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600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600A
KR20210032600A KR1020190113525A KR20190113525A KR20210032600A KR 20210032600 A KR20210032600 A KR 20210032600A KR 1020190113525 A KR1020190113525 A KR 1020190113525A KR 20190113525 A KR20190113525 A KR 20190113525A KR 20210032600 A KR20210032600 A KR 20210032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sulating layer
display area
disposed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진수
김웅식
한세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3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2600A/ko
Priority to US16/821,879 priority patent/US11545528B2/en
Publication of KR20210032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275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01L27/323
    • H01L27/3244
    • H01L51/5256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10K59/8731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에 인접한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기봉지층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기봉지층을 포함하는 박막봉지층, 상기 표시영역의 상기 박막봉지층 상에 배치되되,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절연층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개구를 갖는, 제2 절연층을 포함하는 터치 유닛,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을 따라 상기 비표시영역의 상기 박막봉지층 상에 배치된 제1 격벽, 및 상기 터치 유닛을 커버하되, 상기 제1 개구에 의해 상기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상기 제1 절연층의 상면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제1 격벽 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유기층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고품질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용도가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얇아지고 무게가 가벼워 그 사용의 범위가 광범위해지고 있는 추세이며, 디스플레이 장치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됨에 따라 고품질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야각이 넓고 컨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소정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표시 요소들 상에 표시 요소들을 보호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소정의 기능을 부가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는데, 표시 요소들 상에 배치된 구성요소들에 의해 표시 요소들 각각에서 방출된 빛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품질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에 인접한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기봉지층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기봉지층을 포함하는, 박막봉지층; 상기 표시영역의 상기 박막봉지층 상에 배치되되,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절연층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개구를 갖는, 제2 절연층을 포함하는, 터치 유닛;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을 따라 상기 비표시영역의 상기 박막봉지층 상에 배치된, 제1 격벽; 및 상기 터치 유닛을 커버하되, 상기 제1 개구에 의해 상기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상기 제1 절연층의 상면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제1 격벽 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유기층;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층은 제1 굴절률을 가지며, 상기 유기층은 상기 제1 굴절률보다 큰 제2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은 상기 박막봉지층 상에 배치된, 제1 층; 및 상기 제1 층 상에 배치된, 제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은 상기 제1 절연층과 동일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은 상기 제2 절연층과 동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과 이격되어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을 따라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표시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2 격벽; 및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제2 격벽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박막봉지층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에 배치된 상기 유기층은 상기 제2 개구에 의해 노출된 상기 박막봉지층의 상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박막봉지층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무기봉지층, 유기봉지층 및 제2 무기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영역 상에 배치된 상기 유기층은 상기 제2 개구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2 무기봉지층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의 내측면은 상기 제1 절연층의 상면에 대하여 순방향으로 테이퍼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은 센싱전극들을 포함하는 도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은 상기 박막봉지층 상에 직접 배치되는 제3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절연층은 상기 비표시영역으로 연장되어 상기 비표시영역의 상기 박막봉지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절연층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과 이격되어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을 따라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표시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2 격벽; 및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제2 격벽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3 절연층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3 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영역에 배치된 상기 유기층은 상기 제3 개구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3 절연층의 상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은 상기 제3 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4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절연층은 상기 비표시영역으로 연장되어 상기 비표시영역의 상기 제3 절연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절연층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과 이격되어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을 따라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표시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2 격벽; 및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제2 격벽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4 절연층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4 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영역에 배치된 상기 유기층은 상기 제4 개구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4 절연층의 상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에 인접한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기봉지층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기봉지층을 포함하는, 박막봉지층; 상기 표시영역의 박막봉지층 상에 배치되되,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과 상기 박막봉지층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절연층 및 상기 제1 절연층과 제2 절연층 사이에 개재되는 제3 절연층을 포함하는, 터치 유닛;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을 따라 상기 비표시영역의 상기 박막봉지층 상에 배치된, 제1 격벽; 및 상기 터치 유닛을 커버하며, 상기 제1 격벽 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유기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제3 절연층의 상면으로부터 제1 높이를 갖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3 절연층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를 갖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절연층 및 상기 제3 절연층은 상기 비표시영역 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절연층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절연층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격벽은 상기 비표시영역 측으로 연장된 상기 제3 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1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은 상기 제1 절연층과 동일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격벽은 상기 제3 절연층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높이와 동일한 제3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은 발광영역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박막봉지층 상에 위치하는 기능층의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을 이용하므로 층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공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층의 개수가 줄어듦에 따라 표시 요소에서 방출된 빛이 외부 사용자에게 시인되기까지의 광학적 성능,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의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친수성 및 소수성의 성질을 이용하여 퍼짐성을 개선 또는 억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화소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유닛의 