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4540A - 골프 클럽용 그립 및 골프 클럽 - Google Patents

골프 클럽용 그립 및 골프 클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4540A
KR20210034540A KR1020207028829A KR20207028829A KR20210034540A KR 20210034540 A KR20210034540 A KR 20210034540A KR 1020207028829 A KR1020207028829 A KR 1020207028829A KR 20207028829 A KR20207028829 A KR 20207028829A KR 20210034540 A KR20210034540 A KR 20210034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golf club
rubber
spheres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91106B1 (ko
Inventor
쇼 고지
가즈요시 시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코교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34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1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1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4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handles, e.g. sleeves or ribb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08Handl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8Handles with means for cooling, ventilating or sweat-reduction, e.g. holes or powder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2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reinforcing fibres, e.g. carbon, polyamide fib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과제) 미끄럼 방지 성능, 웨트시의 느낌이 우수한 골프 클럽용 그립을 제공한다. 또, 한층 더 내구성이 우수하고, 헤드 스피드가 향상되는 골프 클럽용 그립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골프 클럽용 그립은, 샤프트가 끼워지는 원통부를 갖는 그립으로서, 상기 원통부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25 ㎟ 당 세구의 점유율이 35 % 이상인 세구 영역을 갖고, 상기 세구의 폭 (w) 이 0.1 ㎜ ∼ 0.7 ㎜, 세구의 깊이 (h) 가 0.1 ㎜ ∼ 1.0 ㎜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세구의 간격 (d) 이 1.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골프 클럽용 그립 및 골프 클럽
본 발명은 골프 클럽용 그립에 관한 것이다.
골프 클럽은, 샤프트와, 이 샤프트의 전단 근방에 장착된 헤드와, 샤프트의 후단 근방이 끼워지는 그립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립은, 골프 클럽을 스윙하는 골퍼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으로, 골퍼의 운동이 골프 클럽에 전달될 때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그립의 중요한 요구 성능으로서, 스윙 중에 골퍼의 손과 그립의 미끄러짐이 억제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립은, 고무, 합성 수지 등의 유연한 재료로 성형되어 있고, 한층 더 미끄럼 방지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그 표면에 홈이나 오목부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단락 0035, 도 4) 참조).
또, 특허문헌 2 에는, 그립 표면에 높이가 상이한 스템의 개별 존을 갖는 스템 배열을 형성한 그립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 (단락 0040 ∼ 0043) 참조). 이 특허문헌 2 의 그립에서는, 제 1 존에는, 약 0.020 ∼ 약 0.030 인치 (0.508 ∼ 0.762 ㎜) 의 높이를 갖는 스템이 형성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214704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5-508769호
특허문헌 2 에는, 그립의 미끄럼 방지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그립 표면에 미세한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돌기의 형상을 미세하게 한 경우, 돌기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돌기 사이의 홈의 깊이를 얕게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골퍼의 땀, 비 등의 수분이, 미세 돌기에 머무르기 쉬워져, 그립 표면의 드라이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미끄럼 방지 성능, 웨트시의 느낌이 우수한 골프 클럽용 그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본 발명의 골프 클럽용 그립은, 샤프트가 끼워지는 원통부를 갖고, 상기 원통부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25 ㎟ 당 세구 (細溝) 의 점유율이 35 % 이상인 세구 영역을 갖고, 상기 세구의 폭 (w) 이 0.1 ㎜ ∼ 0.7 ㎜, 세구의 깊이 (h) 가 0.1 ㎜ ∼ 1.0 ㎜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립은, 특정한 폭 및 깊이를 갖는 세구가 일정량 형성된 세구 영역을 가지고 있다. 이 세구 영역은, 골퍼의 땀이나 비 등의 수분을 세구 내부로 거두어들일 수 있어, 그립 표면을 드라이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그립은, 세구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출현하는 섬부 (島部) 가, 사용자의 피부에 걸림으로써 미끄럼 방지 성능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장착된 헤드와,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장착된 그립을 구비하고, 상기 그립이 상기 골프 클럽용 그립인 골프 클럽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끄럼 방지 성능, 웨트시의 느낌이 우수한 골프 클럽용 그립이 얻어진다.
도 1 은 세구 영역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의 세구 영역의 A-A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세구 영역의 B-B 단면도이다.
도 4 는 세구 영역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도 4 의 세구 영역의 A-A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세구 영역의 B-B 단면도이다.
도 7 은 세구 영역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골프 클럽용 그립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골프 클럽용 그립의 C-C 단면 모식도이다.
도 10 은 골프 클럽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골프 클럽용 그립은, 샤프트가 끼워지는 원통부를 갖고, 상기 원통부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25 ㎟ 당 세구의 점유율이 35 % 이상인 세구 영역을 갖는다. 상기 그립은, 특정한 폭 및 깊이를 갖는 세구가 일정량 형성된 세구 영역을 가지고 있다. 이 세구 영역은, 골퍼의 땀이나 비 등의 수분을 세구 내부로 거두어들일 수 있어, 그립 표면을 드라이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그립은, 세구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출현하는 섬부가, 사용자의 피부에 걸림으로써 미끄럼 방지 성능이 향상된다.
(세구 영역)
상기 세구 영역이란, 특정 세구가 일정한 점유율이 되도록 형성된 영역이다. 상기 세구 영역에 있어서의 세구의 점유율은, 25 ㎟ (5 ㎜ × 5 ㎜ 사방) 당 35 % 이상, 바람직하게는 38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이고, 65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 이하이다. 세구의 점유율이 35 % 이상이면 세구로부터 물이 넘쳐흐르기 어려워, 웨트시의 느낌이 양호해진다. 또, 세구의 점유율이 65 % 이하이면 접촉 면적의 저하로 인한 미끄러짐을 느끼지 않아, 미끄럼 방지 성능이 양호해진다. 또한, 점유율은, 단위 면적에 있어서의 세구의 면적 비율이다. 세구의 면적은, 그립의 표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측정해도 되고, 그립 표면에 있어서의 세구의 폭 (w), 세구의 길이, 및 세구의 개수로부터 산출해도 된다. 또한, 세구 영역에는, 후술하는 세구 이외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상기 면적을 산출할 때에는, 세구의 면적만을 계측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세구 영역에 형성되는 세구는, 폭 (w) 이 0.1 ㎜ ∼ 0.7 ㎜ 이다. 세구의 폭이 이 범위 내이면, 골퍼의 땀 등의 수분을 세구 내부로 거두어들이기 쉬워진다. 상기 세구의 폭은, 0.2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이상이며, 0.6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이하이다. 세구의 폭은, 그립의 표면에 있어서의 폭을 측정한다. 측정은, 마이크로미터 등을 사용하면 된다.
