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2146A -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2146A
KR20230142146A KR1020220041012A KR20220041012A KR20230142146A KR 20230142146 A KR20230142146 A KR 20230142146A KR 1020220041012 A KR1020220041012 A KR 1020220041012A KR 20220041012 A KR20220041012 A KR 20220041012A KR 20230142146 A KR20230142146 A KR 20230142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ndoscope
air intake
tube
ai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41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2146A/ko
Publication of KR20230142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21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5Control of fluid supply or evac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94Suction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97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1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modular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19Tubes or pipes in or with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에 간편하게 탈부착되어 내시경 시술 시 환자의 장기에 주입된 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제거함으로써 내시경 시술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는 선단부에 렌즈와 나이프가 설치된 내시경 삽입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장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 튜브, 상기 공기흡입 튜브에 설치되어 장기의 내부 공기 압력을 감지하는 공기 압력센서 및 상기 공기 압력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공기흡입 튜브와 연결된 공기흡입 장비를 구동시켜 상기 공기흡입 튜브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APPARATUS FOR AIR SUCTION OF ENDOSCOPE}
본 발명은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은 내장 장기 또는 체강 내부를 직접 볼 수 있게 만든 의료 기구이다. 이러한 내시경을 통해서, 수술을 하거나 또는 부검을 하지 않고서는 직접 병변을 확인할 수 없는 장기에 대하여 기계를 삽입하여 관찰할 수 있다.
내시경의 종류로는, 관찰 부분에 따라 기관지 내시경, 소화기 내시경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소화기 내시경은 시술 시 외부 공기 주입을 통해 관강을 부풀리고 관강 내의 공기나 장액, 배설물 등을 흡입하여 장기내 병변부를 효과적으로 관찰하거나, 또는 조직 검사 등의 시술을 할 때 사용된다.
소화기 내시경은 소화기에 원활하게 출입 될 수 있도록 소정 직경의 길이부재로 제공된다. 소화기 내시경의 선단부에는 관강 내부의 검사부위로 빛을 발산하는 광원과, 반사된 빛으로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관강 내의 물질을 흡입하거나 관강 내로 공기와 같은 물질을 공급할 수 있도록 통로 역할을 하는 겸자공 등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내시경을 이용하여 위선종 및 조기 위암 치료를 위해 내시경 점막하박리술(ESD)이 널리 시행되는 바, 상기 내시경 점막하박리술은 검진 내시경에 비해 검사 및 시술 시간이 긴 편이기 때문에 내시경 점막하박리술 시 가능한 시술 시간 및 환자의 불편감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상기 내시경 점막하박리술 시 시술 편의를 위해 더블 채널 내시경(Double channel endoscope)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 바, 상기 더블 채널 내시경은 싱글 채널 내시경(Single channel endoscope)에 비해 내시경 선단부 직경이 굵고 무거우며, 선단부의 밴딩 각도가 싱글 채널 내시경에 비해 충분히 꺾이지 않기 때문에 시술에 제한이 있고, 직경이 굵어서 환자에게도 내시경 삽입 시 불편감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시경 점막하박리술 시술 시 일반적으로 기본 위내시경인 싱글 채널 내시경을 사용하며, 내시경의 나이프가 채널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기 팽창을 하며 긴 시간 시술하기 때문에 위 내에 공기가 가득차서 팽창됨으로써 환자의 불편감을 유발하는 실정이다.