평면도로서 도 6의 V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한편,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또는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표시영역(DA) 및 표시영역(DA)에 인접한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영역(DA)을 둘러쌀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표시영역(DA)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P)들에서 방출되는 빛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비표시영역(NDA)은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로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는 무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또는 무기 EL Display)이거나, 양자점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에 구비된 표시요소의 발광층은 유기물을 포함하거나, 무기물을 포함하거나, 양자점을 포함하거나, 유기물과 양자점을 포함하거나, 무기물과 양자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플랫한 표시면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1)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입체형 표시면 또는 커브드 표시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가 입체형 표시면을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시하는 복수 개의 표시영역들을 포함하고, 예컨대, 다각 기둥형 표시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가 커브드 표시면을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는 플렉서블, 폴더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일 실시예로, 도 1에서는 핸드폰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도시하였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메인보드에 실장된 전자모듈들, 카메라 모듈, 전원모듈 등이 디스플레이 장치(1)와 함께 브라켓/케이스 등에 배치됨으로써 핸드폰 단말기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태블릿, 자동차 네비게이션, 게임기, 스마트 와치 등과 같은 중소형 전자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표시영역(DA)이 사각형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일 실시예로, 표시영역(DA)의 형상은 원형, 타원, 또는 삼각형이나 오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구성하는 기능성 패널 및/또는 기능성 유닛들의 적층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단순하게 도시되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유닛(DU)(즉, 디스플레이층), 터치 유닛(TU), 편광 유닛(PU) 및 윈도우 유닛(WU)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DU), 터치 유닛(TU), 편광 유닛(PU) 및 윈도우 유닛(WU)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들은 연속공정에 의해 형성되거나, 적어도 일부의 구성들은 접착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는 접착부재로써 광학 투명 접착부재(OCA)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접착부재는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편광 유닛(PU) 및 윈도우 유닛(WU)은 다른 구성으로 대체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터치 유닛(TU)은 디스플레이 유닛(DU)에 직접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B의 구성이 A의 구성 상에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A의 구성과 B의 구성 사이에 별도의 접착층/접착부재가 배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B 구성은 A 구성이 형성된 이후에 A구성이 제공하는 베이스면 상에 연속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유닛(DU)과 디스플레이 유닛(DU) 상에 직접 배치된 터치 유닛(TU)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패널(DP)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2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DP)과 편광 유닛(PU) 사이, 편광 유닛(PU)과 윈도우 유닛(WU) 사이 각각에 광학 투명 접착부재(OCA)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DU)은 이미지를 생성하고, 터치 유닛(TU)은 외부입력(예컨대, 터치 이벤트)의 좌표정보를 획득한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DP)은 디스플레이 유닛(DU)의 하면에 배치된 보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재와 디스플레이 유닛(DU)은 접착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편광 유닛(PU)은 윈도우 유닛(WU)의 상측으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 유닛(PU)은 위상지연자(retarder) 및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자는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고, λ/2 위상지연자 및/또는 λ/4 위상지연자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 역시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다. 필름타입은 연신형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액정 코팅타입은 소정의 배열로 배열된 액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자 및 편광자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자(retarder) 및 편광자(polarizer) 자체 또는 보호필름이 편광 유닛(PU)의 베이스층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DU) 및 터치 유닛(TU)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DP)은 표시영역(DA)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P)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화소(P)들은 각각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같은 표시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화소(P)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통해 예컨대,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화소(P)라 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색, 녹색, 청색, 백색 중 어느 하나의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화소로 이해할 수 있다. 표시영역(DA)은 박막봉지층(TFE, 도 5)로 커버되어 외기 또는 수분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각 화소(P)는 비표시영역(NDA)에 배치된 외곽회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에는 제1 스캔 구동회로(110), 제2 스캔 구동회로(120), 패드부(140), 데이터 구동회로(150), 제1 전원공급배선(160) 및 제2 전원공급배선(17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캔 구동회로(110)는 스캔선(SL)을 통해 각 화소(P)에 스캔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스캔 구동회로(110)는 발광제어선(EL)을 통해 각 화소에 발광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스캔 구동회로(120)는 표시영역(DA)을 사이에 두고 제1 스캔 구동회로(11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표시영역(DA)에 배치된 화소(P)들 중 일부는 제1 스캔 구동회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나머지는 제2 스캔 구동회로(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스캔 구동회로(120)는 생략될 수 있다.
패드부(140)는 기판(10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패드부(140)는 절연층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되어 인쇄회로기판(PC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의 패드부(PCB-P)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패드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은 제어부(미도시)의 신호 또는 전원을 디스플레이 장치(1)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는 인쇄회로기판(PCB)을 통해 제1 및 제2 스캔 구동회로(110, 120)에 각각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및 제2 연결배선(161, 171)을 통해 제1 및 제2 전원공급배선(160, 170)에 각각 제1 및 제2 전원(ELVDD, ELVSS, 도 4)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전원전압(ELVDD)은 제1 전원공급배선(160)과 연결된 구동전압선(PL)을 통해 각 화소(P)에 제공되고, 제2 전원전압(ELVSS)은 제2 전원공급배선(170)과 연결된 각 화소(P)의 대향전극에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회로(150)는 데이터선(DL)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회로(150)의 데이터신호는 패드부(140)에 연결된 연결배선(151) 및 연결배선(151)과 연결된 데이터선(DL)을 통해 각 화소(P)에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데이터 구동회로(150)가 인쇄회로기판(PCB)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지만, 일 실시예로, 데이터 구동회로(150)는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구동회로(150)는 패드부(140)와 제1 전원공급배선(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원공급배선(160)은 표시영역(DA)을 사이에 두고 x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된 제1 서브배선(162) 및 제2 서브배선(1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원공급배선(170)은 일측이 개방된 루프 형상으로 표시영역(DA)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화소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화소(P)는 스캔선(SL) 및 데이터선(DL)에 연결된 화소회로(PC) 및 화소회로(PC)에 연결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회로(PC)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는 스캔선(SL) 및 데이터선(DL)에 연결되며, 스캔선(SL)을 통해 입력되는 스캔신호(Sn)에 따라 데이터선(DL)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신호(Dm)를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로 전달할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 및 구동전압선(PL)에 연결되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s)로부터 전달받은 전압과 구동전압선(PL)에 공급되는 제1 전원전압(ELVDD, 또는 구동전압)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압을 저장한다.