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014B1 -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014B1
KR101206014B1 KR20100077042A KR20100077042A KR101206014B1 KR 101206014 B1 KR101206014 B1 KR 101206014B1 KR 20100077042 A KR20100077042 A KR 20100077042A KR 20100077042 A KR20100077042 A KR 20100077042A KR 101206014 B1 KR101206014 B1 KR 101206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endoscope tube
sliders
main body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77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4831A (ko
Inventor
이성용
김규철
김내균
Original Assignee
이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용 filed Critical 이성용
Priority to KR20100077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014B1/ko
Priority to PCT/KR2011/005845 priority patent/WO2012020987A2/ko
Publication of KR20120014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2Constructional details of control elements, e.g.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7Constructional details of force transmission elements, e.g. control w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시경 튜브의 굴절을 용이하고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내시경의 정밀한 촬영을 구현할 수 있는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본체; 상기 본체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손잡이가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치형이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치형에 치합됨으로써 감겨지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감기전동절; 상기 감기전동절의 양단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슬라이더; 및 상기 한 쌍의 제1슬라이더 측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각 와이어가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제2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THE BENDING OF ENDOSCOPE TUBE}
본 발명은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시경 튜브의 굴절을 용이하고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내시경의 정밀한 촬영을 구현할 수 있는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이라 함은 내장장기(內臟臟器) 또는 체강(體腔) 내부를 직접 볼 수 있게 만든 의료기구로서, 원래는 수술을 하거나 또는 부검(剖檢)을 하지 않고서는 직접 병변(病變)을 볼 수 없는 장기에 대하여 기계를 삽입하여 관찰하도록 고안된 기구이다.
현재의 내시경은 이러한 의료분야뿐 아니라 정밀한 기계의 해체 없이 내부를 관찰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파이프 내부의 이상 여부 등을 관찰할 수 있게 하는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까지 확대 실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내시경은 굴곡이 가능한 내시경 튜브의 선단에 카메라가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내시경 튜브 내에는 촬영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와이어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내시경을 이용하여 인체 내부나 기계속, 또는 파이프 내부를 촬영하고자 할 경우에는, 카메라가 장착된 내시경 튜브의 선단을 촬영 대상위치로 삽입시키고, 이후 와이어의 조작(상호 대향적인 잡아당김 등)을 통해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조절하면서 촬영이 진행된다.
하지만, 종래의 내시경은 카메라를 촬영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와이어의 구동메커니즘은 매우 정밀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고장이 많이 발생되고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하기가 어려웠으며, 이로 인해 가격이 매우 고가로 책정될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해서 내시경의 굴절력 전달수단인 와이어의 직선운동을 조정하여 내시경의 영상 획득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카메라의 방향 변경이나 각도를 자유 자재로 제어할 수 있어 정밀한 촬영을 할 수 있는 내시경 튜브의 굴절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시경 튜브 내에 내장되는 한 쌍 이상의 와이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내시경 튜브의 굴절작동을 조절하는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본체;
상기 본체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손잡이가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치형이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치형에 치합됨으로써 감겨지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감기전동절;
상기 감기전동절의 양단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슬라이더; 및
상기 한 쌍의 제1슬라이더 측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각 와이어가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제2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제1본체와 제2본체가 상하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본체는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본체는 상기 제2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그 내부에 내부 공간을 가지고,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회전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 수용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더가 개별적으로 가이드되는 가이드부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격벽에 의해 구획된 제1 및 제2 가이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손잡이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손잡이의 상부 외주면에는 복수의 면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슬라이더의 일면에는 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슬라이더의 일면에는 상기 제1슬라이더의 톱니부에 대응하는 톱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더는 그 톱니부들이 서로 치합됨으로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해서 내시경의 굴절력 전달수단인 와이어의 직선운동을 조정하여 내시경의 영상 획득 방향을 2방향 또는 4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카메라의 방향 변경이나 각도를 자유 자재로 제어할 수 있어 정밀한 촬영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는 하나 이상의 본체(100), 본체(10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110), 회전체(110)에 감겨진 감기전동절(130), 감기전동절(130)의 양단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슬라이더(150), 한 쌍의 제1슬라이더(150) 측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제2슬라이더(17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그 내부에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이 내부 공간 내에는 회전체(110), 감기전동절(130), 제1 및 제2 슬라이더(150, 170)가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0)는 제1본체(101)와 제2본체(102)가 상하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제2본체(102)는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제1본체(102)는 제2본체(102)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내부 공간은 회전체(11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 수용부(103) 및 슬라이더(150, 170)가 가이드되는 가이드부(104)로 구분된다.
특히, 가이드부(104)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격벽(104c)에 의해 구획된 제1 및 제2 가이드부(104a, 104b)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 가이드부(104a, 104b)를 따라 제1 및 제2 슬라이더(150, 170)의 슬라이딩작동이 가이드된다.