상기 세구의 깊이 (h) 는, 0.1 ㎜ ∼ 1.0 ㎜ 이다. 세구의 깊이가 이 범위 내이면, 골퍼의 땀 등의 수분을 세구 내부로 거두어들이기 쉬워진다. 상기 세구의 깊이는, 0.2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이상이며, 0.8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 이하이다. 또한, 홈의 폭은, 깊이 방향으로 일정해도 되고, 그립 표면에 있어서의 폭과 최심부에서의 폭이 상이해도 된다. 홈의 폭은, 깊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해도 되고, 단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해도 된다. 상기 세구의 그립 표면에 있어서의 폭 (ws) 과, 세구의 최심부에 있어서의 폭 (wd) 의 비 (wd/ws) 는,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이하이다. 상기 홈의 단면 (斷面) 형상으로는, V 자 형상, 대략 V 자 형상, U 자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세구 영역에 형성되는 세구는, 1 종류의 세구를 복수 형성해도 되고, 복수 종류의 세구를 조합하여 형성해도 된다. 상기 세구의 형상은 직선 형상, 곡선 형상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직선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세구의 폭, 깊이는,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구 영역에 있어서, 세구의 평균 길이는, 10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이다. 상기 세구의 평균 길이가 10 ㎜ 이상이면, 세구에 거두어들인 수분을 세구 내에서 확산시킬 수 있어, 골퍼의 땀 등의 수분을 세구 내부로 보다 거두어들이기 쉬워진다.
상기 세구 영역에 있어서, 세구의 간격 (d) 은, 1.5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다. 세구의 간격이 1.5 ㎜ 이하이면, 세구 사이에 형성되는 섬부가 피부에 걸리기 쉬워져, 느낌이 보다 양호해진다. 그 때문에, 사용자의 그립을 잡는 힘이 무의식적으로 약해져, 스윙에 대한 몸의 저항이 작아짐으로써, 헤드 스피드가 향상된다. 또, 복수의 세구를 서로 평행이 되도록 형성하는 경우, 세구의 간격은, 0.3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이다. 세구의 간격이 0.3 ㎜ 이상이면, 세구 사이에 형성되는 섬부의 기계적 강도가 높아져, 내구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세구의 간격은 일정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상기 세구의 간격 (d) 과, 상기 세구의 폭 (w) 의 비 (d/w) 는, 1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며, 5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이하이다. 비 (d/w) 가 상기 범위 내이면, 타격시의 느낌이 보다 양호해진다.
상기 세구는, 다른 세구와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구가 교차되어 있음으로써, 세구에 거두어들인 땀이나 비가 다른 세구로 확산될 수 있어, 그립 표면을 보다 드라이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그립 표면은, 세구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구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출현하는 섬부가, 사용자의 피부에 걸림으로써 미끄럼 방지 성능이 향상된다. 상기 세구로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 1 세구군과, 이 제 1 세구군과 교차하도록 형성되며 또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 2 세구군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제 1 세구군과 제 2 세구군을 형성함으로써, 세구의 점유율을 제어하기 쉬워진다.
상기 제 1 세구군과 제 2 세구군을 형성하는 경우, 이들이 형성하는 각은, 45°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이상이며, 135°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이하이다. 이들 세구군이 형성하는 각이 상기 범위 내이면, 세구군의 사이에 형성되는 섬부의 기계적 강도가 높아져, 내구성이 보다 향상된다.
상기 세구 영역은, 상기 원통부의 팁측 단부를 0 %, 버트측 단부를 100 % 로 했을 때, 상기 원통부의 10 % ∼ 100 % 의 범위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 80 % 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 70 % 의 범위이다.
상기 세구 영역은, 원통부의 10 % ∼ 60 % 까지의 범위에 형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원통부의 10 % ∼ 60 % 까지의 범위의 표면적에 있어서, 세구 영역의 면적률은 30 면적%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면적%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면적% 이상이며, 95 면적%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면적%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면적% 이하이다. 상기 팁측 단부로부터의 축 방향의 거리가 전체 길이의 10 % ∼ 60 % 까지인 범위는, 사용자가 맨손으로 그립을 잡는 부분이다. 이 부분에 세구 영역을 가짐으로써, 그립의 감촉이 보다 양호해진다.
상기 세구 영역은, 상기 원통부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세구에 거두어들인 골퍼의 땀 등을 확산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둘레 방향으로 연속한다란, 둘레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속하고 있는 형태뿐만 아니라, 둘레 방향으로 V 자 형상이나 U 자 형상으로 연속하고 있는 형태도 포함한다. 상기 세구 영역의 둘레 방향의 길이는, 원통부의 둘레 길이의 10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이며, 100 % 이하이다.
상기 세구 영역은, 1 개 지점에만 형성해도 되고, 복수 지점에 형성해도 된다. 상기 세구 영역의 총면적은, 1400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80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200 ㎟ 이상이다. 총면적이 1400 ㎟ 이상이면, 느낌이 보다 양호해지고, 헤드 스피드가 향상된다. 또, 개개의 세구 영역의 면적은, 180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6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40 ㎟ 이상이다.
상기 세구 영역은, 레이저 가공, 금형으로부터의 전사에 의해 형성할 수 있으며,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세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 ∼ 7 을 참조하여, 세구 영역에 형성되는 세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세구 영역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세구 영역의 A-A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세구 영역의 B-B 단면도이다. 도 4 는, 세구 영역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세구 영역의 A-A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세구 영역의 B-B 단면도이다. 도 7 은, 세구 영역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4, 7 의 세구 영역에서는, 제 1 세구군 (10) 과 제 2 세구군 (20)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세구군 (10) 의 폭 (w1) 및 간격 (d1) 은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 2 세구군 (20) 의 폭 (w2) 및 간격 (d2) 은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 4, 7 의 세구 영역에서는, 제 1 세구군 (10) 의 폭 (w1) 과 제 2 세구군 (20) 의 폭 (w2) 이 동일하고, 제 1 세구군 (10) 의 간격 (d1) 과 제 2 세구군 (20) 의 간격 (d2) 이 동일하다.
도 1, 4 의 세구 영역에 있어서, 제 1 세구군 (10) 의 방향을 X, 제 2 세구군 (20) 의 방향을 Y 로 하면, 제 1 세구군 (10) 과 제 2 세구군 (20) 이 형성하는 각 (θ) 은 90°이다. 따라서, 세구에 의해 형성된 섬부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정방형으로 되어 있다.
