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2170A - 게이트 구동 회로, 게이트 구동 회로 제어 방법 및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게이트 구동 회로, 게이트 구동 회로 제어 방법 및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2170A
KR20210042170A KR1020217009689A KR20217009689A KR20210042170A KR 20210042170 A KR20210042170 A KR 20210042170A KR 1020217009689 A KR1020217009689 A KR 1020217009689A KR 20217009689 A KR20217009689 A KR 20217009689A KR 20210042170 A KR20210042170 A KR 20210042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rminal
display
group
connection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9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 옌 리우
더스틴 유크 런 와이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42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1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74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09G3/367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09G2300/0408Integration of the drivers onto the display substr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counteracting undesired variations, e.g. feedback or autozero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61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18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with collection of electrodes in groups for n-dimensional addres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21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with use of split matr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6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6Details of a shift regist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7Special arrangements with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of display data in the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a pre-processing circuitry delivering display data to said drivers or in the matrix panel, e.g. multiplexing plural data signals to one D/A converter or demultiplexing the D/A converter output to multiple colum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4Partial updating of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8Improving the black lev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42Handling or displaying different aspect ratios, or changing the aspect rati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9/00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 G11C19/28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using semiconductor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화면이 접힌 후 완전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게이트 구동 회로, 게이트 구동 회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게이트 구동 회로는 제 1 구동 그룹, 제 1 연결 컨트롤러 및 제 2 구동 그룹을 포함한다. 제 1 구동 그룹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1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시작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1 단부는 제 1 구동 그룹에서 출력된 액티브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2 단부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2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3 단부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3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4 단부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4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2 구동 그룹은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5 단부에서 출력되는 액티브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게이트 구동 회로, 게이트 구동 회로 제어 방법 및 이동 단말기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게이트 구동 회로, 게이트 구동 회로 제어 방법 및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 기술의 발달로 이동 단말기, 예를 들어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화면 크기는 상대적으로 디스플레이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더 선명하고 생생하게 만들기 위해,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화면 크기가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화면 크기가 큰 휴대폰은 상대적으로 휴대성이 떨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화면(flexible display screen)이 제안된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부릴 수 있어 휴대폰의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화면을 접은 후,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이미지의 일부만 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접힌 디스플레이 화면에 완전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화면을 접은 후 완전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 회로, 게이트 구동 회로 제어 방법 및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 솔루션이 사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게이트 구동 회로가 제공되고, 게이트 구동 회로는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상의 픽셀 회로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게이트 구동 회로는 제 1 구동 그룹, 제 1 연결 컨트롤러 및 제 2 구동 그룹을 포함한다. 제 1 구동 그룹은 M 개의 캐스케이드 시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제 1 구동 그룹의 입력단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1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1 신호단이 출력하는 시작 신호를 수신하며, 여기서 M ≥ 2이고 M은 양의 정수이다.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1 단부는 제 1 구동 그룹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구동 그룹에서 출력되는 액티브 신호를 수신한다.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2 단부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2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2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를 수신한다.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3 단부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3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3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를 수신한다.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4 단부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4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4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를 수신한다. 제 2 구동 그룹은 N 개의 캐스케이드 시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은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5 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5 단이 출력하는 액티브 신호를 수신하며, 여기서 N ≥ 2이고 N은 양의 정수이다. 이에 기초하여, 전술한 게이트 구동 회로를 갖는 이동 단말기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 1 픽셀 회로 및 제 2 픽셀 회로를 포함한다. 제 1 구동 그룹은 복수의 제 1 픽셀 회로만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을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제 2 구동 그룹은 복수의 제 2 픽셀 회로만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을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연결 컨트롤러는 서로 인접한 제 1 구동 그룹 및 제 2 구동 그룹의 시프트 레지스터를 캐스케이드할 수 있으므로, 캐스케이드한 후 각각 서로 인접한 제 1 구동 그룹과 제 2 구동 그룹에 의해 제어되는 인접한 두 개의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은 동일한 이미지 프레임에서 동일한 이미지를 공동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또는, 제 1 연결 컨트롤러가 서로 인접한 제 1 구동 그룹과 제 2 구동 그룹 사이의 경로를 단절시킬 수 있다. 제 1 연결 컨트롤러는 제 2 구동 그룹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을 제어하여 독립적으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게이트 구동 회로는 제 2 연결 컨트롤러 및 제 3 구동 그룹을 더 포함한다. 제 2 연결 컨트롤러의 제 1 단부는 제 2 구동 그룹의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2 구동 그룹이 출력하는 액티브 신호를 수신한다. 제 2 연결 컨트롤러의 제 2 단부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2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2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를 수신한다. 제 2 연결 컨트롤러의 제 3 단부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3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3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를 수신한다. 제 2 연결 컨트롤러의 제 4 단부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4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4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제 3 구동 그룹은 S 개의 캐스케이드 시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제 3 구동 그룹의 입력단은 제 2 연결 컨트롤러의 제 5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2 연결 컨트롤러의 제 5 단부가 출력하는 액티브 신호를 수신하며, 여기서 S ≥ 2이고 S는 양의 정수이다. 이에 기초하여, 전술한 게이트 구동 회로를 갖는 이동 단말기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 1 픽셀 회로, 제 2 픽셀 회로 및 제 3 픽셀 회로를 포함한다. 제 1 구동 그룹은 복수의 제 1 픽셀 회로만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을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제 2 구동 그룹은 복수의 제 2 픽셀 회로만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을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제 3 구동 그룹은 복수의 제 3 픽셀 회로만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을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연결 컨트롤러는 서로 인접한 제 1 구동 그룹과 제 2 구동 그룹의 시프트 레지스터를 캐스케이드할 수 있다. 제 2 연결 컨트롤러는 서로 인접한 제 2 구동 그룹 및 제 3 구동 그룹의 시프트 레지스터를 캐스케이드할 수 있다. 캐스케이드한 후, 서로 인접한 제 1 구동 그룹, 제 2 구동 그룹 및 제 3 구동 그룹에 의해 각각 제어되는 3 개의 인접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이 동일한 이미지 프레임에서 동일한 이미지를 공동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또는, 제 1 연결 컨트롤러가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동 그룹과 제 2 구동 그룹 사이의 경로를 단절하고, 제 2 연결 컨트롤러는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동 그룹과 제 3 구동 그룹 사이의 경로를 단절할 수 있다. 제 1 연결 컨트롤러는 제 2 구동 그룹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을 제어하여 독립적으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제 2 연결 컨트롤러는 제 3 구동 그룹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을 제어하여 독립적으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제 1 연결 컨트롤러는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를 포함한다. 제 1 스위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2 신호단, 제 1 구동 그룹의 출력단 및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스위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2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며,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으로 제 1 구동 그룹의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수신된 액티브 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스위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을 제어함으로써 제 1 구동 그룹과 제 2 구동 그룹 사이의 경로의 캐스케이딩 또는 단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2 스위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3 신호단,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4 신호단 및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 스위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3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고, 활성화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4 신호단에서 출력된 수신된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를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2 스위치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을 제어함으로써 제 2 구동 그룹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을 제어하여 이미지를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하거나 화면이 꺼진 상태를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1 스위치는 제 1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2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1 트랜지스터의 제 1 전극은 제 1 구동 그룹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1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은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입력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제 1 스위치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 2 스위치는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3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 트랜지스터의 제 1 전극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4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2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은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 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2 스위치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가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여 제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1 구동 그룹 또는 제 2 구동 그룹에서,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가 아닌 복수의 시프트 레지스터에서, 상위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은 하위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기초하여, 제 1 트랜지스터의 제 1 전극은 제 1 구동 그룹의 최종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1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은 제 2 구동 그룹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은 제 2 구동 그룹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 1 구동 그룹과 제 2 구동 그룹 사이에는 하나의 제 1 연결 컨트롤러만 배치하면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가 제공된다. 이동 단말기는 전술한 게이트 구동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 1 픽셀 회로 및 제 2 픽셀 회로를 더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 회로의 제 1 구동 그룹에서, 각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은 제 1 픽셀 회로의 일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게이트 구동 회로의 제 2 구동 그룹에서, 각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은 제 2 픽셀 회로의 일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동 단말기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한 게이트 구동 회로와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픽셀 회로 각각은 발광 부품 및 발광 부품이 빛을 방출할 때 턴온 상태에 있는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제 1 구동 그룹에서, 각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은 제 1 픽셀 회로의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 구동 그룹에서, 각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은 제 2 픽셀 회로의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발광 제어 신호의 제어하에, 제 1 픽셀 회로 또는 제 2 픽셀 회로의 구동 트랜지스터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류가 발광 소자로 전달되어 발광 소자가 발광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제 1 픽셀 회로 또는 제 2 픽셀 회로를 갖는 서브 픽셀이 디스플레이를 수행한다. 따라서, 발광 제어 신호는 주로 서브 픽셀이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이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게이트 구동 회로의 제 1 구동 그룹 및 제 2 구동 그룹이 서브 픽셀의 발광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각각 제 1 게이트 구동 회로 및 제 2 게이트 구동 회로인 두 개의 게이트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제 1 게이트 구동 회로에서, 각각의 제 1 구동 그룹의 각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은 홀수 행 또는 열의 제 1 픽셀 회로의 일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제 2 구동 그룹의 각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은 홀수 행 또는 열의 제 2 픽셀 회로의 일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 게이트 구동 회로에서, 각각의 제 1 구동 그룹의 각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은 짝수 행 또는 열의 제 1 픽셀 회로의 일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제 2 구동 그룹의 각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은 짝수 행 또는 열의 제 2 픽셀 회로의 일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 1 게이트 구동 회로 및 제 2 게이트 구동 회로는 각각 홀수 행(또는 열) 및 짝수 행(또는 열)의 서브 픽셀을 구동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집적 회로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집적 회로는 제 1 신호단, 제 2 신호단, 제 3 신호단 및 제 4 신호단을 포함한다. 제 1 신호단은 시작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신호단은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3 신호단은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4 신호단은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게이트 구동 회로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집적 회로에 연결된 후,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집적 회로가 제 1 신호단을 사용하여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에 대한 시작 신호를 제공하고,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 및 제 1 연결 컨트롤러에 대한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하부 기판을 더 포함한다. 제 1 픽셀 회로 및 제 2 픽셀 회로는 하부 기판 상에 제조된다. 또한, 하부 기판을 구성하는 재료는 가요 성 수지 재료를 포함한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게이트 구동 회로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게이트 구동 회로는 제 1 구동 그룹, 제 1 연결 컨트롤러 및 제 2 구동 그룹을 포함한다. 제 1 구동 그룹은 M 개의 캐스케이드 시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제 1 구동 그룹의 입력단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1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여기서 M ≥ 2이고 M은 양의 정수이다.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1 단부는 제 1 구동 그룹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2 단부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2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3 단부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3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4 단부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4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 구동 그룹은 N 개의 캐스케이드 시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은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5 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여기서 N ≥ 2이고 N은 양의 정수이다. 또한, 제 1 연결 컨트롤러는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를 포함한다. 제 1 스위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2 신호단, 제 1 구동 그룹의 출력단 및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 스위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3 신호단,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4 신호단 및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게이트 구동 회로를 제어하는 방법은, 먼저, 제 1 스위치에 의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2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인액티브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를 수신하여 제 1 스위치가 비활성화되고 제 1 구동 그룹 및 제 2 구동 그룹 사이의 경로가 연결 해제되는 단계와, 다음으로, 제 2 스위치에 의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3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액티브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를 수신하여 제 2 스위치가 활성화되게 하는 단계와, 다음으로, 제 2 스위치에 의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4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액티브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액티브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는 활성화된 제 2 스위치를 통해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으로 출력되고, 제 2 구동 그룹의 N 개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은 순차적으로 게이트 구동 신호를 출력함 -; 또는 제 2 스위치에 의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4 신호단에서 출력된 인액티브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인액티브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는 활성화된 제 2 스위치를 통해 제 2 구동 그룹을 통해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으로 출력되며, 제 2 구동 그룹의 모든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은 비 게이트 구동 신호를 출력함 -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이 방법은 제 1 구동 그룹의 입력단에 의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1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액티브 시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 1 구동 그룹의 모든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은 순차적으로 게이트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이 경우, 제 2 구동 그룹의 모든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이 비 게이트 구동 신호를 출력한 후, 제 1 구동 그룹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과 제 2 구동 그룹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이 각각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픽셀 회로 및 게이트 구동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른 픽셀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픽셀 회로의 각 신호단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는 도 1의 픽셀 회로 및 게이트 구동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며, 게이트 구동 회로는 예를 들어, 발광 구동 회로이다.
