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627A - 레조르시놀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을 포함하는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레조르시놀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을 포함하는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627A
KR20210033627A KR1020190115134A KR20190115134A KR20210033627A KR 20210033627 A KR20210033627 A KR 20210033627A KR 1020190115134 A KR1020190115134 A KR 1020190115134A KR 20190115134 A KR20190115134 A KR 20190115134A KR 20210033627 A KR20210033627 A KR 20210033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rcinol
skin
composition
air pollutants
dermatit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성
이승은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15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3627A/ko
Priority to CN202010974128.3A priority patent/CN112516116A/zh
Publication of KR20210033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6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8Antiseborrhe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Abstract

본 발명은 레조르시놀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을 포함하는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레조르시놀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은 벤조(α)피렌 및 미세먼지 등과 같은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XRE(Xenobiotic Response Element) 발현, CYP1A1(Cytochrome P450, family 1, subfamily A, polypeptide 1)의 단백질 또는 mRNA 발현, 또는 AhR(Aryl hydrocarbon receptor)의 핵 내로의 이동 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피부 자극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레조르시놀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은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여러 가지 피부 질환에 대한 치료제 또는 개선제 개발 분야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레조르시놀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을 포함하는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skin disease induced by air pollutants comprising resorcinol or phenylethyl resorcinol}
본 발명은 레조르시놀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을 포함하는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피하조직, 진피, 표피 등 3개 층으로 이루어진 인체에서 가장 큰 기관으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인자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급속한 산업화, 자동자 배출가스, 중국으로부터 이동해온 공기덩어리에 의한 중금속 가루 및 미세먼지 등 외부 오염물이 사람들의 피부를 오염시키며, 피부 노화 및 트러블 발생의 큰 원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피부에는 미세먼지 등 외부의 생체이물이 침투하면 이를 방어하기 위한 대사 메커니즘이 있는데, 구체적으로 피부각질세포의 AHR(Aryl Hydrocarbon Receptor)이라는 수용체를 통해 XRE(Xenobiotic Response Element)라는 생체이물대사인자를 활성화시켜 이런 생체이물들로부터 피부를 방어하기 위한 방어인자들을 조절한다. 그러나, 요즘처럼 대기의 오염수준이 심각한 상황에서는 대기오염물질에 대항해 피부를 방어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XRE가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염증반응, 수분손실 등의 피부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최근에는 산업발달 및 생활패턴의 변화로 인한 외인성 피부 질환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 생활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자동차, 공장으로부터 내뿜어지는 매연이 많아지고 있다. 자동차 배기가스 또는 담배 연기 등 불완전 연소로 인해 생성되는 벤조(α)피렌(benzo(α)pyrene, BaP)은 다환방향족탄화수소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에 속하는 물질로, 대표적인 환경 스트레스 유도물질이며, 에폭시드로의 대사전환과 DNA와의 반응을 통해 세포 손상을 일으키고, 인체에서 암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매연은 가스형태뿐 아니라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등 분진형태로도 도시에 존재하는데, DPM(Diesel Particulate Matter)은 호흡기뿐 아니라, 피부에도 안 좋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우리나라의 위치적인 요인으로 중국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 물질의 이동으로 인한 황사와 미세먼지 등의 피해에 직면하고 그 심각성도 높아지고 있다.
미세먼지(PM 10)는 대기 중에 떠다니는 직경 10㎛ 이하의 작은 대기오염 물질로, 초미세먼지(PM 2.5)는 지름이 2.5 μm 이하로 미세먼지의 4분의 1 크기다. 미세먼지는 피부 모공의 약 20분의 1 크기에 불과하므로 피부 깊숙이 침투하기 쉬우며 제거도 쉽지 않다. 미세먼지는 피부에서 화학 자극과 알레르기 반응을 야기하여 피부 각질층을 손상시켜 피부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며, 여드름 유발, 피부 건조 및 색소 침착 등의 피부 노화 현상을 가속화한다.
