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652A - 화물 이송용 구조체 - Google Patents
화물 이송용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30652A KR20210030652A KR1020190112051A KR20190112051A KR20210030652A KR 20210030652 A KR20210030652 A KR 20210030652A KR 1020190112051 A KR1020190112051 A KR 1020190112051A KR 20190112051 A KR20190112051 A KR 20190112051A KR 20210030652 A KR20210030652 A KR 202100306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body
- guide support
- guide
- transfer unit
- roll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4—Rol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546—Devices for loading or unloading and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rollers,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적재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화물 이송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일반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내부를 깎아서 일체의 몸체로 형성되는 가이드 지지몸체; 가이드 지지몸체의 중공에 삽입되며, 일단이 가이드 지지몸체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가이드 지지몸체와 함께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부; 및 이송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이송부를 가이드 지지몸체를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물 이송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화물 운송차량 등에서 화물의 이송 및 적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간편한 분해 및 조립을 통해 손쉬운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화물 이송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화물 운송차량 등에 화물 적재(積載)작업은 보통 크레인이나 지게차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컨테이너에 실린 화물은 작업자에 의해 컨테이너 내부로 운반되어야 한다.
그러나, 중량의 화물일 경우에는 화물이 적재되는 컨테이너 내에서 화물을 이동시키고 이동된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시키는 작업은 상당한 인력이 요구되는 힘든 일이었다.
한편, 국내외에서 화물운송용 파렛트는 1000, 1100, 및 1200mm와 같이 다양한 규격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파렛트 캐리어는 일반적으로 1100mm의 규격만을 사용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길이가 작은 파렛트 캐리어에 수출 수입용 나무 파렛트를 적재할 경우, 수입용 파렛트의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1100mm보다 작은 1000mm를 사용할 경우, 그 적재 위치를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 작은 크기의 파렛트를 이송시킬 때에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물 운송차량 등에서 화물의 이송 및 적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간편한 분해 및 조립을 통해 손쉬운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화물 이송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랙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적재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화물 이송용 구조체는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일반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내부를 깎아서 일체의 몸체로 형성되는 가이드 지지몸체; 가이드 지지몸체의 중공에 삽입되며, 일단이 가이드 지지몸체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가이드 지지몸체와 함께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부; 및 이송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이송부를 가이드 지지몸체를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이드 지지몸체는 가이드 지지몸체의 양측 단부 각각에 배치되어 가이드 지지몸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를 구비하며, 가이드롤러는 일반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지지몸체에 비해서 강도가 상대적으로 큰 열처리강으로 형성되며, 가이드 지지몸체와 가이드롤러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공구강으로 회전가능도록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송부는 가이드 지지몸체에 탈부착 및 캠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캠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이송용 구조체는 트랙을 따라 원활한 이동을 제공함으로써 화물을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작동레버를 이용하여 가이드 지지몸체에 대해서 이송부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화물을 안정적으로 내측 깊숙이 밀어 넣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가이드 지지몸체와 이송부를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된 상태에서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이송중에 분리되지 않고 화물의 안정적인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구조체의 가이드 지지몸체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구조체의 이송부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구조체의 일단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구조체의 평면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지지몸체와 이송부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구조체의 과 볼 플런저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구조체의 프레임의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구조체의 작동레버를 통한 이송부의 승강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구조체의 정상 주행 상태 및 레버 작동 후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화물 이송용 구조체의 견인 홀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구조체의 작동레버의 상세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탈 방지 스토퍼의 상세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구조체의 이송부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구조체의 일단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구조체의 평면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지지몸체와 이송부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구조체의 과 볼 플런저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구조체의 프레임의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구조체의 작동레버를 통한 이송부의 승강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구조체의 정상 주행 상태 및 레버 작동 후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화물 이송용 구조체의 견인 홀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구조체의 작동레버의 상세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탈 방지 스토퍼의 상세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구조체(10)는 가이드 지지몸체(100)와 가이드 지지몸체(100)의 주행을 위한 역할을 하는 이송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가이드 지지몸체(100)와 이송부(200)는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한 결합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지지몸체(100)는 내부가 개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된 사각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 지지몸체(100)는 일반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내부를 깎아서 일체의 몸체로 형성되어 견고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서, 낱장의 플레이트를 용접 또는 볼트 조립한 구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강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가이드 지지몸체(100)의 선단부 상면에는 절개부(150)가 형성되고, 절개부(150)에 인접하여 캠 블록(120)이 설치된다. 또한, 가이드 지지몸체(100)의 내부에는 일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체인지 가이드블록(110)이 설치된다.
