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999B1 - 내시경의 삽입부, 내시경의 조작부, 내시경 - Google Patents

내시경의 삽입부, 내시경의 조작부, 내시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999B1
KR101091999B1 KR1020100079597A KR20100079597A KR101091999B1 KR 101091999 B1 KR101091999 B1 KR 101091999B1 KR 1020100079597 A KR1020100079597 A KR 1020100079597A KR 20100079597 A KR20100079597 A KR 20100079597A KR 101091999 B1 KR101091999 B1 KR 101091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astening member
endoscope
operation wir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0785A (ko
Inventor
김상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Publication of KR20110060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10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the distal tip features being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82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2Constructional details of control elements, e.g.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insertion parts, e.g. vertebr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7Constructional details of force transmission elements, e.g. control w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내시경의 삽입부와 조작부를 손쉽게 착탈할 수 있으며, 내시경을 통한 각종 질병 및 세균에 의한 감염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내시경의 삽입부, 내시경의 조작부, 내시경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의 삽입부는 전단에 촬영부와 조명부가 설치되어 피검사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관, 상기 삽입관 내부에 설치되며, 전단이 상기 촬영부에 접속되고, 후단에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데이터케이블, 상기 삽입관 내부에 설치되며, 전단이 상기 삽입관의 전단에 결합되고, 후단에 외부 동력원이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설치되며, 견인 동작되어 상기 삽입관의 전단을 조향시키는 조작와이어 및 견인 동작되는 상기 조작와이어가 견인 동작되기 전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상기 조작와이어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시경의 삽입부, 내시경의 조작부, 내시경{Insert device for endoscope, handle devices for endoscope, endoscope}
본 발명은 내시경의 삽입부, 내시경의 조작부,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검사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피검사체의 내부를 검사하는 내시경의 삽입부, 내시경의 조작부,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은 인체 또는 기타의 피검사체(이하, '피검사체'라 함.)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삽입부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삽입부의 단부에는 피검사체 내부의 영상을 얻기 위한 이미지 센서와 이미지 센서의 촬상을 위한 조명수단 등이 구비된다.
내시경의 삽입부는 피검사체의 내부로 투입됨에 따라 피검사체 내부의 다양한 이물질에 의하여 오염될 수 있다. 특히, 인체 검사용으로 사용되는 의료용 내시경의 경우 한번 사용된 내시경의 삽입부가 별다른 소독 과정을 거치지 않고, 다른 환자에게 사용되는 경우 각종 질병 및 세균에 의한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검사체 또는 인체에 투입되는 내시경의 삽입부가 조작부와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도록 조작부와 삽입부가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내시경의 삽입부, 내시경의 조작부, 내시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의 삽입부는 전단에 촬영부와 조명부가 설치되어 피검사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관, 상기 삽입관 내부에 설치되며, 전단이 상기 촬영부에 접속되고, 후단에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데이터케이블, 상기 삽입관 내부에 설치되며, 전단이 상기 삽입관의 전단에 결합되고, 후단에 외부 동력원이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설치되며, 견인 동작되어 상기 삽입관의 전단을 조향시키는 조작와이어 및 견인 동작되는 상기 조작와이어가 견인 동작되기 전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상기 조작와이어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삽입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삽입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이며, 상기 조작와이어의 전단은 상기 코일스프링의 전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삽입관의 길이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내시경의 삽입부는 상기 삽입관의 전단 외경부에 설치되는 벌룬 및 상기 벌룬에 기체가 공급되도록 상기 벌룬에 연결되는 공급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시경의 삽입부는 상기 삽입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조작와이어를 감싸고 상기 조작와이어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조작와이어가 상기 삽입관, 상기 데이터케이블 및 상기 공급관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시경의 삽입부는 상기 삽입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조작와이어를 감싸고 상기 조작와이어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조작와이어가 상기 삽입관 및 상기 데이터케이블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와이어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체결본체 및 상기 삽입홈을 통해 상기 체결본체의 내부로 삽입된 조작부측 조작와이어가 상기 체결본체로부터 상기 조작부측 조작와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본체 및 상기 체결본체로부터 절곡되어 조작부측 조작와이어가 체결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의 조작부는 피검사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의 후단에 연결되는 조작관, 상기 조작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부에 내설되는 삽입부측 데이터케이블과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전단에 설치되는 데이터케이블, 상기 조작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부에 내설되는 삽입부측 조작와이어와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전단에 설치되는 조작와이어, 상기 조작와이어의 전단이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조작관을 지름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재의 후단을 가압하여 상기 체결부재를 회동시키는 가압버튼, 상기 체결부재의 후단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체 및 상기 조작와이어의 후단이 결합되어 상기 조작와이어가 견인되도록 하는 조작핸들;을 포함한다.
