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1231A -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 - Google Patents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31231A KR20210031231A KR1020190112952A KR20190112952A KR20210031231A KR 20210031231 A KR20210031231 A KR 20210031231A KR 1020190112952 A KR1020190112952 A KR 1020190112952A KR 20190112952 A KR20190112952 A KR 20190112952A KR 20210031231 A KR20210031231 A KR 202100312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tachable
- unit
- gears
- control shafts
- bending ang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2—Constructional details of control elements, e.g. hand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10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the distal tip features being detachab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1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modular constru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61B1/00128—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mechanical, e.g. for tubes or pip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insertion parts, e.g. vertebral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7—Constructional details of force transmission elements, e.g. control wi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61B1/05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being detachab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in-u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7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upper alimentary canal, e.g. oesophagoscopes, gastroscopes
- A61B1/2736—Gastroscop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ctum, e.g. proctoscopes, sigmoidoscopes, colon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doscope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착탈분리형 내시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조명촬영부를 구비하는 삽입부의 선단을 굴곡작동시키는 조작부와 상기 삽입부와의 사이를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유닛을 포함하는 내시경에 있어서, 상기착탈유닛은 상기 삽입부의 내부 선단에 각 일단이 연결되도록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1,2,3 및 4작동와이어와 연결되어 상기 삽입부의 후단에 구비되는 제1착탈모듈과, 상기 조작부에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의 제1,2,3 및 4연결와이어와 연결되어 조작부의 선단에 구비되는 제2착탈모듈 및 상기 삽입부의 선단이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굴곡변위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굴곡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굴곡제어부는 상기 제1,2직선안내공을 통해 왕복이동되는 제1,2래크기어의 선형 이동거리를 제어하여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 대한 상하방향의 굴곡각도를 가변시키는 제1조절부와, 상기 제3,4직선안내공을 통해 왕복이동되는 제3,4래크기어의 선형 이동거리를 제어하여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 대한 좌우방향의 굴곡각도를 가변시키는 제2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조명촬영부를 구비하는 삽입부의 선단을 굴곡작동시키는 조작부와 상기 삽입부와의 사이를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유닛을 포함하는 내시경에 있어서, 상기착탈유닛은 상기 삽입부의 내부 선단에 각 일단이 연결되도록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1,2,3 및 4작동와이어와 연결되어 상기 삽입부의 후단에 구비되는 제1착탈모듈과, 상기 조작부에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의 제1,2,3 및 4연결와이어와 연결되어 조작부의 선단에 구비되는 제2착탈모듈 및 상기 삽입부의 선단이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굴곡변위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굴곡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굴곡제어부는 상기 제1,2직선안내공을 통해 왕복이동되는 제1,2래크기어의 선형 이동거리를 제어하여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 대한 상하방향의 굴곡각도를 가변시키는 제1조절부와, 상기 제3,4직선안내공을 통해 왕복이동되는 제3,4래크기어의 선형 이동거리를 제어하여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 대한 좌우방향의 굴곡각도를 가변시키는 제2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체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의 선단을 굴곡조작하는 조작부와 삽입부를 내시경 수술시 서로 간편하게 결합하여 사용하고, 내시경 수술후 간편하게 분리하여 보관하거나 소독처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한편, 내시경 수술 환경에 맞추어 삽입부의 선단을 굴곡변위시키는 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장비에 멀티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골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을 이용하는 수술은 인체를 크게 절개하지 않고 작은 구멍을 통해 카메라가 설치된 내시경과 수술도구를 삽입한 다음, 체내에서 내시경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통해 환자의 환부를 살피면서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복강경 수술에서부터 시작된 내시경 수술은 개복수술에 비하여 절개 부위가 작기 때문에 흉터부위도 작게 되고, 출혈도 적어 수술후 환자의 회복 시간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개복수술이 필요한 거의 모든 수술에 대하여 내시경 수술이 가능할 정도로 기술이 발전하였을 뿐만 아니라 다른 의료분야에서도 내시경 수술을 적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통상적인 내시경은 인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이를 제어하는 조작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다수의 관로 및 가이드들이 내장되어 있으며, 특히 체내에 삽입되는 삽입부 선단에 고가의 CCD와 같은 촬상 소자 등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부만을 조작부로부터 분리하여 새로 교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내시경은 내부폭이 넓은 위의 내벽을 관찰하면서 병변부위의 용정을 확인하거나 제거하는 위 내시경과, 내부폭이 좁고 굴곡이 많은 대장의 내벽을 관찰하면서 병변부위의 용정을 확인하거나 제거하는 대장 내시경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위 내시경은 조명촬영부를 갖는 삽입부의 선단이 환자의 구강을 통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신체의 위 내부공간으로 진입된 다음, 삽입부의 선단이 폭인 넓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벽을 관찰하기 때문에 조작부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삽입부의 선단을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굴곡작동하여 변위시키는 굴곡각도는 하부로 향하는 삽입부의 선단이 진행방향의 반대편인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대략 180도 내지 210도 이상으로 크게 설정되어 설계된다.
반면에 대장 내시경은 조명촬영부를 갖는 삽입부의 선단이 환자의 대장 말단인 항문을 하부에서 상부로 신체의 대장의 내부공간으로 진입된 다음, 삽입부의 선단이 폭이 매우 좁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벽을 관찰하기 때문에 삽입부의 선단을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굴곡작동하여 변위시키는 굴곡각도는 대략 100도 내지 180도 이하로 위 내시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되어 설계된다.