또한, 가이드 지지몸체(100)의 상면은 선단부를 포함하여 전 길이에 걸쳐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되며, 적재품을 적재할 때에 평평한 면에 균일하게 하중이 분포되도록 함으로써 가이드 지지몸체(100)의 변형을 방지하여 이송용 구조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지지몸체(100)는 1200mm 크기의 파렛트를 지지할 수 있는 크기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면에 1000mm 또는 1100mm의 크기의 파렛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눈금(114)이 형성될 수 있다. 눈금(114)을 통해 파렛트의 정착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파렛트의 이동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가이드블록(110)은 가이드 지지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볼트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블록(110)은 롤러(230)의 안내를 위한 앞쪽 경사면(111)과 롤러 안착을 위한 곡면(112)을 형성한다. 가이드블록(110)은 일측면을 기준으로 대략적인 형상이 사다리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블록(110)은 양측면에 후술하는 볼 플런저(240)를 장착하기 위한 플런저 홀(113)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블록(110)는 볼 플런저(240)를 구비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특히, 가이드 지지몸체(100)는 선단부와 후단부의 양쪽 단부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러(130)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롤러(130)는 적재함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레일홈의 벽면과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화물 이송용 구조체(10)의 원활한 주행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롤러(130)는 열처리된 강으로 형성되고, 가이드롤러(130)를 가이드 지지몸체(100)에 고정시키는 고정핀(131)은 공구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재질을 사용하여, 가이드롤러(130)의 원활한 회전을 제공함과 동시에 가이드롤러(130)의 회전으로 인해 지지몸체(100) 및 고정핀(115)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가이드 지지몸체(100)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송부(200)는 판상의 프레임(210)이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며, 그 사이에 복수의 간격유지부(220)가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일방향으로 연장된 사각틀 형상의 구조로 형성되어 전술한 가이드 지지몸체(10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송부(200)는 서로 이웃하는 판상의 프레임(210)이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그 사이에 다수 개의 간격유지부(220)가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틀 형상의 구조를 형성된다. 이송부(200)는 전술한 가이드 지지몸체(10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서로 이웃하는 판상의 프레임(210) 사이에 다수 개의 롤러(230)가 구비된다.
이때, 프레임(210)은 관통홀이 최소한으로 형성됨으로써, 단면적 감소가 최소가 됨으로써 강도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롤러(230)는 이송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씩 짝을 이루면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며, 8쌍의 주행롤러(230a)로 총 16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승하는 롤러 7개가 배치된다. 주행롤러는 제품 적재 후 이동시 지지간격을 줄임으로써 하중을 분산시켜 작용하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자체 바닥의 레일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측에 위치하는 롤러(230)들은 위치결정 롤러로서 가이드 지지몸체(100)의 상부 내측면에 접촉하면서 위치를 결정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위치결정을 하는 롤러(230b)를 통해서 제품 적재후 적재품 운반 시, 프레임의 지지간격을 줄임으로써, 프레임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켜 작용하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위치결정 롤러의 상승 또는 하강 시, 하중 분산으로 인해 베어링 및 롤러의 제품 수명이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롤러 축에 작용하는 축방향 하중의 감소로 인해, 후술하는 작동 레버의 작동 시 마찰력이 감소하여 제품을 장기간 사용시 기대 수명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롤러는 최소한의 조립홀과 한쪽 8개의 볼트 제거시 모든 롤러, 핀 및 베어링의 해제가 가능하여 조립시간의 단축과 문제 발생시 신속한 조치가 가능한다.
