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430B1 -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 - Google Patents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430B1
KR101923430B1 KR1020180017705A KR20180017705A KR101923430B1 KR 101923430 B1 KR101923430 B1 KR 101923430B1 KR 1020180017705 A KR1020180017705 A KR 1020180017705A KR 20180017705 A KR20180017705 A KR 20180017705A KR 101923430 B1 KR101923430 B1 KR 101923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bending
wire
bending contro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철
송동진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비엠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비엠에이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7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430B1/ko
Priority to PCT/KR2018/002297 priority patent/WO201916018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2Constructional details of control elements, e.g.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7Constructional details of force transmission elements, e.g. contro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18Steering mechanisms
    • A61B2017/00323Cables or r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12)의 상부에서 회동/잠금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간(S)을 구비한 본체(10),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테터(20), 본체(10)의 상부에서 회동축(14)을 중심으로 정역회전에 의하여 커테터(20)의 선단부가 인장력에 의하여 굴곡되도록 하기 위한 와이어(W: W1, W2)가 결합되는 굴곡 조절부(30), 굴곡 조절부(30)에 대하여 역회전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제1 탄성부(40), 및 굴곡 조절부(30)에 대하여 탄성력의 인가에 의하여 래치되어 굴곡 조절부(30)를 회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회동 잠금부(50)로 이루어지는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Convenience improved medical device with bidirectional bending function}
본 발명은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 소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내시경용 의료기기에 있어서 간편한 조작으로 카테터 끝단이 단방향 뿐만 아니라 S 자와 같은 양방향으로 굴곡이 가능함과 동시에 조작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에 관한 것이다.
담도 내시경 또는 췌담도 내시경 의료장비는 십이지장, 유두부(ampulla of Vater), 담관, 담낭 및 췌장 등을 관찰하기 위한 검사나 시술을 위한 장비로서, 내시경을 십이지장까지 넣은 후 담즙 또는 췌장액이 십이지장으로 배출되는 조그마한 구멍(유두개구부)에 가느다란 관을 넣은 다음 X선 촬영을 할 수 있는 약을 넣은 다
음 사진을 촬영하는 검사로 일반적인 상부소화관내시경 검사보다 시간도 더 걸리고 보다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하는 검사이다. 일반적으로 담관의 삽관은 유두부를 정면으로 보았을 때 11시~12시 방향에서 이루어지고, 췌관의 삽관은 1시~2시 방향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지만 환자마다 췌담관 합류 방식에 변화가 있을 수 있어서 삽관 위치가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시술은 담도, 담낭, 췌장, 유두부에서 발생한 다양한 질병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 실시되고 있으며, 담도결석, 담도암, 만성 또는 급성 췌장염, 췌장암, 담도나 췌장의 선천성 기형 등의 다양한 질환의 진단이나 치료를 위해 널리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내시경용 의료장비와 관련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1283717호와 등록특허공보 제10-0767155호 및 등록특허공보 제10-1602558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a와 1b는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종래 내시경용 의료장비의 개략도와 그 작용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1a와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핸들을 조작하여 카테터 선단부에 위치한 와이어를 당김으로써 카테터의 선단부가 일방향으로 굴곡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슬라이딩 방식의 내시경용 의료장비의 경우 슬라이딩으로 카테터의 선단부를 굴곡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손바닥과 손가락에 상당한 긴장력이 인가될 뿐만 아니라 조작의 피로도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슬라이딩 방식의 내시경용 의료장비의 경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만 카테터의 선단부가 굴곡된다. 