(특허문헌 1) KR10-0673412 B1
(특허문헌 2) KR10-1091999 B1
(특허문헌 3) KR10-1783225 B1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근래 들어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내시경의 위생 기능을 보다 강화하는 추세에 맞추어 체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삽입부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서로 결합하여 연결사용하거나 서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착탈분리형 내시경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들에 개시된 착탈분리형 내시경은 굴곡각도가 크게 설정되어 설계된 위 전용 내시경용 삽입부와, 굴곡각도가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되어 설계된 대장 전용 삽입부를 공용으로 혼용하여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위 전용 착탈분리형 내시경과 대장 전용 착탈분리형 내시경을 각각 구비함에 따라 관리유지비용이 증가하고, 내시경 수술 용도에 따른 장비의 복수 구매로 인하여 내시경 장비 구매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도구를 이용한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삽입부의 선단이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굴곡되는 굴곡각도를 내시경 수술조건에 맞추어 간편하게 가변시킬 수 있어 하나의 삽입부를 이용하여 위 내시경 수술기능과 대장 내시경 수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조명촬영부를 구비하는 삽입부의 선단을 굴곡작동시키는 조작부와 상기 삽입부와의 사이를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유닛을 포함하는 내시경에 있어서, 상기 착탈유닛은 상기 삽입부의 내부 선단에 각 일단이 연결되도록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1,2,3 및 4작동와이어와 연결되어 상기 삽입부의 후단에 구비되는 제1착탈모듈과, 상기 조작부에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의 제1,2,3 및 4연결와이어와 연결되어 조작부의 선단에 구비되는 제2착탈모듈 및 상기 삽입부의 선단이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굴곡변위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굴곡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착탈모듈은 길이방향으로 제1,2,3 및 4 직선안내공을 관통형성하고,두께방향으로 중앙배치공을 관통형성한 제1모듈본체와, 상기 제1,2,3 및 4작동와이어의 각 단부와 일단이 대응결합되어 상기 제1,2,3 및 4 직선안내공에 조립되는 제1,2,3 및 4래크기어와, 상기 제1,2래크기어와의 사이에 기어물림되는 제1피니언기어와, 상기 제3,4래크기어와의 사이에 기어물림되는 제2피니언기어 및 상기 제1,2피니언기어가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조립되어 상기 중앙배치공에 고정설치되는 기어축을 포함하고, 상기 굴곡제어부는 상기 제1,2직선안내공을 통해 왕복이동되는 제1,2래크기어의 선형 이동거리를 제어하여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 대한 상하방향의 굴곡각도를 가변시키는 제1조절부와, 상기 제3,4직선안내공을 통해 왕복이동되는 제3,4래크기어의 선형 이동거리를 제어하여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 대한 좌우방향의 굴곡각도를 가변시키는 제2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조절부는 상기 제1,2래크기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일정길이의 제1,2제어축의 각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제1고정블럭과, 상기 제1,2제어축의 각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제2고정블럭 및 상기 제1,2래크기어와 더불어 이동되는 제1,2이동체의 이동경로 상에 일단이 위치되도록 상기 제1,2제어축에 위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2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스토퍼는 상기 제1,2제어축의 외부면와 나사결합되는 각 본체의 일측단에 상기 제1모듈본체의 제1,2직선형 슬릿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제1,2이동체와 접해지도록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제어축의 각 일측단부에는 도구에 의한 걸림회전 조작이 용이하도록 일자형 또는 열십자형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조절부는 상기 제1,2제어축의 각 일단이 진입되어 배치되는 제1,2안내공을 관통형성한 상부 보조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조절부는 상기 제3,4래크기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일정길이의 제3,4제어축의 각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제1고정블럭과, 상기 제3,4제어축의 각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제2고정블럭 및 상기 제3,4래크기어와 더불어 이동되는 제3,4이동체의 이동경로 상에 일단이 위치되도록 상기 제3,4제어축에 위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3,4스토퍼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3,4스토퍼는 상기 제3,4제어축의 외부면와 나사결합되는 각 본체의 일측단에 상기 제1모듈본체의 제3,4직선형 슬릿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제3,4이동체와 접해지도록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3,4제어축의 각 일측단부에는 도구에 의한 걸림회전 조작이 용이하도록 일자형 또는 열십자형 홈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2조절부는 상기 제3,4제어축의 각 일단이 진입되어 배치되는 제3,4안내공을 관통형성한 하부 보조블럭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도구나 동력을 이용한 간단한 회전조작에 의해서 삽입부의 선단이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굴곡되는 굴곡각도의 최대값을 대장 내시경 수술이나 위 내시경 수술과 같은 내시경 수술조건에 맞추어 간편하게 가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삽입부를 이용하여 위 내시경 수술기능과 대장 내시경 수술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내시경 장비의 구매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내시경 장비의 보유 갯수를 줄여 소독, 세척 및 보관에 따른 관리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인체의 체내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오염되거나 기능상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분리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오염된 삽입부를 폐기처리하고 청결한 새로운 삽입부를 교체장착하여 내시경 수술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의 삽입부와 조작부와의 결합부위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에 구비되는 착탈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와 도 4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에 구비되는 착탈유닛의 제1착탈모듈과 굴곡제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에 구비되는 착탈유닛의 제1착탈모듈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착탈분리형 내시경에 구비되는 착탈유닛의 제1착탈모듈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에 구비되는 착탈유닛의 제1착탈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에 구비되는 착탈유닛의 굴곡제어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에 구비되는 굴곡제어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의 삽입부와 조작부와의 결합부위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에 구비되는 착탈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와 도 4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에 구비되는 착탈유닛의 제1착탈모듈과 굴곡제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에 구비되는 착탈유닛의 제1착탈모듈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착탈분리형 내시경에 구비되는 착탈유닛의 제1착탈모듈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에 구비되는 착탈유닛의 제1착탈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에 구비되는 착탈유닛의 굴곡제어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에 구비되는 굴곡제어부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분리형 내시경(1)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수술시 체내에 선단이 삽입되는 삽입부(10)와, 다수의 조작손잡이를 갖는 조작부(20), 내시경 제어관리 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니버셜 조인트(30) 및 내시경 수술전 상기 삽입부(10)와 조작부(20)를 서로 결합하여 기구적으로 연결하거나 내시경 수술후 상기 삽입부(10)와 조작부(20)를 서로 분리시키는 착탈유닛(1a)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10)는 체내로 삽입되는 방향을 조절하도록 유연한 소재의 튜브소재로 이루어지고, 선단에 체내를 조명하는 광원과 촬영하는 이미지센서를 갖는 조명촬영부를 구비한다.
상기 조작부(20)는 체내로 삽입되는 삽입부의 선단을 상하방향으로 굴곡조작하는 상부조작손잡이(28)와 좌우방향으로 굴곡조작하는 하부조작손잡이(29)를 구비한다.
이러한 조작부(20)의 내부에는 상기 상,하부조작손잡이에 각각 구비되는 상,하부 스프로켓(sprocket)과 이에 연결되는 상,하부체인을 갖추어 상기 상,하부조작손잡이의 조작시 상,하부스프로켓의 회전운동을 상,하부체인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상,하부조작손잡이의 선택적인 회전운동을 선형운동으로 전환하게 되며, 상기 상,하부체인은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작동와이어를 매개로 하여 상기 삽입부 선단의 내부 단부와 연결된다.