이와 같이 미세먼지와 같은 외부자극 의해 피부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화장품 업계는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다수의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외부자극에 의한 피부 부작용을 효과적으로 완화 및 차단할 수 있는 소재가 부족한 상황이라, 신규의 고안전성과 고성능을 보유한 소재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레조르시놀(Resorcinol, m-dihydroxybenzene)은 아르간(Argan) 오일의 주성분으로 항암, 항균 및 미백효능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페닐에틸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 4-(1-phenylethyl)1,3-benzenediol)도 미백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자극 억제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잘 알려진 바가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81327호
본 발명자들은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손상을 개선하는 효능이 우수하면서도 안정성이 높고, 피부 부작용이 없는 단일 물질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레조르시놀(Resorcinol, m-dihydroxybenzene) 및 페닐에틸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 4-(1-phenylethyl)1,3-benzenediol)이 각각 벤조(α)피렌 및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자극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는 바,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레조르시놀(Resorcinol)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조르시놀(Resorcinol)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Ⅰ로 표시되는 레조르시놀(Resorcinol) 또는 화학식 Ⅱ로 표시되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Ⅰ]
Figure pat00001
[화학식 Ⅱ]
Figure pat00002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Ⅰ로 표시되는 레조르시놀(Resorcinol) 또는 화학식 Ⅱ로 표시되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자극 관련 유전자 또는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XRE(Xenobiotic Response Element) 발현, CYP1A1(Cytochrome P450, family 1, subfamily A, polypeptide 1)의 단백질 또는 mRNA 발현, 또는 AhR(Aryl hydrocarbon receptor)의 핵 내로의 이동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공기오염물질은 벤조(α)피렌(Benzo(α)pyrene) 또는 미세먼지(Urban Particulate Matter, UP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피부 질환은 여드름, 아토피, 피부종기, 부스럼, 두드러기, 건선, 지루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피부 변색증, 세균성 피부염, 진균성 피부염, 습진, 부종, 돌발성 발진, 모낭염, 모공성 각화증, 사마귀, 광선각화증, 비립종, 피부 건조증, 한선염, 켈로이드성 질환, 알레르기성 피부염, 피부 농양, 및 신경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레조르시놀은 0.5 mM 내지 3 mM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은 1 uM 내지 100 uM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레조르시놀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01중량% 내지 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조르시놀(Resorcinol)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레조르시놀(Resorcinol)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레조르시놀(Resorcinol)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의, 피부 질환 치료에 이용되는 약제를 생산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조르시놀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은 벤조(α)피렌 및 미세먼지 등과 같은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XRE(Xenobiotic Response Element) 발현, CYP1A1(Cytochrome P450, family 1, subfamily A, polypeptide 1)의 단백질 또는 mRNA 발현, 또는 AhR(Aryl hydrocarbon receptor)의 핵 내로의 이동 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피부 자극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는 바,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여러 가지 피부 질환에 대한 치료제 또는 개선제 개발 분야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벤조(α)피렌에 의해 유도되는 XRE luciferase reporter 활성에 대한 레조르시놀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벤조(α)피렌에 의해 유도되는 CYP1A1 단백질 발현에 대한 레조르시놀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벤조(α)피렌에 의해 유도되는 CYP1A1 mRNA 발현에 대한 레조르시놀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벤조(α)피렌에 의해 유도되는 AhR 단백질의 핵 내로의 이동에 대한 레조르시놀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벤조(α)피렌에 의해 유도되는 XRE luciferase reporter 활성에 대한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벤조(α)피렌에 의해 유도되는 CYP1A1 단백질 발현에 대한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미세먼지에 의해 유도되는 XRE luciferase reporter 활성에 대한 레조르시놀 및 페닐에틸레조르시놀 각각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Ⅰ로 표시되는 레조르시놀(Resorcinol) 또는 화학식 Ⅱ로 표시되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Ⅰ]