환자 위 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서는 삽입된 내시경 나이프를 빼고, 공기 흡입 후 다시 내시경 나이프를 삽입하여 시술을 진행하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이 반복되어 시술 시간이 길어지고, 시술자 및 환자의 불편함이 지속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1999호(발명의 명칭: 내시경의 삽입부, 내시경의 조작부, 내시경, 2011. 06. 08.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7561호(발명의 명칭: 튜브분리형 내시경 수술도구 가이더, 2011. 04. 06.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내시경에 간편하게 탈부착되어 내시경 시술 시 환자의 위 또는 대장에 주입된 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제거함으로써 내시경 시술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는 선단부에 렌즈와 나이프가 설치된 내시경 삽입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장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 튜브, 상기 공기흡입 튜브에 설치되어 장기의 내부 공기 압력을 감지하는 공기 압력센서 및 상기 공기 압력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공기흡입 튜브와 연결된 공기흡입 장비를 구동시켜 상기 공기흡입 튜브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시경의 삽입부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상기 공기흡입 튜브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내부 압력이 기 설정된 특정 압력보다 높은 상태인지 판단하여 높은 상태일 때, 상기 공기흡입 튜브가 개방되도록 하여 장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내부 압력이 기 설정된 특정 압력보다 낮은 상태인지 판단하여 낮은 상태일 때, 상기 공기흡입 튜브가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 튜브는 선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흡입구가 형성되어 장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구는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통해 동작하면서 상기 공기흡입구를 개폐하는 커버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에 따르면, 공기흡입장치가 내시경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시경 시술 시 환자의 위 또는 대장에 주입된 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흡입함으로써 환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시경 시술 시 반복적으로 내시경 나이프를 회수하거나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시술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환자의 위 팽만으로 인한 불쾌감을 감소시키며 내시경의 총 시술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장치의 공기흡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부의 개폐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장치의 공기흡입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장치의 공기흡입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1)는 공기흡입 튜브(10), 공기 압력센서(20) 및 제어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내시경(100)에 공기흡입장치(1)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시경 시술 시 위 또는 대장(이하, 장기라 한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흡입장치(1)의 공기흡입 튜브(10)는 선단부에 렌즈(111)와 나이프(112)가 설치된 내시경 삽입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장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공기 압력센서(20)는 공기흡입 튜브(10)에 설치되어 장기의 내부 공기 압력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30)는 공기 압력센서(20)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공기흡입 튜브(10)와 연결된 공기흡입 장비(40)를 구동시켜 공기흡입 튜브(10)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장치(1)는 상기 내시경 삽입부(110)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홈(110a)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110a)에 상기 공기흡입 튜브(10)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흡입장치(1)는 내시경 삽입부(110)에 형성된 고정홈(110a)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장기 내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내시경 시술 시 반복적으로 나이프(112)를 회수하고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내시경 시술 중 위 내에 주입된 공기로 위가 팽창하는 경우 내시경 나이프(112)는 내시경 선단의 스코프(scope) 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공기흡입장치(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이어서 내시경 나이프(112)로 시술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시경 삽입부(110)에 고정되는 상기 공기흡입 튜브(10)를 보다 견고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고정부재(50)를 공기흡입 튜브(10)에 설치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재(50)는 U자형을 이루면서 공기흡입 튜브(10)의 외측을 감싼 상태로 상기 내시경 삽입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흡입장치(1)의 제어부(30)는 상기 공기 압력센서(20)에서 측정된 내부 압력이 기 설정된 특정 압력보다 높은 상태인지 판단하여 높은 상태일 때, 상기 공기흡입 튜브(10)가 개방되도록 하여 장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공기 압력센서(20)에서 측정된 내부 압력이 기 설정된 특정 압력보다 낮은 상태인지 판단하여 낮은 상태일 때, 상기 공기흡입 튜브(10)가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공기 압력센서(20)의 신호를 받아 장기 내부 압력이 기 설정된 특정 압력보다 높은 상태인지 낮은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공기흡입 튜브(10)를 개방하여 공기를 흡입하거나, 공기흡입 튜브(10)를 폐쇄하여 공기 흡입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 튜브(10)에 설치된 공기 압력센서(20)를 통해 장기 내의 압력이 증가하면 자동으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내시경 시술에 적절한 적정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흡입 튜브(10)는 선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흡입구(11)가 형성되어 장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바, 상기 공기흡입구(11)를 통해 장기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 압력을 낮춰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부의 개폐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흡입 튜브(10)의 공기흡입구(11)는 상기 제어부(30)의 신호를 통해 동작하면서 공기흡입구(11)를 개폐하는 커버(12)가 설치될 수 있는 바, 상기 커버(12)의 이동을 통해 상기 