사용자에 의한 상,하부조작손잡이의 선택적인 회전에 의해서 회전되는 상,하부스프로켓과 왕복직선운동을 하는 상,하부체인을 통하여 삽입부내에 배치된 복수개의 작동와이어중 일부를 선형운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상기 작동와이어의 선형 운동에 따라 상기 삽입부의 선단이 체내에서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굴곡되는 것이다.
상기 조작부에는 내시경 수술시 세척 및 소독을 위한 액체와 기체를 투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와 조작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조작부의 선단과 착탈유닛을 매개로 하여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삽입부의 후단에는 클립을 갖는 내시경 처치구와 같은 수술도구를 삽입부 내부로 진출입시키기 위한 출입구 및 이를 개폐하는 캡을 구비한다.
도 1과 도 2에서 상기 조작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엔드커버(27)에는 에어를 공급하는 급기채널(25b), 물을 공급하는 급수채널(25c) 및 물과 공기를 외부로 흡입하여 배출하는 석션채널(25a)을 구비하며, 상기 조명촬영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단자(26)를 구비하는 한편, 대략 원통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삽입부(10)의 후단에는 원통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20)의 선단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링형 결합체(15)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분리형 내시경(1)은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10)의 후단과 상기 조작부(20)의 선단과의 사이를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유닛(1a)을 포함한다.
상기 착탈유닛(1a)은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삽입배치되는 제1착탈모듈(100)과, 상기 조작부의 내부에 삽입배치되어 상기 제1착탈모듈과 대응결합되는 제2착탈모듈(200) 및 내시경 수술을 진행하기전에 수술조건 및 환경에 맞추어 상기 삽입부의 선단이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굴곡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굴곡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착탈모듈(100)은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삽입부의 선단을 상하방향(A)으로 굴곡조작하도록 제1,2작동와이어(11,12)의 각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삽입부의 선단을 좌우방향(B))으로 굴곡조작하도록 작동되는 제3,4작동와이어(13,14)의 각 일단과 연결된다.
상기 제2착탈모듈(200)은 상기 상,하부조작손잡이(28,29)에 의해서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하부 스프로켓에 감기는 상,하부체인의 각 양단과 제1,2,3 및 4연결와이어(21,22,23,24)를 매개로 하여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스프로켓에 감기는 상부체인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1,2연결와이어(21,22)는 도면상 삽입부 내부의 상측에 한쌍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2작동와이어(11,12)와 연동하여 상기 삽입부의 선단을 상하방향으로 굴곡작동시키는 한편, 상기 하부스프로켓에 감기는 하부체인의 양단에 연결되는 제3,4연결와이어(23,24)는 도면상 삽입부 내부의 하측에 한쌍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4작동와이어(13,14)와 연동하여 상기 삽입부의 선단을 좌우방향으로 굴곡작동시키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의 굴곡조작은 내시경 설계에 따라 서로 반대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부스프로켓의 회전은 상기 조작부에 구비되는 상,하부 조작손잡이를 파지하는 작업자의 수동 회전조작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상,하부스프로켓과 조립된 회전축을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과 연결하여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조이스틱과 같은 별도의 원격조작수단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착탈모듈(100)은 도 3, 도 4a, 도 4b, 도 5, 도 6 및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에 배열되는 제1,2래크기어(110,120)와, 하측에 배열되는 제3,4래크기어(130,140), 상기 제1,2래크기어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피니언기어(150), 상기 제3,4래크기어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피니언기어(l60), 상기 제1,2피니언기어(150,160)와 결합되는 기어축(170) 및 이들을 내부수용하는 제1모듈본체(18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모듈본체(180)는 몸체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제1,2,3 및 4 직선안내공(181,182,183,184)을 관통형성하고, 몸체 중앙에 길이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두께방향으로 제1,2,3 및 4직선안내공과 연통되는 중앙배치공(189)을 관통형성하는 대략 직육면체상의 블럭구조물이다.
상기 제1모듈본체(180)의 양측 외부면에는 상기 제1,2,3 및 4직선안내공(181,182,183,184)의 양단이 각각 노출되어 개구되고, 상기 제1모듈본체(180)의 상,하부면에는 상기 중앙배치공(189)의 양단이 노출되어 개구된다.
상기 제1,2래크기어(110,120)는 상기 삽입부의 내부 상측에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1,2작동와이어(11,12)의 각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착탈모듈과 각 타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직선바형 기어부재이며, 상기 제3,4래크기어(130,140)는 상기 삽입부의 내부 하측에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3,4작동와이어(13,14)의 각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착탈모듈과 각 타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직선바형 기어부재이다.
상기 제1피니언기어(150)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래크기어(110)와 제2래크기어(120)와의 사이에서 기어물림됨으로써 상기 상부조작손잡이의 회전조작시 삽입부의 선단을 상하방향으로 굴곡작동시키도록 제1,2래크기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는 기어부재이다.
상기 제2피니언기어(160)는 상기 제1,2래크기어의 직하부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래크기어(130)와 제4래크기어(140)와의 사이에서 기어물림됨으로써 상기 하부조작손잡이의 회전조작시 삽입부의 선단을 좌우방향으로 굴곡작동시키도록 상기 제3,4래크기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는 기어부재이다.
상기 제1,2,3 및 4래크기어(110,120,130,140)는 상기 제1,2,3 및 4직선안내공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1모듈본체(180)의 양측으로 양단이 외부노출되는 일정길이의 직선바(111,121,131,141)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바에 형성되어 상기 제1,2피니언기어(150,160)의 외주면에 형성된 원형기어치와 기어물림되는 일정길이의 직선기어치(112,122,132,142)를 포함한다.
상기 직선기어치(112,122,132,142)는 상기 제1피니언기어와 마주하는 제1,2래크기어의 직선바 외부면과, 상기 제2피니언기어와 마주하는 제3,4래크기어의 직선바 외부면에 각각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립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직선기어치(112,122,132,142)는 상기 제1,2,3 및 4직선안내공과 중앙배치공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절개된 연통공(112a,122a,132a,142a)을 통하여 노출됨으로써 상기 제1,2래크기어와 제1피니언기어 그리고 상기 제3,4래크기어와 제2피니언기어는 서로 기어물림된다.