한편, 롤러(230)는 서로 이웃하는 프레임(210) 양측을 관통한 회전에 지지되는 구조를 형성하지 않는다. 즉, 롤러(230)는 프레임(210)의 내측 양편에 베어링(미도시)이 장착되고, 베어링의 축선을 따라 롤러 핀(231)이 장착된다. 롤러 핀(231)의 양단부는 이송부(200)의 양쪽 플레이트(2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핀 홈(232)에 삽입 고정된다. 이때, 간격유지부(220)를 통해 서로 이웃하는 거리가 유지되며,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롤러(230)는 분산된 하중을 통해 프레임(210)이 틀어지거나 이탈되지 않고 주행 시 안정적인 구름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롤러(230)를 통해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중량의 적재물을 분산킬 수 있는 효과가 증대되어 내구성 증대를 통한 기대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송부(200)는 프레임(210)을 연결하는 간격유지부(220)의 볼트 체결을 해제하면, 프레임(210)이 결합된 롤러(230)가 손쉽게 분리되어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유지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가이드 지지몸체(100)와 가이드 지지몸체(100)의 결합구조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송부(200)는 가이드 지지몸체(100)에 형성된 개방된 공간을 따라 삽입되어 탈부착된다. 이때, 이송부(200)의 캠 유닛(250)은 가이드 지지몸체(100)의 일단에 견고한 부착과 동시에 캠 동작을 통해서 이송부(200)의 상하 이동을 제공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캠(251) 및 캠 링크(252)를 구비한다.
캠(251)은 후술하는 막대형 작동레버(300)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며, 수직관통홀 구조의 레버 홀(2511)이 형성된다. 레버 홀(2511)은 막대형 작동레버(300)의 종단이 삽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캠(251)은 하측에 제2 연결홀(2512)이 형성된다. 제2 연결홀(2512)은 레버 홀(2511)의 하측에 동일한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가이드 지지몸체(100)는 제2 연결홀(2512)과 결합되는 제1 연결홀(161)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 지지몸체(100)는 상면에서 제1 연결홀(161)과 연통되는 고정홀(162)이 형성된다.
제2 연결홀(2511)과 제1 연결홀(161)은 회동축(150)을 통해 서로 결합된다. 이때, 회동축(150)의 양단 상측에는 고정홈(151)이 형성된다. 따라서, 회동축(150)이 제1 연결홀(161)과 제2 연결홀(2512)을 결합한 상태에서 고정용 볼트(163)를 통해 회동축(150)을 완전히 고정시킴으로써, 캠(251)의 동작에 따른 흔들림에도 회동축(150)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회동축(150)의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용 볼트(163)를 해제한 상태에서 회동축(150)을 분리하게 되면, 가이드 지지몸체(100)와 이송부(200)의 간편한 분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캠 링크(252)는 캠(251)에 연결되어 캠(251)의 동작에 의해 이송부(200)를 아래로 내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링크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캠 링크(252)의 선단부는 캠(251)의 선단부 및 후단부 각각에핀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지지몸체(100)는 선단부 내측에 캠 블록(120)이 고정된다. 이때, 캠(251)의 후단 상측은 핀에 의해 캠 블록(120)측에 고정되어 핀을 중심으로 위아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레버(300)의 젖힘 조작에 의해 캠(251)이 후단 핀을 중심으로 아래로 회전하게 되면, 이와 동시에 캠 링크(252)도 아래로 내려오게 되고, 이때의 이송부(200) 전체가 약간 뒤로 밀리면서 아래로 내려오게 되므로, 가이드 지지몸체(100)와 이송부(200) 간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게 된다.
이때, 플런저 볼(242)은 도 4의 A-A 단면도와 같이, 볼 가이드 홈(211) 내에 결속된 상태에서 가이드 지지몸체(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B-B 단면도를 참조하면, 롤러(230)의 양단에 있는 롤러 핀(231)은 이송부(200)의 플레이트(210) 내측에 있는 핀 홈(232) 내에 단순히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송부(200)는 종전과 같이 롤러의 축 역할을 하는 볼트가 플레이트(210)를 관통하면서 나사체결되는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 간격유지부(220)를 통해 플레이트가(210)가 견고한 결합을 통해 간극이 유지되어 하중 분산을 통해 롤러(230)에 작용하는 하중을 감소시킴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조립을 간단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런저 볼(242)이 플레이트(210) 내측에 있는 베어링(미표시)과의 결합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함으로써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종래의 기술은 베어링의 교환주기가 6개월 이내일 뿐만 아니라, 구리스 충전방식으로 유지관리가 매우 불편한 반면, 본 발명은 오일 주입방식을 통한 편리한 유지관리와 더불어 베어링 교환주기를 6개월 이상으로 크게 향상시켜 유지관리비용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가이드블록(110), 프레임(210) 및 볼 플런저(240)의 연결구조에서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볼 플런저(240)는 가이드 지지몸체(100) 내에서 이송부(200)의 이동을 안내하며, 이송부(200)가 가이드 지지몸체가이드블록(110) 폭의 중앙에 배열되도록 하여 프레임(210)의 양측면이 가이드 지지몸체(100)의 내주면에 맞닿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서, 플런저 몸체(241), 플런저 볼(242) 및 조인트 홈(243)을 구비한다.