Figure pat00003
[화학식 Ⅱ]
Figure pat00004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자극 관련 유전자 또는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XRE(Xenobiotic Response Element) 발현, CYP1A1(Cytochrome P450, family 1, subfamily A, polypeptide 1)의 단백질 또는 mRNA 발현, 또는 AhR(Aryl hydrocarbon receptor)의 핵 내로의 이동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자극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XRE(Xenobiotic Response Element)"는 진핵 세포에서 외인성 환경오염물질의 신호 전달을 담당하는 전사 인자 aryl hydrocarbon receptor (AhR)에 대한 유도성 표적 유전자의 상류에서 핵심 뉴클레오티드 서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AhR(Aryl hydrocarbon receptor)"은 벤조피렌 (benzoapyrene) 및 2,3,7,8-테트라클로로디벤조디옥신 (tetrachlordibenzodioxin) (TCDD)과 같은 생체 이물질 (xenobiotics)에 의해 활성화되는, 염기성 나선-루프-나선 (basic helix-loop-helix)(bHLH) Per-Arnt-Sim (PAS) 과(family)의 전사 인자로서, 상기 생체 이물질 및 이를 대사하는 cytochrome P450과 같은 효소의 조절제로서 주로 기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3,7,8-테트라클로로디벤조디옥신 (tetrachlordibenzodioxin)(TCDD)과 같은 화학 물질에 리간드가 결합되면, 샤페론은 해리되어 AhR이 핵으로 이동하고 ARNT(AhR 핵 전이체)와 이종 이합체(heterodimer)를 형성하여 유전자 전사의 변화를 초래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CYP1A1(Cytochrome P450, family 1, subfamily A, polypeptide 1)"은 인간에서 CYP1A1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로, cytochrome P450 슈퍼패밀리 효소 중 하나이다. CYP1A1은 생체 이물질(xenobiotics) 및 약물 대사에 관여하며, 플루오로퀴놀론(fluoroquinolones) 및 마크로라이드(macrolides)에 의해 억제되고 방향족 탄화수소에 의해 유도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발현(expression)"은 폴리펩티드(polypeptide)가 구조 유전자로부터 생산되는 과정을 지칭한다. 상기 과정은 유전자의 mRNA로의 전사, 및 이러한 mRNA의 폴리펩티드(들)로의 해독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mRNA 발현량을 측정하기 위한 분석 방법으로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경쟁적 역전사 중합효소반응(Competitive RTPCR),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CR, quantitative PCR),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RNase 보호 분석법(RPA; RNase protection assay), 노던 블롯팅(Northern blotting), 또는 DNA 칩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CR, quantitative PCR)을 이용하여 mRNA 발현량을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하기 위한 분석 방법으로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웨스턴블롯팅(Western blotting), 엘라이자(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방사선면역분석(RIA: Radioimmunoassay), 방사 면역 확산법(radioimmunodiffusion), 오우크테로니(Ouchterlony) 면역확산법, 로케트(rocket) 면역전기영동, 조직면역 염색, 면역침전 분석법(Immunoprecipitation Assay), 보체 고정 분석법(Complement Fixation Assay), 유세포분석(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er, FACS), 또는 단백질 칩(protein chip) 등이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스턴블롯팅(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공기오염"은 인간활동 결과 만들어진 물질이나 에너지가 대기 중에 배출되어, 인류의 건강과 자원, 생태계, 그리고 지구환경에 피해를 주는 것을 말하며, "공기오염물질"은 이러한 공기오염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기오염물질은 벤조(α)피렌(Benzo(α)pyrene) 또는 미세먼지(Urban Particulate Matter, UP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벤조(α)피렌(Benzo(α)pyrene, C20H12)"은 5개의 벤젠 고리가 결합한 방향족 탄화수소의 하나로, 300℃ 내지 600℃ 사이에서 불완전 연소를 통해 생성된 물질로 콜타르나 공장의 물질을 태운 후 연기를 내보내는 굴뚝, 자동차의 배기가스(특히 디젤엔진), 담배 연기, 탄 음식의 일부 등에서 나오는 물질이다.