상기 내시경의 조작부는 상기 조작와이어를 감싸고 상기 조작와이어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조작와이어가 상기 삽입관, 상기 데이터케이블 및 상기 공급관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삽입부측 조작와이어의 단부에 체결되도록 상기 조작와이어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본체 및 상기 체결본체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삽입부측 조작와이어의 단부와 체결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은 전단에 촬영부와 조명부가 설치되는 삽입관의 내부에, 전단이 상기 촬영부에 접속되고 삽입부측 접속단자가 후단에 설치되는 삽입부측 데이터케이블과, 전단이 상기 삽입관의 전단에 결합되고 삽입부측 체결부재가 후단에 설치되는 삽입부측 조작와이어가 설치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후단에 연결되는 조작관의 내부에, 조작부측 접속단자가 전단에 설치되는 조작부측 데이터케이블과, 조작핸들에 후단이 체결되는 조작부측 조작와이어가 설치되는 조작부, 상기 삽입관의 후단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잠김돌기 및 상기 조작관의 전단 외경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잠김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조작관으로부터 상기 삽입관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잠김홈이 형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측 체결부재는 상기 조작관의 중심축을 축으로 상기 삽입부측 체결부재를 향해 회동되어 상기 삽입부측 체결부재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조작부측 체결부재를 구속하여 상기 조작부측 체결부재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잠김홈은 상기 조작부측 체결부재가 상기 삽입부측 체결부재의 일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잠김돌기를 안내하는 제1 가이드홈 및 상기 조작부측 체결부재가 상기 삽입부측 체결부재에 체결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잠김돌기를 안내하는 제2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시경은 상기 조작관으로부터 상기 커넥터를 탄성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의 삽입장치, 내시경의 조작장치, 내시경은 내시경의 삽입부와 조작부를 손쉽게 착탈할 수 있으며, 내시경을 통한 각종 질병 및 세균에 의한 감염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표기된 I-I'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중 삽입부와 조작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중 삽입부와 조작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의 삽입부와 조작부의 결합동작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의 조향동작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7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중 삽입부와 조작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을 삽입부와 조작부의 결합동작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이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표기된 I-I'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중 삽입부와 조작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중 삽입부와 조작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내시경(100)은 피검사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110) 및 삽입부(11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20)를 포함한다.
삽입부(110)는 촬영부(10), 조명부(20), 벌룬(30), 삽입관(111), 삽입부측 데이터케이블(112), 조작부측 공급관(113) 및 삽입부측 조작와이어(114)를 포함한다.
촬영부(10)은 삽입관(111)의 전단에 설치된다. 촬영부(10)은 피검사체 내부의 영상을 취득하기 위한 것으로,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조명부(20)는 삽입관(111)의 전단에 설치된다. 조명부(20)는 촬영부(10)가 피검사체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피검사체의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것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할 수 있다.