회전체(110)는 그 외주면에 복수의 치형(111)이 형성되고, 회전체(110)의 일측에는 회전손잡이(112)가 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특히, 회전손잡이(112)는 제1본체(101)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101a)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다.
회전손잡이(11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손잡이(112)의 상부 외주면에는 복수의 면취부(112a)가 형성되며, 이에 회전손잡이(112)의 면취부(112a)를 통해 외부 동력원과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감기전동절(130)은 체인 또는 복수의 치형을 가진 벨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감기전동절(130)은 회전체(110)의 치형(111)측에 치합됨으로써 회전체(110)의 회전운동이 감기전동절(130)을 통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
한 쌍의 제1슬라이더(150)는 감기전동절(130)의 양단부에 고정됨으로써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각 제1슬라이더(150)는 그 일면에 사각 또는 삼각 형상의 톱니부(151)가 형성된다.
한 쌍의 제2슬라이더(170)는 그 일면에 제1슬라이더(150)의 톱니부(151)에 대응하도록 사각 또는 삼각 형상의 톱니부(171)가 형성되고, 제2슬라이더(170)의 톱니부(171)가 제1슬라이더(150)의 톱니부(151)에 치합됨으로써 제1 및 제2 슬라이더(150, 170)는 그 결합 및 해제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슬라이더(150, 170)의 결합에 의해 제1 및 제2 슬라이더(150, 170)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104a, 104b)를 따라 슬라이딩작동한다.
한 쌍의 제2슬라이더(170) 각각에는 한 쌍의 와이어(W) 단부가 결합되고, 이에 한 쌍의 와이어(W)는 제2슬라이더(170)의 이동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이동할 수 있다.
한 쌍의 와이어(W)는 본체(100)의 일측 특히, 제2본체(102)의 단부를 통과하여 외측으로 연장된 후에, 각 와이어(W)는 내시경 튜브(미도시) 내의 와이어와 연결된다. 그리고, 각 와이어(W)가 통과하는 본체(100)의 일측 즉, 제2본체(102)의 단부에는 한 쌍의 스프링 수용홈(106)이 형성되고, 한 쌍의 스프링 수용홈(106) 각각에는 한 쌍의 스프링 튜브(107)가 각각 설치된다. 이에, 스프링 튜브(107)은 각 와이어(W)측에는 적절한 긴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전체(110)의 회전손잡이(11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적절히 회전시키면, 감기전동절(130)은 회전체(11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고, 이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슬라이더(150, 17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작동함으로써 한 쌍의 와이어(W)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내시경 튜브(미도시)의 굴절작동을 매우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제1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와이어(W)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내시경 튜브는 2방향의 굴절작동이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2실시예에 의하면, 본체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상부 본체(100)와 하부 본체(200)로 구성되고, 상부 본체(100) 및 하부 본체(200) 각각의 내부에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회전체, 감기전동절, 제1 및 제2 슬라이더 등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본체(100)의 회전손잡이(112)는 관통공(112b)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112b)측에는 하부 본체(200)의 회전손잡이(212)가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에, 상부 본체(100)의 회전손잡이(112)에 의해 한 쌍의 와이어(W)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내시경 튜브는 좌우 방향의 굴절작동이 조절될 수 있으며, 하부 본체(200)는 회전손잡이(212)에 의해 또 다른 한 쌍의 와이어(W)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하방향의 굴절작동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부 본체(100) 및 하부 본체(200) 각각에 의해 2 쌍의 와이어(W)가 개별적으로 조절됨에 따라 내시경 튜브는 4방향으로의 굴절작동이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100: 본체 110: 회전체
130: 감기전동절 150: 제1슬라이더
170: 제2슬라이더

Claims (5)

  1. 내시경 튜브 내에 내장되는 한 쌍 이상의 와이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내시경 튜브의 굴절작동을 조절하는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본체;
    상기 본체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손잡이가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치형이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치형에 치합됨으로써 감겨지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감기전동절;
    상기 감기전동절의 양단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슬라이더; 및
    상기 한 쌍의 제1슬라이더 측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각 와이어가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제2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각 와이어가 통과하는 본체의 일측 단부에는 한 쌍의 스프링 수용홈이 형성되고, 한 쌍의 스프링 수용홈 각각에는 각 와이어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스프링 튜브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1본체와 제2본체가 상하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본체는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본체는 상기 제2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내부에 내부 공간을 가지고,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회전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 수용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더가 개별적으로 가이드되는 가이드부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격벽에 의해 구획된 제1 및 제2 가이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손잡이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손잡이의 상부 외주면에는 복수의 면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더의 일면에는 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슬라이더의 일면에는 상기 제1슬라이더의 톱니부에 대응하는 톱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더는 그 톱니부들이 서로 치합됨으로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
