328A KR 20200129328 A KR20200129328 A KR 20200129328A KR 20210042255 A KR20210042255 A KR 20210042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heat
container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 타나카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42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general shape other than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14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resins; comprising acrylic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iron or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olefins obtained by a metallocene or single-site cataly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44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7Ceramic
    • B32B2264/108Carbon, e.g. graphi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2Mixture of at least two particl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Resistive to light or to U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4Oxygen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6Water vap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8Odou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bags
    • B65D25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25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 B65D2577/2025Multi-layered container, e.g. laminated, coated

Abstract

카레나 스튜 등의 유지를 많이 포함하는 가공식품을 장기간 보존하여도 착색이나 착향이 생기기 어려운 성형 용기의 제공한다.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열융착성 수지층(10a)과, 금속박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층(10c)과, 합성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보호 수지층(10d)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금속 라미네이트 포재(10)를, 상기 열융착성 수지층(10a)이 내면이 되도록 성형한 용기를 이용한다.

Description

유지 함유 식품 수용용의 성형 용기 및 포장체{MOLDING CONTAINER AND PACKAGE FOR RECEIVING FOODS CONTAINING OIL AND FAT}
본 발명은, 유지(油脂) 함유 식품의 보존에 적합한 성형 용기, 및 이 성형 용기를 이용한 포장체(包裝體)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알루미늄은, 특기(特記)하지 않는 한, 순(純)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한다.
오래전부터, 가공식품의 장기 보존을 위해 캔이나 병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병은 무겁고 깨지기 쉽고, 캔은 개봉 후의 절단면에서 상처를 입을 우려가 있는 등, 운반성이나 취급성에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가볍고 플렉시블한 라미네이트 포재(包材)를 이용한 성형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라미네이트 포재로서는, 금속박의 양면을 합성수지 필름으로 라미네이트한 금속 라미네이트 포재(이른바 하이배리어 필름)가 공지이다. 또한, 금속 라미네이트 포재 중, 알루미늄박의 양면에 합성수지 필름을 첩합(貼合)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재는, 광이나 수분, 산소 등의 차단 효과가 높다. 그 때문에,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재는, 각종 성형 용기(이른바 하이배리어 성형 용기)의 재료로서, 특히 식품 용도로 상용(賞用)되고 있다.
하이배리어 성형 용기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알루미늄박, 변성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드라이라미네이션하여 이루어지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재를,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최내면(最內面)이 되도록 성형한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이배리어 성형 용기는 종래, 젤리, 푸딩 및 이유식 등의 수분을 많이 포함하는 고형상(固形狀) 또는 반(半)고형상의 식품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한편, 카레, 스튜 및 파스타소스와 같이 유지를 많이 포함하는 식품(이하, 유지 함유 식품이라고도 한다.)은, 이른바 레토르트 식품으로서, 일반적으로는 파우치형상 용기로 포장하여 유통되고 있다.
그런데 레토르트 식품은, 근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그 배경에는 맞벌이 세대나 단신 세대의 증가, 칩거(蟄居) 수요의 출현 등, 소비자를 둘러싸는 생활양식의 큰 변화가 있다. 그러나, 파우치형상 용기들이의 레토르트 식품은 통상, 조리 후에 접시나 볼 등의 식기에 옮겨 담을 필요가 있고, 설거지의 수고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특히 단신 세대에서는 혐염(嫌厭)되기 쉽다. 또한 요즘, 지진이나 태풍, 홍수 등의 자연재해가 세계적으로 다발(多發)하고 있는 점, 재해지나 피난 지역에서는 식기를 반드시 입수할 수는 없다. 이 점, 하이배리어 성형 용기는, 조리 기구로서만이 아니라, 식기로서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레토르트 식품의 간편한 제공 수단으로서, 요즘, 수요가 견실하게 신장하고 있다.
일본 특허 제2866916호
그러나, 하이배리어 성형 용기에 카레나 스튜 등의 유지 함유 식품을 장기간 수용하면, 유지에 용해한 착색 성분이나 냄새 성분이 성형 용기의 최내면을 이루는 층에 침투하여, 강한 착색이나 착향(着香)이 생기는 일이 있다. 특히 컵형상의 성형 용기나 트레이형상의 성형 용기는, 구부림 부분의 최외층이 크게 신장되어 있는 동시에 최내층이 강하게 수축되어 있고, 이러한 수축부에서 강한 착색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금속 라미네이트 포재를 이용한 하이배리어 성형 용기로서, 유지 함유 식품을 장기간 수용시켜도 상기 착색이나 착향의 문제가, 특히 가공 부위에서 생기기 어려운 것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성형 용기의 최내면을, 균질하면서 치밀한 결정 구조를 갖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구성함에 의해, 내용물인 유지 함유 식품에 포함되는 착색 성분이나 냄새 성분에 의한 이 최내면의 내부로 이행하기 어렵게 된다고 착상(着想)하였다. 그리고, 합성수지 필름으로서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선택함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 가능한 성형 용기 및 포장체를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성형 용기 및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1) 유지 함유 식품 수용용(收容用)의, 금속 라미네이트 포재로 이루어지는 성형 용기로서, 개구와, 개구의 주연(周緣)에 환형상(環狀)으로 형성된 플랜지부를 갖고 있고, 상기 금속 라미네이트 포재가,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열융착성 수지층과, 금속박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층과, 합성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보호 수지층을 갖고 있고, 상기 열융착성 수지층이 용기의 최내면을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보호 수지층이 용기의 최외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용기.
2) 상기 열융착성 수지층을 이루는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융점이 160℃ 이상임과 함께, 결정 융해 에너지가 65J/g 이상인 1)의 성형 용기.
3) 상기 열융착성 수지층을 이루는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인장항복응력(引張降伏應力)이 25㎫ 이상인 1) 또는 2)의 성형 용기.
4) 상기 열융착성 수지층과 상기 배리어층의 사이에 폴리올레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강화층이 개재되어 있는 1)~3)의 어느 하나의 성형 용기.
5) 상기 강화층을 이루는 폴리올레핀 필름이 적어도 2층의 적층 필름으로서, 폴리(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층 및/또는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4)의 성형 용기.
6) 상기 배리어층의 편면(片面) 또는 양면에 화성(化成) 처리에 의한 하지층(下地層)이 형성되어 있는 1)~5)의 어느 하나의 성형 용기.
7) 상기 배리어층을 이루는 금속박이 알루미늄박인 1)~6)의 어느 하나의 성형 용기.
8) 상기 보호 수지층을 이루는 합성수지 필름이 적어도 2층의 적층 필름으로서, 폴리(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층 및/또는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1)~7)의 어느 하나의 성형 용기.
9)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 개봉용 노치가 새겨져(刻設) 있는 1)~8)의 어느 하나의 성형 용기.
10) 1)~9)의 어느 하나의 성형 용기와, 유지 함유 식품과, 최내면이 열융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덮개에 의해 이루어지는, 열봉함(熱封緘)된 포장체로서, 상기 덮개의 열융착성 수지층과, 상기 성형 용기의 플랜지부 상면을 이루는 열융착성 수지층의 사이에 열융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포장체.
1)의 성형 용기는 소정의 금속 라미네이트 포재를 성형한 용기이기 때문에, 수분, 가스 및 광 등의 차단 효과가 양호하다. 그 때문에, 각종 식품의, 특히, 향미성이 풍부한 카레나 스튜, 파스타소스 등의 유지 함유 식품의 장기 보존에 적합하다. 또한, 이 성형 용기는, 그 최내면을 이루는 열융착성 수지층이 균질하면서 치밀한 결정 구조를 갖는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필름에는 상기 유지 함유 식품 유래의 유지가 침투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상기 유지 함유 식품을 이 성형 용기에 장기간 수용하여도, 그 내면 전체에 걸쳐서 상기 유지 유래의 착색 및 착향이 생기기 어렵다. 이것은 특히, 이 성형 용기의 굽힘 가공 부위에서 현저하게 인정된다. 이와 같이, 1)의 성형 용기는 내(耐)착색성 및 내(耐)착향성이 양호하다.