상기 제1,2,3 및 4직선안내공(181,182,183,184)은 상기 제1,2,3 및 4래크기어(110,120,130,140)의 각 직선바의 외주면과 내부면이 접해져 안내되는 대략 원형의 안내공(181a,182a,183a,184a)과 상기 제1,2,3 및 4래크기어(110,120,130,140)의 각 기어치가 간섭없이 안내이동되도록 상기 안내공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공(181b,182b,183b,184b)으로 구비될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3 및 4래크기어(110,120,130,140)의 각 직선바의 외주면과 상기 제1,2,3 및 4직선안내공의 각 안내공의 내주면은 전체적으로 접촉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2,3 및 4래크기어(110,120,130,140)의 각 직선바의 외주면과 상기 제1,2,3 및 4직선안내공의 각 안내공의 내주면이 서로 부분적으로 접촉하여 접촉면적을 줄임으로써 이들간의 마찰저항을 줄이면서 직선안내이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직선바의 외주면이나 상기 안내공의 내주면에 안내방향으로 일정길이의 직선형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2,3 및 4래크기어(110,120,130,140)와 대응하는 제1모듈본체(180)의 양측 외부면에는 직선형 안내슬릿(185,186,187,188)을 절개형성하고, 상기 제1,2,3 및 4래크기어(110,120,130,140)의 각 직선바에는 상기 직선형 안내슬릿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체(113,123,133,143)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체(113,123,133,143)는 직선바(111,121,131,141)의 길이중앙에 함몰형성되는 조립홈에 체결부재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직선기어치와 이동체는 대략 90도의 위상차를 두고 상기 직선바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2,3 및 4작동와이어(11,12,13,14)와 대응하는 제1,2,3 및 4래크기어(110,120,130,140)의 각 일단부에는 상기 제1,2,3 및 4작동와이어의 각 일단과 연결되는 제1,2,3 및 4결합구(114,124,134,144)를 구비한다.
상기 제2착탈모듈(200)과 대응하는 제1,2,3 및 4래크기어(110,120,130,140)의 각 타단부에는 상기 제2착탈모듈(200)에 구비되는 제1,2,3 및 4연결축(210,220,230,240)의 각 단부에 구비되는 제1,2,3 및 4피접속구(215,225,235,245)와 걸림연결되는 제1,2,3 및 4접속구(115,125,135,145)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2,3 및 4래크기어(110,120,130,140)의 제1,2,3 및 4접속구(115,125,135,145)와 상기 제1,2,3 및 4연결축(210,220,230,240)의 제1,2,3 및 4피접속구(215,225,235,245)간의 걸림연결에 의해서 상기 조작부에 구비되는 상,하부 조작손잡이에 의한 회전조작시 삽입부의 선단을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굴곡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2,3 및 4작동와이어를 선택적으로 왕복작동시키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기어축(170)은 상기 제1,2,3 및 4래크기어(110,120,130,140)와 기어물림되는 제1,2피니언기어(150,160)가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제1모듈본체의 중앙배치공(189))에 대응삽입되어 고정설치되는 축부재이다.
이러한 기어축(170)의 하부단에는 상기 중앙배치공(189)의 개구단 일단을 덮으면서 상기 제1모듈본체의 외부면에 접하여 체결부재에 의해서 조립되는 판브라켓(173)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기어축의 상부단에는 상기 제1,2피니언기어의 외부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용 클립(156)을 구비한다.
상기 제1피니언기어(150)와 이탈방지용 클립(156)과의 사이에는 이들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1원통슬리브(155)를 구비하고, 상기 제1피니언기어(150)와 제2피니언기어(160)와의 사이에도 이들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2원통슬리브(165)를 구비한다.
상기 제1,2피니언기어(150,160))와 대응하는 기어축(170)의 외부면에는 제1,2링형 요홈을 각각 함몰형성하고, 상기 제1,2링형 요홈에는 상기 제1,2피니언기어(150,160)의 내주면과 외주면이 탄력적으로 접해지도록 고무소재로 이루어지는 제1,2탄성링(171,172)을 구비한다.
상기 제1,2피니언기어(150,160)의 각 내주면과 상기 제1,2탄성링(171,172)의 외주면간의 탄력적인 접촉에 의해서 제1,2래크기어(110,120)와 제1피니언기어 (150) 그리고 제3,4래크기어(130,140)와 제2피니언기어(160)와의 기어물림시 발생하는 백랙쉬에 기인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며, 삽입부 선단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의 굴곡작동시 제1,2래크기어를 윤활제의 사용없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보다 부드럽게 선형이동시키고, 제3,4래크기어를 윤활제의 사용없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보다 부드럽게 선형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착탈모듈(100)은 도 4a, 도 4b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3 및 4래크기어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1,2,3 및 4작동와이어(11,12,13,14)의 선형이동을 지지하는 와이어지지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지지부(190)는 상기 제1,2,3 및 4작동와이어(11,12,13,14)가 대응삽입되는 지지공을 관통형성한 제1,2,3 및 4지지체(191,192,193,194)를 구비하고, 상기 제1,2,3 및 4지지체를 일단부에 고정설치하는 지지블럭(195)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블럭(195)을 상기 제1모듈본체(180)의 일단부에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조립하는 연결브라켓(196)을 구비한다.