이와 같이 종래 내시경용 의료장비의 경우 한 방향으로만 굽어지므로 선천적 기형으로 췌담관이 S자인 환자는 시술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절개방향의 제어가 어려워 장출혈 및 장천공 등 부작용 발생의 위험성이 증대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시경용 의료장비를 이용한 검사와 시술에 있어서 조작자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편한 조작으로 카테터 끝단이 단방향 뿐만 아니라 S 자와 같은 양방향으로 굴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12)의 상부에서 회동/잠금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간(S)을 구비한 본체(10),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테터(20), 본체(10)의 상부에서 회동축(14)을 중심으로 정역회전에 의하여 커테터(20)의 선단부가 인장력에 의하여 굴곡되도록 하기 위한 와이어(W: W1, W2)가 결합되는 굴곡 조절부(30), 굴곡 조절부(30)에 대하여 역회전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제1 탄성부(40), 및 굴곡 조절부(30)에 대하여 탄성력의 인가에 의하여 래치되어 굴곡 조절부(30)를 회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회동 잠금부(50)로 이루어지는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본체(10)는 손가락의 엄지와 중지이하의 손가락에 의하여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12), 손잡이(12)의 상부에 마련된 공간(S) 내에 굴곡 조절부(30)가 회동의 회동을 가능하도록 하게 하기 위한 회동축(14), 및 굴곡 조절부(30)의 회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보조 회동축(1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테터(20)는 굴곡 조절부(30)의 정역회전에 따라 와이어(W: W1, W2)가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통공(미도시)을 구비하며, 와이어(W: W1, W2)는 굴곡 조절부(30)에 회동축(14)을 따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와이어(W1)와 제2 와이어(W2)로 이루어지며, 제1 와이어(W1)의 일단부는 회동축(14)을 따라 회동되는 회전부재(32)를 매개하여 굴곡 조절부(30)의 상부 선단부(34)에 결합되며, 제2 와이어(W2)의 일단부는 굴곡 조절부(30)의 역방향 회전시 회동축(14)을 따라 회동되는 회전부재(32)를 매개하여 회전부재(32)의 역회전방향으로 감기도록 회전부재(32)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와이어(W1)는 그 타단부가 커테터(20)의 선단부에서 와이어 고정부(22)에 고정되며, 커테터(20)의 선단부 근처에서 제1 와이어(W1)가 부분적으로 노출되기 위한 제1 개구 영역(24)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와이어(W2)는 그 타단부가 커테터(20)의 선단부에서 와이어 고정부(22)에 고정되며, 커테터(20)의 단부는 제1 개구 영역(24) 보다 작은 개구 길이를 갖는 개구 영역으로 이루어진 제2 개구영역(26)을 제1 개구 영역(24)의 반대편에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굴곡 조절부(30)는 회동축(14)에 대하여 회동되는 회전부재(32), 회동축(14)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로 돌출된 선단부(34), 선단부(34)의 반대측으로 본체(10)에 대하여 노출되는 방아쇠부(36), 회동 잠금부(50)에 대응하여 치합되기 위한 기어부(38)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동 잠금부(50)는 굴곡 조절부(30)의 기어부(38)에 대하여 일단이 치합되기 위하여 본체(10)에 대하여 타단이 회동 결합되는 래치(62), 제2 탄성부(60)의 탄성 가압되는 면에 반대면에서 편심회전에 의하여 래치(62)를 기립시킴으로써 굴곡 조절부(30)의 기어부(38)에 대하여 래치(62)의 치합이 해제되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10)에 결합되는 편심 회동부(64), 편심 회동부(64)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부(66)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탄성부(60)는 래치(62)의 상부에서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부는 본체(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내시경용 의료장비를 이용한 검사와 시술에 있어서 조작자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작으로 카테터 끝단이 S 자와 같은 양방향으로 굴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a는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종래 내시경용 의료장비의 개략도이다.
도 1b는 종래 내시경용 의료장비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의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본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에 있어서 굴곡 조절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에 있어서 커테터의 선단부에 대한 개략적인 종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에 있어서 굴곡 조절부의 동작에 따른 커테터의 움직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의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그 내부 구성을 나타낸 본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는 굴곡 조절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는 커테터의 선단부에 대한 개략적인 종 단면도이며, 도 6은 굴곡 조절부의 동작에 따른 커테터의 움직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에 의하면, 손잡이(12)의 상부에서 회동과 그 잠금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간(S)을 구비한 본체(10),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테터(20), 본체(10)의 상부에서 회동축(14)을 중심으로 정역회전 회동되며 커테터(20)의 선단부가 인장력에 의하여 굴곡되도록 하기 위한 와이어(W: W1, W2)가 결합되는 굴곡 조절부(30), 굴곡 조절부(30)에 대하여 역회전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제1 탄성부(40), 및 굴곡 조절부(30)에 대하여 탄성력의 인가에 의하여 래치되어 굴곡 조절부(30)를 회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회동 잠금부(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체(10)는 손가락의 엄지와 중지이하의 손가락에 의하여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12), 손잡이(12)의 상부에 마련된 공간(S) 내에 굴곡 조절부(30)가 회동의 회동을 가능하도록 하게 하기 위한 회동축(14), 및 굴곡 조절부(30)의 회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보조 회동축(16)을 구비한다.