플런저 몸체(24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플런저 홀(113)에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플런저 볼(242)은 볼 형상으로 형성되어 플런저 몸체(241)의 양 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볼 일부(약 1/3 정도)가 노출되며, 노출된 양단이 볼 가이드 홈(211) 내에서 상하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조인트 홈(243)은 플런저 몸체(241)의 중앙에 오목한 홈으로 형성된다. 플런저 몸체(241)는 플런저 홀(1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인트 홈(243)에 조인트 나사(244)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조인트 홈(243)은 이송부(200)의 위치를 가이드 지지몸체가이드블록(110)의 폭 중앙에 오도록 배열시킬 수 있으며, 사용 상의 잦은 충격에도 볼 플런저(240)가 이탈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 플런저(240)는 화물 이송용 구조체의 높낮이 가변 시 볼 플런저(240)의 플런저 볼(242)이 이송부(200)에 있는 볼 가이드 홈(2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송부(200)의 안정적인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양쪽의 플런저 볼(242)이 이송부(200)의 양쪽 볼 가이드 홈(211) 내에 위치하면서 이송부(200)의 폭방향 위치를 잡아주게 되므로 가이드 지지몸체(100)의 내측 중앙에 이송부(200)이 배열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210)은 안쪽면에 볼 가이드 홈(211)이 형성되며, 볼 가이드 홈(211)을 따라 볼 플런저(240)의 플런저 볼(242)이 상대적으로(플런저 볼은 가만히 있고 볼 가이드 홈 부분이 움직임에 따라) 타고 다닐 수 있게 된다.
볼 가이드 홈(211)은 상측 멈춤홈(2111), 하측 멈춤홈(2112) 및 상하측 멈춤홈(2111, 2112) 사이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주행홈(2113)을 구비한다. 정상 주행 시의 경우(캐리어 높이를 낮춘 상태)에는 볼 플런저(240)의 플런저 볼(242)은 상측 멈춤홈(2111. 2112) 내에 위치하며, 레버 작동 후 주행 시의 경우(가이드 지지몸체의 높이를 높인 상태) 플런저 볼(242)은 하측 멈춤홈(2112) 내에 위치되어 있게 된다.
상측 멈춤홈(2111. 2112)은 플런저 볼(242)의 일부 노출된 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멈춤홈 사이를 연결하는 주행홈은 멈춤홈 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볼 가이드 홈(211)은 멈춤홈 내에 플런저 볼이 안착된 상태에서는 이송부(200)의 높이를 높인 상태 또는 낮춘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송부(200)는 가이드 지지몸체(100)와 높이를 조정하는 작동레버(300)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지지몸체(100)와 결합되는 이송부(200)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막대형의 작동레버(300)의 조작에 의해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작동레버(300)는 종단의 후단에 부채꼴 형상의 회동안내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회동안내부(320)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 외주면이 절개부(150)를 따라 이동하며, 일측면이 캠(251)의 일측면과 완전히 밀착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레버 홀(2511)에서 분리되지 않고 작용력이 이송부(200)에 효과적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가이드 지지몸체(100)와 이송부(200) 간의 높낮이 조정이 캠 유닛(250)의 작동에 의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물 이송용 구조체(10)의 높이를 낮춘 상태의 주행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이 상태에서, 이송부(200)는 가이드 지지몸체(100)의 내측에 위치하며, 볼 플런저(240)의 플런저 볼(242)은 이송부(200)에 있는 볼 가이드 홈(211)의 아래쪽 멈춤홈 내에 위치한다.