상기 제1,2,3 및 4지지체(191,192,193,194)는 지지공을 몸체중앙에 관통형성하고, 외부면에 환고리형 요홈을 함몰형성한 원통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블럭(195)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2,3 및 4지지체의 각 외부면에 형성된 요홈이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끼움고정편을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제1착탈모듈(100)은 1,2,3 및 4래크기어(110,120,130,140)의 길이중앙에 제1,2피니언기어(150,160)가 위치하는 초기 대기상태에서 상기 조작부의 제2착탈모듈과 대응하는 제1,2,3 및 4접속구의 각 선단은 동일한 수직면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의 후단에 구비되는 제1착탈모듈와 상기 조작부의 선단에 구비되는 제2착탈모듈이 서로 결합하게 되면, 상기 제1착탈모듈의 제1,2,3 및 4래크기어(110,120,130,140)에 구비되는 제1,2,3 및 4접속구(115,125,135,145)와 상기 제2착탈모듈(200)의 제1,2,3 및 4연결축(210,220,230,240)의 제1,2,3 및 4피접속구(215,225,235,245)가 서로 걸림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2,3 및 4접속구(115,125,135,145)와 제1,2,3 및 4피접속구(215,225,235,245)가 서로 걸림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에 구비되는 상부조작손잡이(28)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래크기어가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되면 상기 제1,2래크기어와 제1피니언기어와의 기어물림에 의해서 상기 제2래크기어는 반대방향인 우측방향으로 동일한 일정거리로 선형이동되면서 제1작동와이어를 정량적으로 당김이동시킴과 동시에 제2작동와이어를 정량적으로 밀림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부조작손잡이(28)의 정방향 회전량에 비례하여 상기 삽입부의 선단으로 상방향으로 일정각도 굴곡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상부조작손잡이(28)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2래크기어가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되면 상기 제1,2래크기어와 제1피니언기어와의 기어물림에 의해서 상기 제1래크기어는 반대방향인 우측방향으로 동일한 일정거리로 선형이동되면서 제2작동와이어를 정량적으로 당김이동시킴과 동시에 제1작동와이어를 정량적으로 밀림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부조작손잡이(28)의 역방향 회전량에 비례하여 상기 삽입부의 선단을 하방향으로 일정각도 굴곡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작부에 구비되는 하부조작손잡이(29)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3,4래크기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정거리 선형이동시켜 상기 제3,4작동와이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김이동시키거나 밀림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삽입부의 선단을 좌우방향으로 일정각도 굴곡작동시키는 것은 제1,2래크기어의 선형이동과 동일함에 따라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내시경 수실시 상기 조작부에 구비되는 상,하부조작손잡이의 선택적인 회전조작에 의해서 체내에 삽입된 삽입부의 선단을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굴곡작동시켜 체내의 병변부위를 조명하여 촬영하여 확인하면서 상기 삽입부 내부로 진입되는 처치구에 의해서 병변부위를 제거하거나 치료하는 내시경 수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굴곡제어부(300)는 도 3, 도 4a, 도 4b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수술전 대장 내시경이나 위 내시경과 같은 내시경 수술조건에 맞추어 내시경 수술전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굴곡변위되는 삽입부(10)의 선단에 대한 굴곡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조절부(310)와 제2조절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조절부(310)는 상기 조작부의 상부조작손잡이에 의한 선택적으로 회전조작시 상기 제1모듈본체(180)의 제1,2직선안내공(181,182)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제1,2래크기어의 선형 이동거리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2작동와이어(11,12)에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서 상기 삽입부의 선단을 좌우방향으로 굴곡변위시키는 굴곡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조절부(310)는 상기 제1,2래크기어(110,12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일정길이의 제1,2제어축(311,312)의 각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제1고정블럭(315)을 구비하고, 상기 제1,2제어축(311,312)의 각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제2고정블럭(316)을 포함하며, 상기 제1,2래크기어와 더불어 이동되는 제1,2이동체(113,123)의 이동경로 상에 일단이 위치되도록 상기 제1,2제어축의 각 외부면에 나사결합되어 위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2스토퍼(313,3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제1고정블럭(315)은 상기 제1,2래크기어와 대응하는 제1모듈본체(180)의 상부면에 체결부재에 의해서 조립되어 고정설치되는 블럭구조물이며, 상기 상부 제2고정블럭(316)은 상기 상부 제1고정블럭(315)과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모듈본체(180)의 상부면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블럭구조물이다.
상기 제1,2제어축(311,312)의 일단은 상기 상부 제1고정블럭의 양단에 구비되는 베어링부재와 같은 회전지지부(315a,315b)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상부 제2고정블럭의 양단에 관통형성된 다른 회전지지부(316a,316b)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일정길이의 스크류부재이다.
상기 제1,2스토퍼(313,314)는 상기 제1,2제어축의 외부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관통형성한 본체를 포함하고, 이러한 본체의 각 일측단에는 상기 제1모듈본체의 상부면에 절개형성된 제1,2직선형 슬릿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제1,2이동체(113,123)와 선택적으로 접해지면서 제1,2작동와이어의 당김 이동을 제한하는 돌출부(313a,314a)를 돌출형성한다.
상기 상부 제2고정블럭(316)의 회전지지부(316a,316b)를 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2제어축(311,312)의 각 일단부에는 도구에 의한 회전조작이 용이하도록 일자형 또는 열십자형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조절부(310)는 상기 제1,2제어축의 회전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2제어축의 각 일단이 진입되어 배치되는 제1,2안내공(331,332)을 관통형성한 상부 보조블럭(3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부 보조블럭(330)이 상기 와이어지지부(190)의 지지블럭(195) 상부면에 고정설치됨으로써, 상기 상부 보조블럭에 관통형된 제1,2안내공을 통하여 스크류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진입시킨 다음, 상기 제1,2제어축의 각 일단에 형성된 일자형 홈 또는 열십자형 홈에 선단이 접하는 도구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2이동체에 대하여 제1,2스토퍼(313,314)를 상대적으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위치이동시키는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조절부(320)는 상기 조작부의 하부조작손잡이에 의한 선택적으로 회전조작시 상기 제1모듈본체(180)의 제3,4직선안내공(183,184)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제3,4래크기어의 선형 이동거리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3,4작동와이어(13,14)에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서 상기 삽입부의 선단을 상하방향으로 굴곡변위시키는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조절부(320)는 상기 제3,4래크기어(130,14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일정길이의 제3,4제어축(321,322)의 각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제1고정블럭(325)을 구비하고, 상기 제3,4제어축(321,322)의 각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제2고정블럭(326)을 포함하며, 상기 제3,4래크기어와 더불어 이동되는 제3,4이동체(133,143)의 이동경로 상에 일단이 위치되도록 상기 제3,4제어축의 각 외부면에 나사결합되어 위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4스토퍼(323,3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제1고정블럭(325)은 상기 제3,4래크기어와 대응하는 제1모듈본체(180)의 하부면에 체결부재에 의해서 조립되어 고정설치되는 블럭구조물이며, 상기 하부 제2고정블럭(326)은 상기 하부 제1고정블럭(325)과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모듈본체(180)의 하부면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블럭구조물이다.
상기 제3,4제어축(321,322)의 일단은 상기 하부 제1고정블럭의 양단에 구비되는 베어링부재와 같은 회전지지부(325a,325b)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하부 제2고정블럭의 양단에 관통형성된 다른 회전지지부(326a,326b)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일정길이의 스크류부재이다.
상기 제3,4스토퍼(323,324)는 상기 제3,4제어축의 외부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관통형성한 본체를 포함하고, 이러한 본체의 각 일측단에는 상기 제1모듈본체의 하부면에 절개형성된 제3,4직선형 슬릿(167,168)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제3,4이동체(133,143)와 선택적으로 접해지면서 제3,4작동와이어의 당김 이동을 제한하는 돌출부(323a,324a)를 돌출형성한다.