커테터(20)는 굴곡 조절부(30)의 정역회전에 따라 와이어(W: W1, W2)가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통공(미도시)을 구비한다.
와이어(W: W1, W2)는 굴곡 조절부(30)에 회동축(14)을 따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와이어(W1)와 제2 와이어(W2)로 이루어진다.
제1 와이어(W1)는 굴곡 조절부(30)의 정방향 회전에 대하여 정방향으로 진행하며, 이 때 제1 와이어(W1)의 일단부는 회동축(14)을 따라 회동되는 회전부재(32)를 매개하여 굴곡 조절부(30)의 상부 선단부(34)에 결합된다.
제2 와이어(W2)는 굴곡 조절부(30)의 역방향 회전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진행하며, 제2 와이어(W2)의 일단부는 굴곡 조절부(30)의 역방향 회전시 회동축(14)을 따라 회동되는 회전부재(32)를 매개하여 회전부재(32)의 역회전방향으로 감기도록 회전부재(32)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와이어(W1)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타단부가 커테터(20)의 선단부에서 와이어 고정부(22)에 고정된다. 이 때, 제1 와이어(W1)가의 정방향으로 이동할 때 커테터(20)의 단부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질 수 있도록 커테터(20)의 선단부 근처에서 제1 와이어(W1)가 부분적으로 노출되기 위한 제1 개구 영역(24)을 가진다.
제2 와이어(W2)는 그 타단부가 커테터(20)의 선단부에서 와이어 고정부(22)에 고정된다. 이 때, 제1 와이어(W1)의 정방향 이동에 의하여 제1 방향으로 굴곡된 상태에서 제2 와이어(W2)가 굴곡 조절부(30)의 역방향 회전에 의하여 인장될 때 커테터(20)의 선단부가 제1 방향으로 굴곡된 상태에서 제1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휘어진다. 이 때, 커테터(20)의 선단부가 제1 방향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커테터(20)의 선단부에는 제2 와이어(W2)가 이동될 수 있는 통공(SS)이 더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른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에 의하면, 제1 와이어(W1)의 정방향 이동에 의하여 제1 방향으로 굴곡된 상태에서 제2 와이어(W2)가 굴곡 조절부(30)의 역방향 회전에 의하여 인장될 때 커테터(20)의 선단부가 제1 방향으로 굴곡된 상태에서 제1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보다 큰 각도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테터(20)의 단부는 제1 개구 영역(24) 보다 작은 개구 길이를 갖는 개구 영역으로 이루어진 제2 개구영역(26)을 제1 개구 영역(24)의 반대편에 더 구비한다.
굴곡 조절부(30)는 회동축(14)에 대하여 회동되는 회전부재(32), 회동축(14)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로 돌출된 선단부(34), 선단부(34)의 반대측으로 본체(10)에 대하여 노출되는 방아쇠부(36), 회동 잠금부(50)에 대응하여 치합되기 위한 기어부(38)로 이루어진다.
굴곡 조절부(30)의 회전부재(32)의 외주연에는 제2 와이어(W2)의 일단부가 고정된다. 굴곡 조절부(30)의 선단부(34)에는 제1 와이어(W1)의 일단부가 회동축(14)을 따라 회동되는 회전부재(32)를 매개하여 굴곡 조절부(30)의 상부 선단부(34)에 결합된다. 굴곡 조절부(30)의 기어부(38)는 회동축(14)과 동심원을 갖는 원주면으로 기어가 형성된다. 굴곡 조절부(30)의 방아쇠부(36)는 선단부(34)의 반대측으로 본체(10)에 대하여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방아쇠부(36)가 탄성적으로 손잡이(12)의 외측으로 가압되도록 하기 위한 제1 탄성부(40)가 구속결합되기 위한 걸쇠(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제1 탄성부(40)는 굴곡 조절부(30)에 대하여 역회전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부재,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은 굴곡 조절부(30)의 방아쇠부(36)에 고정결합되며, 타단은 본체(10)에 고정결합된다.