도 7a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이동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b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이동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c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이동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이동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9는 도 7b 또는 도 8의 게이트 구동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0은 도 7b 또는 도 8의 다른 게이트 구동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의 분할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상의 일 유형의 이미지 디스플레이의 개략도이다.
도 13a는 도 1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상의 다른 유형의 이미지 디스플레이의 개략도이다.
도 13b는 이동 단말기를 구부린 후의 도 13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이동 단말기의 일 유형의 이미지 디스플레이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상의 일 유형의 이미지 디스플레이의 개략도이다.
도 16a는 도 15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를 구부린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16b는 이동 단말기를 구부린 후의 도 16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7은 도 1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를 구부린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18a는 도 1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를 다르게 구부린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18b는 도 1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를 다르게 구부린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19는 도 1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를 다르게 구부린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참조 번호:
01: 게이트 구동 회로; 10: 디스플레이 패널; 100: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 101: 비 디스플레이 영역; 20: 서브 픽셀; 201: 픽셀 회로; 11: 구동 그룹; 및 12: 연결 컨트롤러
다음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설명한다. 명백하게,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일 뿐이다.
이하의 "제 1" 및 "제 2"와 같은 용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고, 상대적 중요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없으며, 지정된 기술적 특징의 양을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없다. 따라서 "제 1" 및 "제 2"로 정의 된 기능은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위", "아래", "왼쪽", "오른쪽", "수평" 및 "수직"과 같은 방향의 용어는 첨부 도면에서 도시된 구성 요소의 배치 위치에 대해 정의된다. 이러한 방향 용어는 상대적인 개념이며 상대성을 설명하고 명확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며,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의 배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는 게이트 구동 회로(01)(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음)를 제공한다. 게이트 구동 회로(01)는 게이트 드라이버 온 어레이(Gate Driver on Array, GOA) 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게이트 구동 회로(01)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 기판 상에 제조된다. 게이트 구동 회로는 디스플레이 패널상의 픽셀 회로를 구동하여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게이트 구동 회로(01)는 예를 들어,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차량 내 컴퓨터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형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active area, AA)(100) 및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의 주변에 위치하는 비 디스플레이 영역(101)을 포함한다.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은 복수의 서브 픽셀(sub pixel)(20)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출원에서는 복수의 서브 픽셀(20)이 매트릭스의 형태로 배열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수평 방향(X)으로 일렬로 배열된 서브 픽셀(20)을 동일한 행의 서브 픽셀이라 하고, 수직 방향(Y)의 라인에 배열된 서브 픽셀(20)을 동일한 열의 서브 픽셀이라고 한다.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기 위해 서브 픽셀(2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픽셀 회로(201)가 서브 픽셀(20)에 배치된다. 픽셀 회로(201)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 디스플레이 영역(101)에는 게이트 구동 회로(01)가 배치된다. 게이트 구동 회로(01)는 복수의 시프트 레지스터(시프트 레지스터, 약어로 SR)를 포함한다. 각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UTput, 줄여서 Oput)은 한 행의 서브 픽셀(20)에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대한 게이트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시프트 레지스터(SR)가 순차적으로 캐스케이드될 때,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1)의 신호 출력단(Oput)은 제 2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2)의 신호 입력단(INput, 줄여서 Iput)에 연결된다. 제 2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2)는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1)에 인접한다.
제 2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2)의 신호 출력단(Oput)은 제 3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3)의 신호 입력단(Iput)에 연결된다. 제 3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3)는 제 2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2)에 인접하다.
또한, 다른 시프트 레지스터(SR)를 캐스케이드하는 방식은 전술한 방식과 동일하다.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1)의 신호 입력단(Iput)은 시작 신호(시작 수직 프레임 신호(start vertical frame signal), 줄여서 STV)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시작 신호(STV)가 고전압(high voltage) 일 때, 시작 신호(STV)는 액티브 신호이고,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1)가 시작된다.
시작 신호(STV)가 저전압(low voltage)일 때, 시작 신호(STV)는 인액티브 신호(inactive signal)이고, 이 경우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1)는 작동하지 않는다.
이에 기초하여,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1)는 서브 픽셀(20)의 제 1 행에 있고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1)의 신호 출력단(Oput)에 연결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대한 게이트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1)는 제 2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2)를 시작시키도록 제 2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2)의 신호 입력단(Iput)에 시작 신호를 더 제공한다.
다음으로, 제 2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2)는 서브 픽셀(20)의 제 2 행에 있고 제 2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2)의 신호 출력단(Oput)에 연결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대한 게이트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제 2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2)는 제 3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3)를 시작시키도록 제 3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3)에 대한 시작 신호 입력단(Iput)에 시작 신호를 더 제공한다.
다음으로, 제 3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3)는 서브 픽셀(20)의 제 3 행에 있고 제 3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3)의 신호 출력단(Oput)에 연결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게이트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제 3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3)는 제 3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3)에 캐스케이드된 한 레벨(one level)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입력단(Iput)에 시작 신호를 더 제공한다. 이와 같이, 전술한 복수의 캐스케이드된 시프트 레지스터(SR)를 사용함으로써,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서브 픽셀(20) 행이 행 단위로 스캔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설명은 게이트 구동 회로(01)의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가 서브 픽셀(20)의 한 행(또는 열)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예를 사용하여 제공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는 대안적으로 서브 픽셀(20)의 적어도 두 개의 행(또는 열)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를 수행할 수 있다. 시프트 레지스터(SR)의 내부 구조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은 서브 픽셀(20)의 픽셀 회로(201)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 픽셀 회로(201)는 트랜지스터(M) 및 액정 커패시터(C)를 포함한다. 액정 커패시터(C)의 두 개의 플레이트는 각각 픽셀 전극 및 공통 전극이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M)의 게이트는 게이트 구동 회로(01)의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이 도 3에 도시된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 서브 픽셀(20)의 픽셀 회로(201)는 커패시터(C), 복수의 스위치 트랜지스터(M1, M2, M3, M5, M6, M7) 및 하나의 구동 트랜지스터(M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스위치 트랜지스터(예를 들어, M1 및 M7)의 게이트는 도 4에 도시된 제 1 게이팅 신호(N-1)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다른 스위치 트랜지스터(예를 들어, M2 및 M3)의 게이트는 도 4에 도시된 제 2 게이팅 신호(N)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소정의 게이트 스위치 트랜지스터(예를 들어, M5 및 M6)의 게이트는 도 4에 도시된 발광 제어 신호(EM)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픽셀 회로의 작업 프로세스는 도 4에 도시된 3 개의 단계, 즉 단계(1), 단계(2) 및 단계(3)을 포함한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단계(1)에서, 도 3의 트랜지스터(M1) 및 트랜지스터(M7)는 제 1 게이팅 신호 (N-1)의 제어하에 턴온된다. 초기 전압(Vint)은 트랜지스터(M1)와 트랜지스터(M7)를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M4)의 게이트(gate, 줄여서 g)와 OLED의 양극(anode, 줄여서 a)으로 개별적으로 전달되어 OLED의 양극 a 및 구동 트랜지스터(M4)의 게이트 g를 리셋한다.
단계(2)에서, 제 2 게이팅 신호(N)의 제어하에, 트랜지스터(M2)가 턴온되고, 구동 트랜지스터(M4)의 게이트(g)와 드레인(drain, 줄여서 d)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구동 트랜지스터 M4는 다이오드 온 상태(diode-on state)에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신호(Vdata)는 트랜지스터(M2)를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M4)의 소스(source, 줄여서 s)에 기입되고, 구동 트랜지스터(M4)의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Vth)이 보상된다.
단계(3)에서, 발광 제어 신호(EM)의 제어하에 트랜지스터(M5) 및 트랜지스터(M6)가 턴온되고, 전압 ELVDD 및 ELVSS 사이의 전류 경로가 턴온된다. 구동 트랜지스터(M4)에서 생성된 구동 전류(Isd)는 전류 경로를 통해 OLED로 전달되어 OLED가 발광하도록 구동한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비 디스플레이 영역(101)에 3 개의 게이트 구동 회로(01)가 배치되고, 이들은 각각 제 1 게이팅 신호(N-1)를 방출하도록 구성된 게이트 구동 회로(01_A), 제 2 게이팅 신호(N)를 방출하도록 구성된 게이트 구동 회로(01_B) 및 발광 제어 신호(EM)를 방출하도록 구성된 게이트 구동 회로(01_C)이다.
이에 기초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서브 픽셀(20) 행의 각 픽셀 회로(201)에서, 스위치 트랜지스터(M5, M6)의 게이트는 게이트 구동 회로(01_C) 내의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트랜지스터(M1, M7)의 게이트는 게이트 구동 회로(01_A)의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에 연결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스위치 트랜지스터(M2, M3)의 게이트는 게이트 구동 회로(01_B)의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게이트 구동 회로(01)의 복수의 시프트 레지스터(SR)가 동일한 이미지 프레임에서 순차적으로 캐스케이드되어 있기 때문에, 게이트 구동 회로(01)의 시프트 레지스터(SR)들이 이들 각각의 신호 출력단(Oput)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게이트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픽셀(20)의 제 1 행이 스캔된 후, 서브 픽셀(20)의 다른 행도 행 단위로 스캔되어, 전체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의 모든 서브 픽셀(20)이 공동으로 동일한 이미지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게이트 구동 회로(01)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1) 이외의 시프트 레지스터(SR)는 상위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이 제공하는 액티브 신호를 수신한 후에만 시작될 수 있고, 시작 신호(STV)를 직접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독립적으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의 일부 영역을 제어할 수 없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즉,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의 일부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구역(zone) 기반 독립 디스플레이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로 구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은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로 구분된다.
이에 기초하여, 순차적으로 캐스케이드된 게이트 구동 회로(01) 내의 복수의 인접한 시프트 레지스터(SR)는 하나의 구동 그룹(11)을 형성한다. 임의의 시프트 레지스터(SR)는 오직 하나의 구동 그룹(11)에만 속한다.
동일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의 서브 픽셀(20)의 픽셀 회로(201)는 동일한 구동 그룹(11)에 연결되어, 각 구동 그룹(11)이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도록 하나의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 회로(01)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비 디스플레이 영역(101)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에 연결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는 도 7a 또는 도 7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집적 회로(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s, DDIC)일 수 있다. 게이트 구동 회로(01)는 DDIC의 제 1 신호단(1), 제 2 신호단(2), 제 3 신호단(3) 및 제 4 신호단(4)에 연결된다.