2)의 성형 용기는, 그 최내면을 이루는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이 소정의 값 이상의 융점과 결정 융해 에너지를 갖고 있고, 결정 구조가 보다 균질하면서 치밀하기 때문에, 내착색성 및 내착향성이 한층 양호하다.
3)의 성형 용기는, 그 최내면을 이루는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이 소정의 값 이상의 인장항복응력을 갖고 있고, 보다 큰 강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내착색성 및 내착향성이 양호함과 함께, 내구성 및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성능(이하, 단지 기계적 성능이라고 말하는 일이 있다.)에도 우수하다.
4)의 성형 용기는, 그 최내면을 이루는 열융착성 수지층과 배리어층의 사이에 폴리올레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강화층이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내착색성 및 내착향성이 양호함과 함께, 기계적 성능이 한층 양호하다. 또한, 이 강화층의 개재에 의해, 배리어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서의 디라미네이션도 인정되지 않다.
5)의 성형 용기는, 상기 강화층을 이루는 폴리올레핀 필름이 2층 이상의 적층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이 적층 필름이 폴리(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층 및/또는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층을 요소(要素)로 하기 때문에, 내착색성 및 내착향성이 양호함과 함께, 기계적 성능도 양호하다. 또한, 내열성과 내수성도 향상하고 있기 때문에, 이 성형 용기를 이용한 포장체는, 예를 들면 열수(熱水) 중에서 가열하여도, 열융착부에 디라미네이션이나 벗겨짐 등의 결함이 없다.
6)의 성형 용기는, 배리어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화성 처리에 의한 하지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리어층의 상면에 소정의 열융착성 수지층 또는 강화층을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거나, 배리어층의 하면에 소정의 보호 수지층을 마찬가지로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거나 하는 경우에 있어서, 양호한 층간 밀착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내착색성 및 내착향성이 양호함과 함께, 기계적 성능도 매우 양호하다. 또한, 내열성과 내수성도 향상하고 있기 때문에, 이 성형 용기를 이용한 포장체는, 예를 들면 열수 중에서 가열하여도, 열융착부에 디라미네이션이나 벗겨짐 등의 결함이 없다. 또한, 상기 하지층은, 그 자체가 배리어층으로서도 기능하기 때문에, 이 성형 용기에 유지 함유 식품을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는, 보다 장기의 보관에 적합하다.
7)의 성형 용기는, 배리어층을 이루는 금속박이 알루미늄박이기 때문에, 경량이면서 저비용이다. 또한, 알루미늄박은 전연성(展延性)이 양호하기 때문에, 이 성형 용기는, 디프드로잉 성형이나 장출(張出) 성형 등의 큰 변형을 수반하는 성형 수단으로 제조된 것이라도, 알루미늄박에서의 크랙이나 핀홀이 없다.
8)의 성형 용기는, 최외면을 이루는 합성수지 필름 2층 이상의 적층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이 적층 필름이 폴리(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층 및/또는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층을 요소로 하기 때문에, 내착색성 및 내착향성이 양호함과 함께, 기계적 성능도 양호하다. 또한, 이 성형 용기를 이용한 포장체는, 예를 들면 열수 중에서 가열하여도, 열융착부에 디라미네이션이나 벗겨짐 등의 결함이 없다.
9)의 성형 용기는, 개구 주연에 개봉용 노치가 새겨져 있기 때문에, 이 성형 용기를 요소로 하는 포장체는, 쉬운 개봉성(易開封性)이 양호하다.
10)의 포장체는, 카레나 스튜, 파스타소스 등의 유지 함유 식품을 장기 보존한 후, 이것을 취출하여도, 본체를 이루는 성형 용기의 최내면에 잔색(殘色)이 생기기 어렵고, 특히 굽힘 가공 부위에서 현저하다. 또한, 잔향(殘香)도 없다. 또한, 본체의 성형 용기의 종류에 응하여, 내충격성 및 내구성 등의 기계적 성능, 및 내열성 및 내수성, 및 쉬운 개봉성의 일부 또는 전부가 한층 양호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성형 용기를 구성하는 금속 라미네이트 포재의 한 양태의 단면도로서, (a)는 기본 구성을, (b)는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성형 용기의 한 양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포장체의 한 양태의 부분 단면도로서, (a)는 플랜지부 상면에 개봉용 노치가 새겨져 있지 않는 양태를, (b)는 플랜지부 상면에 개봉용 노치가 새겨져 있는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 1~3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 그 도면은 예시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성형 용기(1)를 이루는 금속 라미네이트 포재(10)의 한 양태(態樣)의 단면도이다. 도 1(a)의 금속 라미네이트 포재(10)는, 열융착성 수지층(10a), 배리어층(10c) 및 보호 수지층(10d)이 이 순번으로 적층되어 있다. 도 1(b)의 금속 라미네이트 포재(10)는, 열융착성 수지층(10a), 강화층(10b), 배리어층(10c) 및 보호 수지층(10d)이 이 순번으로 적층되어 있다. 단 강화층(10b)는 임의이고 생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성형 용기(1)의 한 양태의 사시도이다. 이 성형 용기(1)는 금속 라미네이트 포재(10)로 이루어지고, 상방의 개구(11)와, 개구(11)의 주연(12)과, 주연(12)에서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13)와, 주연(12)을 경계로 플랜지부(13)와 연속되어 있는 하방으로 늘어난 원통형상의 측벽(14)과, 측벽(14)에 의해 위요(圍繞)되어 있는 저벽(15)으로 이루어진다. 플랜지부(13)의 상면에는 환형상의 개봉용 노치(16)가 새겨져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포장체(2)의 한 양태의 단면도이다. 포장체(2)는, 본 발명의 성형 용기(1)와, 내용물인 유지 함유 식품(3)과, 밀봉 수단인 덮개(4)를 요소로 하는, 열봉함된 밀봉체이다.