도 1 의 세구 영역에서는, 제 1 세구군 (10) 의 폭 (w1) 및 제 2 세구군 (20) 의 폭 (w2) 은, 깊이 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세구에 의해 형성된 섬부의 단면 형상은 사각 기둥으로 되어 있다. 도 4 의 세구 영역에서는, 제 1 세구군 (10) 의 폭 (w1) 및 제 2 세구군 (20) 의 폭 (w2) 은, 깊어짐에 따라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세구에 의해 형성된 섬부의 단면 형상은 사각뿔대로 되어 있다.
도 7 은, 세구 영역에 있어서, 제 1 세구군 (10) 의 방향을 X, 제 2 세구군 (20) 의 방향을 Y 로 하면, 제 1 세구군 (10) 과 제 2 세구군 (20) 이 형성하는 각 θ) 은 45°이다. 따라서, 세구에 의해 형성된 섬부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마름모꼴로 되어 있다.
[구조]
상기 골프 클럽용 그립의 원통부는, 단층 구조여도 되고, 다층 구조여도 된다. 원통부가 단층 구조인 경우에는, 세구 영역과, 세구 영역 이외의 다른 영역 (이하, 간단히 「다른 영역」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을 상이한 조성물로 형성해도 되고, 동일한 조성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단층 구조의 원통부는, 세구 영역 및 다른 영역이 모두 중실층 (中實層) 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부가 다층 구조인 경우, 원통부는 최표층과 적어도 1 층의 내층을 갖는다. 상기 최표층이 세구 영역을 갖는다. 여기서, 최표층이란, 그립의 가장 외측의 층으로, 그립 사용시에 사용자가 접촉하는 부분이다. 상기 최표층은, 세구 영역과 다른 영역을 상이한 조성물로 형성해도 되고, 동일한 조성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최표층은, 세구 영역 및 다른 영역이, 모두 중실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층은, 적어도 한층이 다공질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부를 다층 구조로 하는 경우, 최표층과 1 층의 내층을 갖는 2 층 구조 ; 최표층과 2 층의 내층을 갖는 3 층 구조 ; 가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부의 두께는, 0.5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이며, 17.0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이다. 상기 원통부의 두께는, 축 방향으로 일정하게 되도록 형성해도 되고, 선단부에서 후단부를 향해 서서히 두꺼워지도록 형성해도 된다.
상기 원통부의 두께가 0.5 ㎜ ∼ 17.0 ㎜ 인 경우, 상기 최표층의 두께는, 0.5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 이상이며, 2.5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3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1 ㎜ 이하이다. 상기 외층의 두께가 0.5 ㎜ 이상이면 외층 소재에 의한 보강 효과가 보다 커지고, 2.5 ㎜ 이하이면 상대적으로 내층을 두껍게 할 수 있어, 그립의 경량화의 효과가 커진다.
상기 원통부의 두께에 대한 최표층의 두께의 백분율 ((최표층 두께/원통부 두께) × 100) 은, 0.5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이며, 99.0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8.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7.0 % 이하이다. 상기 백분율이 0.5 % 이상이면 외층 소재에 의한 보강 효과가 보다 커지고, 99.0 % 이하이면 상대적으로 내층을 두껍게 할 수 있어, 그립의 경량화의 효과가 커진다.
[재질]
상기 원통부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골프 클럽용 그립에 사용되고 있는 고무 조성물, 수지 조성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원통부는, 상기 세구 영역이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구 영역을 고무 조성물로 형성함으로써, 섬부의 칩핑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세구 영역을 구성하는 고무 조성물 (이하, 「제 1 고무 조성물」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로는, 기재 고무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 고무로는, 천연 고무 (N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EPDM), 부틸 고무 (II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NBR), 수소 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HNBR), 카르복시 변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XNBR), 카르복시 변성 수소 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HXNBR), 부타디엔 고무 (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BR), 폴리우레탄 고무 (PU), 이소프렌 고무 (IR), 클로로프렌 고무 (C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EPM)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기재 고무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기재 고무는, 비극성 고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 고무가 비극성 고무를 함유하면, 그립에 사용자의 피지가 부착된 경우에도, 그립이 유분을 흡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의 피지로 인한 미끄럼 방지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기재 고무 중의 비극성 고무의 함유율은, 5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이다. 상기 비극성 고무는, SP (용해도 파라미터) 값이 7.7 이상, 8.7 미만이다.
상기 SP 값은, Fedors 의 식 (하기 수학식 (1)) (Polymer Engineering and Science, 제 14 권, 제 2 호, 1974 년, 제 147 페이지) 에 의해 구해지는 값 (Pa1/2(25 ℃)) 이다.
SP 값 = (ΔE/V)1/2 = (ΣΔei/ΣΔvi)1/2 (1)
[식 (1) 중, ΔE 는 증발 에너지, V 는 몰 체적, Δei 는 원자 또는 원자단의 증발 에너지, Δvi 는 원자 또는 원자단의 몰 체적을 나타낸다]
상기 비극성 고무로는, 예를 들어, 이소프렌 고무 (IR), 부타디엔 고무 (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BR), 클로로프렌 고무 (CR), 천연 고무 (NR), 등의 디엔계 고무 ;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EPM),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EPDM), 부틸 고무 (IIR) 등의 비디엔 고무를 들 수 있다. 비극성 고무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디엔계 고무가 바람직하고, 비극성 고무 중의 디엔계 고무의 함유율은 5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이다. 비극성 고무로서 디엔계 고무만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비극성 고무로는, NR, EPDM, IIR, SBR 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고무 조성물은, 기재 고무로서, 천연 고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연 고무를 함유함으로써, 한랭 조건하에 있어서도 섬부의 유연성이 유지되어, 높은 미끄럼 방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기재 고무로서 천연 고무를 사용하는 경우, 기재 고무 중의 천연 고무의 함유율은 5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이다.
상기 가교제로는, 황계 가교제, 유기 과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황계 가교제로는 단체 (單體) 황, 황 도너형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단체 황으로는, 분말 황, 침강 황, 콜로이드상 황, 불용성 황을 들 수 있다. 상기 황 도너형 화합물로는, 4,4'-디티오비스모르폴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과산화물로는, 디쿠밀퍼옥사이드, α,α'-비스(t-부틸퍼옥시-m-디이소프로필)벤젠,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가교제로는, 황계 가교제가 바람직하고, 단체 황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의 사용량은, 기재 고무 100 질량부에 대해, 0.2 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질량부 이상이며, 4.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질량부 이하이다.
