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297B1 - 초고압 처리된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초고압 처리된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297B1
KR102335297B1 KR1020210051226A KR20210051226A KR102335297B1 KR 102335297 B1 KR102335297 B1 KR 102335297B1 KR 1020210051226 A KR1020210051226 A KR 1020210051226A KR 20210051226 A KR20210051226 A KR 20210051226A KR 102335297 B1 KR102335297 B1 KR 102335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comparative example
cosmetic composition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성
김하연
차소윤
이소헌
신송석
황승필
오영주
강성민
최유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주)360 퍼스펙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주)360 퍼스펙티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Priority to KR1020210051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압 처리된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외부 자극에 의해 피부장벽 기능이 무너지게 되면 피부장벽이 손상되어 피부가 붉어지고, 건조해지면서 염증반응을 일으키게 되는데, 본 발명의 추출물은 이러한 외부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가려움 관련 인자인 TARC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COX-2, IL-8의 억제를 통해 피부의 염증 반응을 진정시켜주며, 피부장벽 기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필라그린과 ABCA-12의 발현 증가로 보다 탄탄한 장벽 형성에 현저한 효과를 줄 수 있다.

Description

초고압 처리된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Ultra-high pressure treated artichoke leaf, camellia leaf and caper fruit complex extract having effect relief itching caused by external stimulation or skin soothing effect}
본 발명은 초고압 처리된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에서부터 순서대로 표피, 진피, 피하 조직의 3개 층으로 크게 구분되며, 체내의 제 기관을 기온 및 습도 변화, 자외선, 기타 물리적, 화학적 외부 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이 있다. 특히, 표피에서는 인체 내부의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 표피는 외부로부터 순서대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구분되며, 각질층의 세포들은 벽돌과 같은 역할을 하고 각질세포 사이의 세포간 지질들은 모르타르와 같은 역할로 작용하여 피부 장벽을 구성한다. 또한, 건강한 사람의 각질세포에는 고농도의 천연보습인자 (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가 존재하여 피부의 수분 보유를 돕는데, 요즘과 같이 환경의 변화나 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 냉/난방의 인위적인 온도 조절, 사회생활에서 발생 되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 오염으로 인한 피부 스트레스, 화장 습관에 따른 잦은 세안 및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푸석거리고 촉촉함을 잃어 생기가 없어 보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피부장벽 강화용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의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자연보습인자는 아미노산과 derivatives로 구성되어 있으며 keratin 사이의 ionic interaction에 의해 각질층의 탄력을 증가시킨다. 이렇듯 피부 내 Hydration을 유지하는 자연보습인자의 전구체 중 하나인 필라그린(Filaggrin, FLG)은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s)가 생성하는 단백질로 피부 장벽의 생성과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자연보습인자로 분해되어 각질층의 수분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필라그린이 mutation 되었을 경우 피부 건조, 가려움증, 아토피 등의 피부 질환을 유발한다는 선행 연구가 밝혀져 있다. 따라서 필라그린의 증가는 피부 보습 인자인 NMF 합성의 증가로 이어져 피부의 수분 손실을 막아주는데 중요한 기여를 하는 인자로 볼 수 있다. 즉, 필라그린은 천연보습인자일 뿐 아니라 피부 장벽 생성과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주요 단백질로서, 필라그린의 증가는 정상적인 피부 장벽을 형성하여 피부 수분 증발을 막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의 기능 중, 특히 피부의 장벽 기능은 주로 피부의 가장 외각에 위치하는 각질층에 의해 나타나게 된다. 각질층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각질층은 corneocyte와 lipid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특히 세라마이드를 포함하고 있는 extracellular lipids는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고 있어 외부 인자가 침입하지 못하게 하고 수분 손실이 쉽게 일어나지 못하게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피부 장벽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ATP-binding cassette sub-family A member 12 (ABCA-12)는 핵심 지질 수송체 (key lipid transporter)로서, Stratum corneum의 intercellular lipid layer를 형성하기 위해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lipid를 수송시키는 수송 단백질이다. 최근 발표에 따르면 ABCA-12 deficiency 모델에서 glucosylceramide를 lamellar granule 내부로 수송시키지 않아 정상적인 표피 분화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보고가 있었다. 즉, ABCA-12는 피부 장벽 형성 및 장벽 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단백질로서 천연보습인자인 필라그린의 발현의 증가와 피부 표피의 lipid barrier를 형성하는데 관여하는 ABCA-12의 발현은 피부 표피의 기능을 유지하고 개선시킴으로써, 피부 장벽 기능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피부장벽 기능이 피부 내외부의 다양한 자극에 의해 손상되면 피부가 건조해지거나 피부 가려움 및 염증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이에 대해 피부를 보호해 주는 기본적인 방법과 피부에 대한 수분공급 및 소양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중요법, 피부염에 대한 치료, 유발인자의 확인 및 제거하는 방법들이 있다.