상기 하부 제2고정블럭(326)의 회전지지부(326a,326b)를 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3,4제어축(321,322)의 각 일단부에는 도구에 의한 회전조작이 용이하도록 일자형 또는 열십자형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조절부(320)는 상기 제3,4제어축의 회전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3,4제어축의 각 일단이 진입되어 배치되는 제3,4안내공(341,342)을 관통형성한 하부 보조블럭(340)을 포함한다.
이러한 하부 보조블럭(340)이 상기 와이어지지부(190)의 지지블럭(195) 하부면에 고정설치됨으로써, 상기 하부 보조블럭에 관통형된 제3,4안내공을 통하여 스크류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진입시킨 다음, 상기 제3,4제어축의 각 일단에 형성된 일자형 홈 또는 열십자형 홈에 선단이 접하는 도구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3,4이동체에 대하여 제3,4스토퍼(323,324)를 상대적으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위치이동시키는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굴곡제어부(300)의 제1조절부(310)와 제2조절부(320)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부의 선택적인 회전조작에 의해서 상기 삽입부(10)의 선단을 상하방향으로 굴곡작동시키는 굴곡각도의 최대값과, 좌우방향으로 굴곡작동시키는 굴곡각도의 최대값을 위 내시경 수술이나 대장 내시경 수술과 같은 수술조건에 맞추어 간편하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보조블럭(330)의 제1,2안내공을 통하여 진입되는 스크류 드라이버와 갈은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1,2제어축(311,312)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조작함으로써, 상기 제1,2제어축의 회전량에 비례하여 상기 제1,2스토퍼(313,314)는 상기 상부 제1고정블럭과 상부 제2고정블럭과의 사이에 해당하는 구간에서 왕복이동되면서 상기 제1,2이동체와 제1,2스토퍼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동제한거리(L)를 가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제한거리(L)는 상기 도 8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착탁모듈의 대기정지시 상기 제1,2이동체(113,123)의 위치와 상기 제1,2제어축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된 제1,2스토퍼의 위치와의 사이에 측정되는 직선거리이다.
상기 제1,2스토퍼(313,314)가 제1,2이동체 측으로 근접하도록 도면상 좌측으로 위치이동되어 이들사이의 이동제한거리(L1)가 짧아지면, 도 8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의 선택적인 회전조작에 의해서 제1,2직선형 슬릿(185,186)을 따라 직선이동되는 제1,2이동체의 이동거리와 더불어 이에 연동하여 당겨지거나 밀려지는 제1,2작동와이어의 이동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상기 삽입부의 선단을 상하방향으로 굴곡작동시키는 굴곡각도를 대장 내시경 수술조건에 맞추어 작은 각도로 설정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1,2스토퍼(313,314)가 제1,2이동체 측으로 멀어지도록 도면상 우측으로 위치이동되어 상기 이동제한거리가 길어지면, 도 8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의 선택적인 회전조작에 의해서 제1,2직선형 슬릿(185,186)을 따라 직선이동되는 제1,2이동체의 이동거리와 더불어 이에 연동하여 당겨지거나 밀려지는 제1,2작동와이어의 이동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상기 삽입부의 선단을 상하방향으로 굴곡작동시키는 굴곡각도를 위 내시경 수술조건에 맞추어 큰 각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이동체(113,123)와 접하여 제1,2작동와이어(11,12)이 당겨지는 이동거리를 제어하는 제1,2스토퍼(313,314)는 상기 삽입부의 선단을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굴곡각도로 굴곡작동시킬 수 있도록 동일한 이동제한거리(L)를 형성하도록 위치이동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2스토퍼는 서로 다른 이동제한거리를 형성하도록 각각 독립적으로 위치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스토퍼의 정지위치와 제2스토퍼의 정치위치를 서로 상이하게 설정하게 되면, 상기 제1,2이동체가 상기 제1,2스토퍼에 접하여 정지되기 까지의 이동제한거리를 서로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조작부의 선택적인 회전조작에 의해서 삽입부의 선단을 상방향이나 하방향으로 굴곡작동시키는 굴곡각도를 위 내시경 수술조건과 대장 내시경 수술조건에서 각각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보조블럭(340)의 제3,4안내공을 통하여 진입되는 스크류 드라이버와 갈은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3,4제어축(321,322)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조작하다.
이러한 회전조작에 의해서 상기 제3,4제어축의 회전량에 비례하여 상기 제3,4스토퍼(323,324)를 상기 하부 제1고정블럭과 하부 제2고정블럭과의 사이에 해당하는 구간에서 위치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3,4이동체와 제3,4스토퍼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동제한거리(L)를 가변시키고, 이러한 이동제한거리를 가변시켜 삽입부의 선단을 좌우방향의 최대 굴곡각도를 위 내시경 수술이나 대장 내시경 수술과 같은 수술조건에 맞추어 조절하는 것은 제1조절부의 작동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제1,2조절부의 제1,2,3 및 4제어축은 상기 상,하부 보조블럭으로 진입되는 스크류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이용한 수작업을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2,3 및 4제어축의 각 일단을 전원인가시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에 의해서 정밀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착탈분리형 내시경
1a : 착탈유닛
10 : 삽입부
11,12,13,14 : 제1,2,3 및 4 작동와이어
20 : 조작부
21,22,23,24 : 제1,2,3 및 4연결와이어
28,29 : 상,하부조작손잡이
100 : 제1착탈모듈
110,120,130,140 : 제1,2,3 및 4래크기어
150,160 : 제1,2피니언기어
170 : 기어축
180 : 제1모듈본체
200 : 제2착탈모듈
300 : 굴곡제어부
310 : 제1조절부
311,312 : 제1,2제어축
313,314 : 제1,2스토퍼
315,316 : 상부 제1,2고정블럭
320 : 제2조절부
321,322 : 제3,4제어축
323,324 : 제1,2스토퍼
325,326 : 상부 제1,2고정블럭
L : 이동제한거리
1a : 착탈유닛
10 : 삽입부
11,12,13,14 : 제1,2,3 및 4 작동와이어
20 : 조작부
21,22,23,24 : 제1,2,3 및 4연결와이어
28,29 : 상,하부조작손잡이
100 : 제1착탈모듈
110,120,130,140 : 제1,2,3 및 4래크기어
150,160 : 제1,2피니언기어
170 : 기어축
180 : 제1모듈본체
200 : 제2착탈모듈
300 : 굴곡제어부
310 : 제1조절부
311,312 : 제1,2제어축
313,314 : 제1,2스토퍼
315,316 : 상부 제1,2고정블럭
320 : 제2조절부
321,322 : 제3,4제어축
323,324 : 제1,2스토퍼
325,326 : 상부 제1,2고정블럭
L : 이동제한거리
Claims (9)
- 조명촬영부를 구비하는 삽입부의 선단을 굴곡작동시키는 조작부와 상기 삽입부와의 사이를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유닛을 포함하는 내시경에 있어서,