DDIC의 제 1 신호단(1)은 게이트 구동 회로(01)에 시작 신호(STV)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DDIC의 제 2 신호단(2)은 게이트 구동 회로(01)에 대해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DDIC의 제 3 신호단(3)은 게이트 구동 회로(01)에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DDIC의 제 4 신호단(4)은 게이트 구동 회로(01)에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7a 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비 디스플레이 영역(101)에는 복수의 멀티플렉서(multiplexer, MUX)가 더 배치된다. 하나의 MUX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data line, DL)과 DDIC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음의 모든 설명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가 DDIC인 예를 사용하여 제공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에 기초하여, 도 7a에 도시된 구조를 예로 들면, 게이트 구동 회로(01)는도 7a의 구동 그룹(11_A)과 같은 제 1 구동 그룹, 도 7a의 구동 그룹(11_B)과 같은 제 2 구동 그룹 및 연결 컨트롤러(12_B)와 같은 제 1 연결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 1 픽셀 회로 및 제 2 픽셀 회로를 더 포함한다. 제 1 픽셀 회로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에 위치하고, 제 2 픽셀 회로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에 위치한다.
게이트 구동 회로(01)의 제 1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A))에서, 각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은 제 1 픽셀 회로의 일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그룹(11_A)이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게이트 구동 회로(01)의 제 2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B))에서, 각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은 제 2 픽셀 회로의 일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그룹(11_B)이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이에 기초하여, 제 1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A))은 M 개의 캐스케이드 시프트 레지스터(SR)를 포함한다. 제 1 구동 그룹의 입력단은 DDIC의 제 1 신호단(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DDIC의 제 1 신호단(1)에서 출력된 시작 신호(STV)를 수신하며, 여기서 M ≥ 2이고 M은 양의 정수이다.
제 1 연결 컨트롤러(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1 단부는 제 1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A))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A))에서 출력되는 액티브 신호를 수신한다.
제 1 연결 컨트롤러(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2 단부는 DDIC의 제 2 신호단(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DDIC의 제 2 신호단(2)에서 출력되는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를 수신한다.
제 1 연결 컨트롤러(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3 단부는 DDIC의 제 3 신호단(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DDIC의 제 3 신호단(3)에서 출력되는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를 수신한다.
제 1 연결 컨트롤러(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4 단부는 DDIC의 제 4 신호단(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DDIC의 제 4 신호단(4)이 출력하는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를 수신한다.
제 2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B))은 N 개의 캐스케이드 시프트 레지스터(SR)를 포함한다. 제 2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B))의 입력단은 제 1 연결 컨트롤러(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5 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5 단이 출력하는 액티브 신호를 수신하며, 여기서 N ≥ N은 양의 정수이고, M과 N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이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7b에 도시된 구조를 예로 들면, 제 1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A)), 제 1 연결 컨트롤러(연결 컨트롤러(12_B)) 및 제 2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B))을 포함하는 것에 추가하여, 게이트 구동 회로(01)는 연결 컨트롤러(12_C)와 같은 제 2 연결 컨트롤러 및 구동 그룹(11_C)과 같은 제 3 구동 그룹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 1 픽셀 회로, 제 2 픽셀 회로 및 제 3 픽셀 회로를 더 포함한다. 제 1 픽셀 회로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에 위치하고, 제 2 픽셀 회로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에 위치하며, 제 3 픽셀 회로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에 위치한다.
게이트 구동 회로(01)의 제 1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A))에서, 각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이 제 1 픽셀 회로의 일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그룹(11_A)이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게이트 구동 회로(01)의 제 2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B))에서, 각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은 제 2 픽셀 회로의 일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그룹(11_B)이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게이트 구동 회로(01)의 제 3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C))에서, 각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은 제 3 픽셀 회로의 일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그룹이(11_C)이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이에 기초하여, 제 2 연결 컨트롤러(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1 단부는 제 2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B))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2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B))에서 출력되는 액티브 신호를 수신한다.
제 2 연결 컨트롤러(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2 단부는 DDIC의 제 2 신호단(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DDIC의 제 2 신호단(2)에서 출력되는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를 수신한다.
제 2 연결 컨트롤러(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3 단부는 DDIC의 제 3 신호단(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DDIC의 제 3 신호단(3)에서 출력되는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를 수신한다.
제 2 연결 컨트롤러(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4 단부는 DDIC의 제 4 신호단(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DDIC의 제 4 신호단(4)에서 출력되는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를 수신한다.
또한, 제 3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C))은 S 개의 캐스케이드 시프트 레지스터(SR)를 포함한다. 제 3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C))의 입력단은 제 2 연결 컨트롤러(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5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2 연결 컨트롤러(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5 단부에서 출력되는 액티브 신호를 수신하며, 여기서 S ≥ 2이고 S는 양의 정수이다.
구동 그룹(11_A), 구동 그룹(11_B) 및 구동 그룹(11_C) 모두가 구동 그룹(11)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동 그룹(11)은 구동 그룹(11)이 배치된 위치에 따라 "A", "B " 및 "C"와 같은 문자를 사용하여 구별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개의 인접한 구동 그룹(11)은 상위 레벨 구동 그룹 및 하위 레벨 구동 그룹으로 지칭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위 레벨 구동 그룹은 시작 신호(STV)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1)를 포함하는 구동 그룹(11)임을 유의해야 한다. 대안적으로, 상위 레벨 구동 그룹은 두 개의 인접한 구동 그룹(11) 중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1)에 더 가까운 구동 그룹(11)이다.
하위 레벨 구동 그룹은 두 개의 인접한 구동 그룹(11) 중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1)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구동 그룹(11)이다.
예를 들어, 도 7b를 참조하면, 구동 그룹(11_A) 및 구동 그룹(11_B) 중 구동 그룹(11_A)은 시작 신호(STV)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1)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 그룹(11_A)은 상위 레벨 구동 그룹이고, 구동 그룹(11_B)은 하위 레벨 구동 그룹이다.
대안적으로, 구동 그룹(11_B) 및 구동 그룹(11_C) 중 구동 그룹(11_B)은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1)에 더 가까운 구동 그룹이다. 따라서, 구동 그룹(11_B)은 상위 레벨 구동 그룹이고, 구동 그룹(11_C)은 하위 레벨 구동 그룹이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레벨 구동 그룹과 하위 레벨 구동 그룹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컨트롤러(12)가 있으며, 예를 들어, 구동 그룹(11_A)과 구동 그룹(11_B) 사이에는 연결 컨트롤러(11_B)가 있고, 구동 그룹 (11_B) 및 구동 그룹(11_C) 사이에는 연결 컨트롤러(12_C)가 있다.
연결 컨트롤러(12_B) 및 연결 컨트롤러(12_C) 모두가 연결 컨트롤러(12)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결 컨트롤러(12)는 연결 컨트롤러(12)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B" 및 "C"와 같은 문자를 사용하여 구별된다.
이에 기초하여, DDIC의 제 2 신호단(2)이 제공하는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가 액티브 신호(예를 들어, Sel1은 고전압임)이고, DDIC의 제 3 신호단(3)이 제공하는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가 인액티브 신호(예를 들어, Sel2는 저전압임)인 경우, 연결 컨트롤러(12)는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 및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의 제어하에 상위 레벨 구동 그룹과 하위 레벨 구동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위 레벨 구동 그룹의 신호가 하위 레벨 구동 그룹으로 전송된다.
이 경우, 상위 구동 그룹의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은 하위 구동 그룹의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입력단(Iput)에 연결되어 캐스케이딩을 구현한다. 이 경우, 상위 레벨 구동 그룹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과 하위 레벨 구동 그룹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은 하나의 이미지를 공동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DDIC의 제 2 신호단(2)이 제공하는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가 인액티브 신호(예를 들어, Sel1이 저전압임)인 경우, DDIC의 제 3 신호단(3)에서 제공하는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는 액티브 신호(예, Sel2는 고전압임)이고, DDIC의 제 4 신호단(4)에서 제공하는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는 액티브 신호이며(예를 들어, STV_d가 고전압임), 연결 컨트롤러(12)는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 및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의 제어하에 상위 레벨 구동 그룹과 하위 레벨 구동 그룹 간의 경로 연결을 단절한다. 연결 컨트롤러(12)는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를 하위 구동 그룹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 상위 레벨 구동 그룹이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화면이 꺼진 상태로 유지되고, 하위 레벨 구동 그룹이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은 독립적으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풀 HD(Full High Definition, FHD)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해상도는 1920 × 1080일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이 디스플레이를 위해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된 세로 모드(portrait mode)를 사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는 수직 방향(Y)로 확장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은 수평 방향(X)으로 1920 개의 서브 픽셀의 행(20)을 가지며, 수직 방향(Y)으로 1080 개의 서브 픽셀의 열을 갖는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는 수평 방향(X)으로 1 행 내지 640 행의 서브 픽셀(2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는 수평 방향(X)으로 641 행 내지 1280 행의 서브 픽셀(2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는 수평 방향(X)으로 1281 행 내지 1920 행의 서브 픽셀(2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는 각각 수직 방향(Y)으로 1080 개의 서브 픽셀의 열을 갖는다.
게이트 구동 회로(01)는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의 좌측 및/또는 우측에 위치한다. 게이트 구동 회로(01)가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의 좌측에 위치하는 예를 사용하여 설명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 회로(01)는 발광 제어 신호(EM)를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픽셀 회로(201)에서, 트랜지스터(M5, M6)의 게이트는 발광 제어 신호(EM)를 수신한다. 트랜지스터(M5, M6)는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이다.
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에서, 동일한 행의 서브 픽셀(20)의 각 픽셀 회로(201)(즉, 제 1 픽셀 회로)의 발광 트랜지스터(M5 및 M6)의 게이트가 구동 그룹(11_A)의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에 연결된다.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에서, 동일한 행의 서브 픽셀(20)의 각 픽셀 회로(201)(즉, 제 2 픽셀 회로)의 발광 트랜지스터(M5 및 M6)의 게이트는 구동 그룹 (11_B) 의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에 연결된다.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에서, 동일한 행의 서브 픽셀(20)의 각 픽셀 회로(201)(즉, 제 3 픽셀 회로)의 트랜지스터(M5 및 M6)의 게이트는 구동 그룹(11_C)의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에 연결된다.
연결 컨트롤러(12_B)는 구동 그룹(11_A)의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과 구동 그룹(11_B)의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입력단(Iput)을 연결한다.
연결 컨트롤러(12_C)는 구동 그룹(11_B)의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과 구동 그룹(11_C)의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입력단(Iput)을 연결한다.
구동 그룹(11_A), 구동 그룹(11_B) 및 구동 그룹(11_C)이 경로를 형성할 때, 전체 게이트 구동 회로(01)는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의 서브 픽셀(20)을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행 단위로 스캔하여,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가 공동으로 동일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도 7b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가 휴대 전화(예, 해상도가 1920 × 1080임)인 예를 사용하여 설명되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 경우, 수평 방향(X)으로의 이동 단말기의 크기(dimension)는 수직 방향(Y)으로의 이동 단말기의 크기보다 작다. 또한, 수평 방향(X)에서의 이동 단말기의 크기 및 수직 방향(Y)에서의 이동 단말기의 크기간의 상대적으로 큰 차이로 인해, 이동 단말기의 외곽선은 도 12에 도시된 좁고 긴 형상을 가정한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태블릿 컴퓨터(해상도가 1920 × 1200임)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의 분할 및 게이트 구동 회로에서의 구동 그룹(11)의 설정 방식은 도 7b의 설정 방식과 유사하다. 수평 방향(X)에서의 태블릿 컴퓨터의 크기는 또한 수직 방향(Y)에서의 태블릿 컴퓨터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차이점은, 휴대폰에 비해 태블릿 컴퓨터가 수평 방향(X)와 수직 방향(Y)의 크기간의 차이가 더 적고, 이동 단말기의 윤곽선은 정사각형에 가깝다는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의 모든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가 이동 전화인 예를 사용하여 설명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이 디스플레이를 위해 도 14 또는 도 15에 도시된 가로 모드(landscape mode)를 사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는 수평 방향(X)으로 확장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은 수평 방향(X)으로 1080 개의 서브 픽셀의 행(20)을 갖고, 수직 방향(Y)으로 1920 개의 서브 픽셀의 열을 갖는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는 수직 방향(Y)으로 1 열 내지 640 열의 서브 픽셀(2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는 수직 방향(Y)으로 641 열 내지 1280 열의 서브 픽셀(2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는 수직 방향(Y)으로 1281 열 내지 1920 열의 서브 픽셀(2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는 각각 수평 방향(X)으로 1080 개의 서브 픽셀의 행을 갖는다.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의 상측 및/또는 하측에는 게이트 구동 회로(01)가 위치한다.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의 하측에 게이트 구동 회로(01)가 위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 회로(01)는 발광 제어 신호(EM)를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픽셀 회로(201)에서, 트랜지스터(M5, M6)의 게이트는 발광 제어 신호(EM)를 수신한다.