열융착성 수지층(10a)은, 성형 용기(1)의 최내면을 형성하는 층임과 함께, 덮개(4)의 하면과 열융착되는 층이고,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A)으로 구성된다.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A)은, 프로필렌의 호모폴리머로 이루어지는 필름이고, 상대적으로 균질하면서 치밀한 결정 구조를 가짐으로써, 내유성에 우수하다. 또한,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A)은 경첩 특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금속 라미네이트 포재(10)의 성형시에 변형되어도, 내부에 보이드가 생기기 어렵다. 이상 예시한 이유에 의해, 성형 용기(1)에 유지 함유 식품(3)을 수용하여도, 유지 함유 식품(3)에 유래하는 착색 성분이나 냄새 성분이 열융착성 수지층(10a)의 내부에 침투하기 어렵게 되는 결과, 성형 용기(1)는 양호한 내착색성 및 내착향성을 이룬다.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A)으로서는, 각종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염화티탄(Ⅲ)-디에틸알루미늄클로라이드 등의 지글러계 촉매의 존재하(存在下)에서 프로필렌을 배위(配位) 아니온(anion) 중합시킴에 의해 얻어지는 아이소택틱의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필름화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BASE법이나 Anoco법, UCC법 등으로 얻어지는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필름화한 것도 들 수 있다. 필름화 수단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 공지의 (공(共))압출 성형법(인플레이션, T다이 등)이나 연신법(延伸法), 라미네이트법 등을 채용할 수 있고, 이들 방법은 조합하여도 좋다. 또한, 연신법에 의한 경우,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A)은 연신형(延伸型) 또는 무연신형(無延伸型)의 어느 하나면 된다. 무연신형의 것을 선택하면, 성형 용기(1)의 내착색성 및 내착향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A)은, 결정 구조가 보다 균질하면서 치밀하면, 성형 용기(1)의 내착색성 및 내착향성이 향상한다. 이 관점에서,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A)으로서는, 융점이 160℃ 이상임과 함께, 결정 융해 에너지가 65J/g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융점」은, JIS K7121-1987에 준거하여 시차 조작 열량 측정(이하, DSC)에 의해 측정된 융해 피크 온도(Tmp)를 말한다. 또한, 「결정 융해 에너지」는, JIS K7122-1987에 준거하여 DSC에 의해 측정된 피크 융해열(결정 융해 에너지, ΔH)을 말한다, Tmp의 피크값과 ΔH의 피크값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각각 최대치를 채용하다. 이러한 융점과 결정 융해 에너지는, 바람직하게는, 차례로 160~165℃ 및 65~80J/g이고, 이 경우, 성형 용기(1)의 내착색성 및 내착향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또한,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A)의 인장항복응력(Tensile Yield Stress : 이하, TYS와 약칭하는 일이 있다.)이 25㎫ 이상이면, 성형 용기(1)의 내착색성 및 내착향성이 양호함과 함께, 내충격성이나 내구성 등의 기계적 성능도 우수하게 된다. 여기서 「인장항복응력」은, JIS K7127에 준거한 측정치이고, MD 방향에 있어서 TYS와, TD 방향에서의 TYS의 가산평균치이다. 이러한 인장항복응력은, 바람직하게는 25~45㎫, 보다 바람직하게는 31~39㎫이고, 이 경우, 성형 용기(1)의 기계적 성능은 보다 양호해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MD 방향에서의 TYS는 통상 34~40㎫, TD 방향에서의 TYS는 통상 28~38㎫이다.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A)으로서는, 성형 용기(1)의 내착색성 및 내착향성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라면, 프로필렌에 미량의 에틸렌이나 1-부텐 등의 다른 α올레핀을 공중합시킨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사용하여도 좋다. α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및/또는 1-부텐을 들 수 있다. α올레핀의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A)에서의 함유량은 10몰% 미만이다.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A)의 두께, 즉 열융착성 수지층(10a)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금속 라미네이트 포재(10)의 성형성, 및 성형 용기(1)의 내착색성, 내착향성 및 내열성 등을 고려하면, 통상 20~400㎛, 바람직하게는 40~350㎛이다.
열융착성 수지층(10a)과, 강화층(10b) 또는 배리어층(10c)의 사이에는, 임의로 접착제층(101)(도시 외(外))을 마련하여도 좋다. 접착제층(101)을 이루는 접착제로서는 각종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수지계 접착제, 아크릴 수지계 접착제, 에폭시 수지계 접착제, 폴리올레핀 수지계 접착제 및 일래스토머계 접착제를 들 수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우레탄 수지계 접착제가 바람직하고, 특히 2액 경화형 폴리에테르-우레탄 수지계 접착제 및/또는 2액 경화형 폴리에스테르-우레탄 수지계 접착제가 알맞다. 접착제에는, 후술하는 필러를 포함함에 의해, 접착제층(101)에 예를 들면 의장성을 줄 수 있었다. 특히 이산화티탄 등의 백색 안료를 포함함에 의해, 성형 용기(1)의 내면에 혼입된 이물의 검지(檢知)가 용이해진다. 이들의 효과와, 접착제층(101)의 접착 강도와의 밸런스를 고려하면, 필러의 함유량은 통상 10~60중량%이다. 접착제층(101)의 두께도 특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 1~5㎛이다.
강화층(10b)은 임의이고, 각종 공지의 폴리올레핀 필름(B)으로 구성한다. 강화층(10b)을 열융착성 수지층(10a)과 금속박층(10c)의 사이에 개재시킴에 의해, 성형 용기(1) 및 포장체(2)의 기계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폴리올레핀 필름(B)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으로서는, 각종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으로서는, 예를 들면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및 선형상(線狀)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들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으로서는, 예를 들면 호모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호모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은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A)과 동일하면 좋다.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은 모두, 무수말레인산이나 아세트산비닐 등의 불포화 카르본산으로 변성되어 있어도 좋다. 폴리올레핀의 필름화 수단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 공지의 (공)압출 성형법(인플레이션, T다이 등)이나 연신법, 라미네이트법 등을 들 수 있다. 연신법에 의한 경우, 폴리올레핀 필름(B)은 연신형 및 무연신형의 어느 하나면 된다.
폴리올레핀 필름(B)은, 각종 공지의 필러 및/또는 일래스토머를 포함할 수 있는다. 필러로서는 백토, 실리카, 탈크, 이산화티탄 및 카본 블랙 등을 들 수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도 좋다. 일래스토머로서는 스티렌계 일래스토머 및/또는 올레핀계 일래스토머 등을 들 수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도 좋다.
폴리올레핀 필름(B)을, 폴리(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층 및/또는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적어도 2층의 적층 필름으로 구성하면, 금속 라미네이트 포재(10)의 성형성이나 성형 용기(1)의 내충격성이 특히 양호해진다. 적층 필름의 층수는, 구체적으로는, 2~5층이면 좋다. 적층 필름의 구체례로서는, 폴리(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층 및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층이 임의의 순서로 조합된 2층 또는 3층의 폴리올레핀 필름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 필름(B)의 두께, 즉 강화층(10b)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금속 라미네이트 포재(10)의 성형성, 및 성형 용기(1) 및 포장체(2)의 내구성 및 내충격성 등의 관점에서, 통상 20~300㎛, 바람직하게는 30~200㎛이다.
강화층(10b)과 배리어층(10c)의 사이에도 임의로 접착제층(102)(도시 외)을 마련하고 좋다. 접착제층(102)을 이루는 접착제로서는, 접착제층(101)을 이루는 접착제와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고, 특히 2액 경화형 폴리에테르-우레탄 수지계 접착제 및/또는 2액 경화형 폴리에스테르-우레탄 수지계 접착제가 알맞다. 또한, 접착제층(102)에도 접착제층(101)에 포함할 수 있는 상기 필러를, 상기한 양으로 포함하여도 좋다. 접착제층(102)의 두께도 특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 1~5㎛ 정도이다.
배리어층(10c)은, 유지 함유 식품(3)을 가스, 수증기 및 광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층이고, 각종 공지의 금속박(C)으로 구성한다. 금속박(C)으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철박, 스테인리스강박, 구리박 및 니켈박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알루미늄박은, 차광성이나 배리어 기능, 성형성, 비용 등의 점에서 알맞다. 또한, 알루미늄박은 전연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금속박(C)이 알루미늄박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라미네이트 포재(10)를 디프드로잉 성형이나 장출(張出) 성형 등의 큰 변형을 수반하는 성형 수단에 붙여도, 배리어층(10c)에 크랙이나 핀홀 등의 결함이 생기기 어렵다. 알루미늄박으로서는, 연질(O재) 또는 경질(H18재)의 순알루미늄박 또는 알루미늄 합금박을 들 수 있고, 특히 철을 0.7~1.7% 함유하는 Al-Fe계 합금박이 알맞다. 예를 들면, JIS H4160로 규정되는 A1000계 또는 A8000계의 연질재(O재)는, 디프드로잉 성형 등의 냉간 성형에서 성형성에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연질재(O재)로서는, 예를 들면 A8021H-O재, A8079H-O재 및 A1N30-O재 등을 들 수 있다. 금속박(C)의 두께, 즉 배리어층(10c)의 두께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배리어층(10c)의 상기 결함, 및 성형 용기(1) 및 포장체(2)의 내구성, 내충격성 등의 관점에서, 통상 50~200㎛, 바람직하게는 50~150㎛이다.