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d)는 구동전압선(PL)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연결되며,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압 값에 대응하여 구동전압선(PL)으로부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흐르는 구동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구동 전류에 의해 소정의 휘도를 갖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화소회로(PC)가 2개의 박막트랜지스터 및 1개의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소회로(PC)는 7개의 박막트랜지스터 및 1개의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화소회로(PC)는 2개 이상의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유닛(DU)은 기판(100), 회로층(CL),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및 박막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DU)의 기판(100) 상에 회로층(CL),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및 박막봉지층(TFE)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박막봉지층(TFE) 상에는 터치 유닛(TU)이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박막봉지층(TFE)은 후술하는 도 8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유기봉지층(320, 도 8)을 포함하기 때문에 좀 더 평탄화된 베이스면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터치 유닛(TU)의 구성들은 연속공정에 의해 형성되더라도 불량률이 감소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유닛의 평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유닛의 평면도로서 도 6의 V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터치 유닛(TU)은 제1 방향(예, x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센싱전극(SP1)들 및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예, y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2 센싱전극(SP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수직으로 교차할 수 있다. 이웃하는 제1 센싱전극(SP1)들은 제1 연결전극(CP1)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웃하는 제2 센싱전극(SP2)들은 제2 연결전극(CP2)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센싱전극(SP1)들 및 제2 센싱전극(SP2)들은 도전층을 포함하되, 도전층은 금속층 또는 투명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층은 몰리브덴(Mo), 마그네슘(Mg), 은(Ag), 티타늄(Ti), 구리(Cu), 알루미늄(Al),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투명 도전층은 PEDOT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금속 나노 와이어, 탄소 나노튜브, 그래핀(graphe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전극(CP1)들 및 제2 연결전극(CP2)들 각각도 전술한 바와 같은 금속층 또는 투명도전층과 같은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전극들 및 연결전극들은 각각 복수의 개구들을 포함하는 메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센싱전극(SP1)은 도전층(CTL)에 형성될 수 있다. 도전층(CTL)은 복수의 개구(CTL-OP)들 및 각각의 개구(CTL-OP)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각각의 개구(CTL-OP)를 정의하는 바디 부분들을 포함하며, 바디 부분들이 서로 연결되면서 메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제2 센싱전극(SP2), 각각의 제1 연결전극(CP1) 및 각각의 제2 연결전극(CP2)도 메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전층(CTL)은 제1 서브도전층(CTL1, 도 8) 및 제2 서브도전층(CTL2, 도 8)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층(CTL)의 각 개구(CTL-OP)는 각 화소의 발광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개구(CTL-OP)는 적색의 빛이 방출되는 발광영역(EA-R), 녹색의 빛이 방출되는 발광영역(EA-G), 또는 청색의 빛이 방출되는 발광영역(EA-B)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개구(CTL-OP)들 각각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층(CTL)의 바디 부분에 의해 전체적으로 둘러싸여 서로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개구(CTL-OP)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구(CTL-OP)는 도전층(CTL)의 바디 부분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개구(CTL-OP)들은 서로 공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유닛(TU)은 도전층(CTL)의 위 및/또는 아래에 배치되는 제1 절연층(미도시) 및 제2 절연층(4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7a 및 도 7b는 도전층(CTL)과 중첩하는 제2 절연층(420)을 도시한다. 제2 절연층(420)은 각각 발광영역과 대응하는 개구(420OP)들을 포함한다. 제2 절연층(420)의 개구(420OP)들은 제2 절연층(420)의 일 부분들을 노광 및 현상하는 공정 등을 통해 제거하여 형성할 수 있다. 개구(420OP)들은 제2 절연층(420)의 상면과 바닥면을 관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평면상에서 개구(420OP)들 각각은 각각의 개구(420OP)와 대응하는 발광영역의 형상과 닮음 꼴일 수 있다. 예컨대, 적색 및 청색의 발광영역(EA-R, EA-B) 및 이들과 대응하는 개구(420OP)들은 각각 대략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녹색의 발광영역(EA-G) 및 이와 대응하는 개구(420OP)들은 각각 육각형 또는 팔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과 같이 서로 닮음 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대응한다고 함은 중첩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평면상에서 개구(420OP)들은 발광영역의 형상과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적색, 청색, 및 녹색의 발광영역(EA-R, EA-B, EA-G)이 다각형의 형상인데 반해 개구(420OP)들 각각은 원형인 것과 같이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판(100)은 표시영역(DA) 및 표시영역(DA)에 인접한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은 글래스 또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수지는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 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기판(100)은 플렉서블, 롤러블 또는 벤더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기판(100)은 전술한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층 및 무기층(미도시)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버퍼층(101)은 기판(100) 상에 위치하여, 기판(100)의 하부로부터 이물, 습기 또는 외기의 침투를 감소 또는 차단할 수 있고, 기판(100) 상에 평탄면을 제공할 수 있다. 버퍼층(101)은 산화물 또는 질화물과 같은 무기물, 또는 유기물, 또는 유무기 복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기물과 유기물의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100)과 버퍼층(101) 사이에는 외기의 침투를 차단하는 배리어층(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기판(100) 상에는 표시영역(DA)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박막트랜지스터(TFT) 및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가 위치할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TFT)는 반도체층(134) 및 게이트전극(136)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134)은 예컨대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134)은 게이트전극(136)과 중첩하는 채널영역(131) 및 채널영역(131)의 양측에 배치되되 채널영역(131)보다 고농도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소스영역(132) 및 드레인영역(13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불순물은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영역(132)과 드레인영역(133)은 박막트랜지스터(TFT)의 소스전극(138S)및 드레인전극(138D)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반도체층(134)은 산화물반도체 및/또는 실리콘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134)이 산화물반도체로 형성되는 경우, 예컨대 인듐(In), 갈륨(Ga), 주석(Sn), 지르코늄(Zr), 바나듐(V), 하프늄(Hf), 카드뮴(Cd), 게르마늄(Ge), 크로뮴(Cr), 티타늄(Ti) 및 아연(Zn)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층(134)은 ITZO(InSnZnO), IGZO(InGaZnO) 등일 수 있다. 반도체층(134)이 실리콘반도체로 형성되는 경우, 예컨대 아모퍼스 실리콘(a-Si) 또는 아모퍼스 실리콘(a-Si)을 결정화한 저온 폴리 실리콘(Low Temperature Poly-Silicon; LTPS)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전극(136)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로뮴(Cr), 리튬(Li),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구리(Cu)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으로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136)은 게이트전극(136)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반도체층(134)과 게이트전극(136) 사이에는 게이트절연층(103)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103)은 실리콘산화물(SiO2), 실리콘질화물(SiNx), 실리콘산질화물(SiON), 알루미늄산화물(Al2O3), 티타늄산화물(TiO2), 탄탈산화물(Ta2O5), 하프늄산화물(HfO2), 또는 아연산화물(ZnO2)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기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103)은 전술한 무기 절연물을 포함하는 단일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게이트전극(136) 상에는 스토리지 커패시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미도시)는 하부전극 및 상부전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토리지 커패시터는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중첩하며, 하부전극의 박막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전극(136)과 일체(一體)로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스토리지 커패시터는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중첩하지 않을 수 있으며, 하부전극은 박막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전극(136)과 별개의 독립된 구성요소일 수 있다.