회동 잠금부(50)는 굴곡 조절부(30)의 기어부(38)에 대하여 일단이 치합되기 위하여 본체(10)에 대하여 타단이 회동 결합되는 래치(62), 제2 탄성부(60)의 탄성 가압되는 면에 반대면에서 편심회전에 의하여 래치(62)를 기립시킴으로써 굴곡 조절부(30)의 기어부(38)에 대하여 래치(62)의 치합이 해제되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10)에 결합되는 편심 회동부(64), 편심 회동부(64)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부(66)로 이루어진다.
회동 잠금부(50)의 회전 구동부(66)는 본체(10)의 외측에 구비되며, 편심 회동부(64)에 동축 결합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손잡이(12)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 구동부(66)을 엄지손가락으로 정회전이나 역회전시킴으로써 회동 잠금부(50)의 잠금과 해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2 탄성부(60)는 래치(62)의 상부에서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부는 본체(10)에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심 회동부(64)에 의하면, 손잡이(12)를 파지한 상태에서 굴곡 조절부(30)의 방아쇠부(36)가 역방향으로 제1 탄성부(40)에 의하여 가압을 유지하며, 방아쇠부(36)를 제1 탄성부(40)의 가압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압할 경우 제1 와이어(W1)가 커테터(20)의 단부로부터 인장된다. 이와 같이 인장된 상태에서 회전 구동부(66)의 회전에 의하여 굴곡 조절부(30)는 일정 위치에 공정되며, 그에 따라 커테터(20)의 선단부는 특정한 굴곡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간편하게 내시경용 의료장비를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테터(20)의 선단부가 원하는 굴곡의 형태를 용이하게 가지도록 할 수 있다.
10: 본체
12: 손잡이
14: 회동축
16: 보조 회동축
20: 커테터
22: 와이어 고정부
24: 제1 개구 영역
30: 굴곡 조절부
32: 회전부재
34: 선단부
36: 방아쇠부
38: 기어부
40: 제1 탄성부
50: 회동 잠금부
60: 제2 탄성부
62: 래치
64: 편심 회동부
S: 공간
W: 와이어
W1: 제1 와이어
W2: 제2 와이어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손잡이(12)의 상부에서 회동 및 잠금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간(S)을 구비한 본체(10);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테터(20);
    본체(10)의 상부에서 회동축(14)을 중심으로 정역회전에 의하여 커테터(20)의 선단부가 인장력에 의하여 굴곡되도록 하기 위한 와이어(W: W1, W2)가 결합되는 굴곡 조절부(30);
    굴곡 조절부(30)에 대하여 역회전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제1 탄성부(40); 및
    굴곡 조절부(30)에 대하여 탄성력의 인가에 의하여 래치되어 굴곡 조절부(30)를 회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회동 잠금부(50)로 이루어지며,
    커테터(20)는 굴곡 조절부(30)의 정역회전에 따라 와이어(W: W1, W2)가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통공(미도시)을 구비하며, 와이어(W: W1, W2)는 굴곡 조절부(30)에 회동축(14)을 따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와이어(W1)와 제2 와이어(W2)로 이루어지며,
    제1 와이어(W1)의 일단부는 회동축(14)을 따라 회동되는 회전부재(32)를 매개하여 굴곡 조절부(30)의 상부 선단부(34)에 결합되며,
    제2 와이어(W2)의 일단부는 굴곡 조절부(30)의 역방향 회전시 회동축(14)을 따라 회동되는 회전부재(32)를 매개하여 회전부재(32)의 역회전방향으로 감기도록 회전부재(32)에 결합되며,
    제1 와이어(W1)는 그 타단부가 커테터(20)의 선단부에서 와이어 고정부(22)에 고정되며, 커테터(20)의 선단부 근처에서 제1 와이어(W1)가 부분적으로 노출되기 위한 제1 개구 영역(24)을 가지며,
    굴곡 조절부(30)는 회동축(14)에 대하여 회동되는 회전부재(32), 회동축(14)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로 돌출된 선단부(34), 선단부(34)의 반대측으로 본체(10)에 대하여 노출되는 방아쇠부(36), 회동 잠금부(50)에 대응하여 치합되기 위한 기어부(38)로 이루어지며,
    회동 잠금부(50)는 굴곡 조절부(30)의 기어부(38)에 대하여 일단이 치합되기 위하여 본체(10)에 대하여 타단이 회동 결합되는 래치(62), 제2 탄성부(60)의 탄성 가압되는 면에 반대면에서 편심회전에 의하여 래치(62)를 기립시킴으로써 굴곡 조절부(30)의 기어부(38)에 대하여 래치(62)의 치합이 해제되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10)에 결합되는 편심 회동부(64), 편심 회동부(64)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부(6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제2 탄성부(60)는 래치(62)의 상부에서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부는 본체(1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