배리어층(10c)의 양면 중 적어도 편면에는, 화성 처리에 의한 하지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 하지층은, 예를 들면, 탈지 처리를 행한 금속박(C)의 표면에, 화성(化成) 처리액으로서 하기 군에서 선택된 물-알코올 용액을 적용함에 의해 형성한다.
(i) 인산과, 크롬산과, 불화물의 금속염 및 불화물의 비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일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물-알코올 용액
(ⅱ) 인산과, 아크릴계 수지, 키토산 유도체 수지 및 페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일종의 수지와, 크롬산 및 크롬(Ⅲ)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일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물-알코올 용액
(ⅲ) 인산과, 아크릴계 수지, 키토산 유도체 수지 및 페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일종의 수지와, 크롬산 및 크롬(Ⅲ)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일종의 화합물과, 불화물의 금속염 및 불화물의 비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일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물-알코올 용액
화성 처리액의 사용량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배리어층(10c)의 편면당의 크롬 부착량이 통상 0.1~50㎎/㎡, 바람직하게는 2~20㎎/㎡가 되는 범위라면 좋다.
배리어층(10c)과 보호 수지층(10d)의 사이에도, 임의로 접착제층(103)(도시 외)을 마련하면 좋다. 접착제층(103)을 이루는 접착제로서는, 접착제층(101)을 이루는 접착제와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고, 특히 2액 경화형 폴리에테르-우레탄 수지계 접착제 및/또는 2액 경화형 폴리에스테르-우레탄 수지계 접착제가 알맞다. 또한, 접착제층(103)에도 접착제층(101)에 포함할 수 있는 상기 필러를, 상기한 양으로 포함하여도 좋다. 접착제층(103)의 두께도 특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 1~5㎛ 정도이다.
보호 수지층(10d)은, 성형 용기(1)의 최외면을 형성하는 층임과 함께, 성형 용기(1) 및 포장체(2)의 강도를 확보하고, 포장체(2)에 수용된 유지 함유 식품(3)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층이고, 각종 공지의 합성수지 필름(D)으로 구성한다.
합성수지 필름(D)을 이루는 합성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 및 그 밖의 합성수지를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으로서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으로서는, 예를 들면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및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예시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으로서는, 예를 들면 호모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호모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은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A)과 동일하면 좋다.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은 모두, 무수말레인산이나 아세트산비닐 등의 산으로 변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폴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아미드로서는 6-나일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밖에 합성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합성수지 필름(D)의 필름화 수단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 공지의 (공)압출 성형법(인플레이션, T다이 등)이나 연신법, 라미네이트법 등을 들 수 있다. 연신법에 의한 경우, 합성수지 필름(D)은 연신형 및 무연신형의 어느 하나면 된다. 합성수지 필름(D)은, 상기 필러 및/또는 상기 일래스토머를 포함할 수 있는다. 합성수지 필름(D)을, 폴리(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층 및/또는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적어도 2층의 적층 필름으로 구성하면, 금속 라미네이트 포재(10)의 성형성이나 성형 용기(1)의 내후성 등이 양호하게 된다. 적층 필름의 층수는, 구체적으로는, 2~5층이면 좋다. 적층 필름의 구체례로서는, 폴리(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층 및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층이 임의의 순서로 조합된 2층 또는 3층의 폴리올레핀 필름을 들 수 있다.
합성수지 필름(D)의 표면에는, 에폭시 수지, 염소화폴리올레핀 수지, 질화면(초화면(硝化綿)), 아크릴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열경화성 가교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오버코트제로 이루어지는 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합성수지 필름(D)의 두께, 즉 보호 수지층(10d)의 두께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성형 용기(1) 및 포장체(2)의 내구성, 내충격성 및 내후성 등을 고려하면, 통상은 15~50㎛, 바람직하게는 15~40㎛이다.
금속 라미네이트 포재(10)는 각종 공지의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방법으로서는,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압출 라미네이트법 및 히트 라미네이트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의 경우에는 상기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금속 라미네이트 포재(10)의 바람직한 양태은 다음과 같다.
제1 양태 : 열융착성 수지층(10a)이 무연신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두께 20~400㎛, 바람직하게는 40~350㎛)로 이루어지고, 배리어층(10c)이 적어도 편면에 상기 화성 처리액으로 하지층이 형성된 알루미늄박(특히 JIS H4160의 A8079H-O재 또는 A8021H-O재)(두께 50~200㎛, 바람직하게는 50~150㎛)로 이루어지고, 보호 수지층(10d)이 폴리(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층 및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층이 임의의 순서로 조합된 2층 또는 3층의 폴리올레핀 필름(합계 두께 15~50㎛, 바람직하게는 15~40㎛)로 이루어지는 양태.
제2 양태 : 제1 양태에서, 열융착성 수지층(10a)과 보호 수지층(10d)의 사이에, 강화층(10b)으로서 폴리(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층 및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층이 임의의 순서로 조합된 2층 또는 3층의 필름(합계 두께 20~300㎛, 바람직하게는 30~200㎛)를 개재시킨 양태.
본 발명의 성형 용기(1)는, 금속 라미네이트 포재(10)를 각종 공지의 성형 수단으로 가공한 것이다. 성형 수단으로서는, 장출 성형 및 디프드로잉 성형 등의 프레스 성형을 들 수 있다. 디프드로잉 성형의 경우에는, 우선, 소정 치수로 커트한 금속 라미네이트 포재(10)를, 보호 수지층(10d)측을 고정 자형(雌型)(다이)의 상면에 세트한다. 계속해서, 금속 라미네이트 포재(10)의 열융착성 수지층(10a)의 측에, 성형 용기(1)의 수용부와 동형의 가동 웅형(雄型)을 강하시켜, 디프드로잉을 행한다. 다음에 가동 웅형을 상승시켜서, 고정 자형으로부터 성형 용기(1)를 취출한다. 성형 용기(1)의 플랜지부(13)는 필요에 응하여 트리밍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여 소망 형상의 성형 용기(1)를 얻을 수 있다.
성형 용기(1)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용도나 디자인에 응하여 적절히 설정하면 좋다. 예를 들면 개구(11)는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등이면 좋다. 플랜지부(13)는 원환형상, 타원환형상 및 다각환형상 등이면 좋다. 측벽(14)은 원주형상, 다각주형상 및 테이퍼형상이면 좋고, 중간 위치에 단차가 마련되어 있거나, 엠보싱 가공이 시행되거나 하여도 좋다. 저벽(15)은 개구(11)와 마찬가지로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등이면 좋다. 성형 용기(1) 전체의 형상은, 도 2와 같은 컵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트레이(tray)형상이라도 좋다. 성형 용기(1)의 치수도 특히 한정되지 않고, 도 2와 같은 컵형상의 성형 용기(1)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플랜지부(13)의 폭이 5~10㎜ 정도이고, 개구(11)의 직경(R)과 용기 깊이(D)와의 비(D/H)가 2 정도이다.