도 9b는 레버 작동 후 가이드 지지몸체(100)를 높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구동동작을 구체으로 설명하면, 막대형 작동레버(300)를 캠(251)에 있는 레버 홀(2511) 내에 끼운 다음, 작동레버(300)를 젖히게 되면, 캠(251)의 회전 및 캠 링크(252)의 작동에 의해 이송부(200)는 볼 플런저(240)와 볼 가이드 홈(211)의 가이드 작용에 의해 아래쪽으로 내려오게 되면서 가이드 지지몸체(100)의 높이가 높혀지게 된다.
이때, 이송부(200)는 가이드 지지몸체(100)를 따라 이동하여 하측에 위치되며, 볼 플런저(240)의 플런저 볼은 이송부(200)에 있는 볼 가이드 홈(211)의 하측 멈춤홈(2112) 내에 위치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지지몸체(100)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가이드 지지몸체(100)에 지지되는 적재물을 포함하는 팔레트 전체가 적재함 바닥으로부터 떨어지면서 위로 들어 올려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동레버(300)를 끌면서 적재물을 실은 팔레트를 적재함의 깊숙한 곳까지 운반할 수 있게 되고, 또 하역 시에도 적재함의 깊숙한 곳에 있는 적재물을 실은 팔레트를 적재함의 입구까지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화물 이송용 구조체의 견인 홀을 나타낸 사진이다.
가이드 지지몸체(100)의 앞쪽에는 견인홀(140)이 형성될 수 있다. 견인홀(140)은 용이한 파지와 더불어 견인시 공구를 보다 손쉽게 삽입시켜 레일을 따라 보다 손쉽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이송용 구조체의 작동레버의 상세도이다.
작동레버(300)는 젖힘 조작에 의해 캠(251)이 아래로 회전하면서 캠 링크(252)의 동작에 따라 이송부(200)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몸체(310), 회동안내부(320) 및 손잡이(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310)는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몸체(310)의 종단은 레버 홀(2511)에 원활한 삽입과 더불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단차 형성될 수 있다. 몸체(310)의 상단 측면에는 손잡이(320)가 회동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구(311)가 형성된다.
회동안내부(320)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310)의 종단에 결합된다. 회동안내부(320)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 외주면이 절개부(150)를 따라 이동하여 레버 홀(2511)에서 분리되지 않고 작용력이 이송부(200)에 효과적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가이드 지지몸체(100)와 이송부(200) 간의 높낮이 조정이 캠 유닛(250)의 작동에 의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손잡이(330)는 결합구(311)에 회동가능 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결합구(311)와 결합될 수 있도록 수용홈(331)이 형성된다. 수용홈(331)는 결합구(3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양방향으로 홀이 형성되어 결합구(311)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손잡이(330)와 결합구(311)는 탄성스프링(332)을 통해 결합된다. 탄성스프링(332)은 코일스프링에서 양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탄성핀과 제2 탄성핀을 구비하고, 각각의 탄성핀이 수용홈(331)과 결합구(311)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평상시에는 손잡이(330)를 회동된 상태를 유지시키며, 사용자가 잡아당겨서 90도 회전하게 되면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회동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330)는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코팅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탈 방지 스토퍼의 상세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탈 방지 스토퍼(160)는 스토퍼(161) 및 틸팅 스프링(162)를 구비한다.
스토퍼(161)는 평상시에 틸팅 스프링(162)에 의해서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때, 돌출된 형상은 직각 삼각형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서, 직각 삼각형으로 돌출된 스토퍼(161)는 일방향으로는 회동이 제한되고, 일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일방향을 따라 파렛트가 이동(왼쪽에서 오른쪽으로)하게 되면, 틸팅 스프링(162)의 탄성력에 의해서 스토퍼(16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파렛트(P)가 이동하게 된다.