상기 착탈유닛은 상기 삽입부의 내부 선단에 각 일단이 연결되도록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1,2,3 및 4작동와이어와 연결되어 상기 삽입부의 후단에 구비되는 제1착탈모듈과, 상기 조작부에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의 제1,2,3 및 4연결와이어와 연결되어 조작부의 선단에 구비되는 제2착탈모듈 및 상기 삽입부의 선단이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굴곡변위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굴곡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착탈모듈은 길이방향으로 제1,2,3 및 4 직선안내공을 관통형성하고,두께방향으로 중앙배치공을 관통형성한 제1모듈본체와, 상기 제1,2,3 및 4작동와이어의 각 단부와 일단이 대응결합되어 상기 제1,2,3 및 4 직선안내공에 조립되는 제1,2,3 및 4래크기어와, 상기 제1,2래크기어와의 사이에 기어물림되는 제1피니언기어와, 상기 제3,4래크기어와의 사이에 기어물림되는 제2피니언기어 및 상기 제1,2피니언기어가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조립되어 상기 중앙배치공에 고정설치되는 기어축을 포함하고,
상기 굴곡제어부는 상기 제1,2직선안내공을 통해 왕복이동되는 제1,2래크기어의 선형 이동거리를 제어하여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 대한 상하방향의 굴곡각도를 가변시키는 제1조절부와, 상기 제3,4직선안내공을 통해 왕복이동되는 제3,4래크기어의 선형 이동거리를 제어하여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 대한 좌우방향의 굴곡각도를 가변시키는 제2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는 상기 제1,2래크기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일정길이의 제1,2제어축의 각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제1고정블럭과, 상기 제1,2제어축의 각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제2고정블럭 및 상기 제1,2래크기어와 더불어 이동되는 제1,2이동체의 이동경로 상에 일단이 위치되도록 상기 제1,2제어축에 위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2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스토퍼는 상기 제1,2제어축의 외부면와 나사결합되는 각 본체의 일측단에 상기 제1모듈본체의 제1,2직선형 슬릿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제1,2이동체와 접해지도록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제어축의 각 일측단부에는 도구에 의한 걸림회전 조작이 용이하도록 일자형 또는 열십자형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는 상기 제1,2제어축의 각 일단이 진입되어 배치되는 제1,2안내공을 관통형성한 상부 보조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부는 상기 제3,4래크기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일정길이의 제3,4제어축의 각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제1고정블럭과, 상기 제3,4제어축의 각 타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제2고정블럭 및 상기 제3,4래크기어와 더불어 이동되는 제3,4이동체의 이동경로 상에 일단이 위치되도록 상기 제3,4제어축에 위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제3,4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4스토퍼는 상기 제3,4제어축의 외부면와 나사결합되는 각 본체의 일측단에 상기 제1모듈본체의 제3,4직선형 슬릿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제3,4이동체와 접해지도록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4제어축의 각 일측단부에는 도구에 의한 걸림회전 조작이 용이하도록 일자형 또는 열십자형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부는 상기 제3,4제어축의 각 일단이 진입되어 배치되는 제3,4안내공을 관통형성한 하부 보조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2952A KR102325266B1 (ko) | 2019-09-11 | 2019-09-11 |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 |
JP2020144497A JP6930770B2 (ja) | 2019-09-11 | 2020-08-28 | 屈曲角度調節可能な着脱分離型内視鏡 |
DE102020211137.5A DE102020211137A1 (de) | 2019-09-11 | 2020-09-03 | Lösbares endoskop mit einem einstellbaren biegewinkel |
CN202010914266.2A CN112472005B (zh) | 2019-09-11 | 2020-09-03 | 可调节弯曲角度的拆装分离型内窥镜 |
US17/014,118 US11642006B2 (en) | 2019-09-11 | 2020-09-08 | Detachable endoscope with adjustable bending ang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2952A KR102325266B1 (ko) | 2019-09-11 | 2019-09-11 |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1231A true KR20210031231A (ko) | 2021-03-19 |
KR102325266B1 KR102325266B1 (ko) | 2021-11-11 |
Family
ID=7464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2952A KR102325266B1 (ko) | 2019-09-11 | 2019-09-11 |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1642006B2 (ko) |
JP (1) | JP6930770B2 (ko) |
KR (1) | KR102325266B1 (ko) |
CN (1) | CN112472005B (ko) |
DE (1) | DE102020211137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845178A (zh) * | 2023-01-09 | 2023-03-28 |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二医学中心 | 一种可视化的肠道测温冲洗装置及使用方法 |
WO2023106668A1 (ko) * | 2021-12-08 | 2023-06-15 | 주식회사 메디인테크 | 동력수용체에 의해 제어되는 내시경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21109023B4 (de) | 2021-04-12 | 2024-08-14 | Karl Storz Se & Co. Kg | Endoskop, insbesondere medizinisches Einweg-Endoskop |
CN113768451B (zh) * | 2021-09-18 | 2023-08-18 | 苏州法兰克曼医疗器械有限公司 | 一种方便寻找病变目标的内窥镜用旋转弯曲控制机构 |
CN113786154B (zh) * | 2021-09-22 | 2023-08-18 | 苏州法兰克曼医疗器械有限公司 | 一种弯曲角度便于调节的内窥镜 |
KR102427945B1 (ko) * | 2021-12-08 | 2022-08-03 | 주식회사 메디인테크 | 후방지지대를 가지는 의료기기용 동력제공장치 |
CN114532947A (zh) * | 2022-02-25 | 2022-05-27 | 湖南省华芯医疗器械有限公司 | 一种内窥镜弯曲机构及内窥镜 |
CN114748020B (zh) * | 2022-04-22 | 2022-12-06 | 湖南省华芯医疗器械有限公司 | 一种内窥镜对接结构、内窥镜手柄、内窥镜 |
CN114886362B (zh) * | 2022-05-07 | 2024-10-01 | 上海众芯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 一种内窥镜手柄可重复使用段、内窥镜手柄及内窥镜 |