벌룬(30)은 삽입관(111)의 전단 외경부에 설치된다. 벌룬(30)은 조작부측 공급관(113)을 통해 기체를 공급받아 외경이 확대된다. 벌룬(30)은 피검사체의 내부(예를 들어, 사람의 식도, 기도, 대장, 소장 등)에 삽입되어 피검사체의 내부을 확장시킴으로써, 촬영부(10)가 피검사체의 내부를 원활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삽입관(111)의 내부에는 삽입관(11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코일스프링(111a)이 설치된다. 코일스프링(111a)은 삽입부측 조작와이어(114)의 견인동작에 따라 삽입관(111)이 유연하게 휘어지도록 하며, 삽입부측 조작와이어(114)의 견인동작이 끝나면 삽입관(111)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삽입부측 데이터케이블(112), 조작부측 공급관(113) 및 삽입부측 조작와이어(114)는 삽입관(111)의 내부에 배치된다. 삽입부측 데이터케이블(112)의 전단은 촬영부(10)에 접속되며, 삽입부측 데이터케이블(112)의 후단에는 삽입부측 접속단자(112a)가 설치된다. 조작부측 공급관(113)의 전단은 벌룬(30)의 내부에 연통되며, 조작부측 공급관(113)의 후단은 삽입관(111)의 후단으로 개방된다. 삽입부측 조작와이어(114)의 전단은 코일스프링(111a)의 전단에 결합되며, 삽입부측 조작와이어(114)의 후단에는 삽입부측 체결부재(115)가 결합된다.
조작부(120)는 조작관(121), 조작부측 데이터케이블(122), 조작부측 공급관(123),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 및 조작핸들(129)을 포함한다.
조작부측 데이터케이블(122), 조작부측 공급관(123) 및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는 조작관(121)의 내부에 배치된다. 조작부측 데이터케이블(122)의 전단에는 조작부측 접속단자(122a)가 설치되며, 조작부측 데이터케이블(122)의 후단부는 엘씨디(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 접속된다. 조작부측 공급관(123)의 전단는 조작관(121)의 전단으로 개방되며, 조작부측 공급관(123)의 후단은 공급펌프(미도시)에 연결된다. 삽입부측 조작와이어(114)의 전단에는 조작부측 체결부재(125)가 설치되며, 삽입부측 조작와이어(114)의 후단은 조작핸들(129)에 체결된다.
조작핸들(129)은 조작에 따라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가 견인되도록 함으로써,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에 체결된 삽입부측 조작와이어(114)가 함께 견인되도록 하여 삽입관(111)의 전단을 조향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술된 삽입부측 데이터케이블(112) 및 조작부측 데이터케이블(122)은 복수의 케이블이 보호관에 의해 보호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서 삽입부측 조작와이어(114) 및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는 각각 좌, 우에 하나씩 배치되어 두 개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으로 마련되어 삽입관(111) 또는, 조작관(121)의 내부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내시경(100)은 삽입부(110)와 조작부(120)가 서로 연결됨에 따라 삽입부측 접속단자(112a)와 조작부측 접속단자(122a)가 서로 접속된다. 따라서, 삽입부측 데이터케이블(112)과 조작부측 데이터케이블(122)은 내시경(100)과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 간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내시경(100)은 삽입부(110)와 조작부(120)가 서로 연결됨에 따라 조작부측 공급관(113)과 조작부측 공급관(123)이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조작부측 공급관(113)과 조작부측 공급관(123)은 벌룬(30)으로 기체를 공급하여 벌룬(30)의 외경이 확장되도록 한다.
