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1230A - 체인걸림 방지기능을 갖는 내시경 - Google Patents

체인걸림 방지기능을 갖는 내시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1230A
KR20210031230A KR1020190112949A KR20190112949A KR20210031230A KR 20210031230 A KR20210031230 A KR 20210031230A KR 1020190112949 A KR1020190112949 A KR 1020190112949A KR 20190112949 A KR20190112949 A KR 20190112949A KR 20210031230 A KR20210031230 A KR 20210031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hain
connection blocks
endoscope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5265B1 (ko
Inventor
신경민
박성환
지현수
Original Assignee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웅메디칼 filed Critical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to KR1020190112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265B1/ko
Priority to JP2020144491A priority patent/JP6905216B2/ja
Priority to CN202010914780.6A priority patent/CN112472006B/zh
Priority to DE102020211128.6A priority patent/DE102020211128A1/de
Priority to US17/014,340 priority patent/US20210068619A1/en
Publication of KR20210031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2Constructional details of control elements, e.g.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66Proximal part of endoscope body, e.g.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10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the distal tip features being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1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modular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61B1/00128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mechanical, e.g. for tub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insertion parts, e.g. vertebr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7Constructional details of force transmission elements, e.g. contro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61B1/05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being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69Endoscope light sources at proximal end of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doscope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내시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조작부의 회전조작시 당김이동되면서 밀림이동되는 상,하부체인의 직선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부스프로켓의 회전운동을 상,하부체인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전환모듈은 상기 상부체인의 양단과 상기 조작부의 제1,2연결와이어의 각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1,2연결블럭과, 상기 하부체인의 양단과 상기 조작부의 제3,4연결와이어의 각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3,4연결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블럭과 제3연결블럭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3연결블럭의 활주이동을 안내하는 일정길이의 제1안내레일과, 상기 제2연결블럭과 제4연결블럭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4연결블럭의 활주이동을 안내하는 일정길이의 제2안내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2안내레일의 각 일단과 상기 제1,2연결블럭과의 사이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2연결와이어와 연결된 제1,2연결블럭을 삽입부 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제1,2코일스프링과, 상기 제1,2안내레일의 각 일단과 상기 제3,4연결블럭과의 사이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3,4연결와이어와 연결된 제3,4연결블럭을 삽입부 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제3,4코일스프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체인걸림 방지기능을 갖는 내시경{Endoscope with chain locking function}
본 발명은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삽입부의 선단을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굴곡작동시키는 조작부의 회전조작시 스프로켓에 길이중간이 감기어 양단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체인의 평행상태를 항상 직선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걸림을 방지하고, 회전조작을 정밀하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체인걸림 방지기능을 갖는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을 이용하는 수술은 인체를 크게 절개하지 않고 작은 구멍을 통해 카메라가 설치된 내시경과 수술도구를 삽입한 다음, 체내에서 내시경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통해 환자의 환부를 살피면서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복강경 수술에서부터 시작된 내시경 수술은 개복수술에 비하여 절개 부위가 작기 때문에 흉터부위도 작게 되고, 출혈도 적어 수술후 환자의 회복 시간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개복수술이 필요한 거의 모든 수술에 대하여 내시경 수술이 가능할 정도로 기술이 발전하였을 뿐만 아니라 다른 의료분야에서도 내시경 수술을 적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통상적인 내시경은 인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이를 제어하는 조작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다수의 관로 및 가이드들이 내장되어 있으며, 특히 체내에 삽입되는 삽입부 선단에 고가의 CCD와 같은 촬상 소자 등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부만을 조작부로부터 분리하여 새로 교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KR10-0673412 B1
(특허문헌 2) KR10-1091999 B1
(특허문헌 3) KR10-1783225 B1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근래 들어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내시경의 위생 기능을 보다 강화하는 추세에 맞추어 체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삽입부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서로 결합하여 연결사용하거나 서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내시경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들에 개시된 내시경에서 삽입부의 선단을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굴곡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조작손잡이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회전운동을 하는 스프로켓에 감기는 체인을 통하여 직선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킴으로써 상기 체인의 양단을 통하여 전달되는 외력을 이용하여 상기 삽입부의 선단 내부에 일단이 연결된 한쌍의 와이어를 직선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킨다.