개봉용 노치(16)의 형성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00℃ 정도로 가열한 환형상의 노치 형성 날(刃)(도시 생략)을 플랜지부(13)의 상면에 꽉누르는 것에 의해 그 칼끝을 열융착성 수지층(10a)의 내부에 침입시키고, 그 후 끌어올림에 의해, 이 칼끝과 같은 횡단(橫斷)형상의 개봉용 노치(16)가 남겨진다. 노치 형성 날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17-30087호 공보나 일본 실공평7-20004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개봉용 노치(16)의 위치도 특히 한정되지 않고, 플랜지부(13)의 폭이 5~10㎜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개구(11)의 주연(12)부터 통상 2~4㎜의 위치라면 좋다.
본 발명의 포장체(2)는, 성형 용기(1)에 유지 함유 식품(3)를 수용한 후, 덮개(4)의 하면을 플랜지부(13) 상면에 열융착시킴에 의해 얻어진다.
포장체(2)의 개봉은, 덮개(4) 하면의 열융착 수지층(40d)과 성형 용기(1)의 열융착 수지층(10a) 사이에서 생기는 계면(界面) 박리에 의해 행하여진다.
도 3(a)는, 본 발명의 포장체(2)의 부분 단면도이고, 상기 열융착에 의해, 덮개(4) 하면과 성형 용기(1)의 플랜지부(13)의 상면의 사이에 환형상의 열융착부(5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열융착부(51)의 외주측(개구(11)의 반대측)에는 환형상의 미열융착부(未熱融着部)(52)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을 개봉용 절괘(切掛)로서 이용할 수 있다. 미열융착부(52)의 폭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플랜지부(13)의 폭이 5~10㎜인 경우에는, 통상 1~3㎜이다. 또한, 이 경우, 열융착부(51)의 폭은 통상 7~9㎜이다.
도 3(b)의 포장체(2)는, 성형 용기(1)의 개구(11)로부터 조금 떨어진 위치에 개봉용 노치(16)가 새겨져 있다. 개봉용 노치(16)의 위치도 특히 한정되지 않고, 플랜지부(13)의 폭이 5~10㎜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개구(11)의 주연(12)부터 통상 2~4㎜의 위치면 좋다. 또한, 이 경우, 열융착부(51)의 폭은 통상 6~8㎜이다. 개봉용 노치(16)의 횡단면은 통상 개략 V자형이 되지만, 예를 들면 개략 U자형 등이라도 좋다. 개봉용 노치(16)가 개략 V자형인 경우, 양 사변(斜邊)에서 형성되는 각도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통상 5°~25°이다. 개봉용 노치(16)의 선단(先端)의 위치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열융착성 수지층(10a) 또는 강화층(10b)에 도달하고 있으면 좋다. 선단이 배리어층(10c) 부근에 도달하고 있는 경우(도시 생략)에는, 덮개(4)의 박리가 열융착성 수지층(10a)이나 강화층(10b)의 응집 파괴에 의해 진행하여도, 이 진행이 반드시 개봉용 노치(16)의 위치에서 정지하기 때문에, 개봉이 보다 용이해진다.
유지 함유 식품(3)으로서는, 동식물유를 포함하는 반고형상 또는 고형상의 가공 식품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레루, 파스타소스, 스튜, 데미글라스소스, 어가공(魚加工) 식품(다랑어, 고등어, 꽁치 및 덩어리 등의 유(油)절임이나 조림 등), 피넛버터 및 육가공품(콘비프, 스팸 등) 등의 향미 식품을 들 수 있다.
덮개(4)는, 성형 용기(1)에 수용한 유지 함유 식품(3)의 밀봉 수단이고, 라미네이트 포재(40)로 구성된다.
도 3(a) 및 (b)에서, 라미네이트 포재(40)는, 소정의 보호 수지층(40a), 금속박층(40b), 강화층(40c), 및 열융착성 수지층(40d)을 이 순번으로 적층한 것이다. 단, 금속박층(40b)과 강화층(40c)은 어느 것이나 임의이고, 생략할 수 있다.
보호 수지층(40a)은, 덮개(4)의 최외면을 형성하는 층이고, 각종 공지의 합성수지 필름으로 구성한다. 합성수지 필름으로서는 합성수지 필름(D)으로서 들었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및 연신 폴리아미드 필름에서 선택되는 필름이 알맞다. 또한, 보호 수지층(40a)은, 동일 또는 다른 합성수지 필름을 임의의 순서로 하나 또는 2 이상 조합한 복층이라도 좋다. 또한, 보호 수지층(40a)은 상기 오버코트제로 구성하여도 좋다. 보호 수지층(40a)의 두께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포장체(2)의 내구성이나 내충격성, 내후성 등의 관점에서, 통상 1~30㎛이다.
임의의 금속박층(40b)은, 성형 용기(1)에 수용하는 유지 함유 식품(3)를, 가스, 수증기 및 광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배리어층으로서 기능한다. 금속박으로서는, 금속박(C)과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알루미늄박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박으로서는, O재 또는 H18재의 순알루미늄박 또는 알루미늄 합금박을 들 수 있다. 금속박층(40b)의 양면 중 적어도 편면에는 상기 화성 처리액에 의한 하지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금속박층(40b)의 두께는 특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 5~40㎛이다.
임의의 강화층(40c)은, 각종 공지의 합성수지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고, 금속박층(40b)과 열융착성 수지층(40d)의 사이에 개재시킴으로써, 덮개(4)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합성수지 필름으로서는, 폴리올레핀 필름(B)을 들 수 있는 외에,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상기 폴리아미드 필름을 예시할 수 있다. 강화층(40c)은, 합성수지 필름의 2층 또는 3층 이상의 복합 필름이면 좋다. 강화층(40c)의 두께는 특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 5~30㎛이다.
열융착성 수지층(40d)은, 성형 용기(1)의 플랜지부(13)의 상면을 구성하는 열융착성 수지층(10a)에 히트 실 되는 층이고, 각종 공지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필름(B)으로서 들었던 폴리에틸렌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및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상기 필러 및/또는 일래스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열융착성 수지층(40c)은, 동일 또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임의의 순서로 하나 또는 2 이상 조합한 복층이면 좋다. 열융착성 수지층(40d)의 두께는 특히 제한되지 않고, 통상 10~100㎛이다. 라미네이트 포재(40)는, 예를 들면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압출 라미네이트법 및 히트 라미네이트법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인 경우에는, 층간 접착제로서 상기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덮개(4)는, 라미네이트 포재(40)를 소망하는 형상으로 가공한 것이다. 덮개(4)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성형 용기(1)의 플랜지부(13)와 동형 또는 상사형이면 좋다. 덮개(4)에는, 임의로 개봉용 탭을 마련하면 좋고, 그 크기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다.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반원형이나 삼각형, 사각형을 들 수 있다. 개봉용 탭은, 덮개(4)를 구성하는 라미네이트 포재(40)의 일부라도 좋다. 별도 제작한 탭을 덮개(4)의 외주연의 일부에 부착하여도 좋다.
포장체(2)의 제조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의 성형 용기(1)를 예로 들면, 이 성형 용기(1)에 유지 함유 식품(3)을 소정량 넣은 후, 플랜지부(13)의 상면에 소정 형상의 덮개(4)를 열융착성 수지층(40d)측에서 재치하고, 소정 온도로 가열한 환형상 히트 실러를 소정 위치에 소정 압력으로 소정 시간 꽉눌러서, 덮개(4) 하면을 이루는 열융착성 수지층(40d)과, 성형 용기(1)의 플랜지부(13)의 상면을 이루는 열융착성 수지층(10a)을 열융착시켜, 열봉함을 행함에 의해, 포장체(2)가 얻어진다. 덮개(4)의 단연(端緣)은 필요에 응하여 트리밍하여도 좋다. 도 3(a) 및 (b)의 포장체(2)는, 공통되게, 덮개(4)의 하면과 플랜지부(13)의 상면과의 사이에, 플랜지부(13)의 둘레 방향에 걸치는 환형상의 열융착부(51)가 생긴다. 다만, 도 3(a)의 포장체(2)인 경우에는, 열융착부(51)의 외측에 소정폭의 미열융착부(52)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을 개봉용 절괘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b)의 포장체(2)인 경우에는, 열융착부(51)의 내측에 소정 형상의 개봉용 노치(16)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을 개봉용 절괘로서 이용할 수 있다.