피부 가려움증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지만, '긁는다(scratch)'는 행위에 의해 가려움이 계속해서 악화되고 재발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피부가 건조할 경우 그 정도가 더욱 심해진다. 이러한 피부에서 면역반응의 유도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TSLP)가 수지상세포를 자극하면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 (TARC)의 생성을 증가시킨다. TARC는 가려움증→긁기→가려움증 악순환 고리를 계속 돌아가게 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의 면역과민반응 상태에서 발현하기 때문에 특히 민감한 피부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을 가진 사람에서 발현이 크게 증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가려움 유도에 크게 기여하는 TARC의 발현을 억제하면 가려움과 동반되는 긁기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개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각질형성세포는 표피세포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성분으로서 각질을 형성하고 외부 자극 요인에 의해 IL-1α, TNF-α, interleukin-6 (IL-6), interleukin-8 (IL-8) 등의 다양한 cytokine 분비를 유도한다. 심한 경우에 다양한 피부 염증반응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질형성세포의 염증반응은 피부의 노화, 아토피성 피부염, 건선등과 같은 피부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피부의 염증반응은 여러 가지 복합적인 유전자들에 의해 조절되며 주요한 유전자로 cyclooxygenase-2 (COX-2)와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s (iNOS)가 알려져 있다. 그 중 COX-2는 강력한 염증 매개체를 생성하는 주요 효소로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 세포성장인자, 암세포촉진인자,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등에 의한 PGE2 생성과 혈관을 확장시켜 열감 및 통증 유발, 건선, 마름버짐, 홍반성 낭창과 같은 염증성 피부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이러한 COX-2에 의해 활성화 된다고 알려진 Interleukin-8 (IL-8)은 외부 자극으로 무너진 피부 장벽에서 분비된다. 최근 논문에 따르면, 정상적인 피부 모델에 IL-8를 처리함에 따라 피부장벽 기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bleomycin hydrolase, NMF 생성 효소의 발현이 감소되었으며, 노화된 세포 수 증가를 유도시킨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 즉, IL-8은 피부의 장벽 기능을 악화시켜 건선, 습진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피부질환을 유발하며, 나아가 전반적인 피부 노화에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염증 주요 마커로써 확인 되었다. 따라서, 외부자극에 의해 유도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COX-2와 IL-8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무너진 피부장벽으로 인해 민감해진 피부나 이후 유발될 수 있는 발진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진정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초고압 처리된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 복합 추출물이 외부자극에 의해 증가된 염증성 사이토카인 COX-2와 IL-8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천연보습인자(필라그린) 생성 및 피부 장벽을 개선시켜 줄 수 있는 ABCA-12의 발현을 증가시켜 가려움증 개선, 항염, 피부 보습 및 장벽 강화에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4444호 (발명의 명칭 : 아티초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출원인 :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등록일 : 2018년04월26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1803호 (발명의 명칭 : 동백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출원인 : 주식회사 베스트솔루션, 등록일 : 2016년10월27일)
본 발명의 목적은 초고압 처리된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외부자극에 의해 증가된 COX-2와 IL-8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외부자극에 의해 나타나는 가려움증과 동반되는 긁기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하는 항염, 진정 효능이 있고, 또한 천연보습인자 (NMF)의 전사체이자 피부장벽을 구성하는 인자 중 하나인 Skin hydration에 중요하게 기여하는 FLG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Lipid barrier 역할을 하는 ABCA-12의 발현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장벽으로 인해 민감해진 피부나 이후 유발될 수 있는 발진을 효과적으로 진정시킬뿐 아니라, 피부 내/외를 촉촉하고 튼튼하게 방어해주는 Moisture barrier 효능이 있는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초고압 처리된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 후 농축하여 농축물을 얻고, 상기 농축물을 물에 현탁 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얻은 각 용매의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는 아티초크 잎 100 중량부 기준 동백나무 잎 4~10 중량부 및 케이퍼 열매 4~10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초고압 처리는 100 ~ 1,000 Mpa, 20 ~ 40℃ 조건 하에, 20~40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피부 세포의 COX-2(cyclooxygenase-2) 또는 IL-8(interleukin-8)의 발현을 감소하는 효능이 있으며, 필라그린(Filaggrin) 또는 ABCA-12(ATP-binding cassette sub-family A member 12)의 발현 증가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 추출물이 갖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효능은 피부 장벽의 개선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물, C1~C4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추출용 원료를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에 첨가하여 1~5일간 20~30℃에서 교반한 후 여과한 여과액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추출용 원료를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에 첨가하여 2~4일간 20~30℃에서 교반한 후 여과한 여과액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추출용 원료를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에 첨가하여 3일간 25℃에서 교반한 후 여과한 여과액 또는 상기 여과액의 농축물일 수 있다. 상기 C1~C4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및 이소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혼합용액은 약 30~80%(v/v) C1~C4 알코올 수용액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용매는 추출용 원료의 2~50배 중량 또는 부피를 첨가할 수 있고 1~5회 반복 가능하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 후 농축하여 농축물을 얻고, 상기 농축물을 물에 현탁 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얻은 각 용매의 분획물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물은 물에 현탁 후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를 순차적으로 가하여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물의 농축물(또는 건조물) 1g 기준 약 1~3L의 물을 가하고, 동일 부피의 헥산을 가하여 분획한 후, 헥산층을 제거하고 남은 물층에 헥산과 동일 부피의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에틸아세테이트의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분획 과정에서 물을 가하고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에서 선택되는 용매를 가하는 각 과정 또한 1~5회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건조하여 분말화할 수 있으며, 동결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통상적인 건조법을 통해 분말화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상법에 따라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방법 등, 식물체 성분의 분리 추출에 이용되는 공지의 방법을 단독 또는 적합하게 조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획 