상기 "미세먼지(Urban Particulate Matter, UPM)"는 입자크기 10μm 이하인 먼지를 통칭하고 PM10(Particulate Matter 10)으로 약칭하며, 2.5 μm 이하의 초미세먼지인 PM2.5(Particulate Matter 2.5)로 구분된다. 주로 화석연료를 연소할 때 발생하며, 석탄의존도가 70%인 중국발 미세먼지가 상당부분을 차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질환은 벤조(α)피렌(Benzo(α)pyrene) 또는 미세먼지(Urban Particulate Matter, UPM)에 의해 유발되는 것일 수 있으며, 여드름, 아토피, 피부종기, 부스럼, 두드러기, 건선, 지루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피부 변색증, 세균성 피부염, 진균성 피부염, 습진, 부종, 돌발성 발진, 모낭염, 모공성 각화증, 사마귀, 광선각화증, 비립종, 피부 건조증, 한선염, 켈로이드성 질환, 알레르기성 피부염, 피부 농양, 및 신경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피부 질환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피부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은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목적으로 제조된 것을 의미하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등의 피부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레조르시놀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레조르시놀의 농도는 효과 및 세포 독성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 0.5 mM 내지 3 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3 mM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레조르시놀의 농도가 3 mM일 경우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자극 억제 효과가 가장 높을 수 있으나, 상기 농도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의 농도는 효과 및 독성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 1 uM 내지 100 u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uM 내지 100 uM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의 농도가 100 uM일 경우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자극 억제 효과가 가장 높을 수 있으나, 상기 농도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레조르시놀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01중량% 내지 15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자극 억제 효과가 매우 미비하며,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비하고 제형상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Ⅰ로 표시되는 레조르시놀(Resorcinol) 또는 화학식 Ⅱ로 표시되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질환 개선을 위해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레조르시놀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조르시놀(Resorcinol)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mouse),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레조르시놀(Resorcinol)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레조르시놀(Resorcinol)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의, 피부 질환 치료에 이용되는 약제를 생산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HaCaT 세포에 벤조(α)피렌을 처리한 후 레조르시놀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 처리에 따른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 레조르시놀은 약 0.5 mM ~ 3 mM, 페닐레틸레조르시놀은 약 1 uM ~ 100 uM 처리농도에서 각각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레조르시놀 처리에 의해 피부 자극 관련 인자들의 활성 및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 벤조(α)피렌에 의해 유도되는 XRE(Xenobiotic Response Element) 발현, CYP1A1(Cytochrome P450, family 1, subfamily A, polypeptide 1)의 단백질 및 mRNA 발현, 및 AhR(Aryl hydrocarbon receptor)의 핵 내로의 이동이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 처리에 의한 피부 자극 관련 인자들의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 벤조(α)피렌에 의해 유도되는 XRE(Xenobiotic Response Element) 발현 및 CYP1A1(Cytochrome P450, family 1, subfamily A, polypeptide 1)의 단백질 및 mRNA 발현이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3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XRE-reporter plasmid를 형질도입 시켰을 때 미세먼지에 의해 증가된 Xenobiotics Response Element (XRE)-luciferase reporter의 활성에 대해 레조르시놀 및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의 처리에 따른 효과를 확인한 결과, 레조르시놀 및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을 각각 처리함에 따라 XRE-luciferase reporter의 활성이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 참조).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레조르시놀(Resorcinol)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 ( Phenylethyl resorcinol)의 세포독성 확인
Human immortalized keratinocyte (HaCaT) 세포를 10%의 FBS(fetal bovine serum)가 함유된 DMEM 배지를 이용한 6-well plate에 각 well당 1×105 개로 접종한 후, 5% CO2 및 37℃ 조건에서 세포가 well plate 바닥에 약 80% 이상 부착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 후, HaCaT 세포에 벤조(α)피렌(Benzo(α)pyrene) [구입: Sigma-Aldrich, ≥96% (HPLC)]을 15μM로 처리하고, 1시간 뒤 레조르시놀(Resorcinol) [구입: Sigma-Aldrich, ACS reagent]을 농도 별(0.5 mM, 1 mM, 3 mM)로 각각 후처리 한 후 5% CO2, 37℃ 조건으로 약 1일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CCK-8 (Cell Counting Kit-8) 검정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하였으며, 이의 비교를 위해 무처리군(control)의 세포 생존율을 함께 측정하였다.