상기 제 1 고무 조성물은, 추가로 가황 촉진제, 가황 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황 촉진제로는, 테트라메틸티우람디술파이드 (TMTD), 테트라벤질티우람디술파이드 (TBzTD), 테트라메틸티우람모노술파이드 (TMTM), 디펜타메틸렌티우람테트라술파이드 등의 티우람계 ; 디페닐구아니딘 (DPG) 등의 구아니딘계 ; 디메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ZnPDC), 디부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등의 디티오카르바민산염계 ; 트리메틸티오우레아, N,N'-디에틸티오우레아 등의 티오우레아계 ; 메르캅토벤조티아졸 (MBT), 벤조티아졸디술파이드 등의 티아졸계 ; N-시클로헥실-2-벤조티아졸릴술펜아미드 (CBS), N-t-부틸-2-벤조티아졸릴술펜아미드 (BBS) 등의 술펜아미드계 ;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황 촉진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가황 촉진제의 합계 사용량은, 기재 고무 100 질량부에 대해, 0.4 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질량부 이상이며, 8.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질량부 이하이다.
상기 가황 활성제로는, 금속 산화물 (산화티탄을 제외한다), 금속 과산화물, 지방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로는,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납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과산화물로는, 과산화아연, 과산화크롬, 과산화마그네슘, 과산화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산으로는, 스테아르산, 올레산, 팔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황 활성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가황 활성제의 합계 사용량은, 기재 고무 100 질량부에 대해, 0.5 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질량부 이상이며, 10.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질량부 이하이다.
상기 제 1 고무 조성물은, 추가로 필요에 따라서, 노화 방지제, 연화제, 착색제, 스코치 방지제, 수지 등을 배합해도 된다.
상기 노화 방지제로는, 이미다졸류, 아민류, 페놀류, 티오우레아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미다졸류로는, 디부틸디티오카르바민산니켈 (NDIBC), 2-메르캅토벤즈이미다졸, 2-메르캅토벤즈이미다졸의 아연염 등을 들 수 있다. 아민류로는, 페닐-α-나프틸아민 등을 들 수 있다. 페놀류로는,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MBMBP),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등을 들 수 있다. 티오우레아류로는, 트리부틸티오우레아, 1,3-비스(디메틸아미노프로필)-2-티오우레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노화 방지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노화 방지제의 사용량은, 기재 고무 100 질량부에 대해, 0.2 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질량부 이상이며, 5.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8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6 질량부 이하이다.
상기 연화제로는, 광물유, 가소제를 들 수 있다. 상기 광물유로는, 파라핀 오일, 나프텐 오일, 아로마틱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로는, 디옥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세바케이트, 디옥틸아디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스코치 방지제로는, 유기산, 니트로소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산으로는, 무수 프탈산, 무수 피로멜리트산, 무수 트리멜리트산, 벤조산, 살리실산, 말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니트로소 화합물로는, N-니트로소·디페닐아민, N-(시클로헥실티오)프탈이미드, 술폰아미드 유도체, 디페닐우레아, 비스(트리데실)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2-메르캅토벤즈이미다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로는, 수소 첨가 로진 에스테르, 불균화 로진 에스테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쿠마론 수지, 페놀 수지, 자일렌 수지, 스티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1 고무 조성물은, 종래 공지된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버리 믹서, 니더, 오픈 롤 등의 혼련기를 사용하여, 각 원료를 혼련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고무 조성물의 재료 경도 (쇼어 A 경도) 는, 40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이상이며, 6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이하이다. 제 1 고무 조성물의 재료 경도 (쇼어 A 경도) 가 40 이상이면 세구 영역의 기계적 강도가 보다 향상되고, 60 이하이면 최표층이 지나치게 딱딱해지지 않아, 잡았을 때의 그립감이 보다 양호해진다.
단층 구조의 원통부 또는 다층 구조의 원통부의 최표층에 있어서, 세구 영역 이외의 다른 영역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제 1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른 영역을 구성하는 고무 조성물은, 상기 세구 영역을 구성하는 고무 조성물과 동일한 조성이어도 되고, 상이한 조성이어도 된다. 이들이 동일한 조성이면, 원통부 또는 최표층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상기 원통부가 다층 구조인 경우, 내층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내층을 형성하는 조성물 (이하, 「제 2 조성물」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로는, 제 2 고무 조성물,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2 고무 조성물은, 기재 고무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 고무로는, 천연 고무 (N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EPDM), 부틸 고무 (II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NBR), 수소 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HNBR), 카르복시 변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XNBR), 카르복시 변성 수소 첨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HXNBR), 부타디엔 고무 (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BR), 폴리우레탄 고무 (PU), 이소프렌 고무 (IR), 클로로프렌 고무 (C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EPM)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상기 기재 고무로는, NR, EPDM, IIR, NBR, HNBR, XNBR, HXNBR, BR, SBR, PU 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고무 조성물의 가교제로는, 상기 제 1 고무 조성물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고, 단체 황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고무 조성물은, 추가로 가황 촉진제, 가황 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가황 촉진제, 가황 활성제로는 상기 제 1 고무 조성물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가황 촉진제로는, N-t-부틸-2-벤조티아졸릴술펜아미드, 테트라벤질티우람디술파이드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황 활성제로는, 산화아연, 스테아르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고무 조성물은, 추가로 필요에 따라서 보강재, 노화 방지제, 연화제, 착색제, 스코치 방지제 등을 배합해도 된다. 이들 보강재, 노화 방지제, 착색제로는 상기 제 1 고무 조성물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보강재로는, 카본 블랙, 실리카가 바람직하다. 상기 노화 방지제로는,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고무 조성물은, 종래 공지된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버리 믹서, 니더, 오픈 롤 등의 혼련기를 사용하여, 각 원료를 혼련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혼련시의 온도 (재료 온도) 는, 70 ℃ ∼ 160 ℃ 가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고무 조성물이 마이크로벌룬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마이크로벌룬의 팽창 개시 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혼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기재 수지를 함유한다. 상기 기재 수지로는,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른 부분을 형성하는 제 2 조성물로는, 제 2 고무 조성물이 바람직하고, 기재 고무로서 천연 고무 (N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EPDM), 부틸 고무 (IIR)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부분을 형성하는 조성물이 천연 고무 (N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EPDM), 부틸 고무 (IIR) 를 함유함으로써, 제 1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는 부분과 다른 부분과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상기 내층은, 중실층이어도 되고, 다공질층이어도 된다. 상기 내층을 다공질층으로 하면, 골프 클럽용 그립을 경량화할 수 있다. 다공질층은, 기재가 되는 고무에 다수의 세공 (공극) 이 형성되어 있는 층이다. 다수의 세공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층의 겉보기 밀도가 작아져,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공질층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벌룬 발포법, 화학 발포법, 초임계 이산화탄소 사출 성형법, 염 추출법, 용제 제거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벌룬 발포법에서는, 고무 조성물에 마이크로벌룬을 함유시키고, 가열에 의해 마이크로벌룬을 팽창시켜, 발포시킨다. 또한, 고무 조성물에 이미 팽창을 마친 마이크로벌룬을 배합하고, 그것을 성형해도 된다. 상기 화학 발포법에서는, 고무 조성물에 발포제 (아조디카르본아미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N,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 p-톨루엔술포닐히드라진, p-옥시비스(벤젠술포히드라지드) 등) 나 발포 보조제를 함유시키고, 화학 반응에 의해 기체 (탄산 가스, 질소 가스 등) 를 발생시켜 발포시킨다. 상기 초임계 이산화탄소 사출 성형에서는, 고압력하에서 초임계 상태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고무 조성물에 함침시키고, 이 고무 조성물을 상압하에 사출하고, 이산화탄소를 기화시켜 발포시킨다. 상기 염 추출법에서는, 고무 조성물에 용해 용이성 염 (붕산, 염화칼슘 등) 을 함유시키고, 성형 후에 염을 용해 추출하여 세공을 형성한다. 상기 용제 제거법에서는, 고무 조성물에 용제를 함유시키고, 성형 후에 용제를 제거하여 세공을 형성한다.