또한, 내시경(100)은 삽입부(110)와 조작부(120)가 서로 연결됨에 따라 삽입부측 체결부재(115)와 조작부측 체결부재(125)가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삽입부측 조작와이어(114)와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는 조작핸들(129)의 조작에 따라 견인되어 삽입관(111)의 전단을 조향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내시경(100)은 삽입부측 조작와이어(114) 및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의 외주면으로부터 각각 이격되어 삽입부측 조작와이어(114) 및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를 각각 감싸는 삽입부측 간섭방지관(114a)와 조작부측 간섭방지관(124a)을 포함한다. 삽입부측 간섭방지관(114a)과 조작부측 간섭방지관(124a)은 서로 체결된 삽입부측 조작와이어(114)와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의 견인시, 삽입부측 조작와이어(114)와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가 삽입부측 데이터케이블(112), 조작부측 데이터케이블(122), 삽입관(111), 조작관(121) 등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삽입부측 조작와이어(114)와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가 원활하게 견인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조작부측 체결부재(125)는 조작관(121)의 중심을 축으로 삽입부측 체결부재(115)를 향해 회동됨에 따라 삽입부측 체결부재(115)에 체결되도록 마련된다.
더욱 상게하게, 삽입부측 체결부재(115)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조작부측 체결부재(125)가 결합되는 체결본체(115a)를 포함한다. 체결본체(115a)에는 측방에 위치하는 조작부측 체결부재(125)가 조작관(121)의 중심을 축으로 회동됨에 따라 체결본체(115a)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삽입홈(115b)이 형성된다. 또한, 체결본체(115a)에는 내부로 삽입된 조작부측 체결부재(125)가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의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115c)이 형성된다.
그리고 조작부측 체결부재(125)는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로부터 돌출되는 걸림턱(125a)을 포함한다. 이 걸림턱(125a)은 삽입홈(115b)을 통해 체결본체(115a)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체결본체(115a)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내시경(100)은 조작관(121)의 외경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130)를 포함한다. 커넥터(130)는 조작부측 체결부재(125)를 구속하며, 조작부측 체결부재(125)는 커넥터(13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동된다. 커넥터(130)에는 조작부(120)가 삽입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김홈(131)이 형성되며, 삽입관(111)의 외주면에는 잠김홈(131)에 삽입되는 잠김돌기(116)가 형성된다.
잠김홈(131)은 조작부측 체결부재(125)가 삽입부측 체결부재(115)의 일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잠김돌기(116)를 안내하는 제1 가이드홈(131a) 및 조작부측 체결부재(125)가 삽입부측 체결부재(115)에 체결될 수 있는 위치로 잠김돌기(116)를 안내하는 제2 가이드홈(131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조작관(121)과 커넥터(130)의 사이에는 토션스프링(140)이 설치된다. 토션스프링(140)은 잠김돌기(116)가 제1 가이드홈(131a)을 따라 안내될 때 비틀렸다가, 잠김돌기(116)가 제2 가이드홈(131b)을 따라 안내될 때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삽입부측 체결부재(115)에 조작부측 체결부재(125)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삽입부측 체결부재(115)와 삽입관(111)의 사이에는 인장 코일스프링(150)이 설치된다. 인장 코일스프링(150)은 조작핸들(129)의 조작에 따라 삽입부측 조작와이어(114)와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가 조작부(120) 측으로 견인됨에 따라 압축되었다가 조작핸들(129)의 조작을 마치고 견인력이 해제되면, 다시 인장되어 삽입부측 조작와이어(114)와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의 삽입부와 조작부의 결합동작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두 손에 삽입관(111)과 커넥터(130)를 각각 쥐고, 삽입부(110)와 조작부(120)를 연결시킨다.
즉, 잠김돌기(116)는 제1 가이드홈(131a)으로 진입하고, 제1 가이드홈(131a)의 안내에 따라 제2 가이드홈(131b)에 도달한다. 이때, 잠김돌기(116)가 제1 가이드홈(131a)에 의해 안내됨에 따라 커넥터(130)는 회전되며, 조작부측 체결부재(125)는 커넥터(130)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함께 회동된다. 따라서 조작부측 체결부재(125)는 삽입부측 체결부재(115)의 측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토션스프링(140)은 커넥터(130)의 회전에 따라 비틀린다.