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에서, 서브 픽셀(20)의 열의 픽셀 회로(201) 내의 트랜지스터(M5 및 M6)의 게이트는 구동 그룹(11_A)의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에 접속된다.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에서, 서브 픽셀(20)의 열의 픽셀 회로(201) 내의 트랜지스터(M5 및 M6)의 게이트는 구동 그룹(11_B)의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에 접속된다.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에서, 서브 픽셀(20)의 열의 픽셀 회로(201) 내의 트랜지스터(M5 및 M6)의 게이트는 구동 그룹(11_C)의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에 접속된다.
연결 컨트롤러(12_B)는 구동 그룹(11_A)의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과 구동 그룹(11_B)의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입력단(Iput)을 연결한다.
연결 컨트롤러(12_C)는 구동 그룹(11_B)의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과 구동 그룹(11_C)의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입력단(Iput)을 연결한다.
구동 그룹(11_A), 구동 그룹(11_B) 및 구동 그룹(11_C)가 경로를 형성하면, 전체 게이트 구동 회로(01)는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의 서브 픽셀(20)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차적으로 열 단위로 스캔하여,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가 공동으로 동일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도 7b 또는 도 8에 도시된 임의의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연결 컨트롤러(12)는 연결 컨트롤러(12)와 연결된 상위 레벨 구동 그룹과 하위 레벨 구동 그룹 간의 연결 경로를 연결 또는 단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컨트롤러(12_B)가 구동 그룹(11_A)과 구동 그룹(11_B) 간의 연결 경로를 단절하면, 연결 컨트롤러(12_B)는 구동 그룹(11_B)으로 STV_d_B 신호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가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연결 컨트롤러(12_C)가 구동 그룹(11_B)과 구동 그룹(11_C) 사이의 연결 경로를 단절하면, 연결 컨트롤러(12_C)는 구동 그룹(11_C)에 STV_d_C 신호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이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컨트롤러(12_B)가 구동 그룹(11_A)과 구동 그룹(11_B) 사이의 연결 경로를 단절하고 연결 컨트롤러(12_C)가 구동 그룹(11_B)과 구동 그룹(11_C) 사이의 연결 경로를 단절하면, 시작 신호(STV)가 구동 그룹(11_A)에 고전압을 제공하여 구동 그룹(11_A)이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를 제어하여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TV_d_B) 및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TV_d_C) 모두가 전술한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TV_d)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TV_d)는 게이트 구동 회로(01)에서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TV_d)가 수신되는 상이한 위치에 기초하여, "B" 및 "C"와 같은 문자를 사용하여 구분된다.
또한, 도 7b 또는 도 8의 설명을 위한 예에서, 게이트 구동 회로(01)는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의 일측에 위치한다.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좁은 베젤 설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의 좌우(또는 상하) 측에 각각 제 1 게이트 구동 회로(01_D) 및 제 2 게이트 구동 회로(01_E)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게이트 구동 회로(01_D)에서, 각각의 제 1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A))의 각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은 홀수 행 또는 열의 제 1 픽셀 회로의 일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각각의 제 2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B))에서 각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은 홀수 행 또는 열의 제 2 픽셀 회로의 일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제 1 게이트 구동 회로(01_A)는 홀수 행(또는 열)의 서브 픽셀(2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2 게이트 구동 회로(01_E)에서, 각각의 제 1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A))의 각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은 짝수 행 또는 열의 제 1 픽셀 회로의 일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각각의 제 2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B))에서 각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은 짝수 행 또는 열의 제 2 픽셀 회로의 일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제 2 게이트 구동 회로(01_B)는 짝수 행(또는 열)의 서브 픽셀(2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 1 게이트 구동 회로(01_D) 및 제 2 게이트 구동 회로(01_E)는 두 개의 독립적인 회로이고, 임의의 서브 회로에서 구동 그룹(11) 및 연결 컨트롤러(12)의 설정 방식은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이에 기초하여, 제 1 연결 컨트롤러(연결 컨트롤러(12_B)) 또는 제 2 연결 컨트롤러(연결 컨트롤러(12_C))의 임의의 연결 컨트롤러(12)가 도 20에 도시된 제 1 스위치(1201) 및 제 2 스위치(1202)를 포함한다.
다음은 제 1 연결 컨트롤러(연결 컨트롤러(12_B))에서 제 1 스위치(1201)와 제 2 스위치(1202)를 연결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제 1 스위치(1201)는, DDIC의 제 2 신호단(2), 제 1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A))의 출력단 및 제 2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B))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스위치(1201)는 DDIC의 제 2 신호단(2)에서 출력되는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의 제어하에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며,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 1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A))의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수신된 액티브 신호를 제 2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B))의 입력단에 전송한다.
제 2 스위치(1202)는 DDIC의 제 3 신호단(3), DDIC의 제 4 신호단(4) 및 제 2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B))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 스위치(1202)는 DDIC의 제 3 신호단(3)에서 출력되는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의 제어하에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고, 활성화된 상태에서, DDIC의 제 4 신호단(4)에서 출력되는 수신된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IV_d)를 제 2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B))의 입력단으로 전송한다.
이에 기초하여, 제 1 스위치(1201)는 도 9에 도시된 제 1 트랜지스터(T1)를 포함한다. 제 2 스위치(1202)는 도 9에 도시된 제 2 트랜지스터(T2)를 포함한다. 다음은 제 1 연결 컨트롤러(연결 컨트롤러(12_B))에서 제 1 트랜지스터(T1)와 제 2 트랜지스터(T2)를 연결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는 DDIC의 제 2 신호단(2)에 연결된다. 제 1 트랜지스터(T1)의 제 1 전극은 제 1 구동 그룹의 출력단, 즉 예를 들어, 구동 그룹(11_A)의 최종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에 연결된다. 제 1 트랜지스터(T1)의 제 2 전극은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 예를 들어, 구동 그룹(11_B)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입력단(Iput)에 연결된다.
제 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는 DDIC의 제 3 신호단(3)에 연결된다. 제 2 트랜지스터(T2)의 제 1 전극은 DDIC의 제 4 신호단(4)에 연결된다. 제 2 트랜지스터(T2)의 제 2 전극은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 즉 예를 들어 구동 그룹(11_B)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입력단에 연결된다.
제 1 연결 컨트롤러(연결 컨트롤러(12_B))가 제 1 트랜지스터(T1) 및 제 2 트랜지스터(T2)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1 단부는 제 1 트랜지스터(T1)의 제 1 전극이다.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2 단부는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이다.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3 단부는 제 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이다.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4 단부는 제 2 트랜지스터(T2)의 제 1 전극이다.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5 단부는 제 2 트랜지스터(T2)의 제 2 전극이다.
또한, 제 2 연결 컨트롤러(연결 컨트롤러(12_C))는 제 1 트랜지스터(T1) 및 제 2 트랜지스터(T2)도 포함한다. 따라서 제 2 연결 컨트롤러의 5 개의 신호단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제 1 트랜지스터(T1) 및 제 2 트랜지스터(T2)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또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metal―oxide―semiconductor, MOS)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제 1 트랜지스터(T1) 및 제 2 트랜지스터(T2)는 N 형 트랜지스터 또는 P 형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 1 트랜지스터(T1) 및 제 2 트랜지스터(T2)의 제 1 전극은 소스일 수 있고, 제 1 트랜지스터(T1) 및 제 2 트랜지스터(T2)의 제 2 전극은 드레인일 수 있다. 또는, 제 1 트랜지스터(T1) 및 제 2 트랜지스터(T2)의 제 1 전극이 드레인이고, 제 1 트랜지스터(T1) 및 제 2 트랜지스터(T2)의 제 2 전극이 소스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제 1 트랜지스터(T1) 및 제 2 트랜지스터(T2)가 N 형 트랜지스터인 예를 사용한다. 다음은 제 1 구동 그룹 및 제 2 구동 그룹의 시프트 레지스터(SR)에 제 1 트랜지스터(T1) 및 제 2 트랜지스터(T2)를 연결하는 방식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구동 그룹(11)에 대해, 구동 그룹(11)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가 아닌 복수의 시프트 레지스터에서 상위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Oput)이 하위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입력단(Iput)에 연결된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컨트롤러(12)에서, 제 1 트랜지스터(T1)의 제 1 전극은 제 1 구동 그룹, 예를 들어 구동 그룹(11_A)의 최종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640)의 신호 출력단(Oput)에 연결된다. 제 1 트랜지스터(T1)의 제 2 전극은 제 2 구동 그룹, 예를 들어 구동 그룹(11_B)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641)의 신호 입력단(Iput)에 연결된다.
제 2 트랜지스터(T2)의 제 2 전극은 제 2 구동 그룹, 예를 들어 구동 그룹(11_B)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641)의 신호 입력단(Iput)에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그룹(11_A)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는 전체 게이트 구동 회로(01)에서 시작 신호(STV)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1)이다. 구동 그룹(11_B)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는 시프트 레지스터(SR641)이다. 구동 그룹(11_C)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는 시프트 레지스터(SR1281)이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서로 인접하지 않은 구동 그룹(11)의 두 개의 시프트 레지스터(SR)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동 그룹(11)에서 캐스케이드될 때, 홀수 행(또는 열)의 서브 픽셀(20)에 있는 복수의 시프트 레지스터(SR)가 제어하에 캐스케이드되고, 짝수 행(또는 열)에 있는 복수의 시프트 레지스터(SR)가 제어하에 캐스케이드된다.
구동 그룹(11_A)을 예로 들면, 시프트 레지스터(SR1)의 신호 출력단(Oput)은 시프트 레지스터(SR3)의 신호 입력단(Iput)에 연결된다. 시프트 레지스터(SR3)의 신호 출력단(Oput)은 시프트 레지스터(SR5)의 신호 입력단(Iput)에 연결된다.
또한, 시프트 레지스터(SR2)의 신호 출력단(Oput)은 시프트 레지스터(SR4)의 신호 입력단(Iput)에 연결된다. 시프트 레지스터(SR4)의 신호 출력단(Oput)은 시프트 레지스터(SR6)의 신호 입력단(Iput)에 연결된다.
이 경우, 두 개의 연결 컨트롤러(12)(각각 도 10에 도시된 연결 컨트롤러(12_B1) 및 연결 컨트롤러(12_B2)임)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그룹(11_A)과 구동 그룹(11_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컨트롤러(12_B1)에서 제 1 트랜지스터(T1)의 제 1 전극은 홀수 행(또는 열)의 서브 픽셀(20)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 1 구동 그룹(예를 들어, 구동 그룹(11_A))에 속한 최종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639)의 신호 출력단(Oput)에 연결된다. 제 1 트랜지스터(T1)의 제 2 전극은 홀수 행(또는 열)의 서브 픽셀(20)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 2 구동 그룹(예를 들어, 구동 그룹(11_B))에 속하는 제 1 레벨(SR641)의 신호 입력단(Iput)에 연결된다.