포장체(2)는, 보존 용기, 조리기구 및 식기를 겸비하기 때문에, 유지 함유 식품(3)를 가온하여 개봉한 후, 그대로 먹을 수 있는 편리성을 갖는다.
[실시례]
이하, 본 발명을, 실시례 및 비교례를 통하여 더욱 설명하지만, 그것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례에서 이용한 약호는 이하의 의미이다.
Tmp(℃) : 융점(JIS K7121-1987)
ΔH(J/g) : 결정 융해 에너지(JIS K7122-1987)
TYS(㎫) : 인장항복응력(JIS K7127)
HPP1~3 : 호모폴리프로필렌
rPP : 폴리(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bPP : 폴리(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LLDPE :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PET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U 접착제 : 2액 경화형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융점(Tmp℃) 및 결정 융해 에너지(ΔHJ/g)는 하기 조건에서의 측정치이다.
·측정 장치 : 주식회사 시마즈 제작소제 시차 주사 열량 측정기「DSC-60A」
·샘플량 : 5㎎
·측정 온도 : 23℃~210℃
·승온 속도 : 10℃/분
인장항복응력(TYS)은, 주식회사 에이·앤드·데이제 텐시론RTG-1210을 이용한 측정치이다.
표 1에, HPP1, HPP2, HPP3, rPP, bPP 및 LLDPE의 융점, 결정 융해 에너지 및 인장항복응력을 표시한다.
[표 1]
Figure pat00001
1.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재의 제작
제조례 1
120㎛ 두께의 알루미늄박(A8079H-O재)의 양면을, 인산, 아크릴계 수지, 크롬(Ⅲ)염 화합물, 물 및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화성 처리액으로 처리하여, 하지층이 형성된 처리 알루미늄박을 제작하였다. 또한, 편면당의 크롬 부착량은 10㎎/㎡이다. 다음에, 처리 알루미늄박의 편면에 PU 접착제를 건조막 두께가 3㎛가 되도록 도공(塗工)하고, HPP1로 이루어지는 필름(300㎛ 두께, T다이법으로 제조)를 첩합하였다. 다음에, 처리 알루미늄박의 타방의 면에 PU 접착제를 건조막 두께가 3㎛가 되도록 도공하고, 4.5㎛ 두께의 rPP층과, 21㎛ 두께의 bPP층과, 4.5㎛ 두께의 rPP층으로 이루어지는 합계 30㎛ 두께의 무연신의 3층 공압출 폴리올레핀 필름을 첩합함에 의해,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다음에 이 적층체를 40℃로 8일간 에이징시킴에 의해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재(A)로 하였다.
제조례 2~3
제조례 1에서, HPP1로 이루어지는 필름에 대신하여 HPP2로 이루어지는 필름(300㎛ 두께, T다이법으로 제조) 또는 HPP3으로 이루어지는 필름(300㎛ 두께, T다이법으로 제조)을 이용한 외는 마찬가지로 하여,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재(B 및 C)를 제작하였다.
제조례 4
제조례 1의 처리 알루미늄박의 편면에 PU 접착제를 건조막 두께가 3㎛가 되도록 도공하고, rPP로 이루어지는 30㎛ 두께의 필름을 첩합하였다. 다음에 이 rPP 필름의 표면에 PU 접착제를 건조막 두께가 3㎛가 되도록 도공하고, HPP1 필름을 첩합하였다. 다음에 처리 알루미늄박의 타방의 면에 PU 접착제를 건조막 두께가 3㎛가 되도록 도공하고, 제조례 1의 3층 공압출 폴리올레핀 필름을 첩합함에 의해,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다음에, 이 적층체를 제조례 1과 같은 조건으로 에이징시킴에 의해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재(D)로 하였다.
제조례 5~6
제조례 4에서, HPP1 필름에 대신하여 HPP2 필름 또는 HPP3 필름을 이용한 외는 마찬가지로 하여,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재(E 및 F)를 제작하였다.
제조례 7
제조례 1의 처리 알루미늄박의 편면에 PU 접착제를 건조막 두께가 3㎛가 되도록 도공하고, 강화층으로서, 150㎛ 두께의 bPP층과 25㎛ 두께의 rPP층으로 이루어지는 합계 175㎛의 2층 공압출 폴리올레핀 필름을 첩합하였다. 다음에, 이 2층 공압출 폴리올레핀 필름에 PU 접착제를 건조막 두께가 3㎛가 되도록 도공하고, HPP1 필름을 첩합하였다. 다음에, 처리 알루미늄박의 타방의 면에 PU 접착제를 건조막 두께가 3㎛가 되도록 도공하고, 제조례 1의 3층 공압출 폴리올레핀 필름을 첩합함에 의해,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다음에 이 적층체를 제조례 1과 같은 조건으로 에이징시킴에 의해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재(G)로 하였다.
제조례 8~9
제조례 7에서, HPP1 필름에 대신하여 HPP2 필름 또는 HPP3 필름을 이용한 외는 마찬가지로 하여,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재(H 및 I)를 제작하였다.
비교 제조례 1
제조례 1의 처리 알루미늄박의 편면에 PU 접착제를 건조막 두께가 3㎛가 되도록 도공하고, 강화층으로서, 제조례 4의 rPP 필름(30㎛ 두께)을 첩합하였다. 다음에 처리 알루미늄박의 타방의 면에 PU 접착제를 건조막 두께가 3㎛가 되도록 도공하고, 제조례 1의 3층 공압출 폴리올레핀 필름을 첩합함에 의해,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다음에 적층체를 제조례 1과 같은 조건으로 에이징시킴에 의해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재(J)로 하였다.
비교 제조례 2
제조례 1의 처리 알루미늄박의 편면에 PU 접착제를 건조막 두께가 3㎛가 되도록 도공하고, 강화층으로서, 제조례 7의 2층 공압출 폴리올레핀 필름을 첩합하였다. 다음에 처리 알루미늄박의 타방의 면에 PU 접착제를 건조막 두께가 3㎛가 되도록 도공하고, 제조례 1의 3층 공압출 폴리올레핀 필름을 첩합함에 의해,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다음에 이 적층체를 제조례 1과 같은 조건으로 에이징시킴에 의해,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재(K)로 하였다
비교 제조례 2
제조례 1의 처리 알루미늄박의 편면에 PU 접착제를 건조막 두께가 3㎛가 되도록 도공하고, 강화층으로서, LLDPE로 이루어지는 50㎛ 두께의 필름을 첩합하였다. 다음에 처리 알루미늄박의 타방의 면에 PU 접착제를 건조막 두께가 3㎛가 되도록 도공하고, 제조례 1의 3층 공압출 폴리올레핀 필름을 첩합함에 의해,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다음에 이 적층체를 제조례 1과 같은 조건으로 에이징시킴에 의해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재(L)로 하였다.
2. 성형 용기의 제작
실시례 1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재(A)를 시판의 프레스 금형기에 세트하고, 드로잉 성형을 한 후 트리밍을 행함에 의해,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컵형상의 성형 용기(A)를 제작하였다. 성형 용기(A)은, 플랜지부 외경이 86㎜, 플랜지부 폭이 10㎜, 개구경(開口徑)이 66㎜, 높이가 30㎜, 저경(底徑)이 56㎜이다.