또는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엘에이취-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LH-20 column chromatography), 이온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ion exchange resin chromatography),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실리카겔 진공 액체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vacuum liquid chromatography)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고압 처리된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진정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초고압 처리된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 복합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 진정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 유제품, 스프, 이온음료, 음료수, 알코올 음료, 껌, 차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으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에센스, 로션, 에멀젼, 팩, 핸드크림, 풋크림, 립밤, 립스틱, 아이섀도우, 아이라이너, 아이브로우 펜슬, 블러셔, 하이라이터, 일반화장수, 스킨, 크림, 세럼, 미용비누, 유연화장수, 약용화장수, 전신세정제,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겔, 클렌징 오일, 클렌징 크림, 샴푸, 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로션, 클렌징 티슈 및 클렌징 워터에서 선택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타이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료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L-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타이드로서는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타이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통상의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도 있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중량%로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초고압 처리된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외부 자극에 의해 피부장벽 기능이 무너지게 되면 피부장벽이 손상되어 피부가 붉어지고, 건조해지면서 염증반응을 일으키게 되는데, 본 발명의 추출물은 이러한 외부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가려움 관련 인자인 TARC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COX-2, IL-8의 억제를 통해 피부의 염증 반응을 진정시켜주며, 피부장벽 기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필라그린과 ABCA-12의 발현 증가로 보다 탄탄한 장벽 형성에 현저한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조된 각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조된 각 추출물의 TARC mRNA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조된 각 추출물의 COX-2 mRNA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조된 각 추출물의 IL-8 mRNA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조된 각 추출물의 필라그린(FLG) mRNA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서 제조된 각 추출물의 ABCA-12 mRNA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초고압 처리된 복합 추출물의 제조 i>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를 100g : 7g : 7g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500 Mpa, 30℃ 조건 하에, 60분 동안 초고압 처리를 한 후, 초고압 처리된 원료에 10배 중량의 50%(v/v) 에탄올 수용액을 25℃에서 3일간 동안 처리하고 액상만을 수거하여 복합 추출물을 획득한다.
다음, 0.1 ~ 10 μm 메시크기를 가진 여과기로 상기 복합 추출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였다. 수득한 감압농축물 약 1g 기준으로 할 때, 약 2L의 물을 가하고 동일 부피의 헥산을 가한 후 분획하였다. 이 후 헥산층을 제거해내고, 남아있는 물층에 헥산과 동일 부피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추가하여 재분획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수거하였다.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층의 분획물을 감압농축하에 농축하고, 40%(v/v) 1,3-Butylene 수용액에 녹여 2%(w/w) 농도의 초고압 처리된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각 실험예의 원료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초고압 처리된 복합 추출물의 제조 ii>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를 100g : 4g : 10g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초고압 처리된 복합 추출물의 제조 iii>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를 100g : 10g : 4g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초고압 처리된 복합 추출물의 제조 iv>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추출물을 제조하되 초고압 처리만 1000 Mpa로 수행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초고압 처리된 복합 추출물의 제조 v>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추출물을 제조하되 초고압 처리만 100 Mpa로 수행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초고압 처리하지 않은 복합 추출물의 제조>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추출물을 제조하되 초고압 처리단계만 생략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아티초크 잎 추출물의 제조>
아티초크 잎만을 원료로 이용하여 비교예 1의 방법으로 초고압 처리하지 않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동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
동백나무 잎만을 원료로 이용하여 비교예 1의 방법으로 초고압 처리하지 않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케이퍼 열매 추출물의 제조>
케이퍼 열매만을 원료로 이용하여 비교예 1의 방법으로 초고압 처리하지 않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혼합중량비 또는 원료 혼합 구성이 다른 초고압처리 추출물의 제조>
비교예 5-1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를 38g : 38g : 38g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를 원료로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2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를 14g : 50g : 50g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를 원료로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3
아티초크 잎과 케이퍼 열매의 100g : 14g 중량비 혼합물을 원료로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4
동백나무 잎과 케이퍼 열매의 57g : 57g 중량비 혼합물을 원료로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5
아티초크 잎과 동백나무 잎의 100g : 14g 중량비 혼합물을 원료로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6
아티초크 잎만을 원료로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7
동백나무 잎만을 원료로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8
케이퍼 열매만을 원료로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되, 압력 조건만 1500 Mpa로 본 발명의 조건에서 벗어나게 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1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되, 압력 조건만 80 Mpa로 본 발명의 조건에서 벗어나게 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5, 비교예 1 내지 5에 해당하는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각질형성세포(HaCaT)에서 MTT Assay를 통해 독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 때 각 추출물은 40%(v/v) 1,3-Butylene 수용액에 녹여 2%(w/w)로 만든 것을 총 100 중량%로 하여 이를 각각 0.5 중량%, 1.0 중량%, 2.0 중량%로 사용하였다(이후의 실험예들에 동일하게 적용함).