KR1020180017705A 2018-02-13 2018-02-13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 KR101923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705A KR101923430B1 (ko) 2018-02-13 2018-02-13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
PCT/KR2018/002297 WO2019160186A1 (ko) 2018-02-13 2018-02-25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705A KR101923430B1 (ko) 2018-02-13 2018-02-13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430B1 true KR101923430B1 (ko) 2018-11-29

Family

ID=64566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705A KR101923430B1 (ko) 2018-02-13 2018-02-13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3430B1 (ko)
WO (1) WO20191601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543A (ko) * 2020-12-09 2022-06-16 (주)이롭 손의 피로도를 저감시키는 의료용 그래스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825B1 (ko) * 2010-11-18 2011-09-14 정창욱 최소 침습 수술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0785B2 (ja) * 2000-02-28 2003-09-29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内視鏡の操作ワイヤ駆動機構
JP4755047B2 (ja) * 2006-08-08 2011-08-24 テルモ株式会社 作業機構及びマニピュレータ
KR101206014B1 (ko) * 2010-08-10 2012-11-28 이성용 내시경 튜브 굴절조절장치
KR20150056241A (ko) * 2013-11-15 2015-05-26 미라클스코프(주) 내시경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825B1 (ko) * 2010-11-18 2011-09-14 정창욱 최소 침습 수술 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543A (ko) * 2020-12-09 2022-06-16 (주)이롭 손의 피로도를 저감시키는 의료용 그래스퍼
KR102560361B1 (ko) * 2020-12-09 2023-07-27 (주)이롭 손의 피로도를 저감시키는 의료용 그래스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60186A1 (ko)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5755B2 (ja) 内視鏡
US10028643B2 (en) Endoscope apparatus
US6899673B2 (en) Endoscope
KR101822606B1 (ko) 의료용 스네어 장치
US10485403B2 (en) Endoscope apparatus
KR20090061046A (ko) 외과용 기구
JP2011172766A (ja) トルク伝達デバイス
JPWO2007055032A1 (ja) 経内視鏡的に診断又は処置する方法及び医療デバイス
JP2002177198A (ja) 内視鏡
WO2005122865A1 (ja) 内視鏡及び内視鏡用湾曲操作補助部材
CN111727017A (zh) 处置器具、内窥镜装置、内窥镜系统及处置方法
CN111212589B (zh) 内窥镜系统
US10058234B2 (en) Surgeon controlled endoscope device and method
US11701498B2 (en) Guide wire gripping unit
US11911020B2 (en) Needle holder for endoscope, suture set, and suture system
JP5747365B1 (ja) 挿入機器及び内視鏡
KR101923430B1 (ko) 양방향 굴곡 기능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내시경용 의료기기
JP3255761B2 (ja) 内視鏡
KR100881811B1 (ko) 내시경, 내시경용 만곡 조작 보조 부재 및 1세트의 만곡 조작 노브
CN116636921A (zh) 处置器具
JP4766792B2 (ja) 内視鏡
US10016123B2 (en) Method of inserting treatment tool
US20210015348A1 (en) Endoscopic tool stabilization and related methods of use
JP3555356B2 (ja) 可撓コードを持った医療器具のガイド装置
CN116709966A (zh) 内窥镜处置器具、内窥镜装置及处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