실시례 2~6
실시례 1에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재(A)에 대신하여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재 B~F를 이용한 외는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 용기(A)와 같은 치수의 성형 용기(B~F)를 제작하였다.
실시례 7
실시례 1에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재(A)에 대신하여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재(G)를 이용한 외는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 용기(A)와 같은 치수의 성형 용기를 제작하였다. 다음에, 이 성형 용기의 플랜지부의 상면에, 200℃로 가열한 환형상 노치 형성 날을 120㎏f의 가압력으로 2초간 꽉누름에 의해, 개구 주연부터 2㎜ 떨어진 위치에, 횡단면이 개략 V자형인 환형상의 개봉용 노치를 새김에 의해, 성형 용기(G)를 제작하였다. 노치의 깊이는 110㎛이고, 그 선단은, 도 3(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강화층을 이루는 bPP 필름층에 도달하고 있다고 생각되었다.
실시례 8~9
실시례 7에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재(G)에 대신하여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재(H 또는 I)를 이용한 외는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 용기(H 및 I)를 제작하였다. 각각의 치수는 성형 용기(A)와 같고, 또한, 각각의 플랜지부 상면에 형성된 개봉용 노치의 형상 및 치수도 성형 용기(A)의 각각과 같았다.
비교례 1~3
실시례 1에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재(A)에 대신하여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포재(J, K 또는 L)를 이용한 외는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 용기(J, K 및 L)를 제작하였다.
표 2에 성형 용기(A~L)의 층구성을 표시한다.
[표 2]
Figure pat00002
3. 덮개의 제작
제조례 10
12㎛ 두께의 알루미늄박(A8021-H18 재)의 양면을, 제조례 1의 도공액으로 화성 처리하여, 하지층을 형성한 처리 알루미늄박을 제작하였다. 또한, 편면당의 크롬 부착량은 10㎎/㎡이다. 다음에 처리 알루미늄박의 편면에 PU 접착제를 건조막 두께가 3㎛가 되도록 도공하고, 25㎛ 두께의 2축연신 PET 필름을 첩합하였다. 다음에 처리 알루미늄박의 타방의 면에 PU 접착제를 건조막 두께가 3㎛가 되도록 도공하고, 열융착성 수지로서 50㎛ 두께의 LLDPE 필름을 첩합하고,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다음에, 적층체를 40℃로 8일간 에이징시킴에 의해, 라미네이트 포재를 제작하였다. 다음에, 라미네이트 포재를 120㎜ × 120㎜의 정방형으로 절출(切出)하여, 덮개(A)를 제작하였다.
제조례 11
제조례 10의 처리 알루미늄박의 편면에 PU 접착제를 건조막 두께가 3㎛가 되도록 도공하고, 보호 수지층으로서, 25㎛ 두께의 2축연신 PET 필름을 첩합하였다. 다음에 처리 알루미늄박의 타방의 면에 PU 접착제를 건조막 두께가 3㎛가 되도록 도공하고, 강화층으로서, 12㎛ 두께의 2축연신 PET 필름을 첩합하였다. 다음에, 강화층의 2축연신 PET 필름에 PU 접착제를 건조막 두께가 3㎛가 되도록 도공하고, 열융착성 수지층으로서 50㎛ 두께의 LLDPE 필름을 첩합하여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다음에, 적층체를 제조례 10과 같은 조건으로 에이징시킴에 의해, 라미네이트 포재를 제작하였다. 계속해서, 라미네이트 포재를 120㎜ × 120㎜의 정방형으로 절출하여, 덮개(B)를 제작하였다.
4.포장체의 제작
실시례 10
성형 용기(A)를 2개 준비하였다. 일방의 성형 용기(A)에는, 시판의 레토르트 카레루(하우스식품(주)제 프로퀼리티비프카레(등록상표) 중신(中辛))로부터 건더기를 빼낸 것을 20g 넣고, 플랜지부에 덮개(A)를 재치하였다. 다음에, 190℃로 가열한 환형상 실러(외경 84㎜φ, 내경 72㎜φ, 폭 6㎜)를, 그 개구 중심이 성형 용기(A)의 개구 중심과 동일 수직선(垂直線)상(上)이 되도록 하여, 그 플랜지부에 0.2㎫로 2초간 가압함에 의해, 카레루들이 포장체(A)를 제작하였다. 타방의 성형 용기(A)에는, 물 20㎖를 넣고, 그 플랜지부에 덮개(A)를 같은 방법 및 조건으로 히트 실 함에 의해, 물(水)들이 포장체(A)를 제작하였다. 각 포장체(A) 모두, 플랜지부 상면의 내측의 둘레방향에 걸쳐서 6㎜ 폭의 띠형상 영역이 열융착부를 구성하고 있고, 외측의 1㎜ 폭의 미열융착부는 개봉 절괘로서 이용하였다. 또한, 플랜지부 상면의 내측에는 3㎜ 폭의 미열융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례 11~15
성형 용기(B~F)에 대해서도, 실시례 10와 마찬가지로 하여, 카레루들이 포장체(B~F) 및 물들이 포장체(B~F)를 제작하였다. 각 포장체는, 포장체(A)와 같은 치수 및 수(數)의 열융착부 및 미열융착부를 갖고 있다.
실시례 16
성형 용기(G)를 2개 준비하였다. 일방의 성형 용기(G)에는, 상기 레토르트 카레루로부터 건더기를 빼낸 것을 20g 넣고, 플랜지부에 덮개(B)를 재치하였다. 다음에, 190℃로 가열한 환형상 실러(외경 86㎜φ, 내경 72㎜φ, 폭 7㎜)를, 그 개구 중심이 성형 용기(G)의 개구 중심과 동일 수직선상이 되도록 하여, 그 플랜지부에 0.2㎫로 2초간 가압함에 의해, 카레루들이 포장체(G)를 제작하였다. 타방의 성형 용기(G)에는, 물 20㎖를 넣고, 그 플랜지부에 덮개(B)를 같은 방법 및 조건으로 히트 실 함에 의해, 물들이 포장체(G)를 제작하였다. 각 포장체(G) 모두, 플랜지부 상면의 외측의 둘레 방향에 걸치는 7㎜ 폭의 띠 형상 영역이 열융착부를 구성하고 있고, 외측의 미열융착부는 없었다. 또한, 플랜지부 상면의 내측에는 3㎜ 폭의 미열융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미열융착부에 개봉용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례 17, 18
성형 용기(H 및 I)에 대해서도, 실시례 16와 마찬가지로 하여, 카레루들이 포장체(H 및 I) 및 물들이 포장체(H 및 I)를 제작하였다. 각 포장체는, 포장체(G)와 같은 치수 및 수의 열융착부 및 미열융착부를 갖고 있다.
비교례 4~6
성형 용기(J~L)에 관해서는, 실시례 10와 마찬가지로 하여, 덮개(A)를 이용하여, 카레루들이 포장체(J~L) 및 물들이 포장체(J~L)를 제작하였다. 각 포장체는, 포장체(A)와 같은 치수 및 수의 열융착부 및 미열융착부를 갖고 있다.
5. 포장체의 평가
5-1. 쉬운 개봉제(易開封製), 내착색성 및 내착향성
카레루들이 포장체(A)를, 상온에서 4주간 방치한 후, 45°로 기울인 상태에서 시판의 인장시험기에 세트하고, 덮개(A)를 상방향으로 인장한 때의 강도를 측정한 바, 약 20N이였다. 다음에, 개봉 후의 성형 용기(A)로부터 카레루를 폐기하고, 내부를 세정한 후, 행주로 닦고, 성형 용기(A)의 측벽 및 저벽 및 코너부에서의 착색과, 성형 용기(A) 수용부 내의 잔향을, 이하의 기준으로 관능 평가하였다. 카레루들이 포장체(B~L)에 대해서도 같은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에 표시한다.