24 well plate에 각질형성세포를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한 뒤, 배양된 세포의 배지를 무혈청(serum-free) 배지로 교체하고 시료를 농도 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세포에 2.5 mg/ml의 MTT 용액을 10배 희석시킨 배지로 교체하여 반응시킨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DMSO 1 ml을 첨가하여 생성된 MTT-formazan 결정체를 용해시켜 ELISA reader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대조군은 용해 용매로 DMSO (Dimethyl Sulfoxide)를 사용하였다. 세포 독성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흡광도의 백분율로 나타냈다.
Sample Conc. Average Stdev. p-value
Control 100.0 3.38 1.0000
실시예 1 0.5% 100.5 0.64 0.8147
1.0% 99.6 1.90 0.8522
2.0% 91.8 3.75 0.0477
실시예 2 2.0% 92.5 2.31 0.0411
실시예 3 2.0% 91.2 1.20 0.0452
실시예 4 2.0% 92.4 2.11 0.0023
실시예 5 2.0% 97.2 1.02 0.0011
비교예 1 0.5% 102.6 0.28 0.2625
1.0% 105.4 1.04 0.0560
2.0% 101.2 4.25 0.7196
비교예 2 0.5% 98.1 2.91 0.5720
1.0% 92.0 6.36 0.1475
2.0% 93.6 6.05 0.2157
비교예 3 0.5% 104.8 3.70 0.1025
1.0% 104.1 3.02 0.0931
2.0% 103.6 2.76 0.1115
비교예 4 0.5% 95.7 4.46 0.1918
1.0% 95.3 2.49 0.0537
2.0% 97.1 2.55 0.1791
비교예 5-1 2.0% 91.0 4.15 0.0234
비교예 5-2 2.0% 92.8 2.22 0.0632
비교예 5-3 2.0% 91.3 3.33 0.0078
비교예 5-4 2.0% 90.5 1.10 0.0523
비교예 5-5 2.0% 92.2 2.22 0.0451
비교예 5-5 2.0% 91.5 3.30 0.0346
비교예 5-7 2.0% 93.2 2.11 0.0234
비교예 5-8 2.0% 92.1 2.15 0.0342
비교예 5-9 2.0% 98.3 2.25 0.0042
비교예 5-10 2.0% 97.3 1.09 0.0055
그 결과 도 1, 2 및 표 1과 같이 본 발명에서 제조된 각 추출물의 세포독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 실험예 2. 가려움증 완화 효능 평가 - TARC 발현 조사>
가려움증 완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TARC 유전자 발현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60 mm culture dish (corning) 에 HaCaT (immortalized keratinocyte)를 1일 (37℃, CO2 5%) 배양한 뒤 Serum-free 배지(DMEM, genedirex)로 교체하고, 시료를 농도 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37℃, CO2 5% incubator에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를 QIAzol™ Lysis Reagent (Qiagen) 로 모아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RNA를 정량한 뒤 1 μg의 RNA로 cDNA를 합성하여 Real-time PCR을 실시하였다. PCR에 사용된 TARC, β-Actin primer 는 코스모진텍사 (Korea)에서 합성하여 사용하였으며 primer sequence 는 표 2에, 실험 결과는 표 3과 도 3,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염기서열
TARC Forward 5'- TAG AAA GCT GAA GAC GTG GT-3'
Reverse 5'- GGC TTT GCA GGT ATT TAA CT-3'
β-Actin Forward 5'-GGC ACC CAG CAC AAT GAA G -3'
Reverse 5'-CCG ATC CAC ACG GAG TAC TTG -3'
Sample Conc. Average Stdev. p-value
Control 13.3 0.25 0.0000
IFN-γ+TNF-α 10 ㎍/㎖ 100.0 0.00 1.0000
실시예 1 0.5% 61.7 3.07 0.0000
1.0% 66.4 3.68 0.0001
2.0% 27.9 0.91 0.0000
실시예 2 2.0% 35.5 0.36 0.0043
실시예 3 2.0% 36.3 1.50 0.0013
실시예 4 2.0% 29.9 2.93 0.0021
실시예 5 2.0% 29.1 1.03 0.0047
비교예 1 0.5% 78.2 2.21 0.0001
1.0% 75.8 3.52 0.0003
2.0% 44.3 1.80 0.0000
비교예 2 0.5% 73.8 2.23 0.0000
1.0% 65.8 2.07 0.0000
2.0% 51.0 1.60 0.0000
비교예 3 0.5% 104.8 5.08 0.1710
1.0% 69.7 2.99 0.0003
2.0% 60.1 5.33 0.0002
비교예 4 0.5% 75.8 5.78 0.0019
1.0% 82.9 1.81 0.0001
2.0% 65.2 2.67 0.0000
비교예 5-1 2.0% 52.6 2.16 0.0055
비교예 5-2 2.0% 55.2 3.23 0.0021
비교예 5-3 2.0% 62.3 1.34 0.0052
비교예 5-4 2.0% 66.5 2.42 0.0063
비교예 5-5 2.0% 63.6 3.14 0.0084
비교예 5-5 2.0% 54.3 5.31 0.0085
비교예 5-7 2.0% 52.4 2.42 0.0046
비교예 5-8 2.0% 50.4 3.13 0.0036