게이트전극(136) 상에는 층간절연층(107)이 배치될 수 있다. 층간절연층(107)은 실리콘산화물(SiO2), 실리콘질화물(SiNx), 실리콘산질화물(SiON), 알루미늄산화물(Al2O3), 티타늄산화물(TiO2), 탄탈산화물(Ta2O5), 하프늄산화물(HfO2), 또는 아연산화물(ZnO2)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층간절연층(107) 상에는 소스전극(138S)과 드레인전극(138D)이 배치될 수 있다. 소스전극(138S) 및 드레인전극(138D)은 다양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소스전극(138S) 및 드레인전극(138D)은 티타늄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고, 필요하다면 다층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소스전극(138S) 및 드레인전극(138D)은 티타늄층, 알루미늄층 및 티타늄층을 포함하는 3층 구조일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TFT) 상에는 평탄화절연층(113)이 배치될 수 있다. 평탄화절연층(113)은 예컨대 아크릴, BCB(Benzocyclobutene) 또는 HMDSO(hexamethyldisiloxane) 등과 같은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평탄화절연층(113)이 단층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층일 수 있다.
기판(100)의 표시영역(DA)에 있어서, 평탄화절연층(113) 상에는 화소전극(210), 중간층(220) 및 중간층(220)을 사이에 두고 화소전극(210)과 대향하여 배치된 대향전극(230)을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가 위치할 수 있다.
화소전극(210)은 평탄화절연층(1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전극(210)은 각 화소마다 배치될 수 있다. 화소전극(210)은 각 화소마다 배치될 수 있다. 이웃한 화소들 각각에 대응하는 화소전극(210)들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화소전극(210)은 반사 전극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화소전극(210)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과, 반사막 상에 형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 전극층을 구비할 수 있다. 투명 또는 반투명 전극층은 인듐틴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인듐아연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 아연산화물(ZnO; zinc oxide), 인듐산화물(In2O3; indium oxide), 인듐갈륨산화물(IGO; indium gallium oxide) 및 알루미늄아연산화물(AZO; aluminum zinc oxide)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화소전극(210)은 ITO층, Ag층, ITO층의 3층 구조일 수 있다.
화소전극(210) 상에는 화소정의막(180)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정의막(180)은 각 화소전극(210)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를 가짐으로써, 화소의 발광영역을 정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화소정의막(180)은 화소전극(210)의 가장자리와 화소전극(210) 상부의 대향전극(230)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화소전극(210)의 가장자리에서 아크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화소정의막(180)은 예컨대,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아크릴 수지, 벤조사이클로부텐, HMDSO(hexamethyldisiloxane) 및 페놀 수지 등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로, 스핀 코팅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화소정의막(180) 상에는 스페이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는 후술할 중간층(220)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사용되는 마스크에 의해 기판(100)과 스페이서 사이에 개재되는 층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페이서는 화소정의막(18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정의막(180)에 의해 노출된 화소전극(210) 상에는 중간층(220)이 배치될 수 있다. 중간층(220)은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층의 아래 및 위에는,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과 같은 기능층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은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의 빛을 방출하는 형광 또는 인광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일 수 있다.
발광층이 저분자 물질을 포함할 경우, 중간층(220)은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저분자 유기물로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한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층들은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이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경우에는 중간층(220)은 대개 홀 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홀 수송층은 PEDOT을 포함하고, 발광층은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층은 스크린 인쇄나 잉크젯 인쇄방법, 레이저열전사방법(LITI; Laser induced thermal imaging)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발광층이 화소정의막(180)의 개구에 대응하도록 각 화소마다 배치되는데 반해, 홀 수송층, 홀 주입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등의 기능층들은 각각 후술할 대향전극(230)과 마찬가지로 기판(100)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예컨대 기판(100)의 표시영역(DA)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공통층일 수 있다.
중간층(220) 상에는 대향전극(230)이 배치될 수 있다. 대향전극(230)은 중간층(220) 상에 배치되되, 중간층(220)의 전부 덮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대향전극(230)은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로뮴(Cr), 리튬(Li), 칼슘(Ca)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을 포함하는 (반)투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대향전극(230)은 전술한 물질을 포함하는 (반)투명층 상에 ITO, IZO, ZnO 또는 In2O3과 같은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대향전극(230)은 은(Ag), 마그네슘(Mg), 또는 은(Ag)과 마그네슘(Mg)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대향전극(230) 상에는 박막봉지층(TFE)이 배치되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외부의 습기 및 산소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박막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기봉지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기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봉지층(300)은 표시영역(DA) 전체를 커버하며, 비표시영역(NDA) 측으로 연장되어 비표시영역(NDA)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박막봉지층(TFE)은 제1 무기봉지층(310), 제1 무기봉지층(310) 상에 배치되는 제2 무기봉지층(330) 및 제1 무기봉지층(310)과 제2 무기봉지층(330) 사이에 개재되는 유기봉지층(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봉지층(310) 및 제2 무기봉지층(330)은 알루미늄옥사이드, 티타늄옥사이드, 