상기 CCK-8은 수용성 테트라졸륨 염인 WST-8 [2-(2-methoxy-4-nitrophenyl)-3-(4-nitrophenyl)-5-(2,4-disulfophenyl)-2H-tetrazolium]을 이용한 방법으로 무색의 WST-8은 세포 안에서 탈수소효소에 의해 환원되며 포르마잔 (WST-8 formazan)을 생성하여 황색을 띄게 된다. 탈수소효소는 살아있는 세포에서만 생성되기 때문에, 생성된 포르마잔의 정도는 살아있는 세포의 수와 비례한다.
CCK-8 검정 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조르시놀은 약 0.5 mM ~ 3 mM 처리농도, 페닐레틸레조르시놀은 약 1 uM ~ 100 uM 처리농도에서 각각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종류 세포생존률(%)
레조르시놀 0 mM 100 ± 0.94
0.5 mM 99.8 ± 1.04
1 mM 98.8 ± 0.78
3 mM 98.2 ± 0.88
페닐에틸레조르시놀 0 uM 100 ± 0.67
1 uM 99.7 ± 0.44
50 uM 98.4 ± 0.82
100 uM 97.8 ± 1.34
실시예 2. 레조르시놀 처리에 의한 피부 자극 관련 유전자 발현량 확인
2-1. Xenobiotics Response Element ( XRE )- luciferase reporter 활성 억제 확인
Human immortalized keratinocyte (HaCaT) 세포를 10%의 FBS(fetal bovine serum)가 함유된 DMEM 배지를 이용한 6-well plate에 각 well당 1×105 개로 접종한 후, 5% CO2 및 37℃ 조건에서 세포가 well plate 바닥에 약 50% 정도 부착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20% 제거하고, HaCaT 세포에 1μg의 β-galactosidase vector와 XRE promoter를 luciferase vecotor에 클로닝하여 제작한 1μg의 XRE-reporter plasmid를 5μg PEI(Polyethylenimine)를 이용해 형질도입 시킨 후 5% CO2 및 37℃ 조건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새로운 배지로 교체해준 후 5% CO2 및 37℃ 조건에서 오버나잇(overnight) 배양하였으며, 배양 후 HaCaT 세포에 벤조(α)피렌(Benzo(α)pyrene) [구입: Sigma-Aldrich, ≥96% (HPLC)]을 15μM로 처리하고, 1시간 뒤 레조르시놀(Resorcinol) [구입: Sigma-Aldrich, ACS reagent]을 농도 별(0.5 mM, 1 mM, 3 mM)로 각각 후처리 한 후 5% CO2 및 37℃ 조건으로 약 1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배지를 제거한 세포를 PBS(phosphated buffer saline)로 세척하고, 스크레이퍼를 이용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이어서, 회수된 세포를 1X Reporter lysis buffer를 사용하여 -75℃에서 약 20분 동안 인큐베이션을 통해 동결시켜 용해시킨 다음, 실온에서 융해시킨 후 상층액을 얻었다. 이후 β-galactosidase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상층액을 37℃에서 Assay buffer와 약 10분 이상 반응시켰다. 1M의 탄산나트륨용액을 이용해서 반응을 멈춘 다음 microplate reader로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나서 상층액을 96-well plate에서 Luciferase assay substrate 및 Luciferase assay buffer와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즉시 microplate reader로 발광을 측정하였으며, luciferase의 활성은 β-galactosidase와의 비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조르시놀의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벤조(α)피렌에 의한 XRE reporter활성이 억제됨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레조르시놀 3 mM 농도에서의 XRE reporter활성 억제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로부터, 레조르시놀이 벤조(α)피렌의 효과를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2-2. CYP1A1의 발현 억제 확인
Human immortalized keratinocyte (HaCaT) 세포를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조건으로 6-well plate에 접종하였으며, 세포가 well plate 바닥에 약 80% 정도 부착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 후, HaCaT 세포에 벤조(α)피렌(Benzo(α)pyrene) [구입: Sigma-Aldrich, ≥96% (HPLC)]을 15μM로 처리하고, 1시간 뒤 레조르시놀(Resorcinol) [구입: Sigma-Aldrich, ACS reagent]을 3 mM로 후처리 한 후 5% CO2 및 37℃ 조건으로 약 1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배지를 제거한 세포를 PBS(phosphated buffer saline)로 세척하고, 스크레이퍼를 이용하여 세포를 회수하였으며, 회수한 세포를 이용하여 Western blot분석과 real-time PCR 분석을 진행하였다.