이러한 한쌍로 이루어지는 와이어의 당김이나 밀림에 의해서 삽입부의 선단을 상하방향으로 굴곡작동시키거나 좌우방향으로 굴곡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10)와 결합된 조작부(20)에 구비되는 회전조작손잡이(29a,29b)의 스프로켓(25)에 감기는 체인(26)의 양단은 한쌍의 와이어(21,22)를 매개로 삽입부의 다른 와이어(11,22)와 각각 연결되어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서로 나란한 체인(26)의 당김이동과 밀림이동은 서로 반대로 동시에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스프로켓(25)의 회전운동을 체인(26)의 직선운동으로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전환구간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김이동 및 밀림이동되는 체인의 속도 및 거리가 서로 불일치되는 경우, 상기 체인(26)은 복수개의 링크부재가 서로 핀부재를 매개로 서로 링크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링크부재들간의 링크연결부위가 직선상으로 배열되지 않고 내측 또는 외측으로 꺽여지는 꺽임부위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체인의 꺽임부위가 조작부의 협소한 방향전환구간의 내부통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인접하는 다른 부재와의 간섭에 의한 소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꺽임부위에 의해서 회전조작손잡이의 회전량에 기인하는 체인의 당김이동량이나 밀림이동량의 정밀제어가 곤란해지면서 내시경 수술을 정밀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한편, 상기 꺽임부위가 필요이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경우 협착에 기인하는 조작불량을 초래하여 내시경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조작부의 회전조작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 왕복이동을 하는 체인에 탄성지지력과 같은 외력을 인위적으로 부여함으로써 스프로켓에 길이중간이 감기어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왕복이동을 하는 과정에서 체인의 꺽임이나 걸림을 방지하도록 직선상태를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체인 걸림방지 기능을 갖는 내시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조명촬영부를 선단에 구비하는 삽입부와, 회전축의 상,하부스프로켓에 길이중간이 감기는 상,하부체인을 갖추어 상기 삽입부의 선단을 굴곡작동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내시경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회전조작시 당김이동되면서 밀림이동되는 상기 상,하부체인의 직선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상,하부스프로켓의 회전운동을 상기 상,하부체인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전환모듈은, 상기 상부체인의 양단과 상기 조작부의 제1,2연결와이어의 각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1,2연결블럭과, 상기 하부체인의 양단과 상기 조작부의 제3,4연결와이어의 각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3,4연결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블럭과 제3연결블럭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3연결블럭의 활주이동을 안내하는 일정길이의 제1안내레일과, 상기 제2연결블럭과 제4연결블럭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4연결블럭의 활주이동을 안내하는 일정길이의 제2안내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2안내레일의 각 일단과 상기 제1,2연결블럭과의 사이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2연결와이어와 연결된 제1,2연결블럭을 삽입부 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제1,2코일스프링과, 상기 제1,2안내레일의 각 일단과 상기 제3,4연결블럭과의 사이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3,4연결와이어와 연결된 제3,4연결블럭을 삽입부 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제3,4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걸림방지기능을 갖는 내시경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2,3 및 4연결블럭은 상기 제1,2,3 및 4연결와이어의 각 일단에 구비되는 걸림부재와 걸림연결되도록 함몰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향전환모듈은 상기 제1안내레일과 제2안내레일과의 사이에 양단이 접하는 중간안내판과, 상기 제1,2연결블럭의 각 일측면과 접하는 중간안내판의 일측면에 올려져 조립되고 서로 나란한 상부체인사이에 위치되는 상부안내판 및 상기 제3,4연결블럭의 각 일측면과 접하는 중간안내판의 타측면에 올려져 조립되고 서로 나란한 하부체인사이에 위치하는 하부안내판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방향전환모듈은 상기 제1,2연결블럭과 제1,2연결와이어와의 연결부위를 덮으면서 상기 제1,2연결블럭의 일측면이 내부면에 접해지도록 상기 상부 