제 2 트랜지스터(T2)의 제 2 전극은 홀수 행(또는 열)의 서브 픽셀(20)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 2 구동 그룹(예를 들어, 구동 그룹(11_B))에 속하는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641)의 신호 입력단에 연결된다.
또한, 연결 컨트롤러(12_B2)에서, 제 1 트랜지스터(T1)의 제 1 전극은 짝수 행(또는 열)의 서브 픽셀(20)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 1 구동 그룹(예를 들어, 구동 그룹(11_A))에 속하는 최종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640)의 신호 출력단(Oput)에 연결된다. 제 1 트랜지스터(T1)의 제 2 전극은 짝수 행(또는 열)의 서브 픽셀(20)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 2 구동 그룹(11_B))에 속하는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642)의 신호 입력단(Iput)에 연결된다.
제 2 트랜지스터(T2)의 제 2 전극은 짝수 행(또는 열)의 서브 픽셀(20)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 2 구동 그룹(예를 들어, 구동 그룹(11_B))에 속하는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642)의 신호 입력단에 연결된다.
또한, 구동 그룹(11_B)과 구동 그룹(11_C) 사이에 두 개의 연결 컨트롤러(12_C)를 배치하는 방식은 전술한 방식과 동일하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전술한 내용은 동일한 구동 그룹(11)에서 복수의 시프트 레지스터를 캐스케이드하는 방식만을 예시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캐스케이딩 방식은 전술한 두 가지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i 번째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m)의 신호 출력단(Oput)은 (i + j) 번째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i + j))의 신호 입력단(Iput)에 연결될 수 있고, 여기서 i ≥ 1, j ≥ 1이고 i와 j는 양의 정수이다.
이 경우,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의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이 동일한 이미지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인접하는 두 구동 그룹(11) 사이의 연결 컨트롤러(12)의 수량을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게이트 구동 회로(01)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될 수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은 자체적으로 빛을 방출할 수 없다. 따라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발광면의 반대편 표면)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광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백라이트 모듈을 배치해야 한다. 또한, 백라이트 모듈은 직결형(direct type) 백라이트 모듈이다.
이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이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를 포함하는 경우, 백라이트 모듈은 발광하는 3 개의 백라이트 구역으로 분할될 수 있거나 또는 비활성화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3 개의 백라이트 구역은 각각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에 대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에서 독립적인 디스플레이가 연결 컨트롤러(12)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를 수행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에 대응하는 백라이트 구역은 빛을 방출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에 게이트 구동 회로(01)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결 컨트롤러(12)를 이용하여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 내의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에서의 독립적인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픽셀 회로(201)를 운반하기 위한 하부 기판은 유연한 수지 재료로 만들어 질 수 있고,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패키징 기판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이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접을 수 있으며, 접은 후 일부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을 선택하여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도 4에 도시된 단계(3)에서, 구동 트랜지스터(M4)에 의해 생성된 구동 전류(Isd)가 발광 제어 신호(EM)의 제어하에 OLED로 전달되어 OLED를 발광하도록 구동하고, 이로써 픽셀 회로(201)를 갖는 서브 픽셀(20)이 디스플레이를 수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발광 제어 신호(EM)는 주로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기 위해 서브 픽셀(20)을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이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서브 픽셀(20)의 각 행에 대해 발광 제어 신호(EM)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01)의 구조가, 연결 컨트롤러(12)가 배치되는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구조이어야 한다.
다음은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고 도 9에 도시된 게이트 구동 회로가 서브 픽셀(20)의 각 행에 발광 제어 신호(EM)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예를 이용하여,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 화면 또는 구부리기(bending) 또는 각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의 독립 디스플레이와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시나리오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은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으로 분할된다. 이 경우에, 발광 제어 신호(EM)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01)는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의 좌측 및/또는 우측의 비 디스플레이 영역(101)에 배치된다.
실시예 1
이 예에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의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는 모두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고,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는 동일한 이미지를 공동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기초하여, 표 1은 도 9에 도시된 게이트 구동 회로(01)의 연결 컨트롤러(12) 내의 트랜지스터들의 온/오프 제어 상태를 나타내고, 일부 신호단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T1 (12_B) T2 (12_B) T1 (12_C) T2 (12_C) STV STV_d_B STV_d_C
A+B+C ON OFF ON OFF H L L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H는 고전압, 즉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액티브 시작 신호를 나타내고, L은 저전압, 즉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인액티브 비-시작 신호를 나타낸다.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가 동일한 이미지를 공동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표 1을 참조한다. 다음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를 제어하는 구동 회로가 구동 그룹(11_A)이고,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를 제어하는 구동 회로는 구동 그룹(11_B)이며,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를 제어하는 구동 회로는 구동 그룹(11_C)이다.
DDIC의 제 2 신호단(2)은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에 고전압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를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1 트랜지스터(T1)를 턴온(ON)시킨다. 이 경우, 구동 그룹(11_A)의 최종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예를 들어 SR640)의 신호 출력단(Oput)은 구동 그룹(11_B)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예를 들어 SR641)의 신호 입력단(Iput)에 연결된다.
또한, DDIC의 제 3 신호단(3)은 저전압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를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에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2 트랜지스터(T2)를 턴오프(OFF)시킨다. 또한, DDIC의 제 4 신호단(4)은 제 2 트랜지스터(T2)의 제 1 전극에 저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B)를 입력하고, 저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B)를 인액티브 비-시작 신호로 사용하여, DDIC의 제 4 신호단(4)이 부동(floating) 상태에 머무르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는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수행할 수 없다.
또한, DDIC의 제 2 신호단(2)은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에 고전압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를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1 트랜지스터(T1)를 턴온(ON)시킨다.
이 경우, 구동 그룹(11_B)의 최종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예를 들어 SR1280)의 신호 출력단(Oput)은 구동 그룹(11_C)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예를 들어, SR1281)의 신호 입력단(Iput)에 연결된다. 또한, DDIC의 제 3 신호단(3)은 저전압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를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에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2 트랜지스터(T2)를 턴오프(OFF)시킨다. DDIC의 제 4 신호단(4)은 제 2 트랜지스터(T2)의 제 1 전극에 저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C)를 입력하고, 저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C)는 인액티브 비-시작 신호로 사용되어, DDIC의 제 4 신호단(4)이 부동(floating) 상태에 머무르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는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수행할 수 없다.
이 경우, 구동 그룹(11_A)은 구동 그룹(11_B)에 캐스케이드되고, 구동 그룹(11_B)은 구동 그룹(11_C)에 캐스케이드된다. 구동 그룹(11_A), 구동 그룹(11_B) 및 구동 그룹(11_C)은 경로를 형성한다.
이 경우, 시작 신호(STV)가 고전압인 경우, 구동 그룹(11_A)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1)의 신호 입력단(Iput)에 시작 신호로서 고전압이 제공된다. 이에 기초하여, 이미지 프레임에서, 구동 그룹(11_A)의 모든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은 발광 제어 신호(EM)를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의 서브 픽셀(20)에 행 단위로 입력한다. 다음으로, 구동 그룹(11_A)의 최종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예를 들어, SR640)의 신호 출력단(Oput)에서 출력된 액티브 신호가 시작 신호로 사용되고, 구동 그룹(11_B)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예를 들어 SR641)의 신호 입력단(Iput)으로 전송된다. 다음으로, 구동 그룹(11_B)의 모든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s)의 신호 출력단(Oput)은 발광 제어 신호(EM)를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의 서브 픽셀(20)에 행 단위로 입력한다. 다음으로, 구동 그룹(11_B)의 최종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예, SR1280)의 신호 출력단(Oput)에서 출력된 액티브 신호가 시작 신호로 사용되고, 구동 그룹(11_C)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예를 들어 SR1281)의 신호 입력단(Iput)으로 전송된다. 마지막으로, 구동 그룹(11_C)의 모든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은 발광 제어 신호(EM)를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의 서브 픽셀(20)에 행 단위로 입력한다. 이미지 프레임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의 서브 픽셀(20)은 순차적으로 행 단위로 스캔되어, 이미지 프레임 스캔이 완료된 후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가 공동으로 동일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실시예 2
이 예에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의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가 모두 디스플레이를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는 제 1 이미지를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와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는 공동으로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기초하여, 표 2는 도 9의 게이트 구동 회로(01)의 연결 컨트롤러(12)의 트랜지스터들의 온/오프 제어 상태 및 일부 신호단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T1 (12_B) T2 (12_B) T1 (12_C) T2 (12_C) STV STV_d_B STV_d_C
A 및 B+C OFF ON ON OFF H H L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가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은 표 2를 참조한다. DDIC의 제 2 신호단(2)은 저전압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을 도 9에 도시된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에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1 트랜지스터(T1)를 턴오프(OFF)한다. 이 경우, 구동 그룹(11_A)과 구동 그룹(11_B) 사이의 경로가 단절된다.이 경우, 시작 신호(STV)가 고전압인 경우, 구동 그룹(11_A)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1)의 신호 입력단(Iput)에 시작 신호로서 고전압이 제공된다. 이미지 프레임에서, 구동 그룹(11_A)의 모든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은 발광 제어 신호(EM)를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의 서브 픽셀(20)에 행 단위로 입력한다.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1 트랜지스터(T1)가 턴오프(OFF)되기 때문에, 구동 그룹(11_A)의 최종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예, SR640)의 신호 출력단(Oput)에서 출력되는 액티브 신호는 구동 그룹(11_B)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예를 들어, SR641)의 신호 입력단(Iput)으로 전송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는 제 1 이미지를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플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와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가 제 2 이미지를 공동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DDIC의 제 2 신호단(2)은 고전압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를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에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1 트랜지스터(T1)를 턴온(ON)시킨다. DDIC의 제 3 신호단(3)은 저전압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를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에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2 트랜지스터(T2)를 턴오프(OFF)시킨다. DDIC의 제 4 신호단(4)은 저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C)를 입력하고, 저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C)는 인액티브 비-시작 신호로 사용되어 DDIC의 제 4 신호단(4)이 부동(floating) 상태에 머물지 않도록 한다.
이 경우, 구동 그룹(11_B)은 구동 그룹(11_C)에 캐스케이드된다. 구동 그룹(11_B)과 구동 그룹(11_C) 사이에는 경로가 형성된다.