Western blot분석을 위해서, RIPA(Radioimmunoprecipitation assay) lysis buffer를 이용하여 회수된 세포를 용해시켜 단백질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단백질을 8% ~ 10% 황산 도데실 나트륨 폴리 아크릴 아마이드 겔 전기영동법을 이용하여 크기 별로 분리한 다음, 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 멤브레인으로 이동시켰다. 이 후, 상기 멤브레인을 5% 탈지유를 이용하여 1시간 블로킹하고, CYP1A1에 대한 1차 항체를 4℃에서 오버나잇 동안 인큐베이션 하였다. 상기 멤브레인을 Tween20이 포함된 TBS(tris-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다음 2차 항체를 실온에서 1시간 인큐베이션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수득된 멤브레인의 단백질을 ECL(Enchanced chemiluminescence)으로 검출하였다.
또한, Real-time PCR분석을 위해서, total RNA를 분리한 후, cDNA를 합성하여, real-time분석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Total RNA 분리를 위해, TRIzol reagent (Invitrogen Carlsbad, CA, USA)를 사용하였고, cDNA합성을 위해, Moloney murine leukemia virus reverse transcriptase and random primers (Invitrogen Carlsbad, CA, USA)를 사용하였다. Real-time PCR분석을 위해, ABI7900HT Real-Time PCR Instrument (Applied Biosystems, Waltham, MA, USA)와 미리 제작된 Taqman probe (Applied Biosystems) CYP1A1 (ID: Hs01054796_g1)를 사용하였다. PCR은 50℃에서 2분, 60℃에서 30분, 95℃에서 5분 조건으로 1 cycle진행한 후, 45 cycles (94℃에서 20초, 60℃에서 1분)을 진행하였다. 그런 다음 ABI Sequence Detector Software version 2.0 (Applied Biosystems)을 사용하여 mRNA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b 및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벤조(α)피렌을 처리할 경우 피부 자극에 관여하는 CYP450(Cytochrome P450) 단백질인 CYP1A1(Cytochrome P450, family 1, subfamily A, polypeptide 1) 단백질의 발현과 mRNA발현이 증가하는데, 레조르시놀 처리에 의해 각각 증가했던 CYP1A1 단백질(도 1b) 및 유전자(도 1c)의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에 따라, 레조르시놀은 피부 자극과 관련된 XRE 프로모터의 활성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CYP1A1의 발현을 억제하여, 벤조(α)피렌에 의한 피부 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3. Aryl hydrocarbon receptor ( AhR ) 단백질의 핵 이동 억제 확인
상기 실시예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HaCaT 세포를 배양하고 벤조(α)피렌(Benzo(α)pyrene) 및 레조르시놀(Resorcinol) 처리한 후, 회수한 세포를 이용하여 cytosolic fraction과 nuclear fraction을 분리하고, AhR에 대한 Western blot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벤조(α)피렌에 의해 AhR 단백질이 핵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효과가 레조르시놀 처리에 의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는, 레조르시놀이 AhR 단백질의 핵 내로의 이동을 차단함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피부 자극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페닐에틸레조르시놀 처리에 의한 피부 자극 관련 유전자 발현량 확인
3-1. Xenobiotics Response Element ( XRE )- luciferase reporter 활성 억제 확인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실험 방법으로, 레조르시놀 대신 페닐에틸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 [구입: Sigma-Aldrich, ACS reagent]을 농도 별(1 uM, 50 uM, 100 uM)로 각각 처리한 후, XRE reporter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의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벤조(α)피렌에 의한 XRE reporter활성이 억제됨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페닐에틸레조르시놀 100 uM 농도에서의 XRE reporter활성 억제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로부터,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이 벤조(α)피렌의 효과를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3-2. CYP1A1의 발현 억제 확인
상기 실시예 2-2와 동일한 실험 방법으로, 레조르시놀 대신 페닐에틸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 [구입: Sigma-Aldrich, ACS reagent]을 100 uM 처리한 후, CYP1A1에 대해 Western blot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벤조(α)피렌을 처리할 경우 피부 자극에 관여하는 CYP1A1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는데, 페닐에틸레조르시놀 처리에 의해 증가했던 CYP1A1 단백질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에 따라,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은 피부 자극과 관련된 XRE 프로모터의 활성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CYP1A1의 발현을 억제하여, 벤조(α)피렌에 의한 피부 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미세먼지에 의해 증가된 Xenobiotics Response Element ( XRE )-luciferase reporter의 활성에 대한 레조르시놀 및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의 억제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실험 방법으로 XRE reporter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이 때 벤조(α)피렌 대신 미세먼지[Urban Particulate Matter (UPM, the standard reference material, 1648a), 구입처: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 (Gaithersburg, MD, USA)]를 50 μg/ml로 처리하고, 1시간 뒤 3 mM의 레조르시놀 및 100 uM의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을 각각 후처리 하였다.