탄탈륨옥사이드, 하프늄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하나 이상의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봉지층(310) 및 제2 무기봉지층(330)은 전술한 물질을 포함하는 단일 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제1 무기봉지층(310) 및 제2 무기봉지층(330) 서로 동일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고,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무기봉지층(310) 및 제2 무기봉지층(330)의 두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무기봉지층(310)의 두께가 제2 무기봉지층(330)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또는, 제2 무기봉지층(330)의 두께가 제1 무기봉지층(310)의 두께 보다 크거나, 제1 무기봉지층(310) 및 제2 무기봉지층(330)의 두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유기봉지층(320)은 모노머(monomer)계열의 물질 또는 폴리머(polymer)계열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봉지층(32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설포네이트,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아릴레이트, 헥사메틸디실록산, 아크릴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 등)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봉지층(320)은 흐름성을 갖는 모노머를 도포한 후 열이나 자외선과 같은 빛을 이용하여 모노머층을 경화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유기봉지층(320)은 전술한 폴리머 계열을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터치 유닛(TU)은 박막봉지층(TF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유닛(TU)은 제1 및 제2 서브도전층(CTL1, CTL2), 제1 절연층(410) 및 제2 절연층(420)을 포함하되, 제1 서브도전층(CTL1)과 제2 서브도전층(CTL2)은 제2 절연층(420)의 아래와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브도전층(CTL1)과 제2 서브도전층(CTL2)은 제2 절연층(420)에 정의된 컨택홀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앞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센싱전극(SP1) 및 제2 센싱전극(SP2) 각각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홀을 통해 접속된 제1 서브도전층(CTL1)과 제2 서브도전층(CTL2)의 이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서브도전층(CTL1)과 제2 서브도전층(CTL2)은 금속층 또는 투명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금속층은 몰리브덴(Mo), 마그네슘(Mg), 은(Ag), 티타늄(Ti), 구리(Cu), 알루미늄(Al),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투명 도전층은 PEDOT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금속 나노 와이어, 탄소 나노튜브, 그래핀(graphe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서브도전층(CTL1)과 제2 서브도전층(CTL2) 각각은, 티타늄층, 알루미늄층, 및 티탄늄층의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표시영역(DA)의 박막봉지층(TFE) 상에는 제1 절연층(410)이 배치될 수 있고, 제1 절연층(410) 상에는 제1 절연층(410)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개구(OP1)를 갖는 제2 절연층(4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420)에 포함된 제1 개구(OP1)는 발광영역(EA)과 중첩할 수 있다. 제1 개구(OP1)를 정의하는 제2 절연층(420)의 바디 부분은 화소정의막(180)의 바디 부분과 중첩할 수 있다. 제1 절연층(410)과 제2 절연층(420)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420)에 정의된 제1 개구(OP1)를 통해 후술할 유기층(450)이 제1 절연층(410) 의 상면(410A)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2 절연층(420)의 측면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절연층(420)에 정의된 제1 개구(OP1)의 내측면은 제1 절연층(410)의 상면(410A)에 대해 순방향으로 테이퍼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410)의 상면(410A)과 제2 절연층(420)의 측면 사이의 경사각은 적어도 70도 이상일 수 있다. 제2 절연층(420)의 측면이 제1 절연층(410)의 상면(410A)에 대하여 순방향으로 테이퍼진 경사면을 포함함에 따라, 제1 개구(OP1)는 기판(100)의 상면에 수직인 방향(z 방향)을 따라 기판(100)에서 멀어질수록 그 폭이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제1 개구(OP1)의 상부(upper portion)의 폭은 하부(lower portion)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영역(DA)의 외곽을 따라 비표시영역(NDA)의 박막봉지층(TFE) 상부에 배치된 제1 격벽(PW1)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450)은 터치 유닛(TU)을 커버하며, 제1 격벽(PW1) 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 유닛(TU)은 표시영역(DA)의 제2 절연층(420) 상에 배치되되, 비표시영역(NDA)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기층(450)은 굴절률이 큰 재료, 예컨대 고굴절률의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지르코늄옥사이드(ZrO2), 이산화 티타늄산화물(TiO2) 등의 무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450)이 무기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유기층(450)의 굴절률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절연층(420)은 제1 굴절률을 가지고, 유기층(450)은 제1 굴절률보다 큰 제2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굴절률은 1.5 이상 1.55 이하일 수 있고, 제2 굴절률은 1.65 이상 1.74 이하일 수 있다.
유기층(450)은 잉크젯 공정에 의해 제2 절연층(4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유기층(450)은 제2 절연층(420) 상에 배치되되, 제2 절연층(420)에 정의된 제1 개구(OP1)에 의해 노출된 제1 절연층(410)의 상면(410A)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1 격벽(PW1)은 박막봉지층(TFE) 상에 배치된 제1 층(411) 및 제1 층(411) 상에 배치된 제2 층(42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층(411)은 제1 절연층(410)과 동일 물질을 포함하고, 제2 층(421)은 제2 절연층(420)과 동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비표시영역(NDA) 상에 배치된 제2 격벽(PW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격벽(PW2)은 제1 격벽(PW1)과 이격되어 박막봉지층(TFE) 상에 배치되되, 표시영역(DA)의 외곽을 따라 제1 격벽(PW1)과 표시영역(D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격벽(PW2)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격벽(PW1)과 제2 격벽(PW2) 사이에 형성되되, 박막봉지층(TFE)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개구(O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 상에 배치된 유기층(450)은 제2 개구(OP2)에 의해 노출된 박막봉지층(TFE)의 상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박막봉지층(TFE)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무기봉지층(310), 유기봉지층(320) 및 제2 무기봉지층(330)을 포함하고, 비표시영역(NDA) 상에 배치된 유기층(450)은 제2 개구(OP2)에 