이와 함께, 삽입부측 접속단자(112a)와 조작부측 접속단자(122a)는 서로 접속되며, 조작부측 공급관(113)과 조작부측 공급관(123)은 서로 연통된다.
계속해서, 사용자는 잠김돌기(116)가 제2 가이드홈(131b)에 도달한 것을 확인하고 커넥터(130)를 놓는다. 이때, 비틀렸던 토션스프링(140)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며, 커넥터(130)는 토선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된다. 이에 따라 잠김돌기(116)는 제2 가이드홈(131b)을 따라 안내된다. 이때, 커넥터(130)가 조작부측 체결부재(125)는 삽입홈(115b)을 통해 체결본체(115a)의 내부s로 삽입된다. 그리고 체결본체(115a)의 내부로 삽입된 조작부측 체결부재(125)는 걸림턱(125a)에 의해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의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잠김홈(131)에 삽입된 잠김돌기(116)는 조작관(121)으로부터 삽입관(111)이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a 및 도 6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의 조향동작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삽입부(110)를 피검사체의 내부로 삽입하고, 피검사체의 내부를 촬영하기 위해 촬영부(10)을 조향동작을 수행해야 할 경우가 있다. 이때, 조작핸들(129)을 조작하여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를 견인함으로써, 촬영부(10)을 조향할 수 있다.
즉, 도 6a 및 도 6b의 우측 부위를 촬영하고자 할 경우, 조작핸들(129)을 조작하여 도 6a 및 도 6b의 우측에 배치된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를 견인한다. 그러면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가 견인되고,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에 체결된 삽입부측 조작와이어(114)가 함께 견인된다. 삽입부측 조작와이어(114)가 견인됨에 따라 촬영부(10)은 도 6a 및 도 6b의 우측으로 휘어져 도 6a 및 도 6b의 우측 부위를 촬영할 수 있다. 이때, 도 6a 및 도 6b의 우측에 배치된 인장 코일스프링(150)은 삽입관(111)과 삽입부측 체결부재(115)의 사이에서 압축된다.
이와 같이 도 6a 및 도 6b의 우측 부위의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를 견인함으로써 촬영부(10)을 우측으로 조향할 수 있다. 그러면 피검사체에 삽입된 촬영부(10)을 이용하여 도 6a 및 도 6b의 우측 부위를 촬영할 수 있다.
이어, 도 6a 및 도 6b의 우측 부위의 촬영을 마치고, 조작핸들(129)의 조작을 마치면, 인장 코일스프링(150)은 삽입관(111)과 삽입부측 체결부재(115)의 사이에서 인장되어 삽입부측 조작와이어(114)와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도 6a 및 도 6b의 좌측 부위를 촬영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작핸들을 조작하여, 도 6a 및 도 6b의 좌측에 배치된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를 견인함으로써 촬영부(10)을 좌측으로 조향할 수 있다.
이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의 구성요소 중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에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 및 상술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중 삽입부와 조작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삽입부측 체결부재(225)는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가 결합되는 삽입부측 체결본체(215a) 및 삽입부측 체결본체(215a)로부터 외측을 향해 절곡되는 삽입부측 체결돌기(215b)를 포함한다. 조작부측 체결부재(225)는 삽입부측 체결본체(215a)의 외측에 배치되는 조작부측 체결본체(225a) 및 조작부측 체결본체(225a)로부터 내측을 향해 절곡된 조작부측 체결돌기(225b)를 포함한다.
그리고 조작부(120)는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에 결합되어 조작부측 체결부재(225)가 힌지 결합되는 지지판(126), 조작관(121)을 지름방향으로 관통하여 조작부측 체결본체(225a)의 타측를 가압하여 조작부측 체결부재(225)를 회동시키는 가압버튼(127) 및 가압버튼(127)과 조작부측 체결부재(225)를 탄성지지하는 압축 코일스프링(128)을 포함한다.