비교예 5-9 2.0% 53.2 2.45 0.0012
비교예 5-10 2.0% 56.0 4.30 0.0063
확인 결과, 실시예 1 내지 5 처리군 2% 농도에서 비교예 1 내지 5 대비 뛰어난 TARC 저해 효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TARC 발현을 효과적으로 저해시킴으로서 아토피성 가려움증을 개선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임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3. 염증 완화 효능 평가 - COX-2, IL-8 발현 조사>
염증 완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COX-2와 IL-8 유전자 발현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60 mm culture dish (corning) 에 HaCaT (immortalized keratinocyte)를 1일 (37℃, CO2 5%) 배양한 뒤 Serum-free 배지(DMEM, genedirex)로 교체하고, 시료를 농도 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37℃, CO2 5% incubator에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를 QIAzol™ Lysis Reagent (Qiagen) 로 모아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RNA를 정량한 뒤 1 μg의 RNA로 cDNA를 합성하여 Real-time PCR을 실시하였다. PCR에 사용된 COX-2, IL-8, β-Actin primer 는 코스모진텍사 (Korea)에서 합성하여 사용하였으며 primer sequence 는 표 4에, 실험 결과는 표 5, 6과 도 5 내지 8에 나타내었다.
구분 염기서열
COX-2 Forward 5'- ATA TTT ACG GTG AAA CTC TGG CTA-3'
Reverse 5'- GAT CAT CTC TGC CTG AGT ATC TT-3'
IL-8 Forward 5'- CTG GCC GTG GCT CTC TTG-3'
Reverse 5'- CCT TGG CAA AAC TGC ACC TT-3'
β-Actin Forward 5'-GGC ACC CAG CAC AAT GAA G -3'
Reverse 5'-CCG ATC CAC ACG GAG TAC TTG -3'
Sample Conc. Average Stdev. p-value
Control 37.9 1.24 0.0000
IFN-γ+TNF-α 10 ㎍/㎖ 100.0 0.00 1.0000
실시예 1 0.5% 62.8 2.54 0.0000
1.0% 56.9 2.63 0.0000
2.0% 40.7 1.35 0.0000
실시예 2 2.0% 45.4 1.41 0.0000
실시예 3 2.0% 44.5 2.24 0.0000
실시예 4 2.0% 42.5 2.01 0.0000
실시예 5 2.0% 42.1 1.90 0.0000
비교예 1 0.5% 90.9 5.12 0.0373
1.0% 65.7 1.02 0.0000
2.0% 47.3 0.58 0.0000
비교예 2 0.5% 102.4 1.58 0.0606
1.0% 96.5 2.74 0.0899
2.0% 86.3 1.18 0.0000
비교예 3 0.5% 109.4 0.68 0.0000
1.0% 103.4 1.73 0.0284
2.0% 73.8 1.60 0.0000
비교예 4 0.5% 108.9 3.92 0.0174
1.0% 105.8 2.84 0.0242
2.0% 101.9 2.13 0.2001
비교예 5-1 2.0% 83.7 1.20 0.0062
비교예 5-2 2.0% 84.3 1.32 0.0230
비교예 5-3 2.0% 95.4 2.43 0.0047
비교예 5-4 2.0% 96.5 2.14 0.0268
비교예 5-5 2.0% 92.2 1.52 0.0023
비교예 5-5 2.0% 83.3 2.33 0.0234
비교예 5-7 2.0% 84.5 1.04 0.0040
비교예 5-8 2.0% 85.6 1.95 0.0112
비교예 5-9 2.0% 89.1 2.14 0.0035
비교예 5-10 2.0% 92.0 1.97 0.0098
Sample Conc. Average Stdev. p-value
Control 19.9 3.34 0.0000
IFN-γ+TNF-α 10 ㎍/㎖ 100.0 0.00 1.0000
실시예 1 0.5% 60.3 2.47 0.0000
1.0% 49.0 2.24 0.0000
2.0% 22.5 1.41 0.0000
실시예 2 2.0% 26.6 1.54 0.0000
실시예 3 2.0% 25.2 2.21 0.0000
실시예 4 2.0% 24.9 2.12 0.0000
실시예 5 2.0% 24.4 1.02 0.0000
비교예 1 0.5% 80.6 0.22 0.0000
1.0% 69.2 0.40 0.0000
2.0% 44.3 1.75 0.0000
비교예 2 0.5% 102.9 2.56 0.1219
1.0% 104.1 4.05 0.1520
2.0% 84.1 2.85 0.0006
비교예 3 0.5% 109.9 2.22 0.0015
1.0% 108.9 1.68 0.0008
2.0% 105.0 3.91 0.0923
비교예 4 0.5% 110.2 3.04 0.0043
1.0% 106.4 1.19 0.0007
2.0% 105.0 4.12 0.1048
비교예 5-1 2.0% 65.1 1.52 0.0004
비교예 5-2 2.0% 62.2 5.33 0.0005
비교예 5-3 2.0% 83.3 2.44 0.0042
비교예 5-4 2.0% 84.4 3.41 0.0000
비교예 5-5 2.0% 85.6 5.24 0.0015
비교예 5-5 2.0% 71.3 1.31 0.0002
비교예 5-7 2.0% 72.4 2.42 0.0043
비교예 5-8 2.0% 74.4 3.13 0.0004
비교예 5-9 2.0% 87.4 2.14 0.0000
비교예 5-10 2.0% 84.2 2.11 0.0000