의해 노출된 제2 무기봉지층(33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1 무기봉지층(310) 및 제2 무기봉지층(330)은 무기 물질을 포함하고, 유기봉지층(320)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유닛(TU) 상에 배치되는 유기층(450)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투과율이 감소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서 방출되는 빛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친수성을 가진 물질들 간에는 퍼짐성이 향상되고, 친수성과 소수성을 가진 물질들 간에는 퍼짐성이 억제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표시영역(DA)에서는 유기층(450)의 퍼짐성을 향상시켜 유기층(450)이 얇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고, 비표시영역(NDA)에서는 유기층(450)의 퍼짐성을 억제시켜 유기층(450)이 기판(100) 밖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영역(DA)에서는 친수성을 가진 유기층(450) 하부에 친수성을 가진 제1 절연층(410)을 배치하여, 유기층(450)과 제1 절연층(410)을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유기층(450)의 퍼짐성을 향상시켜 유기층(450)이 얇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고, 비표시영역(NDA)에서는 친수성을 가진 유기층(450) 하부에 소수성을 가진 제2 무기봉지층(330)을 배치하여, 유기층(450)과 제2 무기봉지층(330)을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유기층(450)의 퍼짐성을 억제시켜 유기층(450)이 제1 격벽(PW1)과 제2 격벽(PW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절연층(410)은 제2 절연층(420)에 정의된 제1 개구(OP1)는 통해 유기층(450)과 직접 접촉할 수 있고, 제2 무기봉지층(330)은 제1 격벽(PW1)과 제2 격벽(PW2) 사이에 형성된 제2 개구(OP2)를 통해 유기층(45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기층(450)의 퍼짐성을 향상시켜 터치 유닛(TU) 상에 유기층(450)이 얇게 배치될 수 있게 함으로써, 유기층(450)의 투과율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서 방출되는 빛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의 실시예는 제3 절연층(430)이 박막봉지층(TFE)과 제1 절연층(410) 사이에 배치된 것에서 전술한 도 8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9의 구성 중 도 8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터치 유닛(TU)은 박막봉지층(TFE) 상에 직접 배치되는 제3 절연층(430)을 더 포함하고, 제3 절연층(430)은 비표시영역(NDA) 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 측으로 연장된 제3 절연층(430)은 비표시영역(NDA)의 박막봉지층(TFE)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층(430)은 박막봉지층(TFE)과 제1 절연층(4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절연층(410) 및 제2 절연층(420)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고, 제3 절연층(430)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영역(DA)의 외곽을 따라 비표시영역(NDA) 상에 배치된 제1 격벽(PW1)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영역(DA)의 외곽을 따라 제3 절연층(430) 상부에 배치된 제1 격벽(PW1)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450)은 표시영역(DA) 상에 배치된 터치 유닛(TU)을 커버하며, 제1 격벽(PW1) 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기층(450)은 표시영역(DA)의 제2 절연층(420) 상에 배치되되, 비표시영역(NDA)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기층(450)은 잉크젯 공정에 의해 제2 절연층(4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유기층(450)은 제2 절연층(420) 상에 배치되되, 제2 절연층(420)에 정의된 제1 개구(OP1)에 의해 노출된 제1 절연층(410)의 상면(410A)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비표시영역(NDA) 상에 배치된 제2 격벽(PW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격벽(PW2)은 제1 격벽(PW1)과 이격되어 표시영역(DA)의 외곽을 따라 제1 격벽(PW1)과 표시영역(D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격벽(PW2)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격벽(PW1)과 제2 격벽(PW2) 사이에 형성되되, 제3 절연층(430)의 상면(430A)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3 개구(OP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 상에 배치된 유기층(450)은 제3 개구(OP3)에 의해 노출된 제3 절연층(430)의 상면(430A)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표시영역(DA)에서는 친수성을 가진 유기층(450) 하부에 친수성을 가진 제1 절연층(410)을 배치하여, 유기층(450)과 제1 절연층(410)을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유기층(450)의 퍼짐성을 향상시켜 유기층(450)이 얇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고, 비표시영역(NDA)에서는 친수성을 가진 유기층(450) 하부에 소수성을 가진 제3 절연층(430)을 배치하여, 유기층(450)과 제3 절연층(430)을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유기층(450)의 퍼짐성을 억제시켜 유기층(450)이 제1 격벽(PW1)과 제2 격벽(PW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절연층(410)은 제2 절연층(420)에 정의된 제1 개구(OP1)를 통해 유기층(450)과 직접 접촉할 수 있고, 제3 절연층(430)은 제1 격벽(PW1)과 제2 격벽(PW2) 사이에 형성된 제3 개구(OP3)를 통해 유기층(45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기층(450)의 퍼짐성을 향상시켜 터치 유닛(TU) 상에 유기층(450)이 얇게 배치될 수 있게 함으로써, 유기층(450)의 투과율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서 방출되는 빛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의 실시예는 제4 절연층(440)이 제1 절연층(410)과 제3 절연층(430) 사이에 배치된 것에서 전술한 도 9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10의 구성 중 도 8 및 도 9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터치 유닛(TU)은 제3 절연층(430) 상에 배치되는 제4 절연층(440)을 더 포함하고, 제4 절연층(440)은 비표시영역(NDA) 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 측으로 연장된 제4 절연층(440)은 비표시영역(NDA)에서 제3 절연층(430)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제4 절연층(440)은 제1 절연층(410)과 제3 절연층(4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절연층(410) 및 제2 절연층(420)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고, 제4 절연층(440)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영역(DA)의 외곽을 따라 비표시영역(NDA) 상에 배치된 제1 격벽(PW1)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영역(DA)의 외곽을 따라 제4 절연층(440) 상부에 배치된 제1 격벽(PW1)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450)은 표시영역(DA) 상에 배치된 터치 유닛(TU)을 커버하며, 제1 격벽(PW1) 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기층(450)은 표시영역(DA)의 제2 절연층(420) 상에 배치되되, 