XRE reporter 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세먼지(UPM)에 의해 증가된 XRE reporter 활성이 레조르시놀 및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을 각각 처리함에 따라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레조르시놀 및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이 각각 미세먼지의 효과를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16)

  1. 하기 화학식 Ⅰ로 표시되는 레조르시놀(Resorcinol) 또는 화학식 Ⅱ로 표시되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Ⅰ]
    Figure pat00005

    [화학식 Ⅱ]
    Figure pat00006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자극 관련 유전자 또는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XRE(Xenobiotic Response Element) 발현, CYP1A1(Cytochrome P450, family 1, subfamily A, polypeptide 1)의 단백질 또는 mRNA 발현, 또는 AhR(Aryl hydrocarbon receptor)의 핵 내로의 이동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오염물질은 벤조(α)피렌(Benzo(α)pyrene) 또는 미세먼지(Urban Particulate Matter, U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질환은 여드름, 아토피, 피부종기, 부스럼, 두드러기, 건선, 지루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피부 변색증, 세균성 피부염, 진균성 피부염, 습진, 부종, 돌발성 발진, 모낭염, 모공성 각화증, 사마귀, 광선각화증, 비립종, 피부 건조증, 한선염, 켈로이드성 질환, 알레르기성 피부염, 피부 농양, 및 신경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조르시놀은 0.5 mM 내지 3 mM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은 1 uM 내지 100 uM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조르시놀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01중량%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9. 하기 화학식 Ⅰ로 표시되는 레조르시놀(Resorcinol) 또는 화학식 Ⅱ로 표시되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Phenylethyl resorcin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Ⅰ]
    Figure pat00007

    [화학식 Ⅱ]
    Figure pat00008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자극 관련 유전자 또는 단백질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XRE(Xenobiotic Response Element) 발현, CYP1A1(Cytochrome P450, family 1, subfamily A, polypeptide 1)의 단백질 또는 mRNA 발현, 또는 AhR(Aryl hydrocarbon receptor)의 핵 내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오염물질은 벤조(α)피렌(Benzo(α)pyrene) 또는 미세먼지(Urban Particulate Matter, U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질환은 여드름, 아토피, 피부종기, 부스럼, 두드러기, 건선, 지루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피부 변색증, 세균성 피부염, 진균성 피부염, 습진, 부종, 돌발성 발진, 모낭염, 모공성 각화증, 사마귀, 광선각화증, 비립종, 피부 건조증, 한선염, 켈로이드성 질환, 알레르기성 피부염, 피부 농양, 및 신경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조르시놀은 0.5 mM 내지 3 mM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은 1 uM 내지 100 uM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조르시놀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01중량% 내지 15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15134A 2019-09-19 2019-09-19 레조르시놀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을 포함하는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1003362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134A KR20210033627A (ko) 2019-09-19 2019-09-19 레조르시놀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을 포함하는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202010974128.3A CN112516116A (zh) 2019-09-19 2020-09-16 含有间苯二酚或苯乙基间苯二酚用于预防、治疗或改善由空气污染物诱发的皮肤病的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134A KR20210033627A (ko) 2019-09-19 2019-09-19 레조르시놀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을 포함하는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627A true KR20210033627A (ko) 2021-03-29

Family

ID=74978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134A KR20210033627A (ko) 2019-09-19 2019-09-19 레조르시놀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을 포함하는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33627A (ko)