실험 결과, 실시예 1 내지 5 처리군 2% 농도에서 비교예 1 내지 5 대비 외부 자극에 의해 유도된 염증 인자 IL-8과 COX-2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저해시키는 효능을 확인하여, 외부 자극에 대해 민감해진 피부를 진정시킬 수 있는 탁월한 항염 효능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임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4. 천연 보습 인자 유도에 의한 피부 보습 장벽 관련 유전자 - 필라그린 (filaggrin, FLG ) 발현 조사>
피부 보습 효능평가를 위해 필라그린(filaggrin, FLG) 유전자 발현 실험을 수행하였다. 60 mm culture dish(corning)에 Normal human keratinocyte (gibco)를 1일 (37℃, CO2 5%) 동안 배양한 뒤 Serum-free 배지(Epilife, gibco)로 교체한다. 24시간 뒤, 시료를 농도 별로 처리하여 5일동안 37℃, CO2 5% incubator에 배양한다. 배양 후 세포를 QIAzol™ Lysis Reagent (Qiagen) 로 모아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RNA를 분리한다. 분리된 RNA를 정량한 뒤 1 μg의 RNA로 cDNA를 합성하여 Real-time PCR을 실시한다. PCR에 사용된 Filaggrin, β-Actin primer 는 코스모진텍사 (Korea)에서 합성하여 사용하였으며 primer sequence 는 표 7에, 실험결과는 표 8과 도 9, 10에 나타내었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필라그린의 발현을 유도한다고 알려진 Ceramide NP를 사용하였다.
구분 염기서열
Filaggrin ( FLG ) Forward 5'- CAC GTG GCA GTC CTC ACA GT-3'
Reverse 5'- CTT TTT GCC TTT CAG TGC CC-3'
β-Actin Forward 5'-GGC ACC CAG CAC AAT GAA G -3'
Reverse 5'-CCG ATC CAC ACG GAG TAC TTG -3'
Sample Conc. Average Stdev. p-value
Control 100.0 0.00 1.0000
Ceramide 100㎍/㎖ 132.4 7.41 0.0016
실시예 1 0.5% 118.9 6.48 0.0072
1.0% 187.8 9.94 0.0001
2.0% 464.6 25.50 0.0000
실시예 2 2.0% 427.3 2.43 0.0002
실시예 3 2.0% 431.4 3.52 0.0004
실시예 4 2.0% 443.2 2.41 0.0000
실시예 5 2.0% 447.4 2.93 0.0001
비교예 1 0.5% 127.4 2.73 0.0001
1.0% 129.9 4.23 0.0003
2.0% 271.4 10.50 0.0000
비교예 2 0.5% 112.5 10.20 0.0154
1.0% 118.9 11.80 0.0541
2.0% 122.9 14.15 0.0485
비교예 3 0.5% 114.6 3.54 0.0040
1.0% 129.6 5.36 0.0004
2.0% 136.7 4.51 0.0001
비교예 4 0.5% 101.8 8.65 0.0051
1.0% 105.7 2.41 0.0001
2.0% 111.3 6.04 0.0315
비교예 5-1 2.0% 223.5 4.50 0.0005
비교예 5-2 2.0% 234.2 1.25 0.0002
비교예 5-3 2.0% 145.3 2.32 0.0003
비교예 5-4 2.0% 112.4 3.40 0.0004
비교예 5-5 2.0% 151.1 4.55 0.0008
비교예 5-5 2.0% 262.2 5.02 0.0005
비교예 5-7 2.0% 203.3 2.90 0.0005
비교예 5-8 2.0% 225.4 1.03 0.0003
비교예 5-9 2.0% 249.1 2.21 0.0004
비교예 5-10 2.0% 257.0 1.41 0.0001
필라그린(filaggrin , FLG ) 유전자 발현량에 대한 결과는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5 대비 매우 효과적으로 필라그린(filaggrin , FLG) 유전자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부 장벽의 구성 성분 중 하나인 천연 보습 인자 관련 유전자 필라그린(filagrin, FLG) 의 발현량을 높임으로서, 보습 장벽을 최적화할 수 있는 효능을 가진 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피부 장벽의 지질 수송체 (Lipid transporter) 에 의한 피부 장벽 형성 관련 유전자 - ABCA-12 발현 조사>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의 피부 장벽 관련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Real-Time PCR 방법을 이용하여 ABCA-12 유전자 발현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60 mm culture dish(corning)에 Normal human keratinocyte (gibco)를 1일 (37℃, CO2 5%) 배양한 뒤 Serum-free 배지(Epilife, gibco)로 교체하였다. 24시간 뒤, 시료를 농도 별로 처리하여 5일동안 37℃, CO2 5% incubator에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를 QIAzol™ Lysis Reagent (Qiagen) 로 모아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RNA를 분리하였. 분리된 RNA를 정량한 뒤 1 μg의 RNA로 cDNA를 합성하여 Real-time PCR을 실시하였다. PCR에 사용된 ABCA-12, β-Actin primer 는 코스모진텍사 (Korea)에서 합성하여 사용하였으며 primer sequence 는 표 9에, 실험결과는 표 10과 도 11, 12에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으로는 지질(lipid) 구성 성분인 세라마이드 NP를 사용하였다.