안내판와 조립되는 상부마감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3,4연결블럭과 제3,4연결와이어와의 연결부위를 덮으면서 상기 제3,4연결블럭의 일측면이 내부면에 접해지도록 상기 하부 안내판과 조립되는 하부마감판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2코일스프링은 상기 제1,2연결블럭을 통하여 상부체인의 양단에 동일한 크기의 외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동일한 길이로 신장되어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상태로 연결되거나 상기 제3,4코일스프링은 상기 제3,4연결블럭을 통하여 하부체인의 양단에 동일한 크기의 외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동일한 길이로 신장되어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하부체인의 각 양단은 체인결합부를 매개로 상기 제1,2,3 및 4연결블럭의 각 일단과 결합되고, 상기 체인결합부는 상기 상,하부체인의 각 양단에 구비되어 회전조작되는 결합용 수나사와, 상기 결합용 수나사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제1,2연결블럭의 일단에 형성되는 결합용 암나사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하부스프로켓에 길이중간이 감기는 상,하부체인의 양단을 삽입부 측으로 향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1,2,3 및 4코일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조작부의 선택적인 회전에 의해서 직선방향으로 당김이동되면서 밀림이동되는 상,하부체인을 직선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개의 링크부재가 핀부재로 링크연결된 체인의 길이중간에 발생되는 꺽임부위와 타부재와의 접촉에 의한 소음발생 및 협착사고를 근복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상,하부스프로켓에 감기는 상,하부체인의 당김 및 밀림이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어 내시경 수술을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의료장비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인 걸림방지 기능을 갖는 내시경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인 걸림방지 기능을 갖는 내시경의 조작부에 구비되는 방향전환모듈과 제2착탈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인 걸림방지 기능을 갖는 내시경에 구비되는 방향전환모듈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인 걸림방지 기능을 갖는 내시경에 구비되는 방향전환모듈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인 걸림방지 기능을 갖는 내시경에 구비되는 방향전환모듈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인 걸림방지 기능을 갖는 내시경에 구비되는 방향전환모듈에서 상부체인의 양단과 제1,2연결블럭간의 연결상태를 구비되는 조절나사부
도 7a, 도 7b 및 도 7c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인 걸림방지 기능을 갖는 내시경에 구비되는 방향전환모듈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일반적인 내시경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1)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수술시 체내에 선단이 삽입되는 삽입부(10)와, 다수의 조작손잡이를 갖는 조작부(20), 내시경 제어관리 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니버셜 조인트(30) 및 내시경 수술전 상기 삽입부(10)와 조작부(20)를 서로 결합하여 기구적으로 연결하거나 내시경 수술후 상기 삽입부(10)와 조작부(20)를 서로 분리시키는 착탈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10)는 체내로 삽입되는 방향을 조절하도록 유연한 소재의 튜브소재로 이루어지고, 선단에 체내를 조명하는 광원과 촬영하는 이미지센서를 갖는 조명촬영부를 구비한다.
상기 조작부(20)는 체내로 삽입되는 삽입부의 선단을 상하방향으로 굴곡조작하는 상부조작손잡이(29a)와 좌우방향으로 굴곡조작하는 하부조작손잡이(29b)를 구비한다.
이러한 조작부(20)의 내부에는 상기 상,하부조작손잡이에 각각 구비되는 상,하부스프로켓(sprocket)(25,27)과 이에 연결되는 상,하부체인(26,28)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상,하부조작손잡이의 선택적인 회전운동을 선형운동으로 전환하게 되며, 상기 상,하부체인(26,28)의 각 양단은 상기 조작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연결와이어를 매개로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부 선단의 내부와 일단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작동와이어의 각 타단과 연결된다.
사용자에 의한 상,하부조작손잡이의 선택적인 회전에 의해서 회전되는 상,하부스프로켓에 길이중간이 감기는 상,하부체인을 통하여 삽입부내에 배치된 복수개의 작동와이어중 한쌍의 작동와이어를 당김이동시키면서 밀림이동시키는 선형운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상기 작동와이어의 선형 운동에 따라 상기 삽입부의 선단이 체내에서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굴곡되는 것이다.