공기흡입구(11)의 개폐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흡입구(1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공기 압력센서(20)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부(30)가 동작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커버(12)와 연결된 모터(13)가 작동하여 커버(12)를 후진시킴으로써 상기 공기흡입구(11)를 개방한 후,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장기 내의 압력이 기 설정된 특정 압력 보다 떨어지면 다시 상기 공기 압력센서(20)의 신호에 의해 제어부(30)의 동작 신호가 입력되고, 이를 통해 상기 커버(12)가 전진하여 상기 공기흡입구(11)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 커버(12)를 통해 공기흡입구(11)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함으로써 공기 흡입을 보다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장치의 공기흡입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내시경 삽입부(110)에 설치된 공기흡입장치(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은 우선, 상기 공기 압력센서(20)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부(30)가 공기흡입구(11)를 개방하도록 동작 신호를 보내고, 이와 동시에 상기 공기흡입 튜브(10)와 연결된 공기흡입 장비(40)를 구동시키면, 상기 공기흡입구(11)를 통해 공기흡입 튜브(10)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모여진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흡입장치(1)가 내시경(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시경 시술 시 환자의 장기에 주입된 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흡입함으로써 환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시경 시술 시 반복적으로 내시경 나이프(112)를 회수하거나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시술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환자의 위 팽만으로 인한 불쾌감을 감소시키며 내시경의 총 시술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공기흡입장치
10: 공기흡입 튜브
11: 공기흡입구
12: 커버
13: 모터
20: 공기 압력센서
30: 제어부
40: 공기흡입 장비
50: 고정부재
100: 내시경
110: 삽입부
110a: 고정홈
111: 렌즈
112: 나이프

Claims (6)

  1. 선단부에 렌즈와 나이프가 설치된 내시경 삽입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장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 튜브;
    상기 공기흡입 튜브에 설치되어 장기의 내부 공기 압력을 감지하는 공기 압력센서; 및
    상기 공기 압력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공기흡입 튜브와 연결된 공기흡입 장비를 구동시켜 상기 공기흡입 튜브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의 삽입부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 상기 공기흡입 튜브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내부 압력이 기 설정된 특정 압력보다 높은 상태인지 판단하여 높은 상태일 때, 상기 공기흡입 튜브가 개방되도록 하여 장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내부 압력이 기 설정된 특정 압력보다 낮은 상태인지 판단하여 낮은 상태일 때, 상기 공기흡입 튜브가 폐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 튜브는 선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흡입구가 형성되어 장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는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통해 동작하면서 상기 공기흡입구를 개폐하는 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
KR1020220041012A 2022-04-01 2022-04-01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 KR20230142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012A KR20230142146A (ko) 2022-04-01 2022-04-01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012A KR20230142146A (ko) 2022-04-01 2022-04-01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146A true KR20230142146A (ko) 2023-10-11

Family

ID=88295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012A KR20230142146A (ko) 2022-04-01 2022-04-01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214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561B1 (ko) 2010-09-10 2011-04-06 서오남 튜브분리형 내시경 수술도구 가이더
KR101091999B1 (ko) 2009-11-30 2011-12-08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내시경의 삽입부, 내시경의 조작부, 내시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999B1 (ko) 2009-11-30 2011-12-08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내시경의 삽입부, 내시경의 조작부, 내시경
KR101027561B1 (ko) 2010-09-10 2011-04-06 서오남 튜브분리형 내시경 수술도구 가이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6128B2 (en) Medical system with a biological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and a manipulation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JP5296843B2 (ja) 細長医療部材
US20200178773A1 (en) Medical device kit with endoscope accessory
USRE46007E1 (en) Automated control of irrigation and aspiration in a single-use endoscope
JP4416990B2 (ja) 生体内で装置を操作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6351843B2 (ja) 超薄型内視鏡補助システム
JP5128847B2 (ja) 内視鏡
WO2007080971A1 (ja) 内視鏡用オーバーチューブ
JP5384548B2 (ja) 内視鏡送気システム
JP2008526360A (ja) 複数の視覚素子を備えるカテーテル
KR20080078015A (ko) 압력 안전 장치를 지닌 내시경 기구
JP2011087647A (ja) 処置用オーバーチューブ及び処置システム
JP5496140B2 (ja) 内視鏡用挿入補助具
KR20230142146A (ko) 내시경용 공기흡입장치
JP5469115B2 (ja) ダブルオーバーチューブ
KR20110085044A (ko) 내시경 및 내시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통캡
JP5514083B2 (ja) 内視鏡送気システム、内視鏡及び内視鏡システム
JP5384893B2 (ja) 内視鏡システム及び補助具
KR102323451B1 (ko) 내시경을 이용한 공기압 자동 조절 장치
KR101092759B1 (ko) 내시경적 수술장치 및 그 제어방법
Hernandez-Divers Reptile gastrointestinal and respiratory endoscopy: the need to look inside.
KR20200026380A (ko) 내시경용 가이드튜브
US20090287056A1 (en) Device to facilitate suctioning of fluid during gastrointestinal endoscopy
JP2005230087A (ja) オーバチュー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