이 경우, DDIC 입력의 제 3 신호단(3)은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에 고전압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를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2 트랜지스터(T2)를 턴온(ON)시킨다. DDIC의 제 4 신호단(4)은 고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B)를 입력하고, 고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B)는 구동 그룹(11_B)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641)의 신호 입력단(Iput)에 시작 신호로서 제공된다. 이에 기초하여, 이미지 프레임에서, 구동 그룹(11_B)의 모든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s)의 신호 출력단(Oput)은 발광 제어 신호(EM)를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의 서브 픽셀(20)에 행 단위로 입력한다. 다음으로, 구동 그룹(11_B)의 최종 레벨 쉬프트 레지스터(SR)(예를 들어 SR1280)의 신호 출력단(Oput)에서 출력된 액티브 신호가 시작 신호로 사용되고, 구동 그룹(11_C)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예를 들어 SR1281)로 전송된다. 그 후, 구동 그룹(11_C)의 모든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은 행 단위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의 서브 픽셀(20)에 발광 제어 신호(EM)를 입력한다. 이미지 프레임에서,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의 서브 픽셀(20)이 연속적으로 행 단위로 스캔되어,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가 이미지 프레임이 종료된 후 공동으로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기초하여,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는 적어도 2 명의 사용자(예를 들어, 사용자 A와 사용자 B)가 있는 경우,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가 사용자 A를 향하고,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가 사용자 B를 향하도록 이동 단말기가 구부려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가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C와 백투백(back-to-back) 방향으로 뒤집힌 경우, 이동 단말기는 중력 감지에 따라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의 사진을 뒤집어 사용자 A가 뒤집힌 사진을 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는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와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는 공동으로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표 3은 연결 컨트롤러(12)의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제어 상태와 일부 신호단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를 보여준다.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T1 (12_B) T2 (12_B) T1 (12_C) T2 (12_C) STV STV_d_B STV_d_C
A+B 및 C ON OFF OFF ON H L H
DDIC의 제 2 신호단(2)은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에 고전압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를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1 트랜지스터(T1)를 턴온(ON)시킨다. 구동 그룹(11_A)과 구동 그룹(11_B) 사이의 경로가 연결된다. DDIC의 제 3 신호단(3)은 저전압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를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에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2 트랜지스터(T2)를 턴오프(OFF)시킨다. DDIC의 제 4 신호단(4)은 저전압 STV_d_B를 입력하고, 저전압 STV_d_B는 인액티브 비-시작 신호로 사용된다.시작 신호(STV)가 고전압인 경우, 구동 그룹(11_A)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1)의 신호 입력단(Iput)에 시작 신호로서 고전압이 제공된다. 이에 기초하여, 이미지 프레임에서, 구동 그룹(11_A)의 모든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은 발광 제어 신호(EM)를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의 서브 픽셀(20)에 행 단위로 입력한다. 다음으로, 구동 그룹(11_A)의 최종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에서 출력된 액티브 신호는 시작 신호로 사용되며, 구동 그룹(11_B)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입력단(Iput)으로 전송된다. 다음으로, 구동 그룹(11_B)의 모든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은 발광 제어 신호(EM)를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의 서브 픽셀(20)에 행 단위로 입력한다. 이미지 프레임에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의 서브 픽셀(20)은 순차적으로 행 단위로 스캔되어,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가 공동으로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DDIC의 제 2 신호단(2)은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에 저전압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를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1 트랜지스터(T1)를 턴오프(OFF)시킨다. 구동 그룹(11_B)과 구동 그룹(11_C) 사이의 경로가 단절된다. 예를 들어, 구동 그룹(11_B)의 최종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예를 들어 SR1280)의 신호 출력단(Oput)에서 출력되는 액티브 신호는 구동 그룹(11_C)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입력단(Iput)(예를 들어, SR1281)으로 전송될 수 없다.
DDIC의 제 3 신호단(3)은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에 고전압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를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2 트랜지스터(T2)를 턴온(ON)시킨다. DDIC의 제 4 신호단(4)은 고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C)를 입력한다.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가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는 각각 제 1 이미지, 제 2 이미지 및 제 3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표 4는 연결 컨트롤러(12)의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제어 상태와 일부 신호단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영역 T1 (12_B) T2 (12_B) T1 (12_C) T2 (12_C) STV STV_d_B STV_d_C
A, B, 및 C OFF ON OFF ON H H H
DDIC의 제 2 신호단(2)은 저전압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를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에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1 트랜지스터(T1)를 턴오프(OFF)시킨다. 구동 그룹(11_A)과 구동 그룹(11_B) 사이의 경로가 단절된다. 예를 들어, 구동 그룹(11_A)의 최종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예를 들어, SR640)의 신호 출력단(Oput)에서 출력되는 액티브 신호는 구동 그룹(11_B)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입력단(Iput)으로 전송될 수 없다. 시작 신호(STV)가 고전압일 때,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가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DDIC의 제 3 신호단(3)은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에 고전압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를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2 트랜지스터(T2)를 턴온(ON)시킨다. DDIC의 제 4 신호단(4)은 고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B)를 입력한다.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가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DDIC의 제 2 신호단(2)은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에 저전압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를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1 트랜지스터(T1)를 턴오프(OFF)시킨다. 구동 그룹(11_B)과 구동 그룹(11_C) 사이의 경로가 단절된다. 예를 들어, 구동 그룹(11_B)의 최종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예를 들어 SR1280)의 신호 출력단(Oput)에서 출력되는 액티브 신호는 구동 그룹(11_C)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예를 들면, SR1281)의 신호 입력단(Iput)으로 전송될 수 없다.
DDIC의 제 3 신호단(3)은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에 고전압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를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2 트랜지스터(T2)를 턴온(ON)시킨다. DDIC의 제 4 신호단(4)은 고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C)를 입력한다.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가 제 3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의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가 모두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예를 사용하여 제공된다. 이하의 설명은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이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접었을 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예를 이용하여 제공된다.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의 일부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만이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기 때문에, 절전이 달성된다.
예를 들어,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은 가로 모드로 디스플레이를 수행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은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차적으로 분할된다. 이 경우에, 발광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01)는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의 상측 및/또는 하측의 비 디스플레이 영역(101)에 배치된다. 도 15는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히기 전에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가 모두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개략도이다.
실시예 3
이 예에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의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와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는 공동으로 동일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은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즉, 비 디스플레이 측)으로 구부러진다.
이에 기초하여, 표 5는 도 9의 게이트 구동 회로(01)의 연결 컨트롤러(12)의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제어 상태 및 일부 신호단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영역 T1 (12_B) T2 (12_B) T1 (12_C) T2 (12_C) STV STV_d_B STV_d_C
A+B ON OFF OFF ON H L L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와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가 공동으로 동일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하는 것은 표 5를 참조한다. DDIC의 제 2 신호단(2)은 고전압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를 도 9에 도시된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에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1 트랜지스터(T1)를 턴온(ON)시킨다. 구동 그룹(11_A)과 구동 그룹(11_B) 사이의 경로가 연결된다. DDIC의 제 3 신호단(3)은 저전압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를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에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2 트랜지스터(T2)를 턴오프(OFF)시킨다. DDIC의 제 4 신호단(4)은 저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B)를 입력하고, 저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B)는 인액티브 비-시작 신호로 사용된다.시작 신호(STV)가 고전압인 경우, 구동 그룹(11_A)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1)의 신호 입력단(Iput)에 시작 신호로서 고전압이 제공된다. 이에 기초하여, 이미지 프레임에서, 구동 그룹(11_A)의 모든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은 발광 제어 신호(EM)를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의 서브 픽셀(20)에 열 단위로 입력한다. 다음으로, 구동 그룹(11_A)의 최종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예를 들어 SR640)의 신호 출력단(Oput)에서 출력된 액티브 신호를 시작 신호로 사용하며, 구동 그룹(11_B)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예를 들어 SR641)의 신호 입력단 (Iput)으로 전송된다. 다음으로, 구동 그룹(11_B)의 모든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은 발광 제어 신호(EM)를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의 서브 픽셀(20)에 열 단위로 입력한다. 이미지 프레임에서,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의 서브 픽셀들(20)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열 단위로 스캔되어,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과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는 이미지 프레임이 종료된 후 동일한 이미지를 공동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한편으로 DDIC의 제 2 신호단(2)은 저전압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을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에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1 트랜지스터(T1)를 턴오프(OFF)시킨다. 구동 그룹(11_B)과 구동 그룹(11_C) 사이의 경로가 단절된다. 예를 들어, 구동 그룹(11_B)의 최종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예를 들어 SR1280)의 신호 출력단(Oput)에서 출력되는 액티브 신호는 구동 그룹(11_C)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입력단(Iput)으로 전송될 수 없다.
한편, DDIC의 제 3 신호단(3)은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에 고전압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를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2 트랜지스터(T2)를 턴온(ON)시킨다. DDIC의 제 4 신호단(4)은 저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C)를 입력하고, 저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C)는 인액티브 비-시작 신호로 사용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는 디스플레이를 수행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는 동일한 이미지를 공동으로 디스플레이한다. 표 6은 연결 컨트롤러(12)의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제어 상태와 일부 신호단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서브 영역 T1 (12_B) T2 (12_B) T1 (12_C) T2 (12_C) STV STV_d_B STV_d_C
B+C OFF ON ON OFF L H L
DDIC의 제 2 신호단(2)은 저전압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를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에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1 트랜지스터(T1)를 턴오프(OFF)시킨다. 구동 그룹(11_A)과 구동 그룹(11_B) 사이의 경로가 단절된다. 예를 들어, 구동 그룹(11_A)의 최종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예를 들어 SR640)의 신호 출력단(Oput)에서 출력되는 액티브 신호는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예를 들어 SR641)의 신호 입력단(Iput)으로 전송될 수 없다. 시작 신호(STV)는 저전압이며 인액티브 비-시작 신호로 사용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DDIC의 제 3 신호단(3)은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에 고전압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를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2 트랜지스터(T2)를 턴온(ON)시킨다.
또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와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가 동일한 이미지를 공동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DDIC의 제 2 신호단(2)은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고전압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를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1 트랜지스터(T1)를 턴온(ON)시킨다. DDIC의 제 3 신호단(3)은 저전압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를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에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2 트랜지스터(T2)를 턴오프(OFF)시킨다.
DDIC의 제 4 신호단(4)은 저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C)를 입력하고, 저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C)는 인액티브 비-시작 신호로 사용되어 DDIC의 제 4 신호단(4)이 부동(floating) 상태에 머물지 않도록 한다.
이 경우, 구동 그룹(11_B)은 구동 그룹(11_C)에 캐스케이드된다. 구동 그룹(11_B)과 구동 그룹(11_C) 사이에는 경로가 형성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으로 구부러져 있다. 또한, DDIC의 제 4 신호단(4)은 고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B)를 입력하고, 고전압은 구동 그룹(11_B)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입력단(Iput)에 시작 신호로서 제공된다. 이에 기초하여, 이미지 프레임에서, 구동 그룹(11_B)의 모든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은 발광 제어 신호(EM)를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의 서브 픽셀(20)에 열 단위로 입력한다. 다음으로, 구동 그룹(11_B)의 최종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에서 출력된 액티브 신호가 시작 신호로 사용되며, 구동 그룹(11_B)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입력단(Iput)으로 전송된다. 다음으로, 구동 그룹(11_C)의 모든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은 발광 제어 신호(EM)를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의 서브 픽셀(20)에 열 단위로 입력한다. 이미지 프레임에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의 서브 픽셀(20)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차례로 열 단위로 스캔되므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와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는 이미지 프레임이 종료된 후 동일한 이미지를 공동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는 각각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는 디스플레이를 수행하지 않는다. 표 7은 연결 컨트롤러(12)의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제어 상태와 일부 신호단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를 나타낸다. 연결 컨트롤러(12)의 제어 프로세스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영역 T1 (12_B) T2 (12_B) T1 (12_C) T2 (12_C) STV STV_d_B STV_d_C
A and C OFF ON OFF ON H L H
DDIC의 제 2 신호단(2)은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에 저전압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를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1 트랜지스터(T1)를 턴오프(OFF)시킨다. 구동 그룹(11_A)과 구동 그룹(11_B) 사이의 경로가 단절된다. 시작 신호(STV)가 고전압일 때,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가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DDIC의 제 3 신호단(3)은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에 고전압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를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2 트랜지스터(T2)를 턴온(ON)시킨다. DDIC의 제 4 신호단(4)은 저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B)를 입력하고, 저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B)는 인액티브 비-시작 신호로 사용된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서, 구동 그룹(11_A)과 구동 그룹(11_B) 사이의 경로가 단절되고, 구동 그룹(11_A)의 최종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에서 출력되는 액티브 신호가 구동 그룹(11_B)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입력단(Iput)으로 전송될 수 없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또한, DDIC의 제 2 신호단(2)은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에 저전압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를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1 트랜지스터(T1)를 턴오프(OFF)시킨다. 구동 그룹(11_B)과 구동 그룹(11_C) 사이의 경로가 단절된다. 구동 그룹(11_B)의 최종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에서 출력된 액티브 신호는 구동 그룹(11_C)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입력단(Iput)으로 전송될 수 없다.