도 8a 및 도 8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을 삽입부와 조작부의 결합동작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한 손에 삽입관(111)을 쥐고, 다른 한 손으로 조작관(121)을 쥐고 삽입부(110)와 조작부(120)를 연결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가압버튼(127)을 누른 상태로 조작관(121)을 다른 한 손에 쥔다. 가압버튼(127)은 조작부측 체결본체(225a)를 가압하여 삽입부측 체결돌기(215b)가 조작부측 체결돌기(225b)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조작부측 체결부재(225)를 회동시킨다. 이렇게 삽입부측 체결돌기(215b)가 조작부측 체결돌기(225b)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가압버튼(127)의 가압력을 해제한다. 조작부측 체결부재(225)는 압축 코일스프링(128)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며, 조작부측 체결돌기(225b)는 삽입부측 체결돌기(215b)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조작부측 체결돌기(225b)와 조작부측 체결돌기(225b)가 체결됨에 따라 삽입부측 조작와이어(114)와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는 서로 체결된다. 이와 함께, 삽입부측 접속단자(112a)와 조작부측 접속단자(122a)는 서로 접속되며, 조작부측 공급관(113)과 조작부측 공급관(123)은 서로 연통된다.
이후, 사용자는 조작핸들(129)을 조작하여 조작부측 조작와이어(124)를 견인함으로써 촬영부(10)을 조향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100a)의 조향동작은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100)의 조향동작과 대동소이하므로 상술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시경(100, 100a)은 내시경(100, 100a)의 삽입부(110)와 조작부(120)를 손쉽게 착탈할 수 있다.
100 : 내시경 110 : 삽입부 114 : 삽입부측 조작와이어 115 : 삽입부측 체결부재
120 : 조작부 124 : 조작부측 조작와이어 125 : 조작부측 체결부재 130 : 커넥터 140 : 토션 스프링

Claims (16)

  1. 전단에 촬영부와 조명부가 설치되어 피검사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관;
    상기 삽입관 내부에 설치되며, 전단이 상기 촬영부에 접속되고, 후단에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데이터케이블;
    상기 삽입관 내부에 설치되며, 전단이 상기 삽입관의 전단에 결합되고, 후단에 외부 동력원이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설치되며, 견인 동작되어 상기 삽입관의 전단을 조향시키는 조작와이어;
    견인 동작되는 상기 조작와이어가 견인 동작되기 전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상기 조작와이어를 탄성지하는 탄성체;및
    상기 삽입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조작와이어를 감싸고 상기 조작와이어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조작와이어가 상기 삽입관 및 상기 데이터케이블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지 내시경의 삽입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삽입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삽입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이며,
    상기 조작와이어의 전단은 상기 코일스프링의 전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의 삽입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삽입관의 길이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의 삽입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의 전단 외경부에 설치되는 벌룬;및
    상기 벌룬에 기체가 공급되도록 상기 벌룬에 연결되는 공급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의 삽입부.
  5. 삭제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와이어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체결본체;
    상기 삽입홈을 통해 상기 체결본체의 내부로 삽입된 조작부측 조작와이어가 상기 체결본체로부터 상기 조작부측 조작와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의 삽입부.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본체;및
    상기 체결본체로부터 절곡되어 조작부측 조작와이어가 체결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의 삽입부.
  9. 피검사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의 후단에 연결되는 조작관;
    상기 조작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부에 내설되는 삽입부측 데이터케이블과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전단에 설치되는 데이터케이블;
    상기 조작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부에 내설되는 삽입부측 조작와이어와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전단에 설치되는 조작와이어;
    상기 조작와이어의 전단이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조작관을 지름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재의 후단을 가압하여 상기 체결부재를 회동시키는 가압버튼;
    상기 체결부재의 후단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체;
    상기 조작와이어의 후단이 결합되어 상기 조작와이어가 견인되도록 하는 조작핸들;및
    상기 조작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조작와이어를 감싸고 상기 조작와이어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조작와이어가 상기 조작관 및 상기 데이터케이블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의 조작부.