비표시영역(NDA)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기층(450)은 잉크젯 공정에 의해 제2 절연층(4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유기층(450)은 제2 절연층(420) 상에 배치되되, 제2 절연층(420)에 정의된 제1 개구(OP1)에 의해 노출된 제1 절연층(410)의 상면(410A)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비표시영역(NDA) 상에 배치된 제2 격벽(PW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격벽(PW2)은 제1 격벽(PW1)과 이격되어 표시영역(DA)의 외곽을 따라 제1 격벽(PW1)과 표시영역(D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격벽(PW2)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격벽(PW1)과 제2 격벽(PW2) 사이에 형성되되, 제4 절연층(440)의 상면(440A)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4 개구(OP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 상에 배치된 유기층(450)은 제4 개구(OP4)에 의해 노출된 제4 절연층(440)의 상면(440A)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표시영역(DA)에서는 친수성을 가진 유기층(450) 하부에 친수성을 가진 제1 절연층(410)을 배치하여, 유기층(450)과 제1 절연층(410)을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유기층(450)의 퍼짐성을 향상시켜 유기층(450)이 얇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고, 비표시영역(NDA)에서는 친수성을 가진 유기층(450) 하부에 소수성을 가진 제4 절연층(440)을 배치하여, 유기층(450)과 제4 절연층(440)을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유기층(450)의 퍼짐성을 억제시켜 유기층(450)이 제1 격벽(PW1)과 제2 격벽(PW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절연층(410)은 제2 절연층(420)에 정의된 제1 개구(OP1)를 통해 유기층(450)과 직접 접촉할 수 있고, 제4 절연층(440)은 제1 격벽(PW1)과 제2 격벽(PW2) 사이에 형성된 제4 개구(OP4)를 통해 유기층(45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기층(450)의 퍼짐성을 향상시켜 터치 유닛(TU) 상에 유기층(450)이 얇게 배치될 수 있게 함으로써, 유기층(450)의 투과율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서 방출되는 빛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의 실시예는 하프톤 마스크를 이용하여 제1 절연층(410)을 증착시킴으로써,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술한 도 10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11의 구성 중 도 8, 도 9 및 도 10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터치 유닛(TU)은 표시영역(DA)의 박막봉지층(TF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유닛(TU)은 제1 절연층(410), 제1 절연층(410)과 박막봉지층(TFE)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절연층(420) 및 제1 절연층(410)과 제2 절연층(420) 사이에 개재되는 제3 절연층(4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하프톤 마스크를 이용하여 제1 절연층(410)을 박막봉지층(TFE) 상에 배치시킬 수 있다. 도 11의 실시예는 하프톤 마스크를 이용하여 제1 절연층(410)을 증착 시킴으로써, 기존에 비해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제1 절연층(410)은 제1 절연층(410) 하부에 배치된 제3 절연층(430)의 상면으로부터 제1 높이(h1)를 갖는 제1 부분(1A) 및 제3 절연층(430)의 상면으로부터 제1 높이(h1) 보다 높은 제2 높이(h2)를 갖는 제2 부분(2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부분(1A)은 발광영역(EA)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절연층(410)은 제1 개구(OP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절연층(410)에 정의된 제1 개구(OP1)는 제1 부분(1A)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절연층(410)과 박막봉지층(TFE)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절연층(420) 및 제1 절연층(410)과 제2 절연층(420) 사이에 개재되는 제3 절연층(430)은 비표시영역(NDA) 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비표시영역(NDA) 상에 배치된 박막봉지층(TFE) 상에 제2 절연층(420)이 배치될 수 있고, 제2 절연층(420) 상에 제3 절연층(43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410)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절연층(430)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표시영역(DA)의 외곽을 따라 비표시영역(NDA)의 박막봉지층(TFE) 상에 제1 격벽(PW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격벽(PW1)은 표시영역(DA)에서 연장된 제3 절연층(430)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제1 격벽(PW1)은 비표시영역(NDA) 측으로 연장된 제3 절연층(430) 상에 배치된 제1 층(4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411)은 제1 절연층(410)과 동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격벽(PW1)은 제3 절연층(430)의 상면(430A)으로부터 제2 높이(h2)와 동일한 제3 높이(h3)를 가질 수 있다.
표시영역(DA)의 제1 절연층(410) 상에는 유기층(450)이 배치될 수 있다. 유기층(450)은 터치 유닛(TU)을 커버하며, 비표시영역(NDA)의 제1 격벽(PW1)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비표시영역(NDA) 상에 배치된 제2 격벽(PW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격벽(PW2)은 제1 격벽(PW1)과 이격되어 표시영역(DA)의 외곽을 따라 제1 격벽(PW1)과 표시영역(D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격벽(PW2)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격벽(PW1)과 제2 격벽(PW2) 사이에 형성되되, 제3 절연층(430)의 상면(430A)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5 개구(OP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 상에 배치된 유기층(450)은 제5 개구(OP5)에 의해 노출된 제3 절연층(430)의 상면(430A)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표시영역(DA)에서는 친수성을 가진 유기층(450) 하부에 친수성을 가진 제1 절연층(410)을 배치하여, 유기층(450)과 제1 절연층(410)을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유기층(450)의 퍼짐성을 향상시켜 유기층(450)이 얇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고, 비표시영역(NDA)에서는 친수성을 가진 유기층(450) 하부에 소수성을 가진 제3 절연층(430)을 배치하여, 유기층(450)과 제3 절연층(430)을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유기층(450)의 퍼짐성을 억제시켜 유기층(450)이 제1 격벽(PW1)과 제2 격벽(PW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절연층(410)은 유기층(450) 하부에 직접 배치되어 제1 절연층(410)과 유기층(450)이 직접 접촉할 수 있고, 제3 절연층(430)은 제1 격벽(PW1)과 제2 격벽(PW2) 사이에 형성된 제5 개구(OP5)를 통해 유기층(45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기층(450)의 퍼짐성을 향상시켜 터치 유닛(TU) 상에 유기층(450)이 얇게 배치될 수 있게 함으로써, 유기층(450)의 투과율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서 방출되는 빛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 이다.