스토퍼(161)는 파렛트가 오른쪽으로 완전히 이동하게 되면, 틸팅 스프링(162)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이동하게 되고, 파렛트의 일측면을 지지하면서 파렛트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를 통하여 화물 이송용 구조체의 상측면에 배치된 파렛트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이송용 구조체는 적재 시 1ton의 무게를 가정하여 위아래 블록의 갯수와 주행 롤러 및 위치결정 롤러의 갯수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레버 작동 또는 적재물 운반 시 롤러에 받는 하중을 분산시켜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보다 적은 힘으로도 견인작업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존에는 주행 롤러가 6개로 구성되어 1개의 롤러에 받는 하중은 1,000㎏ / 12개 = 83.33㎏/개 가 된다. 반면, 본 발명은 주행 롤러가 16개이므로 1,000㎏ ÷ 32개 = 31.25㎏/개 로서, 개당 작용되는 하중이 크게 감소하여, 운반성 및 적재 하중분산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상승시에도 기존에는 상하 롤러가 3개로 구성되어 1개의 롤러에 받는 하중은 1,000㎏ / 6개 = 166.66㎏/개 가 된다. 반면, 본 발명은 위치 상승 롤러가 7개로 구성 양쪽 두 개이므로 1개에 받는 하중은 1000 ÷ 14 = 71.42㎏/개 로서, 각 롤러에 작용되는 하중이 크게 감소하여 운반성을 향상시키고, 적재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재하중의 분산을 통해 축에 작용하는 레이디얼하중을 감소시켜 롤러와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베어링 수명을 연장 시킬수 있다. 레이디얼 하중 감소로 인해 마찰력이 감소하여 작동레버 작동시 캠 유닛 캠블록에 적용하중 감소로 인한 마찰력이 감소하여 캠유닛의 내구성이 증대되어 사용연한이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레이디얼 하중의 감소로 인하여 작동레버 작동시 필요한 항복강도에 대한 사용 하중에 대한 마진이 줄어들어 제품을 장시간 사용시 기대수명이 증대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가이드 지지몸체
110 : 가이드 블록
120 : 캠 블록 130 : 가이드 롤러
140 : 훅 핸들 150 : 절개부
160 : 이탈 방지 스토퍼 200 : 이송부
210 : 프레임 220 : 간격유지부
230 : 롤러 240 : 볼 플런저
250 : 캠 유닛 300 : 작동레버
120 : 캠 블록 130 : 가이드 롤러
140 : 훅 핸들 150 : 절개부
160 : 이탈 방지 스토퍼 200 : 이송부
210 : 프레임 220 : 간격유지부
230 : 롤러 240 : 볼 플런저
250 : 캠 유닛 300 : 작동레버
Claims (3)
- 트랙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적재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화물 이송용 구조체에 있어서,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일반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내부를 깎아서 일체의 몸체로 형성되는 가이드 지지몸체;
상기 가이드 지지몸체의 중공에 삽입되며, 일단이 상기 가이드 지지몸체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지지몸체와 함께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부를 상기 가이드 지지몸체를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용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지지몸체는,
상기 가이드 지지몸체의 양측 단부 각각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지지몸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롤러는,
일반강으로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 지지몸체에 비해서 강도가 상대적으로 큰 열처리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지지몸체와 상기 가이드롤러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공구강으로 회전가능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용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 지지몸체에 탈부착 및 캠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캠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이송용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2051A KR20210030652A (ko) | 2019-09-10 | 2019-09-10 | 화물 이송용 구조체 |
PCT/KR2019/016083 WO2021049713A1 (ko) | 2019-09-10 | 2019-11-22 | 화물 이송용 구조체 |
CN201980022138.2A CN112789230A (zh) | 2019-09-10 | 2019-11-22 | 货物移送用结构体 |
KR1020210148684A KR102543730B1 (ko) | 2019-09-10 | 2021-11-02 | 화물 이송용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2051A KR20210030652A (ko) | 2019-09-10 | 2019-09-10 | 화물 이송용 구조체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8684A Division KR102543730B1 (ko) | 2019-09-10 | 2021-11-02 | 화물 이송용 구조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0652A true KR20210030652A (ko) | 2021-03-18 |