상기 조작부에는 내시경 수술시 세척 및 소독을 위한 액체와 기체를 투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와 조작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조작부의 선단과 착탈유닛을 매개로 하여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삽입부의 후단에는 클립을 갖는 내시경 처치구와 같은 수술도구를 삽입부 내부로 진출입시키기 위한 출입구 및 이를 개폐하는 캡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인 걸림방지기능을 갖는 내시경(1)은 도 1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의 선택적인 회전조작시 당김이동되면서 밀림이동되는 상,하부체인(26,28)의 직선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상,하부스프로켓(25,27)의 회전운동을 상,하부체인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모듈(500)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향전환모듈(500)은 상기 삽입부(10)의 후단과 상기 조작부(20)의 선단과의 사이를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유닛을 포함하는 착탈분리형 내시경의 조작부(20)에 적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삽입부와 조작부가 서로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와이어와 작동와이어가 서로 연결된 하나의 와이어로 구비되는 일체형 내시경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착탈유닛은 상기 삽입부에 내부배치되는 제1착탈모듈과, 상기 조작부에 내부배치되는 제2착탈모듈을 갖추어 서로 분리된 삽입부와 조작부와의 대응결합시 상기 제1착탈모듈의 작동와이어와 상기 제2착탈모듈의 연결와이어를 서로 접속연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착탈모듈은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삽입부의 선단을 상하방향으로 굴곡조작하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2작동와이어와, 상기 제1,2작동와이어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삽입부의 선단을 좌우방향으로 굴곡조작하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제3,4작동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제2착탈모듈(200)은 상기 상부스프로켓에 감기는 상부체인의 양단과 연결되어 나란한 제1,2연결와이어(21,22)와, 상기 하부 스프로켓에 감기는 하부체인의 양단과 연결되어 나란한 제3,4연결와이어(23,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2연결와이어(21,22)는 도면상 삽입부 내부의 상측에 한쌍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2작동와이어(11,12)와 연동하여 상기 삽입부의 선단을 상하방향으로 굴곡작동시키는 한편, 상기 제3,4연결와이어(23,24)는 도면상 삽입부 내부의 하측에 한쌍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4작동와이어(13,14)와 연동하여 상기 삽입부의 선단을 좌우방향으로 굴곡작동시키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의 굴곡조작은 내시경 설계에 따라 서로 반대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부스프로켓의 회전은 상기 조작부에 구비되는 상,하부조작손잡이를 파지하는 작업자의 수동 회전조작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상,하부스프로켓과 조립된 회전축을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과 연결하여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조이스틱과 같은 별도의 원격조작수단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모듈(500)은 도 3, 도 4 및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스프로켓(25)에 길이중간이 감기어 나란한 상부체인(26)의 양단과 상기 제1,2연결와이어(21,22)의 각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1,2연결블럭(511,512)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스프로켓(27)에 길이중간이 감기어 나란한 하부체인(28)의 양단과 상기 제3,4연결와이어(23,24)의 각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3,4연결블럭(523,524)을 포함한다.
상기 제1,2,3 및 4연결블럭(511,512,523,524)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2,3 및 4연결와이어의 각 일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걸림부재(21a,22a,23a,24a)와 걸림연결되도록 함몰형성되는 걸림홈(511a,512a,523a,524a)을 구비한다.
상기 걸림홈은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되어 걸림배치되도록 외측으로 개구된 요홈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걸림홈이 형성되는 제1,2,3 및 4연결블럭(511,512,523,524)의 각 일측면에는은 와이어가 삽입배치되는 와이어 배치홈과 함몰형성한다.
상기 상,하부체인의 각 양단와 상기 제1,2,3 및 4연결블럭의 각 일단과의 사이에는 상기 걸림부재와 걸림홈과의 걸림연결 및 걸림해제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체인결합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체인결합부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체인(26)의 양단에 구비되어 회전조작되는 결합용 수나사(505)를 구비하고, 상기 제1,2연결블럭의 일단에 상기 결합용 수나사와 나사결합되는 결합용 암나사공(506)을 구비한다.