CN (1) CN1125161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78864A (zh) * 2022-12-12 2023-03-14 广州市美夫兰化妆品有限公司 一种祛斑净白抗皱冻干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7730B (zh) * 2021-05-28 2022-07-08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桧木醇与叔丁基对苯二酚的共晶及其制备方法和用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327A (ko) 2017-01-06 2018-07-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사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31661D1 (ko) * 2002-04-15 2009-04-30 Tetsuo Santo
ES2882049T3 (es) * 2016-05-31 2021-12-01 Oreal Composiciones antiacné y procedimientos de uso
EP3478251A1 (en) * 2016-06-30 2019-05-08 Symrise AG Medicament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resorcinol derivatives
CA3060415A1 (en) * 2017-04-21 2018-10-25 Phi Therapeutics, Inc. Compositions comprising propionibacterium acnes bacteriophages for treating acne
FR3073518A1 (fr) * 2017-11-13 2019-05-17 Pierre Fabre Dermo-Cosmetique Utilisation du 4-(1-phenylethyl)benzene-1,3-diol dans le traitement des dermatoses inflammatoires
CN108379156A (zh) * 2018-04-20 2018-08-10 安徽怡人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美白祛色液及其制备方法
CN108434057B (zh) * 2018-05-29 2020-11-10 广州美尔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温和祛斑组合物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327A (ko) 2017-01-06 2018-07-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사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78864A (zh) * 2022-12-12 2023-03-14 广州市美夫兰化妆品有限公司 一种祛斑净白抗皱冻干粉
CN115778864B (zh) * 2022-12-12 2024-04-19 广州市美夫兰化妆品有限公司 一种祛斑净白抗皱冻干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516116A (zh) 202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397B1 (ko)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민들레 추출물 또는이로부터 분리된 루테올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7970B1 (ko) 발아 새싹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1883B1 (ko) 이소세코타나파솔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33627A (ko) 레조르시놀 또는 페닐에틸레조르시놀을 포함하는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00071402A (ko) 왕지네 유래의 스콜로펜드라신-11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 항진균,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조성물
KR101954773B1 (ko) 낙엽송 부산물로부터 다량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정제 방법 및 이 유효성분을 함유한 조성물
KR102170307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제 조성물
KR101273435B1 (ko) 왕겨초 증류 정제액을 함유하는 항균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335297B1 (ko) 초고압 처리된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EP4079749A1 (en) Peptide inhibiting activity of aryl hydrocarbon receptor and cosmetic composition using same
WO2019027167A1 (ko) 피페로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20090095039A (ko) 소리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알러지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1937A (ko) 항염효과를 갖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8930B1 (ko) 텔로머라아제 활성 증강 기능이 있는 벤토나이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1876B1 (ko) 이소세코타나파솔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3048A (ko) 아롱 부챗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의학적 조성물
JP2010037245A (ja) 代謝活性化に好適な組成物
KR20220059672A (ko) 토멘토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공기오염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87140B1 (ko) 열에 의한 피부 노화 예방용 조성물
KR101834790B1 (ko) 클로로겐산, 미르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594647B1 (ko) 미세조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화장료 조성물
JP2013040121A (ja) ニューロトロフィン受容体結合阻害剤
KR102068521B1 (ko) 테레오그릴루신 2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29699B1 (ko) 피노스트로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20090121950A (ko) 참나도히초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주름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