구분 염기서열
ABCA -12 Forward 5'- ACA GGA ATG GCC TTC ATC AC -3'
Reverse 5'- AAC ATG GTG CCC TGA GAA AC -3'
β-Actin Forward 5'-GGC ACC CAG CAC AAT GAA G -3'
Reverse 5'-CCG ATC CAC ACG GAG TAC TTG -3'
Sample Conc. Average Stdev. p-value
Control 100.0 0.00 1.0000
Ceramide 100㎍/㎖ 129.1 10.68 0.0092
실시예 1 0.5% 131.7 10.05 0.0055
1.0% 207.5 8.36 0.0000
2.0% 475.1 41.62 0.0001
실시예 2 2.0% 442.2 12.32 0.0034
실시예 3 2.0% 453.2 15.23 0.0021
실시예 4 2.0% 464.0 12.42 0.0034
실시예 5 2.0% 462.9 14.56 0.0062
비교예 1 0.5% 132.7 11.84 0.0087
1.0% 169.2 5.51 0.0000
2.0% 315.1 40.11 0.0007
비교예 2 0.5% 124.5 15.21 0.0000
1.0% 165.4 20.65 0.0004
2.0% 184.5 29.24 0.0075
비교예 3 0.5% 129.2 7.54 0.0001
1.0% 148.2 5.65 0.0014
2.0% 155.3 8.78 0.0004
비교예 4 0.5% 117.6 7.56 0.0052
1.0% 127.9 9.21 0.0041
2.0% 131.4 5.50 0.0006
비교예 5-1 2.0% 221.2 3.56 0.0045
비교예 5-2 2.0% 252.6 2.22 0.0022
비교예 5-3 2.0% 134.2 3.33 0.0033
비교예 5-4 2.0% 142.3 12.44 0.0044
비교예 5-5 2.0% 115.4 3.15 0.0055
비교예 5-6 2.0% 252.2 12.21 0.0026
비교예 5-7 2.0% 213.3 5.32 0.0012
비교예 5-8 2.0% 244.4 1.53 0.0023
비교예 5-9 2.0% 234.7 1.23 0.0042
비교예 5-10 2.0% 262.5 1.45 0.0098
ABCA-12 유전자 발현량에 대해 실시예 1 내지 5가 다른 비교예 1 내지 5 대비 가장 뛰어난 효능이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부 장벽을 구성하는 지질 수송체 ABCA-12 의 발현량을 높임으로써, 피부 장벽 형성에 도움을 주어 장벽 강화 효능을 가진 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초고압 처리된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6-1. 가용화타입 세럼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을 2.0%(w/w)가 되게 정제수와 1,3-Butylene Glycol로 용해한 것을 원료로 하여, 하기 표 11의 조성으로 세럼을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Glycerin 10.0
Butylene Glycol 1.5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5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0.5
Sodium Hydoxide(20% Sol) 0.3
Water 84.6
실시예 1 복합 추출물의 2%(w/w) 수용액 2.0
1,2-Hexanediol 0.2
Ethylhexylglycerin 0.1
Phenoxyethanol 0.2
0.1
Total 100
실시예 6-2. 유화타입 크림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을 2.0%(w/w)가 되게 정제수와 1,3-Butylene Glycol로 용해한 것을 원료로 하여, 하기 표 12의 조성으로 세럼을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Glycerin 8.0
Butylene Glycol 2.0
Carbomer 0.5
Hydroxethylcellulose 0.1
Sodium Hydoxide(20% Sol) 0.3
Water 74.3
실시예 1 복합 추출물의 2%(w/w) 수용액 2.0
Cetearyl Olivate Sorbitan Olivate 2.0
Glyceryl Stearate PEG-100 Stearate 2.0
Cyclopentasiloxane Cyclohexasiloxane 3.0
Caprylic-Capric Triglyceride 5.0
1,2-Hexanediol 0.3
Ethylhexylglycerin 0.1
Phenoxyethanol 0.3
0.1
Total 100
실시예 6-3. 분산타입 선크림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을 2.0%(w/w)가 되게 정제수와 1,3-Butylene Glycol로 용해한 것을 원료로 하여, 하기 표 13의 조성으로 세럼을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Glycerin 2.0
Butylene Glycol 5.0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5
Titanium Dioxide 3.2
Zinc Oxide 1.8
Sodium Hydoxide(20% Sol) 0.3
Water 63.4
실시예 1 추출물의 2%(w/w) 수용액 2.0
1,2-Hexanediol 0.3
Ethylhexylglycerin 0.1
Phenoxyethanol 0.3
0.1
Ethylhexyl Methoxycinnamate 7.5
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Benzoate
3.0
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1.0
C12-15 Alkyl Benzoate 5.0
Cetearyl Olivate Sorbitan Olivate 3.5
Polyacrylate-1,3 polyisobutene Polysorbate 20
Sorbitan isostearate
1.0
Total 100

Claims (7)

100 ~ 1,000 Mpa, 20 ~ 40℃ 조건 하에 20~40분 동안 초고압 처리된 아티초크 잎 100 중량부, 동백나무 잎 4~10 중량부 및 케이퍼 열매 4~10 중량부로 혼합된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 후 농축하여 농축물을 얻고, 상기 농축물을 물에 현탁 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얻은 각 용매의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COX-2(cyclooxygenase-2)의 발현을 감소하는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IL-8(interleukin-8)의 발현을 감소하는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 증가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ABCA-12(ATP-binding cassette sub-family A member 12)의 발현 증가 효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51226A 2021-04-20 2021-04-20 초고압 처리된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5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226A KR102335297B1 (ko) 2021-04-20 2021-04-20 초고압 처리된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226A KR102335297B1 (ko) 2021-04-20 2021-04-20 초고압 처리된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297B1 true KR102335297B1 (ko) 2021-12-03

Family