  10. 삭제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삽입부측 조작와이어의 단부에 체결되도록 상기 조작와이어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의 조작부.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본체; 및
    상기 체결본체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삽입부측 조작와이어의 단부와 체결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의 조작부.
  13. 전단에 촬영부와 조명부가 설치되는 삽입관의 내부에, 전단이 상기 촬영부에 접속되고 삽입부측 접속단자가 후단에 설치되는 삽입부측 데이터케이블과, 전단이 상기 삽입관의 전단에 결합되고 삽입부측 체결부재가 후단에 설치되는 삽입부측 조작와이어가 설치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후단에 연결되는 조작관의 내부에, 조작부측 접속단자가 전단에 설치되는 조작부측 데이터케이블과, 조작핸들에 후단이 체결되는 조작부측 조작와이어가 설치되는 조작부;
    상기 삽입관의 후단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잠김돌기;
    상기 조작관의 전단 외경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잠김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조작관으로부터 상기 삽입관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잠김홈이 형성되는 커넥터;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조작부에 설치되며, 상기 조작와이어를 감싸고 상기 조작와이어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조작와이어가 상기 삽입관, 상기 조작관 및 상기 데이터케이블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측 체결부재는 상기 조작관의 중심축을 축으로 상기 삽입부측 체결부재를 향해 회동되어 상기 삽입부측 체결부재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조작부측 체결부재를 구속하여 상기 조작부측 체결부재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잠김홈은
    상기 조작부측 체결부재가 상기 삽입부측 체결부재의 일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잠김돌기를 안내하는 제1 가이드홈; 및
    상기 조작부측 체결부재가 상기 삽입부측 체결부재에 체결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잠김돌기를 안내하는 제2 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관으로부터 상기 커넥터를 탄성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KR1020100079597A 2009-11-30 2010-08-18 내시경의 삽입부, 내시경의 조작부, 내시경 KR101091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871 2009-11-30
KR20090116871 2009-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785A KR20110060785A (ko) 2011-06-08
KR101091999B1 true KR101091999B1 (ko) 2011-12-08

Family

ID=44395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597A KR101091999B1 (ko) 2009-11-30 2010-08-18 내시경의 삽입부, 내시경의 조작부, 내시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99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3593A1 (ko) * 2018-04-18 2019-10-24 (주) 태웅메디칼 분리형 프로브를 갖는 내시경
KR20200114766A (ko) * 2019-03-29 2020-10-07 (주)가주테크놀로지 교차 감염 방지를 위한 일회용 내시경 구조
JP2021514743A (ja) * 2018-04-18 2021-06-17 テウン 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内視鏡に着脱可能に結合されるプローブ装置
US11571114B2 (en) 2019-09-11 2023-02-07 Taewoong Medical Co., Ltd. Detachable endoscope
US11642006B2 (en) 2019-09-11 2023-05-09 Taewoong Medical Co., Ltd. Detachable endoscope with adjustable bending angle
US11642007B2 (en) 2019-09-11 2023-05-09 Taewoong Medical Co., Ltd. Detachable endoscope having wire buffer function
US11642008B2 (en) 2019-09-11 2023-05-09 Taewoong Medical Co., Ltd. Detachable endoscope
KR20230142146A (ko) 2022-04-01 2023-10-1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525B1 (ko) * 2016-12-29 2018-09-13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내시경
JP2024508364A (ja) * 2021-02-19 2024-02-27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モジュール式医療デバイス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116509308B (zh) * 2023-06-19 2023-11-03 安徽凝新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操控转向内窥镜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457B1 (ko) * 2005-06-27 2006-07-04 이성용 내시경을 포함하는 카메라 영상장치