DDIC의 제 3 신호단(3)은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에 고전압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를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2 트랜지스터(T2)를 턴온(ON)시킨다. DDIC의 제 4 신호단(4)은 고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C)를 입력한다.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가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와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 사이에 접힌다.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와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는 서로 마주 보게 배치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와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가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두 개의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은 상이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일부 사용자는 도 18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볼 수 있고, 일부 다른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도 18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실시예 4
이 예에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의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 중 하나만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다른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은 디스플레이를 수행하지 않는다.
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만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표 8은 도 9의 게이트 구동 회로(01)의 연결 컨트롤러(12)의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제어 상태 및 일부 신호단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T1 (12_B) T2 (12_B) T1 (12_C) T2 (12_C) STV STV_d_B STV_d_C
A OFF ON OFF ON H L L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가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경우,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은 도 18a에 도시된 폴딩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DDIC의 제 2 신호단(2)은 도 9에 도시된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에 저전압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를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1 트랜지스터(T1)를 턴오프(OFF)시킨다. 이 경우, 구동 그룹(11_A)과 구동 그룹(11_B) 사이의 경로가 단절된다. 구동 그룹(11_A)의 최종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에서 출력된 액티브 신호는 구동 그룹(11_B)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입력단(Iput)으로 전송될 수 없다. 이 경우, 시작 신호(STV)는 고전압이고,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그룹(11_A)은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을 제어하여 독립적으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DDIC의 제 3 신호단(3)은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에 고전압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를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2 트랜지스터(T2)를 턴온(ON)시킨다. DDIC의 제 4 신호단(4)은 저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B)를 입력한다. 이 경우,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2 트랜지스터(T2)가 턴온되고, DDIC의 제 4 신호단(4)이 저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B)를 입력하므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부동 상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DDIC의 제 2 신호단(2)은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에 저전압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를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1 트랜지스터(T1)를 턴오프(OFF)시킨다. 이 경우, 구동 그룹(11_B)과 구동 그룹(11_C) 사이의 경로가 단절된다.
DDIC의 제 3 신호단(3)은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에 고전압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를 입력하고,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2 트랜지스터(T2)를 턴온(ON)시킨다. DDIC의 제 4 신호단(4)은 저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C)를 입력하고, 저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C)는 인액티브 비-시작 신호로 사용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부동 상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만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때, 표 9는 도 9의 게이트 구동 회로(01)의 연결 컨트롤러(12) 내의 트랜지스터들의 온/오프 제어 상태 및 일부 신호단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나타낸다. 연결 컨트롤러(12)의 제어 프로세스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T1 (12_B) T2 (12_B) T1 (12_C) T2 (12_C) STV STV_d_B STV_d_C
C OFF ON OFF ON L L H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가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경우,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은 도 18b에 도시된 폴딩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DDIC의 제 2 신호단(2)은 도 9에 도시된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에 저전압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를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1 트랜지스터(T1)를 턴오프(OFF)시킨다. 이 경우, 구동 그룹(11_A)과 구동 그룹(11_B) 사이의 경로가 단절된다. 이 경우, 시작 신호(STV)는 저전압이고,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DDIC의 제 3 신호단(3)은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에 고전압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를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2 트랜지스터(T2)를 턴온(ON)시킨다. DDIC의 제 4 신호단(4)은 저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B)를 입력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부동 상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DDIC의 제 2 신호단(2)은 도 9에 도시된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에 저전압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를 입력하여 도 9에 도시된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1 트랜지스터(T1)를 턴오프(OFF)시킨다. 이 경우, 구동 그룹(11_B)과 구동 그룹(11_C) 사이의 경로가 단절된다.
DDIC의 제 3 신호단(3)은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에 고전압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를 입력하고,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2 트랜지스터(T2)를 턴온(ON)시킨다. DDIC의 제 4 신호단(4)은 고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C)를 입력하고, 고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C)가 시작 신호로 사용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는 독립적으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만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때, 표 10은 도 10의 게이트 구동 회로(01)의 연결 컨트롤러(12) 내의 트랜지스터들의 온/오프 제어 상태 및 일부 신호단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나타낸다. 연결 컨트롤러(12)의 제어 프로세스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T1 (12_B) T2 (12_B) T1 (12_C) T2 (12_C) STV STV_d_B STV_d_C
B ON ON OFF ON L H L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가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은 도 19에 도시된 폴딩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DDIC의 제 2 신호단(2)은 도 9에 도시된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에 저전압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를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1 트랜지스터(T1)를 턴오프(OFF)시킨다. 이 경우, 구동 그룹(11_A)과 구동 그룹(11_B) 사이의 경로가 단절된다. 이 경우, 시작 신호(STV)는 저전압이고,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DDIC의 제 3 신호단(3)은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에 고전압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를 입력하고,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2 트랜지스터(T2)를 턴온(ON)시킨다. DDIC의 제 4 신호단(4)은 고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B)를 입력한다.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는 이미지를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DDIC의 제 2 신호단(2)은 도 9에 도시된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에 저전압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를 입력하여 도 9의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1 트랜지스터(T1)를 턴오프(OFF)시킨다. 이 경우, 구동 그룹(11_B)과 구동 그룹(11_C) 사이의 경로가 단절된다. 구동 그룹(11_B)의 최종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에서 출력된 액티브 신호는 구동 그룹(11_C)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입력단(Iput)으로 전송될 수 없다.
DDIC의 제 3 신호단(3)은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에 고전압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를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C)의 제 2 트랜지스터(T2)를 턴온(ON)시킨다. DDIC의 제 4 신호단(4)은 저전압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_C)를 입력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부동 상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부리는 프로세스에서,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이 가로 모드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기 위해 일부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을 제어하는 솔루션을 설명하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이 세로 모드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화면의 방향에 기초하여 출력 디스플레이 신호와 서브 픽셀 배열 방식에 매칭을 수행하며, 즉,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가로 및 세로 크기를 조정한다.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게이트 구동 회로(01)는 복수의 구동 그룹(11)을 포함하고, 서로 다른 구동 그룹(11)은 각각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에서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를 수행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결 컨트롤러(12)는 두 개의 인접한 구동 그룹(11) 사이에 배치된다. 연결 컨트롤러(12)는 두 개의 인접한 구동 그룹(11)에서 시프트 레지스터(SR)를 캐스케이드할 수 있으므로, 캐스케이드한 후에 두 개의 인접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예를 들어, 인접한 두 구동 그룹(11)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또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 및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는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에 동일한 이미지를 공동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대안적으로, 연결 컨트롤러(12)는 인접한 두 개의 구동 그룹(예를 들어, 구동 그룹(11_A) 및 구동 그룹(11_B)) 간의 경로를 단절하여 연결 컨트롤러(12)와 연결된 하위 레벨 구동 그룹(예를 들어, 구동 그룹(11_B))이 이미지를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이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 회로(01)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원래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비해 줄어들게 된다. 이 경우, 감소된 디스플레이 영역은 여전히 완전한 이미지를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는 게이트 구동 회로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게이트 구동 회로(01)는 제 1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A)), 제 1 연결 컨트롤러(연결 컨트롤러(12_B)) 및 제 2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B))을 포함한다.
제 1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A))은 M 개의 캐스케이드 시프트 레지스터(SR)를 포함한다. 제 1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A))의 입력단은 DDIC의 제 1 신호단(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여기서 M ≥ 2이고 M은 양의 정수이다.
제 1 연결 컨트롤러(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1 단부는 제 1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A))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연결 컨트롤러(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2 단부는 DDIC의 제 2 신호단(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연결 컨트롤러(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3 단부는 DDIC의 제 3 신호단(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연결 컨트롤러(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4 단부는 DDIC의 제 4 신호단(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B))은 N 개의 캐스케이드 시프트 레지스터(SR)를 포함하고,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은 제 1 연결 컨트롤러(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5 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여기서 N ≥ 2 , N은 양의 정수이다.
또한, 연결 컨트롤러(12)는 제 1 스위치(1201) 및 제 2 스위치(1202)를 포함한다.
제 1 스위치(1201)는 DDIC의 제 2 신호단(2), 제 1 구동 그룹의 출력단(예를 들어 구동 그룹(11_A))의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 및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예를 들어, 구동 그룹(11_B)의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입력단(Iput))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 1 스위치(1201)는 도 9에 도시된 제 1 트랜지스터(T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스위치(1202)는 DDIC의 제 3 신호단(3), DDIC의 제 4 신호단(4) 및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예를 들어,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입력단(Iput))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 2 스위치(1202)는 도 9에 도시된 제 2 트랜지스터(T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S101. 제 1 스위치(1201)는 DDIC의 제 2 신호단(2)에서 출력되는 인액티브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Sel1)를 수신하여, 제 1 스위치(1201)가 비활성화되고, 제 1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A))과 제 2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B)))사이의 경로가 단절된다.
제 1 스위치(1201)는 도 9에 도시된 제 1 트랜지스터(T1)를 포함할 수 있는 경우, S101은 DDIC의 제 2 신호단(2)에 의해,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에 저전압을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1 트랜지스터(T1)를 턴오프(OFF)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A))에서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예를 들어, SR640)의 신호 출력단(Oput)의 액티브 신호는 제 2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B))의 한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예를 들어, SR641)의 신호 입력단(Iput)으로 전송될 수 없어, 제 1 구동 그룹과 제 2 구동 그룹 간의 경로가 단절된다.
S102. 제 2 스위치(1202)는 DDIC의 제 3 신호단(3)에서 출력된 액티브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Sel2)를 수신하여 제 2 스위치(1202)가 활성화된다.
제 2 스위치(1202)가 도 9에 도시된 제 2 트랜지스터(T2)를 포함하는 경우, S102는 DDIC의 제 3 신호단(3)에 의해 연결 컨트롤러(12_B)의 제 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에 고전압을 입력하여 연결 컨트롤러의 제 2 트랜지스터(T2)를 턴온(ON)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S103. 제 2 스위치(1202)는 DDIC의 제 4 신호단(4)에서 출력되는 액티브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를 수신한다. 액티브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는 활성화된 제 2 스위치(1202)를 통해 제 2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B))의 입력단으로 출력된다. 제 2 구동 그룹의 복수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은 순차적으로 게이트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DDIC의 제 4 신호단(4)은 고전압을 입력하고, 고전압은 구동 그룹(11_B)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641)의 신호 입력단(Iput)에 시작 신호로서 제공된다. 이에 기초하여, 이미지 프레임에서, 구동 그룹(11_B)의 모든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은 게이트 구동 신호, 예를 들어 발광 제어 신호(EM)를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의 서브 픽셀(20)에 행 단위로 입력한다. 이 경우, 구동 그룹(11_B)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은 독립적으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대안적으로, 제 2 스위치(1202)는 DDIC의 제 4 신호단(4)에서 출력된 인액티브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를 수신한다. 인액티브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STV_d)는 활성화된 제 2 스위치(1202)를 통해 제 2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B))의 입력단으로 출력된다. 제 3 구동 그룹의 모든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Oput)은 비 게이트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이 경우, 구동 그룹(11_B)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A))이 시작 신호(STV)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1)를 포함하는 경우, 게이트 구동 회로를 제어하는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제 1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A))에서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SR1)의 신호 입력(Iput)에 대해 액티브 시작 신호(STV)(예, 고전압)를 제공하는 단계 - 제 1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A))의 모든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신호 출력단은 게이트 구동 신호(예를 들, 발광 제어 신호(EM))를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의 서브 픽셀(20)에 행 단위로 입력하고, 이 경우, 제 1 구동 그룹(구동 그룹(11_A))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 -.