Family
ID=748672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2051A KR20210030652A (ko) | 2019-09-10 | 2019-09-10 | 화물 이송용 구조체 |
KR1020210148684A KR102543730B1 (ko) | 2019-09-10 | 2021-11-02 | 화물 이송용 구조체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8684A KR102543730B1 (ko) | 2019-09-10 | 2021-11-02 | 화물 이송용 구조체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2) | KR20210030652A (ko) |
CN (1) | CN112789230A (ko) |
WO (1) | WO2021049713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80275A (ko) | 2001-04-12 | 2002-10-23 | 블랙록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 개선된 화물 취급 스케이트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0005022U1 (de) * | 2000-03-17 | 2001-02-15 | Tasko B.V., Venray | Führungskonstruktion für Palettenroller in Laufschienen |
CN2681522Y (zh) * | 2003-03-06 | 2005-02-23 | 华为技术有限公司 | 通用托盘 |
CN1882486B (zh) * | 2003-11-21 | 2010-05-26 | 丰田钢铁中心株式会社 | 运送物的运送装置、从使用它的运输容器中运出运送物的方法以及将运送物运入运输容器的方法 |
KR100750269B1 (ko) * | 2006-05-29 | 2007-08-17 | 형제산업(주) | 컨테이너카의 화물 이동용 스케이트 |
KR101039040B1 (ko) * | 2008-08-19 | 2011-06-03 | 선종수 | 화물 운반용 트롤리 |
KR20110011205U (ko) * | 2010-05-27 | 2011-12-05 | 이병규 | 도어용 경첩 |
JP6209460B2 (ja) * | 2013-08-12 | 2017-10-04 | オールセーフ株式会社 | 積荷移動台車 |
US9834421B2 (en) * | 2013-11-15 | 2017-12-05 | Ronald E. Raper, Jr.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transport and positioning of a display |
KR101598407B1 (ko) * | 2014-05-02 | 2016-02-29 | 박창수 | 팔레트 캐리어 |
KR101679599B1 (ko) * | 2015-05-14 | 2016-11-28 | 주식회사 에스지테크 | 화물이동용 스케이트 |
-
2019
- 2019-09-10 KR KR1020190112051A patent/KR20210030652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11-22 CN CN201980022138.2A patent/CN112789230A/zh active Pending
- 2019-11-22 WO PCT/KR2019/016083 patent/WO202104971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
- 2021-11-02 KR KR1020210148684A patent/KR10254373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80275A (ko) | 2001-04-12 | 2002-10-23 | 블랙록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 개선된 화물 취급 스케이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049713A1 (ko) | 2021-03-18 |
KR102543730B1 (ko) | 2023-06-15 |
CN112789230A (zh) | 2021-05-11 |
KR20210134570A (ko) | 2021-1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351828B2 (ja) | 小物物品の分類施設 | |
US10246272B2 (en) | Load-conveying and transport apparatus and methods | |
KR101598407B1 (ko) | 팔레트 캐리어 | |
CN106995110A (zh) | 车辆输送系统及车辆辐射扫描检查系统 | |
KR20210030652A (ko) | 화물 이송용 구조체 | |
JPH0224724B2 (ko) | ||
CN217198204U (zh) | 板材加工转运小车 | |
CN107758217B (zh) | 循环垂直输送机 | |
CN205034652U (zh) | 一种重型链式输送机及其输送链条 | |
CN110466934B (zh) | 一种顶升移载机 | |
CN217101801U (zh) | 升降输送机 | |
CN210527558U (zh) | 一种顶升移载机 | |
CN207061091U (zh) | 车辆输送系统及车辆辐射扫描检查系统 | |
CN212047513U (zh) | 一种中转车 | |
CN212047514U (zh) | 一种便于装卸的推车 | |
CN210028866U (zh) | 输送装置 | |
CN113442982A (zh) | 一种便捷供料的配料滑动小车 | |
CN111409680A (zh) | 中转车 | |
JP4647818B2 (ja) | 床上貨物運搬装置 | |
KR101841556B1 (ko) | 원통형 부재 이송용 대차 | |
KR101959332B1 (ko) | 패널 이송장치 | |
CN205203419U (zh) | 航空地勤自走式平台车平台 | |
CN105253534A (zh) | 重型链式输送机及其输送链条 | |
CN221395423U (zh) | 轻型货物上下车无动力运送工具 | |
JP3581985B2 (ja) | 重量物搬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レール付きコンテ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