CN114795071B (zh) * | 2022-05-25 | 2023-08-01 | 湖南省华芯医疗器械有限公司 | 一种内窥镜手柄的重复使用段、内窥镜手柄及内窥镜 |
CN114795070B (zh) * | 2022-05-25 | 2023-06-23 | 湖南省华芯医疗器械有限公司 | 一种内窥镜手柄的可重复使用段、内窥镜手柄和内窥镜 |
CN115054184B (zh) * | 2022-06-15 | 2023-03-10 | 湖南省华芯医疗器械有限公司 | 一种内窥镜手柄的重复使用段、内窥镜手柄及内窥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40062B1 (en) * | 1999-11-10 | 2002-08-27 |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 Control wire driving mechanism for use in endoscope |
JP2006006760A (ja) * | 2004-06-29 | 2006-01-12 | Pentax Corp | 内視鏡の湾曲装置 |
KR20100137652A (ko) * | 2009-06-23 | 2010-12-31 | 주식회사 케어텍 | 내시경의 굴절 조절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03430A (en) * | 1976-12-16 | 1980-05-20 | Nagashige Takahashi | Device for controlling curvature of an end section in an endoscope |
JP3600194B2 (ja) * | 2000-10-02 | 2004-12-08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内視鏡 |
JP2007000427A (ja) * | 2005-06-24 | 2007-01-11 |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 内視鏡 |
KR100673412B1 (ko) | 2006-07-03 | 2007-01-24 | 주식회사 액츠비전 | 착탈이 용이한 삽입부를 구비한 의료용 내시경 |
JP2009142562A (ja) * | 2007-12-17 | 2009-07-02 |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 分離型内視鏡 |
JP2009148316A (ja) * | 2007-12-18 | 2009-07-09 |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 分離型内視鏡 |
JP2009225876A (ja) * | 2008-03-19 | 2009-10-08 |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 分離型内視鏡 |
KR101091999B1 (ko) | 2009-11-30 | 2011-12-08 |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 내시경의 삽입부, 내시경의 조작부, 내시경 |
KR101206014B1 (ko) * | 2010-08-10 | 2012-11-28 | 이성용 |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 |
US8702594B2 (en) * | 2010-10-21 | 2014-04-22 | Avram Allan Edidin | Imaging system having a quick connect coupling interface |
CN103582444B (zh) * | 2011-07-11 | 2017-07-11 | 奥林巴斯株式会社 | 内窥镜 |
CN104053393B (zh) * | 2012-04-12 | 2016-12-28 | 奥林巴斯株式会社 | 内窥镜 |
CN104349708B (zh) * | 2013-01-11 | 2016-10-05 | 奥林巴斯株式会社 | 内窥镜的弯曲角度调整机构和具有该弯曲角度调整机构的内窥镜 |
JP6283454B2 (ja) * | 2014-09-29 | 2018-02-21 | ドン タオDONG, Tao | 使い捨て内視鏡及びそのシステム |
JP6064100B1 (ja) * | 2015-02-25 | 2017-01-18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マニピュレータ及びマニピュレータシステム |
KR101783225B1 (ko) | 2016-02-26 | 2017-09-29 | 주식회사 현주인테크 | 탄력적 이물림 구조를 갖는 분리형 내시경용 와이어 연결유닛 |
CN109770823B (zh) * | 2018-12-20 | 2022-06-10 | 上海澳华内镜股份有限公司 | 一种电驱动内窥镜及操作方法 |
-
2019
- 2019-09-11 KR KR1020190112952A patent/KR10232526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8-28 JP JP2020144497A patent/JP6930770B2/ja active Active
- 2020-09-03 CN CN202010914266.2A patent/CN112472005B/zh active Active
- 2020-09-03 DE DE102020211137.5A patent/DE102020211137A1/de active Pending
- 2020-09-08 US US17/014,118 patent/US11642006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40062B1 (en) * | 1999-11-10 | 2002-08-27 |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 Control wire driving mechanism for use in endoscope |
JP2006006760A (ja) * | 2004-06-29 | 2006-01-12 | Pentax Corp | 内視鏡の湾曲装置 |
KR20100137652A (ko) * | 2009-06-23 | 2010-12-31 | 주식회사 케어텍 | 내시경의 굴절 조절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06668A1 (ko) * | 2021-12-08 | 2023-06-15 | 주식회사 메디인테크 | 동력수용체에 의해 제어되는 내시경 |
CN115845178A (zh) * | 2023-01-09 | 2023-03-28 |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二医学中心 | 一种可视化的肠道测温冲洗装置及使用方法 |
CN115845178B (zh) * | 2023-01-09 | 2023-08-22 |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二医学中心 | 一种可视化的肠道测温冲洗装置及使用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642006B2 (en) | 2023-05-09 |
KR102325266B1 (ko) | 2021-11-11 |
CN112472005A (zh) | 2021-03-12 |
US20210068624A1 (en) | 2021-03-11 |
JP6930770B2 (ja) | 2021-09-01 |
CN112472005B (zh) | 2023-06-27 |
JP2021041158A (ja) | 2021-03-18 |
DE102020211137A1 (de) | 2021-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10031231A (ko) |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 | |
KR102190216B1 (ko) | 착탈분리형 내시경 | |
JP7048628B2 (ja) | 分離可能使い捨てシャフト付き内視鏡 | |
JP3673157B2 (ja) | 電動アングル式電子内視鏡装置 | |
US11653822B2 (en) | Endoscope | |
US8308633B2 (en) | Manipulator operation system | |
US11642007B2 (en) | Detachable endoscope having wire buffer function | |
CN110139592B (zh) | 在子宫镜检查中使用的装置 | |
EP2820999A1 (en) | Endoscope | |
CN111493795A (zh) | 分体式内窥镜装置 | |
JP2009240789A (ja) | 伸縮型傾斜装置 | |
US11571114B2 (en) | Detachable endoscope | |
US20140142389A1 (en) | Separable type endoscope | |
JP6289795B1 (ja) | 処置具及び処置システム | |
JP6905216B2 (ja) | チェーンの引っ掛かり防止機能を有する内視鏡 | |
CN118369034A (zh) | 具有摩擦力调节部的内窥镜 | |
KR102378014B1 (ko) | 관형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