상기 내층을 다공질층으로 하는 경우, 발포제를 함유하는 제 2 고무 조성물로 성형된 발포층이 바람직하다. 특히, 벌룬 발포법에 의해 제조된 발포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내층으로는, 마이크로벌룬을 함유하는 제 2 고무 조성물로 성형된 발포층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벌룬을 사용함으로써, 내층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벌룬으로는, 유기 마이크로벌룬, 무기 마이크로벌룬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유기 마이크로벌룬으로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중공 입자, 열가소성 수지의 외피에 저비점 탄화수소가 내포된 수지 캡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 캡슐의 구체예로는, Akzo Nobel 사 제조의 엑스판셀, 마츠모토 유지 제약사 제조의 마츠모토 마이크로스페어 (등록상표)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마이크로벌룬으로는, 중공 유리 입자 (실리카 벌룬, 알루미나 벌룬 등), 중공 세라믹스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 캡슐 (팽창 전) 의 체적 평균 입자경은, 5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 ㎛ 이상이며, 90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이다.
벌룬 발포법에 의해 내층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제 2 고무 조성물 중의 마이크로벌룬의 함유량은, 기재 고무 100 질량부에 대해, 5 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질량부 이상이며, 2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부 이하이다. 상기 마이크로벌룬의 함유량이 5 질량부 이상이면 그립의 경량화의 효과가 보다 커지고, 20 질량부 이하이면 내층의 기계적 강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벌룬 발포법에 의해 제조되는 내층의 발포 배율은, 1.2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이상이며, 5.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다. 발포 배율이 1.2 이상이면 그립의 경량화의 효과가 커지고, 5.0 이하이면 내층의 기계적 강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고무 조성물의 재료 경도 (쇼어 A 경도) 는, 20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며, 6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이하이다. 제 2 고무 조성물의 재료 경도 (쇼어 A 경도) 가 20 이상이면 내층이 지나치게 부드러워지지 않아, 잡았을 때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감촉이 얻어지고, 55 이하이면 내층이 지나치게 딱딱해지지 않아, 잡았을 때의 그립감이 보다 양호해진다.
골프 클럽용 그립은, 상기 제 1 고무 조성물을, 금형 내에서 성형함으로써 얻어진다. 성형 방법으로는, 프레스 성형, 사출 성형을 들 수 있다. 또, 내층과 외층을 갖는 골프 클럽용 그립은, 예를 들어, 상기 제 1 고무 조성물로 형성한 미가황의 고무 시트와, 상기 제 2 고무 조성물로 형성한 미가황의 고무 시트의 적층물을, 금형 내에서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얻어진다. 프레스 성형을 채용하는 경우, 금형 온도는 140 ℃ ∼ 200 ℃ 가 바람직하고, 성형 시간은 5 분간 ∼ 40 분간이 바람직하고, 성형 압력은 0.1 ㎫ ∼ 100 ㎫ 가 바람직하다.
골프 클럽용 그립의 형상으로는, 예를 들어, 샤프트가 끼워지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후단의 개구를 덮도록 일체 형성된 캡부를 갖는 형상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원통부가 상기 제 1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통부는 내층과 외층의 적층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외층이 제 1 고무 조성물로 형성된다.
상기 원통부의 두께는, 축 방향으로 일정하게 되도록 형성해도 되고, 선단부에서 후단부를 향해 서서히 두꺼워지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 원통부의 두께는, 직경 방향으로 일정하게 되도록 형성해도 되고, 일부에 철조 (凸條) 부분 (이른바 백 라인) 을 형성해도 된다. 또, 원통부의 표면에는 홈을 형성해도 된다. 홈에 의해, 골퍼의 손과 그립 사이의 수막 형성이 억제되어, 웨트 상태에서의 그립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그리고, 그립의 미끄럼 방지 성능 및 내마모성의 관점에서, 그립 내에 보강 코드를 배치 형성해도 된다.
상기 골프 클럽 그립의 질량은, 16 g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g 이상이며, 35 g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2 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g 이하이다.
[골프 클럽]
본 발명에는, 상기 골프 클럽용 그립을 사용한 골프 클럽도 포함된다. 상기 골프 클럽은,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장착된 헤드와,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장착된 그립을 구비하고, 상기 그립이 상기 골프 클럽용 그립이다. 상기 샤프트는, 스테인리스강제나 탄소섬유 강화 수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헤드로는, 우드형, 유틸리티형, 아이언형을 들 수 있다. 상기 헤드를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티탄, 티탄 합금,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 스테인리스강, 마레이징강, 연철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골프 클럽용 그립 및 골프 클럽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은, 골프 클럽용 그립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립 (1) 은, 샤프트가 끼워지는 원통부 (2) 와, 상기 원통부의 후단의 개구를 덮도록 일체 형성된 캡부 (3) 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원통부의 10 % ∼ 60 % 의 범위에 세구 영역 (30)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세구 영역 (30) 은, V 자 형상으로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9 는, 도 8 의 골프 클럽용 그립의 C-C 단면 모식도이다. 상기 원통부 (2) 는, 내층 (2a) 과 외층 (2b) 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층 (2b) 은 선단부에서 후단부에 걸쳐서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층 (2a) 의 두께는, 선단부에서 후단부를 향해 서서히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9 에 나타낸 그립 (1) 에서는, 캡부 (3) 는 외층 (2b) 과 동일한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골프 클럽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골프 클럽 (4) 은, 샤프트 (5) 와, 상기 샤프트 (5) 의 일단에 장착된 헤드 (6) 와, 상기 샤프트 (5) 의 타단에 장착된 그립 (1) 을 구비하고 있다. 그립 (1) 의 원통부 (2) 에 샤프트 (5) 의 후단이 끼워져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변경, 실시의 양태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평가 방법]
(1) 재료 경도 (쇼어 A 경도)
고무 조성물을 사용하여, 160 ℃ 에서 8 ∼ 20 분간 프레스하여, 두께 2 ㎜ 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고무 조성물이 마이크로벌룬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그립을 형성했을 때와 동일한 발포 배율이 되도록 마이크로벌룬을 팽창시켜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 시트를, 23 ℃ 에서 2 주간 보존하고, 측정 기판 등의 영향이 나오지 않도록, 3 장을 겹친 상태로, 자동 경도계 (H. 바레이스사 제조, 데지테스트 II) 를 사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 검출기는, 「Shore A」를 사용하였다.