ID=78866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226A KR102335297B1 (ko) 2021-04-20 2021-04-20 초고압 처리된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2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812B1 (ko) * 2023-02-01 2023-12-20 오정일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8635A (ko) * 2003-12-12 2005-06-17 코스맥스 주식회사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동백 추출물 및 이를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N101502544A (zh) * 2009-03-25 2009-08-12 克拉玛依市中心医院 刺山柑提取物和刺山柑乳膏及其生产方法
KR20160001281A (ko) * 2014-06-27 2016-01-0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덤불쑥, 알꽈리 및 동백나무잎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피부알러지, 항염증및 노인성 체취 제거용 조성물
KR101671803B1 (ko) 2015-10-02 2016-11-03 주식회사 베스트솔루션 동백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4444B1 (ko) 2017-01-09 2018-05-03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아티초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078370A1 (ja) * 2017-10-20 2019-04-25 ロート製薬株式会社 皮膚障害改善用組成物
JP2020158424A (ja) * 2019-03-26 2020-10-01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皮膚外用剤又は内用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8635A (ko) * 2003-12-12 2005-06-17 코스맥스 주식회사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동백 추출물 및 이를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N101502544A (zh) * 2009-03-25 2009-08-12 克拉玛依市中心医院 刺山柑提取物和刺山柑乳膏及其生产方法
KR20160001281A (ko) * 2014-06-27 2016-01-0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덤불쑥, 알꽈리 및 동백나무잎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피부알러지, 항염증및 노인성 체취 제거용 조성물
KR101671803B1 (ko) 2015-10-02 2016-11-03 주식회사 베스트솔루션 동백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4444B1 (ko) 2017-01-09 2018-05-03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아티초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078370A1 (ja) * 2017-10-20 2019-04-25 ロート製薬株式会社 皮膚障害改善用組成物
JP2020158424A (ja) * 2019-03-26 2020-10-01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皮膚外用剤又は内用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812B1 (ko) * 2023-02-01 2023-12-20 오정일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43112A1 (en) Novel bifidobacterium longum strain o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100773856B1 (ko) 나한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라이터펜계화합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800161B1 (ko) 피부노화 개선효과를 가지는 밀종자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1954773B1 (ko) 낙엽송 부산물로부터 다량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정제 방법 및 이 유효성분을 함유한 조성물
KR100805386B1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2335297B1 (ko) 초고압 처리된 아티초크 잎, 동백나무 잎 및 케이퍼 열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부자극에 의한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84802A (ko)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91724B1 (ko) 대청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865071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091923B1 (ko) 부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손상 개선 또는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88753B1 (ko)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284899B1 (ko) 황기 펩타이드 숙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활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20424B1 (ko) 백합 추출물 및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8379B1 (ko)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이용하여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KR20210063048A (ko) 아롱 부챗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의학적 조성물
KR20210123548A (ko)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
KR101042690B1 (ko) 참나도히초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639701B1 (ko) 칼시뉴린 억제제 및 맥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알러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면역억제용 조성물
KR102372651B1 (ko) 좀쉬땅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4144B1 (ko) 애기쉽싸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73040A (ko) 지칭개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헤미스텝신(Hemistepsin) A 또는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400146B1 (ko) 밀배아 추출과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334154B1 (ko) 새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94459B1 (ko) 고들빼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