상기 제1,2연결블럭의 각 걸림홈(511a,512a)에 대략 T자형의 걸림부재(21a,22a)를 1차 걸림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용 수나사(505)의 잠김방향 회전에 의해서 해당하는 연결블럭을 체인 측으로 당김이동시켜 상기 걸림부재가 걸림홈으로부터 분리이탈이 발생되지 않도록 확고히 2차로 걸림부재를 걸림홈에 확고히 밀착시켜 걸림연결하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 결합용 수나사의 풀림방향 회전에 의해서 해당하는 연결블럭을 삽입부 측으로 밀림이동시켜 상기 걸림부재와 걸림홈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여 헐거워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걸림부재를 분리하여 상기 연결블럭과 연결와이어간의 걸림연결을 해제하면서 이들을 서로 분리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2,3 및 4연결블럭(511,512,523,524)과 제1,2,3 및 4연결와이어(21,22,23,24)는 해당하는 연결블럭의 단부와 해당하는 체인의 단부사이에 구비되는 체인결합부의 결합용 수나사부와 결합용 암나사공과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상기 걸림부재와 걸림홈과의 걸림연결 및 걸림해제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블럭(511)과 제3연결블럭(523)과의 사이에는 상기 상부체인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도면상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1,3연결블럭의 각 일측면과 접해지는 일정길이의 제1안내레일(531)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1안내레일은 상부조작손잡이의 선택적인 회전조작시 상기 제1,3연결블럭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김이동되고 밀림이동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제2연결블럭(512)과 제4연결블럭(524)과의 사이에는 상기 하부체인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도면상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4연결블럭의 각 일측면과 접해지는 일정길이의 제2안내레일(532)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2안내레일은 하부조작손잡이의 선택적인 회전조작시 상기 제2,3연결블럭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김이동되고 밀림이동되도록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 제1안내레일(531)과 제2안내레일(532)에 양단이 접하는 중간안내판(533)을 포함하고, 상기 제1,2연결블럭(511,512)의 각 일측면과 접하는 중간안내판의 일측면인 상부면에 올려져 조립되고 서로 나란한 상부체인(26)사이에 위치되는 상부안내판(534)을 포함하며, 상기 제3,4연결블럭(523,524)의 각 일측면과 접하는 중간안내판의 타측면인 하부면에 올려져 조립되고 서로 나란한 하부체인(28)사이에 위치하는 하부안내판(535)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안내레일과의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안내판(533)과, 상기 중간안내판의 양면에 구비되는 상,하부 안내판(534,535)에 의해서 상기 제1,2연결블럭 및 상부체인이 배치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안내이동되는 안내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3,4연결블럭 및 하부체인이 배치되어 이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안내이동되는 다른 안내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향전환모듈(500)은 상기 제1,2연결블럭(511,512)과 제1,2연결와이어와의 연결부위를 덮으면서 상기 제1,2연결블럭의 일측면이 내부면에 접해지도록 상기 상부 안내판(534)의 상부에 조립되는 상부마감판(536)을 포함하고, 상기 제3,4연결블럭(523,524)과 제3,4연결와이어(23,24)와의 연결부위를 덮으면서 상기 제3,4연결블럭의 일측면이 내부면에 접해지도록 상기 하부 안내판(535)의 하부에 조립되는 하부마감판(538)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마감판(538)에는 상기 제1,2,3 및 4연결와이어를 구비하는 제2착탈모듈과 조립하여 연결하기 위한 장착대(538a)를 일측단에 일정길이 연장하고, 상기 상,하부스프로켓에 길이중간이 감기는 상,하부체인의 감김부위를 덮는 체인덮개(537)를 상기 상,하부스프로켓과 대응하는 제1,2안내레일의 일단에 접하도록 구비한다.
한편, 상기 제1,2연결와이어(21,22)와 대응하는 제1,2안내레일(531,532)의 각 일단인 고정단과 상기 제1,2연결블럭(511,512)과의 사이에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양측으로 신장된 양단이 연결되는 제1,2코일스프링(501,502)을 각각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2코일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제1,2연결와이어와 연결된 제1,2연결블럭을 삽입부 측으로 일정세기의 외력으로 탄력지지함으로써 상기 상부스프로켓에 감기고 상기 제1,2연결블럭과 양단이 연결된 상부체인의 직선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조작부의 선택적인 회전시 서로 나란하게 직선상으로 배열되는 상부체인의 당김이동 및 밀림이동을 꺽임부위 발생없이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4연결와이어(23,24)와 대응하는 제1,2안내레일(531,531)의 각 일단인 고정단과 상기 제3,4연결블럭(523,524)과의 사이에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양측으로 신장된 양단이 연결되는 제3,4코일스프링(503,504)을 각각 구비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3,4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제3,4연결와이어와 연결된 제3,4연결블럭을 삽입부 측으로 일정세기의 외력으로 탄력지지함으로써 상기 하부스프로켓에 감기고 제3,4연결블럭과 양단이 연결된 하부체인의 직선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조작부의 선택적인 회전시 서로 나란하게 직선상으로 배열되는 허부체인의 당김이동 및 밀림이동을 꺽임부위 발생없이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2안내레일(531,532)의 일단인 고정단에는 상기 제1,2,3 및 4 코일스프링(501,502,503,504)의 각 일단이 걸림고정되는 걸림핀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핀을 위치고정하도록 상기 제1,2안내레일의 일단인 고정단에 조립되는 핀고정판(531a,532a)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2코일스프링(501,502)은 상기 제1,2연결블럭(511.512)을 통하여 상부체인의 양단에 동일한 크기의 