(2) 동마찰 계수
동마찰 계수는, 정·동마찰 측정기 (트리니티 라보사 제조, TL201Ts)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골프 클럽용 그립으로부터 고무편 (폭 2 ㎝, 길이 6 ㎝) 을 잘라내어, 이것을 시험편으로 하였다. 고무편은, 그립의 세구 영역 (그립 No.1 ∼ 18 은 세구 영역, 그립 No.19 ∼ 23 은 홈 영역) 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잘라내었다. 또한, 그립 No.24 에 대해서는, 세구 영역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립의 축 방향의 중앙 부근으로부터 고무편을 잘라내었다. 시험편을 장치의 이동 테이블에 고정시키고, 기하학 지문 패턴이 시술된 촉각 접촉자를 사용하여, 시험편의 세구 영역 또는 홈 영역의 동마찰을 측정하였다. 시험은, 이동 거리 1 ㎝, 이동 속도 1 ㎜/초, 하중 25 g 으로 하였다. 동마찰 계수는, 엇갈림 운동을 개시한 위치를 0 ㎝ 로 하여 0.35 ㎝ ∼ 0.65 ㎝ 의 평균치를 구하였다. 또한, 동마찰 계수는, 그립 No.24 의 동마찰 계수를 100 으로 하여, 지수화한 값으로 나타내었다.
(3) 느낌 평가
그립을 샤프트에 장착하고, 골프 클럽을 제조하였다. 이 골프 클럽에 대해 10 명의 골퍼에 대해서 필링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느낌의 평가는, 그립 No.24 를 기준으로 하여, 이 그립 No.24 보다 우수하다고 느끼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우수하다고 판단한 사람이 8 명 이상인 경우를 「○」, 7 명 이하인 경우를 「×」로 평가하였다.
(4) 웨트시의 느낌 평가
그립을 샤프트에 장착하고, 골프 클럽을 제조하였다. 이 골프 클럽에 대해 10 명의 골퍼에 대해서 웨트시의 필링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웨트시의 느낌의 평가는, 그립을 적시기 전과 적신 다음에 타격을 실시하여, 그립이 젖음으로써 느낌에 차이를 느끼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차이가 없다고 판단한 사람이 8 명 이상인 경우를 「○」, 7 명 이하인 경우를 「×」로 평가하였다.
(5) 내구성
그립을 샤프트에 장착하고, 골프 클럽을 제조하였다. 이 골프 클럽에 대해서, 1000 회의 실타 내구 평가를 실시하였다. 타격 후의 그립의 세구 영역, 홈 영역의 섬부를 관찰하여, 섬부에 칩핑이 보인 경우를 「×」, 칩핑이 보이지 않은 경우를 「○」로 평가하였다.
(6) 헤드 스피드
골프 클럽 (드라이버) (스미토모 고무 공업사 제조, XXIO8 (플렉스 : S) 의 그립을, 시험 대상의 그립으로 교환하여, 시험용 골프 클럽을 제조하였다. 이 골프 클럽에 대해 10 명의 골퍼에 대해서 실타 평가를 실시하여, 헤드 스피드를 계측하였다. 헤드 스피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70532호에 기재된 계측 시스템을 사용하여 계측하고, 10 명의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또한, 헤드 스피드는, 그립 No.24 의 헤드 스피드와의 차로 나타내었다.
[그립용 조성물의 조제]
표 1, 2 에 나타내는 배합으로 각 원료를 혼련하여, 외층용 고무 조성물 및 내층용 고무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또한, 외층용 고무 조성물은, 모든 원료를 밴버리 믹서로 혼련하였다. 내층용 고무 조성물은, 마이크로벌룬 이외의 원료를 밴버리 믹서로 혼련하고, 그 후, 롤을 사용하여 마이크로벌룬을 배합하였다. 내층용 고무 조성물의 밴버리 믹서의 혼련시의 재료 온도 및 롤에 의해 마이크로벌룬을 배합할 때의 재료 온도는, 마이크로벌룬의 팽창 개시 온도 미만으로 하였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1, 2 에서 사용한 재료는 하기와 같다.
NR (천연 고무) : TSR20
EPDM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에스프렌 (등록상표) 505A
IIR : JSR 사 제조, JSR BUTYL065
DIABLACK (등록상표) N220 : 미츠비시 화학사 제조, 카본 블랙 (DBP 흡유량 : 115 ㎤/100 g)
울트라실 VN3 GR : 에보닉사 제조, 조립 (造粒) 실리카 (부정형) (DBP 흡유량 : 200 ㎤/100 g ∼ 240 ㎤/100 g)
황 : 츠루미 화학 공업사 제조, 5 % 오일이 함유된 미분 (微粉) 황 (200 메시)
녹셀러 NS : 오우치 신코 화학 공업사 제조, N-t-부틸-2-벤조티아졸릴술펜아미드
녹셀러 CZ : 오우치 신코 화학 공업사 제조, N-시클로헥실-2-벤조티아졸릴술펜아미드
속시놀 D :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1,3-디페닐구아니딘
산화아연 : PT. INDO LYSAGHT 사 제조, 화이트 시일
녹락 (등록상표) NS-6 : 오우치 신코 화학 공업사 제조,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산트가드 PVI : 산신 화학 공업사 제조, N-시클로헥실티오프탈이미드
벤조산 : Aldrich 사 제조
스테아르산 : 니치유사 제조, 비즈 스테아르산 동백
PW380 : 이데미츠 코산사 제조, 다이아나 프로세스 오일 PW380
마이크로벌룬 : Akzo Nobel 사 제조, 「엑스판셀 (등록상표) 909-80DU」 (열가소성 수지의 외피에 저비점 탄화수소가 내포된 수지 캡슐, 체적 평균 입자경 18 ㎛ ∼ 24 ㎛, 팽창 개시 온도 120 ℃ ∼ 130 ℃)
[그립의 제조]
그립 No.1 ∼ 13 및 15 ∼ 24
상기 외층용 고무 조성물을 사용하여, 부채대 (扇臺) 형상의 미가황의 외층용 고무 시트 및 캡 부재를 제조하였다. 또한, 외층용 고무 시트는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성형하였다. 상기 내층용 고무 조성물을 사용하여, 장방형상의 미가황의 내층용 고무 시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내층용 고무 시트는, 일방의 단에서 타방의 단을 향해 서서히 두꺼워지도록 형성하였다. 맨드릴에 내층용 고무 시트를 둘러감고,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한 후, 이 위에 외층용 고무 시트를 포개어 감았다. 이들 고무 시트가 둘러감긴 맨드릴 및 캡 부재를, 금형에 투입하였다. 그리고, 금형 온도 160 ℃, 가열 시간 15 분간 동안 열처리를 실시하여, 외층 표면에 세구를 갖지 않는 그립을 얻었다. 얻어진 세구를 갖지 않는 그립의 원통부의 두께는, 최박부 (헤드측 단부) 가 1.5 ㎜, 최후부 (그립 엔드측 단부) 가 6.7 ㎜ 였다.