JP2007268147A (ja) * 2006-03-31 2007-10-18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医療装置
JP2009273652A (ja) * 2008-05-14 2009-11-26 Olympus Corp 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コネクタカバ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457B1 (ko) * 2005-06-27 2006-07-04 이성용 내시경을 포함하는 카메라 영상장치
JP2007268147A (ja) * 2006-03-31 2007-10-18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医療装置
JP2009273652A (ja) * 2008-05-14 2009-11-26 Olympus Corp 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コネクタカバー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9590B2 (ja) 2018-04-18 2022-04-07 テウン 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分離型プローブを有する内視鏡
WO2019203593A1 (ko) * 2018-04-18 2019-10-24 (주) 태웅메디칼 분리형 프로브를 갖는 내시경
US11826022B2 (en) 2018-04-18 2023-11-28 Taewoong Medical Co., Ltd. Endoscope having separable probe
US20210113068A1 (en) * 2018-04-18 2021-04-22 Kyong Min Shin Endoscope having separable probe
JP2021514717A (ja) * 2018-04-18 2021-06-17 テウン 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分離型プローブを有する内視鏡
JP2021514743A (ja) * 2018-04-18 2021-06-17 テウン 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内視鏡に着脱可能に結合されるプローブ装置
JP7055270B2 (ja) 2018-04-18 2022-04-18 テウン 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内視鏡に着脱可能に結合されるプローブ装置
KR20200114766A (ko) * 2019-03-29 2020-10-07 (주)가주테크놀로지 교차 감염 방지를 위한 일회용 내시경 구조
KR102220558B1 (ko) * 2019-03-29 2021-02-25 (주)가주테크놀로지 교차 감염 방지를 위한 일회용 내시경 구조
US11642007B2 (en) 2019-09-11 2023-05-09 Taewoong Medical Co., Ltd. Detachable endoscope having wire buffer function
US11642006B2 (en) 2019-09-11 2023-05-09 Taewoong Medical Co., Ltd. Detachable endoscope with adjustable bending angle
US11571114B2 (en) 2019-09-11 2023-02-07 Taewoong Medical Co., Ltd. Detachable endoscope
US11642008B2 (en) 2019-09-11 2023-05-09 Taewoong Medical Co., Ltd. Detachable endoscope
KR20230142146A (ko) 2022-04-01 2023-10-1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785A (ko)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999B1 (ko) 내시경의 삽입부, 내시경의 조작부, 내시경
US10205925B2 (en) White balance enclosure for use with a multi-viewing elements endoscope
US8529439B2 (en) Endoscopic system
US11357393B2 (en) Endoscope
KR102110353B1 (ko) 분리형 프로브를 갖는 내시경
US9655502B2 (en) Removable tip endoscope
US7959559B2 (en) Endoscope insertion assisting device, endoscope apparatus, medical treatment device and endoscope insertion method
TWI797346B (zh) 內視鏡
KR102110352B1 (ko) 분리형 프로브를 갖는 내시경
EP2335560A4 (en) ENDOSCOPE SYSTEM AND DEVICE FOR ENDOSCOPIC IMAGE PROCESSING
US20160081539A1 (en) Medico-surgical viewing assemblies, guides and introducers
US9877637B2 (en) Endoscope
RU2559097C2 (ru) Лазерный видеоэндоскоп
US8348524B2 (en) Plug and connecting structure for endoscope
CN209172248U (zh) 一种可实现窄带光染色的电子内窥镜
CN100446711C (zh) 内窥镜
US20190082934A1 (en) Flexible tube for endoscope
CN105992547B (zh) 插入设备
KR200461877Y1 (ko) 내시경
JP3717559B2 (ja) 内視鏡
WO2016042833A1 (ja) 内視鏡
JP4624718B2 (ja) 医療器具用挿入補助装置、及び、医療器具挿入システム
CN116583212A (zh) 内窥镜系统
JP3756874B2 (ja) 内視鏡
CN204351789U (zh) 便携式电子弯管喉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