이 경우, S103이 수행된 후,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A와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B는 각각 제 1 이미지와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액티브 디스플레이 영역(100)은 도 7b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을 더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 회로(01)는 디스플레이 하위 영역 C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구동 그룹(11_C)을 포함한다.
이 경우, 이전 설명으로부터 연결 컨트롤러(12_B)에 연결된 구동 그룹(11_A) 및 구동 그룹(11_B)에 대해 구동 그룹(11-A)이 제 1 구동 그룹이고, 구동 그룹(11_B)은 제 2 구동 그룹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제 2 연결 컨트롤러(연결 컨트롤러(12_C))에 연결된 구동 그룹(11_B) 및 구동 그룹(11_C)에 대해, 구동 그룹(11_B)은 제 2 구동 그룹이고, 구동 그룹(11_C)은 제 3 구동 그룹이다. 제 2 연결 컨트롤러(연결 컨트롤러(12_C))를 이용하여 제 2 구동 그룹과 제 3 구동 그룹 간의 경로 단절을 구현하는 제어 프로세스는 전술한 바와 같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 구현일 뿐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다.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파악되는 임의의 변형 또는 대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에 따라야 한다.

Claims (12)

  1. 게이트 구동 회로로서,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는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상의 픽셀 회로를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는,
    제 1 구동 그룹 - 상기 제 1 구동 그룹은 M 개의 캐스케이드 시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동 그룹의 입력단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1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상기 제 1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시작 신호를 수신하며, M ≥ 2이고 M은 양의 정수임 - 과,
    제 1 연결 컨트롤러 - 상기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1 단부는 상기 제 1 구동 그룹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구동 그룹에서 출력되는 액티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2 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2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상기 제 2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3 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3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3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4 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4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4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를 수신함 - 와,
    제 2 구동 그룹 - 상기 제 2 구동 그룹은 N 개의 캐스케이드 시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은 상기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5 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상기 제 5 단에서 출력되는 액티브 신호를 수신하며, N ≥ 2이고 N은 양의 정수임 - 을 포함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는,
    제 2 연결 컨트롤러 - 상기 제 2 연결 컨트롤러의 제 1 단부는 상기 제 2 구동 그룹의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2 구동 그룹에서 출력되는 액티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연결 컨트롤러의 제 2 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2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2 신호단에서 출력된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 2 연결 컨트롤러의 제 3 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3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3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연결 컨트롤러의 제 4 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4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4 신호단에서 출력된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를 수신함 - 와,
    제 3 구동 그룹 - 상기 제 3 구동 그룹은 S 개의 캐스케이드 시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구동 그룹의 입력단은 상기 제 2 연결 컨트롤러의 제 5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2 연결 컨트롤러의 제 5 단부에서 출력되는 액티브 신호를 수신하며, S ≥ 2, S는 양의 정수임 - 을 더 포함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컨트롤러는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2 신호단, 상기 제 1 구동 그룹의 출력단 및 상기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2 신호단에서 출력된 상기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며, 상기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으로 상기 제 1 구동 그룹의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상기 수신된 액티브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3 신호단,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4 신호단 및 상기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3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상기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고 상기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4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상기 수신된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를 전송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제 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2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제 1 전극은 상기 제 1 구동 그룹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은 상기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3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제 1 전극은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4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은 상기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게이트 구동 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그룹 또는 상기 제 2 구동 그룹 내의,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가 아닌 복수의 시프트 레지스터에서, 상위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은 하위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제 1 전극은 상기 제 1 구동 그룹의 최종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은 상기 제 2 구동 그룹의 상기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제 2 전극은 상기 제 2 구동 그룹의 상기 제 1 레벨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게이트 구동 회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제 1 픽셀 회로 및 제 2 픽셀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의 제 1 구동 그룹에서, 각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은 상기 제 1 픽셀 회로의 일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의 제 2 구동 그룹에서, 각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은 상기 제 2 픽셀 회로의 일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회로는 각각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가 빛을 방출할 때 턴온 상태에 있는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동 그룹에서, 각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은 상기 제 1 픽셀 회로의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구동 그룹에서, 각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은 상기 제 2 픽셀 회로의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두 개의 게이트 구동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게이트 구동 회로는 각각 제 1 게이트 구동 회로 및 제 2 게이트 구동 회로이며,
    상기 제 1 게이트 구동 회로에서, 각각의 제 1 구동 그룹의 각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은 홀수 행 또는 열의 제 1 픽셀 회로의 일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제 2 구동 그룹의 각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은 홀수 행 또는 열의 제 2 픽셀 회로의 일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2 게이트 구동 회로에서, 각각의 제 1 구동 그룹의 각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은 짝수 행 또는 열의 제 1 픽셀 회로의 일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제 2 구동 그룹의 각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은 짝수 행 또는 열의 제 2 픽셀 회로의 일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9. 제 6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집적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집적 회로는,
    시작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신호단과,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신호단과,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 3 신호단과,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 4 신호단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하부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픽셀 회로 및 상기 제 2 픽셀 회로는 상기 하부 기판 상에 제조되며,
    상기 하부 기판을 구성하는 재료는 가요성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1. 게이트 구동 회로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는 제 1 구동 그룹, 제 1 연결 컨트롤러 및 제 2 구동 그룹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구동 그룹은 M 개의 캐스케이드 시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동 그룹의 입력단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1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M ≥ 2이고 M은 양의 정수이고; 상기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1 단부는 상기 제 1 구동 그룹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2 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2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3 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3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4 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4 신호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구동 그룹은 N 개의 캐스케이드 시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은 상기 제 1 연결 컨트롤러의 제 5 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N ≥ 2이고, N은 양의 정수이며;
    상기 제 1 연결 컨트롤러는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2 신호단, 상기 제 1 구동 그룹의 출력단 및 상기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3 신호단,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4 신호단 및 상기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제 1 스위치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상기 제 2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인액티브 캐스케이드 게이팅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스위치가 비활성화되고 상기 제 1 구동 그룹과 상기 제 2 구동 그룹 사이의 경로가 단절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스위치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3 신호단에서 출력된 액티브 분할 화면 게이팅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스위치가 활성화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스위치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4 신호단에서 출력된 액티브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액티브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는 상기 활성화된 제 2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으로 출력되고, 상기 제 2 구동 그룹의 N 개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은 게이트 구동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함 -, 또는 상기 제 2 스위치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제 4 신호단에서 출력되는 인액티브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인액티브 분할 화면 디스플레이 신호는 상기 활성화된 제 2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 2 구동 그룹의 입력단으로 출력되고, 상기 제 2 구동 그룹의 모든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은 비 게이트 구동 신호를 출력함 - 를 포함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를 제어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구동 그룹의 입력단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상기 제 1 신호단에서 출력된 액티브 시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동 그룹의 모든 레벨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출력단은 순차적으로 게이트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217009689A 2018-09-28 2018-09-28 게이트 구동 회로, 게이트 구동 회로 제어 방법 및 이동 단말기 KR202100421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108489 WO2020062103A1 (zh) 2018-09-28 2018-09-28 一种栅极驱动电路及其控制方法、移动终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170A true KR20210042170A (ko) 2021-04-16

Family

ID=67689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9689A KR20210042170A (ko) 2018-09-28 2018-09-28 게이트 구동 회로, 게이트 구동 회로 제어 방법 및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350733A1 (ko)
EP (1) EP3839935A4 (ko)
JP (1) JP7240487B2 (ko)
KR (1) KR20210042170A (ko)
CN (1) CN110178174B (ko)
AU (1) AU2018443181B2 (ko)
WO (1) WO20200621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10834B (zh) 2019-12-05 2021-05-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源极驱动器、显示面板及其控制方法、显示装置
KR20210095278A (ko) 2020-01-22 2021-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11210754B (zh) * 2020-02-19 2022-08-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移位寄存器及其驱动方法、栅极驱动电路
CN111292664B (zh) * 2020-02-20 2022-08-09 合肥京东方卓印科技有限公司 栅极驱动电路、显示面板及其显示方法
CN113380180B (zh) * 2020-02-25 2022-09-23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模组和电子设备
US11600224B2 (en) * 2020-03-27 2023-03-07 Boe Technology Group Co., Ltd. Gate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display panel
CN111583796B (zh) 2020-05-13 2021-07-0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控制方法以及电子装置
CN111477159B (zh) * 2020-05-27 2022-11-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显示面板、显示装置和显示驱动方法
CN113823207A (zh) * 2020-06-18 2021-12-21 华为技术有限公司 驱动控制方法及相关设备
CN112068372A (zh) 2020-09-10 2020-12-11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及显示面板
CN112185311B (zh) 2020-09-17 2021-10-01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Goa驱动电路及显示面板
CN112530364A (zh) * 2020-12-11 2021-03-19 东莞阿尔泰显示技术有限公司 一体机led显示屏的控制系统
CN113781971A (zh) * 2021-08-05 2021-12-10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驱动方法和显示面板
CN115019635B (zh) * 2021-09-30 2023-10-27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折叠电子设备
CN117116163A (zh) * 2023-01-31 2023-11-24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折叠屏的显示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449B1 (ko) * 2003-06-24 2009-12-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장치
KR100688798B1 (ko) * 2004-11-17 2007-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00102934A (ko) * 2009-03-12 2010-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TWI679624B (zh) * 2014-05-02 2019-12-1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半導體裝置
CN104658466B (zh) * 2015-01-27 2017-05-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goa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4572004B (zh) * 2015-02-02 2019-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2290559B1 (ko) * 2015-02-02 2021-08-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CN106023923A (zh) * 2016-07-13 2016-10-1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用于单双屏可控切换显示的goa电路及其驱动方法
US10482822B2 (en) * 2016-09-09 2019-11-19 Apple Inc. Displays with multiple scanning modes
CN106484351A (zh) * 2016-09-30 2017-03-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移动终端
JP7011149B2 (ja) * 2016-11-22 2022-01-26 天馬微電子有限公司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66330A (ko) * 2016-12-07 2018-06-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443181B2 (en) 2023-03-09
EP3839935A4 (en) 2021-08-18
WO2020062103A1 (zh) 2020-04-02
EP3839935A1 (en) 2021-06-23
US20210350733A1 (en) 2021-11-11
AU2018443181A1 (en) 2021-04-08
CN110178174B (zh) 2020-05-08
CN110178174A (zh) 2019-08-27
JP7240487B2 (ja) 2023-03-15
JP2022501653A (ja)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2170A (ko) 게이트 구동 회로, 게이트 구동 회로 제어 방법 및 이동 단말기
US11688351B2 (en) Shift register unit and driving method,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CN104914641B (zh)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和液晶显示装置
US20240112639A1 (en) Display substrat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substrate
CN107024788B (zh) 显示装置
US10013911B2 (en) Driving method and driving circuit of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WO2017041290A1 (en) Array substrate for capacitive in-cell touch panel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related display panels, and related display apparatus
US11217135B2 (en) Scan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display device
CN113078174B (zh) 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0235959B2 (en) Driver circuit
CN110853576B (zh) 显示基板和显示装置
US10665189B2 (en) Scan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arr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US11056057B2 (en) Array substrat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array substrate
US11963400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220366854A1 (en) Pixel array, arr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JP2023531843A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駆動方法および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CN111276096A (zh) 像素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US10643520B2 (en) Low power pixel circuit, an array substrate using the pixel circuit, a display device constructed with the array substrate, and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578896B2 (en) Array substrat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10573670B2 (en) Array substrate,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CN111477180B (zh) 一种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TWI550590B (zh) 資料驅動器、資料驅動器之驅動方法及顯示面板之驅動方法
CN111210751B (zh) 一种显示驱动电路、显示屏及电子设备
CN117854441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