외력을 전달하여 상부체인의 직선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2연결블럭과 제1,2안내레일과의 사이에서 양측이 동일한 길이로 신장된 상태로 연결되고, 이로 인하여 서로 동일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3,4코일스프링(503,504)은 상기 제3,4연결블럭(523.524)을 통하여 상기 하부체인의 양단에 동일한 외력을 전달하여 하부체인의 직선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3,4연결블럭과 제1,2안내레일과의 사이에서 양측이 동일한 길이로 신장된 상태로 연결되고, 이로 인하여 서로 동일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2코일스프링(501,502)의 각 양단과 상기 제3,4코일스프링(503,504)의 각 양단은 상기 상,하부체인에 동일한 크기의 외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동일한 크기의 길이로 신장된 상태에서 걸림연결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서로 다른 크기의 신장된 상태에서 걸림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스프로켓에 감기어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상부체인은 상기 제1,2연결블럭과 제1,2안내레일과의 사이에 양단이 걸림연결되는 제1,2코일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제1,2연결블럭과 더불어 삽입부 측으로 항상 일정세기의 외력으로 탄력지지되고, 이로 인하여 나란하게 배열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이동되는 상부체인의 평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스프로켓에 감기어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하부체인은 상기 제3,4연결블럭과 제1,2안내레일과의 사이에 양단이 걸림연결되는 제3,4코일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제3,4연결블럭과 더불어 삽입부 측으로 항상 일정세기의 외력으로 탄력지지되고, 이로 인하여 나란하게 배열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선이동되는 상부체인의 평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방향전환모듈(500)은 조작부의 선택적인 상,하부조작손잡이 중 어느 하나의 회전에 의해서 상,하부스프로켓 중 어느 하나의 스프로켓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이에 감기는 상,하부체인중 어느 하나의 체인의 양단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김이동시키면서 밀림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상,하부체인의 선택적인 직선이동에 연동하여 와이어를 당김이동시키고 밀림이동시킴으로써 체내에 삽입된 삽입부의 선단을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굴곡작동시키면서 내시경 수술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방향전환모듈(500)의 제1,2연결블럭(511,512)은 도 7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안내레일의 일단인 고정단과의 사이에서 양측으로 신장된 상태로 연결되는 제1,2코일스프링(501,502)의 탄성복원력에 기인하는 외력에 의해서 도면상 우측인 삽입부 측 탄력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스프로켓(25)에 길이중간이 감기는 상부체인(26)의 나머지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나란하게 배열대기됨에 따라 서로 평행하면서 직선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2연결블럭(511,512)은 서로 동일한 위치에서 대기하게 된다.
이러한 초기 대기상태에서 상기 조작부의 선택적인 회전조작에 의해서 도 7b 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회전축의 상부스프로켓이 일방향,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연결블럭(511)은 이에 연결된 제1연결와이어와 더불어 조작부 측으로 일정거리 당김이동되는 반면에 상기 제2연결블럭(512)은 이에 연결된 제2연결와이어와 더불어 삽입부 측으로 상기 제1연결블럭의 당김이동거리와 상응하는 일정거리로 밀림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1연결블럭(511)과 제1안내레일(531)과의 사이에 양단이 연결된 제1코일스프링(501)의 전체길이는 초기 대기상태보다 양측으로 당김이동거리 만큼 늘어나면서 탄성복원력이 증가되는 반면에, 상기 제2연결블럭(512)과 제2안내레일(532)과의 사이에 양단이 연결된 제2코일스프링(502)의 전체길이는 초기 대기상태보다 밀림이동거리 만큼 상대적으로 줄어들면서 탄성복원력은 감소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2코일스프링에서 발생되는 탄성복원력은 서로 상이하게 되지만, 상기 탄성복원력에 기인하는 외력이 상기 상부스프로켓에 감기어 삽입부 측으로 밀림이동되는 상부체인에 전달되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밀림이동되어 길게 연장되는 상부체인의 직선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반대로 상기 조작부의 선택적인 회전조작에 의해서 도 7c 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회전축의 상부스프로켓이 역방향,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2연결블럭(512)은 이에 연결된 제2연결와이어와 더불어 조작부 측으로 일정거리 당김이동되는 반면에 상기 제1연결블럭(511)은 이에 연결된 제1연결와이어와 더불어 삽입부 측으로 상기 제2연결블럭의 당김이동거리와 상응하는 일정거리로 밀림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2연결블럭(512)과 제2안내레일(532)과의 사이에 양단이 연결된 제2코일스프링(502)의 전체길이는 초기 대기상태보다 양측으로 당김이동거리 만큼 늘어나면서 탄성복원력이 증가되는 반면에, 상기 제1연결블럭(511)과 제1안내레일(521)과의 사이에 양단이 연결된 제1코일스프링(501)의 전체길이는 초기 대기상태보다 밀림이동거리 만큼 줄어들면서 탄성복원력은 감소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2코일스프링에서 발생되는 탄성복원력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서로 상이하게 되지만, 상기 탄성복원력에 기인하는 외력이 상기 하부스프로켓에 감기어 삽입부 측으로 밀림이동되는 하부체인에 