DA: 표시영역
NDA: 비표시영역
OLED: 유기발광다이오드
TFE: 박막봉지층
DP: 디스플레이 패널
TU: 터치 유닛
1: 디스플레이 장치
100: 기판
180: 화소정의막
210: 화소전극
220: 중간층
230: 대향전극
310: 제1 무기봉지층
320: 유기봉지층
330: 제2 무기봉지층
410: 제1 절연층
420: 제2 절연층
450: 유기층

Claims (20)

  1.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에 인접한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기봉지층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기봉지층을 포함하는, 박막봉지층;
    상기 표시영역의 상기 박막봉지층 상에 배치되되,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절연층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개구를 갖는, 제2 절연층을 포함하는, 터치 유닛;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을 따라 상기 비표시영역의 상기 박막봉지층 상에 배치된, 제1 격벽; 및
    상기 터치 유닛을 커버하되, 상기 제1 개구에 의해 상기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상기 제1 절연층의 상면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제1 격벽 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유기층;
    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층은 제1 굴절률을 가지며,
    상기 유기층은 상기 제1 굴절률보다 큰 제2 굴절률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은 상기 박막봉지층 상에 배치된, 제1 층; 및
    상기 제1 층 상에 배치된, 제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은 상기 제1 절연층과 동일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은 상기 제2 절연층과 동일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과 이격되어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을 따라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표시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2 격벽; 및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제2 격벽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박막봉지층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에 배치된 상기 유기층은 상기 제2 개구에 의해 노출된 상기 박막봉지층의 상면과 직접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봉지층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무기봉지층, 유기봉지층 및 제2 무기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영역 상에 배치된 상기 유기층은 상기 제2 개구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2 무기봉지층과 직접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의 내측면은 상기 제1 절연층의 상면에 대하여 순방향으로 테이퍼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은 센싱전극들을 포함하는 도전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은 상기 박막봉지층 상에 직접 배치되는 제3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절연층은 상기 비표시영역으로 연장되어 상기 비표시영역의 상기 박막봉지층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절연층은 무기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과 이격되어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을 따라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표시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2 격벽; 및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제2 격벽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3 절연층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3 개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영역에 배치된 상기 유기층은 상기 제3 개구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3 절연층의 상면과 직접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유닛은 상기 제3 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4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절연층은 상기 비표시영역으로 연장되어 상기 비표시영역의 상기 제3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절연층은 무기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과 이격되어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을 따라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표시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2 격벽; 및
    상기 제1 격벽과 상기 제2 격벽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4 절연층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4 개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영역에 배치된 상기 유기층은 상기 제4 개구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4 절연층의 상면과 직접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에 인접한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기봉지층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기봉지층을 포함하는, 박막봉지층;
    상기 표시영역의 박막봉지층 상에 배치되되,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과 상기 박막봉지층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절연층 및 상기 제1 절연층과 제2 절연층 사이에 개재되는 제3 절연층을 포함하는, 터치 유닛;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을 따라 상기 비표시영역의 상기 박막봉지층 상에 배치된, 제1 격벽; 및
    상기 터치 유닛을 커버하며, 상기 제1 격벽 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유기층;
    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제3 절연층의 상면으로부터 제1 높이를 갖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3 절연층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를 갖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층 및 상기 제3 절연층은 상기 비표시영역 측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절연층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절연층은 무기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은 상기 비표시영역 측으로 연장된 상기 제3 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1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은 상기 제1 절연층과 동일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격벽은 상기 제3 절연층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높이와 동일한 제3 높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발광영역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113525A 2019-09-16 2019-09-16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32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525A KR20210032600A (ko) 2019-09-16 2019-09-16 디스플레이 장치
US16/821,879 US11545528B2 (en) 2019-09-16 2020-03-17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525A KR20210032600A (ko) 2019-09-16 2019-09-16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600A true KR20210032600A (ko) 2021-03-25

Family

ID=74868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525A KR20210032600A (ko) 2019-09-16 2019-09-16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545528B2 (ko)
KR (1) KR202100326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768A (ko) * 2019-12-03 2021-06-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314573B (zh) * 2021-05-24 2023-05-1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电子设备
KR20230071874A (ko) * 2021-11-16 2023-05-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3553B1 (ko) 1969-04-30 1974-09-07
JPS5142112A (ja) 1974-10-09 1976-04-09 Japan Steel Works Ltd Shabanshikimukyuyuatsushukuki
US6072450A (en) 1996-11-28 2000-06-06 Casio Computer Co., Ltd. Display apparatus
EP2063308A4 (en) 2006-09-07 2010-12-22 Sharp Kk IMAGE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PARALLAX BARRIER ELEMENT
US7535646B2 (en) 2006-11-17 2009-05-19 Eastman Kodak Company Light emitting device with microlens array
JP2009110873A (ja) 2007-10-31 2009-05-21 Toppan Printing Co Ltd 表示装置
JP5373054B2 (ja) 2010-03-31 2013-12-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パネル装置及び表示パネル装置の製造方法
WO2011121656A1 (ja) 2010-03-31 2011-10-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パネル装置及び表示パネル装置の製造方法
JP2012109214A (ja) 2010-10-27 2012-06-07 Canon Inc 表示装置
KR102048924B1 (ko) 2013-05-16 2019-1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150011B1 (ko) 2013-06-10 2020-09-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5069700A (ja) 2013-09-26 2015-04-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360089B1 (ko) 2014-08-05 2022-0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89819B1 (ko) 2014-09-01 2020-1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34457A (ko) 2014-09-19 2016-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298757B1 (ko) 2014-10-24 2021-09-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201296B1 (ko) 2015-10-29 2021-01-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09079B1 (ko) 2015-11-30 2023-03-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05323A (ko) 2016-07-05 2018-0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79751B1 (ko) 2016-07-05 2023-09-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US10439165B2 (en) 2016-07-29 2019-10-08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642368B1 (ko) 2016-07-29 2024-02-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601207B1 (ko) 2016-07-29 2023-1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6827332B2 (ja) * 2017-02-01 2021-02-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6901888B2 (ja) * 2017-03-27 2021-07-1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センサ内蔵表示装置
JP6975033B2 (ja) * 2017-12-19 2021-12-0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495845B1 (ko) 2017-12-26 2023-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87689A (ko) 2018-01-15 2019-07-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45528B2 (en) 2023-01-03
US20210083012A1 (en)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37929A (ko) 표시 장치
US20210184155A1 (en) Display apparatus
US11386850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10052730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770968B2 (en) Display device with opening pattern
US11462605B2 (en) Display apparatus
US11545528B2 (en) Display apparatus
KR20210078650A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3415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0545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1626457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external light-absorbing layer
CN114203769A (zh) 显示设备及制造该显示设备的方法
US11302767B2 (en) Display panel with shielded signal lines routed around an opening area in the display panel
KR20210007084A (ko) 표시 패널
US20220246688A1 (en) Display apparatus
KR20220044173A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263975B2 (en) Display apparatus
CN114914274A (zh) 显示面板和包括该显示面板的显示装置
KR2021005272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2002429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793043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 metal pattern layer disposed between a substrate and a pixel
KR2021005585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06261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0252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