그립 No.14
상기 외층용 고무 조성물을 사용하여, 부채대 형상의 미가황의 고무 시트 및 캡 부재를 제조하였다. 또한, 고무 시트는 일방의 단에서 타방의 단을 향해 서서히 두꺼워지도록 형성하였다. 맨드릴에 고무 시트를 둘러감고, 고무 시트가 둘러감긴 맨드릴 및 캡 부재를, 금형에 투입하였다. 그리고, 금형 온도 160 ℃, 가열 시간 15 분간 동안 열처리를 실시하여, 외층 표면에 세구를 갖지 않는 그립을 얻었다. 얻어진 세구를 갖지 않는 그립의 원통부의 두께는, 최박부 (헤드측 단부) 가 1.5 ㎜, 최후부 (그립 엔드측 단부) 가 6.7 ㎜ 였다.
그립 No.1 ∼ 23
상기에서 얻은 세구를 갖지 않는 그립에 대해서, 레이저 가공기 (아마다 미야치사 제조, 파이버 레이저 가공기, 「ML-7320DL」) 를 사용하여, 표 3 ∼ 5 에 나타내는 홈을 형성하여, 세구 영역 또는 홈 영역을 부여하였다. 각 그립의 세구 영역 또는 홈 영역의 형성 범위는 다음과 같다. 또한, 그립의 원통부의 팁측 단부를 0 %, 버트측 단부를 100 % 로 한다. 그립 No.1 ∼ 9, 14 ∼ 17 및 19 ∼ 22 는, 20 % ∼ 100 % 의 범위 ; 그립 No.10 은, 26 % ∼ 36 % 의 범위 ; 그립 No.11 및 23 은, 18 % ∼ 58 % 의 범위 ; 그립 No.12 는, 18 % ∼ 78 % 의 범위 ; 그립 No.13 은, 0 % ∼ 100 % 의 범위에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범위에 있어서, 세구 영역 또는 홈 영역을, 원통부 전체 둘레에 형성하였다. 각 그립의 평가 결과를 표 3 ∼ 5 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그립 No.1 ∼ 19 는, 원통부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25 ㎟ 당 세구의 점유율이 35 % 이상인 세구 영역을 갖는 경우이다. 특히, 그립 No.1 ∼ 14 는, 세구 영역에 있어서의 세구의 간격이 0.3 ∼ 1.5 ㎜ 이고, 세구 영역의 총면적이 1400 ㎟ 이상이다. 이들 그립 No.1 ∼ 14 는, 미끄럼 방지 성능, 웨트시의 느낌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또한, 헤드 스피드가 향상되어 있다.
그립 No.15 는, 세구의 간격이 0.15 ㎜ 로, 내구성이 열등하다. 그립 No.16, 17 은, 세구의 간격이 1.8 ㎜ 또는 2.0 ㎜ 로, 느낌이 열등하고, 헤드 스피드가 향상되어 있지 않다. 그립 No.18 은, 세구 영역의 총면적이 1383 ㎟ 로, 웨트시의 느낌이 열등하다. 또, 그립 No.18 은, 세구 영역의 패턴이 그립 No.10, 11 의 세구 영역의 패턴과 동일하지만, 도입 면적이 작기 때문에, 마찰 계수가 상이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립 No.19 ∼ 23 은, 원통부의 표면에 25 ㎟ 당 홈의 점유율이 35 % 이상인 홈 영역을 갖는다. 그러나, 그립 No.19 는 홈의 폭이 0.1 ㎜ 미만으로, 웨트시의 느낌이 열등하다. 그립 No.20, 21 은 홈의 폭이 0.7 ㎜ 초과로, 미끄럼 방지 성능, 느낌이 열등하며, 헤드 스피드가 향상되어 있지 않다. 그립 No.22 는 홈의 깊이가 0.1 ㎜ 미만이고, 웨트시의 느낌이 열등하다. 그립 No.23 은 홈의 깊이가 1.0 ㎜ 초과이고, 느낌이나 내구성이 열등하다.
1 : 그립
2 : 원통부
2a : 내층
2b : 외층
3 : 캡부
4 : 골프 클럽
5 : 샤프트
6 : 헤드
10 : 제 1 세구군
20 : 제 2 세구군
30 : 세구 영역

Claims (12)

  1. 샤프트가 끼워지는 원통부를 갖는 그립으로서,
    상기 원통부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25 ㎟ 당 세구의 점유율이 35 % 이상인 세구 영역을 갖고,
    상기 세구의 폭 (w) 이 0.1 ㎜ ∼ 0.7 ㎜, 세구의 깊이 (h) 가 0.1 ㎜ ∼ 1.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클럽용 그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의 팁측 단부를 0 %, 버트측 단부를 100 % 로 했을 때,
    상기 원통부의 10 % ∼ 100 % 의 범위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세구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골프 클럽용 그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구 영역의 총면적이 1400 ㎟ 이상인 골프 클럽용 그립.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구 영역에 있어서, 상기 세구의 간격 (d) 이 1.5 ㎜ 이하인 골프 클럽용 그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구 영역에 있어서, 상기 세구의 간격 (d) 과 상기 세구의 폭 (w) 의 비 (d/w) 가 1 ∼ 5 인 골프 클럽용 그립.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가, 기재 고무로서 비극성 고무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는 골프 클럽용 그립.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구 영역의 총면적이 1400 ㎟ 이상이고,
    상기 세구의 그립 표면에 있어서의 폭 (ws) 과, 세구의 최심부에 있어서의 폭 (wd) 의 비 (wd/ws) 가 1.0 이하인 골프 클럽용 그립.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구의 단면 형상이 V 자 형상인 골프 클럽용 그립.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구 영역의 총면적이 1400 ㎟ 이상이고,
    상기 세구가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골프 클럽용 그립.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구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섬부가 형성되어 있는 골프 클럽용 그립.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세구의 폭이, 깊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골프 클럽용 그립.