전달되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밀림이동되어 길게 연장되는 상부체인의 직선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2코일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기인하는 외력이 상기 조작부의 선택적인 회전조작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김이동되면서 밀림이동되는 상부체인에 전달함으로써 상부체인의 직선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체인의 링크연결부위가 불필요하게 꺽여져 타부재와 협착되거나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상부체인의 당김이동 및 밀림이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작부의 하부조작손잡이에 의해서 하부스프로켓에 감기는 하부체인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김이동되면서 밀림이동되는 동안 제3,4코일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기인하는 외력을 하부체인에 인가함으로써 서로 나란한 하부체인을 직선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상부체인과 서로 동일한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내시경
21,22,23,24 : 제1,2,3 및 4연결와이어
25,27 : 상,하부스프로켓
26,28 : 상,하부체인
500 : 방향전환모듈
501,502,503,504 : 제1,2,3 및 4코일스프링
511,512 : 제1,2연결블럭
523,524 : 제3,4연결블럭
531,532 : 제1,2안내레일
533 : 중간안내판
534,535 : 상,하부안내판

Claims (7)

  1. 조명촬영부를 선단에 구비하는 삽입부와, 회전축의 상,하부스프로켓에 길이중간이 감기는 상,하부체인을 갖추어 상기 삽입부의 선단을 굴곡작동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내시경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회전조작시 당김이동되면서 밀림이동되는 상기 상,하부체인의 직선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상,하부스프로켓의 회전운동을 상기 상,하부체인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전환모듈은 상기 상부체인의 양단과 상기 조작부의 제1,2연결와이어의 각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1,2연결블럭과, 상기 하부체인의 양단과 상기 조작부의 제3,4연결와이어의 각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3,4연결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블럭과 제3연결블럭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3연결블럭의 활주이동을 안내하는 일정길이의 제1안내레일과, 상기 제2연결블럭과 제4연결블럭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4연결블럭의 활주이동을 안내하는 일정길이의 제2안내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2안내레일의 각 일단과 상기 제1,2연결블럭과의 사이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2연결와이어와 연결된 제1,2연결블럭을 삽입부 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제1,2코일스프링과, 상기 제1,2안내레일의 각 일단과 상기 제3,4연결블럭과의 사이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3,4연결와이어와 연결된 제3,4연결블럭을 삽입부 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제3,4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걸림방지기능을 갖는 내시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 및 4연결블럭은 상기 제1,2,3 및 4연결와이어의 각 일단에 구비되는 걸림부재와 걸림연결되도록 함몰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걸림방지기능을 갖는 내시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모듈은 상기 제1안내레일과 제2안내레일과의 사이에 양단이 접하는 중간안내판과, 상기 제1,2연결블럭의 각 일측면과 접하는 중간안내판의 일측면에 올려져 조립되고 서로 나란한 상부체인사이에 위치되는 상부안내판 및 상기 제3,4연결블럭의 각 일측면과 접하는 중간안내판의 타측면에 올려져 조립되고 서로 나란한 하부체인사이에 위치하는 하부안내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걸림방지기능을 갖는 내시경.
  4. 제3항에 있어
    상기 방향전환모듈은 상기 제1,2연결블럭과 제1,2연결와이어와의 연결부위를 덮으면서 상기 제1,2연결블럭의 일측면이 내부면에 접해지도록 상기 상부 안내판과 조립되는 상부마감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3,4연결블럭과 제3,4연결와이어와의 연결부위를 덮으면서 상기 제3,4연결블럭의 일측면이 내부면에 접해지도록 상기 하부 안내판과 조립되는 하부마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걸림방지기능을 갖는 내시경.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코일스프링은 상기 제1,2연결블럭을 통하여 상부체인의 양단에 동일한 크기의 외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동일한 길이로 신장되어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걸림방지기능을 갖는 내시경.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3,4코일스프링은 상기 제3,4연결블럭을 통하여 하부체인의 양단에 동일한 크기의 외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동일한 길이로 신장되어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걸림방지기능을 갖는 내시경.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체인의 각 양단은 체인결합부를 매개로 상기 제1,2,3 및 4연결블럭의 각 일단과 결합되고, 상기 체인결합부는 상기 상,하부체인의 각 양단에 구비되어 회전조작되는 결합용 수나사와, 상기 결합용 수나사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제1,2연결블럭의 일단에 형성되는 결합용 암나사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걸림방지기능을 갖는 내시경.