KR20100077042A 2010-08-10 2010-08-10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 KR101206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7042A KR101206014B1 (ko) 2010-08-10 2010-08-10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
PCT/KR2011/005845 WO2012020987A2 (ko) 2010-08-10 2011-08-10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7042A KR101206014B1 (ko) 2010-08-10 2010-08-10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831A KR20120014831A (ko) 2012-02-20
KR101206014B1 true KR101206014B1 (ko) 2012-11-28

Family

ID=45568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77042A KR101206014B1 (ko) 2010-08-10 2010-08-10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06014B1 (ko)
WO (1) WO201202098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230A (ko) * 2019-09-11 2021-03-19 (주) 태웅메디칼 체인걸림 방지기능을 갖는 내시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20057B (zh) * 2017-08-12 2023-04-11 北京华信佳音医疗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采用齿条传动的内窥镜手柄
KR101923430B1 (ko) * 2018-02-13 2018-11-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
KR102325266B1 (ko) * 2019-09-11 2021-11-11 (주) 태웅메디칼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
DE102020118047A1 (de) 2020-07-08 2022-01-13 Karl Storz Se & Co. Kg Ablenksteuerungsmechanismus für ein lenkbares flexibles Endoskop, lenkbares flexibles Endoskop, Endoskopmontagesatz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flexiblen Endoskops
DE102020118048A1 (de) 2020-07-08 2022-01-13 Karl Storz Se & Co. Kg Ablenksteuerungsmechanismus für ein lenkbares flexibles Endoskop, lenkbares flexibles Endoskop, Endoskopmontagesatz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flexiblen Endoskops
KR102397647B1 (ko) * 2021-12-08 2022-05-16 주식회사 메디인테크 동력수용부를 가지는 내시경
KR102427943B1 (ko) * 2021-12-08 2022-08-03 주식회사 메디인테크 의료기기용 동력제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8010A (ja) * 1996-10-25 1998-05-12 Toshiba Corp 内視鏡のアングル操作装置
JP2000300511A (ja) * 1999-04-23 2000-10-31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
JP2004298446A (ja) * 2003-03-31 2004-10-28 Fuji Photo Optical Co Ltd 内視鏡
JP2009165722A (ja) * 2008-01-18 2009-07-30 Fujinon Corp 内視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8010A (ja) * 1996-10-25 1998-05-12 Toshiba Corp 内視鏡のアングル操作装置
JP2000300511A (ja) * 1999-04-23 2000-10-31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
JP2004298446A (ja) * 2003-03-31 2004-10-28 Fuji Photo Optical Co Ltd 内視鏡
JP2009165722A (ja) * 2008-01-18 2009-07-30 Fujinon Corp 内視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230A (ko) * 2019-09-11 2021-03-19 (주) 태웅메디칼 체인걸림 방지기능을 갖는 내시경
KR102325265B1 (ko) * 2019-09-11 2021-11-11 (주) 태웅메디칼 체인걸림 방지기능을 갖는 내시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831A (ko) 2012-02-20
WO2012020987A3 (ko) 2012-06-14
WO2012020987A2 (ko)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6014B1 (ko)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
KR102325266B1 (ko) 굴곡각도 조절이 가능한 착탈분리형 내시경
US10245114B2 (en) Medical manipulator
US8002696B2 (en) Endoscope system
KR101135597B1 (ko) 양방향 구동 마이크로 로봇 시스템
US20120220832A1 (en) Endoscope bending device
US20050240078A1 (en) Robotized laparoscopic system
US9351631B2 (en) Bending angle adjustment mechanism for endoscope and endoscope having the bending angle adjustment mechanism
JP6653044B2 (ja) 手術器具および手術システム
US10206560B2 (en) Shank for a flexible endoscope or a flexible endoscopic instrument
US20130190566A1 (en) Endoscope
US9271634B2 (en) Bending angle adjustment mechanism for endoscope
US9345388B2 (en) Driving force transmitting unit, insertion instrument, rotary unit, insertion body assembly, and insertion device
WO2014123245A1 (en) Manipulator
US20180184887A1 (en) Advanced 3-Dimensional Endoscopic System with Real Dynamic Convergence
KR101092461B1 (ko) 내시경의 굴절 조절장치
WO2016088504A1 (ja) 内視鏡
JP2009160204A (ja) 内視鏡湾曲操作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内視鏡
JP4526284B2 (ja) 内視鏡装置
JP2009279405A (ja) 湾曲管及び医療機器
JP3572975B2 (ja) 対物レンズ移動機構付き内視鏡
US20130345516A1 (en) Shank for a flexible endoscope or a flexible endoscopic instrument
JP3557936B2 (ja) 対物レンズ移動機構付き内視鏡
JP6905216B2 (ja) チェーンの引っ掛かり防止機能を有する内視鏡
KR101785073B1 (ko) 렌즈 회전이 가능한 내시경 카테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