  12.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장착된 헤드와,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장착된 그립을 구비하고,
    상기 그립이,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골프 클럽용 그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클럽.
KR1020207028829A 2018-07-30 2019-06-19 골프 클럽용 그립 및 골프 클럽 KR102691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42569 2018-07-30
JP2018142569A JP6498344B1 (ja) 2018-07-30 2018-07-30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およびゴルフクラブ
PCT/JP2019/024227 WO2020026625A1 (ja) 2018-07-30 2019-06-19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およびゴルフクラブ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540A true KR20210034540A (ko) 2021-03-30
KR102691106B1 KR102691106B1 (ko) 2024-08-01

Family

ID=66092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829A KR102691106B1 (ko) 2018-07-30 2019-06-19 골프 클럽용 그립 및 골프 클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71967B2 (ko)
EP (1) EP3804824A4 (ko)
JP (1) JP6498344B1 (ko)
KR (1) KR102691106B1 (ko)
CN (1) CN210728601U (ko)
WO (1) WO202002662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01076B1 (en) * 1991-08-28 1996-10-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lip control sheeting and articles covered with same
JP2005508769A (ja) 2001-11-09 2005-04-0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改良されたミクロ複製した表面
US20090143163A1 (en) * 2007-12-04 2009-06-04 Sri Sports Limited Golf club and grip for golf club
JP4606491B2 (ja) * 2008-12-09 2011-01-05 株式会社Iomic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
JP2016214704A (ja) 2015-05-25 2016-12-22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8436A (en) * 1975-12-16 1978-08-22 Lamberto Masi Aired grip for tennis rackets
JPH0249569A (ja) * 1988-08-11 1990-02-19 Shishinden:Kk 高電位印加により品質を向上させる方法及びその高電位発生装置
JPH0249569U (ko) * 1988-09-30 1990-04-06
US4974846A (en) * 1989-04-10 1990-12-04 Spalding & Evenflo Companies, Inc. Golf club grip
JPH0343866U (ko) * 1989-09-04 1991-04-24
US5087042A (en) * 1990-08-27 1992-02-11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grip
US5261665A (en) * 1992-02-11 1993-11-16 Robert A. Paley, Inc. Golf club grip formed of a plurality of material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5248141A (en) * 1992-05-08 1993-09-28 Kelly David F Grip equalizing golf club grip
JPH0615019A (ja) * 1992-06-30 1994-01-25 Maruman Golf Corp ゴルフクラブのグリップ
JPH08201988A (ja) * 1995-01-24 1996-08-09 Fuji Photo Film Co Ltd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US5637043A (en) * 1996-01-29 1997-06-10 Ram Golf Corporation Golf club grip
US6610382B1 (en) * 1998-10-05 2003-08-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riction control article for wet and dry applications
US6663500B2 (en) * 2000-02-04 2003-12-16 Ben Huang All-weather composite grip for golf clubs
TW535627U (en) * 2002-05-15 2003-06-01 Hung-Sung Ju Handle of golf club made of composite material and with sewed anti-slippage surface layer
US9440128B2 (en) * 2002-06-11 2016-09-13 Ben Huang Method of making a grip
US7485050B2 (en) * 2005-10-12 2009-02-03 Grip Surface Technologies, Inc. Micropattern grip surface
JP2011030938A (ja) * 2009-08-05 2011-02-17 Serizawa Rubber Kogyo:Kk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
JP2012170532A (ja) 2011-02-18 2012-09-10 Dunlop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及びボールの挙動の計測方法
JP2013066630A (ja) * 2011-09-26 2013-04-18 Dainippon Printing Co Ltd グリップ表面の滑り止め構造、及びグリップ
US20140066222A1 (en) * 2012-08-29 2014-03-06 Pyng-Jyh Huang Grip with Torsional Stiffness
US20140162804A1 (en) * 2012-12-06 2014-06-12 Kenneth Wragg Putter with an integral grip
JP6041971B1 (ja) * 2015-12-25 2016-12-14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スポーツ用品用グリップおよびゴルフクラブ
US20190118367A1 (en) * 2017-10-23 2019-04-25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Lightweight grip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01076B1 (en) * 1991-08-28 1996-10-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lip control sheeting and articles covered with same
JP2005508769A (ja) 2001-11-09 2005-04-0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改良されたミクロ複製した表面
US20090143163A1 (en) * 2007-12-04 2009-06-04 Sri Sports Limited Golf club and grip for golf club
JP4606491B2 (ja) * 2008-12-09 2011-01-05 株式会社Iomic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
JP2016214704A (ja) 2015-05-25 2016-12-22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04824A4 (en) 2022-03-02
JP2020018386A (ja) 2020-02-06
WO2020026625A1 (ja) 2020-02-06
US20210268350A1 (en) 2021-09-02
JP6498344B1 (ja) 2019-04-10
EP3804824A1 (en) 2021-04-14
KR102691106B1 (ko) 2024-08-01
CN210728601U (zh) 2020-06-12
WO2020026625A9 (ja) 2021-01-14
US11771967B2 (en) 2023-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7156B2 (en) Golf club grip and golf club
JP6041846B2 (ja) スポーツ用品用グリップおよびゴルフクラブ
US10792545B2 (en) Golf club grip and golf club
JP6501829B2 (ja)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およびゴルフクラブ
JP6029640B2 (ja)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およびゴルフクラブ
JP6790818B2 (ja)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およびゴルフクラブ
JP6456243B2 (ja)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およびゴルフクラブ
JP2017113388A (ja) スポーツ用品用グリップおよびゴルフクラブ
KR102691106B1 (ko) 골프 클럽용 그립 및 골프 클럽
US10065092B2 (en) Golf club grip, golf club and method for producing golf club grip
US9586113B2 (en) Golf club grip and golf club
JP2019084454A (ja)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およびゴルフクラブ
JP7331413B2 (ja)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およびゴルフクラブ
JP6852300B2 (ja)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およびゴルフクラブ
US11865419B2 (en) Golf club grip and golf club
JP4294607B2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WO2013054721A1 (ja) 手袋
JP2023160525A (ja)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およびゴルフクラブ
US20220389208A1 (en) Golf club grip and golf clu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