KR1020190112949A 2019-09-11 2019-09-11 체인걸림 방지기능을 갖는 내시경 KR102325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949A KR102325265B1 (ko) 2019-09-11 2019-09-11 체인걸림 방지기능을 갖는 내시경
JP2020144491A JP6905216B2 (ja) 2019-09-11 2020-08-28 チェーンの引っ掛かり防止機能を有する内視鏡
CN202010914780.6A CN112472006B (zh) 2019-09-11 2020-09-03 具有防链条卡定功能的内窥镜
DE102020211128.6A DE102020211128A1 (de) 2019-09-11 2020-09-03 Endoskop mit einer funktion zur verhinderung einer kettenverklemmung
US17/014,340 US20210068619A1 (en) 2019-09-11 2020-09-08 Endoscope having chain locking preven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949A KR102325265B1 (ko) 2019-09-11 2019-09-11 체인걸림 방지기능을 갖는 내시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230A true KR20210031230A (ko) 2021-03-19
KR102325265B1 KR102325265B1 (ko) 2021-11-11

Family

ID=74644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949A KR102325265B1 (ko) 2019-09-11 2019-09-11 체인걸림 방지기능을 갖는 내시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068619A1 (ko)
JP (1) JP6905216B2 (ko)
KR (1) KR102325265B1 (ko)
CN (1) CN112472006B (ko)
DE (1) DE1020202111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41046A1 (en) * 2019-10-07 2022-08-1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Endoscopic device with interchangeable shaft
CN114366303B (zh) * 2021-12-27 2024-03-15 北京双翼麒电子有限公司 一种内窥镜机器人和内窥镜操作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014B1 (ko) * 2010-08-10 2012-11-28 이성용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0021A (en) * 1993-02-05 1994-06-14 Heintz Farrell E Universal chain wrench and tools
AU2003259483A1 (en) * 2002-10-11 2004-05-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ntrol mechanism for an endoscope
JP4875364B2 (ja) * 2006-01-13 2012-02-15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回転自走式内視鏡
KR100673412B1 (ko) * 2006-07-03 2007-01-24 주식회사 액츠비전 착탈이 용이한 삽입부를 구비한 의료용 내시경
JP5840033B2 (ja) * 2012-03-02 2016-01-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EP2837320A4 (en) * 2012-04-12 2016-03-16 Olympus Corp Borescope
EP2837323B1 (en) * 2012-10-24 2017-01-04 Olympus Corporation Bending operation apparatus for endoscope and endoscope including the bending operation apparatus
WO2015166877A1 (ja) * 2014-04-28 2015-11-0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挿入機器の操作機構、挿入機器
JP5959765B2 (ja) * 2014-05-15 2016-08-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JP5945642B2 (ja) * 2014-06-24 2016-07-0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の湾曲操作機構
JP6407495B2 (ja) * 2016-10-25 2018-10-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CN107320057B (zh) * 2017-08-12 2023-04-11 北京华信佳音医疗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采用齿条传动的内窥镜手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014B1 (ko) * 2010-08-10 2012-11-28 이성용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72006B (zh) 2023-06-23
JP6905216B2 (ja) 2021-07-21
CN112472006A (zh) 2021-03-12
KR102325265B1 (ko) 2021-11-11
US20210068619A1 (en) 2021-03-11
DE102020211128A1 (de) 2021-03-11
JP2021041156A (ja)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2006B2 (en) Detachable endoscope with adjustable bending angle
KR102110353B1 (ko) 분리형 프로브를 갖는 내시경
US6554766B2 (en) Endoscope device
EP3345552B1 (en) Natural channel-based microsurgical device
KR101509275B1 (ko) 의료용 머니퓰레이터
KR102190216B1 (ko) 착탈분리형 내시경
US11642007B2 (en) Detachable endoscope having wire buffer function
JP2002078675A (ja) 電動アングル式電子内視鏡装置
US20140012087A1 (en) Endoscope
KR102110352B1 (ko) 분리형 프로브를 갖는 내시경
KR20210031230A (ko) 체인걸림 방지기능을 갖는 내시경
JP2003061900A (ja) 内視鏡装置
RU2752456C2 (ru) Роботизированная хирург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KR102161974B1 (ko) 착탈분리형 내시경
US9339168B2 (en) Endoscope operation portion structure
JP6858954B2 (ja) 内視鏡システム
JP4433107B2 (ja) 内視鏡のアングル操作ワイヤの案内装置
KR20230110095A (ko) 십이지장용 착탈형 내시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