○ : 용기 내면의 착색, 잔향의 모두 인정되지 않았다.
△ : 용기 내면 중 코너부에만 근소한 착색이 인정되었다. 잔향은 인정되지 않았다.
× : 용기 내면 중 저벽과 코너부에 강한 착색이 인정되었다. 잔향도 인정되었다.
[표 3]
Figure pat00003
5-2. 열처리시의 열융착부의 결함의 유무
물들이 포장체(A)를, 레토르트 솥(釜)에서 가열 처리(125℃, 20분간)한 후, 플랜지부의 측면에서 열융착부를 육안 관찰한바, 디라미네이션 및 벗겨짐 등의 결함은 인정되지 않았다. 물들이 포장체(B~L)에 대해서도 같은 평가를 행하였지만, 마찬가지로 결함은 인정되지 않았다.
표 3의 결과로부터, 실시례의 포장체(A~I)는 전부, 본체인 성형 용기의 최내면이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착색성 및 내착향성이 양호하고, 개봉 강도도 문제없는 레벨이었다. 한편, 비교례의 포장체(J~L)는 어느 것이나, 본체인 성형 용기의 최내면이 호모폴리프로필렌이 아닌 폴리올레핀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봉 강도는 문제없는 것이지만, 내착색성 및 내착향성이 뒤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성형 용기는, 카레나 스튜, 파스타소스 등의 유지 함유 식품의 장기 보존에 적합하다.
(10) : 금속 라미네이트 포재
(10a) : 열융착성 수지층
(10b) : 강화층
(10c) : 배리어층
(10d) : 보호 수지층
(A) :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
(B) : 폴리올레핀 필름
(C) : 금속박
(D) : 합성수지 필름
(1) : 성형 용기
(11) : 개구
(12) : 주연
(13) : 플랜지부
(14) : 측벽
(15) : 저벽
(16) : 개봉용 노치
(2) : 포장체
(3) : 유지 함유 식품
(4) : 덮개
(40) : 라미네이트 포재
(40a) : 보호 수지층
(40b) : 금속박층
(40c) : 강화층
(40d) : 열융착성 수지층
(51) : 열융착부
(52) : 미열융착부

Claims (10)

  1. 유지 함유 식품 수용용의, 금속 라미네이트 포재로 이루어지는 성형 용기로서,
    개구와, 개구의 주연에 환형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를 갖고 있고,
    상기 금속 라미네이트 포재가,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열융착성 수지층과, 금속박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층과, 합성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보호 수지층을 갖고 있고,
    상기 열융착성 수지층이 용기의 최내면을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보호 수지층이 용기의 최외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성 수지층을 이루는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융점이 160℃ 이상임과 함께, 결정 융해 에너지가 65J/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성 수지층을 이루는 호모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인장항복응력이 2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성 수지층과 상기 배리어층의 사이에 폴리올레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강화층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층을 이루는 폴리올레핀 필름이 적어도 2층의 적층 필름으로서, 폴리(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층 및/또는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화성 처리에 의한 하지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을 이루는 금속박이 알루미늄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수지층을 이루는 합성수지 필름이 적어도 2층의 적층 필름으로서, 폴리(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층 및/또는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 개봉용 노치가 새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용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성형 용기와, 유지 함유 식품과, 최내면이 열융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열봉함된 포장체로서,
    상기 덮개의 열융착성 수지층과, 상기 성형 용기의 플랜지부 상면을 이루는 열융착성 수지층의 사이에 열융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KR1020200129328A 2019-10-09 2020-10-07 유지 함유 식품 수용용의 성형 용기 및 포장체 KR202100422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85760 2019-10-09
JP2019185760 2019-10-09
JPJP-P-2020-157758 2020-09-18
JP2020157758A JP2021059387A (ja) 2019-10-09 2020-09-18 油脂含有食品収容用の成形容器及び包装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255A true KR20210042255A (ko) 2021-04-19

Family

ID=75379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328A KR20210042255A (ko) 2019-10-09 2020-10-07 유지 함유 식품 수용용의 성형 용기 및 포장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107248A1 (ko)
JP (1) JP2021059387A (ko)
KR (1) KR20210042255A (ko)
TW (1) TWI8267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02125A (zh) * 2021-03-17 2023-09-22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材料、包装袋及包装体
WO2022270157A1 (ja) * 2021-06-22 2022-12-29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成形容器用積層体、成形容器および包装体
EP4163101A1 (en) * 2021-10-06 2023-04-12 Danapak Flexibles A/S A laminated aluminium food tra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6916B2 (ja) 1993-06-11 1999-03-08 昭和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ハイバリアー成形容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07748C (en) * 1989-08-31 1996-01-02 Eiji Tamura Food packaging container
US5836919A (en) * 1996-05-23 1998-11-17 Solopak Pharmaceuticals, Inc. Cap assembly
US6143825A (en) * 1999-05-14 2000-11-07 Montell Technology Company Bv Adhesive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s suitable for coating substrates
JP2005508415A (ja) * 2001-11-06 2005-03-31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アイソタクチックプロピレンコポリマー類、その製法および用途
US20050069716A1 (en) * 2003-09-11 2005-03-31 Sun Sasongko Composition of coextruded adhesive film to bond non-polar to polar surfaces
JP2007233097A (ja) * 2006-03-01 2007-09-13 Fujifilm Corp 熱現像感光材料
JP6469356B2 (ja) * 2013-07-29 2019-02-13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電池ケース
WO2018098431A1 (en) * 2016-11-28 2018-05-31 Bostik, Inc. Hot melt adhesives for bonding elastomeric components, nonwoven materials, and thermoplastic fil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6916B2 (ja) 1993-06-11 1999-03-08 昭和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ハイバリアー成形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59387A (ja) 2021-04-15
TWI826728B (zh) 2023-12-21
US20210107248A1 (en) 2021-04-15
TW202126553A (zh) 2021-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2255A (ko) 유지 함유 식품 수용용의 성형 용기 및 포장체
AU2004249491B2 (en) Food packaging
JP4811558B2 (ja) ジッパー付包装袋
JP2004538189A (ja) 包装に有用な熱収縮性積層体
US20190055070A1 (en) Tabbed Seal For Beverage Pod
GB2048775A (en) Foodstuff Packaging Materials
CN212949601U (zh) 含油脂食品收纳用的成型容器及包装体
JP2016113181A (ja) 成形容器用シート、成形容器および包装体
JP4220044B2 (ja) 電子レンジ用射出成形容器
JP3983131B2 (ja) 包装体
JPH09221177A (ja) 電子レンジ調理用包装容器
JP3867474B2 (ja) 易開封性複合フィルム及び包装容器
JP6590520B2 (ja) ホット飲料容器用蓋材および包装体
JP5399951B2 (ja) 紙容器
JP4563754B2 (ja) 容器包装体及び該容器包装体に用いられる熱収縮性多層フィルム
JP2983715B2 (ja) 密封容器
JPH09301446A (ja) レトルトパウチ
JP6802988B2 (ja) ブリスター包装体
JP7324611B2 (ja) 成形容器用積層体、成形容器および包装体
JPH11171250A (ja) 繰り返し開閉可能な密封プラスチック容器
JP2021147107A (ja) 成形容器
JP6688015B2 (ja) 容器および包装体
JP2000238197A (ja) トレー状複合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118887U (ja) 包装用容器
JP2550598Y2 (ja) 内容が見える金属箔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